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461A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461A
KR20230020461A KR1020230009266A KR20230009266A KR20230020461A KR 20230020461 A KR20230020461 A KR 20230020461A KR 1020230009266 A KR1020230009266 A KR 1020230009266A KR 20230009266 A KR20230009266 A KR 20230009266A KR 20230020461 A KR20230020461 A KR 20230020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erminal
works
server
blockchai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두병
이보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러멜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러멜베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러멜베이
Priority to KR1020230009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461A/en
Publication of KR2023002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4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method of managing works provided by a first terminal participating in a blockchain network, which is performed by a server participating in the blockchain network and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s of: receiving identity authent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ecentralized identity (DID) of a blockchain from the first terminal; verifying the received identity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on the blockchain network; and creating a work block for an uploaded work and transmitting the work block to the blockchain network when the work is uploaded from the first terminal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uploaded work is not similar to other works.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저작물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Blockchain-based copyrigh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저작물 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등록되는 저작물 그 자체뿐만 아니라 특정 서비스와 연관하여 저작물의 등록, 보호, 유통 등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lockchain-based management of copyrighted work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aging registration, protection, distribution, etc. of copyrighted works in connection with a specific service as well as the registered copyrighted works themselve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a system therefor.

현재 창작물의 보호는 저작권에 의해 보호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한국저작권위원회와 같은 공인 기관에 직접 창작물을 등록하여야만 보호를 받거나 자신의 창작물에 대한 권리 행사를 할 수 있다.Currently, creations are protected by copyright, but for this, creations must be directly registered with an authorized institution such as the Korea Copyright Commission in order to receive protection or to exercise the rights to one's creations.

다만, 특정 분야에 종사하는 종사자가 아닌 일반인의 경우, 저작권에 대한 이해도나 등록 등 절차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아 관련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진다.However, in the case of ordinary people who are not workers in a specific fiel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copyrights and procedures such as registration is not high, so accessibility to related services is low.

한편,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관리 대상이 되는 모든 동일 객체의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여 변경을 가할 수 없는 비가역적 데이터 분산처리기술로, 복수의 노드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여, 데이터를 공동으로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하나의 노드(node)가 해킹되더라도 다른 노드에 공유된 정보를 통해 이를 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정보의 위변조가 불가능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lockchain is an irreversible data distribution processing technology in which all users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distribute and store the data of all the same objects to be managed so that no changes can be made. Therefore, blockchain technology that jointly manages data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If blockchain technology is used, even if one node is hacked, it can be detected through information shared with other nodes, so forgery and alteration of information is practically impossible and security can be improved.

따라서, 이러한 블록체인의 특성을 활용하여 저작물의 등록, 보호 등 관리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blockchains for management such as registration and protection of copyrighted works.

본 발명의 일과제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등록되는 저작물의 등록, 보호 등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such as registration and protection of works registered using block chain technology.

본 발명의 다른 일과제는, 특정 서비스와 연관하여 저작물의 등록, 보호, 유통 등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protecting, and distributing copyrighted works in connection with a specific servic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제1 단말에 의해 제공되는 저작물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블록체인의 DID(Decentralized IDentity)에 기초한 본인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제1 단말의 본인인증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저작물이 업로드되고 업로드되는 저작물이 타저작물과의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업로드 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aging copyrighted works provided by a first terminal participating in a blockchain network and performed by a server that participates in a blockchain network and provides a specific service is ) Receiv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based on; verify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on the blockchain network; And if the work is uploaded from the first terminal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uploaded work is not similar to other works, generating a work block for the uploaded work and transmitting it on the blockchain networ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인인증 정보는, 발급기관에서 최초 본인 확인 후 발급한 분산ID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ty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distributed ID issued by an issuing authority after initial identity verific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말로부터 저작물이 업로드되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된 제1 단말의 저작물 블록의 저작물과 유사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pyrighted work is uploaded from the second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copyrighted work block of the first terminal transmit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is similar to the copyrighted wor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로드 된 제2 단말의 저작물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된 제1 단말의 저작물 블록의 저작물과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단말의 저작물에 대해 저작물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ploaded copyrighted work of the second terminal is not similar to the copyrighted work of the copyrighted work block of the first terminal transmit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for the copyrighted work of the second terminal, the copyrighted block It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n the blockchain networ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로드 된 제2 단말의 저작물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된 제1 단말의 저작물 블록의 저작물과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단말로 가이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ploaded work of the second terminal is similar to the work of the work block of the first terminal transmit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transmitting guide data to the second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단말의 저작물 이용에 대한 저작물 이용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ing a work use block for the use of the work of the second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on the blockchain network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물 관리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며 저작물을 업로드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업로드되는 저작물을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블록체인의 DID(Decentralized IDentity)에 기초한 본인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제1 단말의 본인인증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검증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저작물이 업로드되고 업로드되는 저작물이 타저작물과의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업로드 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전송할 수 있다.Work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terminal that participates in a blockchain network and uploads a work; And a server participating in the blockchain network,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and managing a copyrighted work uploaded by the first terminal, wherein the server includes a principal based on a decentralized IDentity (DID) of the blockchain from the first terminal.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verified on the blockchain network, and if the work is uploaded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uploaded work is not similar to other works, the uploaded work A work block for can be created and transmitted on the blockchain networ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인인증 정보는, 발급기관에서 최초 본인 확인 후 발급한 분산ID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ty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distributed ID issued by an issuing authority after initial identity verific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작물을 업로드하는 제2 단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된 제1 단말의 저작물 블록의 저작물과 유사한지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terminal for uploading a work; further including, but the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the work block of the first terminal transmit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is similar to the wor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업로드 된 제2 단말의 저작물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된 제1 단말의 저작물 블록의 저작물과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단말의 저작물에 대해 저작물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determines that the uploaded copyrighted work of the second terminal is not similar to the copyrighted work of the first terminal's copyrighted work block transmit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the copyrighted work of the second terminal A work block can be created and transmitted on the blockchain networ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업로드 된 제2 단말의 저작물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된 제1 단말의 저작물 블록의 저작물과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단말로 가이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ploaded work of the second terminal is similar to the work of the work block of the first terminal transmit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guide data to the second terminal can transm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단말의 저작물 이용에 대한 저작물 이용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generate a work use block for the use of the work of the second terminal and transmit it on the blockchain network.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s described below can be obtained. However, effects obtainabl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첫째,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등록되는 저작물의 등록, 보호 등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such as registration and protection of registered works using block chain technology.

둘째, 특정 서비스와 연관하여 저작물의 등록, 보호, 유통 등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such as registration, protection, and distribution of copyrighted works in connection with specific ser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저작물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본인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저작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서 저작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저작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chain-based copyrigh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block chai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lock chain-based copyrigh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copyrighted works in a service provided by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copyrighted works in the process of using the service of FIG. 5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n the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hereto.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동작,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동작,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xample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operation,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characteristic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operation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저작물 관리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개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특히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등록되는 저작물 그 자체뿐만 아니라 특정 서비스와 연관하여 저작물의 등록, 보호, 유통 등 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various embodiments of blockchain-based copyright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These embodiments can be used, in particular, for management of registration, protection, distribution, etc. of copyrighted works in connection with specific services as well as the copyrighted works themselves registered using blockchain technology.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저작물 관리"라 함은, 창작된 저작물의 등록, 유지, 수정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명세서에서 단지 저작물 관리하고 명명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그 의미는 문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Hereinafter, in this specification, "management of works" may include all registration, maintenance, modification, etc. of created works. Therefore, in the case of only managing and naming copyrighted works in the specification, the meaning may be determined by the context.

한편, "저작물"이라 함은, 관련 법에 의해 규정된 정의된 창작물뿐만 아니라 창작한 이, 즉 저작자에 의해 창작된 지적, 문화적 창작물을 넓게 포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물로 소설, 시, 논문, 강연, 각본, 음악, 연극, 무용, 회화, 서예, 도안, 조각, 공예, 건축물, 사진, 영상, 도형, 컴퓨터 프로그램, 작곡, 영화, 춤, 그림, 지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미지(사진)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work" can broadly encompass intellectual and cultural creations created by creators, that is, authors, as well as creative works defined by relevant laws. For example, a novel, poem, thesis, lecture, script, music, play, dance, painting, calligraphy, design, sculpture, craft, architecture, photograph, image, figure, computer program, composition, film, dance, drawing , maps, etc.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image (photograph) is used as an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저작물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chain-based copyrigh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본인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block chai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저작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lock chain-based copyrigh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물 관리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서버와 복수의 단말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blockchain-based copyrigh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rver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forming a blockchain network.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물 관리 시스템(10) 내 다양한 개체들(entities) 간에는 유/무선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는 표준 통신 기술 및/또는 프로토콜들이 사용될 수 있다.Data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etween various entities in the blockchain-based copyright management system 10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not shown). Wired/wireless networks may use standar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or protocols.

단말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종의 노드로서, 서버로 저작물을 업로드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은 PC, TV 등과 같은 고정 단말이거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일 수 있다.A terminal is a kind of node that forms a blockchain network, and can upload and register works to the server. Such a terminal may be a fixed terminal such as a PC or TV or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서버 역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하나의 노드일 수 있으며, 단말에 의해 업로드되는 저작물 원본에 대하여 등록 작업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서버는 통상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특히 프로세서에 대해서는 도 2에서 후술한다. 상기에서, 서버에 의한 저작물의 등록은,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가입한 저작자에 대하여, 상기 저작자에 의해 창작된 저작물이 업로드 되면, 저작자 성명, 저작연월일, 저작물 공표시점 등에 대한 등록과 저작재산권의 사용, 변경, 경정, 말소 등 권리 변동 사항의 등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한 저작물의 등록은, 통상 정부기관의 위탁을 받은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 수행하는 저작권 등록의 의미와는 다를 수 있다.The server may also be one node forming a blockchain network, and may be a computing device that performs a registration operation on the original work uploaded by the terminal. Such a server may perform a copyright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memory and a processor, in particular, the processor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2 . In the above, the registration of the work by the server, for the author who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when the work created by the author is uploaded, the registration of the author's name, the date of writing, the point of publication of the work, and copyright property right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registration of changes in rights, such as use, change, correction, and cancellation of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registration of copyrighted works by the server may be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copyright registration performed by the Korea Copyright Commission, which is usually commissioned by a government agency.

서버는 자체 저작물 관리 서비스의 내용뿐만 아니라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웹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말들에 제공하거나 접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server may provide information on an application or web service related to the service as well as contents of its own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to terminals forming a blockchain network, or induce access thereto.

실시예에 따라, 서버는, 블록체인의 DID(Decentralized Identity) 기술에 따라 단말 사용자, 즉 저작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 절차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회원가입 등 절차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rver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terminal user, that is, the author, according to the decentralized identity (DID) technology of the block chain, a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a procedure such as membership registration of a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can be performed.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의 DID 기술을 통한 본인 인증 절차를 간략히 설명하면, 발급 기관(30)은 최초 본인 확인 후 분산ID는 단말(20)에 발급하고, 발급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 단말(20)은 발급 기관(30)으로부터 발급받은 분산ID를 서버(10)에 제출하면, 서버(1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를 통해 단말(20)에 의해 제출된 분산ID를 검증함으로써, 저작자에 대한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는 이렇게 본인 인증 절차를 통해 검증된 분산ID, 즉 저작자에 대해서만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회원가입을 허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through the DID technology of the block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fter the initial identity verification, the issuing authority 30 issues a distributed ID to the terminal 20, and transmits the issuance information to the blockchain. It can be distributed and stored in the network 100. When the terminal 20 submits the distributed ID issued by the issuing authority 30 to the server 10, the server 10 verifies the distributed ID submitted by the terminal 20 through the blockchain network 100. , the identity verification process for the author can be performed. The server 10 may allow membership subscription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10 only for the distributed ID verified through 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that is, the author.

실시예에 따라, 서버(10)는 상기한 검증 과정 후에 회원가입이 허용된 저작자의 서비스 내 활동 과정에서, 저작물에 대한 등록, 보호 등 관리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rver 10 may provide services related to management, such as registration and protection of copyrighted works, in the course of activity in the service of authors whose membership is permitted after the verification process described above.

실시예에 따라, 서버(10)는 저작물을 최초 등록 이전에 복제 등 등록된 타저작물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유사도 판단 이후에 상기 저자물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rver 10 may perform a registration procedure for the author's work after determi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registered works, such as reproduction, prior to initial registration of the work.

실시예에 따라, 서버(10)는 회원의 저작물 이용 시에, 임의 복제, 불법 복제 등 등록된 타저작물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유사도 판단 이후에 상기 저작물 이용시에 발생하는 내용에 대한 가이드(guide)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rver 10 provides a guide for the content that occurs when using the copyrighted work after determining the similarit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registered copyrighted works such as random copying and illegal copying when using the member's copyrighted work. can provide information.

실시예에 따라, 서버(10)에 의한 저작물 관리 서비스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by the server 10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도 2에서는, 서버(10)의 구성 블록도가 도시되었다.In FIG. 2 ,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the server 10 is show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는, 통신부(210), 데이터 수신부(220), 본인인증 처리부(230), 유사도 판단부(240), 블록체인 처리부(250), 제어부(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erv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data receiving unit 220, an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230, a similarity determining unit 240, and a blockchain processing unit 250. ), a control unit 260, and the like.

통신부(21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과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환경을 지원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supports a communication interface environment for supporting data communication with nodes of a blockchain network.

데이터 수신부(2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 중 하나인 저작자 단말(20)로부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인 인증과 관련하여 발급 기관으로부터 발급받은 분산ID를 수신하거나 상기 저작자 단말(20)로부터 저작물 등록 내지 이용 등과 저작물 관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from the author terminal 20, which is one of the nodes of the blockchain network, the data receiving unit 220 receives the distributed ID issued by the issuing authority in relation to identity authentication or from the author terminal 20. It is possible to receive copyright management data such as registration or use of copyrighted works.

본인인증 처리부(230)는 데이터 수신부(220)를 통해 저작자 단말(20)의 분산ID를 수신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수신한 저작자 단말(20)의 분산ID를 검증할 수 있다.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230 may receive the distributed ID of the author terminal 20 through the data receiving unit 220 and verify the distributed ID of the author terminal 20 received on the blockchain network.

유사도 판단부(240)는 저작자 단말(20)의 저작물 등록, 저작물 이용 등의 경우에, 타저작물과의 유사도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unit 240 may perform a determination of similarity with other works in the case of registering the work of the author terminal 20 or using the work.

실시예에 따라, 타저작물은 저작물로 서버(10)에 의해 기등록되었거나 등록 전이나 저작자 단말(20)에 의한 저작물 등록, 이용 전에 등록 진행 중인(또는 업로드가 완료된) 저작물을 포함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ther works may include works that have been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server 10 as works or are in the process of being registered (or uploaded) before registration or before registration and use of the works by the author terminal 20.

실시예에 따라, 유사도 판단부(240)는 서버(10)에 의해 기등록된 저작물이거나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서 이용 중인 저작물에 대해서만 타저작물로서 유사도 판단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unit 240 may perform a similarity determination process only for works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server 10 or works being used in a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10 as other works.

실시예에 따라, 서버(10)는 전술한 분산ID 검증 이후에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회원가입한 저작자 단말(20)에서 저작물을 업로드하면, 별개의 요청이 없이도 저작자 단말(20)에 대한 저작물 등록 절차를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서버(10)는 유사도 판단부(240)를 통해 업로드 된 저작물의 타저작물과의 유사도 비교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if the server 10 uploads a work from the author terminal 20 that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10 after the above-described distributed ID verification, the author terminal 20 without a separate request. ) can automatically perform the copyright registration process. In this process, the server 10 may perform similarity comparison analysis of the uploaded work with other works through the similarity determining unit 240 .

실시예에 따라, 서버(10)는 전술한 분산ID 검증 이후에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회원가입한 저작자 단말(20)에서 업로드되는 모든 저작물에 대하여 자동으로 저작물 등록 절차(유사도 판단 과정 포함)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rver 10 automatically registers works (similarity determination) for all works uploaded from the author terminal 20 that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10 after the aforementioned distributed ID verific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실시예에 따라, 서버(10)는 전술한 분산ID 검증 이후에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회원가입한 저작자 단말(20)에서 업로드되는 모든 저작물 중 특정 저작물에 대해서만 자동으로 저작물 등록 절차(유사도 판단 과정 포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저작물이라 함은, 저작자 단말(20)에 의해 저작권 등록 요청된 저작물, 미리 설정된 특정 포맷이나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저작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포맷이라 함은,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의 포맷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카테고리라 함은, 학교, 여행지 등과 같은 위치 기반 카테고리, 일상, 스포츠 활동 등과 같은 컨텐츠 기반 카테고리 등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카테고리 또는 서버(10)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예컨대, 최근 저작권 이슈가 많은 카테고리나 시간, 요일, 계절 등 서비스 이용자들의 트래픽이나 관심도가 매우 높다고 판단된 카테고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rver 10 automatically registers works only for specific works among all works uploaded from the author terminal 20 that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10 after the aforementioned distributed ID verification. (including similarity judgment process) can be performed. Here, the specific work may include a work for which copyright registration has been requested by the author terminal 20, a work corresponding to a specific format or a specific category set in advance. The specific format may include formats such as text, image, video, and audio. A specific category refers to a category specified by a user or a category selected by the server 10, such as a location-based category such as school or travel destination, a content-based category such as daily life or sports activity, etc. Time, day of the week, season, etc.) may be included.

실시예에 따라, 유사도 판단부(240)는 저작물과 타저작물의 유사도를 판단함에 있어서, 저작물(예를 들어, 사진)의 전체대 전체, 전체대 일부(예를 들어, 저작물이 타저작물을 크롭(crop) 등 일부에 해당 여부 등)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관련하여, 유사도 판단부(240)에서 이용하는 유사도 판단의 알고리즘은 저작물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며, 저작물의 종류에 따라 유사도 판단에 이용되는 공지기술을 참조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imilarity determining unit 240 determines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a copyrighted work and another copyrighted work, all of the copyrighted work (eg, a photo) or all of the partial (eg, the copyrighted work crops the other copyrighted work). (crop), etc.) can be judged. In this regard,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algorithm used by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unit 240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etc., and may refer to a known technology used for similarity determin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실시예에 따라, 유사도 판단부(240)는 저작물의 특정요소를 추출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여 저작물의 유사도 판단에 이용하는 BitDNA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unit 240 may use BitDNA technology, which is used to determine the similarity of works by extracting specific elements of works and storing them in a blockchain network.

실시예에 따라, 유사도 판단부(240)는 저작자의 선택이나 서버(10)에 의한 판단에 의하여 등록되는 저작물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정의하고, 정의된 특징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여 유사도 판단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물이 텍스트인 경우에는 텍스트의 제목, 핵심 키워드 등을 특징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저작물이 이미지인 경우에는 이미지 내 선정되는 관심영역(ROI: Region of Interest) 또는 상기 ROI 내 추출되는 객체(object), 추출되는 객체 중 핵심 객체 등이 특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사도 판단부(240)는 자원 소모를 절감할 수 있으며, 빠른 유사도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1차 유사도 판단으로 정의한다면, 유사도 판단부(240)는 1차 유사도 판단 결과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로 판단된 저작물에 대해서만 별도 대상 저작물(타저작물)과의 상세 유사도 판단(예컨대, 이미지의 경우 픽셀 단위 등)(2차 유사도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unit 240 defines at least one feature in the work registered by the author's selection or the server 10, and stores the defined feature in the blockchain network to determine the similarity. can be utilized For example, if the work is text, the title of the text, key keywords, etc. can be defined as characteristics, and if the work is an image, a region of interest (ROI) selected in the image or extracted from the ROI An object, a core object among extracted objects, etc. may be defined as characteristics. By doing this,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unit 240 can reduce resource consumption and perform rapid similarity determination. If the above process is defined as the first similarity determination,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unit 240 determines the detailed similarity with a separate target work (other works) only for the works for which the similarity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hreshold as a result of the first similarity determination (e.g., in the case of an image). pixel unit, etc.) (secondary similarity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블록체인 처리부(250)는, 유사도 판단부(24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저작물의 등록, 타저자물 이용 등 서버(10)에 의한 저작물의 관리 과정에서 이용되거나 필요한 블록체인 처리를 담당할 수 있다.The blockchain processing unit 250 may be in charge of blockchain processing used or necessary in the management process of a copyrighted work by the server 10, such as registration of a copyrighted work or use of another author's work,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of the similarity determining unit 240. .

제어부(260)는 서버(10) 내 구성들에 대한 제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저작물 관리를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60 may be in charge of overall control for management of blockchain-based wor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control of components within the server 10 .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물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4, a copyrigh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4는 서버의 동작을 중심으로 기술하는데, 여기서 서버(1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참여하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서비스라 함은 도 5와 같은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예로 할 수 있다. 서버(1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저작자 단말(20)에 의해 제공되는 저작물을 관리할 수 있다.4 mainly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server, where the server 10 participates in the blockchain network 100 and can provide a specific service. Here, the specific service may be a social media service as shown in FIG. 5 as an example. The server 10 may manage works provided by the author terminal 20 participating in the blockchain network.

서버(10)는, 저작자 단말(20)로부터 본인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1). 실시예에 따라, 본인인증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의 DID에 기초한 발급기관(30)으로부터 발급받은 분산ID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receive identity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author terminal 20 (S101).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identity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distributed ID issued from the issuing authority 30 based on the blockchain DID, as shown in FIG. 3 .

서버(10)는, 수신된 상기 저작자 단말(20)의 본인인증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검증할 수 있다(S102).The server 10 may verify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author terminal 20 on the blockchain network (S102).

서버(10)는, 저작자 단말(20)에 의하여 저작물이 업로드되는지 판단한다(S103).The server 10 determines whether the work is uploaded by the author terminal 20 (S103).

서버(10)는, 저작자 단말(20)로부터 저작물이 업로드되면, 업로드 된 저작물이 타저작물과 유사한지 판단할 수 있다(S104).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타저작물에는 저작자 단말(20)에 의하여 저작물로 기등록되었거나 기업로드된 저작물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사라는 의미는 동일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의 범위는 사용자 또는 서버(10)에 의해 임의 설정될 수 있다.When a work is uploaded from the author terminal 20, the server 10 may determine whether the uploaded work is similar to another work (S104).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other works may also include works previously registered as works or loaded into the company by the author terminal 20 .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meaning of similarity may include the same meaning, and the range of similarity may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or the server 10 .

실시예에 따라, 저작자 단말(20)의 업로드 저작물이 타저작물과의 유사 여부 판단은 도 1 내지 2에서 전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uploaded work of the author terminal 20 is similar to other works may refer to the foregoing in FIGS. 1 and 2 .

서버(10)는, S104 단계 판단 결과, 저작자 단말(20)의 업로드 저작물이 타저작물과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저작자 단말(20)에 의해 업로드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블록(block)을 생성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S105).The server 1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ploaded work of the author terminal 20 is not similar to other works, a work block for the work uploaded by the author terminal 20 is generated,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S105).

실시예에 따라, 서버(10)는, S104 단계 판단 결과, 저작자 단말(20)의 업로드 저작물이 타저작물과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도 6의 S204 내지 S205 단계와 같이 처리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rver 1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ploaded work of the author terminal 20 is similar to other works, it may be processed as in steps S204 to S205 of FIG. 6.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서 저작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copyrighted works in a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저작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copyrighted works in the process of using the service of FIG. 5 .

도 5는 예컨대,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 화면일 수 있다.5 may be, for example, a use screen of a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10 .

설명의 편의상, 도 5의 (a)에서 단말은 저작자 단말로서 제1 단말(20-1)로, 도 5의 (b)에서 단말은 이용자 단말로서 제2 단말(20-2)로 칭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 of FIG. 5, the terminal is referred to as the first terminal 20-1 as the author's terminal, and in (b) of FIG. 5, the terminal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terminal 20-2 as the user terminal.

한편, 도 5의 (a)에 도시된 제1 단말(20-1) 내 이미지(510)와 도 5의 (b)에 도시된 제2 단말(20-2) 내 이미지(520)는 동일한 이미지일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510 in the first terminal 20-1 shown in (a) of FIG. 5 and the image 520 in the second terminal 20-2 shown in (b) of FIG. 5 are the same image. can be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전술한 도 1 내지 4의 과정을 통하여 제1 단말(20-1) 사용자, 즉 저작자는 이미지(510)를 업로드하고 저작물로 등록한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5 , through the process of FIGS. 1 to 4 described above,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20 - 1 , that is, the author may upload the image 510 and register it as a work.

도 5의 (b)는 예컨대, 도 5의 (a)에서 제1 단말(20-1)에 의해 업로드되고 서버(10)에 의해 저작물로 등록된 이미지(510)와 유사한 이미지(520)를 업로드하는 것일 수 있다.5(b) uploads, for example, an image 520 similar to the image 510 uploaded by the first terminal 20-1 and registered as a work by the server 10 in FIG. 5(a). it may be

상기 도 5의 (a)와 도 5의 (b)의 관계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relationship between (a) and (b) of FIG. 5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s follows.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서버(10)는 제2 단말(20-2)에서 저작물이 업로드되면(S201), 업로드 된 저작물이 타저작물과 유사한지 판단한다(S202).5 and 6, when a work is upload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2 (S201), the server 10 determines whether the uploaded work is similar to another work (S202).

서버(10)는 S202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제2 단말(20-2)에 의해 업로드 된 저작물이 타저작물과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업로드 된 저작물에 대하여 도 4와 같이 저작물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저작물 블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S203).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2, the server 10 determines that the work uploaded by the second terminal 20-2 is not similar to other works, creates a work block for the uploaded work as shown in FIG. The work block can be transmit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S203).

반면, 서버(10)는 S202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제2 단말(20-2)에 의해 업로드 된 저작물이 타저작물과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가이드 데이터를 제2 단말(20-2)로 전송할 수 있다(S204).On the other hand, if the server 10 determines that the work uploaded by the second terminal 20-2 is similar to another work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2, the server 10 may transmit the guide data to the second terminal 20-2 ( S204).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데이터는 제2 단말(20-2)에 의해 업로드 된 저작물이 타저작물과 유사하다는 경고 및 이의제기와 관련된 내용, 타저작물 이용에 따른 저작권료 발생, 위바한 타저작물에 대한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guide data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warnings and objections that the copyrighted work uploaded by the second terminal 20-2 is similar to other copyrighted works, the occurrence of copyright fees due to the use of other copyrighted works, and information on violating other copyrighted work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like.

실시예에 따라, 타저작물 이용에 따른 저작권료는, 관련 법에 의해 규정된 실제 머니(money)이거나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서 규정하는 가상 머니(virtual money)(531, 532)일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pyright fee according to the use of other copyrighted works may be real money stipulated by relevant laws or virtual money stipulated in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10 (531, 532) there is.

서버(10)는 S204 단계에서 가이드 전송 후, 제2 단말(20-2)의 확인 내지 피드백에 따라 저작물 이용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S205).After transmitting the guide in step S204, the server 10 may generate and transmit information on the use of works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or feedback of the second terminal 20-2 (S205).

실시예에 따라, S205 단계에서 생성되는 저작물 이용에 대한 정보는 블록 정보가 아닌 일반 정보이고, 제2 단말(20-2)로 전송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information on the use of works generated in step S205 is general information rather than block information,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20-2.

실시예에 따라, S205 단계에서 생성되는 저작물 이용에 대한 정보는 블록 정보, 즉 저작물 이용 블록이고,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는 저작물 이용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제1 단말(20-1)과 제2 단말(20-2)에 별도 전송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information on the use of copyrighted works generated in step S205 is block information, that is, blocks using copyrighted works,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100. In this case, the server 10 may separately transmit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use of works to the first terminal 20-1 and the second terminal 20-2.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n ALU ( arithmetic logic unit), digital signal processor, microcomputer,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or instructions (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like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제1 단말에 의해 제공되는 저작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블록체인의 DID(Decentralized IDentity)에 기초한 본인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제1 단말의 본인인증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저작물이 업로드되고 업로드되는 저작물이 타저작물과의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업로드 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작물 관리 방법.
A method for managing a work performed by a server participating in a blockchain network and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and provided by a first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blockchain network,
Receiving identity authentication information based on a decentralized IDentity (DID) of a blockchain from the first terminal;
verify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on the blockchain network; and
When a work is uploaded from the first terminal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uploaded work is not similar to other works, generating a work block for the uploaded work and transmitting it on the blockchain network. Works management method.
KR1020230009266A 2020-11-25 2023-01-25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KR202300204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266A KR20230020461A (en) 2020-11-25 2023-01-25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915A KR20220072379A (en) 2020-11-25 2020-11-25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KR1020230009266A KR20230020461A (en) 2020-11-25 2023-01-25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915A Division KR20220072379A (en) 2020-11-25 2020-11-25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60201A Division KR20240071362A (en) 2024-05-07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461A true KR20230020461A (en) 2023-02-10

Family

ID=819851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915A KR20220072379A (en) 2020-11-25 2020-11-25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KR1020230009266A KR20230020461A (en) 2020-11-25 2023-01-25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915A KR20220072379A (en) 2020-11-25 2020-11-25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72379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040B1 (en) * 2022-02-10 2022-09-14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Server and Method for performing ownership authentication of digital media by digitally imaging genomic information
KR102531437B1 (en) * 2022-08-11 2023-05-11 김주원 Blockchain-based nft media content-related activity proof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379A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7097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pyright rights defense detection
EP3410327B1 (en)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11917247B2 (en) Providing media content to content consumers for playback and consumption
EP3371731B1 (en) Digital content delivery system
KR20230020461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US20200151710A1 (en) Method for routing to mesh network content utilizing blockchain technology
US10095848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distributing content
US202300861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ken Content Unlocking, 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Privacy-Protecting Tokens, Ownership-Based Limitations of Content Access, Policy-Based Time Capsule Technology, and Content Lock Mechanisms
Yu A Hater's Guide to Geoblocking
KR101953090B1 (en) Contents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blockchain technology
KR202100372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CN109345416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recording reference relation between works
US119912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non-fungible digital asset to facilitate accessing an access-restricted resource
KR102375394B1 (en) Platform system for creating contents by using selectively allocating token and setting intervals of video contents
KR20240071362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KR20170084621A (en) Profi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of derivative works
CN112887763B (en) Information control method, information control system, information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YU et al.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of Media Convergence Center Based on Ethereum and IPFS
KR102634158B1 (en) Verification and transaction system for limited-quantity released digital works with the blockchain base
WO2023272731A1 (en) Work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70048256A (en) Method for providing video using messaging service, api server, and streaming server for providing video
Thorwirth The de-centralized rights locker
KR20240014275A (en) Method for managing non-fungible token digital contents for the use of copyright and content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20220125857A (en) Method and system for inquiring career by using combine internet financial transfer history information with distributed ledger system
De Smet COPYRIGHT FOR DIGITAL CONTENT IN THE EU DIGITAL SINGLE MARKET: OVERCOMING THE GEO-BLOCKING STATUS QU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