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685A -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685A
KR20230021685A KR1020230011614A KR20230011614A KR20230021685A KR 20230021685 A KR20230021685 A KR 20230021685A KR 1020230011614 A KR1020230011614 A KR 1020230011614A KR 20230011614 A KR20230011614 A KR 20230011614A KR 20230021685 A KR20230021685 A KR 20230021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electronic device
server
source file
electronic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훈 filed Critical 정재훈
Priority to KR102023001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685A/ko
Publication of KR2023002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50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 식별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식별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업로더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식별 응답 메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가 인증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 음원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음원 파일을 수신하는 동작;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음원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원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음원 파일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리스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저작권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동작;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SOUND FILE MANAGING PLATFOR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은,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원 업로더로부터 획득한 음원 파일을, 음원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음원 생산자에 의해 생산된 음원이, 정형화된 매체를 통해서 음원 이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음원 생산자의 음원의 제공에 불편함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음원 이용자의 음원 이용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 음원 생산자와 음원 이용자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음원 관리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며, 음원 관리 플랫폼을 통해서 음원 수요를 창출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들의 구현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 과제는 음원 업로더와 음원 이용자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음원 배포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에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른 과제는 업로드 되는 음원에 대한 저작권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음원 배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또 다른 과제는 음원 배포 시스템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기 위한 음원 업로더와 음원 이용자의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음원 배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 식별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식별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업로더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식별 응답 메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가 인증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 음원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음원 파일을 수신하는 동작;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음원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원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음원 파일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리스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저작권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원 업로더와 음원 이용자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음원 배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업로드 되는 음원에 대한 저작권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음원 배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원 배포 시스템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기 위한 음원 업로더와 음원 이용자의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음원 배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음원 배포 시스템에 구현되는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의 음원 업로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음원 업로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의 음원 배포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의 음원 경연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의 음원 경연 동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출원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범위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출원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출원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출원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 식별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식별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업로더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식별 응답 메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가 인증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 음원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음원 파일을 수신하는 동작;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음원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원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음원 파일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리스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저작권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동작;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음원 업로드 인터페이스는 음원 파일을 획득할 수 있는 오브젝트 또는 음원을 녹음하기 위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음원 파일과 상기 선택된 확인된 저작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다른 전자 장치의 사용 내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사용 내역을 기초로, 음원 파일의 이용에 관한 정보를 함께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저장된 음원 파일의 이용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작권 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장치로, 보상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세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음원 경연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음원 경연 요청 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상기 음원 파일을 확인하는 동작;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로 제1 음원 경연 개시 메세지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음원 경연 참가 메세지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음원 경연 참가 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로 음원 파일을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음원 파일을 획득하는 동작;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전자 장치로 제2 음원 경연 메세지를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음원 파일과 상기 제2 음원 파일을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니 이상의 제3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점수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제2 음원 파일에 대한 점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점수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제2 음원 파일에 대한 점수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음원 경연 개시 메세지를 송신하는 동작 중 적어도 일부로, 음원 업로더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음원 경연 개시 메세지를 송신하는 동작 중 적어도 일부로, 음원 이용자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전자 장치를 확인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점수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제2 음원 파일에 대한 점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1. 음원 배포 시스템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음원 배포 시스템(1)은, 음원 파일을 관리하는 소정의 관리 서버를 통해, 음원 업로더(up-loader)가 음원을 업로드하고, 음원 이용자(또는 음원 다운로더)가 업로드된 음원을 이용하도록 하여, 음원 생산자와 음원 수요자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으로 정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음원 배포 시스템(1)에 의하여, 음원 업로더는 음원을 중간 매체를 이용하여 배포할 번거로움 없이 음원 이용자에게 음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음원 이용자는 정형적인 음원 이외에도 음원 업로더로부터 직접 제공받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음원을 경험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1)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와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1)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더 많은 전자 장치와 서버(100)들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는 음원 배포 시스템(1)을 이용하는 음원 업로더와 음원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데스크탑 피시, 태블릿 피시, 모바일 단말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음원 배포 시스템(1)을 구축하기 위한 전자 장치로서, 음원 배포 시스템(1)의 관리자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 간에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2. 음원 배포 시스템(1)의 기능적 구성
도 2는 음원 배포 시스템(1)에 구현되는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원 배포 시스템(1)에 구현되는 유닛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유닛들은 음원 배포 시스템(1)에 구현되는 기능적인 구성 요소들로 정의될 수 있다. 음원 배포 시스템(1)에 상기 유닛들이 구현됨에 따라, 상기 유닛들에 의해 정의되는 기능들에 기초하여 음원 배포 시스템(1)의 물리적 구성들(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 또는 서버(100))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1)은, 음원 업로드 유닛(10), 음원 배포 유닛(20), 및 음원 관리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각의 유닛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음원 업로드 유닛(10)은 음원 파일을 서버(10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업로드 유닛은 음원 파일을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원 파일을 획득하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업로드 유닛(10)의 동작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상기 음원 배포 유닛(20)은 음원 파일을 전자 장치에서 이용되도록, 전자장치로 배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운로드 유닛은 서버(100)에 저장된 음원 파일을 다운로드, 또는 음원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자 장치로 제공하여, 음원 이용자가 음원 파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원 관리 유닛(30)은 음원 파일과 관련된 소정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동작은, 음원 파일 관리 동작, 저작권 관리 동작, 경연 동작 및 음원 이용자 관리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원 파일 관리 동작은 업로드된 음원 파일의 열화와 손실을 방지하여 저장하는 동작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저작권 관리 동작은, 음원 파일에 대응하는 저작권을 확인하고, 확인된 저작권에 기초하여 음원 파일을 관리하여, 음원 파일과 관련된 저작권 관련 분쟁을 예방하는 동작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경연 동작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음원 파일을 제공하고,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음원 파일에 대한 점수를 획득하고, 획득된 점수를 음원 파일에 부여하고, 부여된 점수에 기초하여 음원 파일을 업로드한 음원 업로더에게 정책에 따른 보상(예를 들면, 금전)을 제공하는 동작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음원 이용자 관리 동작은, 음원 이용자의 이용 내역과 음원 업로더의 이용 내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이용 내역에 따라 비용(예를 들면, 서비스 이용 요금)을 요청하는 동작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원 배포 시스템(1)의 물리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3. 음원 배포 시스템(1)의 물리적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이, 음원 배포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와 서버(1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와 서버(100)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3.1 서버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서버통신부(110), 서버데이터베이스(120) 및 서버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유닛들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되는 형태에 따라 상기 점자 생성 시스템(1)은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점자 생성 시스템(1)의 구현 타입에 대해서 설명한다.
서버통신부(110)는 외부 기기(예를 들어, 로컬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통신부를 이용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100)에 접속한 개인 단말(200)과 점자 생성에 관한 데이터를 교환 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즉 데이터의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는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인터넷 등에 접속하는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기지국을 거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하는 위성 통신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데이터베이스(12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서버(1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 웹 사이트를 호스팅하기 위한 데이터나 점자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내지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웹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데이터 등의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개인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점자 생성에 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HDD: 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내장 타입 또는 탈부착 가능한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서버제어부(130)는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서버(10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점자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부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인 제어부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서버(100)의 동작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3.2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의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는 로컬입/출력부(210), 로컬통신부(220), 로컬저장부(230) 및 로컬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통신부(220), 로컬저장부(230)나 로컬제어부(240)는 상술한 서버(100)의 서버통신부(110), 서버데이터베이스(120) 및 서버제어부(130)와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개인 단말(200)은 로컬통신부(220)을 이용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1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 개인 단말(200)의 로컬저장부(230)에는 개인 단말(200)을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나 웹 브라우저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점자 생성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이나 점자 생성에 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 로컬제어부(240)는 웹 브라우저나 프로그램 내지는 점자 생성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로컬입/출력부(210)는 사용자 입력을 받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각종 인터페이스나 연결 포트 등일 수 있다. 로컬입/출력부(210)은 입력 모듈과 출력 모듈로 구분될 수 있는데, 입력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은 키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입력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 모듈의 예로는 전통적인 형태의 키패드나 키보드, 마우스는 물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영상 인식을 통해 제스처 등을 인식하는 카메라,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 센서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거나 입력받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터치 패널이나 터치 필름을 통해 터치를 감지하는 압전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 광학적인 방식에 의해 터치를 감지하는 광학식 터치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 모듈은 자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 대신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외부의 입력 장치를 연결시키는 입력 인터페이스(USB 포트, PS/2 포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출력 모듈은 각종 정보를 출력해 사용자에게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출력 모듈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장치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출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외에도 출력 모듈은 상술한 개별 출력 수단을 연결시키는 포트 타입의 출력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형태의 출력 모듈은 텍스트, 정지 영상,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곡면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holographic display), 프로젝터 및 그 외의 영상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영상 표시 장치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입력 모듈의 터치 센서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 디스플레이의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개인 단말(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형태의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로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전자 장치들이 개인 단말(200)로 이용될 수 있다.
3.3 음원 배포 시스템의 구현 타입
한편, 상기 음원 배포 시스템(1)을 구성하는 전자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유닛들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음원 배포 시스템(1)의 유닛들은 기능적으로 분류한 것인바, 상기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음원 배포 시스템(1)을 구성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구현/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유닛들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구현되는 형태에 따라 상기 점자 생성 시스템(1)은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배포 시스템(1)은 전자(이하 ‘네트워크 타입(2)’이라고 함)로 구현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후자(이하 ‘스탠드 얼론(stand-alone) 타입(3)’이라고 함)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현 타입에 대해서 설명한다.
3.3.1 네트워크 타입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원 배포 시스템(1)은 물리적으로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서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점자 생성 시스템(1)의 음원 업로드 유닛(10), 음원 배포 유닛(20), 및 음원 관리 유닛(30)의 기능은 서버(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또는 둘의 협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시나리오에서 음원 배포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에 음원 업로드 유닛(10)이 구현되어, 상기 음원 업로드 유닛(10)을 통해 음원 파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에 제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가 서버로 획득한 음원 파일을 업로드하고, 서버에 음원 관리 유닛(30)이 구현되어, 상기 서버는 음원 관리 유닛을 통해 획득된 음원 파일을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시나리오에서 서버(100)는 단일한 물리 객체일 수도 있지만,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복수의 기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웹사이트를 호스팅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와의 접속 및 웹 브라우저를 통한 요청/응답 등과 같은 데이터 송수신을 핸들링하는 웹 서버, 점자 생성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웹 사이트 호스팅이나 어플리케이션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전부 하나의 기기에 통합된 형태이거나 적어도 그 일부가 다수의 기기로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3.3.2 스탠드 얼론 타입
다른 시나리오에 따르면, 음원 배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에서 스탠드 얼론(stand-alone)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음원 업로드 유닛(10), 음원 배포 유닛(20), 및 음원 관리 유닛(30)의 기능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에 모두 구현될 수 있다.
즉, 음원 배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에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되어,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상호 협업 없이 동작하여 음원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데이터는 교환할 수 있다. 스탠드 얼론 타입(3)의 의미는 전술한 유닛들이 개인 단말(200)에서 모두 수행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다른 기능(예를 들어, 점자 정보 등의 업데이트 기능, 알고리즘 업데이트 등)들은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의 협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원 배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기 음원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 타입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 때, 상기 서버에 음원 다운로드 유닛(20)과 음원 관리 유닛(30)이 구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00)에 음원 업로드 유닛(10)이 구현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된 바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4. 음원 배포 시스템의 동작
4.1 음원 업로드 동작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의 음원 업로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의 음원 업로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에 표시되는 음원 업로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음원 업로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는 음원 업로드를 위하여 소정의 메세지들을 교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는 501 동작에서, 서버(100)로 접속을 위한 접속 요청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와 상기 서버(100) 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0)로 접속 요청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는, 501 동작 중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접속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여, 상기 서버(100)가 획득한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502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요청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서버(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 화면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음원 업로더의 인증을 위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 창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는 503 동작에서, 서버(100)로 인증 요청 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응답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음원 업로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는 상기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 메세지를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504 동작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 응답 메세지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업로더를 인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서버(100)에 구현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음원 배포 시스템의 이용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호출하고, 호출된 데이터와 인증 응답 메세지에 포함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상기 음원 업로더를 인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505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로 음원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는 506 동작과 507 동작에서, 음원 파일을 서버(100)로 송신하거나, 음원을 녹음하여 녹음된 음원 파일을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로 음원 파일을 업로드 하기 위한 오브젝트, 또는 음원을 녹음하기 위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음원 업로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음원 파일을 첨부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음원을 녹음하는 형태로 음원 파일을 서버(100)로 업로드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는 음원 파일과 함께 음원 파일에 관련된 정보를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508동작 에서 수신된 음원 파일에 대응하는 저작권을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수신된 음원 파일과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음원 파일에 대응하는 저작권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작권은 서버(100)에 구비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저작권과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100)는 음원 파일에 포함된 음원을 분석하여, 분석된 음원과 관련된 저작권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이후,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509 동작에서 검색된 저작권 리스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음원 업로드에 의해 업로드 된 음원 파일에 대응하는 저작권들을 포함하는 저작권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동작에 기인하여, 본 발명을 이용하는 음원 업로더는 편리하게 업로드하는 음원 파일과 관련된 저작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는 510 동작에서, 저작권을 선택하는 유저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저작권 리스트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저작권 리스트와는 별도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편집도리 수 있다. 이후,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는 511 동작에서, 선택된 저작권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512 동작에서, 수신된 저작권과 관련된 포함하는 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 업로드 된 음원 파일과 이에 대응하는 저작권을 연관지어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100)는 업로드 된 음원 파일과 관련된 저작권의 저작권 자에게, 저작권의 이용을 통보하고, 저작권 료를 자동으로 제공하여, 음원 업로더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동작들 외에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으며, 기재된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상술한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4.2 음원 배포 동작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의 음원 배포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의 음원 배포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음원 배포 시스템은, 음원 이용자가 서버(100)에 저장된 음원 파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음원 이용자의 음원 이용 기록을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은, 상술한 음원 업로드 동작에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500)를 인증하기 위한 501 동작 내지 504 동작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700)를 인증하기 위한 701 동작 내지 704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700)는 서버(100)로 접속을 요청(701)하고, 상기 서버(100)는 사용자 인증 요청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700)로 제공(702)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7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음원 이용자로부터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메세지를 송신(703)하고, 서버(100)는 상기 수신된 메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704)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705 동작에서 음원 이용자(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가 인증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700)로 음원 파일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700)는 706 동작에서, 음원 이용자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707 동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파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700)에서 이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100)는 707 동작 중 적어도 일부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파일 자체를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혹은, 서버(1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파일을 재생하여 스트리밍 할 수 있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708 동작에서, 음원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파일에 대한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100)는 음원 이용자에 대해서 비용을 청구할 시에, 상기 저장되고 관리되는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청구할 비용을 정산할 수 있다.
4.3 음원 경연 동작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의 음원 경연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의 음원 경연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의 음원 경연 동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과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배포 시스템은, 저장된 음원을 이용하여 음원 경연을 수행하고, 음원 경연에 이용된 음원 파일에 대한 점수를 부여 받고, 음원 경연 결과를 관리할 수 있다.
먼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810)는 801 동작에서, 서버(100)로 음원 경연을 요청하기 위한, 음원 경연 요청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802 동작에서, 음원 경연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810)를 이용하는 음원 업로더를 확인하고, 상기 음원 업로더와 관련된 음원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802 동작 중 적어도 일부로, 음원 업로더가 업로더한 음원 파일을 확인하거나, 또는 경연을 요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자치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음원 파일을 획득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803 동작에서, 음원 파일을 확인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응원 경연을 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804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810) 외의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820)로 음원 경연 개시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804 동작 중 적어도 일부로, 서버(100)에 저정된 음원 업로더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음원 업로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820)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804 동작 중 적어도 일부로, 푸쉬 메세지(push-message)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820)로 음원 경연 개시 메세지를 송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820)가 서버(100)에 접속하고 있지 않고 있다 하더라도, 상기 적어도 하니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로 음원 경연 개시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820)는 상기 알림을 비활성화하여, 음원 경연 개시 메세지 수신을 차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820)는 805 동작에서, 음원 경연 참가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820)의 경연 참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경연 참가가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820)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806 동작에서, 음원 경연 프로그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810)뿐만 아니라, 경연 참가가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820)를 추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807 동작에서, 음원 이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전자 장치(830)로 음원 경연 개시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807 동작 중 적어도 일부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음원 이용자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원 이용자로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전자 장치(830)를 확인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전자 장치(830)로 음원 경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음원 경연 메세지를 통해, 서버(100)는 제3 전자 장치로 음원 경연 프로그램에 참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810)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820)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전자 장치(830)는 808 동작에서, 제공된 음원 파일에 대한 사용자가 부여하는 점수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점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점수 부여 메세지를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809 동작에서, 획득한 음원 점수 부여 메세지에 기초하여, 음원 경연 프로그램에 참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810)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820)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에 대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810 동작에서 상기 점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과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8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81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810 동작에서, 경연 동작에 기초한 음원 경연의 결과를 저장하고, 저장된 음원 경연 결과에 기초하여 음원 업로더에게 보상을 수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출원에 따른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있어서,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따라서 각 실시예는 상술한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단계는 반드시 설명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나중에 설명된 단계가 먼저 설명된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각 단계는 동작하는 동안 어느 한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3)

  1.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통신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 식별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식별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업로더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식별 응답 메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가 인증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 음원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음원 업로드 인터페이스는 음원 파일을 획득할 수 있는 오브젝트 또는 음원을 녹음하기 위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서버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음원 파일과 함께 음원 경연 요청을 위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음원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원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음원 경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와는 다르되 상기 제1 음원 파일과 연관된 업로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음원 파일에 대한 음원 경연을 알리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제2 메시지를 송신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음원 파일에 대한 상기 음원 경연의 참여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음원 파일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음원 파일과 상기 제2 음원 파일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리스트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저작권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 중 상기 제1 음원 파일에 관련된 제1 저작권 정보와 상기 제2 음원 파일에 관련된 제2 저작권 정보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음원 파일에 관련된 상기 제1 저작권 정보와 상기 제2 저작권 정보가 선택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배포를 위해 업로드 된 상기 제1 음원 파일과 상기 제2 음원 파일을 저작권 처리하고, 상기 음원 경연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 이외의 다른 사용자 장치로 상기 제1 음원 파일과 상기 제2 음원 파일의 배포하는 동작;
    상기 배포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음원 파일에 대한 제1 점수와 상기 제2 음원 파일에 대한 제2 점수를 획득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점수와 상기 제2 점수를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점수와 상기 제2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로 보상을 제공하며, 상기 저작권 처리에 따라서 산정되는 저작권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자 장치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음원 파일과 상기 선택된 확인된 저작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저장하는 동작;
    상기 서버가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다른 전자 장치의 사용 내역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서버가 상기 확인된 사용 내역을 기초로, 상기 음원 파일의 이용에 관한 정보를 함께 더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3.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음원 파일의 이용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버가 상기 저작권 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장치로 보상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세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KR1020230011614A 2020-08-18 2023-01-30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21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614A KR20230021685A (ko) 2020-08-18 2023-01-30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28A KR20200100578A (ko) 2020-08-18 2020-08-18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30011614A KR20230021685A (ko) 2020-08-18 2023-01-30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528A Division KR20200100578A (ko) 2020-08-18 2020-08-18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685A true KR20230021685A (ko) 2023-02-14

Family

ID=722423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528A KR20200100578A (ko) 2020-08-18 2020-08-18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30011614A KR20230021685A (ko) 2020-08-18 2023-01-30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528A KR20200100578A (ko) 2020-08-18 2020-08-18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10057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578A (ko)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9263B2 (ja) 電子デバイス間の状態情報の転送
US20100318925A1 (en) Integrating updates into a social-networking service
US20100146507A1 (en) System and method of delivery of virtual machine using context information
US9311109B2 (en) Synchronizing device association data among computing devices
KR20140011496A (ko) 개선된 보안 기능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JP6527535B2 (ja) 機械可読コードを使用したデバイスの認証およびペアリング
WO2017100023A1 (en) Personalizing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systems
CN105378624A (zh) 在交互出现于白板上时显示交互
KR20120075491A (ko) 전자 콘텐츠를 선택, 공유 및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10701305B2 (en) Video signature system and method
KR101545146B1 (ko)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반 작업 수행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5152A (ko)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그의 템플릿 기반 컨텐츠 제작 서비스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적용한 단말 장치
CN109565518A (zh) 可互换的内容取回
CN109635581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KR101190759B1 (ko) 연결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접속 시스템
CN109313589A (zh) 实现与外部功能的交互
CN110532324B (zh) 基于区块链的公告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30021685A (ko)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467748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데이터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100979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20376A (ko) 음원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35333A (ko) 아바타토큰정보를 이용한 오픈소스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접속방법
KR10150688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구비한 시스템
KR20130021575A (ko) 매뉴얼 저작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및 서비스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