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879A - Automatic order management apparatus using autinomous driving kiosk - Google Patents

Automatic order management apparatus using autinomous driving kio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879A
KR20230018879A KR1020210100896A KR20210100896A KR20230018879A KR 20230018879 A KR20230018879 A KR 20230018879A KR 1020210100896 A KR1020210100896 A KR 1020210100896A KR 20210100896 A KR20210100896 A KR 20210100896A KR 20230018879 A KR20230018879 A KR 20230018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osk
call
driving
kiosk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링크온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링크온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링크온유
Priority to KR102021010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8879A/en
Publication of KR2023001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8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apparatus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which comprises: a call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 call signal from a call device arranged at a table installed at a store; a kiosk allotment unit which selects a kiosk terminal to process the order reception and serving with respect to the call based on the locations of idle kiosk terminals among a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an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which generates a driving route to the table, which made the call, for the kiosk terminal which is selected based on the indoor map database (DB) of the store, controls such that the selected kiosk terminal may be driven along the driving route as a response to the call, and collects information of the space around the driving route by means of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at the kiosk terminal to renew the indoor map database; and an order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to receive an order by means of the kiosk terminal which has arrived at the table made the call, and to serve the menu ordered by means of the kiosk terminal to the corresponding tabl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user having to move to the counter in person or the waiters having to visit the user in person, the kiosk is autonomously driven, thereby effectively providing the service to respond to the order and serving.

Description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AUTOMATIC ORDER MANAGEMENT APPARATUS USING AUTINOMOUS DRIVING KIOSK}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AUTOMATIC ORDER MANAGEMENT APPARATUS USING AUTINOMOUS DRIVING KIOSK}

본 발명은 주문 자동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테이블에 구비된 호출벨을 눌렀을 때 자율주행 키오스크가 자율주행을 실행하여 주문 및 서빙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user presses a call bell provided on a table, an autonomous driving kiosk executes autonomous driving to effectively provide services corresponding to ordering and serving. It relates to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 kiosk.

최근 키오스크를 이용한 자동 주문 시스템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키오스크는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무인 단말기에 해당한다. 키오스크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 주문 시스템은 자동으로 주문을 접수할 뿐 주문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방식과 동일하게 사용자가 직접 카운터로 이동하거나 또는 종업원이 직접 사용자를 찾아가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Recently, an automatic ordering system using a kiosk has been widely used. A kiosk corresponds to an unmanned terminal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o that the public can easily use it for unmanned automation of information service and business. The kiosk-based automatic ordering system only accepts orders automatically, but in order to provide the ordered product or ser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has to go directly to the counter or the employee must go to the user directly,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do.

한국등록특허 제10-1057353(2011.08.10)호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키오스크를 통해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를 키오스크에 제공하는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서버의 개별 부하에 따라 상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를 각 처리 서버에 적응적으로 분배하여 처리함으로써 키오스크 시스템의 각 처리 디바이스의 부하를 균등화 시킬 수 있고 서비스 처리 시간의 획기적인 단축이 가능하며 서비스 처리의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57353 (August 10, 2011) relates to a service processing device of a kiosk system, and includes individual service event processing servers that process service events generated through a kiosk and provide the processing results to the kiosk. By adaptively distributing and processing the generated service event to each processing server according to the load, the load of each processing device of the kiosk system can be equalized, service processing time can be drastically reduced, and service processing reliability can be provided. there is.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1731(2009.01.09)호는 무인 결제(정산)를 통한 티켓(영수증) 발행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 본 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어느 곳에서든 서비스를 하고자 하는 본사의 판매대 또는 점포, TICKET BOX 설치 없이 소비자의 구매 욕구에 맞는 ITEM을 키오스크를 통해서 고객이 직접 선택하고 신용카드 또는 현금 등의 다양한 결제 수단으로 현장에서 바로 대기 시간 없이 이용할 수 있으므로 고객에게 상당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01731 (2009.01.09) relates to a ticket (receipt) issuing kiosk through unmanned payment (settlement), and is a sales counter or Significant convenience can be provided to customers as customers can directly select an item that meets their purchasing needs through the kiosk without installing a store or TICKET BOX and use it on the spot with various payment methods such as credit card or cash without waiting time.

한국등록특허 제10-1057353(2011.08.1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57353 (2011.08.10)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1731(2009.01.0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01731 (2009.01.0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테이블에 구비된 호출벨을 눌렀을 때 자율주행 키오스크가 자율주행을 실행하여 주문 및 서빙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that can effectively provide a service corresponding to ordering and serving by executing autonomous driving when a user presses a call bell provided on a table. want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인 주문 및 서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 구축된 실내지도 DB를 활용하고 주행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실내지도 DB를 갱신함으로써 정보의 최신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pre-built indoor map DB to provide unmanned ordering and serving services, and updates the indoor map DB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course of driving, thereby maintaining up-to-date informa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 kiosk.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키오스크들을 스케줄링하고 잉여 키오스크를 선정하여 호출할 수 있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capable of scheduling kiosks and selecting and calling surplus kiosks to minimize waiting time for users.

실시예들 중에서,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는 매장에 설치된 테이블에 배치된 호출 장치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호출 수신부,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들 중 잉여 키오스크 단말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호출에 대해 주문 접수 및 서빙을 처리할 키오스크 단말을 선정하는 키오스크 할당부, 상기 매장의 실내지도 DB를 기초로 선정된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상기 호출 테이블까지의 주행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호출에 대한 응답으로서 선정된 상기 키오스크 단말이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상기 주행경로 인근의 공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실내지도 DB를 갱신하는 자율주행 처리부, 및 상기 호출 테이블에 도착한 키오스크 단말을 통해 주문을 접수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을 통해 주문한 메뉴를 해당 테이블로 서빙하도록 처리하는 주문 처리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includes a call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call signal from a call device disposed on a table installed in a store, and a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based on the locations of redundant kiosk terminals, making the call. A kiosk allocator that selects a kiosk terminal to process order reception and serving for customers, a kiosk terminal selected based on an indoor map DB of the store, and generating a driving route to the call table of the selected kiosk terminal, and generating the selected kiosk terminal as a response to the call An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that controls the kiosk terminal to drive along the driving route and updates the indoor map DB by collecting spatial information near the driving route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kiosk terminal, and arrives at the call table. and an order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an order through the kiosk terminal and processes the menu ordered through the kiosk terminal to be served to a corresponding table.

상기 호출 수신부는 사용자가 매장에 설치된 복수의 테이블들 중 임의의 테이블에 착석하여 해당 테이블에 배치되는 상기 호출 장치의 호출 벨을 누르면 상기 호출 장치로부터 테이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테이블 식별코드와 연관된 테이블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서 식별할 수 있다.The call reception unit receives a call signal including a table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call device when the user sits at a table among a plurality of tables installed in the store and presses the call bell of the call device disposed at the corresponding table. The position of the table associat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can be identified as the user's position.

상기 키오스크 할당부는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들에 대해 순번을 정하여 순서대로 할당하는 라운드-로빈 스케줄링 방식을 따라 상기 호출 별로 키오스크 단말을 배정할 수 있다.The kiosk allocator may allocate a kiosk terminal for each call according to a round-robin scheduling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are assigned sequentially by determining the order of the kiosk terminals.

상기 키오스크 할당부는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들 중 상기 호출 신호의 수신 시점에서의 잉여 키오스크 단말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는 거리에 위치하는 잉여 키오스크 단말을 선정한 후 선정된 키오스크 단말에 호출을 전송할 수 있다.The kiosk allocator identifies locations of redundant kiosk terminals among a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call signal, selects redundant kiosk terminals located at a distance that minimizes user waiting time, and transmits a call to the selected kiosk terminals. can

상기 키오스크 할당부는 상기 잉여 키오스크 단말들의 운행 위치, 간격, 서빙 할 양이나 개수, 호출 테이블 도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잉여 키오스크 단말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The kiosk allocator may schedule the redundant kiosk terminals based on at least one of an operating location of the redundant kiosk terminals, an interval, an amount or number to be served, and a call table arrival time.

상기 키오스크 할당부는 상기 잉여 키오스크 단말들의 상기 호출 테이블까지의 이동 소요 시간을 하기 수학식을 통해 산출하고 산출한 이동 소요 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할당할 수 있다.The kiosk allocator may calculate the travel time of the redundant kiosk terminals to the paging table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and allocate the calculated travel time in order of short order.

[수학식][mathematical express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T는 잉여 키오스크 단말의 이동 소요 시간을, Tavg는 호출 수신 후 테이블까지의 평균 이동 시간을, k는 잉여상수를, Dtable_kiosk는 잉여 키오스크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호출한 테이블까지의 거리를, C는 매장 내 혼잡도에 해당한다.Here, T is the travel time of the redundant kiosk terminal, T avg is the average travel time to the table after receiving the call, k is the redundancy constant, and D table_kiosk is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dundant kiosk terminal to the called table , and C corresponds to the degree of congestion in the store.

상기 자율주행 처리부는 선정된 상기 키오스크 단말이 상기 호출 테이블로 운행되고 주문 접수 또는 서빙 후 매장 내 지정된 위치로 복귀되도록 주행경로를 생성하고, 서빙 과정의 경우 상기 키오스크 단말이 주문한 메뉴의 수령지점을 경유하도록 상기 주행경로 상에 경유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lf-driving processing unit generates a driving route so that the selected kiosk terminal is driven to the call table and returns to a designated location in the store after receiving an order or serving, and in the case of serving, the kiosk terminal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point of the ordered menu. A waypoint may be included on the driving route to do so.

상기 자율주행 처리부는 상기 주행 과정에서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위치 변화율을 기초로 주행 이상을 검출하고, 상기 주행 이상이 검출된 경우 해당 검출 위치를 주행 재개 지점으로 결정하여 상기 주행 재개 지점에서 상기 호출 테이블까지의 주행경로를 갱신한 후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monitors the location of the kiosk terminal during the driving process, detects a driving anomaly based on a rate of change of the location of the kiosk terminal, and determines the detection location as a driving resume point when the driving anomaly is detected. After updating a driving route from the driving resume point to the paging table, driving of the kiosk terminal may be controlled.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는 사용자가 테이블에 구비된 호출벨을 눌렀을 때 자율주행 키오스크가 자율주행을 실행하여 주문 및 서빙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autonomous driving kiosk to execute autonomous driving when a user presses a call bell provided on a table to effectively provide services corresponding to ordering and serving.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는 무인 주문 및 서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 구축된 실내지도 DB를 활용하고 주행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실내지도 DB를 갱신함으로써 정보의 최신성을 유지할 수 있다.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previously built indoor map DB to provide unmanned ordering and serving services, and updates the indoor map DB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driving. By doing so, information can be kept up to d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키오스크들을 스케줄링하고 잉여 키오스크를 선정하여 호출할 수 있다.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chedule kiosks to minimize a user's waiting time and select and call a surplus kios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주문 자동 관리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주문 자동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에서 테이블에 설치되는 호출 장치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in FIG. 1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process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performed by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in FIG. 1 .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alling device installed on a table in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시스템(100)은 키오스크 단말(110), 호출 장치(130) 및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system 100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may include a kiosk terminal 110 , a calling device 130 and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

키오스크 단말(110)은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주문을 자동으로 접수하여 처리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키오스크 단말(11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카메라, 터치 스크린, 센서 등을 더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키오스크 단말(110)은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110)들은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키오스크 단말(110)은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The kiosk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and processing orders for products or services. The kiosk terminal 11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network function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by further including a camera, a touch screen, a sensor, and the like. The kiosk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110 may be connected to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at the same time. In one embodiment, the kiosk terminal 110 may be implemented by being included in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

키오스크 단말(110)은 정해진 구간을 자율적(또는 수동방식 포함)으로 주행하면서 주문 접수 또는 서빙 서비스를 무인 제공할 수 있는 이동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주행기능은 자율주행기능(자동주행)과 원격제어에 의한 주행기능(수행주행)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크 단말(110)은 정해진 구간마다 셔틀운행을 할 수 있으며 해당 구간의 특정한 지점별로 일정 시간 머물며 주문을 접수하여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키오스크 단말(110)은 주행 중에 인근의 공간정보 수집을 위한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 단말(110)은 카메라 센서, 적외선 센서, 모션 센서, 레이더/라이다 센서 및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크 단말(110)에 의해 수집된 주행경로 상의 공간정보는 기 구축된 실내지도 DB를 갱신하는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다. The kiosk terminal 110 can be implemented as a mobile body capable of providing an order reception or serving service unmanned while autonomously (or including a manual method) driving a predetermined section, and the driving function includes an autonomous driving function (automatic driving) and remote control. All of the driving functions (execution driving) can be included. The kiosk terminal 110 may perform shuttle operation for each predetermined section, and may receive and process orders while stay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specific points in the section. In one embodiment, the kiosk terminal 11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collecting nearby spatial information while driving. For example, the kiosk terminal 110 may include a camera sensor, an infrared sensor, a motion sensor, a radar/lidar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the like. Spatial information on a driving route collected by the kiosk terminal 110 may be utilized in a process of updating a previously constructed indoor map DB.

호출 장치(130)는 특정 공간에 배치된 테이블에 설치되고 테이블에 착석한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호출벨에 해당할 수 있다. 호출 장치(130)는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호출 장치(130)들은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특정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이블 중 유휴 테이블에 착석한 후 테이블에 구비된 호출 장치(130)의 벨을 눌러 키오스크 단말(110)을 호출할 수 있다. 호출 장치(130)는 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호출 벨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호출 장치(130)는 호출한 키오스크 단말(110)의 도착 대기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lling device 130 may correspond to a call bell that is installed on a table disposed in a specific space and can be pressed by a user seated at the table. The calling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calling devices 130 may be connected to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at the same time. In one embodiment, the user may call the kiosk terminal 110 by pressing the bell of the calling device 130 provided at the table after sitting at an idle table among at least one table disposed in a specific space. The calling device 130 is not limited to a call bell installed on a tabl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At this time, the calling device 13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displaying the arrival waiting time of the calling kiosk terminal 110 .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기초로 키오스크 단말(110)을 활용한 무인 주문 접수 및 서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는 키오스크 단말(110) 및 호출 장치(130)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키오스크 단말(110) 및 호출 장치(1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capable of providing an unmanned order reception and serving service using the kiosk terminal 110 based on pre-established spatial information.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may be connected to the kiosk terminal 110 and the calling device 130 through a network, and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kiosk terminal 110 and the calling device 130 through the network.

일 실시예에서,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주문을 받거나 서빙하는 등의 키오스크 단말(110)을 관리하고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는 도 1과 달리, 키오스크 단말(110)을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may store information necessary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kiosk terminal 110 such as receiving an order or serving in association with a database. Meanwhile, unlike FIG. 1 ,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the kiosk terminal 110 inside or outside. In addition,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processor, a memory, a user input/output unit,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데이터베이스는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가 주문을 접수하고 서빙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는 키오스크 단말(110)의 주행을 위한 특정 공간의 실내 지도를 저장할 수 있고, 키오스크 단말(110)로부터 주문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가 특정 공간의 실내 지도 DB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무인 주문 접수 및 서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may stor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to receive and serve orders. For example, the database may store an indoor map of a specific space for driving of the kiosk terminal 110 and may store order information from the kiosk terminal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 can build an indoor map DB of a specific space and use it to store information collected or processed in various forms in the process of providing unmanned order reception and serving services.

도 2는 도 1에 있는 주문 자동 관리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는 호출 수신부(210), 키오스크 할당부(230), 자율주행 처리부(250), 주문 처리부(270) 및 제어부(279)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may include a call receiving unit 210, a kiosk allocating unit 230, an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an order processing unit 270, and a control unit 279.

호출 수신부(210)는 호출 장치(130)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호출 장치(130)는 매장에 설치된 복수의 테이블들 각각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매장 내 임의의 테이블에 착석한 후 테이블에 배치된 호출 장치(130)의 호출벨을 누르면 호출 장치(130)로부터 호출 신호가 전송된다. 호출 수신부(210)는 각 테이블에 설치된 호출 장치(13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출 수신부(210)는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호출한 테이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호출 신호는 호출 장치(130)가 설치되는 테이블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호출 수신부(210)는 호출 신호에 포함된 테이블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고 해당 호출과 매칭되는 테이블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The call receiver 210 may receive a call signal from the call device 130 . The calling device 130 is disposed at each of a plurality of tables installed in the store, and after a user sits at a table in the store and presses the call bell of the calling device 130 disposed on the table, the calling device 130 receives a call signal. is sent The call reception unit 210 may communicate with the call device 130 installed in each table by being connected to the network. In one embodiment, the call reception unit 210 ma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called table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Here, the call signal may include a table identification code in which the call device 130 is installed. The call receiving unit 210 can recognize the tabl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call signal and can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table that matches the corresponding call.

일 실시예에서, 호출 수신부(210)는 복수의 테이블들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호출 장치(130)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호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호출 장치(130)와 연관된 테이블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서 식별할 수 있다. 매장에 설치된 호출 장치(130)는 매장 내의 테이블과 일대일로 매칭될 수 있고, 호출 수신부(210)는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호출 신호를 수신한 호출 장치(130)와 연관된 테이블을 사용자 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call reception unit 210 receives a call signal throug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all devices 130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tables, the position of the table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call device 130 It can be identified as the user's location. The call device 130 installed in the store may be matched with a table in the store on a one-to-one basis, and the call reception unit 210 may determine a table associated with the call device 130 that has received the call signal as the user's location using the matching information. there is.

키오스크 할당부(230)는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110)들 중에서 사용자 호출의 처리를 담당할 키오스크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키오스크 할당부(230)는 사용자 호출을 처리하기 위하여 사전에 등록된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110)들을 순번을 정하여 순서대로 할당하는 라운드-로빈 스케줄링(Round Robin Scheduling) 방식을 따라 키오스크 단말을 배정할 수 있다. 키오스크 할당부(230)는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110)들 중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서의 잉여 키오스크 단말들에 대해 스케줄링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키오스크 할당부(230)는 잉여 키오스크 단말들의 운행 위치, 간격, 서빙 할 양이나 개수, 호출한 테이블 도착시간 등을 스케줄링 조절 기준으로 할 수 있고, 키오스크 할당부(230)는 현재 잉여 키오스크 단말(110)들 중에서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 호출별로 키오스크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The kiosk allocator 230 may determine a kiosk terminal to be in charge of processing a user call from among a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110 . The kiosk allocator 230 determines the order of a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110 registered in advance to process a user call and allocates a kiosk terminal according to a round-robin scheduling method. there is. The kiosk allocator 230 may adjust scheduling for redundant kiosk terminals among the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110 at the time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In one embodiment, the kiosk allocator 230 may use the operating location of surplus kiosk terminals, the interval, the amount or number to be served, the arrival time of the called table, etc. as a scheduling control criterion, and the kiosk allocator 230 is currently Among the redundant kiosk terminals 110 , a kiosk terminal may be determined for each user call according to a set criterion.

일 실시예에서, 키오스크 할당부(230)는 호출한 테이블까지의 거리, 매장 내 혼잡도 등을 고려하여 키오스크 단말이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반영하여 잉여 키오스크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잉여 키오스크 단말의 이동 소요 시간은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kiosk allocator 230 may select a surplus kiosk terminal by reflect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kiosk terminal to move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to the called table, the degree of congestion in the store, and the like. The required movement time of the redundant kiosk terminals may be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mathematical expression]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T는 잉여 키오스크 단말의 이동 소요 시간을, Tavg는 호출 수신 후 테이블까지의 평균 이동 시간을, k는 잉여상수를, Dtable_kiosk는 잉여 키오스크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호출한 테이블까지의 거리를, C는 매장 내 혼잡도에 해당할 수 있다.Here, T is the travel time of the redundant kiosk terminal, T avg is the average travel time to the table after receiving the call, k is the redundancy constant, and D table_kiosk is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dundant kiosk terminal to the called table , C may correspond to the degree of congestion in the store.

평균 이동 시간 Tavg는 관리자에 의해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잉여상수 k는 키오스크 단말의 잉여시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 중 하나로 산출될 수 있고, 매장 내 혼잡도 C는 매장의 크기를 기초로 매장 내에 존재하는 고객의 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 중 하나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잉여상수 k는 키오스크 단말의 잉여시간이 1시간 이상이면 1의 값을, 45분~1시간 미만이면 2의 값을,…, 15분 미만이면 5의 값을 갖도록 산출되고, 매장 내 혼잡도 C는 1부터 10까지의 값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고, 매장 내 고객의 수가 3명 이하이면 10의 값을, 4~6명이면 9의 값을, …, 28명 이상이면 1의 값을 갖도록 산출될 수 있다. The average travel time T avg can be set to an arbitrary value by the manager, the surplus constant k can be calculated as one of preset values according to the surplus time of the kiosk terminal, and the congestion degree C in the store is based on the size of the store It may be calculated as one of preset valu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ustomers present in the store. For example, the surplus constant k takes a value of 1 if the surplus time of the kiosk terminal is more than 1 hour, a value of 2 if the surplus time is between 45 minutes and less than 1 hour, . . . , if less than 15 minutes, it is calculated to have a value of 5, the congestion level C in the store can correspond to one of the values from 1 to 10, and if the number of customers in the store is 3 or less, it is calculated to have a value of 10, and if the number of customers in the store is 3 or less, a value of 4 to 6 If , the value of 9, ... , it can be calculated to have a value of 1 if there are more than 28 people.

일 실시예에서, 키오스크 할당부(230)는 상기 수학식을 통해 산출된 이동 소요 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잉여 키오스크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할당부(230)는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110)들을 주문할 키오스크 단말과 서빙할 키오스크 단말로 기능을 구분하여 구분한 기능별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kiosk allocator 230 may select redundant kiosk terminals in the order of short travel times calculated through the above equation. In addition, the kiosk allocator 230 may divide the functions of the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110 into a kiosk terminal to order and a kiosk terminal to serve, and schedule the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110 by function.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호출한 테이블까지의 자율주행 경로를 생성하여 할당된 키오스크 단말(110)이 생성한 자율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자율주행 경로에 관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키오스크 단말(110)에 관한 실시간 위치 추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실내지도 DB를 기초로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의 자율주행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실내지도 DB는 키오스크 단말(110)의 자율주행을 위해 제공되는 경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실내지도 DB는 이동경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와 링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축될 수 있다. 이때, 노드는 이동의 변화 발생지점에 해당하고 링크는 노드들 간의 연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는 매장 내에 설치된 테이블 등에 해당할 수 있고, 링크는 이들 간의 연결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자율주행 키오스크 단말의 이동경로 네크워크는 주행우선구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주행장해물들을 회피할 수 있는 주행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행장해물들은 경사구간, 단턱 등 매장 내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해당할 수 있다.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generate an autonomous driving route to the called table and control the autonomous driving route to be driven along the autonomous driving route created by the assigned kiosk terminal 110 . In one embodiment, the self-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provide a navigation service for an autonomous driving route and may provide a real-time location tracking function for the kiosk terminal 110 .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generate an autonomous driving route from a starting point to an ending point based on an indoor map DB. Here, the indoor map DB may be used as basic data of a route provided for autonomous driving of the kiosk terminal 110 . In addition, the indoor map DB may be constructed including information about nodes and links constituting the movement route network. In this case, a node may correspond to a change occurrence point of movement, and a link may correspond to a connection between nodes. For example, a node may correspond to a table installed in a store, and a link may correspond to a connection between them. That is, the movement path network of the autonomous driving kiosk terminal may be formed along the driving priority area and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driving path capable of avoiding driving obstacles. Here, the driving obstacles may correspond to structures installed in the store, such as slopes and steps.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실내지도 DB를 기초로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의 주행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의 실내지도 DB 상에 노드와 링크 정보를 기초로 주행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의 주행경로는 복수개로 생성될 수 있으며,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복수의 주행경로들을 정렬한 후 최적의 선택에 해당하는 주행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 주행경로 중 최단 시간, 최단 거리, 최소의 주행장애 객체 수 등의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최적의 주행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generate a driving route from a starting point to an ending point based on the indoor map DB.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create a driving route based on node and link information on the indoor map DB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ending point. At this time, a plurality of driving routes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ending point may be generated, and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determine a driving route corresponding to the optimal selection after arranging the plurality of driving routes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For example,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determine an optimal driving route by applying various criteria such as the shortest time, the shortest distance, and the minimum number of driving obstacles among the driving routes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ending point.

일 실시예에서,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의 정상 주행경로를 생성하고, 할당된 키오스크 단말의 유형 및 크기를 기초로 주행장애 객체에 대한 주행방해율을 산출하며, 주행방해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주행장애 객체를 주행장애요소로 분류하고 실내지도 DB에서 주행장애요소를 결정하며, 주행장해요소를 회피하는 회피경로를 생성하고, 회피경로를 반영하여 정상 주행경로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회피경로는 경로 상에 주행장애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주행경로에 해당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generates a normal driving route from a starting point to an ending point, calculates a driving obstruction rate for a driving obstruction object based on the type and size of the assigned kiosk terminal, and the driving obstruction rate Driving obstacle objects that exceed the preset reference value are classified as driving obstacles, the driving obstacles are determined in the indoor map DB, an avoidance route avoiding the driving obstacles is created, and the normal driving route is updated by reflecting the avoidance route. can do. Here, the avoidance path may correspond to a driving path in which a driving obstacle object does not exist on the path.

또한,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할당된 키오스크 단말의 유형 및 크기를 기초로 주행장애 객체에 대한 주행방해율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주행방해율은 할당된 키오스크 단말이 호출한 테이블까지 주행하는 데 있는 해당 주행장애 객체에 의해 방해받는 정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 단말의 크기가 크고 주행경로 상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주행장애 객체가 있는 경우 그 주행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는 점이 반영되어 주행방해율은 낮게 산출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단말의 주행 목적에 따라 동일한 주행장애 객체에 대한 주행방해율이 상이하게 산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 단말이 주문 메뉴를 서빙하는 경우 주문 접수 목적 보다 그 주행에 영향을 주기 쉽다는 점이 반영되어 주행방해율은 높게 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calculate a driving obstruction rate for a driving disorder object based on the type and size of the assigned kiosk terminal. That is, the driving obstruction rate may correspond to the degree to which the assigned kiosk terminal is obstructed from driving to the called table by the driving obstacle object.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kiosk terminal is large and there is a relatively small-sized driving obstacle object on the driving route, the driving obstruction rate may be calculated low by reflecting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affect the driving.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riving obstruction rate for the same driving obstacle object may be calcul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riving purpose of the kiosk terminal. For example, when a kiosk terminal serves an order menu, the driving obstruction rate may be calculated high by reflecting the fact that the kiosk terminal is more likely to affect driving than the purpose of order reception.

또한,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주행방해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주행장애 객체를 주행장애요소로 분류할 수 있다. 기준값은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어 활용될 수 있으며,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기준값과 주행방해율 간의 비교를 통해 주행장애요소가 되는 주행장애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주행장애요소는 키오스크 단말의 주행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주문 접수 및 서빙 서비스의 전체적인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주행장애 객체에 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classify a driving obstacle object whose driving obstruction rate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s a driving obstacle element. The reference value may be set in advance by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and used, and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determine a driving obstacle object that is a driving obstacle factor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reference value and the driving obstacle rate. That is, the driving obstacle factor may correspond to a driving obstacle object that directly affects the driving process of the kiosk terminal and may degrade the overall quality of order receiving and serving services.

또한,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실내지도 DB에서 주행장애요소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정상 주행경로 상에 존재하는 주행장애요소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사용자 호출에 정상 주행경로를 1차적으로 도출한 후 주행장애요소를 회피하기 위한 갱신 동작을 2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주행장애요소를 회피하는 회피경로를 생성할 수 있고, 회피경로를 반영하여 정상 주행경로를 갱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extract information on driving obstacle factors from the indoor map DB to determine driving obstacle factors existing on the normal driving route. Through this,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secondarily perform an update operation to avoid driving obstacles after primarily deriving a normal driving route in response to a user call. In addition,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create an avoidance route for avoiding driving obstacles, and may update a normal driving route by reflecting the avoidance route.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사용자 호출에 대한 응답으로서 할당된 잉여 키오스크 단말이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주행 과정에서 키오스크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키오스크 단말의 위치 변화율을 기초로 주행 이상을 검출하며, 주행 이상이 검출될 경우 해당 검출 위치를 주행 재개 지점으로 결정하여 주행 재개 지점에서 사용자 호출 테이블까지의 주행경로를 갱신한 후 키오스크 단말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control the allocated redundant kiosk terminals to drive along the driving route in response to a user call. The self-driving processing unit 250 monitors the location of the kiosk terminal during the driving process, detects a driving anomaly based on the rate of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kiosk terminal, and determines the detection location as a driving resume point when a driving anomaly is detected to resume driving. After updating the driving route from the branch to the user call table, the driving of the kiosk terminal can be controlled.

한편,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키오스크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주행경로 인근의 공간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공간정보를 기초로 실내지도 DB를 갱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collect spatial information near the driving route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kiosk terminal, and update the indoor map DB based on the collected spatial information.

주문 처리부(270)는 호출한 해당 테이블에 도착한 키오스크 단말(110)을 통해 주문을 접수하고 결제가 완료된 경우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주문 처리부(270)는 호출 장치(130)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주문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주문 정보는 주문 항목, 가격, 수량 등 주문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키오스크 단말(110)을 통해 접수된 주문 시점, 해당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 및 서빙 예상 시간 등 주문과 간접적으로 연관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문 처리부(270)는 주문한 메뉴가 완성되면 키오스크 할당부(230)에 서빙할 키오스크 단말의 할당을 요청할 수 있고, 할당된 키오스크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주문한 메뉴를 사용자의 해당 테이블까지 서빙하도록 할 수 있다. The order processing unit 270 may receive an order through the kiosk terminal 110 that has arrived at the called table and perform the order when payment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order processing unit 270 may display order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module of the calling device 130, and the ord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directly related to the order, such as order item, price, and quantity, and the kiosk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indirectly related to the order, such as the time of order received through 110, the time elapsed from that time, and the expected serving time. When the ordered menu is completed, the order processing unit 270 may request the kiosk allocating unit 230 to allocate a kiosk terminal to be served, and the menu ordered by the user may be served to the user's corresponding table through the allocated kiosk terminal. .

제어부(290)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호출 수신부(210), 키오스크 할당부(230), 자율주행 처리부(250) 및 주문 처리부(2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using the self-driving kiosk,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all receiving unit 210, the kiosk allocating unit 230,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and the order processing unit 270. It can manage control flow or data flow.

도 3은 도 1에 있는 주문 자동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process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performed by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in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는 호출 수신부(210)를 통해 매장에 설치된 테이블에 배치된 호출 장치(130)의 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310). 호출 수신부(210)는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가 테이블에 착석한 후에 주문을 위하여 호출 장치(130)의 호출벨을 누르면 해당 테이블의 식별코드와 함께 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호출 수신부(210)는 호출한 테이블 식별코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호출 장치(130)에는 매장 점원을 호출하기 위한 점원 호출버튼을 별도 구비할 수 있고, 점원 호출버튼이 눌러졌을 때는 점원으로부터 대면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may receive a call signal from the calling device 130 disposed on a table installed in the store through the call reception unit 210 (step S310). The call reception unit 210 may receive a call signal together with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rresponding table when a user who visits the store presses the call bell of the call device 130 to place an order after sitting at a table. The call receiving unit 210 ma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called table identification code. The calling device 130 may separately include a clerk call button for calling a store clerk, and when the clerk call button is pressed, a face-to-face service may be received from the clerk.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는 키오스크 할당부(230)를 통해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110)들 중 잉여 키오스크 단말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주문 접수 및 서빙을 처리할 키오스크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단계 S330). 키오스크 할당부(230)는 잉여 키오스크 단말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는 거리에 위치하는 잉여 키오스크 단말을 선정한 후 선정된 키오스크 단말에 호출을 전송할 수 있다.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may select a kiosk terminal to process order reception and serving based on the locations of surplus kiosk terminals among the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110 through the kiosk allocator 230 (step S330 ). The kiosk allocator 230 may detect locations of redundant kiosk terminals, select redundant kiosk terminals located at a distance that minimizes user waiting time, and transmit a call to the selected kiosk terminals.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는 자율주행 처리부(250)를 통해 실내지도 DB를 기초로 선정된 키오스크 단말의 주행경로를 생성하고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 S350).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선정된 키오스크 단말이 호출한 테이블로 운행되고 주문 접수 또는 서빙 후 매장 내 지정된 위치로 복귀되도록 주행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자율주행 처리부(250)는 서빙 과정의 경우 키오스크 단말이 주문한 메뉴의 수령지점을 경유하도록 주행경로 상에 경유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may generate a driving route of the kiosk terminal selected based on the indoor map DB through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and control the driving route to be driven along the driving route (step S350). The self-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generate a driving route so that the selected kiosk terminal is driven to the called table and returns to a designated location in the store after receiving an order or serving. In the case of a serving process,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50 may include a waypoint on the driving route so as to pass through a receiving point of a menu ordered by the kiosk terminal.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는 주문 처리부(270)를 통해 테이블로 운행된 키오스크 단말을 통해 주문을 접수하고 키오스크 단말을 통해 주문한 메뉴를 해당 테이블로 서빙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단계 S370).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may receive an order through the kiosk terminal operated to the table through the order processing unit 270 and process the menu ordered through the kiosk terminal to be served to the corresponding table (step S370).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에서 테이블에 설치되는 호출 장치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alling device installed on a table in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호출 장치(410)들은 매장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테이블들에 각각 일대일로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호출 장치(410)는 키오스크 단말(110)을 호출하기 위한 호출 벨(411)과 주문 접수 및 서빙 서비스를 제공받는 데 소요되는 대기시간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13)을 포함할 수 있다. 호출 장치(410)는 호출 벨(411)이 눌러졌을 때 테이블 식별코드와 함께 호출 신호가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로 전송될 수 있고,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로부터 호출에 응답하여 키오스크 단말(110)이 해당 테이블에 도착할 때까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호출 장치(410)는 대기시간을 디스플레이 모듈(413)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413)에는 사용자의 주문 정보, 주문 진행 과정 등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 call devices 410 may be arranged and installed on a plurality of tables installed inside the store, respectively, one-to-one. The calling device 410 may include a call bell 411 for calling the kiosk terminal 110 and a display module 413 for displaying a waiting time required for receiving an order and receiving a serving service. When the call bell 411 is pressed, the call device 410 may transmit a call signal together with the table identification code to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and respond to a call from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as a kiosk terminal. The waiting time until 110 arrives at the corresponding table may be received. The calling device 410 may display the standby time on the display module 413 and provide notification to the user. At this time, the display module 413 may also display the user's order information, order progress, and the like.

주문 자동 관리 장치(150)는 호출 장치(410)의 호출시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110)들 중 주문 접수를 위한 키오스크 단말과 서빙을 위한 키오스크 단말을 각각 선정하여 해당 테이블까지 지정된 경로를 따라 자율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문 접수용 키오스크 단말과 서빙용 키오스크 단말을 구분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키오스크 단말이 주문 접수와 서빙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When the calling device 410 makes a call, th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150 selects a kiosk terminal for receiving an order and a kiosk terminal for serving among a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110 and autonomously drives along a designated path to a corresponding table. can be controlled to Here, although the kiosk terminal for order reception and the kiosk terminal for serving are distinguished, the kiosk terminal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kiosk terminal capable of minimizing the user's waiting time may perform order reception and serving.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시스템
110: 키오스크 단말 130: 호출 장치
150: 주문 자동 관리 장치
210: 호출 수신부 230: 키오스크 할당부
250: 자율주행 처리부 270: 주문 처리부
290: 제어부
410: 호출 장치
411: 호출 벨 413: 디스플레이 모듈
100: Automatic 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110: kiosk terminal 130: calling device
150: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210: call receiving unit 230: kiosk allocating unit
250: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270: order processing unit
290: control unit
410: calling device
411: call bell 413: display module

Claims (8)

매장에 설치된 테이블에 배치된 호출 장치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호출 수신부;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들 중 잉여 키오스크 단말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호출에 대해 주문 접수 및 서빙을 처리할 키오스크 단말을 선정하는 키오스크 할당부;
상기 매장의 실내지도 DB를 기초로 선정된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상기 호출 테이블까지의 주행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호출에 대한 응답으로서 선정된 상기 키오스크 단말이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상기 주행경로 인근의 공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실내지도 DB를 갱신하는 자율주행 처리부; 및
상기 호출 테이블에 도착한 키오스크 단말을 통해 주문을 접수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을 통해 주문한 메뉴를 해당 테이블로 서빙하도록 처리하는 주문 처리부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
a call receiver for receiving a call signal from a call device disposed on a table installed in the store;
a kiosk allocator for selecting a kiosk terminal to process order reception and serving for the call based on the locations of redundant kiosk terminals among a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A driving route from the selected kiosk terminal to the calling table is created based on the indoor map DB of the store, and as a response to the call, the selected kiosk terminal is controlled to travel along the driving route, and the kiosk terminal is an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that updates the indoor map DB by collecting spatial information near the driving route through a plurality of installed sensors; and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including an order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an order through a kiosk terminal arriving at the call table and processes the menu ordered through the kiosk terminal to be served to the corresponding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수신부는
사용자가 매장에 설치된 복수의 테이블들 중 임의의 테이블에 착석하여 해당 테이블에 배치되는 상기 호출 장치의 호출 벨을 누르면 상기 호출 장치로부터 테이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테이블 식별코드와 연관된 테이블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ll reception unit
When a user sits at a table among a plurality of tables installed in a store and presses the call bell of the calling device disposed at the corresponding table, a call signal including a table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from the calling device and associated with the table identification cod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characterized in that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table as the location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할당부는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들에 대해 순번을 정하여 순서대로 할당하는 라운드-로빈 스케줄링 방식을 따라 상기 호출 별로 키오스크 단말을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iosk allocation unit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characterized in that a kiosk terminal is allocated for each call according to a round-robin scheduling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are assigned in order by determining the or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할당부는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들 중 상기 호출 신호의 수신 시점에서의 잉여 키오스크 단말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는 거리에 위치하는 잉여 키오스크 단말을 선정한 후 선정된 키오스크 단말에 호출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iosk allocation unit
Among the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the location of the redundant kiosk terminals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call signal is determined, and after selecting the redundant kiosk terminal located at a distance that minimizes the user waiting time, a call is transmitted to the selected kiosk terminal. An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할당부는
상기 잉여 키오스크 단말들의 운행 위치, 간격, 서빙 할 양이나 개수, 호출 테이블 도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잉여 키오스크 단말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kiosk allocation unit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characterized in that for scheduling the redundant kiosk terminal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location, interval, amount or number to be served, and arrival time of the call table of the redundant kiosk terminal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할당부는
상기 잉여 키오스크 단말들의 상기 호출 테이블까지의 이동 소요 시간을 하기 수학식을 통해 산출하고 산출한 이동 소요 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
[수학식]
Figure pat00003

여기에서, T는 잉여 키오스크 단말의 이동 소요 시간을, Tavg는 호출 수신 후 테이블까지의 평균 이동 시간을, k는 잉여상수를, Dtable_kiosk는 잉여 키오스크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호출한 테이블까지의 거리를, C는 매장 내 혼잡도에 해당한다.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kiosk allocation unit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vel time of the redundant kiosk terminals to the call table is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and the calculated travel time is allocated in the order of short order.
[mathematical expression]
Figure pat00003

Here, T is the travel time of the redundant kiosk terminal, T avg is the average travel time to the table after receiving the call, k is the redundancy constant, and D table_kiosk is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dundant kiosk terminal to the called table , and C corresponds to the degree of congestion in the st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처리부는
선정된 상기 키오스크 단말이 상기 호출 테이블로 운행되고 주문 접수 또는 서빙 후 매장 내 지정된 위치로 복귀되도록 주행경로를 생성하고, 서빙 과정의 경우 상기 키오스크 단말이 주문한 메뉴의 수령지점을 경유하도록 상기 주행경로 상에 경유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A driving route is created so that the selected kiosk terminal is driven to the call table and returns to a designated location in the store after receiving an order or serving, and in the case of serving, the kiosk terminal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point of the ordered menu on the driving route.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ypoint 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처리부는
상기 주행 과정에서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위치 변화율을 기초로 주행 이상을 검출하고, 상기 주행 이상이 검출된 경우 해당 검출 위치를 주행 재개 지점으로 결정하여 상기 주행 재개 지점에서 상기 호출 테이블까지의 주행경로를 갱신한 후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주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ing unit
During the driving process, the location of the kiosk terminal is monitored, a driving anomaly is detected based on a position change rate of the kiosk terminal, and when the driving anomaly is detected, the corresponding detection location is determined as a driving resumption point, and the driving resumption point is determined. Automatic order management device using an autonomous driving kiosk,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kiosk terminal after updating the driving route to the call table.
KR1020210100896A 2021-07-30 2021-07-30 Automatic order management apparatus using autinomous driving kiosk KR202300188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896A KR20230018879A (en) 2021-07-30 2021-07-30 Automatic order management apparatus using autinomous driving kio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896A KR20230018879A (en) 2021-07-30 2021-07-30 Automatic order management apparatus using autinomous driving kio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879A true KR20230018879A (en) 2023-02-07

Family

ID=8525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896A KR20230018879A (en) 2021-07-30 2021-07-30 Automatic order management apparatus using autinomous driving kio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887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31A (en) 2007-05-15 2009-01-09 (주)솔루션그리드 Ticket(receipt) produce kiosk from self payment
KR101057353B1 (en) 2008-12-11 2011-08-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ervice Processing Unit of Kiosk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31A (en) 2007-05-15 2009-01-09 (주)솔루션그리드 Ticket(receipt) produce kiosk from self payment
KR101057353B1 (en) 2008-12-11 2011-08-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ervice Processing Unit of Kiosk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0253B2 (en) Order processing for remotely ordered goods
KR102505350B1 (en) Queu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2993787C (en) A system and process for managing preparation and packaging of food and/or beverage products for a precise delivery time
US11257141B2 (en) Method for managing click and delivery shopping events
JP2022509063A (en) Network computer system for making effort-based decisions about delivery orders
US20160275470A1 (en) Location regulated point-of-sale system and enhancements
US10181111B1 (e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s for item handoffs
CN110633939B (en) Commodity shipment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311530B2 (en) System and process for managing preparation and packaging of food and/or beverage products for a precise delivery time
US10248122B2 (en) Autonomous concessions robots
CA2839208C (en) Order processing for remotely ordered goods
JP6669827B1 (en) Product delivery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CN110866175A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30018879A (en) Automatic order management apparatus using autinomous driving kiosk
KR20180085276A (en) Method for real time hotel reservation service, and a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thereof
US201801018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optimal incentives for customers to reduce queueing wait time with wait-time-dependent incentive choice probabilities
US20230274335A1 (en) Fast food and beverage provision system and arrangement
US20240135361A1 (en) Intelligent venue applications for use with a client device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20210055130A (en) Method for recommedning banking business store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US20240028049A1 (en)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information output device
US20230196446A1 (en) Order Processing for Remotely Ordered Goods
US11798106B2 (en) Non-sequential restaurant order system and method
US20230315098A1 (en) Command and Payment Systems and Methods For Self-Driving Robotic Vehicles
US20210390613A1 (en) System and process for managing preparation and packaging of food and/or beverage products for a precise delivery time
KR20230015722A (en) Kiosk-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