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426A -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426A
KR20230016426A KR1020210097905A KR20210097905A KR20230016426A KR 20230016426 A KR20230016426 A KR 20230016426A KR 1020210097905 A KR1020210097905 A KR 1020210097905A KR 20210097905 A KR20210097905 A KR 20210097905A KR 20230016426 A KR20230016426 A KR 20230016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fan assembly
cover
spac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범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7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6426A/ko
Publication of KR2023001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이다. 블럭몸체(10)에는 릴레이(20,20'), 전류센서(22), 커넥터(24), 버스바(26), 외부연결부(28) 등의 부품이 구비되고, 상기 블럭몸체(10)에는 상기 부품들을 덮도록 커버(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에는 팬설치부(38)가 있을 수 있고, 상기 팬설치부(38)의 팬공간(40)에는 팬조립체(5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50)가 커버(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30)가 블럭몸체(10)에 장착되면 상기 팬조립체(50)는 상기 릴레이(20)의 전극부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커버(30)의 일측에는 공기가 내외부로 입출되는 기류통공(48)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vehicle having fan-assembly}
본 발명은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할 수 있는 릴레이와 과전압으로부터 각 전장부품을 보호하는 퓨즈들이 사용되는데, 이들 릴레이와 퓨즈 등을 모아 배치한 것이 자동차용 블럭이다.
상기 자동차용 블럭에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는데, 최근에는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자동차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사용함에 따라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블럭도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고전압을 수용하기 위해서, 자동차용 블럭에는 고전압 기준에 맞는 부품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고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릴레이, 퓨즈 및 버스바(busbar)등이 자동차용 블럭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전압 부품들은 사용 중에 많은 열을 발생시키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제품의 소형화를 위해서 자동차용 블럭도 작게 만들어지고 있는 추세인데, 이에 따라 자동차용 블럭 내부의 설치공간도 좁아지고 있다. 이처럼 좁은 공간에서 많은 부품이 사용되면 방열에 더욱 불리한 환경되고, 특히 고전압 부품에서 발생하는 높은 열을 배출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116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능동적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 내에서 공기유동을 만들어 내는 팬조립체를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능동적으로 배출하도록 하여 자동차용 블럭에서 사용되는 부품 들을 소형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팬조립체를 블럭몸체를 차폐하는 커버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품들이 설치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부품들을 외부와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블럭몸체와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외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를 구성하는 커버플레이트의 일측에 외면으로 돌출되고 커버의 내면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상기 팬조립체가 위치되는 팬설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내면에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 공간은 팬공간으로 상기 팬공간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팬조립체의 일측 가장자리가 걸어지는 고정걸이턱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팬공간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팬조립체의 타측 가장자리가 걸어지는 걸이턱을 가지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이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팬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팬설치부의 팬공간 내에 형성된 나사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통공은 상기 팬하우징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통공 중에서 서로 대각선의 위치에 있는 것에 상기 체결나사가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공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와 블럭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기류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는 상기 블럭몸체에 설치된 부품 중에서 열발생이 가장 많은 부품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가 마주보는 부품은 릴레이일 수 있으며, 상기 팬조립체는 상기 릴레이의 전극부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팬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팬설치부의 외면으로 개방되게 상기 팬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품들이 설치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부품들을 외부와 차폐하고 일측에 돌출되어 팬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팬설치부의 일측면이 개방되어 내부의 팬공간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팬설치부의 팬공간에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블럭몸체와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외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공간의 양측 내면을 따라서는 상기 팬공간의 개방된 일측면에서 시작해서 내측으로 연장되게 안내레일이 구비될 수 있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상기 팬조립체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팬공간의 내면에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팬조립체의 팬하우징을 관통하는 체결통공을 체결나사가 관통하여 상기 나사체결공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와 블럭몸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기류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의 외면 중에서 상기 팬공간의 천정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팬조립체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통과하는 관통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팬조립체가 열발생이 가장 많은 부품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팬조립체는 블럭몸체에 설치된 부품들을 차폐하는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팬설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팬조립체에 의해 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배출이 잘 됨에 의해 자동차용 블럭의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와 같이 내부의 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됨에 의해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 들의 내구성이 좋아지게 되어 자동차용 블럭의 내구성이 좋아질 수 있다.
또한, 블럭에 설치되는 부품 들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낮출 수 있어서, 내부의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버스바의 치수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블럭을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팬조립체를 커버에 장착하였으므로, 블럭몸체에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블럭몸체에 설치된 부품 중에서 열발생이 가장 많은 부품에 대응되는 위치에 팬조립체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팬조립체의 장착작업이 용이하고 장착을 위한 설계 또한 간단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블럭몸체와 이에 설치된 부품들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D4-D4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D5-D5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의 내면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팬조립체를 보인 저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자동차용 블럭은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고, 부품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례의 자동차용 블럭의 골격을 블럭몸체(1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1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블럭몸체(10)가 정확하게 육면체 형상은 아니며 상면에 높낮이도 있고 측면에 요철된 부분도 있을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10)는 높낮이가 있으면서 대략 사각형의 평면 영역을 가지는 몸체베이스(12)가 있고, 상기 몸체베이스(1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몸체측벽(1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몸체측벽(14)에는 다수개의 체결턱(16)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턱(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의 체결편(36)이 걸어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10)에는 장착부(1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부(18)는 자동차용 블럭을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고정부에 고정된 볼트가 관통하고 이 볼트에 너트가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부(18)에는 일측이 개방된 관통공이 있고, 이에 아래에서 설명될 방진구(1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8)는 상기 블럭몸체(10)의 모서리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부(18)는 상기 블럭몸체(10)의 가장자리 일측에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장착부(18)에는 진동과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진구(1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진구(19)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방진구(19)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금속재질의 부싱(19')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싱(19')을 자동차의 고정부에 있는 볼트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10)의 몸체베이스(12) 상에는 릴레이(20,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베이스(12) 상에는 버스바(26)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센서(2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10)에는 다수개의 커넥터(24)가 설치되어 회로 연결 및 외부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10)에 설치된 부품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버스바(26)가 할 수 있다. 다르게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전기적 연결을 할 수 도 있다.
상기 블럭몸체(1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외부연결부(2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28)는 상기 버스바(26)의 단부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28)에는 볼트가 버스바(26)를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어서 외부의 터미널 등이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10)의 몸체베이스(12)에 설치된 여러 부품들을 차폐하도록 커버(3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몸체베이스(12)의 평면 형상과 유사한 평면 형상을 가지는 커버플레이트(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2)는 상기 블럭몸체(10)에 설치된 부품들을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커버측벽(3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버측벽(34)은 상기 블럭몸체(10)의 몸체측벽(14)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측벽(34)에는 체결편(36)이 있을 수 있다.상기 체결편(36)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체결편(36)에는 체결공(36')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체결턱(16)이 위치되어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편(36)은 상기 체결턱(16)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의 일측에는 팬설치부(3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8)는 상기 커버플레이트(3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8)는 상기 커버플레이트(32)의 외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8)는 상기 커버플레이트(32)의 저면에서는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2) 저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팬설치부(38) 부분은 팬공간(40)이다. 상기 팬설치부(38)는 아래에서 설명될 팬조립체(50)의 평면형상과 같은 평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팬공간(40)과 커버(30)의 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슬롯(41)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슬롯(41)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커버플레이트(32)에 돌출되게 형성된 팬설치부(38)의 표면이자 상기 팬공간(40)의 천정부분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관통슬롯(41)이 각각 직선으로 형성되어 사각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관통슬롯(41)은 곡선으로 되어 원형을 이루도록 될 수도 있다.
상기 팬공간(40)의 천정부분에는 나사체결공(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체결공(42)은 홈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나사체결공(42)에는 체결나사(43)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나사(43)는 아래에서 설명될 팬하우징(52)의 체결통공(56)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체결공(42)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팬공간(40)의 일측 내면에는 고정걸이턱(45)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고정걸이턱(45)이 2개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고정걸이턱(45)은 상기 팬공간(40)의 내면의 길이에 따라 갯수가 달리 될 수 있다.
상기 고정걸이턱(45)이 형성된 팬공간(40)의 내면과 마주보는 내면에는 체결후크(4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후크(47)는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후크(47)는 외팔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체결후크(47)의 자유단부에는 걸이턱(47')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걸이턱(45)과 상기 걸이턱(47')은 아래에서 설명될 팬조립체(50)를 걸어서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걸이턱(45)과 상기 걸이턱(47')은 서로 마주보고 서로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걸이턱(45)은 팬조립체(50)와 대략 0.5mm 정도 겹쳐질 수 있다. 상기 걸이턱(47')은 상기 고정걸이턱(45)에 비해 2배 정도 더 겹쳐질 수 있다.
상기 커버(30)에는 기류통공(4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류통공(48)은 상기 커버플레이트(32)나 커버측벽(34)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류통공(48)을 통해서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류통공(48)을 통해서 상기 블럭몸체(10)와 커버(3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또는 아래에서 상기 기류통공(48)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블럭몸체(10)와 커버(3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팬공간(40)에는 팬조립체(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50)가 상기 팬공간(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30)가 상기 블럭몸체(10)에 장착되면 상기 팬조립체(50)는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릴레이(20)에서 전극부분이 상기 팬조립체(50)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50)의 외관을 팬하우징(5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52)은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52)의 내부에는 팬(5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54)은 팬모터(55)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55)는 상기 팬하우징(52)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52)의 가장자리,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팬하우징(52)의 모서리를 관통하여서는 체결통공(5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통공(56)은 상기 체결나사(43)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체결통공(56)이 4개 형성되어 있으나, 모든 체결통공(56)에 상기 체결나사(43)가 위치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대각선 위치에 해당되는 2개의 체결통공(56)에 체결나사(43)가 설치되어 팬하우징(52)을 커버(30)에 체결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블럭몸체(10)에는 상기 릴레이(20,20'), 커넥터(24), 버스바(26), 외부연결부(28)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블럭몸체(10)에 상기 커버(30)를 장착하여, 상기 부품들을 차폐한다.
상기 커버(30)에는 상기 팬조립체(50)가 상기 팬설치부(3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8)에 상기 팬조립체(5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30)가 상기 블럭몸체(10)에 장착되면, 상기 팬조립체(50)는 상기 릴레이(20)의 전극 부분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커버(30)가 상기 블럭몸체(10)에 장착되어, 전체 블럭의 조립이 완성되면, 상기 장착부(18)를 사용하여 자동차의 고정부에 설치한다. 상기 장착부(18)에 있는 방진구(19)의 부싱(19')을 고정부의 볼트가 관통하게 하고,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블럭을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24) 중에서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것들에 상대 커넥터를 결합하고, 상기 외부연결부(28)에 외부 터미널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면 자동차용 블럭이 사용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럭이 사용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블럭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열을 외부로 빼내기 위해서 상기 팬조립체(50)를 동작시킨다. 상기 팬조립체(50)의 팬모터(55)가 회전하면 상기 팬(54)이 함께 회전하고, 상기 팬(54)의 회전에 의해 기류가 형성된다.
상기 팬(54)은 외부공기를 상기 관통슬롯(41)을 통해 상기 커버(30)와 블럭몸체(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흡입하거나, 반대로 커버(30)와 블럭몸체(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관통슬롯(41)을 통해 상기 커버(30)와 블럭몸체(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면, 상기 릴레이(20)를 통과하면서 열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릴레이(20)를 통과하면서 열을 전달받은 공기는 상기 기류통공(4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54)에 의해 상기 커버(30)와 블럭몸체(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외부로 상기 관통슬롯(41)을 통해 나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기류통공(48)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커버(30)와 블럭몸체(10) 사이로 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팬(54)에 의해 공기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릴레이(20)에서 발생하는 열이 능동적으로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30)와 블럭몸체(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있는 부품들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50)는 상기 커버(30)의 팬설치부(38)에 상기 고정걸이턱(45)과 걸이후크(47)의 걸이턱(47')에 의해서만 설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체결나사(43)를 사용하여 상기 팬조립체(50)가 상기 커버(30)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나사(43)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걸이턱(45)과 걸이후크(47)의 걸이턱(47')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상기 팬공간(40) 내에서 팬조립체(50)가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팬조립체(50)와 커버(30) 사이의 틈에 의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50)를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30)를 상기 블럭몸체(10)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즉, 상기 체결편(36)을 탄성변형시켜서 상기 체결턱(16)으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상기 커버(30)를 상기 블럭몸체(10)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상기 커버(30)를 블럭몸체(10)에서 분리한 후에는 상기 팬공간(40)에 설치된 팬조립체(50)를 분리하게 된다. 먼저, 상기 체결나사(43)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체결나사(43)를 풀어내고, 다음으로 상기 걸이후크(47)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걸이턱(47')이 상기 팬조립체(50)와 분리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팬조립체(50)를 상기 팬공간(40)에서 빼내어 유지보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블럭몸체(10)에 설치되는 부품이 릴레이(20,20'), 전류센서(22), 커넥터(24), 버스바(26), 외부연결부(28) 등이 있으나, 다른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항, 스위치, 프리차지릴레이, 반도체칩 등 작동 중에 발열이 있는 다양한 부품들이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팬조립체(50)가 상기 커버(30)에 형성된 팬설치부(38)의 팬공간(40)에 고정걸이턱(45)과 걸이후크(47)의 걸이턱(47')에 걸어져 설치었으나, 다르게는 상기 팬조립체(50)가 상기 팬공간(40)의 내외부로 서랍식으로 입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팬공간(40)의 일측 내면에 대응되는 상기 팬설치부(38)의 외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입구에서 내측으로 상기 고정걸이턱(45)과 걸이턱(47') 대신에 안내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상기 팬조립체(50)가 팬공간(4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에도 상기 나사체결공(42)에 체결나사(43)가 팬조립체(50)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10: 블럭본체 12: 몸체베이스
14: 몸체측벽 16: 체결턱
18: 장착부 19: 방진구
19': 부싱 20,20': 릴레이
22: 전류센서 24: 커넥터
26: 버스바 28: 외부연결부
30: 커버 32: 커버플레이트
34: 커버측벽 36: 체결편
36': 체결공 38: 팬설치부
40: 팬공간 41: 관통슬롯
42: 나사체결공 43: 체결나사
45: 고정걸이턱 47: 걸이후크
47': 걸이턱 50: 팬조립체
52: 팬하우징 54: 팬
55: 팬모터 56: 체결통공

Claims (14)

  1. 부품들이 설치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부품들을 외부와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블럭몸체와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외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조립체를 포함하는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구성하는 커버플레이트의 일측에 외면으로 돌출되고 커버의 내면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상기 팬조립체가 위치되는 팬설치부가 형성되는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면에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 공간은 팬공간으로 상기 팬공간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팬조립체의 일측 가장자리가 걸어지는 고정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팬공간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팬조립체의 타측 가장자리가 걸어지는 걸이턱을 가지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이후크가 구비되는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팬조립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팬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팬설치부의 팬공간 내에 형성된 나사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통공이 형성되는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통공은 상기 팬하우징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통공 중에서 서로 대각선의 위치에 있는 것에 상기 체결나사가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공에 체결되는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와 블럭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기류통공이 형성되는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팬조립체는 상기 블럭몸체에 설치된 부품 중에서 열발생이 가장 많은 부품과 마주보게 설치되는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팬조립체가 마주보는 부품은 릴레이로서, 상기 팬조립체는 상기 릴레이의 전극부와 마주보는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팬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팬설치부의 외면으로 개방되게 상기 팬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슬롯이 형성되는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10. 부품들이 설치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부품들을 외부와 차폐하고 일측에 돌출되어 팬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팬설치부의 일측면이 개방되어 내부의 팬공간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팬설치부의 팬공간에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블럭몸체와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외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조립체를 포함하는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팬공간의 양측 내면을 따라서는 상기 팬공간의 개방된 일측면에서 시작해서 내측으로 연장되게 안내레일이 구비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상기 팬조립체가 안내되는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팬공간의 내면에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팬조립체의 팬하우징을 관통하는 체결통공을 체결나사가 관통하여 상기 나사체결공에 체결되는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와 블럭몸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기류통공이 형성되는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팬설치부의 외면 중에서 상기 팬공간의 천정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팬조립체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통과하는 관통슬롯이 구비되는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KR1020210097905A 2021-07-26 2021-07-26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KR20230016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905A KR20230016426A (ko) 2021-07-26 2021-07-26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905A KR20230016426A (ko) 2021-07-26 2021-07-26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26A true KR20230016426A (ko) 2023-02-02

Family

ID=8522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905A KR20230016426A (ko) 2021-07-26 2021-07-26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64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167B1 (ko) 2006-07-31 2012-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정션 박스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167B1 (ko) 2006-07-31 2012-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정션 박스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4365B2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5107114B2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4719134B2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US8257060B2 (en) Inverter-integrated electric compressor
JP5221935B2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KR100190154B1 (ko) 인버터 장치
US7084727B2 (en)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uniform control tile
CN108370197B (zh) 电路板、非驱动端罩、电动机套件和电动机
US8913371B2 (en) Automotive fuse and relay block assembly
JP4512410B2 (ja) 電力変換装置
US20200328395A1 (en) Electric-shock-protected battery connector, battery module and system comprising battery connectors and battery modules
CN115226370A (zh) 功率转换单元的封装
EP2633745B1 (en) Electronic appliance unit
US20140133109A1 (en) Field replaceable auxiliary switch and control circuit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tactor
JP7346844B2 (ja) 電子モジュール
KR20230016426A (ko) 팬조립체를 가지는 자동차용 블럭
JP7263058B2 (ja) 電動圧縮機
CN115516748A (zh) 电力转换装置
US20230170833A1 (en) Inverter unit
US6767242B2 (en) Terminal covering cap for connection terminals of a multi-phase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20230014942A1 (en) Frequency Converter Class
CN104980083B (zh) 一种电动汽车电机控制器总成的壳体结构及装配方式
EP4350969A1 (en) Bus bar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inverter device
CN106877684B (zh) 电力转换装置
KR200451950Y1 (ko) 단상 전용 전자접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