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573A - 미용 기구 및 미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용 기구 및 미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573A
KR20230014573A KR1020210096061A KR20210096061A KR20230014573A KR 20230014573 A KR20230014573 A KR 20230014573A KR 1020210096061 A KR1020210096061 A KR 1020210096061A KR 20210096061 A KR20210096061 A KR 20210096061A KR 20230014573 A KR20230014573 A KR 20230014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ater
led
beauty
exi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이와이
유스케 니시다
아야네 오노
Original Assignee
코덴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덴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코덴시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096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573A/ko
Publication of KR2023001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36Irradiating the who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8Apparatus adapted for operation in a moist environment, e.g. bath or show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욕조에 모아 둔 물에 띄워 사용되는 것으로서, 550㎚ 이상 880㎚ 이하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LED와, 상기 LED를 내부에 수용하고, 물에 띄운 상태에서 상기 LED로부터 나온 광을 하향으로 출사하는 광출사면이 형성된 케이싱을 구비하는 미용 기구.

Description

미용 기구 및 미용 시스템{BEAUTY EQUIPMENT AND BEAUTY SYSTEM}
본 발명은 미용 효과가 있는 광을 피부에 조사하는 미용 기구 및 해당 미용 기구를 구비하는 미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용 분야에 있어서의 오랜 세월의 연구에 의해, LED(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특정 파장의 광을 피부에 조사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미용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590㎚ 근방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고, 633㎚ 근방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콜라겐의 생성 촉진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또한, 830㎚ 근방이나 850㎚ 근방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피부의 수복(修復)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근래에는, 이와 같은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한 미용 효과를 이용한 미용 기기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사람의 전신을 수용 가능한 챔버를 구비하는 캡슐형의 것으로, 챔버 내에 들어가 있는 사람의 피부에 400㎚~780㎚의 파장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전신에 대한 미용 효과가 얻어지도록 한 피부 미용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3221829호 공보
그렇지만, 전신에 대한 미용 효과가 얻어지는 종래의 미용 시스템은, 전신을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대규모의 것이므로, 개인적으로 구입하여 소유하는 것이 어렵다. 그 때문에, 전신에 대한 미용 효과를 얻고 싶은 경우에는, 캡슐형의 미용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에스테틱 살롱 등의 전문점에 일부러 다닐 필요가 있어, 시간과 노력이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신에 대한 미용 효과를 자택 등에서 간편하게 얻을 수 있는 미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미용 기구는, 욕조에 모아 둔 물에 띄워 사용되는 것으로서, 550㎚ 이상 880㎚ 이하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LED와, 상기 LED를 내부에 수용하고, 물에 띄운 상태에서 상기 LED로부터 나온 광을 하향으로 출사하는 광출사면이 형성된 케이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550㎚ 이상 880㎚ 이하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LED"란,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피크 파장이 550㎚ 이상 880㎚가 되도록 하는 광을 발하는 LED인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본 발명의 미용 기구를 욕조에 띄워 사용하면, 피부에 대한 미용 효과가 있는 광이 수중으로 출사되고, 이 출사된 광이 욕조의 내면이나 수면에서 난반사를 반복함으로써, 미용 효과가 있는 광을 욕조 내의 전체에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에스테틱 살롱 등의 전문점에 일부러 다니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자택에서의 입욕시에 욕조에 채운 데운 물에 미용 기구를 띄우고, 이 욕조에 몸을 담그는 것만으로, 전신에 대한 미용 효과를 간편하게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입욕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데운 물로 전신이 따뜻해지는 것에 의한 온열 효과로 피부 조직이 활성화되어, 얻어지는 전신의 미용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광을 하향으로 출사하는"이란,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향 성분을 포함하도록 광을 출사하는 것을 의미하며, 경사진 하향으로 출사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미용 기구는, 물에 띄운 상태에서, 상기 광출사면의 적어도 일부가 수중에 잠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광출사면의 적어도 일부가 수중에 잠겨 있으므로, LED로부터 나온 광을 보다 확실하게 수중으로 출사할 수 있어, 전신의 미용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미용 효과가 있는 LED의 광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 조사되면, 눈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미용 기구는, 물에 띄운 상태에서, 상기 광출사면의 전부가 수중에 잠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광출사면이 모두 수중에 잠겨 있으므로, 광출사면으로부터 나온 광은 수면에서 난반사되어, 광출사면으로부터 나온 광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LED로부터 나온 광을 효율적으로 수중에 출사할 수 있으므로, 전신의 미용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미용 기구는, 상기 광출사면이, 그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광출사면의 표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므로, 미용 기구를 물에 띄우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요철 형상에 의해 확산되어, 사용자의 눈에 강한 강도의 광이 직접 조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미용 기구를 물에 띄운 상태에서는, 광출사면의 표면의 요철이 물로 메워짐으로써, 광출사면으로부터 강한 강도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미용 효과를 크게 저감시키는 일 없이, 사용자의 눈의 건강 피해의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미용 기구는, 상기 광출사면이, 물에 띄운 상태에서 상기 욕조의 저면과 대향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를 둘러싸고, 상기 저면부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세워지도록 형성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해당 측면부의 표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용 기구를 물에 띄운 상태에서 입욕하면, 사용자가 움직임으로써 수면이 요동하여, 광출사면의 측면부가 물 위로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측면부의 표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해 두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요철 형상에 의해 확산되어, 사용자의 눈에 강한 강도의 광이 직접 조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미용 기구는, 상기 케이싱이, 물에 띄운 상태에서 하향으로 되는 한쪽 면에 상기 광출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 면에 전원 버튼이 마련된 조작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광출사면이 형성되는 면과는 반대 측 면에 조작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광출사면을 아래로 향하게 하고, 출사된 광이 눈에 직접 조사되지 않게 하면서, 전원의 온·오프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미용 기구는, 상기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량이, 상기 케이싱의 중심 축에 대하여 축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미용 기구의 방향에 관계없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욕조 내에 있어서의 분포를 보다 균등하게 할 수 있어, 전신에 대한 미용 효과의 불균일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미용 기구는 무선 충전 가능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충전을 위한 케이블의 삽입구를 케이싱에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미용 기구의 양태로서, 570㎚ 이상 610㎚ 이하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제1 LED, 610㎚ 이상 650㎚ 이하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제2 LED, 또는 800㎚ 이상 880㎚ 이하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제3 LED 중 적어도 한 종류를 상기 LED로서 구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이면, 제1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2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제3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피부 수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용 시스템은, 욕조와, 상기 욕조에 모아 둔 물에 띄워 사용되는 상기 미용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미용 시스템이면, 본 발명의 미용 기구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미용 시스템은, 상기 욕조에 모아 둔 물 안에, 상기 미용 기구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제가 부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광확산제에 닿아 확산됨으로써, 피부 미용 효과가 있는 광이 욕조 내에서 보다 균등하게 분포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전신의 미용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광확산제의 구체적인 양태로서는, 입욕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신에 대한 미용 효과를 자택 등에서 간편하게 얻을 수 있는 미용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동 실시 형태의 미용 기구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실시 형태의 미용 기구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실시 형태의 미용 기구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동 실시 형태의 미용 기구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실시 형태의 미용 기구를 물에 띄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의 미용 기구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미용 시스템(20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미용 시스템(200)은, 예를 들면 자택 등의 욕조(B)에서 입욕하고 있는 사용자의 전신에 피부 미용 효과가 있는 광을 조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미용 시스템(20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데운 물)을 모아 둔 욕조(B)와, 욕조(B) 내의 물에 띄워 사용되는 방수 사양의 미용 기구(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미용 시스템(200)에서는, 미용 효과가 있는 광이 미용 기구(100)로부터 수중에 출사되어, 이 광이 욕조(B) 내에서 반사를 반복함으로써, 입욕하고 있는 사용자의 전신에 대해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하, 미용 기구(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미용 기구(100)가 물에 띄워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하여, 각 부의 방향이나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
이 미용 기구(100)는 휴대식인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에 대한 미용 효과가 있는 광을 발하는 발광 유닛(1)과, 발광 유닛(1)을 내부에 수용하고, 물에 띄운 상태에서 발광 유닛(1)으로부터 나온 광을 하향으로 출사하는 광출사면(SL)이 형성된 케이싱(2)을 구비한다.
발광 유닛(1)은 물에 띄운 상태에서 하향으로 광을 발하는 것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LED(도시하지 않음)가 탑재된 LED 기판(11)과, LED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2)와, 배터리(12)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전원 버튼(1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발광 유닛(1)은 배터리(12)가 무선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LED는, 피부에 대한 미용 효과가 있는 광을 출사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용 효과가 있는 550㎚ 이상 880㎚ 이하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유닛(1)은, 미백 효과가 있는 570㎚ 이상 610㎚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590±10㎚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제1 LED와,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있는 610㎚ 이상 650㎚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633±10㎚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제2 LED와, 피부 수복 효과가 있는 800㎚ 이상 880㎚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810㎚ 이상 870㎚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820㎚ 이상 860㎚ 이하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제3 LED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종류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 유닛(1)은 LED로서, 제1 LED, 제2 LED 및 제3 LED 중 어느 한 종류만을 구비해도 되고, 복수 종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미용 효과가 있는 상기 파장 범위 내이면, 다른 파장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발하는 LED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LED 기판(11)은,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탑재한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하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LED 기판(11)에 있어서의, 하방을 향하는 한쪽 면(욕조(B)의 저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복수의 LED가 탑재되고, 상방을 향하는 다른 쪽 면에는 배터리(12) 및 전원 버튼(13)이 탑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LED 기판(11)은,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축(C)근방에 있어서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팽출(膨出)되도록 형성된 중앙부(111)와, 중앙부(111)를 둘러싸는 환상의 외주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부(111)는 역뿔대(逆錐台) 형상(여기에서는, 역다각뿔대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물에 띄운 상태에서 수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된 평탄한 저면(111a)과, 이 저면(111a)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넓어지면서 세워지는 환상의 측면(111b)을 구비한다. 상기한 LED는, 중앙부(111)의 저면(111a) 및 측면(111b)에, LED 기판(11)의 중심축(C)에 대해서 축 대칭이 되도록 탑재되어 있다. 외주부(112)에 있어서의 하방을 향하는 이면(112a)은, 중앙부(111)의 저면(111a)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부(111)의 저면(111a) 및 측면(111b), 그리고 외주부(112)의 이면(112a)에는, LED로부터 나온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재가 도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LED 기판(11)은, COB 타입, SMD 타입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케이싱(2)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볼 때 원반 형상을 이루는 중공 구조의 것으로, 내부에 발광 유닛(1)을 수용하고 물에 뜨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2)은 물에 띄웠을 때에 하향으로 되는 한쪽 면에 상기한 광출사면(SL)이 형성되어 있고, 상향으로 되는 다른 쪽 면에는 전원 버튼(13) 등을 조작하는 조작면(SO)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케이싱(2)은, 조작면(SO)이 형성되는 상부 커버(21)와, 광출사면(SL)이 형성되는 하부 커버(22)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커버(21)와 하부 커버(22)는 모두 개략 접시 모양을 이루는 것으로, 상부 커버(21)와 하부 커버(22)의 서로의 구연(口緣)부(211, 221)를 맞대어 끼워 맞춤으로써, 수밀 구조의 케이싱(2)이 구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21)는, 그 내측에 발광 유닛(1)이 장착되는 것으로, 투광성이 낮은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커버(21)의 외표면은, 물에 띄웠을 때에 수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는 상면부(212)와, 상면부(212)를 둘러싸고, 상면부(212)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하수(下垂, 아래로 내려짐)되도록 형성된 측주면(側周面)부(21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상면부(212)에 의해서, 상기한 조작면(SO)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a) 및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부(212)로부터는, 발광 유닛(1)의 전원 버튼(13)이 노출되어 있고, 전원의 온·오프 전환 조작을 할 수 있다. 상부 커버(21)의 구연부(211)에는, 하부 커버(22)와 끼워맞추기 위한 나사산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하부 커버(22)는, 발광 유닛(1)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것으로, 그 전체가 투광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 것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커버(22)의 외표면은, 케이싱(2)을 물에 띄웠을 때에 욕조(B)의 저면과 대향하는 저면부(222)와, 저면부(222)를 둘러싸고, 저면부(222)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세워지도록 형성된 측주면부(22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저면부(222)와 측주면부(223)에 의해서, 상기한 광출사면(SL)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출사면(SL)은 아래에서 평면으로 볼 때 정원(正圓)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광출사면(SL)은, 그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엠보싱 가공이나 블러스트 가공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광출사면(SL) 중, 측주면부(223)의 표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 커버(22)의 구연부(221)에는, 상부 커버(21)와 감합하기 위한 나사산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미용 기구(10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에 띄운 상태에서 광출사면(SL)의 적어도 일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부)가 수중에 잠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에 띄운 상태에서, 수면이 광출사면(SL)의 상부 가장자리(SU)보다도 5㎜ 이상, 바람직하게는 8㎜ 이상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용 기구(100)의 광출사면(SL)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배향 특성은, 평면에서 볼 때, 발광 유닛(1)의 발광 중심으로부터 연직 하방향을 0°로 하여, 0°이상 55°이하의 범위로부터 출사되는 광량(루멘)에 대한, 55°초과 100°이하의 범위로부터 출사되는 광량(루멘)의 비율이, 0.9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비율은, 1.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클수록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욕조(B)의 측면을 향하여 출사되는 광의 양이 증가되어, 전신에 대한 피부 미용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유닛(1)의 발광 중심이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출사면(SL)의 상부 가장자리(SU)를 포함하는 수평면(H)과, LED 기판(11)의 중심축(C)의 교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미용 기구(100)의 배향 특성은, 광출사면(SL)에 있어서의 저면부(222)로부터 출사되는 광량(루멘)에 대한, 측주면부(223)로부터 출사되는 광량(루멘)의 비율이 0.9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광출사면(SL)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량은, 케이싱(2)의 중심축(C)에 대해서 축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미용 기구(100)에 의하면, 욕조(B)에 띄워 사용하면, 피부에 대한 미용 효과가 있는 광이 수중으로 출사되고, 이 출사된 광이 욕조(B)의 내면이나 수면에서 난반사를 반복함으로써, 미용 효과가 있는 광을 욕조(B) 내의 전체에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에스테틱 살롱 등의 전문점에 일부러 다니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자택에서의 입욕시에 욕조(B)에 채운 데운 물에 미용 기구(100)를 띄우고, 이 욕조(B)에 몸을 담그는 것만으로, 전신에 대한 미용 효과를 간편하게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입욕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데운 물로 전신이 따뜻해지는 것에 의한 온열 효과로 피부 조직이 활성화되어, 얻어지는 전신의 미용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물에 띄운 상태에서, 광출사면(SL)의 전부가 수중에 잠기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광출사면(SL)으로부터 나온 광은 수면에서 난반사되어, 광출사면(SL)으로부터 나온 광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LED로부터 나온 광을 효율적으로 수중에 출사할 수 있으므로, 전신의 미용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하부 커버(22)의 측면부의 표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입욕 중에 움직임으로써 수면이 요동하여, 광출사면(SL)의 측면부가 물 위로 노출되어도, 광출사면(SL)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요철 형상에 의해 확산되어, 사용자의 눈에 강한 강도의 광이 직접 조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케이싱(2)이 원반 모양을 이루고, 물에 띄운 상태에서 하향으로 되는 한쪽 면측에 광출사면(SL)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 면측에 전원 버튼(13)이 마련된 조작면(SO)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광출사면(SL)을 아래로 향하게 하고, 출사된 광이 눈에 직접 조사되지 않게 하면서, 전원의 온·오프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의 미용 기구(100)는, 광출사면(SL)이 하부 커버(22)의 저면부(222)와, 측주면부(223)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형태의 미용 기구(100)에서는, 하부 커버(22)의 저면부(222)와 측주면부(223)와, 상부 커버(21)의 측주면부(213)에 의해, 광출사면(SL)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미용 기구(100)는, 광출사면(SL)의 표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광출사면(SL)의 표면은 요철이 없는 평탄한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출사면(SL)의 저면부(222)는, 수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된 평탄한 면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광출사면(SL)의 저면부(22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팽출되도록 하는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LED 기판(11)의 중앙부(111)는 역다각뿔대 형상을 이루고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역뿔대 형상을 이루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LED 기판(11)은 중앙부(111)가 중심축(C) 근방에 있어서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팽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형태의 LED 기판(11)은, 중앙부(111)가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팽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LED 기판(11)에 있어서의 하방을 향하는 면(욕조(B)의 저면과 대향하는 면)은, 그 전체가 평탄면이어도 된다. 이 경우, LED 기판(11)에 있어서의 하방을 향하는 면에는, 예를 들면 렌즈, 프리즘, 도광판 등의 광학 부재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싱(2)의 상부 커버(21)의 상면부(212)로부터는 발광 유닛(1)의 전원 버튼(13)이 노출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버튼(13)은 케이싱(2)의 상부 커버(21)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케이싱(2)은 개략적으로 볼 때 원반 형상을 이루는 것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그 외,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200…미용 시스템 100…미용 기구
1…발광 유닛 2…케이싱
SL…광출사면 B…욕조

Claims (11)

  1. 욕조에 모아 둔 물에 띄워 사용되는 것으로서,
    550㎚ 이상 880㎚ 이하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LED와,
    상기 LED를 내부에 수용하고, 물에 띄운 상태에서 상기 LED로부터 나온 광을 하향으로 출사하는 광출사면이 형성된 케이싱을 구비하는 미용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물에 띄운 상태에서, 상기 광출사면의 적어도 일부가 수중에 잠기도록 구성된 미용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물에 띄운 상태에서, 상기 광출사면의 전부가 수중에 잠기도록 구성된 미용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면은 그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미용 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면은 물에 띄운 상태에서 상기 욕조의 저면과 대향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를 둘러싸고, 상기 저면부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세워지도록 형성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의 표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미용 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물에 띄운 상태에서 하향으로 되는 한쪽 면에 상기 광출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 면에 전원 버튼이 마련된 조작면이 형성되어 있는 미용 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량이, 상기 케이싱의 중심 축에 대하여 축 대칭이 되도록 구성된 미용 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무선 충전 가능한 것인 미용 기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로서,
    570㎚ 이상 610㎚ 이하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제1 LED,
    610㎚ 이상 650㎚ 이하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제2 LED, 또는
    800㎚ 이상 880㎚ 이하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제3 LED 중 적어도 한 종류를 구비하는 미용 기구.
  10. 욕조와, 상기 욕조에 모아 둔 물에 띄워 사용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미용 기구를 구비하는 미용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욕조에 모아 둔 물 안에, 상기 미용 기구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제가 부유되어 있는 미용 시스템.
KR1020210096061A 2021-07-21 2021-07-21 미용 기구 및 미용 시스템 KR20230014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061A KR20230014573A (ko) 2021-07-21 2021-07-21 미용 기구 및 미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061A KR20230014573A (ko) 2021-07-21 2021-07-21 미용 기구 및 미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573A true KR20230014573A (ko) 2023-01-30

Family

ID=8510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061A KR20230014573A (ko) 2021-07-21 2021-07-21 미용 기구 및 미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45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1829B2 (ja) 1995-06-09 2001-10-22 大倉工業株式会社 二液主剤型アクリル系接着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1829B2 (ja) 1995-06-09 2001-10-22 大倉工業株式会社 二液主剤型アクリル系接着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7093B2 (en) Phototherapy apparatuses and methods
US4974922A (en) Light bath
KR102465910B1 (ko) 광조사장치 및 광조사장치의 제조방법
CN207745077U (zh) 硅胶洁面仪
JP4296096B2 (ja) バスタブクロマセラピーシステム
JP2005342072A (ja) マウスピース
JP2007330690A (ja) 美容装置
KR101838571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4613Y1 (ko) 피부미용 마스크
JP7488549B2 (ja) 美容器具及び美容システム
KR20230014573A (ko) 미용 기구 및 미용 시스템
KR890000788B1 (ko) 광욕조
CN115671567A (zh) 美容器具和美容系统
KR900008639Y1 (ko) 광 조사 치료장치
KR101593923B1 (ko) 확장된 방사범위를 갖는 피부미용기기
JPH0326993B2 (ko)
CN114367057A (zh) 基于分区面积可调的光疗生发帽和系统
JP2024008036A (ja) 美容器具
KR20110001174U (ko) 비뇨기용 치료기
JPS62164477A (ja) 太陽光エネルギ−照射治療装置
KR101934060B1 (ko) 피부진단 및 치료 기능을 갖는 휴대용 조명기구
KR20190123049A (ko) 화장품 케이스
TW201008605A (en) Medical light device
TWM587541U (zh) 具有防水效果的雷射光照裝置
CN202086752U (zh) 一种便携式眼部皱纹管理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