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671A - 가변 길이 연장 레그를 구비한 카테터 (catheter with variable length extension leg) - Google Patents

가변 길이 연장 레그를 구비한 카테터 (catheter with variable length extension le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671A
KR20230021671A KR1020227044944A KR20227044944A KR20230021671A KR 20230021671 A KR20230021671 A KR 20230021671A KR 1020227044944 A KR1020227044944 A KR 1020227044944A KR 20227044944 A KR20227044944 A KR 20227044944A KR 20230021671 A KR20230021671 A KR 20230021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catheter assembly
slidable collar
hub
extension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일 쥐. 톤리
Original Assignee
바드 액세스 시스템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드 액세스 시스템즈, 인크. filed Critical 바드 액세스 시스템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2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28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at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proximal part of the catheter, e.g. alterations in lumen shape o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61M25/0014Connecting a tube to a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Packag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atheter kit pac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A61M39/284Leve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025/0024Expandable catheters or she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34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elements which are assembled, connected or fused, e.g. splittable tubes, outer sheaths creating lumina or separate co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카테터 어셈블리는 성형된 허브, 성형된 허브의 원위 단부에 연결된 카테터 튜브, 성형된 허브에 연결된 원위 단부를 갖는 복수의 연장 레그들, 및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성형된 허브는 카테터 어셈블리를 통해서 한 쌍의 유체 경로들의 허브 부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허브 루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 튜브는 한 쌍의 카테터 튜브 루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은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은 근위 개구부 및 원위 개구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의 형태일 수 있고,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는 복수의 연장 레그들 위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가변 길이 연장 레그를 구비한 카테터 (CATHETER WITH VARIABLE LENGTH EXTENSION LEG)
본 개시는 카테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구성하고 그리고 고정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 및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구성하고 고정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카테터들에서 연장 레그(extension leg)들은 오직 허브(hub)에 고정되어 허브의 근위(proximal)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연장 레그들은 클램프(clamp) 및 Luer 잠금부(lock)를 포함하고 있어, 이들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그리고 이들을 함께 고정하기가 종종 어려워지게 된다. 이는 카테터의 부위(sites)에서의 드레싱 교체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의료 전문가들 및 환자들에게 좌절을 줄 수 있으며, 카테터 부위에 부적절한 폐쇄 밀봉(occlusive seal)을 배치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의료 전문가가 드레싱 교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의료 전문가가 허브로부터 근위에 있는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솔루션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미국 특허 공개공보 US2008-0306465A1은 조절가능한 길이의 카테터 장치를 제시한다.
카테터 어셈블리 시스템 그리고 그 이용 및 제조 방법이 본원에서 개시된다. 카테터 어셈블리 시스템의 개시된 실시형태는 통상적인 카테터 어셈블리 시스템보다 뛰어난 몇몇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는 의료 전문가가 카테터 어셈블리 시스템의 복수의 연장 레그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는, 환자에게 편안함 및 편리함을 제공함에 따라, 카테터 진입 부위에서 폐쇄 밀봉을 형성하려고 시도하는 동안 그리고 일반적인 사용 중에 유리하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카테터 어셈블리는 적어도 한 쌍의 허브 루멘(hub lumen)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허브(molded hub); 상기 성형된 허브의 원위 단부에 연결된 카테터 튜브 - 상기 카테터 튜브는 적어도 한 쌍의 카테터 튜브 루멘들을 포함함 -; 상기 성형된 허브의 근위 단부에 연결된 원위 단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연장 레그(extension leg)들 - 상기 허브 루멘들의 쌍을 통하여 상기 카테터 튜브와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사이에서 유체 경로가 형성됨 -; 및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securing) 메커니즘 -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상에 위치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collar)임 -;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는, 길이, 폭 및 높이를 포함하며 그리고 근위 개구부를 구비한 근위 단부, 원위 개구부를 구비한 원위 단부,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을 가지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길이는 상기 폭 이상의 크기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폭은 상기 높이 이상의 크기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외부 표면은 종방향에서의 중간지점에서 상기 내부 표면을 향해 경사지고, 그리고 종방향에서의 끝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진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내부 표면은 상기 연장 레그들의 외부와의 마찰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마찰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에 가해지는 외력의 부재 시, 상기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의 움직임에 저항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근위 개구부 및 상기 원위 개구부는 타원형의 형상 구성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카테터 어셈블리는 적어도 한 쌍의 허브 루멘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허브 - 상기 허브 루멘은 상기 카테터 어셈블리를 통해서 한 쌍의 유체 경로들의 허브 부분을 형성함-; 상기 성형된 허브의 원위 단부에 연결된 카테터 튜브 - 상기 카테터 튜브는 적어도 한 쌍의 카테터 튜브 루멘들을 포함함 -;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연장 레그들 - 상기 연장 레그들 각각의 원위 단부는 상기 성형된 허브에 연결됨 -; 및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 메커니즘 -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사이의 접착 본드, 또는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또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사이에서 상기 접착 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는 상기 성형된 허브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또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는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상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또는 상기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이며, 그리고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길이, 폭, 높이, 근위 개구부를 구비한 근위 단부, 원위 개구부를 구비한 원위 단부,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 종방향에서의 끝지점,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길이는 상기 폭 이상의 크기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폭은 상기 높이 이상의 크기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외부 표면은 상기 종방향에서의 중간지점에서 상기 내부 표면을 향해 경사지고, 그리고 상기 종방향에서의 끝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진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내부 표면은 상기 연장 레그들의 외부와의 마찰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마찰은, 상기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에 가해지는 외력의 부재 시, 상기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의 움직임에 저항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근위 개구부 및 상기 원위 개구부는 타원형의 형상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2개의 개별적인 섹션들로 축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종방향에서의 중간지점에서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제1 힌지 및 상기 제1 힌지에 대향되는 제1 스냅에 의해서 함께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제1 클래스프 및 상기 제1 클래스프에 대향되는 제2 클래스프에 의해서 함께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제1 쌍의 자석들 및 상기 제1 쌍의 자석들에 대향되는 제2 쌍의 자석들에 의해서 함께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방법은 적어도 한 쌍의 허브 루멘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허브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허브 루멘들 각각은 다른 진입 지점에 인접한 또는 실질적으로 인접한 진입 지점을 가짐; 카테터 튜브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카테터 튜브는 적어도 한 쌍의 카테터 튜브 루멘들을 포함함-;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메커니즘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접착 본드,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 -; 상기 카테터 튜브를 상기 성형된 허브의 원위 단부에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각각의 원위 단부를 상기 성형된 허브의 근위 단부로 연결시키는 단계 - 상기 허브 루멘들의 쌍을 통하여 상기 카테터 튜브와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사이에서 유체 경로가 형성됨 -; 상기 고정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단계, 및 일회용 포장(packaging)으로 상기 카테터 어셈블리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접착 본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열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경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접착 본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접착제로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코팅(coating)하고 그리고 열, 압력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개념의 이러한 특징 및 다른 특징은, 그러한 개념의 특정 실시형태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 더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유사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들에서 제한이 아닌 예시의 방식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카테터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본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collar)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부착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 방법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들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드레싱을 사용하는 환자에 고정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포함하는 카테터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앵커링(anchoring) 시스템의 사시도들이다.
본 특허출원은 2020년 6월 9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63/036,899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전술한 미국 특허 출원은 본 특허 출원에서 참조로 통합된다.
일부 특정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하기에 앞서서, 본원에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가 본원에서 제공되는 개념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는 특정 실시형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많은 다른 실시형태의 특징과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거나 대체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와 관련하여, 용어들은 일부 특정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며, 용어들은 본원에서 제공된 개념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서수(예를 들어, 제1, 제2, 제3 등)는 일반적으로 특징들 또는 단계들의 그룹 내에서 상이한 특징들 또는 단계들을 구별하거나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일련적인 또는 수치적인 제한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제2", 및 "제3" 특징들 또는 단계들이 반드시 그러한 순서로 나타날 필요는 없으며, 그러한 특징들 또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특정 실시형태가 반드시 세가지 특징들 또는 단계들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좌측", "우측",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과 같은 라벨들은 편의를 위해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임의의 특정 고정 위치, 배향, 또는 방향을 암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그 대신, 그러한 라벨들은, 예를 들어, 상대 위치, 배향, 또는 방향을 반영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문맥에서 달리 명백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는 한,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단수 및/또는 복수의 대상을 포함한다.
"근위(proximal)"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카테터의 "근위 부분" 또는 "근위 단부 부분"은, 카테터가 환자에 대해서 사용될 때, 임상의에 근접하도록 의도된 카테터의 부분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카테터의 "근위 길이"는, 카테터가 환자에 대해서 사용될 때, 임상의에 근접하도록 의도된 카테터의 길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테터의 "근위 단부"는, 카테터가 환자에 대해서 사용될 때, 임상의에 근접하도록 의도된 카테터의 단부를 포함한다. 카테터의 근위 부분, 근위 단부 부분, 또는 근위 길이는 카테터의 근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카테터의 근위 부분, 근위 단부 부분, 또는 근위 길이가 카테터의 근위 단부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즉, 문맥에서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카테터의 근위 부분, 근위 단부 부분, 또는 근위 길이는 카테터의 말단 부분 또는 말단 길이가 아니다.
"원위(distal)"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카테터의 "원위 부분" 또는 "원위 단부 부분"은, 카테터가 환자에 대해서 사용될 때, 환자에 근접하도록 또는 환자 내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카테터의 부분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카테터의 "원위 길이"는, 카테터가 환자에 대해서 사용될 때, 환자에 근접하도록 또는 환자 내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카테터의 길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테터의 "원위 단부"는, 카테터가 환자에 대해서 사용될 때, 환자에 근접하도록 또는 환자 내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카테터의 단부를 포함한다. 카테터의 원위 부분, 원위 단부 부분, 또는 원위 길이는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카테터의 원위 부분, 원위 단부 부분, 또는 원위 길이가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즉, 문맥에서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카테터의 원위 부분, 원위 단부 부분, 또는 원위 길이는 카테터의 말단 부분 또는 말단 길이가 아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당업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도 1은 복수의 연장 레그들(106)을 수용하는 성형된 허브(102), 클램프(114), 및 Luer 연결부들(112)을 도시하고, 클램프들(114) 및 Luer 연결부들(112)은 복수의 연장 레그들(106)에 연결된다. 카테터 선단부(110)를 포함하는 카테터 튜브(104)가 성형된 허브(102)에 연결된다. 복수의 연장 레그들(106)은 복수의 연장 레그들(106)의 길이(108)를 따라서 함께 연결되지 않고, 이는 클램프들(114) 및 Luer 연결부들(112)이 복수의 연장 레그들(106)의 각각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드레싱 교체를 수행할 때, 의료 전문가는 종종, 카테터 진입 부위에서 폐쇄 밀봉을 형성하려고 하는 동안, 복수의 연장 레그들(106), 클램프들(114) 및 Luer 연결부들(112)을 카테터 진입 부위의 근위에 고정할 필요가 있다. 폐쇄 밀봉을 형성하는 것은, 멸균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그리고 카테터 진입 부위가 감염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복수의 연장 레그들(106), 클램프들(114) 및 Luer 연결부들(112)을 구성하고 고정하는 것이 또한 환자의 편안함을 높일 수 있다.
접착 본드를 가지는 카테터 어셈블리
도 2a는 접착 바인딩(adhesion binding)을 통해서 연결된 연장 레그들을 가지는 카테터 시스템(200)을 구성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a에서, 성형된 허브(202)는, 카테터 선단부(210)를 포함하는 카테터 튜브(208)에 연결된다. 클램프들(204) 및 Luer 연결부들(206)이 위에 배치된, 복수의 연장 레그들(212)이 성형된 허브(202)에 연결된다. 고정 메커니즘(214), 예를 들어 접착 바인딩이 복수의 연장 레그들(106)을 성형된 허브(102)의 근위의 근접한 복수의 연장 레그들(216)의 길이를 따라서 고정하고 구성한다.
성형된 허브(202)는 적어도 한 쌍의 허브 루멘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예는 동맥 루멘 및 정맥 루멘을 포함한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그러한 예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카테터 튜브(208)는 적어도 한 쌍의 카테터 튜브 루멘을 포함할 수 있고 성형된 허브(202)의 원위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연장 레그들(212)의 각각의 원위 단부는 성형된 허브(202)의 근위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유체 경로가 허브 루멘의 쌍을 통해서 복수의 연장 레그들(212)과 카테터 튜브(208)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의 카테터 어셈블리(200)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 접착 본드의 적어도 일부가 중단되어 있고, 그에 따라 연장 레그들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접착 본드는, 연장 레그들(212) 중 둘 이상의 당겨서 분리하는 힘의 인가를 통해서 중단될 수 있다. 접착 본드(214)는 복수의 연장 레그들(212)을 따라서 여러 길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접착 본드(214)는 성형된 허브(202)로부터 연장 레그들(212)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까지 복수의 연장 레그들(212)을 함께 접착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접착 본드(214)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 레그를 다른 연장 레그에 탈착 가능하게 바인딩시키고, 그에 따라 복수의 연장 레그들(212)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복수의 연장 레그들(212) 사이의 접착 본드(214)는 외력을 통해서 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의료 전문가는, 복수의 나머지 연장 레그들(212)에 연결된 다른 Luer 연결부들(206)을 근위적으로 (또는 달리 나머지 연장 레그들(212)로부터 멀리) 고정하면서, 연장 레그(212)에 연결된 Luer 연결부들(206)을 성형된 허브(202)를 향해서 원위적으로 당길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 레그를 탈착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하나 이상의 연장 레그를 탈착시킬 수 없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연장 레그들을 탈착시켜 복수의 연장 레그들(212)을 격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카테터 어셈블리(200)는, 비제한적으로 적어도 3개의 연장 레그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연장 레그들(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2개의 연장 레그들(212)에 연결된 추가적인 2개의 Luer 연결부들(206)을 고정하면서, 적어도 그러나 비제한적으로 하나의 연장 레그들(212)에 연결된 하나의 Luer 연결부(206)를 고정할 수 있고, 성형된 허브(202)를 향해서 원위적으로 당길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복수의 연장 레그들(212)을 2개의 구분된 복수의 연장 레그들(212)로 분리할 수 있다. 카테터 어셈블리(200)의 여러 실시형태에 그리고 본원에서 제공된 도면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수의 연장 레그들이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칼라를 구비한 카테터 어셈블리
도 3a는 카테터 선단부(310)를 포함하는 카테터 튜브(308)에 연결된 성형된 허브(302)를 포함하는 카테터 어셈블리(300)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성형된 허브(302)는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에 연결되고,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은 그 위에 배치된 클램프들(306) 및 Luer 연결부들(304)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카테터 어셈블리(300)는 선택적으로 고정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러한 고정 메커니즘은 성형된 허브(302) 근위의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을 함께 고정하는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 사이의 접착 본드(314)를 포함한다. 고정 메커니즘은,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접착 본드(314), 또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도 3b는 도 3a의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를 도시하고, 이러한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는 길이(318), 폭(320), 높이(322), 근위 단부, 근위 개구부(324), 원위 단부, 원위 개구부(326),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332), 종방향에서의 끝지점(334), 외부 표면(328), 및 내부 표면(33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길이(318)는 6 내지 30 밀리미터(mm) 범위 이내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폭(320)은 6 내지 30 mm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을 수용하기 위해서, 폭(320)이 변경될 수 있다. 높이(322)는 6 내지 30 mm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을 수용하기 위해서, 높이(322)가 변경될 수 있다. 근위 개구부(324) 및 원위 개구부(326)는 타원형의 형상 구성일 수 있으나,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근위 개구부(324) 및 원위 개구부(326)는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구각형 또는 십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을 포함하는 형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위 개구부(324)는, 원위 개구부(326)의 형상 구성과 동일한 형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근위 개구부(324)는, 원위 개구부(326)의 형상 구성과 상이한 형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332)은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의 길이(318)의 중간에 위치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에서의 끝지점(334)은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외부 표면(328)은 근위 단부로부터 내부 표면(330)의 방향으로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332)을 향해서 경사진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외부 표면(328)은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332)으로부터 내부 표면(330)의 방향으로부터 멀리 원위 단부에 위치된 종방향에서의 끝지점(334)을 향해서 경사진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속적인 곡선을 가지고 형성된다. 예를 들어, 외부 표면(328)은 근위 단부(324)로부터 내부 표면(330)의 방향으로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332)에 위치되는 지점까지 경사지고, 이어서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332)에 위치되는 지점으로부터 멀리 내부 표면(330)의 방향으로부터 멀리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종방향에서의 끝지점(334)을 향해서 경사진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내부 표면(330)은 길이(318)를 따라서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종방향에서의 끝지점(334)까지 연장된다. 내부 표면(330)은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의 외부 표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내부 표면(330)은 연장 레그들(312)의 외부와의 마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마찰은,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가 원위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외부 표면(328)은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332)으로 경사지지 않고, 길이(318)를 따라서 원위 단부에 위치된 종방향에서의 끝지점(334)까지 경사진다. 다시 말해서,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의 외부 표면(328)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편평하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칼라(316)의 하부 측면이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배치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칼라(316)의 하부 측면은, 초기에 접착제 위에 배치되는 제거 가능한 라이너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는, 의료 전문가가 라이너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노출시킬 수 있게 하는 당김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너는 종이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카테터 어셈블리(400)를 도시하고, 이러한 카테터 어셈블리(400)는,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카테터 선단부(410)를 포함하는 카테터 튜브(408)에 연결된 성형된 허브(40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성형된 허브(402)는 복수의 연장 레그들(412)에 연결되고, 복수의 연장 레그들은 클램프들(406) 및 Luer 연결부들(404)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카테터 어셈블리(400)는 고정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러한 고정 메커니즘은, 성형된 허브(402) 근위의 복수의 연장 레그들(412)을 함께 고정하는 복수의 연장 레그들(412) 사이의 접착 본드(414)를 포함한다. 고정 메커니즘은,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접착 본드(414), 또는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4b는,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를 도시하고, 이러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는 길이(418), 폭(420), 높이(422), 근위 단부, 근위 개구부(424), 원위 단부, 원위 개구부(426),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432), 종방향에서의 끝지점(436), 외부 표면(428), 및 내부 표면(430)을 포함한다. 길이(418)는 6 내지 30 mm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폭(420)은 6 내지 30 mm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복수의 연장 레그들(412)을 수용하기 위해서, 폭(420)이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높이(422)은 6 내지 30 mm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복수의 연장 레그들(412)을 수용하기 위해서, 높이(422)가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근위 개구부(424) 및 원위 개구부(426)는 타원형의 형상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근위 개구부(424) 및 원위 개구부(426)는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구각형 또는 십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을 포함하는 형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근위 개구부(424)는, 원위 개구부(426)의 형상 구성과 동일한 형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근위 개구부(424)는, 원위 개구부(426)의 형상 구성과 상이한 형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432)은 길이(418)의 중간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종방향에서의 끝지점(436)은 원위 단부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속적인 곡선을 가지고 형성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외부 표면(428)은 근위 단부로부터 내부 표면(430)의 방향으로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432)을 향해서 경사진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외부 표면(428)은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432)으로부터 내부 표면(430)의 방향으로부터 멀리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 종방향에서의 끝지점(436)을 향해서 경사진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외부 표면(428)은 길이(418)의 전체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방향들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표면(428)의 형상은 길이(418) 전체를 통해서 근위 단부 또는 원위 단부로부터 지점(예를 들어, 중간 지점(432))까지 제1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외부 표면(428)은 근위 단부로부터 내부 표면(430)의 방향으로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432)에 위치되는 지점까지 경사지고, 이어서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432)에 위치되는 지점으로부터 멀리 내부 표면(430)의 방향으로부터 멀리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종방향에서의 끝지점(436)을 향해서 경사진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외부 표면(428)은 근위 단부로부터 내부 표면(430)의 방향으로 경사지나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432)에 위치되는 지점까지는 경사지지 않고, 그 대신,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점진적으로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432)까지 경사지고 그리고 점진적으로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432)으로부터 멀리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종방향에서의 끝지점(436)까지 경사진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외부 표면(428)은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432)까지 경사지지 않고, 길이(418)를 따라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 종방향에서의 끝지점(436)까지 연장된다. 다시 말해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의 외부 표면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편평하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내부 표면(430)은 길이(418)를 따라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의 원위 단부(426)에 위치되는 종방향에서의 끝지점(436)까지 연장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내부 표면(430)은 복수의 연장 레그들(412)의 외부 표면에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내부 표면(430)은 연장 레그들(412)의 외부와의 마찰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마찰은,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가, 그에 인가되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는 2개의 단편들(416A, 416B)로 축방향으로 추가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이러한 단편들(416A, 416B)은, 예를 들어 그러나 비제한적으로, 클래스프, 힌지, 스냅, 자석 등 중 임의의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클래스핑 메커니즘(434)에 의해서,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432)에서 함께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편(416A) 상에 배치된 클래스핑 메커니즘(434)은 원위 단부에서 스냅 후크(435)를 포함하는 정적 클래스프일 수 있고, 스냅 후크(435)는 단편들(416B) 상에 배치된 홈(437)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1 클래스핑 메커니즘(434)이 제1 측면 상에서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432)에 위치될 수 있는 한편, 제2 클래스핑 메커니즘(434)이 제2 측면(미도시) 상에서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432)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는 하부 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위에 배치된 접착제 및 라이너를 가질 수 있다.
도 5a는,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어떻게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4)를 이용하여 성형된 허브(302)에 근위적으로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을 구성하는 지를 보여 주는 도면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은 축방향으로 안착되고, 영구적인 칼라(316)의 내부 공동 내에 수용된다.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에 인가되는 외력의 존재로 인해서, 위치(A)로부터 위치(B)로 근위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는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 클램프들(306), 및 Luer 연결부들(304)을 함께 모으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5b는,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어떻게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를 이용하여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을 서로 분리할 수 있는지를 보여 준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에 인가되는 외력의 존재로 인해서, 지점(C)으로부터 지점(D)까지 원위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는, 접착 본드(314)와 같은 접착 본드의 부재 시에,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 클램프들(306) 및 Luer 연결부들(304)을 분리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위치(A)는 위치(D)와 동일할 수 있고, 위치(B)는 위치(C)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는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을 따라서 근위적으로 또는 원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는 성형된 허브(30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가 도 5a 및 도 5b와 관련하여 전술되었지만, 동일한 설명이 마찬가지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에 적용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6a 및 도 6b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들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의 폭(420)은 복수의 연장 레그들(412)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카테터 어셈블리(400)는 3개의 연장 레그들(412)을 갖는다. 3개의 연장 레그들(412)을 갖는 카테터 어셈블리(400)를 위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의 폭(420)은,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2개의 연장 레그들(412)을 갖는 도 6b에 도시된 폭(420)과 상이할 것이다. 또한, 폭(420)은 연장 레그들의 크기(예를 들어, 각각의 연장 레그의 직경)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416)가 도 6a 및 도 6b와 관련하여 전술되었지만, 동일한 설명이 마찬가지로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에 적용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제조의 논리적 흐름
도 7은,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연장 레그들을 구성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방법(7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방법은 카테터 어셈블리를 획득하는 단계(블록(702))로 시작되고, 이러한 카테터 어셈블리는 성형된 허브, 카테터 튜브, 복수의 연장 레그들, 및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방법은,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카테터 튜브를 성형된 허브에 연결하고 연장 레그들을 성형된 허브에 연결하는 단계(블록(704))를 포함한다. 방법(700)은,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예를 들어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접착시키는 것에 의해서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하여 접착 본드를 형성하는 단계(블록(708)),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부착하는 단계(블록(710)),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부착하는 단계(블록(712)),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접착하여 접착 본드를 형성하는 단계(블록(712))는, 비제한적으로, 압출, 공통-압출, 또는 다른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제조 프로세스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예를 들어 복수의 연장 레그들에 대한 열의 인가를 통해서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경화시키는 것을 통해서, 복수의 연장 레그들이 압출 후에 함께 접착되어 접착 본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접착 본드는 비제한적으로 산업용 글루(glue), 스프레이 접착제, 자외선(UV) 경화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경화 프로세스는, 플라스틱 외부 코팅이 용융되기 시작하고 연장 레그들이 이어서 함께 배치되는 온도까지 연장 레그들을 가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외부 코팅의 냉각은 연장 레그들 사이에서 접착 본드를 형성한다. 일부 예들에서, 함께 부착되어 접착 본드를 형성하는 복수의 연장 레그들은,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의 부착 또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의 부착이 이루어지기 전에, 냉각 단계(예를 들어, 냉각된 공기의 인가)를 거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복수의 연장 레그들은,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또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가 설정 지점을 넘어서 원위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벽은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또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의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안착될 수 있고, 3 내지 15 mm 범위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부착하는 단계(블록(710)) 또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부착하는 단계(712)에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또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는 초기에 성형된 허브에 바인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성형된 허브에 근위적인 임의의 이동을 위해서는, 외부 힘이 부착 가능한 칼라 또는 영구적인 칼라에 가해 져야 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부착하는 단계(블록(710)) 또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부착하는 단계(712)에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또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는 초기에 복수의 연장 레그들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수의 연장 레그들의 근위 단부에 원위적인 임의의 이동을 위해서는, 외부 힘이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또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에 가해 져야 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부착 가능한 칼라를 부착하는 단계(블록(710)) 또는 영구적인 칼라를 부착하는 단계(712)에서,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또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는 초기에 복수의 연장 레그들를 따라서 임의의 곳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카테터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방법은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제작 및 부착하는 단계(블록(708)) 또는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제작 및 부착하는 단계(블록(71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제작하는 단계(블록(708)) 또는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제작하는 단계(블록(710))는 비제한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실리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아세탈, 폴리프탈아민,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고충격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고무, 이들의 조합 또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열가소성체 및 열가소성 유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708)를 제작하는 또는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제작하는(블록(710)) 방법은 내부 표면과 다른 재료로 구성되는 외부 표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표면은 아세탈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외부 표면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제작하는(블록(708)) 또는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제작하는(블록(710)) 방법은 내부 표면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외부 표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표면이 아세탈을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외부 표면도 또한 아세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제작하는(블록(708)) 방법 또는 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제작하는(블록(710)) 방법은, 비제한적으로, 사출 성형 프로세스, 3D 프린팅, 우레탄 주조, 열형성 또는 다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조 기술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카테터 어셈블리가 환자에 의해서 사용되면, 부착 가능한 칼라의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복수의 연장 레그들이 함께 접착되어 접착 본드를 형성하면, 카테터 어셈블리가 일회용 포장 내에 포장된다(블록(714)).
카테터 어셈블리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적용
도 8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라, 드레싱을 이용하는 환자에 고정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포함하는 카테터 어셈블리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드레싱(800)을 구비하는 환자의 팔에 고정된, 도 3의 카테터 어셈블리(300)와 같은, 예시적인 카테터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싱(800)은, 환자의 팔에 접착되는 접착제 하부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절차적으로, 카테터 선단부(310)가 (도 8에서 'X'로 표시된) 경피 삽입 부위에서 환자 내로 삽입되도록, 카테터 어셈블리(300)가 환자의 팔에 배치될 수 있다. 카테터 선단부(310)의 삽입 후에, 드레싱(800)을 카테터 튜브(308) 및 삽입 부위('X')의 상단부 위에 직접 배치함으로써, 카테터 어셈블리(300)가 환자의 팔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드레싱(800)은 또한 성형된 허브(302)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가 성형된 허브(302) 근위의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여기에서 근위는 성형된 허브(102)에 대한 것이고, 그에 따라 카테터 선단부(310)는 원위 선단부를 지칭한다).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는 성형된 허브(302) 및 드레싱(800) 근위의 복수의 연장 레그들(312) 상에 동작 가능하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카테터 어셈블리(300)가 도 8에 도시되었지만, 카테터 어셈블리(400)는 또한 드레싱(800)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드레싱(800)은 단지 하나의 드레싱의 예시적인 도시이고; 그러나, 개시 내용은 그렇게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그 대신 당업자에게 알려 진 임의의 드레싱이 도시된 바와 같은 드레싱(800) 대신 이용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앵커링 시스템들의 2개의 실시형태들의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앵커링 시스템(90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앵커링 시스템(900)은 고정 장치(908)를 포함하고, 고정 장치는 리테이너(retainer)(914)가 위에 놓이는 앵커 패드(910)를 포함한다. 리테이너(914)의 기부가 복수의 기둥들 및 클립들을 지지한다. 2개의 커버들(920A, 920B)이 또한 리테이너(914)로부터 연장되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어 성형된 허브(902)와 같은 의료 장치와의 연결을 촉진할 수 있다. 리테이너(914)는 하나의 또는 2개 모두의 카테터 피팅들(catheter fittings)(예를 들어, 허브(902)의 본체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을 고정 장치(908) 내에서 수용, 유지,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장 레그들(906)이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907)가 복수의 연장 레그들(906) 주위에서 근위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성형된 허브(902)로부터 성형된 허브(902)까지 근위적으로 연장된다(여기에서, 근위는 성형된 허브(902)에 대한 것이고, 그에 따라 카테터 튜브(904)는 성형된 허브(902)로부터 원위적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907)는 전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316 또는 416)의 형태 및 특징들을 취할 수 있다.
허브(902)가 제1 삽입 위치에 위치될 대, 피팅들(fittings)이 리테이너(914)의 기부와 연결될 수 있는 한편, 커버들(916A, 916B)은 피팅들의 적어도 일부 위의 폐쇄에서 연장된다. 피팅들 위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커버들(916A, 916B)는 피팅들 그리고 결과적으로 허브(902)의 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차적인 커버(922)가, 플랜지 클립(924)을 포함하는 후방 부분(91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차적인 커버(922)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에서 플랜지 클립(924)은 래치(926)와 연결되어 이차적인 커버(922)를 폐쇄 위치에서 유지한다. 임상의가 힘을 인가하여 플랜지 클립(924)과 (커버들(916A, 916B) 그리고 상응하는 플랜지 클립들 및 래치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래치(926)를 분리할 수 있다.
앵커 패드(910)는 그 하부 표면(912)에 의해서 환자의 피부에 확실하게 부착되는 한편, 리테이너(914)는 앵커 패드(910)의 상부 표면에 확실하게 부착된다. 앵커 패드(910)는 라미네이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라미네이트 구조물은 상부 플라스틱(예를 들어, 직조된 폴리에스터), 종이, 또는 발포체 층(예를 들어, 폐쇄-셀 폴리에틸렌 발포체) 및 하부 접착제 층을 구비한다. 하부 접착제 층은 앵커 패드의 하부 표면(912)을 구성한다. 하부 표면(912)은 바람직하게는 의료-등급 접착제이고, 특정 적용예에 따라, 발한성 또는 비발한성(nondiaphoretic)일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907)를 고정하기 위한 프롱들(prongs)(920A, 920B)을 갖는 앵커링 시스템(900)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907)를 커버(922)에 고정하기 위한 대안적인 고정 장치로서, 리테이너(914)가 프롱들(920A, 920B)을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너(914)가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907)와 교합(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실시형태들에서, 리테이너(914)의 후방 부분(918)은, 하향 압력이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907)에 인가될 때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907)의 측방향 측면들을 해제 가능하게 파지하는 프롱들(920A, 920B)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907)는, 당김력을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907)에(또는 일부 경우들에서, 복수의 연장 레그들(906)에) 인가하는 임상의에 의해서, 프롱들(920A, 920B)의 파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부 특정 실시형태가 본원에 개시되었고 특정 실시형태가 일부 상세하게 개시되었지만, 그러한 특정 실시형태가 본원에 제공된 개념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추가적인 적용 및/또는 수정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더 넓은 측면에서, 이러한 적용 및/또는 수정도 또한 포함된다. 따라서, 본원에서 제공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본원에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로부터 적용 및/또는 수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Claims (26)

  1.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assembly)로서,
    적어도 한 쌍의 허브 루멘(hub lumen)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허브(molded hub);
    상기 성형된 허브의 원위 단부에 연결된 카테터 튜브 - 상기 카테터 튜브는 적어도 한 쌍의 카테터 튜브 루멘들을 포함함 -;
    상기 성형된 허브의 근위 단부에 연결된 원위 단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연장 레그(extension leg)들 - 상기 허브 루멘들의 쌍을 통하여 상기 카테터 튜브와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사이에서 유체 경로가 형성됨 -; 및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securing) 메커니즘 -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상에 위치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collar)임 -;
    을 포함하는,
    카테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는, 길이, 폭 및 높이를 포함하며 그리고 근위 개구부를 구비한 근위 단부, 원위 개구부를 구비한 원위 단부,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을 가지는 영구적인(permanent) 칼라인,
    카테터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는 상기 폭 이상의 크기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폭은 상기 높이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카테터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면은 종방향에서의(longitudinal) 중간지점(midpoint)에서 상기 내부 표면을 향해 경사지고, 그리고 종방향에서의 끝지점(endpoint)으로 갈수록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지는,
    카테터 어셈블리.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표면은 상기 연장 레그들의 외부(exterior)와의 마찰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마찰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에 가해지는 외력의 부재 시, 상기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의 움직임에 저항하는,
    카테터 어셈블리.
  6.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개구부 및 상기 원위 개구부는 타원형의 형상 구성을 가지는,
    카테터 어셈블리.
  7.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로서,
    적어도 한 쌍의 허브 루멘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허브;
    상기 성형된 허브의 원위 단부에 연결된 카테터 튜브 - 상기 카테터 튜브는 적어도 한 쌍의 카테터 튜브 루멘들을 포함함 -;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연장 레그들 - 상기 연장 레그들 각각의 원위 단부는 상기 성형된 허브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허브 루멘들의 쌍을 통하여 상기 카테터 튜브와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사이에서 유체 경로가 형성됨 -; 및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 메커니즘 -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부착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및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사이의 접착 본드(adhesion bond)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 -;
    을 포함하는,
    카테터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사이의 상기 접착 본드를 포함하는,
    카테터 어셈블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부착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인,
    카테터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는 상기 성형된 허브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테터 어셈블리.
  11. 제 7 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또는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는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상에 위치되는,
    카테터 어셈블리.
  12. 제 7 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부착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또는 상기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이며, 그리고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길이, 폭, 높이, 근위 개구부를 구비한 근위 단부, 원위 개구부를 구비한 원위 단부,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 종방향에서의 끝지점,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카테터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는 상기 폭 이상의 크기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폭은 상기 높이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카테터 어셈블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면은 상기 종방향에서의 중간 지점에서 상기 내부 표면을 향해 경사지고, 그리고 종방향에서의 끝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지는,
    카테터 어셈블리.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표면은 상기 연장 레그들의 외부와의 마찰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마찰은, 상기 부착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에 가해지는 외력의 부재 시, 상기 부착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의 움직임에 저항하는,
    카테터 어셈블리.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개구부 및 상기 원위 개구부는 타원형의 형상인,
    카테터 어셈블리.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2개의 개별적인 섹션(separate section)들로 축방향으로(axially) 분리될 수 있는,
    카테터 어셈블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종방향에서의 중간지점에서 결합(join)되는,
    카테터 어셈블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클래스핑(clasping) 메커니즘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카테터 어셈블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핑 메커니즘은 제 1 섹션에 배치되는 스냅 후크(snap hook) 및 제 2 섹션에 배치되는 홈(groove)을 가지는 클래스프(clasp)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홈은 상기 스냅 후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어셈블리.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제 1 쌍의 자석들 및 상기 제 1 쌍의 자석들에 대향하는 제 2 쌍의 자석들에 의해 결합되는,
    카테터 어셈블리.
  22.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카테터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한 쌍의 허브 루멘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허브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허브 루멘들 각각은 다른 진입 지점(entry point)에 인접한 진입 지점을 가짐 -;
    카테터 튜브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카테터 튜브는 적어도 한 쌍의 카테터 튜브 루멘들을 포함함 -;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메커니즘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부착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 및 접착 본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 -;
    상기 성형된 허브의 원위 단부로 상기 카테터 튜브를 결합시키는(coupling) 단계;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각각의 원위 단부를 상기 성형된 허브의 근위 단부로 결합시키는 단계 - 상기 허브 루멘들의 쌍을 통하여 상기 카테터 튜브와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 사이에서 유체 경로가 형성됨 -;
    상기 고정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단계; 및
    일회용 포장(packaging)으로 상기 카테터 어셈블리를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접착 본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열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접착 본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접착제로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코팅(coating)하고 그리고 열, 압력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영구적인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부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연장 레그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부착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칼라를 부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44944A 2020-06-09 2021-06-08 가변 길이 연장 레그를 구비한 카테터 (catheter with variable length extension leg) KR202300216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36899P 2020-06-09 2020-06-09
US63/036,899 2020-06-09
PCT/US2021/036445 WO2021252518A2 (en) 2020-06-09 2021-06-08 Catheter with variable length extension le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671A true KR20230021671A (ko) 2023-02-14

Family

ID=7670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944A KR20230021671A (ko) 2020-06-09 2021-06-08 가변 길이 연장 레그를 구비한 카테터 (catheter with variable length extension leg)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379336A1 (ko)
EP (1) EP4157418A2 (ko)
JP (1) JP2023529670A (ko)
KR (1) KR20230021671A (ko)
CN (2) CN113769244A (ko)
AU (1) AU2021289351A1 (ko)
BR (1) BR112022024515A2 (ko)
CA (1) CA3184753A1 (ko)
MX (1) MX2022015701A (ko)
WO (1) WO202125251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29318A1 (en) 2021-10-21 2023-04-27 Bard Access Systems, Inc. Guidewire Locking System for Catheter Placement
WO2023069600A1 (en) 2021-10-21 2023-04-27 Bard Access Systems, Inc. Guidewire stabilization system for rapidly inserted central catheter (ricc) placement system
WO2023069553A2 (en) 2021-10-21 2023-04-27 Bard Access Systems, Inc. Catheter tip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19251344U (zh) 2021-11-04 2023-06-27 巴德阿克塞斯系统股份有限公司 导管
WO2023091586A1 (en) 2021-11-18 2023-05-25 Bard Access Systems, Inc. Splittable needle for catheter placement system
US20230293857A1 (en) 2022-03-21 2023-09-21 Bard Access Systems, Inc. Handheld, Untethered Catheter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US20230293814A1 (en) * 2022-03-21 2023-09-2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ressing-Integrated Tubing Occlus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8999B2 (en) * 2007-06-05 2010-09-21 Cook Incorporated Adjustable length catheter
US8029476B2 (en) * 2008-11-19 2011-10-04 Interrad Medical, Inc. Anchoring a medical instrument
US9707375B2 (en) * 2011-03-14 2017-07-18 Rochester Medical Corporation, a subsidiary of C. R. Bard, Inc. Catheter grip and method
WO2015100224A1 (en) *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Flexible electronic display with user interface based on sensed movements
FR3020574B1 (fr) * 2014-04-30 2016-06-24 Nephrokit Dispositif de protection d'un catheter
US20170143890A1 (en) * 2015-11-20 2017-05-25 Vascutech Medical Llc Dual Lumen Retrograde Catheter and Hub Attachment
DE102017118820A1 (de) * 2017-08-17 2019-02-21 Joline Gmbh & Co. Kg Katheter für die Dialyse, insbesondere zur Langzeitanwendung
US20190201665A1 (en) * 2018-01-04 2019-07-04 Danny W. Turpin Medical tube hub
US20200121211A1 (en) * 2018-10-22 2020-04-23 Helen Louise Tutino EKG/ECG Lead wire detangler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89351A1 (en) 2023-01-19
CN113769244A (zh) 2021-12-10
MX2022015701A (es) 2023-04-05
WO2021252518A2 (en) 2021-12-16
CN215608690U (zh) 2022-01-25
CA3184753A1 (en) 2021-12-16
EP4157418A2 (en) 2023-04-05
WO2021252518A3 (en) 2022-01-20
BR112022024515A2 (pt) 2022-12-27
JP2023529670A (ja) 2023-07-11
US20210379336A1 (en)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21671A (ko) 가변 길이 연장 레그를 구비한 카테터 (catheter with variable length extension leg)
RU2629246C2 (ru) Катетер с частично прорезанным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вставки катетера и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им
US20210213240A1 (en) Catheter securement device with window
EP2529782B1 (en) Hemostatic band
CN101421000B (zh) 可断裂的或可去除的阀和器械
US20090182283A1 (en) Catheter securement device
JP4417631B2 (ja) 補強部材付ウイングを有するカテーテル
EP3049144B1 (en) Catheter-positioning slide cover clamp assembly
JP2013507186A (ja) スナップクランプを有する安定化デバイス
US20100082000A1 (en) Catheter system with reinforced member
US20090326474A1 (en) Universal strap device
JP2012531266A (ja) カテーテル法システム
JP2004523276A (ja) 医療デバイスコネクタ取付具
CN104245032A (zh) 导管紧固装置
JP2008518719A (ja) 医療用ソフトグリップ・コネクタ
JP2005505353A (ja) 腹膜透析カテーテル
WO2011146769A2 (en)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US9079006B1 (en) Suture locking mechanism
BR112018072916B1 (pt) Cateter central de inserção periférica e sistema de cateterização
JP2012531949A (ja) 分離先端構成を有するカテーテルを製造する方法
CA2932857A1 (en) Shower patch barrier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