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153A - 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153A
KR20230017153A KR1020220099686A KR20220099686A KR20230017153A KR 20230017153 A KR20230017153 A KR 20230017153A KR 1020220099686 A KR1020220099686 A KR 1020220099686A KR 20220099686 A KR20220099686 A KR 20220099686A KR 20230017153 A KR20230017153 A KR 20230017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able
clamp
connector assembly
outer shell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권
강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비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비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비씨에스
Priority to KR1020220099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7153A/en
Publication of KR20230017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1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nnector assembly which is configured to connect a communication cable to various devices in the present application. For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dielectric which sequentially coaxially covers a cor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a conductive shield and sheath,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s comprising: a clamp which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an end portion unit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a head which is configured to be stuck by the clamp while accommodating the end portion unit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is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The clamp comprises: an outer shell which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portion unit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is configured to be pressed and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portion unit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an inner shell which is inserted into the end portion unit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portion unit of the communication cable.

Description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본 출원은 통신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용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connect a communication cable.

일반적으로, 통신 설비는 다양한 형태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송신측과 수신측사이에서 통신을 위한 전기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신 설비에서, 송수신측 장비들을 서로 연결하며 장거리에 걸친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매체로서 케이블이 사용된다. 통상적인 케이블은 전도체, 대표적으로 금속재질로 제조되어 전기 신호를 양방향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코어 와이어 및 이를 보호하는 피복으로 이루어지나, 이와 같은 통상적 케이블은 전기신호, 특히 고주파 전기신호의 전송시 많은 손실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통신설비에는 이러한 손실을 저감하도록 구성되는 동축 케이블이 통신용 케이블로서 적용되어오고 있다. In general, communication facilities refer to all devices configured to exchange electrical signals for communication between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in order to enable various types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such a communication facility, a cable is used as a transmission medium for connect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to each other and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over long distances. A typical cable consists of a conductor, typically a core wir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configured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in both directions, and a sheath that protects it, but such a typical cable has a lot of loss when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especially a high-frequency electrical signal. causes Therefore, coaxial cables configured to reduce such losses have been applied as communication cables to communication facilities.

동축 케이블은 통상적인 케이블과 동일하게 코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는 유전체, 전도성 쉴드 및 피복을 더 포함한다. 이들 추가 레이어들중, 쉴드는 코어와 함께 전류가 흐르는 폐회로를 형성하며, 이러한 폐회로에는 개재된 유전체층에 걸쳐 전자기장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쉴드 및 코어에 의한 폐회로는 일종의 차폐회로를 구성하게 되어 형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코어에서 전송되는 전기신호의 누설을 방지하며, 동시에 상기 전기신호에 대한 외부 신호 또는 전자기장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축 케이블은 손실없이 고주파 신호를 장거리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며,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A coaxial cable basically includes a core as in a conventional cable, and further includes a dielectric, a conductive shield, and a sheath concentrically and sequentially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Of these additional layers, the shield together with the core forms a closed circuit through which current flows, in which an electromagnetic field is formed across the intervening dielectric layer. Therefore, the closed circuit by the shield and the core constitutes a kind of shielding circuit to prevent leakage of electrica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ore by the formed electromagnetic field,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interference of external signals or electromagnetic fields with respect to the electrical signals. there is. For this reason, coaxial cables have the ability to transmit high-frequency signals over long distances without loss, and can achiev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communication efficiently and effectively.

이와 같은 동축 케이블은 다층 구조를 가지므로 쉽게 변형되지 않는 높은 강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동축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송수신 장비들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용의 커넥터가 여러 부품들이 조합된 어셈블리 형태로 상기 동축 케이블에 설치된다. Since such a coaxial cable has a multilayer structure, it has high rigidity that is not easily deformed. Therefore, in order to stably connect such a coaxial cable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s, a dedicated connector is installed on the coaxial cable in the form of an assembly in which several parts are combined.

이와 같은 커넥터 어셈블리는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자체가 높은 강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동축 케이블을 지지하면서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높은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지므로, 동축 케이블의 연결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들 부품들이 편리하게 조립 및 설치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동축 케이블의 높은 신호 전송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커넥터 어셈블리도 동축 케이블과 연계하여 적절한 차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As discussed above, in such a connector assembly, since the coaxial cable itself has high rigidity, it is required to have high structural strength and rigidity in order to maintain the connection state while supporting the coaxial cable.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or assembly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these parts need to be conveniently assembled and installed in order to efficiently connect the coaxial cable. Furthermore, in order to maintain high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coaxial cable, the connector assembly also needs to be configured to form an appropriate shielding structure in conjunction with the coaxial cable.

본 출원의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출원의 목적은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갖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cable having high structural strength.

또한,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편리하게 조립 및 설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that is conveniently assembled and installed.

더 나아가,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기장 차폐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have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structure.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은 코어(core)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는 유전체, 도전성 쉴드(shield) 및 피복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클램프(clamp);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 및 상기 클램프를 수용하면서 상기 클램프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소정의 외부장치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헤드(head)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외주부상에 제공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외주부내로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아우터 셸(outer shell);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내에 삽입되며, 상기 아우터 셸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외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인너 셸(inner shell)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connector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cable including a core and a dielectric, a conductive shield and a sheath concentrically and sequentially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the communication cable A clamp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end of the (clamp); And a head configured to be caught on the clamp while receiving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the clamp, an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the clamp i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 outer shell configured to be press-fitted into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an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an inner shell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configured to suppor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pressed by the outer shell.

상기 아우터 셸은 높은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너 셸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아우터 셸의 압입을 위해 상기 클램프를 감싸는 다이(die)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The outer shell may be made of a highly conductive material, and the inner shell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In addition, the clamp may be pressed by a die surrounding the clamp in order to press-fit the outer shell.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클램프의 아우터 셸은: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쉴드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쉴드의 외주부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피복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피복의 외주부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제 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outer shell of the clamp includes: a first body configured to press-fit radially inward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ield while directly contacting the shield at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a second body disposed behind the first body and directly contacting the sheath of the end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configured to be press-fit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eath in a radial direction.

본 출원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에서 서로 결합되는 헤드 및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는 가압에 의해 통신 케이블 끝단부의 외주부상에 압입되므로, 통신 케이블에 움직이지 않게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헤드는 이러한 클램프에 걸리면서 외부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는 구조적으로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가지면서 안정적으로 통신 케이블을 외부장치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램프는 가압하기에 적절하게 구성된 다이(die) 및 지그(jig)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되면서 통신 케이블 끝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이 및 지그의 사용에 의해 클램프는 견고한 결합을 달성하면서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통신 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다.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head and a clamp coupled to each other at an end of a communication cable. Since the clamp is press-fit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by pressing, it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without moving. In addition, the head may be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while caught on the clamp. Accordingly, the connector assembly can stably connect a communication cable to an external device while having structurally high strength and rigidity. In addition, the clamp may be fixed to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while being uniformly pressed throughout using a die and a jig appropriately configured for pressing. Therefore, by using such a die and jig, the clamp can be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conveniently and quickly while achieving a firm coupling.

또한, 본 출원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클램프의 전방부에는 플러그가 제공되며,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는 통신 케이블의 쉴드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러한 플러그에 의해 통신 케이블의 쉴드, 클램프, 및 외부장치의 연결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 케이블에서의 전자기장 차폐회로 또는 차폐구조가 외부장치의 연결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통신 케이블은 외부장치에 연결될 때까지 전기 신호의 누출이나 외부 전자기장의 간섭이 배제된 상태로 손실없는 높은 효율의 신호 전송을 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plug is provid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clamp, and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contac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xternal device. Therefore, since the clamp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shield of the communication cable, the shield of the communication cable, the clamp,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external devic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is plug, and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circuit or shielding structure in the communication cable can be externally It may exten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device. Until the communication cabl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it is possible to achieve high-efficiency signal transmission without loss in a state in which leakage of electric signals or interference of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s is excluded.

본 출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in this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are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more clearly understandable to you.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어셈블리와 결합하는 통신 케이블의 각 영역별 단면도들이다.
도 3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클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클램프를 제작하는 다양한 다이(die)들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들이다.
도 5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클램프를 통신 케이블에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헤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통신 케이블과 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통신 케이블과 결합되는 클램프의 부위들에 해당하는 도 7의 A부 및 B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들이다.
도 9는 커넥터 어셈블리와 외부장치와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cross-sectional views of each region of a communication cable coupled to a connector assembly.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lamp of the connector assembly.
4 is a cross-sectional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illustrating various dies for manufacturing a clamp of a connector assembly.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unting a clamp of a connector assembly to a communication cabl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ead of the connector assembly.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connector assembly coupled with a communication cable.
FIG. 8 is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parts A and B of FIG. 7 corresponding to parts of a clamp coupled to a communication cable in detail.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ortion between a connector assembly and an external device.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예들이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Examples of a connector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러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se examples,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xampl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alternatives.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이루어진다(comprise)",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본 출원은 개시된 발명의 의도된 기술적 목적 및 효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앞선 언급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 관련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의 조합으로부터도 일부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등이 생략된 조합도 포괄하고 있음도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for the same reason,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some features even from combinations of rela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and parts described using the aforementioned terms, unless departing from the intended technical purpose and eff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However,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combinations in which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etc. are omitted are also included.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커넥터 어셈블리와 결합하는 통신 케이블의 각 영역별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통신 케이블 및 이에 결합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이 개략적인 구성이 먼저 설명된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2 is cross-sectional views of each region of a communication cable coupled to the connector assembly. Referring to these drawing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cable and a connector assembly coupled thereto is first described.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예들은 통신 설비에서 통신을 위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송매체인 통신 케이블(10)을 송신 또는 수신 장비에 연결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신 케이블(10)은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도 1 및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예에서는 전송 손실이 없는 동축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다. Example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relate to a connector assembly that connects a communication cable 10, which is a transmission medium that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for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facility, to a transmission or reception device. The communication cable 10 may have various forms, but as shown in FIGS. 1 and 2, respectively, in th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may be made of a coaxial cable having no transmission loss.

도 1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통신 케이블(1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 2(a)를 참조하면, 동축 케이블로서의 통신 케이블(l0)은 기본적으로 코어 와이어(11)(core wire, 이하 간단히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11)는 통신 케이블(10)의 중심축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실제적으로 전기 신호를 송수신 장비들 사이에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코어(11)는 이러한 전기신호 전송을 위해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구리 및 이의 합금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통신 케이블(10)에서 유전체, 또는 절연체(12)가 코어(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유전체(12)는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전기 전도성을 갖지 않는, 즉 전기적 부도체에 해당한다. 또한, 유전체(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쉴드(shield)(13)가 제공된다. 쉴드(13)는 코어(12)와 마찬가지로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양한 금속재질이 쉴드(13)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끝으로, 통신 케이블(10)은 쉴드(13)의 외주면을 감싸는 피복(14)(j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피복(14)은 외부물질에 의한 오염이나 외력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통신 케이블(10)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적절한 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고무 및 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케이블(10)에서 유전체(12), 쉴드(13) 및 피복(14)은 각각 소정의 일정한 두께를 갖는 레이어들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통신 케이블(10)은 코어(11)을 중심으로 이를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는 레이어들(12,13,14)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케이블(10)은 통상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지나, 이외에도 삼각 또는 사각 단면과 같은 다른 단면형상도 가질 수 있다. 또한, 쉴드(13) 및 코어(12)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면서 부도체로 이루어지는 유전체(12)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전류가 흐르는 전기적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폐회로에 의해 유전체층(12)에는 전하가 집적되면서 전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전자기장은 코어(12)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의 누설을 방지하며, 동시에 외부 신호 또는 전자기장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12)는 쉴드(13)와 함께 차폐회로 또는 구조를 형성하며, 손실없는 고주파 전기 신호의 높은 효율의 전송을 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obtained along line A-A of FIG. 1, the communication cable 10 as a coaxial cable is basically a core wire 11 (core wire, hereinafter simply 'core'). ') may be included. The core 11 extends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and is configured to actually transmit electrical signals betwe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The core 1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copper and an alloy thereof, to transmit such an electrical signal. In addition, in the communication cable 10, a dielectric material or an insulator 12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11. The dielectric 1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and does not have electrical conductivity, that is, corresponds to an electrical insulator. In addition, a shield 13 is provided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electric 12 . Like the core 12, the shield 13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For example, various metal materials may be used to manufacture the shield 13. Finally, the communication cable 10 may include a jacket 14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ield 13 . The sheath 14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communication cable 10 from contamination by external substances or damage by external force, and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ppropriate elasticity for this purpose, such as rubber and its material. In such a communication cable 10, the dielectric 12, the shield 13, and the sheath 14 each form layers having a predetermined constant thickness, and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cable 10 is centered around the core 11. It may have a structure composed of layers 12, 13, and 14 sequentially covering the same concentrically. As shown in FIG. 1, the communication cable 10 typically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may also have other cross sections such as triangular or square cross sections. In addition, since the shield 13 and the core 12 are made of a conducto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dielectric 12 made of a non-conductor, an electrical closed circuit through which current flows can be formed. Due to this electrical closed circuit, an electromagnetic field can be formed while charges are accumulated in the dielectric layer 12, and the formed electromagnetic field can prevent leakage of electrica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ore 12, and at the same time, interference with external signals or electromagnetic fields can be prevented. there is. Accordingly, the core 12 together with the shield 13 forms a shielding circuit or structure, and high-efficiency transmission of high-frequency electrical signals without loss can be achieved.

이와 같은 통신 케이블(10)은 이의 끝단부에서 커넥터 어셈블리(100)와 결합되며,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이러한 케이블(10)의 끝단부는 예비적으로 가공 또는 처리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1)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서 외부 레이어들(12,13,14)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통신 케이블(10)의 외부로 소정 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즉,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는 코어(11)만을 포함하는 제 1 영역 (또는 제 1 섹터)(1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10a)은 연결될 외부장치에 설치되어 커넥터 어셈블리와 결합되게 구성되는 전용 연결부, 예를 들어 터미널(T)에 통신 케이블(10)의 코어(11)를 용이하게 직결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Such a communication cable 1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assembly 100 at its end, and the end of this cable 10 may be preliminarily processed or treated for stable coupling.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core 11 partially removes the outer layers 12, 13, and 14 from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to a predetermined length outside the communication cable 10. can be exposed as That is,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may include a first region (or first sector) 10a including only the core 11 . The first region 10a may be formed to easily and directly connect the core 11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to a dedicated connection portion, for example, a terminal T, which is installed in an external device to be connected and configured to be combined with a connector assembly. there is.

이와 같은 제 1 영역(10a)의 후방에 연속적으로, 도 1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는 피복(14)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쉴드(13)가 케이블(10) 외부로 소정길이로 노출되는 제 2 영역(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영역(10b)은 후술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 클램프(100)의 아우터 셸(outer shell)(110)이 통신 케이블(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동시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2 영역(10b)의 후방에 연속적으로 도 1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품들, 즉 클램프(100)의 끝단부와 결합되는 영역인 제 3 영역(1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영역(10b)과 다르게, 제 3 영역(10c)에서는 피복(14)이 제거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 즉 후술되는 클램프(100)의 인너 셸(inner shell)(120)은 아우터 셸(110)를 지지하기 위해 통신 케이블(10)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인너 셸(12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영역(10c)에서는 유전체(12)가 제거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10b)에서도 유전체(12)가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및 제 3 영역들(10b,10c)에서, 유전체(12)는 부분적으로 제거되거나 모두 제거될 수 있다. 인너 셸(120)이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는 쉴드(13)과 직접 접촉하면서, 이러한 쉴드(13)에 결합되는 아우터 셸(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제 2 및 제 3 영역들(10b,10c)에서, 바람직하게는 유전체(12)의 제거에 의해 쉴드(13)의 내주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처리가 커넥터 어셈블리와의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을 위해 통신 케이블(10)에 수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b) continuously behind the first region 10a, the sheath 14 is partially removed from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so that the shield 13 is formed. A second area 10b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le 10 with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included. The second region 10b is formed to ensure that some parts of the connector assembly described below, the outer shell 110 of the clamp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10 and at the same time firmly coupled. can Furthermore, as shown in FIGS. 1 and 2(c) continuously behind the second area 10b,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is the part of the connector assembly, that is, the end of the clamp 100. It may include a third region 10c, which is a region combined with. Unlike the second region 10b, the covering 14 is not removed in the third region 10c. However, as shown in FIG. 1, some parts of the connector assembly, that is, the inner shell 120 of the clamp 100 to be described later, go into the communication cable 10 to support the outer shell 110. configured to be inserted. To allow the inner shell 120 to be easily inserted, the dielectric 12 may be removed from the third region 10c, as shown in FIG. 2(c). For the same reason, as shown in FIG. 2(b), the dielectric 12 may also be removed from the second region 10b. In these second and third regions 10b and 10c, the dielectric 12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removed. Second and third regions so that the inner shell 120 can stably support the outer shell 110 coupled to the shield 13 while directly contacting the shield 13 having relatively high strength and rigidity In (10b, 10c), preferab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ield 13 may be exposed by removing the dielectric 12. In addition, if necessary, additional processing may be performed on the communication cable 10 for easy and secure coupling with the connector assembly.

다음에서, 앞서 설명된 동축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다양한 예들이 설명되나, 설명된 예들은 이들의 원리(principle) 및 구성(configuration)은 실질적인 변형없이 동축 케이블 이외의 다른 형태의 통신 케이블(10)의 연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various examples of connector assemblies for connecting the coaxial cable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but the described examples are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cables (other than coaxial cables) without substantial modification in their principles and configurations. 10) can be applied as it is.

또한, 다음의 커넥터 어셈블리 자체 및 그 구성요소들의 설명에서, "전방"은 결합될 대상장치, 즉 송신 또는 수신장치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를 의미하며, "후방"은 그와 같은 대상장치에 상대적으로 먼 위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기준위치에 상대적인 것으로, 기준위치의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구성요소들의 해당부위에 대한 정의도 달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itself and its components, "front" means a position relatively close to a target device to be coupled, that is, a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 and "rear" refers to a position relatively close to such a target device. means a distant location. However, this definition is relative to the reference position and may chang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defini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and its components may also vary.

더 나아가, 커넥터 어셈블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전체적으로 통신 케이블(10)을 수용하면서 감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경우, 다음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두 구성요소들은 모두 케이블(10)을 감싸는 중공 실린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충분한 강도 및 전기 전도성을 유지하도록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다음에서 특별히 다른 설명이 없는 경우,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시된 예들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원형 단면을 가지나 이외에도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삼각, 또는 사각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Furthermore, as shown, the connector assembly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surround the communication cable 10 as a whole for a stable connection. Therefore, unless otherwise stated, all components of the connector assembly in the following may all have a hollow cylinder structure surrounding the cable 10 .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sufficient strengt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ll components of the connector assembly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unless otherwise specified. Furthermore, all components of the connector assembly in the illustrated examples have circular cross-sections, but may also have other shapes, such as triangular or square cross-sections.

도 3 및 도 6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클램프 및 헤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클램프를 제작하는 다양한 다이(die)들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들이며, 도 5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클램프를 통신 케이블에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통신 케이블과 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통신 케이블과 결합되는 클램프의 부위들에 해당하는 도 7의 A부 및 B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들이다. 끝으로, 도 9는 커넥터 어셈블리와 외부장치와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및 도 2는 커넥터 어셈블리 및 케이블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므로, 다음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설명에서 기본적으로 참조된다. 3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a clamp and a head of the connector assembly. 4 is a cross-sectional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showing various dies for manufacturing a clamp of a connector assembly,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mounting the clamp of a connector assembly to a communication cabl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connector assembly coupled to a communication cable, and FIG. 8 is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parts A and B of FIG. 7 corresponding to parts of a clamp coupled to a communication cable in detail. Finally, FIG.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between a connector assembly and an external device.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1 and 2 show basic configurations of a connector assembly and a cable, and are basically referenc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 제공되는 클램프(clamp)(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클램프(100)는 코어(11)만이 노출되는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제 1 영역(10a)을 제외한, 제 2 및 제 3 영역(10b,10c)에 걸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 3 and 7 , the connector assembly may include a clamp 100 provided at an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 Precisely, the clamp 100 may be coupled over the second and third regions 10b and 10c except for the first region 10a at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where only the core 11 is exposed.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100)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의 외주부(또는 외주면)에 제공되는 아우터 셸(outer shell)(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아우터 셸(110)은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부, 즉 제 2 및 제 3 영역(10b,10c)에서 쉴드(13) 및 피복(14)의 외주부 또는 외주면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외주부를 가압하면서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100)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내에 삽입되는 인너 셸(inner shell)(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너 셸(120)은 이러한 삽입에 의해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의 내주부 또는 내주면상에 제공된다고 설명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인너 셸(120)은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의 끝단부(즉, 제 2 및 제 3 영역(10b,10c))에서 쉴드(13)의 내주부 또는 내주면상에 이를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아우터 및 인너 셸들(110,120)에 의해 클램프(100)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 정확하게는 제 2 및 제 3 영역(10b,10c)에 고정되며, 후술되는 헤드(200)의 설치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통신 케이블(10)에 고정된 클램프(100)는 통신 케이블(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헤드(200)에 대해 스토퍼(stopper) 또는 위치결정부재(positioning member)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200)는 이러한 클램프(100)에 걸림으로써 통신 케이블(10)상의 의도된 정확한 위치에서 이동없이 외부장치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100)의 아우터 및 인너 셸(110,120)은 둘 다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 및 내주부를 각각 접촉하면서 감싸는 중공 실린더, 즉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클램프(100)의 아우터 및 인너 셸(110,120)은 통신 케이블(10)의 외주 및 내주부들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거나 감쌀 수 있으며, 보다 확실한 결합을 위해 상기 외주 및 내주부 전체와 접촉하면서 감쌀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lamp 100 may include an outer shell 110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 Specifically, as well shown in FIG. 7, the outer shell 110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r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ield 13 and the sheath 14 at the end, that is, in the second and third regions 10b and 10c. It can be, it can be configured to hold while pressing the outer periphery. In addition, the clamp 100 may include an inner shell 120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inner shell 120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o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such insertion.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the inner shell 120 is the inner circumference or inner circumference of the shield 13 at the end of the cable 10 (ie, the second and third regions 10b and 10c). It may be provided to support it on the top. Therefore, by these outer and inner shells 110 and 120, the clamp 100 is fixed to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precisely to the second and third regions 10b and 10c, and the head 200 described later Can be configured to guide installation. In detail, since the clamp 100 fix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10 does not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it functions as a stopper or a positioning member for the head 200 Therefore, the head 200 can be stably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without movement at an intended precise position on the communication cable 10 by being caught on the clamp 100. Both the outer and inner shells 110 and 120 of the clamp 100 may be made of a hollow cylinder, that is, a cylindrical member, which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while contacting each other. That is, the outer and inner shells 110 and 120 of the clamp 100 may at least partially contact or wrap the outer and inner circumferences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while in contact with the entire outer and inner circumferences for more reliable coupling can wrap

이와 같은 클램프(100)가 보다 견고하게 통신 케이블(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아우터 셸(110)은 통신 케이블(10)의 외주부 또는 외주면내에 압입되도록 구성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셸(110), 정확하게는 이의 내주면은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로 반경방향 안쪽으로 소정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아우터 셸(110)의 내주면은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내로 파고들어가거나 박히거나 또는 심어질 수 있다. 또한, 인너 셸(120)은 이러한 아우터 셸(110)에 해당하는 길이(즉, 동등한 길이)로 연장되어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내주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내주부를 지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내주부에 일체인 상기 외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 셸(110)은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상에 안정적으로 압입될 수 있다. The outer shell 110 is configured to be press-fit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so that the clamp 100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10 .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outer shell 110, more precisely,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an b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radially inward to a predetermined depth. Tha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hell 110 may be dug into, driven into, or plan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 In addition, the inner shell 120 extends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ell 110 (i.e., the same length) and supports the inner circumference while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thereby supporting the inner circumfere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integral with the main portion may be supported. Thus, the outer shell 110 can be stably press-fitted o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이와 같은 압입을 위해 아우터 셸(110)에 단순히 외력을 가하는 것은 압입이전에 아우터 셸(110)의 변형 또는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변형만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서, 클램프(100)의 압입을 위해 가압을 위한 금형, 즉 다이(die)(20)가 적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이(20)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대칭적으로 결합되는 두 개의 제 1 및 제 2 피스들(piece)(20a,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이(20), 즉 피스들(20a,20b)는 클램프, 즉 아우터 셸(210)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내면(21,22,23)을 가지며, 이러한 내면들(21,22,23)은 아우터 셸(210) 외주면과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100), 즉 아우터 셸(110)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복잡한 외형을 갖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20)의 내면(21)은 아우터 셸(110)에 기 형성된 구조들을 피해 상기 아우터 셸(11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우터 셸(110)의 외주부의 중간영역 및 후방영역을 각각 가압하도록, 내면(21)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으로 더 돌출되는 제 1 및 제 2 보조 다이들(21a,21b)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클램프(100)는 강도 증가 및 안정적 결합을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4(a)와 같은 내면(21)를 갖는 다이(2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20)는 일정한 직경의 원통형 클램프(100), 즉 아우터 셸(110)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는 원형 단면의 내면(22)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20)는 육각 단면의 클램프, 즉 아우터 셸(110)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가압하는 육각단면의 내면(23)을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다이(20)는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 단면의 내면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각형 단면의 내면을 갖는 경우, 다이(20)는 클램프, 즉 아우터 셸(110)의 외주면을 해당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변형시키면서 가압할 수도 있다. Simpl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outer shell 110 for press-fitting may result in deformation of the outer shell 110 or deformation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prior to press-fitting. Therefore, as shown in FIGS. 4 and 5 , in the present application, a mold for pressing, that is, a die 20 is applied for press-fitting of the clamp 100 . Referring to FIG. 4 , the die 20 may include two first and second pieces 20a and 20b that have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and are symmetrically coupled. The die 20, that is, the pieces 20a and 20b, has clamps, that is, inner surfaces 21, 22, and 23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hell 210, and these inner surfaces 21, 22, and 23 The silver may uniformly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hell 210 . More specifically, when the clamp 100, that is, the outer shell 110 has a complex appearance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as shown in FIG. 4 (a), the inner surface 21 of the die 20 is It may be configured to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hell 110 while avoiding structures previously formed on the shell 110 . For exampl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ies 21a protruding more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an other parts of the inner surface 21 so as to press the middle and rear areas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shell 110, respectively. , 21 b) can be form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clamp 100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various structures for increased strength and stable coupling, a die 20 having an inner surface 21 as shown in FIG. 4 (a) can be us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b), the die 20 has a cylindrical clamp 100 having a constant diameter, that is, an inner surface 22 of a circular cross section capable of uniformly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hell 110. can have Furthermore, as shown in FIG. 4(c), the die 20 may have a hexagonal cross-section clamp, that is, an inner surface 23 of a hexagonal cross-section that uniformly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hell 110. In addition, the die 20 may have inner surfaces of polygonal cross-sections of various shapes. In addition, when the inner surface has a polygonal cross-section, the die 20 may pressurize while deforming the clamp,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hell 110 to have the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일 예로서, 본 출원의 클램프(100)와 같은 복잡한 외형의 클램프가 적용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a)의 다이(20)의 제 1 및 및 제 2 피스들(20a,20b)은 분할되어 프레스 또는 스탬핑 메커니즘(press or stamping mechnism)의 상부 및 하부 지그(jig)들에 장착될 수 있으며, 클램프(100)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하부 지그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후, 지그들이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클램프(100), 즉 아우터 셸(110)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00)의 외주부, 아우터 셸(110)의 외주부는 다이(20)의 내면(21)에 의해 전체적으로 감싸지게 되며, 이에 따라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즉, 쉴드(13) 및 피복(14)의 외주부)에 대해 균일하게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압동안, 인너 셸(120)은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내주부(즉, 쉴드(13)의 내주부)를 아우터 셸(1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통신 케이블(10) 끝단부 및 이에 접촉하는 아우터 셸(110)이 가해진 압력에 의해 미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들을 안정적으로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상대적으로 반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다이(20)를 이용한 공정을 통해, 클램프(100)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의 외주부 전체에 균일하게 압입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헤드(200)에 의한 외부장치로의 결합 이전에 먼저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As an example, when a clamp having a complex shape such as the clamp 100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 5, the first and second pieces of the die 20 of FIG. 4 (a) ( 20a, 20b) can be divided and mounted on upper and lower jigs of a press or stamping mechanism, and the clamp 100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It can be placed between jigs. Thereafter, while the jigs move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clamp 100, i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hell 110 may be contacted and pressed. During this pressing, as show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amp 100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shell 110 are entirely wrapped by the inner surface 21 of the die 20, and thu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That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ield 13 and the sheath 14) can be uniformly pressed. Also, during this pressurization, since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ie,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hield 13) is firmly support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outer shell 110, the communication cable 120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d portion and the outer shell 110 in contact therewith from being deformed in advance by the applied pressure, and a relatively reactive force can be applied to stably keep them in place. Therefore, through the process using such a die 20, the clamp 100 can be uniformly press-fitted to the entir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and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by the head 200 described later. Prior to this, it may be firmly fixed to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first.

다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클램프(100)의 다른 구성들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아우터 셸(110)은 원통형 몸체(111)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몸체(111)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금속재질의 몸체(111)는 기본적으로 아우터 셸(110)에 예를 들어, 다이(20)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높은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1)는 쉴드(13)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므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외부장치, 예를 들어 이의 터미널(T)과 결합되면, 쉴드(13), 아우터 셸(110) 및 터미널(T)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통신 케이블(10)로부터 외부장치까지 연장되는 차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재질의 몸체(111)는 아우터 셸(110)에 차폐회로 구성을 위한 높은 전기 전도성도 부여할 수 있다. Again, referring to FIGS. 3 and 7, explaining the other configurations of the clamp 100 in more detail, first, the outer shell 110 is made of a cylindrical body 111, and this body 11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It can be done. The body 111 made of such a metal material can basically impart high strength to the outer shell 110 so that it is not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for example, the die 20 . In addition, since the outer shell 110, that is, the body 111 is directly coupled to the shield 13,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coupled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its terminal T, the shield 13, the outer Through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hell 110 and the terminal T, a shielding circuit extending from the communication cable 10 to an external device may be configured. Therefore, the body 111 made of metal can impart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to the outer shell 110 for constructing a shield circuit.

이와 같은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1)는 통신 케이블(10) 끝단부, 즉 제 2 영역(10b)에서 노출된 쉴드(13)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 1 몸체(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몸체(111a)는 대체적으로 전체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0)의 중간부에 해당하며, 쉴드(13)의 외주부에 반경방향 안쪽방향으로 압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111a)의 외주부는 다이(20)의 제 1 보조 다이(21a)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몸체(111a)의 내주부는 쉴드(13)의 외주부내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압입될 수 있다. The outer shell 110, that is, the body 111 may include a first body 111a directly contacting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that is, the shield 13 exposed in the second region 10b. can The first body 111a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entire outer shell 110, that is, the middle portion of the body 11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press-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ield 13 in a radially inward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S. 4(a) and 5,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111a may be pressed by the first auxiliary die 21a of the die 20, and thus the first body ( The inner periphery of 111a) may be pressed radially inwar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ield 13.

또한,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1)는 통신 케이블(10) 끝단부, 즉 제 3 영역(10c)에서 최외곽의 피복(14)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 2 몸체(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몸체(111b)는 제 1 몸체(111a)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몸체(111a)에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되어 대체적으로 전체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1)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몸체(111b)는 피복(14)의 외주부에 반경방향 안쪽방향으로 압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몸체(111a)의 외주부는 다이(20)의 제 2 보조 다이(21b)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몸체(111b)의 내주부는 피복(13)의 외주부내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압입될 수 있다. 도 3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몸체(111b)는 피복(14)에 의해 제 2 영역(10b) 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 3 영역(10c)에 결합되므로, 제 2 몸체(111b)의 내경은 제 1 몸체(111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및 제 3 영역(10b,10c)에 제 1 및 제 2 몸체(111a,111b)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경차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몸체(111a,111b)의 내주면들사이의 연결부(114)에 급격한 단차가 형성되면,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 정확하게는 제 2 및 제 3 영역들(10b,10c)에 밀착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몸체(111a,111b)의 내주면들사이의 연결부(114)는 몸체들(111a,111b)의 밀착을 위해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uter shell 110, that is, the body 111,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most sheath 14 at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that is, the third region 10c. Includes a second body 111b can do. The second body 111b is formed continuously on the first body 111a, and is located relatively rearward to the first body 111a, so that substantially the entire outer shell 110, that is,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111 can form The second body 111b may be configured to be press-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eath 14 in a radially inward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S. 4(a) and 5,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body 111a may be pressed by the second auxiliary die 21b of the die 20, and thus the second body ( The inner periphery of 111b) can be pressed radially inwar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eath 13 . 3 and 7, since the second body 111b is coupled to the third region 10c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second region 10b by the covering 14, the second body ( 111b) may have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at of the first body 111a, and thus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1a and 111b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second and third regions 10b and 10c. . In addition, due to this diameter difference, when a steep step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114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1a and 111b,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precisely the second and second It may be difficult to adhere to the 3 regions 10b and 10c. Therefore, as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art 114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1a and 111b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close contact between the bodies 111a and 111b. .

한편,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1)는 클램프(100)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제 3 몸체(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몸체(111c)는 제 1 몸체(111a)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몸체(111a)에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되어 대체적으로 전체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1)의 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몸체(111c)는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외주부(정확하게는, 제 2 영역(10b))의 전방으로 노출된 코어(11)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제 1 몸체(111a)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와 접촉하는 대신에, 제 3 몸체(111c)는 인너 셸(120), 정확하게는 이의 외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 및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몸체(111c)는 인너 셸(120)과 아우터 셸(110)을 서로 연결시켜, 전체적으로 클램프(100)이 구조적으로 안정된 결합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3 몸체(111c)는 인너 셸(120)의 전방부와 결합하며, 이러한 결합부는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면, 즉 제 2 영역(10b)의 노출된 쉴드(13)의 끝단면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제 3 몸체(111c)는 클램프(100)가 전체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도 기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outer shell 110, that is, the body 111 may include a third body 111c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lamp 100. The third body 111c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first body 111a, and is located relatively forward to the first body 111a, so that substantially the entire outer shell 110, that is,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111 can form The third body 111c does not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and maintain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re 11 exposed to the front of the outer circumference (to be precise, the second region 10b), while maintaining the first It may extend from the body (111a). Instead of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the third body 111c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contact and engage with the inner shell 120, precisely its outer circumference. Accordingly, the third body 111c may contribute to forming a structurally stable coupling of the clamp 100 as a whole by connecting the inner shell 120 and the outer shell 110 to each other. Furthermore, the third body 111c is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inner shell 120, and this coupling portion,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end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that is, the second region 10b ) can be caught on the end surface of the exposed shield 13. Therefore, the third body (111c) can also contribute to the clamp 100 is disposed in the correct position as a whole.

보다 상세하게는, 아우터 셸(110), 즉 이의 몸체(111)는 제 1 몸체(111a)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 돌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돌기들(112)은 제 1 몸체(111a)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아우터 셸(11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즉, 제 2 영역(10b)), 정확하게는 쉴드(13)의 외주부내에 강제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셸(110)에 가해지는 외력은 제 1 돌기(112)에 집중되므로, 상기 제 1 돌기(112)는 용이하게 쉴드(13)의 외주부내를 파고 들어가 강제적으로 상기 쉴드(13) 외주내에 노치(notch)를 형성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셸(110), 즉 이의 몸체(111)는 제 2 몸체(111b)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2 돌기(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돌기들(113)은 제 2 몸체(111b)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아우터 셸(11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즉, 제 3 영역(10b)), 정확하게는 피복(13)의 외주부내에 강제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셸(110)에 가해지는 외력은 제 2 돌기(113)에 집중되므로, 상기 제 2 돌기(113)는 용이하게 피복(14)의 외주부내를 파고 들어가 강제적으로 상기 피복(14) 외주부내에 노치를 형성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돌기들(112,113)에 의해 아우터 셸(110)은 보다 용이하게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에 압입되며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돌기들(112,113)은 적어도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 일부에 삽입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확실한 결합을 위해 상기 외주부 전체에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outer shell 110, that is, its body 1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1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a. The first protrusions 112 may extend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a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uter shell 110 causes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ie, It can be forcibly inserted into the second area 10b), precisely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ield 13. That is, as shown in FIG. 8(a), sinc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uter shell 110 is concentrated on the first protrusion 112, the first protrusion 112 can be easily moved with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ield 13. It can be inserted while digging into and forcibly forming a notch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ield 13. In addition, the outer shell 110, that is, its body 1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13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11b. The second protrusions 113 may extend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11b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uter shell 110 causes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ie, It can be forcibly inserted into the third region 10b), precisely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eath 13. That is, as shown in FIG. 8(b), sinc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uter shell 110 is concentrated on the second protrusion 113, the second protrusion 113 can be easily moved with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ating 14. It can be inserted while digging into and forcibly forming a notch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eath 14. Due to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12 and 113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shell 110 is more easily press-fit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and can be more firmly fixed.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12 and 113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and extend along the circumferenc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entire outer circumference for more secure coupling.

또한, 아우터 셸(110), 즉 이의 몸체(111)는 클램프(100)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제 1 플랜지(1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1 플랜지(115)은 이의 위치를 고려할 때, 대체적으로 제 3 몸체(111c)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제 1 플랜지(115)는 아우터 셸(110)(즉, 몸체(111))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도 9에도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부장치의 터미널(T)의 끝단부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아직 완전하게 터미널(T)에 결합 또는 삽입되지 않은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며, 도시된 전체적인 구성을 고려할 때, 완전하게 터미널(T)과 결합되면, 제 1 플랜지(115)가 터미널(T)의 끝단부에 걸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플랜지(115)는 터미널(T)에 대한 커넥터 어셈블리 및 통신 케이블(10)의 정확한 결합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셸(110), 즉 이의 몸체(111)는 클램프(100)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제 2 플랜지(1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2 플랜지(116)은 이의 위치를 고려할 때, 대체적으로 제 2 몸체(111b)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제 2 플랜지(116)는 아우터 셸(110)(즉, 몸체(111))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도 7에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헤드(200), 정확하게는 이의 내주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플랜지(116)는 헤드(200)의 외부장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며, 헤드(200)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랜지들(115,116)은 적어도 클램프(100)(즉, 아우터 셸(110) 또는 이의 몸체(111))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확실하게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외주부의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및 제 2 플랜지(115,1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축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이들 플랜지 사이에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리세스(1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117)는 앞서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다이(20)의 제 1 보조다이(21a)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제 1 보조 다이(21a)는 리세스(117)에 의해 정확하게 제 1 몸체(111a)를 가압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hell 110, that is, its body 111 may include a first flange 115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clamp 100, and when considering its position, the first flange 115 , may generally correspond to a part of the third body 111c. The first flange 115 extend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shell 110 (ie, the body 111) to a predetermined length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s well shown in FIG. 9, the terminal T of the external device It can be configured to be caught on the end. 9 shows a connector assembly that has not yet been completely coupled or inserted into the terminal T. Consider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shown, when fully coupled with the terminal T, the first flange 115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T. It can be seen that it is caught at the end of the . Accordingly, the first flange 115 may play a role in determining an accurate coupling posi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and the communication cable 10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T. In addition, the outer shell 110, that is, its body 111 may include a second flange 116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lamp 100, and when considering its position, the second flange 116 , may generally correspond to a part of the second body 111b. The second flange 116 extend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shell 110 (ie, the body 111) to a predetermined length radially outward, and as well shown in FIG. 7, the head 200, precisely its It may be configured to be caugh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ccordingly, the second flange 116 is configur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head 200 in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may serv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head 200.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5 and 116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amp 100 (ie, the outer shell 110 or its body 111), more reliably perform the intended function In order to do so, it may be formed throughout the outer circumference. Furthermore, as show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5 and 116 are axially or longitudin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recess 117 extending radially inward may be formed between the flanges. there is. The recess 117 forms a space into which the first auxiliary die 21a of the die 20 shown in FIGS. 4(a) and 5 is inserted, and the first auxiliary die 21a is recessed ( 117), it can be guided to accurately press the first body 111a.

또한, 외부장치의 터미널(T)은 코어(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하므로, 이러한 터미널(T)에서의 전기신호의 누설뿐만 아니라 외부 신호/전자기장으로터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신 케이블(10)과 마찬가지로 터미널(T)도 차폐회로 또는 차폐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클램프(100), 정확하게는 이의 아우터 셸(110)은 터미널(T)을 통신 케이블(10)에서 차폐회로를 구성하는 쉴드(13)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플러그(plug)(118)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 (T) of the external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11 and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ic signal from the terminal (T) as well as interference from external signals/electromagnetic fields Like the communication cable 10, the terminal T also needs to have a shielding circuit or shielding structure. For this reason, the clamp 100, precisely its outer shell 110, is a plug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erminal T with the shield 13 constituting the shielding circuit in the communication cable 10 (plug ( 118) may be included.

플러그(118)는 터미널(T)과 인접하는 클램프(100)(정확하게는, 아우터 셸(110))의 전단부에 제공되며, 터미널(T)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아우터 셸(110), 특히 이의 제 1 몸체(111a)는 쉴드(13)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이와 같은 플러그(118)에 의해 터미널(T), 정확하게는 이의 몸체, 아우터 셸(110) 및 쉴드(13)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부재로서 기능하며, 터미널(T)내부에 연결되는 코어(11)와 함께 터미널(T)까지 연장되는 차폐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장된 차폐회로는 터미널(T)내에서도 전자기장을 형성하게 되며, 터미널(T)에서의 전기 신호 누설 및 외부신호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lug 118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lamp 100 (accurately, the outer shell 110) adjacent to the terminal T, and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contact the terminal 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uter shell 110, particularly its first body 111a, directly contacts the shield 13, the terminal T, more specifically its body, outer The shell 110 and the shield 13 function as on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orm a shield circuit extending to the terminal T together with the core 11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T. Such an extended shielding circuit forms an electromagnetic field even within the terminal T, and can prevent electrical signal leakage and external signal interference at the terminal T.

보다 상세하게는, 도 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18)는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1)의 전방부에서 전방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로 소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플러그(118)는 균일한 차폐회로를 유지하기 위해 코어(11)로부터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전체적으로 감싸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플러그(118)은 아우터 쉘(110)의 전방부에서 돌출되는 링 또는 슬리브 부재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터미널(T)은 이의 끝단부 내에 소정 크기의 소켓(socket)(S)을 형성할 수 있으며, 플러그(118)은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소켓(S)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플러그(118)의 외주면은 소켓(S)을 형성하는 터미널(T)의 끝단부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보다 원활한 접촉을 위해 플러그(118)의 외주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well shown in FIG. 9, the plug 118 extends for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shell 110, that is, the body 111, and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can be. The plug 118 may be made of a member that encloses the whol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re 11 to maintain a uniform shielding circuit. That is, the plug 118 may be formed as a ring or sleeve member protruding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shell 110 . Also, the terminal T may form a socket S of a predetermined size in its end, and a plug 118 may be inserted into the socket S for electrical connection. Specifical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g 118 may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terminal T forming the socket S. For smoother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g 118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s shown in FIG. 9 .

다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인너 셸(120)은 아우터 셸(110)과 마찬가지로 원통형 몸체(121)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몸체(121)는 아우터 셸(110)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아우터 셸(11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즉,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정확하게는 제 2 영역(10a) 및 제 3 영역(10c)는 이러한 인너 셸(120) 및 아우터 셸(110)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끝단부의 내주 및 외주면들이 이들 셸들(120,110)과 접촉하면서 지지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너 셸(120)은 통신 케이블(10) 끝단내에서 삽입되며, 직접적으로 아우터 셸(110)에 가압되는 쉴드(1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이의 내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너 셸(12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통신 케이블(10) 또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변형에 의해 금속재질의 인너 셸(120)이 코어(11)과 접촉하는 경우, 합선에 의한 전달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누전에 의한 감전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너 셸(120)은 유전체(13)과 유사하게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gain, referring to FIGS. 3 and 7, the inner shell 120 is made of a cylindrical body 121 like the outer shell 110, and this body 121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hell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may be accommodated in the outer shell 110. That is, the ends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to be precise, the second region 10a and the third region 10c) ar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hell 120 and the outer shell 110, and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ces of the ends It can be suppor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se shells 120 and 110.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shell 120 is inserted within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and the shield 13 directly pressed against the outer shell 110 The inner shell 12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o stably support the inner shell 120. However, by de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or the connector assembly, the metal material may be provided. When the inner shell 120 contacts the core 11, transmission loss due to a short circuit may occur, and electric shock due to a short circuit may occur. It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such as plastic.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너 셸(120)의 전방부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즉, 제 2 및 제 3 영역(10a,10b))와 접촉하지 않고 이러한 끝단부로 돌출되어 아우터 셸(110)의 전방부, 즉 제 3 몸체(110c)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너 셸(120)은 이의 몸체(121)의 전방부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리브(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우터 셸(110)은 이러한 리브(122)를 수용하는 리세스(1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브(122) 및 리세스(119)에 의해 아우터 및 인너 셸(110,120)은 서로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22)는 통신 케이블(10) 끝단면, 즉, 제 3 영역(10c)에서 노출된 쉴드(13)의 끝단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리브(122)에 의해 클램프(100), 즉 아우터 및 인너 셸(110,120)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portion of the inner shell 12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ends (ie, the second and third regions 10a and 10b)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and protrudes toward these ends, so that the outer shell 110 ), that is,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the third body 110c. More specifically, the inner shell 120 may include a rib 122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121 thereof, and the outer shell 110 accommodates the rib 122 Recess 119 may be included. Due to the rib 122 and the recess 119, the outer and inner shells 110 and 120 may be coupled without being sepa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the rib 122 may be configured to be caught on the end face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that is, the end face of the shield 13 exposed in the third region 10c. Therefore, the clamp 100, that is, the outer and inner shells 110 and 120, can be plac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by means of these ribs 122.

한편, 도 1, 도 6,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헤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200)는 소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클램프(100)와 케이블(10)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200)는 클램프(100)과 케이블(10)의 끝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헤드(200)의 전방부는 케이블(10)의 끝단부에 위치되어 터미널(T)를 마주하므로, 상기 전방부는 이러한 외부장치의 터미널(T)과 결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반면, 헤드(200)의 후방부는 커넥터 어셈블리 자체의 통신 케이블(10)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통신 케이블(10)과 결합하거나 이를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6, 7, and 9 , the connector assembly may include a head 200 disposed at an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The head 200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ends of the clamp 100 and the cable 10 while forming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Thus, the head 200 can accommodate the ends of the clamp 100 and the cable 10 . In addition, since the front part of the head 200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cable 10 and faces the terminal T, the front part can be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the terminal T of the external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rear portion of the head 200 may be configured to engage or hold the communication cable 10 for coupling with the communication cable 10 of the connector assembly itself.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200)는 소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형상의 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200), 즉 이의 몸체(210)의 후방부의 내주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텝부(211)는 클램프(100), 정확하게는 이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제 2 플랜지(116)에 걸릴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램프(100)는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상의 소정 지점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므로, 클램프(100)는 헤드(200)에 대해 일종의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200)는 클램프(100)에 걸려서 통신 케이블(10)의 소정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실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헤드(200)의 몸체(210)는 이의 후단부의 내주부상에 형성되는 홈(215)과 이에 끼워지는 링(21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200)는 링(216)과 통신 케이블(10)의 피복(14)과의 마찰에 의해 통신 케이블(10)상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상기 케이블(10)을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 어셈블리는 보다 확실하게 상기 케이블(10)에 고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ead 200 may include a hollow body 210 forming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In addition, as shown, a step portion 211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head 200, that is, the body 210 thereof. This step portion 211 can be caught on the second flange 116 disposed on the clamp 100, precisely its rear por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lamp 100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the clamp 100 can function as a kind of stopper for the head 200. Therefore, the head 200 can be practically fixed so as not to be moved forward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by being caught by the clamp 100 . In addition, the body 210 of the head 200 may include a groove 215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ar end thereof and a ring 216 fitted thereto. Thus, the head 200 can be configured to hold the cable 10 without slipping on the communication cable 10 due to friction between the ring 216 and the sheath 14 of the communication cable 10. Accordingly, the connector assembly can be fixed to the cable 10 more securely.

또한, 헤드(200)는 몸체(210)의 전방부, 정확하게는 전단부상에 제공되는 슬리브(220)(sleeve)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220)는 몸체(110)의 전방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몸체(210)의 외주부상에 결합될 수 있다. 슬리브(220)는 이러한 몸체(210)의 외주부상에서 상기 몸체(210)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슬리브(220)의 회전구조를 위해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는 이의 전방부의 외주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groove)(2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홈(212)에 대응되게 슬리브(220)는 이의 후방부의 내주부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는 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연결된 홈들(212,221)내에는 키 부재(key member)(213)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220)는 몸체(2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d 200 may include a sleeve 220 (sleeve)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210, to be exact, on the front end portion. The sleeve 220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110, and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210. The sleeve 220 may be rotatably installed relative to the body 210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210 . As well shown in FIG. 6 for the rotation structure of the sleeve 220, the body 210 may include a groove 212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portion thereof, such a groove ( Corresponding to 212), the sleeve 220 may include a groove 221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ar portion thereof. In addition, a key member 213 may be inserted into these connected grooves 212 and 221. Thus, the sleeve 220 can be rotatably installed thereon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210 .

또한, 이러한 슬리브(220)의 전방부는 이러한 터미널(T)의 끝단부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터미널(T)의 끝단부의 외주부를 둘러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 슬리브(220)는 이의 전방부 내주부상에 형성되는 결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222)는 예를 들어 나사(thread)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여러가지 결합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슬리브(220)의 결합부(222)는 외부장치, 예를 들어 터미널(T)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나사 결합부(222)는 터미널(T)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C)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나사 결합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는 외부장치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sleeve 220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nd portion of the terminal T, and thus can be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portion of the terminal T. For this connection, the sleeve 22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22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portion thereof. The coupling part 222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thread, and may be made of various other coupling mechanisms. The coupling part 222 of the sleeve 220 may be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terminal T. As an example, the screw coupling part 222 may be coupled to a screw C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erminal T. Therefore, the connector assembly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external device by such screw coupling.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출원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된다.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is applic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of this applica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is application.

10: 통신용 케이블 100: 클램프
110: 아우터 셸 120: 인너 셸
200: 헤드 210: 몸체
220: 슬리브
10: communication cable 100: clamp
110: outer shell 120: inner shell
200: head 210: body
220: sleeve

Claims (4)

코어(core)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는 유전체, 도전성 쉴드(shield) 및 피복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클램프(clamp);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 및 상기 클램프를 수용하면서 상기 클램프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소정의 외부장치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헤드(head)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외주부상에 제공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외주부내로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아우터 셸(outer shell);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내에 삽입되며, 상기 아우터 셸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외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인너 셸(inner shell)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In the connector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cable including a core and a dielectric, a conductive shield and a sheath concentrically and sequentially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a clamp configured to be fixed to an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Consisting of an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a head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clamp while receiving the clamp, an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The clamp is:
an outer shell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configured to be press-fit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A connector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cable comprising an inner shell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configured to suppor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pressed by the outer sh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셸은 높은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너 셸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통신 케이블로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shell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conductivity, and the inner shell is a connector assembly with a communication cable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아우터 셸의 압입을 위해 상기 클램프를 감싸는 다이(die)에 의해 가압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cable in which the clamp is pressed by a die surrounding the clamp for press-fitting of the outer sh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아우터 셸은: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쉴드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쉴드의 외주부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피복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피복의 외주부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제 2 몸체를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shell of the clamp is:
a first body configured to press-fit radially inward in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ield while directly contacting a shield at an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and
A connector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cable comprising a second body disposed behind the first body and configured to be press-fitted radially inward into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heath while directly contacting the sheath of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KR1020220099686A 2021-07-26 2022-08-10 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KR202300171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686A KR20230017153A (en) 2021-07-26 2022-08-10 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166A KR102432691B1 (en) 2021-07-26 2021-07-26 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KR1020220099686A KR20230017153A (en) 2021-07-26 2022-08-10 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166A Division KR102432691B1 (en) 2021-07-26 2021-07-26 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153A true KR20230017153A (en) 2023-02-03

Family

ID=831102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166A KR102432691B1 (en) 2021-07-26 2021-07-26 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KR1020220099686A KR20230017153A (en) 2021-07-26 2022-08-10 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166A KR102432691B1 (en) 2021-07-26 2021-07-26 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2691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8474A (en) * 1997-12-10 1999-08-17 Radio Frequency Systems, Inc. Connector assembly for a coaxial cable
EP1372225B1 (en) * 2002-06-10 2007-06-20 Thomas Cantz High frequency connecting device
KR200468838Y1 (en) * 2013-02-05 2013-09-04 주식회사 엠피디 A coaxial cable connecter for coupling to coaxial cable of type indentation clamping a screw and sp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691B1 (en)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9265B1 (en) Terminal assembly for a coaxial cable
EP2382691B1 (en) Coaxial connector for corrugated cable
US8323056B2 (en) Coaxial connector for corrugated cable with corrugated sealing
US6884115B2 (en) Connector for hard-line coaxial cable
KR102073370B1 (en) Connector assembly
CN105098494B (en) Connector construction
CN108631086B (en) L-shaped inner terminal, L-shaped coaxi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or
US20020182940A1 (en) Cable and phone plug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it
US9882320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US20190157821A1 (en) Angled coaxial connectors for receiving electrical conductor pins having different sizes
CA2446276C (en) Waterproof connector which can be improved in assembling workability
KR102432691B1 (en) 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KR102432690B1 (en) 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US6250963B1 (en) Connector shel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2006024499A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
JPH0245976Y2 (en)
KR101709293B1 (en) coaxial connecter
US6619988B2 (en) Connector assembly
JP3140532U (en) Adapter for coaxial micro cable
US20240145980A1 (en) Cable connector and metal housing thereof
JPH0119827Y2 (en)
US11843216B2 (en) Crimp structure
US20240154327A1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 that is structurally configured to allow unidirectional rotation of cable gripping portion
JPH0753273Y2 (en) High frequency coaxial connector
JP3369472B2 (en) CV cable connection method and structure of prefabricated connection p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