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619A -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619A
KR20230016619A KR1020227037417A KR20227037417A KR20230016619A KR 20230016619 A KR20230016619 A KR 20230016619A KR 1020227037417 A KR1020227037417 A KR 1020227037417A KR 20227037417 A KR20227037417 A KR 20227037417A KR 20230016619 A KR20230016619 A KR 20230016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eans
heating
consumable
component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로드 조미니
Original Assignee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30016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소모품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서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5)를 획정하는 구조체(3)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기화기 구성요소(1)에 관한 것이고, 소모품은 구조체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는 구조체의 적어도 내부 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한다. 기화기 구성요소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 또는 메시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가열 수단(37, 39), 이들 사이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윅 구조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
본 개시내용은, 사용자가 흡입할 에어로졸 또는 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용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더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또는 가열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흡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US2019/0216129호는 가열기 및 가열기에 의해 기화될 액체를 포함하는 저장소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개시한다. 저장소는 액체를 수용하는 메시를 포함한다.
US2017/0215479호는 점성 왁스를 수용하기 위한 너브(nub)가 구비된 공동, 하단 코일 가열기 및 벽에 내장된 가열 와이어를 포함하는 가열 구성요소를 개시한다.
US2016/0324215호는 전기 저항성 물질이 상부의 트랙에 프린팅된 폴리머 기재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가열 구성요소는 증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소모품 또는 캡슐을 수용하지 못하고 효율적인 기화를 위해 가열 구성요소로의 증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배출하지 못한다.
따라서, 배경기술은 복수의 결함 및 문제점을 제기하고 본 개시내용은 이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양상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기화기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또는 가열 구성요소는 소모품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서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를 획정하는 구조체를 포함하고, 소모품은 구조체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고,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wick structure)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는 구조체의 적어도 내부 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또는 가열 구성요소는 제1 가열 수단 및 제2 가열 수단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는 제1 및 제2 가열 수단 사이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제1 및/또는 제2 가열 수단은 편복형(braided)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 또는 메시형 구조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진다.
본 개시내용의 기화기 구성요소는 증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 또는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소모품 외부에서 가열될 증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게 하고 따라서 더 효율적인 기화 및 에어로졸 생성을 보장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구조체는 챔버를 획정하기 위해 연장되는 기저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는 기저부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거나 또는 이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벽 및/또는 기저부를 완전히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벽이 제1 말단부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어 소모품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제2 말단부에서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말단부는 소모품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는 개구와 제1 말단부 사이 또는 개구와 기저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벽의 내부면을 따라 연장되거나, 또는 개구와 제1 말단부 사이 또는 개구와 기저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벽의 내부면을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는 제1 및/또는 제2 가열 수단과 열 접촉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및/또는 제2 가열 수단이 구조체의 적어도 외부 부분 또는 구조체의 적어도 내부 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가열 수단이 기저부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되거나 또는 기저부를 획정하고, 제2 가열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벽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는 오직 제1 및 제2 가열 수단 사이에서 연장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가열 수단이 제1 말단부에 위치되고, 제2 가열 수단이 개구와 제1 말단부 사이에 또는 개구를 획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의 제2 말단부에 위치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가열 수단이 기저부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되거나 또는 기저부를 획정하고, 제2 가열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벽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및 제2 가열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벽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및/또는 제2 가열 수단은 모세관 작용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편복형 와이어 가열 구성요소 또는 메시형 구조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진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편복형 와이어 가열 구성요소 또는 메시형 구조체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고 모세관 작용에 의해 기화 가능한 물질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개방 구멍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벽이 상향으로 그리고 횡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되어 소모품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벽이 상향으로 그리고 횡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되어 소모품을 수용하기 위한 절두형 및/또는 테이퍼형 챔버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구조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의 범위를 정하거나; 또는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원주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및 제2 가열 수단이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위치되어 2개의 별개의 가열 구역을 획정해서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의 구성 성분의 선택적인 증발을 위해 구조체에 걸쳐 온도 구배 또는 차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기화기 구성요소는 소모품으로부터 구조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 또는 가열 수단 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소모품 천공 기구 또는 소모품 개방 기구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소모품 천공 기구 또는 소모품 개방 기구는 소모품으로부터 구조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 또는 가열 수단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의 모세관 배출을 허용하는 구멍을 소모품에서 획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소모품 천공 기구 또는 소모품 개방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벽의 제1 말단부로 또는 기저부로,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의 모세관 변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벽을 따라 상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구조체는 제1 및 제2 가열 수단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가열 수단은 구조체 상에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 연통 경로를 따라 개별적으로 위치되고, 제1 가열 수단은 제1 기화 가열 온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2 가열 수단은 제1 기화 가열 온도와는 상이한 제2 기화 가열 온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및 제2 가열 수단이 연장되어 챔버의 적어도 하나의 벽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및 제2 가열 수단의 각각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챔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의 부분을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가열 수단이 제1 및 제2 말단부 사이에 있고, 제2 가열 수단이 제1 가열 수단과 제2 말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및 제2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 또는 메시형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엮인 또는 꼬인 네트워크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 및/또는 제2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는 편복형 와이어 및 편복형 와이어가 부착되는 가요성 기재 또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편복형 와이어 및 편복형 와이어가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구조체는 절두형 및/또는 테이퍼형 챔버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구조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의 홀더의 범위를 정하거나; 또는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원주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및 제2 가열 수단(37, 39)의 각각이 개별적으로 연장되어 챔버(5)의 일부를 각각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가 제1 말단부 및/또는 제2 말단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이의 범위를 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소모품 시스템이 제공되고, 소모품 시스템은 기화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소모품 시스템은 기화기 구성요소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모품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소모품은 가열기가 없는 소모품 또는 가열 구성요소가 없는 소모품이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소모품을 수용하기 위한 기화기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의해 획정된 개구가 적어도 하나의 소모품보다 더 넓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의 횡방향 증발을 용이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소모품이 밸브 또는 막을 포함하고, 소모품 천공 기구 또는 소모품 개방 기구가 밸브를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막을 천공하기 위한 작동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소모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의 범위를 정하거나; 또는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원주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기화기 구성요소 및/또는 소모품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기화기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공동부, 및 기화 가능한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제1 및 제2 가열 수단으로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제1 가열 수단 및/또는 제2 가열 수단과 접촉하거나 또는 밀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양상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를 위한 가열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조립체는 제1 가열기 또는 가열 수단, 제2 가열기 또는 가열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홀더를 획정하는 구조체를 포함한다. 구조체가 제1 및 제2 가열기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가열기가 구조체 상에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 연통 경로를 따라 개별적으로 위치된다. 제1 가열기가 제1 기화 가열 온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2 가열기가 제1 기화 가열 온도와는 상이한 제2 기화 가열 온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가열 조립체는 흡입 디바이스의 증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충하기 위한 더 편리한 방식을 흡입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보장한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르면, 제1 및 제2 가열기가 연장되어 홀더의 적어도 하나의 벽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및 제2 가열기의 각각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홀더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의 부분을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구조체가 제1 말단부 및 제2 말단부를 포함하고, 제1 가열기가 제1 및 제2 말단부 사이에 있고, 제2 가열기가 제1 가열기와 제2 말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가열기가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지고/지거나 제2 가열기가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진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및 제2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엮인 또는 꼬인 네트워크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 및/또는 제2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는 편복형 와이어 및 편복형 와이어가 부착되는 가요성 기재 또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편복형 와이어 및 편복형 와이어가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구조체는 절두형 및/또는 테이퍼형 홀더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구조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의 홀더의 범위를 정하거나; 또는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원주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소모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홀더를 획정하고, 제1 및 제2 가열기의 각각이 개별적으로 연장되어 홀더의 일부를 각각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가 구조체의 적어도 내부 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홀더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는 제1 및 제2 가열기 사이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는 제1 말단부 및/또는 제2 말단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이의 범위를 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소모품이 제공된다. 소모품이 가열 조립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구조체가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캡슐로 이루어지고, 캡슐이 제1 및 제2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각각이 캡슐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연장된다.
본 개시내용의 가열 조립체는 제조하기가 비교적 덜 복잡한 소모품의 제공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가열 조립체를 수용하는 공동부, 및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제1 및 제2 가열기로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제1 가열기 및 제2 가열기와 접촉하거나 또는 밀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거나;
또는
소모품을 수용하기 위한 챔버, 및 기화 가능한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제1 및 제2 가열기로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소모품의 제1 가열기 및 제2 가열기와 접촉하거나 또는 밀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위의 목적과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 그리고 본 발명을 실현하는 방식이 보다 명백해질 것이고, 본 발명 자체는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의 연구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시하고, 위에 제공된 일반적인 설명 및 아래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소모품을 수용하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가열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내부에 수용된 소모품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부분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 및 내부에 수용된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소모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7b는 도 7a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의 추가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1a는 소모품이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에 수용되는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11b는 내부에 수용된 소모품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소모품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부분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 및 소모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양상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소모품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a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말단부를 수용하고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인클로저 프로파일을 획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b는 획정된 인클로저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c는 복수의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가 인클로저 프로파일을 획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의 예시적인 기구를 도시한다. 도 17d는 또한 복수의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가 인클로저 프로파일을 획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의 예시적인 방식을 도시한다. 도 17e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인클로저 프로파일을 수용하고 획정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적인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a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에 부착된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8b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에 포함된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획정된 인클로저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말단부 간의 압입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인클로저 프로파일을 획정하기 위한 대안적인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은 길이(l1)의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 및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와 접촉하고 거리(d1)만큼 이격된 전기 연결기 또는 접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은 하나 이상의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부분을 통해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2a 및 도 22b는 소모품으로부터의 증기 물질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소모품 천공 기구 또는 소모품 개방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예시적인 편복 패턴을 도시한다. 도 23a는 허큘리스 편복 또는 삼중 중첩 편복을 도시하고, 도 23b는 규칙적인 편복 또는 이중 중첩 편복을 도시하고 도 23c는 다이아몬드 편복 또는 단일 중첩 편복을 도시한다. 도 23d는 3개의 편복된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에 의해 획정된 또 다른 예시적인 패턴을 도시한다. 도 23e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편복 구조의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불규칙적인 또는 불균일한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4a 및 도 24b는 본 개시내용의 편복형 구조체 또는 네트워크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패턴 및 프로파일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메시 패턴을 도시한다. 도 25a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개구의 범위가 정해진 다이아몬드 패턴을 도시한다. 도 25b는 정사각형 형상의 개구의 범위가 정해진 정사각형 패턴을 도시한다. 도 25c는 벌집 형상의 개구의 범위가 정해진 벌집 패턴을 도시한다.
도 26a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가열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6b는 도 26a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8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소모품을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부분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공통인 동일한 구소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가능한 경우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또한, 이미지는 예시를 위해 간략화되고 축척에 맞지 않게 도시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1)(또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구성요소), 또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1)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다. 도면은 기호적 표현으로 상이한 컴포넌트를 가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1)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흡입 디바이스 또는 전자 담배에서 사용되거나 또는 이것에 포함된다.
기화기 구성요소(1)는 구조체(3) 및 챔버(5) 내부에 소모품(CR)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 공동부 또는 홀더(5)를 획정하는 구조체 또는 본체(3)를 포함한다.
용어 "소모품"은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캡슐, 포드 또는 물품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소모품(CR)은 증발되거나 또는 기화될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용어 "기화 가능한 물질"은 최대 400℃, 바람직하게는 최대 350℃의 온도에서 기화 가능한 임의의 물질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기화 가능한 물질은,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액체, 겔 또는 왁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모품(CR)은 구조체(3)로부터 제거 가능하거나 또는 완전히 제거 가능하다.
구조체(3)는, 예를 들어, 가요성일 수 있다. 구조체(3)는, 예를 들어, 소모품(CR)을 내부에 수용하고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바구니 유사 홀더 또는 나셀 유사 홀더를 획정한다.
구조체(3)는 소모품(CR)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고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윅 또는 위킹(wicking) 구조체(7) 또는 복수의 윅 또는 위킹 구조체(7)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독으로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윅 구조체(7)가 구조체(3)의 적어도 내부 부분(IP)을 따라 연장되어 챔버(5)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거나 또는 챔버(5)를 완전히 획정한다.
구조체(3)는 챔버(5)를 획정하기 위해 연장되는 기저부(9)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11)을 포함한다. 윅 구조체(7)는 기저부(9)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획정한다.
윅 구조체(7)는 기저부(9)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11)을 따라 연장되고 이들을 완전히 획정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폐쇄된 기저부(9)를 획정할 수 있다.
제1 윅 구조체(7A)가, 예를 들어, 기저부(9)를 획정할 수 있고 제2 윅 구조체(7B)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벽(11)을 획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윅 구조체(7A, 7B)는, 예를 들어, 루프형 와이어 부착부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부착 기구를 사용하여 함께 부착될 수 있다.
벽(11)은 제1 또는 하부 말단부(15)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상향으로 연장되어 제2 또는 상부 말단부(19)에서 소모품(CR)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17)를 획정한다. 벽(11)은 제1 또는 하부 말단부(15)로부터 외향으로 중심축(C)(예를 들어, 도 1a 참조)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윅 구조체(7)는 개구(17)와 하부 말단부(15) 사이, 또는 개구(17)와 기저부(9) 사이에서 벽(11)의 적어도 내부면을 따라 연장된다. 윅 구조체(7)는 개구(17)와 하부 말단부(15) 사이, 또는 개구(17)와 기저부(9) 사이에 벽(11)의(또는 각각의 벽(11)의) 내부면을 획정할 수 있다.
윅 구조체(7)에 의해 획정된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복수의 부분은 소모품(CR)의 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소모품(CR)의 일부와 직접적으로 대면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위치된다.
윅 구조체(7)는 기저부(9)의 내부면을 획정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개구(17)와 하부 말단부(15) 사이, 또는 개구(17)와 기저부(9) 사이에 벽(11)의(또는 각각의 벽(11)의) 외부면을 부가적으로 획정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기저부(9)의 외부면을 부가적으로 획정할 수 있다.
구조체(3)의 제1 또는 하부 말단부(15) 또는 기저부(9) 및/또는 벽 또는 벽들(11)은 소모품(CR)으로부터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구조체(3)의 윅 구조체(7)는 소모품(CR)으로부터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윅 구조체(7)는 소모품(CR)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으로부터 배출된 기화 가능한 물질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수용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구성된다. 윅 구조체(7)는 벽(11)의 내부면 및/또는 기저부(9)의 내부면의 소모품(CR)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으로부터 배출된 기화 가능한 물질을 직접적으로 수용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구성된다.
도 1a는 기화기 구성요소(1)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기화기 구성요소(1)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소모품(CR)을 수용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1b는 기화기 가열 구성요소(1) 내부에 수용된 소모품(CR)을 도시한다. 소모품(CR)은, 예를 들어, 소모품(CR)을 구조체(3)에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벽(11)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밀봉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윅 또는 위킹 구조체(7)가 연장되어 기저부(9) 및 벽(11)을 완전히 획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를 도시한다.
윅 또는 위킹 구조체(7)는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모세관 작용에 의해 또는 모세관력에 의해 윅 구조체(7)를 통해 기화 가능한 물질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윅 구조체(7)는 모세관 압력을 생성하여 기화 가능한 물질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기화 가능한 물질의 모세관 변위는 액체 상태의 물질에서 수행된다. 액체로서 소모품(CR)에 의해 이미 제공되지 않았다면, 예를 들어, 가열기에 의해 제공되는 열 에너지는, 예를 들어, 소모품이 왁스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 액체 상태로의 변화를 보장한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복수의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는, 예를 들어, 함께 부착되어 부착된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웹 또는 네트를 획정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또는 모세관력에 의해 윅 구조체(7)에서 기화 가능한 물질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개방 구멍 또는 개구를 획정하기 위해 연장될 수 있다. 개방 구멍 또는 개구는, 예를 들어, 10㎛ 내지 1000㎛ 또는 10㎛ 내지 500㎛의 개구 폭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스트랜드(23)가, 예를 들어, 엮이거나, 꼬이거나 또는 혼합 직조되어 복수의 구멍을 획정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전기 비전도성 물질 또는 저 전도율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이루어진다. 스트랜드(23)는, 예를 들어, 전기 비전도성 물질 또는 저 전도율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이루어진다. 스트랜드(23)는, 예를 들어, 비금속성이다. 스트랜드(23)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면직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편복형 구조체,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그리고 본 개시내용에서 나중에 설명되는 편복형 구조체를 획정하거나 또는 포함할 수 있고, 이의 예는 도 23 및 도 24에 예시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부착된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웹 또는 네트를 획정하기 위해 함께 부착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이루어진 메시 또는 메시형 구조체(7)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시형 구조체(7)는 적어도 2개의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가 교차하는 복수의 교차점(25)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형 구조체(7)는 부착된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 사이에 복수의 개방 공간 또는 구멍(27)을 포함한다.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가, 예를 들어, 도 25a 내지 도 25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함께 부착되어 부착된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 사이에 복수의 개방 공간 또는 구멍(27)을 획정한다.
개방 공간 또는 구멍(27)은, 예를 들어, 10㎛ 내지 1000㎛ 또는 10㎛ 내지 500㎛의 개구 폭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들 사이에 획정된 복수의 개방 공간 또는 구멍(27)은, 예를 들어, 모세관 작용에 의해 또는 위킹에 의해 메시(7)를 따라 기화 가능한 물질을 변위시키거나 또는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는, 예를 들어, 함께 엮이거나 또는 혼합 직조된다. 부착된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는, 예를 들어, 이들의 교차점(25)에서 함께 퓨징되거나, 루핑되거나, 혼합 직조되거나, 편조되거나 또는 매듭지어질 수 있다.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는,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이동하기 위해 고정되거나 또는 교차점(25)에서 서로 위에서 또는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기 위해 고정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메시(7)는 복수의 개구 또는 구멍(27)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획정하기 위해 연장되는 단일의 연속적인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가, 예를 들어, 함께 부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패턴 또는 복수의 패턴을 획정할 수 있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메시 패턴을 도시한다. 도 25a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개구(27)의 범위가 정해진 다이아몬드 패턴을 도시하고, 도 25b는 정사각형 형상의 개구(27)의 범위가 정해진 정사각형 패턴을 도시하고, 도 25c는 벌집 형상의 개구(27)의 범위가 정해진 벌집 패턴을 도시한다.
윅 또는 메시형 구조체(7)는, 예를 들어, 직조 구조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혼합 직조된 스트랜드, 실, 스레드 또는 필라멘트(23)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혼합 직조된 스트랜드, 실, 스레드 또는 필라멘트(23)가, 예를 들어, 혼합 직조되어 평직 패턴, 능직 패턴, 수자직 패턴, 바구니 직조 패턴 또는 거즈 직조 패턴을 획정할 수 있다.
스트랜드, 실 또는 필라멘트(23)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면직물 또는 금속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금 또는 강, 또는 알루미늄, 구리, 금 또는 강 중 임의의 금속성 합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독립 구조체 또는 자가-지지부일 수 있다. 윅 또는 메시 구조체(7)는, 예를 들어, 하부 또는 내부 지지부 또는 프레임워크 상에 미부착되거나 또는 비고정된다.
대안적으로, 구조체(3)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윅 구조체(7)가 부착되거나 또는 고정되는,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 또는 지지 구조체(FS)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체(3)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기둥, 필라 또는 지지부, 예를 들어,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필라(31A, 31B)를 포함할 수 있다. 필라 또는 지지부(31)는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또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 중 임의의 금속성 합금); 또는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고온 저항성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라(31A, 31B)가 상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윅 구조체(7)에 각각 부착되거나, 고정되거나 또는 연결된다. 필라(31A, 31B)는 윅 구조체(7)의 개구(예를 들어, 개구(27))를 통해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윅 구조체(7)의 내부 또는 외부 측면 또는 표면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윅 구조체(7)의 상부 및/또는 하부 말단부(15, 19)에 부착될 수 있다.
필라 또는 필라들(31A, 31B)은, 예를 들어, 윅 구조체(7)에 용접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필라 또는 필라들(31A, 31B)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부착 기구, 예를 들어, 윅 구조체(7)에, 예를 들어, 윅 구조체(7)의 상부 및/또는 하부 말단부(15, 19)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클램프 또는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기구는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또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 중 임의의 금속성 합금); 또는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고온 저항성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착 기구(11)는, 예를 들어, 또한 임의로 원한다면, 필라(31)로부터 부착되는(윅 구조체(7)인) 물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절연체, 예를 들어, 전기 절연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필라(31)가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되지만,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1)는, 예를 들어, 대칭으로 또는 비대칭으로 이격된, 2개 초과의 필라, 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의 필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윅 구조체(7)는 필라(31A, 31B)에 개별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필라 상에 개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구조체(3)는 또한, 예를 들어, 필라(31A, 31B)의 하부 말단부에서 필라(31A, 31B)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부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33)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또한 예를 들어, 필라(31A, 31B)의 상부 말단부에서 필라(31A, 31B)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부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35)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중간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이 존재할 수 있다. 하부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33)은 구조체(3) 및 기화기 구성요소(1)의 기저부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할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35)은 개구(17)의 일부를 획정할 수 있고 개구를 통해 소모품(CR)이 기화기 구성요소(1)에 삽입된다.
하나 이상의 윅 구조체(7)는 하부 및/또는 상부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33, 35)에 부착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하부 프레임(33)에 의해 획정된 오리피스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덮을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6b 참조). 상부 프레임(35)에 의해 획정된 오리피스는 소모품이 내부에 수용되게 하도록 덮이지 않은 채로 있다.
하부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15) 및 상부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17)은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또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 중 임의의 금속성 합금); 또는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고온 저항성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와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화기 구성요소(1) 또는 구조체(3)는 또한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가열 수단(또는 가열기 또는 가열기 구성요소)(37, 39)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기(37, 39)는 구조체(3) 상에 개별적으로 위치된다. 하부 가열 수단(37)과 상부 가열 수단(39)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가열기의 비제한적인 예가 도 2에 도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 또는 복수의 윅 구조체(7)는 가열 수단(37, 39)과 열접촉한다.
가열 수단(37, 39)이, 예를 들어, 구조체(3)의 적어도 외부 부분을 따라 연장되고/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내부 부분(IP)을 따라 연장되어 챔버(5)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획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수단(37)은 기저부(9)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기저부(9)를 획정할 수 있거나 또는 이의 부분을 획정할 수 있다.
가열 수단(37)은 기저부(9)를 획정할 수 있거나 또는 이의 부분을 획정할 수 있고 소모품(CR)으로부터 증발되거나 또는 기화될 기화 가능한 물질을 직접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위치될 수 있다. 윅 구조체(7)가 가열 수단(37)의 적어도 일부 위에 존재하거나 또는 부재하여 가열 수단(37)이 증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직접적으로 수용하게 할 수 있다.
가열 수단(37) 및 윅 구조체(7)(또는 이의 일부)는 기화기 구성요소(1) 또는 구조체(3)의 기저부(9)를 획정할 수 있다. 윅 구조체(7) 또는 메시(7)의 일부는, 예를 들어, 가열 수단(37) 위에 그리고/또는 가열 수단(37)과 수용될 소모품(CR)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가열 수단(37)은 소모품(CR)의 기저부, 하부 부분 또는 하부 정점 아래에 직접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가열 수단, 예컨대, 상부 가열 수단(39)이 적어도 하나의 벽(11)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가열 수단(39)이 적어도 하나의 벽(11)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복수의 부분을 획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가열 수단(39)이 적어도 하나의 벽(11)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할 수 있거나 또는 오직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열 수단은 각각 챔버(5)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할 수 있다.
기화기 구성요소(1) 또는 구조체(3)는, 예를 들어, 제1 또는 하부 가열 수단(37) 및 제2 또는 상부 가열 수단(39)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는 제1 및 제2 가열 수단(37, 39) 사이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오직 제1 및 제2 가열 수단(37, 39)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열 수단(37)이, 예를 들어, 기화기 구성요소(1)의 하부 말단부(15)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가열 수단(39)이, 예를 들어, 개구(17)(또는 상부 말단부(19))와 하부 말단부(1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가열 수단(39)은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상부 말단부에 있을 수 있고 개구(17)를 획정할 수 있다.
구조체(3)는 기저부(9)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되거나 또는 기저부를 획정하거나 또는 이의 부분을 획정하는 제1 가열 수단(37); 및 적어도 하나의 벽(11)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제2 가열 수단(39)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수단(37, 39)은 윅 구조체(7)에 부착되고 윅 구조체(7)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부착은, 예를 들어, 기계적 부착이다.
부착은 부착 기구, 예컨대, 스티칭 또는 복수의 환형 또는 루프형 부착부를 사용하여 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스레드는 윅 구조체(7)와 가열 수단(37, 39)을 함께 부착하거나 또는 스티칭하기 위해 윅 구조체(7)와 가열 수단(37, 39) 둘 다의 말단부에 위치된 부분 또는 복수의 부분을 통해 연장되거나 또는 루핑될 수 있다. 와이어/스레드는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또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 중 임의의 금속성 합금); 또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고온 저항성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와이어, 스트랜드 또는 구멍이 윅 구조체(7)와 가열 수단(37, 39) 둘 다에 포함되어 윅 구조체(7)와 가열 수단(37, 39)이, 예를 들어, 윅 구조체(7)와 가열 수단(37, 39)의 각각을 통과하는 스티칭 또는 복수의 폐쇄된 환형 또는 루프형 부착부를 사용하여 서로 부착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가열 수단(37, 39)은 윅 구조체(7)와 동일한 프레임워크 또는 지지 구조체(FS)에 부착될 수 있다. 가열 수단(37, 39)은 윅 구조체(7)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즉,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부착 기구를 사용하여 지지부(9)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는 구조체(3)가 기저부(9)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되거나 또는 기저부(9)를 획정하는 제1 가열 수단(37) 및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제2 가열 수단(39)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구조체(3)는 또한 상부 윅 구조체(7B) 및 하부 윅 구조체(7A)를 포함한다. 제2 가열 수단(39)은 상부 윅 구조체(7B)의 하부 섹션 및 하부 윅 구조체(7A)의 상부 섹션에 부착된다. 제1 가열 수단(37)은 하부 윅 구조체(7A)의 하부 섹션에만 부착된다.
대안적으로, 프레임워크 또는 프레임워크 구조체(41)는 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가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 및 도 4 참조). 프레임워크 또는 프레임워크 구조체(41)는,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41)의 하부 섹션 또는 기저부에 부착된 제1 가열 수단(37) 및 프레임워크(41)의 중간 섹션 또는 다른 섹션에 부착된 제2 가열 수단(39)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 또는 프레임워크 구조체(41)는, 이전에 설명되고 예를 들어,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프레임워크 또는 프레임워크 구조체(FS)와 예를 들어,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1 가열 수단(37)은, 예를 들어, 하부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33)에 부착되고 제2 가열 수단(39)은 하부 프레임(33)과 상부 프레임(35) 사이의 위치에서 필라(31A, 31B)에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은 임의로 중간 프레임 또는 인클로저(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형태 끼워맞춤 또는 압입 끼워맞춤에 의해 프레임워크 구조체(41)에 부착될 수 있다. 윅 구조체가,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 구조체(41)에 상보적인 또는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서 윅 구조체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워크 구조체(41) 내부에 꼭 맞게 수용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레임워크 구조체(41)가, 예를 들어, 윅 구조체(7)에 상보적인 또는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서 프레임워크 구조체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윅 구조체(7) 내부에 꼭 맞게 수용되게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착 기구, 예컨대, 클립 또는 클램프가 또한 포함되어,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 구조체(41)의 일부를 윅 구조체(7)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부착시킬 수 있다. 구조체(3)가, 예를 들어, 이전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구조체(3)일 수 있고, 독립형 윅 구조체(7)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프레임워크 구조체(FS)를 포함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도 1a, 도 1b와 도 3 및 도 4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추형 구조를 획정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기, 또는 제1 및 제2 가열기(37, 39)는, 예를 들어, 유체 또는 액체 연통되게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유체 또는 액체 상호연결부를 통해 상호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열기(37, 39)는 기화 가능한 물질 및 소모품(CR)에 의해 제공된 액체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 연통 경로/궤적(FCP) 또는 유체 흐름 경로/궤적(FCP)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유체 연통 경로(FCP)는 액체가 소모품(CR)으로부터 구조체(3) 또는 가열기(37, 39) 상으로 배출될 때 액체가 연장되거나 또는 흐르는 경로 또는 궤적을 획정한다.
유체 연통 경로(FCP)는, 예를 들어, 제1 가열기(37)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및 제2 가열기(39)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또는 제1 가열기(37)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제2 가열기(39)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및 제1 및 제2 가열기(37, 39) 사이의 윅 구조체(7)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를 통해/따라 지나갈 수 있다.
도 2는 기화기 구성요소(1)의 유체 연통 경로(FCP)의 위치의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유체 연통 경로(FCP)는, 예를 들어, 가열 수단 및 윅 구조체(7),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가열 수단(37, 39) 및 윅 구조체(7)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오직 포함하거나 또는 이를 통해/따라 지나갈 수 있다.
유체 연통 경로(FCP)는, 예를 들어, 유도 또는 전자기 방사 가열을 통해 가열되는 구조체(3)를 위해, 예를 들어, 윅 구조체(7)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오직 포함하거나 또는 이를 통해/따라 지나갈 수 있다.
유체 연통 경로(FCP)는 소모품의 배출 구멍 또는 오리피스와 연관되거나 또는 이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배출 구멍 또는 오리피스를 통해 액체 또는 기화 가능한 물질이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배출된다.
유리하게는, 복수의 가열 수단(37, 39)(또는 각각의 가열 수단(37 ,39)이 상이한 기화 가열 온도를 생성하여 상이한 온도에서 액체 또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가열 수단(37)은 제1 기화 가열 온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가열 수단(39)은 제1 기화 가열 온도와는 상이한 제2 기화 가열 온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열 수단(37)은 제2 가열 수단(39)보다 더 낮거나 또는 더 높은 가열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가열 수단(37)은 상부 가열 수단(39)보다 더 높은 가열 온도를 제공하는 저항값 또는 저항률값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그 역도 가능하다.
따라서 액체 또는 기화 가능한 물질이 유체 연통 경로(FCP)를 따라 연장됨에 따라 액체 또는 기화 가능한 물질은 상이한 온도에서 기화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열 수단(37, 39) 또는 복수의 가열 수단(37, 39)은, 예를 들어, 모세관 작용에 의해 또는 모세관력에 의해 소모품으로부터 수용된 액체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열 수단(37, 39)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와이어, 필라멘트 또는 스트랜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가열 와이어, 필라멘트 또는 스트랜드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또는 모세관력에 의해 가열기/가열 수단(37, 39)에서 액체 또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개방 구멍 또는 개구를 획정하기 위해 연장될 수 있다. 개방 구멍 또는 개구는, 예를 들어, 10㎛ 내지 1000㎛ 또는 10㎛ 내지 500㎛의 개구 폭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와이어, 필라멘트 또는 스트랜드는, 예를 들어, 엮이거나, 꼬이거나 또는 혼합 직조되어 복수의 구멍을 획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수단(37, 39)에 전류를 통과시킴으로써 오믹 또는 저항 가열을 통해 열이 생성될 수 있다.
가열 수단(37, 39)은,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는, 예를 들어, 금속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금, 은 또는 강, 또는 알루미늄, 구리, 금 또는 강 중 임의의 금속성 합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기/가열 수단 물질의 전기 전도율은, 예를 들어, 액체 또는 기화 가능한 물질의 전기 전도율보다 더 높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2 내지 10배 더 높을 수 있다. 가열기/가열 수단에 제공되는 전류가 가열기/가열 수단을 통해 흘러서 액체의 기화를 위한 열을 생성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열은 가열 수단(37, 39) 및/또는 윅 구조체 또는 구조체(7)에 의해 유도 또는 전자기 방사 가열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윅 구조체(7)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지고 위에서 언급된 가열 수단(37, 39)을 포함하지 않는 구조체(3)가 유도 또는 전자기 방사 가열을 통해 기화를 위한 열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윅 구조체(7)뿐만 아니라 가열 수단(37, 39)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진 구조체(3)는 하나 이상의 윅 구조체(7) 내 유도 또는 전자기 방사 가열을 통해 기화를 위한 열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는, 예를 들어, 동시에, 가열 수단(37, 39)을 통한 (i) 유도 또는 전자기 방사 가열 및/또는 (ii) 오믹 가열을 통해 열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상이한 기화 온도가 기화기 구성요소(1)의 상이한 위치에서 획득되게 한다.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가열 수단(37, 39)은, 예를 들어, 윅 구조체(7)의 것과 구별되는 구조체(3)에 부분 또는 섹션을 획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가열 수단(37, 39)은, 예를 들어 윅 구조체(7)가 유도 또는 전자기 방사 가열을 통해 열을 생성할 때 윅 구조체(7)의 것에 특유한 하나 이상의 온도(또는 온도 범위)에서 가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가열 수단(37, 39)의 구성 물질의 저항률 및 가열 수단(37, 39)의 구성 요소(예컨대,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의 물리적 치수(길이, 두께, 원주)의 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기화기 구성요소(1)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는 또한 예를 들어, 교류 전자기장 또는 전자기 방사선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발전기뿐만 아니라 생성된 전자기 방사선의 흡수 후 열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서셉터는 하나 이상의 가열 수단(37, 39) 및/또는 윅 구조체 또는 구조체(7)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챔버에 위치되고, 액체 또는 기화 가능한 물질의 기화를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서셉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가열 수단(37, 39) 및/또는 윅 구조체 또는 구조체(7)로의 열 전달을 허용하기 위해 위치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는, 예를 들어,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가열 수단(37, 39) 및/또는 윅 구조체 또는 구조체(7)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흡수체 구성요소 또는 층에서 흡수하기 위한 전자기 방사선을 제공하는 광학 전자기 방사선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흡수체 구성요소 또는 층은 광학 전자기 방사선 공급원의 방출된 전자기 방사선을 흡수하고 증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기화시킬 수 있는 열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광학 전자기 방사선 공급원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예컨대, 다이오드 레이저)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전력 LED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수체 구성요소 또는 층의 제공은, 광학적 전자기 방사선이 열(소스 파장에서 본질적으로 흡수됨)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가열 수단(37, 39) 및/또는 메시 구조체 또는 구조체(7)의 구성 물질에 의해 흡수되는 경우에 필요하지 않다.
구조체(3)의 윅 구조체 또는 구조체(7)가 열 에너지를 생성하여 증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기화시키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가열 수단(37, 39)이 구조체(3)에 부재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가열 수단(37)은, 예를 들어, 기화기 구성요소(1)의 기저부(9)를 획정하기 위해 연장되는 평면/고체 본체 또는 플레이트(51)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지는 하단 또는 하부 가열기(37)일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7 참조). 평면 본체(51)가 연장되어,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1)의 기저부(9)를 폐쇄한다. 세장형 본체(51)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1)로의 소모품(CR)의 삽입 방향(ID)(예를 들어, 도 1a 참조)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평면으로 연장된다.
평면 본체(51)는 소모품(CR)으로부터 기화 가능한 물질 또는 액체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상부면(53)을 획정한다. 평면 본체(51)는 또한 예를 들어, 부재, 예컨대, 핀(57)이 부착될 수 있는 하부면(55)을 획정한다. 핀(57)은, 예를 들어, 가열기(37)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내부에 부착되게 하도록 그리고/또는 전류를 가열기(37)에 제공하기 위한 전기 접점을 획정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윅 구조체(7), 예를 들어, 하부 윅 구조체(7A)는, 예를 들어, 클램핑에 의해 또는 구멍 또는 후크가 평면 본체(51) 상에, 예를 들어, 평면 본체(51)의 주변부 주위에 제공되는 하부 윅 구조체(7A)의 하부 섹션을 상호연결하는 상호연결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에 의해, 이전에 설명된 부착 기구를 사용하여 평면 본체(51)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부 윅 구조체(7A)가 연장되어 평면 본체(51)를 둘러싸고 하부면(55) 아래에서 연장되고 하부면(55) 및/또는 핀(57)에 부착될 수 있다.
하부 윅 구조체(7A)는, 예를 들어, 상부면(53)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하부 윅 구조체(7A)는, 예를 들어, 평면 본체(51)의 주변부의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것은 윅 구조체(7A) 및 벽(11)을 따른 액체 또는 기화 가능한 물질의 변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상향으로 그리고 예를 들어, 벽(11)의 섹션을 획정하는 제2 가열기(39)를 향한 증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변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평면 본체(51)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열 와이어를 포함하여 가열 와이어를 통해 전류를 통과시킴으로써 오믹 또는 저항 가열을 통해 열을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가열기(37)는 위에서 이전에 설명된 방식으로 유도 또는 전자기 방사 가열을 통해 열을 생성할 수 있다.
평면 본체(51)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 또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 중 임의의 금속성 합금,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기/가열 수단(37, 39)은, 예를 들어, 상세사항이 본 개시내용에서 이전에 제공되고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도 25a 내지 도 25c에 도시되는, 메시 또는 메시형 구조체, 예를 들어, 메시 구조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가열 수단은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벽(11)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제2 또는 상부 가열 수단(39)은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가열 수단(37, 39)은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 상부 개구(121) 및 하부 개구(123)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진다(예를 들어, 도 17a 내지 도 17c 참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예를 들어, 인클로저(119)뿐만 아니라 상부 개구(121) 및 하부 개구(123)를 획정한다.
인클로저(119)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지하는 소모품(CR)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가열기의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예를 들어, 소모품이 가열 구성요소(1)에 배치될 때 소모품(CR)의 적어도 일부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 또는 복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진다(예를 들어, 도 17a 내지 도 17d 참조).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제1 길이방향 말단부(124A) 및 제2 길이방향 말단부(124B)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제1 및 제2 말단부(124A, 124B)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또는 세로로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예를 들어, 밴드 또는 벨트를 획정한다.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또한 상부 주변부(125A) 및 하부 주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주변부와 하부 주변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길이방향 말단부(124A, 124B)는 부착 기구(111)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기구(111)는, 예를 들어, 도 17a 및 도 17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부(124A, 124B)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클램프 또는 걸쇠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말단부(124A, 124B)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b는 제1 및 제2 말단부(124A, 124B)가 부착 기구(111)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단일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를 도시한다. 도 17c는, 예를 들어, 말단부(124A, 124B)가 또한 부착 기구(111)를 통해 서로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를 도시한다. 도 17d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말단부(124A, 124B)가 구조체(3) 또는 프레임워크 구조체(41)의 구성요소를 통해, 예를 들어, 지지부(31A, 31B) 및/또는 하부 프레임(33) 및/또는 상부 프레임(35)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를 도시한다.
도 17e는 챔버(5)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또 다른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3, 41) 부분을 도시하고 제1 및 제2 가열기(37, 39)가 필라(31)의 공유된 세장형 섹션(ES)에 대한 일측에 부착되고 반대편 섹션(S1, S2)이 자유롭게 되어 공유된 세장형 섹션(ES)으로 변위되고 가열기(37, 39) 및 챔버(5)의 원하는 프로파일을 획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예를 들어, 원하는 프로파일 또는 형상을 획정하기 위해 가요성이 있고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거나 또는 성형되도록 구성된다.
도 17b 또는 도 7a와 도 7b의 예시적인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다.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가, 예를 들어, 상부 주변부와 하부 주변부 사이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기화기 구성요소(1)의 중심(C)(예를 들어, 도 1a 참조)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으로 내향으로 집중된다. 따라서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적어도 경사진 내벽 또는 표면을 포함하거나 또는 획정한다.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원추형 형상 또는 절두 원추형 프로파일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가열기(37, 39)의 각각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원추형 형상의 범위를 정한다. 하향으로 연장될 때 지지부(31)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1)의 중심(C)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으로 내향으로 집중되고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와 함께 원추형 형상 또는 절두 원추형 프로파일의 범위를 정한다.
하부 프레임(33) 및/또는 상부 프레임(35)이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7b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형태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33)은 상부 프레임(35)보다 더 작은 원주 길이, 폭 또는 직경을 획정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가열기(37, 39)는, 예를 들어,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그리고 특히,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적어도 하나의 편복부(127)(또는 복수의 편복부(127))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진다. 편복부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세장형 전도성 부재 또는 구성요소(129)에 의해 획정된다.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특히,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엮인 네트워크 또는 구조체(127), 또는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의 편복부/편복형 네트워크 또는 구조체(127)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진다. 편복부, 또는 엮인 네트워크 또는 편복부/편복형 네트워크(127)는, 예를 들어, 그 위에 액체 또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23a 및 도 23b는 편복부, 편복형 구조체 또는 편복형 네트워크(127)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패턴 및 프로파일의 부분을 도시한다.
편복부, 편복형 구조체 또는 편복형 네트워크(127)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말단부(124A, 124B)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될 수 있고/있거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의 상부 주변부와 하부 주변부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편복부, 편복형 구조체 또는 편복형 네트워크(127)는 함께 엮인, 꼬인 또는 땋인 복수의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를 포함한다.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예를 들어, 와이어, 스트랜드, 스트립, 필라멘트 또는 실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예를 들어, 2개, 3개(적어도 3개) 또는 3개 초과의 개별적인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를 포함할 수 있다. 엮인 또는 꼬인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말단부(124A, 124B)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될 수 있고/있거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의 상부 주변부와 하부 주변부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예를 들어 이들이 편복형 구조체(127)를 통해 연장될 때 서로 위에서 또는 아래에서 교차하도록 함께 엮이거나 또는 꼬인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편복형 구조체(127)에서, 각각의 또는 개별적인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구조체(127)를 따른 전파 동안 직면하는 그 다음의 직면하는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 아래 또는 위를 지나가도록 전파되거나 또는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구조체(127)를 따른 전파 동안 직면하는 그 다음의 직면하는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의 각각 아래 또는 위를 지나가도록 전파될 수 있다.
각각의 또는 개별적인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그 다음의 직면하는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 아래를 지나가고 이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그 다음의 직면하는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 위를 지나가도록 전파될 수 있다. 전파는 구조체(127)를 가로지르는 방식으로 계속될 수 있다.
개별적인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의 군은, 예를 들어, 구조체(127)에 걸쳐 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전파될 수 있고, 군의 개별적인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서로 평행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전파된다.
각각의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 또는 개별적인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직면하는 다른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129)과 동일한 각(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을 획정하도록 전파되거나 또는 연장될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예시적인 패턴을 도시한다.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편복형 구조체(127)에서, 각각의 또는 개별적인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제1 이웃한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 아래 또는 위를 지나가도록 전파되거나 또는 연장될 수 있고, 또한 제1 이웃한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웃한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 아래 또는 위를 지나가도록 전파될 수 있다. 이어서 전파는, 예를 들어, 제1 이웃한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 아래 또는 위를 다시 지나갈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계속될 수 있다.
도 23d는 3개의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A, B, C)를 위한 이러한 전파의 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또는 개별적인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지그재그 또는 열십자 방식으로 전파되거나 또는 연장될 수 있다.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예를 들어, 서로 기계적으로 인터로킹된다.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예를 들어,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가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이동 가능하다.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예를 들어, 교차점을 변위시키도록 이동한다.
개별적인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또는 복수의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는, 구조체(127)에서 전파되거나 또는 연장될 때 또 다른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와 함께 또는 그 주위에서 꼬이지 않거나 또는 완전히 꼬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2개의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서로 주위에서 완전히 꼬이지 않는다.
편복부, 편복형 구조체 또는 편복형 네트워크(127)는 액체 또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거나 또는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길이방향 말단부(124A, 124B)는, 예를 들어,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와이어 또는 스트랜드(129)의 외부 말단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편복형 구조체(127)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층, 시트 또는 테이프를 획정할 수 있다. 편복형 구조체(127)는, 예를 들어, 파열되거나 또는 붕괴된 내벽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슬리브 또는 평탄화된 세장형 관을 획정할 수 있다. 편복형 구조체(127)는 평탄화된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편복형 구조체(127)는, 예를 들어, 2차원 또는 3차원 편복부이거나 또는 이를 획정할 수 있다.
편복형 구조체(127)는, 예를 들어, 모세관 작용에 의해 또는 모세관력에 의해 가열기/가열 수단을 통해 수용된 액체 또는 수용된 기화 가능한 물질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편복형 구조체(127)는, 예를 들어, 개구 또는 구멍이 엮인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 사이에 획정되는 개방 구성(예를 들어, 도 23 및 도 24 참조)을 획정할 수 있다. 편복형 구조체(127)의 획정된 구멍은, 예를 들어, 모세관 작용에 의해 또는 모세관력에 의해 가열기/가열 수단을 통해 또는 이에 걸쳐 수용된 액체 또는 수용된 기화 가능한 물질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구멍 또는 개구는, 예를 들어, 10㎛ 내지 1000㎛ 또는 10㎛ 내지 500㎛의 개구 폭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편복형 구조체(127)는, 예를 들어, 하나의 편복 패턴 또는 복수의 상이한 편복 패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편복 패턴은 알려진 편복 패턴, 예를 들어, 허큘리스 편복 또는 삼중 중첩 편복(도 23a), 규칙적인 편복 또는 이중 중첩 편복(도 23b) 및 다이아몬드 편복 또는 단일의 중첩 편복(도 23c)을 포함한다. 편복 패턴 또는 패턴들은 적어도 하나의 e-액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거나 또는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편복형 구조체(127)는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에 포함되는 독립 편복형 구조체일 수 있다. 즉, 편복형 구조체(127)는 하부 또는 내부 지지부 상에 자가-지지되고/되거나 편복되지 않는다.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편복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연결 와이어 또는 스트랜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길이방향 말단부(124A, 124B) 사이의 편복형 구조체(127)를 통해 그리고 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연결 와이어는, 예를 들어,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의 상부 주변부와 하부 주변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 와이어는, 예를 들어, 윅 구조체(7)와 같은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에 예를 들어, 추가의 구성요소를 부착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가요성 블레이드(114)는, 예를 들어,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편복형 구조체(127)의 측면(131)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편복형 구조체(127)는, 예를 들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블레이드(114)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에워싸거나 또는 둘러쌀 수 있다.
블레이드(114)는, 예를 들어,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걸쇠 및/또는 클램프에 의해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블레이드(114)는 가요성일 수 있고/있거나 세장형 평면 시트를 획정할 수 있다. 블레이드(114)는 금속,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 중 임의의 금속성 합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9는 블레이드(114)를 포함하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인클로저 프로파일을 획정하기 위한 대안적인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기구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말단부 사이에 압입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를 포함한다.
복수의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 중 각각의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동일한 물질 또는 상이한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질은 전기 전도성 그리고 열 전도성이다.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예를 들어, 금속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전부 동일한 금속 또는 상이한 금속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또는 물질의 혼합물에서 사용되는 물질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기 및 열 전도성임). 금속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금, 은 또는 강, 또는 알루미늄, 구리, 금 또는 강 중 임의의 금속성 합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 39)는 챔버 또는 홀더(5)의 벽을 획정한다. 벽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벽의 내부면은 소모품(CR)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인클로저를 획정한다. 도 11b는 벽의 내부면과 접촉하고 홀더(5)에 수용되는 소모품(CR)을 도시한다. 제1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가 연장되어 홀더(5)의 벽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한다. 제2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9)가 연장되어 홀더(5)의 추가의 벽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벽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한다.
제1 및 제2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 39)의 각각이 홀더(5)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또는 주위에 연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각각 획정하거나 또는 홀더(5)의 벽 부분을 획정할 수 있다. 상부 가열기(39)의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하부 가열기(37)와 같은 또 다른 가열기의 가열 온도와 상이한 가열 온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9)는 하부 가열기(37)의 가열 온도보다 더 낮거나 또는 더 높은 가열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가열기(39)의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길이 또는 주변부/원주 길이 및/또는 상부 가열기(39)의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저항값 또는 저항률값은 상부 가열기(39)의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원하는 가열 온도를 획정하도록 결정되고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가열기는 기화기 구성요소(1)를 따라 상이한 위치에서 상이한 기화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 수단 또는 복수의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포함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1)가 기화기 구성요소(1)의 상부 말단부와 하부 말단부 사이의 상이한 위치에서 상이한 가열 온도를 제공하게 하고 가열 온도 구배를 제공하게 한다.
제1 및 제2 가열 수단(37, 39)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1)는 2개 초과의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 예를 들어, 3, 4, 5, 6, 7, 8, 9 또는 10개의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수단 또는 제1 및 제2 가열 수단(37, 39)이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위치되어 2개의 분리된 가열 구역을 획정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상이한 온도 또는 온도 구배가 구조체(3) 및 윅 구조체 또는 구조체들(7)에 걸쳐 제공되게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기화 가능한 물질의 구성 성분의 선택적인 증발을 허용한다.
따라서 액체 또는 기화 가능한 물질이 유체 연통 경로(FCP)를 따라 연장될 때 액체 또는 기화 가능한 물질은 상이한 온도에서 기화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가, 예를 들어,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의 연장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 및/또는 두께를 갖고 곧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규칙적인 또는 균일한 프로파일을 가진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를 도시하지만,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가 불규칙적인 또는 불균일한 프로파일을 획정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세장형 전도성 구성요소(129)는, 예를 들어, 사형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고 사형 연장 방향을 따라 달라지는 폭 및/또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불균일한 프로파일이, 예를 들어, 도 23e에 도시된다.
도 7a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1)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7b는 이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의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1)는 도 3의 상부 부분의 가열 구성요소 및 도 4의 하부 부분의 가열 구성요소와 유사하다.
가열 구성요소(1)는 복수의 가열 수단 또는 가열기(37, 39), 예를 들어, 제1 가열기(37) 및 제2 가열기(39)뿐만 아니라 챔버(5)를 획정하는 프레임워크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41)를 포함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챔버(5)는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고/하거나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챔버(5)는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지하는 소모품(CR)을 수용하고/하거나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조체(3)는 제1 및 제2 가열기(37, 39)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가열기(37, 39)의 각각이 개별적으로 연장되어 챔버(5)의 부분을 각각 획정한다.
복수의 가열기(37, 39) 또는 제1 및 제2 가열기(37, 39)는 구조체(3) 상에 개별적으로 위치되고 유체 또는 액체 연통되도록 위치되거나 또는 유체 또는 액체 연결을 통해 상호연결된다.
제1 및 제2 가열기(37, 39)는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 연통 경로/궤적(FCP) 또는 유체 흐름 경로/궤적(FCP)을 따라 위치된다.
유체 연통 경로(FCP)는 구조체(3) 또는 가열기(37, 39) 상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소모품(CR)의 구조체 또는 챔버로부터 배출될 때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이 연장되거나 또는 흐르게 하는 경로 또는 궤적을 획정한다.
유체 연통 경로(FCP)는, 예를 들어, 제2 가열기(39)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과 제1 가열기(37)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또는 제2 가열기(39)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제1 가열기(37)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및 제1 및 제2 가열기(37, 39) 사이의 공간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를 통해/따라 지나갈 수 있다.
유체 연통 경로(FCP)는, 예를 들어, 제2 가열기(39)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제1 가열기(37)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및 구조체(3)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를 통해/따라 지나갈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가열 구성요소(1) 상의 유체 연통 경로(FCP)의 위치의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유체 연통 경로(FCP)는 소모품(CR)의 배출 구멍 또는 오리피스와 연관되거나 또는 이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배출 구멍 또는 오리피스를 통해 기화 가능한 물질이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배출된다.
유리하게는,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가열기(37, 39)(또는 가열기(37, 39)의 각각)는 상이한 기화 가열 온도를 생성하여 상이한 온도에서 기화 가능한 물질을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열기(39)는 제2 기화 가열 온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 가열기(37)는 제2 기화 가열 온도와 상이한 제1 기화 가열 온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열기(39)는 제1 가열기(37)보다 더 낮거나 또는 더 높은 가열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물질이 제1 및 제2 가열기(37, 39) 둘 다에서 사용되거나 또는 제1 및 제2 가열기가 동일한 물질 저항률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제1 가열기(37)가 제2 가열기(39)에 비해 길이 또는 주변부/원주 길이가 더 짧아서(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음) 더 낮은 가열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제1 가열기(37)가 제2 가열기(39)에 비해 더 짧은 길이 또는 주변부/원주 길이를 보상하는 저항값 또는 저항률값을 가져서 제2 가열기(39)보다 더 높은 가열 온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기화 가능한 물질이 유체 연통 경로(FCP)를 따라 연장됨에 따라 기화 가능한 물질이 상이한 온도에서 기화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1), 또는 도 7a 및 도 7b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1)는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 또는 복수의 윅 구조체(7A, 7B)(예를 들어, 도 8, 도 9, 도 10a 및 도 10b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 또는 복수의 윅 구조체(7A, 7B)가 부재하거나 또는 반드시 포함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로 포함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구조체(3)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기둥, 필라 또는 지지부(31A, 31B),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필라(31A, 31B)를 포함한다. 필라 또는 지지부(31)는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 또는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고온 저항성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라(31A, 31B)는 가열기(37, 39)를 향하여 상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및 제2 가열기(37, 39)에 각각 부착되거나, 고정되거나 또는 연결된다. 필라(31A, 31B)는 제1 및 제2 가열기(37, 39)의 각각을 통해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가열기(37, 39)의 내부 또는 외부면 또는 표면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가열기(37, 39)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 또는 각각의 말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필라 또는 필라들(31A, 31B)은, 예를 들어, 가열기(37, 39)에 용접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필라 또는 필라들(31A, 31B)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부착 기구(111), 예를 들어, 가열기(37, 39)에, 예를 들어, 도 17a 및 도 17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위에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가열기(37, 39)의 말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클램프 또는 걸쇠(111)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기구(111)는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 또는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고온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부착 기구(11)는, 예를 들어, 또한 필라(31) 및 구조체(3)로부터 가열기(37, 39)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절연체, 예를 들어 전기 절연체층 포함할 수 있다.
필라(31A, 31B)는, 예를 들어, 제1 가열기(37)로 먼저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어서 공간을 통해 제2 가열기(9)로 연장될 수 있다. 필라(31A, 31B)는, 예를 들어, 제2 가열기(39)를 넘어 상향으로 계속해서 연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1 필라 또는 지지부(31A)는 하부 또는 제1 가열기(37)의 말단부에 각각 클램핑된, 도 17b 또는 도 17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 및 제2 부착 기구,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클램프(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필라 또는 지지부(31A)는 이것이, 예를 들어, 또한 걸쇠 결합 또는 클램프 결합에 의해 또는 대안적으로 용접 또는 접착제와 같은 또 다른 부착 또는 파지 수단 또는 기구에 의해 부착되는 제2 또는 상부 가열기(39)로 연장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필라 또는 지지부(31A)는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또는 하부 가열기(37)를 통해 또는 그 내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필라 또는 지지부(31B)(예를 들어, 도 7a 참조)는 또한 제1 또는 하부 가열기(37)의 말단부에 각각 클램핑된, 예를 들어, 도 17b 또는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착 기구, 예를 들어, 제3 및 제4 클램프(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라 또는 지지부(31B)는 또한 제1 필라 또는 지지부(31A) 및 제2 또는 상부 가열기(39)와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2 또는 상부 가열기(39)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1 필라 또는 지지부(31A)가, 예를 들어, 도 17c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부착 기구, 예컨대, 제1 클램프(111A) 및 제2 부착 기구, 예컨대, 제2 클램프(111B)를 포함하고, 제1 클램프(111A)가 제1 가열기(37A)에 부착되고 제2 클램프(111B)가 제2 가열기(37B)에 부착된다.
제2 필라 또는 지지부(31B)가, 예를 들어, 도 111c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제3 부착 기구, 예컨대, 제3 클램프(111C) 및 제4 부착 기구, 예컨대, 제4 클램프(111D)를 포함하고, 제3 클램프(111C)가 제1 가열기(37A)에 부착되고 제4 클램프(111D)가 제2 가열기(37B)에 부착된다. 제1 및 제2 가열기(37A, 37B)는 하부 가열기 구성요소 또는 구조체(37)를 형성하거나 또는 획정한다. 하부 가열기 구성요소 또는 구조체(37)로부터 분리된 상부 가열기 구성요소 또는 구조체(39)(미도시)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필라(31)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지만, 가열 구성요소(1)는, 예를 들어, 대칭으로 이격되는, 2개 초과의 필라, 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의 필라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 17e는 챔버(5)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또 다른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3) 부분을 도시하고 제1 및 제2 가열기(37, 39)가 필라(31)의 공유된 세장형 섹션(ES)에 대한 일측에 부착되고 반대편 섹션(S1, S2)이 공유된 세장형 섹션(ES)으로 자유롭게 변위되고 가열기(37, 39) 및 챔버(5)의 원하는 프로파일을 획정한다.
도 7a 및 도 7b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구조체(3)의 필라(31) 및 연관된 부착에 관한 위의 설명은 필라(31)가 포함되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형태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가열 수단 또는 가열기(37, 39)는 임의의 이전에 위에서 설명된 가열기 구조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열기 및/또는 제2 가열기(37, 39)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 또는 메시(메시형 구조의 가열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엮인 또는 꼬인 네트워크를 획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은 편복형 와이어(127) 및 편복형 와이어(127)가 부착되는 가요성 기재 또는 블레이드(114)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편복형 와이어(127) 및 이전에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편복형 와이어가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111)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가열기(또는 가열기들)(37, 39)는, 예를 들어, 모세관 작용에 의해 또는 모세관력에 의해 가열기 구조체를 통해 수용된 기화 가능한 물질 또는 기재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조체(3)는 또한 필라(31A, 31B)의 하부 말단부에 있고 필라(31A, 31B)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부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15)(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 참조)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또한 필라(31A, 31B)의 상부 말단부에 있고 필라(31A, 31B)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부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35)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33)은 구조체(3)의 기저부 또는 기저부의 적어도 일부 및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가열 구성요소(1)를 획정할 수 있다.
하부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33) 및 상부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35)은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 또는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고온 저항성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라(31A, 31B) 및 제1 및 제2 가열기(37, 39)가 챔버(5)를 획정하거나 또는 이의 범위를 정하거나, 또는 필라(31A, 31B), 제1 및 제2 가열기(37, 39) 및 하부 인클로저(33) 및/또는 상부 인클로저 또는 프레임(35)이 챔버(5)를 획정하거나 또는 이의 범위를 정한다. 챔버(5)의 가열기(37, 39)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챔버(5)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미 유지하고 있는 소모품을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 내부 수용 구역(RZ)을 획정한다.
챔버(5)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미 유지하고 있는 소모품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필라(31A, 31B)와 제1 및 제2 가열기(37, 39)는, 예를 들어, 도 11a 및 도 11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소모품(CR)의 프로파일 또는 형상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프로파일 또는 형상을 갖는 챔버(5)를 획정할 수 있다.
가열기(37, 39)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예를 들어, 도 7a 및 도 17a 참조), 상부 개구(121) 및 하부 개구(123)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예를 들어, 인클로저(119)(도 7b), 및 상부 개구(221)와 하부 개구(223)를 획정한다.
인클로저(119)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지하는 소모품(CR)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가열기(37, 39)의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예를 들어, 소모품이 가열 구성요소(1)에 배치될 때 소모품(CR)의 적어도 일부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가열기(37, 39)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 또는 복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예를 들어, 도 17a 내지 도 17d 참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진다.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제1 길이방향 말단부(124A) 및 제2 길이방향 말단부(124B)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말단부(124A, 124B)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또는 세로로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예를 들어, 밴드 또는 벨트를 획정한다.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또한 상부 주변부(125A) 및 하부 주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주변부와 하부 주변부(125A, 125B) 사이에서 연장된다.
길이방향 말단부(124A, 124B)는 이전에 언급된 부착 기구(111)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말단부(124A, 124B)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b는 제1 및 제2 말단부(124A, 124B)가 부착 기구(111)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단일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를 도시한다. 도 17c는, 예를 들어, 말단부(124A, 124B)가 또한 부착 기구(111)를 통해 서로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를 도시한다. 도 17d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말단부(124A, 124B)가 구조체(3)의 구성요소를 통해, 예를 들어, 지지부(31) 및 하부 프레임(33) 및/또는 상부 프레임(35)(미도시)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를 도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예를 들어, 원하는 프로파일 또는 형상을 획정하기 위해 가요성이 있고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거나 또는 성형되도록 구성된다.
도 7a 및 도 7b의 예시적인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가열기(37, 39)의 각각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다.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가 상부 주변부와 하부 주변부(125A, 125B) 사이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1)의 중심(C)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으로 내향으로 집중된다. 따라서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적어도 경사진 내벽 또는 표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를 획정한다.
도 7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가열기(37, 39)의 각각의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는 원추형 형상의 범위를 정한다. 하향으로 연장될 때 지지부(31)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1)의 중심(C)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으로 내향으로 집중되고 세장형 부재 또는 구조체(118)와 함께 원추형 형상 또는 절두 원추형 프로파일의 범위를 정한다.
하부 프레임(33) 및/또는 상부 프레임(35)이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7b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형태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33)은 상부 프레임(35)보다 더 작은 원주 길이, 폭 또는 직경을 획정한다.
도 7a 및 도 7b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구조체(3)의 구성요소에 관한 위의 설명은 구조체(3)가 포함되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형태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 39)는 챔버(5)의 벽을 획정한다. 벽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벽의 내부면은 소모품(CR)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인클로저를 획정한다. 도 11b는 벽의 내부면과 접촉하고 챔버(5)에 수용되는 소모품(CR)을 도시한다. 제1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가 연장되어 챔버(5)의 벽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한다. 제2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9)가 연장되어 챔버(5)의 추가의 벽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벽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한다.
제1 및 제2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 39)의 각각이 챔버(5)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또는 주위에 연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각각 획정하거나 또는 챔버(5)의 벽 부분을 획정할 수 있다.
구조체(3)는 제1 또는 상부 말단부(19) 및 제2 또는 하부 말단부(15)(예를 들어, 도 7a 참조)를 포함하고, 제1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말단부(19, 15) 사이에 위치된다. 제1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는, 예를 들어, 제2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9)와 제2 또는 하부 말단부(15)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 39)는 이격된다.
제2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9)는 제1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의 온도와는 상이한 가열 온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9)는 제1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보다 더 낮거나 또는 더 높은 가열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스트랜드 물질이 제1 및 제2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 39) 둘 다에서 사용되거나 또는 제1 및 제2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 39)가 동일한 물질 저항률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제1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가 제2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9)에 비해 길이 또는 주변부/원주 길이가 더 짧아서(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음) 제2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9)보다 더 낮은 가열 온도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제1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가 제2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9)에 비해 더 짧은 길이 또는 주변부/원주 길이를 보상하는 저항값 또는 저항률값을 가져서 제2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9)보다 더 높은 가열 온도를 제공한다.
복수의 가열기 또는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 39)의 포함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1)가 상부 말단부와 하부 말단부(15, 19) 사이의 상이한 위치에서 상이한 가열 온도를 제공하게 하고 가열 온도 구배를 제공하게 한다.
따라서 기화 가능한 물질이 유체 연통 경로(FCP)를 따라 연장됨에 따라 기화 가능한 물질은 상이한 온도에서 기화될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기화기 구성요소 또는 가열 구성요소(1)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 또는 복수의 윅 구조체(7A, 7B)(예를 들어, 도 8, 도 9, 도 10a 및 도 10b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고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모세관 작용에 의해 또는 모세관력에 의해 윅 구조체(7)를 통해 기화 가능한 물질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윅 구조체(7)는 모세관 압력을 생성하여 기화 가능한 물질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4의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윅 구조체(7)에 의해 획정된 인클로저의 윅 구조체(7) 내부에 구조체(3)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조체(3)는, 예를 들어, 형태 끼워맞춤 또는 압입 끼워맞춤에 의해 윅 구조체(7)에 부착될 수 있다. 윅 구조체(7)가, 예를 들어, 구조체(3)에 상보적인 또는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서 구조체(3)를 꼭 맞게 수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착 기구, 예컨대, 클립 또는 클램프가 또한 포함되어, 예를 들어, 구조체(3)의 일부를 윅 구조체(7)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부착시킬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도 10a 및 도 10b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추형 구조를 획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도 3의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구조체(3)는,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구조체(3)에 의해 획정된 인클로저의 구조체(3) 내부에 윅 구조체(7)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형태 끼워맞춤 또는 압입 끼워맞춤에 의해 구조체(3)에 부착될 수 있다. 윅 구조체(7)가, 예를 들어, 윅 구조체(7)를 꼭 맞게 수용하게 하는 구조체(3)에 상보적인 또는 대응하는 형상(예를 들어, 원추형)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착 기구, 예컨대, 클립 또는 클램프가 또한 포함되어, 예를 들어, 윅 구조체(7)의 적어도 하나의 벽의 일부를 구조체(3)에 부착시킬 수 있다.
윅 구조체(7)가, 예를 들어, 상부 개구(UO)를 획정하는 상부 말단부 및 윅 구조체(7)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된 하부 말단부(CE)를 포함하여 기화 가능한 물질 수용 표면 또는 영역(예를 들어, 도 10a 및 도 10b 참조)을 획정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소모품(CR)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 인클로저를 획정한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원추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의 외부 또는 전체 구조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절두형일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캡슐(CR)의 삽입 방향(ID)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에서 테이퍼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원주 또는 주변부를 획정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소모품(CR)의 삽입 방향(ID)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구조체(3)는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 또는 복수의 윅 구조체(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가열기(37, 39) 사이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8 참조). 윅 구조체(7)가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하부 부분이 제1 가열기(37)의 상부 부분에 부착되고 상부 부분이 제2 가열기(39)의 하부 부분에 부착된다.
부착은 부착 기구, 예컨대, 스티칭 또는 복수의 환형 부착부를 사용하여 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스레드가 윅 구조체(7)와 가열기(37, 39) 둘 다의 말단부에 위치된 부분 또는 부분들을 통해 연장되거나 또는 루핑되어 윅 구조체(7)와 가열기(37, 39)를 함께 스티칭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부착은, 예를 들어,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에 포함될 때 이전에 언급된 연결 와이어 또는 스트랜드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윅 구조체(7)는 가열기(37, 39)에 관하여 이전에 설명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즉,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부착 기구를 사용하여 구조체(3)의 지지부(31)에 부착될 수 있다.
윅 구조체(7)가 구조체(3)의 내부 및 외부 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챔버(5)의 일부를 획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윅 구조체(7A)는 구조체(3)의 상부 말단부(19) 또는 구조체(3)의 하부 말단부(15)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이의 범위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정할 수 있다. 제1 윅 구조체(7A)는 구조체(3)의 상부 말단부(19)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이의 범위를 정할 수 있고 제2 윅 구조체(7B)는 구조체(3)의 하부 말단부(15)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이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제1 윅 구조체(7A)는 또한 상부 가열기(39)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윅 구조체(7B)는 또한 하부 가열기(37)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윅 구조체(7B)는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하부 프레임(33)에 부착될 수 있고/있거나 제1 윅 구조체(7A)는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구조체(3)의 상부 프레임(35)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윅 구조체(7B)는, 예를 들어, 하부 프레임(33)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윅 구조체는, 예를 들어, 하부 프레임(33) 및/또는 상부 프레임(35)을 둘러쌀 수 있거나 또는 이 주위를 랩핑할 수 있다.
상부 말단부(19)에 위치될 때, 윅 구조체(7)는 상부 개구(UO)를 포함한다. 하부 말단부(15)에 위치될 때, 윅 구조체(7)는 윅 구조체(7)에 의해 하부 말단부(15)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되어 기화 가능한 물질 수용 표면 또는 영역을 획정할 수 있다.
도 9는 제1 윅 구조체(7A)가 구조체(3)의 상부 말단부(19)의 범위를 정하고, 제2 윅 구조체(7B)가 구조체(3)의 하부 말단부(15)의 범위를 정하고 제3 윅 구조체(7C)가 가열기(37, 39) 사이에 위치되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윅 구조체(7)는 구조체(3) 또는 가열 구성요소(1)의 기저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거나 또는 이를 획정할 수 있다. 윅 구조체(7)가 연장되어 구조체(3) 또는 챔버(5)의 적어도 하나의 벽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할 수 있다.
유체 연통 경로(FCP)는, 예를 들어, 제1 가열기(37)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제2 가열기(39)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를 통해/따라 지나갈 수 있다. 윅 구조체(7)의 일부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가열기(37, 39)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은 이러한 예시적인 유체 연통 경로(FCP)를 도시한다.
유체 연통 경로(FCP)는, 예를 들어, 또한 가열기 위에 또는 아래에 위치된, 예를 들어, 상부 가열기(39) 위에 그리고/또는 하부 가열기(37) 아래에, 예를 들어, 하부 말단부(15)에 위치된 윅 구조체(7)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체(3)는, 예를 들어, 도 1a, 도 2, 도 3 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절두형 및/또는 테이퍼형 홀더(5)를 획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벽(11)이, 예를 들어, 상향으로 그리고 횡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되어 소모품(CR)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17)를 획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벽(11)이, 예를 들어, 상향으로 그리고 횡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되어 소모품(CR)을 수용하기 위한 절두형 및/또는 테이퍼형 챔버를 획정할 수 있다.
구조체(3) 또는 홀더(5)는, 예를 들어, 상부 말단부(19)로부터 하부 말단부(15)로 연장되거나 또는 캡슐(CR)의 삽입 방향(ID)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절두형 및/또는 테이퍼형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도 1a).
구조체(3) 또는 홀더(5)는,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의 홀더(7)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구조체(5) 또는 홀더(7)는, 예를 들어, 소모품(CR)의 삽입 또는 수용 방향(ID)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에서 테이퍼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 원주 또는 주변부를 획정할 수 있다.
구조체(3) 또는 홀더(5)는, 예를 들어, 소모품(CR)의 삽입 방향(ID)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도 26b는, 예를 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가열기/가열 수단(37, 39)은 구조체(3) 또는 홀더(5)에 대해 위에서 언급된 동일한 프로파일 또는 형상을 획정하거나 또는 가질 수 있다. 하부 프레임(33) 및/또는 상부 프레임(35)은 또한 소모품(CR)의 삽입 방향(ID)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구조체(3) 또는 홀더(5)에 대해 위에서 언급된 동일한 프로파일 또는 형상을 획정하거나 또는 가질 수 있다.
홀더(5)는 소모품(CR) 또는 소모품(CR)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홀더(5)는, 예를 들어, 소모품(CR)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용적의 적어도 50% 또는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95%를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a 및 도 11a는, 예를 들어, 소모품(CR)이 기화기 구성요소(1)에 수용되는 것을 도시하고, 도 1b 및 도 11b는 내부에 수용된 소모품(CR)을 도시한다.
기화기 구성요소(1)의 적어도 하나의 벽(11)에 의해 획정된 개구(17)는, 예를 들어, 소모품(CR)의 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것은 기화 가능한 재료 또는 물질의 횡방향 증발을 용이하게 한다.
소모품(CR) 또는 구조체(3)는 임의로, 예를 들어, 소모품(CR) 또는 구조체(3)의 주변부에 위치된 스페이서 또는 밀봉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 또는 밀봉부(21)는 소모품(CR)이 구조체(3)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유지되게 한다. 이것은 구조체(3) 또는 윅 구조체(7)로부터 기화 가능한 재료 또는 물질의 횡방향 증발을 용이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소모품(CR) 및/또는 구조체(3)의 상대적인 형상은 소모품(CR)이 구조체(3)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소모품(CR)은 벽(11)과 윅 구조체(7) 및/또는 제1 및/또는 제2 가열 수단(37, 39)의 적어도 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소모품(CR)은, 예를 들어, 가열기가 없는 소모품 또는 가열 구성요소가 없는 소모품이다. 소모품(CR)은 기화기 구성요소(1)의 구조체(3)에 의해 획정된 홀더(5)의 프로파일 또는 형상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프로파일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소모품(CR)은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유지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유지하는 밀봉된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FW)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 1a 참조).
구조체(FW)는, 예를 들어, 기저부(B), 상단 섹션(TS) 및 기저부(B)와 상단 섹션(TS) 사이에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유지하는 인클로저를 획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WL)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FW)는, 예를 들어,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 중 임의의 금속성 합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FW)는, 예를 들어, 소모품(CR)을 충전하거나 또는 재충전하기 위한 유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FW)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오리피스(155A)(예를 들어, 도 6 및 도 22b 참조)를 포함할 수 있고 오리피스를 통해 기화 가능한 물질이 흐르거나 또는 소모품(CR)으로부터 나간다. 소모품(CR)의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FW)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155A)와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155B)을 포함할 수 있다.
소모품(CR)이 기화기 구성요소(1)에 수용될 때,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155A)가, 예를 들어, 하부 가열 수단(37) 위에 또는 직접적으로 위에 위치되어, 하부 가열 수단(37) 및/또는 윅 구조체(7) 상으로 기화 가능한 물질을 직접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오리피스(155A)가, 예를 들어, 도 6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부 가열 수단(39) 옆에 또는 이와 마주보게 위치되어 기화 가능한 물질을 벽(11) 및 상부 가열 수단(39) 상으로 직접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소모품(CR)은, 예를 들어, 또한 오리피스(155A)와 연관된 밸브(VL)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2b 참조). 밸브(VL)는, 예를 들어, 구조체(3) 상에 위치된 핀(PN2)에 의해 또는 기화 가능한 구성요소(1)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또는 흡입 디바이스에서 밸브(VL)에 압력이 인가되거나 또는 가압될 때 개방되어 기화 가능한 물질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밸브(VL)는, 예를 들어, 평상시 닫힌 슬릿을 포함하는 고무관을 포함할 수 있다. 고무관은 핀(PN2)에 의해 압축될 때 변형되어 슬릿을 개방해서 기화 가능한 물질이 고무관에 진입하게 하고 오리피스(155A)를 나가게 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오리피스(155A)는, 예를 들어,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모품이 기화기 구성요소(1)에 삽입될 때 파열되도록 구성되는 막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소모품(CR)의 구조체(FW)는, 예를 들어, 절두형 또는 테이퍼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소모품(CR)은,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의 구조체(FW)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소모품(CR)은, 예를 들어, 소모품(CR)의 상부 말단부와 하부 말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평면에서 테이퍼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 원주 또는 주변부를 획정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1a는, 예를 들어, 테이퍼형 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소모품(CR)은, 예를 들어, 소모품(CR)의 상부 말단부와 하부 말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평면과 수직인 평면에서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은 기화기 구성요소(1)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또는 흡입 디바이스(AGD)에 관한 것이다(예를 들어, 도 5 및 도 13 참조). 기화기 구성요소(1)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또는 흡입 디바이스(AGD)는 사용자가 흡입할 에어로졸 또는 증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는 기화기 구성요소(1) 및 소모품(CR)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부 또는 챔버(201)(예를 들어, 도 5 또는 도 7 참조)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기화기 구성요소(1)를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부 또는 기둥(20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203)는 기화기 구성요소(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구역을 획정한다. 복수의 지지부(203)가 챔버(201)에 배열되어 구조체(3)와 접촉하거나 또는 밀착된다.
복수의 지지부(203)는 또한, 예를 들어, 전류를 가열 수단에, 예를 들어, 하부 가열 수단(37) 및/또는 상부 가열 수단(39)에 제공하기 위한 전기 접점을 획정할 수 있다. 이것은 전류가 가열 수단(37, 39)에 제공되게 하여 열을 생성하고 구조체(3)에 의해 수용된 기화 가능한 물질을 기화시켜서 증기 또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복수의 전기 연결기 또는 접점(203)은, 기화기 구성요소(1)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 내부에 배치될 때 예를 들어, 챔버(201) 내 미리 규정된 위치에 위치되어 가열 수단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폐쇄된 가열 회로를 획정한다.
소모품(CR)으로부터 윅 구조체(7) 및/또는 가열 수단(37, 39)에 의해 수용되는 기화 가능한 물질이 증발되어 증기 또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는 또한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윅 구조체(7)를 포함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가열 조립체(1) 또는 이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도 1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가열 구성요소(1)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피팅될 때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윅 구조체(7)를 이미 포함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가열기(3)에 의해 생성되는 열은 기화 가능한 물질이 윅 구조체(7)로부터 증발되게 하여 증기 또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기화기 구성요소(1)는 소모품(CR)을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소모품(CR)은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155A) 및/또는 도관(155B)을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고 오리피스 또는 도관을 통해 액체 또는 기화 가능한 물질이 흐르거나 또는 나가서 액체를 기화기 구성요소(1)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열기(37, 39) 및/또는 윅 구조체(7)에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155A)는, 소모품(CR)이 기화 가능한 구성요소(1) 내부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수용될 때 소모품(CR) 상에 위치되어 유체 연통 경로(FCP)로 기화 가능한 물질을 배출하거나 또는 이의 배출을 허용한다.
기화기 구성요소(1)는, 예를 들어, 소모품(CR)으로부터 예를 들어, 윅 구조체(7) 및/또는 가열 수단, 예를 들어, 하부 가열 수단(37) 및/또는 상부 가열 수단(39) 상으로; 또는 유체 연통 경로(FCP) 상으로, 예를 들어, 복수의 가열기, 예를 들어, 상부 또는 제2 가열기(39) 및/또는 윅 구조체(7) 중 적어도 하나 상으로, 예를 들어, 기화 가능한 물질 수용 표면 또는 영역 상으로 기화 가능한 물질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소모품 천공 기구(157A)(도 22a) 또는 소모품 개방 기구(157B)(도 2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소모품 천공 기구(157A) 또는 소모품 개방 기구(157B)가 포함되고 소모품(CR)에 대해 위치되어 소모품(CR)의 기저부(B) 및/또는 측벽(WL) 상에 작용해서 기화 가능한 물질이 소모품(CR)의 하단부 및/또는 측면으로부터 배출되게 하고 기화기 구성요소(1)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열 수단(37, 39) 및/또는 윅 구조체 또는 구조체(7)에 제공되게 할 수 있다.
소모품 천공 기구(157A)는, 예를 들어, 소모품(CR)의 내용물을 점진적으로 또는 제어 가능하게 배출하기 위해 챔버(201) 또는 기화기 구성요소(1)에 배치될 때 오리피스(155A)를 폐쇄하는 막 또는 소모품(CR)의 일부를 천공하도록 구성되는 날카로운 단부의 핀(PN1)(도 22a)을 포함할 수 있다.
소모품 천공 기구(157A)는, 예를 들어, 구조체(3)의 하부 말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소모품(CR)의 내용물의 일부를 배출하기 위해 소모품(CR)의 하부 말단부 또는 기저부(B)를 천공하도록 구성되는 날카로운 단부의 핀(PN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소모품 천공 기구(157A)는 대안적으로 기화기 구성요소(1)가 아닌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의 부분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배출된 내용물은, 예를 들어, 윅 구조체(7) 및/또는 하부 가열 수단(37)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소모품 천공 기구(157A)가 구조체(3)의 벽 상에 위치되어 소모품(CR)의 측벽(WL)을 천공해서 기화 가능한 물질을 윅 구조체(7) 및/또는 상부 가열 수단(39)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된 기화 가능한 물질이 상부 가열기(39)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모세관력과 중력 둘 다를 통해 하부 가열기(37)로 흐를 수 있다. 윅 구조체(7)가 상부 가열기와 하부 가열기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에, 액체의 유체 연통 경로는 상부 및 하부 가열기(39, 37)의 부분을 포함하고 부가적으로 윅 구조체(7)의 일부를 포함한다.
소모품 개방 기구(157B)가 소모품 천공 기구(157A) 대신 또는 이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밸브(VL)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작동기(PN2)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PN2)는 구조체(3)로부터(또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의 섹션으로부터) 연장되고 소모품(CR)의 밸브(VL)를 활성화/개방하여 소모품(CR)의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핀(PN2)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모품(CR)은, 예를 들어,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소모품(CR)의 기저부(B) 및/또는 측벽(WL) 상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밸브(VL)를 포함할 수 있다.
윅 구조체(7) 및/또는 가열 수단(37, 39)에 의해 수용되는 기화 가능한 물질은, 예를 들어, 윅 구조체(7)를 따라 그리고/또는 가열 수단(37, 39)을 따라 모세관 작용을 통해 분포될 수 있다.
윅 구조체(7)에 의해 수용되는 기화 가능한 물질은, 하부 말단부(15)에 위치된 윅 구조체(7)에 의해 수용될 때 예를 들어, 모세관 작용을 통해 윅 구조체(7)를 따라 그리고 가열기, 예를 들어, 하부 가열기(37)를 향하여 분포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3 참조).
오리피스(155A)가 소모품(CR)의 기저부(B) 상에 위치되고 기화 가능한 물질을 가열 구성요소(1)의 하부 말단부(15)에 위치된 윅 구조체(7)에 제공하는 경우에, 윅 구조체(7)의 모세관 작용 또는 힘은 기화 가능한 물질을 상향으로 그리고 중력에 대항하여 하부 가열기(37)를 향하여 이동시키거나 또는 변위시켜서 가열기(37)에 의해 제공되는 열에 의해 증발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기화 가능한 물질의 유체 연통 경로(FCP)는 윅 구조체(7)의 일부 및 하부 가열기(37)의 일부를 포함한다.
기화 가능한 물질이 소모품(CR)의 기저부(B)로부터 배출될 때, 기화 가능한 물질은 하부 윅 구조체(7A) 및/또는 하부 가열 수단(37)에 의해 수용된다. 기화 가능한 물질은 윅 구조체(7)에 의해 획정된 벽(11)을 따라 상향으로 하부 윅 구조체(7A)에 의해(그리고 가능하게는 하부 가열 수단(37)에 의해) 모세관 작용을 통해 분포되거나 또는 변위된다. 기화 가능한 물질은, 예를 들어, 기화기 구성요소(1)의 구조체(3)와 소모품(CR) 사이에서 상향으로 분포되거나 또는 변위된다. 기화 가능한 물질은 상부 가열 수단(39)이 구조체(3)에 포함되는 경우에 상부 가열 수단(39)을 향하여 분포되거나 또는 변위된다.
윅 구조체(7)에 의해 수용되는 기화 가능한 물질은, 예를 들어, 모세관 작용을 통해 윅 구조체(7)를 따라 그리고 하나 이상의 가열기를 향하여 분포될 수 있다.
오리피스(155A)가 소모품(CR)의 기저부 상에 위치되는 경우에, 윅 구조체(7)의 모세관 작용 또는 힘이 액체를 상향으로 그리고 중력에 대항하여 상부 가열기(39)를 향하여 이동시키거나 또는 변위시켜서 상부 가열기(39)뿐만 아니라 하부 가열기(37)에 의해 제공되는 열에 의해 또한 증발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의 유체 연통 경로(FCP)는 윅 구조체(7)의 적어도 일부 및 하부 가열기(37), 그리고 가능하게는 또한 상부 가열기(39)의 일부를 포함한다. 하부 가열기(37) 및/또는 윅 구조체(7)는 유체 연통 경로(FCP)의 시작 위치를 획정한다.
오리피스(155A)는, 예를 들어, 소모품(CR)이 가열 구성요소(1)에 수용되어 유체 연통 경로(FCP)의 시작 위치를 획정할 때 가열기(37, 39) 또는 윅 구조체(7)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도 6 및 도 14는 기화 가능한 물질이, 예를 들어, 소모품(CR)의 오리피스(155A) 및 2개의 도관(155B)을 통해 상부 가열 수단(39)에 제공되는 소모품(CR)의 예를 도시한다. 기화 가능한 물질은, 가열 수단(37, 39) 사이에 제공될 때 중력 작용을 통해 그리고 또한 윅 구조체(7)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하부 가열 수단(37)으로 이동한다(윅 구조체(7)는 윅 구조체가 반드시 포함되는 것이 아닌 가열 구성요소(1)를 포함하는 도 14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부재함). 상부 가열 수단(39)은, 예를 들어, 하부 가열 수단(37)의 가열 온도보다 더 낮은 가열 온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가열 수단(37)은 물질을 더 높은 온도에서 증발시킬 수 있다.
기화 가능한 물질은 소모품(CR)에 의해 하나 이상의 상이한 위치의 벽(11)에만 또는 구조체(3)의 하부 말단부에만 또는 둘 다에 제공될 수 있다. 기화 가능한 물질은 하나 이상의 가열 수단(37, 39) 및 하나 이상의 윅 구조체(7)(존재하는 경우), 또는 단 하나 또는 복수의 윅 구조체(7), 또는 단 하나의 가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 유체 연통 경로(FCP)를 따라 흐르거나 또는 변위된다. 변위는 모세관력 변위 또는 모세관력 변위와 중력의 조합에 의해 보장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의 전기 접점(203)이, 예를 들어, 에너지 공급원, 예컨대, 배터리에 부착되어 전류를 가열 수단, 또는 유도 또는 전자기 방사 가열의 구성요소에 제공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전기 접점(203)이 가열기와 접촉하여 가열기를 통한 폐회로를 획정하도록 구성되고 폐회로를 통해 전류가 흘러서 열을 생성할 수 있다.
가열 수단(37, 39)이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가열 온도는 전기 연결기 또는 접점(203) 사이의 이격 거리(d1)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저항값은 전기 연결기 또는 접점(203) 사이의 이격 거리(d1)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도 2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연결기 또는 접점(203)이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와 접촉하여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총 길이(l1)를 따라 전기 연결기 또는 접점(203) 사이의 이격 거리(d1)를 획정할 수 있다. 전류가 흐를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의 섹션의 저항값은 전기 연결기 또는 접점(203) 사이의 이격 거리(d1)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이것은 가열 수단(37, 39)이 메시형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1은 전류를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 또는 메시형 구조체의 부분을 통하여 전기 연결기 또는 접점(203)을 통해 제공하기 위한 가능한 예시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가열 수단 및/또는 윅 구조체는 위에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도 또는 전자기 방사 가열을 통해 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지지부 또는 복수의 지지부들이 전기 접점(203) 대신에 제공될 수 있고, 지지부 또는 지지부들은 가열 구성요소(1)를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은 기화기 구성요소(1)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소모품(CR)을 더 포함하는, 소모품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소모품(CR)은 가열기가 없는 소모품 또는 가열 구성요소가 없는 소모품이다.
소모품 시스템에서, 기화기 구성요소(1)의 벽(11)에 의해 획정되는 개구(17)가, 예를 들어, 소모품(CR)의 개구보다 더 넓어서 기화 가능한 물질의 횡방향 증발을 더 용이하게 한다. 소모품(CR)이 오리피스(155A)를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VL) 또는 막을 포함할 수 있고, 소모품 천공 기구(157A)가 핀(PN1) 또는 소모품 개방 기구(157B)를 포함하고 막 또는 밸브(VL)를 각각 활성화시키기 위한 작동기(PN2)를 포함한다. 소모품(CR)은,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의 범위를 정할 수 있거나; 또는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원주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은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도 12에 도시되는, 소모품(CR)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소모품(CR)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가열 구성요소(1)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진다.
소모품(CR)은 복수의 이전에 언급된 가열기(37, 39), 예를 들어, 제1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 및 제2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9)뿐만 아니라 홀더 또는 저장소(5)를 획정하는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3, FW)를 포함한다. 홀더 또는 저장소(5)는 홀더(5) 내부에 또는 소모품(CR)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고/하거나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조체(3)는, 예를 들어, 홀더(5)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밀봉된 또는 완전히 폐쇄된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를 획정한다. 구조체(3)는, 예를 들어, 기저부(B), 상단 섹션(TS) 및 기저부(B)와 상단 섹션(TS) 사이에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유지하는 인클로저를 획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WL)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체(3)는 소모품(CR)을 획정할 수 있다.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3, FW)는, 예를 들어, 홀더 또는 저장소(5)를 충전하거나 또는 재충전하기 위한 유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3, FW)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155A)를 포함할 수 있고 오리피스를 통해 기화 가능한 물질이 흐르거나 소모품(CR)으로부터 나간다.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3, FW)는, 예를 들어, 오리피스(155A)와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155B)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155A)가,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가열기(37, 39) 옆에 또는 이와 마주보게 위치되어 기화 가능한 물질을 가열기(37, 39) 상으로 직접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3, FW)가 제1 및 제2 가열기(37, 39)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가열기(37, 39)의 각각이 개별적으로 연장되어 홀더(5)의 일부를 각각 획정한다. 제1 및 제2 가열기(37, 39)가 연장되어, 예를 들어, 홀더(5)의 적어도 하나의 벽(WL)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획정한다.
가열기(37, 39)는, 예를 들어, 홀더(5)의 적어도 하나의 벽(WL)의 내부 및/또는 외부 부분을 각각 획정할 수 있다.
가열기(37, 39)는, 예를 들어, 오직 홀더(5)의 외부면 또는 홀더(5)의 적어도 하나의 벽(WL)의 외부 부분을 획정할 수 있다.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3, FW)는 가열기(37, 39)가 외부면에 부착되는 홀더(5)를 획정하는 밀봉된 시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기(37, 39)는 본 개시내용에 이전에 설명된 가열기와 동일하다.
가열기(37, 39)의 각각이 원주 방향으로 또는 주위에서 연장되어 홀더(5)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WL)의 부분을 획정할 수 있다.
구조체(3)는 제1 또는 상부 말단부(19) 및 제2 또는 하부 말단부(15)를 포함한다. 제2 가열기(39)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말단부(15, 19) 사이에 위치되고, 제1 가열기(37)는, 예를 들어, 제2 가열기(39)와 제2 또는 하부 말단부(15) 사이에 위치된다.
소모품(CR)의 유체 연통 경로(FCP)는,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2 가열기(39)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제1 가열기(37)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및 구조체 또는 프레임워크(3)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를 통해/따라 지나갈 수 있다.
유체 연통 경로(FCP)는, 소모품(CR)이 가열 구성요소(1)에 배치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윅 구조체(7)가 가열 구성요소(1)에 제공될 때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윅 구조체(7)의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모품(CR)의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155A)는 유체 연통 경로(FCP)의 부분을 획정하고 가열기(37, 39)와 직접적으로 마주하게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가열기 뒤에 직접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구조체(3)는, 예를 들어, 절두형 또는 테이퍼형 홀더(5)를 획정할 수 있다. 구조체(3) 또는 홀더(5)는,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의 홀더(5)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구조체(3) 또는 홀더(5)는,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 말단부(19, 15) 사이에서 연장되는 평면에서 테이퍼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 원주 또는 주변부를 획정할 수 있다. 도 12는, 예를 들어, 테이퍼형 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구조체(3) 또는 홀더(5)는,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 말단부(19, 15) 사이에서 연장되는 평면과 수직인 평면에서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소모품(CR)을 수용하기 위한 챔버(201), 및 기화 가능한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제1 및 제2 가열기(37, 39)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소모품(CR)의 제1 가열기(37) 및 제2 가열기(39)와 접촉하거나 또는 밀착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전기 접점(203)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에 관한 것이다. 도 28은 이러한 예시적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를 도시하고, 윅 구조체(7)가 전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윅 구조체(7)가 부재하거나 또는 상이한 위치에 위치되어 전기 접촉을 방지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는 소모품(CR)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201)를 포함한다. 복수의 전기 연결기 또는 접점(203)이 가열기(37, 39)와 접촉하거나 밀착되도록 배열되어 기화 가능한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전류를 제공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유도 또는 전자기 방사를 통한 가열이 사용되는 경우에, 지지부 또는 복수의 지지부들이 전기 접점(203) 대신에 제공되고, 지지부 또는 지지부들은 가열 조립체 또는 구성요소(1)를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윅 구조체(7)를 포함할 수 있다. 윅 또는 메시 구조체(7)는 챔버(201)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이전에 설명된 윅 구조체(7)와 동일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소모품(CR)이 챔버(201)에 위치될 때 흐르거나 또는 소모품(CR)으로부터 나가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도록 챔버(201)에 배치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소모품(CR)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윅 구조체(7) 내부에 소모품(CR)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윅 구조체(7) 내부에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가열기(37, 39)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가열기(37, 39)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소모품이 챔버(201) 내부에 위치될 때 소모품(CR)의 가열기(37, 39) 사이에 위치될 챔버(201)에 배치될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도 4의 프로파일과 동일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윅 구조체(7)는, 예를 들어, 도 2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지지부 또는 전기 연결기 또는 접점(203)에 부착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또한 소모품 천공 기구(57A) 또는 소모품 개방 기구(57B)를 포함하여 소모품(CR)으로부터 기화 가능한 물질의 배출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5는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소모품(CR)을 도시한다. 기화 가능한 물질이 오리피스(155A)에서 나가고 상부 가열기(39)에 의해 수용되고 수용된 액체의 일부가 상부 가열기(39)에 의해 기화될 것이다. 중력 작용에 의해, 액체의 일부가 구조체(3)를 통해 직접적으로 그리고/또는 간접적으로 하부 가열기(37)로 흐르고, 액체가 하부 가열기(37)에 의해 부가적으로 기화된다. 따라서 유체 연통 경로(FCP)는 제1 가열기(39)의 일부와 제2 가열기(37)의 일부, 또는 제1 가열기(39)의 일부, 제2 가열기(37)의 일부를 통해/따라 그리고 구조체(3)의 일부를 따라 지나가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윅 구조체(7)가 또한 중력 작용과 모세관 작용의 결합에 의해 가열기(37, 39) 사이에 포함되거나 또는 위치된다면(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가열 구성요소(1)에 포함될 때), 액체의 일부가, 예를 들어, 가열기(37, 39) 사이에 위치된 윅 구조체(7)(또는 메시 구조체(7)의 일부)를 통해 하부 가열기(37)로 흐르고 액체가 하부 가열기(37)에 의해 부가적으로 기화된다.
하부 가열기(39)는, 예를 들어, 상부 가열기(3A)의 온도보다 더 높거나 또는 더 낮은 온도에서 액체를 기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소모품(CR)을 도시한다. 기화 가능한 물질이 오리피스(155A)에서 나가고 하부 가열기(37)에 의해 수용되고 수용된 액체의 일부가 기화될 것이다. 가열기(37)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액체의 일부는, 예를 들어, 인접할 수 있는 상부 가열기(39)를 향하여 또는 이로 흐를 수 있다. 임의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가열 구성요소(1)의 윅 구조체(7)(또는 윅 구조체(33)의 일부)가 가열기(37, 39) 사이에 위치되어 기화 가능한 물질을 상부 가열기(39)로 이동시킬 수 있고 액체가 상부 가열기(39)에 의해 부가적으로 기화된다. 하부 가열기(37)는, 예를 들어, 상부 가열기(39)의 온도보다 더 낮거나 또는 더 높은 온도에서 액체를 기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예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단지 가능한 실현예를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이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개시되었지만, 설명된 실시형태에 대한 수많은 수정, 변형 및 변경 및 이의 등가물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설명된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언어에 따라 가장 광범위한 합리적인 해석이 주어지도록 의도된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중 임의의 실시형태의 특징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실시형태에 포함될 수 있다.

Claims (25)

  1.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기화기 구성요소(1)로서,
    - 소모품(CR)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서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5)를 획정하는 구조체(3)로서, 상기 소모품(CR)은 상기 구조체(3)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wick structure)(7)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는 상기 구조체(3)의 적어도 내부 부분(IP)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챔버(5)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구조체(3), 및
    - 제1 가열 수단(37) 및 제2 가열 수단(39)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가열 수단(37, 39) 사이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또는 제2 가열 수단(37, 39)은 모세관 작용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편복형(braided)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 또는 메시형 구조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이루어지는, 제1 가열 수단(37) 및 제2 가열 수단(39)
    을 포함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3)는 상기 챔버(5)를 획정하도록 연장되는 기저부(9)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벽(11)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는 상기 기저부(9)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거나 또는 이를 획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11) 및/또는 상기 기저부(9)를 완전히 획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11)이 제1 말단부(15)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소모품(CR)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17)를 제2 말단부(19)에서 획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는 상기 개구(17)와 상기 제1 말단부(15) 사이 또는 상기 개구(17)와 상기 기저부(9) 사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내부면(IP)을 따라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개구(17)와 상기 제1 말단부(15) 사이 또는 상기 개구(17)와 상기 기저부(9) 사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내부면(IP)을 획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가열 수단(37, 39)와 열 접촉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가열 수단(37, 39)이 상기 구조체(3)의 적어도 외부 부분 또는 상기 구조체(3)의 적어도 내부 부분(IP)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챔버(5)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 수단(37)이 상기 기저부(9)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기저부(9)를 획정하고, 상기 제2 가열 수단(39)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11) 안에 또는 위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는 오직 상기 제1 및 제2 가열 수단(37, 39) 사이에서 연장되는, 기화기 구성요소(1).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 수단(37)이 상기 제1 말단부(15)에 위치되고, 상기 제2 가열 수단(39)이 상기 개구(17)와 상기 제1 말단부(15) 사이에, 또는 상기 개구(17)를 획정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의 상기 제2 말단부(19)에 위치되는, 기화기 구성요소(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 또는 상기 메시형 구조체는 상기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고 모세관 작용에 의해 상기 기화 가능한 물질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개방 구멍(27)을 포함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11)이 상향으로 그리고 횡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소모품(CR)을 수용하기 위한 절두형 및/또는 테이퍼형 챔버(5)를 획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CR)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수단(37, 39) 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소모품 천공 기구(157A) 또는 소모품 개방 기구(157B)를 더 포함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3)는 상기 제1 및 제2 가열 수단(37, 39)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열 수단(37, 39)은 상기 구조체(3) 상에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 연통 경로(6)를 따라 개별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1 가열 수단(37)은 제1 기화 가열 온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가열 수단(39)은 상기 제1 기화 가열 온도와는 상이한 제2 기화 가열 온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기화기 구성요소(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열 수단(37, 39)이 연장되어 상기 챔버(5)의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획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열 수단(37, 39)의 각각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챔버(5)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11)의 부분을 획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17. 제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 수단(37)이 상기 제1 및 제2 말단부(15, 19) 사이에 있고 상기 제2 가열 수단(39)이 상기 제1 가열 수단(37)과 상기 제2 말단부(19) 사이에 위치되는, 기화기 구성요소(1).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 또는 메시형 구조체(37, 39)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화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엮인 또는 꼬인 네트워크를 획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7) 및/또는 상기 제2 편복형 전도체 가열 구성요소(39)는 편복형 와이어(127) 및 상기 편복형 와이어(127)가 부착되는 가요성 기재 또는 블레이드(114)를 포함하거나, 또는 편복형 와이어(127) 및 상기 편복형 와이어가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111)를 포함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3)는 절두형 및/또는 테이퍼형 챔버(5)를 획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의 홀더(7)의 범위를 정하거나; 또는 원추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원주를 획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열 수단(37, 39)의 각각이 개별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챔버(5)의 일부를 각각 획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윅 구조체(7)가 상기 제1 말단부(15) 및/또는 상기 제2 말단부(19)에 위치되거나 또는 이의 범위를 정하는, 기화기 구성요소(1).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화기 구성요소(1)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 구성요소(1)를 수용하는 공동부(51), 및 상기 기화 가능한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 가열 수단(37, 39)으로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가열 수단(37) 및/또는 상기 제2 가열 수단(39)과 접촉하거나 또는 밀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전기 접점(203)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GD).
KR1020227037417A 2020-05-28 2021-05-26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 KR202300166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77127.6 2020-05-28
EP20177127 2020-05-28
EP20177121.9 2020-05-28
EP20177121 2020-05-28
PCT/IB2021/054575 WO2021240384A1 (en) 2020-05-28 2021-05-26 Aerosol generating device 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619A true KR20230016619A (ko) 2023-02-02

Family

ID=7664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417A KR20230016619A (ko) 2020-05-28 2021-05-26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10177A1 (ko)
EP (1) EP4156986A1 (ko)
JP (1) JP2023526912A (ko)
KR (1) KR20230016619A (ko)
CN (1) CN115666285A (ko)
CA (1) CA3170424A1 (ko)
WO (1) WO20212403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67079Y (zh) * 2006-05-16 2008-06-04 韩力 仿真气溶胶吸入器
US7726320B2 (en) * 2006-10-18 2010-06-0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containing smoking article
AU2014375382B2 (en) 2013-12-31 2019-01-17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 capsule for use in an aerosol-generating device
US10085488B2 (en) 2016-02-03 2018-10-02 Nathan R. Kies Portable vaporizer and storage systems
RU2718356C1 (ru) 2016-07-22 2020-04-02 Никовенчерс Холдингз Лимитед Футляр для хранения
US11045615B2 (en) * 2016-12-19 2021-06-29 Altria Client Services Llc Vapor-generating systems
US11000072B2 (en) * 2017-11-02 2021-05-11 Blackship Technologies Development Llc Multi-source micro-vapor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10177A1 (en) 2023-07-06
EP4156986A1 (en) 2023-04-05
CA3170424A1 (en) 2021-12-02
CN115666285A (zh) 2023-01-31
WO2021240384A1 (en) 2021-12-02
JP2023526912A (ja)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7424B2 (ja) 非燃焼型喫煙デバイスおよびそのエレメント
US10362806B2 (en) Electronic vap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RU2730709C2 (ru) Проницаемый для жидкости нагреватель в сборе для систем, генерирующих аэрозоль, и плоская электрически проводящая упорядоченная нитчатая структура для проницаемых для жидкости нагревателей в сборе
JP6924156B2 (ja)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のためのカートリッジ
RU2635970C2 (ru) Электронное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и улучшенный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RU2661723C2 (ru) Аэрозольобразующий элемент
RU2020128015A (ru)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с неотделимым нагревателем в сборе
KR20230016619A (ko)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구성요소
KR20190004294A (ko)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
TW200906341A (en) Three-dimensional electric heating apparatus
EP3838011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US20230074217A1 (en) Heating Apparatus
EP3838012A1 (en) Heating apparatus
KR20230052172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금속섬유 면상발열 히터
GB2059730A (en) Deformable heating unit
EA041893B1 (ru)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CN201004718Y (zh) 一种电发热体
CN109716859A (zh) 发热单元以及包括其的发热模块
NZ724592B2 (en) Electronic vap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GB2224345A (en) Arrangement for increasing heat transfer between a heating surface and a boiling liqu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