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475A -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 - Google Patents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475A
KR20230017475A KR1020210098993A KR20210098993A KR20230017475A KR 20230017475 A KR20230017475 A KR 20230017475A KR 1020210098993 A KR1020210098993 A KR 1020210098993A KR 20210098993 A KR20210098993 A KR 20210098993A KR 20230017475 A KR20230017475 A KR 20230017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tracking
vehicle
fine dust
e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345B1 (ko
Inventor
박정민
강대일
김정훈
유정웅
조성환
강천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210098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345B1/ko
Publication of KR2023001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발명은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격분광측정차량내에 설치되는 측정 장비로 지상에서 상공까지를 오염물질 배출원의 오염물질의 종류 및 농도를 측정하는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은 원격광학측정차량을 이용하여 실시간 측정하는 단계;
검증단계;
오염물질 배출 의심 사업장 선별단계;
정밀 점검을 통하여 배출 의심 공정 파악단계;
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에 의하면 오염원 추적방법에서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줄여 오염물질 배출원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동시에 오염물질의 농도 및 배출량에 대한 자료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산단지역이나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 대기환경 중 오염물질의 농도를 개선하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A method of tracking the emission source of fine dust-causing substances using a remote spectroscopic measurement vehicle}
본발명은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오염원 추적방법에서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줄여 오염물질 배출원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동시에 오염물질의 농도 및 배출량에 대한 자료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산단지역이나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 대기환경 중 오염물질의 농도를 개선하는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역단위의 대기질, 특히 고농도 미세먼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감축 전략을 세우고 지역사회의 대기오염물질로부터 노출을 줄이려면 실시간 또는 준 실시간으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시설 전반의 오염물질 배출 특성을 정확히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 산업 현장에서 오염물질의 배출 현황을 측정하는 방법은 간헐적으로 측정 하거나 고정식으로 설치하여 연속 측정하는 방법을 주로 활용하였지만 복잡한 대기 중 화학반응,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 및 국지적 배출원으로 인한 대기질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행 시험 방법만으로는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측정방법들은 고정형 지상 집중관측을 확장하여 이동형으로 연속 측정하는 방법이나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3차원 입체관측분야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그리고 종래특허기술의 일례로서 공개번호 10-2019-0108841공기의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포함하는 유동경로를 구비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유동경로를 통한 공기의 강제 송풍을 구현하는 송풍팬(20);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에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계측하는 먼지농도 검출부; 및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번호 10-2214633호에는 대기 화학물질 검출장비 탑재차량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오염원 추적시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이 많이 들어 오염물질 배출원을 파악하는 경비도 많이드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광학측정차량을 이용하여 유해대기오염물질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함이며 또한, 미세먼지 원인물질의 개별 화학종 특성 파악과 배출원 및 배출량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대기 중 오염물질의 농도뿐만이 아니라 특정 오염원 및 산단 별로 실측기반 미세먼지 원인물질 배출량에 산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개발된 오염원 추적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오염물질 배출 의심 사업장을 선별적으로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대규모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오염원 추적방법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격분광측정차량내에 설치되는 측정 장비로 지상에서 상공까지를 오염물질 배출원의 오염물질의 종류 및 농도를 측정하는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은 원격광학측정차량을 이용하여 실시간 측정하는 단계;
검증단계;
오염물질 배출 의심 사업장 선별단계;
정밀 점검을 통하여 배출 의심 공정 파악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에 의하면 오염원 추적방법에서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줄여 오염물질 배출원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동시에 오염물질의 농도 및 배출량에 대한 자료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산단지역이나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 대기환경 중 오염물질의 농도를 개선하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 시스템 순서도
도 2는 본발명의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 시스템 구성도
본발명은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격분광측정차량내에 설치되는 측정 장비로 지상에서 상공까지를 오염물질 배출원의 오염물질의 종류 및 농도를 측정하는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은 원격광학측정차량을 이용하여 실시간 측정하는 단계;
검증단계;
오염물질 배출 의심 사업장 선별단계;
정밀 점검을 통하여 배출 의심 공정 파악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격분광측정차량은 내부에 설치되는 측정 장비로 지상에서 상공까지를 오염물질 배출원의 오염물질의 종류 및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 장비는 분광측정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은 본발명의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 시스템 순서도, 도 2는 본발명의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발명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 시스템은 원격분광측정차량;
원격분광측정차량내에 설치되는 측정 장비;
로 구성된다.
상기 측정장비는 사각함체형상이되 상부가 안테나처럼 길이가 신축되며, 측정장비에는 유해가스센서,이산화탄소감지센서, 미세먼지감지센서 등의 다수개의 센서가 설치되며, 차량 지붕 구멍을 통해 상부가 돌출되며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을 추적하며, 상기 센서들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설치된다.
제어기는 송신부, 수신부, 제어부, 저장부로 구성된다.
측정장비에는 통신모듈이 설치되어 원격관리서버와 통신한다.
상기 제어부는 태양과 원격분광측정차량 측정 장비 사이에 가상의 기둥 형상 존을 만들고, 가상의 기둥들로 사업장 부지인 목표물 전체를 에워싸 비산누출 지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배출량을 산출 목적으로 하며 사업장 부지 경계를 이동하면서 미세먼지 원인물질 및 특정대기유해물질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제어부는 GPS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에 대한 오염물질의 농도 및 배출량 자료를 통계처리 할 수 있다.
측정장비에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속도센서가 설치되어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포함되어 오염 배출 의심 사업장을 선정하고 문제 공정을 발견하는 것으로, 지상에서 상공까지를 분광기법을 통하여 측정하게 된다.
본발명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 시스템은 원격분광측정차량;
원격분광측정차량내에 설치되는 측정 장비;
로 구성된다.
상기 측정장비는 사각함체형상이되 상부가 안테나처럼 길이가 신축되며, 측정장비에는 유해가스센서,이산화탄소감지센서, 미세먼지감지센서 등의 다수개의 센서가 설치되며, 차량 지붕 구멍을 통해 상부가 돌출되며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을 추적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들을 제어하며 원격서버와 통신하는 제어기가 설치된다. 측정장비 등의 전원은 원격분광측정차량의 엔진전원이나 밧데리에서 공급받는다.
본발명의 제어기는 송신부, 수신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설정데이타와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부, 그리고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측정장비에는 통신모듈이 설치되어 원격관리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태양과 원격분광측정차량 측정 장비 사이에 가상의 기둥 형상 존을 만들고, 가상의 기둥들로 사업장 부지인 목표물 전체를 에워싸 비산누출 지점을 찾아낸다.
그러므로 배출량을 산출 목적으로 하며 사업장 부지 경계를 이동하면서 미세먼지 원인물질 및 특정대기유해물질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제어부는 GPS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에 대한 오염물질의 농도 및 배출량 자료를 통계처리 할 수 있다. 측정장비에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속도센서가 설치되어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포함되어 오염 배출 의심 사업장을 선정하고 문제 공정을 발견하는 것이며, 지상에서 상공까지를 분광기법을 통하여 측정하게 된다.
곧, 본 발명의 구성은 (1) 원격광학측정차량(실시간 미세먼지원인물질(VOCs,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및 특정대기유해물질의 배출농도 및 배출량의 측정 가능)을 이용한 실시간 측정 (2) 통계시스템을 이용한 검증, (3) 오염물질 배출 의심 사업장 선별, (4) 정밀 점검을 통하여 배출 의심 공정 파악, (5) 공정 개선울 위한 기술 지원 (6) 개선효과 분석 등으로 구성된다.
원격광학측정차량은 태양과 측정 장비 사이에 커다란 가상의 기둥을 만들고, 사업장 전체를 에워싸 비산누출 지점을 찾아내고 배출량을 산출을 목적으로 하며 사업장 부지경계를 이동하면서 미세먼지 원인물질 및 특정대기유해물질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게 된다. GPS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에 대한 오염물질의 농도 및 배출량 자료를 통계처리 할 수 있으며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포함되어 오염 배출 의심 사업장을 선정하고 문제 공정을 발견하는데 탁월하다.
지상에서 상공까지를 관용의 분광기법을 통하여 측정하게 되며 데이터를 종합하여 오염물질의 종류 및 농도를 확인하게 되며 환경통계자료(대기배출원관리시스템,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보고)를 통하여 오염물질 배출원 정보와 실제 측정된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오염의심사업장을 선정한다. 해당 사업장내 고농도 현상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고농도 배출시설 주변 시설과 측정된 오염물질과의 연관성을 비교부, 연산부에서 파악한다. 이때 측정당시의 대기습도, 온도 등의 파라미터값을 가중치로 곱하여 계산을 정확하게 한다. 일례로서 상대습도가 40이면 1, 50이상이면, 1.2등로 가중치를 곱한다. 황사가 심한날은 미세먼지수치가 높아지므로, 가중치를 낮추어 곱하여 과다한 측정수치가 나오지 않게 한다. 바람세기(속도)도 곱하여 바람세기가 클수록 수치가 높아지므로 가중치를 낮추어 과다한 측정수치가 나오지 않게 한다. 황상수치와 바람세기 가중치를 같이 곱하여 가중치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수치를 곱하는 것으로, 황사수치×바람세기×온도×습도×높이보정수치×아침점심낮 등 시간수치 등을 함께 곱하여 측정정확도를 높인다. 그리고 비교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심 배출시설을 선정하여 정밀 조사를 실시 원인 파악 후 개선을 위한 기술검토를 진행하고 공정 및 시설에 대한 개선 및 보수작업을 시행한다. 마지막으로 개선된 시설에 대하여 재측정을 통한 개선효율 평가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오염원 추적방법에서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의 획기적으로 줄여 오염물질 배출원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동시에 오염물질의 농도 및 배출량에 대한 자료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산단지역이나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 대기환경 중 오염물질의 농도를 개선하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원격분광측정차량내에 설치되는 측정 장비로 지상에서 상공까지를 오염물질 배출원의 오염물질의 종류 및 농도를 측정하는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은 원격광학측정차량을 이용하여 실시간 측정하는 단계;
    검증단계;
    오염물질 배출 의심 사업장 선별단계;
    정밀 점검을 통하여 배출 의심 공정 파악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분광측정차량은 내부에 설치되는 측정 장비로 지상에서 상공까지를 오염물질 배출원의 오염물질의 종류 및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비는 분광측정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
KR1020210098993A 2021-07-28 2021-07-28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 KR102538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993A KR102538345B1 (ko) 2021-07-28 2021-07-28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993A KR102538345B1 (ko) 2021-07-28 2021-07-28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475A true KR20230017475A (ko) 2023-02-06
KR102538345B1 KR102538345B1 (ko) 2023-05-31

Family

ID=8522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993A KR102538345B1 (ko) 2021-07-28 2021-07-28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3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864A (ko) * 2018-07-20 2020-01-30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드론 및 실시간이동 측정 차량을 이용한 오염원 추적방법
KR20200009860A (ko) * 2018-07-20 2020-01-30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드론 및 실시간이동 측정 차량을 이용한 오염원 추적 시스템
KR20200009867A (ko) * 2018-07-20 2020-01-30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드론을 이용한 오염원 추적방법
KR102240397B1 (ko) * 2019-10-31 2021-04-14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실시간 차량용 악취 측정 장치를 이용한 악취 추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864A (ko) * 2018-07-20 2020-01-30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드론 및 실시간이동 측정 차량을 이용한 오염원 추적방법
KR20200009860A (ko) * 2018-07-20 2020-01-30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드론 및 실시간이동 측정 차량을 이용한 오염원 추적 시스템
KR20200009867A (ko) * 2018-07-20 2020-01-30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드론을 이용한 오염원 추적방법
KR102240397B1 (ko) * 2019-10-31 2021-04-14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실시간 차량용 악취 측정 장치를 이용한 악취 추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345B1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ønster et al. Methodologies for measuring fugitive methane emissions from landfills–A review
KR101418262B1 (ko)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CN104736986B (zh) 使用同位素比测量在人口稠密地区中进行气体泄漏检测和定位的方法
CN104736987B (zh) 使用水平分析在人口稠密地区中进行气体泄漏检测和定位的方法
CN104755897B (zh) 使用多点分析在人口稠密地区中进行气体泄漏检测和定位的方法
CN112485319B (zh) 大气环境走航监测方法及信息处理方法、装置、监测车
CN111368401A (zh) 污染源的溯源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20200371079A1 (en) Method for quantifying fugitive methane emissions rate using surface methane concentration
KR102129929B1 (ko) 드론 및 실시간이동 측정 차량을 이용한 오염원 추적방법
CN112034108A (zh) 区域污染情况的分析装置、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048129B (zh) 污染物排放的监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Gai et al. Alternative emission monitoring technologies and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based process monitoring technologies for achieving operational excellence
CN115060850B (zh) 空地双场耦合的大气污染源追踪和通量测量装置及方法
KR102111121B1 (ko) 드론 및 실시간이동 측정 차량을 이용한 오염원 추적 시스템
CN113933258A (zh) 基于走航监测的VOCs污染物溯源方法、终端及系统
KR20200009867A (ko) 드론을 이용한 오염원 추적방법
Alden et al. Bootstrap inversion technique for atmospheric trace gas sourc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using long open-path laser measurements
CN116518504A (zh) 一种室内空气环境空间分布分析系统
CN112834437A (zh) 用于定位逸散性气体排放源的系统及方法
Cho et al. Calibration and field deployment of low-cost sensor network to monitor underground pipeline leakage
CN113281264B (zh) 一种基于卫星遥感确定环境大气污染点源一氧化碳排放通量的方法
CN210051754U (zh) 一种车载移动式大气环境立体溯源监控系统
KR102538345B1 (ko)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방법
KR102538352B1 (ko) 원격분광측정차량을 이용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원 추적 시스템
Bateman et al. Preliminary observations from robot-enabled surface methane concentration monitoring at a MSW landf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