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801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801A
KR20230020801A KR1020210102633A KR20210102633A KR20230020801A KR 20230020801 A KR20230020801 A KR 20230020801A KR 1020210102633 A KR1020210102633 A KR 1020210102633A KR 20210102633 A KR20210102633 A KR 20210102633A KR 20230020801 A KR20230020801 A KR 20230020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drainage
water supply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6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운
김성훈
장훈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2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801A/en
Publication of KR2023002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8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Abstract

Disclosed is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s an efficient structure capable of individually providing water of a proper flow rate to multiple drainage units by a water supply unit of a detergent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es a cabinet, a tub, a drum, and the detergent supply device.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es the water supply unit.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n acceptance unit, a water supply flow path, and the drainage unit. The drainage unit includes a first drainage unit and a second drainage unit positioned to be closer to the acceptance unit. The water supply flow path includes: a first flow path extended to be away from the acceptance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rainage unit; and a second flow path extended to be away from the first drainage unit to the acceptance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drainage unit.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Clothes handling device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detergent supply device.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A laundry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that removes contamination from laundry by inserting clothes, bedding,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undry) into a drum.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can perform processes such as washing, rinsing, spin-drying, and drying. The laundry handling machine is divided into a top loading method and a front loading method based on the method of putting laundry into the drum. can be distinguished.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 tub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 drum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tub and receiving laundry, and a detergent supply device supplying detergent to the inside of the drum.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When the drum is rotated by the motor in a state in which wash water is supplied to the laundry stored in the drum, dirt attached to the laundry may be removed by friction between the drum and the wash water.

세제공급장치는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제 공급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세제란 섬유 세탁제, 섬유 유연제 및 섬유 표백제 등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세제는 가루(분말) 형태의 세제, 액체(액상) 형태의 세제가 이용될 수 있다.The detergent supply device has a detergent supply function to enhance washing effect. Here, the detergent means a material that enhances the washing effect, such as a fabric washing agent, a fabric softener, and a fabric bleach. As the detergent, powder (powder) type detergent and liquid (liquid) type detergent may be used.

한편, 공개문헌 KR 10-2018-0090003 A1에는 의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세제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유닛,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저장유닛을 수용하는 수용유닛 및 상기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published document KR 10-2018-0090003 A1 discloses a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ed in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e detergent supply device may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detergent, an accommodation unit for accommodating the storage unit inside the cabinet,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orage unit.

급수유닛은 외부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저장유닛 또는 수용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급수유닛은 저장유닛 및 수용유닛 각각으로 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거나, 저장유닛의 복수의 영역에 각각 물이 공급될 필요가 있거나, 저장유닛 및 수용유닛 외의 대상으로 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급수유닛에는 물이 배출되는 배수부가 복수의 개소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may be provided to receive water from the outside and supply water to the storage unit or the receiving unit. However, when the water supply unit needs to supply water to each of the storage unit and the receiving unit, or needs to supply water to a plurality of areas of the storage unit, or needs to supply water to objects other than the storage unit and the receiving unit May exist, and accordingly,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inage units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respectively.

한편, 위와 같이 급수유닛에 복수의 배수부가 존재하는 경우, 각 배수부로 물을 전달하기 위한 급수유로를 효율적으로 설계하여 복수의 배수부가 효율적으로 물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rainage units in the water supply unit as described above, it is an important task to efficiently supply water to the plurality of drainage units by efficiently designing a water supply passage for delivering water to each drainage unit.

또한, 복수의 배수부 각각이 적절한 유량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급수유닛 내에서 각 배수부로 제공되는 물의 유량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In addition, it is an important task to appropriately adjust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each drainage unit within the water supply unit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drain units can discharge water at an appropriate flow rate.

또한, 저장유닛에 저장되는 세제는 저장유닛의 외부로 배출되어 수용유닛 내부로 제공될 수 있고, 수용유닛은 저장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제 등이 내부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세척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된다.In addition, the deterg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and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and since the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may exist inside the storage unit, it is effectively washed to improve hygiene. becomes an important task.

또한, 수용유닛 내부의 세척을 위해 세척수를 수용유닛 내부에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는 영역, 즉 세척수의 확산면적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세척 성능을 개선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된다.In addition, when washing water is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unit to clean the inside of the housing unit, it is an important task to improve washing performance by effectively increasing an area washed by the washing water, that is, a diffusion area of the washing water.

또한, 수용유닛의 일 영역에 세척수가 공급되더라도, 수용유닛의 효율적은 구조를 통해 세척수의 전달면적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된다. In addition, even if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one area of the accommodating unit, it is an important task to effectively increase the delivery area of the washing water through an efficient structure of the accommodat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제공급장치의 급수유닛이 복수의 배수부에 물을 전달하기 위한 효율적인 구조의 급수유로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n efficient water supply passage through which a water supply unit of a detergent supply device transfers water to a plurality of drainage uni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제공급장치의 급수유닛이 복수의 배수부 각각으로 적절한 유량의 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having an efficient structure in which a water supply unit of a detergent supply device can supply water at an appropriate flow rate to each of a plurality of drainage uni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제공급장치의 수용유닛의 내부가 세척수를통해 효과적으로 세척되어 위생 관리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improving sanitation management by effectively washing the inside of a receiving unit of a detergent supply device with washing wa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제공급장치의 수용유닛에서 세척수의 확산면적이 효과적으로 증가되어 세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capable of improving washing performance by effectively increasing the diffusion area of washing water in a receiving unit of a detergent supply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제공급장치의 수용유닛이 세척수의 확산을위한 효과적을 구조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 which a receiving unit of a detergent supply device has an effective structure for diffusing washing w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급수유닛을 포함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가질 수 있다. 급수유닛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유닛이나 수용유닛으로 전달할 수 있다.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The water supply unit may receive water from the outside and deliver it to the storage unit or the receiving unit.

급수유닛은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인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인수부와 연통되는 급수유로를 통해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수부로 물을 전달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may deliver water to a plurality of drainage units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through a water supply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unit.

한편, 복수의 배수부는 제1배수부 및 제2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배수부는 인수부로부터 이격되며, 제2배수부는 제1배수부보다 인수부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drainage units may include a first drainage unit and a second drainage unit, the first drainage un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drainage unit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receiving unit than the first drainage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지며, 특히 제2배수부보다 인수부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는 제1배수부에 먼저 물을 제공될 수 있는 급수유로를 가짐으로써, 제1배수부 및 제2배수부 각각에 물을 전달할 수 있는 급수유로 구조가 구현되고 각 배수부마다 적합한 유압 및 유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t location, in particular, by having a water supply passage through which water can be first supplied to the first drainage unit located farther from the receiving unit than the second drainage unit, the first drainage unit and the first drainage unit A water supply oil structure capable of delivering water to each of the two drain parts is implemented, and water at an appropriate hydraulic pressure and flow rate can be supplied to each drain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유로는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유로는 인수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제2유로는 다시 인수부로부터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assage may include a first passage and a second passage, the first passage may extend away from the receiver, and the second passage may extend closer to the receiver. there i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유닛은 제1유로를 이용하여 인수부로부터 멀리 위치된 제1배수부에 먼저 물이 공급되고, 상기 제1배수부측에서 인수부측으로 연장되는 제2유로를 이용하여 인수부와 가까이 위치되는 제2배수부에 물을 공급할 수 할 수 있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ater supply unit, water is first supplied to the first drainage part located far from the receiving part by using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extending from the first drainage part to the receiving par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drainage unit located close to the receiver unit by using.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터브, 드럼 및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는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된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a tub, a drum, and a detergent supply device. The tub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water is stored therein, and the drum is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and clothes are accommodated therein.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저장되는 세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한다.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세제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세제공급장치 내부로 공급하는 급수유닛을 포함한다.A detergent supply device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supplies detergent stored therein to the inside of the drum.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and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상기 급수유닛은 인수부, 급수유로 및 배수부를 포함한다. 인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급수유로는 상기 인수부와 연통되어 물이 유동하며, 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급수유닛의 외부로 물이 배출된다.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receiving part, a water supply passage, and a drainage part.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unit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the water supply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water supply unit to flow water, and the drainage unit communicates with the water supply passage to discharge wa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상기 배수부는 제1배수부 및 상기 제1배수부보다 상기 인수부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제2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인수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1배수부와 연통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배수부로부터 상기 인수부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 배수부와 연통되는 제2유로를 포함한다.The drain part includes a first drain part and a second drain part positioned closer to the receiving part than the first drain part,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extends away from the receiving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drain part. It includes a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flow path extending from the first drain part to be closer to the receiving part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drain part.

상기 인수부 및 상기 제2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후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배수부는 상기 인수부 및 상기 제2배수부보다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인수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제2배수부측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The receiver and the second drain ar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supply unit, the first drain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receiver and the second drain, and the first flow path leads forward from the receiver. It extends toward, and the second flow path may extend toward the rear from the second drainage part side.

상기 제1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내부측벽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유로는 상기 내부측벽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배수부에 연결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절곡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배수부와 연통될 수 있다.The first drain unit is provided to discharge water through an inner sidewall of the water supply unit, the first flow path includes a bent portion bent toward the inner side wall and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unit, and the second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bent portion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rainage portion.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내부측벽 및 상기 구획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between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idewall and the partition wall.

상기 구획벽은 상기 제2배수부를 마주보는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물의 일부가 직접 상기 제2배수부를 향해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may have an opening portion formed at a portion facing the second drain portion so that a portion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directly flows toward the second drain portion.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배수부와 상기 제2배수부 사이에서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는 제3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rainage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low path between the first drainage unit and the second drainage unit.

상기 제3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내부바닥면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유로 내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제2유로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3배수부의 둘레측에서 상기 내부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물의 유동저항을 형성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Water is discharged from the third drainage unit passing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at least a part of which is disposed within the second passage, the water supply unit is provided within the second passage, and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third drainage unit In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wall protruding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to form a flow resistance of water.

상기 차단벽 및 상기 제3배수부는 상기 제2유로를 정의하는 양측벽 중 어느 하나와 접하고 나머지와 이격될 수 있다.The blocking wall and the third drainage portion may be in contact with one of both side walls defining the second flow path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walls.

상기 제2유로 내에 마련되고, 상기 내부바닥면에서 상기 차단벽보다 더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제3배수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낙수방지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fall prevention rib provided in the second passage, protruding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to a height lower than the blocking wall, an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drainage part.

상기 제3배수부의 둘레 중 상기 제2배수부를 향하는 일부에 상기 차단벽이 배치되고, 나머지에 상기 낙수방지리브가 배치될 수 있다.The blocking wall may be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drainage portion facing the second drainage portion, and the drip prevention rib may be disposed on the remaining portion.

상기 제3배수부는 상기 차단벽으로부터 상기 제1배수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차단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3배수부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보조배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배수부는 상기 내부바닥면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third drain part extends from the blocking wall toward the first drain part, the drain par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drain part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drain part with respect to the blocking wall, and the auxiliary drain part is disposed on the inner floor. It may be provided so tha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urface.

상기 제3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내부바닥면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고,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제2유로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배수부와 상기 제3배수부 사이에 배치되어 물의 유동저항을 형성하는 유동저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drainage unit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is provided in the second passag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rainage unit and the third drainage unit to resist the flow of water. It may further include a flow resistance portion to form.

상기 유동저항부는 상기 내부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물의 유동저항을 형성하는 저항돌기 및 상기 내부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저항돌기보다 더 낮게 돌출되고, 상기 저항돌기가 위치되며 물이 수용되는 물고임공간이 정의되도록 연장되는 수용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resistance part protrudes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to form a resistance protrusion of water and protrudes lower than the resistance protrusion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and defines a water reservoir space in which the resistance protrusion is positioned and water is accommodated. It may include an extending accommodating rib.

상기 제2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내부바닥면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고, 상기 내부바닥면은 상기 제2유로 내에서 상기 제3배수부로부터 상기 제2배수부를 향할수록 하방으로 만입되는 만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age unit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has a recessed portion that is recessed downward from the third drainage unit toward the second drainage unit in the second flow path. can be formed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급수유닛의 하방에 위치되고 내부에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유닛 및 상기 급수유닛의 하방에 위치되고 내부에 상기 저장유닛이 수용되는 수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gent suppl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locat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and storing detergent therein, and a storage unit locat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and accommodating the storage unit therein.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급수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제와 함께 상기 수용유닛의 내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수용유닛의 수용바닥면에는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물과 세제가 상기 드럼측으로 배출되는 드레인홀이 마련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is provid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and discharge it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unit together with detergent, and on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unit, a drain through which water and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are discharged to the drum side A hall may be provided.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배수부와 상기 제2배수부 사이에서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는 제3배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배수부는 상기 터브와 연결되는 터브호스로 물을 배출하여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제2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내부바닥면을 관통하여 물을 배출하여 상기 수용바닥면으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제3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내부바닥면을 관통하여 물을 배출하여 상기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drain unit further includes a third drai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low path between the first drain unit and the second drain unit, and the first drain unit discharges water through a tub hose connected to the tub, The second drainage part penetrates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to discharge water and supplies water to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and the third drain part penetrates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to Water may be discharged and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상기 제2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내부바닥면을 통해 상기 수용바닥면으로 물을 배출하고, 상기 수용바닥면에는 상기 수용유닛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배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전방을 향해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동가이드홈이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drain part discharges water to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drain part extends fo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receiving unit to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A flow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flow toward the front may be provided.

상기 수용유닛은 측방향 일측에 제1수용측벽이 마련되고 타측에 제2수용측벽이 마련되며, 상기 드레인홀은 상기 제2수용측벽보다 상기 제1수용측벽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2배수부 및 상기 유동가이드홈은 상기 제1수용측벽보다 상기 제2수용측벽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unit has a first accommodating sidewall provided on one lateral side and a second accommodating sidewall on the other side, the drain hole is located closer to the first accommodating sidewall than the second accommodating sidewall, and the second drainage The part and the flow guide groove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accommodating sidewall than to the first accommodating sidewall.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수용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유동가이드홈에서 상기 제1수용측벽을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가이드홈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유동가이드홈의 물이 상기 드레인홀측으로 유동하는 것으로 억제하는 유동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unit protrudes from the accommodating bottom surfac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low guide groove toward the first accommodating side wall, and extends parallel to the flow guide groove so that water in the flow guide groove flows toward the drain hole. It may further include a flow guide rib that suppresses that.

상기 유동가이드리브는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유동가이드홈의 물 중 일부가 상기 드레인홀을 향해 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flow guide rib may be opened so that a portion of water in the flow guide groove flows toward the drain hole.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수용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유동가이드홈에서 상기 제1수용측벽을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가이드홈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동가이드홈에서 유출되는 물의 전방 유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제한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protrudes from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low guide groove toward the first receiving side wall, extends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guide groove, and flows out of the flow guide groove. A limiting guide rib provided to limit the forward flow of water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수용유닛은 측방향 양측에 각각 수용측벽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측벽의 전단부에는 상기 수용바닥면의 전단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급수유닛 또는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수용바닥면의 전단부를 향하도록 유도하는 전방유도홈이 마련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is provided with accommodating side walls on both sides in a lateral direc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accommodating side wall extends toward the front end of the accommodating floor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storage unit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accommodating floor. A front guide groove leading toward the unit may be provided.

상기 전방유도홈의 전방에는 상기 수용유닛으로부터 물이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돌출되는 유출억제턱이 마련되고, 상기 전방유도홈은 상기 유출억제턱에 가까울수록 만입되는 깊이가 깊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An outflow prevention jaw protruding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out from the accommodation unit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ront guide groove, and the front guide groov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recessed depth becomes deeper as it is closer to the outflow prevention projec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인수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유로의 단부로부터 상기 인수부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유로의 상기 단부에 연결되는 제1배수부 및 상기 제2유로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assage includes a first passage extending away from the holder and a second passag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passage to be closer to the holder. And, the drainage unit may include a first drainage uni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channel and a second drainage uni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channe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제공급장치의 급수유닛이 복수의 배수부에 물을 전달하기 위한 효율적인 구조의 급수유로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n efficient water supply passage through which a water supply unit of a detergent supply device delivers water to a plurality of drainage uni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제공급장치의 급수유닛이 복수의 배수부 각각으로 적절한 유량의 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having an efficient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can supply water at an appropriate flow rate to each of a plurality of drainage uni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제공급장치의 수용유닛의 내부가 세척수를통해 효과적으로 세척되어 위생 관리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improving sanitary management by effectively washing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uni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with washing wa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제공급장치의 수용유닛에서 세척수의 확산면적이 효과적으로 증가되어 세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capable of improving washing performance by effectively increasing the diffusion area of washing water in the receiving uni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제공급장치의 수용유닛이 세척수의 확산을위한 효과적을 구조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receiving uni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has an effective structure for diffusing washing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의 저장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의 급수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의 급수유닛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의 급수유닛에서 인수부 및 제2배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급수유닛을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의 급수유닛에서 차단벽 및 제3배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의 급수유닛에서 보조배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의 수용유닛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의 수용유닛에서 유동가이드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의 수용유닛에서 전방유도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orage unit of a detergent supply devi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receiving unit and a second drainage unit in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detergent supply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supply unit of FIG. 8 taken along line AA.
10 is a view showing a blocking wall and a third drain in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 auxiliary drain in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receiving uni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flow guide groove in the receiving uni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front guide groove in the receiving uni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specification,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exist. 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a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ing'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s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listed items. In this specification, 'A or B' may include 'A', 'B', or 'both A and B'.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의류처리장치(1)를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viewed from above.

도 1 내지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20), 상기 터브(20)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30) 및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100)를 포함한다.1 and 2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 forming an exterio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nd a tub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10. 20, a drum 30 installed inside the tub 20, and a detergent supply device 100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터브(20) 및 드럼(3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2에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캐비닛(10)이 도시되어 있으나, 캐비닛(10)의 구체적인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cabinet 10 forms an exterio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nd a space in which the tub 20 and the drum 30 can be installed may be formed. 1 and 2 show a cabinet 10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a specific shape of the cabinet 1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캐비닛(10)은 복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캐비닛(10)은 전방플레이트(11), 후방플레이트, 측방플레이트, 상방플레이트 및 하방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cabinet 1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 are combined. For example, the cabinet 1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front plate 11, a rear plate, a side plate,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도 1을 참고하면, 캐비닛(10)은 전방플레이트(11)에 의류가 투입되기 위한 의류개구 및 세제공급장치(100)의 저장유닛(300)이 삽입되기 위한 세제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의류개구는 전방플레이트(11)에 결합되는 의류도어(12)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세제개구는 저장유닛(3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cabinet 10 may have a front plate 11 formed with a clothes opening for putting clothes in and a detergent opening for inserting the storage unit 300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 The clothing opening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lothing door 12 coupled to the front plate 11, and the detergent opening can be closed by the storage unit 30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은 버튼 방식, 터치패드 방식, 마이크 방식 등 사용자가 조작하여 조작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panel that provides information to a user or is manipulated by a user to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manipulation units capable of generating manipulation signals by manipulating the user, such as a button method, a touch pad method, and a microphone method.

또한, 컨트롤패널은 디스플레이 방식, 스피커 방식, 진동 방식 등 사용자에게 유효한 신호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output units capable of providing valid signals or information to users, such as a display method, a speaker method, and a vibration method.

컨트롤패널은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는 컨트롤패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각종 구성을 전기전자적으로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may electrically and electronically control various component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based on a manipul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user through the control panel.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기초한 수행결과 또는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상황 등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an execution result based on a user's manipulation signal or an operation statu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to the user through the control panel.

한편, 도 1 및 2에는 드럼(30) 및 터브(20)의 중심축이 전후방향과 대략 나란한 형태의 프론트로더 타입의 의류처리장치(1)가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 및 2에는 드럼(30)의 드럼개구 및 터브(20)의 터브개구가 전방을 향하고 캐비닛(10)의 의류개구가 전방플레이트(11)가 형성되는 프론트로더 타입의 의류처리장치(1)가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FIGS. 1 and 2 disclose a front loader typ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n which central axes of the drum 30 and the tub 20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at is, in FIGS. 1 and 2, the drum opening of the drum 30 and the tub opening of the tub 20 face forward, and the front plate 11 is formed in the laundry opening of the cabinet 10. 1) is disclosed.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프론트로더 타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본 발명은 드럼(30)의 드럼개구 및 터브(20)의 터브개구가 상방으로 형성되고, 캐비닛(10)의 상방플레이트에 의류개구가 형성되는 탑로더 타입의 의류처리장치(1)일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ront loader type.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m opening of the drum 30 and the tub opening of the tub 20 are formed upward, and the upper plate of the cabinet 10 has a clothing opening. It may also be a top loader typ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n which is formed.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로더 타입으로 설명한다.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front loader type as shown in FIGS. 1 and 2 .

터브(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다. 다만, 터브(20)의 구체적인 형상은 필요에 따라 원통 형상 외에도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터브(20)는 전면이 개방되어 터브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The tub 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space formed therein, an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10 to accommodate water therein. However, the specific shape of the tub 20 may be of various shapes other than a cylindrical shape as needed. A front surface of the tub 20 may be opened to form a tub opening.

드럼(3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터브(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드럼(30)은 전면이 개방되어 드럼개구를 형성할 수 있고, 드럼개구 및 터브개구는 함께 캐비닛(10)의 의류개구를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drum 3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space formed therein, an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tub 20 to accommodate clothes therein. The drum 30 may be opened at the front to form a drum opening, and the drum opening and the tub opening may be provided to face the clothes opening of the cabinet 10 together.

이에 따라, 캐비닛(10)의 의류개구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는 터브개구 및 드럼개구를 통해 드럼(3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Accordingly, clothes put in through the clothes opening of the cabinet 10 may be put into the drum 30 through the tub opening and the drum opening.

드럼(30)은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관통홀을 가질 수 있고, 터브(20)에 수용되는 물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드럼(30) 내부로 유입되어 세탁 과정에 이용될 수 있다.The drum 30 may have a through hole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water accommodated in the tub 20 may flow into the drum 30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be used in a washing process.

드럼(30) 및 터브(20)는 중심축이 대략 전후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고, 따라서 드럼(30)은 전후방향과 대략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drum 30 and the tub 20 may be provided with central ax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us the drum 30 may be rotated around a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터브(20)의 후면 또는 캐비닛(10)의 후방플레이트에는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는 회전축을 통해 상기 드럼(30)과 연결되어 드럼(30)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A driving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ub 20 or the rear plate of the cabinet 10, and the driv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drum 30 through a rotation shaft to provide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the drum 30.

한편, 세제공급장치(100)는 내부에 세제가 저장되고, 상기 세제를 터브(20) 내부 또는 드럼(30) 내부로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제란 섬유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탁제 뿐만 아니라, 섬유유연제 또는 섬유표백제 등 세탁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may store detergent therein and provide the detergent to the inside of the tub 20 or the drum 30 . Deterg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etergents that can be used in the washing process, such as fabric softeners or fabric bleaches, as well as laundry detergent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fibers.

도 1에는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된 세제공급장치(100)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제공급장치(100)의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1 shows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한편, 도 1에는 세제공급장치(100)가 터브(20)보다 상방에 위치되고, 캐비닛(10)을 기준으로 측방향 일측에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세제공급장치(100)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FIG. 1 shows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positioned above the tub 20 and located on one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binet 10,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as needed The location of may vary.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10)의 상방플레이트를 제거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를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3 shows the interio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by removing the upper plate of the cabine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에 위치되는 수원과 연결되는 급수부(50)를 포함할 수 있고, 급수부(50)는 급수호스(52)를 통해 세제공급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50 connected to a water source located outsid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nd the water supply unit 50 ( 50)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52.

즉, 세제공급장치(100)는 급수호스(52)를 통해 급수부(5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고, 급수부(5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세제와 함께 터브(2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급수부(50)는 터브(20)와 연결되는 터브(20)급수호스(52)를 통해 터브(20)로 직접 물을 공급할 수도 있고, 후술할 내용과 같이 세제공급장치(100)는 터브(20)와 연결되는 터브호스(54)를 통해 터브(20) 내부에 별도로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That is,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can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50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52 and supply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50 to the inside of the tub 20 together with the detergent. there is. Meanwhile, the water supply unit 50 may directly supply water to the tub 20 through the tub 20 and the water supply hose 52 connected to the tub 20,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Water may be separately supplied into the tub 20 through the tub hose 54 connected to the tub 20 .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세제공급장치(100)를 분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4 shows a disassembled stat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i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100)는 급수유닛(200), 저장유닛(300) 및 수용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200, a storage unit 300 and a receiving unit 400.

저장유닛(300)은 전술한 전방플레이트(11)의 세제개구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저장유닛(300)을 캐비닛(10)으로부터 인출하여 세제를 저장한 뒤 다시 세제개구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인입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cabinet 10 through the detergent opening of the front plate 11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withdraw the storage unit 300 from the cabinet 10 as needed to store the detergent and then bring it back into the cabinet 10 through the detergent opening.

저장유닛(300)은 세제개구를 향하는 일측, 예컨대 전단부에 사용자에 의해 쥐어질 수 있는 손잡이부(320)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320)와 연결되고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320)와 저장프레임(3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0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part 320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at one side, for example, the front end, facing the detergent opening, and is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320 to form a space in which detergent is stored. It may include a storage frame 310 to. The handle part 320 and the storage frame 310 may be integrally formed.

수용유닛(400)은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되어 세제개구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는 저장유닛(300)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수용유닛(400)은 캐비닛(10) 내부에서 세제개구의 후방에 위치되어 저장유닛(300)의 저장프레임(310)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The accommodation unit 4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to accommodate the storage unit 300 introduced into the cabinet 10 through the detergent opening. For example, the accommodating unit 400 may be located behind the detergent opening inside the cabinet 10 and may have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torage frame 310 of the storage unit 300 .

급수유닛(200)은 급수호스(52)를 통해 급수부(50)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고, 캐비닛(10) 내부에서 저장유닛(300) 및 수용유닛(400)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급수유닛(200)은 저장유닛(300) 또는 수용유닛(400)과 결합되어 함께 세제공급장치(100)를 형성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50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52 to receive water, and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storage unit 300 and the accommodation unit 400 inside the cabinet 10. can For example, 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be combined with the storage unit 300 or the accommodation unit 400 to form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together.

도 4에는 수용측벽(404) 및 수용바닥면(402)에 의해 정의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유닛(400)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수용유닛(400)의 상면이 개방되며, 수용유닛(400)의 개방된 상면에 급수유닛(200)이 배치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4 shows a receiving unit 400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defined by an accommodating side wall 404 and an accommodating bottom surface 402,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unit 400 is open, and the accommodating unit 400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supply unit 200 is disposed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is disclosed.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유닛(400)과 급수유닛(200)은 함께 전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 형태를 가지는 세제공급장치(10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unit 400 and 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together form a cas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having a box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100)의 저장유닛(300)을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5 shows a storage unit 300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저장유닛(300)은 세제가 저장되기 위한 저장공간(330)이 형성되는 저장프레임(310)의 일측에 손잡이부(320)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부(320)를 파지하여 저장유닛(300)을 캐비닛(10) 내부로 인입시키면, 저장프레임(310)은 세제개구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고, 손잡이부(320)는 캐비닛(10) 외부에서 캐비닛(10)과 함께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저장유닛(300)이 캐비닛(10)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손잡이부(3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00 may have a handle 3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frame 310 in which a storage space 330 for storing detergent is formed.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part 320 and draws the storage unit 300 into the cabinet 10, the storage frame 310 is drawn into the cabinet 10 through the detergent opening, and the handle part 320 The outer appearanc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cabinet 10 from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 That is, even when the storage unit 300 is inserted into the cabinet 10 , at least a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3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so that a user can grip it.

손잡이부(320)와 저장프레임(31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서로 결합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손잡이부(320)의 일부만이 별개 제조되어 손잡이부(320)에 결합되고, 나머지는 저장프레임(310)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The handle portion 320 and the storage frame 310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nufactured separately to form a coupling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Furthermore, only a part of the handle part 320 is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oupled to the handle part 320, and the rest may be integrally molded with the storage frame 310.

저장프레임(310)에는 일측이 개방되는 저장공간(330)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공간(330)은 서로 구획되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공간(330)의 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A storage space 330 having one side open may be formed in the storage frame 310 .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330 may be provided that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e number of storage spaces 330 may be variously determined as needed.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방으로 개방되는 저장공간(330)이 형성된 저장프레임(310)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저장공간(33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5 shows a storage frame 310 having a storage space 330 open upw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inject detergent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330 .

한편, 저장유닛(300)은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세제컵(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제컵(340)은 저장공간(330)에 설치되거나 저장프레임(310)에 형성되는 별도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저장공간(330)에 설치된 복수의 세제컵(340)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detergent cup 340 including a space in which detergent is stored. The detergent cup 340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330 or in a separate space formed in the storage frame 310 . 5 shows a plurality of detergent cups 340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330 .

세제컵(340)은 저장공간(330)을 필요에 따라 추가 구획하여 사용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저장공간(330)을 가지는 저장프레임(310)이 도시되어 있고, 하나의 저장공간(330)에 복수의 세제컵(340)이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The detergent cup 340 may be installed to additionally partition and use the storage space 330 as needed. 5 shows a storage frame 310 having two storage spaces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etergent cups 340 are installed in one storage space 330 is shown. has been

세제컵(340)은 저장공간(330)과의 관계에서 서로 세제가 섞이지 않는 구획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세제컵(340)간의 관계에서도 서로 구획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이종 세제가 각 세제컵(340) 또는 저장공간(330)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Detergent cup 340 can form a partitioned space in which detergents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in relation to the storage space 330, and can form a partitioned space in relation to each other ev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tergent cups 340, so that different types of Detergent may be stored and used in each detergent cup 340 or storage space 330 .

한편, 저장유닛(300)에서 세제컵(340) 또는 저장공간(330)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공간들은 각각 세제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물이 공급될 필요가 있고, 따라서 급수유닛(200)은 후술할 내용과 같이 복수의 공간 각각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배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spaces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y the detergent cup 340 or the storage space 330 in the storage unit 300 need to be supplied with water for smooth discharge of detergent, respectively, and thus the water supply uni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the description,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ainage parts 250 for supplying wate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또한, 후술할 내용과 같이 급수유닛(200)은 저장유닛(300) 외에 수용유닛(400)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 수용유닛(40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고, 저장유닛(300) 또는 세제컵(340)에는 상기 세척수가 낙하되는 부위에 개방된 홀의 형태를 가지는 물통과부(350)가 형성되어 세척수가 저장유닛(300)을 지나서 수용유닛(400)의 내부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water supply unit 200 can supply wash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400 to wash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400 in addition to the storage unit 300, and the storage unit 300 or the detergent cup. A water passage part 350 having a shape of an open hole is formed in the portion 340 where the washing water falls,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pass through the storage unit 300 and be directly provided into the receiving unit 400.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100)의 급수유닛(2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급수유닛(200)의 급수커버(210)가 제거되어 급수유닛(200)의 내부를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 6 shows the water supply unit 200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FIG. 7 the water supply cover 210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is removed and the water supply unit ( 200) is shown showing the inside.

도 6 및 7을 참고하면, 급수유닛(200)은 세제공급장치(100)의 일부를 구성하며 저장유닛(300) 및/또는 수용유닛(400)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water supply unit 200 constitutes a par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and may be provided to supply water to the storage unit 300 and/or the accommodation unit 400 .

급수유닛(200)은 외부의 수원과 연결되는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유닛(200)은 급수호스(52)를 통해 급수부(50)와 연결되어 급수부(5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receive water from a water supply sourc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50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52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50 .

급수유닛(200)은 급수커버(210) 및 급수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커버(210) 및 급수본체(220)는 결합되어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급수유닛(200)의 내부에는 후술할 급수유로(240) 및 배수부(250) 등이 마련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include a water supply cover 210 and a water supply main body 220 . The water supply cover 210 and the water supply main body 220 may be coupled to form a space in which water flows, and a water supply passage 240 and a drainage unit 25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water supply unit 200. can be provided.

도 6 및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유닛(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water supply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우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10), 터브(20), 드럼(30) 및 세제공급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다. 드럼(30)은 상기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cabinet 10, the tub 20, the drum 30, and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The tub 2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and water may be stored therein. The drum 30 is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20, and clothes may be accommodated therein.

세제공급장치(10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저장되는 세제를 상기 터브(20) 또는 상기 드럼(3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상기 세제공급장치(100)의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세제공급장치(100) 내부로 공급하는 급수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and can supply detergent stored therein to the inside of the tub 20 or the drum 30 .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200 that receives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and supplies it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

상기 급수유닛(200)은 인수부(230), 급수유로(240) 및 배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수부(230)는 상기 급수유닛(200)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될 수 있고, 급수유로(240)는 상기 인수부(230)와 연통되어 물이 유동할 수 있으며, 배수부(250)는 상기 급수유로(240)와 연통되어 상기 급수유닛(200)의 외부로 물이 배출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include a receiving part 230 , a water supply passage 240 and a drainage part 250 . Water can flow into the receiver 230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the water supply passage 240 communicates with the receiver 230 so that water can flow, and the drainage unit 250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upply passage 240 .

인수부(230)는 급수호스(52)와 연결되는 인수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인수부(230)는 급수호스(52)를 통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급수유닛(200)의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230 may include a receiving port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se 52 . The receiving unit 230 may be provided to introduce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into the water supply unit 200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52 .

인수부(230)는 급수본체(220)와 별도로 성형되어 급수본체(220)에 결합되거나 급수본체(220)의 일부로서 성형될 수 있다. 인수부(230)는 급수본체(2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는 급수본체(220)와 일체로 성형되어 급수본체(220)의 후단에 위치되는 인수부(23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인수부(230)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230 may be molded separately from the water supply body 220 and coupled to the water supply body 220 or may be molded as a part of the water supply body 220 . The receiving unit 23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body 220 . Although FIG. 7 shows a receiving unit 230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ter supplying body 220 and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supplying body 220, the specific shape or location of the receiving unit 230 may vary.

급수유로(240)는 급수유닛(200)의 내부로 형성될 수 있다. 급수유닛(200)은 급수본체(220)와 급수커버(210)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급수유로(240)는 급수유닛(2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assage 240 may be formed inside the water supply unit 200 . 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include an inner space defined by the water supply main body 220 and the water supply cover 210,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2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water supply unit 200.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급수본체(220)의 내부에 인수부(230)와 연통되는 복수의 급수유로(240)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급수유로(240)는 급수유닛(200)의 내부에서 인수부(230)와 연결되어 인수부(230)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급수유로(240)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7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assages 240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unit 230 are provided inside the water supply main body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assage 24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230 inside the water supply unit 200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unit 230 can flow along the water supply passage 240 .

한편, 급수본체(220)는 내부에 일면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급수본체(220)의 개방된 일면은 급수커버(21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즉, 급수커버(210)와 급수본체(220)는 서로 결합되어 밀폐된 물의 유동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body 220 may have a space with one surface open therein, and the open surface of the water supply body 220 may be shielded by the water supply cover 210 . That is, the water supply cover 210 and the water supply main body 2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sealed water flow space.

급수본체(2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급수본체(220)의 내부바닥면(222), 내부측벽(224), 내부전방벽 및 내부후방벽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내부바닥면(222)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벽에 의해 복수의 급수유로(240)가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수부(230)는 급수본체(220)의 내부후방벽에 마련되어 급수부(50)와 연결될 수 있다.The space formed inside the water supply body 220 may be defined by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the inner side wall 224, the inner front wall and the inner rear wall of the water supply body 220. In addition,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assages 240 may be defined by a plurality of walls protruding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unit 230 is provided on the inner rear wall of the water supplying body 22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ing unit 50 .

한편, 배수부(250)는 급수유로(240)와 연통되어 물이 전달되며, 상기 급수유로(240)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급수유닛(20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배수부(250)는 급수유닛(200) 외부로 물이 배출되도록 급수본체(220)를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ainage unit 250 communicates with the water supply passage 240 to deliver water, and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supply passage 240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 For example, the drainage unit 250 may include a hole penetrating the water supply body 220 so tha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

배수부(25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배수부(250)는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호스를 통해 물을 배출하거나, 급수유닛(200)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물을 배출하여 낙수 방식을 통해 물을 배출할 수도 있다.The drainage unit 250 may discharge water through various methods. For example, the drainage unit 250 may be connected to a hose to discharge water through the hose, or may discharge water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water supply unit 200 to discharge water through a dripping method.

한편, 배수부(25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급수유닛(200)에는 복수의 배수부(250)가 구획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유닛(300)에는 서로 구획되어 세제가 각각 저장되는 복수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저장유닛(300)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 각각에 물이 공급되도록, 급수유닛(200)은 복수의 배수부(250)가 저장유닛(300)의 복수의 공간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물을 배출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drainage units 250 may be provided. That is, 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inage units 250 partitioned.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unit 300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spaces in which detergents are stored, and water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formed in the storage unit 300, so that the water supply unit 200 ) may be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drainage parts 250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spaces of the storage unit 300 to discharge water.

또한, 배수부(250)는 저장유닛(300)과 더불어 수용유닛(400) 또는 터브(20)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복수의 배수부(250) 중 적어도 하나는 저장유닛(300)을 회피하여 수용공간의 내부로 물이 제공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배수부(250) 중 적어도 하나는 터브(20)와 연결되는 터브호스(54)를 통해 물을 배출하여 터브(20)로 직접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rainage unit 250 may be provided to supply water to the storage unit 400 or the tub 20 together with the storage unit 300 .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ainage units 250 may be provided so as to avoid the storage unit 300 and provide water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ainage units 250 may be provided in the tub 20 It may be provided to directly supply water to the tub 20 by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tub hose 54 connected to the tub 20 .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수부(250)는 제1배수부(251) 및 제2배수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수부(251)는 인수부(23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고, 제2배수부(252)는 인수부(230)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age unit 250 may include a first drainage unit 251 and a second drainage unit 252 . The first drainage unit 251 may be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receiving unit 230 , and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may be located relatively close to the receiving unit 230 .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급수본체(220)의 내부 전단측에 위치되는 제1배수부(251)와 후단측에 위치되는 제2배수부(252)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제1배수부(251)와 제2배수부(252)의 위치가 반드시 전단측 및 후단측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7 shows a first drainage unit 251 located at the inner front side of the water supply body 220 and a second drainage unit 252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water supply body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ositions of the first drainage unit 251 and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한편, 급수유로(240)는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241)는 상기 인수부(230)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1배수부(251)와 연통될 수 있다. 제2유로(243)는 상기 제1배수부(251)로부터 상기 인수부(230)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 배수부(250)와 연통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supply passage 240 may include a first passage 241 and a second passage 243 . The first passage 241 may extend away from the receiver 230 and communicate with the first drain 251 . The second flow path 243 extends from the first drain part 251 to be closer to the receiving part 230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drain part 250 .

구체적으로, 급수유닛(200)은 복수의 배수부(250)가 마련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복수의 급수유로(240)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배수부(250)는 복수의 급수유로(240)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7에는 급수유닛(200)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배수부(250) 및 복수의 급수유로(240)가 도시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inage units 250, and similarly,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assages 240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drainage units 250 may receive water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passages 240 . 7 shows a plurality of drainage units 250 and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assages 240 provided inside the water supply unit 200 .

한편, 인수부(230)로부터 연장되는 하나의 급수유로(240)상에 복수의 배수부(250)가 연통됨으로써, 배수부(250)의 수보다 적은 수의 급수유로(240)를 이용하여 배수부(250)에 물을 공급할 수 있어 급수유닛(200)의 내부를 효율적으로 활용 및 설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plurality of drainage parts 250 are communicated on one water supply passage 240 extending from the receiver 230, water is discharged using fewer water supply passages 240 than the number of drainage parts 250. Since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unit 250,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can be efficiently utilized and designed.

즉, 복수의 배수부(250)와 동일한 수만큼 인수부(230)로부터 연장되는 급수유로(240)를 형성하면 급수유닛(200)의 내부 설계가 복잡해지고 배수부(250)로의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느 하나의 급수유로(240)에 복수의 배수부(250)가 연통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어 급수유닛(200)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That is, if the water supply passages 240 extending from the receiver 230 by the same number as the plurality of drainage units 250 are formed, the internal design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becomes complicated and the water supply to the drainage unit 250 is smooth.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rainage units 250 communicate with any one water supply passage 240 to receive water, thereby efficiently utilizing the space inside the water supply unit 200. can

한편, 어느 하나의 급수유로(240)를 이용하여 복수의 배수부(250)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 배수부(250)간의 물 공급 순서가 중요할 수 있다. 예컨대, 각 배수부(250)의 성격에 따라 물을 공급하는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drainage units 250 using any one water supply passage 240, the order of water supply between the drainage units 250 may be important. For example, the order of supplying wat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rainage unit 250 .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수부(230)로부터 멀리 위치되는 제1배수부(251)는 인수부(230)를 통해 물이 공급되더라도 상시 물을 배출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ainage unit 251 located far from the receiving unit 230 does not always discharge water even whe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230, and selectively drains water as needed. It can be arranged to discharge.

예컨대, 제1배수부(251)는 밸브를 포함하는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호스를 통해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밸브가 차폐된 상태에서는 해당 급수유로(240)에 물이 공급되더라도 제1배수부(251)로 물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drainage unit 251 may be connected to a hose including a valve to discharge water through the hos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valve is closed, even if water is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water supply passage 240, the water supply passage 240 is not supplied. Water may not be discharged to the first drainage unit 251 .

이 때, 하나의 급수유로(240)를 통해 인수부(230)에 가까운 제2배수부(252)에 먼저 물을 공급한 이후 제1배수부(251)에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유로(240)가 인수부(230)로부터 단순히 멀어지도록 연장된 경우, 제2배수부(252)와 제1배수부(251) 사이는 물이 정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비효율적인 물의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passage 240 first supplies water to the second drain part 252 close to the receiver 230 through one water supply passage 240 and then supplies water to the first drain part 251. When is simply extended away from the receiver 230, water remains stagnant between the second drain 252 and the first drain 251, and thus an inefficient flow of water may be formed.

이 경우, 제1배수부(251)와 제2배수부(252) 사이의 급수유로(240)는 물이 정체된 상태에서 인수부(23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므로 급수유닛(200)의 누수나 손상을 야기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passage 240 between the first drain unit 251 and the second drain unit 252 is continuously subjected to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receiver 230 while the water is stagnant, so that the water supply unit It may cause leakage or damage to (200).

또한, 제1배수부(251)는 제2배수부(252)보다 더 많은 유량이나 더 높은 유압의 물이 제공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저장유닛(300)이나 수용유닛(400)에서 제1배수부(251)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대상 영역에는 제2배수부(252)에 대응되는 영역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될 필요가 있는 경우, 인수부(230)에 가까운 제2배수부(252)에 먼저 물이 공급된 이후 제1배수부(251)로 물이 공급되는 것은 제1배수부(251)의 수량 및 수압에 대해 불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rain unit 251 may need to be provided with water having a higher flow rate or higher hydraulic pressure than the second drain unit 252 . For example, in the storage unit 300 or the accommodation unit 400, a larger amount of water may be supplied to a target area to which water is supplied by the first drainage unit 251 tha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If necessary, water is first supplied to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close to the receiver 230 and then supplied to the first drainage unit 251 by the quantity and pressure of the first drainage unit 251. may be disadvantageous for

이와 같이, 다양한 이유로 인수부(230)에서 멀리 위치된 제1배수부(251)가 인수부(230)에 가깝게 위치되는 제2배수부(252)와 하나의 급수유로(240)를 통해 물을 공급받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배수부(251)에 먼저 물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제1배수부(251) 및 제2배수부(252)의 사용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In this way, for various reasons, the first drainage unit 251 located far from the receiving unit 230 supplies water through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located close to the receiving unit 230 and one water supply passage 240. Even if it is supplie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timize the use environment of the first drain part 251 and the second drain part 252 by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drain part 251 firs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유로(240)는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를 포함하며,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는 인수부(230)로부터 연장되는 하나의 급수유로(240)를 분할하여 정의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assage 240 includes a first passage 241 and a second passage 243, and the first passage 241 and the second passage 243 are the receiving unit 230 It can be understood that one water supply passage 240 extending from ) is divided and defined.

제1유로(241)는 인수부(230)로부터 연장되어 인수부(230)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유로(241)는 인수부(230)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제1배수부(251)와 연통될 수 있다. 제1배수부(251)는 제1유로(241)를 따라 유동하는 물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241 may extend from the receiver 230 and directly receive water from the receiver 230 . The first flow path 241 may extend away from the receiver 230 and communicate with the first drainage unit 251 . The first drainage unit 251 may receive water flowing along the first flow path 241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한편, 제2유로(243)는 제1배수부(251)를 향하는 제1유로(241)의 단부 또는 제1배수부(251)로부터 인수부(230)와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유로(241)를 유동하여 제1배수부(251)를 지나 유동하는 물이 제2유로(243)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passage 243 may extend from an end of the first passage 241 toward the first drain part 251 or from the first drain part 251 to be closer to the receiving part 230 . Accordingly,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241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drainage part 251 may flow along the second flow path 243 .

즉, 제1유로(241)를 따라 유동하는 물의 일부는 제1배수부(251)에 도달하여 제1배수부(2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제1배수부(2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않은 물은 제2유로(243)로 전달되어 유동될 수 있다.That is, a part of the water flowing along the first flow path 241 reaches the first drain part 251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drain part 251, and through the first drain part 251 Water that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can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flow path 243 and flowed.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급수유닛(200)의 전단부에 제1배수부(251)가 위치되고, 후단부에 제2배수부(252) 및 인수부(230)가 위치되며, 제1유로(241)는 인수부(23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1배수부(251)에 연결되고, 제2유로(243)는 제1배수부(251)측에서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2배수부(252)와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ainage unit 251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and the takeover unit 230 are located at the rear end. , The first flow path 241 extends forward from the receiver 23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art 251,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extends backward from the first drain part 251 side again. A state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is shown.

다만, 제1배수부(251), 제2배수부(252) 및 인수부(230)의 위치나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의 연장방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positions of the first drainage unit 251,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and the receiving unit 230 or the extension directions of the first flow path 241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are not limited thereto, but may vary. can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를 포함하여 급수유닛(200)에서 물이 유입되는 인수부(230)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었다가 다시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급수유로(240)를 통해 인수부(230)에서 더 멀리 위치되는 제1배수부(251)가 제2배수부(252)보다 먼저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수부(230)로부터 연장되는 형태의 급수유로(240)의 수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제1배수부(251) 및 제2배수부(252)에 효과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다양한 이유에 따라 인수부(230)에서 더 멀리 위치되는 제1배수부(251)에 먼저 물이 공급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ow path 241 and a second flow path 243, which extend away from the water receiving unit 230 into which water is introduced in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then extend to close again. A form extending from the receiver 230 by enabling the first drain unit 251 located farther from the receiver 230 to receive water before the second drain unit 252 through the flow path 240 Even if the number of water supply passages 240 is not unnecessarily increased, water can be effectively supplied to the first drainage part 251 and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and it is located farther from the receiving part 230 for various reasons. A structure in which water is first supplied to the first drainage unit 251 may be implemen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수부(230) 및 상기 제2배수부(252)는 상기 급수유닛(200)의 후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배수부(251)는 상기 인수부(230) 및 상기 제2배수부(252)보다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유로(241)는 상기 인수부(230)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유로(243)는 상기 제2배수부(252)측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r 230 and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ar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the first drainage unit 251 is the receiver unit. 230 and the second drain part 252, the first flow path 241 extends from the receiver part 230 toward the front,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is the second flow path 243. It may extend toward the rear from the drainage part 252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300)은 캐비닛(10)의 전방플레이트(11) 마련되는 세제개구를 통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바,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는 저장유닛(300)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세제공급장치(100)는 캐비닛(10) 내부에서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300 is pulled in or out through a detergent opening provided in the front plate 11 of the cabinet 10, effectively removing the storage unit 300 drawn into the cabinet 10. To be accommodated,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may be located on the front side inside the cabinet 10 .

이에 따라,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 인수부(230)는 급수유닛(200)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급수호스(52)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배수부(251)는 전단부에 위치되고, 제2배수부(252)는 후단부에 위치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고, 제1유로(241)는 인수부(230)로부터 대략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인수부(230)와 제1배수부(251)를 연결시킬 수 있다.Accordingly, for efficient space utilization, the receiver 23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se 52 . On the other hand, the first drainage unit 251 is located at the front end,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is located at the rear end and is provided to discharge water at different locations, and the first flow path 241 is located at the receiving unit ( It may extend substantially forward from 230 to connect the receiving part 230 and the first drainage part 251 .

또한, 제2유로(243)는 제2배수부(252)측에서 대략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2배수부(252)와 제1유로(241) 또는 제1배수부(251)를 연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assage 243 may extend substantially rearward from the side of the second drain 252 to connect the second drain 252 and the first flow passage 241 or the first drain 251. .

물의 유동을 살펴보면, 인수부(230)로부터 급수유닛(20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제1유로(241)를 따라 전방으로 유동되어 제1배수부(251)에 도달할 수 있으며, 제1배수부(251)측에서 제2유로(243)를 따라 다시 후방으로 유동되어 제2배수부(252)에 도달할 수 있다.Looking at the flow of water,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supply unit 200 from the receiver 230 may flow forward along the first flow path 241 and reach the first drainage unit 251, It may flow backward along the second passage 243 from the part 251 side and reach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

한편, 상기 제1배수부(251)는 상기 급수유닛(200)의 내부측벽(224)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유로(241)는 상기 내부측벽(224)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배수부(251)에 연결되는 절곡부(24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유로(243)는 상기 절곡부(242)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배수부(251)와 연통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drainage part 251 is provided so tha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sidewall 224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the first flow path 241 is bent toward the inner sidewall 224. and includes a bent part 242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art 251,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is connected to the bent part 242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drain part 251. there is.

도 7을 참고하면, 급수유닛(200)은 측방향 양측에 각각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내부측벽(224)이 마련될 수 있다. 제1배수부(251)는 한 쌍의 내부측벽(224)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배수부(251)는 내부측벽(224)을 관통하여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inner sidewalls 224 defining inner spaces on both s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first drainage part 251 may include a hole penetrating any one of the pair of inner side walls 224, and accordingly, the first drain part 251 penetrates the inner side wall 224 to discharge water. can be arranged to do so.

제1배수부(251)는 급수본체(220)의 내부측벽(224)을 관통하여 물을 배출하는 바, 세제공급장치(100) 외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배수부(251)는 터브호스(54)와 연결되어 터브호스(54)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drain unit 251 discharges water through the inner side wall 224 of the water supply body 220, and may be provided to supply water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For example, the first drainage unit 251 may be connected to the tub hose 54 to supply water into the tub 20 through the tub hose 54 .

도 3에는 터브(20)와 세제공급장치(100)의 제1배수부(251)를 연결시키는 터브호스(54)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터브(20) 내부에는 급수부(50)로부터 직접 물이 공급되거나, 급수유닛(200)을 통해 수용유닛(400) 내부로 배출되는 물이 터브(20) 내부로 공급되거나, 급수유닛(200)의 제1배수부(251)를 통해 수용유닛(400)을 거치지 않고 직접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될 수 있다.3 shows a tub hose 54 connecting the tub 20 and the first drainage part 251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s directly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50 to the inside of the tub 20 or water discharged into the receiving unit 400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200.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ub 20 or direct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ub 20 through the first drainage part 251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without going through the receiving unit 400 .

예컨대, 의류의 세탁행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세탁행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간헐적 또는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터브(20) 내부로 물을 추가 분사하여 세탁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배수부(251)를 통해 별도로 터브(2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washing cycle for clothes is performed, a method of improving washing efficiency by additionally spraying water into the tub 20 intermittently or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during the washing cycle may be used. Water may be separately supplied to the tub 20 through the first drainage unit 251 .

이와 같이, 제1배수부(251)는 세제공급장치(100) 외부로 물을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급수유닛(200)의 내부측벽(224)을 관통하여 물을 배출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호스(54)가 연결되는 위한 포트가 급수본체(220)의 측벽상에 마련될 수 있어 유리하다.In this way, the first drainage part 251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inner side wall 224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so as to easily supply water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 Accordingly, a port to which the tub hose 54 is connected can be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water supply main body 220, which is advantageous.

한편, 제1유로(241)는 제1배수부(251)를 향하는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제1배수부(25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배수부(251)는 내부측벽(224)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유로(241)는 단부에 절곡부(242)가 형성되어 제1배수부(251)의 홀의 관통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제1배수부(251)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passage 24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art 251 by bending an end portion toward the first drain part 251 . That is, the first drainage part 251 may include a hole penetrating the inner sidewall 224, and the first passage 241 has a bent part 242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drainage part 251. It may extend parallel to the through direction of the hole and b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age part 251 .

예컨대, 제1유로(241)는 인수부(230)로부터 대략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제1배수부(251)와 연결되는 단부에서 상기 제1배수부(251)의 홀의 관통방향과 일치되도록 절곡되어 제1배수부(251)와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assage 241 may extend substantially forward from the receiver 230, and at an end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art 251, the first passage 241 coincides with the penetration direction of the hole of the first drain part 251. It may be ben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age part 251.

한편, 제2유로(243)는 제1유로(241)의 절곡부(242)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수부(251)측으로부터 물이 전달될 수 있다. 제1유로(241)는 제1배수부(251)를 향해 연장되는 절곡부(242)를 통해 제1배수부(251)와 연결되므로, 제1유로(241)와 상기 내부측벽(224) 사이에는 적어도 절곡부(242)의 연장된 길이만큼의 이격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flow path 243 is connected to the bent portion 242 of the first flow path 241 so that water can be transferred from the first drainage part 251 side. Since the first passage 241 is connected to the first drainage part 251 through the bent part 242 extending toward the first drain part 251, the gap between the first passage 241 and the inner sidewall 224 A separation space at least as much as the extended length of the bent portion 242 may occu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유로(243)가 상기 제1유로(241)와 내부측벽(224)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절곡부(24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유로(241)가 절곡부(242)를 형성하여 제1배수부(251)와 연결되고 제2유로(243)는 상기 절곡부(242)를 통해 상기 제1유로(241) 및 제1배수부(251)와 연통되므로 급수유닛(200)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를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passage 24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passage 241 and the inner sidewall 224 and connected to the bent portion 242 . 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low path 241 forms a bent portion 242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drainage portion 251,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is connected to the bent portion 242 through the bent portion 242. Since i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flow path 241 and the first drainage part 251, the first flow path 241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can be formed by efficiently utiliz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한편, 상기 급수유닛(200)은 상기 제1유로(241) 및 상기 제2유로(243)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2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243)는 상기 내부측벽(224) 및 상기 구획벽(26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unit 200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wall 260 partitioning between the first flow path 241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is the inner sidewall ( 224) and the partition wall 260.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는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획벽(260) 양측에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는 구획벽(260)을 통해 서로 구획되므로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 형성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효율적으로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를 형성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passage 241 and the second passage 243 may extend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 260 . Since the first flow path 241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partition wall 260, the space required for forming the first flow path 241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can be minimized and structurally efficient. As a result, the first flow path 241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may be formed.

한편, 제2유로(243)를 정의하는 양측벽 중 하나는 상기 구획벽(260)에 해당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배수부(251)가 구비되는 내부측벽(224)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2유로(243)는 구획벽(260)과 내부측벽(224)에 의해 효율적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one of the side walls defining the second passage 243 may correspond to the partition wall 260, and the other may correspond to the inner side wall 224 provided with the first drainage part 251. . That is, the second passage 243 can be formed in an efficient structure by the partition wall 260 and the inner sidewall 224 .

나아가, 구획벽(260)을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제1유로(241)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유로(24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유로(243)는 제1유로(241)와 내부측벽(22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rst flow path 24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260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That is, the second passage 243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passage 241 and the inner sidewall 224 .

이에 따라, 내부측벽(224)과 이격된 제1유로(241)는 절곡부(242)를 통해 내부측벽(224)에 마련되는 제1배수부(251)와 연결될 수 있고, 제2유로(243)는 제1유로(241) 및 내부측벽(224) 사이에서 제1유로(241)의 절곡부(242)에 연결되어 효율적인 연결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passage 241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wall 22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age part 251 provided on the inner sidewall 224 through the bent portion 242, and the second passage 243 ) is connected to the bent portion 242 of the first flow path 241 between the first flow path 241 and the inner sidewall 224, so that an efficient connection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유닛(200)의 제2배수부(252)측이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의 급수유닛(200)을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8 shows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shows the water supply unit 200 of FIG. 8 cut along line A-A. A cross section is shown.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획벽(260)은 상기 제2배수부(252)를 마주보는 부분에 개방부(261)가 형성되어 상기 제1유로(241)를 유동하는 물의 일부가 직접 상기 제2배수부(252)를 향해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wall 260 has an opening 261 formed at a portion facing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to flow the first flow path 241 A portion of the water to be used may be provided so as to flow directly toward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배수부(252)는 제1배수부(251)보다 인수부(230)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고, 인수부(230) 및 제2배수부(252)는 급수본체(220)의 후단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는 구획벽(26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rain unit 252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receiver 230 than the first drain unit 251, and the receiver 230 and the second drain unit 252 ar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main body ( 220) may be located at the rear end side. The first flow path 241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may be formed on both sides with the partition wall 260 interposed therebetween.

구획벽(260)은 제2배수부(252)를 마주보거나 인접한 부분에 개방부(26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획벽(260)은 제2배수부(252)와 인접한 일부분에 홀 또는 개방된 홈이 형성되어 제1유로(241)를 유동하는 물의 일부가 제1배수부(251)로 향하는 대신 개방부(261)를 통해 제2유로(243) 및 제2배수부(252)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An opening 261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260 facing or adjacent to the second drainage portion 252 . That is, the partition wall 260 has a hole or an open groove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drain part 252 so that a part of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241 is opened instead of going to the first drain part 251. Through the unit 261, it may be directly delivered to the second flow path 243 and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이에 따라, 인수부(230)로부터 제1유로(241)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직접 제2배수부(252)로 전달될 수 있어 제1배수부(251)에 경유하여 제2유로(243)를 통해 제2배수부(252)로 전달되는 물의 유량을 보충할 수 있고, 인수부(230)에서 직접 제1유로(241)로 제공되는 물의 유압을 감소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물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a part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receiver 230 to the first flow path 241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second drain part 252, so that the second flow path 243 passes through the first drain part 251.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he flow rate of water delivered to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and to reduce the hydraulic pressure of water directly supplied from the receiver 230 to the first flow path 241, so that a stable flow of water can be formed. there is.

나아가, 구획벽(260)에 형성되는 개방부(261)의 설계적 조절을 통해 제1배수부(251) 및 제2배수부(252) 각각으로 제공되는 물의 유량 및 유압을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more, through design control of the opening 261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26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of water provided to the first drain part 251 and the second drain part 252, respectively, and thus efficient drainage. can be done

한편, 도 8 및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부(250)는 상기 제1배수부(251)와 상기 제2배수부(252) 사이에서 상기 제2유로(243)와 연통되는 제3배수부(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8 and 9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part 250 is the second flow path 243 between the first drain part 251 and the second drain part 252. A third drainage unit 253 communicating with may be further included.

제2유로(243)는 제1배수부(251)와 제2배수부(252)를 연통시키므로, 제2유로(243)상에 마련되는 제3배수부(253)는 대략 제1배수부(251)와 제2배수부(25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배수부(253)는 적어도 일부가 제2유로(243)와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제2유로(243)를 유동하는 물의 일부는 제3배수부(25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flow passage 243 communicates the first drain portion 251 and the second drain portion 252, the third drain portion 253 provided on the second flow passage 243 is approximately the first drain portion ( 251) and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may be located.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drain portion 253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low passage 243, and a portion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ssage 243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drain portion 253.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수부(230)로부터 제공되는 물은 제1유로(241)를 유동하여 1차적으로 제1배수부(251)에 일부가 제공되고, 나머지는 제2유로(243)를 따라 유동되어 2차적으로 제3배수부(253)에 일부가 제공되며, 제3배수부(253)에 제공된 물을 제외한 나머지가 다시 제2유로(243)를 따라 유동되어 제2배수부(252)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241)를 유동하는 물의 일부는 구획벽(260)의 개방부(261)를 통해 직접 제2배수부(252)로 제공될 수도 있다.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supplied from the receiver 230 flows through the first flow path 241, and a part is primarily provided to the first drainage unit 251, and the rest is supplied to the second flow path ( 243) and is secondarily provided to the third drain 253, and the rest except for the water supplied to the third drain 253 flows along the second flow path 243 again to drain the second drain. section 252 may be provided. Also, part of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241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through the opening 261 of the partition wall 260 .

제3배수부(253)는 제1배수부(251) 및 제2배수부(252)와 이격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배수부(251)는 급수유닛(200)의 외부로서 터브(20) 등에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배수부(252)는 수용유닛(4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3배수부(253)는 저장유닛(300)의 저장공간(330) 또는 세제컵(340)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third drainage unit 25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ainage unit 251 and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to supply water to different locations. For example, the first drainage unit 251 may be provided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to supply water to the tub 20 and the like, and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may supply water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The third drainage part 253 may be provided to supply water to the storage space 330 of the storage unit 300 or the detergent cup 340 .

다만, 제1배수부(251), 제2배수부(252) 및 제3배수부(253)가 물을 공급하는 대상이나 위치는 반드시 위와 같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However, the object or location to which the first drainage unit 251,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and the third drainage unit 253 supply wat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s need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수부(230)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단일의 급수유로(240)를 통해 제1배수부(251), 제2배수부(252) 및 제3배수부(253)에 모두 물을 공급하여 효율적인 급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단일의 급수유로(240)는 연장방향 또는 물의 유동방향에 따라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로 구분되어 제1배수부(251), 제2배수부(252) 및 제3배수부(253) 각각에 물이 선공급되는 순서를 효과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ain 251, the second drain 252, and the third drain 253 are provided through a single water supply passage 240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from the receiver 23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efficient water supply structure by supplying both water, and the single water supply passage 240 is divided into a first passage 241 and a second passage 243 according to the extension direction or the flow direction of water, and the first drainage part 251, the order in which water is pre-supplied to each of the second drain unit 252 and the third drain unit 253 can be effectively set.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유닛(200)에 마련되는 차단벽(27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3배수부(253)는 상기 급수유닛(200)의 내부바닥면(222)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유로(243) 내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유닛(200)은 상기 제2유로(243)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3배수부(253)의 둘레측에서 상기 내부바닥면(222)으로부터 돌출되어 물의 유동저항을 형성하는 차단벽(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FIG. 10 shows a blocking wall 270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the third drainage part 253 passes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discharges water, and at least a part is disposed in the second flow path 243, The water supply unit 200 is provided in the second flow path 243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at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third drainage part 253 to form a water flow resistance (blocking wall 270). )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배수부(253)는 급수유닛(200)의 내부바닥면(222)을 관통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즉, 제3배수부(253)는 급수유닛(200)의 하방으로 물이 낙하되는 낙수 방식으로 저장유닛(300) 또는 수용유닛(400)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drainage part 253 can discharge water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 That is, the third drainage unit 253 may be provided to supply water to the storage unit 300 or the accommodation unit 400 in a dripping method in which water falls downward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

한편, 제3배수부(253)는 적어도 일부가 제2유로(243)상에 위치되어 제2유로(243)를 유동하며 제3배수부(253)를 경유하는 물의 일부가 상기 제3배수부(253)를 통해 급수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drain part 253 is located on the second flow path 243 and flow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43, and a part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third drain part 253 is transferred to the third drain part. It can be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0 through 253.

다만, 인수부(230)로부터 제공되는 물은 외부 수원의 영향으로 일정 유압 및 유속을 가지게 되고, 제2유로(243)를 경유하는 물은 제1배수부(251)가 물을 배출하지 않는 상황이거나 제1배수부(251)에 의해 일정 수준 감압되더라도, 제3배수부(253)를 경유하는 상황에서 제3배수부(253)를 통해 충분한 양의 물이 배출되기에 물의 유속이 다소 높을 수 있다.However, the water supplied from the receiving unit 230 has a certain hydraulic pressure and flow rate due to the influence of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the first drainage unit 251 does not discharge 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43. , or even if the pressure is reduced to a certain level by the first drain 251, the flow rate of water may be somewhat high because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drain 253 in a situation passing through the third drain 253. there i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바닥면(222)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유로(243)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저항을 형성하기 위한 차단벽(270)을 제3배수부(253)의 둘레측에 마련함으로써, 제3배수부(253)를 경유하는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제3배수부(25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wall 270 for forming the flow resistance of the water protruding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and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43 is provided around the third drainage part 253. By providing it on the sid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drain part 253 by reducing the flow rat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third drain part 253 .

차단벽(270)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유로(243)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차단벽(270)이 도시되어 있다.The blocking wall 27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10 shows a blocking wall 270 extending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flow direction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4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유로상에 복수의 배수부(250)가 연통된 상태에서, 차단벽(270)을 이용하여 물의 유동저항을 효과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배수부(250) 각각에 충분한 양의 물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forms water flow resistance using the blocking wall 270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drain parts 250 are in communication on one flow path,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drain parts 250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can be drained effectivel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벽(270) 및 상기 제3배수부(253)는 상기 제2유로(243)를 정의하는 양측벽 중 어느 하나와 접하고 나머지와 이격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wall 270 and the third drainage part 253 may be in contact with one of the side walls defining the second flow path 243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제2유로(243)를 정의하는 양측벽은 전술한 구획벽(260) 및 내부측벽(224)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단벽(270)과 제3배수부(253)는 구획벽(260) 및 내부측벽(224) 중 어느 하나와 접하고 나머지 하나와는 이격될 수 있다.Both side walls defining the second passage 243 may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partition wall 260 and the inner side wall 224 . 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wall 270 and the third drainage part 253 may be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partition wall 260 and the inner side wall 224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one.

제2유로(243)를 유동하는 물은 제3배수부(253)를 지나 제2배수부(252)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차단벽(270)과 제3배수부(253)는 제2유로(243)를 유동하는 물의 일부가 제3배수부(253)를 지날 수 있도록, 제2유로(243)의 양측벽 중 어느 하나와는 이격되어 물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43 passes through the third drain part 253 and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drain part 252. Accordingly, the blocking wall 270 and the third drain part 253 ar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A water passage may be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either side wall of the second flow path 243 so that a part of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243 passes through the third drainage part 253 .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단벽(270)에 접하고 내부측벽(224)과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배수부(253) 및 차단벽(270)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배수부(251)측에서 유동되어 제3배수부(253)에 도달하는 물은 차단벽(270)과 내부측벽(224)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제2배수부(252)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10 shows a third drainage portion 253 and a blocking wall 270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blocking wall 270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wall 2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from the first drain part 251 and reaching the third drain part 253 passes through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blocking wall 270 and the inner side wall 224 to the second drain part 252. can flow sideways.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배수부(253) 및 차단벽(270)이 접하는 대상이 반드시 구획벽(260)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3배수부(253) 및 차단벽(270)이 내부측벽(224)에 접하고, 차단벽(270)과 구획벽(260)의 이격된 공간으로 물이 통과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n contact with the third drainage portion 253 and the blocking wall 27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partition wall 260, and if necessary, the third drainage portion 253 and The blocking wall 27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idewall 224 and allow water to pass through a space separated from the blocking wall 270 and the partition wall 26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단벽(270)을 이용하여 물의 유동저항을 발생시켜 제3배수부(253)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효과적으로 확보함과 동시에, 차단벽(270)이 제2유로(243)의 양측벽 중 어느 하나와는 이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제2배수부(252)로의 물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secures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third drainage part 253 by generating flow resistance of water using the blocking wall 270, and at the same time, the blocking wall 270 is provided in the second flow path ( 243) is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any one of the side walls, so that the flow of water to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can be effectively achiev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유닛(200)은 낙수방지리브(2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낙수방지리브(275)는 상기 제2유로(243) 내에 마련되고, 상기 내부바닥면(222)에서 상기 차단벽(270)보다 더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제3배수부(253)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drip prevention rib 275. The drip prevention rib 275 is provided in the second flow path 243, protrudes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to a height lower than the blocking wall 270, and covers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drainage part 253. may be extended accordingly.

도 8 내지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3배수부(253)의 둘레에 마련되는 낙수방지리브(275)가 도시되어 있다.8 to 10 show a drip prevention rib 275 provided around the third drainage part 25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낙수방지리브(275)는 제2유로(243) 내에서 내부바닥면(22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낙수방지리브(275)는 차단벽(27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물의 유동저항이 비교적 감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3배수부(25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제2유로(243)에 일정수위 이하의 물이 잔존하는 경우, 제3배수부(253)로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drip prevention rib 275 may protrude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within the second passage 243 . The drip prevention rib 275 has a lower height than the blocking wall 270 and may be provided to relatively reduce the flow resistance of water, and is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drainage part 253 so as to flow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43. When water below a certain water level remains,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third drainage part 25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유닛(200)은 의류처리장치(1)의 세탁행정 등에서 작동될 수 있고, 급수유닛(200)의 작동이 종료된 이후에도 급수유닛(200)의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에는 물의 일부가 잔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unit 200 can be operated during the washing cycl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and the first flow path 241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even after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is finished. ) and a part of the water may remain in the second flow path 243 .

다만, 세제공급장치(100)가 작동되지 않는 상황에서 제2유로(243)에 잔여하는 물의 일부가 내부바닥면(222)에 형성되는 제3배수부(25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여지가 있고, 이는 급수유닛(200)의 관리에 불리할 수 있다.However, in a situation where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is not operated, there is room for some of the water remaining in the second flow path 243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ird drainage part 253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There is, which may be disadvantageous to the management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수부(230)가 물을 공급받아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에 물이 유동하는 급수유닛(200)의 작동상태가 아닌 경우, 즉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3)에 일정 수위 이하의 물이 잔존하는 상황에서 제3배수부(253)를 통해 의도치 않은 물의 배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제3배수부(253)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낙수방지리브(275)가 마련될 수 있다.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ceiving unit 230 receives water and the water flows in the first flow path 241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the water supply unit 200 is not in an operating state, that is, In order to prevent unintentional discharge of water through the third drain 253 in a situation where water below a certain level remains in the first flow path 241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the third drain ( A drip prevention rib 275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253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제3배수부(253)의 둘레 중 상기 제2배수부(252)를 향하는 일부에 상기 차단벽(270)이 배치되고, 나머지에 상기 낙수방지리브(275)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blocking wall 270 may be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drain portion 253 toward the second drain portion 252, and the drip prevention rib 275 may be disposed on the remaining portion.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배수부(252)가 급수유닛(200)의 후단측에 배치된 경우, 제3배수부(253)의 둘레 중 후방측에 상기 차단벽(270)이 배치될 수 있고, 제2배수부(252)의 둘레 중 상기 후방측을 제외한 나머지에 상기 낙수방지리브(275)가 배치될 수 있다. 낙수방지리브(275)는 차단벽(270)과 연결되어 함께 제3배수부(253)의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wall 270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drain part 253. This may be disposed, and the anti-falling rib 275 may be disposed on the res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except for the rear side. The drip prevention rib 275 may be connected to the blocking wall 270 and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third drainage part 253 together.

차단벽(270)은 제3배수부(253)는 지나는 물의 유동저항을 발생시켜 제3배수부(253)로의 물의 공급량을 증가시키기 용이하도록,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제3배수부(253)보다 하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3배수부(253)에서 하류측에 위치되는 차단벽(270)은 제3배수부(253)와 제2배수부(252)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단벽(270)은 제3배수부(253)의 둘레 중 제2배수부(252)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blocking wall 270 generates flow resistance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third drain part 253 so as to easily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third drain part 253,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third drain part 253. It can be located more downstream. The blocking wall 270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third drain part 253 may be located between the third drain part 253 and the second drain part 252,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wall 270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drain part 253 toward the second drain part 252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유닛(200)의 작동 이후 급수유닛(200) 내부에 잔존하는 물이 제3배수부(25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낙수방지리브(275)는 차단벽(270) 외에 제3배수부(253)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o prevent water remaining inside the water supply unit 200 after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ird drainage part 253, the water fall prevention rib 275 is a blocking wall ( 270), it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drainage part 253.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유닛(200)에 마련되는 보조배수부(254)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11 shows an auxiliary drainage unit 254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배수부(253)는 상기 차단벽(270)으로부터 상기 제1배수부(251)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배수부(250)는 상기 차단벽(270)을 기준으로 상기 제3배수부(253)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보조배수부(25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배수부(254)는 상기 내부바닥면(222)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drain part 253 extends from the blocking wall 270 toward the first drain part 251, and the drain part 250 is I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drain part 254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drain part 253 based on the blocking wall 270, and the auxiliary drain part 254 penetrates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It may be arranged so that water is drain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단벽(2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3배수부(253)의 둘레 중 제2배수부(252)를 향하는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달리 말하면 제3배수부(253)는 차단벽(270)으로부터 제2배수부(252)의 반대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배수부(253)는 차단벽(270)으로부터 제1배수부(25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wall 27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drain part 253 toward the second drain part 252 as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triple drain part 253 may extend from the blocking wall 270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drain part 252 . That is, the third drain part 253 may extend from the blocking wall 270 toward the first drain part 25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수부(250)는 보조배수부(254)를 더 포함하고, 보조배수부(254)는 차단벽(270)을 기준으로 제3배수부(253)의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age unit 250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drainage unit 254, and the auxiliary drainage unit 254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drainage unit 253 with respect to the blocking wall 270. It can be.

즉, 차단벽(270)을 기준으로 보조배수부(254)는 제2배수부(252)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차단벽(270)은 보조배수부(254)와 제3배수부(25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at is, the auxiliary drainage unit 254 may be located on one side facing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based on the blocking wall 270 . That is, the blocking wall 27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auxiliary drainage unit 254 and the third drainage unit 253 .

보조배수부(254)는 제3배수부(253)와 마찬가지로 급수본체(220)의 내부바닥면(222)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배수부(254)는 제3배수부(253)와 함께 저장유닛(300)의 저장공간(330) 또는 세제컵(340)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Like the third drainage unit 253, the auxiliary drainage unit 254 may be provided so tha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of the water supply body 220. The auxiliary drainage unit 254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water into the storage space 330 of the storage unit 300 or the detergent cup 340 together with the third drainage unit 253 .

보조배수부(254)는 내부바닥면(222)을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3배수부(253)는 내부바닥면(222)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다. 보조배수부(254)는 제3배수부(253)의 홀보다 면적이 더 작은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고, 보조배수부(254)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유량은 제3배수부(253)의 유량보다 작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auxiliary drainage unit 254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 Referring to FIG. 11 , the third drainage part 253 includes a hole passing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 The auxiliary drain 254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hole of the third drain 253, and the flow rate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auxiliary drain 254 is the third drain 253. It can be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flow rate of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유로(243)를 유동하는 물은 외부 수원 및 급수원에 의한 유속 및 유압을 가지며, 이에 따라 제2유로(243)상에 차단벽(270)이 마련되더라도 제3배수부(253)를 통해 충분한 양의 물이 배출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단벽(270)보다 하류측에 제3배수부(253)와 함께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보조배수부(254)를 구비하여 제3배수부(253)에서의 물의 배출량을 보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43 has a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due to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a water supply source, and accordingly, even if the blocking wall 270 is provided on the second flow path 243, the third drainage Since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may not be discharged through the unit 253,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xiliary drainage that can discharge water together with the third drainage unit 253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barrier wall 270. By providing the part 254,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third drainage part 253 can be supplemented.

한편, 다시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유닛(200)은 유동저항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동저항부(280)는 상기 제2유로(243)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배수부(251)와 상기 제3배수부(253) 사이에 배치되어 물의 유동저항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8 agai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flow resistance unit 280. The flow resistance part 280 is provided in the second passage 243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rain part 251 and the third drain part 253 to form flow resistance of water.

유동저항부(280)는 제1배수부(251) 및 제3배수부(25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유동저항부(280)는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제2유로(243)상에서 제3배수부(253)보다 상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flow resistance unit 2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drainage unit 251 and the third drainage unit 253 . That is, the flow resistance unit 280 may be located upstream of the third drainage unit 253 on the second flow path 243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water.

유동저항부(280)는 제2유로(243)상에 마련되어 제2유로(243)를 유동하는 물의 유속을 감소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유동저항부(280)는 제2유로(243)에서 물의 유동저항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low resistance unit 28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flow path 243 to reduce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43 . That is, the flow resistance unit 280 may be provided to generate flow resistance of water in the second flow path 243 .

제2유로(243)는 유동저항부(280)가 마련됨에 따라 제3배수부(253)에서 물이 배출되는 유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유동저항부(280)는 제1배수부(251)보다 제3배수부(253)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As the flow resistance part 280 is provided in the second passage 243 , the flow rate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third drain part 253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The flow resistance part 280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third drain part 253 than the first drain part 251 .

유동저항부(28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동저항부(280)는 내부바닥면(222), 구획벽(260) 및 내부측벽(22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2유로(243)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유로(243)를 유동하는 물은 제2유로(243)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유동저항부(280)에 의해 유동을 방해받아 유속이 감소될 수 있다.The flow resistance unit 28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flow resistance unit 280 may be provid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 the partition wall 260 , and the inner sidewall 224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flow path 243 . The flow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43 is hindered by the flow resistance part 280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ow path 243, so that the flow rate may be reduc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동저항부(280)는 저항돌기(282) 및 수용리브(284)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돌기(282)는 상기 내부바닥면(222)으로부터 돌출되어 물의 유동저항을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esistance part 280 may include a resistance protrusion 282 and a receiving rib 284 . The resistance protrusion 282 may protrude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to form water flow resistance.

수용리브(284)는 상기 내부바닥면(222)으로부터 상기 저항돌기(282)보다 더 낮게 돌출되고, 상기 저항돌기(282)가 위치되며 물이 수용되는 물고임공간이 정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rib 284 may protrude lower than the resistance protrusion 282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and may extend so as to define a reservoir space in which the resistance protrusion 282 is positioned and water is accommodated.

구체적으로, 저항돌기(282)는 급수본체(220)의 내부바닥면(22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저항돌기(282)의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고, 도 8에는 물의 난류성 유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원형 단면을 가지는 저항돌기(282)가 도시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resistance protrusion 282 may extend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of the water supply body 220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sistance protrusion 282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and FIG. 8 shows the resistance protrusion 282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to suppress turbulent flow of water.

수용리브(284)는 내부바닥면(222)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유로(243) 내부에 물고임공간을 정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수용리브(284)는 제2유로(243)에서 물의 일부가 고이도록 폐단면을 이루는 공간을 정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rib 284 may protrude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and may be provided to define a reservoir space inside the second passage 243 . That is, the accommodating rib 284 may be provided to define a space forming a closed section so that a part of the water in the second flow passage 243 is stored.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유로(243)의 길이방향 또는 물의 유동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수용리브(284)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수용리브(284) 사이에 물고임공간이 형성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8 shows a pair of accommodating ribs 284 extending to 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low path 243 or the flow direction of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ir of accommodating ribs ( 284) is shown forming a water reservoir space between them.

도 8에는 수용리브(284)가 구획벽(260) 및 내부측벽(224)과 연결되어 한 쌍의 수용리브(284), 구획벽(260) 및 내부측벽(224)이 함께 물고임공간을 정의하도록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수용리브(284)의 연장된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수용리브(284)는 구획벽(260) 및 내부측벽(224)과 연결되지 않고 스스로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8, the accommodating rib 284 is connected to the partition wall 260 and the inner side wall 224, so that the pair of accommodating ribs 284, the partition wall 260 and the inner side wall 224 together define a reservoir space. Although the figure provided to do so is shown, the extended form of the receiving rib 284 may vary as needed. For example, the accommodating rib 284 may extend to form a closed section by itself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partition wall 260 and the inner side wall 224 .

수용리브(284)에 의해 형성되는 물고임공간은 제2유로(243) 내에서 물의 정체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유로(243)를 유동하는 물은 상기 물고임공간을 지나면서 물의 일부가 물고임공간에 수용되고, 물고임공간에 물이 수용되는 만큼 물의 유속이 저하될 수 있고 물의 유동이 방해될 수 있다.The water reservoir space formed by the accommodating rib 284 may form a stagnation section of water in the second flow path 243 . That is, as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ssage 243 passes through the water reservoir space, a portion of the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reservoir space, and the flow rate of water can be reduced as much as the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reservoir space, and the flow of water is hindered. It can be.

저항돌기(282)는 수용리브(284)에 의해 형성되는 물고임공간 내에 위치되어 물의 유동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수용리브(284)가 내부바닥면(222)에 대해 가지는 돌출 높이는 구획벽(260) 및 내부측벽(224)보다 낮고, 저항돌기(282)보다 낮을 수 있다.The resistance protrusion 282 may be located in the water retention space formed by the accommodating rib 284 to generate flow resistance of water.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receiving rib 284 with respect to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partition wall 260 and the inner side wall 224 and lower than that of the resistance protrusion 282 .

즉, 수용리브(284)에 의한 물고임공간에는 제2유로(243)를 경유하는 물의 비교적 적은 양만이 수용되어 물의 정체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유로(243)를 경우하는 물의 나머지는 물고임공간을 지나 제3배수부(253)측으로 유동이 가능하다.That is, only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43 is accommodated in the water reservoir space by the accommodating rib 284 to cause stagnation of water, and the rest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43 It is possible to flow to the third drainage part 253 af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retention space.

저항돌기(282)는 수용리브(284)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물고임공간을 지나는 물의 유동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resistance protrusion 282 protrudes to have a higher height than the accommodating rib 284 to generate flow resistanc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reservoir space.

한편, 도 8 및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배수부(252)는 상기 급수유닛(200)의 내부바닥면(222)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고, 상기 내부바닥면(222)은 상기 제2유로(243) 내에서 상기 제3배수부(253)로부터 상기 제2배수부(252)를 향할수록 하방으로 만입되는 만입부(290)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8 and 9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penetrates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discharges water,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is discharged. The surface 222 may have a recessed portion 290 that is recessed downward toward the second drain portion 252 from the third drain portion 253 within the second passage 243 .

제2배수부(252)는 제3배수부(253)와 유사하게 내부바닥면(222)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여 급수유닛(200)의 하방으로 물이 낙수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배수부(252)는 제3배수부(253)와 유사하게 저장유닛(300)으로 물을 공급할 수도 있고, 수용유닛(400)으로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Similar to the third drainage unit 253,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may include a hole penetrating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and may be provided in such a way that water flows downward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may supply water to the storage unit 300 or the storage unit 400 similarly to the third drainage unit 253 .

제2유로(243)에서 제2배수부(252)는 물의 유동경로상 최종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제2유로(243)에서 내부바닥면(222)은 제3배수부(253)와 제2배수부(252) 사이에서 상기 제2배수부(252)를 향할수록 하방으로 만입되는 만입부(290)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cond flow path 243,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may correspond to a final area on the flow path of water. In the second passage 243,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is a recessed portion 290 that is recessed downward toward the second drain portion 252 between the third drain portion 253 and the second drain portion 252. ) can be formed.

제2배수부(252)는 상기 만입부(290)의 최저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입부(290)로 유입되는 물은 제2배수부(252)를 향하여 유동되어 제2배수부(252)를 통해 급수유닛(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second drainage part 252 may be provided in the lowermost region of the recessed part 290 . 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into the recessed part 290 may flow toward the second drain part 252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through the second drain part 252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획벽(260)의 개방부(261)를 통해 제2배수부(252)측으로 직접 물이 유동할 수 있고, 제2유로(243)는 제2배수부(252)측에서 만입부(29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개방부(261)를 통해 제2유로(243)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제2유로(243)를 역류하지 않고 제2배수부(252)로 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flow directly toward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through the opening 261 of the partition wall 260, and the second flow path 243 Since the indentation part 29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th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passage 243 through the opening part 261 does not flow backward through the second passage 243 and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만입부(290)의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만입부(290)는 제3배수부(253)로부터 급수유닛(200)의 후단을 향할수록 하방으로 만입된 깊이가 깊어지도록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specific shape of the indentation 290 may vary. 8 and 9,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ssed part 290 forms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depth of the recessed part 290 deepens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from the third drainage part 253. can do.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유닛(400)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100)는 급수유닛(200)과 더불어 저장유닛(300) 및 수용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FIG. 12 shows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200 as well as a storage unit 300 and a receiving unit 400.

저장유닛(300)은 상기 급수유닛(200)의 하방에 위치되고 내부에 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수용유닛(400)은 상기 급수유닛(200)의 하방에 위치되고 내부에 상기 저장유닛(300)이 수용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00 is locat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may store detergent therein. The accommodation unit 400 is locat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the storage unit 300 may be accommodated therein.

상기 저장유닛(300)은 상기 급수유닛(20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제와 함께 상기 수용유닛(400)의 내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수용유닛(400)의 수용바닥면(402)에는 상기 저장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과 세제가 상기 드럼(30)측으로 배출되는 드레인홀(408)이 마련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00 may be provid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discharge it together with detergent into the accommodation unit 400, and the accommodation bottom surface 402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A drain hole 408 through which water and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300 are discharged toward the drum 30 may be provided.

구체적으로, 수용유닛(400)은 내부에 저장유닛(3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및 수용될 수 있다. 수용유닛(400)은 저장유닛(300)이 삽입되는 일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급수유닛(200)이 위치되는 또 다른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Specific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age unit 300 may be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400 . In the accommodation unit 400, one surface into which the storage unit 300 is inserted may be opened, and another surface into which the water supply unit 200 is positioned may be opened.

예컨대, 수용유닛(400)은 전면이 개방되어 전방으로부터 저장유닛(300)이 삽입될 수 있고, 상면이 개방되어 상방에 배치되는 급수유닛(200)에 수용유닛(400)의 내부를 향해 물을 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orage unit 400 has an open front surface so that the storage unit 300 can be inserted from the front, and an open top surface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200 disposed above toward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400. can be ejected.

저장유닛(300)은 급수유닛(200)에 마련되는 복수의 배수부(25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유닛(300)은 세제가 저장되며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공간은 각각 서로 다른 배수부(250)로부터 낙수 방식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storage unit 300 may be provided to receive water from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rainage units 250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200 .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paces in which detergent is stored and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may receive water from different drainage units 250 through a dripping method.

저장유닛(300)은 급수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내부에 저장된 세제가 함께 배출될 수 있는 세제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배출부는 저장유닛(300)의 하면 중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00 may include a detergent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detergent stored therein may be discharged together.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300 may be formed by opening the detergent discharge unit.

저장유닛(300)에서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들은 상기 세제배출부와 연통되어 물과 세제가 상기 세제배출부를 통해 저장유닛(3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제 및 물은 수용공간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Spaces where detergen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 communicate with the detergent outlet, so that water and detergen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300 through the detergent outlet. Detergent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300 may flow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세제배출부는 저장유닛(300)에서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별로 마련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세제배출부에 복수의 공간이 연통될 수도 있다. 세제배출부는 저장유닛(300)의 하면에 홀의 형태로 마련되거나 상기 하면 일부가 개방 또는 절개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detergent discharge unit may be provided for each space in which detergen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 or a plurality of spaces may communicate with one detergent discharge unit. The detergent discharge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300 or may be provided in an open or incised form.

한편, 수용유닛(400)은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수용바닥면(402) 및 수용측벽(404)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측벽(404)은 수용바닥면(402)의 측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제1수용측벽(405) 및 측방향 타측에 위치되는 제2수용측벽(406)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accommodating unit 400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bottom surface 402 and an accommodating side wall 404 defining an internal space. The accommodating sidewall 404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sidewall 405 located on one lateral side of the accommodating bottom surface 402 and a second accommodating sidewall 406 located on the other lateral side.

저장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제와 물은 수용유닛(400)에 마련되는 드레인홀(408)을 통해 수용유닛(4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수용유닛(400)의 드레인홀(408)은 호스 등과 연결되어 터브(20)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수용유닛(400)의 드레인홀(408)을 통해 세제공급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물과 세제는 터브(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Detergent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3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through a drain hole 408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unit 400 . The drain hole 408 of the accommodating unit 400 may be connected to a hose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tub 20 . That is, water and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00 through the drain hole 408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may be supplied into the tub 20 .

드레인홀(408)은 수용바닥면(402)에 마련될 수 있다. 수용바닥면(402)은 적어도 일부가 드레인홀(408)을 향해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는 수용바닥면(402)의 측방향 일측에 드레인홀(408)이 위치되고, 수용바닥면(402)의 측방향 타측은 상기 드레인홀(408)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드레인홀(408)은 수용바닥면(402)에서 후방측에 위치되고, 수용바닥면(402)은 적어도 일부가 드레인홀(408)을 향해 후방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The drain hole 408 may be provided on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clined toward the drain hole 408 . 12, a drain hole 408 is located on one lateral side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and the other lateral side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is inclined toward the drain hole 408, and the drain hole ( 408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is provided in a shape inclined backward toward the drain hole 408.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배수부(251), 제2배수부(252) 및 제3배수부(253)는 서로 다른 위치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부(251)는 상기 터브(20)와 연결되는 터브호스(54)로 물을 배출하여 상기 터브(20)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제2배수부(252)는 상기 급수유닛(200)의 내부바닥면(222)을 관통하여 물을 배출하여 상기 수용바닥면(402)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배수부(253)는 상기 급수유닛(200)의 내부바닥면(222)을 관통하여 물을 배출하여 상기 저장유닛(300)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ain unit 251, the second drain unit 252, and the third drain unit 253 may supply water to different positions. The first drainage part 251 discharges water through the tub hose 54 connected to the tub 20 to supply water to the tub 20, and the second drain part 252 supplies the water.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of the unit 200 and supplied to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and the third drainage part 253 is the inner bottom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Wate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urface 222 and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300 .

제1배수부(2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유닛(200)의 내부측벽(224)에 구비되어 터브호스(54)와 연결됨으로써 세탁 행정 중 사용될 수 있도록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제1배수부(251)와 터브호스(54)가 연결된 모습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rainage part 251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wall 224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is connected to the tub hose 54 to supply water to the inside of the tub 20 so that it can be us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drain unit 251 and the tub hose 54 is shown in FIG. 3 .

제2배수부(252)는 급수유닛(200)의 후방측에 마련되어 저장유닛(300)의 저장공간(330)이 아닌 수용유닛(400)의 내부공간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저장유닛(300)은 제2배수부(252)와 대응되는 위치가 개방되어 물통과부(350)가 마련되고, 제2배수부(252)로부터 낙하되는 물은 저장유닛(300)의 물통과부(350)를 통과하여 수용유닛(400)의 내부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The second drainage unit 252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to discharge water into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instead of into the storage space 330 of the storage unit 300 . Referring to FIG. 5, the storage unit 300 is provided with a water passage part 350 by openi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ain part 252, and the water falling from the second drain part 252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passage part 350 of 300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

제3배수부(253)는 저장유닛(300)의 저장공간(330)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저장유닛(300)에 마련되는 복수의 저장공간(3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3배수부(253)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제3배수부(253)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third drainage unit 253 may discharge water into the storage space 330 of the storage unit 300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330 provided in the storage unit 300 is located below the third drainage part 253 and has an open upper surface to drain water discharged from the third drainage part 253. It can be arranged to be supplied.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유닛(4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유동가이드홈(410)이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상기 유동가이드홈(410)을 확대하여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12 shows a flow guide groove 410 provided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40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has been

도 12 내지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바닥면(402)에는 상기 수용유닛(400)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배수부(252)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전방을 향해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동가이드홈(410)이 마련될 수 있다.12 and 1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extends fo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receiving unit 400 and is supplied from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A flow guide groove 410 guiding the flow toward the front may be provided.

유동가이드홈(410)은 수용바닥면(402) 또는 수용측벽(404)상에 마련될 수 있다. 유동가이드홈(410)은 수용유닛(40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된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유동가이드홈(410)은 수용유닛(40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low guide groove 410 may be provided on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or the receiving side wall 404 . The flow guide groove 410 may have the shape of a groove recessed away from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unit 400, and the flow guide groove 410 may exten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unit 400.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300)은 캐비닛(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유동가이드홈(410) 또한 대략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유동가이드홈(410)의 후단은 수용유닛(400)의 수용후방벽에 접할 수 있으며, 전단은 상기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300 can be mov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10, and the flow guide groove 410 can also extend substantially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The rear end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rear wall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and the front end may be located forward of the rear end.

유동가이드홈(410)의 일부는 급수유닛(200)의 제2배수부(252)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배수부(252)로부터 배출되는 낙수는 유동가이드홈(41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배수부(252)는 급수유닛(200)의 후단부에 위치될 수 있고, 유동가이드홈(410)의 후단부 또한 수용유닛(400)의 후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A part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 That is, the fal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may be provided to the flow guide groove 410 .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may b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the rear end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may also b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배수부(252)는 저장유닛(300)을 회피하여 수용유닛(400)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은 제2배수부(252)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수용유닛(400) 내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제2배수부(252)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통과되는 물통과부(350)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may supply water to the accommodation unit 400 while avoiding the storage unit 300 . The storage unit 300 includes a water passage part 350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rain part 252 passes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rain part 252 can be directly supplied into the accommodation unit 400. can have

저장유닛(300)은 내부에 저장된 세제를 수용유닛(400)의 수용바닥면(402)측으로 배출할 수 있고, 캐비닛(10)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배수부(252)는 배출되는 물이 저장유닛(300)을 효율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급수유닛(200)의 후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00 may discharge the detergent stored therein to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side of the receiving unit 400, and may be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Accordingly,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may b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so that discharged water can efficiently avoid the storage unit 30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세탁행정에서 수용유닛(400)의 수용바닥면(402)에는 세제가 존재할 수 있으며, 물과 함께 제공되는 세제는 수용바닥면(402) 전체로 확산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gent may be present on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of the receiving unit 400, and the detergent provided together with water may be present on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 402) can be diffused throughout.

나아가, 저장유닛(300)의 인입과정 및 인출과정에서 저장유닛(300)에 저장된 세제의 일부가 의도치 않게 저장유닛(300)의 세제배출부를 통해 수용유닛(400)의 수용바닥면(402)으로 유출될 수 있고, 저장유닛(300)의 이동에 의해 세제가 수용유닛(400)의 후단부뿐만 아니라 전단부 측으로 유출될 수도 있다.Furthermore, during the process of withdrawing and withdrawing the storage unit 300, a portion of the deterg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 unintentionally passes through the detergent outlet of the storage unit 300 to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of the storage unit 400. Detergent may flow out to the front end as well as the rear end of the storage unit 400 due to the movement of the storage unit 300 .

수용유닛(400)의 수용바닥면(402)에 존재하는 세제가 세탁행정의 종료 이후에도 수용유닛(400) 내부에 잔존하게 되면 세제의 고착과 이에 따른 위생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용유닛(400)의 내부 세척이 요구될 수 있다.If the detergent present on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of the receiving unit 400 remains inside the receiving unit 400 even after the end of the washing cycle, the detergent may adhere and consequently a sanitary problem may occur. Therefore, the receiving unit 400 ) may require internal clea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배수부(252)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직접 수용유닛(400)의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제2배수부(252)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세척수로 활용하여 수용유닛(40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is direct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is used as washing water to clean the accommodation unit ( 400) can be clean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배수부(252)는 캐비닛(10)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인출하고 가능하고 세제를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저장유닛(300)과의 구조적인 간섭을 피하여 수용유닛(400)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유닛(200)의 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is moved forward from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and is drawn out to the outside, avoiding structural interference with the storage unit 300 provided to store the detergent, and thus forming an accommodation unit. It may be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so as to supply water to 400.

다만, 수용유닛(400)의 수용바닥면(402)의 후단부로 물을 공급하는 경우 수용바닥면(402)의 전방까지 세척이 수행되는 데에 불리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용바닥면(402)에 유동가이드홈(410)을 형성하여 제2배수부(252)에서 제공되는 물을 수용바닥면(402)의 전방까지 확산시켜 세척수의 도달면적 및 세척 면적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However,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rear end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of the receiving unit 400, it may be disadvantageous to wash up to the front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guide groove 410 is formed on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to sprea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to the front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to effectively increase the reach area and washing area of the washing water. can

유동가이드홈(410)은 제2배수부(252)로부터 배출되는 물, 즉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전방으로 가이드하면 족하므로, 유동가이드홈(410)의 전단이 반드시 수용바닥면(402)의 전단까지 연장되지 않아도 무방하다.The flow guide groove 410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that is, the washing water, and since it is sufficient to guide the 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forward, the flow guide groove 410 The front end of is not necessarily extended to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유닛(400)은 측방향 일측에 제1수용측벽(405)이 마련되고 타측에 제2수용측벽(406)이 마련되며, 상기 드레인홀(408)은 상기 제2수용측벽(406)보다 상기 제1수용측벽(405)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2배수부(252) 및 상기 유동가이드홈(410)은 상기 제1수용측벽(405)보다 상기 제2수용측벽(406)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unit 400 is provided with a first accommodating side wall 405 on one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second accommodating side wall 406 on the other side, and the drain hole 408 is It is located closer to the first accommodating side wall 405 than the second accommodating side wall 406, and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and the flow guide groove 410 are closer than the first accommodating side wall 405. It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receiving side wall 406.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배수부(252)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저장유닛(300)을 회피하여 수용유닛(400)의 수용바닥면(402)으로 제공되어야 하고, 따라서 저장유닛(300)의 회피가 용이하도록 제2배수부(252)는 급수유닛(200)에서 측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편향되어 위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should avoid the storage unit 300 and be provided to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of the receiving unit 400, and thus avoiding the storage unit 300. For ease of use,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may be bias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in a lateral direction in the water supply unit 200.

이와 유사하게, 수용유닛(400)의 수용측벽(404)은 제1수용측벽(405) 및 제2수용측벽(406)을 포함할 수 있고, 유동가이드홈(410)은 제2배수부(252)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제2수용측벽(406)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드레인홀(408)은 반대측인 제1수용측벽(405)에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수용유닛(400)의 구성간 배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imilarly, the accommodating side wall 404 of the accommodating unit 400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side wall 405 and a second accommodating side wall 406, and the flow guide groove 410 may include a second drainage part 252 )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second accommodating side wall 406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cation, and the drain hole 408 is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accommodating side wall 405 on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accommodating unit 400 Arrangements can be made efficiently.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유닛(400)의 수용바닥면(402) 또는 제2수용측벽(406)은 물과 세제가 드레인홀(408)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홀(408)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or the second accommodating side wall 406 of the accommodating unit 400 is inclined toward the drain hole 408 so that water and detergent can flow into the drain hole 408. can be formed

한편, 도 13을 참고하면, 수용유닛(400)은 유동가이드리브(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동가이드리브(420)는 상기 수용바닥면(402)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유동가이드홈(410)에서 상기 제1수용측벽(405)을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가이드홈(410)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유동가이드홈(410)의 물이 상기 드레인홀(408)측으로 유동하는 것으로 억제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3 , the accommodating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flow guide rib 420 . The flow guide rib 420 protrudes from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toward the first receiving side wall 405, and is parallel to the flow guide groove 410. It is extended so that the flow of water in the flow guide groove 410 toward the drain hole 408 can be suppressed.

유동가이드리브(420)는 유동가이드홈(410)을 따라 유동하는 세척수가 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유동가이드홈(410)을 이탈하여 수용바닥면(402)의 후단측에서 드레인홀(408)을 향해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low guide rib 420 prevents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flow guide groove 410 from moving forward and leaves the flow guide groove 410 toward the drain hole 408 from the rear end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It may be provided to suppress the flow.

예컨대, 제2배수부(252)에서 제공되는 세척수의 양은 경우에 따라 유동가이드홈(410)의 용적 이상이어서 유동가이드홈(410)을 이탈하여 드레인홀(408)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mount of washing water provided from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is greater than the volume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in some cases, so that it may flow toward the drain hole 408 leaving the flow guide groove 410 .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동가이드홈(410)은 수용바닥면(402) 또는 제2수용측벽(406)에서 드레인홀(408)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영역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경사영역에 의해 유동가이드홈(410)을 따라 유동하는 물이 드레인홈을 향해 유출될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Furtherm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guide groove 410 may be provided in an inclined region inclined toward the drain hole 408 from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or the second receiving side wall 406, In this case, the possibility that water flowing along the flow guide groove 410 flows out toward the drain groove may be increased by the inclined reg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동가이드홈(410)의 둘레 중 상기 드레인홀(408) 또는 상기 제1수용측벽(405)을 향하는 일측에서 유동가이드홈(410)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유동가이드리브(420)가 마련됨으로써, 제2배수부(252)로부터 제공되는 물이 안정적으로 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w extending parallel to the flow guide groove 410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toward the drain hole 408 or the first receiving side wall 405. As the guide ribs 420 are provided,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can be stably moved forward.

유동가이드리브(420)는 수용바닥면(402)으로부터 대략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유동가이드리브(420)는 유동가이드홈(410)과 함께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유동가이드리브(420)는 유동가이드홈(410)과 드레인홀(40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low guide rib 420 may protrude substantially upward from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 The flow guide rib 420 may extend in parallel with the flow guide groove 410 . The flow guide rib 4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low guide groove 410 and the drain hole 408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가이드리브(420)는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유동가이드홈(410)의 물 중 일부가 상기 드레인홀(408)을 향해 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flow guide rib 420 may be opened so that a portion of water in the flow guide groove 410 flows toward the drain hole 408 .

즉, 유동가이드리브(420)는 제2배수부(252)를 따라 유동하는 물의 일부가 수용유닛(400)의 후단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되어 물이 유출되는 개방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flow guide rib 420 may be partially opened to form an open area through which water flows out so that a portion of the water flowing along the second drainage portion 252 can wash the rear end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there is.

도 13에는 유동가이드리브(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개방영역이 도시되어 있다. 유동가이드리브(420)는 개방영역을 제외한 리브영역이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나머지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13 shows a plurality of open area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guide rib 420 . In the flow guide rib 420, the rib area excluding the open area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rest at the front and rear ends.

상기 개방영역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3에는 유동가이드리브(420)의 일부가 생략되어 리브영역이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개방영역의 형성 방식이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개방영역은 유동가이드리브(420)에 홀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open area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13 shows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flow guide rib 420 is omitted and the rib area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the method of forming the open area is not necessarily limited in this way. 42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동가이드홈(410) 및 유동가이드리브(420)를 통해 제2배수부(252)로부터 제공되는 세척수를 안정적으로 전방까지 유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세척수의 일부는 후단부에서 상기 유동가이드홈(410)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용유닛(400)의 후단부 세척 또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bly flows the washing water provided from the second drainage part 252 to the front through the flow guide groove 410 and the flow guide rib 420, and at the same time, a part of the washing water flows to the rear end. The cleaning of the rear end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can also be effectively performed by allowing the water to flow out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한편,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유닛(400)은 제한가이드리브(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가이드리브(430)는 상기 수용바닥면(402)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유동가이드홈(410)에서 상기 제1수용측벽(405)을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가이드홈(41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동가이드홈(410)에서 유출되는 물의 전방 유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3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ng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limiting guide ribs 430 . The limiting guide rib 430 protrudes from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toward the first receiving side wall 405, and has a length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It extends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direction and may be provided to limit the forward flow of water flowing out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가이드리브(420)의 일부가 개방되어 유동가이드홈(410)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일부가 상기 유동가이드홈(410) 외측으로 유출되더라도, 유동가이드홈(410)을 따라 유동하며 발생되는 세척수는 전방을 향한 유동성이 존재하므로, 유동가이드홈(410) 및 유동가이드리브(420)를 벗어나 드레인홀(408)측으로 유출되는 세척수는 전방으로 일정량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용바닥면(402)의 후단측 세척에 불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ven if a part of the flow guide rib 420 is opened and some of the water flowing along the flow guide groove 410 flows out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it flows along the flow guide groove 410 and Since the generated washing water has forward fluidity, the washing water flowing out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and the flow guide rib 420 and flowing out toward the drain hole 408 can move forward by a certain amount, and thus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 may be disadvantageous for washing the downstream side of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용바닥면(402)에 유동가이드홈(410) 및 유동가이드리브(420)를 벗어나 유출되는 물의 일부에 대해 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가이드리브(430)가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guide groove 410 and the flow guide rib 420 on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limit guide rib 430 for limiting the forward movement of a part of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flow guide rib 420 can be provided.

제한가이드리브(430)는 유동가이드홈(41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한가이드리브(430)는 대략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유동가이드홈(4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수용유닛(400)의 후단에 더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The limiting guide rib 430 may exten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 For example, the limiting guide ribs 430 may extend substantially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may extend closer to the rear end of the accommodating unit 400 as the distance from the flow guide groove 410 increases.

제한가이드리브(430)는 수용바닥면(402)으로부터 대략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일단이 유동가이드리브(420) 또는 유동가이드홈(410)을 향하고 타단은 수용후방벽 또는 제1수용측벽(405)을 향할 수 있다.The limiting guide rib 430 may protrude substantially upward from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one end facing the flow guide rib 420 or the flow guide groove 410 and the other end of the receiving rear wall or the first receiving side wall ( 405) may be directed.

제한가이드리브(430)는 유동가이드리브(420)로부터 멀어질수록 수용바닥면(402)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점차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한가이드리브(430)는 유동가이드홈(410)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일부는 전방으로 유동되고 나머지가 후방에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limiting guide rib 43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protruding height from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gradually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flow guide rib 420 increases. Accordingly, the limiting guide rib 430 may allow a portion of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flow guide groove 410 to flow forward and the rest to flow backward.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유도홈(440) 및 유출억제턱(445)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측벽(404)의 전단부에는 상기 수용바닥면(402)의 전단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급수유닛(200) 또는 상기 저장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수용바닥면(402)의 전단부를 향하도록 유도하는 전방유도홈(440)이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4 shows the front guide groove 440 and the outflow restraining jaw 44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4,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side wall 404 extends toward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to discharg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0 or the storage unit 300. A front guide groove 440 for guiding water to be directed toward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전방유도홈(440)의 전방에는 상기 수용유닛(400)으로부터 물이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돌출되는 유출억제턱(445)이 마련되고, 상기 전방유도홈(440)은 상기 유출억제턱(445)에 가까울수록 만입되는 깊이가 깊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in front of the front guide groove 440, an outflow prevention jaw 445 protruding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out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is provided, and the front guide groove 440 is provided with the outflow prevention jaw. The closer to 445, the deeper the indentation depth may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배수부(252)를 통해 수용유닛(400)의 후단부측에 세척수를 제공함과 동시에, 급수유닛(200)에 마련되는 복수의 배수부(250) 중 일부가 수용유닛(400)의 전단부측으로 세척수를 추가 공급하여 수용유닛(400)의 내부를 세척할 수도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washing water to the rear end of the receiving unit 400 through the second drainage unit 252, and at the same time, some of the plurality of drainage units 250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200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may be washed by additionally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front end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

예컨대, 전술한 제1배수부(251)는 터브호스(54)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함과 별개로, 급수유닛(200)의 내부바닥면(222)을 관통하는 홀을 더 포함하여 수용유닛(400)의 수용바닥면(402)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first drainage unit 251 is connected to the tub hose 54 to selectively supply water into the tub 20, and separately from passing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222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It may be provided to supply water to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of the receiving unit 400 by further including a hole.

급수유닛(200)의 복수의 배수부(250) 중 수용유닛(400)의 전단측에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250)는 저장유닛(300)을 용이하게 회피하기 위해 급수본체(220)의 내부측벽(224)에 접하거나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급수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전방유도홈(440)은 수용유닛(400)의 수용측벽(404)에 마련될 수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drainage units 250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the drainage unit 250 discharging water to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unit 400 is a water supply unit 220 to easily avoid the storage unit 300. The front guide groove 440 may be located in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inner side wall 224, and the front guide groove 440 may be provided on the receiving side wall 404 of the receiving unit 400 so that the washing water provid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flow therein. can

전방유도홈(440)은 수용공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되는 홈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전방유도홈(440)은 수용측벽(404)에서 측방향 외측으로 함입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front guide groove 44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groove that is recessed away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For example, the front guide groove 440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is recessed from the receiving side wall 404 to the out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급수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는 상기 전방유도홈(440)으로 낙하되어 전방유도홈(440)을 따라 수용바닥면(402)의 전단부측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즉, 전방유도홈(440)은 급수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가 수용바닥면(402)의 전단부측으로 집중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fall into the front guide groove 440 and flow toward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along the front guide groove 440 . That is, the front guide groove 440 may guid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0 to be concentrated toward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to flow.

유출억제턱(445)은 수용유닛(400)의 수용바닥면(402) 및/또는 수용측벽(404)의 전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유출억제턱(445)은 수용유닛(400)의 내면으로부터 수용공간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outflow restraining jaw 445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accommodation bottom surface 402 and/or the accommodation side wall 404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 The outflow restraining jaw 445 may be provid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유출억제턱(445)은 수용바닥면(402)의 전단부에 제공되는 세척수가 수용유닛(400)의 전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동가이드홈(410) 등을 통해 급수유닛(200)으로부터 수용유닛(400) 내부로 제공되는 세척수가 수용바닥면(402)의 전단부까지 효율적으로 제공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출억제턱(445)에 의해 수용유닛(400)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e outflow restraining jaw 445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accommodation bottom surface 402 from leaking forward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water provid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0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through the flow guide groove 410 is efficiently provided to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402.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outflow of water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by the outflow restraining jaw 445 .

유출억제턱(445)은 대략 측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유출억제턱(445)은 수용유닛(400)의 전단부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유출억제턱(445)은 전방유도홈(44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The outflow restraining jaw 445 may extend approximately in a lateral direction. The leakage restraining jaw 445 may extend alo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end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 The outflow restraining jaw 445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guide groove 440 .

한편, 전방유도홈(440)은 유출억제턱(445)에 가까워질수록 만입되는 깊이가 깊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전방유도홈(440)의 후단은 수용측벽(404)에 대해 연속된 일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전방유도홈(440)의 전단은 유출억제턱(445)과의 관계에서 단차진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rward guide groove 44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depth of indentation becomes deeper as it approaches the outflow restraining jaw 445. That is, the rear end of the front guide groove 440 can form a continuous surface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side wall 404, and the front end of the front guide groove 440 has a stepped shape in relation to the outflow restraining jaw 445. can form

전방유도홈(440)은 수용측벽(404)과의 관계에서 연속된 곡면 또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유도홈(440) 내부를 유동하는 세척수가 모서리 등에 부딕혀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유출억제턱(445)과의 관계에서 세척수가 전방으로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The front guide groove 440 may form a continuous curved or inclined surface in relation to the receiving side wall 404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washing water flowing inside the front guide groove 440 from being scattered by bumping into corners, etc., and to effectively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forward in relation to the outflow restraining jaw 445.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유로(240)는 상기 인수부(230)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1유로(241) 및 상기 제1유로(241)의 단부로부터 상기 인수부(230)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제2유로(243)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250)는 상기 제1유로(241)의 상기 단부에 연결되는 제1배수부(251) 및 상기 제2유로(243)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배수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assage 240 includes a first passage 241 extending away from the receiving part 230 and an end of the first passage 241. It includes a second flow path 243 extending close to the receiver part 230, and the drain part 250 includes a first drain part 251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flow path 241 and the first drain part 251. A second drainage part 252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passage 243 may be included.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known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claims below. It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 의류처리장치 10 : 캐비닛
11 : 전방플레이트 12 : 의류도어
20 : 터브 30 : 드럼
50 : 급수부 52 : 급수호스
54 : 터브호스 100 : 세제공급장치
200 : 급수유닛 210 : 급수커버
220 : 급수본체 222 : 내부바닥면
224 : 내부측벽 230 : 인수부
240 : 급수유로 241 : 제1유로
242 : 절곡부 243 : 제2유로
250 : 배수부 251 : 제1배수부
252 : 제2배수부 253 : 제3배수부
254 : 보조배수부 260 : 구획벽
261 : 개방부 270 : 차단벽
275 : 낙수방지리브 280 : 유동저항부
282 : 저항돌기 284 : 수용리브
290 : 만입부 300 : 저장유닛
310 : 저장프레임 320 : 손잡이부
330 : 저장공간 340 : 세제컵
350 : 물통과부 400 : 수용유닛
402 : 수용바닥면 404 : 수용측벽
405 : 제1수용측벽 406 : 제2수용측벽
408 : 드레인홀 410 : 유동가이드홈
420 : 유동가이드리브 430 : 제한가이드리브
440 : 전방유도홈 445 : 유출억제턱
1: clothes handling device 10: cabinet
11: front plate 12: clothing door
20: tub 30: drum
50: water supply unit 52: water supply hose
54: tub hose 100: detergent supply device
200: water supply unit 210: water supply cover
220: water supply body 222: inner bottom surface
224: inner sidewall 230: receiving part
240: water supply passage 241: first passage
242: bending part 243: second passage
250: drainage unit 251: first drainage unit
252: second drain 253: third drain
254: auxiliary drain 260: partition wall
261: opening 270: barrier
275: drip prevention rib 280: flow resistance part
282: resistance protrusion 284: receiving rib
290: recessed part 300: storage unit
310: storage frame 320: handle
330: storage space 340: detergent cup
350: water passage part 400: accommodation unit
402: receiving floor 404: receiving side wall
405: first accommodating side wall 406: second accommodating side wall
408: drain hole 410: flow guide groove
420: floating guide rib 430: limiting guide rib
440: front guide groove 445: spill restraint jaw

Claims (23)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저장되는 세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세제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세제공급장치 내부로 공급하는 급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급수유닛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인수부;
상기 인수부와 연통되어 물이 유동하는 급수유로; 및
상기 급수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급수유닛의 외부로 물이 배출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제1배수부 및 상기 제1배수부보다 상기 인수부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제2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인수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1배수부와 연통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배수부로부터 상기 인수부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 배수부와 연통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storing water therein;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and receiving clothes therein; and
A detergent supply devic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supplying detergent stored therein to the inside of the drum;
The detergent supply device,
A water supply unit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and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The water supply unit,
a receiving uni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supply passage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er; and
Including; a drainage unit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discharg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The drainage unit includes a first drainage unit and a second drainage unit located closer to the receiving unit than the first drainage unit,
The water supply passage includes a first passage extending away from the receiving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rainage portion and a second passage extending from the first drainage portion to approach the receiving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drainage portion. A clothes handling devi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수부 및 상기 제2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후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배수부는 상기 인수부 및 상기 제2배수부보다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인수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제2배수부측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drainage unit ar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supply unit,
The first drainage unit is located in front of the receiver and the second drainage unit,
The first passage extends forward from the receiving part,
The second passage extends backward from the second drainage part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내부측벽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유로는 상기 내부측벽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배수부에 연결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절곡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배수부와 연통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rainage unit is provided so tha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sidewall of the water supply unit,
The first flow passage includes a bent portion bent toward the inner sidewall and connected to the first drainage portion,
The second passage is connected to the bent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drainage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내부측벽 및 상기 구획벽 사이에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water supply unit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between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The second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idewall and the partition wal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제2배수부를 마주보는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물의 일부가 직접 상기 제2배수부를 향해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partition wall is provided with an opening portion formed at a portion facing the second drain portion so that a portion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directly flows toward the second drai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배수부와 상기 제2배수부 사이에서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는 제3배수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unit further includes a third drain par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low path between the first drain part and the second drain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내부바닥면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유로 내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제2유로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3배수부의 둘레측에서 상기 내부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물의 유동저항을 형성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6,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drainage unit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at least a part is disposed in the second passage,
The water supply unit,
and a blocking wall provided in the second passage and protruding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at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third drainage part to form resistance to the flow of wat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 및 상기 제3배수부는 상기 제2유로를 정의하는 양측벽 중 어느 하나와 접하고 나머지와 이격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blocking wall and the third drainage part are in contact with one of side walls defining the second flow path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 내에 마련되고, 상기 내부바닥면에서 상기 차단벽보다 더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제3배수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낙수방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7,
and a water fall prevention rib provided in the second passage, protruding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to a height lower than the blocking wall, an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drainage par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배수부의 둘레 중 상기 제2배수부를 향하는 일부에 상기 차단벽이 배치되고, 나머지에 상기 낙수방지리브가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wherein the blocking wall is disposed on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drain part facing the second drain part, and the water fall prevention rib is disposed on the remaining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배수부는 상기 차단벽으로부터 상기 제1배수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차단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3배수부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보조배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배수부는 상기 내부바닥면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third drain part extends from the blocking wall toward the first drain part,
The drainage uni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drainage unit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drainage unit based on the blocking wall,
The auxiliary drainage unit is provided to discharge water passing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내부바닥면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고,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제2유로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배수부와 상기 제3배수부 사이에 배치되어 물의 유동저항을 형성하는 유동저항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6,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drain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The water supply unit,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flow resistance unit provided in the second flow passage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drainage unit and the third drainage unit to form flow resistance of wat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저항부는,
상기 내부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물의 유동저항을 형성하는 저항돌기; 및
상기 내부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저항돌기보다 더 낮게 돌출되고, 상기 저항돌기가 위치되며 물이 수용되는 물고임공간이 정의되도록 연장되는 수용리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flow resistance part,
resistanc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to form water flow resistance; and
and an accommodating rib protruding lower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than the resistance protrusion and extending to define a reservoir space in which the resistance protrusion is positioned and water is accommoda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내부바닥면을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고,
상기 내부바닥면은 상기 제2유로 내에서 상기 제3배수부로부터 상기 제2배수부를 향할수록 하방으로 만입되는 만입부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6,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age part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The inner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that is recessed downward toward the second drain portion from the third drain portion in the second flow pass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급수유닛의 하방에 위치되고 내부에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유닛; 및
상기 급수유닛의 하방에 위치되고 내부에 상기 저장유닛이 수용되는 수용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급수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제와 함께 상기 수용유닛의 내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수용유닛의 수용바닥면에는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물과 세제가 상기 드럼측으로 배출되는 드레인홀이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detergent supply device,
a storage unit locat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and storing detergent therein; and
Further comprising a receiving unit locat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and accommodating the storage unit therein,
The storage unit is provid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and discharge it into the receiving unit together with detergent,
A drain hole through which water and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are discharged toward the drum is provided on a receiving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배수부와 상기 제2배수부 사이에서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는 제3배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배수부는 상기 터브와 연결되는 터브호스로 물을 배출하여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제2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내부바닥면을 관통하여 물을 배출하여 상기 수용바닥면으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제3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내부바닥면을 관통하여 물을 배출하여 상기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drain unit further includes a third drain par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low path between the first drain part and the second drain part,
The first drainage unit discharges water through a tub hose connected to the tub to supply water to the tub;
The second drainage unit discharges water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supplies water to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The third drainage part penetrates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to discharge water and supplies water to the storage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내부바닥면을 통해 상기 수용바닥면으로 물을 배출하고,
상기 수용바닥면에는 상기 수용유닛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배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전방을 향해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동가이드홈이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second drainage unit discharges water to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throug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A flow guide groove extending fo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accommodating unit to guid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drainage part to flow forward is provided on the accommodating bottom surfa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측방향 일측에 제1수용측벽이 마련되고 타측에 제2수용측벽이 마련되며,
상기 드레인홀은 상기 제2수용측벽보다 상기 제1수용측벽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2배수부 및 상기 유동가이드홈은 상기 제1수용측벽보다 상기 제2수용측벽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7,
The rece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accommodating side wall on one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second accommodating side wall on the other side,
The drain hole is located closer to the first accommodating sidewall than the second accommodating sidewall,
The second drainage part and the flow guide groove are positioned closer to the second accommodating sidewall than to the first accommodating sidewal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수용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유동가이드홈에서 상기 제1수용측벽을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가이드홈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유동가이드홈의 물이 상기 드레인홀측으로 유동하는 것으로 억제하는 유동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8,
The receiving unit,
It protrudes from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low guide groove toward the first receiving side wall, and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flow guide groove to prevent the water in the flow guide groove from flowing toward the drain hol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flow guide rib.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리브는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유동가이드홈의 물 중 일부가 상기 드레인홀을 향해 유출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9,
The flow guide rib is partially opened so that a portion of water in the flow guide groove flows toward the drain hol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수용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유동가이드홈에서 상기 제1수용측벽을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가이드홈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동가이드홈에서 유출되는 물의 전방 유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제한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8,
The receiving unit,
It protrudes from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low guide groove toward the first receiving side wall, and extends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guide groove to prevent the forward flow of water flowing out of the flow guide groove. A clothes handl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limiting guide rib provided to limit the limiting guide rib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측방향 양측에 각각 수용측벽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측벽의 전단부에는 상기 수용바닥면의 전단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급수유닛 또는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수용바닥면의 전단부를 향하도록 유도하는 전방유도홈이 마련되며,
상기 전방유도홈의 전방에는 상기 수용유닛으로부터 물이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돌출되는 유출억제턱이 마련되고,
상기 전방유도홈은 상기 유출억제턱에 가까울수록 만입되는 깊이가 깊어지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7,
The receiving unit is provided with receiving side walls on both s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side wall is provided with a front guide groove extending toward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to guid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storage unit toward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bottom surface,
In front of the front guide groove, an outflow prevention jaw protruding to suppress the outflow of water from the accommodation unit is provide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claim 1 , wherein the front guide groove is provided such that a recessed depth thereof is deepened as it is closer to the outflow prevention jaw.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저장되는 세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세제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세제공급장치 내부로 공급하는 급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급수유닛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인수부;
상기 인수부와 연통되어 물이 유동하는 급수유로; 및
상기 급수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급수유닛의 외부로 물이 배출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인수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유로의 단부로부터 상기 인수부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유로의 상기 단부에 연결되는 제1배수부 및 상기 제2유로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배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storing water therein;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and receiving clothes therein; and
A detergent supply devic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supplying detergent stored therein to the inside of the drum;
The detergent supply device,
A water supply unit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and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The water supply unit,
a receiving uni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supply passage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er; and
Including; a drainage unit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discharg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The water supply passage includes a first passage extending away from the receiver and a second passag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passage to be closer to the receiver,
The drain part includes a first drain par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passage and a second drain par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passage.
KR1020210102633A 2021-08-04 2021-08-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0208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633A KR20230020801A (en) 2021-08-04 2021-08-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633A KR20230020801A (en) 2021-08-04 2021-08-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801A true KR20230020801A (en) 2023-02-13

Family

ID=8520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633A KR20230020801A (en) 2021-08-04 2021-08-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080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563B1 (en) Detergent box for drum washer
KR20070075211A (en) Washing machine
KR20190009620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476183B1 (en) detergent feed device
KR20130033225A (en) Detergent dispenser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the same
CN112442858B (en) Detergent supply devi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464301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544759B1 (en) Washing machine having the detergent feeding device
KR20070059426A (en) Detergent applying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KR20230020801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95415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464781Y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feeding device
JP7405658B2 (en)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KR101544760B1 (en) Washing machine having the detergent feeding device
WO2020208865A1 (en) Washing machine
KR101959312B1 (en) Detergent supply device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US2022011264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11264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461392B1 (en) Washing machine having combined detergent case
KR101474433B1 (en) Cleaning material feeder for washer
KR2023000129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2070753A1 (en) Washing machine
WO2021033444A1 (en) Washing machine
KR20230001297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7120682A (en) Washing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