KR20230023421A -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421A
KR20230023421A KR1020210105549A KR20210105549A KR20230023421A KR 20230023421 A KR20230023421 A KR 20230023421A KR 1020210105549 A KR1020210105549 A KR 1020210105549A KR 20210105549 A KR20210105549 A KR 20210105549A KR 20230023421 A KR20230023421 A KR 20230023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md
heart rate
self
virtual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044B1 (ko
Inventor
김성웅
김미혜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5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04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9Foot or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머리에 착용한 HMD(Head mounted Display)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 주시방향을 확인하고 사용자 주시방향에 대응하는 가성의 신체 진단 예시 화면을 HMD에 제공하여 운동을 유도하게 하고,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한 밴드형 감지 장비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기울기, 신체 위치 및 심박수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신체 진단 결과를 생성하여 HMD에 제공함으로써 전문인력이 필요 없고, 공간적 제약 및 시간적 제약 없이 신체 자가 진단을 할 수 있게 하는,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SELF EXAMINATION DEVICE USING VIRTUAL ENVIRONMENT AND ITS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머리에 착용한 HMD(Head mounted Display)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 주시방향을 확인하고 사용자 주시방향에 대응하는 가성의 신체 진단 예시 화면을 HMD에 제공하여 운동을 유도하게 하고,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한 밴드형 감지 장비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기울기, 신체 위치 및 심박수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신체 진단 결과를 생성하여 HMD에 제공함으로써 전문인력이 필요 없고, 공간적 제약 및 시간적 제약 없이 신체 자가 진단을 할 수 있게 하는,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검사는 병원을 사전에 예약하고 내방하여 전문 담당 인력의 안내에 따라 진단을 하거나 혹은 본인의 신체에 불편함을 느껴 전문 병원에 내방하여 X-Ray, CT촬영 등을 통해 신체 진단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신체검사 방법의 경우, 검사 대상자 입장에서는 병원의 스케줄에 본인의 스케줄을 맞춰야 하는 시간적 부담감과 직접 방문해야 하는 공간적 부담감이 있고, 병원 입장에서는 해당 검사를 위한 검사장비와 인력 배치에 대한 비용적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위에서 설명한 공간적, 시간적 부담감으로 인하여 신체에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이상 병원 내방을 꺼리게 되어 초기 문제 발견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044417호{발명의 명칭: 신체기능 검사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문인력이 필요 없고, 공간적 제약 및 시간적 제약 없이 저렴하게 신체 자가 진단을 할 수 있게 하는,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주시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 주시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신체 진단 예시화면과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HMD(Head Mounted Display);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되어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밴드형 감지 장비; 및 상기 HMD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사용자 주시 방향을 인식하고 사용자 주시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신체 진단 예시화면을 상기 HMD에 제공하고, 상기 밴드형 감지 장비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각각 설정 기울기, 설정 위치 및 설정 심박수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결정하고, 이 동작 수행 정도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 및 신체 진단 결과를 상기 HMD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감지 장비는 고무 재질의 밴드 내측에 자이로센서, 위치감지 센서 및 체외 심박 측정 센서가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복수의 등급으로 결정하고, 이 동작 수행 정도를 기초로 종합적인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HMD(Head Mounted Display)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사용자 주시 방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주시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신체 진단 예시화면를 상기 HMD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밴드형 감지 장비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확인된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각각 설정 기울기, 설정 위치 및 설정 심박수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 및 신체 진단 결과를 상기 HMD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는 복수의 등급으로 결정되고, 이 동작 수행 정도를 기초로 종합적인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HMD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사용자 주시 방향을 인식하고 사용자 주시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신체 진단 예시화면을 상기 HMD에 제공하고,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한 밴드형 감지 장비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각각 설정 기울기, 설정 위치 및 설정 심박수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결정하고, 이 동작 수행 정도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 및 신체 진단 결과를 상기 HMD에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문인력이 필요 없고, 공간적 제약 및 시간적 제약 없이 저렴하게 신체 자가 진단을 할 수 있게 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밴드형 감지 장비(B)가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HMD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가상의 신체 진단 예시화면을 나타내고, (b)는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각 시스템에서, 몇몇 경우에서의 요소는 각각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를 가져서 표현된 요소가 상이하거나 유사할 수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요소는 상이한 구현을 가지고 본 명세서에서 보여지거나 기술된 시스템 중 몇몇 또는 전부와 작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다양한 요소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느 것이 제1 요소로 지칭되는지 및 어느 것이 제2 요소로 불리는지는 임의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자료 또는 신호를 '전송', '전달' 또는 '제공'한다 함은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자료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물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자료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밴드형 감지 장비(B)가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100), 밴드형 감지 장비(B)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HMD(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고 보는 작은 디스플레이로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을 경험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이다. HMD(100)는 사용자의 주시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부(200)에 감지신호를 제공하고, 제어부(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사용자 주시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신체 진단 예시화면[도 3의 (a) 참조] 및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도 3의 (b) 참조]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밴드형 감지 장비(B)는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되어(도 2 참조)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측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제어부(2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밴드형 감지 장비(B)는 고무 재질의 밴드(BO) 내측에 자이로센서(110), 위치감지 센서(120) 및 체외 심박 측정 센서(130)가 탑재된다. 자이로센서(110)는 지구의 회전과 관계없이 높은 정확도로 항상 처음에 설정한 일정 방향을 유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물체의 방위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사용자의 신체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위치감지 센서(120)는 신체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체외 심박 측정 센서(130)는 신체 외부에서 심박수를 측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200)는 HMD(100) 및 밴드형 감지 장비(B)에 근접설치되어 본 발명의 전체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다. 제어부(200)는 HMD(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사용자 주시 방향을 인식하여 사용자 주시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신체 진단 예시화면을 HMD(100)에 제공하고, 밴드형 감지 장비(B)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각각 설정 기울기, 설정 위치 및 설정 심박수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결정하고, 이 동작 수행 정도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 및 신체 진단 결과를 HMD(1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예컨대, 도 3의 (b)와 같이, A 내지 D의 복수의 등급으로 결정하고, 이 동작 수행 정도를 기초로 종합적인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도 3 (b)의 적색 및 노란색 글자로 표시됨].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나타낸다.
먼저, 제어부(200)가 HMD(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사용자 주시 방향을 확인한다(S10).
다음, 제어부(200)가 스텝(S10)에서 확인된 사용자 주시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신체 진단 예시화면[예컨대, 도 3의 (a)]을 HMD(100)에 제공한다(S20).
다음, 제어부(200)가 밴드형 감지 장비(B)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확인한다(S30).
다음, 제어부(200)가 스텝(S30)에서 확인된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각각 설정 기울기, 설정 위치 및 설정 심박수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결정한다(S40).
다음, 제어부(200)가 스텝(S40)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를 생성하고, 스텝(S40)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 및 신체 진단 결과를 HMD(1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S5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HMD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사용자 주시 방향을 인식하고 사용자 주시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신체 진단 예시화면을 상기 HMD에 제공하고,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한 밴드형 감지 장비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각각 설정 기울기, 설정 위치 및 설정 심박수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결정하고, 이 동작 수행 정도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 및 신체 진단 결과를 상기 HMD에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문인력이 필요 없고, 공간적 제약 및 시간적 제약 없이 저렴하게 신체 자가 진단을 할 수 있게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HMD
B: 밴드형 감지 장비
B0: 고무재질 밴드
110: 자이로센서
120: 위치감지 센서
130: 체외 심박 측정 센서
200: 제어부

Claims (5)

  1.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주시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 주시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신체 진단 예시화면과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HMD(Head Mounted Display);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되어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밴드형 감지 장비; 및
    상기 HMD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사용자 주시 방향을 인식하고 사용자 주시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신체 진단 예시화면을 상기 HMD에 제공하고, 상기 밴드형 감지 장비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각각 설정 기울기, 설정 위치 및 설정 심박수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결정하고, 이 동작 수행 정도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 및 신체 진단 결과를 상기 HMD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감지 장비는
    고무 재질의 밴드 내측에 자이로센서, 위치감지 센서 및 체외 심박 측정 센서가 탑재되는,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복수의 등급으로 결정하고, 이 동작 수행 정도를 기초로 종합적인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4.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제어부가 HMD(Head Mounted Display)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사용자 주시 방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주시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신체 진단 예시화면를 상기 HMD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밴드형 감지 장비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확인된 신체의 기울기, 신체의 위치 및 심박수를 각각 설정 기울기, 설정 위치 및 설정 심박수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 및 신체 진단 결과를 상기 HMD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는 복수의 등급으로 결정되고, 이 동작 수행 정도를 기초로 종합적인 사용자의 신체 진단 결과가 생성되는,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105549A 2021-08-10 2021-08-10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57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549A KR102657044B1 (ko) 2021-08-10 2021-08-10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549A KR102657044B1 (ko) 2021-08-10 2021-08-10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421A true KR20230023421A (ko) 2023-02-17
KR102657044B1 KR102657044B1 (ko) 2024-04-15

Family

ID=8532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549A KR102657044B1 (ko) 2021-08-10 2021-08-10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0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129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착용형 전자 장치
KR20180108954A (ko) * 2017-03-23 2018-10-0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가상현실을 이용한 신경질환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90076722A (ko) * 2017-12-22 2019-07-02 (주)엑스오비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vr/ar 기반 다중지능 검사방법 및 다중지능 검사시스템
KR20210044417A (ko) 2019-10-15 2021-04-23 손향미 신체기능 검사방법
KR20220086853A (ko) * 2020-12-17 2022-06-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량화된 약물에 의한 추체외로 증상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129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착용형 전자 장치
KR20180108954A (ko) * 2017-03-23 2018-10-0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가상현실을 이용한 신경질환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90076722A (ko) * 2017-12-22 2019-07-02 (주)엑스오비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vr/ar 기반 다중지능 검사방법 및 다중지능 검사시스템
KR20210044417A (ko) 2019-10-15 2021-04-23 손향미 신체기능 검사방법
KR20220086853A (ko) * 2020-12-17 2022-06-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량화된 약물에 의한 추체외로 증상 평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044B1 (ko) 202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63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mi-automated medical processes
US117378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device placement
US11832886B2 (en) System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with shape alignment for medical device placement
EP2747648B1 (en) A device for monitoring a user and a method for calibrating the device
US201703230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edical diagnosis
US20140316304A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assessing mobilities of extremities and of body parts
US202202378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image analysis for placement of surgical appliance
KR20190074694A (ko) 음성 인식 기반의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는 스마트 미러 장치 및 그 방법
JP2019155078A5 (ko)
EP34519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instrument patient measurements
KR20230023421A (ko) 가상환경을 이용한 자가 신체 검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589929B2 (en) Assessing device for assessing an instrument's shape with respect to its registration suitability
KR20160096506A (ko) Lcm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US2017033294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diplopia assessment
KR20190021817A (ko) 운동 자세의 평가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그 운동 감지 장치 및 운동 관리 장치
US201900668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instrument patient measurements
KR20210056491A (ko) 가상현실 상에서의 시각변조를 이용한 사용자 공간지각능력 및 적응능력 평가 방법 및 시스템
US11624755B2 (en) Gait-pace meter and methods of determining gait speed
KR102642316B1 (ko) 근력 평가 장치 및 근력 평가 방법
US20210038160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item of patient information, medical engineering arrangement, computer program and electronically readable data carrier
US202203587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visualization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 vertigo (bppv) disorder
WO2014041580A1 (ja) 荷重分布計測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17940086A (zh) 脑室引流放置中的引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