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799A - Method of providing movable hologram content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movable hologram content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799A
KR20230015799A KR1020210097399A KR20210097399A KR20230015799A KR 20230015799 A KR20230015799 A KR 20230015799A KR 1020210097399 A KR1020210097399 A KR 1020210097399A KR 20210097399 A KR20210097399 A KR 20210097399A KR 20230015799 A KR20230015799 A KR 20230015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hologram
screen
contents
hm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3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가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가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가람
Priority to KR1020210097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5799A/en
Publication of KR20230015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7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A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the fus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using a hologram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using a hologram of a real object in a vehicle such as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ogram display device that project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using a hologram stored in a content storage device and display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on a screen; a first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that receives first time information by the playback of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a real object image photographing device that photographs an image of a real object;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real object in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using a hologram;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that transmits the second content to a content display device; a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that receives second time information by the playback of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and a content fusion device that synchronizes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with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using the first tim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ime informa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is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and the content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a head-mounted display (HMD) device arranged for each seat of the vehicle. The HMD devic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connected wirelessly or by wir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tent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experiences that they could not experience due to a lack of equipment in an underprivileged area.

Description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이동형 홀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러한 제공 시스템{METHOD OF PROVIDING MOVABLE HOLOGRAM CONTENT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METHOD OF PROVIDING MOVABLE HOLOGRAM CONTENT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형 홀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러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mobile hologram contents and a system for providing the same.

우리 사회 전반적으로 저출산,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지역의 인구가 수도권과 대도시로 몰리면서 지방은 인구감소로 인해 지역 소멸이라는 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지방은 인구감소로 세수가 줄어들고 경쟁력이 낮아지면서 출산, 양육, 보육, 교육, 경제 기반이 무너질 위기에 있다. 교육 측면에서, 도심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 체험 기회가 부족한 농어촌, 구도심 등의 이른바 소외 지역의 초, 중, 고교 및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As the low birth rate and population aging intensify throughout our society, the population of the region is flocking to the metropolitan area and large cities, and the region is facing the crisis of regional extinction due to population decline. In particular, provincial areas are at risk of collapsing childbirth, childrearing, childcare, education, and economic foundations as tax revenues decrease and competitiveness declines due to population decline. In terms of education,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to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out-of-school youth in so-called marginalized areas, such as rural areas and old city centers, where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experiences are relatively scarce compared to urban centers.

하지만, 교육 체험 기회격차 해소를 위한 사회 공헌 사업으로 소외 지역의 초, 중, 고교 및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데 컨텐츠의 한계가 있다.However, as a social contribution project to bridge the educational experience opportunity gap, there is a limit to the content in providing various experiences to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out-of-school youth in underprivileged areas.

따라서 농어촌 등 소외지역에서도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제공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a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various contents even in remote areas such as rural areas.

이에, 소외 지역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동형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해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Accordingly, interest in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using a mobile hologram technology is growing in order to provide various contents in an isolated area.

홀로그램은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3차원 영상을 의미하는데 입체상을 재현하는 간섭 줄무늬를 기록한 매체를 나타낸다. 홀로그래피의 원리는 레이저에서 나온 광선을 2개로 나눠 하나의 빛은 직접 스크린을 비추게 하고, 다른 하나의 빛은 우리가 보려고 하는 물체에 비추는 것이다. 이때 직접 스크린을 비추는 빛을 기준광(reference beam·참조광)이라고 하고, 물체를 비추는 빛을 물체광(object beam)이라고 한다. 물체광은 물체의 각 표면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므로 물체 표면에 따라 위상차(물체 표면에서부터 스크린까지의 거리)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이때 변형되지 않은 기준광이 물체광과 간섭을 일으키며 이때의 간섭무늬가 스크린에 저장된다. 이러한 간섭무늬가 저장된 필름을 홀로그램이라고 하는 것이다. A hologram refers to a three-dimensional image created using the principle of holography, and represents a medium on which interference fringes that reproduce a three-dimensional image are recorded. The principle of holography is to split the light beam from the laser into two so that one light directly illuminates the screen and the other light illuminates the object we are trying to see. At this time, the light that directly illuminates the screen is called a reference beam, and the light that illuminates the object is called an object beam. Since object light is reflected from each surface of an object, the phase difference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the scree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At this time, the untransformed reference light causes interference with the object light, and the interference pattern at this time is stored on the screen. The film in which these interference fringes are stored is called a hologram.

한편, 저장된 영상을 다시 재현하려면 기록할 때 사용된 광선을 다시 스크린 건판에 쏘아야 한다. 재생 시 사용하는 광선은 기록 시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파동만이 3차원으로 재현되고, 파장과 위상이 다른 파들은 아무런 효과가 없이 저장된 홀로그램을 통과해 버리기 때문에 기록 시 사용된 기준광과 반드시 정확히 일치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produce the stored image again, the light beam used during recording must be re-directed to the screen plate. The light beam used for reproduction must exactly match the reference light used for recording because only waves with the same frequency as when recording are reproduced in three dimensions, and waves with different wavelengths and phases pass through the stored hologram without any effect. do.

한편, 이러한 홀로그램은 여러 문화, 교육적 공연이나 유적지 등에 직접 참여하거나 방문하지 않고서도 그에 못지 않는 생동감과 감동감을 줄 수 있으나, 고정형 홀로그램 장치는 교통이 불편한 농어촌 지역으로의 접근성이 여전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서 이동형 홀로그램이 최근에 이러한 소외 지역의 문화적 매체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각광 받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se holograms can give a sense of liveliness and impression equivalent to that without directly participating in or visiting various cultural, educational performances, or historical sites. Recently, holograms have been in the limelight to improve accessibility to cultural media in these marginalized areas.

특히, 이동형 홀로그램을 버스와 같은 운송매체에 설치하여 거리나 위치에 관계 없이 차량 이동만으로 홀로그램 컨텐츠에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improving accessibility to hologram contents only by moving a vehicle regardless of distance or location by installing a mobile hologram on a transportation medium such as a bus.

그런데 버스와 같은 차량에 이동형 홀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홀로그램 제공 시스템을 이동에 편리하게 최대한 단순화하여 구성하여야 하고, 상대적으로 버스라는 협소한 공간 내에 설치됨에도 입체감과 생동감을 줄 수 있는 구조로 홀로그램 제작 시스템이 설계되어야 한다.However, in order to install a mobile hologram in a vehicle such as a bus, the hologram providing system must be configured as simplified as possible for convenient movement, and the hologram production system has a structure that can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a sense of vitality even though it is installed in a relatively narrow space called a bus. should be designed

즉, 버스의 내부 공간이 홀로그램을 투사하는 극장 공간으로 개조되어 학교 운동장과 같은 야외에서 홀로그램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최소한 버스의 일면이 개방되어 스크린에 투사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관객이 볼 수 있도록 해야되는데, 상기 개방된 일면으로 홀로그램 컨텐츠의 빛과 음향이 분산되어 생동감과 입체감을 저해시키는 문제가 있다.That is, when the interior space of the bus is converted into a theater space that projects holograms and hologram contents are provided outdoors such as school grounds, at least one side of the bus must be opened so that the audience can see the hologram image projected on the screen. ,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ight and sound of the hologram content are dispersed to the open side, thereby impairing the liveliness and three-dimensional effect.

또한, 이러한 교육문화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홀로그램 기술은 가상현실 기술과 증강현실 기술과 접목되어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HMD (Head-Mounted Display) 장치를 착용하면서 시청하기 때문에, 사이버 멀미를 유발하는 데 몰입도 증진에 한계가 있기도 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In addition, the hologram technology for providing such educational and cultural contents may be provided by combin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sinc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viewed while wearing an HMD (Head-Mounted Display) device, cyber sickness There is a limit to the improvement of immersion to induce, so various approaches are needed to improve it.

아울러, 기존의 가상현실 컨텐츠와 증강현실 컨텐츠를 결합한 혼합현실 컨텐츠를 버스와 같은 차량 내에서 제공하면서 학생들을 참여를 증대시키기 위한 구체적이고 새로운 접근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specific and new approach to increase student participation while providing mixed reality content that combines existing virtual reality content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a vehicle such as a bus.

한국등록특허 제10-191087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10878 한국등록특허 제10-1665363호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6536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외 지역의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형 홀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providing mobile hologram contents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to students in remote areas. .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이라는 제한된 공간 내에서 제공되는 홀로그램의 생동감과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홀로그램,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기술이 융합된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ologram contents in which hologram,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ies are converged, which can improve the liveliness and three-dimensional effect of holograms provided within a limited space of a vehicle. .

또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교육용 컨텐츠 시청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하여, 학생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영상 이미지로 구현되는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ologram content implemented as a video image that can interact with stud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viewing educational content by arousing students' interest.

또한, 차량 내의 빛의 밝기 변화에 따라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영상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는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ologram contents capable of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n image of provided contents according to the change in brightness of light in a vehicle.

또한, 밝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점은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쾌한 눈부심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빛은 망막에 손상을 주어 시력 감퇴를 가져오는 황반 퇴화의 발병을 일으키는 주 원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눈부심으로 인해 발생한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이고 빛의 세기를 낮춰 시력 감퇴를 막기 위하여, 인간의 시각 특성을 고려하여 주변 환경 휘도에 따라 화면 휘도를 제어할 수 있는 컨텐츠 전송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advantage of providing bright content rather causes a problem of causing unpleasant glare to the user, and light damages the retina and is the main cause of macular degeneration resulting in visual acuity los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and mobile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screen luminance according to the lumina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reduce eye strain caused by glare an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eyesight by lowering the intensity of ligh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ologram content including a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사용자 입력, 컨텐츠 제공 시간 및 사용자의 눈 피로 상태 등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시력보호모드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hologram content that can protect the user's eyesight by displaying the screen of the user's mobile device in an eye protection mode according to user input, content providing time, and user's eye fatigue state, and the like. We want to provide a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서 이뤄지는 것이 특징이므로 그 한정된 전력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변 환경 휘도에 따라 눈부심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화면 휘도를 제어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컨텐츠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performed in a vehicle, there is a limitation in its limited power.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ologram content including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saving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screen luminance so that glare does not occur according to ambient luminance.

또한, 본 발명은 HMD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HMD는 고화질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높은 밝기를 유지하므로, 이러한 높은 선명도의 밝은 빛에 학생들의 눈이 노출되면, 성장 중인 학생들의 눈의 시력에 쉽게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학생들에 대해선 HMD 장치를 이용하는 시간을 제한하는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HMD device, and since the HMD provides high-definition content and maintains high brightness, when students' eyes are exposed to bright light of such high definition, the eyesight of growing students is easily adversely affected. Therefor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ologram content that limits the time of using the HMD device for student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와 실물 객체의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를 융합하여 제공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은, 홀로그램 표시장치가 컨텐츠 저장장치에 저장된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를 투사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제1컨텐츠 표시 제어부가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1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실물 객체 영상 촬영장치가 실물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증강 현실 컨텐츠 변환부가 상기 촬영된 실물 객체의 영상을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제2컨텐츠를 컨텐츠 표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제2컨텐츠 표시 제어부가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제2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2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컨텐츠 융합 장치가 상기 제1시간정보와 상기 제2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제2컨텐츠를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에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는 상기 차량 좌석별로 배치된 HMD(Head-Mounted Display)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HMD 장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이에 다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와 통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method for providing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s by converg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irst contents) using holograms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s (second contents) using holograms of real objects in a vehicle such as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hologram display Projecting, by a device,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using a hologram stored in a content storage device and displaying it on a screen; receiving, by a first content display controller, first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Taking an image of a real object by a real object image capturing device; converting, by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version unit, the captured image of the real object into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using a hologram; transmitting, by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the second content to a content display device; receiving, by a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ler, second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and synchronizing, by a content convergence device, second content displayed on a content display device with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by using the first tim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ime informa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is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and the content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a Head-Mounted Display (HMD) device arranged for each seat of the vehicle, and the HMD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ed, and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데스크톱(desk top), 랩 톱(lap top),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In the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may be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 desktop, a laptop, a mobile terminal, and a smart phone.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상기 실물 객체는 상기 스크린에 위치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oviding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 object may be located on the screen.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상기 제1컨텐츠는 학생 교육용 컨텐츠일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oviding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ents may be contents for student education.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상기 실물 객체는 상기 HMD 장치를 사용하여 제1컨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In the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 object may be a user who enjoys the first content using the HMD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와 실물 객체의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를 융합하여 제공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저장장치에 저장된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를 투사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는 홀로그램 표시장치;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1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제1컨텐츠 표시 제어부; 실물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실물 객체 영상 촬영장치; 상기 촬영된 실물 객체의 영상을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로 변환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변환부; 상기 제2컨텐츠를 컨텐츠 표시 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제2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2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제2컨텐츠 표시 제어부, 및 상기 제1시간정보와 상기 제2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제2컨텐츠를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에 동기화시키는 컨텐츠 융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는 상기 차량 좌석별로 배치된 HMD(Head-Mounted Display)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HMD 장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이에 다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와 통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system for providing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s by converg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irst contents) using holograms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s (second contents) using holograms of real objects in a vehicle such as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tent storage A hologram display device that projects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using a hologram stored in the device and displays it on a screen; a first content display controller receiving first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A real object image capturing device for capturing an image of a real object;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captured image of the real object into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using a hologram;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that transmits the second content to a content display device; A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that receives second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and a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ler that is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using the first tim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ime information. and a content convergence device that synchronizes two content to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is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and the content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a Head-Mounted Display (HMD) device arranged for each seat of the vehicle, and the HMD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ed, and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는,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데스크톱(desk top), 랩 톱(lap top),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In the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may be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 desktop, a lap top, a mobile terminal, and a smart phone.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는, 상기 실물 객체는 상기 스크린에 위치할 수 있다.In the system for providing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 object may be located on the screen.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1컨텐츠는 학생 교육용 컨텐츠일 수 있다.In the system for providing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ents may be contents for student education.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는, 상기 실물 객체는 상기 HMD 장치를 사용하여 제1컨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In the 3D interactive holographic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 object may be a user who enjoys the first content using the HMD device.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와 실물 객체의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를 융합하여 제공하는 3D 인터렉티브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 저장장치에 저장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를 컨텐츠 융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제1컨텐츠 표시 제어부가 상기 제1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1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실물 객체 영상 촬영장치가 실물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증강 현실 컨텐츠 변환부가 상기 촬영된 실물 객체의 영상을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로 변환하여, 상기 컨텐츠 융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제2컨텐츠 표시 제어부가 상기 제2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2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컨텐츠 융합 장치로부터 상기 제1컨텐츠와 상기 제2컨텐츠를 수신받아 컨텐츠 표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융합 장치가 상기 제1시간정보와 상기 제2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는 상기 차량 좌석별로 배치된 HMD(Head-Mounted Display)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HMD 장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이에 다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와 통신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3D 인터렉티브 컨텐츠 제공 방법은, 추가적으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주변 환경 휘도를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 휘도를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측정된 환경 휘도와 미리 설정된 눈부심 지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눈부심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임계 화면 휘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임계 화면 휘도에 해당하는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 임계치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입력되는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휘도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을 계산하고, 계산한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휘도가 상기 임계 화면 휘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광 모듈의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s another embodiment, a method for providing 3D interactive content by converging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of a real object in a vehicle such as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storage device Transmitt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convergence device; Receiving, by a first content display controller, first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Taking an image of a real object by a real object image capturing device; convert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real object into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by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vers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image to the content convergence device; receiving, by a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ler, second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the second content;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receiv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from the content convergence device and transmitting them to a content display device, and the content convergence device using the first tim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ime information to Synchroniz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on a content display device;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is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and the content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a Head-Mounted Display (HMD) device arranged for each seat of the vehicle, and the HMD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ed and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thereto; The 3D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causing the content transmission apparatus to measure ambient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in the mobil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environmental luminance to the contents transmission apparatus;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calculates a threshold screen luminance at which glare starts to occur in the mobile device using the measured environmental luminance and a preset glare index value, and the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threshold screen luminance. deriving a threshold; and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calculates an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 using the luminance of each pixel constituting a frame of the content, and the calculated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 exceeds a threshold value of the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 and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of the mobile device so that the screen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screen luminance when the screen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is selected.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컨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데스크톱(desk top), 랩 톱(lap top),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in the 3D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may be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 desktop, a laptop, a mobile terminal, and a smartphone.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컨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상기 실물 객체는 상기 스크린에 위치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in the 3D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 object may be located on the screen.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컨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상기 제1컨텐츠는 학생 교육용 컨텐츠일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in the method for providing 3D interactive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ents may be contents for student education.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컨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상기 실물 객체는 상기 HMD 장치를 사용하여 제1컨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in the 3D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 object may be a user who enjoys the first content using the HMD device.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와 실물 객체의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를 융합하여 제공하는 3D 인터렉티브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장치; 상기 제1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1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제1컨텐츠 표시 제어부; 실물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실물 객체 영상 촬영장치; 상기 촬영된 실물 객체의 영상을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로 변환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변환부; 상기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를 전송받아 융합하는 컨텐츠 융합 장치; 상기 제2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2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제2컨텐츠 표시 제어부; 및 상기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융합 장치로부터 전송받아 컨텐츠 표시 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융합 장치는 상기 제1시간정보와 상기 제2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를 동기화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는 상기 차량 좌석별로 배치된 HMD(Head-Mounted Display)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HMD 장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이에 다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와 통신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주변 환경 휘도를 측정하는 환경 휘도 측정부; 상기 측정된 환경 휘도를 상기 컨텐츠 전송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말기 제어부; 미리 설정된 눈부심 지수 값과 상기 환경 휘도 측정부가 측정한 환경 휘도를 이용하여 눈부심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임계 화면 휘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임계화면 휘도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 임계치를 도출하는 임계치 결정부; 입력되는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휘도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을 계산하는 평균휘도레벨 계산부; 및 상기 평균휘도레벨 계산부가 계산한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상기 임계치 결정부에서 도출한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을 초과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휘도가 상기 임계 화면 휘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발광 모듈의 발광 휘도를 조절하는 휘도 조절부를 포함한다.As an additional embodiment, a system for providing 3D interactive contents by f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irst contents)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s (second contents) of real objects in a vehicle such as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irtual reality contents ( a content storage device that stores first content); a first content display controller receiving first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A real object image capturing device for capturing an image of a real object;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verting unit that converts the captured image of the real object into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a content convergence device that receives and fuses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a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receiving second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the second content; and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receiv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from the content convergenc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content to a content display device; the content convergence device is configured to synchronize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using the first tim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ime informa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a Head-Mounted Display (HMD) device arranged for each seat of the vehicle; The HMD devic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thereto; The mobile device may include an environmental luminance measur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ambient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a terminal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measured environmental luminance to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A critical screen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at which glare starts to occur is calculated using a preset glare index value and the environmental luminance measured by the environmental luminance measurement unit, and an average luminance level threshold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critical screen luminance a threshold determining unit for deriving; an average luminance level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n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s using the luminance of each pixel constituting a frame of the input contents; and when the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s calculated by the average luminance level calculation unit exceeds the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s derived by the threshold determination unit, light is emitted so that the screen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screen luminance. It includes a luminanc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module.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데스크톱(desk top), 랩 톱(lap top),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As a further embodiment, in the 3D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may be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 desktop, a laptop, a mobile terminal, and a smart phone.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실물 객체는 상기 스크린에 위치할 수 있다.As an additional embodiment, in the 3D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 object may be located on the screen.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컨텐츠는 학생 교육용 컨텐츠일 수 있다.As an additional embodiment, in the 3D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ent may be content for student education.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실물 객체는 상기 HMD 장치를 사용하여 제1컨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As an additional embodiment, in the 3D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 object may be a user who enjoys the first content using the HMD device.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홀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러한 제공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hologram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버스와 같은 차량을 이용하여 홀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소외 지역의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은 소외지역에 구비되지 않아 체험할 수 없었던 경험을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도록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hologram contents using a vehicle such as a bus,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to students in underprivileged areas. You can provide content so that you can experience this.

본 발명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융합한 홀로그램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버스와 같은 제한된 공간의 차량 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더라도 생동감과 입체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olographic image that combine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iveliness and three-dimensional effect even if an image is provided in a vehicle in a limited space such as a bus.

본 발명은 가상현실 컨텐츠와 증강현실 컨텐츠를 융합하여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적인 시각화를 위한 “실감형 영상컨텐츠”와 가상 홀로그램으로 사용자와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기 위한 “인터렉션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verge and provide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realistic video contents” for realistic visualization and “interaction contents” to naturally interact with users through virtual holograms. .

또한, 본 발명은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 현실 컨텐츠와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가 재생 내지 표시되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이들을 동기화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시차를 두고서 재생할 수 있어 영상의 생동감 뿐만 아니라 재미를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rtual reality content using holograms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using holograms can be synchronized using playback or display time information or reproduced with a time difference as necessary, thereby increasing not only the liveliness of images but also the fun. there is.

게다가, 본 발명은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시청하는 학생 이용자의 움직임 자체를 증강현실 컨텐츠로 변환한 후 이들을 융합하여 재생할 수 있어서 학생들의 영상에 대한 흥미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수동적 가상현실 컨텐츠에 내에 있어서 학생들의 간접적 체험 학습 효과를 가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movement itself of a student user watching virtual reality content using holograms into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then fuses and reproduces them, thereby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in the image and at the same time in passive virtual reality content. In this way, students' indirect experiential learning effect can be added.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200) 주변 환경 휘도와 눈부심 지수를 이용하여 발광 모듈(270)의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 휘도를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는 적정 휘도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transmiss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ambient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glare index to adjust the luminan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270, glare occurs in the screen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appropriate luminance that does not occu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eye fatigue of a user using a mobil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200) 주변 환경 휘도와 눈부심 지수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 휘도에 따라 자동으로 발광 모듈(270)이 휘도를 조절하므로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module 270 automatically adjusts the luminance according to the lumina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using the lumina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glare index of the mobile device 200, power consumption can be saved.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로 예상되는 학생들은 시력이 주변 환경에 민감하게 변하므로 컨텐츠의 길이를 제한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가상현실 장치를 오래 착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시력 감퇴를 경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be use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sensitive eyesight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content is provided by limiting the length of the content, so that vision deterioration that may occur when the virtual reality device is worn for a long time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에 관여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에 관여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컨텐츠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시력보호모드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3D interactiv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3D interactiv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HMD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nfigurations of a content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a mobile device 200 involved in luminanc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involved in luminanc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djusting lumin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when a distance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user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eye protection mode i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3D interactive conte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embodi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o note that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s)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When one elem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ncludes both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or another element intervenes. On the other hand,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ndicates that another component is not intervened.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 모듈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구성요소, 모듈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 모듈 또는 섹션들을 다른 구성요소, 모듈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 제1 모듈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 제2 모듈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modules and/or sections, it is needless to say that components, modules and/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module or section from another component, module or section. Accordingly, a first component, a first module, or a first section referred to below may be a second component, a second module, or a second section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모듈 및/또는 섹션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모듈 및/또는 섹션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modules and/or sections other than the recited components, modules and/or sections. do not rule ou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3D interactiv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홀로그램 컨텐츠는 가상현실 컨텐츠와 사용자와 같은 실물 객체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증강현실 컨텐츠가 결합된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이다.The hologram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3D interactive hologram in which virtual reality content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interaction with a real object such as a user are combin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와 실물 객체의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를 융합(합성)하여 제공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전송 장치(100)와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HMD 장치(300),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장치(400),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500), 및 컨텐츠 융합 장치(6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 a 3D interactive fusion (synthesis) of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using a hologram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using a hologram of a real object in a vehicle such as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es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 mobile device 200, an HMD device 300, a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400 using a hologram,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500 using a hologram, and The content convergence devices 6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컨텐츠 전송 장치(100), 모바일 디바이스(200), HMD 장치(300),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장치(400),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500), 및 컨텐츠 융합 장치(60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 mobile device 200, an HMD device 300, a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400 using a hologram,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using a hologram 500, and a content convergence device 6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or information to and from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네트워크는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대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등과 같은 다양한 크기의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The network may be composed of networks of various sizes,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the like. The network may consist of a wired or wireless network.

가상현실 스크린(700)은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가 투사되는 스크린으로서 별도로 네트워크 연결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screen 700 is a screen on which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is projected, and a separate network connection may not be required.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장치(400)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저장해둔 컨텐츠 저장장치(410), 상기 컨텐츠 저장장치(410)에 저장된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를 투사하여 스크린(700)에 표시하는 홀로그램 표시장치(420), 상기 스크린(700)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1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제1컨텐츠 표시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The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s using holograms 400 includes a content storage device 410 storing virtual reality content using holograms and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using holograms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device 410. It includes a hologram display device 420 that projects and displays on the screen 700, and a first content display controller 430 that receives first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700. .

상기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500)는, 실물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실물 객체 영상 촬영장치(510), 상기 촬영된 실물 객체의 영상을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로 변환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변환부(520),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300)에 표시되는 상기 제2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2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제2컨텐츠 표시 제어부(530)를 포함한다.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500 using the hologram includes a real object image capturing device 510 that captures an image of a real object, and converts the captured image of the real object into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using a hologram. It includes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version unit 520 that converts, and a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ler 530 that receives second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300 .

상기 제2컨텐츠는 HMD 장치와 같은 컨텐츠 표시 장치(300)에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의하여 전송된다.The second content is transmitted by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to the content display device 300 such as an HMD device.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는 가상현실 스크린(700)에 직접 투사되고,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는 컨텐츠 전송장치(100)를 통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표시 장치(300)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눈을 통하여 시청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virtual reality content using a hologram is directly projected on the virtual reality screen 700,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using a hologram is transmitted to the user's content display device 300 through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nd the user can be seen through the eyes of

이 때, HMD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가 가상현실 스크린(700)을 바라보는 경우 증강현실 컨텐츠를 구성하는 실제 이미지는 가상현실 스크린(700)에 투영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 및/또는 가상현실 스크린(700) 상의 실물 객체의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스크린(70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사용자가 실물 객체로서 실물 객체 영상 촬영장치(510)에 의하여 촬영될 수 있다. 이렇게 되는 경우 가상현실 스크린(700) 상의 사용자는 HMD 장치(300)를 통하여 제1컨텐츠와 함께 자신의 모습이 포함된 제2컨텐츠를 함께 시청할 수 있다. 특히,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모두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경우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와 사용자 간의 인터액션이 강화될 수 있는데, 제1컨텐츠를 배경으로 하는 자신의 모습이 담김 제2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재미는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wearing the HMD device 300 looks at the virtual reality screen 700, the actual image constitu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using holograms projected on the virtual reality screen 700 (first content) and/or an image of a real object on the virtual reality screen 700 . On the virtual reality screen 700, another user may be photographed as a real object by the real object image capture device 5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user on the virtual reality screen 700 can watch the second content including the user's image together with the first content through the HMD device 300 . In particular, when both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are produced using a hologra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and the user can be strengthened. The user's enjoyment of watching can be remarkably increased.

이를 통하여 HMD를 착용하면서 가상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어지러움과 같은 문제도 사용자의 몰입도 내지 집중도 증가로 인하여 일정부분 해소될 수 있다.Through this, problems such as dizziness of a user who watches virtual reality content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while wearing an HMD can be partially resolved due to increased immersion or concentration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D 인터랙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이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를 동시에 시청하게 되고, 제1컨텐츠가 제2컨텐츠의 백그라운드 이미지로서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 사이의 시간적 동기화가 매우 중요하다. 시간적 동기화가 적절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의 몰입도 감소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시간적 이격 발생으로 생동감이나 입체감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3D interactive holographic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are simultaneously viewed, and the first content may be used as a background image of the second content,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Temporal synchronization between them is very important. If temporal synchronization is not appropriate, not only the user's immersion is reduced, but also the liveliness or three-dimensional effect may be greatly reduced due to unnecessary temporal separa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3D 인터랙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1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1시간정보와 상기 제2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2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표시 장치(300)에 표시되는 제2컨텐츠를 상기 스크린(700)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에 동기화시키는 컨텐츠 융합 장치(600)를 채용한다. To this end, in the 3D interactive holographic content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f the second content are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300 A content convergence device 600 that synchronizes the second content to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700 is employed.

예를 들어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모두를 동시에 재생하는 경우 컨텐츠 표시 장치(300)는 고성능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통하여 높은 해상도와 몰입감 넘치는 이미지의 렌더링 처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미지의 품질이나 컨텐츠 표시 장치(300)의 성능 또는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서는 가상현실 컨텐츠나 증강현실 컨텐츠가 예상대로 응답하지 않는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의 재생 속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의 몰입감은 크게 떨어질 수 밖에 없고 컨텐츠의 재미가 감소함과는 별도로 시각적 혼동에 따른 어지러움, 소위 디지털 멀미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컨텐츠 융합 장치(600)는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의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느리게 제어하여 양 컨텐츠의 재생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both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re reproduced simultaneously, the content display device 300 requires high-resolution and immersive image rendering through a high-performance graphic processing unit (GPU). However, depending on the quality of the image, the performance of the content display device 300, or network conditions, a time delay may occur in whic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or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does not respond as expected, and in particular,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When a difference in playback speed occurs, the user's sense of immersion is inevitably lowered, and apart from the decrease in the fun of content, dizziness due to visual confusion, so-called digital motion sickness, may greatly occu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tent convergence device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playback speed of the other content to slow down when a time delay occurs in any on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to reproduce both contents. can be synchronized.

이를 위하여 상기 컨텐츠 융합 장치(600)는 제1컨텐츠 또는 제2컨텐츠의 초당 프레임 수(FPS)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제1컨텐츠의 경우 사전에 제작되어 컨텐츠 저장장치(410)에 저장된 상태에서 홀로그램 표시장치(420)로 스크린(700)에서 재생되는 것인 바, 이에 적합한 홀로그램 표시장치(420)의 그래픽 성능이나 네트워크 성능을 확보하는 경우 제1컨텐츠에서 예상치 못한 시간 지연이 발생하기 보다는 현장에서 직접 촬영하는 제2컨텐츠의 로딩 속도 지연으로 인한 시간 지연이 발생될 가능성이 크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1시간정보와 상기 제2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2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700)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를 컨텐츠 표시 장치(300)에 표시되는 제2컨텐츠에 동기화시킨다. 즉, 제2컨텐츠가 지연되는 경우 제1컨텐츠를 이에 동기화시키는 것이다.To this end, the content convergence device 600 may control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FPS) of the first content or the second content. 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first content, it is reproduced on the screen 700 by the hologram display device 420 while being produced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device 410, and the graphic performance of the hologram display device 420 suitable for this However, when network performance is secured, it is highly likely that a time delay due to a loading speed delay of the second content directly filmed in the field occurs rather than an unexpected time delay occurring in the first content. Theref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700 using the first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f the second content is synchronized with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300 . That is, when the second content is delayed, the first content is synchronized with it.

반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를 시간적으로 이격시켜 재생해서 사용자의 재미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시간정보와 상기 제2시간정보가 동기화 되지 않고 특정한 시간적 이격이 생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onverse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im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ime information may not be synchronized and a specific time distance may occur so that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are reproduced at a time interval to increase the user's fun. can make it

특히, 제2컨텐츠는 제1컨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제2컨텐츠가 제1컨텐츠를 배경으로 촬영될 수 있는데, 제2컨텐츠의 재생시간이 제1컨텐츠의 재생시간과 시간적 이격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합성(융합)된 컨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에게 색다른 재미감을 줄 수 있다. 특히, 제1컨텐츠가 항공기나 기차와 같은 속도감이 있는 운반체에 대한 컨텐츠인 경우, 또는 그 반대로 매우 느리게 움직이는 거북이나 작은 곤충과 같은 동물 등에 대한 영상인 경우, 제1컨텐츠 상에서 움직이는 본인의 모습이 실제로는 증강현실 컨텐츠인 제2컨텐츠에서 수초 후에 보여지도록,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기준으로 제1시간정보와 제2시간정보 사이에 시간적 지연을 유도하여 독특한 시간적 재미를 유발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content can be provided by photographing the movement of a user watching the first content, the second content can be photographe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playback time of the second content is less than that of the first content. When a temporal distance between the playback time and the second content occurs, a different sense of fun can be given to a user who enjoys content in which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are synthesized (fused). In particular, if the first content is content about a vehicle with a sense of speed, such as an airplane or train, or conversely, if it is a video about a very slow-moving animal such as a turtle or small insect, the person moving on the first content is actually can cause a unique temporal fun by inducing a temporal delay between the first tim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video frames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to be shown several seconds later in the second content, which is augmented reality content. .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300)는 상기 차량 좌석별로 배치된 HMD(Head-Mounted Display)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HMD 장치(30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이에 다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와 통신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and the content display device 300 is composed of Head-Mounted Display (HMD) devices arranged for each seat of the vehicle, and the HMD device 300 )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e with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connected again wirelessly or wired.

본 발명에서는 가상현실 컨텐츠와 증강현실 컨텐츠를 모두 홀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현실에서, 특히 지방의 소도시에서 직접적으로 현장 구현하기 어려운 문화나 교육 컨텐츠에 대한 경험을 가상현실 기술로 제공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즉 주로 교육 대상 학생들의 상호 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미지를 증강현실 컨텐츠로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직접적 참여를 통한 흥미를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s can be implemented as holograms, and in reality, especially in small provincial cities, experiences on cultural or educational contents that are difficult to directly implement on-site are provided with virtual reality technology, while at the same time providing users, that is, By providing additional images as augmented reality contents that can induce interactions of students mainly for education, students can increase their interest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HMD 장치(300)를 통하여 시청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는 본질적으로 사용자 경험이 제한될 수 밖에 없으며, 특히 HMD 장치(300)를 머리에 쓰고 시청을 하다 보면 어지러움을 호소하면서 학생들의 집중력이 크게 떨어지기까지 한다. Virtual reality content viewed through the HMD device 300 is inherently limited in user experience, and in particular, when watching while wearing the HMD device 300 on the head, students complain of dizziness and lose their concentration significantly. do.

이와 같은 문제를 본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를 함께 제공하여, 가상현실 컨텐츠와 함께 증강현실 컨텐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되, 증강현실 컨텐츠 자체를 학생들 자신의 영상을 촬영하여 홀로그램화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교육대상자인 학생들의 집중도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가상현실 컨텐츠와 증강현실 컨텐츠를 결합한 소위 혼합현실 컨텐츠를 HMD 장치(300)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HMD 장치(300)로는 실물 객체(사용자)의 실제 영상을 촬영하여 변환한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고,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는 별도의 스크린(700)에 투사하여 제공하되 이것을 사용자들이 HMD 장치(300)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fundamentally impro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using a hologram is provided together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can be experienced together wit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bu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tself can be used by students themselves Since the video is taken and provided as a hologram, the concentration of students, who are the subjects of education, can be greatly increased. Therefore, rather than simply providing the so-called mixed reality content that combines virtual reality content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the HMD device 300, the HMD device 300 takes a real image of a real object (user) and augments it using a converted hologram. Real content is provided, and virtual reality content using a hologram is projected onto a separate screen 700 and provided so that users can view it through the HMD device 300 .

상기 스크린(700)은 문화유적지나 유명 예술 공연 등과 관련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투사되는 스크린으로 역할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스크린에 사용자들이 위치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와 상호 작용을 할 수도 있고, 이러한 실물 객체의 영상이 촬영되어 증강현실 컨텐츠로 다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The screen 700 also serves as a screen on which virtual reality content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sites or famous art performances are projected, but on the other hand, users can be located on the screen and interact with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these real things An image of the object is captured and provided to the user again as augmented reality content.

상기 스크린은 본 발명의 이동형 홀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설치된 차량의 일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차량의 공간이 제한적이므로, 차량 밖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차량이 진입하여 정차하는 학교 운동장에 설치될 수 있다.The screen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a vehicle in which the system for providing mobile hologram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r may be separately installed outside the vehicle since the space of the vehicle is limited. For example, it can be installed in a school playground where the vehicle enters and stops.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순수한 관람객으로서의 사용자와 가상현실 컨텐츠를 관람하면서 증강현실 컨텐츠의 촬영대상(본 명세서에는 “배우 사용자”로서 호칭)이 되는 사용자가 존재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s a pure spectator and the user who is a shooting target for augmented reality content (referred to as “actor user” in this specification) while watching virtual reality content come into existence

이러한 배우 사용자는 자신이 관람하고 있는 가상현실 컨텐츠와 함께 촬영되고 있는, 마치 가상현실 컨텐츠에서 함께 상호작용하는 자신을 증강현실 컨텐츠로서 관람할 수 있게 된다.Such an actor user can view himself/herself as augmented reality content as if they are being filmed together wit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hey are watching, interacting wit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통상의 증강현실 컨텐츠는 현실의 이미지와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현실의 이미지 자체가 또 다른 가상의 이미지인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증강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는 순수한 현실의 이미지(즉, 배우 사용자의 이미지),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 및 증강현실 컨텐츠에서 추가된 가상의 이미지(제3컨텐츠)의 3가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 content overlaps a real image and a three-dimensional virtual image to show it as one 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 image itself includes another virtual image,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do. Therefor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of pure reality (ie, an image of an actor user),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and a virtual image added from augmented reality content (third content). ) is composed of three things.

상기 제3컨텐츠는 제2컨텐츠의 하위의 개념으로서 제1컨텐츠의 종류에 적합하게 설계될 수 있다. The third content is a lower concept of the second content and may be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he type of the first content.

예를 들어서, 제1컨텐츠가 유명 문화유적지(예를 들어서 미륵사지석탑, 불국사나 첨성대)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라면, 제3컨텐츠는 제1컨텐츠인 미륵사지석탑 , 불국사나 첨성대 내부에서 가상으로 존재하는 안내 표지판, 각종 안내 방송을 재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남아 있는 관람시간, 최종 목적지까지의 거리 등을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외국인일 경우 영어나 중국어와 같은 외국어로된 안내 방송을 재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상 이미지가 추가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content is virtual reality content for famous cultural sites (for example, Mireuksaji Stone Pagoda, Bulguksa Temple, and Cheomseongdae), the third content is the first content, Mireuksaji Stone Pagoda, Bulguksa Temple, and Cheomseongdae. It may be a sign, a user interface capable of reproducing various announcements, or an image indicating remaining viewing time, distance to a final destination, and the like. If the user is a foreigner, a virtual image of a user interface capable of reproducing an announcement in a foreign language such as English or Chinese may be added.

또 다른 예로서, 제1컨텐츠가 심청전과 같은 마당놀이 공연이라면, 제3컨텐츠는 마당놀이 공연의 대사의 스크립트나 공연시간이나 배우의 바이오 정보 등에 대한 가상이미지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f the first content is a madangnori performance such as Simcheongjeon, the third content may be a script of lines of the madangnori performance or a virtual image of performance time or bio information of an actor.

또는 상기 제1컨텐츠의 재생 속도나 음량 조절 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3컨텐츠의 가상이미지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the playback speed or volume of the first content may be provided as a virtual image of the third content.

또한, 인간인 사용자의 오감 중에서 시각이나 청각 이외에도 촉각이나 후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 이미지의 제3컨텐츠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한데, 첨성대나 불국사와 같은 석조 구조물 내부의 고유한 냄새나 차가운 벽면의 촉감을 경험하게 할 수 있고, 심청전의 마당놀이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착용한 옷이나 주위 배경 환경(바다, 들판 등)의 촉감을 느끼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ird content of virtual images that can provide tactile or olfactory experiences in addition to sight or hearing among the human user's five senses. and feel the clothes worn by the characters in Madangnori of Simcheongjeon or the tactile sensation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ea, field, etc.).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컨텐츠와 증강현실을 이용한 컨텐츠는 사용자의 상호 작용 경험을 개선하기 위하여 홀로그램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and content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produced as hol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interaction experienc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는 현실의 객체에 직접 구현되는 통상의 증강현실 이미지가 아니라 빛의 간섭(보강간섭), 굴절, 회절 등의 원리에 의하 공간에 떠 있는 것처럼 이미지가 구현될 수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Augmented reality contents using holograms are not ordinary augmented reality images that are directly implemented in real objects, but images can be implemented as if they are floating in space based on the principles of light interference (constructive interference), refraction, and diffraction. There is a difference.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따른 효과 제어 신호를 제공하며, 이런 점에서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말기의 기능을 할 수 있다.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provides content or an effec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ent to the mobile device 200. In this regard,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mobile device 200. It can function as a terminal that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본 발명의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하는 차량과 함께 제어될 수 있다.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together with a vehicle providing the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컨텐츠 저장 장치(410)에 저장되어 홀로그램 표시장치(420)에 의하여 스크린(700)으로 전송하는 제1컨텐츠는, 예를 들어서 교육용 게임, 교육용 여행 컨텐츠, 교육용 영화/드라마, 교육용 뮤직비디오, 교육용 애니메이션, 새로운 체험, 직업 교육 프로그램, 기술 교육 프로그램, 또는 수학, 과학 등 교과목 관련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device 410 and transmitted to the screen 700 by the hologram display device 420 includes, for example, educational games, educational travel contents, educational movies/dramas, educational music videos, and educational animations. , new experiences,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technical education programs, or subject-related programs such as math and science.

또한, 상기 컨텐츠, 특히 가상현실 컨텐츠를 시청하는 동안 사용자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신장, 및 눈의 피로도 같은 사용자 개인의 특성들, 또는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해상도, 및 컨텐츠의 채도 같은 컨텐츠의 특성들에 따라 눈의 피로, 또는 사이버 멀미를 다르게 느낄 수 있다. 예컨대, 나이가 어린 사용자는 성인 사용자들에 비해 눈의 피로를 빨리 느끼고, 컨텐츠의 휘도가 높을 경우에 눈의 피로도를 높이고 사이버 멀미를 증폭시킨다. In addition, while viewing the content, in particular,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he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user's age, gender, weight, height, and eye fatigue, or the type of content,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and the saturation of the content. Eye fatigue or cybersickness may be fel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For example, younger users feel eye fatigue more quickly than adult users, and when the luminance of content is high, eye fatigue is increased and cybersickness is amplified.

한편, 컨텐츠의 휘도를 낮추면 해상도가 낮아져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에 몰입하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컨텐츠의 해상도를 낮춰 눈의 피로를 경감시키고, 사이버 멀미를 피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컨텐츠에 몰입할 수 있도록 일정 해상도를 유지해야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luminance of the content is lowered, the resolution is lowered, preventing the user from being immersed i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to reduce eye fatigue and avoid cybersickness, while maintaining a certain resolution so as to be immersed in the conten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해상도를 낮춰 컨텐츠를 제공하는 한편, 몰입감을 위해 일정 수준의 해상도 이하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없으므로, 위와 같은 사용자의 특성 및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그 컨텐츠의 길이를 한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20분 이상 가상현실을 경험한 사용자의 80% 이상이 사이버 멀미를 느낀다는 점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5분 내지 10분에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의 길이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tent by lowering the resolution, but cannot provide content below a certain level of resolution for immersion, so the length of the content is limi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nd the content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 is desirable to limit the length of

가상현실 컨텐츠의 길이는 컨텐츠 저장장치(410)나 홀로그램 표시장치(420)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제어될 수 있고, 사용자가 착용한 HMD 장치(300)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HMD 장치(300)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경우라도 사용자는 스크린(700)에 제공된 제1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을 것이나, HMD 장치(300)가 작동하지 않으면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와 증강현실 컨텐츠(제2컨텐츠)의 결합에 의한 몰입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1컨텐츠 관람 역시 중단할 수 있다. 그래서, 사이버 멀미를 일으키는 제1컨텐츠가 HMD 장치(300)에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지만, HMD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의 특성과 컨텐츠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한된 시간을 넘어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HMD 장치(300)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컨텐츠를 종료하는 것도 유효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y be controlled by cutting off the power provided to the content storage device 410 or the hologram display device 420, or by cutting off the power provided to the HMD device 300 worn by the user. there is. Even if the power provided to the HMD device 300 is cut off, the user will be able to watch the first content provided on the screen 700, but if the HMD device 300 does not operat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and augmentation Since the degree of immersion due to the combination of real content (second content) is lowered, the user may also stop viewing the first content. So, if the first content causing cybersickness is not directly provided to the HMD device 300, but the content is provided over a limited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wearing the HMD device 300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 It may also be effective to terminate the content by cutting off the power provided to the HMD device 300 .

본 발명에서는 또한, 입체감을 주기 위해 색감을 일반2D영상에 비해 채도를 높여 색보정한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D 텍스트와 Particle 효과를 이용하여 영상을 합성하여 융합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lor-corrected 3D image may be provided by increasing color saturation compared to a general 2D image to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In addition, convergence contents can be provided by synthesizing images using 3D text and particle effects.

또한, 상기 스크린(700)은 사람이 스크린 앞 또는 뒤에서 영상과 함께 움직이는 인터렉션 컨텐츠를 위한 공간 확보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매쉬 스크린 뒤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상기 스크린이 설치되는 차량의 천장과 양 옆에 퍼져 맺히는 상을 보지 못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700 can be configured to secure space for interactive content in which a person moves along with an image in front or behind the screen.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space behind the mesh screen and prevent the view of the image spreading on the ceiling and both sides of the vehicle in which the screen is installed.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버스와 같은 차량을 이동 후 설치를 더욱 간편히 하게 위하여 전면 프레임은 나비 너트를 활용해 조립하고 후면 가림막 부분 텐트 폴대와 지퍼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부착하는 형태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order to simplify installation after moving a vehicle such as a bus that provides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rame is assembled using a butterfly nut and is simply attached using a tent pole and a zipper at the rear screen. It may be desirable to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존에 스크린 뒤 천장과 양 옆으로 상이 맺히던 문제점 해결이 가능하고, 실제 사람과 영상의 상호작용 가능성 확인이 용이해진다.By doing thi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 of forming images on both sides of the ceiling behind the screen, and it is easy to check the possibility of interacting with a real person.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컨텐츠 전송 장치(100)가 HMD 장치(3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전송 또는 제공한다는 기재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가 HMD 장치(3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위와 같은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아울러서 차량 내 좌석에 배치된 HMD 장치(3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사용자에게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컨텐츠 전송장치(100)와 HMD 장치(300)의 사이에서 HMD 장치(300)의 컨텐츠 재생, 디스플레이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scription that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transmits or provides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the HMD device 300 or the mobile device 200 indicates that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is the HMD device 300 or the mobile device 200 means transmitting the above content, which should be understood as the same as provid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user of the HMD device 300 or mobile device 200 disposed on a seat in a vehicle.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20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content playback and display of the HMD device 300 betwee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nd the HMD device 300 .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 HMD 장치(300), 모바일 디바이스(200) 또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행위는 이들은 이용하거나 제어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행위로서 이해될 수 있다.Like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ctions of the HMD device 300, the mobile device 200, or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may be understood as actions performed by a user's manipulation of using or controlling them.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예를 들어, 데스크톱(desk top), 랩톱(lap top)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모바일 단말기, 및 스마트폰(smartphone)일 수 있다.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예시되지 않은 다른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다.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may be, for example, a personal computer (PC) such as a desktop (desk top) or laptop (lap top), a mobile terminal, and a smartphone (smartphone).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may be another computing device not illustrated.

HMD 장치(3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연결되어, 컨텐츠 전송 장치(10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한다. HMD 장치(300)는 컨텐츠를 표시할 때, 증강현실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컨텐츠가 불국사 내를 관람하는 컨텐츠인 경우 불국사 내를 관람하는 동안의 관람코스의 각종 정보 등에 대한 가상 이미지가 HMD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게 된다.The HMD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200 and receives and displays augmented reality content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200 by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from the mobile device 200 . The HMD device 300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effect when displaying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ent is content for viewing the inside of Bulguksa Temple, virtual images for various information on viewing courses while viewing the inside of Bulguksa Temple are provided to users wearing the HMD device 300 .

HMD 장치(300)는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2컨텐츠 표시 제어부(530)에 제공한다. 이는 HMD 장치(300)가 상기 시간정보를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 전송하고 컨텐츠 전송장치(100)가 제2컨텐츠 표시 제어부(530)에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2컨텐츠 표시 제어부(530)는 상기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융합 장치(600)로 하여금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의 재생을 동기화하도록 할 수 있다.The HMD device 300 provides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nt reproduction to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ler 530 in real time. This can be achieved when the HMD device 300 transmits the time information to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nd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provides it to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530 . Then,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ler 530 may cause the content convergence device 600 to synchronize playback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using the time information.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인터렉티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 융합 장치(600)는 직접적으로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장치(400) 또는 그 내부의 컨텐츠 저장장치(410)로부터 제1컨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고, 실물 객체 영상 촬영장치(510)가 촬영한 영상을 증강 현실 컨텐츠 변환부(520)가 증강현실 이미지로 변환한 것을 직접 전송받을 수 있다. 이 때, 제1컨텐츠 표시 제어부(430)로부터 수신된 제1시간정보와 제2컨텐츠 재생제어부(530)로부터 수신된 제2시간정보를 통하여 컨텐츠 융합 장치(600)가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를 융합하여 곧바로 컨텐츠 전송장치(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HMD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컨텐츠 융합 장치(600)가 융합한 가상현실 컨텐츠와 증강현실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이 때, 가상현실 스크린(700)에는 별도의 컨텐츠가 전송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가상현실 스크린(700)은 크로마키(Chroma key)를 위하여 사용자와 같은 실물 객체의 촬영을 위한 블루스크린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는 홀로그램 방식 이외의 가상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고, 그래서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장치(400)의 홀로그램 표시장치(420)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500)의 증강 현실 컨텐츠 변환부(520)도 실물 객체 영상 촬영장치(510)가 촬영한 실물 객체 영상을 홀로그램이 아닌 가상 이미지와 결합하여 컨텐츠 전송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 11 showing a system for providing 3D interactive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convergence device 6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400 or its internal content storage device. The first content may be transmitted from 410, and the image taken by the real object image capturing device 510 may be directly transmitted by conver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version unit 520 into an augmented reality image. At this time, through the first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430 and the second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content playback control unit 530, the content fusion device 600 displays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may be converged and immediately provided to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In this case, the user wearing the HMD device 300 can view virtual reality content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that the content convergence device 600 has converged with. At this time, it may not be necessary to transmit separate content to the virtual reality screen 700 . In this case, the virtual reality screen 700 serves as a blue screen for capturing a real object such as a user for a chroma key.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may be provided as a virtual image other than a hologram method, so the hologram display device 420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400 may not be neede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version unit 520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500 also combines the real object image taken by the real object image capturing device 510 with a virtual image other than a hologram to provide to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can

HMD 장치(300)는 차량 내 좌석 별 또는 사람별로 배치되고, HMD 장치 착용이 고지되면, 사용자들이 HMD 장치(300)를 자신의 머리에 착용한다.The HMD device 300 is arranged for each seat or person in the vehicle, and when notified of wearing the HMD device, users wear the HMD device 300 on their heads.

이러한 HMD 장치(300)는, 예를 들어,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형태(form)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HMD 장치(300)는 화면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HMD 장치(300)는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사이즈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300)는 안경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HMD 장치(300)는 프레임 등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에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HMD device 300 may have, for example,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data processing function, and may be worn on a user's head, and the HMD device 300 worn by the user may display a screen display content on it. In this case, the HMD device 300 may display content in a preset size at a preset location. Also, the HMD device 300 may have a shape of glasses. The HMD device 300 may be temporarily fixed to the user's head by a frame or the like.

HMD 장치(300)는 자체적으로 CPU 및 Display를 가지는 제1타입(type)과 HMD 장치(300)에 모바일 디바이스(device)(20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2타입이 있다. 제2타입의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HMD 장치(300)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HMD device 300 has a first type having a CPU and a display itself, and a second type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the mobile device 200 to the HMD device 300 . In the case of the second type, the mobile device 200 serves to control the HMD device 300 to display content.

제1타입의 HMD 장치(300)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한다.The first type HMD device 300 receives and displays content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

제2타입의 HMD 장치(3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연결된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HMD 장치(3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한다.The second type HMD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20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mobile device 200 receives content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 and the HMD device 300 receives and displays the content from the mobile device 200 .

본 명세서의 도 1은 제2타입을 예시로서 설명한다.1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s the second type as an example.

제2타입의 경우, HMD 장치(3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HMD 장치(3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이때, HMD 장치(3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미러캐스트(miracast) 기술 등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로 표시한다. In the case of the second type, the HMD device 30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HMD device 300 is designed to output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200. At this time, the HMD device 300 receives content from the mobile device 200 through a mirrorcast technology or the like, and displays the received content on a display.

HMD 장치(300)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밴드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mobile device 200 connected to the HMD device 300 include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C, a smart TV,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laptop, a media player, a micro serve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It may be a book terminal,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navigation device, a kiosk, an MP3 player, a digital camera, and other mobile computing devic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200 may be a watch or a band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data processing fun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처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HMD 장치(300)가 서로 연결된다. HMD 장치(30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간 데이터 페어링을 위해 미러캐스트(miracast) 기술이나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기술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As such,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HMD device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For data pairing between the HMD device 300 and the mobile device 200, a mirrorcast technology or a wifi-direct technology may be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홀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mobile hologram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와 실물 객체의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를 융합하여 제공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은, 홀로그램 표시장치가 컨텐츠 저장장치에 저장된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를 투사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S1210), 제1컨텐츠 표시 제어부가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1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220), 실물 객체 영상 촬영장치가 실물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230), 증강 현실 컨텐츠 변환부가 상기 촬영된 실물 객체의 영상을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S1240),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제2컨텐츠를 컨텐츠 표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S1250), 제2컨텐츠 표시 제어부가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제2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2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260), 및 컨텐츠 융합 장치가 상기 제1시간정보와 상기 제2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제2컨텐츠를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에 동기화시키는 단계(S127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a method of providing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s by converg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irst contents) using holograms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s (second contents) using holograms of real objects in a vehicle such as a bus, A hologram display device projects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using a hologram stored in a content storage device and displays it on a screen (S1210), and a first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plays back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Receiving the first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ep (S1220), the step of the real object image recording device taking an image of the real object (S123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captured image of the real object into augmented reality content using a hologram Converting to (second content) (S1240),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transmitting the second content to the content display device (S1250),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converting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Receiving second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S1260), and the content fusion device displays second content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on the screen using the first tim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ime information. and synchronizing with the first content (S1270).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홀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서는,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200)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300)는 상기 차량 좌석별로 배치된 HMD(Head-Mounted Display)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HMD 장치(30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이에 다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와 통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method for providing mobile holographic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200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and the content display device 300 is an HMD disposed for each vehicle seat. It is configured as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the HMD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it can communicate with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It consists of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10), 통신부(120), 컨텐츠 서비스부(130), 시작신호 전송부(140),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부(150), 시간정보 수신부(160), 및 효과 제어부(170), 및 단말기 제어부(1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includes a database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content service unit 130, a start signal transmission unit 140, a mobile device control unit 150, and a tim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60. ), and an effect controller 170, and a terminal controller 180.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증강현실 컨텐츠(제2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데, 이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500)으로부터 제공받은 것이다.Information on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is stored in the database 110, which is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500 using a hologram.

통신부(120)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를 모바일 디바이스(200), HMD 장치(300),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장치(400),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500), 컨텐츠 융합 장치(600), 또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는 구성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a compon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s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s a mobile device 200, an HMD device 300, a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400 using a hologram, and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500 using a hologram. , Content convergence device 600, or a separate content providing server (not shown) is connected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컨텐츠 서비스부(130)는 제2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추출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 또는 HMD 장치(300)로 전송한다.The content service unit 130 extracts the second content from the database 110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device 200 or the HMD device 300 .

컨텐츠 서비스부(130)는 통신부(120)가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한 컨텐츠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컨텐츠를 제공한다.When the communication unit 120 receives a content provision request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the content service unit 130 provides content to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in response to the received content provision request.

시작신호 전송부(14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상기 컨텐츠 재생 시작 신호를 전송한다.The start signal transmitter 140 transmits the content reproduction start signal to the mobile device 200 .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부(150)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HMD 장치(300)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HMD 장치(300)가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The mobile device controller 150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HMD device 300 through the mobile device 200 and causes the HMD device 300 to display the content.

가상현실 스크린(700)에 제1컨텐츠가 표시되는 대신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융합 장치(600)에서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를 융합하여 컨텐츠 전송장치(100)에 직접 전송하는 경우,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장치(400)의 제1컨텐츠 표시 제어부(430)나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500)의 제2컨텐츠 표시 제어부(530)와는 별도의 시간정보 수신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Instead of displaying the first content on the virtual reality screen 70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are fused in the content convergence device 600 and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is separate from the first content display controller 430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400 using a hologram or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ler 530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500 using a hologram. A tim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60 of may be provided.

상기 시간정보 수신부(160)에서 상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수신하고, 효과 제어부(170)는 HMD 장치(300)로부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수신하고, 그 시간 정보로 컨텐츠 융합 장치(600)에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의 재생시간 동기화를 요청할 수 있고, 해당 시간에 발생할 효과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전송장치(100)를 통하여 HMD 장치(300)에 전송하여, 상기 효과 제어 신호가 상기 HMD 장치(300)에서 상기 컨텐츠와 동기화하도록 한다.The tim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60 receives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nt reproduction, and the effect controller 170 receives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nt reproduction from the HMD device 300, and the content convergence device 600 receives the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 it is possible to request synchronization of playback times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and transmit an effect control signal to be generated at the corresponding time to the HMD device 300 through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so that the effect control signal The HMD device 300 synchronizes with the content.

여기서, 효과 제어 신호는 모션, 진동 효과, 눈, 비, 바람, 이슬, 안개, 향기, 및 빛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구현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Here, the effect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for realizing one or more of effects of motion, vibration, snow, rain, wind, dew, fog, scent, and light.

한편, 컨텐츠 서비스부(130), 효과 제어부(170) 각각은 컴퓨팅 장치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컨텐츠 서비스부(130), 효과 제어부(170) 각각은 물리적으로 독립된 각각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서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each of the content service unit 130 and the effect control unit 170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required to execute a program on a computing device. As such, each of the content service unit 130 and the effect control unit 170 may be implemented as a physically independent component or may be implemented in a functionally differentiated form within one processor.

단말기 제어부(180)는 데이터베이스(110), 통신부(120), 컨텐츠 서비스부(130), 시작신호 전송부(140),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부(150), 시간정보 수신부(160), 및 효과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단말기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ler 180 includes a database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content service unit 130, a start signal transmitter 140, a mobile device controller 150, a time information receiver 160, and an effect controller 170. ) It i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arious components of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including. The terminal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t least one arithmetic unit, wherein the arithmetic unit includes a general-purpos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grammable device element (CPLD, FPGA) implemented to suit a specific purpose, and an application-specific semiconductor. It can be an arithmetic unit (ASIC) or a microcontroller chip.

단말기 제어부(180)는 시력보호모드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전송 장치(100) 내부에 기준 시간 길이가 저장되어 컨텐츠의 시간이 이를 초과하면 자동적으로 시력보호모드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초기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시력보호모드 사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시력보호모드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ler 180 may control to display content in an eye protection mode. That is, a reference time length is stored inside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so that the content is automatically displayed in an eye protection mode when the content time exceeds this value, or is initially stor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or selected by the user. When a program using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is executed, content may be displayed in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또한 단말기 제어부(18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피곤한 상태임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180)의 명령에 따라 시력보호모드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180 receiv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200,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is in a tired state, providing content in an eye protection mode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terminal controller 180. can

또한, 단말기 제어부(180)는 시력보호모드를 종료하고 일반모드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력보호모드 종료 명령은 종료 아이콘을 클릭 또는 터치하거나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여 종료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종료 아이콘은 HMD 장치(300)에서 증강현실 이미지의 제3컨텐츠로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180 may control to end the eye protection mode and display the screen in the normal mode. The eye protection mode end command may be defined in various ways, such as clicking or touching an end icon or ending using a separate button. This end icon is provided as third content of an augmented reality image in the HMD device 300. It can b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프로세서(210), 디스플레이부(220), 통신부(230), 근접 센서부(240), 메모리부(250), 환경 휘도 측정부(260), 및 발광 모듈(27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이외에 다른 전자 부품들 및 USB 단자,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FIG. 4 , the mobile device 200 includes a processor 210, a display unit 220, a communication unit 230, a proximity sensor unit 240, a memory unit 250, an environmental luminance measuring unit 260, and a light emitting module ( 270), the mobile device 200 may include other electronic components, a USB terminal, a Mobile High-Definition Link (MHL) terminal, and the like.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제1타입은 통신부(230)를 통해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HMD 장치(300)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이고, 제2타입은 프로세서(210)가 직접 디스플레이부(22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HMD 장치(300)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이다. The mobile device 200 receives content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in the first type and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HMD device 300, and in the second type, the processor 210 directly displays the content. A user's input is received from the unit 220 and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HMD device 300 .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한다.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부(220)가 표시할 화면을 결정한다. 프로세서(210)는 HMD 장치(300)와의 연결을 식별하면, 디스플레이부(220)에 영상 컨텐츠 목록들을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controls the display unit 220 . The processor 210 determines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20. When the processor 210 identifies a connection with the HMD device 300, it can display video content lists on the display unit 220.

또한, 프로세서(210)는 HMD 장치(300)와의 연결을 식별하면, HMD 장치(300)와 관련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프로세서(210)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rocessor 210 identifies a connection with the HMD device 300, it can execute a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the HMD device 300, and the processor 210 can access a site providing content.

사용자는 표시된 컨텐츠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프로세서(210)는 선택된 컨텐츠를 HMD 장치(300)로 전송한다. 컨텐츠는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받거나, 메모리부(2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목록은 HMD 장치(300)에서 증강현실 이미지의 제3컨텐츠로 제공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the displayed contents list, and the processor 210 transmits the selected contents to the HMD device 300 . Content may be downloaded through the Internet or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250 . A content list for selecting such content may be provided as third content of an augmented reality image in the HMD device 300 .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부(22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프로세서(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0)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HMD 장치(3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receives a user's input from the display unit 220 . The processor 210 may change the state of the display unit 220 or transmit data to the HMD device 300 according to a user's input.

프로세서(210)는 근접 센서부(24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HMD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근접 센서부(24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를 프로세서(21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10)는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HMD 장치(300)로 전송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측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일 때, 컨텐츠를 HMD 장치(300)로 전송한다. The processor 210 may transmit content to the HMD device 300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proximity sensor unit 240 . The proximity sensor unit 24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user and outputs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processor 210 . The processor 210 may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content to the HMD device 300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For example, the processor 210 transmits content to the HMD device 300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환경 휘도 측정부(26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HMD 장치(300)와 연결된 후에 사용자가 착용한 시점에 화면 부분의 환경 휘도를 측정한다. 이는 HMD 장치(300)에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제2타입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HMD 장치(300)가 제1타입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환경 휘도 측정부(260) 등은 HMD 장치(300)에 구비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luminance measurement unit 260 measures the environmental luminance of the screen portion when the mobile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HMD device 300 and worn by the user. This is described based on the second type in which the mobile device 200 is mounted and used on the HMD device 300, and when the HMD device 300 is the first type, the environmental luminance measuring unit 260 of the mobile device 200 etc. may be provided in the HMD device 300 .

발광 모듈(270)은 발광 수단을 포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휘도를 조절한다.The light emitting module 270 controls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by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HMD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HMD 장치(300)는 통신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제어부(330), 및 메모리부(3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HMD device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 display unit 320, a controller 330, and a memory unit 340.

통신부(310)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HMD 장치(300)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컨텐츠 전송 장치(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is a compon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310 is a compon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HMD device 300 to display content and change the displayed content with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or the mobile device 200.

디스플레이부(320)는 HMD 장치(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32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20 display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HMD device 300 .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320 can display content.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하여 출력되는 컨텐츠는 가상현실 컨텐츠와 증강현실 컨텐츠를 함께 보여줄 수 있으며, 증강현실 컨텐츠는 실물 객체 영상 촬영장치(51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과 증강현실 컨텐츠의 가상 이미지인 제3컨텐츠가 오버랩(overlap)되어 보일 수 있다.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20 may show both virtual reality content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a virtual image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real object image capturing device 510 an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The three contents may be seen overlapping.

메모리부(340)는 HMD 장치(300)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memory unit 340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HMD device 300 to display content and change the displayed content.

제어부(330)는 통상적으로 HMD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는 메모리부(34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310) 및 디스플레이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30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HMD device 300 in general. For example, the controller 33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display unit 320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unit 340 .

제어부(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330 controls the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

또한, 제어부(330)는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실시간으로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30 may provide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nt reproduction to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in real time.

이러한 HMD 장치(300)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전송 장치(10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함으로써, HMD 장치(300)의 화면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HMD device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nd the mobile device 200, and receive content from at least one of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nd the mobile device 200, so that the HMD device Contents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300).

제어부(330)는 통신부(310), 디스플레이부(320), 및 메모리부(340)를 포함하는 HMD 장치(3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The controller 330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various components of the HMD device 300 including the communication unit 310 , the display unit 320 , and the memory unit 340 . The control unit 330 may include at least one arithmetic unit, wherein the arithmetic unit includes a general-purpos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grammable device device (CPLD, FPGA) implemented for a specific purpose, and an application-specific semiconductor operation. It can be a device (ASIC) or a microcontroller chip.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에 관여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에 관여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nfigurations of a content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a mobile device 200 involved in luminanc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luminanc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volved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도 6을 참조하면,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평균휘도레벨 계산부(181), 임계치 결정부(182), 저장부(183), 및 휘도 조절부(184)를 포함하고,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환경 휘도 측정부(260), 및 발광 모듈(27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includes an average luminance level calculator 181, a threshold value determiner 182, a storage 183, and a luminance controller 184, and a mobile device 200 ) includes an environmental luminance measuring unit 260 and a light emitting module 270 .

단말기 제어부(18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환경 휘도 측정부(26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주변 환경 휘도를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환경 휘도 측정부(26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HMD 장치(300)와 연결된 후에 사용자가 착용한 시점에 화면 부분의 환경 휘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terminal control unit 180 causes the mobile device 200 to measure the ambient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200 by the environmental luminance measuring unit 260 of the mobile device. The environmental luminance measurement unit 260 is preferably installed to measure the environmental luminance of the screen portion when the mobile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HMD device 300 and worn by the user.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임계치 결정부(182)는 상기 환경 휘도 측정부(260)가 측정한 환경 휘도와 미리 설정된 눈부심 지수 값을 이용하여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또는 컨텐츠 표시 장치(300)의 임계 화면 휘도를 계산한다. 상기 눈부심 지수(UGR: Unified Glare Rating)는 CIE 기술위원회 3-31(CIE technical committee 3-31)에 의해 불쾌글레어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매개변수에 기초한 실용적인 글레어 평가시스템으로서 제안된 것이다. 이와 같은 눈부심 지수는 아래 수학식 1을 통해 구해지며, 눈부심 지수와 주관적 느낌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눈부심 지수 값이 "10" 이상일 경우에 눈부심을 느끼기 시작하고, 눈부심 지수 값이 "16" 이상일 경우에 신경이 쓰이기 시작하며, 눈부심 지수 값이 "22" 이상일 경우에 불쾌감을 느끼기 시작하고, 눈부심 지수 값이 "28" 이상일 경우에 너무 심하다고 느끼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눈부심 지수 값이 "10" 이하가 될 수 있도록 발광 모듈(270)의 발광 휘도를 조절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threshold determiner 182 of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uses the environmental luminance measured by the environmental luminance measurer 260 and a preset glare index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device 200 or contents where a glare phenomenon begins to occur. A threshold screen luminance of the display device 300 is calculated. The unified glare rating (UGR) is proposed as a practical glare rating system based on general parameters affecting unpleasant glare by the CIE technical committee 3-31. Such a glare index is obtained through Equation 1 below, and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are index and subjective feeling, when the glare index value is "10" or more, you start to feel glare, and when the glare index value is "16" or more When the glare index value is "22" or more, you start to feel uncomfortable, and when the glare index value is "28" or more, you start to feel it too much.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device that adjusts the light emission luminan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270 so that the glare index value may be "10" or less.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Lb는 주변 환경 휘도이고, Ls는 관찰자의 시선 내 광원의 발광부분 휘도이며, ω는 관찰자 시선 내 광원의 발광부분 입체각이고, p는 관찰자의 시선 내 각 광원의 Guth의 위치지수이다. 상기 Lb(주변 휘도)와 Ls(발광 휘도)의 단위는 [cd/㎡]이다.Here, Lb is the lumina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Ls is the luminance of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light source in the observer's line of sight, ω is the solid angle of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light source in the observer's line of sight, and p is the position index of Guth of each light source in the observer's line of sight. The units of Lb (ambient luminance) and Ls (emission luminance) are [cd/m 2 ].

즉, 임계치 결정부(182)는 상기 수학식 1에 상기 환경 휘도 측정부(260)가 측정한 환경 휘도와 눈부심 지수 값 "10"을 대입하여 Ls를 계산하는데, Ls는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또는 컨텐츠 표시 장치(300)의 임계 화면 휘도가 된다.That is, the threshold determiner 182 calculates Ls by substituting the environmental luminance measured by the environmental luminance measurer 260 and the glare index value of “10” into Equation 1, where Ls starts to cause glare. becomes the critical screen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200 or the content display device 300 that

또한, 임계치 결정부(182)는 임계 발광 휘도에 해당하는 임계 평균휘도레벨을 도출하는데, 이는 평균휘도레벨의 각 값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 휘도를 측정하여 저장된 값을 통해 도출한다. 이에 따라, 임계치 결정부(182)는 저장부(183)를 더 포함하여 임계 발광휘도와 임계 평균휘도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threshold determining unit 182 derives a threshold average luminance level corresponding to the threshold light emission luminance, which is derived through a value stored by measuring the screen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200 for each value of the average luminance level. Accordingly, the threshold determination unit 182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183 to store data for determining the threshold emission luminance and the threshold average luminance level.

평균휘도레벨(APL: Average Picture Level) 계산부(181)는 입력되는 컨텐츠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휘도로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을 계산한다. 상기 입력되는 컨텐츠는 컨텐츠 서비스부(130)에서 처리된 컨텐츠 신호이거나 또는 컨텐츠 서비스부(130)로 입력되는 컨텐츠 신호이다.An average picture level (APL) calculation unit 181 calculates an average brightness level of content based on the brightness of each pixel constituting a frame of input content. The input content is a content signal processed by the content service unit 130 or a content signal input to the content service unit 130 .

휘도 조절부(184)는 상기 평균휘도레벨 계산부(181)가 계산한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상기 임계치 결정부(182)에서 도출한 컨텐츠의 임계 평균휘도레벨을 초과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 휘도가 임계 화면 휘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발광 모듈(270)의 휘도를 제어한다. 상기 발광 모듈(270)에 구비되는 발광수단은 LED 또는 CCFL이고, 상기 발광 모듈(270)은 액정 표시 장치일 경우에는 백라이트 모듈임이 바람직하다.The luminance control unit 184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mobile device ( The luminan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270 is controlled so that the screen luminance of 200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screen luminance. The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the light emitting module 270 is an LED or CCFL, and when the light emitting module 27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backlight module.

모바일 디바이스(200) 또는 컨텐츠 표시 장치(300)의 화면 휘도는 임계 화면 휘도를 초과하지 않아야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임계 평균휘도레벨을 초과할 경우에 발광 모듈(270)의 발광 휘도를 제어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 휘도가 임계화면휘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Since glare can be prevented when the screen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200 or content display device 300 does not exceed the critical screen luminance, when the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 exceeds the critical average luminance level, the light emitting module 270 ) is controlled so that the screen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200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screen luminance.

즉, 휘도 조절부(184)는 상기 평균휘도레벨 계산부(181)가 계산하는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상기 임계치 결정부(182)에서 도출한 컨텐츠의 임계 평균휘도레벨을 초과할 경우에 발광 모듈(270)이 발광하는 발광 휘도를 감소시키는데, 예를 들어, 평균휘도레벨에 가까운 값일수록 발광 모듈(270)의 발광 휘도를 감소시키는 정도는 적어진다.That is, the luminance control unit 184 is a light emitting module when the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s calculated by the average luminance level calculator 181 exceeds the threshold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s derived by the threshold value determiner 182. 270 reduces the luminance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270. For example, as the value is closer to the average luminance level, the degree of reducing the luminance of light emitting module 270 decreases.

또한, 휘도 조절부(184)는 상기 발광 모듈(270)의 발광 휘도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치에서 일정치 감소된 상태이면서 상기 평균휘도레벨 계산부(181)가 계산하는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상기 임계치 결정부(182)에서 도출한 컨텐츠의 임계 평균휘도레벨 미만일 경우에 상기 발광 모듈(270)의 발광 휘도를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선명하고 밝은 화면 휘도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uminance control unit 184 determines that the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s calculated by the average luminance level calculation unit 181 is the same as the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s calculated by the average luminance level calculation unit 181 while the luminan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270 is reduced by a certain value from the maximum value capable of emitting light. When the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s derived by the threshold value determiner 182 is less than the threshold average luminance level, the light emission luminan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270 is increased. Through this, a clear and bright screen luminance is provided.

결국,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환경 휘도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200) 또는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화면 휘도를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정하게 유지해 주면서, 선명하고 밝은 화면 휘도를 제공하여 시청자가 안락하게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해 준다.As a result,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intains the screen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200 or the content display device 100 properl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luminance so as not to cause glare, It provides bright screen luminance so that viewers can comfortably enjoy content.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화면 휘도가 임계화면휘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므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전원이 오래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ent transmiss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duces power consumption by preventing the screen luminance from exceeding the threshold screen luminance, the power of the mobile device 200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a luminan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주변 환경 휘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 휘도를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하고(S910),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측정된 환경 휘도와 미리 설정된 눈부심 지수 값을 이용하여 눈부심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또는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임계 화면 휘도를 계산한다(S920). 상기 눈부심 지수 값은 CIE 기술위원회 3-31(CIE technical committee 3-31)에 의해 결정된 값으로 눈부심을 느끼기 시작하는 "10"이 적용된다.I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the mobile device 200 measures the lumina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ransmits the measured environmental luminance to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S910). The critical screen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200 or content display device 100 where glare starts to occur is calculated using the luminance and the preset glare index value (S920). The glare index value is a value determined by the CIE technical committee 3-31, and "10", which starts to feel glare, is applied.

그리고, 상기 계산한 임계 화면 휘도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APL: Average Picture Level) 임계치를 도출한다(S930). 이는 미리 평균휘도레벨의 각 값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 휘도를 측정하여 저장된 값을 통해 도출한다.Then, an Average Picture Level (APL) threshold of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threshold screen luminance is derived (S930). This is derived through a value stored by measuring the screen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200 for each value of the average luminance level in advance.

그리고,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입력되는 컨텐츠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휘도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을 계산하는데(S940), 계산된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S950) 발광 모듈(370)의 휘도를 조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 휘도가 임계 화면 휘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한다(S960). 상기 입력되는 컨텐츠는 컨텐츠 서비스부(130)에서 처리된 컨텐츠 신호 또는 컨텐츠 서비스부(130)로 입력되는 컨텐츠 신호이다.The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calculates the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 using the luminance of each pixel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input content (S940). The calculated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 is the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content. When the threshold is exceeded (S950), the luminan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70 is adjusted so that the screen luminance of the mobile device 200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screen luminance (S960). The input content is a content signal processed by the content service unit 130 or a content signal input to the content service unit 130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when a distance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user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10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HMD 장치(300) 사이의 연결을 식별한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HMD 장치(300)가 연결되면,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할 수 있다.In step S1010, the mobile device 200 identifies a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HMD device 300. The mobile device 200 may execute a program or application when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HMD device 300 are connected.

단계 S10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HMD 장치(300)가 연결되면, 컨텐츠 목록을 HMD 장치(300)에 표시한다. 목록은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이거나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컨텐츠 일 수 있다.In step S1020, the mobile device 200 displays a content list on the HMD device 300 when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HMD device 300 are connected. The list may be content provided from the Internet or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unit 250 .

단계 S10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로부터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다.In step S1030, the mobile device 200 receives an input for selecting any one content from the list from the user.

단계 S1040, 및 단계 S105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HMD 장치(300)로 전송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측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일 때, 컨텐츠를 HMD 장치(300)로 전송한다.In steps S1040 and S1050, the mobile device 200 may measure a distance between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user, and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content to the HMD device 300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For example, the processor 210 transmits content to the HMD device 300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측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HMD 장치(300)를 얼굴에 가져간 경우일 수 있다. 측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면,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컨텐츠를 전송하지 않는다. If the measured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t may be a case where the user brings the HMD device 300 to his/her face to view content. If the measured dist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since the user is not viewing content, the mobile device 200 does not transmit the content.

단계 S1040, 및 단계 S1050에서, 사용자와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거리 외에도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00) 착용을 인식할 수 있는 수단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주변 밝기가 어두워지는 것, 홍채인식, 안면인식 같은 생체인식 등을 포함한다.In step S1040 and step S1050, in addi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mobile device 200, the mobile device 200 includes means for recognizing that the user wears the mobile device 200. For example, it includes dimming ambient brightness, biometrics such as iris recognition and face recognition.

단계 S106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HMD 장치(30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In step S1060, the mobile device 200 transmits content to the HMD device 300.

도 9에서 설명된 각 단계들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메모리부(250)에 저장되거나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Each of the steps described in FIG. 9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250 in the form of a program or executed by the processor 210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시력보호모드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eye protection mode i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시력보호모드 제공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시력보호모드 제공방법은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고 단말기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같은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the eye protection mode of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0 may be performed by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 That is, the method of providing the eye protection mode of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may be performed by an application program such as application software stored in the database 110 and executed by the terminal control unit 180 .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의 시력보호모드 제공방법은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초기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시력보호모드 사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시력보호모드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a method for providing an eyesight protection mode of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when an eye protection mode use program initially stor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or selected by a user is executed. A step of displaying the content in a protected mode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상기 시력보호모드 사용 프로그램에 가상현실/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 전자책 프로그램 등이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이나 전자책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단말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컨텐츠 전송 장치(100)를 제어하여 시력보호모드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력보호모드 사용 프로그램 목록은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초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가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시력보호모드 사용 프로그램 목록에 추가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vision protection mode use program includes a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program, a web browser program, an e-book program, etc., when the user executes the web browser program or the e-book program, the terminal control unit 180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to display the screen in eye protection mode. The list of programs using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10 of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nd may be initially stor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nd the user selects a specific program to use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You can also add them to your program list.

상기 시력보호모드 사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시력보호모드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다양한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발명의 휘도 조절에 관여하는 컨텐츠 전송장치(100)가 제공되는 컨텐츠의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와 시력보호모드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의해 주변 휘도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의 휘도를 조절하는 한편, 컨텐츠의 시간 또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휘도, 명암비,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eye protection mode using program is executed, displaying the screen in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may be performed at various times. As an example, the step of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provided content by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involved in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ep of displaying the screen in the eye protection mode may occur simultaneously. For example, while the luminance of the content of the mobile devi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mbient luminance by the content transmission apparatus 100, the luminance, contrast ratio, and color temperature of the mobile device 20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ime of the content or the user's condition. .

일례로서, 상기 시력보호모드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컨텐츠의 휘도를 180 내지 185 니츠(nits)로 설정하고, 명암비(C/R)를 30:1 내지 32:1로 설정하며, 색온도를 5000 내지 6000K, 바람직하게는 5600K으로 설정한 것일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휘도는 500 니츠, 명암비는 1000:1, 색온도는 6000 내지 7000 K 정도로 컨텐츠를 표시하는 데 비해, 시력보호모드는 휘도, 명암비, 색온도를 낮춰서 사용자의 눈이 피로하지 않게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색역(Color Gamut)은 72% 정도로 화면을 표시하는 데 비해, 시력보호모드는 색역을 25% 정도로 낮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력보호모드는 휘도, 명암비, 색온도를 낮춰서 실제 종이와 유사한 화면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an example, the eye protection mode sets the luminance of the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to 180 to 185 nits, and sets the contrast ratio (C / R) to 30: 1 to 32: 1, The color temperature may be set to 5000 to 6000K, preferably 5600K. That is, in general, content is displayed with a luminance of 500 nits, a contrast ratio of 1000:1, and a color temperature of 6000 to 7000 K. will be. In addition, compared to displaying a screen with a color gamut of about 72% in general, eyesight protection mode can display a screen with a color gamut of about 25%. In this way,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provides a screen similar to that of actual paper by lowering the luminance, contrast ratio, and color temperature,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view the scr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의 시력보호모드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컨텐츠 전송 장치(100)를 사용한 시간의 길이를 단말기 제어부(180)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110).A method for providing an eye protection mode for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etermining, by the terminal controller 180, the length of time that the user uses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S1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의 시력보호모드 제공방법은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사용 시간의 길이가 기준 시간 길이보다 큰 값을 갖는 경우, 단말기 제어부(180)의 명령에 따라 시력보호모드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120). 그렇지 않은 경우, 컨텐츠 전송장치(10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생체정보 측정부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130). 상기 기준 시간 길이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 내부에 초기 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하여 변경할 수도 있다.In a method for providing an eye protection mode for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ngth of use time of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has a value greater than the reference time length,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80 It may include providing content in an eye protection mode (S1120). Otherwise, the content transmission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unit of the mobile device 200 (S1130). The reference time length may have an initial value stor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nd may be changed by a user's sel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의 시력보호모드 제공방법에서는, 생체정보 측정부가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포함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단말기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일례로서 사용자의 혈압, 체온, 심박수, 활동량, 심전도, 체지방량, 수분량, 스트레스 반응, 혈당, 혈중 내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vision protection mode of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is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measur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180, ,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user's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heart rate, activity level, electrocardiogram, body fat mass, water content, stress response, blood sugar, and blood oxygen satur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의 시력보호모드 제공방법은 컨텐츠 전송 장치(10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피곤한 상태임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180)의 명령에 따라 시력보호모드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140, S1150).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of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receives user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200 and confirms that the user is in a tired state, the terminal control unit It may include providing content in an eye protection mod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180) (S1140, S115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시력보호모드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시력보호모드 종료 명령에 따라 일반모드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of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isplaying a screen in a normal mode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to end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즉, 사용자가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시력보호모드 종료 명령을 입력하면, 단말기 제어부(180)는 시력보호모드를 종료하고 일반모드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력보호모드 종료 명령은 종료 아이콘을 클릭 또는 터치하거나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여 종료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inputs an eye protection mode end command to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the terminal controller 180 can control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to end and the screen to be displayed in the normal mode. The vision care mode end command may be defined in various ways, such as clicking or touching an end icon or ending using a separate button.

본 발명의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가상현실 및/또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컨텐츠 전송 장치(100), 모바일 디바이스(200), HMD 장치(300), 및 좌석들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차량의 운전석을 제외한 좌석을 제거할 수 있으며, 넓은 공간을 형성하거나 활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In the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and/or augmented reality contents in a vehicle such as a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may include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00, a mobile device 200, an HMD device 300, and seats. In order to form an internal space, seats other tha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may be removed, and to form or utilize a wide space, it may be custom-mad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상기 공간에서 가상현실/증강현실 영상 시청이 가능하고, 냉난방 시설을 구비하여 쾌적한 휴식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석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측에 편의시설, 냉장고, 싱크대, 화장실, 쇼파 및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pace, it is possible to watch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images, provide a comfortable resting environment with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facilities, and have at least one seat. In addition, convenience facilities, a refrigerator, a sink, a toilet, a sofa and a table may be included on one side.

상기 차량은 가상현실/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수단을 갖추고 있으므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한편, 기동성을 구비하여 가상현실/증강현실 컨텐츠를 가상현실/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수요자가 있는 곳에 직접 찾아갈 수 있다. Since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contents, it can provide a variety of contents, while being equipped with mobility, the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contents can be delivered directly to a place where consumers have poor access to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contents. can be found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모듈,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에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개별 구성 요소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rectly implemented as a hardware module, a software modul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executed by a processor. A software module may be RAM (Random Access Memory), ROM, EPROM, EEPROM, flash memory, registers,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any other form of computer readable data well known in the art. It may reside on a recording medium. An exemplary recording medium is coupled to a processor, and the processor can derive information from and write information to the recording medium. Alternatively,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ntegral with the processor. The processor and recording medium may reside withi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 ASIC may reside within a mobile device. Alternatively, the processor and recording medium may reside as separate components within the mobile devic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뿐만 아니라, 이상의 실시예들을 서로 교차하여 결합한 것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cross-combina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서버나 방법의 구성요소와 단계들을 선택적으로 결합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당연하다.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embodiments in which the components and steps of the server o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selectively combined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컨텐츠 전송장치
110: 데이터베이스
120: 통신부
130: 컨텐츠 서비스부
140: 시작신호 전송부
150: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부
160: 시간정보 수신부
170: 효과 제어부
180: 단말기 제어부
181: 평균휘도레벨계산부
182: 임계치 결정부
183: 저장부
184: 휘도조절부
200: 모바일 디바이스
210: 프로세서
220: 디스플레이부
230: 통신부
240: 근접 센서부
250: 메모리부
260: 환경휘도측정부
270: 발광 모듈
300: 컨텐츠 표시 장치(HMD 장치)
310: 통신부
320: 디스플레이부
330: 제어부
340: 메모리부
400: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장치
410: 컨텐츠 저장장치
420: 홀로그램 표시장치
430: 제1컨텐츠 표시 제어부
500: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
510: 실물 객체 영상 촬영장치
520: 증강 현실 컨텐츠 변환부
530: 제2컨텐츠 표시 제어부
600: 컨텐츠 융합 장치
700: 가상현실 스크린
100: content transmission device
110: database
120: communication department
130: content service department
140: start signal transmission unit
150: mobile device control unit
160: time information receiver
170: effect control
180: terminal control unit
181: average luminance level calculation unit
182: threshold determining unit
183: storage unit
184: luminance control unit
200: mobile device
210: processor
220: display unit
230: communication department
240: proximity sensor unit
250: memory unit
260: environmental luminance measuring unit
270: light emitting module
300: content display device (HMD device)
310: communication department
320: display unit
330: control unit
340: memory unit
400: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410: content storage device
420: hologram display device
430: first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500: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510: real object video recording device
520: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version unit
530: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600: content convergence device
700: virtual reality screen

Claims (10)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와 실물 객체의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를 융합하여 제공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홀로그램 표시장치가 컨텐츠 저장장치에 저장된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를 투사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제1컨텐츠 표시 제어부가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1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실물 객체 영상 촬영장치가 실물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증강 현실 컨텐츠 변환부가 상기 촬영된 실물 객체의 영상을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제2컨텐츠를 컨텐츠 표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제2컨텐츠 표시 제어부가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제2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2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컨텐츠 융합 장치가 상기 제1시간정보와 상기 제2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제2컨텐츠를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에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는 상기 차량 좌석별로 배치된 HMD(Head-Mounted Display)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HMD 장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이에 다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와 통신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In a method for providing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s by f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irst contents) using holograms in a vehicle such as a bus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s (second contents) using holograms of real objects,
Projecting, by a hologram display device,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using a hologram stored in a content storage device and displaying it on a screen;
Receiving, by a first content display controller, first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The step of taking an image of a real object by a real object image capturing device;
Converting, by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version unit, the captured image of the real object into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using a hologram;
Transmitting, by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the second content to a content display device;
Receiving, by a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ler, second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and
Synchronizing, by a content convergence device, second content displayed on a content display device with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using the first tim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ime informa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a Head-Mounted Display (HMD) device arranged for each seat of the vehicle,
The method of providing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HMD devic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e with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connected thereto wirelessly or wi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데스크톱(desk top), 랩 톱(lap top),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providing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is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 desktop, a lap top, a mobile terminal, and a smart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 객체는 상기 스크린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l object is located on the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텐츠는 학생 교육용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tent is a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for student educ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 객체는 상기 HMD 장치를 사용하여 제1컨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method of providing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l object is a user who enjoys the first content using the HMD device.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와 실물 객체의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를 융합하여 제공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저장장치에 저장된 홀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 컨텐츠(제1컨텐츠)를 투사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는 홀로그램 표시장치,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1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제1컨텐츠 표시 제어부,
실물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실물 객체 영상 촬영장치,
상기 촬영된 실물 객체의 영상을 홀로그램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제2컨텐츠)로 변환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변환부,
상기 제2컨텐츠를 컨텐츠 표시 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제2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제2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제2컨텐츠 표시 제어부, 및
상기 제1시간정보와 상기 제2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제2컨텐츠를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컨텐츠에 동기화시키는 컨텐츠 융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표시 장치는 상기 차량 좌석별로 배치된 HMD(Head-Mounted Display)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HMD 장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이에 다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와 통신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
In a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 providing system that fuses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using holograms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using holograms of real objects in a vehicle such as a bus,
A hologram display device that projects virtual reality content (first content) using a hologram stored in a content storage device and displays it on a screen;
A first content display controller for receiving first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A real object video recording device for taking an image of a real object,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captured image of the real object into augmented reality content (second content) using a hologram;
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second content to a content display device;
A second content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second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and
A content convergence device for synchronizing second content displayed on a content display device with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by using the first tim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ime informa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a Head-Mounted Display (HMD) device arranged for each seat of the vehicle,
The HMD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데스크톱(desk top), 랩 톱(lap top),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is a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 desktop (desk top), lap top (lap top), mobile terminal, smart 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 객체는 상기 스크린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al object is a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텐츠는 학생 교육용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tent is a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for student educ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 객체는 상기 HMD 장치를 사용하여 제1컨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real object is a 3D interactive hologram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who enjoys the first content using the HMD device.
KR1020210097399A 2021-07-23 2021-07-23 Method of providing movable hologram content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KR202300157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399A KR20230015799A (en) 2021-07-23 2021-07-23 Method of providing movable hologram content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399A KR20230015799A (en) 2021-07-23 2021-07-23 Method of providing movable hologram content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799A true KR20230015799A (en) 2023-01-31

Family

ID=8510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399A KR20230015799A (en) 2021-07-23 2021-07-23 Method of providing movable hologram content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579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363B1 (en) 2015-05-08 2016-10-24 주식회사 인디고엔터테인먼트 Interactive contents system having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hologram
KR101910878B1 (en) 2017-07-07 2018-12-20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Movable display for vehicle and movable display vehicle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363B1 (en) 2015-05-08 2016-10-24 주식회사 인디고엔터테인먼트 Interactive contents system having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hologram
KR101910878B1 (en) 2017-07-07 2018-12-20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Movable display for vehicle and movable display vehicle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0616B2 (en) Immersive virtual display
JP7397777B2 (en)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US11451882B2 (en) Cinematic mastering for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EP3491494B1 (en) Immersive virtual display
US20090237564A1 (en) Interactive immersive virtual reality and simulation
KR101864685B1 (en) System for showing 4d contents of virtual reality and method thereof
JP2016045814A (en) Virtual reality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virtual reality service providing method
WO201607596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4182597A (en) Virtual reality presentation system, virtual reality presentation device, and virtual reality presentation method
KR102140077B1 (en) Master device, slav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385385B2 (en) Image distribution system and image distribution method
KR20230015799A (en) Method of providing movable hologram content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KR20230015800A (en) Method of providing synchronize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content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Novy Computational immersive displays
US202300311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498566B1 (en)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virtual reality contents to enable to reduce power los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US20220148253A1 (en) Image rendering system and method
WO202220913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WO20222091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10144465A (en)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virtual reality content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Miller et al.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Displays
JP2000259311A (en) Processor and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