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130A -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130A
KR20230016130A KR1020210097312A KR20210097312A KR20230016130A KR 20230016130 A KR20230016130 A KR 20230016130A KR 1020210097312 A KR1020210097312 A KR 1020210097312A KR 20210097312 A KR20210097312 A KR 20210097312A KR 20230016130 A KR20230016130 A KR 20230016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levator
elevator car
controller
ster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3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3199B1 (en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7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199B1/en
Priority to CN202111500046.6A priority patent/CN115676560A/en
Publication of KR2023001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1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1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Ventil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an elevator, comprising: an air purification sterilizer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n elevator car, purifying the air inside the elevator car and removing bacteria; a controller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e and action of the air purification sterilizer depending on a set operation mode, and including a display module visually prompting the replacement cycle and the operation state of a cartridge and a filter of the air purification sterilizer; and a central control panel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ler through a mobile cable and connected to a remote management system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monitor the replacement cycle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cartridge and the filter of the air purification sterilizer. Therefore, provided is an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an elevator which can actively operat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actions depending on the elevator boarding condition of a user.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LEVATOR}Elevator air cleaning and disinfection system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탑승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공기청정 제균 동작이 운영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in which an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operation can be actively operated according to a user's elevator boarding situation.

최근 건축물의 고층화, 대형화에 따라 승강기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으며, 층수와 연면적 기준을 초과하는 건축물의 경우 건축법에 따라 승강기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라 함은 수직이동 수단인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휄체어리프트 등을 일컫는다.In recent years, elevators have been rapidly supplied according to the high-rise and large-sized buildings, and in the case of buildings exceeding the standards for the number of floors and gross floor area, elevators are required to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Building Act. In general, an elevator refers to an elevator, an escalator, a wheel chair lift, and the like, which are means of vertical movement.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일상생활에 아주 밀접한 수직 이동수단으로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 다수의 이용자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환경의 유지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만일 엘리베이터 승강카(Car)의 밀폐된 내부공간을 채우고 있는 공기가 오염되면 알레르기, 천식, 안구충혈, 두통 및 만성 피로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최근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를 비롯하여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통로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passenger elevator, like a car, it is a means of vertical movement that is very close to daily life, and it is essential to maintain and manage a pleasant and healthy indoor environment, especially since it is us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in an enclosed space. If the air filling the airtight inner space of the elevator car is polluted, it can cause allergies, asthma, eye congestion, headaches and chronic fatigue, as well as various germs and viruses, including the recently popular corona virus.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be a channel for propagation.

이에 따라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카의 공기정화를 위해서 승강카 외부천정에 환기팬을 설치하여 외부공기를 승강카 내부로 끌어들이는 방식의 공기정화가 이루어졌다.Accordingly, conventionally, in order to purify the air of the elevator car, a ventilation fan is installed on the outer ceiling of the elevator car to draw outside air into the elevator car.

한국등록특허 제10-0119656 (1997.08.05)호는 엘리베이터의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강차 및 승강차도어의 내측패널면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층을 도포형성하고, 승강차의 내벽하부의 소정위치에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배출공을 형성한 후 그 공기배출공의 바깥쪽에는 승강차의 외벽을 타고 승강차 상부로 향하는 덕트를 연결 형성하는 한편, 이 덕트와 연결되는 승강차의 상단에는 다수개의 필터와, 그 필터의 앞쪽에 설치되어 작동되면서 승강차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팬모터와, 이들을 감싸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수단을 연결하고, 하우징의 후단에 해당되는 승강차의 상판 소정위치에는 승강차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송풍공을 형성하므로써 승강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순환시켜 여과시킨 다음, 그 승강차 상부로부터 내부로 재유입시키고, 승강차 및 승강차도어 내측패널로 부터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하여 승강차 내부의 공기가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119656 (1997.08.05) relates to an elevator air cleaning device, in which a ceramic layer emitting far-infrared rays is coated and formed on the inner panel surface of an elevator car and an elevator door, and the lower inner wall of the elevator car After forming an air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ir discharge hole, a duct lea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along the outer wall of the elevator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ir discharge hole, and the top of the elevator connected to the duct A plurality of filters, a fan motor tha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filter and operated while sucking air inside the elevator, and a filtering means consisting of a housing surrounding them are connected, and the top plate of the elevator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housing By forming an air blowing ho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elevator at the location, the air inside the elevator is forcibly circulated to the outside and filtered, then re-introduced from the top of the elevator to the inside, and from the elevator and the inner panel of the elevator door. Far-infrared rays are radiated so that the air inside the elevator can always be maintained in a comfortable state.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6-0022485 (1996.07.20)호는 엘리베이터의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운전조작반의 대략 중간부분에 에어 배출공이 형성되고 이 에어 배출공을 통하여 에어가 배출되도록 에어 배출공의 근접부위에 통상의 이온발생기 및 필터가 설치되고 필터의 측면에는 송풍기가 형성되는 것을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탑승자 호흡기의 높이에 청정공기가 나오도록 설치하여 보다 빨리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사람에게 청정공기를 공급하도록 함은 물론 이온발생기를 설치하여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엘리베이터내에 공급하게 되어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탑승객이 맑고 쾌적한 청정공기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6-0022485 (July 20, 1996) relates to an elevator air cleaning device, and an air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middle of an operation control panel installed in the elevator, an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As much as possible, a conventional ion generator and filter ar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air discharge hole, and a blower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lter, so that clean air comes out at the height of the respiratory system of the occupant in the elevator, so that you can get on the elevator more quickly. In addition to supplying clean air to people, by installing an ion generator, negative ion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are supplied to the elevator, so that passengers in the elevator can drink clear and pleasant clean air.

한국등록특허 제10-0119656 (1997.08.0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119656 (1997.08.05)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6-0022485 (1996.07.20)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6-0022485 (1996.07.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탑승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공기청정 제균 동작이 운영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in which an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operation can be actively operated according to a user's elevator boarding situ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카 상부에 공기청정 제균기를 설치하여 기존에 운행중인 엘리베이터의 카상부 환기팬과 호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that is compatible with the ventilation fan of the upper car of an existing elevator by installing an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on the upper part of the c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카트리지 및 필터의 교체주기를 원격 알림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 표시하여 교체하도록 하고, 이를 위해 자동 주문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ation system that allows replacement of cartridges and filters to be replaced by remote notification and display through a notification and automatic ordering for this purpo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공기청정 제균기 모듈을 매립 설치하고 카 위치 및 운행 방향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n indicator function indicating a car position and a driving direction by embedding an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module inside an elevator.

실시예들 중에서,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공기를 정화하고 세균을 제거하는 공기청정 제균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설치되고 설정되는 운영모드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의 작동시간 및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의 카트리지 및 필터 교체주기와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알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와 이동 케이블을 통해 통신하고 원격관리시스템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의 카트리지 및 필터 교체주기와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제공하는 중앙제어반을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elevator air purifying and disinfecting system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elevator car and purifies the air inside the elevator car and removes germs. A controller including a display modul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and visually displays and provides notification of cartridge and filter replacement cycles and operation status of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and through the controller and a mobile cable. and a central control panel that communicates with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is connected to the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monitor the cartridge and filter replacement cycle and operation status of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실시예들 중에서,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사용자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객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사용자 탑승 여부를 상기 운영모드에 반영하여 풍량 조정에 따른 저소음 운영모드 및 최대 가동에 따른 집중 크리닝 모드로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Among the embodiments, the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ation system further includes a passenge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user is in the elevator car, and the controller reflects whether or not the user is in the elevator car in the operation mode to reduce noise by adjusting the air volume.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may be controlled in an intensive cleaning mode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and maximum operation.

상기 탑승객 감지기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하중 감지 센서,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를 촬영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ssenger sensor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car and detects the internal load of the elevator car and transfers the load to the controller, and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and photographs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to transmit the image to the controller. It may include a camera that transmits.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중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탑승 여부 및 카 도어의 닫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사용자가 탑승하여 카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가 최대 가동되도록 집중 크리닝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a user is boarding the elevator car and a closed state of a car door based on the load of the elevator car detected by the load sensor and the internal image of the elevator car captured by the camera, and the elevator When the user gets into the car and the car door is closed, the air purifier can be controlled in an intensive cleaning mode so that the air purifier is operated to the maximum.

상기 제어기는 상기 중앙제어반에 저장되는 엘리베이터 운행 이력 정보에 기초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패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수가 기설정 횟수 이하의 시간대에는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가 작동되지 않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수가 급증하는 시간 직전에 집중 크리닝 모드로 운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does not operate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and the elevator car operation number is less than a preset numb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elevator car based on the elevator operation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central control panel. 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in intensive cleaning mode right before the surge time.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운영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운영설정 입력부 및 원격 조작에 의해 상기 운영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운영설정 무선입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include an operation setting input unit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by user manipulation and an operation setting wireless input/output unit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by remote manipulation.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는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PM 센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CO2 센서 및 복합유기화합물을 검출하는 tVOCs(total Volatile Compounds)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공기질을 측정하고, 프리 필터와 헤파(HEAP) 필터를 포함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거친 공기를 제균하는 공기제균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측면에 설치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 또는 상기 공기제균기 모듈에 의해 제균된 공기를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 배출하는 블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sterilizer measures the air quality inside the elevator car by including a PM sensor for detecting fine dust, a CO2 sensor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and a total volatile compound (tVOCs) sensor for detecting complex organic compounds, and a pre-filter A filter including a HEPA filter to purify air and an air sterilizer module to sterilize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lter, and cleaning the inside air of the elevator car by the rotation of the fan and a blower for discharging the air that is sucked in and purified by the filter or the air that has been sterilized by the air sterilizer module into the elevator car.

상기 제어기는 상기 CO2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CO2 농도를 상기 운영모드에 반영하여 환기 모드로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의 작동을 제어하되, 공기 내부 순환 방식인 경우, 상기 블로워의 풍량 및 카 도어의 오픈 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를 환기시켜 CO2 농도가 저감되도록 하고, 공기 외부 순환 방식인 경우, 상기 블로워의 풍량을 조절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늘려 CO2 농도가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in a ventilation mode by reflecting the internal CO2 concentration of the elevator car detected by the CO2 sensor in the operation mode. By controlling the opening time of the door,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is ventilated to reduce the CO2 concentration, and in the case of an external air circulation method,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is adjusted to increase the inflow of external air so that the CO2 concentration can be reduced. .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은 상기 중앙제어반을 통해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의 카트리지 또는 필터 교체 시기가 알림 제공되면 해당 교체 부품을 자동 주문할 수 있다.The remote management system may automatically order a corresponding replacement part when a notification of replacement time of the cartridge or filter of the air purifying sterilizer is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through the central control panel.

실시예들 중에서,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표시기인 인디케이터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공기를 정화하고 세균을 제거하는 공기청정제균기 모듈, 카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설정되는 운영모드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제균기 모듈의 작동시간 및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공기청정제균기 모듈의 카트리지 및 필터 교체주기와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알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와 이동 케이블을 통해 통신하고 원격관리시스템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청정제균기 모듈의 카트리지 및 필터 교체주기와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제공하는 중앙제어반을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elevator air purifier and disinfection system is installed in an indicator that is a position indicator of the elevator car, and an air purifier and disinfectant module that purifies the inside air of the elevator car and removes germs, and is installed and set on one side of the car door. A controller including a display module that controls the operating time and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module according to the mode and visually displays and provides notification of the cartridge and filter replacement cycle and operation status of the air purifier module, and the controller and a central control panel that communicates with and through a mobile cable and is connected to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monitor the cartridge and filter replacement cycle and operation status of the air purifier module.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공기청정제균기 모듈의 소모품 교체가 용이하도록 탈부착 가능한 인디케이터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dicator may include a detachable indicator cover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consumables of the air purifier module.

상기 인디케이터 커버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본체 프레임에 체결부재로 고정 체결되어 완전 분리되거나, 또는 일측이 상기 인디케이터의 본체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부분 분리될 수 있다.The indicator cover may be completely separated by being fixedly fastened to the body frame of the indicator with a fastening member, or partially separated by having one side hinged to the body frame of the indicator.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은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탑승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공기청정 제균 동작이 운영될 수 있다. In the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operation can be actively op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elevator boarding situ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은 카 상부에 공기청정 제균기를 설치하여 기존에 운행중인 엘리베이터의 카상부 환기팬과 호환할 수 있다.An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atible with the ventilation fan of the upper car of an existing elevator by installing an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on the top of the c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은 카트리지 및 필터의 교체주기를 원격 알림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 표시하여 교체하도록 하고, 이를 위해 자동 주문하도록 할 수 있다.Elevator air purifying and disinfec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artridge and filter replacement cycle to be replaced by displaying a notification through a remote notification and display, and can be automatically ordered for this purpo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내부에 공기청정 제균기 모듈을 매립 설치하고 카 위치 및 운행 방향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n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module embedded in an elevator and function as an indicator indicating a car position and direction of mov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공기청정 제균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공기청정 제균기의 공기 유동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공기청정 제균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제어기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있는 인디케이터에 공기청정제균기 모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levator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in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of FIG. 2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in FIG. 1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module of the controller in FIG. 1 .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module in FIG. 5 .
7 is a view showing an elevator air cleaning and disinf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air purifier module in the indicator of FIG. 7 .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levator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100)은 공기청정 제균기(110), 제어기(130), 탑승객 감지기(150), 이동 케이블(170) 및 중앙제어반(19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100 includes an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110, a controller 130, a passenger detector 150, a moving cable 170, and a central control panel 190.

공기청정 제균기(110)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카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고 공기 중 떠다니는 세균을 제거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할 수 있다. 공기청정 제균기(110)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기존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설치되는 환기팬(미도시)과 호환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1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200 to purify the air inside the car and remove bacteria floating in the air to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The air purifier 110 is install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200 and can be compatible with a ventilation fan (not shown) installed on top of the existing elevator car.

제어기(130)는 운영모드에 따라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운영자 단말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원격으로 운영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스위치 조작모듈을 포함하여 운영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운영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스위치 조작모듈은 푸시 스위치(Push Switch) 또는 딥 스위치(Dip Switch)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설정되는 운영모드에 따라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작동시간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작동 상태, 카트리지 및 필터 교체주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엘리베이터 카(200)의 탑승객 및 운영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130 may be network-connected to an operator terminal and remotely set an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130 includes a switch operation module so that an operation mode can be set by an operator's switch operation. Here, the switch control module may use a push switch or a dip switch.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10 according to the set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to visually display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purifier 110 and a cartridge and filter replacement cycle to provide notification to passengers and operators of the elevator car 200 .

제어기(130)는 탑승객 감지기(150)의 감지결과를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운영모드에 반영하여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130)는 탑승객 감지기(150)에서 엘리베이터 카(200) 내부에 사용자 탑승이 감지되면 또는 탑승객이 기설정 인원이상 감지되면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닫힌 상태에서 공기청정 제균기(110)가 최대로 가동되는 집중 크리닝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130)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운행패턴을 고려하여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운영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130)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운행수가 기설정 횟수 이하의 시간대에는 공기청정 제균기(110)를 작동시키지 않고 엘리베이터 카(200)의 운행수가 급증하는 시간 직전에 공기청정 제균기(110)를 집중 크리닝 모드로 운영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110 by reflect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assenger sensor 150 on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110 .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is an air purifier sterilizer with the elevator door 210 closed when the passenger detector 150 detects a user boarding inside the elevator car 200 or when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passengers is detected. (110)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n intensive cleaning mode that is operated to the maximum.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may automatically set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purifier 110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elevator car 20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does not operate the air purifier 110 during a time period when the number of elevator car 200 operation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and the air purifier sterilizer 110 immediately before the time when the number of elevator car 200 operations rapidly increases. (110) can be operated in an intensive cleaning mode.

탑승객 감지기(150)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사용자 탑승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탑승객 감지기(150)는 하중 감지 센서(150a)와 카메라(150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중 감지 센서(150a)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카 내부의 하중을 감지하여 제어기(130)에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150b)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 내부를 촬영하여 제어기(13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passenger detector 150 may detect whether or not a user is boarding the elevator car 200 and transmit a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ler 130 . To this end, the passenger sensor 150 may include a load sensor 150a and a camera 150b. The load detection sensor 150a may be installed under the elevator car 200 to detect a load inside the car and transmit the load to the controller 130 . The camera 150b may be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200 to take pictures of the inside of the car and deliver the pictures to the controller 130 .

제어기(130)는 하중 감지 센서(150a)에서 감지한 카 하중 및 카메라(150b)에서 촬영한 카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카(200) 탑승 여부 및 카 도어(210)의 닫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엘리베이터 카(200)에 사용자가 탑승한 후 도어(210)의 닫힘 상태에서 공기청정 제균기(110)가 최대 가동되도록 집중 크리닝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130)는 하중 감지 센서(150a)에서 감지한 카 하중 및 카메라(150b)에서 촬영한 카 내부 영상을 기초로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 탑승객 밀집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탑승객 밀집도를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운영모드에 반영하여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풍량이 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이동 케이블(170)을 통하여 중앙제어반(190)과 통신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the elevator car 200 and whether the car door 210 is closed based on the car load detected by the load sensor 150a and the inside image of the car taken by the camera 150b. can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intensive cleaning mode so that the air purifier 110 is maximally operated in a closed state of the door 210 after a user boards the elevator car 200 .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density of passengers inside the elevator car 200 based on the car load detected by the load sensor 150a and the interior image of the car captured by the camera 150b.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air volume of the air purifier 110 to be adjusted by reflecting the occupant density in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purifier 110 . The controller 130 may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control panel 190 through the mobile cable 170.

이동 케이블(170)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서 엘리베이터 카(200)에 전원 공급 등을 위해 연결되어 상하 굴곡 이동하는 케이블이다. The movement cable 170 is a cable that is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elevator car 200 in the hoistway of the elevator and moves up and down.

중앙제어반(190)은 엘리베이터 카(200)의 움직임, 구동기의 동작, 각 층의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 감지 기능 등 엘리베이터 동작을 제어한다. 중앙제어반(190)는 운용 프로그램, 시스템 사양, 엘리베이터 상태에 대한 정보, 운행이력 데이터 등이 저장되고 운용 프로그램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도록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제어반(190)은 이동 케이블(170)을 통해 제어기(130)와 통신하고 원격관리 시스템(300)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공기청정 제균기(110)를 연동 관리할 수 있다. 중앙제어반(190)은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작동 상태를 원격관리 시스템(300)에 전송하여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중앙제어반(190)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이력정보를 저장하고 운행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시간대별 운행 패턴을 산출하여 제어기(13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panel 190 controls elevator operations, such as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car 200,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nd a sensor sensing function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each floor. The central control panel 190 stores an operation program, system specifications, elevator status information, operation history data, etc., and controls each component so that the elevator ope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program. In one embodiment, the central control panel 190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ler 130 through the mobile cable 170 and is connected to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3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manage the air purifier 110 interlocked. can The central control panel 190 may transmit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purifier 110 to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300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The central control panel 190 may store the opera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elevator, calculate the operation pattern for each elevator time zone based on the operation history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130 .

원격관리시스템(300)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고장 발생시 해당 엘리베이터 상태를 감시하며 운행 및 고장상태를 파악하고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관리시스템(300)은 중앙제어반(19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200)의 공기청정 제균 기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작동상태 및 부품 교체 시기를 관리할 수 있다. 원격관리시스템(300)은 부품 교체 시기가 도래하기 전에 부품을 주문하여 원활하게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remote management system 300 can monit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monitor the corresponding elevator state when a failure occurs, and identify and process the operating and failure state. In one embodiment,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300 can monitor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function of the elevator car 200 through the central control panel 190 and manag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110 and the time to replace parts. can do.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300 may order parts before the time for parts replacement arrives so that the parts can be smoothly replaced.

도 2는 도 1에 있는 공기청정 제균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있는 공기청정 제균기의 공기 유동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in FIG. 1 , and FIG. 3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in FIG. 2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청정 제균기(110)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카(20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용 개구부(250)가 설치된다. 환기용 개구부(250)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천정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로부터의 흡기 또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로의 배기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의 환기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air purifier 110 is installed above the elevator car 200 . At least one ventilation opening 250 is installed above the elevator car 200 . The ventilation opening 250 is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elevator car 200 and ventilates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200 by intake from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200 or exhaust to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200. prepared to do so.

공기청정 제균기(110)는 엘리베이터 카(20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빨아들여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엘리베이터 카(200)로 공급한다. 공기청정 제균기(110)는 공기 중의 유독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하며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균, 박테리아,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한다.The air purifier 110 sucks in and purifies the contaminated air inside the elevator car 200, and supplies the purified air to the elevator car 200. The air purifier 110 removes and sterilizes toxic substances in the air, and removes harmful substances such as germs, bacteria, and fine dust introduced into the elevator car 200.

이때, 공기 유동 방향은 도 3의 (a)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200)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공기청정 제균기(110)로 유입되어 정화 및 제균된 후 다시 엘리베이터 카(200) 내부로 분출되는 내부 순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공기 유동 방향은 도 3의 (b)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200)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엘리베이터 카(200)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 공기가 공기청정 제균기(110)로 유입되어 정화 및 제균된 후 엘리베이터 카(200) 내부로 분출되는 외부 순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 3, the air flow direction is such that the contaminated air inside the elevator car 200 is introduced into the air purifier 110, purified and disinfected, and then ejected into the elevator car 200 again. It can be made in an internal circulation method that becomes.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3, the air flow direction is such that the contaminated air inside the elevator car 2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levator car 200 and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purifier 110 to purify and After disinfection, it can be made in an external circulation method that is ejected into the elevator car 200.

도 4는 도 1에 있는 공기청정 제균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in FIG. 1 .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청정 제균기(110)는 대략 사각박스 형태로 된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공기제균기 모듈(410), 복수개의 PM(Particulate Matter) 센서(420), 필터(430), CO2 센서(440), tVOCs(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센서(450) 및 블로워(4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air purifier 110 includes an air purifier module 410, a plurality of PM (Particulate Matter) sensors 420, a filter 430, A CO2 sensor 440, a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s) sensor 450, and a blower 460 may be included.

공기제균기 모듈(410)은 공기청정 제균기(110) 내부에 존재하며 공기 유출입이 가능한 팬을 포함하고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제균하여 토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제균기 모듈(410)은 하이드록실래디컬(OH Radical)을 이용해 공기 속의 바이러스, 세균, VOCs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하이드록실래디컬은 자연계의 물질로 인체에 무해하며 강력한 산화력을 통하여 바이러스를 제균한다. 공기제균기 모듈(410)은 하이드록실래디컬을 생성해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바이러스 제균에 효과적인 UV-C, 광촉매, 오존, 플라즈마 등을 적용될 수 있다.The air sterilizer module 410 is present inside the air purifier sterilizer 110, includes a fan capable of inflow and outflow of air, and sterilizes and discharges contaminated air. In one embodiment, the air sterilizer module 410 can remove viruses, bacteria, VOCs, and the like in the air using hydroxyl radicals (OH Radical). Hydroxyl radical is a natural substanc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sterilizes viruses through strong oxidizing power. The air sterilizer module 410 is not limited to a method of purifying air by generating hydroxyl radicals, and UV-C, photocatalyst, ozone, plasma, etc. effective for sterilizing viruses may be applied.

PM 센서(420)는 공기제균모듈(410)의 후단 및 필터(430)의 전단에 각각 장착되어 입자상 물질(PM)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PM 센서(420)는 공기청정 제균기(110)에 탑재되어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미세먼지를 감지할 수 있다.The PM sensor 420 is a sensor that is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air purifying module 410 and the front end of the filter 430, respectively, to detect particulate matter (PM). The PM sensor 420 is mounted on the air purifier 110 to detect micrometer-sized fine dust.

필터(430)는 가장 바깥쪽에서 큰 먼지를 잡아주는 프리 필터와 프리 필터가 걸러주지 못한 작은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헤파(HEPA)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430)는 소모품으로 일정 주기로 교체를 해주어야 한다.The filter 430 may include a pre-filter that catches large dust on the outermost side and a HEPA filter that filters out small fine dust that the pre-filter fails to filter out. The filter 430 is a consumable and needs to be replaced at regular intervals.

CO2 센서(440)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CO2 센서(440)는 엘리베이터 카(200) 내부에 탑승 인원이 많을 때 상승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실시간 감지하여 제어기(130)에 전달한다. 제어기(130)는 CO2 센서(440)에 의해 감지된 엘리베이터 카(20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낮아지도록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공기청정 기능을 작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의 (a)와 같이 공기 내부 순환 방식인 경우, 제어기(130)는 카 도어(210)의 오픈 시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블로워(460) 기능을 강화하고 카 도어(210)의 오픈시간을 조절하여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를 환기시켜 CO2 농도를 저감시키도록 한다. 도 3의 (b)와 같이 공기 외부 순환 방식인 경우, 제어기(130)는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늘리기 위하여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블로워(460) 기능을 강화하여 CO2 농도를 저감시키도록 한다.The CO2 sensor 440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The CO2 sensor 440 detects in real tim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rising when there are many passengers inside the elevator car 20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30 .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side the elevator car 200 detected by the CO2 sensor 440 on a display and operates the air purifying function of the air purifier 110 to lower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one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method as shown in FIG. By controlling the open time of the door 210,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200 is ventilated to reduce the CO2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an external air circulation method as shown in FIG. 3 (b), the controller 130 enhances the function of the blower 460 of the air purifier 110 to reduce the CO2 concentr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inflow of external air. .

tVOCs 센서(450)는 생활용품에서 발생되는 복합유기화합물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The tVOCs sensor 450 is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complex organic compounds generated from household products.

블로워(460)는 필터(430)의 측면에서 팬을 회전시켜 팬의 회전에 의해 생긴 압력에 의해 흡입력을 준다. The blower 460 rotates a fan on the side of the filter 430 to give a suction force by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fan.

공기청정 제균기(110)는 PM 센서(420), CO2 센서(430) 및 VOCs 센서(450) 등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 공기질은 제어기(130)에 전달되어 제어기(130)에서 측정된 공기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공기청정 기능 및 제균기능을 작동시켜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 공기질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The air purifier 110 may measure the air quality inside the elevator car 200 through the PM sensor 420, the CO2 sensor 430, and the VOCs sensor 450. The measured internal air quality of the elevator car 2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30 to display the air quality status measured by the controller 130 and operates the air cleaning and disinfection functions of the air purifier 110 to operate the elevator car ( 200) to improve the internal air quality.

도 5는 도 1에 있는 제어기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module of the controller in FIG. 1 , and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module in FIG. 5 .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기(130)는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작동상태 및 필터 교체주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controller 130 includes a display module 510 that visually displays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purifier 110 and a filter replacement cycle.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트리지, 필터 교체주기에 대하여 원격 알림 기능 및 작동 상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도어(210)의 일측에 마련되고 전면 디스플레이(511), 운영설정 입력부(513) 및 운영설정 무선입출력부(515)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PCB를 탑재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510 is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200 and can display a remote notification function and an operating status UI (User Interface) for cartridge and filter replacement cycles.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5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210 and may include a front display 511, an operating setting input unit 513, and an operating setting wireless input/output unit 515, and driving them A PCB for driving can be installed.

전면 디스플레이(511)에는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작동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 디스플레이(511) 화면에는 공기제균모듈(410)의 동작 여부를 표시하고, CO2 센서(440)에 의해 측정된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른 집중 환기모드 작동상태 여부를 표시한다. 즉, 공기제균모듈(410)이 동작하고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에 탑승 인원이 많아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져 집중 환기모드로 작동할 때에는 전면 디스플레이(511)의 화면에 도 6의 (a)와 같이 해당 표시가 활성화되어 표시된다.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purifier 110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511 . For example, as shown in (a) and (b) of FIG. 6, whether or not the air disinfection module 410 is operating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ront display 511, and the elevator car 200 measured by the CO2 sensor 440 is displayed. ) indicates whether or not the centralized ventilation mode is operating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side. That is, when the air disinfection module 410 operates and the elevator car 200 has a large number of passenger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creases and the elevator car 200 operates in the centralized ventilation mode. As such, the corresponding display is activated and displayed.

전면 디스플레이(511)에는 도 6의 (b)와 같이, 공기제균모듈(410) 및 필터(430)의 교체를 알림 표시하여 카트리지 및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했음을 알려줄 수 있고 중앙제어반(190)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300)에 교체시기가 도래했음을 원격 알림으로 전송하여 해당 부품의 자동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511)에는 또한,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센서들을 통해 측정한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 미세먼지상태, 온도, 습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end a remote notification that the replacement time has arrived to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300 so that an automatic order for the corresponding part is made. The front display 511 may also display the state of fine dust inside the elevator car 200, temperature, humidity, etc. measured through the sensors of the air purifier 110.

운영설정 입력부(513)는 운영자 조작에 의해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운영모드를 설정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영설정 입력부(513)는 푸시 스위치, 딥 스위치 등의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The operation setting input unit 513 may set and input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purifier 110 by operator manipulation. Here, the operation setting input unit 513 may use a switch such as a push switch or a dip switch.

운영설정 무선입출력부(515)는 운영자 스마트폰, 이더넷 등을 통해 공기청정 제균기(110)의 작동시간 및 동작모드를 원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tting wireless input/output unit 515 may remotely set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mode of the air purifier 110 through an operator's smartphone, Ethernet, or the like.

제어기(130)는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통해 설정된 운영모드에 따라 공기청정 제균기(110)가 운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air purifier 110 to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t through the display module 51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있는 인디케이터에 공기청정제균기 모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module in the indicator of FIG. 7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100)은 공기청정 제균기(도 1의 110)를 모듈화하고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에 설치된 위치 표시기인 인디케이터(770)에 공기청청제균기 모듈(710)로 탑재하여 인디케이터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100 modularizes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110 in FIG. It can be mounted as a sterilizer module 710 and configured as an integrated indicator.

공기청정제균기 모듈(710)은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에 도어(210)가 있는 상부 벽면에 일부가 매립 설치되고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고 공기 중 떠다니는 세균을 제거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청정제균기 모듈(710)은 인디케이터(770)의 내부에 탑재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청정제균기 모듈(710)의 전면 커버에 미세타공을 형성하여 인디케이터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module 710 is partially embedded in the upper wall of the elevator car 200 where the door 210 is located, purifies the internal air and removes bacteria floating in the air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can do. In one embodiment, the air purifier module 710 may be mounted inside the indicator 77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icro-perforations are formed on the front cover of the air purifier module 710 to function as an indicator. can do.

공기청정제균기 모듈(71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커버(771) 내에 수용되어 설치될 수 있고, 인디케이터 커버(771)를 해제하여 공기청정제균기 모듈(710) 내의 카트리지, 필터 등의 소모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커버(771)는 인디케이터(770)의 일측면을 커버하고 일체로 설치된 공기청정제균기 모듈(710)의 소모품 교체가 용이하도록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 커버(771)는 나사, 자석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인디케이터(770)의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필요시 체결부재를 고정 해제하여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완전 분리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 커버(771)는 일측이 인디케이터(770)의 본체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부분 분리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8, the air purifier module 710 can be accommodated and installed in the indicator cover 771, and the indicator cover 771 is released to remove cartridges, filters, etc. in the air purifier module 710. Consumables can be easily replaced. The indicator cover 771 covers one side of the indicator 770 and is configured in a detachable form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consumables of the integrally installed air purifier module 710. In one embodiment, the indicator cover 771 is fixedly fastened to the body frame of the indicator 770 throug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or a magnet, and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body frame by releasing the fastening member when necessary. can In one embodiment, the indicator cover 77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hinged to the body frame of the indicator 770 and partially separated.

제어기(730)는 운영모드에 따라 공기청정제균기 모듈(7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730)는 카 도어(210)의 일측 조작반(Operating Panel)(790)의 상부에 마련되어 설정된 운영모드에 따라 공기청정제균기 모듈(710)의 공기청정 및 제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73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공기청정제균기 모듈(710)의 작동 상태, 카트리지 및 필터 교체주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엘리베이터 카(200)의 탑승객 및 운영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7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module 7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730 is provided above the operating panel 790 on one side of the car door 210 and can control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function of the air purifier module 710 according to a set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73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to visually display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purifier module 710 and a cartridge and filter replacement cycle to provide notification to passengers and operators of the elevator car 200 .

탑승객 감지기(750)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사용자 탑승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기(7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탑승객 감지기(750)는 하중 감지 센서(750a)와 카메라(750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중 감지 센서(750a)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카 내부의 하중을 감지하여 제어기(730)에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750b)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 내부를 촬영하여 제어기(73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passenger detector 750 may detect whether or not a user is boarding the elevator car 200 and transmit a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ler 730 . To this end, the passenger sensor 750 may include a load sensor 750a and a camera 750b. The load detection sensor 750a is installed under the elevator car 200 to sense the load inside the ca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730. The camera 750b may be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200 to take a picture of the inside of the car and deliver it to the controller 730 .

제어기(730)는 하중 감지 센서(750a)에서 감지한 카 하중 및 카메라(750b)에서 촬영한 카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카(200) 탑승 여부 및 카 도어(210)의 닫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기(730)는 엘리베이터 카(200)에 사용자가 탑승한 후 도어(210)의 닫힘 상태에서 공기청정제균기 모듈(710)이 최대 가동되도록 집중 크리닝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730)는 하중 감지 센서(750a)에서 감지한 카 하중 및 카메라(750b)에서 촬영한 카 내부 영상을 기초로 엘리베이터 카(200)의 내부 탑승객 밀집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기(730)는 탑승객 밀집도를 공기청정제균기 모듈(710)의 운영모드에 반영하여 공기청정제균기 모듈(710)의 풍량이 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7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is in the elevator car 200 and the closed state of the car door 210 based on the car load detected by the load sensor 750a and the inside image of the car captured by the camera 750b. can The controller 730 may control the intensive cleaning mode so that the air purifier module 710 is maximally operated in a closed state of the door 210 after a user boards the elevator car 200 .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730 may determine the density of passengers inside the elevator car 200 based on the car load detected by the load sensor 750a and the interior image of the car captured by the camera 750b. The controller 730 may control the air volume of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module 710 to be adjusted by reflecting the occupant density in the operating mode of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module 710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
110: 공기청정 제균기 130: 제어기
150: 탑승객 감지기
150a: 하중 감지 센서 150b: 카메라
170: 이동 케이블 190: 중앙제어반
200: 엘리베이터 카
210: 도어 230: 인디케이터
250: 환기용 개구부
300: 원격관리시스템
410: 공기제균기 모듈 420: PM 센서
430: 필터 440: CO2 센서
450: tVOCs 센서 460: 블로워
510: 디스플레이 모듈
511: 전면 디스플레이 513: 운영설정 입력부
515: 운영설정 무선입출력부
710: 공기청정제균기 모듈 730: 제어기
750: 탑승객 감지기
750a: 하중 감지 센서 750b: 카메라
770: 인디케이터 771: 인디케이터 커버
790: 조작반
100: Elevator air cleaning system
110: air purifier sterilizer 130: controller
150: passenger detector
150a: load detection sensor 150b: camera
170: mobile cable 190: central control panel
200: elevator car
210: door 230: indicator
250: ventilation opening
300: remote management system
410: air sanitizer module 420: PM sensor
430: filter 440: CO2 sensor
450: tVOCs sensor 460: blower
510: display module
511: front display 513: operation setting input unit
515: operation setting wireless input/output unit
710: air purifier module 730: controller
750: occupant detector
750a: load detection sensor 750b: camera
770: indicator 771: indicator cover
790: operation panel

Claims (12)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공기를 정화하고 세균을 제거하는 공기청정 제균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설치되고 설정되는 운영모드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의 작동시간 및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의 카트리지 및 필터 교체주기와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알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와 이동 케이블을 통해 통신하고 원격관리시스템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의 카트리지 및 필터 교체주기와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제공하는 중앙제어반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
an air purifying sterilizer install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to purify the air inside the elevator car and remove germs;
A display that controls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nstalled and set inside the elevator car, and visually displays and informs the cartridge and filter replacement cycle and operating status of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A controller comprising a module; and
An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comprising a central control panel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ler through a mobile cable and is connected to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monitor the cartridge and filter replacement cycle and operation status of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사용자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객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사용자 탑승 여부를 상기 운영모드에 반영하여 풍량 조정에 따른 저소음 운영모드 및 최대 가동에 따른 집중 크리닝 모드로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ssenge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user is boarding the elevator car,
The controller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is controlled in a low-nois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ir volume adjustment and an intensive cleaning mode according to maximum operation by reflect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riding the elevator car in the operation m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객 감지기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하중 감지 센서;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를 촬영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assenger detector
a load detection sensor installed under the elevator car and sensing an internal load of the elevator car and transferring the load to the controller; and
Elevator air purifying and disinfecting system comprising a camera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and photographing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car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l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중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탑승 여부 및 카 도어의 닫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사용자가 탑승하여 카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가 최대 가동되도록 집중 크리닝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ler
Based on the load of the elevator car detected by the load detection sensor and the internal image of the elevator car taken by the camer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in the elevator car and the car door is closed, and the user in the elevator car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is controlled in an intensive cleaning mode so that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is maximally operated when the car door is cl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중앙제어반에 저장되는 엘리베이터 운행 이력 정보에 기초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패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수가 기설정 횟수 이하의 시간대에는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가 작동되지 않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수가 급증하는 시간 직전에 집중 크리닝 모드로 운영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The time when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does not operate and the number of elevator car operations rapidly increases during a time period when the number of elevator car operations is less than a preset numb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elevator car based on the elevator operation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central control panel. Elevator air cleaning and disinf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operate in intensive cleaning mode immediately bef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운영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운영설정 입력부 및 원격 조작에 의해 상기 운영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운영설정 무선입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An elevator air purifying and disinfecting system comprising an operation setting input unit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by user operation and an operation setting wireless input/output unit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by remote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는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PM 센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CO2 센서 및 복합유기화합물을 검출하는 tVOCs(total Volatile Compounds)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공기질을 측정하고,
프리 필터와 헤파(HEAP) 필터를 포함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거친 공기를 제균하는 공기제균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측면에 설치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 또는 상기 공기제균기 모듈에 의해 제균된 공기를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 배출하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ir purifier sterilizer
Measuring the air quality inside the elevator car, including a PM sensor for detecting fine dust, a CO2 sensor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and a total volatile compound (tVOCs) sensor for detecting complex organic compounds,
It includes a filter that purifies air including a pre-filter and a HEPA filter, and an air sterilizer module that steriliz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A blower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lter and sucking in the air inside the elevator car by the rotation of the fan and discharging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or the air sterilized by the air sterilizer module to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Elevator air purifying disinf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CO2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CO2 농도를 상기 운영모드에 반영하여 환기 모드로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의 작동을 제어하되,
공기 내부 순환 방식인 경우, 상기 블로워의 풍량 및 카 도어의 오픈 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를 환기시켜 CO2 농도가 저감되도록 하고,
공기 외부 순환 방식인 경우, 상기 블로워의 풍량을 조절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늘려 CO2 농도가 저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in a ventilation mode by reflecting the internal CO2 concentration of the elevator car detected by the CO2 sensor in the operation mode,
In the case of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method,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and the opening time of the car door are adjusted to ventilate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so that the CO2 concentration is reduced,
In the case of an external air circulation method, the elevator air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is adjusted to increase the inflow of external air so that the CO2 concentration is reduc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은
상기 중앙제어반을 통해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공기청정 제균기의 카트리지 또는 필터 교체 시기가 알림 제공되면 해당 교체 부품을 자동 주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cartridge or filter replacement timing of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is notified from the controller through the central control panel, the corresponding replacement part is automatically ordered.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표시기인 인디케이터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공기를 정화하고 세균을 제거하는 공기청정제균기 모듈;
카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설정되는 운영모드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제균기 모듈의 작동시간 및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공기청정제균기 모듈의 카트리지 및 필터 교체주기와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알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와 이동 케이블을 통해 통신하고 원격관리시스템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청정제균기 모듈의 카트리지 및 필터 교체주기와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제공하는 중앙제어반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
An air purifier module installed on an indicator that is a position indicator of an elevator car and purifying the inside air of the elevator car and removing germs;
Controls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module according to the operating mode installed and set on one side of the car door, and visually displays and informs the cartridge and filter replacement cycle and operating status of the air purifier module A controller including a display module; and
An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including a central control panel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ler through a mobile cable and is connected to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monitor the cartridge and filter replacement cycle and operation status of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modu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공기청정제균기 모듈의 소모품 교체가 용이하도록 탈부착 가능한 인디케이터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dicator
Elevator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achable indicator cover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consumables of the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modu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커버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본체 프레임에 체결부재로 고정 체결되어 완전 분리되거나, 또는 일측이 상기 인디케이터의 본체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부분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공기청정 제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dicator cover
Elevator air cleaning and disinf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icator is fixed to the body frame of the indicator as a fastening member and completely separated, or one side is hinged to the body frame of the indicator to be partially separated.
KR1020210097312A 2021-07-23 2021-07-23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levator KR1025731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312A KR102573199B1 (en) 2021-07-23 2021-07-23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levator
CN202111500046.6A CN115676560A (en) 2021-07-23 2021-12-09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312A KR102573199B1 (en) 2021-07-23 2021-07-23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130A true KR20230016130A (en) 2023-02-01
KR102573199B1 KR102573199B1 (en) 2023-09-04

Family

ID=8506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312A KR102573199B1 (en) 2021-07-23 2021-07-23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leva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3199B1 (en)
CN (1) CN115676560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656B1 (en) 1994-08-10 1997-10-22 박규직 Air-ventilation device of an elevator
JP2005089171A (en) * 2003-09-19 2005-04-07 Fujitec Co Ltd Elevator with ionizer
KR102091945B1 (en) * 2018-11-07 2020-03-20 정연경 Elevator cleaner and its management method
KR102135141B1 (en) * 2019-12-27 2020-07-17 음성식 Elevator that creates a pleasant interior and clean roo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656B1 (en) 1994-08-10 1997-10-22 박규직 Air-ventilation device of an elevator
JP2005089171A (en) * 2003-09-19 2005-04-07 Fujitec Co Ltd Elevator with ionizer
KR102091945B1 (en) * 2018-11-07 2020-03-20 정연경 Elevator cleaner and its management method
KR102135141B1 (en) * 2019-12-27 2020-07-17 음성식 Elevator that creates a pleasant interior and clean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76560A (en) 2023-02-03
KR102573199B1 (en) 202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864958B (en) Air purifier with intelligent sensor and air flow
KR101892474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20150306533A1 (en) Air Purifier with Intelligent Sensors and Intellectual Airflow
KR101594142B1 (en) a air cleaning system of IOT based
KR101892475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0406536Y1 (en) Bio clean room bacteria contamination prevention system having intelligent air pressure control device
KR20090014596A (en) Air filter and elevator having the same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58087A (en) Apparatus of stand type for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indoor air
JP2011051715A (en) Elevator system disinfecting car inside
KR100903404B1 (en) A air ventilation cleaning for elevator
KR102573199B1 (en)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levator
JP2005291620A (en) Air cleaner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KR20230039807A (en) Room by room control ventilation system for positive volume for common house and negative pressure room
JP2006250396A (en) Smoking room with air cleaning function
JP5057294B2 (en) Animal breeding room
KR102205455B1 (en) Elevator system with combined air intake port and hand rail, and floor indicator
KR20200052596A (en) Elevator Air Conditioner
JP2010094138A (en) Device for controlling animal-rearing chamber and method therefor
US20220047767A1 (en) Device containing air detection, filtering, disinfecting and conditioning elements with display
KR20190142662A (en) Ceiling Type Air Circulator
KR20190105391A (en) Apparatus for managing air to reduce indoor radon concentration using compressed air
JP4756975B2 (en) Residential ventilation system
KR200367963Y1 (en) Elevator with Air Cleaner
KR101888943B1 (en) Elevator having an air-conditioner and an oxygen generator
WO2006001368A1 (en) Air cleaning machine and air clea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