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909A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909A
KR20230018909A KR1020210100949A KR20210100949A KR20230018909A KR 20230018909 A KR20230018909 A KR 20230018909A KR 1020210100949 A KR1020210100949 A KR 1020210100949A KR 20210100949 A KR20210100949 A KR 20210100949A KR 20230018909 A KR20230018909 A KR 20230018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electronic device
function
identified
ta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준
최창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8909A/ko
Priority to PCT/KR2022/011095 priority patent/WO2023008916A1/ko
Publication of KR2023001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전자 장치는 복수의 가속도 센서, 디스플레이, 통신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단말이 전자 장치를 탭(Tap)하면,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탭(Tap)에 의한 복수의 센싱 값을 획득하고, 복수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고, 에 따라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개시는 사용자 단말의 탭(Tap)을 센서로 센싱하여 센싱 값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 단말을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기능 또는 사용자 단말로 입력되는 기능이 전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센서를 이용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전자 장치에 대한 태그(Tag) 또는 탭(Tap) 유무 만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이런 센서를 이용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기술은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기능 또는 사용자 단말로 입력되는 기능 1개에 대한 온/오프(ON/OFF) 기능에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단순히 1개의 기능만을 전자 장치를 통해 수행함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이 다양화 되었음에도 전자 장치를 통해 충분히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해 센서를 이용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기술의 실질적 활용도가 높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이 전자 장치를 탭(Tap)하면,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탭(Tap)에 의한 복수의 센싱 값을 획득하고, 복수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 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가속도 센서, 통신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 장치를 탭(Tap)하면 상기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탭(Tap)에 의한 복수의 센싱 값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센싱 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센싱 값이 가장 큰 가속도 센서에 대응되는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가속도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좌측에 배치된 제1 가속도 센서와 상기 전자 장치의 우측에 배치된 제2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이 상기 제2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 초과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좌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제1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이 상기 제2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 미만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우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좌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기능 중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우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상기 제1 기능과 상이한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 중 하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표시하는 화면을 상기 전자 장치에 표시하는 미러링 기능이며,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음악 재생 기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상에 배치된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 장치를 탭(Tap)하면, 상기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탭(Tap)에 의한 복수의 센싱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센싱 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센싱 값이 가장 큰 가속도 센서에 대응되는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가속도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좌측에 배치된 제1 가속도 센서와 상기 전자 장치의 우측에 배치된 제2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이 상기 제2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 초과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좌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제1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이 상기 제2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 미만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우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좌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기능 중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우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상기 제1 기능과 상이한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 중 하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표시하는 화면을 상기 전자 장치에 표시하는 미러링 기능이며,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음악 재생 기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얻은 센싱 값을 기반으로 제1 기능 과 제2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 및 사용자 단말의 탭(Tap)을 센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 화면이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미러링 기능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의한 음악 재생 기능이 전자 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센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110), 디스플레이(120), 스피커(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사용자 인터페이스(160), 메모리(170),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TV, 태블릿, 모니터, 스마트 폰,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10)는 사용자 단말(200)이 전자 장치(100)의 특정 영역을 탭(Tap)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전자 장치(100)에 가해진 힘에 대응되는 가속도 센싱 값을 프로세서(180)가 획득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80)는 각 가속도 센서(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탭(Tap)이 전자 장치(100)의 어느 영역에서 이루어졌는지 식별한다. 프로세서(180)는 센싱 값에 대응되는 영역에 사용자 단말(200)의 전자 장치(100)에 대한 탭(Tap)이 이루어진 것으로 식별하고 탭(Tap)이 이루어진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속도 센서(11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예로, 전자 장치(100)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1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사용자 단말(200)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는 데에 적합하도록 임계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10)는 디스플레이(120)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이 가려지지 않도록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120) 뒷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1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배치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와 분리되어 별도의 하드웨어로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패널, 무기 LED 패널, 마이크로 LED 패널 등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패널과 함께 터치스크린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플렉서블(flexible) 패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20)에 TV 방송 화면에 국한되지 않고 DVD 재생 화면, 케이블 방송 화면, 위성 방송 화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는 미러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기존에 표시되는 화면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미러링된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멀티뷰(multi-view)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멀티뷰(multi-view)의 방식으로 복수의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복수의 화면의 크기 비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복수의 화면의 배치 및 구성을 변경될 수 있다.
스피커(130)는 외부로 수신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스피커(130)와 같은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오디오 출력 단자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피커(130)는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응답 결과 및 동작 결과 등을 음성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멀티뷰(multi-view)의 방식으로 디스플레이(120)에 복수의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 복수의 화면 중 어느 화면에 대응하는 오디오가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될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20)는 복수의 화면 중 하나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선택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120)에 제공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통신 기술이나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기술로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캔(CAN) 통신, 와이 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초광대역 통신(UWB, ultrawide band),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엔에프씨(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기술 로는, 3GPP, 와이맥스(Wi-Max), LTE(Long Term Evolution), 5G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자기파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전달된 전자기파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통신 칩 및 기판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인터넷 케이블 등 물리적인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실시 예에 따라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만을 포함하거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한 무선 접속과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한 유선 접속을 모두 지원하는 통합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특히, 프로세서(180)가 복수의 가속도 센서(110)를 통해 획득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탭(Tap)을 식별하면, 프로세서(180)는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1 통신 인터페이스(140-1)는 제1 통신 방식인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고,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2 통신 인터페이스(140-2)는 제2 통신 방식인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장치(100)와 별도로 마련된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외부 저장 장치와 연결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범용 직렬 시스템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단자일 수있으며, 이외에도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나, 썬더볼트 단자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용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출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는 버튼(button), 레버(lever), 스위치(switch), 터치형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어 터치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프로세서(180)의 호출에 따라서 저장된 정보를 프로세서(180)에 전달한다. 메모리(170)는, 프로세서(180)의 연산, 처리 또는 제어 동작 등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전자적 포맷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억장치 및 보조기억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기억장치는 롬(ROM) 및/또는 램(RAM)과 같은 반도체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롬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롬, 이피롬(EPROM), 이이피롬(EEPROM) 및/또는 마스크롬(MASK-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램은 예를 들어, 디램(DRAM) 및/또는 에스램(S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기억장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SD(Secure Digital) 카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c Drive), 자기 드럼, 컴팩트 디스크(CD), 디브이디(DVD) 또는 레이저 디스크 등과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자기테이프, 광자기 디스크 및/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이 데이터를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단말(200)이 전자 장치를 탭(Tap)하면,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탭(Tap)에 의한 복수의 센싱 값을 획득하고, 복수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 단말(200)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80)는 복수의 센싱 값을 비교하여 복수의 가속도 센서(110)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100)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센싱 값이 가장 큰 가속도 센서(110)에 대응되는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속도 센서(110-1)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이 제2 가속도 센서(110-2)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 초과이면, 전자 장치(100)의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 단말(200)이 좌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하고,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능 중 제1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복수의 영역 구분은 반드시 전자 장치(100)의 좌측과 우측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상단과 하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제1 가속도 센서(110-1)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이 제2 가속도 센서(110-2)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 미만이면, 전자 장치(100)의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 단말(200)이 우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하고, 복수의 기능 중 제1 기능과 상이한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제1 센싱 값과 제2 센싱 값의 크기가 같은 경우에는 아무런 기능도 수행하지 않으며, 재차 사용자 단말(200)을 전자 장치(100)에 탭(Tap)할 것을 요청하는 UI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기능 및 제2 기능 중 하나는 사용자 단말(200)이 표시하는 화면을 전자 장치(100)에 표시하는 미러링 기능일 수 있다. 미러링 기능을 전자 장치(100)가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20)에 미러링된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과 TV 방송 화면이 동시에 멀티뷰(multi-view) 방식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멀티뷰(multi-view) 방식으로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의 비율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기능 및 제2 기능 중 다른 하나는 사용자 단말(200)이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악 재생 기능일 수 있다. 음악 재생 기능은 전자 장치(100)가 대기 화면 상태일 때 재생될 수 있으며, TV 방송 화면이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재생될 수 있다. 다만 TV 방송과 재생되는 음악의 오디오가 동시에 출력되지 않도록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할 때 TV 방송의 오디오 출력을 음소거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전자 장치(100)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진을 전송 받아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전자 장치(100)로 재생하여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로 실행하는 게임 화면을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하여 게임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때 실제 기능 수행 여부에 대해 사용자의 확인을 구하는 UI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기능 수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1 통신 인터페이스(140-1)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2 통신 인터페이스(140-2)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얻은 센싱 값을 기반으로 제1 기능 또는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하단에 제1 가속도 센서(11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우측 하단에 제2 가속도 센서(1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단말(200)이 전자 장치(100)를 탭(Tap)하면, 복수의 가속도 센서(110-1,110-2)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탭(Tap)에 의한 복수의 센싱 값을 획득할 수 있다 (S200). 특히, 프로세서(180)는 제1 가속도 (110-1) 센서에 의해 제1 센싱 값을 획득하고, 제2 가속도 센서(110-2)에 의해 제2 센싱 값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제1 센싱 값이 제2 센싱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10).
제1 센싱 값이 제2 센싱 값을 초과하면(S210-Y),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단말(200)이 전자 장치(100)의 좌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S220).
프로세서(180)는 좌측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기능인 미러링 기능을 식별하고,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1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230). 이때, 제1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단말이 표시하는 화면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하는 미러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240).
제1 센싱 값이 제2 센싱 값을 초과하는지 않으면(S210-N), 프로세서(180)는 제2 센싱 값이 제1 센싱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50).
제2 센싱 값이 제1 센싱 값을 초과하면(S250-Y),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단말(200)이 전자 장치(100)의 우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S260).
프로세서(180)는 우측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기능인 음악 재생 기능을 식별하고,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2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270). 이때, 제2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방식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단말이 재생하는 음악 정보를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280).
제1 센싱 값이 제2 센싱 값을 초과하지 않고(S210-N), 제2 센싱 값이 제1 센싱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S250-N) 아무런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 및 사용자 단말(200)의 탭(Tap)을 센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가장자리 부분에 사용자 단말(200)을 탭(Tap)할 수 있다. 탭(Tap)이라 함은 사용자 단말(200)로 전자 장치(100)를 가볍게 터치하거나 접촉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전자 장치(100)에 대한 탭(Tap)을 복수의 가속도 센서(110)가 센싱하여 센싱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좌측 하단에 제1 가속도 센서(110-1)이 배치되고, 전자 장치(100)의 우측 하단에 제2 가속도 센서(110-2)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탭(Tap)에 의해 프로세서(180)는 제1 가속도 센서(110-1)를 통해 제1 센싱 값을 획득할 수 있고, 제2 가속도 센서(110-2)를 통해 제2 센싱 값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제1 센싱 값과 제2 센싱 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더 큰 센싱 값을 센싱한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 센서(110)를 식별하고, 더 큰 센싱 값을 센싱한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 센서(110)에 대응되는 영역에 사용자 단말(200)의 탭(Tap)이 이루어진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전자 장치(100)에 대한 탭(Tap)이 임계 세기 이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만 가속도 센서(110)를 통해 센싱 값을 획득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탭(Tap)은 전자 장치(100)와 비접촉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비접촉 방식으로 센싱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표면 근처에서 기설정된 동작을 취하면 이를 센서가 인식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 화면이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미러링 기능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의 탭(Tap)에 의해 프로세서(180)가 전자 장치(100) 좌측 하단에 배치된 제1 가속도 센서(110-1)에 의해 획득한 제1 센싱 값이 전자 장치(100) 우측 하단에 배치된 제2 가속도 센서(110-2)에 의해 획득한 제2 센싱 값 초과이면, 제1 가속도 센서(110-1)에 대응되는 영역에 사용자 단말(200)의 탭(Tap)이 이루어진 것으로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기능으로 미러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미러링 기능은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가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화면 중 어느 부분을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미러링된 화면은 사용자 단말(200)이 탭(Tap)한 부분과 근접한 디스플레이(120)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기존 화면과 사용자 단말(200) 화면이 미러링된 복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크기와 비율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이 미러링되어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경우, 미러링된 화면의 오디오와 TV 방송 화면의 오디오 중 어떤 것을 스피커(130)로 출력할 것인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미러링 기능 수행 과정에서 UI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의한 음악 재생 기능이 전자 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의 탭(Tap)에 의해 프로세서(180)가 전자 장치(100) 우측 하단에 배치된 제2 가속도 센서(110-2)에 의해 획득한 제2 센싱 값이 전자 장치(100) 좌측 하단에 배치된 제1 가속도 센서(110-1)에 의해 획득한 제1 센싱 값 초과이면, 제2 가속도 센서(110-2)에 대응되는 영역에 사용자 단말(200)의 탭(Tap)이 이루어진 것으로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기능으로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음악 재생 기능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 대기 화면인 경우에 실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디스플레이(120)에 대기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만 국한되어 실행되는 것은 아니고, TV 방송 화면의 오디오를 음소거한 다음,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의해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대기 화면은 그림 또는 사진일 수 있으며, 날씨 정보, 주식 정보, 부동산 정보,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 작곡가, 음악 추천에 대한 정보 등도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센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200)의 탭(Tap)을 센싱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110) 4개가 전자 장치(10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에 배치된 복수의 가속도 센서(110)는 좌측 하단에 배치되는 제1 가속도 센서(110-1), 우측 하단에 배치되는 제2 가속도 센서(110-2), 좌측 상단에 배치되는 제3 가속도 센서(110-3), 우측 상단에 배치되는 제4 가속도 센서(11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4개의 가속도 센서를 전자 장치(100)의 4개의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시킴으로써,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단말(200)의 탭(Tap)에 의해 각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속도 센서(110-1)에 의해 센싱된 제1 센싱 값이 가장 크면, 좌측 하단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하여, 제1 기능을 수행한다. 제1 기능은 미러링 기능일 수 있다. 제2 가속도 센서(110-2)에 의해 센싱된 제2 센싱 값이 가장 크면, 우측 하단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하여, 제2 기능을 수행한다. 제2 기능은 음악 재생 기능일 수 있다. 제3 가속도 센서(110-3)에 의해 센싱된 제3 센싱 값이 가장 크면, 좌측 상단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하여, 제3 기능을 수행한다. 제3 기능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한 사진, 동영상 뷰어 기능일 수 있다. 제4 가속도 센서(110-4)에 의해 센싱된 제4 센싱 값이 가장 크면, 우측 상단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하여, 제4 기능을 수행한다. 제4 기능은 날씨, 뉴스, 주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기능일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200)이 전자 장치(100)를 탭(Tap)하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가속도 센서(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탭(Tap)에 의한 복수의 센싱 값을 획득할 수 있다 (S70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제1 가속도 센서(110-1)에 의해 획득된 제1 센싱 값 및 제2 가속도 센서(110-2)에 의해 획득된 제2 센싱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 단말(200)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S710). 구체적으로, 이때, 프로세서(180)는 제1 센싱 값 및 제2 센싱 값을 비교하여가장 큰 값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200)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720). 구체적으로,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을 탭한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기능(예로, 미러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을 탭한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기능(예로,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가속도 센서
120: 디스플레이
130: 스피커
140: 통신 인터페이스
150: 입출력 인터페이스
160: 사용자 인터페이스
170: 메모리
180: 프로세서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가속도 센서;
    통신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 장치를 탭(Tap)하면, 상기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탭(Tap)에 의한 복수의 센싱 값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센싱 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센싱 값이 가장 큰 가속도 센서에 대응되는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속도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좌측에 배치된 제1 가속도 센서와 상기 전자 장치의 우측에 배치된 제2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이 상기 제2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 초과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좌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제1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이 상기 제2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 미만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우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좌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기능 중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우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상기 제1 기능과 상이한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 중 하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표시하는 화면을 상기 전자 장치에 표시하는 미러링 기능이며,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음악 재생 기능인,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8.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상에 배치된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 장치를 탭(Tap)하면, 상기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탭(Tap)에 의한 복수의 센싱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센싱 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센싱 값이 가장 큰 가속도 센서에 대응되는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속도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좌측에 배치된 제1 가속도 센서와 상기 전자 장치의 우측에 배치된 제2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이 상기 제2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 초과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좌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이 상기 제2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 미만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우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좌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기능 중 제1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우측 영역을 탭(Tap)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상기 제1 기능과 상이한 제2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 중 하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표시하는 화면을 상기 전자 장치에 표시하는 미러링 기능이며,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음악 재생 기능인,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 장치를 탭(Tap)하면, 상기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탭(Tap)에 의한 복수의 센싱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탭(Tap)한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210100949A 2021-07-30 2021-07-30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018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949A KR20230018909A (ko) 2021-07-30 2021-07-30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CT/KR2022/011095 WO2023008916A1 (ko) 2021-07-30 2022-07-28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949A KR20230018909A (ko) 2021-07-30 2021-07-30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909A true KR20230018909A (ko) 2023-02-07

Family

ID=8508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949A KR20230018909A (ko) 2021-07-30 2021-07-30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18909A (ko)
WO (1) WO2023008916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7983A1 (en) * 2004-10-25 2006-05-11 Nokia Corporation Tapping input on an electronic device
US8482403B2 (en) * 2007-12-12 2013-07-09 Sony Corporation Interacting with devices based on physical device-to-device contact
JP5642767B2 (ja) * 2009-03-30 2014-12-17 カイオニ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加速度計を使用するタップ方向検出アルゴリズム
US9582187B2 (en) * 2011-07-14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context based menus
JP2013065963A (ja) * 2011-09-15 2013-04-11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
KR20210087760A (ko) * 2020-01-03 202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8916A1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6596B2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221768B1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peripher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9621434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9357015B2 (en) Enhanced content consumption
US10416948B2 (en) Head mou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the same
US10108392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nected to user terminal apparatus, server, connected system,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601707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utput
US10203927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20140173446A1 (en) Content playing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ui of content playing apparatus,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network server
US20200258517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graphic data based on vo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5036309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402957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US20160301981A1 (en) Smart television 3d sett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230018909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9005006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ereof
US10089060B2 (en) Device for controlling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CN106155945B (zh) 多媒体装置媒体来源热插拔实时通知系统的通知方法
US1048284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WO2023005348A1 (zh) 分屏推荐方法和装置
US202400896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sting to multiple wireless speakers
US201500265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1056769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f electronic apparatus
KR202300799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50056962A (ko) 콘텐츠 분할 출력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0769A (ko) 사용자 단말 볼륨 제어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