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254A -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 Google Patents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254A
KR20230018254A KR1020210100225A KR20210100225A KR20230018254A KR 20230018254 A KR20230018254 A KR 20230018254A KR 1020210100225 A KR1020210100225 A KR 1020210100225A KR 20210100225 A KR20210100225 A KR 20210100225A KR 20230018254 A KR20230018254 A KR 20230018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biodegradable
friendly
filter
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안
Original Assignee
이정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안 filed Critical 이정안
Priority to KR102021010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8254A/ko
Publication of KR2023001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에 있어서, 부직포가 사용자 입과 코를 가리도록 일정 면적으로 안감과 겉감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감과 상기 겉감 사이에 필터가 구비된 안면부; PLA 섬유로 형성되어, 상단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안감과 상기 겉감 사이에 삽입되어 사용자 코 형태에 따라 형태가 변환되는 코편부 및 PLA 섬유로 형성되어, 상기 안면부의 일단과 타단에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끈 형태로 형성된 귀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감 및 상기 겉감은, 친환경 생분해성 PLA 섬유 또는 텐셀 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biodegradable eco-friendly mask}
본 발명은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미세먼지나 병균 따위를 막는 마스크의 안면부, 귀끈부 및 코편부에 PLA 또는 텐셀 소재가 적용되어, 전체 생분해가 가능한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현 시대의 필수품으로 각종 바이러스나 미세먼지 등으로부터 입과 코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마스크를 사용한다. 종래의 기술에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2019-0000374호(마스크)가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현 시대의 필수품인 마스크는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버려질 시, 막대한 쓰레기 문제 및 환경 오염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스크의 섬유를 토양 환경에서 단기간에 생분해되며, 환경 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PLA 섬유 또는 텐셀 섬유로 마스크의 안면부를 형성하며, 코편부를 PLA 소재로 형성하여, 사용 후에 토양 환경에서 생분해되는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는 부직포가 사용자 입과 코를 가리도록 일정 면적으로 안감과 겉감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감과 상기 겉감 사이에 필터가 구비된 안면부; PLA 섬유로 형성되어, 상단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안감과 상기 겉감 사이에 삽입되어 사용자 코 형태에 따라 형태가 변환되는 코편부 및 PLA 섬유로 형성되어, 상기 안면부의 일단과 타단에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끈 형태로 형성된 귀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감 및 상기 겉감은, 친환경 생분해성 PLA 섬유 또는 텐셀 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목화 섬유로 형성된 목화 필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면부는,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하며, 사용자의 구취를 억제하는 숯 성분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면부는, 향을 발생시키는 향필터부가 탈부착되는 마스크 홀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홀은, 탄성력을 가지는 섬유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삽입되는 향필터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필터부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되, 관통하는 다수개의 필터 홀이 형성된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향을 발생시키는 향필터를 포함하는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또한, 상기 안면부는, 상기 안감의 상방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진 신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는,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착용 시, 상기 마스크의 상방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면부는, 상기 안감과 상기 겉감에 도포되어, 사용자의 피부 트러블을 완화하도록 하는 트러블완화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러블완화제는, 알로에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식물성 식용성 글리세린, 식용성 주정, 코팅제, 옥시벤존 및 아보벤존 중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는, 먼지나 병균 따위가 사용자의 입과 코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토양 환경에서 생분해되어 환경오염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의 필터는 목화 필터로 형성되어, 일반 필터에 비해 높은 방진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에 탈부착되는 향필터부는 다양한 향을 발생시켜, 악취를 막으며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신축부가 안감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친환경 마스크 사용 시, 상단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막아 미세먼지나 병균 따위의 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면부에 숯 성분 필터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안면부에 마스크 홀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마스크 홀에 향 필터부가 삽입될 수 있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안면부의 상단에 신축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안면부에 트러블완화제가 도포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 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구비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안면부에 숯 성분 필터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안면부에 마스크 홀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마스크 홀에 향 필터부가 삽입될 수 있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안면부의 상단에 신축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안면부에 트러블완화제가 도포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1)는 안면부(100), 코편부(200) 및 귀걸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기에 앞서, PLA 섬유 또는 텐셀 섬유는 토양 환경 방치 시, 미생물에 의해서 생분해되는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 PLA 섬유 (Poly Lactic Acid)는 옥수수 전분에서 추출한 원료를 발효시켜, 생산되는 유산을 축중중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폴리유산 섬유로써, 토양 환경에 방치 시, 미생물에 의해 30일동안 90% 이상 생분해되는 친환경 섬유이다.
또한, 텐셀 섬유는 식물 섬유로써, 유칼립투스 나무 추출물로 만든 친환경적인 섬유로 레이온의 한 형태이며, 장점으로는 수분 함유량과 흡수성이 뛰어나며, 섬유 구조가 매끄러워 피부를 자극하지 않기 때문에 아기 피부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토양 환경에 방치 시, 미생물에 의해 30일동안 90% 이상 생분해되는 생분해성 친환경 섬유이다.
한편,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1)는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스크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고, 먼지나 병균 등을 막기 위해 쓰이는 다양한 마스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안면부(100)는 안감(110)과 겉감(120) 및 필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부(100)는 부직포로 안감(110)과 겉감(120)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입과 코의 면적을 가리도록 형성되며, 안감(110)과 겉감(120) 사이에 필터(130)가 삽입되어 흡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안감(110)과 겉감(120)의 부직포는 모두 PLA 섬유 또는 텐셀 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PLA 섬유와 텐셀 섬유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안감(110)이 PLA 섬유로 형성되고, 겉감(120)은 텐셀 섬유로 형성되거나, 안감(110)이 텐셀 섬유로 형성되고, 겉감은 PLA 섬유로 형성될 수도 있어,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안면부(100)는 안감(110)과 겉감(120)에 절곡된 형태의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부(100)는 수직 길이 방향으로 안감(110)과 겉감(120)은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수평 길이 방향으로 안감(110)과 겉감(120)을 절곡시켜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130)는 목화 섬유로 형성된 목화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목화 필터는 안감(110)과 겉감(120)의 면적만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목화 필터는 스펀 레이스 공법 또는 스펀 본드 공법으로 형성된 목화 솜에서 얻은 부직포로써, 일반적인 부직포 필터에 비해 강한 흡수성을 가지고, 통기성이 좋아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 공기 순환이 매끄러우며, 사용자 피부 자극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스펀 레이스 공법은, 천연원료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섬유들을 풀어 일정 방향으로 배열 후, 웹(Web)을 형성시키며, 고압의 수류를 가해주어 부직포 형태로 형성하는 공법이다.
또한, 스펀 본드 공법은, 고분자를 연속필라멘트로 직접 방사하는 공정으로, 천연원료를 임의로 배열하고 적층하여, 웹(Web)을 형성하는 공정과 섬유간의 결합을 증진시키고 형태를 안정화하는 결합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스펀 본드 공법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면부(100)는 숯 성분 필터(14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숯 성분 필터(140)는 숯이나 활성탄 중 하나 이상의 분말을 부직포에 도포하여,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숯 성분 필터(140)는 PLA 섬유 또는 텐셀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에 숯 또는 활성탄의 분말을 부직포에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숯 성분 필터(140)는 필터(130)의 한 면이나 양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숯 성분 필터(140)는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며, 사용자의 구취를 억제하여,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1)를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 멸균 및 사용자의 구취를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안면부(100)는 마스크 홀(150) 및 향을 발생시키는 향필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 홀(150)은 안면부(100)를 관통되게 형성되되, 내주면을 따라 탄성력을 가지는 섬유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마스크 홀(15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탄성력을 가지는 섬유는 생분해성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무와 같은 천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스크 홀(150)의 내주면이 탄성력을 가지는 섬유로 형성되는 이유는, 향필터부(160)가 마스크 홀(150)에 탈부착 또는 고정되는데 있어 용이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향필터부(160)는 필터부(161) 및 향필터(16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필터부(161)는 내부의 소정이 공간이 마련된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되, 공기가 순환되도록 일단과 타단에 다수개의 필터 홀(1610)이 형성될 수 있다.
향필터(162)는 필터부(16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웹(Web)을 형성하여,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기는 향필터부(160)에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향필터(162)를 거쳐 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향필터(162)는 PLA 섬유 또는 텐셀 섬유에 사용자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사과 추출물, 딸기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체리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중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향을 발생 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1)를 오랜 시간 사용 시, 사용자의 구취 또는 외부 환경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억제하여, 사용자가 쾌적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안면부(100)는 상방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신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축부(170)는 사용자가 마스크 착용 시,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1)의 상단부를 사용자의 피부와 밀접 접촉하여 병균이나 먼지 따위가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1)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신축부(170)는 생분해 친환경 섬유의 신축성을 가진 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서 상술된, 생분해성 실리콘, 천연 고무 소재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안면부(100)의 안감(110)과 겉감(120)에 도포되어, 사용자의 피부 트러블을 완화할 수 있는 트러블완화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러블완화제(180)는 안감(110)과 겉감(120)에 코팅되어, 멸균 작용하는 것으로,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사용 시, 발생되는 세균 등을 억제하여, 사용자의 피부트러블(홍조, 간지러움, 건조함)을 예방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트러블완화제(180)는 5 내지 15 중량부의 알로에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의 로즈마리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의 카모마일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의 식물성 식용성 글리세린, 1 내지 10 중량부의 식용성 주정, 5 내지 10 중량부의 코팅제, 5 내지 10 중량부의 옥시벤존 및 5 내지 10 중량부의 아보벤종 중 2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유는, 5 중량부 미만으로 알로에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이 혼합될 시, 멸균 작용에 있어 원활한 작용을 못할 수도 있으며, 10 중량부 초과로 투입되는 알로에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이 혼합될 시, 각 추출물의 향이 심하게 분포되어 사용자가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1)를 사용함에 있어, 어지러움증을 호소할 수도 있다.
또한, 1 중량부 미만으로 식물성 식용성 글리세린, 식용성 주정이 혼합될 시, 사용자의 피부 보습 효과에 있어 미비할 수 있으며, 10 중량부 초과로 투입되는 식물성 식용성 글리세린, 식용성 주정이 혼합될 시, 사용자가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1)를 사용함에 있어 습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또한, 5 중량부 미만으로 코팅제가 혼합될 시,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1)에 코팅에 있어 코팅력이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 초과로 코팅제가 혼합될 시,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1)의 부직포의 웹(Web)이 막혀 공기가 원활히 순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5 중량부 미만으로 옥시벤존 및 아보벤존이 혼합될 시, 자외선 차단을 제대로 못할 수도 있으며, 10 중량부 초과로 옥시벤존 및 아보벤존이 혼합될 시, 사용자의 피부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알로에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 카모마일 추출물은 향균 작용하는 것으로 균이 번식하는 것을 차단하며, 마스크 내부의 대기 환경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피부에서 트러블(홍조, 가려움, 건조함)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식물성 식용성 글리세린 및 식용성 주정은 사용자의 피부에 보습효과를 주는 것으로,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1)를 사용자가 착용 시, 건조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코팅제는 트러블완화제(180)를 안면부(100)에 코팅되도록 할 수 있고, 옥시벤존 및 아보벤존은 자외선을 차단하도록 하는 구성 요소이다.
코편부(200)는 안감(110)과 겉감(120) 사이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코 형태에 따라 형태가 변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코편부(200)는 생분해성 PLA 섬유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PHA(Poly Hydroxy Alkanoate)로 형성될 수 있으며, PLA 섬유와 PHA 섬유를 혼합하여 형태가 변환되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PHA(Poly Hydroxy Alkanoate)는 미생물이 세포 내에 축적하는 천연 고분자 화합물, 즉 바이오 폴리머이며, PLA 대비 원하는 물성을 반영하기 쉽고, 토양 환경뿐만 아니라 해양 환경에서도 생분해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코편부(200)는 사용자가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1)를 사용 후에, 자연에서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되어, 자연을 파괴하지 않는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1)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귀걸이부(300)는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끈 형태의 신축성이 확보된 친환경 생분해성 PLA 섬유로 형성될 수 있으며, 미생물에 의해 자연환경에서 생분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시판중인 무작위 1가지 마스크를 선별하였다.
[실시예 1]
PLA 섬유로 제조된 부직포를 안면부로 형성하였고, 상기 안면부에 삽입되는 필터는 목화 필터로 형성되었으며, 귀끈부 및 코편부가 PLA 소재로 형성된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안면부만 텐셀 섬유로 제작된 부직포를 사용하여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안면부에 숯 성분 필터를 삽입하여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생분해 능력 평가
본 실험에서는 비교예 1의 마스크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따른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의 생분해 능력에 관한 실험을 수행 하였으며, 토양에 묻은 이후 시간에 따른 생분해 상태에 관한 상태를 측정하였다.
이하, 그 조건과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생분해 결과표
구분 30일 60일 90일
비교예 1 X X X
실시예 1 92% 100% 100%
실시예 2 91% 100% 100%
실시예 3 89% 98% 100%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일반 시판되는 마스크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를 사용하여 생분해 능력을 테스트 하였을 때, 비교예 1의 시판 마스크는 90일이 경과한 이후에도 생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측정되었다. 반면, 실시예 1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기간이 30일이 소요되며, 60일이 경과 후, 100% 분해가 되었으며, 실시예 2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기간이 30일이 측정되며, 60일이 경과 후, 100% 분해되었으며, 실시예 3은 90일 경과 후 100% 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숯 성분 필터가 삽입되지 않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가 완전 생분해되는 기간이 짧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상기 테스트의 수행 결과는, 테스트를 수행 하는 토양의 환경(미생물의 분포도, 습도 및 온도)에 따라 결과에 대한 수치 값이 변동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 능력에 관한 결과 역시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에, 상기 실험예 1의 결과적 수치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참착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의 생분해 능력에 있어 시판 마스크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
시판중인 무작위 마스크 1가지를 선별하였다.
[실시예 4]
안면부에 마스크 홀을 형성하여, 사과향을 발생시키는 향필터부가 탈부착되는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선호도 평가
본 실험에서는 비교예 2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실험을 실행하였다.
여기서, 무작위의 참가자 10명을 선발하여, 비교예 2와 실시예 4 중 더 선호하는 마스크를 선택하도록 하게 하였다.
이하, 그 조건 결과는 [표 2]와 같다.
선호도 평가표
구분 비교예 2 실시예 4
선호도 1명 9명
표 2를 참조하면, 비교예 2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선호도를 평가 하였을 때, 비교예 2보다 실시예 4가 선호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3]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 마스크 1가지를 무작위 선발하였다.
[실시예 5]
10 중량부의 알로에 추출물과 7 중량부의 식물성 식용성 글리세린, 7 중량부의 식용성 주정, 7 중량부의 코팅제 및 7 중량부의 옥시벤존이 혼합되어 제조된 트러블완화제를 안면부에 도포하여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에 의해 제조된 트러블완화제에 로즈마리 추출물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트러블 완화제를 안면부에 도포하여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6에 의해 제조된 트러블완화제에 카모마일 추출물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트러블완화제를 안면부에 도포하여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3] 트러블완화제의 멸균 효과 도출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7에 따른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의 멸균 효과를 도출 하기 위해 비교예 3과 비교하고, 무작위 선별자(A, B, C)를 선발하여, 같은 환경에서 5시간동안 비교예 3과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7로 제조된 트러블완화제가 도포된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게 하였다.
여기서, 착용된 마스크의 균을 검사하여 균의 분포도를 측정하였다.
이하, 그 조건 결과는 [표 3]과 같다.
균 분포도 평가표
구분 기간 방법 균 분포도 측정 값
비교예 3 5 시간 착용 81%
실시예 5 56%
실시예 6 51%
실시예 7 42%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7은 멸균 효과에 있어 비교예 3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알로에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 카모마일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균 분포도가 낮게 측정되는 것을 알 수 있어, 멸균에 있어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100 : 안면부
110 : 안감
120 : 겉감
130 : 필터
140 : 숯 성분 필터
150 : 마스크 홀
160 : 향필터부
161 : 필터부
162 : 향필터
170 : 신축부
180 : 트러블 완화제
200 : 코편부
300 : 귀끈부
1610 : 필터 홀

Claims (7)

  1. 부직포가 사용자 입과 코를 가리도록 일정 면적으로 안감과 겉감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감과 상기 겉감 사이에 필터가 구비된 안면부;
    PLA 섬유로 형성되어, 상단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안감과 상기 겉감 사이에 삽입되어 사용자 코 형태에 따라 형태가 변환되는 코편부 및
    PLA 섬유로 형성되어, 상기 안면부의 일단과 타단에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끈 형태로 형성된 귀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감 및 상기 겉감은,
    친환경 생분해성 PLA 섬유 또는 텐셀 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목화 섬유로 형성된 목화 필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는,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하며, 사용자의 구취를 억제하는 숯 성분 필터를 더 포함하는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는,
    향을 발생시키는 향필터부가 탈부착되는 마스크 홀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홀은,
    탄성력을 가지는 섬유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삽입되는 향필터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향필터부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되, 관통하는 다수개의 필터 홀이 형성된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향을 발생시키는 향필터를 포함하는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는,
    상기 안감의 상방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진 신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는,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착용 시, 상기 마스크의 상방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는,
    상기 안감과 상기 겉감에 도포되어, 멸균 작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트러블을 완화하도록 하는 트러블완화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러블완화제는,
    알로에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식물성 식용성 글리세린, 식용성 주정, 코팅제, 옥시벤존 및 아보벤종 중 2 종 이상을 포함하는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KR1020210100225A 2021-07-29 2021-07-29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KR20230018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225A KR20230018254A (ko) 2021-07-29 2021-07-29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225A KR20230018254A (ko) 2021-07-29 2021-07-29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254A true KR20230018254A (ko) 2023-02-07

Family

ID=8522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225A KR20230018254A (ko) 2021-07-29 2021-07-29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82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949B1 (ko) 2023-06-21 2024-05-03 주식회사 피앤엘 하이브리드 방식을 이용한 생분해성 방진마스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방진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949B1 (ko) 2023-06-21 2024-05-03 주식회사 피앤엘 하이브리드 방식을 이용한 생분해성 방진마스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방진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094B1 (ko) 항균ㆍ탈취성 섬유, 섬유 성형품, 및 섬유 제품
KR101587796B1 (ko) 신축성이 향상된 대나무 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화장품용 시트 마스크
KR20180091593A (ko) 고체산소를 포함한 마스크용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와 그 제조방법
CN111748866B (zh) 一种抗菌除臭复合植物纤维、无纺布及其制备方法和在纸尿裤中的应用
KR101373409B1 (ko) 복합 기능 항균 세정 물티슈
KR20230018254A (ko) 생분해 친환경 마스크
CN107625990A (zh) 具有抗菌功能的复合材料及在制备婴幼儿纸尿裤中的应用
CN111213931A (zh) 一种工业大麻纤维防护口罩
KR100649096B1 (ko) 항균 물티슈 제조방법
CN212545703U (zh) 一种新型高防阻口罩
CN214821439U (zh) 一种具有抑菌吸水功能的湿巾
KR102449750B1 (ko) 백금나노와 참숯이 함유된 항균생리대
CN211185967U (zh) 口罩
KR102280100B1 (ko) 소취기능이 향상된 방호복
CN100387162C (zh) 医用防护材料及其制备方法
CN211298524U (zh) 一种基于氧化钼抗菌机理的抗菌口罩
CN211185966U (zh) 口罩
CN114190632A (zh) 一种抗菌透气口罩及其制备方法
KR20070082091A (ko) 대나무 직물층을 갖는 마스크
KR20110048218A (ko) 인장특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N206127604U (zh) 一种爽滑竹纤维无纺布
KR200390861Y1 (ko) 항균 모자
KR200387645Y1 (ko) 마이크 커버
KR102208471B1 (ko) 마스크
CN213848863U (zh) 一种工业大麻纤维防护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