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407A -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407A
KR20230015407A KR1020227044815A KR20227044815A KR20230015407A KR 20230015407 A KR20230015407 A KR 20230015407A KR 1020227044815 A KR1020227044815 A KR 1020227044815A KR 20227044815 A KR20227044815 A KR 20227044815A KR 20230015407 A KR20230015407 A KR 20230015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is
sleeve
outer layer
layers
impla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제이. 엘리스트
Original Assignee
메노바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노바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노바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15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6Penis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9/00Local anaesthesia; Hypo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A61P23/02Local 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61F2002/0081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directly machined on the prosthetic surface, e.g. holes,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76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multilayered, e.g. laminat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2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220/0091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connected by a hinged linkage mechanism, e.g. of the single-bar or multi-bar linka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007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introduced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61M2202/048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03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6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67Pe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음경 임플란트 향상 디바이스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는 음경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슬리브 및 음경과 정렬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 자체를 형성하기 위해 슬리브의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덮도록 구성된 외부층을 포함한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마취제를 투여하는 단계; 치골 결합부 위의 횡절개부를 절단하는 단계; 횡절개부의 하부 에지를 클램핑하는 단계; 백막을 노출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을 통해 해부하는 단계; 음경을 외번하는 단계; 백막과 피부 사이에 포켓을 생성하는 단계; 위에서 언급된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음경에 봉합하는 단계; 외부층을 다듬는 단계; 음경을 되돌리는 단계; 및 절개부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및 방법
정부 계약
해당 없음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미국 특허 정규 출원 일련번호 제16/882,167호(출원일: 2020년 5월 22일, 발명의 명칭: "Penile Implant Device and Method")의 이득을 주장하고, 본 개시내용은 전문이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성명서. 연방정부가 후원하는 연구/개발
해당 없음
저작권 및 상표 고시
이 특허 문서의 개시내용의 일부는 저작권 보호의 대상이 되는 자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특허 문서는 소유자의 트레이드 드레스이거나 될 수 있는 내용을 나타내고/나타내거나 설명할 수도 있다. 저작권 및 트레이드 드레스 소유자는 특허청의 특허파일 또는 기록에 기재됨에 따라, 특허문서 또는 특허 개시내용 중 어느 하나에 의한 팩시밀리 복제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지만, 그렇지 않으면 어떤 경우든 모든 저작권 및 트레이드 드레스 권리를 보유한다.
기술 분야
개시된 주제는 일반적으로 외과적으로 삽입된 디바이스 및 방법, 더 구체적으로, 다른 보철물 및 시술과 흔히 연관된 합병증을 방지하면서 음경의 외관 및 작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외과적으로 삽입된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음경 해부학적 구조는 일반적으로 축 부분과 음경 귀두로서 알려진, 헤드 부분을 포함한다. 음경 귀두는 축 부분 위로 외향으로 돌출되어, 이에 따라 귀두관구를 형성한다. 축의 길이를 따라, 조직의 2개의 열이 해면체를 형성하고, 하나가 해면체를 형성하며, 이들은 모두 백막(tunica albuginea)에 의해 둘러싸인다. 피부 아래에서, 일반적으로 2층의 근막, 즉, 벅(Buck) 근막과 음낭 근막이 백막을 둘러싼다. 게다가, 피하 유륜 조직을 포함하는 다른 피하 조직은 피부와 백막 사이에 위치된다. 근위 단부에서, 음경은 치골 결합부에 부착되는 현수 인대에 의해 지지된다.
대다수의 남성들이 음경 신장 또는 향상을 원할 수도 있지만, 외과적 음경 성형술은 일반적으로 치골상 파누스에 묻혀있는 음경 또는 미세 음경(이상적으로 작은 것으로 간주되는 성인 음경)을 가진 남성들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환자를 위한 방법은 현수 인대를 절단하고 자가 지방 또는 인공 이식편을 삽입하는 것과 같이 신체 평면 외부에서 음경의 길이를 연장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은 원치않는 결과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음경 신장 수술이 음경의 현수근 및/또는 고리 인대의 절단을 수반하기 때문에, 환자는 치골에 더 높게 재부착된 자유롭게 매달된 음경으로 인한 음경 단축, 감각 상실, 지지 부족으로 인한 음경의 하향으로의 각도 감소, 및 비대성 흉터를 겪을 수도 있다. 추가의 예로서, 음경 기형, 역설적인 음경 단축, 흉터, 육아종 형성, 주입된 물질의 이동 및 성 기능 장애가 대체 수술 후 자주 보고된다. 게다가, 낮은 수준의 단기 및 장기 환자 만족도가 또한 흔히 경험되어 왔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그리고 다른 부정적인 부작용을 방지하면서 여전히 바람직한 미적 결과를 유지하는 외과적 음경 성형술이 필요하다.
본 개시내용은 음경의 둘레 및/또는 길이를 신체 외부로 확장시킴으로써 음경 외관을 개선하는 음경 임플란트 향상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는 음경 기능의 부정적인 변화를 방지하면서, 작은 음경 인식, 매몰된 음경, 미세 음경 및 다른 관련된 진단을 겪는 환자의 음경을 미용적으로 교정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및 방법은 환자의 자신감 및 자존감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요약을 위해, 특정한 양상, 이점 및 새로운 특징이 설명되었다. 이러한 모든 이점이 임의의 하나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라 달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개시된 주제는 교시되거나 또는 제안될 수 있는 모든 이점을 달성하는 일 없이 하나의 이점 또는 이점의 군을 달성하거나 또는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구체화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는 슬리브 및 외부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슬리브는 음경의 축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외부층은 강성도를 제공할 수도 있고, 슬리브의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덮고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형성하여 음경에 정렬 및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외부층의 중심부, 더 바람직하게는, 정중선이 슬리브의 원위 에지에 연결되고 이를 덮어서 적어도 이중층을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슬리브는 발기 동안 음경축을 지지하고 음경의 확장을 허용할 수도 있으면서, 외부층은 음경에 대한 디바이스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도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리브는 슬리브의 길이를 따라 유연하게 그리고/또는 힌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근위 에지, 원위 에지, 제1 횡방향 에지 및 제2 횡방향 에지와 같은,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에 의해 주변적으로 획정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서,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유연하게 연결하는 것은 횡방향 에지가 서로를 향하고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기능적으로 허용하여, 슬리브에 의해 획정된 내부 채널에 필요하거나 원하는 대로 접근하게 할 것이다. 슬리브는 또한 상단면 및 하단면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면에 의해 획정될 수도 있다. 용어 슬리브가 사용되지만, 슬리브가 또한 신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1 및 제2 측면은 다른 방식으로 부분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슬리브의 길이를 따라 중심에 그리고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2개의 측면은 대칭일 수도 있고 비대칭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슬리브는 복수의 유연하게 연결된 측면이 순차적으로 정렬될 수도 있도록 슬리브의 길이를 따라 서로 유연하게 인접하는, 부가적인, 유연하게 연결된 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슬리브는 단일 본체, 즉, 단일의 피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명료성을 위해, 본 개시내용의 나머지 부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가 정확히 2개의 측면, 즉,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일 수도 있는 실시형태를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유연하게 연결된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음경의 상태에 따라 슬리브를 개방 또는 폐쇄 상태로 위치시키도록 조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횡방향 에지는 음경이 발기할 때 슬리브를 개방 상태로 놓으면서 서로 떨어져 이동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슬리브는 유연하게 연결된 제1 측면과 제2 측면의 제1 및 제2 횡방향 에지가 서로를 향해 회전하도록 폐쇄 상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측면의 제1 횡방향 에지는 제2 측면의 제2 횡방향 에지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지만, 제2 횡방향 에지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경이 늘어질 때 슬리브는 폐쇄 상태일 수도 있다. 이 방식으로, 디바이스는 슬리브의 제1 및 제2 횡방향 에지가 서로를 향하여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 가능하고, 그래서 음경의 발기 상태에 따라 수렴되고 분기되도록 배열된다. 슬리브의 부분 또는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힌지, 가상 힌지 또는 축을 따라 휘어지거나 또는 힌지될 수도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슬리브, 예컨대, 예시적인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는, 의료 등급 실리콘 및/또는 의료 등급 폴리에스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는 또한 다른 의료 등급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는 겔 유사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식염수, 대리석 또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는 이의 길이를 따라 평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는 하나 이상의 홈, 선, 형상, 패턴 또는 기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는 하나 이상의 내부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내부층은 강성도를 제공할 수도 있는 메시(mesh) 또는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내부층은 신축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축성 물질은 아코디언 신축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내부층은 하나 이상의 공기 포켓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는 디바이스를 음경에 고정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봉합용 앵커 포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는 항균성 물질 및 살균성 물질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는 음경축으로부터 고정되지 않을 수도 있고, 따라서, 발기, 성교 및 늘어짐 동안 팽창 및 수축이 자유롭게 유지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의 길이 및 폭을 포함하는 크기는 다양할 수도 있다. 게다가, 환자의 음경의 자연스러운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의 크기가 달라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의 크기는 환자의 욕구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이 방식으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는 환자의 필요 또는 욕구에 기초하여 맞춤화될 수도 있다.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는 또한 이의 길이를 따라 복수의 세그먼트로, 즉, 원위 에지로부터 근위 에지까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부가적인 유연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심지어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는 아코디언 신축성 물질과 같은 신축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는 임의로 또한 슬리브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는 프레스-리브(press-rib)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레스-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슬리브의 중심 구역을 따라 배치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정중선을 따라 배치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프레스-리브는 슬리브의 길이를 오직 부분적으로 연장시킬 수도 있는 반면, 다른 실시형태에서, 프레스-리브는 슬리브의 전체 길이를 연장시킬 수도 있다. 발기 동안과 같이 제1 측면과 제2 측면이 외향으로 회전할 때, 프레스-리브가 음경의 깊은 등정맥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강요되어, 혈액 역류를 방지하고 발기를 유지할 수도 있다. 프레스-리브는 눈물방울, 삼각형, 원통 또는 다른 편리하고 바람직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스-리브는 또한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일의 피스로 형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다수의 피스로 분할될 수도 있다. 프레스-리브가 생략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외부층은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의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덮을 수도 있다. 일단 외부층이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덮는다면,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은 디바이스를 백막을 따라 음경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외부층은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의 원위 에지를 덮어서 덮힌 원위 에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덮힌 원위 에지는 음경의 귀두관구와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덮힌 원위 에지는 예컨대, 봉합술에 의해 귀두관구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덮힌 원위 에지는 하나 이상의 비흡수성 수술 봉합사를 사용하여, 귀두관구, 더 구체적으로, 백막에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봉합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성 수술용 봉합사 또는 비흡수성 수술용 봉합사와 흡수성 수술용 봉합사의 조합이 사용되어 덮힌 원위 에지를 귀두관구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외부층은 시트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외부층이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메시층으로 도시되고 설명될 수도 있지만, 당업자라면 강성도를 제공하는 임의의 물질이 외부층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부층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부드러운 메시 물질로 형성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외부층은 소 조직, 실리콘, 대리석 또는 스트링과 같은 다른 생체적합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다른 생체적합성 물질 또는 심지어 비생체적합성 물질을 인지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부층은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 내에 내장될 수도 있다. 외부층은 조직의 내성장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므로 환자가 디바이스에 더 잘 적응하게 할 수도 있다. 외부층은 또한 음경 귀두의 천공 또는 침식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게다가,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부층은 항균성 물질 및 항균성 물질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는 외부층과 인접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슬리브 및 외부층은 단일 본체의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와 외부층은 분리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슬리브와 외부층은 슬리브의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따라 연결 가능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부층은 슬리브의 원위 에지를 따라 연결 가능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외부층은 외부층의 정중선에서 슬리브를 덮을 수도 있고, 봉합사 또는 동등한 물질을 사용하여 슬리브 및 음경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항균성층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항균성층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층은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에 고정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항균성층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층은 외부층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항균성층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층은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가 환자의 음경 내에 삽입되는 동안 외부층 또는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위에서 언급된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를 수반하는 방법은 수술 후 합병증의 위험이 최소화된 음경의 미용적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는 수술 후 합병증의 위험이 최소화된 음경의 미용적 외관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마취제를 투여하는 단계; 치골 결합부 위의 적어도 ¼인치 또는 적어도 6.35㎜의 횡절개부를 절단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을 노출시키기 위해 횡절개부의 하부 에지를 클램핑하는 단계; 백막을 노출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을 통해 해부하는 단계; 음경을 외번하는(everting) 단계; 백막과 피부 사이에 포켓을 생성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형성하기 위해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와 슬리브의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덮는 외부층에 의해 획정된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음경에 봉합하는 단계; 외부층을 다듬는 단계; 음경을 되돌리는(reverting) 단계; 및 횡절개부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마취제는 수술 동안 환자를 의식불명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전신 마취제, 국소 마취제 및/또는 척추 마취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마취제는 전신 마취제와 마취제 둘 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국소 마취제는 리도카인, 부피바카인, 리도카인과 부피바카인의 혼합물, 또는 임의의 다른 장시간 작용하는 국소 마취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일부 실시형태에서, 국소 마취제는 음경의 기저부 주위에 주입될 수도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마취제는 전신 황혼 마취제, 즉, 불안해소를 유도하기 위해 환자에게 가벼운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전신 마취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척추 마취는 수술 동안 감각 차단을 제공할 수도 있다.
수술을 시작하기 위해, 적어도 ¼인치 또는 적어도 6.35㎜ 횡절개부를 절단하는 것은 치골 결합부 위의 약 2 내지 3㎝, 즉, 치골 위의 대략 1인치 또는 약 2.5㎝의 절개부를 절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단 절단되면, 횡절개부는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에 의해 획정될 수도 있다. 횡절개부를 절단하는 것은 피부 아래의 제1 층인 음낭 근막을 노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치골 결합부 위의 횡절개부를 절단하는 것은 음경의 기저부에서 치골상 공간을 개방하여, 음경에 접근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알리스(Alis) 클램프는 음낭 근막을 노출시키기 위해 횡절개부의 하부 에지를 클램핑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또 다른 수술용 클램프, 지지구 또는 쿠싱 포셉과 같은, 다른 수술 기구는 횡절개부의 하부 에지를 고정하거나 또는 파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2개의 알리스 클램프는 절개부의 하부 에지를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중요하게도, 절개부의 하부 에지를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수술용 기구는 치골상 부위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무거운 조직의 중량을 견디도록 작동 가능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을 통해 해부하기 위해 가위, 전기소작기 또는 다른 수술용 기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은 벅 근막, 음낭 근막 및 유륜 조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출혈의 임의의 모든 지점은 전기소작기를 사용하여 전기소작화될 수도 있다.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날카로운 해부를 위해 작동 가능한 수술용 기구가 피하 조직을 통해 해부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게다가,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을 통해 해부하는 것은 또한 현수 인대의 부착을 보존하면서, 음경의 현수 인대로부터 조직을 해제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현수 인대의 부착을 보존하는 것은 디바이스가 치골 결합부 아래에서 뒤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백막과 피부 사이에 포켓을 형성하는 것은 벅 근막과 음낭 근막 사이에 포켓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벅 근막과 음낭 근막 사이의 포켓은 벅 근막과 음낭 근막 사이의 유륜 조직을 통해 해부함으로써 생성될 수도 있다. 벅 근막과 음낭 근막 사이의 포켓은 음경축의 전체 길이, 즉, 축의 근위 에지에서 음경 귀두까지 확장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포켓은 축의 배측 요도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대신 축 주위의 ¾ 원주 해부 부분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백막과 피부 사이에 포켓이 생성된 후, 음경의 귀두관구가 획정될 수도 있다. 특히, 음경의 귀두관구 주위의 조직은 날카롭게 해부될 수도 있다. 귀두관구는 이전에 음경을 외번한 결과로 접근될 수도 있다. 귀두관구를 획정하는 것은 그로부터 유륜 조직을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귀두관구를 획정하는 것은 디바이스를 귀두관구에 후속적으로 봉합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실제로, 귀두관구를 획정하는 것은 디바이스의 원위 에지가 축과 음경 귀두의 접합부 근처에 놓이게 할 수도 있다.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와 외부층에 의해 획정될 수도 있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은,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와 외부층을 별도로 제공하고 이어서 슬리브의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 위에 외부층을 덮어서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은 슬리브와 외부층을 단일 본체 디바이스로서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슬리브와 외부층은 수술 전에 서로 봉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외부층은 근위 에지, 제1 횡방향 에지, 제2 횡방향 에지, 상단면, 하단면 또는 전술한 에지, 표면 또는 층의 조합을 덮을 수도 있다.
비흡수성 수술용 봉합사는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백막에 봉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비흡수성 수술용 봉합사는 폴리에스터 봉합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봉합사는 실크, 나일론 또는 스테인리스 강 봉합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성 봉합사 또는 흡수성 봉합사와 비흡수성 봉합사의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게다가,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부층은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의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덮어서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의 각각은 백막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백막에 봉합한 후, 외부층이 다듬어질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위 또는 다른 절단 기구가 외부층을 다듬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게다가,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외부층은 봉합사의 각각 주위에 1㎝의 외부층을 남기도록 다듬어질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수술을 완료하기 위해, 음경이 되돌려질 수도 있고 횡절개부가 폐쇄될 수도 있다. 횡절개부를 폐쇄하는 것은 횡절개부를 봉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횡절개부를 폐쇄하는 것은 의료 등급 피부 접착제를 사용하여 횡절개부를 접착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횡절개부를 폐쇄하는 다른 허용 가능한 수단을 인지할 것이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전술한 단계 전에, 방법은 수술 부위를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술 부위는 수술 동안 영향받거나 또는 만져질 수도 있는 음경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수술 부위의 준비는 항균성 드레이프로 수술 부위를 덮고 수술 전 음경 둘레 및 길이를 측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항균성 드레이프는 세균을 고정시키고 지속적인 항균 활동을 제공하여 피부의 세균이 수술 부위를 감염시키지 못하게 함으로써 수술 부위의 감염 위험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더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방법 전반에 걸쳐, 방법은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을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은 리팜피신과 혼합된 삼중 항생물질 용액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은 미노사이클린 또는 리팜피신과 미노사이클린의 조합물과 혼합된 삼중 항생물질 용액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방법에 따라 다른 항생물질 또는 항생물질 용액이 적용될 수도 있다. 실제로, 당업자라면 이러한 다른 적절한 항생물질을 인지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은 수술 부위에서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또는 느리게 할 수도 있다. 게다가,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을 적용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로 수술 부위를 세척하거나 또는 씻어내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더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위에서 언급된 단계 후에, 방법은 수술용 드레인을 설치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술용 드레인은 외과적 또는 트라우마가 있는 영역에서 신체 내부에 축적되는 유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수술용 드레인은 이러한 유체 축적으로 발생하는 감염 및 다른 합병증의 가능성을 낮출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술용 드레인은 잭슨-프랫 드레인(Jackson-Pratt drain)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수술용 드레인은 펜로즈 드레인(Penrose drain), 레디백 드레인(Redivac drain), 음압 창상 처치(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다볼(Davol), 피그테일 드레인(pigtail drain), 또는 수술 부위로부터 수집된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유형의 드레인 또는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상은 위에서 언급된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및 수술용 드레인을 포함하는 수술용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한 대안 이외에, 위에서 개시된 실시형태 중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더 상세히 제공된다. 그러나, 개시된 주제는 개시된 임의의 특정한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3은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4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5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음경 임플란트 방법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개시된 실시형태는 아래에 제공된 바와 같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은 청구된 방법 및 시스템의 지원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제공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이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만을 예시하고 따라서 그 범위의 제한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의가 요구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의 철저한 지원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포함된 상세사항의 일부 없이 실행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형태의 설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구조 및 기능은 상세하게 도시되거나 또는 설명되지 않았다.
예시의 간단함과 명료성을 위해, 도면은 일반적인 구성 방식을 예시하고,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잘 알려진 특징 및 기술에 대한 설명 및 상세사항이 생략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이해를 개선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도면의 구성요소의 일부의 치수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도 있다. 상이한 도면의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서에서 그리고 청구항에서 용어 "제1", "제2", "제3", "제4" 등은 존재한다면, 유사한 구성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특정한 순차적 또는 연대순을 설명하기 위해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형태가 본 명세서에 예시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설명된 것 이외의 순서로 작동할 수 있도록 이렇게 사용되는 용어가 적절한 상황하에서 교환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용어 "포함하다(include)" 및 "갖다(have)"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이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어, 구성요소의 목록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디바이스 또는 장치가 반드시 이러한 구성요소로 제한되지는 않지만,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디바이스 또는 장치에 고유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용어 "결합시키다(couple)", "결합된(coupled)", "결합시키다(couples)", "결합(coupling)"은 폭넓게 이해되어야 하고 전기적으로, 기계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2개 이상의 구성요소 또는 신호를 연결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2개 이상의 전기적 구성요소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지만, 기계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없다; 2개 이상의 기계적 구성요소가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지만, 전기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없다; 2개 이상의 전기적 구성요소가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지만, 전기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없다. 결합(기계적, 전기적 또는 다른 방식이든)은 임의의 시간 길이 동안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이거나 또는 순간적일 수도 있다.
상세한 설명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을 요약한 후, 이제 도면에 예시된 것을 상세히 참조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이 이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 또는 실시형태들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정신과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대안,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하려는 의도가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성적 및 다른 기능의 부정적인 변화를 방지하면서, 향상된 음경 외관을 유발할 수도 있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음경을 미용적으로 교정하는 것 외에도,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는 환자의 자신감, 자존감 및 전반적인 자기 만족도를 개선시킬 수도 있다.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는 음경의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 및 음경의 백막과 정렬되어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외부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슬리브 및 외부층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함께 또는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본 발명이 제공되는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실제로, 슬리브는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2개의 측면(116a, 116b)으로 제한되지 않는, 복수의 유연하게 연결된 측면 또는 부분, 또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하거나 또는 원하는 대로 훨씬 더 많은 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미도시)에서, 슬리브는 단일 본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도면에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슬리브, 예컨대, 도시된 예시적인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는 서로 유연하게 연결된 제1 측면(116a)과 제2 측면(116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1 측면(116a)과 제2 측면(116b)은 힌지(118)를 따라 연결될 수도 있다. 게다가, 외부층(120)은 슬리브의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과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외부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층(120)은 슬리브(110)의 원위 에지(114)와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측면(116a, 116b)이 대칭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대칭인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들이 실제로 비대칭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예시적인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는 근위 에지(112), 원위 에지(114), 상단면(113a), 하단면(113b), 제1 측면(116a) 및 제2 측면(116b)에 의해 획정될 수도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슬리브(110)의 근위 에지(112)는 음경의 근위 에지, 즉, 음경의 기저부 및 환자의 몸통과 가장 가까운 에지에 대응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슬리브(110)의 원위 에지(114)는 음경의 원위 에지, 즉, 음경 귀두와 가장 가깝고 환자의 몸통으로부터 가장 먼 에지에 대응할 수도 있다. 즉, 슬리브(110)의 근위 에지(112)가 음경의 기저부와 정렬될 수도 있는 반면, 슬리브(110)의 원위 에지(114)는 음경 귀두를 따라 귀두관구와 정렬될 수도 있다. 게다가, 상단면(113a)이 음경의 등측에 대응할 수도 있는 반면, 하단면(113b)은 음경의 배측에 대응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단면(113b)이 음경의 등측과 접촉하고 정렬될 수도 있는 반면 상단면(113a)은 노출된 채로 있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근위 에지(112)는 음경에 부착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발기, 성교 및 늘어짐 동안 자유롭게 팽창되고 수축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근위 에지(112)는 음경 기저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의 제1 측면(116a)과 제2 측면(116b)은 예시적인 힌지(118)를 따라 함께 유연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힌지(118)가 슬리브(110)의 종방향 정중선을 따라 대칭으로 배치될 수도 있어서 제1 측면(116a)이 정중선의 절반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는 반면, 제2 측면(116b)은 정중선의 다른 절반을 따라 상보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측면(116a)과 제2 측면(116b)이 서로 비대칭 방식으로 유연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제1 측면(116a) 및 제2 측면(116b)은 각각 제1 횡방향 에지(117a) 및 제2 횡방향 에지(117b)에 의해 더 획정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횡방향 에지(117a, 117b)는 예시적인 힌지(118)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실제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힌지(118)가 제1 횡방향 에지(117a)와 제2 횡방향 에지(117b) 사이에서 등거리일 수도 있지만, 힌지(118) 또는 제1 측면(116a)과 제2 측면(116b) 사이의 다른 가요성 연결부가 각각의 횡방향 에지에서 힌지(118)까지의 거리가 동일하지 않도록 오프셋될 수도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여전히, 제1 횡방향 에지(117a)가 제2 횡방향 에지(117b)와 평행하게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1 횡방향 에지(117a)는 제2 횡방향 에지(117b)와 접촉할 수도 있지만, 고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음경이 발기할 때, 제1 측면 및 제2 측면(116a, 116b)은 힌지(118)를 중심으로 외향으로, 즉, 개방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실제로,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음경은 혈액으로 팽윤되는 동안 팽창하기 위해 더 큰 공간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1 횡방향 에지(117a)는 제2 횡방향 에지(117b)로부터 더 멀리 이동할 수도 있다. 반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경이 늘어질 때, 제1 측면 및 제2 측면(116a, 116b)은 힌지(118)를 중심으로 내향으로, 즉, 폐쇄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1 횡방향 에지(117a)는 제2 횡방향 에지(117b)를 향하여 더 가까이 이동할 수도 있다. 추가의 늘어진 실시형태에서, 제1 횡방향 에지(117a)는 제2 횡방향 에지(117b)와 접촉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는 또한 슬리브(110)의 하닥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심지어 하단면을 따라 내장된 프레스-리브(1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제로, 프레스-리브(115)는 힌지(118)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프레스-리브(115)가 슬리브(110)의 전체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프레스-리브(115)는 슬리브(110)의 길이를 부분적으로만 연장시킬 수도 있다. 게다가, 프레스-리브(115)가 또한 눈물 또는 반원형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프레스-리브(115)는 삼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편리하거나 또는 바람직한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또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경이 발기할 수 있거나 또는 발기하는 실시형태에서, 프레스-리브(115)가 정렬되고 음경의 깊은 등정맥에 대해 하향으로 강제된 결과로서, 역혈류를 방지하고, 또한, 발기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프레스-리브(115)는 슬리브(110)의 종방향 중심 구역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슬리브(110)의 종방향 정중선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프레스-리브(115)와 힌지(118)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원하는 대로 종방향 정중선 또는 중심 구역에서 오프셋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예시적인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는 음경의 축을 편안하게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음경이 늘어질 수도 있는 것을 포함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는 음경축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도 있다. 음경이 발기할 수도 있는 것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는 음경축을 부분적으로만 둘러쌀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슬리브(110)는 전체 원통 형상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는 의료 등급 실리콘 및 의료 등급 폴리에스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슬리브(110)는 의료 등급 실리콘과 의료 등급 폴리에스터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당업자라면 이해하는 바와 같이, 슬리브(110)는 다른 의료 등급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는 겔 유사 물질, 식염수, 대리석 또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는 신축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축성 물질은 아코디언 신축성 물질 또는 스프링 유사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한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슬리브(110)는 평활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슬리브(110)는 텍스처링될 수도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홈, 패턴, 선, 형상, 기호 또는 텍스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특정한 실시형태(미도시)에서, 슬리브(110)는 하나 이상의 내부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내부층은 메시 또는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층은 바람직한 강성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층은 신축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전과 같이, 신축성 물질은 아코디언 신축성 물질 또는 스프링 유사 물질과 같은, 임의의 신축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내부층은 하나 이상의 공기 포켓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는 항균성 물질, 살균성 물질 또는 항생물질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는 하나 이상의 항균성층 또는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 중 일부에서, 하나 이상의 항균성 또는 항생물질층은 슬리브(110) 내에 내장되거나 함침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항균성 또는 항생물질층은 슬리브(110)가 환자의 음경 내에 삽입되는 동안 슬리브(110)의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에 고정될 수도 있다.
게다가, 슬리브(110)가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원통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슬리브(110)는 길이 및 폭 및 형상 등과 같은 크기가 다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슬리브(110)의 크기는 환자의 음경의 자연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즉, 슬리브(110)는 특정한 환자의 음경 길이에 부합하도록 더 짧거나 또는 더 길 수도 있고, 심지어 환자의 음경의 특정한 원주 범위를 수용하기 위해 더 좁거나 또는 더 넓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슬리브(110)가 반드시 길어야 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슬리브(110)의 크기는 의사의 권고 또는 환자의 욕구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슬리브(110)의 형상은 마찬가지로 환자의 음경의 자연 형상 또는 원하는 형상에 부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110)는 필요에 따라 평평하거나 만곡될 수도 있다. 실제로, 일부 실시형태(미도시)에서, 슬리브(110)는 그 길이를 따라, 즉, 근위 에지(112)에서 원위 에지(114)까지 복수의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는 슬리브가 필요하거나 원하는 대로 종방향으로 만곡되거나 또는 휘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 방식으로, 복수의 세그먼트는 환자의 개별적인 요구에 적합하도록 디바이스(100)의 형상의 추가의 맞춤화를 제공할 수도 있다. 슬리브(110)는 알맞게 음경의 축방향 범위의 일부만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이유로 슬리브(110)가 반드시 길어질 필요는 없을 수도 있다.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부층(120)은 슬리브(110)를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부층(120)과 슬리브(110)는 별개의 피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방식으로, 외부층(120)은 시트 또는 임의의 다른 편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층(120)은 층(120)이 슬리브(110)를 용이하게 덮게 하도록 부드러운 메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부층(120)은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소 조직, 대리석 또는 스트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외부층(120)이 또한 다른 의학적으로 안전한 생체적합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외부층(120)은 또한 비-생체적합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와 유사하게, 외부층(120)은 항균성 물질, 살균성 물질 또는 항생물질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외부층(120)은 하나 이상의 항균성층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항균성층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층은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에 고정되는 외부층(120) 전에 또는 동시에 외부층(1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항균성층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층은 외부층이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에 고정된 후에 외부층(1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외부층(120)은 정중선(122)에 의해 획정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중선(122)은 슬리브(110)의 원위 에지(114)에 연결되어 이를 덮어서 덮힌 원위 에지(12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슬리브(114)의 근위 에지(112)는 노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고/있거나 슬리브(110)의 소수만이 덮일 수도 있고, 상기 소수는 원위 에지(124)에 인접하다. 일단 외부층(120)이 슬리브(110)의 원위 에지(114)를 덮으면, 덮힌 원위 에지(124)는 음경의 귀두관구와 정렬될 수도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덮힌 원위 에지(124)가 귀두관구에 고정되어, 디바이스(100)를 음경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덮힌 원위 에지(124)는 하나 이상의 비흡수성 수술용 봉합사를 사용하여 귀두관구에 고정될 수도 있다.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비흡수성 수술용 봉합사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폴리에스터 봉합사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봉합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층(120)과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는 단일 본체의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1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외부층(120)과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110)는 별개의 피스가 아닐 수도 있다. 대신에, 이 실시형태에서, 외부층(120)은 슬리브(110)와 인접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게다가, 외부층(120) 또는 슬리브(110) 중 둘 다 또는 어느 하나가 하나 이상의 앵커 포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앵커 포인트는 음경의 백막에 대한 디바이스(100)의 봉합을 허용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는 위에서 언급된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를 삽입하는 방법을 수반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의 하나의 실시형태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이 방법은 작은 음경 인식, 매몰된 음경, 미세 음경 및 다른 관련된 진단과 같은 조건을 미용적으로 교정함으로써 음경 외관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특히, 방법은 환자의 신체 외부에서 부가적인 음경의 둘레 및 길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을 포함하는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하나 이상의 마취제를 음경을 가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블록(601)); 치골 결합부 위의 적어도 ¼인치 또는 약 적어도 6.35㎜의 횡절개부를 절단하는 단계(블록(602));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을 노출시키기 위해 횡절개부의 하부 에지를 클램핑하는 단계(블록(603)); 백막을 노출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을 통해 해부하는 단계(블록(604)); 음경을 외번하는 단계(블록(605)); 백막과 피부 사이에 포켓을 생성하는 단계(블록(606)); 귀두관구를 획정하는 단계(블록(607));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형성하기 위해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와 슬리브의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 중 하나를 덮는 외부층에 의해 획정된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블록(608));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음경에 봉합하는 단계(블록(609)); 외부층을 다듬는 단계(블록(610)); 음경을 되돌리는 단계(블록(611)); 및 절개부를 폐쇄하는 단계(블록(6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처음에, 하나 이상의 마취제가 투여될 수도 있다(블록(601)). 하나 이상의 마취제는 환자가 의식을 잃게 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환자의 의식 상태, 감각 및 수술로부터 발생되는 통증 인식을 변화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마취제는 전신 마취 또는 척추 마취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마취제는 전신 황혼 마취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전신 마취제는 경증 진정 및 불안해소를 유발하도록 가벼운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마취제는 국소 마취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취제가 음경의 기저부 주위에 주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마취제는 국소 마취제, 예컨대, 리도카인, 다른 장시간 작용하는 국소 마취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마취제를 투여한 후(블록(601)), 적어도 ¼인치 또는 적어도 6.35㎜ 횡절개부가 음경에 접근하기 위해 치골 교합부 위의 2 내지 3㎝에서 절단될 수도 있다(블록(602)). 다르게 말하면, 적어도 ¼인치 또는 적어도 6.35㎜ 횡절개부는 치골 위의 대략 1인치 또는 약 25.4㎜에서 절단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¼인치 또는 적어도 6.35㎜ 횡절개부는 약 2인치 또는 약 50㎜일 수도 있다. 횡절개부는 상부 에지 및 하부 에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음낭 근막은 횡절개부를 절단한 결과로 노출될 수도 있다. 실제로, 많은 실시형태에서, 횡절개부는 음낭 근막만큼만 깊게 절단될 수도 있다.
적어도 ¼인치 또는 적어도 6.35㎜ 횡절개부가 절단된 후(블록(602)), 횡절개부의 하부 에지가 클램프되어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을 노출시킬 수도 있다(블록(603)). 하나 이상의 알리스 클램프는 횡절개부를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알리스 클램프는 무거운 조직의 중량을 견디고 유지하기 위해 작동 가능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2개의 알리스 클램프는 횡절개부의 하부 에지를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다른 수술용 기구는 하부 에지를 고정시키고, 유지하거나 또는 파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또 다른 수술용 클램프, 지지구 또는 쿠싱 포셉이 절개부의 하부 에지를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이 해부되어 백막을 노출시킬 수도 있다(블록(604)).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위, 전기소작기, 가위와 전기소작기의 조합이 피하 조직을 통해 해부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해부를 위해 대안적인 수술용 해부 기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을 통해 해부하는 것은, 현수 인대의 부착을 완전히 제거하는 일 없이, 음경의 현수 인대로부터 조직을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포켓이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백막과 피부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블록(606)).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포켓은 기저부의 근위 에지로부터 음경 귀두의 원위 에지까지 음경축의 전체 길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포켓은 음경축의 일부 길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포켓은 음경축 주위의 ¾ 원주 해부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백막과 피부 사이에 포켓을 형성하는 것은 벅 근막과 다리오스(Darios) 근막 사이에 포켓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벅 근막과 다리오스 근막 사이의 포켓은 음경축의 전체 길이를 연장시킬 수도 있다. 즉, 포켓은 음경축의 근위 에지에서 음경 귀두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포켓을 생성한 후, 디바이스가 음경의 원위 에지에 부착될 수도 있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귀두관구가 획정될 수도 있다(블록(607)). 음경의 귀두관구를 획정하는 것은 귀두관구 주위의 조직을 날카롭게 해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귀두관구는 이것에 부착된 유륜 조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귀두관구를 획정하는 것은 유륜 조직을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음경의 귀두관구를 획정하는 것은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의 후속 봉합을 위해 음경 귀두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와 외부층은 슬리브와 외부층이 단일 본체의 디바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인접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와 외부층 분리될 수도 있고 슬리브의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따라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외부층은 슬리브의 원위 에지를 따라 연결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블록(608))은 슬리브와 외부층을 제공하고 후속하여 슬리브의 원위 에지 위에 외부층을 덮어서 덮힌 원위 에지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블록(608))은, 슬리브와 외부층을 제공하고, 슬리브의 원위 에지 위에 외부층을 덮고, 외부층을 슬리브의 원위 에지에 봉합함으로써와 같이 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서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이 음경에 봉합될 수도 있다(블록(609)).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이 덮힌 원위 에지인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덮힌 원위 에지는 음경의 귀두관구에 봉합될 수도 있다.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음경의 에지에 봉합하는 것은, 음경의 등측 종방향 정중선을 따라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의 종방향 정중선을 배치하고 디바이스를 백막에 부착하도록 봉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비흡수성 수술용 봉합사는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음경에 봉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비흡수성 수술용 봉합사는 백막에 고정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수술용 봉합사는 폴리에스터, 실크, 나일론, 스테인리스 강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은 흡수성 수술용 봉합사를 사용하여 음경에 봉합될 수도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2개 이상의 수술용 봉합사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를 음경의 백막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외부층이 다듬어질 수도 있고(블록(610)), 음경이 되돌려질 수도 있고(블록(611)), 횡절개부가 폐쇄될 수도 있다(블록(612)). 가위 또는 다른 수술용 절단 기구가 외부층을 다듬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블록(610)).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다른 기구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외부층은 봉합사의 각각 주위에 1㎝의 에지를 남기도록 다듬어질 수도 있다. 횡절개부를 폐쇄하는 것(블록(612))은 횡절개부의 하부 에지를 횡절개부의 상부 에지에 봉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횡절개부의 하부 에지는 접착제로 접착될 수도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횡절개부의 상단 에지에 고정될 수도 있다.
특정한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수술 부위를 준비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술 부위를 준비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마취제를 투여하기 전 또는 직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 수술 부위는 음경 및 인접한 신체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수술 부위를 준비하는 것은 항균성 드레이프로 수술 부위를 덮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항균성 드레이프는 세균을 고정시키고 항균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수술 부위에서의 세균 성장을 억제시킬 수도 있다. 수술 부위를 준비하는 것은 또한 수술 전 음경 둘레 및 길이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 전반에 걸쳐,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을 적용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로 수술 부위를 세척하거나 또는 씻어내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은 리팜피신과 혼합된 삼중 항생물질 용액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은 미노사이클린과 혼합된 삼중 항생물질 용액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하나 이상의 항생물질이 또한 다른 알려진 항생물질 조성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방법에 따라, 수술용 드레인이 설치될 수도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잭슨-프랫 드레인이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수술용 드레인은 펜로즈 드레인, 레디백 드레인, 음압 창상 처치, 다볼, 피그테일 드레인 또는 수술 부위로부터 수집된 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작동 가능한 임의의 다른 수술용 기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술용 드레인은 유체를 제거함으로써 수술 부위에서 흔히 발생하는 유체 축적으로 인한 감염 및 다른 합병증의 가능성을 낮출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가 단지 가능한 구현예의 예일 뿐이라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에 대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변형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된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 및 제한은, 실시형태 및/또는 제한이 (1)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주장되지 않은 경우, 그리고 (2) 등가물의 교리하에서 청구범위의 명시적인 구성요소 및/또는 제한과 동등하거나 또는 동등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헌정의 교리하에서 대중에게 전용되지 않는다.
결론, 결과 및 범위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가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수정이 고려되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 및 외부층은 개별적으로 또는 단일 본체의 디바이스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외부층은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의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덮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범위를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는 다른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고 반드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의 구성요소 및 작동은 추가의 실시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다. 첨부된 제출 서류에 나열될 수도 있는 것을 포함하는, 위의 모든 특허 및 출원 및 다른 참조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양상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를 제공하도록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참조의 시스템, 기능 및 개념을 채용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특징 또는 양상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특정한 용어는 그 용어가 연관되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및 방법의 임의의 특정한 특성, 특징 또는 양상으로 제한되도록 본 명세서에서 용어가 개선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위의 설명 섹션에서 이러한 용어를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및 방법을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형태로 제한하도록 구성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실제 범위는 개시된 실시형태뿐만 아니라 개시된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실행시키거나 또는 구현하는 모든 등가 방식을 포함한다.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및 방법의 실시형태의 위의 설명은 위에서 개시된 정확한 형태 또는 특정한 사용 분야로 제한되거나 또는 총망라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
방법, 시스템 및 장치의 특정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가 예시 목적을 위해 위에서 설명되지만, 당업자가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등가 수정이 가능하다.
개시된 방법 및 시스템의 특정한 양상이 아래에서 특정한 청구범위 형태로 제시되지만, 방법, 시스템 및 장치의 다양한 양상이 임의의 수의 청구범위 형태로 고려된다. 따라서, 발명자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및 방법의 다른 양상에 대한 이러한 부가적인 청구범위 형태를 추구하기 위해 출원을 제출한 후에 부가적인 청구범위를 추가할 권리를 보유한다.

Claims (20)

  1.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로서,
    음경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슬리브로서,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에 의해 획정되는,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상기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덮고 상기 음경과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외부층
    을 포함하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또한 복수의 유연하게 연결된 측면에 의해 획정되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은 힌지를 따라 유연하게 연결된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은 상기 음경의 귀두관구와 정렬되도록 구성된 원위 에지, 상기 음경의 기저부와 정렬되도록 구성된 근위 에지, 상기 힌지 반대편의 상기 제1 측면을 따라 배치된 제1 횡방향 에지, 상기 힌지 반대편의 상기 제2 측면을 따라 배치된 제2 횡방향 에지, 상단면 및 하단면을 포함하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이 상기 슬리브의 상기 원위 에지를 덮어서 상기 음경의 상기 귀두관구와 정렬되도록 구성된 덮힌 원위 에지를 형성하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프레스-리브(press-rib)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횡방향 에지와 상기 제2 횡방향 에지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하고 상기 프레스-리브는 음경 발기 동안 상기 음경의 깊은 등정맥을 누르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횡방향 에지 및 상기 제2 횡방향 에지는 음경 늘어짐 동안 서로를 향하여 이동되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겔 유사 물질, 식염수, 대리석, 또는 의료 등급 실리콘, 폴리에스터 및 하나 이상의 공기 포켓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내부층으로 형성되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와 상기 외부층은 인접하여 연결되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와 상기 외부층이 분리되고 상기 슬리브의 상기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따라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은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소 조직 또는 다른 생체적합성 물질로 형성되는,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12. 미용적 음경 교정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마취제를 음경을 가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
    치골 결합부 위의 적어도 ¼인치 또는 적어도 6.35㎜의 횡절개부를 절단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횡절개부의 하부 에지를 클램핑하는 단계;
    백막(tunica albuginea)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을 통해 해부하는 단계;
    상기 음경을 외번하는(everting) 단계;
    상기 백막과 상기 피부 사이에 포켓을 생성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형성하기 위해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덮는 외부층에 의해 획정된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상기 음경에 봉합하는 단계;
    상기 외부층을 다듬는 단계;
    상기 음경을 되돌리는(reverting) 단계; 및
    상기 절개부를 폐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용적 음경 교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취제는 전신 마취제, 전신 황혼 마취제, 척추 마취제 및 국소 마취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미용적 음경 교정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백막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을 통해 해부하는 것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피하 조직층을 전기소작하고 절단하는 것; 및 상기 현수 인대로부터 피하 조직을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미용적 음경 교정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와 상기 외부층은 인접하여 연결되는, 미용적 음경 교정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와 상기 외부층이 분리되고 상기 슬리브의 하나 이상의 에지, 표면 또는 층을 따라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미용적 음경 교정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은 상기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의 원위 에지를 덮고 상기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은 덮힌 원위 에지를 포함하는, 미용적 음경 교정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덮힌 에지, 표면 또는 층을 상기 음경에 봉합하는 것은,
    상기 음경의 등측 종방향 정중선을 따라 상기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의 종방향 정중선을 배치하는 것; 및
    상기 디바이스를 상기 백막에 부착시키기 위해 2개 이상의 수술용 봉합사를 봉합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미용적 음경 교정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수술용 봉합사는 폴리에스터 봉합사인, 미용적 음경 교정 방법.
  20. 미용적 음경 교정 방법에서 사용을 위한 임플란트 디바이스로서,
    음경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슬리브로서, 근위 에지, 원위 에지, 제2 측면에 유연하게 연결된 제1 측면에 의해 획정되는,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 및
    덮힌 원위 에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세장형 원통형 슬리브의 상기 원위 에지를 덮는 외부층으로서, 상기 덮힌 원위 에지는 상기 음경의 귀두관구와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외부층
    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디바이스.
KR1020227044815A 2020-05-22 2021-05-20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300154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82,167 US20210361432A1 (en) 2020-05-22 2020-05-22 Penile Implant Device and Method
US16/882,167 2020-05-22
PCT/US2021/033344 WO2021236899A2 (en) 2020-05-22 2021-05-20 Penile implant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407A true KR20230015407A (ko) 2023-01-31

Family

ID=7860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815A KR20230015407A (ko) 2020-05-22 2021-05-20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361432A1 (ko)
EP (1) EP4153091A2 (ko)
JP (1) JP2023527779A (ko)
KR (1) KR20230015407A (ko)
CN (1) CN115697244A (ko)
AU (1) AU2021275870A1 (ko)
CA (1) CA3183758A1 (ko)
CO (1) CO2022016761A2 (ko)
MX (1) MX2022014679A (ko)
WO (1) WO2021236899A2 (ko)
ZA (1) ZA202212672B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028A (ko) * 2002-03-22 2003-09-26 서주일 실리콘 젤 또는 생리식염수를 함유하는 음경 보형물
US7314857B2 (en) * 2003-08-25 2008-01-01 Kane Biotech Inc. Synergistic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inhibiting biofilm formation
DK201070372A (en) * 2010-08-25 2012-02-26 Coloplast As Penile implant with convertible proximal tip
KR101251008B1 (ko) * 2011-09-08 2013-04-04 문일 코헤시브 겔을 이용한 음경 보형물
US9504573B1 (en) * 2015-12-31 2016-11-29 James J. Elist Prosthesis for improved penis function
US10980639B2 (en) * 2018-07-23 2021-04-20 Augmenta, LLC Implants that facilitate tissue expa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2022016761A2 (es) 2022-12-09
EP4153091A2 (en) 2023-03-29
JP2023527779A (ja) 2023-06-30
US20210361432A1 (en) 2021-11-25
AU2021275870A1 (en) 2023-01-05
WO2021236899A2 (en) 2021-11-25
MX2022014679A (es) 2023-03-31
WO2021236899A3 (en) 2022-02-24
CN115697244A (zh) 2023-02-03
ZA202212672B (en) 2023-04-26
CA3183758A1 (en)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4027B2 (en) Method of surgically providing a trans-male patient with a neopenis including malleable penile inserts inside an artificial tunica
AU2021261958B2 (en) Prosthesis for improved penis function
US11432929B2 (en) Prosthesis for improved penis function
KR20230015407A (ko)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 및 방법
WO2005065598A1 (en) Penile prosthesis with anchoring tabs
US20210361433A1 (en) Penile Implant Device and Method
KR20030076028A (ko) 실리콘 젤 또는 생리식염수를 함유하는 음경 보형물
WO2022125466A2 (en) Genital implant device and method
US20210307907A1 (en) Penile sleeve devices and penile stocking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220249233A1 (en) Testicular Implant Device and Method
KR20050017964A (ko) 수압식 음경발기 보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