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948A -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948A
KR20230016948A KR1020210098572A KR20210098572A KR20230016948A KR 20230016948 A KR20230016948 A KR 20230016948A KR 1020210098572 A KR1020210098572 A KR 1020210098572A KR 20210098572 A KR20210098572 A KR 20210098572A KR 20230016948 A KR20230016948 A KR 20230016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ing
pattern
vehicle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나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6948A/ko
Priority to US17/870,967 priority patent/US20230031315A1/en
Publication of KR2023001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38Call context not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현재 위치 주변의 차량 호출 수요도를 획득하는 단계,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현재 위치, 시점, 수요도, 및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 유무에 따라 제1 단말에 표시되는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차량 호출 UI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CALL SERVICE}
본 개시는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시 이용자는 빈 택시에 승차하거나, 콜센터 또는 호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택시를 호출한 후 배정받은 택시에 승차한다. 최근, IT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호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택시 호출이 빈번해지고 있다.
택시 이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호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출발지와 도착지를 직접 입력하거나, 지도 상에서 출발지와 도착지를 지정하거나, 즐겨찾기로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장소를 출발지와 도착지로서 선택함으로써 택시를 호출한다.
따라서 이용자가 시간이 없어서 빨리 이동해야 할 때, 혹은 대중교통이 끊긴 이르거나 늦은 시간, 단거리 이동이 필요할 때 등의 상황에서, 이러한 일반적인 호출 방식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택시 운전자에게 제공되고, 운전자는 목적지에 따라 호출을 수락할 지 결정하므로, 운전자가 선호하지 않는 목적지에 대한 택시 호출에 차량 배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이용자에게 상황에 적절한 호출 방식을 제공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에게 목적지를 추천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신속한 택시 배차가 가능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현재 위치 주변의 차량 호출 수요도를 획득하는 단계,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현재 위치, 시점, 수요도, 및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 유무에 따라 제1 단말에 표시되는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차량 호출 UI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현재 위치가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장소이고, 시점이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시점이고, 수요도가 높으면, 차량 호출 UI를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가 목적지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고 차량을 즉시 호출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즉시 호출 UI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현재 위치가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장소이고, 시점이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시점이고, 수요도가 낮으면, 차량 호출 UI를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가 목적지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직접 호출 UI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수요도가 높으면, 차량 호출 UI를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고 차량을 즉시 호출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즉시 호출 UI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지 않고, 수요도가 높으면, 차량 호출 UI를 사용자와 유사한 다른 사용자의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고 차량을 즉시 호출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즉시 호출 UI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수요도가 낮으면, 차량 호출 UI를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는 직접 호출 UI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지 않고, 수요도가 낮으면, 차량 호출 UI를 사용자와 유사한 다른 사용자의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는 직접 호출 UI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로부터 차량 호출 UI에서의 입력에 따른 차량 호출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현재 위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에 차량 호출에 따른 배차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호출 패턴은 차량 호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호출 패턴은 차량 호출에 기초하여 결정된, 요일에 따른 패턴 정보, 날씨에 따른 패턴 정보, 이동거리 패턴 정보, 호출 장소 유형에 따른 패턴 정보, 호출 환경에 따른 패턴 정보, 및 이동 동선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통신부,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호출 패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통신부를 통해, 제1 단말로부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현재 위치 주변의 차량 호출 수요도를 획득하고,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위치, 시점, 수요도, 및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 유무에 따라 차량 호출 UI를 즉시 호출 UI 또는 직접 호출 UI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현재 위치가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장소이고, 시점이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시점이고, 수요도가 높으면, 차량 호출 UI를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가 목적지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고 차량을 즉시 호출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즉시 호출 UI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현재 위치가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장소이고, 시점이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시점이고, 수요도가 낮으면, 차량 호출 UI를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가 목적지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직접 호출 UI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수요도가 높으면, 차량 호출 UI를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고 차량을 즉시 호출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즉시 호출 UI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지 않고, 수요도가 높으면, 차량 호출 UI를 사용자와 유사한 다른 사용자의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고 차량을 즉시 호출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즉시 호출 UI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수요도가 낮으면, 차량 호출 UI를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는 직접 호출 UI로 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지 않고, 수요도가 낮으면, 차량 호출 UI를 사용자와 유사한 다른 사용자의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는 직접 호출 UI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제1 단말로부터 차량 호출 UI에서의 입력에 따른 차량 호출을 수신하고, 현재 위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에 차량 호출에 따른 배차를 요청할 수 있다.
호출 패턴은 차량 호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호출 패턴은 차량 호출에 기초하여 결정된, 요일에 따른 패턴 정보, 날씨에 따른 패턴 정보, 이동거리 패턴 정보, 호출 장소 유형에 따른 패턴 정보, 호출 환경에 따른 패턴 정보, 및 이동 동선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용자가 신속하게 택시를 호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영업차량의 승차 거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용자가 신속하게 택시를 배정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용자가 편리하게 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련된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승객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관련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관련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의 호출 패턴을 나타낸 표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관련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승객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련된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승객 단말(20), 및 영업 차량(예를 들어, 택시, 영업용 모빌리티 등)에 탑재된 차량 단말(3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승객 단말(20a, 20b, 20c)은 서버(1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한다. 또한, 복수의 차량 단말(30a, 30b, 30c)도 서버(1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한다.
승객 단말(20) 및 차량 단말(30)은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네비게이션 장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는 통신부(110), 데이터베이스(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통신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10)가 승객 단말(20) 및 차량 단말(30)과 통신하도록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부(130)에서 처리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승객 단말(20) 및 차량 단말(3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120)는 호출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20)는 사용자 이력 데이터베이스(122) 및 호출 패턴 데이터베이스(12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이력 데이터베이스(122)는 복수의 승객 단말(20) 및 차량 단말(30)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이력 데이터베이스(122)는 각 단말의 식별번호, 전화 번호, 사용자의 이름, 성별, 연령, 주소, ID(identification), 패스워드(password), E-mail 주소와 같은 사용자 내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의 식별 정보와, 사용자의 호출 이력 등을 저장한다.
사용자의 호출 이력은 사용자의 단말(20)로부터 호출이 있는 때 호출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호출 이력은 호출 일시, 배차 일시, 출발지와 도착지, 및 출발지 주변의 수요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호출 패턴 데이터베이스(124)는 사용자의 호출 이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호출 패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호출 패턴은 호출 이력 및 호출 이력에 포함된 호출 일시, 출발지와 도착지, 수요도에 대한 정보로부터 획득된, 일시, 계절, 날씨, 호출 장소, 호출 환경, 이용 목적, 이동 동선, 이동 거리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호출 패턴은 요일에 따른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일에 따른 패턴 정보는 평일/주말에 따른 택시 이용률을 포함한다.
호출 패턴은 계절 및/또는 날씨에 따른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절 및/또는 날씨에 따른 패턴 정보는 여름철 및 겨울철 기온에 따른 택시 이용률을 포함한다.
호출 패턴은 이동거리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거리 패턴 정보는 단거리(예를 들어, 5km 이내로) 이동할 경우의 '숏헤드' 이동 패턴과 중장거리(예를 들어, 20~45km으로) 이동할 경우의 '롱테일' 이동 패턴을 포함한다.
호출 패턴은 호출 장소 유형에 따른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 장소 유형은 건물 안 실내, 골목, 큰 길 및 기타 등으로 구분된다.
호출 패턴은 호출 환경에 따른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 환경은 호출 장소에 연계 대중 교통 수단의 유/무, 호출 장소에 연계 대중 교통의 정류장 위치나 노선의 복잡도로 인한 도보 10분 이상 소요, 호출 장소에 동일 거리에 대한 택시 이동 시간은 4-5분, 대중 교통 이동 시간은 20분 등으로 10분 이상 차이 날 경우,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등으로 구분된다.
호출 패턴은 이동 동선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동선은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에 기초한 목적에 따른 동선(출퇴근 목적, 귀가 목적, 자주 가는 장소 등의 동선)을 포함한다.
하나의 호출 패턴은 각각의 패턴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호출 패턴은 "주말, 겨울, 낮은 기온, 골목, 연계 대중 교통 수단 있음, 귀가, 강남역으로부터의 귀가 동선, 숏테일"을 패턴 정보로서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하나의 호출 패턴은 "평일, 겨울, 낮은 기온, 골목, 연계 대중 교통 수단 있음, 자주 찾는 장소(홍대), 강남역에서 자주 찾는 동선, 롱테일"을 패턴 정보로서 포함한다.
이 외에도 호출 패턴은 호출 이력으로부터 분석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의 설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호출 패턴은 호출 이력이 누적됨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외에도, 데이터베이스(120)에는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 위치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 지도 정보, 도로 정보 및 건물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력 데이터베이스(122)를 참조하여, 승객 단말(20) 또는 차량 단말(30)로 전송하려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승객 단말(20)로 예상 대금을 안내하기 위한 UI 정보, 차량을 호출한 승객 단말(20)로 전송하기 위한 수락 메시지, 중개 서비스에 따른 대금 결제를 요청하는 메시지 등을 생성하고, 요청을 수락한 택시 운전자의 차량 단말(30)로 전송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 및 경로 정보 등을 생성한다.
제어부(130)는 단말들(20, 30) 간의 대화 메시지를 처리하고, 각각의 단말기로 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택시 호출을 요청한 승객 단말(20)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차량 단말(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정보를 호출 패턴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별로 사용자의 호출 이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호출 패턴을 호출 패턴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한다.
즉, 제어부(130)는 승객 단말(20) 및 차량 단말(30)를 중개하기 위한 정보를 처리하며, 이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의 기능과 사용자 이력 데이터 베이스(122)는 서버(10)와 통신하는 메시지 서버(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메시지 서버는 단말들(20, 30) 간의 대화 메시지를 처리하고, 각각의 단말기로 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서버는 택시 호출을 요청한 승객 단말(20)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차량 단말(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서버는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단말들(20, 30) 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 단말(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 호출이 요청되면, 제어부(130)는 메시지 서버에 승객 단말(20)의 택시 호출 요청을 전달한다. 그러면, 메시지 서버는 차량 단말(30)에 설치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택시 호출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서버(10)로 승객 단말(20)의 택시 호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서버(10)는 외부의 메시지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택시 호출 요청을 차량 단말(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고객 단말(20)의 현재 위치 및 호출 패턴을 고려하여, 고객 단말(20)에 제공할 UI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고객 단말(20)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면, 현재 위치와 수신 일시 및 고객 단말(20)의 사용자의 호출 패턴 유무에 기초하여 고객 단말(20)에 표시될 UI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승객 단말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승객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승객 단말(20)는 무선 통신부(210), 입력부(220), 센싱부(230), 출력부(240), 메모리(250), 인터페이스부(260), 전원 공급부(270), 및 제어부(2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승객 단말(2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승객 단말(2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210)는 승객 단말(2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승객 단말(20)와 다른 무선 통신 가능 디바이스들(20, 30) 사이, 또는 승객 단말(20)와 서버(1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 통신 모듈(212) 및 위치 정보 모듈(2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212)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또는 NR(new radio)),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향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214)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 모듈(214)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214)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220)는 사용자 입력부(222)와 영상 및/또는 오디오 입력부(224)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222)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222)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승객 단말(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2)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승객 단말(20)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승객 단말(20)의 베젤(bezel) 또는 크라운(crown),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영상/오디오 입력부(224)는 카메라,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30)는 승객 단말(2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승객 단말(20) 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30)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및 방위각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그립 센서,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승객 단말(2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센싱부(230)는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230)는 유저의 다양한 입력 및 유저의 환경을 센싱하여, 제어부(28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승객 단말(2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242), 음향 출력부(244), 진동 출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2)는 승객 단말(2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2)는 승객 단말(2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42)는 승객 단말(2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4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44)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으며,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출력부(240)는 광원을 빛을 사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신호는 출력하는 광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50)는 승객 단말(20)에서 구동되는 펌웨어(firmware),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승객 단말(2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승객 단말(2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승객 단말(2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으로써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딩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250)에 저장되고, 승객 단말(2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280)에 의하여 상기 승객 단말(2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60)는 승객 단말(2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60)는,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및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객 단말(2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70)는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승객 단말(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27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승객 단말(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2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승객 단말(2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승객 단말(2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객 단말(2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은 상기 메모리(2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승객 단말(2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승객 단말(20)는 워치(watch) 타입, 클립(clip) 타입, 글래스(glasses)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slide) 타입, 스윙(swing) 타입, 스위블(swivel)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승객 단말(20)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승객 단말(20)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승객 단말(20)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서버(10)가 승객 단말(20)에 제공하는 호출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관련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승객 단말(20)의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S410)한다.
위치 정보 모듈(214)은 승객 단말(20)의 현재 위치를 획득(S412)한다. 위치 정보 모듈(214)의 현재 위치 획득은 어플리케이션 구동(S410) 전후에 수행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서버(10)에 현재 위치를 전송(S414)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현재 위치를 어플리케이션 구동 후에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서버(10)에 전송한다.
서버(10)의 제어부(130)는 승객 단말(20)의 현재 위치, 승객 단말(20)의 현재 위치를 수신한 때의 시간, 및 승객 단말(2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호출 패턴 유무에 기초하여 UI를 결정(S420)한다.
차량 호출을 위한 UI에는 목적지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추천할 수 있으며, 즉시 호출 기능이 노출되어 있을 수 있고, 응급 호출 기능이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S420)에 대해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일부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서버(10)의 통신부(110)가 승객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S510)한다.
제어부(130)는 승객 단말(20)의 현재 위치를 수신할 때의 시간 정보를 획득(S512)한다.
제어부(130)는 승객 단말(20)의 현재 위치 주변에서의 다른 승객 단말로부터의 호출이 있는지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 주변의 수요도를 획득(S514)한다.
제어부(130)는 호출 패턴 데이터베이스(124)에 승객 단말(20)의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S516)한다.
제어부(130)는 승객 단말(20)의 현재 위치를 수신한 때의 시간, 현재 위치 주변의 수요도, 및 승객 단말(2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호출 패턴을 고려하여 승객 단말(20)에 제공할 UI를 결정(S518)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관련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의 UI을 나타낸 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이용 위치, 이용 시점, 패턴 유무, 및 수요도에 따라 UI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현재 위치가 주 이용 장소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이용 장소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구획된 복수의 지역 중 출발지로 지정된 지역에서의 차량 호출 건수의 평균 값이 복수의 지역에서 발생한 차량 호출 건수의 평균값 이상인 지역이다. 즉, 제어부(130)는 차량 호출이 누적됨에 따라 차량 호출이 빈번한 장소와 그렇지 않은 장소를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호출이 빈번한 장소를 주 이용 장소로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현재 위치를 수신한 때의 시간이 현재 위치에서의 주 이용 시점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에서의 주 이용 시점은 현재 위치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시간대 중 어느 한 시간대의 차량 호출 건수가 복수의 시간대의 차량 호출 건수의 평균값 이상인 시점이다. 즉, 제어부(130)는 차량 호출이 누적됨에 따라 현재 위치에서 차량 호출이 빈번한 시간대와 그렇지 않은 시간대로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호출이 빈번한 시간대를 주 이용 시점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호출 패턴 데이터베이스(124)로부터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있는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호출 패턴의 이동 동선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에 근접한 장소에서의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있는지를 결정한다. 제어부(130)는 호출 패턴의 이동 동선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에 근접한 장소에서의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있으면, 호출 패턴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호출 패턴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추가적으로, 제어부(130)는 호출 패턴의 이동 동선 패턴 정보와 호출 패턴의 요일에 따른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에 근접한 장소에서 현재 위치를 수신한 때의 시간과 동일한 요일(평일/주말)인 경우의 호출 패턴이 있는지 판단한다.
즉, 제어부(130)는 호출 패턴들 중 호출 패턴에 포함된 패턴 정보가 현재 위치 및 현재 시점으로부터 판단되는 패턴 정보와 일치하는 호출 패턴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해당 호출 패턴의 이동 동선 패턴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위치에서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현재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없는 경우, 유사한 사용자의 호출 패턴을 사용하여 추천 목적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호출 패턴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와 유사한 다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호출 패턴의 이동 동선 패턴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추천 목적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들과 유사한 호출 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를 유사한 사용자로 결정하거나, 사용자의 성별, 주소, 연령 등이 유사한 사용자를 유사한 사용자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없는 경우, 즉 신규 사용자의 경우, 현재 위치에서 호출 빈도가 가장 높은 장소를 추천 목적지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현재 위치 주변에서의 차량 호출의 건수보다 현재 위치 주변에서의 차량 배차가 가능한 차량의 개수가 더 적은 경우, 수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또는 제어부(130)는 현재 위치 주변에서의 차량 호출의 건수가 소정 기준 건수 이상인 경우, 수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구획된 복수의 지역 중 현재 위치가 포함된 지역에서의 현재 시간 대의 차량 호출 건수가 복수의 지역에서 발생한 현재 시간 대의 차량 호출 건수 이상이면, 현재 위치의 수요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서버(10)의 통신부(110)는 결정된 UI에 대한 정보를 승객 단말(20)에 전송(S422)한다. 예를 들어, 결정된 UI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된 목적지 정보, 추천 목적지 정보, 각각의 기능의 노출 여부에 대한 정보, 목적지가 미리 설정된 경우 예상 대금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객 단말(20)의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42)에 결정된 UI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UI를 표시(S416)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42)에 표시된 UI를 사용하여 차량 호출을 입력하면, 무선 통신부(210)는 서버(10)에 차량 호출(S418)한다.
차량 호출(S418) 시에, 출발지, 목적지, 결제 방식 등에 대한 정보가 서버(10)에 전달된다.
그러면 서버(10)는 차량 단말(30)에 배차를 요청(S424)한다. 이때, 서버(10)는 차량 호출 시의 출발지 또는 승객 단말(20)의 현재 위치 근처의 차량 단말(30)에 배차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배차를 요청받은 차량 단말(30)은 배차를 수락(S430)한다.
배차가 수락되면 서버(10)는 승객 단말(20)과 차량 단말(30)에 배차 정보를 각각 전송(S426, S428)한다.
도 7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관련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승객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42)는 직접 호출 시 목적지가 자동으로 설정된 호출 UI(도 6의 2번 참조)를 표시한다.
호출 UI는 출발지/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차량을 직접 호출하기 위한 객체(700) 및 출발지/목적지에 대한 정보의 입력 없이 차량을 즉시 호출하기 위한 객체(702)를 포함한다. 또한, 호출 UI는 출발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창(710)과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창(712)을 포함한다. 도 7에서는 창(710, 712)에 미리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가 표시되어 있다.
호출 UI에는 지도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며, 지도 상에서 승객 단말(2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객체(720), 출발지를 나타내는 객체(722), 도착지를 나타내는 객체(724), 및 경로를 나타내는 지시선(726)이 더 표시된다.
호출 UI에는 응급 상황에서의 호출을 위한 객체(730)와 예상 대금에 대한 정보(74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42)는 직접 호출 시 목적지를 추천하는 호출 UI(도 6의 4번, 6번, 8번, 10번, 12번, 14번, 16번 참조)를 표시한다.
호출 UI는 출발지/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차량을 직접 호출하기 위한 객체(800) 및 출발지/목적지에 대한 정보의 입력 없이 차량을 즉시 호출하기 위한 객체(802)를 포함한다. 또한, 호출 UI는 출발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창(810)과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창(812)을 포함한다.
호출 UI에는 지도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며, 지도 상에서 승객 단말(2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객체(820)와 출발지를 나타내는 객체(822)가 더 표시될 수 있다.
호출 UI에는 응급 상황에서의 호출을 위한 객체(830)와 현재 위치를 다시 획득하기 위한 객체(832)가 더 표시될 수 있다.
호출 UI에는 추천 목적지를 나타내는 객체들(840a, 840b, 840c, 840d)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42)는 즉시 호출 시 목적지가 자동으로 설정된 호출 UI(도 6의 1번 참조)를 표시한다.
호출 UI는 출발지/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차량을 직접 호출하기 위한 객체(900) 및 출발지/목적지에 대한 정보의 입력 없이 차량을 즉시 호출하기 위한 객체(902)를 포함한다. 또한, 호출 UI는 출발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창(910)과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창(912)을 포함한다. 도 9에서는 창(910, 912)에 미리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가 표시되어 있다.
호출 UI에는 지도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며, 지도 상에서 승객 단말(2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객체(920)와 예상 출발지를 나타내는 객체(922)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예상 출발지는 현재 위치 근처에서 호출 패턴에 따라 자주 설정된 출발지일 수 있다. 또한, 호출 UI에는 예상 출발지 근처의 차량이 표시된 영역(928)이 더 표시될 수 있다.
호출 UI에는 응급 상황에서의 호출을 위한 객체(930)와 현재 위치를 다시 획득하기 위한 객체(932)가 더 표시될 수 있다.
호출 UI에는 추천 목적지를 더 표시하기 위한 객체(94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호출 UI에는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로의 차량 즉시 호출을 위한 객체(950)가 표시될 수 있다. 즉시 호출을 위한 객체(950)가 선택되면, 승객 단말(20)은 별도의 목적지 입력 없이도 추천 장소 중 가장 매칭률이 높은 장소로 즉시 차량을 호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42)는 즉시 호출 시 목적지를 추천하는 호출 UI(도 6의 3번, 5번, 7번, 9번, 11번, 13번, 15번 참조)를 표시한다.
호출 UI는 출발지/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차량을 직접 호출하기 위한 객체(1000) 및 출발지/목적지에 대한 정보의 입력 없이 차량을 즉시 호출하기 위한 객체(1002)를 포함한다. 또한, 호출 UI는 출발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창(1010)과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창(1012)을 포함한다.
호출 UI에는 지도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며, 지도 상에서 승객 단말(2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객체(1020)와 예상 출발지를 나타내는 객체(1022)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예상 출발지는 현재 위치 근처에서 호출 패턴에 따라 자주 설정된 출발지일 수 있다. 또한, 호출 UI에는 예상 출발지 근처의 차량이 표시된 영역(1028)이 더 표시될 수 있다.
호출 UI에는 응급 상황에서의 호출을 위한 객체(1030)와 현재 위치를 다시 획득하기 위한 객체(1032)가 더 표시될 수 있다.
호출 UI에는 추천 목적지를 나타내는 객체들(104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호출 UI에는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로의 차량 즉시 호출을 위한 객체(105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직접 호출 시에는 목적지가 결정되어야 차량 호출이 진행될 수 있으나, 즉시 호출 시에는 목적지가 결정되지 않더라도 차량 호출 객체(950, 1050)를 선택하여 차량 호출을 진행할 수 있는 차이점이 있다. 도 7에서는 직접 호출 시에 목적지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나, 미리 설정된 목적지가 사용자에 의해 확인된 후에 차량 호출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42)는 응급 호출 UI(도 6의 17번 참조)를 표시한다.
도 7 내지 도 10의 호출 UI에 표시된 응급 상황에서의 호출을 위한 객체(730, 830, 930, 1030)을 선택하면, 도 11의 응급 호출 UI가 표시될 수 있다.
응급 호출 UI는 호출 UI는 출발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창(1110)과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창(1112)을 포함한다. 도 11에서는 창(1110, 1112)에 미리 설정된 출발지와 응급 목적지가 표시되어 있다. 응급 목적지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거나, 출발지 주변의 응급실을 갖는 병원으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응급 호출 UI에는 지도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며, 지도 상에서 승객 단말(2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객체(1020)와 예상 출발지를 나타내는 객체(1022)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응급 호출 UI에는 응급 호출을 취소하기 위한 객체(1130)와 현재 위치를 다시 획득하기 위한 객체(1132)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응급 호출 UI에는 추천 응급 목적지를 나타내는 객체들(114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골퍼는 그린에 대한 정보를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고, 공의 위치와 핀의 위치를 편리하게 설정하여 공과 핀 사이의 거리, 고도차와 경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즉시 호출 기능으로 인해 이용자가 신속하게 택시를 호출할 수 있고, 영업차량의 승차 거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용자가 신속하게 택시를 배정받을 수 있고, 이용자가 편리하게 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결합된)" 또는 "커넥티드(연결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 및 "유닛"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 및 유닛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서버)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서버)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주변의 차량 호출 수요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상기 시점, 상기 수요도, 및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 유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표시되는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 호출 UI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현재 위치가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장소이고, 상기 시점이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시점이고, 상기 수요도가 높으면, 상기 차량 호출 UI를 상기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가 목적지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고 차량을 즉시 호출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즉시 호출 UI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현재 위치가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장소이고, 상기 시점이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시점이고, 상기 수요도가 낮으면, 상기 차량 호출 UI를 상기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가 목적지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직접 호출 UI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수요도가 높으면, 상기 차량 호출 UI를 상기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고 차량을 즉시 호출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즉시 호출 UI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지 않고, 상기 수요도가 높으면, 상기 차량 호출 UI를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다른 사용자의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고 차량을 즉시 호출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즉시 호출 UI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수요도가 낮으면, 상기 차량 호출 UI를 상기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는 직접 호출 UI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호출 U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지 않고, 상기 수요도가 낮으면, 상기 차량 호출 UI를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다른 사용자의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는 직접 호출 UI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호출 UI에서의 입력에 따른 차량 호출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현재 위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에 상기 차량 호출에 따른 배차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패턴은 상기 차량 호출에 기초하여 결정된, 요일에 따른 패턴 정보, 날씨에 따른 패턴 정보, 이동거리 패턴 정보, 호출 장소 유형에 따른 패턴 정보, 호출 환경에 따른 패턴 정보, 및 이동 동선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10. 통신부,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호출 패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위치 주변의 차량 호출 수요도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현재 위치, 상기 시점, 상기 수요도, 및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호출 패턴 유무에 따라 차량 호출 UI를 즉시 호출 UI 또는 직접 호출 UI로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현재 위치가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장소이고, 상기 시점이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시점이고, 상기 수요도가 높으면, 상기 차량 호출 UI를 상기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가 목적지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고 차량을 즉시 호출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즉시 호출 UI로 결정하는, 서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현재 위치가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장소이고, 상기 시점이 차량 호출이 빈번한 주 이용 시점이고, 상기 수요도가 낮으면, 상기 차량 호출 UI를 상기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가 목적지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직접 호출 UI로 결정하는, 서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수요도가 높으면, 상기 차량 호출 UI를 상기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고 차량을 즉시 호출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즉시 호출 UI로 결정하는, 서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지 않고, 상기 수요도가 높으면, 상기 차량 호출 UI를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다른 사용자의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고 차량을 즉시 호출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즉시 호출 UI로 결정하는, 서버.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수요도가 낮으면, 상기 차량 호출 UI를 상기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는 직접 호출 UI로 정하는, 서버.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호출 패턴이 저장되어 있지 않고, 상기 수요도가 낮으면, 상기 차량 호출 UI를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다른 사용자의 호출 패턴의 주로 이용하는 목적지를 목적지로서 추천하는 직접 호출 UI로 결정하는, 서버.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호출 UI에서의 입력에 따른 차량 호출을 수신하고, 상기 현재 위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에 상기 차량 호출에 따른 배차를 요청하는,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패턴은 상기 차량 호출에 기초하여 결정된, 요일에 따른 패턴 정보, 날씨에 따른 패턴 정보, 이동거리 패턴 정보, 호출 장소 유형에 따른 패턴 정보, 호출 환경에 따른 패턴 정보, 및 이동 동선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1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2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기록 매체.
KR1020210098572A 2021-07-27 2021-07-27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230016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572A KR20230016948A (ko) 2021-07-27 2021-07-27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US17/870,967 US20230031315A1 (en) 2021-07-27 2022-07-22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572A KR20230016948A (ko) 2021-07-27 2021-07-27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948A true KR20230016948A (ko) 2023-02-03

Family

ID=8503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572A KR20230016948A (ko) 2021-07-27 2021-07-27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31315A1 (ko)
KR (1) KR2023001694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31315A1 (en)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6372B2 (en) Point of interest database maintenance system
US11373126B2 (en) Vehicle dispatch system, vehicle dispatch method, server, user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201900352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hearing aid
US20140012634A1 (en) Geospatial data based assessment of fleet driver behavior
CN113660611B (zh) 定位方法和装置
JP2009537007A (ja) 移動局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の方法
TW201017121A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parture times
US20160313135A1 (en) Method, portable terminal, in-vehicle terminal and system for vehicle positioning
CN113643020A (zh) 一种电子交易的方法及终端
KR101427717B1 (ko) 스마트 통신기기와 통신 가능한 화면표시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8161533A1 (zh) 路况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90011265A1 (en) Server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route retrieval system, and computer program
US2017020012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ssisting in the delivery of products
US20080010010A1 (en) Navigation system
KR20230016948A (ko)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JP607529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移動端末
CN107835304B (zh) 控制移动终端的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20200095853A (ko) 팝업 스토어 운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190001A (ja) タクシー利用システム、タクシー利用方法、情報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US90642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items in a facility
US202401756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220049963A1 (en)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system, vehicle, medium, and method of operating information system
US20190234757A1 (en) Navigating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intersection information
WO2019117046A1 (ja) 車載装置、情報提示方法
KR20150132821A (ko) 지피에스 수신 주기 및 맵 컨텐츠 자동 최적화 설정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