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378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378A
KR20230015378A KR1020227043876A KR20227043876A KR20230015378A KR 20230015378 A KR20230015378 A KR 20230015378A KR 1020227043876 A KR1020227043876 A KR 1020227043876A KR 20227043876 A KR20227043876 A KR 20227043876A KR 20230015378 A KR20230015378 A KR 20230015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able
load
aerosol
generating devic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산드로 포이어슈타인
안드리안 슈바르츠
알렉 라이트
다 폰세카 데 카르발로 가브리엘라 그레코
다케히코 미츠츠카
Original Assignee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30015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소모품을 가열하는 것에 의해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가열 챔버; 소모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모품 포트; 및 소모품을 소모품 포트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가열 챔버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적재부를 포함하고, 적재부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본 개시 내용은 에어로졸 생성 기재가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은 특히, 자납형 및 저온일 수 있는 휴대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그러한 장치는, 담배 또는 다른 적합한 에어로졸 기재 재료를 전도, 대류 및/또는 복사에 의해서 연소시키기보다는 가열하여 흡입용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통상적인 담배 제품, 예를 들어 시가렛, 시가, 시가릴로 및 권연(rolling tobacco)의 흡연을 중단하고자 하는 습관성 흡연자를 돕기 위한 보조 기구로서 위험이 감소되거나 또는 위험이 개선된 장치(기화기로도 알려짐)의 인기 및 사용이 지난 몇 년 동안 빠르게 증가해 왔다. 통상적인 담배 제품에서 담배를 연소시키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에어로졸성 물질을 가열 또는 가온(warm)하는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한 위험이 감소되거나 또는 위험이 개선된 장치는 가열 기재 에어로졸 생성 장치 또는 비-연소 가열 장치이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일반적으로 습한 잎 담배 또는 다른 적합한 에어로졸성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기재를 일반적으로 150℃ 내지 35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 또는 증기를 생성한다. 에어로졸 기재를 태우거나 연소시키지 않고 가열하는 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성분은 포함하지만, 태우고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독성 및 발암성 부산물은 포함하지 않는, 에어로졸을 방출한다. 또한, 담배 또는 다른 에어로졸성 재료를 가열함으로써 생성되는 에어로졸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태움 및 연소로부터 발생하는 탄맛 또는 쓴맛을 포함하지 않고, 따라서 그러한 기재는, 좀 더 사용자의 구미에 맞는 연기 및/또는 증기를 생성하기 위해 그러한 재료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설탕 및 다른 첨가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한 장치에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기재를 소모품의 형태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에 적재한다. 에어로졸 기재가 고체이거나 압밀된 경우에, 소모품은 무피복 기재(bare substrate)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기재는 고체, 무른 재료 또는 액체 형태로 용기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기재를 가열하기 위해서, 소모품은 종종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서 열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가열 챔버 내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소모품을 교체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장치의 도어를 개방하여, 가열 챔버에 접근한다. 그러나, 이는, 가열 챔버에 대한 그러한 접근이 일반적으로 가열 챔버의 절연에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라 가열 효율을 감소시킨다는 단점을 갖는다.
하나의 알려진 해결책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한 긴 삽입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삽입체 내에서 유지될 소모품을 추가하고, 이어서 긴 삽입체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의 정확한 위치로 밀어 넣는다. 그러나, 이는, 분리형 삽입체가 가열 챔버의 절연을 감소시키고 가열 효율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개방형 도어와 유사하다.
결과적으로, 소모품 교체를 위해서 사용자가 가열 챔버에 접근할 필요 없이, 소모품을 수용하고 소모품을 가열 챔버 내에서 가열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양태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 그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소모품을 가열하는 것에 의해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가열 챔버; 소모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모품 포트; 및 소모품을 소모품 포트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가열 챔버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적재부를 포함하고, 적재부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적재부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로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열 챔버에 접근할 필요가 없고 가열 챔버의 절연 감소 없이, 소모품이 가열 챔버 내에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내에서 유지되는 적재부를 제공함으로써, 장치의 동작이 사용자를 위해서 단순화될 수 있고, 슬라이더가 장치의 하우징 내에서 보호된다.
선택적으로, 가열 챔버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제2 위치는 가열 요소에 인접한다.
선택적으로, 적재부는 소모품을 적재 채널을 따라서 소모품 포트와 가열 챔버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슬라이더이다.
채널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는 강건하고 신뢰 가능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적재부가 슬라이더인 경우, 선택적으로 적재 채널은 적재부를 기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 또는 홈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계적 제어는 적재부가 채널을 따라서 이동할 때 적재부의 거동을 제어하는 단순한 방식을 제공한다.
적재부가 슬라이더인 경우에, 장치는 제어 회로소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적재부는, 적재부가 하나 이상의 위치에 있을 때, 제어 회로소자의 각각의 전기 콘택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기 콘택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기적 제어는 적재부가 채널을 따라서 이동할 때 적재부의 거동을 제어하는 대안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적재부가 슬라이더인 경우에, 장치는 유입구로부터, 가열 챔버를 통해서 그리고 배출구까지 이어지는 공기 유동 채널을 포함하고, 적재 채널은 공기 유동 채널의 일부를 포함한다.
생성된 에어로졸의 추출에 필요한, 공기 유동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적재 채널은 가열 챔버의 절연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적재 채널이 공기 유동 채널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장치는 소모품 포트를 포함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 내에서 소모품 포트를 포함함으로써, 장치는 단순하게 동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우스피스에서 에어로졸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의 위치가 또한 사용자가 소모품 포트에 접근하기 위한 위치이다.
적재 채널이 공기 유동 채널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장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고 폐쇄 위치에서 소모품 포트를 덮는, 개방 가능 덮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덮개로 소모품 포트를 덮는 것에 의해서, 마우스피스에서 에어로졸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의 위치는 또한 소모품 포트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의 위치이나, 소모품은 마우스피스와 실제로 접촉될 필요가 없다.
선택적으로, 장치는 적재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핸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핸들은 사용자가 소모품을 가열 챔버 내에 간접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하고, 이는 적재부가 동력형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적재부는, 적재부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소모품을 파지하도록 구성된 파지 요소를 포함한다.
소모품을 미는 대신 소모품을 파지하는 것에 의해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이동 중에 소모품에 인가되는 임의의 압력이 더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고, 소모품이 이동 중에 굽혀지거나 끼일 가능성이 낮아진다.
상기 양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적재부는 소모품을 가열 챔버의 벽 쪽으로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요소를 포함한다.
소모품이 가열되는 동안 소모품을 압축하는 것은 에어로졸 생성 수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적재부는 소모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모품 포트의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토출부 요소를 포함한다.
토출부 요소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의 사용 후에 소모품을 더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기재는 가열 및 에어로졸 생성 중에 유성 또는 점착성 물질을 방출할 수 있고, 에어로졸 기재가 삽입될 때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제거하기 더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적재부는 적재부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적재부 내에 가열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가열 속도가 증가될 수 있고, 가열의 균일성이 개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적재부 가열 요소는 탈착 가능하고, 소모품 포트는 적재부 가열 요소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탈착 가능한 가열 요소를 적재부 내에 제공함으로써, 적재부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가열 요소가 더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적재부를 제2 위치에서 록킹(lock)하도록 동작될 수 있거나 적재부가 제1 위치로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록킹 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록킹 요소는 온도 센서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제어되고, 그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후에 안전한 취급 온도까지 냉각되기 전에 소모품이 제1 위치로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적재부를 가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토출부 요소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압축 요소를 가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이동 가능 마우스피스를 가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적재부를 가지는 대안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소모품(2)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가열 챔버(11)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가열 챔버(11)는 가열 요소(111)를 포함한다. 가열 요소(111)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에 위치되거나 외부에 연결된)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저항 가열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기 가열 요소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또한 가열 요소의 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예에서, 다른 유형의 가열 요소, 예를 들어 연료-연소 가열 요소가 이용될 수 있다.
가열 챔버(11)는, 유입구(121)로부터 가열 챔버(11)를 통해서 배출구(122)까지 이어지는 공기 유동 채널(12)에 연결되어, 에어로졸을 가열 챔버(11)의 외부로 운반한다. 이러한 경우에, 배출구(122)는, 사용자가 가열 챔버(11) 내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게 하는 마우스피스로서 형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공기 유동 채널 내에서 가열 챔버의 외부로 에어로졸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소모품(2)은 예를 들어 에어로졸 기재의 자가-지지 부분일 수 있다. 전형적인 예에서, 소모품은 대략적으로 입방형일 수 있다. 기재는 니코틴 또는 담배 및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는, 조각형 담배, 과립형 담배, 담배 잎 및/또는 재구성된 담배와 같은 다양한 재료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폴리올, 예를 들어 소르비톨,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트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 비-폴리올, 예를 들어 1가 알코올, 락트산과 같은 산, 글리세롤 유도체, 트리아세틴과 같은 에스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글리세린 또는 식물성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에어로졸 생성제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롤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혼합물일 수 있다. 기재는 또한 겔화제, 결합제, 안정화제, 및 습윤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가 기재를 통해서 유동할 수 있고, 그렇게 유동할 때 에어로졸을 수집할 수 있도록 기재는 다공성일 수 있다. 기재는 예를 들어 발포체, 또는 패킹된 스트랜드 또는 섬유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재가 다공성인 아닌 경우에, 기재는 표면 상에 증기를 형성할 수 있고, 증기는 그러한 표면을 지나서 이동하는 공기 유동 내에서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다. 기재는 압출 및/또는 롤링 프로세스를 통해서 안정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인 것에 더하여, 에어로졸 기재는 하나 이상의 공기 유동 채널을 제공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유동 채널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공기 유동 채널(12)과 정렬되어, 가열 챔버(11)를 통한 공기 유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
소모품은 에어로졸 생성 기재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공기 투과성 랩퍼(wrappe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랩퍼는 예를 들어 종이 및/또는 부직-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소모품(2)을 가열 챔버(11) 내에 배치하기 위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소모품(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모품 포트(13), 및 소모품(2)을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모품 포트(13)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열 챔버(11)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적재부(14)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2 위치는 가열 요소(111)에 인접하고, 그에 따라 소모품(2)은 가열되도록 배치된다.
소모품 포트(13)는, 적재부가 소모품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소모품을 제1 위치에서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외측부 상의 개구부이다. 예를 들어, 소모품 포트(13)는 사용자가 소모품을 제1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서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소모품(2)이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때, 소모품 포트(13)는 소모품(2)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1)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소모품을 제거하기 위한 출력 소모품 포트는 소모품(2)을 수용하기 위한 소모품 포트(13)와 상이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적재부(14)는 소모품(2)을 소모품 포트(13)에 위치되는 제1 위치로부터 가열 챔버(11)에 위치되는 제2 위치로 그리고 이어서 출력 소모품 포트에 위치되는 제3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모품 포트(13)(또는 소모품 포트들)이 덮개(미도시)로 폐쇄될 수 있다.
적재부(1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에서 이동하고 동시에 소모품(2)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부품이다.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1c의 실시형태에서, 적재부(14)는, 소모품을 적재 채널을 따라서 소모품 포트와 가열 챔버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슬라이더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적재 채널은 공기 유동 채널(12)의 일부이고, 소모품 포트(13)는 또한 공기 유동 채널의 배출구(122)이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모품 포트(13)는 공기 유동 채널(12)의 유입구(121)일 수 있다. 추가적인 대안예로서, 적재 채널은 공기 유동 채널(12)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소모품 포트(13)는 공기 유동 채널(12)의 일부가 아닐 수 있다.
적재부(14)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소모품(2)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또는 가열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의 예에서, 적재부(14)는, 적재부(14)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소모품(2)을 파지하도록 구성된 파지 요소(141)를 포함한다. 파지 요소는, 마찰에 의해서 또는 소모품(2)에 침투하는 것에 의해서 소모품(2)을 파지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예를 들어, 스파이크) 또는 리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적재부(14)는 단순히 적재부(14)가 이동할 때 소모품(2)을 제 위치에서 유지하기에 충분한 정적 마찰을 제공하는 표면을 가질 수 있거나, 소모품(2)을 이동 방향에 대해서 뒤쪽으로부터 소모품(2)을 미는 밀기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의 예에서, 적재부(14)는, 적재부(14)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소모품(2)을 위한 부가적인 가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재부 가열 요소(142)를 포함한다. 적재부 가열 요소(142)는 가열 요소(111)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부 가열 요소(142)가 전기 가열 요소인 경우에, 적재부 가열 요소(142)는 슬라이더(14) 및 적재 채널 상에 배치된 활주 전기 콘택 쌍을 통해서 전력을 수용할 수 있다. 활주 전기 콘택 쌍은, 적재부(14)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만 적재부 가열 요소(142)가 전력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모품(2)의 가열을 보조하는 것에 더하여, 적재부 가열 요소(14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유지 보수를 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적재부 가열 요소(142)는 적재부(14)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소모품 포트(13)는 적재부 가열 요소(142)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적재부 가열 요소(142)는 세정 또는 교체를 위해서 비교적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하나의 가열 요소만으로 동작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열 요소(111) 또는 적재부 가열 요소(142)가 일부 실시형태에서 생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유지 보수를 보조하기 위한 추가적인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 포트(13)는, 적재부(14)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하우징 내의 그 정상 위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유지 보수 위치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재부(14)가 제거되면, 적재부(14) 및/또는 적재 채널을 세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부(14) 및/또는 적재 채널을 발포체 또는 스펀지 부분으로 세정하여, 에어로졸 응축물을 제거할 수 있고, 기재로부터의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적재부(14)는, 예를 들어 약 50개의 소모품(2)이 장치(1) 내에 적재되고 사용된 후에 교체되는, 교체 가능 부품일 수 있다.
또한, 적재 포트(13)는 소모품(2)과 유사한 치수의 발포체 또는 스펀지와 같은 세정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정 요소는 소모품(2)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재 채널을 따라서 "적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재 포트(13)를 유지 보수 위치로 개방하지 않고도, 적재 채널을 닦을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의 예에서, 적재부(14)는 핸들(15)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핸들(15)을 수동으로 작동시켜 적재부(14)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적재부(14)는 전기 작동기와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핸들(15)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핸들(15)에 의한 수동 동작에는, 장치(1)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발생 가능한 고장 지점의 수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작동기가 사용 중에 가열 챔버(11)의 고온 조건에서 손상되기 쉽거나 에어로졸 생성 잔류물에 의해 막히기 쉬운 경우에, 작동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수명을 제한하는 인자가 될 수 있다.
핸들(15)은 또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4)를 통해서 소모품(2)을 수동으로 압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압축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소모품(2)의 이동을 위한 마찰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자는, 가열 중의 소모품(2)의 압축이 에어로졸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에 따라, 적재부(14)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소모품(2)을 가열 챔버(11)의 벽 쪽으로 수동으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핸들(15) 및 적재부(14)를 구성하는 것, 그리고 특히 소모품(2)이 가열 요소(111)(존재하는 경우) 부근에서 압축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내지 도 1c의 횡단면도에 대한 부가적인 내용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5)과 적재부(14)(도 2a에서 보이지 않음) 사이의 기계적 링키지가 슬롯(16)을 통해서 연장된다. 핸들(15)을 슬롯(16)을 따라서 활주시킴으로써, 적재부(14)는 제1 위치(도 1a 및 도 2a)로부터 제2 위치(도 1b 및 도 2b)로 이동된다.
슬롯(16)이 공기 유동 채널(12) 내의 공기 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슬롯(16)은 가능한 한 좁게 만들어 질 수 있고, 자가-밀봉 요소,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재료의 스트립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계적 링키지는, 예를 들어 피벗 또는 케이블을 통한, 간접적인 링크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기 유동 채널(12)과 핸들(15)의 외부 메커니즘 사이에서 공기가 연결되지 않는다.
도 3a 내지 도 3c는 토출부 요소(17)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이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변형예이고,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는 동일한 특징부를 지칭하고, 차이만을 여기에서 설명한다.
토출부 요소(17)는, 적재부(14)에 부착되는 그러나 소모품(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모품 포트(13)의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해서 적재부(14)에 대해서 이동되도록 구성된 요소이다.
적재부(14)는 링키지(171)를 통해서 토출부 요소(17)에 연결된다. 링키지(171)는, 토출부 요소(17)가 적재부(14)에 대한 규정된 운동 범위를 갖도록 하는 그러나 운동 범위 내에서 구속되지 않도록 하는, 규정된 단부들을 갖는 채널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키지(171)는, 토출부 요소(17)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모품(2)과 토출부 요소(17) 사이에 공간이 있는 디폴트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탄성 요소(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다.
토출부 요소(17)는, 적재부(14)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토출부 요소(17)가 소모품과 상호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적재부(14)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토출부 요소(17)가 적재부에 대해서 이동하여 소모품(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모품 포트(13)의 외부로 토출시킨다. 이어서, 탄성 요소(존재하는 경우)는 토출부 요소(17)를 적재부(14)에 대한 디폴트 위치로 리셋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핸들(15)은 토출부 요소(17)에 연결되고, 탄성 요소(171)는 힘을 적재부(14)에 전달하고, 그에 따라 핸들(15)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4)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토출부 요소(17)는 적재부(14)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핸들(15)은 적재부(14)에 직접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생략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토출부 요소(17)와 독립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추가적인 선택적 특징부를 도시한다. 즉, 파지 요소(141)는 적재부(14)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후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전기 작동기(예를 들어, 적재부 가열 요소(142)에 대해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전기 콘택 쌍) 또는 기계적 시스템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소모품(2)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파지 효과를 여전히 제공하면서도, 소모품(2)을 소모품 포트(13)를 통해서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도 4a 및 도 4b는 압축 요소(144)를 가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이는 도 1a 내지 도 1c 또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변형예이고,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는 동일한 특징부를 지칭하고, 차이만을 여기에서 설명한다.
도 1c에서, 핸들(15)을 이용하여 적재부(14)를 통해 소모품(2)을 수동으로 압축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예로서, 적재부(14)는 적재부(14)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소모품(2)을 자동적으로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요소(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4)는 적재 채널 내에 형성된 레일(143)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속될 수 있다. 적재 채널의 표면(145)이 레일(143)로부터 가변적인 거리에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재부를 기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 또는 홈을 제공할 수 있다.
레일(143) 및 가변적인 표면(145)을 이용하여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요소(144)를 자동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표면(145)과 레일(143) 사이의 거리가 감소됨에 따라, 압축 요소(144)가 소모품(2)을 향해서 밀려 소모품을 압축한다. 적재부(14)가 레일을 따라서 다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표면(145)과 레일(143)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고, 압축 요소(144)가 해제되고 소모품(2)의 탄성으로 인해서 또는 추가적인 탄성 요소(미도시)의 존재로 인해서 비-압축 위치로 복귀된다.
표면(145) 및 레일(143)은, 예를 들어, 적재 채널을 따른 적재부(14)의 위치에 따라 토출부 요소(17) 또는 파지 요소(141)를 제어하기 위해서 유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압축 요소는, 예를 들어 적재부 가열 요소(142)(존재하는 경우)를 위해서 또한 사용되는 공통 활주 전기 연결부에 의해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이동 가능 마우스피스(18)를 가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형태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개방 가능한 덮개(18)의 추가적인 선택적 특징부를 갖는, 임의의 전술한 실시형태의 변형예이고, 덮개(18)는 폐쇄 위치에서 소모품 포트(13)를 덮도록 구성된다.
덮개(18)는 전체적으로 탈착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경첩(19)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본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a는 폐쇄 위치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공기 유동 채널(12)이 마우스피스(18)에 연결되어 덮개(18)의 단부에서 배출구(122)를 제공한다.
도 5b는, 소모품 포트(13)에 접근할 수 있는, 개방 위치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의 선택적인 특징부를 도 1a 내지 도 1c의 예에 비교하면, 개방 가능 덮개(18)에는, 소모품(2)이 배출구(122)와 접촉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배출구(122)에서 소모품(2) 파편이 발견될 가능성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에어로졸을 흡입하기 위해서 그의 입을 배출구(122) 가까이 댈 수 있고, 그에 따라 개방 가능 덮개(18)는 에어로졸의 맛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체 물질의 흡입 가능성을 줄이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의 에어로졸 흡입 체험을 개선한다.
도 6a 및 도 6b는 슬라이더가 아닌 다른 유형의 적재부(14')를 가지는 대안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 6a 및 도 6b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적재부(14') 및 소모품 포트(13')는 공기 유동 채널(12)로부터 분리된다. 예를 들어, 적재부(14') 및 소모품 포트(13')는 소모품(2)을, 공기 유동 채널(12)에 수직인 라인 상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예에서, 적재부(1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우징 내에 고정된 피벗 및 스윙 메커니즘의 형태를 취한다.
적재부(14')는 소모품을 소모품 포트(13')에 위치되는 제1 위치로부터, 하우징 내의 공극을 통해서, 가열 챔버(11)의 가열 요소(111)에 인접한 제2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공기가 공기 유동 채널(12)을 따라서 끌어 당겨짐에 따라, 소모품(2)에 인접하여 공기 압력이 떨어지고, 에어로졸은 소모품(2)으로부터 공기 유동 채널(12) 내로 끌어 당겨진다. 대안적으로, 도 6a 및 도 6b와 유사한 측면-적재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소모품(2)을 공기 유동 채널(12) 내의 제2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더 많은 에어로졸이 사용자의 흡입에 의해서 외부로 끌어 당겨진다.
전술한 설명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추가적인 선택적 특징부는, 적재부를 제2 위치에서 록킹하도록 동작될 수 있거나 적재부가 제1 위치로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록킹 요소이다. 록킹 요소는 예를 들어, 적재부가 다리부(peg)를 지나서 적재 채널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연장되는 또는 적재부를 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적재부 내의 슬롯 내로 연장되는, 적재 채널 내에 배치된 다리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록킹 요소는 온도 센서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제어되고, 그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후에 소모품이 안전한 취급 온도까지 냉각되기 전에 소모품이 제1 위치로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록킹 요소는 단순히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형상(예를 들어, 바이메탈 스트립)을 가질 수 있고, 문턱값 온도를 초과할 때 연장되어 적재부를 차단 또는 유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적재부(14) 또는 적재 채널은 제어 회로소자에 연결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회로소자는 감지된 온도가 문턱값 온도를 초과할 때 록킹 요소를 능동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Claims (15)

  1. 소모품을 가열하는 것에 의해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가열 챔버;
    상기 소모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모품 포트; 및
    상기 소모품을 상기 소모품 포트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상기 가열 챔버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적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챔버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가열 요소에 인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소모품을 적재 채널을 따라서 상기 소모품 포트와 상기 가열 챔버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슬라이더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채널은 상기 적재부를 기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 또는 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소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부가 하나 이상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어 회로소자의 각각의 전기 콘택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기 콘택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유입구로부터 상기 가열 챔버를 통해서 배출구까지 이어지는 공기 유동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 채널은 상기 공기 유동 채널의 일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포트를 포함하는 마우스피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를 포함하고 폐쇄 위치에서 상기 소모품 포트를 덮는, 개방 가능 덮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핸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부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소모품을 파지하도록 구성된 파지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소모품을 상기 가열 챔버의 벽 쪽으로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소모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소모품 포트의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토출부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적재부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 가열 요소는 탈착 가능하고, 상기 소모품 포트는 상기 적재부 가열 요소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록킹하도록 동작될 수 있거나 상기 적재부가 상기 제1 위치로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록킹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27043876A 2020-05-22 2021-05-15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153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76127 2020-05-22
EP20176127.7 2020-05-22
PCT/EP2021/062903 WO2021233793A1 (en) 2020-05-22 2021-05-15 Aerosol genera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378A true KR20230015378A (ko) 2023-01-31

Family

ID=7080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876A KR20230015378A (ko) 2020-05-22 2021-05-15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89883A1 (ko)
EP (1) EP4152980A1 (ko)
JP (1) JP2023525229A (ko)
KR (1) KR20230015378A (ko)
WO (1) WO2021233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52566A1 (en) * 2022-04-01 2023-10-04 JT International SA An aerosol substrate consumable load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0826B2 (ja) * 2011-11-21 2016-12-21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発生装置用の引出器
CN107319640B (zh) * 2017-07-20 2023-08-01 深圳市博迪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推烟弹式烘烤电子烟
CN109007986A (zh) * 2018-09-29 2018-12-18 深圳市古可生物科技有限公司 电子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52980A1 (en) 2023-03-29
JP2023525229A (ja) 2023-06-15
WO2021233793A1 (en) 2021-11-25
US20230189883A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7302A (ko) 흡수성 캐리어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P3829367B1 (en) Device for generating an inhalable medium, its use to provide sustained nicotine delivery, cartridge and tobacco composition pod suitable for use therein
CA3106417A1 (en) Generation of an inhalable medium
KR2023001537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30240362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CA3125374A1 (en) Container for aerosolisable material
US20230000146A1 (en) Cartridge insertion systems for aerosol-generating devices
EP3981267B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ejection mechanism
EP3981266B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ejection mechanism using leverage
EP3981263B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sleeve cover
KR20240006540A (ko) 푸싱 바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KR20230018405A (ko)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장치
EP4069011A1 (en) Shisha device configured to perforate a cartri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