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880A -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그리고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 Google Patents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그리고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880A
KR20230014880A KR1020237001914A KR20237001914A KR20230014880A KR 20230014880 A KR20230014880 A KR 20230014880A KR 1020237001914 A KR1020237001914 A KR 1020237001914A KR 20237001914 A KR20237001914 A KR 20237001914A KR 20230014880 A KR20230014880 A KR 20230014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transmission
csi
data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석철
강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14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심볼을 갖는 시간 슬롯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슬롯 내에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빔 방향은 상기 시간 슬롯 내에서 동일하게 유지되고, 상기 시간 슬롯 내에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빔 방향은 상기 시간 슬롯 내에서 상기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가 전송되는 심볼에서 상기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의 전송 빔 방향에 맞춰 변경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그리고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CA(Carrier Aggregation)-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신호 송수신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심볼을 갖는 시간 슬롯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슬롯 내에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빔 방향은 상기 시간 슬롯 내에서 동일하게 유지되고, 상기 시간 슬롯 내에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빔 방향은 상기 시간 슬롯 내에서 상기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가 전송되는 심볼에서 상기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의 전송 빔 방향에 맞춰 변경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단말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심볼을 갖는 시간 슬롯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간 슬롯 내에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빔 방향은 상기 시간 슬롯 내에서 동일하게 유지되고, 상기 시간 슬롯 내에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빔 방향은 상기 시간 슬롯 내에서 상기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가 전송되는 심볼에서 상기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의 전송 빔 방향에 맞춰 변경되는 단말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해 원래 설정된 전송 빔 방향은 상기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의 전송 빔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빔 방향이 상기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의 전송 빔 방향에 맞춰 변경되는 경우, 상기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가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심볼에서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복조를 위한 참조 신호가 추가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간 슬롯에서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의 전송 빔 방향은 심볼 그룹 별로 달라지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빔 방향도 상기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의 전송 빔 방향에 맞춰 심볼 그룹 별로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인 3GPP LTE(-A)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예시한다.
도 2는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3은 하향링크 슬롯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예시한다.
도 6은 셀 특정적 참조 신호(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RS)와 UE 특정적 참조신호(user specific reference signal, UE-RS)를 예시한다.
도 7은 LTE(-A)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8은 상향링크로 RS(Reference Signal)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을 예시한다.
도 9는 PUSCH를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구조를 예시한다.
도 10은 PUCCH 포맷 1a와 1b의 슬롯 레벨 구조를 예시한다.
도 11은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CA)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2는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을 예시한다.
도 13은 자기-완비(self-contained)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14는 아날로그 빔포밍을 예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전송 과정을 예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및 단말을 예시한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이고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 DL)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은 기지국으로 상향링크(Uplink, UL)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기지국과 단말이 송수신하는 정보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이들이 송수신 하는 정보의 종류/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도 1은 3GPP LTE(-A)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다시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단말은 단계 S101에서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cell identity)등의 정보를 획득한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을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단계 S102에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정보에 따른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하여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을 완료하기 위해 단계 S103 내지 단계 S106과 같은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하고(S103),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이에 대응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04). 경쟁 기반 임의 접속(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의 경우 추가적인 물리 임의 접속 채널의 전송(S105) 및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이에 대응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 수신(S106)과 같은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향/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 수신(S107)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S108)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 정보를 통칭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라고 지칭한다. UCI는 HARQ ACK/NACK(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cknowledgement/Negative-ACK), SR(Scheduling Request),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등을 포함한다. CSI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ion) 등을 포함한다. UCI는 일반적으로 PUCCH를 통해 전송되지만, 제어 정보와 트래픽 데이터가 동시에 전송되어야 할 경우 PU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요청/지시에 의해 PUSCH를 통해 UCI를 비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예시한다. 상향/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 단위로 이루어지며,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심볼을 포함하는 시간 구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2(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 OFDM을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이 하나의 심볼 구간을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또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자원 할당 단위로서의 자원 블록(RB)은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에는 확장 CP(extended CP)와 노멀 CP(normal CP)가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이 노멀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7개일 수 있다. OFDM 심볼이 확장된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한 OFDM 심볼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노멀 CP인 경우보다 적다. 예를 들어, 확장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6개일 수 있다.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채널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심볼간 간섭을 더욱 줄이기 위해 확장 CP가 사용될 수 있다.
노멀 CP가 사용되는 경우,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의 처음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도 2(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하프 프레임(half frame)으로 구성된다. 하프 프레임은 4(5)개의 일반 서브프레임과 1(0)개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일반 서브프레임은 UL-DL 구성(Uplink-Downlink Configuration)에 따라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사용된다.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표 1은 UL-DL 구성에 따른 무선 프레임 내 서브프레임 구성을 예시한다.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Downlink-to-Uplink Switch point periodicity Subframe number
0 1 2 3 4 5 6 7 8 9
0 5ms D S U U U D S U U U
1 5ms D S U U D D S U U D
2 5ms D S U D D D S U D D
3 10ms D S U U U D D D D D
4 10ms D S U U D D D D D D
5 10ms D S U D D D D D D D
6 5ms D S U U U D S U U D
표에서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S는 스페셜(special)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Slot), GP(Guard Period), UpPTS(Uplink Pilot TimeSlot)를 포함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 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의 수, 슬롯의 수,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하향링크 슬롯의 자원 그리드를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원 그리드 상에서 각각의 요소는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로 지칭된다. 하나의 RB는 12×7 RE들을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된 RB의 개수 NDL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에 의존한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에 위치한 최대 3(4)개의 OFDM 심볼이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남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c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하며, 데이터 영역의 기본 자원 단위는 RB이다. LTE 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예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며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 채널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응답이고 HARQ ACK/NACK(acknowledgment/negative-acknowledgment) 신호를 나른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지칭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임의의 단말 그룹을 위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명령(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를 포함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한다. DCI 포맷(format)은 상향링크용으로 포맷 0, 3, 3A, 4, 하향링크용으로 포맷 1, 1A, 1B, 1C, 1D, 2, 2A, 2B, 2C 등의 포맷이 정의되어 있다. DCI 포맷에 따라 정보 필드의 종류, 정보 필드의 개수, 각 정보 필드의 비트 수 등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DCI 포맷은 용도에 따라 호핑 플래그(hopping flag), RB 할당(assignment), MCS(modulation coding scheme), RV(redundancy version), NDI(new data indicator), TPC(transmit power control), HARQ 프로세스 번호,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확인(confirmation) 등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DCI 포맷에 따라 DCI 포맷에 정합되는 제어 정보의 사이즈(size)가 달라진다. 한편, 임의의 DCI 포맷은 두 종류 이상의 제어 정보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CI 포맷 0/1A는 DCI 포맷 0 또는 DCI 포맷 1을 나르는데 사용되며, 이들은 플래그 필드(flag field)에 의해 구분된다.
PDCCH는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UL-SCH(up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 PCH(paging channel)에 대한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PDSCH 상에서 전송되는 랜덤 접속 응답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정보, 임의의 단말 그룹 내에서 개별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activation) 등을 나른다. 제어 영역 내에서 복수의 PDCCH가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CCE(consecutive control channel element)의 집합(aggregation) 상에서 전송된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따라 소정 부호율 (coding rate)의 PDCCH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의 REG(resource element group)에 대응한다. PDCCH의 포맷 및 가용한 PDCCH의 비트 수는 CCE의 개수와 CCE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율 사이의 상관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될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제어 정보에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사용 용도에 따라 유일 식별자(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로 지칭됨)로 마스킹 된다. PDCCH가 특정 단말을 위한 것이면, 해당 단말의 유일 식별자(예, C-RNTI (cell-RNTI))가 CRC에 마스킹 된다. 다른 예로, PDCCH가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 식별자(예, P-RNTI(paging-RNTI))가 CRC에 마스킹 된다. PDCCH가 시스템 정보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에 관한 것이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예, SI-RNTI(system information RNTI))가 CRC에 마스킹 된다. 단말의 랜덤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랜덤 접속 응답을 지시하기 위해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 된다.
PDCCH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로 알려진 메시지를 나르고, DCI는 하나의 단말 또는 단말 그룹을 위한 자원 할당 및 다른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PDCCH가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각각의 PDCCH는 하나 이상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를 이용해 전송되고, 각각의 CCE는 9세트의 4개 자원요소에 대응한다. 4개 자원요소는 REG(Resource Element Group)로 지칭된다. 4개의 QPSK 심볼이 한 REG에 맵핑된다. 참조 신호에 할당된 자원요소는 REG에 포함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주어진 OFDM 심볼 내에서 REG의 총 개수는 셀-특정(cell-specific) 참조 신호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REG 개념(즉, 그룹 단위 맵핑, 각 그룹은 4개의 자원요소를 포함)은 다른 하향링크 제어 채널 (PCFICH 및 PHICH)에도 사용된다. 즉, REG는 제어 영역의 기본 자원 단위로 사용된다. 4개의 PDCCH 포맷이 표 2에 나열된 바와 같이 지원된다.
PDCCH format Number of CCEs (n) Number of REGs Number of PDCCH bits
0 1 9 72
1 2 8 144
2 4 36 288
3 5 72 576
CCE들은 연속적으로 번호가 매겨지어 사용되고, 디코딩 프로세스를 단순화 하기 위해, n CCEs로 구성된 포맷을 갖는 PDCCH는 n의 배수와 동일한 수를 갖는 CCE에서만 시작될 수 있다. 특정 PDCCH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CCE의 개수는 채널 조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PDCCH가 좋은 하향링크 채널(예, 기지국에 가까움)를 갖는 단말을 위한 것인 경우, 하나의 CCE로도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나쁜 채널(예, 셀 경계에 가까움)을 갖는 단말의 경우, 충분한 로버스트(robustness)를 얻기 위해 8개의 CCE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PDCCH의 파워 레벨이 채널 조건에 맞춰 조절될 수 있다.
LTE에 도입된 방안은 각각의 단말을 위해 PDCCH가 위치할 수 있는 제한된 세트의 CCE 위치를 정의하는 것이다. 단말이 자신의 PDCCH를 찾을 수 있는 제한된 세트의 CCE 위치는 검색 공간(Search Space, SS)으로 지칭될 수 있다. LTE에서, 검색 공간은 각각의 PDCCH 포맷에 따라 다른 사이즈를 갖는다. 또한, UE-특정(UE-specific) 및 공통(common) 검색 공간이 별도로 정의된다. UE-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 USS)은 각 단말을 위해 개별적으로 설정되고, 공통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CSS)의 범위는 모든 단말에게 알려진다. UE-특정 및 공통 검색 공간은 주어진 단말에 대해 오버랩 될 수 있다. 상당히 작은 검색 공간을 가진 경우, 특정 단말을 위한 검색 공간에서 일부 CCE 위치가 할당된 경우 남는 CCE가 없기 때문에, 주어진 서브프레임 내에서 기지국은 가능한 모든 단말에게 PDCCH를 전송할 CCE 자원들을 찾지 못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블록킹이 다음 서브프레임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UE-특정 검색 공간의 시작 위치에 단말-특정 호핑 시퀀스가 적용된다.
표 3은 공통 및 UE-특정 검색 공간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PDCCH format Number of CCEs (n) Number of candidates in common search space Number of candidates in dedicated search space
0 1 - 6
1 2 - 6
2 4 4 2
3 8 2 2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 BD)의 총 회수에 따른 계산 부하를 통제 하에 두기 위해, 단말은 정의된 모든 DCI 포맷을 동시에 검색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UE-특정 검색 공간 내에서 단말은 항상 포맷 0과 1A를 검색한다. 포맷 0과 1A는 동일 사이즈를 가지며 메시지 내의 플래그에 의해 구분된다. 또한, 단말은 추가 포맷을 수신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예,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PDSCH 전송모드에 따라 1, 1B 또는 2). 공통 검색 공간에서 단말은 포맷 1A 및 1C를 서치한다. 또한, 단말은 포맷 3 또는 3A를 서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포맷 3 및 3A는 포맷 0 및 1A와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며, 단말-특정 식별자 보다는, 서로 다른 (공통) 식별자로 CRC를 스크램블함으로써 구분될 수 있다. 전송모드에 따른 PDSCH 전송 기법과, DCI 포맷들의 정보 컨텐츠를 아래에 나열하였다.
전송모드(Transmission Mode, TM)
● 전송모드 1: 단일 기지국 안테나포트로부터의 전송
● 전송모드 2: 전송 다이버시티
● 전송모드 3: 개-루프 공간 다중화
● 전송모드 4: 폐-루프 공간 다중화
● 전송모드 5: 다중-사용자 MIMO
● 전송모드 6: 폐-루프 랭크-1 프리코딩
● 전송모드 7: 단일-안테나 포트(포트 5) 전송
● 전송모드 8: 이중 레이어 전송(포트 7 및 8) 또는 단일-안테나 포트(포트 7 또는 8) 전송
● 전송모드 9: 최대 8개의 레이어 전송(포트 7 ~14) 또는 단일-안테나 포트(포트 7 또는 8) 전송
DCI 포맷
● 포맷 0: PUSCH 전송 (상향링크)을 위한 자원 그랜트
● 포맷 1: 단일 코드워드 PDSCH 전송 (전송모드 1, 2 및 7)을 위한 자원 할당
● 포맷 1A: 단일 코드워드 PDSCH (모든 모드)를 위한 자원 할당의 콤팩트 시그널링
● 포맷 1B: 랭크-1 폐-루프 프리코딩을 이용하는 PDSCH (모드 6)를 위한 콤팩트 자원 할당
● 포맷 1C: PDSCH (예, 페이징/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를 위한 매우 콤팩트한 자원 할당
● 포맷 1D: 다중-사용자 MIMO를 이용하는 PDSCH (모드 5)를 위한 콤팩트 자원 할당
● 포맷 2: 폐-루트 MIMO 동작의 PDSCH (모드 4)를 위한 자원 할당
● 포맷 2A: 개-루프 MIMO 동작의 PDSCH (모드 3)를 위한 자원 할당
● 포맷 3/3A: PUCCH 및 PUSCH를 위해 2-비트/1-비트 파워 조정 값을 갖는 파워 콘트롤 커맨드
도 5는 EPDCCH를 예시한다. EPDCCH는 LTE-A에서 추가로 도입된 채널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도 4 참조)에는 기존 LTE에 따른 PDCCH(편의상, Legacy PDCCH, L-PDCCH)가 할당될 수 있다. 도면에서 L-PDCCH 영역은 L-PDCCH가 할당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데이터 영역(예, PDSCH를 위한 자원 영역) 내에 PDCCH가 추가로 할당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PDCCH를 EPDCCH라고 지칭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EPDCCH를 통해 제어 채널 자원을 추가 확보함으로써, L-PDCCH 영역의 제한된 제어 채널 자원으로 인한 스케줄링 제약을 완화할 수 있다. L-PDCCH와 마찬가지로, EPDCCH는 DCI를 나른다. 예를 들어, EPDCCH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나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EPDCCH를 수신하고 EPDCCH에 대응되는 PDSCH를 통해 데이터/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EPDCCH를 수신하고 EPDCCH에 대응되는 PUSCH를 통해 데이터/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셀 타입에 따라 EPDCCH/PDS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부터 할당될 수 있다.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PDCCH는 L-PDCCH와 EPDCCH를 모두 포함한다.
도 6은 셀 특정적 참조 신호(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RS)와 단말 특정적 참조신호(user specific reference signal, UE-RS)를 예시한다. 특히, 도 6은 노멀 CP를 갖는 서브프레임의 RB 쌍에서 CRS(들) 및 UE-RS(들)에 의해 점유되는 RE들을 나타낸다.
기존 3GPP LTE 시스템에서 CRS는 복조 목적 및 측정 목적 둘 다에 이용되므로, CRS는 PDSCH 전송을 지원하는 셀 내 모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체 하향링크 대역폭에 걸쳐 전송되며 기지국에 설정된 모든 안테나 포트에서 전송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송 노드의 안테나 포트 개수에 따라 안테나 포트 p=0, p=0,1, p=0,1,2,3를 통해 CRS가 전송된다. CRS는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에 상관없이 서브프레임 내에 일정한 패턴으로 고정된다. 제어 채널은 제어 영역 중에서 CRS가 할당되지 않은 자원에 할당되고, 데이터 채널도 데이터 영역 중에서 CRS가 할당되지 않은 자원에 할당된다.
단말은 CRS를 이용하여 CSI를 측정할 수 있으며, CRS를 이용하여 상기 CRS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에서 PDSCH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은 모든 RB에서 각 RB 내 일정한 위치에 CRS를 전송하고 단말은 상기 CRS를 기준으로 채널 추정을 수행한 다음에 PDSCH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CRS RE에서 수신된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신호와, 상기 CRS RE별 수신 에너지의 PDSCH가 맵핑된 RE별 수신 에너지에 대한 비를 이용하여 PDSCH가 맵핑된 RE로부터 PDSCH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CRS를 기반으로 PDSCH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기지국이 모든 RB에 대해서 CRS를 전송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RS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GPP LTE-A 시스템에는 CRS 외에 단말-특정적 RS(이하, UE-RS) 및 CSI(channel state information-RS를 추가로 정의된다. UE-RS는 복조를 위해 CSI-RS는 채널 상태 정보의 얻어내기(derive) 위해 사용된다. UE-RS는 DRS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UE-RS 및 CRS는 복조를 위해 사용되므로 용도의 측면에서 복조용 RS라고 할 수 있다. CSI-RS 및 CRS는 채널 측정 혹은 채널 추정에 사용되므로 용도의 측면에서는 측정용 RS라고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UE-RS는 PDSCH의 전송을 위해 지원되며 안테나 포트(들) p = 5, p = 7, p = 8 혹은 p = 7,8,...,υ+6 (여기서, υ는 상기 PDSCH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레이어의 개수)을 통해 전송된다. UE-RS는 PDSCH 전송이 해당 안테나 포트와 연관되면 존재하고 PDSCH의 복조(demodulation)을 위해서만 유효한(valid) 참조(reference)이다. UE-RS는 해당 PDSCH가 맵핑된 RB들 상에서만 전송된다. 즉 UE-RS는 PDSCH의 존재 유무와 관계없이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되도록 설정된 CRS와 달리, PDSCH가 스케줄링된 서브프레임에서 PDSCH가 맵핑된 RB(들)에서만 전송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UE-RS는, PDSCH의 레이어의 개수와 관계없이 모든 안테나 포트(들)을 통해 전송되는 CRS와 달리, PDSCH의 레이어(들)에 각각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들)을 통해서만 전송된다.
도 7은 LTE(-A)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500)은 두 개의 0.5ms 슬롯(501)으로 구성된다. 보통(Normal)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의 길이를 가정할 때, 각 슬롯은 7개의 심볼(502)로 구성되며 하나의 심볼은 하나의 SC-FDMA 심볼에 대응된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503)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 그리고 시간 영역에서 한 슬롯에 해당되는 자원 할당 단위이다. LTE(-A)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는 크게 데이터 영역(504)과 제어 영역(505)으로 구분된다. 데이터 영역은 각 단말로 전송되는 음성, 패킷 등의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 사용되는 통신 자원을 의미하며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포함한다. 제어 영역은 상향링크 제어 신호, 예를 들어 각 단말로부터의 하향링크 채널 품질보고, 하향링크 신호에 대한 수신 ACK/NACK, 상향링크 스케줄링 요청 등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자원을 의미하며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포함한다.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시간 축 상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는 SC-FDMA 심볼을 통하여 전송된다. 동일한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SC-FDMA로 전송되는 여러 단말의 SRS들은 주파수 위치/시퀀스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다. SRS는 상향링크 채널 상태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위 계층(예, RRC 계층)에 의해 설정된 서브프레임 주기/오프셋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전송된다.
사운딩 참조 신호는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 Correlation) 시퀀스로 구성되며, 여러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운딩 참조 신호들은 아래 수학식 1에 따른 서로 다른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 값(α)을 갖는 CAZAC 시퀀스(
Figure pat00001
)이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nCS SRS 는 상위 계층에 의하여 각 단말에 설정되는 값으로, 0 내지 7 사이의 정수 값을 갖는다.
하나의 CAZAC 시퀀스로부터 사이클릭 쉬프트를 통하여 발생된 CAZAC 시퀀스들은 각자 자신과 다른 사이클릭 쉬프트 값을 갖는 시퀀스들과 영의 상관 값(zero-correlation)을 갖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동일한 주파수 영역의 사운딩 참조 신호들은 CAZAC 시퀀스 사이클릭 쉬프트 값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각 단말의 사운딩 참조 신호는 기지국에서 설정하는 파라미터에 따라 주파수 상에 할당된다.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대역폭 전체로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사운딩 참조 신호의 주파수 도약을 수행한다.
사운딩 참조 신호 시퀀스 rSRS(n)는 우선 송신 전력 PSRS를 만족하기 위하여 진폭 스케일링 인자 βSRS가 곱해진 후, 인덱스가 (k,l)인 자원요소에 rSRS(0)부터 아래 수학식 2에 의하여 맵핑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3
여기서 k0는 사운딩 참조 신호의 주파수 영역 시작 지점을 지칭하며, MRS sc,b는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된 부반송파 단위로 표현된 사운딩 참조 신호 시퀀스의 길이, 즉 대역폭이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4
수학식 3에서 mSRS,b는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 되는 상향 링크 대역폭 NUL RB을 나타낸다.
도 8은 상향링크로 참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는 DFT 프리코더(precoder)를 통해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된 뒤, 주파수 맵핑 후 IFFT를 통해 전송되는 반면, RS는 DFT 프리코더를 통하는 과정이 생략된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영역에서 RS 시퀀스가 바로 생성(S11)된 후에, 로컬화 맵핑(S12), IFFT(S13) 과정 및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 부착 과정(S14)을 순차적으로 거쳐 RS가 전송된다.
RS 시퀀스 r(α) u,v(n)는 기본 시퀀스(base sequence)의 순환 쉬프트(cyclic shift) α에 의해 정의되며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5
여기에서,
Figure pat00006
는 RS 시퀀스의 길이이고,
Figure pat00007
는 부반송파 단위로 나타낸 자원 블록의 크기이며, m은
Figure pat00008
이다.
Figure pat00009
는 최대 상향링크 전송 대역을 나타낸다.
기본 시퀀스인
Figure pat00010
는 몇 개의 그룹으로 구분된다.
Figure pat00011
는 그룹 번호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12
는 해당 그룹 내의 기본 시퀀스 번호에 해당한다. 각 그룹은 길이가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인 하나의 기본 시퀀스(v=0)와 길이가
Figure pat00015
(
Figure pat00016
)인 두 개의 기본 시퀀스(v=0,1)를 포함한다. 해당 그룹 내에서 시퀀스 그룹 번호 u와 해당 번호 v는 시간에 따라 각각 변할 수 있다. 기본 시퀀스
Figure pat00017
의 정의는 시퀀스 길이
Figure pat00018
에 따른다.
Figure pat00019
이상의 길이를 가진 기본 시퀀스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at00020
에 대하여, 기본 시퀀스
Figure pat00021
는 다음의 수학식 5에 의해 주어진다.
[수학식 5]
Figure pat00022
여기에서, q번째 루트 자도프-츄(Zadoff-Chu) 시퀀스는 다음의 수학식 6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pat00023
여기에서, q는 다음의 수학식 7을 만족한다.
[수학식 7]
Figure pat00024
여기에서, 자도프-츄 시퀀스의 길이 NRB ZC는 가장 큰 소수에 의해 주어지고 따라서,
Figure pat00025
를 만족한다.
Figure pat00026
미만의 길이를 가진 기본 시퀀스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먼저,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에 대해 기본 시퀀스는 수학식 8과 같이 주어진다.
[수학식 8]
Figure pat00029
여기에서,
Figure pat00030
에 대한
Figure pat00031
의 값은 다음의 표 4로 주어진다.
Figure pat00032
에 대한
Figure pat00033
의 값도 유사하게 표로 주어진다.
Figure pat00034
PUSCH에 대한 기준 신호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PUSCH에 대한 기준 신호 시퀀스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로 정의된다. m과 n은
Figure pat00037
을 만족하고,
Figure pat00038
을 만족한다.
한 슬롯에서 순환 시프트는
Figure pat00039
와 함께
Figure pat00040
= 2
Figure pat00041
/12로 주어진다.
Figure pat00042
는 방송되는 값이고,
Figure pat00043
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의해 주어지며,
Figure pat00044
는 셀 특정 순환 시프트 값이다.
Figure pat00045
는 슬롯 번호 ns에 따라 변하며,
Figure pat00046
와 같이 주어진다.
c(i)는 슈도-랜덤 시퀀스이며,
Figure pat00047
는 셀-특정 값이다. 슈도-랜덤 시퀀스 생성기는 무선 프레임의 시작에서
Figure pat00048
로 초기화 될 수 있다.
표 5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0에서 순환 시프트 필드와
Figure pat00049
를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pat00050
PUSCH에서 상향링크 RS를 위한 물리적 맵핑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퀀스는 진폭 스케일링 요소(amplitude scaling factor)
Figure pat00051
와 곱해지고,
Figure pat00052
로 시작하는 시퀀스 내에서 대응하는 PUSCH를 위해 사용되는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의 동일한 세트로 맵핑될 것이다. 표준 순환 전치에 대해서는
Figure pat00053
으로, 확장 순환 전치에 대해서는
Figure pat00054
으로 서브프레임 내에서 자원 요소
Figure pat00055
에 맵핑하는 것은 먼저
Figure pat00056
의 차수가 증가하고 그리고 나서 슬롯 번호의 순이 될 것이다.
정리하면, 길이가
Figure pat00057
이상이면, 순환 확장과 함께 ZC 시퀀스가 사용되고, 길이가
Figure pat00058
미만이면, 컴퓨터 생성 시퀀스가 사용된다. 순환 시프트는, 셀-특정 순환 시프트, 단말-특정 순환 시프트 및 호핑 패턴 등에 따라 결정된다.
도 9는 노멀 CP의 경우에 PUSCH를 위한 DMRS 구조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4번째와 11번째 SC-FDMA 심볼을 통해 DMRS가 전송된다.
도 10은 노멀 CP인 경우의 PUCCH 포맷 1a와 1b를 나타낸다. PUCCH 포맷 1a와 1b는 동일한 내용의 제어 정보가 서브프레임 내에서 슬롯 단위로 반복된다. 각 단말에서 ACK/NACK 신호는 CG-CAZAC 시퀀스의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cyclic shift, CS)(주파수 도메인 코드)와 직교 커버 코드(orthogonal cover or orthogonal cover code, OC or OCC)(시간 도메인 확산 코드)로 구성된 서로 다른 자원을 통해 전송된다. OC는 예를 들어 왈쉬(Walsh)/DFT 직교 코드를 포함한다. CS의 개수가 6개이고 OC의 개수가 3개이면, 단일 안테나를 기준으로 총 18개의 단말이 동일한 PRB(Physical Resource Block) 안에서 다중화 될 수 있다. 직교 시퀀스 w0,w1,w2,w3는 (FFT 변조 후에) 임의의 시간 도메인에서 또는 (FFT 변조 전에) 임의의 주파수 도메인에서 적용될 수 있다. 각 단말의 RS 신호도 CG-CAZAC 시퀀스의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와 직교 커버 코드(w0,w1,w2)로 구성된 서로 다른 자원을 통해 전송된다.
PUCCH 포맷 1/1a/1b를 위한 길이-4와 길이-3의 직교 시퀀스(OC)는 다음의 표 6과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도 11은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CA)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상/하향링크 콤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들을 모아서 더 넓은 상/하향링크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CC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거나 비-인접할 수 있다. 각 콤포넌트 캐리어의 대역폭은 독립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UL CC의 개수와 DL CC의 개수가 다른 비대칭 캐리어 병합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 정보는 특정 CC를 통해서만 송수신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CC를 프라이머리 CC로 지칭하고, 나머지 CC를 세컨더리 CC로 지칭할 수 있다. 일 예로,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 (또는 크로스-CC 스케줄링)이 적용될 경우, 하향링크 할당을 위한 PDCCH는 DL CC#0으로 전송되고, 해당 PDSCH는 DL CC#2로 전송될 수 있다. 용어 “콤포넌트 캐리어”는 등가의 다른 용어(예, 캐리어, 셀 등)로 대체될 수 있다.
크로스-CC 스케줄링을 위해, CIF(carrier indicator field)가 사용된다. PDCCH 내에 CIF의 존재 또는 부재를 위한 설정이 반-정적으로 단말-특정 (또는 단말 그룹-특정)하게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에 의해 이네이블(enable) 될 수 있다. PDCCH 전송의 기본 사항이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 CIF 디스에이블드(disabled): DL CC 상의 PDCCH는 동일 DL CC 상의 PDSCH 자원 및 단일의 링크된 UL CC 상에서의 PUSCH 자원을 할당한다.
● No CIF
■ CIF 이네이블드(enabled): DL CC 상의 PDCCH는 CIF를 이용하여 복수의 병합된 DL/UL CC들 중 한 DL/UL CC 상의 PDSCH 또는 PUSCH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 CIF를 갖도록 확장된 LTE DCI 포맷
- CIF (설정될 경우)는 고정된 x-비트 필드 (예, x=3)
- CIF (설정될 경우) 위치는 DCI 포맷 사이즈와 관계 없이 고정됨
CIF 존재 시, 기지국은 단말 측에서의 BD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모니터링 DL CC (세트)를 할당할 수 있다. PDSCH/PUSCH 스케줄링 위해, 단말은 해당 DL CC에서만 PDCCH의 검출/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모니터링 DL CC (세트)를 통해서만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DL CC 세트는 단말-특정, 단말-그룹-특정 또는 셀-특정 방식으로 세팅될 수 있다.
도 12는 복수의 캐리어가 병합된 경우의 스케줄링을 예시한다. 3개의 DL CC가 병합되었다고 가정한다. DL CC A가 PDCCH CC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DL CC A~C는 서빙 CC, 서빙 캐리어, 서빙 셀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CIF가 디스에이블 되면, 각각의 DL CC는 LTE PDCCH 규칙에 따라 CIF 없이 자신의 PDSCH를 스케줄링 하는 PDCCH만을 전송할 수 있다(논-크로스-CC 스케줄링). 반면, 단말-특정 (또는 단말-그룹-특정 또는 셀-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CIF가 이네이블 되면, 특정 CC(예, DL CC A)는 CIF를 이용하여 DL CC A의 PDSCH를 스케줄링 하는 PDCCH뿐만 아니라 다른 CC의 PDSCH를 스케줄링 하는 PDCCH도 전송할 수 있다(크로스-CC 스케줄링). 반면, DL CC B/C에서는 PDCCH가 전송되지 않는다.
차세대 RAT(Radio Access Technology)에서는 데이터 전송 레이턴시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자기-완비(self-contained) 서브프레임이 고려되고 있다. 도 13은 자기-완비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13에서 빗금 영역은 DL 제어 영역을 나타내고, 검정색 부분은 UL 제어 영역을 나타낸다. 표시가 없는 영역은 D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한 개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DL 전송과 UL 전송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므로 서브프레임 내에서 DL 데이터를 보내고, UL ACK/NACK도 받을 수 있다. 또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UL 그랜트를 보내고, UL 데이터도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전송 에러 발생 시에 데이터 재전송까지 걸리는 시간이 줄게 되어 최종 데이터의 전달 레이턴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구성/설정 가능한 자기-완비 서브프레임 타입의 예로, 적어도 다음의 4가지 서브프레임 타입을 고려할 수 있다. 각 구간은 시간 순서대로 나열되었다.
- DL 제어 구간 + DL 데이터 구간 + GP(Guard Period) + UL 제어 구간
- DL 제어 구간 + DL 데이터 구간
- DL 제어 구간 + GP + UL 데이터 구간 + UL 제어 구간
- DL 제어 구간 + GP + UL 데이터 구간
DL 제어 구간에서는 PDFICH, PHICH, PDCCH가 전송될 수 있고, DL 데이터 구간에서는 PDSCH가 전송될 수 있다. UL 제어 구간에서는 PUCCH가 전송될 수 있고, UL 데이터 구간에서는 PUSCH가 전송될 수 있다. GP는 기지국과 단말이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 또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시간 갭을 제공한다. 서브프레임 내에서 DL에서 UL로 전환되는 시점의 일부 OFDM 심볼이 GP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밀리미터 웨이브(mmW)는 신호의 파장이 짧으므로 동일 면적에 다수의 안테나 설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30GHz 대역에서 파장은 1cm이므로 5 by 5 cm의 패널에 0.5 λ(파장) 간격의 2-차원 배열 형태로 총 100개의 안테나 요소가 설치 가능하다. 따라서, mmW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안테나 요소를 사용하여 빔포밍(BF) 이득을 높여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거나, 쓰루풋을 높이려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안테나 요소 별로 전송 파워 및 위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TXRU(transceiver unit)을 가지면 주파수 자원 별로 독립적인 빔포밍이 가능하다. 그러나, 100개의 안테나 요소 모두에 TXRU를 설치하기에는 가격 측면에서 실효성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하나의 TXRU에 다수의 안테나 요소를 매핑하고 아날로그 위상 쉬프터로 빔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아날로그 빔포밍 방식은 전 대역에서 하나의 빔 방향만을 만들 수 있어 주파수 선택적 빔을 해줄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디지털 BF와 아날로그 BF의 중간 형태로 Q개의 안테나 요소보다 적은 B개의 TXRU를 갖는 하이브리드 BF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B개의 TXRU와 Q개의 안테나 요소의 연결 방식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빔의 방향은 B개 이하로 제한된다.
도 14는 아날로그 빔포밍을 예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송신기는 시간에 따라 빔의 방향을 바꿔가며 신호를 전송하고(송신 빔포밍), 수신기도 시간에 따라 빔의 방향을 바꿔가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수신 빔포밍). 일정 시구간 내에서 (i) 송신 빔과 수신 빔은 시간에 따라 동시에 빔의 방향을 바뀌거나, (ii) 송신 빔은 고정된 상태에서 수신 빔의 방향만 시간에 따라 바뀌거나, (iii) 수신 빔은 고정된 상태에서 송신 빔의 방향만 시간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실시예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new RAT 시스템에서는 mmW 특성에 기반하여 기지국과 단말에서 DL/UL 신호 송수신에 대한 TX(송신)/RX(수신) (아날로그 또는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기지국과 단말에서 전송 가능한 빔 방향(예, 빔 ID/인덱스 또는 포트 ID/인덱스로 표현 가능)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신호 품질이 가장 우수한 TX/RX 빔(이하, 서빙 빔)은 무선채널 환경 및 단말의 이동성 등에 기인하여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빔 동작 상황에서는 특정 주기 및 이벤트(예, 특정 수준 이하로의 수신 성능 저하)에 따라 서빙 빔을 업데이트 하는 (TX/RX) 빔 정렬 과정이 수반될 수 있다. 편의상, 빔 정렬 용도로 전송되는 RS를 BRRS(Beam Refinement RS)로 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TX/RX 빔 정렬 상황에서의 데이터 스케줄링 방법 및 신호 처리/핸들링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시간 단위를 슬롯으로 정의한다. 슬롯은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서브프레임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UL에서의 TX/RX 빔 정렬 과정에는 SRS가 BRRS(이하, UL BRRS)로 사용되고, DL에서의 TX/RX 빔 정렬 과정에는 CSI-RS가 BRRS(이하, DL BRRS)로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UL BRRS의 송신단과 수신단은 각각 단말 TX 빔과 기지국 RX 빔으로 설명될 수 있다. 유사하게, DL BRRS의 송신단과 수신단은 각각 기지국 TX 빔과 단말 RX 빔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TX/RX 빔 (방향)은 TX/RX 빔 ID (또는 인덱스) 또는 TX/RX 포트 ID (또는 인덱스) 등과 같은 등가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펑처링은 레이트-매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펑처링은 할당된 전송 자원(예, RB, RE)의 양에 맞춰 데이터 변조 심볼들을 생성한 뒤, 실제 가용한 전송 자원의 양에 맞춰 일부의 데이터 변조 심볼(들)을 드랍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레이트-매칭은 실제 가용한 전송 자원의 양에 맞춰 데이터 변조 심볼들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UL 빔 정렬과 UL 데이터 스케줄링
SRS(즉, UL BRRS) 전송 기반의 UL TX/RX 빔 정렬 과정으로 다음을 고려할 수 있으며, 각 옵션에서 UL 데이터 스케줄링 방법 및 단말 동작 방식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UL 데이터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시간 단위를 슬롯으로 가정하므로, UL 데이터에 대한 단말 TX 빔 (방향)과 기지국 RX 빔 (방향)도 슬롯 단위로 할당/설정된다고 가정한다(즉, 슬롯 내에서는 동일하게 할당/설정).
(1) 옵션 1
A. TX/RX 빔 정렬 수행 방식
i. 하나의 슬롯 내 복수 (모든 또는 특정 소수를 제외한 모든) 심볼을 통해 SRS 전송이 수행된다. 심볼은 OFDM(A) 심볼 또는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ii. 단말 TX 빔 (방향)은 슬롯 내에서 1회 이상 변경 또는 (슬롯 내) 각 심볼 (그룹) 단위로 변경된다. 심볼 그룹은 하나 이상의 연속된 심볼로 구성된다.
iii. 기지국 RX 빔 (방향)은 슬롯 단위로 변경된다(슬롯 내에서는 고정).
iv. 상기와 같이 전송되는 SRS를 "빔-스윕(sweep) SRS"로 칭함.
B. UL 데이터 스케줄링 및 단말 동작
i. Alt 1: 하나의 단말에게 동일 슬롯 내에서 빔-스윕 SRS와 (해당 SRS와 FDM 형태로 전송되는) UL 데이터(예, PUSCH)의 동시 전송이 허용/지원되지 않는 경우.
1. 빔-스윕 SRS와 UL 데이터가 동시에(예, 동일 슬롯에) 스케줄링/지시된 경우, 단말은 빔-스윕 SRS 전송만 수행하고 UL 데이터 전송은 생략(드랍)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빔-스윕 SRS와 UL 데이터에 할당된 자원(예, RE)이 서로 오버랩 되는지 여부는 상관없다. 한편, 빔-스윕 SRS가 슬롯 내에서 일부 시간 구간에서만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슬롯 내에서 빔-스윕 SRS가 전송되지 않는 시간 구간에서는 (펑처링/레이트 매칭을 통해) U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UL 데이터에는 HARQ가 적용되므로 일부라도 UL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UL 데이터 전송에 설정된 단말 TX 빔 (방향)이 UL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UL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시간 구간의 길이(예, 심볼 개수)가 특정 값(예, 3개 심볼) 이하이거나 UL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시간 구간에 DMRS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전체 UL 데이터 전송이 생략(드랍)될 수 있다.
2. 빔-스윕 SRS 전송과 (해당 SRS와 FDM 형태로 전송되는) UL 제어 전송(예, PUCCH)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동작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PUCCH의 보호 우선순위가 SRS보다 높으므로 SRS를 드랍하고 PUCCH만을 전송하도록 동작하거나, PUCCH에 실리는 UCI 타입에 따라 둘 중 하나를 드랍하고 나머지 하나만을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UCI 타입이 HARQ-ACK 혹은 SR인 경우에는 SRS를 드랍하고 PUCCH만을 전송하는 반면, UCI 타입이 CSI인 경우에는 PUCCH를 드랍하고 SRS만을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빔-스윕 SRS 전송과 (해당 SRS와 FDM 형태로 전송되는) UL 데이터 전송(예, PUSCH)에 대해서도, PUSCH 내 UL 데이터와 UCI간 다중화 유무에 따라 둘 중 하나를 드랍하고 나머지 하나만을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PUSCH 내 UL 데이터와 다중화되는 UCI가 없는 경우에는 PUSCH를 드랍하고 SRS만을 전송하는 반면, PUSCH 내 UL 데이터와 UCI가 다중화되는 경우에는 SRS를 드랍하고 PUSCH만을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는 PUSCH 내에 UL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실리는 UCI 타입에 따라 둘 중 하나를 드랍하고 나머지 하나만을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UCI 타입이 HARQ-ACK인 경우에는 SRS를 드랍하고 PUSCH만을 전송하는 반면, UCI 타입이 CSI인 경우에는 PUSCH를 드랍하고 SRS만을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ii. Alt 2: 하나의 단말에게 동일 슬롯 내에서 빔-스윕 SRS와 (해당 SRS와 FDM 형태로 전송되는) UL 데이터(예, PUSCH)의 동시 전송이 허용/지원될 수 있는 경우.
1. 빔-스윕 SRS 전송을 위해 단말 TX 빔 (방향)이 심볼 (그룹) 단위로 변경되므로, 단말은 UL 데이터 채널을 구성하는 모든 심볼 (그룹) 각각에 DMRS를 매핑/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2. 동일한 심볼 (그룹) 에 매핑되는 빔-스윕 SRS와 UL 데이터 신호는 동일한 (예, 해당 S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TX 빔 (방향)을 기반으로 전송될 수 있다. . 즉, S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TX 빔 (방향)을 UL 데이터 전송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UL 데이터를 전송하되, S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TX 빔 (방향)이 변경될 때마다 UL 데이터를 위한 DMRS가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빔-스윕 SRS와 UL 데이터에 할당된 자원(예, RE)이 서로 오버랩 되는지 여부는 상관없다. 한편, 빔-스윕 SRS가 슬롯 내에서 일부 시간 구간에서만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슬롯 내에서 빔-스윕 SRS가 전송되지 않는 시간 구간에서는 본래의 설정(예, UL 데이터에 설정된 TX 빔 (방향), DMRS 매핑 등)에 따라 U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iii. 복수의 슬롯에 걸친 빔 정렬 과정을 위해 빔-스윕 SRS 전송 자원으로 할당되는 복수 슬롯들은 (특정 주기를 가지고) 불연속적으로 구성/설정될 수 있음.
(2) 옵션 2
A. TX/RX 빔 정렬 수행 방식
i. 하나의 슬롯 내 복수 (모든 또는 특정 소수를 제외한 모든) 심볼을 통해 SRS 전송이 수행된다. 심볼은 OFDM(A) 심볼 또는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ii. 단말 TX 빔 (방향)은 슬롯 단위로 변경된다(슬롯 내에서는 고정).
iii. 기지국 RX 빔 (방향)은 슬롯 내에서 1회 이상 변경 또는 (슬롯 내) 각 심볼 (그룹) 단위로 변경된다. 심볼 그룹은 하나 이상의 연속된 심볼로 구성된다.
iv. 상기와 같이 전송되는 SRS를 "빔-리핏(repeat) SRS"로 칭함.
B. UL 데이터 스케줄링 및 단말 동작
i. 빔-리핏 SRS와 UL 데이터의 단말 TX 빔 (방향)이 모두 슬롯 단위로 변경되므로, 하나의 단말에게 동일 슬롯 내에서 빔-리핏 SRS와 (해당 SRS와 FDM 형태로 전송되는) UL 데이터(예, PUSCH)의 동시 전송이 허용/지원될 수 있다.
1. 상기 동작은 빔-리핏 SRS 전송과 UL 데이터 전송에 동일한 단말 TX 빔 (방향)이 지시된 경우로 한정될 수 있다. 이때 두 UL 신호에 할당된 자원(예, RE)이 서로 오버랩 되는 경우, 단말은 SRS 전송은 그대로 수행하되 UL 데이터에 대해서는, a) 오버랩된 자원에만 신호를 (펑처링을 적용하여) 매핑/전송하지 않거나, b) 전체 UL 데이터 전송을 생략 (드랍)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2. 빔-리핏 SRS 전송과 UL 데이터 전송에 대해 서로 다른 단말 TX 빔 (방향)이 지시된 경우, 단말은 SRS 전송만 수행하고 UL 데이터 전송은 생략 (드랍)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3. 빔-리핏 SRS 전송과 UL 데이터 전송에 대해 서로 다른 단말 TX 빔 (방향)이 지시된 경우, 단말은 S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TX 빔 (방향)을 UL 데이터 전송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동일 슬롯 내에서 빔-리핏 SRS와 (해당 SRS와 FDM 형태로 전송되는) UL 데이터(예, PUSCH)를 모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빔-리핏 SRS가 슬롯 내에서 일부 시간 구간에서만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슬롯 내에서 빔-리핏 SRS가 전송되지 않는 시간 구간에서는 UL 데이터에 대해 원래 지시된 단말 TX 빔 (방향)을 UL 데이터 전송에 적용하고, 빔-리핏 SRS가 전송되는 시간 구간에서는 S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TX 빔 (방향)을 UL 데이터 전송에 적용할 수 있다. 다만, UL 데이터에 대해 원래 지시된 단말 TX 빔 (방향)이 적용되는 시간 구간과 S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TX 빔 (방향)이 적용되는 시간 구간 중에 DMRS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 구간이 있는 경우, 단말은 해당 시간 구간에서 UL 데이터에 대해서는, a) 신호를 (펑처링을 적용하여) 매핑/전송하지 않거나, b) DMRS를 추가로 매핑/전송할 수 있다.
ii. 복수의 슬롯에 걸친 빔 정렬 과정을 위해 빔-리핏 SRS 전송 자원으로 할당되는 복수 슬롯들은 (특정 주기를 가지고) 불연속적으로 구성/설정될 수 있음.
(3) 옵션 3
A. TX/RX 빔 정렬 수행 방식
i. 하나의 슬롯 내 단일 (또는 특정 소수) 심볼 (그룹)을 통해 SRS 전송이 수행된다. 여기서, 심볼은 OFDM(A) 심볼 또는 SC-FDM(A) 심볼을 포함하고, 심볼 그룹은 하나 이상의 연속된 심볼로 구성된다.
ii. 상기에서 단일 슬롯 내 SRS 전송 심볼 (그룹) 수가 하나 이상인 경우
1. Case 1: 단말 TX 빔 (방향)은 슬롯 내에서 1회 이상 변경 또는 (슬롯 내) 각 심볼 (그룹) 단위로 변경되고, 기지국 RX 빔 (방향)은 슬롯 단위로 변경된다(슬롯 내에서는 고정).
2. Case 2: 단말 TX 빔 (방향)은 슬롯 단위로 변경 (슬롯 내에서는 고정)되고, 기지국 RX 빔 (방향)은 슬롯 내에서 1회 이상 변경 또는 (슬롯 내) 각 심볼 (그룹) 단위로 변경된다.
iii. 상기와 같이 전송되는 SRS를 "싱글(single)-빔 SRS"로 칭함.
B. UL 데이터 스케줄링 및 단말 동작
i. 하나의 단말에게 동일 슬롯 내에서 싱글-빔 SRS와 UL 데이터(예, PUSCH)의 동시 전송이 허용/지원될 수 있다.
1. Case 1: 싱글-빔 SRS 전송과 UL 데이터 전송에 대해 동일한 단말 TX 빔 (방향)이 지시된 경우, 두 UL 신호간에 자원(예, RE) 오버랩이 없으면, 단말은 해당 두 UL 신호를 모두 (동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만약, 두 UL 신호간에 자원(예, RE) 오버랩이 있으면, 단말은 a) SRS는 그대로 전송하고 UL 데이터는 오버랩된 자원에만 (혹은 SRS 전송 심볼에 대해서만) 신호를 (펑처링을 적용하여) 매핑/전송하지 않거나, b) UL 데이터는 그대로 전송하고 SRS는 전송을 생략 (드랍)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2. Case 2: 싱글-빔 SRS 전송과 UL 데이터 전송에 대해 서로 다른 단말 TX 빔 (방향)이 지시된 경우, 두 UL 신호간의 자원(예, RE) 오버랩 여부와 관계없이, 단말은 a) SRS는 그대로 전송하고 UL 데이터는 SRS 전송 심볼에 대해서만 신호를 (펑처링을 적용하여) 매핑/전송하지 않거나, b) UL 데이터는 그대로 전송하고 SRS는 전송을 생략 (드랍)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c) SRS 전송 심볼에 대해서만 S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TX 빔을 UL 데이터 전송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동일 슬롯 내에서 싱글-빔 SRS와 (해당 SRS와 FDM 형태로 전송되는) UL 데이터(예, PUSCH)를 모두 전송할 수 있다. c)의 경우, SRS 미전송 심볼에 대해서는 UL 데이터에 대해 원래 지시된 단말 TX 빔 (방향)을 UL 데이터 전송에 적용할 수 있다.
3. Case 3: 단일 슬롯 내 SRS 전송 심볼 (그룹) 수가 하나 이상인 경우, 단말은 a) 각 SRS 심볼 (그룹) 별로, 혹은 b) 모든 SRS 심볼 (그룹)에 공통으로 상기 Case 1/2에 제시된 동작을 적용할 수 있다.
ii. 복수의 슬롯에 걸친 빔 정렬 과정을 위해 싱글-빔 SRS 전송 자원으로 할당되는 복수 슬롯들은 연속적으로 구성/설정되거나, (특정 주기를 가지고) 불연속적으로 구성/설정될 수 있다. 인접하여 할당되는 슬롯간 시간 간격 (즉, 할당 슬롯 주기)의 경우, 옵션 3이 옵션 1/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될 수 있다.
(4) 관련 이슈
A. 상기 빔 정렬 수행 과정(특히, 옵션 1/2의 경우)에 대하여, 하나의 단말에게 동일 슬롯 내에서 UL BRRS(예, 빔-스윕 SRS, 빔-리핏 SRS)와 UL 데이터 동시 전송이 허용/지원되는지의 여부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설정/시그널링 될 수 있다.
i. 예를 들어, 동일 슬롯 내의 빔-스윕 SRS 또는 빔-리핏 SRS와 UL 데이터에 대한 동시 전송이 가능한지, 아니면 빔-스윕 SRS 또는 빔-리핏 SRS 전송이 설정된 슬롯에 대해서는 UL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지가 설정/시그널링 될 수 있다.
B. UL 데이터 전송과 UL BRRS(예, 빔-스윕 SRS, 빔-리핏 SRS 또는 싱글-빔 SRS) 전송에 적용되는 단말 TX 빔 (방향)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아래의 방안은 상황에 따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i. Alt 1: UL 데이터와 SRS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단말 TX 빔 (방향)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L 데이터에 대한 단말 TX 빔 (방향)은 L1(layer 1) 시그널링(예, PDCCH)를 통해 지시될 수 있다. 또한, SRS에 대한 단말 TX 빔 (방향)은 심볼 (그룹)/슬롯 인덱스에 따라 미리 정의되거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을 통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ii. Alt 2: UL 데이터 전송에 지시된 단말 TX 빔 (방향)이 SRS 전송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iii. Alt 3: 두 UL 신호 전송에 동일한 단말 TX 빔 (방향)이 적용됨을 가정할 수 있다(특히, 옵션 2/3의 경우). 예를 들어, S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TX 빔 (방향)이 UL 데이터 전송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전송 과정을 예시한다. 단말의 신호 전송을 위해 상술한 방안들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뒤(S1502),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심볼을 갖는 시간 슬롯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504). 여기서, 시간 슬롯 내에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빔 방향은 시간 슬롯 내에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반면, 시간 슬롯 내에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빔 방향은 시간 슬롯 내에서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가 전송되는 심볼에서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의 전송 빔 방향에 맞춰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해 원래 설정된 전송 빔 방향은 상기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의 전송 빔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빔 방향이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의 전송 빔 방향에 맞춰 변경되는 경우,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가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심볼에서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복조를 위한 참조 신호가 추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시간 슬롯에서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의 전송 빔 방향은 심볼 그룹 별로 달라지고,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빔 방향도 빔-정렬을 위한 참조 신호의 전송 빔 방향에 맞춰 심볼 그룹 별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DL 빔 정렬과 DL 데이터 스케줄링
CSI-RS(즉, DL BRRS) 전송 기반의 DL TX/RX 빔 정렬 과정으로 다음을 고려할 수 있으며, 각 옵션에서 DL 데이터 스케줄링 방법 및 단말 동작 방식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DL 데이터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시간 단위를 슬롯으로 가정하므로, DL 데이터에 대한 기지국 TX 빔 (방향)과 단말 RX 빔 (방향)도 슬롯 단위로 할당/설정된다고 가정한다(즉, 슬롯 내에서는 동일하게 할당/설정).
(1) 옵션 1
A. TX/RX 빔 정렬 수행 방식
i. 하나의 슬롯 내 복수 (모든 또는 특정 소수를 제외한 모든) 심볼을 통해 CSI-RS 전송이 수행된다. 심볼은 OFDM(A) 심볼을 포함한다.
ii. 단말 RX 빔 (방향)은 슬롯 내에서 1회 이상 변경 또는 (슬롯 내) 각 심볼 (그룹) 단위로 변경된다. 심볼 그룹은 하나 이상의 연속된 심볼로 구성된다.
iii. 기지국 TX 빔 (방향)은 슬롯 단위로 변경된다(슬롯 내에서는 고정).
iv. 상기와 같이 전송되는 CSI-RS를 "빔-스윕 CSI-RS"로 칭함.
B. DL 데이터 스케줄링 및 단말 동작
i. Alt 1: 하나의 단말에게 동일 슬롯 내에서 빔-스윕 CSI-RS와 (해당 CSI-RS와 FDM 형태로 전송되는) DL 데이터(예, PDSCH)의 동시 수신이 허용/지원되지 않는 경우.
1. 빔-스윕 CSI-RS와 (해당 CSI-RS와 FDM 형태로 전송되는) DL 데이터가 동시에(예, 동일 슬롯에) 스케줄링/지시된 경우, 단말은 빔-스윕 CSI-RS 수신만 수행하고 DL 데이터 수신은 생략 (드랍)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빔-스윕 CSI-RS와 DL 데이터에 할당된 자원(예, RE)이 서로 오버랩 되는지 여부는 상관없다. 한편, 빔-스윕 CSI-RS가 슬롯 내에서 일부 시간 구간에서만 수신되는 경우, 단말은 슬롯 내에서 빔-스윕 CSI-RS가 수신되지 않는 시간 구간에서는 (펑처링/레이트 매칭을 통해) DL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DL 데이터에는 HARQ가 적용되므로 일부라도 DL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DL 데이터 전송에 설정된 단말 RX 빔 (방향)이 DL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DL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시간 구간의 길이(예, 심볼 개수)가 특정 값(예, 3개 심볼) 이하이거나 DL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시간 구간에 DMRS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전체 DL 데이터 수신이 생략(드랍)될 수 있다.
2. 상기 (그리고 하기)에서 수신을 생략한 DL 데이터에 대해, 단말은 a) HARQ-ACK 피드백을 NACK으로 매핑하여 전송하거나, b) HARQ-ACK 전송도 생략 (드랍)할 수 있다.
ii. Alt 2: 하나의 단말에게 동일 슬롯 내에서 빔-스윕 CSI-RS와 (해당 CSI-RS와 FDM 형태로 전송되는) DL 데이터의 동시 수신이 허용/지원될 수 있는 경우.
1. 빔-스윕 CSI-RS 수신을 위해 단말 RX 빔 (방향)이 심볼 (그룹) 단위로 변경되므로 DL 데이터 채널을 구성하는 모든 심볼 (그룹) 각각에 DMRS가 매핑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2. 동일한 심볼 (그룹)에 매핑되는 빔-스윕 CSI-RS와 DL 데이터 신호는 동일한 (예, 해당 CSI-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RX 빔 (방향)을 기반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CSI-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RX 빔 (방향)을 DL 데이터 전송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DL 데이터를 전송하되, CSI-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RX 빔 (방향)이 변경될 때마다 DL 데이터를 위한 DMRS가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빔-스윕 CSI-RS 와 DL 데이터에 할당된 자원(예, RE)이 서로 오버랩 되는지 여부는 상관없다. 한편, 빔-스윕 CSI-RS가 슬롯 내에서 일부 시간 구간에서만 수신되는 경우, 단말은 슬롯 내에서 빔-스윕 CSI-RS가 전송되지 않는 시간 구간에서는 본래의 설정(예, DL 데이터에 설정된 RX 빔 (방향), DMRS 매핑 등)에 따라 DL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iii. 복수의 슬롯에 걸친 빔 정렬 과정을 위해 빔-스윕 CSI-RS 전송 자원으로 할당되는 복수 슬롯들은 (특정 주기를 가지고) 불연속적으로 구성/설정될 수 있음.
(2) 옵션 2
A. TX/RX 빔 정렬 수행 방식
i. 하나의 슬롯 내 복수 (모든 또는 특정 소수를 제외한 모든) 심볼을 통해 CSI-RS 전송이 수행된다. 심볼은 OFDM(A) 심볼을 포함한다.
ii. 단말 RX 빔 (방향)은 슬롯 단위로 변경 (슬롯 내에서는 고정).
iii. 기지국 TX 빔 (방향)은 슬롯 내에서 1회 이상 변경 또는 (슬롯 내) 각 심볼 (그룹) 단위로 변경된다. 심볼 그룹은 하나 이상의 연속된 심볼로 구성된다.
iv. 상기와 같이 전송되는 CSI-RS를 "빔-리핏(repeat) CSI-RS"로 칭함.
B. DL 데이터 스케줄링 및 단말 동작
i. 빔-리핏 CSI-RS와 DL 데이터의 단말 RX 빔 (방향)이 모두 슬롯 단위로 변경되므로, 하나의 단말에게 동일 슬롯 내에서 빔-리핏 CSI-RS와 (해당 CSI-RS와 FDM 형태로 전송되는) DL 데이터(예, PDSCH)의 동시 수신이 허용/지원될 수 있다.
1. 상기 동작은 빔-리핏 CSI-RS 전송과 DL 데이터 전송에 동일한 단말 RX 빔 (방향)이 지시된 경우로 한정될 수 있다. 이때 두 DL 신호간에 자원(예, RE) 오버랩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CSI-RS 수신은 그대로 수행하되 DL 데이터에 대해서는, a) 오버랩된 자원에만 신호를 (펑처링을 적용하여) 매핑/수신하지 않거나, b) 전체 DL 데이터 수신을 생략 (드랍)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
2. 빔-리핏 CSI-RS 전송과 DL 데이터 전송에 대해 서로 다른 단말 RX 빔이 지시된 경우, 단말은 CSI-RS 수신만 수행하고 DL 데이터 수신은 생략 (드랍)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3. 빔-리핏 CSI-RS 수신과 DL 데이터 전송에 대해 서로 다른 단말 RX 빔 (방향)이 지시된 경우, 단말은 CSI-RS 수신에 설정된 단말 RX 빔 (방향)을 DL 데이터 수신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동일 슬롯 내에서 빔-리핏 CSI-RS와 (해당 CSI-RS와 FDM 형태로 전송되는) DL 데이터(예, PDSCH)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빔-리핏 CSI-RS가 슬롯 내에서 일부 시간 구간에서만 수신되는 경우, 단말은 슬롯 내에서 빔-리핏 CSI-RS가 수신되지 않는 시간 구간에서는 DL 데이터에 대해 원래 지시된 단말 RX 빔 (방향)을 DL 데이터 수신에 적용하고, 빔-리핏 CSI-RS가 수신되는 시간 구간에서는 CSI-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RX 빔 (방향)을 DL 데이터 수신에 적용할 수 있다. 다만, DL 데이터에 대해 원래 지시된 단말 RX 빔 (방향)이 적용되는 시간 구간과 CSI-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RX 빔 (방향)이 적용되는 시간 구간 중에 DMRS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 구간이 있는 경우, 기지국은 해당 시간 구간에서 DL 데이터에 대해서는, a) 신호를 (펑처링을 적용하여) 매핑/전송하지 않거나, b) DMRS를 추가로 매핑/전송할 수 있다.
ii. 복수의 슬롯에 걸친 빔 정렬 과정을 위해 빔-리핏 CSI-RS 전송 자원으로 할당되는 복수 슬롯들은 (특정 주기를 가지고) 불연속적으로 구성/설정될 수 있음.
(3) 옵션 3
A. TX/RX 빔 정렬 수행 방식
i. 하나의 슬롯 내 단일 (또는 특정 소수) 심볼 (그룹)을 통해 CSI-RS 전송이 수행된다. 여기서, 심볼은 OFDM(A) 심볼을 포함하고, 심볼 그룹은 하나 이상의 연속된 심볼로 구성된다.
ii. 상기에서 단일 슬롯 내 CSI-RS 전송 심볼 (그룹) 수가 하나 이상인 경우
1. Case 1: 단말 RX 빔 (방향)은 슬롯 내에서 1회 이상 변경 또는 (슬롯 내) 각 심볼 (그룹) 단위로 변경되고, 기지국 TX 빔 (방향)은 슬롯 단위로 변경된다(슬롯 내에서는 고정).
2. Case 2: 단말 RX 빔 (방향)은 슬롯 단위로 변경 (슬롯 내에서는 고정)되고, 기지국 TX 빔 (방향)은 슬롯 내에서 1회 이상 변경 또는 (슬롯 내) 각 심볼 (그룹) 단위로 변경된다.
iii. 상기와 같이 전송되는 CSI-RS를 "싱글(single)-빔 CSI-RS"로 칭함.
B. DL 데이터 스케줄링 및 단말 동작
i. 하나의 단말에게 동일 슬롯 내에서 싱글-빔 CSI-RS와 DL 데이터(예, PDSCH)의 동시 수신이 허용/지원될 수 있다.
1. Case 1: 싱글-빔 CSI-RS 전송과 DL 데이터 전송에 대해 동일한 단말 RX 빔 (방향)이 지시된 경우, 두 DL 신호간에 자원(예, RE) 오버랩이 없으면, 단말은 해당 두 DL 신호를 모두 (동시)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만약, 두 DL 신호간에 자원(예, RE) 오버랩이 있으면, 단말은 a) CSI-RS는 그대로 수신하고 DL 데이터는 오버랩된 자원에 대해서만 (혹은 CSI-RS 전송 심볼에 대해서만) 신호를 (펑처링을 적용하여) 매핑/수신하지 않거나, b) DL 데이터는 그대로 수신하고 CSI-RS는 수신을 생략 (드랍)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2. Case 2: 싱글-빔 CSI-RS 전송과 DL 데이터 전송에 대해 서로 다른 단말 RX 빔 (방향)이 지시된 경우, 두 DL 신호간의 자원(예, RE) 오버랩 여부와 관계없이, 단말은 a) CSI-RS는 그대로 수신하고 DL 데이터는 CSI-RS 전송 심볼에 대해서만 신호를 (펑처링을 적용하여) 매핑/수신하지 않거나, b) DL 데이터는 그대로 수신하고 CSI-RS는 수신을 생략 (드랍)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c) CSI-RS 전송 심볼에 대해서만 CSI-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RX 빔을 DL 데이터 수신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동일 슬롯 내에서 싱글-빔 CSI-RS와 (해당 CSI-RS와 FDM 형태로 전송되는) DL 데이터(예, PDSCH)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c)의 경우, CSI-RS 미전송 심볼에 대해서는 DL 데이터에 대해 원래 지시된 단말 RX 빔 (방향)을 DL 데이터 수신에 적용할 수 있다.
3. Case 3: 단일 슬롯 내 CSI-RS 전송 심볼 (그룹) 수가 하나 이상인 경우, 단말은 a) 각 CSI-RS 심볼 (그룹) 별로, 혹은 b) 모든 CSI-RS 심볼 (그룹)에 공통으로 상기 Case 1/2에 제시된 동작을 적용할 수 있다.
ii. 복수의 슬롯에 걸친 빔 정렬 과정을 위해 싱글-빔 CSI-RS 전송 자원으로 할당되는 복수 슬롯들은 연속적으로 구성/설정되거나, 혹은 (특정 주기를 가지고) 불연속적으로 구성/설정될 수 있으며, 인접하여 할당되는 슬롯간 시간 간격 (즉, 할당 슬롯 주기)의 경우 옵션 3가 상기 옵션 1/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될 수 있음.
(4) 관련 이슈
A. 상기 빔 정렬 수행 과정 (특히, 옵션 1/2의 경우)에 대하여, 하나의 단말에게 동일 슬롯 내에서 DL BRRS(예, 빔-스윕 CSI-RS, 빔-리핏 CSI-RS)와 DL 데이터의 동시 수신이 허용/지원되는지의 여부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설정/시그널링 될 수 있다.
i. 예를 들어, 동일 슬롯 내의 빔-스윕 CSI-RS 또는 빔-리핏 CSI-RS와 DL 데이터에 대한 동시 수신이 가능한지, 아니면 빔-스윕 CSI-RS 또는 빔-리핏 CSI-RS 전송이 설정된 슬롯에 대해서는 DL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한지가 설정/시그널링 될 수 있다.
B. DL 데이터 전송과 DL BRRS(예, 빔-스윕 CSI-RS, 빔-리핏 CSI-RS 또는 싱글-빔 CSI-RS) 전송에 적용되는 단말 RX 빔 (방향) (및/또는 기지국 TX 빔 (방향))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아래의 방안은 상황에 따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i. Alt 1: DL 데이터와 CSI-RS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단말 RX 빔 (방향) (및/또는 기지국 TX 빔 (방향))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데이터에 대한 단말 RX 빔 (방향) (및/또는 기지국 TX 빔 (방향))은 L1(layer 1) 시그널링(예, PDCCH)를 통해 지시될 수 있다. 또한, CSI-RS에 대한 단말 RX 빔 (방향) (및/또는 기지국 TX 빔 (방향))은 심볼 (그룹)/슬롯 인덱스에 따라 미리 정의되거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을 통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ii. Alt 2: DL 데이터 전송에 지시된 단말 RX 빔 (방향) (및/또는 기지국 TX 빔 (방향))이 CSI-RS 수신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iii. Alt 3: 두 DL 신호 전송에 동일한 단말 RX 빔 (방향) (및/또는 기지국 TX 빔 (방향))이 적용됨을 가정할 수 있다(특히, 옵션 2/3의 경우). 예를 들어, CSI-RS 전송에 설정된 단말 RX 빔 (방향) (및/또는 기지국 TX 빔 (방향))이 DL 데이터 수신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단말 동작 방식 (신호처리 및 핸들링 방법)의 적용은 UL/DL 빔 정렬을 목적으로 설정된 UL/DL BRRS 전송 상황에만 국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일반적인 상황에 (예, 상기 옵션 2/3에서와 유사한 형태로) 설정된 UL SRS 및 DL CSI-RS 전송에 대해서도 제안 방식에서의 동작 원리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및 단말을 예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S, 110) 및 단말(UE, 120)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릴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기지국 또는 단말은 릴레이로 대체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프로세서(112), 메모리(114)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11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4)는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16)은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120)은 프로세서(122), 메모리(124) 및 무선 주파수 유닛(12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24)는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2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26)은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신호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송수신 관계는 단말과 릴레이 또는 기지국과 릴레이간의 신호 송수신에도 동일/유사하게 확장된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기지국, 또는 기타 다른 장비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함에 있어서,
    슬롯에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스케줄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 및
    빔 실패 검출용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CSI-RS 자원이 상기 슬롯 내 상기 CSI-RS 자원의 복수 심볼들 내에서 동일 하향링크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로 전송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PDSCH는 상기 복수 심볼들에서 수신되지 않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SI-RS 자원은 다중 슬롯들의 주기로 발생하도록 설정된 것인,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SI-RS 자원 및 상기 PDSCH에 할당된 주파수 자원들은 상이한,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DSCH가 상기 슬롯 내 상기 복수 심볼들에서 수신되지 않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PDSCH에 대한 부정 확인(negative acknowledgement, NACK)을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DSCH가 상기 슬롯 내 상기 복수 심볼들에서 수신되지 않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PDSCH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확인(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HARQ-ACK) 피드백을 드랍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빔 실패 검출용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전송; 및
    슬롯에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스케줄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CSI-RS 자원이 상기 슬롯 내 상기 CSI-RS 자원의 복수 심볼들 내에서 동일 하향링크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로 전송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PDSCH는 상기 복수 심볼들에서 전송되지 않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SI-RS 자원은 다중 슬롯들의 주기로 발생하도록 설정되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SI-RS 자원 및 상기 PDSCH에 할당된 주파수 자원들은 상이한,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DSCH가 상기 슬롯 내 상기 복수 심볼들에서 전송되지 않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PDSCH에 대한 부정 확인(negative acknowledgement, NACK)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DSCH가 상기 슬롯 내 상기 복수 심볼들에서 전송되지 않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PDSCH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확인(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HARQ-ACK) 피드백의 수신을 드랍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KR1020237001914A 2017-01-06 2018-01-08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그리고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KR202300148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3620P 2017-01-06 2017-01-06
US62/443,620 2017-01-06
KR1020197022250A KR102493052B1 (ko) 2017-01-06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CT/KR2018/000337 WO2018128495A1 (ko) 2017-01-06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250A Division KR102493052B1 (ko) 2017-01-06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880A true KR20230014880A (ko) 2023-01-30

Family

ID=627910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250A KR102493052B1 (ko) 2017-01-06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237001914A KR20230014880A (ko) 2017-01-06 2018-01-08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그리고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250A KR102493052B1 (ko) 2017-01-06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999745B2 (ko)
EP (2) EP3567782B1 (ko)
KR (2) KR102493052B1 (ko)
WO (1) WO2018128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9745B2 (en) 2017-01-06 2021-05-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6669161A (zh) * 2017-06-15 2023-08-2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波束成形系统中的终端的发送功率的方法和装置
KR102506475B1 (ko) 2017-08-31 2023-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csi-rs 자원 반복 전송 지원 방법 및 장치
US11343804B2 (en) * 2018-02-14 2022-05-24 Qualcomm Incorporated Phase-tracking reference signal mapping
KR102470529B1 (ko) 2018-03-07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TWI710227B (zh) * 2018-08-17 2020-11-11 美商Idac控股公司 多trp之波束管理
CN110971339B (zh) * 2018-09-28 2021-04-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终端
US11838767B2 (en) * 2020-04-10 2023-12-05 Qualcomm Incorporated Beam training to enable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US11784768B2 (en) * 2020-05-19 2023-10-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7817B (zh) * 2010-08-02 2014-01-0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知参考信号配置信息的方法及设备
KR101764261B1 (ko) * 2011-07-15 2017-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고정 장치 및 방법
KR101881847B1 (ko) 2012-02-21 2018-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41375B1 (ko) * 2012-09-27 2020-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점 협력 전송을 위한 제어 정보 시그널링 방법
WO2015142045A1 (ko) * 2014-03-18 2015-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N106664192B (zh) * 2015-01-30 2020-12-01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配置csi-rs天线端口的端口编号的方法和设备
TWI767306B (zh) * 2015-11-10 2022-06-11 美商Idac控股公司 波束成形系統下行控制頻道設計及傳訊
US10524150B2 (en) * 2016-01-14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ell measuremen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00752B2 (en) * 2016-01-14 2020-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of beam-tracking and beam feedback operation in a beam-forming based system
TWI751147B (zh) * 2016-03-30 2022-01-01 美商內數位專利控股公司 無線傳輸/接收單元及其執行方法
US10687335B2 (en) * 2016-06-10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Informing base station regarding user equipment's reception of beam change instruction
US10855342B2 (en) * 2016-06-24 2020-12-0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E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567038B (zh) * 2016-07-01 2021-04-27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中当服务波束为无效时管理通信的方法和设备
BR112019006033A2 (pt) * 2016-09-29 2019-06-18 Fg innovation co ltd aparelho de terminal, aparelho de estação-base, método de comunicação e circuito integrado
US10999745B2 (en) 2017-01-06 2021-05-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51285B2 (en) * 2017-01-06 2021-03-16 Futurewei Technologies, Inc. Hybrid mobility and radio resource management mechanisms
US10951371B2 (en) * 2017-05-19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CSI-RS transmission overhea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50478B2 (en) * 2017-12-19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reporting in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66760A1 (en) 2021-08-26
EP3979548A1 (en) 2022-04-06
US10999745B2 (en) 2021-05-04
EP3567782A1 (en) 2019-11-13
EP3567782B1 (en) 2021-12-08
WO2018128495A1 (ko) 2018-07-12
US20230049814A1 (en) 2023-02-16
EP3567782A4 (en) 2020-09-09
US11528618B2 (en) 2022-12-13
US20190364438A1 (en) 2019-11-28
KR102493052B1 (ko) 2023-01-30
US11729634B2 (en) 2023-08-15
KR20190095957A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1229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nlink channel,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ownlink channel
KR10249305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14074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7704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58718B1 (ko)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KR10206907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30240B2 (en) Communication method considering carrier type and apparatus for same
KR102124485B1 (ko)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80934B2 (en) Method for puncturing UE specific reference signal in radio access system supporting new carrier type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JP730962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無線信号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US9432986B2 (en) Control signal transce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ame
US106817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141462A2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수신확인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EP3157188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13458A (ko)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3334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30118878A (ko)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86088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ceiving/transmitting downlink data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new carrier type
KR2017005361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68006A (ko)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5297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