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477A -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477A
KR20230014477A KR1020210095862A KR20210095862A KR20230014477A KR 20230014477 A KR20230014477 A KR 20230014477A KR 1020210095862 A KR1020210095862 A KR 1020210095862A KR 20210095862 A KR20210095862 A KR 20210095862A KR 20230014477 A KR20230014477 A KR 20230014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file server
additional content
docu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권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젠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젠트
Priority to KR102021009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477A/ko
Publication of KR2023001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8Techniques for file synchronisation in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06F16/122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using management poli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3File access structures, e.g. distributed ind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4File meta data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4Redundancy elimination performed by the file system
    • G06F16/1748De-duplication implemented within the file system, e.g. based on file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서버 및 상기 파일서버에 연결되어 주어진 권한에 따라 상기 파일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파일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는 사용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장치에는, 특정 확장자의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의 저장을 금지하고 상기 파일서버에만 저장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동되며,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파일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중 문서 파일들의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하여 각 문서 파일에 대한 부가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및 방법{FILE CENTRALIZATION SYSTEM AND METHOD HAVING DOCUMENT MANAGEMENT AND UTILIZATION}
본 발명은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 중앙화 환경에서 문서 파일에 대한 부가 컨텐츠를 생성하여 관리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의 자산인 자료의 유출이나 랜섬웨어와 같은 악성 프로그램을 통한 공격이 많아짐에 따라 각 기업에서는 주로 업무와 관련된 전자 문서를 관리하는 솔루션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솔루션 중 전자 문서 중앙 관리 시스템은 전자 문서를 비롯하여 조직에서 생산·관리되는 모든 콘텐츠를 조직 내 관리 서버에만 보관하여 관리하는 기업 콘텐츠 관리(ECM: 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시스템의 일종으로, 사내 구성원이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에서 작업한 전자 문서를 개인용 기기가 아닌 중앙 서버에만 저장하도록 하여 개인용 기기의 고장이나 분실에 따른 문서 유실을 방지하고, 내부 구성원이나 외부 공격자에 의한 불법 유출 방지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3904호(2017.07.26)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 문서 중앙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기기에서 생성되는 파일을 사용자 기기에 저장하지 않고, 보안이 유지되는 서버에만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 측면에서만 주로 활용되었고, 중앙화된 파일들을 관리 또는 활용하는 측면에 대해서는 별다른 내용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전자 문서 중앙 관리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화된 파일을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서버; 및 상기 파일서버에 연결되어 주어진 권한에 따라 상기 파일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파일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는 사용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장치에는, 특정 확장자의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의 저장을 금지하고 상기 파일서버에만 저장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동되며,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파일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중 문서 파일들의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하여 각 문서 파일에 대한 부가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부가 컨텐츠로 문서 파일들 사이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문서 파일들 사이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중복 파일을 삭제하거나, 연관 문서를 추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부가 컨텐츠로 문서 파일의 컨텐츠 요약, 키워드 및 최빈도 단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문서 파일의 속성 및 내용을 인덱싱하고, 인덱싱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부가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분류기준으로 하는 문서 분류체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원본 파일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상기 원본 파일에 반영하여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새로운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방법은 파일서버가 사용자장치로부터의 문서 파일들을 저장하여 파일 중앙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파일서버가 저장된 문서 파일의 내용 및 속성 정보를 인덱싱하는 단계; 상기 파일서버가 인덱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문서 파일의 부가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파일서버가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원본 파일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장치에 의한 파일 접속 시, 상기 파일서버가 상기 저장된 부가 컨텐츠를 활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부가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문서 파일 사이의 유사도, 중요 내용에 대한 컨텐츠 요약, 키워드, 주요 문장 및 최빈도 단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부가 컨텐츠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원본 파일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상기 원본 파일에 반영하여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새로운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원본 파일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컨텐츠 요약을 상기 원본 파일에 삽입하거나, 키워드, 주요 문장, 최빈도 단어 중 적어도 하나를 강조표시하는 파일을 새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파일서버가 상기 저장된 부가 컨텐츠를 활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분류기준으로 하는 문서 분류체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및 방법은 파일서버에 중앙화되어 저장된 문서 파일들의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하여 각 문서 파일에 대한 부가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기반으로 문서의 관리 및 활용 기능을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의 파일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의 파일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중앙화 시스템은 파일서버(100)와 파일서버(100)에 연결(접속)된 사용자장치(200)들로 구성된다. 사용자장치(200)로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기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파일서버(10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장치(200)에서 접근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장치(200)는 파일서버(100)에 연결되어 주어진 권한에 따라 파일서버(100)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하거나 파일서버(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올 수 있다.
사용자장치(200)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파일 중앙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특정 확장자의 데이터(예: word 파일, txt 파일, pdf 파일 등)가 사용자장치(200)의 로컬 저장소에는 저장되지 않도록 하고, 파일서버(100)에 저장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장치(200)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의 접근, 동작 등을 제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클립보드 복사 금지, 화면 캡쳐 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동작은 파일 중앙화와 관련하여 이미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구현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장치(200)들에서 사용 또는 생성되는 특정 확장자의 데이터는 파일서버(100)에 수집되어 저장된다. 파일서버(100)는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추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일서버(10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10) 및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AI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는 물리적으로는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데이터 입출력,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AI 모듈(120)은 데이터의 인덱싱, 분류, 가공 등의 처리를 위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된 데이터 처리를 위한 인공신경망 학습 모델, 자연어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I 모듈(120)은 데이터베이스(110)에 집중화된 데이터 중에서 문서 파일의 속성 및 내용을 인덱싱(indexing)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
AI 모듈(120)은 인덱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문서 파일에 대한 부가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 모듈(120)은 인덱싱된 각 문서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문서 파일에 포함된 내용이 일치하는 정도, 파일 속성(파일명, 생성일시, 수정일시, 작성자 등)이 일치하는지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문서 파일 사이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AI 모듈(120)은 이렇게 산출된 유사도에 따라 2개 이상의 문서 파일이 동일한 파일인 중복 파일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예: 유사도 100%)에, 중복 파일을 삭제하여, 저장소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는 2개 이상의 문서 파일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문서 파일들을 연관 문서로 인덱싱하여, 사용자장치(200)가 어느 하나의 문서 파일에 접속하였을 때, 파일서버(100)는 연관 문서를 추천하여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AI 모듈(120)은 문서 파일의 내용을 바탕으로 중요 내용에 대한 컨텐츠 요약, 키워드, 주요 문장 및 최빈도 단어 등을 부가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부가 컨텐츠는 원본 파일에 연계되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AI 모듈(120)은 원본 파일과 함께 부가 컨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으나, 부가 컨텐츠를 원본 파일에 반영하여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I 모듈(120)은 컨텐츠 요약의 내용을 원본 파일에 삽입(예: 워드 파일의 경우 문서의 첫페이지에 컨텐츠 요약을 삽입)하거나, 키워드, 주요 문장, 최빈도 단어 등을 강조표시(예: 글자 모양을 굵게하거나 글자색 또는 글자의 배경색을 변경)하는 파일을 새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은 데이터 중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관련 파일이 모두 파일서버(100)에 저장되는 형태이므로, 파일서버(100)가 자체적으로 파일을 변경/수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장치(200)에 의한 파일 접속 시, 파일서버(100)가 부가 컨텐츠가 반영된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여 사용자장치(200)가 접속 가능하게 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사용자장치(200)에 의한 파일 접속 시, 파일서버(100)는 저장된 부가 컨텐츠를 분류기준으로 하는 문서 분류체계를 제공해줄 수 있다. 즉, 사용자장치(200)가 파일서버(100)에 접속하여 문서 파일을 검색할 때, 분류기준을 선택하여 해당 분류기준을 부가 컨텐츠로 포함하고 있는 문서 파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이러한 분류체계는 다차원, 다중분류의 형태(즉, 여러 분류기준을 복수로 결합할 수 있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파일서버(100)는 저장된 인덱싱 데이터, 부가 컨텐츠를 활용한 자연어 검색 기능 또한 제공해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장치(200)를 통해 파일서버(100)에 접속하여 중앙화된 문서의 내용 또는 부가 컨텐츠의 검색을 통해 찾고자 하는 문서 파일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파일서버(100)는 인덱싱된 문서 파일의 내용을 바탕으로 악성 스크립트 또는 민감정보가 포함된 파일을 별도로 격리하여 안전성 및 보안 강화와 개인정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이때 민감정보로는 개인정보(예: 주민번호 등)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중앙화 방법은 먼저 사용자장치(200)로부터의 문서 파일 중앙화를 수행한다(S100). 즉, 사용자장치(200)에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파일서버(100)로 문서 파일이 전송되고, 파일서버(100)는 이러한 문서 파일들을 저장하여 파일 중앙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파일서버(100)가 저장된 문서 파일의 내용 및 속성 정보를 인덱싱한다(S200). 파일서버(100)는 이렇게 인덱싱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00) 이후, 파일서버(100)가 인덱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문서 파일의 부가 컨텐츠를 생성한다(S300). 예를 들어, 파일서버(100)는 문서 파일 사이의 유사도, 중요 내용에 대한 컨텐츠 요약, 키워드, 주요 문장 및 최빈도 단어 등을 부가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파일서버(100)는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원본 파일에 연계하여 저장한다(S400). 이때 파일서버(100)는 원본 파일과 함께 부가 컨텐츠를 저장하는 방식 및/또는 부가 컨텐츠를 원본 파일에 반영하여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서버(100)는 컨텐츠 요약의 내용을 원본 파일에 삽입하거나, 키워드, 주요 문장, 최빈도 단어 등을 강조표시하는 파일을 새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계(S400) 이후 사용자장치(200)에 의한 파일 접속 시, 파일서버(100)는 저장된 부가 컨텐츠를 활용한 기능을 제공한다(S500).
예를 들어, 파일서버(100)는 저장된 부가 컨텐츠를 분류기준으로 하는 문서 분류체계를 제공해줄 수 있다. 즉, 사용자장치(200)가 파일서버(100)에 접속하여 문서 파일을 검색할 때, 분류기준을 선택하여 해당 분류기준을 부가 컨텐츠로 포함하고 있는 문서 파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파일서버(100)는 저장된 인덱싱 데이터, 부가 컨텐츠를 활용한 자연어 검색 기능 또한 제공해줄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장치(200)에 의한 파일 접속 시, 파일서버(100)는 부가 컨텐츠가 반영된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여 사용자장치(200)가 접속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해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술한 각 단계의 기능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파일서버
110: AI 모듈
12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장치

Claims (13)

  1.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서버; 및
    상기 파일서버에 연결되어 주어진 권한에 따라 상기 파일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파일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는 사용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장치에는, 특정 확장자의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의 저장을 금지하고 상기 파일서버에만 저장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동되며,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파일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중 문서 파일들의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하여 각 문서 파일에 대한 부가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부가 컨텐츠로 문서 파일들 사이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문서 파일들 사이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중복 파일을 삭제하거나, 연관 문서를 추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부가 컨텐츠로 문서 파일의 컨텐츠 요약, 키워드 및 최빈도 단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서버는 문서 파일의 속성 및 내용을 인덱싱하고, 인덱싱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부가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분류기준으로 하는 문서 분류체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원본 파일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상기 원본 파일에 반영하여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새로운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9. 파일서버가 사용자장치로부터의 문서 파일들을 저장하여 파일 중앙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파일서버가 저장된 문서 파일의 내용 및 속성 정보를 인덱싱하는 단계;
    상기 파일서버가 인덱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문서 파일의 부가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파일서버가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원본 파일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장치에 의한 파일 접속 시, 상기 파일서버가 상기 저장된 부가 컨텐츠를 활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문서 파일 사이의 유사도, 중요 내용에 대한 컨텐츠 요약, 키워드, 주요 문장 및 최빈도 단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부가 컨텐츠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원본 파일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상기 원본 파일에 반영하여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새로운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원본 파일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컨텐츠 요약을 상기 원본 파일에 삽입하거나, 키워드, 주요 문장, 최빈도 단어 중 적어도 하나를 강조표시하는 파일을 새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서버가 상기 저장된 부가 컨텐츠를 활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파일서버는 상기 생성된 부가 컨텐츠를 분류기준으로 하는 문서 분류체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방법.
KR1020210095862A 2021-07-21 2021-07-21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4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862A KR20230014477A (ko) 2021-07-21 2021-07-21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862A KR20230014477A (ko) 2021-07-21 2021-07-21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477A true KR20230014477A (ko) 2023-01-30

Family

ID=85106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862A KR20230014477A (ko) 2021-07-21 2021-07-21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44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5925B2 (en) Access controls
US7512985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lementing search-and retrieval-compatible data obfuscation
US8423565B2 (en) Information life cycle search engine and method
US8127365B1 (en) Origination-based content protection for computer systems
US89436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 policy enforcement
US8285702B2 (en) Content analysis simulator for improving site findability i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US9697373B2 (en) Facilitating ownership of access control lists by users or groups
US7200593B2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US11770450B2 (en) Dynamic routing of file system objects
US20220100899A1 (en) Protecting sensitive data in documents
US20100318489A1 (en) Pii identification learning and inference algorithm
US11416631B2 (en) Dynamic monitoring of movement of data
US20230018820A1 (en) Data security classification for storage systems using security level descriptors
US11409790B2 (en) Multi-image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11874939B2 (en) Generating user-specific entity interlinkages of extracted enterprise topic descriptions
KR20230014477A (ko) 문서 관리 및 활용 기능이 구비된 파일 중앙화 시스템 및 방법
US11741163B2 (en) Mapping of personally-identifiable information to a person based on natural language coreference resolution
US20240119170A1 (en) Machine learning (ml) model pipeline with obfuscation to protect sensitive data therein
US20230244811A1 (en) Synthetic training datasets for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classifiers
US12008045B2 (en) Mapping of personally-identifiable information to a person-based on traversal of a graph
US11954223B2 (en) Data record search with field level user access control
US11461339B2 (en) Extracting and surfacing contextually relevant topic descriptions
Kotenko et al. Exploring Opportunities to Identify Abnormal Behavior of Data Center Users Based on Machine Learning Models
US20240037068A1 (en) System and method of large file extraction
Giannakopoulos et al. On the Usage of NLP on CVE Descriptions for Calculating Ri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