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087A - 풀-온 착용식 용품 - Google Patents

풀-온 착용식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087A
KR20230019087A KR1020227040587A KR20227040587A KR20230019087A KR 20230019087 A KR20230019087 A KR 20230019087A KR 1020227040587 A KR1020227040587 A KR 1020227040587A KR 20227040587 A KR20227040587 A KR 20227040587A KR 20230019087 A KR20230019087 A KR 20230019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
article
wearable article
clu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숙 전
철희 김
정옥 변
정남 김
캔디스 디. 크라우트크레이머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1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6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 A61F13/665Means specific for supporting or fastening sanitary towels; and sanitary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1Under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41D31/125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through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9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having visu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풀-온 착용식 용품은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은, 허리 개구 및 2개의 다리 개구를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을 제공하는 영구 폐쇄형 허리 구성을 갖는다. 정보 단서는 풀-온 착용식 용품과 연관되어서, 흡수 용품을 풀-온 착용식 용품 내에 놓을 때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놓을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의 착용자에게 전달할수 있다. 정보 단서는 풀-온 착용식 용품의 착용자에게서 인지 반응을 유발하며, 주의를 끄는 그래픽, 질감 특징부, 또는 주의를 끄는 그래픽, 질감 특징부의 조합, 또는 이들의 조합의 조합일 수 있다.

Description

풀-온 착용식 용품
본 발명은 풀-온 착용식 용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 용품과 같은 제품은, 예를 들어 소변, 생리혈 및/또는 혈액을 함유하는 인체 삼출물을 수집하고 보유하는데 종종 사용된다. 편안함, 흡수성, 및 분별성이 세 가지의 주요 제품 속성이며 흡수 용품 착용자의 관심 영역이다. 특히, 착용자는 종종 그의 속옷, 겉옷, 또는 침대 시트를 얼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이러한 제품들이 누출을 최소화하면서 상당한 양의 신체 삼출물을 흡수할 것이며, 이러한 제품이 착용자가 이러한 얼룩에 의해 유발되는 이후의 당혹감을 피하는데 도움을 줄 것인지 알아보는 데에 관심이 있다.
현재, 신체 삼출물의 흡수를 위한 매우 다양한 흡수 용품이 여성용 패드, 생리대, 팬티 실드, 및 팬티 라이너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이들 흡수 용품은 일반적으로 신체 대향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과 의복 대향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사이에 위치한 흡수성 코어를 갖는다. 상면시트층 및 배면시트층의 에지는 종종 그들의 둘레부에서 함께 접합되어 상면시트층을 통하여 제품 내로 수용된 신체 삼출물 및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기 위한 밀봉부(seal)를 형성한다. 사용시, 예를 들면 여성용 패드 및 생리대 같은 흡수 용품은 통상적으로 신체 삼출물의 흡수를 위해 속옷의 가랑이 부분에 위치되고, 배면시트층 상의 의복 부착 접착제가 사용되어 제품을 속옷의 내부 가랑이 부분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들 흡수 용품 중 일부는 또한 제품을 속옷에 추가로 고정시키고 속옷을 얼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착용자의 속옷 둘레를 감싸기 위한 날개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날개 같은 구조(플랩(flap) 또는 탭(tab)으로도 알려짐)는 상면시트층 및/또는 배면시트층의 측방향 연장부로부터 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흡수 용품의 착용자는, 분별성, 편안함, 및 신체에 꼭 맞는 착용감을 원한다. 착용자의 속옷에 부착된 흡수 용품은 착용자의 속옷의 움직임을 부여받기 때문에 비틀림, 뒤틀림, 및 제자리에 있지 않도록 이동하는 것을 경험할 수도 있다. 흡수 용품의 비틀림, 뒤틀림, 및 이동은 흡수 용품이 착용자의 속옷 자체에 잘못 배치됨으로써 악화될 수 있다. 흡수 용품의 임의의 착용자는 자신의 속옷에 흡수 용품이 잘못 배치되는 것을 가끔 경험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오배치는 젊고 월경 주기 학습 과정의 초기에 있을 수 있는 착용자, 손에 대한 신체적 손재주가 감소할 수 있는 착용자, 손에 대한 신체적 손재주를 가질 수 있지만 시력이 감소한 착용자, 및/또는 정신 발달 장애가 있을 수 있는 착용자에게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 흡수 용품을 착용자의 속옷 내에 잘못 배치하면,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이 착용자의 생식기 영역과 오정렬될 수 있고, 그로부터 신체 삼출물이 나올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체 삼출물은 흡수 용품에 의해 비효율적으로 포착될 것이고, 흡수 용품이 흡수 용품 내 신체 삼출물을 포착하고 샘방지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잘못 배치된 흡수 용품의 비틀림, 뒤틀림, 및 이동은 또한 흡수 용품의 착용자의 신체와 흡수 용품 자체 사이에 갭을 형성할 수 있다. 갭의 존재는, 신체에 꼭 맞지 않기 때문에 흡수 용품의 착용자에게 우려되는 원인일 수 있다. 갭의 존재는, 흡수 용품이 신체 삼출물을 흡수 용품 내로 직접 포착하여 흡수하는 성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흡수 용품이 풀-온(pull-on) 착용식 용품 내에 적절히 배치된, 흡수 용품의 착용자를 도울 수 있는 풀-온 착용식 용품이 필요하다. 이는 착용자의 신체적 또는 정신적 능력에 관계없이 흡수 용품을 착용하는 동안 증가된 마음의 평안을 흡수 용품의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과 조합하여 착용될 풀-온 착용식 용품은 길이 방향 축 및 가로 방향 축; 전방 허리 에지를 포함하는 전방 영역; 후방 허리 에지를 포함하는 후방 영역; 상기 전방 영역과 상기 후방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이 상기 가로 방향 축과 상기 전방 허리 에지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 영구 폐쇄형 허리 구성으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은 허리 개구 및 2개의 다리 개구를 가지는, 상기 영구 폐쇄형 허리 구성; 상기 가랑이 영역에 위치된 제1 정보 단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정보 단서의 적어도 일부분은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 구성으로 존재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정보 단서는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의 착용자에게 상기 흡수 용품을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 내에 어디에 배치할지 통신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정보 단서는 내부에서 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정보 단서는 가랑이 영역의 일부분 내에 위치된 제1 부분 및 전방 영역의 일부분 내에 위치된 제2 부분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은 제2 정보 단서를 더 가지며, 제2 정보 단서는 전방 영역에 위치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은 제3 정보 단서를 더 가지며, 제3 정보 단서는 후방 영역에 위치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은 제2 정보 단서를 더 가지며, 제2 정보 단서는 외부에서 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정보 단서는 제1 정보 단서와 정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정보 단서는 그래픽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정보 단서는 질감 특징부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정보 단서는 그래픽 및 질감 특징부의 조합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정보 단서는 외부에서 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은 내구성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랑이 영역은 용품 본체 층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랑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위킹 층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랑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랑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흡수층을 포함한다.
도 1은 풀-온 착용식 용품의 정면도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의 배면도를 보여준다.
도 3은 풀-온 착용식 용품이 관찰자를 향하는 상태로 착용될 때 착용자를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의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도면을 제공한다.
도 4는 풀-온 착용식 용품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의 반대측을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의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도면을 제공한다.
도 5 내지 도 9는, 풀-온 착용식 용품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를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풀-온 착용식 용품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26은 풀-온 착용식 용품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풀-온 착용식 용품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33은 풀-온 착용식 용품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를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풀-온 착용식 용품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도면이며, 풀-온 착용식 용품은 그래픽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갖는다.
도 34는 풀-온 착용식 용품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의 반대측을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풀-온 착용식 용품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도면이며, 풀-온 착용식 용품은 그래픽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갖는다.
도 35는 풀-온 착용식 용품의 평면도로서, 풀-온 착용식 용품은 그래픽의 형태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갖는다.
도 36은 도 35의 풀-온 착용식 용품의 정면도이며, 풀-온 착용식 용품은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를 갖는다.
도 37은 도 35의 풀-온 착용식 용품의 배면도이다.
도 38 및 도 39는 풀-온 착용식 용품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를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풀-온 착용식 용품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도면이며, 풀-온 착용식 용품은 질감 특징부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갖는다.
도 40은 흡수 용품의 일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41 내지 도 44는 도 40의 흡수 용품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45는 흡수 용품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46 내지 도 49는 도 45의 흡수 용품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50은 흡수 용품의 일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문자의 반복적인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의도된다.
본 발명은,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에 관한 것이다. 풀-온 착용식 용품은, 허리 개구 및 2개의 다리 개구를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을 제공하는 영구 폐쇄형 허리 구성을 갖는다. 정보 단서는 풀-온 착용식 용품과 연관되어서, 흡수 용품을 풀-온 착용식 용품 내에 놓을 때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놓을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정보 단서는 풀-온 착용식 용품의 착용자의 인지 반응을 유발하며, 주의를 끄는 그래픽, 질감 특징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대로, 용어 "흡수 용품"은 본원에서 착용자의 신체와 대면 또는 근접(즉, 신체와 인접) 위치해서, 몸에서 직접 배출된 각종 액체, 고체, 및 반고체 삼출물을 흡수하고 샘방지할 수도 있는 용품을 지칭한다. 이러한 흡수 용품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재사용을 위해 세탁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복원되는 것이 아니라 제한된 사용 기간 후 폐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성용 패드, 실금 패드, 생리대, 팬티 쉴드 및 팬티라이너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일회용 흡수 용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에어레이드"(airlaid)는 본원에서 에어레잉 공정(airlaying process)에 의해 제조된 웹을 의미한다. 에어레잉 공정에서, 약 3 내지 약 52mm 범위의 통상적 길이를 갖는 작은 섬유들의 다발이 공기 공급부 내에 분리 및 포획된 후, 일반적으로 진공 공급부의 보조 하에 성형 스크린 상에 피착(deposit)된다. 무작위로 피착된 섬유는 그후, 예를 들어, 바인더 성분 또는 라텍스 접착제를 활성화하도록 핫 에어를 이용하여 서로 접합된다. 에어레잉은, 예를 들어 모든 목적을 위하여 본 명세서 내에서 전체 내용이 참고로 원용되는 Laursen 등의 미국특허 제4,640,810호에 교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접합된"(bonded)은 두 요소의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을 의미한다. 두 요소는 그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중간 요소에 접합될 때와 같이 서로 간접적으로 결합되고, 접착되고, 연결되고, 부착될 때에 함께 접합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접합은, 예를 들어 접착제, 압력 접합, 열 접합, 초음파 접합, 바느질, 봉합, 및/또는 용접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본디드 카디드 웹"은, 스테이플 섬유들을 분리하거나 떨어지게 하여 기계 방향으로 정렬하여 대략 기계 방향으로 배향된 섬유성 부직 웹을 형성하는 코밍(combing) 또는 카딩(carding) 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s)로 제조되는 웹을 지칭한다. 이 재료는, 점 접합, 스루 에어 접합, 초음파 접합, 접착제 접합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하여 함께 접합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코폼"은 본원에서 열가소성 섬유와 제2 비-열가소성 물질의 혼합물 또는 안정화된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복합 물질을 지칭한다. 한 예로서, 코폼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멜트블로운 다이 헤드가 슈트(chute) 가까이에 배치되고 이를 통해 다른 물질이 웹이 형성되는 동안 웹에 첨가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물질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면, 레이온, 재생 종이, 펄프 플러프와 같은 목질계 또는 비목질계 펄프와 같은 섬유성 유기 물질 및 초흡수성 입자, 무기 및/또는 유기 흡수성 물질, 처리된 중합체 스테이플 섬유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폼 물질의 일부분 예가 Anderson 등의 미국특허 제4,100,324호, Lau의 제4,818,464호, Everhart 등의 제5,284,703호 및 Georger 등의 제5,350,624호에 개시되어 있고, 모든 목적을 위하여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상보적(complementary)"은, 예컨대, 중첩, 일치, 또는 이와의 정렬; 문맥적으로 관련, 또는 강조 표시에 의해 채우거나 완료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컨쥬게이트(conjugate) 섬유"는 본원에서 별도의 압출기로부터 압출되고 함께 방사되어 하나의 섬유를 형성하는 적어도 2종의 고분자 소스로부터 형성된 섬유를 지칭한다. 컨쥬게이트 섬유는 또한 때로는 이성분(bicomponent) 섬유 또는 다성분 섬유라 지칭된다. 고분자는, 컨쥬게이트 섬유들의 단면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위치된 구별되는 영역 내에 배열되고, 컨쥬게이트 섬유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그러한 컨쥬게이트 섬유의 구성은, 예를 들어 하나의 고분자가 다른 고분자에 의해 둘러싸인 시스(sheath)/코어 배열일 수도 있고, 또는, 나란한 배열, 파이 배열, 또는 "해상 섬"(island-in-the sea) 배열일 수도 있다. 컨쥬게이트 섬유는 Kaneko 등의 미국특허 제5,108,820호, Krueger 등의 제4,795,668호, Marcher 등의 제5,540,992호, Strack 등의 제5,336,552호, Shawver의 제5,425,987호 및 Pike 등의 제5,382,400호에 교시되어 있으며, 모든 목적을 위하여 이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이성분 섬유의 경우, 고분자는 75/25, 50/50, 25/75 또는 임의의 바람직한 비율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가공 보조제와 같은 고분자 첨가제가 각각의 영역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상기 용어 "외부에서 보이는"은, 비신체 대향 표면이 시야 내에 있는 구성으로 풀-온 착용식 용품이 유지되는 동안 풀-온 착용식 용품의 비신체 대향 표면을 관찰하는 기준점으로부터 표준 조명 조건에서 육안(근시, 원시, 또는 난시를 보정하도록 된 표준 교정 렌즈 제외)으로 정보 단서를 시각적으로 구별하는 인간 관찰자의 능력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정보 단서"는 기능적 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풀-온 착용식 용품과 연관된 독특한 그래픽, 질감 특징부, 및 이들의 조합을 지칭한다. 기능적 속성은, 흡수 용품을 풀-온 착용식 용품 내에 놓을 때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놓을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의 착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정보 단서는 풀-온 착용식 용품의 착용자의 인지 반응을 유발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내부에서 보이는"은, 신체 대향 표면이 시야 내에 있는 구성으로 풀-온 착용식 용품이 유지되는 동안 풀-온 착용식 용품의 신체 대향 표면을 관찰하는 기준점으로부터 표준 조명 조건에서 육안(근시, 원시, 또는 난시를 보정하도록 된 표준 교정 렌즈 제외)으로 정보 단서를 시각적으로 구별하는 인간 관찰자의 능력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계 방향"(MD)는, 섬유가 제조되는 방향에 있어서 섬유의 길이를 지칭하며, 이는, 기계 방향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섬유의 폭을 지칭하는 "교차 기계 방향"(CD)에 대조적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멜트블로운 웹"은 본원에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이 용융 섬유로서 다수의 미세한, 대개는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하여 압출되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섬유를 감쇄시키는 수렴하는 고속의 가스(예를 들어, 공기) 흐름 내로 압출되어 그들의 직경을 극세사 직경일 수도 있는 직경으로 감소시키는 공정에 의해 형성된 부직 웹을 말한다. 이후,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흐름에 의해 운반되며 수집면 상에 용착(deposit)되어 무작위로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 Buten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3,849,24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멜트블로운 섬유는 실질적으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이고 일반적으로 직경이 10㎛보다 작으며 수집 표면 상으로 용착될 때 일반적으로 접착성(tacky)인 극세사일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직포" 또는 "부직 웹"은 본 명세서에서 편물에서처럼 식별 가능한 방식은 아니지만 상호 연결된(interlaid) 개별적인 섬유들이나 실들의 구조를 갖는 웹을 지칭한다. 부직포 또는 웹은 많은 공정,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공정, 스펀본드 공정,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BCW 및 TABCW로도 알려짐) 공정 등으로 형성되고 있다. 부직 웹의 평량은 약 5, 10, 또는 20gsm 내지 약 120, 125, 또는 150gsm과 같이, 일반적으로 달라질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문구 "풀-온(pull-on)"은, 허리 개구 및 다리 개구를 통해 착용자의 다리를 빠져나가게 하고 착용식 용품을 다리를 따라 그리고 착용자의 둔부 및 엉덩이 위로 당겨서 착용자의 하반신 영역 상에 폐쇄 허리 구성을 갖는 착용식 용품을 배치하는 방법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스펀본드 웹(spunbond web)"은 작은 직경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섬유를 함유하는 웹을 지칭한다. 섬유는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복수의 미세하고 일반적으로 원형인 방적돌기(spinnerette)의 모세관들로부터 압출시키고 그후 압출된 섬유의 직경을 예를 들어 추출성 신장 및/또는 기타 공지된 스펀본딩 메커니즘에 의하여 급속히 감소시킴에 의하여 형성된다. 스펀본드 웹의 제조는, 예를 들어 Appel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4,340,563호, Dorschner 등에 의한 제3,692,618호, Matsuki 등에 의한 제3,802,817호, Kinney에 의한 제3,338,992호, Kinney에 대한 제3,341,394호, Hartman에 의한 제3,502,763호, Levy에 의한 제3,502,538호, Dobo 등에 의한 제3,542,615호 및 Pike 등에 의한 제5,382,400호에 설명 및 도시되어 있으며, 모든 목적을 위하여 이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스펀본드 섬유는 수집 표면 상에 피착(deposit)될 때 일반적으로 끈적거리지 않는다. 스펀본드 섬유는 때때로 약 40㎛ 미만, 종종, 약 5 내지 약 20㎛의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표준 조명 조건"은 인간의 시력이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조명 조건을 지칭한다(예를 들어, 인간의 눈은 복잡한 패턴, 음영 및 색상을 구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목적을 위해, 표준 조명 조건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이다: a) 주간 일조 시간 동안 실외에서 경험한 바와 같은 자연 조명; b) 2미터 거리에서 표준 100와트 백열등의 조명, 또는 c) 800 lux에서 CIE D65 표준 조명 내지 1964 CIE 표준 관찰자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음.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초흡수성 중합체", "초흡수체" 또는 "SAP"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그들 자신의 중량에 대하여 극도로 많은 양의 액체를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는 중합체를 지칭할 것이다. 가교될 수 있는 하이드로겔로서 분류되는 수분 흡수성 중합체는 물 분자와 수소 결합 및 다른 극성 힘을 통해 수용액을 흡수한다. SAP의 수분 흡수 능력은 부분적으로 이온화도(수용액의 이온 농도의 인자) 및 물에 대해 친화성을 갖는 SAP의 기능성 극성기를 기초로 한다. SAP는 통상적으로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수산화나트륨과 혼합된 아크릴산의 중합화로 제조되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염(때로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이라 지칭됨)을 형성한다. 또한,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초흡수성 고분자를 제조하는데, 예컨대, 폴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가교 결합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콜 공중합체, 가교 결합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전분 접합된 공중합체를 제조하게 된다. SAP는 입자 또는 섬유 형태로 또는 다른 물질 또는 섬유 상의 코팅층으로서 흡수 용품에 존재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문구 "착용식 용품"은 착용자의 하반신 주위에 착용되도록 구성되고 허리 개구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를 갖는 용품을 지칭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착용식 용품은 흡수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착용식 용품은 흡수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도면이 도시된다. 도 1은 폐쇄된 허리 구성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정면도의 실시예의 도면을 제공한다. 도 2는 폐쇄된 허리 구성에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배면도를 제공한다. 도 3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를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4는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시 착용자의 반대측을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개략도를 제공한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길이 방향(X) 및 가로 방향(Y)을 갖는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길이 방향 축(12) 및 가로 방향 축(14)을 가질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허리 개구(50) 및 한 쌍의 다리 개구(52)를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을 제공하는 영구 폐쇄형 허리 구성을 갖는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사람의 하반신 둘레에 착용되도록 의도되며, 전방 영역(20), 후방 영역(30), 및 전방 영역(20)과 후방 영역(30)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가랑이 영역(40)을 갖는다. 전방 영역(20)과 후방 영역(30)은, 예를 들어, 착용자의 복부, 허리, 둔부, 및 엉덩이를 포함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의 적어도 하반신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맞춰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영역들이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착용자 위로 맞춰질 때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될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영역이다.
전방 영역(20)은 전방 허리 에지(22)를 가지고, 후방 영역(30)은 후방 허리 에지(32)를 갖는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도 3에 도시된 대로 전방 허리 에지(22)로부터 후방 허리 에지(32)까지 길이방향(X)으로 측정된 용품 길이(60)를 갖는다. 전방 영역(20), 후방 영역(30), 및 가랑이 영역(40) 각각은 길이 방향(X)으로 측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전방 영역(20)은, 가로 방향 축(14)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길이방향 축(12)을 따라, 전방 허리 에지(22)로부터 측정했을 때, 용품 길이(60)의 1/3 이하인, 전방 영역 길이(62)를 가질 수 있다. 후방 영역(30)은, 가로 방향 축(14)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후방 허리 에지(32)로부터 측정했을 때, 용품 길이(60)의 1/3 이상인, 후방 영역 길이(64)를 가질 수 있다. 가랑이 영역(40)은 전방 영역(20)과 후방 영역(30) 사이에서 길이방향(X)으로 배치되고 양 영역을 서로 연결시킨다. 가랑이 영역(40)은, 길이 방향(X)으로 측정되고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측정했을 때, 용품 길이(60)의 1/3 이하인 가랑이 영역 길이(66)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방 영역 길이(62), 후방 영역 길이(64), 및 가랑이 영역 길이(66)는 동일하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후방 영역 길이(64)는 전방 영역 길이(62)와 가랑이 영역 길이(66)의 각각보다 큰 반면에, 가랑이 영역 길이(66)는 전방 영역 길이(62)와 동일하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후방 영역 길이(64)는 전방 영역 길이(62)와 가랑이 영역 길이(66)의 각각보다 더 크고, 가랑이 영역 길이(66)는 또한 전방 영역 길이(62)보다 크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후방 영역 길이(64)는 전방 영역 길이(62)와 가랑이 영역 길이(66)의 각각보다 더 크고, 전방 영역 길이(64)는 또한 가랑이 영역 길이(66)보다 크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가랑이 영역(40) 내에 위치하는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을 가질 수 있다.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은 선행 가로 방향 경계(76), 후행 가로 방향 경계(78), 및 제1 다리 에지(54)와 제2 다리 에지(56) 각각의 일부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은 길이 방향 길이 치수(72) 및 가로 방향 폭 치수(74)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가로 방향 폭 치수(7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리 에지(54)와 제2 다리 에지(56) 사이 가랑이 영역(40)에서 가장 좁은 폭 치수로서 가로 방향(Y)으로 측정된다. 선행 가로 방향 경계(76)는 전방 허리 에지(22)와 후행 가로 방향 경계(78) 사이에 위치하는 반면, 후행 가로 방향 경계(78)는 후방 허리 에지(32)와 선행 가로 방향 경계(76) 사이에 위치한다. 선행 가로 방향 경계(76) 및 후행 가로 방향 경계(78)는,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측정된 제1 다리 에지(54)와 제2 다리 에지(56) 사이의 가로 방향(Y) 폭 치수가 제1 다리 에지(54)와 제2 다리 에지(56) 사이에서 측정된 가장 좁은 가로 방향 폭 치수(74)에 걸쳐 증가하기 시작할 때 각각 정의된다. 선행 가로 방향 경계(76) 및 후행 가로 방향 경계(78)는 각각 가장 좁은 가로 방향 폭 치수(74)와 동일한 가로 방향(Y) 폭 치수를 가질 것이다.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길이 방향 길이 치수(72)는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길이 방향(X)으로 측정되고,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선행 가로 방향 경계(76)와 후행 가로 방향 경계(78) 사이의 거리로서 측정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은 흡수 용품(10)의 전방 허리 에지(22)와 가로 방향 축(14)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로 방향 축(14)과 중첩 정렬되지 않는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는 다양한 형상, 크기 및 곡률의 신체 형상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대칭적이지 않다. 대칭이 아닌 신체 상에 가로 방향 축(14)에 대해 대칭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을 배치하면 착용자의 신체 상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적절한 착용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을 전방 허리 에지(22)에 더 가깝게 위치시키고, 가로 방향 축(14)과 중첩 정렬되지 않게 위치시키는 것은 가로 방향 축(14)에 대해 비대칭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이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될 때, 더 큰 비율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착용자의 신체 뒤쪽에 위치되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의 엉덩이의 더 양호한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물질의 단일 층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후방 영역(30), 및 가랑이 영역(40) 각각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제1 부분은 단일 물질 층을 가질 수 있고,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제2 부분은 적어도 2개의 물질 층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제1 부분은 단일 물질 층을 가질 수 있고,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제2 부분은 적어도 3개의 물질 층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제1 부분은 단일 물질 층을 가질 수 있고,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제2 부분은 적어도 4개의 물질 층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재료 층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후방 영역(30), 및 가랑이 영역(40)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제1 부분은 2개의 물질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제2 부분은 적어도 3개의 물질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제1 부분은 2개의 물질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제2 부분은 적어도 4개의 물질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3개의 재료 층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후방 영역(30), 및 가랑이 영역(40)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제1 부분은 물질의 3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제2 부분은 물질의 적어도 4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4개의 재료 층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후방 영역(30), 및 가랑이 영역(40)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세탁되거나 달리 복원되거나 착용식 용품으로서 재사용되도록 의도되는 내구성 용품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을 형성하는 물질은, 세척 및/또는 건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세탁 과정을 견딜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층의 임의의 부분을 형성하는 물질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면 재료, 면 혼방 물질, 합성 재료, 탄성화된 혼방 물질(예를 들어, 엘라스테인 또는 스판덱스),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필름(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또는 실리콘), 발포체 물질, 폴리아미드 물질, 폴리에스테르 재료, 폴리올레핀 물질, 폴리우레탄 물질,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물질, 천연 셀룰로오스 물질, 재생 셀룰로오스 물질, 재생 셀룰로오스 유도체 물질(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천연 단백질 및 재생 단백질 재료 등, 또는 이러한 물질의 블렌드에서 선택될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물질의 단일 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용품 본체 층은, 예를 들어, 면 물질, 면 혼방 물질, 합성 물질, 탄성화된 혼방 물질(예를 들어, 엘라스테인 또는 스판덱스), 또는 임의의 다른 물질(예를 들어, 천연 또는 인공 합성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일부분이 하나 이상의 물질 층을 가질 때, 물질의 최외측 층은 단지 단일 물질 층으로 형성된 풀-온 착용식 용품(10)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을 수 있는 반면, 물질의 각각의 내부(즉, 착용자의 신체에 더 가까움) 층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에 대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그 기능에 특정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물질의 외부층은 용품 본체 층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물질의 내부층은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층, 흡수층, 또는 위킹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물질의 내부 층은, 흡수 용품으로부터 풀-온 착용식 용품(10) 상으로 누출되는 임의의 신체 삼출물이 풀-온 착용식 용품(10)을 빠져나가서 착용자의 외부 옷을 얼룩지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일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은 적어도 190oC까지 열 안정한 임의의 물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은 초흡수성 물질/히드로겔로 코팅된 경량의 촘촘하게 편직된/직조된 직물일 수 있거나,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은 텍스타일/초흡수성 하이브리드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량의 촘촘하게 편직된/직조된 직물일 수 있거나, 또는 액체-방지 멤브레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필름(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실리콘)과 같은 임의의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액체 차단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물질의 내부층은, 흡수 용품으로부터 풀-온 착용식 용품(10) 상으로 누출되는 임의의 신체 삼출물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층일 수 있다. 흡수층은, 예를 들어, 면, 면 블렌드, 발포체, 합성 물질, 흡수성 중합체 발포체, 나노기술 기반 또는 생산 물질, 또는 임의의 다른 수분 흡수 물질과 같은 임의의 액체 흡수 물질과 같은 물질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흡수층은 극세사 이중 테리 니트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나일론 직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층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임의의 셀룰로오스 기반 직물 및 면, 대나무 등을 포함하는 이들의 블렌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층은 100% 폴리에스테르 이중 테리 직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층은 초흡수성 물질, 하이드로겔, 및 폴리에스테르 중 둘 이상을 함유하는 혼방 섬유로 제조될 수 있거나, 흡수층의 적어도 일부는 초흡수성 물질 또는 하이드로겔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물질의 내부 층은, 흡수 용품으로부터 누출되는 임의의 신체 삼출물을 흡인할 수 있고, 누출된 신체 삼출물을 예를 들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흡수층과 같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다른 층으로 전달할 수 있는 위킹 층일 수 있다. 위킹 층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천연 셀룰로오스, 재생 셀룰로오스, 재생 셀룰로오스 유도체(예: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또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천연 단백질, 및 재생 단백질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위킹 층은 편직(경편, 예를 들어, 라셀 트리콧, 원형 또는 플랫과 같은 위편), 직조, 부직 방법(예를 들어, 블로우 스피닝, 스테이플 부직포, 스펀레이드, 에어레이드, 바늘 펀칭, 열 접합, 수력-엉킴, 화학 결합 등), 전기-스피닝, 힘-스피닝 등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위킹 층은 그의 액체 및 수분 관리 기능, 예컨대 흡수/위킹 속도, 흡수 용량, 확산 및 분배 속도, 일방향 액체 운송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팅, 처리 캡슐화 또는 포획을 포함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위킹 층은 천연 위킹 재료일 수 있고, 천연 수분 위킹일 수 있고/있거나 수분 위킹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서, 위킹 층은, 직물의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직물의 비-신체 대향면으로 액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돕는, 프렌치 테리 니트 및 직물의 2개의 면을 가로질러 데니어 차등을 갖는 100% 폴리에스테르 직물일 수 있다. 위킹 층 물질의 추가 예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면의 블렌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위킹층은 적어도 51% 면인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위킹층의 상기 신체 대향면 및/또는 비-신체 대향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친수성 조성물 또는 물질(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산화물,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 피롤리돈, 친수성 실리콘, 또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및/또는 소수성 조성물 또는 물질(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플루오로알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또는 왁스)로 처리되어 상기 위킹 층에 걸쳐 순 친수성 구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후방 영역(30), 및 가랑이 영역(40)을 형성하는 용품 본체 층(80)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액체 불투과성 장벽 층(82)은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 후방 영역(30)의 적어도 일부분,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 및 후방 영역(30)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가랑이 영역(40), 후방 영역(30), 및 전방 영역(2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위킹 층(84)은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 후방 영역(30)의 적어도 일부분,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 및 후방 영역(30)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가랑이 영역(40), 후방 영역(30) 및 전방 영역(2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층(86)은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 후방 영역(30)의 적어도 일부분,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 및 후방 영역(30)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가랑이 영역(40), 후방 영역(30) 및 전방 영역(2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내부층을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층(82), 위킹층(84), 및/또는 흡수층(86)을 가지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액체 불투과층(82), 위킹층(84), 및/또는 흡수층(86)은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존재하는 경우, 액체 불투과층(82), 위킹층(84), 및/또는 흡수층(86)은 용품 본체 층(80)과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존재하는 경우, 액체 불투과층(82), 위킹층(84), 및/또는 흡수층(86)은 용품 본체 층(80)보다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에 존재할 때, 액체 불투과층(82), 위킹층(84), 및/또는 흡수층(86)은 가랑이 영역(4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부분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후방 영역(30)의 적어도 일부분에 존재할 때, 액체 불투과층(82), 위킹층(84), 및/또는 흡수층(86)은 후방 영역(3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부분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방 영역(20)의 적어도 일부분에 존재할 때, 액체 불투과층(82), 위킹층(84), 및/또는 흡수층(86)은 전방 영역(2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부분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 및 후방 영역(30)의 적어도 일부분에 존재할 때, 액체 불투과층(82), 위킹층(84) 및/또는 흡수층(86)은 가랑이 영역(4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부분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제1 부분을 가질 수 있고, 후방 영역(3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부분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제2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 상기 후방 영역(30)의 일부분, 및 전방 영역(20)의 일부분에 존재할 때, 액체 불투과층(82), 위킹층(84), 및/또는 흡수층(86)은 가랑이 영역(4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부분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제1 부분을 가질 수 있고, 후방 영역(3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부분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제2 부분을 가질 수 있고, 전방 영역(2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부분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제3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다양한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물질의 단일 층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적어도 일부분은 물질의 외부 층 및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를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4는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시 착용자의 반대측을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3 및 도 4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적어도 1, 2, 3 또는 4개의 물질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물질의 각 층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허리 에지(22)로부터 후방 허리 에지(32)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의 예는 도 10, 도 23 및 도 2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볼 수 있다. 도 10은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3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며,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예를 들어, 용품 본체 층(80)과 같은 물질의 단일 층으로 형성된다. 도 23은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3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며,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3개의 물질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된다. 도 26은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3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며, 여기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4개의 물질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흡수층(86), 및 위킹층(84)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층이 존재하는 경우,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층(82), 흡수층(86), 및 위킹층(84) 각각은, 전방 영역(20), 후방 영역(30), 및 가랑이 영역(40)의 각각의 내부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후방 영역(30), 및 가랑이 영역(40)의 각각의 내부에서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존재하는 경우,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위킹 층(84), 및 흡수 층(86) 각각의 치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후방 영역(30), 및 가랑이 영역(40) 각각에서 용품 본체 층(80)과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도 5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를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5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적어도 2, 3 또는 4개의 재료 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에, 도 5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및 후방 영역(30) 각각은 단일 재료 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예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볼 수 있다. 도 11은, 상기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5의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물질의 단일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영역(20) 및 상기 후방 영역(30)의 각각에서, 용품 본체 층(80)은 상기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3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된다. 도 12는, 상기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5의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물질의 단일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영역(20) 및 후방 영역(30) 각각에서 용품 본체 층(80)은 상기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4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흡수층(86),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층이 존재할 때,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흡수층(86), 및 위킹층(84) 각각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는 가랑이 영역(40) 내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존재할 때,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위킹층(84), 및 흡수층(86) 각각의 치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에서 용품 본체 층(80)과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도 6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를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6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적어도 3개 또는 4개의 물질 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에, 도 6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의 적어도 일부분은 2개 또는 3개의 물질 층으로 형성되고, 도 6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은 물질의 단일 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예는 도 13,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볼 수 있다. 도 13은 상기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6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물질의 단일 층, 상기 전방 영역(20)에서의 용품 본체 층(80)으로 형성되고,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에서의 3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및 위킹층(84)으로 형성되고,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의 적어도 일부분에서의 2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된다. 도 14는 상기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6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물질의 단일 층, 상기 전방 영역(20)에서의 용품 본체 층(80)으로 형성되고,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에서의, 4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흡수층(86),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되고,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의 적어도 일부분에서의 2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된다. 도 16은 상기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6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물질의 단일 층, 상기 전방 영역(20)에서의 용품 본체 층(80)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에서의 4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흡수층(86),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되고,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3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된다. 흡수층(86)이 존재할 때, 이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는 가랑이 영역(40) 내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이 가랑이 영역(40)에만 존재하는 경우, 이는 가랑이 영역(4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이 가랑이 영역(40)과 후방 영역(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에 존재하는 경우, 이는 가랑이 영역(4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가랑이 영역(40) 내의 일부분을 가질 수 있고, 후방 영역(3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후방 영역(30) 내의 제2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위킹 층(84)이 가랑이 영역(40) 및 후방 영역(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에 존재하는 경우, 이는 가랑이 영역(4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가랑이 영역(40) 내의 제1 부분을 가질 수 있고, 후방 영역(3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후방 영역(30) 내의 제2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를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7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및 후방 영역(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적어도 3개 또는 4개의 재료 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도 7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은 단일 재료 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예는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볼 수 있다. 도 15는 상기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7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의 일부분은 단일 물질 층, 용품 본체 층(80)으로 형성되고, 3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및 위킹 층(84)은 가랑이 영역(40)과 후방 영역(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 도 17은 상기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7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의 적어도 일부분은 단일 물질 층, 용품 본체 층(80)으로 형성되고, 4개의 재료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흡수층(86), 및 위킹 층(84)은 가랑이 영역(40)과 후방 영역(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각각의 층이 존재할 때,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흡수층(86), 및 위킹층(84) 각각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 및 가랑이 영역(40) 각각 내부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는 치수를 후방 영역(30) 및 가랑이 영역(40)의 각각의 내부에 가질 수 있다.
도 8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를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8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적어도 3 또는 4개의 재료 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도 8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의 적어도 일부분 및 후방 영역(30)의 적어도 일부분은 2 또는 3개의 재료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는 도 18, 도 19, 도 21 및 도 2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볼 수 있다. 도 18은 상기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8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과 후방 영역(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2개의 물질 층, 용품 본체 층(80)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되고,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는 3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된다. 도 19는 상기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8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과 후방 영역(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2개의 물질 층, 용품 본체 층(80)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되고,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는 4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흡수층(86),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된다. 도 21은 상기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8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의 적어도 일부분은 2개의 물질 층, 용품 본체 층(80)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되고,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는 4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흡수층(86),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되고, 3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및 위킹 층(84)은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 도 24는 상기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8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전방 영역(20)과 후방 영역(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3개의 물질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랑이 영역(40)의 적어도 일부는 4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위킹층(84), 및 흡수층(86)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수층(86)이 존재할 때, 이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는 가랑이 영역(40) 내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이 가랑이 영역(40)에만 존재하는 경우, 이는 가랑이 영역(4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이 가랑이 영역(40)과 후방 영역(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에 존재하는 경우, 이는 가랑이 영역(4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가랑이 영역(40) 내의 제1 부분을 가질 수 있고, 후방 영역(3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후방 영역(30) 내의 제2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이 전방 영역(20), 후방 영역(30), 및 가랑이 영역(4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에 존재하는 경우, 이는 전방 영역(2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제1 부분을 전방 영역(20) 내에 가질 수 있고, 상기 후방 영역(30) 내에 있는 상기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상기 후방 영역(30) 내의 제2 부분을 가질 수 있고, 및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가랑이 영역(40) 내의 제3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위킹 층(84)이 전방 영역(20), 가랑이 영역(40), 및 후방 영역(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에 존재하는 경우, 이는 전방 영역(2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제1 부분을 전방 영역(20) 내에 가질 수 있고, 가랑이 영역(4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는 상기 가랑이 영역(40) 내의 제2 부분을 가질 수 있고, 후방 영역(3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갖는 제3 부분을 후방 영역(30) 내에 가질 수 있다.
도 9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를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9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및 후방 영역(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적어도 3개 또는 4개의 재료 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도 9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의 적어도 일부분은 2개 또는 3개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예는 도 20, 도 22 및 도 2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볼 수 있다. 도 20은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9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및 후방 영역(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3개의 물질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되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의 적어도 일부는 2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된다. 도 22는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9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및 후방 영역(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4개의 물질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흡수층(86),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되고,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의 적어도 일부는 2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된다. 도 25는 길이 방향 축(12)을 따라 취해진, 도 9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및 후방 영역(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4개의 물질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흡수층(86),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되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의 적어도 일부는 3개의 재료 층, 용품 본체 층(80),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및 위킹 층(84)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층이 존재할 때,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흡수층(86), 및 위킹층(84) 각각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 및 가랑이 영역(40) 각각 내부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는 치수를 후방 영역(30) 및 가랑이 영역(40)의 각각의 내부에 가질 수 있다. 위킹 층(84) 및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82) 각각은, 전방 영역(20)에 존재할 때, 전방 영역(20) 내의 용품 본체 층(80)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정보 단서는 풀-온 착용식 용품(10)과 연관될 수 있어서, 흡수 용품을 풀-온 착용식 용품 내에 배치할 때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어디에 배치할 것인지에 대해 풀-온 착용식 용품의 착용자에게 전달한다. 정보 단서는 풀-온 착용식 용품의 착용자의 인지 반응을 유발하며, 주의를 끄는 그래픽, 질감 특징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연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와 연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와 연관될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와 연관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중 적어도 하나 및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정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연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의 제1 부분은 가랑이 영역(40)의 일부분 내에 위치하고,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의 제2 부분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의 일부분 내에 위치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의 제1 부분은 가랑이 영역(40)의 일부분 내에 위치하고,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의 제2 부분은 전방 영역(20)의 일부분 내에 위치하고,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의 제3 부분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의 일부분 내에 위치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다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는 가랑이 영역(40) 내에 위치하고, 제2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는 전방 영역(20) 내에 위치하고, 여기서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는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분리되어 있고 이격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다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는 상기 가랑이 영역(40)에 위치하고,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는 상기 전방 영역(20) 내에 위치하고,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는 후방 영역(30) 내에 위치하고, 제1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및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는 서로 분리되고 이격되어 있다.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의 적어도 일부분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위치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의 적어도 일부분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여성 생식기 해부학적 구조에 관하여, 외음부 영역은 질 개구 및 요도 개구의 각각이 위치하고, 질 개구 및 요도 개구의 각각은 신체의 중간 관상 평면의 전방에 위치하는 곳이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경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로 방향 축(14)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의 외음부 영역과 정렬될 것이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위치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의 목적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로부터 신체 삼출물을 포착하기 위해, 흡수 용품을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놓을 때,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놓을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중 적어도 일부가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과 중첩 구성으로 되어 있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위치시키는 것은,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의 외음부 영역과 일치됨에 따라 그들의 신체 삼출물을 포획하기 위해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이 적절히 배치될 것이라는 점을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된다.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의 적어도 일부분이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과 중첩 구성으로 된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의 중첩 부분은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크기 치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거나, 그보다 작은 크기 치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내에 위치한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를 갖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는, 흡수 용품의 전방 영역을 놓을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내에 위치하는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갖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는, 흡수 용품의 전방 에지를 놓을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 내에 위치하는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갖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는, 흡수 용품의 후방 영역을 놓을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 내에 위치하는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갖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는, 흡수 용품의 후방 에지를 놓을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가 그래픽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그래픽은 형상 및/또는 이미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은 하나 이상의 점, 하나 이상의 선, 하나 이상의 화살표, 하나 이상의 규칙적이거나 불규칙한 형상(예컨대, 원형, 난형, 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다이아몬드형 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그래픽은 색상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색상은 균일하거나 하나의 색조에서 다른 색조로 가변적일 수 있거나, 밝은 색에서 어두운 색으로 가변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그래픽은 인간 관찰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객체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가 질감 특징부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질감 특징부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층의 일부의 느낌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감 특징부는 평활도를 변경할 수 있고, 조도를 변경할 수 있고, 반사율을 변경할 수 있고, 색상을 향상시킬 수 있고, 층을 형성하는 물질의 일부분을 상이한 유형의 물질로 교체할 수 있고, 층의 일부분, 또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층의 일부분의 이들의 조합의 기능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적어도 1, 2, 3, 또는 4개의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신호를 가질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1개 이상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갖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각각은 동일할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1개 이상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갖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각각은 상이할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적어도 3개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갖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각각은 동일할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적어도 3개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갖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각각은 상이할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적어도 3개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갖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는 동일할 수 있고,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중 적어도 2개는 상이할 수 있다. 2개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간의 차이는, 예를 들어, 2개의 상이한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 간의 상이한 색상, 상이한 그래픽, 상이한 형상, 상이한 크기, 상이한 질감 특징부 등의 결과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27 내지 도 33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를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개략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그래픽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갖는다. 도 3 및 도 27 내지 도 33 각각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는 그래픽의 형태로 예시되지만,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는 질감 특징부 또는 그래픽 및 질감 특징부의 조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3은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0)를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0)는 선과 같은 그래픽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적어도 일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과 중첩된 구성으로 존재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중첩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크기 치수와 동일한 크기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7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를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한 쌍의 화살표와 같은 그래픽일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0)의 적어도 일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과 중첩된 구성으로 존재한다. 도 2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0)의 중첩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크기 치수보다 작은 크기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8은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0)를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삼각형과 같은 그래픽일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적어도 일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과 중첩된 구성으로 존재한다. 도 2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중첩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크기 치수보다 작은 크기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9는 2개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 및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를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제1 내부적으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0)는 한 쌍의 화살표와 같은 그래픽일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되고,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적어도 일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과 중첩된 구성으로 존재한다. 도 29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내부적으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0)의 중첩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크기 치수보다 작은 크기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분리되고 이격되어 있다.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그래픽이고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배치하기 위한 위치를 전달할 수 있지만,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상기 흡수 용품을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배치하는 경우, 상기 흡수 용품의 전방 에지를 어디에 배치할지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영역(20)의 이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0은 2개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 및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를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삼각형과 같은 그래픽일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되고,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적어도 일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과 중첩된 구성으로 존재한다. 도 30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0)의 중첩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크기 치수보다 작은 크기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분리되고 이격되어 있다.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그래픽이고 원형 형상이다.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배치하기 위한 위치를 전달할 수 있지만,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상기 흡수 용품을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배치하는 경우, 상기 흡수 용품의 전방 영역을 배치하는 위치를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영역(20)의 이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1은 3개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 및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를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제1 내부적으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0)는 한 쌍의 화살표와 같은 그래픽일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적어도 일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과 중첩된 구성으로 존재한다. 도 3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내부적으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0)의 중첩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크기 치수보다 작은 크기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분리되고 이격되어 있다.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그래픽이고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배치하기 위한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지만,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흡수 용품을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배치하는 경우, 흡수 용품의 전방 에지를 어디에 배치할지 풀-온 착용식 용품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전방 영역(20)의 이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 및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의 각각과 분리되고 이격되어 있다.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는 그래픽이며 일반적으로 타원형 형상이다.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배치하는 위치를 전달할 수 있고,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흡수 용품의 전방 에지를 배치하는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전방 영역(20)의 이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는 상기 흡수 용품을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배치할 때, 상기 흡수 용품의 후방 에지를 놓을 위치를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후방 영역(30)의 이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2는 3개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 및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를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삼각형과 같은 그래픽일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적어도 일부분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과 중첩된 구성으로 존재한다. 도 3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내부적으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0)의 중첩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크기 치수보다 작은 크기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분리되고 이격되어 있다.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그래픽이고 원형 형상이다.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배치하기 위한 위치를 전달할 수 있지만,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상기 흡수 용품을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배치하는 경우, 상기 흡수 용품의 전방 영역을 배치하는 위치를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영역(20)의 이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 및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의 각각과 분리되고 이격되어 있다.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는 그래픽이고 일반적으로 사각형 형상이다.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배치하기 위한 위치를 전달할 수 있고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흡수 용품의 전방 영역을 배치할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전방 영역(20)의 이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는 상기 흡수 용품을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배치할 때 상기 흡수 용품의 후방 영역을 놓을 위치를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후방 영역(30)의 이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3은 4개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 및 제4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6)를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제1 내부적으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0)는 한 쌍의 화살표와 같은 그래픽일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되고,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적어도 일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과 중첩된 구성으로 존재한다. 도 3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0)의 중첩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크기 치수보다 작은 크기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전방 영역(2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분리되고 이격되어 있다.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그래픽이고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배치하기 위한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지만,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흡수 용품을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배치하는 경우, 흡수 용품의 전방 에지를 어디에 배치할지 풀-온 착용식 용품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전방 영역(20)의 이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 및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의 각각과 분리되고 이격되어 있다.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는 그래픽이며 일반적으로 타원형 형상이다.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배치하는 위치를 전달할 수 있고,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는, 흡수 용품의 전방 에지를 배치하는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전방 영역(20)의 이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는 상기 흡수 용품을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배치할 때, 상기 흡수 용품의 후방 에지를 놓을 위치를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후방 영역(30)의 이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와 유사하게, 제4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6)는 또한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제1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 제2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 및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의 각각과 분리되고 이격되어 있다. 제4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6)는 그래픽이고 일반적으로 타원형 형상이다. 흡수 용품은, 예를 들어, 야간 사용을 위해 또는 무거운 월경 흐름을 수용하기 위해 의도된 흡수 용품과 같은 가변적인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보통 또는 중간의 월경 흐름을 위해 의도된 흡수 용품의 전방 에지와 후방 에지 사이의 총 길이 방향 길이보다 전방 에지와 후방 에지 사이의 더 긴 총 길이 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도한 월경 흐름 또는 상기 흡수 용품의 밤새 사용을 위한 흡수 용품은, 중간 또는 규칙적인 월경 흐름을 위한 흡수 용품과 비교할 때 유사한 길이 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는 전방 영역 및 가랑이 영역을 가질 수 있고, 그러나, 생리량이 많거나 밤새 사용하도록 의도된 흡수 용품의 후방 영역은 의도된 사용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보통 또는 중간의 흡수 용품의 후방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는 흡수 용품을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배치하는 경우, 흡수 용품의 후방 에지를 어디에 배치할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후방 영역(30)의 이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4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6)는, 예컨대, 더 많이 사용하거나 밤새 사용하도록 의도된 흡수 용품과 같은 보다 긴 흡수 용품의 후방 에지를 어디에 배치할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후방 영역(30)의 이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와 연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외부 가시적 정보 단서의 적어도 일부분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위치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부 가시적 정보 단서의 적어도 일부분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 구성으로 있을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위치된 외부 가시적 정보 단서의 목적은, 흡수 용품을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배치할 때,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어디에 배치할 것인지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은, 이 흡수 용품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를 가질 수 있다. 날개는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존재할 때, 풀-온 착용식 용품(10)에 대한 흡수 용품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는,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신체 대향면 상에 배치하는 위치 및 존재하는 경우 흡수 용품의 날개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을 형성하는 재료 주위를 감싸고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비신체 대향면에 고정될 수 있을 때,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상기 비신체 대향면 상에 배치하는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가 그래픽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그래픽은 형상 및/또는 이미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은 하나 이상의 점, 하나 이상의 선, 하나 이상의 화살표, 하나 이상의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예컨대, 원형, 반원형, 난형, 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다이아몬드형 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그래픽은 색상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색상은 균일하거나 하나의 색조에서 다른 색조로 가변적일 수 있거나, 밝은 색에서 어두운 색으로 가변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그래픽은 인간 관찰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객체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그래픽은 흡수 용품 날개의 예시적인 이미지에 제시될 수 있다. 그래픽이 흡수 용품 날개의 예시적인 이미지로 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존재 시, 착용자에 의해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배치되는 흡수 용품의 날개 형상과 동일할 필요는 없다.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가 질감 특징부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질감 특징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용품 본체 층(80)과 같은, 층의 일부분의 느낌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감 특징부는 평활도를 변경할 수 있고, 조도를 변경할 수 있고, 반사율을 변경할 수 있고, 색상을 향상시킬 수 있고, 층을 형성하는 물질의 일부분을 다른 유형의 층으로 교체할 수 있고, 층의 일부분의 기능, 또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용품 본체 층(80)과 같은 층의 일부분의 이들의 조합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4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의 반대측을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의 2차원 개략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그래픽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시적 정보 단서(108)를 갖는다. 도 34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시적 정보 단서는 그래픽의 형태로 도시되지만,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시적 정보 단서는 질감 특징부 또는 그래픽 및 질감 특징부의 조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8)는 흡수 용품 날개를 예시하기 위한 한 쌍의 반원과 같은 그래픽일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가시적 정보 단서(108)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외부 가시적 정보 단서(108)의 적어도 일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과 중첩된 구성으로 존재한다. 도 3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8)의 중첩부는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크기 치수보다 작은 크기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4에 도시된 그래픽은 흡수 용품 날개를 예시하기 위한 한 쌍의 반원이지만, 흡수 용품 날개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반하트 형상, 다중 돔 형상 등과 같은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형상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시적 정보 단서와 연관될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37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시적 정보 단서와 연관된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실시예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도 35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평면도이고, 도 36은 도 35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정면도이고, 도 37은 도 35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배면도이다. 도 3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평면도에서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개략도인 그래픽 형태의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00)를 갖는다.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가랑이 영역(40) 내에 위치된 제1 부분(100A), 전방 영역(20)의 일부분 내에 위치된 제2 부분(100B), 및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의 일부분 내에 위치된 제3 부분(100C)을 갖는다.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제1 부분(100A)은,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40)이 위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지만,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제2 부분(100B) 및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제3 부분(100C) 각각은 흡수 용품의 전방 영역 및 후방 영역이 각각 위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 가시적 정보 단서(108)는,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배치되는 흡수 용품이 날개를 갖는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이 배치되어야 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의 위치와 흡수 용품 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한 쌍의 다중-돔 형상의 형태이다.
도 38 및 도 39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관찰자를 향하여 착용될 때 착용자를 향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표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으로 도 1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평면도의 2차원 개략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질감 특징부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를 갖는다. 도 38 및 도 39 각각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는 질감 특징부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보이는 단서는 그래픽 또는 질감 특징부와 그래픽의 조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38은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10)를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10)는 후크-루프 결합 시스템의 루프 부분과 같은 질감 특징부일 수 있다. 후크-루프 결합 시스템의 루프 부분이 도 38에 도시되어 있지만, 후크-루프 결합 시스템의 후크 부분이 질감 특징부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10)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10)의 적어도 일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과 중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10)의 중첩부는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치수보다 큰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9는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 단서(112)를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12)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동일한 층을 형성하는 물질의 나머지와 상이한 유형의 물질인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층에서 물질의 이용과 같은 질감 특징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물질의 단일 층, 탄성화된 배합 물질(예를 들어, 엘라스테인 또는 스판덱스)과 같은 용품 본체 층(80)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질감 특징부는 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12)인 면 재료는 이음부(114, 116)에서 용품 본체 층(80)에 접합될 수 있다.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12)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12)의 적어도 일부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과 중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9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12)의 중첩부는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치수보다 큰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후크-루프 결합 시스템의 루프 부분과 같은 질감 특징부를 이용하거나 상이한 유형의 물질과 같은 질감 특징부를 이용하는 것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층의 평활도 및/또는 조도를 변경할 뿐만 아니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층의 일부의 기능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정보 단서로서 그래픽을 사용하면, 시력이 떨어진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는 거의 이점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에 질감 특징부를 제공하는 것은,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70)의 위치를 이러한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적절히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질감 특징부 그 자체는 흡수 용품을 풀-온 착용식 용품(10)에 고정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에 관한 것이다. 풀-온 착용식 용품은, 허리 개구 및 2개의 다리 개구를 갖는 풀-온 착용식 용품을 제공하는 영구 폐쇄형 허리 구성을 갖는다. 정보 단서는 풀-온 착용식 용품과 연관되어서, 흡수 용품을 풀-온 착용식 용품 내에 놓을 때 흡수 용품의 가랑이 영역을 놓을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정보 단서는 풀-온 착용식 용품의 착용자의 인지 반응을 유발하며, 주의를 끄는 그래픽, 질감 특징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40 내지 도 44를 참조해 보면, 흡수 용품(200)은 월경 패드 또는 생리대와 같은 여성 위생 제품의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 도 40은 흡수 용품(2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평면도를 제공하고, 도 41 내지 도 44는 도 40의 흡수 용품(200)의 저면도의 예시적 실시예를 제공한다. 흡수 용품(200)은 길이방향(X) 및 가로 방향(Y)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은 길이방향 축(202)과 가로 방향 축(204)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은 전방 영역(206), 후방 영역(208), 및 전방 영역(206)과 후방 영역(208) 사이에 위치한 가랑이 영역(210)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200) 사용 시에, 가랑이 영역(210)은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로부터의 삼출물 방출의 주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은 전방 에지(212), 전방 에지(212)에 대향하는 후방 에지(214), 및 전방 에지(212)와 후방 에지(214)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측면 에지(216)를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은 착용자 대향,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220) 및 의복 대향,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2)을 가질 수 있다. 흡수성 코어(226)는 상면시트층(220)과 배면시트층(2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면시트층(220)과 배면시트층(222) 모두는, 흡수성 코어(226)의 최외곽 둘레 에지를 넘어서 연장될 수 있고, 밀봉된 둘레 영역을 형성하도록 알려져 있는 접합 기술들을 이용하여 둘레에서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면시트층(220) 및 배면시트층(222)은 접착제 접합, 초음파 접합, 또는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접합 기술에 의해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상면시트층(220)은 착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신체 삼출물을 수용하도록 액체 투과성인 흡수 용품(200)의 신체 대향면을 정의한다. 상면시트층(220)은 바람직하게는 편안함을 위해 제공되며, 그 자체 구조를 통해 그리고 흡수성 코어(226)를 향해서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멀리 신체 삼출물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면시트층(220)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구조에 액체를 거의 또는 전혀 보유하지 않아서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의 피부 옆에 비교적 편안하고 자극시키지 않는 표면을 제공하게 된다.
상면시트층(220)은 단일 물질층일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함께 적층된 다수의 층일 수 있다. 상면시트층(220)은 하나 이상의 직조 시트, 하나 이상의 섬유상 부직 시트, 자체로 단층 또는 다층일 수도 있는 블로운 필름 또는 압출된 필름과 같은 하나 이상의 필름 시트, 망상의 개방 셀 또는 폐쇄된 셀 폼과 같은 하나 이상의 폼(foam) 시트, 코팅된 부직 시트, 또는 이 물질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은 단일화된 평면 시트 구조에 접착적으로, 열적으로 또는 초음파적으로 적층되어 상면시트층(22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220)은 멜트블로운 웹, 스펀본드 웹, 수력엉킴 스펀레이스 웹 또는 통기 본디드 카디드 웹과 같은 다양한 부직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절한 상면시트층(220) 물질의 예는 (면과 같은) 천연 섬유 웹, 레이온, 수력엉킴 웹,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또는 (이성분 섬유와 같은) 다른 열-접합성 섬유의 본디드 카디드 웹,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락틱 산과 같은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세하게 천공된 필름 및 네트(net) 물질이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물질의 박층체 또는 조합도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상면시트층(220)의 예는 독일 Sandler Corp.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것과 같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본디드 카디드 웹일 수 있다. Datta 등의 미국특허 제4,801,494호, Sukiennik 등의 제4,908,026호 및 Texol의 WO 2009/062998은 상면시트층(220)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다양한 다른 상면시트 물질을 교시하며, 이 문헌 각각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추가적인 상면시트층(220) 물질은 Matthews 등의 미국 특허 제4,397,644호, Curro 등의 제4,629,643호, Van Iten 등의 제5,188,625호, Pike 등의 제5,382,400호, Kirby 등의 제5,533,991호, Daley 등의 제6,410,823호, 그리고 Abuto 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2/0289917호에 설명된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문헌 각각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220)은 신체 삼출물이 흡수성 코어(226) 내로 더욱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천공을 함유할 수도 있다. 천공들은 상면시트층(220) 전체에 무작위로 또는 균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천공의 크기, 형상, 직경 및 개수는 흡수 용품(200)의 특정 필요에 맞게 달라질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220)은 약 5, 10, 15, 20 또는 25gsm 내지 약 50, 100, 120, 125 또는 15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220)은 약 15gsm 내지 약 100gsm 범위의 평량을 갖는 통기 본디드 카디드 웹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면시트층(220)은 Xiamen Yanjan Industry, Beijing, DaYuan Nonwoven Fabrics 및 다른 제조자와 같은 부직 물질 제조자로부터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통기 본디드 카디드 웹과 같은, 약 20gsm 내지 약 50gsm의 평량을 갖는 통기 본디드 카디드 웹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22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220)의 일부분은 친수성일 수 있고 상면시트층(220)의 일부분은 소수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소수성일 수 있는 상면시트층(220)의 부분은 본질적으로 소수성 물질일 수 있거나 소수성 코팅으로 처리된 물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220)은 상이한 물질이 흡수 용품(200)의 가로 방향(Y)으로 별도의 위치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상이한 부직포 또는 필름 재료를 갖는 것과 같은 다성분 상면시트층(22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시트층(220)은, 이층 또는 흡수 용품(200)의 길이방향 축(202)을 따라 이에 걸쳐 위치한 중앙 부분을 가지는 다성분 물질일 수 있고, 측방향 측면 부분들은 중앙 부분의 각각의 측면 에지에 측면 배치되고 접합된다. 중앙 부분은 제1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측면 부분은 중앙 부분의 재료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중앙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일 수도 있고 측면 부분은 본래 소수성이거나 소수성 코팅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다성분 상면시트층(220)의 구성의 예는 일반적으로 Coe의 미국 특허 제5,961,505호, Kirby의 제5,415,640호, 및 Sugahara의 제6,117,523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문헌 각각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220)의 중앙 부분은 흡수 용품(200)의 길이방향 축(202)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심의 길이방향으로 향한 중앙 부분은 약 15 내지 약 100gsm의 평량을 갖는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TABCW")일 수 있다. 이전에 기술된 부직, 직조 및 천공 필름 상면시트층 물질도 상면시트층(220)의 중앙 부분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중앙 부분은 예컨대 Xiamen Yanjan Industry, Beijing, DaYuan Nonwoven Fabrics, 및 다른 제조자로부터 입수가능한 것과 같은 약 20 내지 약 50gsm의 평량을 갖는 TABCW 물질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탈리아의 Texol 및 미국의 Tredegar와 같은 필름 공급자로부터 입수 가능한 것과 같은 천공 필름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이한 부직, 직조 또는 필름 시트 물질이 상면시트층(220)의 측면 부분들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면시트층(220) 물질의 선택은 상면시트층(220)의 원하는 전체 속성에 기초하여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부분들의 영역에서 누출을 방지하고 건조 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중앙 부분에 친수성 물질을 가지고 측면 부분들에 소수성 장벽 유형 물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 부분들은 중앙 부분의 길이방향으로 향한 측면 에지를 따라 또는 이에 인접하여 접착제, 열, 초음파 또는 다른 방식으로 중앙 부분에 접합될 수 있다. 전통적인 흡수 용품 구성 접착제가 측면 부분들을 중앙 부분에 접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중앙 부분 및/또는 측면 부분들 중 어느 하나는 당 업계에 주지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 및/또는 피부 유익제로 처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길이방향으로 향한 측면 부분들은 단일 층 또는 다층 구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측면 부분들은 접착제로 또는 이와 달리 접합된 적층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측면 부분들은 소수성 장벽 필름 물질의 하단층에 적층된, 스펀본드 물질 같은 상부 섬유성 부직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펀본드층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원하는 경우 습윤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펀본드 층은 약 10 또는 12gsm 내지 약 30 또는 70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으며 친수성 습윤제로 처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필름층은 유체가 하부 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허용하는 천공들을 가질 수도 있으며, 단일 층 또는 다층 구조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필름은 약 10 내지 약 40gsm의 평량을 갖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구성 접착제는 스펀본드층을 약 0.1gsm 내지 15gsm 사이의 첨가량(add-on) 수준으로 필름 층에 적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필름 장벽 층이 전체 상면시트층(40) 디자인에 사용되는 경우, 이는 필름이 흡수 용품(10) 측면 에지를 따라 얼룩을 차단하는 것을 도와서 마스킹 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는, 필름 안료와 같은 불투명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름 층은 상면시트층(220) 위에서 볼 때 흡수 용품(200) 측면 에지를 따르는 유체 배설 얼룩의 가시화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필름 층은 또한 상면시트층(220)의 재습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흡수 용품(200) 측면 에지로부터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벽 층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측면 부분들은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 층 ("SMMS") 적층체, 스펀본드-필름 적층체,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부직 적층체 조합과 같은 적층체일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은 상면시트층(220)과 배면시트층(222) 사이에 위치한 흡수성 코어(226)를 가질 수 있다. 흡수성 코어(226)는 월경액, 혈액, 소변, 및 땀과 질 분비물 등의 다른 체액을 포함한 신체 삼출물을 흡수하도록 디자인된다. 흡수성 코어(226)는 일반적으로 일정 수준의 압축성, 합치성을 보여줄 수 있는 임의의 단일층 구조일 수 있으며,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적일 수 있고 액체 그리고 다른 신체 삼출물을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226)는 다양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226)는 셀룰로오스 섬유들(예를 들어, 목재 펄프 섬유들), 기타 천연 섬유들, 합성 섬유들, 직포 또는 부직포 시트, 스크림 편직(scrim netting)이나 기타 안정화 구조, 초흡수성 재료, 바인더 재료, 계면활성제, 선택된 소수성 및 친수성 재료들, 안료, 로션, 냄새 억제제 등, 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의 흡수성 재료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물질은 셀룰로오스 플러프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물질은 셀룰로오스 플러프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초흡수성 물질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플러프는 목재 펄프 플러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목재 펄프 플러프의 예는 Weyerhaeuser Corp.에서 입수 가능한 NB 416이라는 상표로 확인될 수 있으며, 주로 연목재 섬유들을 함유하는 표백된 고흡수성 목재 펄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필요하다면, 흡수성 코어(226)는 선택적인 양의 초흡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초흡수성 물질의 예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에테르), 비닐 에테르와 α-올레핀을 갖는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모폴리논), 폴리(비닐 알콜) 그리고 염과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초흡수성 물질은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그래프트된 녹말, 아크릴산 그래프트된 녹말, 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알지네이트, 잔탄 검, 로커스 빈 검과 같은 천연 검 등과 같은 미개질된 천연 중합체와 개질된 천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천연 초흡수성 중합체와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합성 초흡수성 물질의 혼합물도 유용할 수 있다. 초흡수성 물질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양으로 흡수성 코어(226) 내에 존재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226)는, 장방형, 계란형, 직사각형, 눈물 방울, 개뼈, 모래시계, 경주트랙, 삼각형, 및 타원형과 같은 흡수 용품(200)에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임의의 형상뿐만 아니라 흡수 용품(200)에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임의의 다른 기하학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226)의 형상은 흡수 용품(200)의 적어도 하나의 축, 길이방향(202) 및/또는 가로 방향(204) 축을 중심으로 대칭을 제공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226)의 형상은 흡수 용품(200)의 각각의 축, 길이방향(202) 및 가로 방향(204) 축을 중심으로 대칭을 제공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226)의 형상은, 흡수 용품(200)의 축들, 길이방향(202) 또는 가로 방향(204) 축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흡수성 코어(226)의 대칭을 이루지 않는 형상일 수 있다.
흡수성 코어(226)에 사용되는 흡수성 물질의 조합에 상관없이, 종래의 다양한 방법들과 기술들을 채택함으로써 흡수성 물질은 웹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웹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건식 형성 기술, 공기 형성 기술, 습식 형성 기술, 폼 형성 기술 등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과 같은 기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코폼 부직 물질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226)에 적절한 물질 및/또는 구조는 Weisman 등의 미국 특허 제4,610,678호, Yahiaoui 등의 제6,060,636호, Latimer 등의 제6,610,903호, Krueger 등의 제7,358,282호 및 Di Luccio 등의 미국 특허 출원공개 제2010/0174260호에 설명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 문헌 각각은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서 원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226)는 단일층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플러프 및 초흡수성 물질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226)는 예를 들어 신체 대향층과 비신체 대향층과 같은 적어도 2개의 물질층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2개의 층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2개의 층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2개의 층은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상이한 흡수 특성을 흡수 용품(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226)의 신체 대향층은 에어레이드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흡수성 코어(226)의 비신체 대향층은 초흡수성 중합체 함유 압축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에어레이드 물질은 약 40 내지 약 200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으며, 초흡수성 중합체 함유 압축 시트는 티슈 캐리어(tissue carrier)로 둘러싸이면서 약 40 내지 약 400gsm의 평량을 갖는 셀룰로오스 펄프와 SAP의 조합일 수 있는 셀룰로오스 플러프 기반 물질일 수 있다.
배면시트층(222)은 일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이고 착용자의 의복을 향하는 흡수 용품(200)의 부분이다. 배면시트층(222)은 액체의 통과는 여전히 차단하면서 흡수 용품(200) 밖으로 공기 또는 증기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액체 불투과성 재료를 이용하여 배면시트층(222)을 형성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층(222)은 단층 또는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하나 이상의 층 자체는 유사한 또는 서로 다른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될 수도 있는 적절한 물질은 폴리올레핀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및 부직 적층체 및 필름/부직 적층체 같은, 미세다공성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배면시트층(222)의 구체적인 구조와 조성은 알려져 있는 다양한 필름들 및/또는 직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때, 구체적인 물질은, 액체 장벽, 강도, 내마모성, 촉각성, 심미성 등의 원하는 수준을 제공하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0.2 내지 0.5밀 내지 약 3.0 또는 5.0밀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배면시트층(222)의 예는, 미국 일리노이주 샴버그의 Pliant Corp.에서 구입가능한 것 같은 폴리에틸렌 필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탄산칼슘 충전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면시트층(222)은 부직포 적층체 같은 수분 장벽 특성을 갖는 소수성 부직포 재료일 수 있으며, 그 예는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멜트블로운, 스펀본드, 4층 적층체일 수 있다.
따라서, 배면시트층(222)은 다중 필름층 또는 필름의 적층체 및 부직포 섬유상 층의 구성과 같은 단일 또는 다중 층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적합한 배면시트층(44)은 Whitehead 등의 미국 특허 제4,578,069호, Tusim 등의 미국 특허 제4,376,799호, Shawver 등의 미국 특허 제5,695,849호, McCormack 등의 미국 특허 제6,075,179호, 및 Cheung 등의 미국 특허 제6,376,095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흡수 용품(200)의 배면시트층(222)은 착용자의 속옷으로의 흡수 용품(200)의 부착을 위하여 배면시트층(222)의 비신체 대향면(224) 상에 위치될 수 있는 의복 부착 접착제(228)를 구비할 수 있다.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경우 의복 부착 접착제(228)는 배면시트층(222)의 비신체 대향면(224) 상에 임의의 적절한 배치 및/또는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의복 부착 접착제(228)는 배면시트층(222)의 비신체 대향면(224) 상에 임의의 적절한 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경우 의복 부착 접착제(228)는, 예를 들어 스트라이프, 와류, 도트 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의복 부착 접착제(228)는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경우 배면시트층(222)의 비신체 대향면(224) 상의 임의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200)의 배면시트층(222)은 적어도 하나의 상보적 정보 단서와 연관될 수 있다. 상보적 정보 단서는, 흡수 용품(200)을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배치할 때, 흡수 용품(200)의 적어도 가랑이 영역(210)을 배치할 위치를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흡수 용품(200)의 배면시트층(222)과 연관될 수 있다. 상보적 정보 단서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의 인지 반응을 유발하며, 주의를 끄는 그래픽, 질감 특징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200)은 적어도 하나의 상보적 정보 단서와 연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보적 정보 단서는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200)은 다수의 상보적 정보 단서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제1 상보적 정보 단서는 가랑이 영역(210) 내에 위치하고, 제2 상보적 정보 단서는 전방 영역(206) 내에 위치하고, 제1 상보적 정보 단서는 제2 상보적 정보 단서와 분리되고 이격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흡수 용품(200)은 다수의 상보적 정보 단서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제1 상보적 정보 단서는 가랑이 영역(210)에 위치되고, 제2 상보적 정보 단서는 상기 전방 영역(206) 내에 위치하고, 제3 상보적 정보 단서는 후방 영역(208) 내에 위치하고, 여기서 제1 상보적 정보 단서, 제2 상보적 정보 단서, 및 제3 상보적 정보 단서는 서로 분리되고 이격되어 있다.
상보적 정보 단서가 그래픽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그래픽은 형상 및/또는 이미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은 하나 이상의 점, 하나 이상의 선, 하나 이상의 화살표, 하나 이상의 규칙적이거나 불규칙한 형상(예컨대, 원형, 난형, 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다이아몬드형 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그래픽은 색상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색상은 균일하거나 하나의 색조에서 다른 색조로 가변적일 수 있거나, 밝은 색에서 어두운 색으로 가변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그래픽은 인간 관찰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객체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보적 정보 단서가 그래픽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그래픽은 흡수 용품(200)의 배면시트 층(222)의 내부 대향면, 흡수 용품(200)의 배면시트 층(222)의 외부 대향면, 또는 흡수 용품(200)의 배면시트 층(222)의 내부 및 외부 대향면 둘 모두에 인쇄될 수 있다.
상보적 정보 단서가 질감 특징부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질감 특징부는 흡수 용품(200)의 배면시트(222)의 일부분의 느낌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감 특징부는 평활도를 변경시킬 수 있고, 조도를 변경할 수 있고, 반사율을 변경할 수 있고, 색상을 향상시킬 수 있고, 층을 형성하는 물질의 일부분을 상이한 유형의 물질로 교체할 수 있고, 배면시트 층(222)의 일부분의 기능, 또는 흡수 용품(200)의 층의 일부분의 이들의 조합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질감 특징부는 흡수 용품(200)을 풀-온 착용식 용품(10)에 고정시키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은, 예를 들어, 밤새 사용하기 위해 또는 많은 월경 흐름을 수용하기 위해 의도된 흡수 용품(200)과 같은 가변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보통의 또는 중간 정도의 월경 흐름을 위해 의도된 흡수 용품(200)의 전방 에지(212)와 후방 에지(214) 사이의 총 길이 방향 길이(240)보다 더 긴 전방 에지(212)와 후방 에지(214) 사이의 총 길이 방향 길이(240)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수 용품(200)의 월경량이 많거나 밤새 사용하도록 의도된 흡수 용품(200)은 중간 또는 보통의 월경 흐름을 위한 흡수 용품(200)과 비교할 때 유사한 길이 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는 전방 영역(206) 및 가랑이 영역(210)을 가질 수 있고, 그러나, 생리량이 많거나 밤새 사용하도록 의도된 흡수 용품(200)의 후방 영역(208)은 의도된 사용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보통 또는 중간 흡수 용품(200)의 후방 영역(208)의 길이보다 긴 길이 방향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총 길이 방향 길이(240)는 흡수 용품(200) 사이에서 가변될 수 있으므로,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은 흡수 용품(200)의 길이방향 축(202)과 가로 방향 축(204)의 교차점에 항상 위치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40은 흡수 용품(2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0에 도시된 흡수 용품(200)은 전방 에지(212)로부터 후방 에지(214)까지 총 길이 방향 길이(240)를 가지며, 여기서 전방 영역 길이(242), 후방 영역 길이(244), 및 가랑이 영역 길이(246)는 길이 방향 축(202)을 따라 균일하게 배분되고, 전방 영역 길이(242), 후방 영역 길이(244), 및 가랑이 영역 길이(246) 각각은 흡수 용품(200)의 총 길이 방향 길이(240)의 대략 1/3이다. 도 4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은 길이 방향 축(202)과 가로 방향 축(204)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도 45는 흡수 용품(2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5에 도시된 흡수 용품(200)은 전방 에지(212)로부터 후방 에지(214)까지 총 길이 방향 길이(240)를 가지며, 전방 영역 길이(242), 후방 영역 길이(244), 및 가랑이 영역 길이(246)는 길이 방향 축(202)을 따라 균일하게 배분되지 않는다. 도 4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방 영역 길이(244)는 전방 영역 길이(242) 및 가랑이 영역 길이(246)의 각각보다 더 길다. 도 4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은 길이 방향 축(202)과 가로 방향 축(204)의 교차점에 위치하지 않는다. 오히려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은 흡수 용품(200)의 가로 방향 축(204)과 전방 에지(212) 사이에 위치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200)의 의도된 사용에 기초하여 흡수 용품(200)에 대해 이용 가능한 총 길이의 변화로 인해, 흡수 용품(2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은, 흡수 용품(200)의 전방 에지(212)로부터 후방 에지(214)까지의 거리로서 측정된, 총 길이 방향 길이(240)의 약 30% 내지 약 50%인, 전방 에지(212)로부터 측정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보적 정보 단서는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보적 정보 단서의 배치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가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을 식별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을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내에 배치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풀-온 착용식 용품(10)과 연관된 정보 단서는, 흡수 용품(200)을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에 놓을 때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을 놓을 위치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의 배면시트(222)와 연관된 상보적 정보 단서는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위치를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정보 단서 및 흡수 용품(200)의 상보적 정보 단서는 착용자를 위한 풀-온 착용식 용품(10) 및 흡수 용품(200)의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 및 흡수 용품(200)의 시스템은, 착용자가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로 흡수 용품(200)을 적절히 배치하는 것을 도와서, 흡수 용품(200)을 착용하는 동안 착용자의 마음의 평안을 증가시킬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의 상보적 정보 단서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정보 단서를 정렬, 일치, 중첩, 완성, 채우기, 문맥적으로 관련, 강조, 등등할 수 있다. 상보적 정보 단서(230)가 질감 특징부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흡수 용품(200)을 풀-온 착용식 용품(10)에 고정시키는 것을 추가로 보조할 수 있다.
도 40 내지 도 44를 참조하면, 흡수 용품(200)의 실시예가 생리대 또는 월경 패드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40은 흡수 용품(2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1 내지 도 44는 도 40의 흡수 용품(200)의 대안적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40에 도시된 흡수 용품(200)은 전방 에지(212)로부터 후방 에지(214)까지 총 길이 방향 길이(240)를 가지며, 여기서 전방 영역 길이(242), 후방 영역 길이(244), 및 가랑이 영역 길이(246)는 길이 방향 축(202)을 따라 균일하게 배분되고, 전방 영역 길이(242), 후방 영역 길이(244), 및 가랑이 영역 길이(246) 각각은 흡수 용품(200)의 총 길이 방향 길이(240)의 대략 1/3이다. 도 4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은 길이 방향 축(202)과 가로 방향 축(204)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도 41은 가랑이 영역(210) 내에 위치되고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에 위치된 상보적 정보 단서(23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삼각형과 같은 그래픽의 형태로 예시되지만,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질감 특징부 또는 그래픽과 질감 특징부의 조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와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의 위치를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도 28에 도시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같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정렬할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는,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로 용품(200)을 적절히 배치하기 위해, 흡수 용품(200)의 상보적 정보 단서(230)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일치시킬 수 있다.
도 42는 2개의 상보적 정보 단서,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 및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를 갖는 흡수 용품(20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삼각형과 같은 그래픽의 형태로 예시되고,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는 원과 같은 그래픽의 형태로 예시되고, 흡수 용품(200)의 전방 영역(206)에 위치한다.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 및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는 질감 특징부 또는 그래픽 및 질감 특징부의 조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와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의 위치를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도 30에 도시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같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정렬할 수 있다.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와 흡수 용품(200)의 전방 영역(206)의 위치를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도 30에 도시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와 같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정렬할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는,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로 흡수 용품(200)을 적절히 배치하기 위해, 흡수 용품(200)의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에 일치시킬 수 있고,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에 일치시킬 수 있다.
도 43은 3개의 상보적 정보 단서,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 및 제3 상보적 정보 단서(234)를 갖는 흡수 용품(20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삼각형과 같은 그래픽의 형태로 예시되고,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는 원과 같은 그래픽의 형태로 예시되고, 흡수 용품(200)의 전방 영역(206)에 위치한다. 제3 상보적 정보 단서(234)는 정사각형과 같은 그래픽의 형태로 예시되고, 흡수 용품(200)의 후방 영역(208)에 위치한다.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 및 제3 상보적 단서(234)는 질감 특징부 또는 그래픽과 질감 특징부의 조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와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의 위치를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도 32에 도시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같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정렬할 수 있다.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와 흡수 용품(200)의 전방 영역(206)의 위치를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도 32에 도시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와 같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정렬할 수 있다. 제3 상보적 정보 단서(234)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와 흡수 용품(200)의 후방 영역(208)의 위치를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도 32에 도시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와 같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정렬할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는,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로 용품(200)을 적절히 배치하기 위해, 흡수 용품(200)의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일치시킬 수 있고,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와 일치시킬 수 있고, 제3 상보적 정보 단서(234)를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와 일치시킬 수 있다.
도 44는 가랑이 영역(210) 내에 위치되고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에 위치된 상보적 정보 단서(236)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상보적 정보 단서(236)는, 예를 들어, 후크-루프 결합 시스템의 후크와 같은 질감 특징부의 형태로 예시되지만, 상보적 정보 단서(236)는 그래픽 또는 그래픽과 질감 특징부의 조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보적 정보 단서(236)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와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의 위치를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도 38에 도시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10)와 같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정렬할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는, 흡수 용품(200)의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로의 적절한 배치를 위해, 흡수 용품(200)의 상보적 정보 단서(236)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10)와 일치시킬 수 있다. 상보적 정보 단서(236)가 질감 특징부인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질감 특징부는 흡수 용품(200)을 풀-온 착용식 용품(10)에 고정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단서(110) 및 상보적 정보 단서(236)는 후크-루프 결합 시스템, 스냅 결합 시스템, 버튼-버튼 구멍 결합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8에 도시된 정보 단서(110)는 후크-루프 결합 시스템의 루프 부분이고, 도 44에 도시된 상보적 정보 단서(236)는 후크-루프 결합 시스템의 후크 부분이며, 여기서 2개의 부분, 루프 및 후크는 흡수 용품(200)을 풀-온 착용식 용품(10)에 고정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결합할 수 있다.
도 45 내지 도 49를 참조하면, 흡수 용품(200)의 실시예가 생리대 또는 월경 패드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45는 흡수 용품(2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6 내지 도 49는 도 45의 흡수 용품(200)의 대안적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45에 도시된 흡수 용품(200)은 전방 에지(212)로부터 후방 에지(214)까지 총 길이 방향 길이(240)를 가지며, 전방 영역 길이(242), 후방 영역 길이(244), 및 가랑이 영역 길이(246)는 길이 방향 축(202)을 따라 균일하게 배분되지 않는다. 도 4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방 영역 길이(244)는 전방 영역 길이(242) 및 가랑이 영역 길이(246)의 각각보다 더 길다. 도 4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은 길이 방향 축(202)과 가로 방향 축(204)의 교차점에 위치하지 않는다. 오히려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은 흡수 용품(200)의 가로 방향 축(204)과 전방 에지(212) 사이에 위치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200)의 의도된 사용에 기초하여 흡수 용품(200)에 대해 이용 가능한 총 길이의 변화로 인해, 흡수 용품(2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은, 흡수 용품(200)의 전방 에지(212)로부터 후방 에지(214)까지의 거리로서 측정된, 총 길이 방향 길이(240)의 약 30% 내지 약 50%인, 전방 에지(212)로부터 측정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6은 가랑이 영역(210) 내에 위치되고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에 위치된 상보적 정보 단서(23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삼각형과 같은 그래픽의 형태로 예시되지만,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질감 특징부 또는 그래픽과 질감 특징부의 조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와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의 위치를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도 28에 도시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같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정렬할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는,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로 용품(200)을 적절히 배치하기 위해, 흡수 용품(200)의 상보적 정보 단서(230)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일치시킬 수 있다.
도 47은 2개의 상보적 정보 단서,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 및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를 갖는 흡수 용품(20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삼각형과 같은 그래픽의 형태로 예시되고,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는 원과 같은 그래픽의 형태로 예시되고, 흡수 용품(200)의 전방 영역(206)에 위치한다.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 및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는 질감 특징부 또는 그래픽 및 질감 특징부의 조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와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의 위치를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도 30에 도시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같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정렬할 수 있다.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와 흡수 용품(200)의 전방 영역(206)의 위치를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도 30에 도시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와 같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정렬할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는,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로 용품(200)을 적절히 배치하기 위해, 흡수 용품(200)의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에 일치시킬 수 있고,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에 일치시킬 수 있다.
도 48은 3개의 상보적 정보 단서,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 및 제3 상보적 정보 단서(234)를 갖는 흡수 용품(20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삼각형과 같은 그래픽의 형태로 예시되고,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는 원과 같은 그래픽의 형태로 예시되고, 흡수 용품(200)의 전방 영역(206)에 위치한다. 제3 상보적 정보 단서(234)는 정사각형과 같은 그래픽의 형태로 예시되고, 흡수 용품(200)의 후방 영역(208)에 위치한다.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 및 제3 상보적 단서(234)는 질감 특징부 또는 그래픽과 질감 특징부의 조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와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의 위치를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도 32에 도시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같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정렬할 수 있다.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와 흡수 용품(200)의 전방 영역(206)의 위치를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도 32에 도시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와 같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정렬할 수 있다. 제3 상보적 정보 단서(234)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와 흡수 용품(200)의 후방 영역(208)의 위치를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도 32에 도시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와 같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정렬할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는,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로 용품(200)을 적절히 배치하기 위해, 흡수 용품(200)의 제1 상보적 정보 단서(230)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와 일치시킬 수 있고, 제2 상보적 정보 단서(232)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2)와 일치시킬 수 있고, 제3 상보적 정보 단서(234)를 제3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4)와 일치시킬 수 있다.
도 49는 가랑이 영역(210) 내에 위치되고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에 위치된 상보적 정보 단서(236)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상보적 정보 단서(236)는, 예를 들어, 후크-루프 결합 시스템의 후크와 같은 질감 특징부의 형태로 예시되지만, 상보적 정보 단서(236)는 그래픽 또는 그래픽과 질감 특징부의 조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보적 정보 단서(236)는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와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의 중간 지점의 위치를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도 38에 도시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10)와 같은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와 정렬할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는, 흡수 용품(200)의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로의 적절한 배치를 위해, 흡수 용품(200)의 상보적 정보 단서(236)를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10)와 일치시킬 수 있다. 상보적 정보 단서(236)가 질감 특징부인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질감 특징부는 흡수 용품(200)을 풀-온 착용식 용품(10)에 고정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단서(110) 및 상보적 정보 단서(236)는 후크-루프 결합 시스템, 스냅 결합 시스템, 버튼-버튼 구멍 결합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8에 도시된 정보 단서(110)는 후크-루프 결합 시스템의 루프 부분이고, 도 44에 도시된 상보적 정보 단서(236)는 후크-루프 결합 시스템의 후크 부분이며, 여기서 2개의 부분, 루프 및 후크는 흡수 용품(200)을 풀-온 착용식 용품(10)에 고정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결합할 수 있다.
흡수 용품(200)의 예시적 실시예인 도 45 내지 도 4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200)은, 이 흡수 용품(200)으로부터 가로 방향(Y)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250)를 가질 수 있다. 날개들(250)은, 날개들(250)이 착용자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에지와 허벅지 사이에 배치되도록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에지 위로 걸쳐질 수 있다. 날개(250)는 적어도 2가지의 목적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로, 날개(250)는 속옷의 가장자리를 따라 장벽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날개(250)는, 흡수 용품(200)을 풀-온 착용식 용품(10)에 단단히 그리고 적절하게 계속 위치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의복 부착 접착제 또는 후크 등의 체결자를 구비할 수 있다. 날개(250)는 사용시에 착용자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에 흡수 용품(200)을 고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서 착용자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 각각의 날개(250)는 착용자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 아래로 접힐 수 있고, 체결자는 대향하는 날개(250)에 대한 확실한 부착을 형성하거나 착용자의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비-신체 대향면에 직접 부착할 수 있다.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가랑이 영역(40)에 위치하는 외부 가시적 정보 단서를 갖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날개(250)는, 흡수 용품(200) 상에 존재할 때,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외부 가시적 정보 단서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구성으로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날개(250)는, 상면시트층(220) 및/또는 배면시트층(222)을 형성하는 물질들의 연장부일 수 있고, 밀봉된 주변 영역을 따라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250)는 흡수 용품(200)의 주요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날개(250)는 상면시트층(220), 배면시트층(222)과 유사한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날개(250)는 흡수 용품(200)의 본체에 접합되는 별개 요소일 수 있다. 흡수 용품(200) 및 날개(250)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예는 Richards의 미국 특허 제4,059,114호, Hassim 등의 미국 특허 제4,862,574호, Heindel 등의 미국 특허 제5,342,647호, Alcantara 등의 미국 특허 제7,070,672호, Venturino 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4/0040650호 및 Emenaker 등의 국제 공개 WO1997/040804에 기재되어 있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날개(250)는 선택적이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200)은 날개(80) 없이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50을 참조하면, 흡수 용품(2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된다. 도 50에 도시된 흡수 용품(200)은 그 안에 포함된 엠보싱 패턴(260)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엠보싱 패턴(260)은 흡수성 코어(226)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오목부의 패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엠보싱 패턴(260)은 흡수성 코어(22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돌출부의 패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엠보싱 패턴(260)은 오목부 및 돌출부의 패턴의 조합일 수 있다. 엠보싱 패턴(260)은 신체 삼출물의 포획 및 흡수 용품(200) 내로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풀-온 착용식 용품(10)이 흡수 용품(200) 및 흡수 용품 엠보싱 패턴(260)과 완전히 유사한 정보 단서를 가져서, 흡수 용품(200) 및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착용자에게 흡수 용품(200)을 풀-온 착용식 용품(10) 내 놓을 위치를 전달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를 참조하면, 풀-온 착용식 용품(10)은, 평면도에서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개략도인 그래픽의 형태로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를 갖는다. 도 35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흡수 용품은 도 50에 도시된 흡수 용품(200)의 엠보싱 패턴과 유사한 엠보싱 패턴의 개략도를 갖는다.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는 가랑이 영역(40) 내에 위치된 제1 부분(100A), 전방 영역(20)의 일부분 내에 위치된 제2 부분(100B), 및 풀-온 착용식 용품(10)의 후방 영역(30)의 일부분 내에 위치된 제3 부분(100C)을 갖는다.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제1 부분(100A)은 흡수 용품(200)의 가랑이 영역(210)이 위치되어야 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지만,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제2 부분(100B) 및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의 제3 부분(100C) 각각은 흡수 용품(200)의 전방 영역(206) 및 후방 영역(208)이 위치되어야 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흡수 용품(200)의 착용자는, 풀-온 착용식 용품(10)에서 흡수 용품(200)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위해, 흡수 용품(200)을 내부에서 보이는 정보 단서(100)에 일치시키기만 하면 된다.
간략함과 간결함을 위하여, 발명에서 설명하는 값들의 임의의 범위는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고려하며, 문제의 특정 범위 내의 모두 수치 값들인 종말점을 갖는 임의의 부범위를 인용하는 청구범위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가상적인 예로서, 1 내지 5 범위의 개시 내용은 다음과 같은 범위 1 내지 5; 1 내지 4; 1 내지 3; 1 내지 2; 2 내지 5; 2 내지 4; 2 내지 3; 3 내지 5; 3 내지 4; 및 4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청구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 및 값들은 인용된 정확한 수치 값으로 엄밀하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대신,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 각각은 인용된 값 및 이 값 주변의 기능적으로 동등한 범위 모두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40㎜"라고 개시된 치수는 "약 40㎜"를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된 모든 문헌은 관련 부분에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되며; 임의의 문헌 인용이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원에서 기재된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서 통합된 문헌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상충되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에 할당된 의미 또는 정의가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다른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내용의 요소들 또는 본 발명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입할 때, "한", "하나", "그", "상기" 라는 구는 그 요소들의 하나 이상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이라는 용어들은, 포괄적인 것이며, 열거된 요소들 외의 다른 추가 요소들이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내용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내용의 많은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6)

  1. 흡수 용품과 조합하여 착용될 풀-온 착용식 용품으로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은:
    a. 길이 방향 축 및 가로 방향 축;
    b. 전방 허리 에지를 포함하는 전방 영역;
    c. 후방 허리 에지를 포함하는 후방 영역;
    d. 상기 전방 영역과 상기 후방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이 상기 가로 방향 축과 상기 전방 허리 에지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
    e. 영구 폐쇄형 허리 구성으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은 허리 개구 및 2개의 다리 개구를 가지는, 상기 영구 폐쇄형 허리 구성;
    f. 상기 가랑이 영역에 위치된 제1 정보 단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단서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가장 좁은 가로 방향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 구성으로 존재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정보 단서는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의 착용자에게 상기 흡수 용품을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 내에 어디에 배치할지 통신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서는 내부에서 보이는, 풀-온 착용식 용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서는 상기 가랑이 영역의 일부분 내에 위치된 제1 부분 및 상기 전방 영역의 일부분 내에 위치된 제2 부분을 가지는, 풀-온 착용식 용품.
  4. 제1항에 있어서, 제2 정보 단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단서는 상기 전방 영역에 위치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
  5. 제4항에 있어서, 제3 정보 단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 단서는 상기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
  6. 제2항에 있어서, 제2 정보 단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단서는 외부에서 보이는, 풀-온 착용식 용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단서는 상기 제1 정보 단서와 정렬되는, 풀-온 착용식 용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서는 그래픽인, 풀-온 착용식 용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서는 질감 특징부인, 풀-온 착용식 용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서는 그래픽 및 질감 특징부의 조합인, 풀-온 착용식 용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서는 외부에서 보이는, 풀-온 착용식 용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온 착용식 용품은 내구성이 있는, 풀-온 착용식 용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은 용품 본체 층을 포함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위킹 층을 포함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 층을 포함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흡수층을 포함하는, 풀-온 착용식 용품.
KR1020227040587A 2020-04-30 2020-04-30 풀-온 착용식 용품 KR202300190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20/030737 WO2021221660A1 (en) 2020-04-30 2020-04-30 Pull-on wearable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087A true KR20230019087A (ko) 2023-02-07

Family

ID=7837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587A KR20230019087A (ko) 2020-04-30 2020-04-30 풀-온 착용식 용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57909A1 (ko)
KR (1) KR20230019087A (ko)
WO (1) WO20212216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7160A (zh) * 2021-04-06 2021-06-25 何恺睿 一种适用于居家睡眠的经期防漏短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0324B2 (en) * 1997-03-27 2010-03-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replaceable absorbent core components having regions of permeability and impermeability on same surface
EP2301504A1 (en) * 2009-09-23 2011-03-30 Attends Healthcare AB Undergarment for use with an absorbent article
US9226862B2 (en) * 2012-07-12 2016-0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ainment pant with positioning key
US20140257228A1 (en) * 2013-03-08 2014-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uter covers and disposable absorbent inserts for p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21660A1 (en) 2021-11-04
US20230157909A1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848B1 (ko) 유체-활성화 배리어를 갖는 용품
EP1813238B1 (en) Absorbent laminate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6586653B2 (en) Discrete absorbent article
KR101886392B1 (ko) 탄성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AU2013308146B2 (en) Absorbent article with highlighted active barrier
US8946500B2 (en) Absorbent article with highlighted passive barrier
KR102648623B1 (ko) 흡수 용품
RU2615261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имеющее соединенные между собой ленты для талии и ног
JP2003052743A (ja) 吸収性物品
KR20230019087A (ko) 풀-온 착용식 용품
KR20230019086A (ko) 풀-온 착용식 용품 및 흡수 용품 시스템
JP2016059686A (ja) 吸収性パッド積層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US20220370259A1 (en) Absorbent article
RU2765708C2 (ru) Одноразовое гигие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с боковыми барьерами для жидкости
AU2016428214A1 (en) Self-supporting absorbent article system
CN110891536B (zh) 带有液体侧阻挡件的一次性卫生物品
US20220370261A1 (en) Absorbent article
US20220370260A1 (en) Absorbent article
KR20220115987A (ko) 흡수 용품
KR20200133802A (ko)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흡수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