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630A -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 Google Patents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630A
KR20230019630A KR1020210101367A KR20210101367A KR20230019630A KR 20230019630 A KR20230019630 A KR 20230019630A KR 1020210101367 A KR1020210101367 A KR 1020210101367A KR 20210101367 A KR20210101367 A KR 20210101367A KR 20230019630 A KR20230019630 A KR 20230019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current collector
protruding structure
electrod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명
최윤선
최동수
백민석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9630A/ko
Priority to PCT/KR2022/003591 priority patent/WO2023013835A1/ko
Publication of KR20230019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01L31/022433Particular geometry of the gri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집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집전체는, 표면에 3차원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3차원이 첨예한 돌출 구조에 전하분포를 집중시켜 배터리의 단위 면적당 충전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ELECTRODE HAVING A THREE-DIMENSIONAL CURRENT COLLECTOR AND A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3차원의 첨예한 돌출 구조를 갖는 집전체를 통해 단위 면적 당 집전체에 축적되는 전하(또는 이온)량을 증가시켜 배터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구성요소 가운데 하나인 전해질을 액체 또는 고체로 사용하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해질을 고체화할 경우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현 배터리 시장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해당 배터리에는 액체 전해질이 적용되다 보니 온도 변화로 인한 팽창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누액 등이 발생하면 폭발 및 화재로 이어지기도 한다. 반면 전해질이 고체인 전고체 배터리는 폭발 위험 때문에 음극재로 사용하지 못했던 리튬 금속을 음극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흑연을 사용하는 기존의 방식보다 에너지 밀도를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단단해 안정적이며, 전해질이 손상되더라도 형태는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고체 배터리는 전기차 주행 거리, 즉 전기차용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는데 용이하다.
이러한 액체 또는 고체 상태의 전해질은 평면 형태의 집전체와 접하게 되어있다. 평면 형태의 집전체 면적에 비례하여 배터리 용량이 결정된다. 따라서, 제한된 집전체의 단위 면적당 축적되는 전하(이온)의 양을 극대화하여 배터리 용량을 증대시키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 한국등록특허 제10-2180259호는 용량 유지율 및 사이클 특성이 뛰어난 이차전지를 제작할 수 있는 집전체용 알루미늄 기재 및 그것을 사용한 집전체, 양극, 음극 및 이차전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선행특허문헌은 조면화 되어있는 알루미늄 기재의 집전체를 이용하여 용량 유지율 및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이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서보현, 홍지훈, 우종명, "EMP방어용 모노폴 안테나", 2018 하계 전자파학회)로 도 1은 첨예한 돌출 구조를 갖는 모노폴 안테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노폴 안테나에 외부 고출력을 인가하였을 경우, 모노폴 안테나는 접지면상에 급전 모노폴을 위치시키고 반경이 더 큰 원통을 씌운 다음 외부 고출력 전자파가 외부 원통 표면에 감응되어 내부 급전 모노폴과의 비접촉 결합으로 내부 수신기에 전달되는 구조이다. 이때 외부로부터의 고출력 전자파가 인가되면 내부수신호시스템이 파괴될 위험이 있다. 도 2는 모노폴 안테나가 갖는 첨예한 돌출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의 고출력 전자파로부터 내부수신호시스템 파괴를 방지하고자 외부도체 하단이 평탄한 구조와 첨예한 돌출부를 갖는 구조를 형성하였다. 도 3은 첨예한 돌출 구조를 모노폴 안테나에 연결하기 위한 고출력 발생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첨예한 돌출 구조는 고출력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안테나 외부 원통 도체와 접지면에 연결시킬 수 있다. 도 4는 모노폴 안테나에 가해진 입력 전압에 따른 출력 전압에 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최고치 전압 10,000V를 가했을 시 하단 평탄 구조에서의 방전된 것이 첨예한 돌출부를 갖는 원통 구조에서는 최고전압이 5,000V에서 방전된다. 이것으로부터 원통 외부도체에 부가된 외부 고출력 전력이 첨단 돌출부에 전하가 집중되어 낮은 외부 전압에서 방전이 쉽게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하 또는 이온은 첨예한 돌출부에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집전체의 구조를 평면이 아닌 3차원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단위 면적을 넓혀 단위면적당 전하(이온)의 양을 늘리는 방식의 배터리 용량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제시되고 있으나, 정전기적 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3차원의 첨예한 돌출 구조를 이용하여 제한된 면적의 집전체에 축적되는 전하(이온)의 양을 극대화하기 위한 시도를 제시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80259호
본 발명은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에 있어서, 평면 형상을 하는 집전체의 표면에 첨예한 3차원 돌출 구조를 형성시켜 단위 면적당 전하(이온)의 전달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집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집전체는, 표면에 3차원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3차원이 첨예한 돌출 구조에 전하분포를 집중시켜 배터리의 단위 면적당 충전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집전체는, 표면에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집전체는, 표면에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집전체는, 표면에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집전체; 및 상기 한 쌍의 집전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집전체와 접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집전체는, 표면에 3차원의 첨예한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3차원이 첨예한 돌출 구조에 전하분포를 집중시켜 단위 면적당 충전 용량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첨예한 구조에 전하(이온)가 밀집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평면 형상을 하는 집전체의 표면을 3차원의 첨예한 구조가 형성되도록 변형시켜 단위 면적당 전하(이온)의 전달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를 이용하여 전기차 등에 적용될 배터리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술로써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는 첨예한 돌출 구조를 갖는 모노폴 안테나를 나타낸다.
도 2는 모노폴 안테나가 갖는 첨예한 돌출 구조를 나타낸다.
도 3는 첨예한 돌출 구조를 모노폴 안테나에 연결하기 위한 고출력 발생 장치를 나타낸다.
도 4는 모노폴 안테나에 가해진 입력 전압에 따른 출력 전압에 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의 표면에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된 전극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의 표면에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된 전극를 나타낸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의 표면에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된 전극를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의 표면에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된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의 표면에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된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의 표면에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된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를 나타낸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 구조를 3차원으로 나타낸 배터리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태양 전지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1)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5을 참조하면,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1)은 한쌍의 집전체(100)와 전해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 유전체의 유전상수
Figure pat00003
: 자유공간 유전률
Figure pat00004
: 집전체의 면적
Figure pat00005
: 한 쌍의 집전체 사이의 간격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유전체의 유전상수(
Figure pat00006
)와 자유공간 유전률(
Figure pat00007
)이 일정한 경우, 집전체의 면적(
Figure pat00008
)이 클수록 또는 한 쌍의 집전체 사이의 간격(
Figure pat00009
)이 좁을수록 전기용량(C)의 크기가 증가 될 수 있다. 집전체 사이의 간격(
Figure pat00010
)을 줄이거나 집전체의 면적(
Figure pat00011
)을 넓히는 것은 한정된 공간에서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1)은 전하(이온) 등이 뾰족한 부분에 밀집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집전체의 면적(
Figure pat00012
)과 관계없이 단위 면적당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집전체(10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집전체(100)는 공급되는 전지에 의해 양극에 연결된 집전체에는 ‘+’ 전하가, 음극에 연결된 집전체에는 ‘-’ 전하가 집적될 수 있다.
한 쌍의 집전체(100)는 표면에 3차원의 첨예한 피뢰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집전체(100)는 도체 표면의 실제 전하분포는 뾰족한 모서리일수록 전하의 밀도가 높은 원리를 이용하여 표면에 3차원이 첨예한 돌출 구조를 형성하여 단위 면적당 축적되는 전하(이온)의 양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체 표면의 특정 두 지점을 1, 2로 두고 전위를 살펴보면, 도체의 표면은 등전위면이므로
Figure pat00013
이고,
Figure pat00014
이므로
Figure pat00015
가 된다. 이를 비례식의 형태로 표현하면,
Figure pat00016
가 된다. 여기서, 전하(이온)의 밀도의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해 반지름이
Figure pat00017
인 도체구에서 밀도가
Figure pat00018
일 때,
Figure pat00019
임을 이용하여 위 비례식에 대입하면,
Figure pat00020
가 된다. 이를 비례식으로 정리하면
Figure pat00021
이므로 전하밀도는 곡률반지름이 작을수록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집전체(100)는 표면에 3차원의 첨예한 돌출 구조에서 전하(이온)의 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집전체(100)에 형성되는 전하(이온)의 높은 밀도는 단위 면적당 축적되는 전하(이온)의 양의 증가를 의미하고, 이는 곧 배터리 용량의 향상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의 표면에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된 전극(1)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집전체(100)는 표면에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10)는 ‘ㅗ’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10)는 한 쌍의 집전체(100)의 표면에 필요에 따라 개수나 간격을 조정하여 형성될 수 있다.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10)는 하나의 첨예부를 가질 수 있다.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10)는 양극의 집전체에 형성되는 경우 ‘+’ 전하(이온)(3)가 하나의 첨예부에 집속될 수 있다.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10)는 음극의 집전체에 형성되는 경우 ‘-’ 전하(이온)(5)가 하나의 첨예부에 집속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의 표면에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구조가 형성된 전극(1)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한 쌍의 집전체(100)는 표면에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3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30)는 한 쌍의 집전체(100)의 표면에 필요에 따라 개수나 간격을 조정하여 형성될 수 있다.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30)는 두 개의 첨예부를 가질 수 있다.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30)는 양극의 집전체에 형성되는 경우 ‘+’ 전하(이온)(3)가 두 개의 첨예부에 집속될 수 있다.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30)는 음극의 집전체에 형성되는 경우 ‘-’ 전하(이온)(5)가 두 개의 첨예부에 집속될 수 있다.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30)는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10)에 비해 첨예부가 많으므로 단위 면적당 전하(이온)의 밀도가 더 높을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의 표면에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된 전극(1)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한 쌍의 집전체(100)는 표면에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5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50)는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50)는 한 쌍의 집전체(100)의 표면에 필요에 따라 개수나 간격을 조정하여 형성될 수 있다.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50)는 다수의 첨예부를 가질 수 있다.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50)는 양극의 집전체에 형성되는 경우 ‘+’ 전하(이온)(3)가 복수의 첨예부에 집속될 수 있다.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50)는 음극의 집전체에 형성되는 경우 ‘-’ 전하(이온)(5)가 다수의 첨예부에 집속될 수 있다.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50)는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10)나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30)에 비해 첨예부가 많으므로 단위 면적당 전하(이온)의 밀도가 더 높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2)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2)는 한쌍의 집전체(100)와 전해질(300)을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2)는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1)을 이용하므로 한쌍의 집전체(100)는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1)의 것과 같다.
전해질(300)은 한 쌍의 집전체 사이에 위치하고, 한 쌍의 집전체와 접할 수 있다. 전해질(300)은 액체 전해질 또는 고체 전해질 일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의 표면에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구조가 형성된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2)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한 쌍의 집전체(100)는 표면에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2)는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1)을 이용하므로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10)의 기능은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1)의 것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의 표면에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된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2)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한 쌍의 집전체(100)는 표면에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3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2)는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1)을 이용하므로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30)의 기능은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1)의 것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의 표면에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된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한 쌍의 집전체(100)는 표면에 3차원의 ‘*’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5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2)는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1)을 이용하므로 3차원의 ‘*’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150)의 기능은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1)의 것과 같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 구조를 3차원으로 나타낸 배터리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한 쌍의 집전체(100)는 필요에 따라 개수나 간격을 조정하여 표면상에 3차원의 첨예한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리튬이온 배터리는 음극과 양극을 이어주게 되면, 리튬이온에서 분리된 전자가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여 충전시킬 수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의 표면에 3차원의 첨예한 첨예한 돌출 구조를 형성하여 단위 면적당 전하(이온)의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이를 통해 배터리 용량을 향상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태양 전지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태양전지의 양극과 음극의 표면에 3차원의 첨예한 첨예한 돌출 구조를 형성하여 단위 면적당 전하(이온)의 밀도를 높일 수 있다. 태양전지는 이를 통해 배터리 용량을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2 :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
3 : ‘+’ 전하(이온)
5 : ‘-’ 전하(이온)
100 : 한 쌍의 집전체
110 :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
130 :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
150 :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
300 : 전해질

Claims (8)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집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집전체는,
    표면에 3차원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3차원이 첨예한 돌출 구조에 전하분포를 집중시켜 배터리의 단위 면적당 충전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전체는,
    표면에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전체는,
    표면에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전체는,
    표면에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5.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집전체; 및
    상기 한 쌍의 집전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집전체와 접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집전체는,
    표면에 3차원의 첨예한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3차원이 첨예한 돌출 구조에 전하분포를 집중시켜 단위 면적당 충전 용량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전체는,
    표면에 3차원의 압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전체는,
    표면에 3차원의 T자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전체는,
    표면에 3차원의 분산형 형상의 첨예한 돌출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을 이용한 배터리.
KR1020210101367A 2021-08-02 2021-08-02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KR20230019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367A KR20230019630A (ko) 2021-08-02 2021-08-02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PCT/KR2022/003591 WO2023013835A1 (ko) 2021-08-02 2022-03-15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367A KR20230019630A (ko) 2021-08-02 2021-08-02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630A true KR20230019630A (ko) 2023-02-09

Family

ID=8515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367A KR20230019630A (ko) 2021-08-02 2021-08-02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19630A (ko)
WO (1) WO202301383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259B1 (ko) 2013-09-09 2020-11-1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집전체용 알루미늄 기재, 집전체, 양극, 음극 및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2493B2 (ja) * 2000-06-30 2007-08-01 株式会社ユアサ開発 アルカリ蓄電池
JP6050106B2 (ja) * 2011-12-21 2016-12-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非水二次電池用シリコン負極の製造方法
KR20170081907A (ko) * 2016-01-05 2017-07-13 주식회사 에치이에스 엠보싱 표면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이차전지
JP2019057474A (ja) * 2017-09-22 2019-04-11 株式会社Uacj 集電体用金属箔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259B1 (ko) 2013-09-09 2020-11-1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집전체용 알루미늄 기재, 집전체, 양극, 음극 및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3835A1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2743C1 (ru) Блок аккумуляторных батарей, имеющих конфигурацию с чередующейся ориентацией
CN101485010B (zh) 用于二次电池的安全配套元件
US20060234125A1 (en) Lithium Ion Rocking Chair Rechargeable Battery
EP1808915B1 (en) Conductive plate and secondary battery pack using conductive plate
US6605390B1 (en) Lithium ion battery utilizing carbon foam electrodes
JP2000100471A (ja) シート電池
EP2392042A1 (en) Battery tab structure
KR20110031883A (ko) 이차 전지
CN101867069A (zh) 具有散热性能的动力型锂离子电池
CN114335424B (zh) 一种负极片、电池及电子设备
JP2001313025A (ja) 電 池
CN110521045A (zh) 电极组件和包括该电极组件的电池
KR20230019630A (ko)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갖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KR20150046533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0476103B2 (en) Electrode containing silicon and copolymer having ionic ally conductive polymer an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and battery cell using same
JP4114030B2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扁平形状電池
KR101969387B1 (ko) 외부 입출력 양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각형 전지팩
WO2022126139A3 (en) Electrolytes for lithium-ion battery cells with volume-changing anode particles
CN107278339B (zh) 电池单池和电池系统
CN219350325U (zh) 一种锂硫电池单元及锂硫电池极组和锂硫电池
CN110649224A (zh) 电池组电池的电极、包含该电极的电池组电池及其应用
CN104538667A (zh) 长寿命锂离子电池组
KR102065369B1 (ko) 용량 잉여부가 형성되어 있는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200065948A (ko) 압전 소자 및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US20170179488A1 (en) Electrode having electrically activated matri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