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465A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Google Patents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465A
KR20230014465A KR1020210095837A KR20210095837A KR20230014465A KR 20230014465 A KR20230014465 A KR 20230014465A KR 1020210095837 A KR1020210095837 A KR 1020210095837A KR 20210095837 A KR20210095837 A KR 20210095837A KR 20230014465 A KR20230014465 A KR 20230014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eater
pipe
generating device
sea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7025B1 (en
Inventor
안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09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025B1/en
Priority to PCT/KR2022/010611 priority patent/WO2023003351A1/en
Publication of KR20230014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4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0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Abstract

An aerosol-generating device is disclosed.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of the disclosure includes: a pipe open on both sides; a partition dividing the inside of the pipe into an insertion spac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pipe and a sealing groove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pipe; a heater extending long and penetrating the partition and having a part disposed in the sealing groove; and a filler filled in the sealing groove.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Aerosol generating device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Aerosol generating devices are for extracting certain components from a medium or substance through an aerosol. The medium may contain materials of various components. Substances included in the medium may be flavor substances of various components. For example, the substance included in the medium may include a nicotine component, an herbal component, and/or a coffee component. Recently, many studies on these aerosol generating devices have been conducted.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the foregoing and other problems.

또 다른 목적은 히터 주변의 틈을 실링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may be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structure for sealing a gap around a heater.

또 다른 목적은 히터 주변 구조의 열 변형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may be to prevent thermal deformation of a structure around the heater.

또 다른 목적은 히터 및 히터 주변 구조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히터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may be to stably fix the heater and a structure around the heater and prevent the heater from rotating.

또 다른 목적은 히터에 전기를 인가하는 리드와이어의 단선 및 꼬임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may be to prevent disconnection and twisting of a lead wire for applying electricity to the heater.

또 다른 목적은 히터 주변 결합구조가 간소화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Another object may be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which a coupling structure around a heater is simplifi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양측이 개구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내부를, 상기 파이프의 일측에 인접한 삽입공간과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인접한 실링홈으로 구획하는 파티션; 길게 연장되고, 상기 파티션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실링홈에 배치된 히터; 그리고, 상기 실링홈에 메워지는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pipe having both sides opened; a partition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pipe into an insertion spac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pipe and a sealing groove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pipe; a heater extending long and penetrating the partition and having a part disposed in the sealing groove; And, it may include a filler filled in the sealing groove.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 주변의 틈을 실링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structure for sealing a gap around a heater may be provided.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 주변 구조의 열 변형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mal deformation of a structure around a heater may be prevented.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 및 히터 주변 구조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히터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heater and a structure around the heater may be stably fixed, and rotation of the heater may be prevented.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에 전기를 인가하는 리드와이어의 꼬임 및 단선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wisting and disconnection of a lead wire for applying electricity to a heater may be prevented.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 주변 결합구조가 간소화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 simplified coupling structure around a heater may be provided.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dditional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given as examples only.

도 1 내지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1 to 11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aerosol generating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40)은 파이프(41)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아우터월(42)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어퍼월(43)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housing 40 may include a pipe 41 . The housing 40 may include an outer wall 42 . The housing 40 may include an upper wall 43 .

파이프(41)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이프(41)는 내부에 삽입공간(44)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공간(44)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이프(41) 및 삽입공간(44)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44)의 상측은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삽입공간(44)의 하측은 파티션(45)에 의해 막힐 수 있다.The pipe 4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The pipe 41 may form an insertion space 44 therein. The insertion space 44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The pipe 41 and the insertion space 44 may be vertically formed long.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space 44 is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space 44 may be blocked by the partition 45 .

파티션(45)은 삽입공간(44)의 하측을 막을 수 있다. 파티션(45)은 원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티션(45)은 파이프(41)의 하단 둘레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파티션(45)은 파이프(4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파티션(45)은 삽입공간(44)과 실링홈(474)을 분리할 수 있다. 파티션(45)은 파이프(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45 may block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space 44 . The partition 45 may have a disk shape. The partition 4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pipe 41 . The partition 45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41 . The partition 45 may separate the insertion space 44 and the sealing groove 474 . The partition 4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pe 41 .

히터삽입구(454)는 파티션(45)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히터삽입구(454)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히터삽입구(454)는 삽입공간(44)과 연통될 수 있다. 히터삽입구(454)는 실링홈(474)과 연통될 수 있다. The heater insertion hole 454 may be formed by opening the partition 45 . The heater insertion port 454 may be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heater insertion port 454 may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space 44 . The heater insertion port 454 may communicate with the sealing groove 474 .

어퍼월(43)은 파이프(4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월(43)은 하우징(40)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월(42)은 어퍼월(43)의 끝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우터월(42)은 하우징(40)의 외부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월(42)은 파이프(41)로부터 외측부로 이격될 수 있다. 공간(46)은 파이프(41)와 아우터월(4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wall 43 may extend outward from the top of the pipe 41 . The upper wall 43 may constitute an upper part of the housing 40 . The outer wall 42 may extend downward from an end of the upper wall 43 . The outer wall 42 may form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40 . The outer wall 4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ipe 41 toward the outside. The space 46 may be formed between the pipe 41 and the outer wall 42 .

파이프(41)는 실링벽(471)을 구비할 수 있다. 실링벽(471)은 파이프(4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벽(471)은 파티션(45)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실링벽(471)은 둘레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링벽(471)은 하측으로 개구된 실링홈(474)을 둘러쌀 수 있다. 실링벽(471)은 실링홈(474)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The pipe 41 may have a sealing wall 471 . The sealing wall 471 may be formed below the pipe 41 . The sealing wall 471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partition 45 . The sealing wall 471 may exten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ealing wall 471 may surround the sealing groove 474 opened downward. The sealing wall 471 may surround the side of the sealing groove 474 .

실링홈(474)은 파티션(45)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홈(474)은 히터삽입구(454)와 연통될 수 있다. 실링홈(474)은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실링홈(474)의 폭은, 히터삽입구(454)의 폭보다 클 수 있다. The sealing groove 474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45 . The sealing groove 474 may communicate with the heater insertion hole 454 . The sealing groove 474 may open downward. A width of the sealing groove 474 may be greater than a width of the heater insertion port 454 .

히터(1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히터(10)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10)의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히터(10)는 전력을 직접 인가받아 발열되거나, 주변에 배치된 유도코일을 통하여 유도 가열 방식으로 발열될 수 있다. 히터(10)는 파티션(45)을 관통할 수 있다. 히터(10)는 히터삽입구(454)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10)의 상부는 삽입공간(44)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10)의 하부(13)는 실링홈(474)에 배치될 수 있다. The heater 10 may b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ater 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 end of the heater 10 may be formed sharp. The heater 10 may generate heat by directly receiving electric power or may generate heat by an induction heating method through an induction coil disposed around the heater 10 . The heater 10 may pass through the partition 45 . The heater 10 may be inserted into the heater insertion hole 454 . An upper portion of the heater 10 may be disposed in the insertion space 44 . The lower part 13 of the heater 10 may be disposed in the sealing groove 474 .

히터(10)는 히터바디(11)를 구비할 수 있다. 히터바디(1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바디(11)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10)는 히터팁(12)을 구비할 수 있다. 히터팁(12)은 히터(1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히터팁(12)은 히터바디(11)의 상측에서 히터바디(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팁(12)은 상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팁(12)은 끝단이 뾰족할 수 있다. 궐련은 히터(10)에 꽂힐 수 있다.The heater 10 may include a heater body 11 . The heater body 11 may exten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ater body 1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The heater 10 may include a heater tip 12 . The heater tip 12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heater 10 . The heater tip 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ter body 11 on the upper side of the heater body 11 . The heater tip 12 may have a shape gradually narrowing toward the upper side. The heater tip 12 may have a sharp end. A cigarette may be inserted into the heater 10 .

돌출부(131)는 히터(10)의 하부(13)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1)는 히터(10)의 하부(13)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각각의 돌출부(1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31)는 복수로 구비되며, 히터(10)의 하부(13)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131 may be formed around the lower part 13 of the heater 10 . The protruding portion 131 may protrude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13 of the heater 10 . Each protrusion 13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1 may be provided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13 of the heater 10 .

돌출부(131)는 제1 리드와이어(161)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다. 돌출부(131)는 제2 리드와이어(162)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다. 돌출부(131)의 개수는 제1 리드와이어(161) 및 제2 리드와이어(162)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드와이어(161) 및 제2 리드와이어(162)는 각각 2개씩 구비되고, 돌출부(131)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The protrusion 131 may surround and fix the first lead wire 161 . The protrusion 131 may surround and fix the second lead wire 162 . The number of protrusions 131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of first lead wires 161 and second lead wires 162 .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lead wire 161 and the second lead wire 162 may be provided with two, and the number of protrusions 131 may be four.

제1 리드와이어(161)는 히터(10)의 하부(13) 주변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는 돌출부(131)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는 히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히터(10)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히터(10)는 제1 리드와이어(161)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아 발열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lead wire 161 may be exposed down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lower part 13 of the heater 10 . The first lead wire 161 may pass through the protrusion 131 . The first lead wire 16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er 10 to transmit power to the heater 10 . The heater 10 may generate hea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lead wire 161 . The first lead wire 161 may be provided as a pair.

제2 리드와이어(162)는 히터(10)의 하부(13) 주변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리드와이어(162)는 돌출부(131)를 관통할 수 있다. 히터(1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16)는 히터(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16)는 히터(1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2 리드와이어(162)는 센서(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16)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리드와이어(162)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는 히터(10)의 하부(13)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는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lead wire 162 may be exposed downward from the vicinity of the lower portion 13 of the heater 10 . The second lead wire 162 may pass through the protrusion 131 . The heater 10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The sensor 16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eater 10 . The sensor 16 may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0 . The second lead wire 16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16 to transmit power to the sensor 16 . The second lead wire 162 may be provided as a pair. The first lead wire 161 and the second lead wire 162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wer portion 13 of the heater 10 . The first lead wire 161 and the second lead wire 162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히터(10)는 히터삽입구(454)에 압입될 수 있다. 히터바디(11)의 폭(w1)은 히터삽입구(454)의 폭(w2)과 같거나, 히터삽입구(454)의 폭(w2)보다 약간 클 수 있다. 히터바디(11)는 히터삽입구(454)에 압입될 수 있다. 히터삽입구(454)는 히터바디(11)에 의해 완전히 메워질 수 있다. The heater 10 may be press-fitted into the heater insertion port 454 . The width w1 of the heater body 11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w2 of the heater insert 454 or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w2 of the heater insert 454 . The heater body 11 may be press-fitted into the heater insertion port 454 . The heater insertion hole 454 may be completely covered by the heater body 11 .

실링링(20)은 내측이 개방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링링(20)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링(20)은 고무나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링링(20)은 파이프(41)와 커버(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aling ring 20 may have a ring shape with an open inner side. The sealing ring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For example, the sealing ring 20 may be made of rubber or silicon. The sealing ring 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ipe 41 and the cover 30 .

커버(30)는 파이프(41)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30)는 커버바닥부(31)와 커버둘레부(32)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바닥부(31)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둘레부(32)는 커버바닥부(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크류(37)는, 커버바닥부(31)에 형성된 체결구(317)를 관통하여, 커버(30)와 파이프(41)를 결합시킬 수 있다.The cover 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pipe 41. The cover 30 may include a cover bottom part 31 and a cover circumference part 32 . The bottom cover 31 may have a disk shape. The cover circumference 32 may extend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cover bottom 31 . The screw 37 may pass through the fastener 317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31 of the cover and couple the cover 30 and the pipe 41 to each other.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링홈(474)은 파티션(45) 및 실링벽(47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파티션(45)은 실링홈(474)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실링벽(471)은 파티션(45)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실링홈(474)은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실링홈(474)은 히터삽입구(454)와 연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sealing groove 474 may be defined by the partition 45 and the sealing wall 471 . The partition 45 may cover the upper side of the sealing groove 474 . The sealing wall 471 may surround the side of the partition 45 . The sealing groove 474 may open downward. The sealing groove 474 may communicate with the heater insertion hole 454 .

히터(10)는 파티션(45)을 관통할 수 있다. 히터(10)는 히터삽입구(454)에 삽입되거나, 히터삽입구(454)를 관통할 수 있다. 히터(10)는 히터삽입구(454)에 압입되어, 파티션(45)에 고정될 수 있다. The heater 10 may pass through the partition 45 . The heater 10 may be inserted into the heater insertion hole 454 or pass through the heater insertion hole 454 . The heater 10 may be press-fitted into the heater insertion port 454 and fixed to the partition 45 .

히터(10)가 파티션(45)을 관통하면, 히터(10)의 상부는 삽입공간(44, 도 1 참조)으로 돌출되고, 하부(13)는 실링홈(474)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31)는 히터(10)의 하부(1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31)는 실링홈(474)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10)의 하부(13) 및 돌출부(131)는 실링벽(471)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히터(10)는 실링벽(471)으로부터 이격되어, 실링홈(474)에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131)는 히터삽입구(454) 주변의 파티션(45)에 걸리거나, 히터삽입구(454)를 통과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When the heater 10 passes through the partition 45,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er 10 protrudes into the insertion space 44 (see FIG. 1), and the lower portion 13 may be disposed in the sealing groove 474. The protrusion 131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lower part 13 of the heater 10 . The protrusion 131 may be disposed in the sealing groove 474 . The lower portion 13 of the heater 10 and the protrusion 131 may be surrounded by a sealing wall 471 . The heater 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aling wall 471 and provide a space in the sealing groove 474 . The protrusion 131 may be caught in the partition 45 around the heater insertion hole 454 or restricted from passing through the heater insertion hole 454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필러(filler, 100)는 실링홈(474)에 메워(filled)질 수 있다. 필러(100)는 액상 상태로 주입되어,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 경화될 수 있다. 필러(100)는, 실링홈(474)의 개구를 통해 실링홈(474)에 주입될 수 있다. 필러(100)는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일 수 있다. 필러(100)는 히터(10)의 하부(13)와 돌출부(131)를 둘러쌀 수 있다. 필러(100)는 히터(10)의 하부(13)를 고정할 수 있다. 필러(100)는, 돌출부(131)에 원주방향의 회전에 대한 내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필러(100)의 재질은, 히터바디(11)의 재질 또는 히터(10)의 하부(13)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 the filler 100 may be filled in the sealing groove 474 . The filler 100 may be injected in a liquid state and cur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filler 100 may be injected into the sealing groove 474 through the opening of the sealing groove 474 . The filler 100 may be a material having adhesive properties. The filler 100 may surround the lower portion 13 of the heater 10 and the protruding portion 131 . The filler 100 may fix the lower part 13 of the heater 10 . The pillar 100 may provide resistance against rot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protrusion 131 . The material of the filler 100 may be the same as the material of the heater body 11 or the material of the lower part 13 of the heater 10.

이에 따라, 필러(100)는 실링홈(474)과 실링홈(474)의 주변을 실링할 수 있고, 히터(10)와 히터삽입구(454) 사이의 틈으로 액상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10)의 하부(13) 및 돌출부(131)가 움직이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ller 100 can seal the sealing groove 474 and the surroundings of the sealing groove 474, and can prevent liquid phase from penetrating into the gap between the heater 10 and the heater insertion port 454.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wer portion 13 and the protrusion 131 of the heater 10 from moving or rotating.

파이프(41)는 리세스부(472)를 구비할 수 있다. 리세스부(472)는 파이프(41)의 하부 둘레를 구성할 수 있다. 리세스부(472)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세스부(472)는 파티션(45)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세스부(472)는 파이프(4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내측방향으로 리세스(recess)될 수 있다. The pipe 41 may have a recessed portion 472 . The recessed portion 472 may form a lower circumference of the pipe 41 . The recessed portion 472 may exten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ecessed portion 472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partition 45 . The recessed portion 472 may be recessed in a radially inward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41 .

리세스부(472)는 실링벽(471)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포지셔닝홈(475, 476)은 실링벽(471)과 리세스부(47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포지셔닝홈(475, 476)은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포지셔닝홈(475, 476)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포지셔닝홈(475)과 제2 포지셔닝홈(476)은 실링홈(47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recessed portion 47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aling wall 471 to the outside. The positioning grooves 475 and 476 may be formed between the sealing wall 471 and the recessed portion 472 . The positioning grooves 475 and 476 may open downward. The positioning grooves 475 and 476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first positioning groove 475 and the second positioning groove 476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ealing groove 474 .

파이프(41)는 스텝부(412)를 구비할 수 있다. 스텝부(412)는 파이프(41)의 하부 둘레가 내측으로 리세스되어 형성되며, 리세스부(47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텝부(412)는 하측방향을 마주할 수 있다. 스텝부(412)는 리세스부(472)의 상단으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파이프(41)와 리세스부(472)를 연결할 수 있다.The pipe 41 may have a step portion 412 . The step portion 412 is formed by recessi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pipe 41 inwardly,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cessed portion 472 . The step portion 412 may face downward. The step portion 412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recess portion 472 and may connect the pipe 41 and the recess portion 472 .

스크류홀(477)은 실링홈(474)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홀(477)은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홀(477)은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스크류홀(477)은 실링벽(471), 제1 포지셔닝홈(475) 및 제2 포지셔닝홈(476)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홀(477)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스크류홀(477)은 실링홈(47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크류홀(477)은 실링홈(474)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The screw hole 477 may be formed around the sealing groove 474 . The screw hole 477 may have a thread formed therein. The screw hole 477 may open downward. The screw hole 477 may be formed between the sealing wall 471 , the first positioning groove 475 and the second positioning groove 476 . A plurality of screw holes 477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screw holes 477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ealing groove 474 . The plurality of screw holes 477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sealing groove 474 .

도 6을 참조하면, 커버(30)는, 커버바닥부(31)와 커버둘레부(32)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바닥부(31)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둘레부(32)는 커버바닥부(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둘레부(32)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cover 30 may include a cover bottom part 31 and a cover circumference part 32 . The bottom cover 31 may have a disk shape. The cover circumference 32 may extend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cover bottom 31 . The cover circumference 32 may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공간(34)은 커버(3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바닥부(31)는 공간(34)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커버둘레부(32)는 공간(34)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공간(34)은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The space 34 may be formed inside the cover 30 . The cover bottom part 31 may cover the lower part of the space 34 . The cover circumference 32 may surround the side of the space 34 . The space 34 may open upward.

와이어홀(361, 362)은 커버바닥부(3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홀(361, 362)은 공간(34)과 연통될 수 있다. 와이어홀(361, 362)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홀(361, 362)은 리드와이어(161, 162)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ire holes 361 and 362 may be formed by opening the bottom portion 31 of the cover. The wire holes 361 and 362 may communicate with the space 34 . A plurality of wire holes 361 and 362 may be provided. The number of wire holes 361 and 362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lead wires 161 and 162 may be formed.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는 서로 두께가 다르거나, 색상이 다를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는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와이어홀(361)의 두께는, 제1 리드와이어(161)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와이어홀(362)의 두께는, 제2 리드와이어(162)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리드와이어(161) 각각은, 한 쌍의 제1 와이어홀(361) 각각을 통과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리드와이어(162) 각각은, 한 쌍의 제2 와이어홀(362) 각각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와이어홀(361)은 제1 리드와이어(16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와이어홀(362)은 제2 리드와이어(16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lead wire 161 and the second lead wire 162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or different colors. The first lead wire 161 and the second lead wire 162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 thickness of the first wire hole 361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lead wire 161 . A thickness of the second wire hole 362 may correspond to a thickness of the second lead wire 162 . Each of the pair of first lead wires 161 may pass through each of the pair of first wire holes 361 . Each of the pair of second lead wires 162 may pass through each of the pair of second wire holes 362 . The first wire hole 36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ad wire 161 , and the second wire hole 36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lead wire 162 .

차단벽(33)은 와이어홀(361, 362)의 주변에서, 커버바닥부(3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차단벽(33)은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와이어홀(361, 362)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홀(361, 362)은 차단벽(3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blocking wall 33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31 of the cover around the wire holes 361 and 362 . The blocking wall 33 may exten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surround the wire holes 361 and 362 . The plurality of wire holes 361 and 362 may be located inside the blocking wall 33 .

체결구(317)는 커버바닥부(3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317)는 공간(34)과 연통될 수 있다. 체결구(317)는 차단벽(33)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fastener 317 may be formed by opening the bottom portion 31 of the cover. The fastener 317 may communicate with the space 34 . The fastener 317 may be located outside the blocking wall 33 .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커버(30)는 파이프(41)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30)는 실링홈(474)의 개구를 덮을 수 있다. 커버(30)는 실링홈(474)에 메워지는 필러(100)를 덮어 밀봉할 수 있다. 실링벽(471)과 리세스부(472)는, 커버(30) 내부의 공간(34)에 삽입되어, 커버(3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실링벽(471), 리세스부(472) 및 실링홈(474)은 커버(3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 to 8 , the cover 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pipe 41 . The cover 30 may cover the opening of the sealing groove 474 . The cover 30 may cover and seal the filler 100 filled in the sealing groove 474 . The sealing wall 471 and the recess 472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34 inside the cover 30 and surrounded by the cover 30 . The sealing wall 471 , the recess portion 472 , and the sealing groove 474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30 .

커버(30)의 커버바닥부(31)는 실링홈(474)의 개구를 덮을 수 있다. 커버바닥부(31)는 실링홈(474)에 메워지는 필러(100)를 덮을 수 있다. 커버바닥부(31)는 히터(10)의 하부(13)를 지지할 수 있다. 커버바닥부(31)는 실링벽(471)의 하부를 덮거나 지지할 수 있다. 커버바닥부(31)는 리세스부(472)의 하부를 덮거나 지지할 수 있다. The cover bottom part 31 of the cover 30 may cover the opening of the sealing groove 474 . The cover bottom part 31 may cover the filler 100 filled in the sealing groove 474 . The cover bottom part 31 may support the lower part 13 of the heater 10 . The cover bottom part 31 may cover or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sealing wall 471 . The cover bottom part 31 may cover or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recessed part 472 .

커버(30)의 커버둘레부(32)는 실링벽(471)의 측부를 덮을 수 있다. 커버둘레부(32)는 리세스부(472)의 측부를 덮거나 지지할 수 있다. 커버둘레부(32)는 파이프(41)의 스텝부(412)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커버둘레부(32)의 외주면의 직경은, 파이프(41)의 외주면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The cover circumferential portion 32 of the cover 30 may cover the side portion of the sealing wall 471 . The cover circumferential portion 32 may cover or support the side portion of the recessed portion 472 . The cover circumferential portion 3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ep portion 412 of the pipe 41 .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circumferential portion 32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41 .

스크류(37)는 커버(30)를 파이프(41)의 타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스크류(37)는 커버(30)에 형성된 체결구(317)를 관통하고, 스크류홀(47)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37), 체결구(317) 및 스크류홀(47) 각각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37)는 커버(30)를 상측 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스크류(37)는 체결구(317)에 밀착되어, 체결구(317)를 밀봉할 수 있다.The screw 37 may fix the cover 30 to the other side of the pipe 41. The screw 37 may pass through the fastener 317 formed in the cover 30 and be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47 and screwed together. Each of the screw 37, fastener 317 and screw hole 47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screw 37 may couple the cover 30 in an upward direction. The screw 37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er 317 to seal the fastener 317 .

이에 따라, 커버(30)는 필러(100), 히터(10) 및 실링홈(474)의 주변을, 그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실링홈(474)으로 침투되는 액적이 커버(30)를 넘어 에어로졸 생성장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는, 히터(10)가 발열되는 등의 원인으로 히터(10) 주변의 구조가 열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ver 30 can protect the surroundings of the filler 100, the heater 10, and the sealing groove 474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liquids penetrating into the sealing groove 474 from penetrating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eyond the cover 30 . In addition, the cover 30 may minimize thermal deformation of a structure around the heater 10 due to heat generation of the heater 10 or the like.

실링링(20)은 내측이 개구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링링(20)은 파이프(41)와 커버(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링(20)은 리세스부(472)와 파이프(41)의 스텝부(412)에 접할 수 있다. 실링링(20)은 스텝부(412)의 하측에 접촉될 수 있다. 실링링(20)의 직경은, 스텝부(41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대략 유사할 수 있다. 실링링(20)은 리세스부(472)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리세스부(472) 및 실링벽(471)은 실링링(20)의 내측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The sealing ring 20 may have a ring shape with an open inner side. The sealing ring 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ipe 41 and the cover 30 . The sealing ring 20 may contact the recessed portion 472 and the stepped portion 412 of the pipe 41 . The sealing ring 20 may contact the lower side of the step portion 412 . The diameter of the sealing ring 20 may be the same as or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step portion 412 . The sealing ring 20 may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472 . The recess portion 472 and the sealing wall 471 may pass through an inner space of the sealing ring 20 .

커버둘레부(32)는 실링링(20)의 하부에 접촉될 수 있다. 실링링(20)은 파이프(41)의 스텝부(412), 리세스부(472)의 외주면 및 커버둘레부(32)의 상단의 사이에 밀착될 수 있다. 커버둘레부(32)는 파이프(41)의 스텝부(412)를 향하여 실링링(20)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The cover circumference 32 may contact the lower portion of the sealing ring 20 . The sealing ring 20 may be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step portion 412 of the pipe 41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ss portion 472 and the upper end of the cover circumferential portion 32 . The cover circumferential portion 32 may press the sealing ring 20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oward the step portion 412 of the pipe 41 .

이에 따라, 실링링(20)의 주변의 틈으로 액적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liquid droplets from leaking through gaps around the sealing ring 20 .

포지셔닝돌기(35, 36)는 커버바닥부(3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포지셔닝돌기(35, 36)는 차단벽(3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지셔닝돌기(35, 36)는 포지셔닝홈(475, 476)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셔닝돌기(35, 36)는 포지셔닝홈(475, 476)에 삽입되어, 커버(30)의 배치를 안내할 수 있다.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5 and 36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31 of the cover.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5 and 36 may be disposed outside the blocking wall 33 .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5 and 36 may have shap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grooves 475 and 476 .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5 and 36 are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grooves 475 and 476 to guide the arrangement of the cover 30 .

제1 포지셔닝돌기(35)와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거나, 어느 일방으로 치우쳐져 배치될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는 제1 포지셔닝홈(47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는 제1 포지셔닝홈(475)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제2 포지셔닝홈(476)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제2 포지셔닝홈(476)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와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제1 와이어홀(361)을 제1 리드와이어(161) 측에 배치시키고, 제2 와이어홀(362)을 제2 리드와이어(162) 측에 배치시킬 수 있다.The first positioning protrusion 35 and the second positioning protrusion 36 may have different shapes or may be disposed skewed in one direction. The first positioning protrusion 35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sitioning groove 475 . The first positioning protrusion 35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positioning groove 475 . The second positioning protrusion 36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sitioning groove 476 . The second positioning protrusion 36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sitioning groove 476 . The first positioning protrusion 35 and the second positioning protrusion 36 dispose the first wire hole 361 on the side of the first lead wire 161, and the second wire hole 362 is connected to the second lead wire 162. ) side can be placed.

제1 리드와이어(161)는 제1 와이어홀(361)을 통과하여 커버(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리드와이어(162)는 제2 와이어홀(362)을 통과하여 커버(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first lead wire 161 may pass through the first wire hole 361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30 . The second lead wire 162 may pass through the second wire hole 362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30 .

이에 따라, 커버(30)가 정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안내하고,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가 커버(30)의 내외부에서 서로 꼬이거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guide the cover 30 to be coupl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prevent the first lead wire 161 and the second lead wire 162 from being twisted or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inside and outside the cover 30 .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필러(100)는 히터(10)의 하부(13)와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필러(100)는 히터(10)의 하부(1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필러(100)의 열변형 계수는, 히터(10)의 열변형 계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 the filler 100 may have the same material as the lower portion 13 of the heater 10 . The filler 1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portion 13 of the heater 10 . The thermal deformation coefficient of the filler 100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heater 10 .

이에 따라, 히터(10)가 발열되는 등의 원인으로 히터(10)의 주변이 열변형 되더라도, 히터(10)와 필러(100)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surroundings of the heater 10 are thermally deformed due to heat generation of the heater 10 or the like, a gap may not be formed between the heater 10 and the filler 100 .

차단벽(33)의 내둘레면의 폭(w4)은 실링홈(474)의 내둘레면의 폭(w3)보다 작을 수 있다. 차단벽(33)의 외둘레면의 형상은, 실링벽(471)의 내둘레면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실링홈(474)에 메워진 필러(100)의 높이는, 실링벽(471)의 높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차단벽(33)은 필러(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벽(33)은 커버(30)의 커버바닥부(3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차단벽(33)은 실링홈(474)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실링링(20)은 파이프(41)의 스텝부(412), 리세스부(472)의 외주면 및 커버둘레부(32)의 상단의 사이에 밀착되어, 틈을 메울 수 있다.The width w4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ing wall 33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3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groove 474 .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ing wall 33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wall 471 . The height of the filler 100 filled in the sealing groove 474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aling wall 471 . The blocking wall 33 may be disposed below the pillar 100 . The blocking wall 33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cover 31 of the cover 30 . The blocking wall 33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sealing groove 474 . The sealing ring 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p portion 412 of the pipe 4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ss portion 472, and the upper end of the cover circumferential portion 32 to fill the gap.

이에 따라, 히터(10)가 발열되는 등의 원인으로, 히터(10) 주변의 구조가 열변형 되어 액체가 실링홈(474)으로 침투되더라도, 차단벽(33)은, 액체가 와이어홀(361, 362, 도 6 참조)을 통해 커버(30)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링(20)은, 액체가 커버(30)의 커버둘레부(32)와 파이프(41)의 스텝부(412)의 틈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Accordingly, even if the structure around the heater 10 is thermally deformed due to a cause such as heat generation of the heater 10 and the liquid penetrates into the sealing groove 474, the barrier wall 33 prevents the liquid from entering the wire hole 361 , 362, see FIG. 6),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to the outside of the cover 30. In addition, the sealing ring 20 can prevent liquid from leaking between the gap between the cover circumferential portion 32 of the cover 30 and the step portion 412 of the pipe 41 . also,

도 1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 제조방법은, 히터(10)를 통해 삽입공간(44)의 일측을 막는 파티션(45)을 관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 S1 단계에서, 히터(10)의 하부(13)는, 실링홈(474)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45 blocking one side of the insertion space 44 through the heater 10 (S1). In step S1 , the lower portion 13 of the heater 10 may be disposed in the sealing groove 474 .

에어로졸 생성장치 제조방법은, 실링홈(474)에 액체 상태의 필러(100)를 주입하여 메운 뒤 필러(100)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2). S2 단계에서, 필러(100)는 실링홈(474)에서 히터(10)의 하부(13)를 둘러싸며, 히터(10)를 고정할 수 있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a step of injecting and filling the sealing groove 474 with the filler 100 in a liquid state and then drying the filler 100 (S2). In step S2 , the filler 100 surrounds the lower portion 13 of the heater 10 in the sealing groove 474 and may fix the heater 10 .

에어로졸 생성장치 제조방법은, 파이프(41)의 주변에 실링링(20)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 S3 단계에서, 실링링(20)은, 파이프(41)의 스텝부(412) 및 리세스부(472)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coupling the sealing ring 20 to the periphery of the pipe 41 (S3). In step S3 , the sealing ring 20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tep portion 412 and the recess portion 472 of the pipe 41 .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커버(30)를 파이프(41)의 하측에 결합하여 실링홈(474)을 덮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4). S4 단계에서, 커버(30)는 실링링(20)을 파이프(41)의 스텝부(412)으로 가압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a step of covering the sealing groove 474 by coupling the cover 30 to the lower side of the pipe 41 (S4). In step S4 , the cover 30 may press the sealing ring 20 to the step portion 412 of the pipe 41 .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양측이 개구된 파이프(41); 상기 파이프(41)의 내부를, 상기 파이프(41)의 일측에 인접한 삽입공간(44)과 상기 파이프(41)의 타측에 인접한 실링홈(474)으로 구획하는 파티션(45); 길게 연장되고, 상기 파티션(45)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실링홈(474)에 배치된 히터(10); 그리고, 상기 실링홈(474)에 메워지는 필러(1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11, both sides of the open pipe 41; a partition 45 dividing the inside of the pipe 41 into an insertion space 44 adjacent to one side of the pipe 41 and a sealing groove 474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pipe 41; a heater 10 extending long and penetrating the partition 45 and having a portion disposed in the sealing groove 474; In addition, a filler 100 filled in the sealing groove 474 may be included.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파이프(41)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실링홈(474)의 개구를 덮는 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ver 3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pipe 41 and covering the opening of the sealing groove 474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30)는, 상기 히터(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ver 30 may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heater 10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30)는, 개구되어, 상기 히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와이어(161, 162)가 통과되는 와이어홀(361, 362)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ver 30 is opened to form wire holes 361 and 362 through which lead wires 161 and 16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er 10 pass. can be provided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30)는, 상기 와이어홀(361, 362)의 주변을 감싸도록 돌출되는 차단벽(33)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ver 30 may include a blocking wall 33 protruding to surround the wire holes 361 and 362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단벽(33)의 내주면의 폭(w4)은, 상기 실링홈(474)의 폭(w3)보다 좁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idth w4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ing wall 33 may be narrower than the width w3 of the sealing groove 474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단벽(33)은, 상기 실링홈(474)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locking wall 33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sealing groove 474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파이프(41) 및 상기 커버(30)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링(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ring 20 disposed between the pipe 41 and the cover 30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30)는, 상기 실링홈(474)의 개구를 덮는 커버바닥부(31); 및 상기 커버바닥부(31)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파이프(41)의 타측 둘레를 둘러싸는 커버둘레부(32)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ver 30 includes a cover bottom portion 31 covering the opening of the sealing groove 474; and a cover circumference 32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cover bottom 31 and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other side of the pipe 41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파이프(41)의 타측 둘레는, 내측으로 리세스되어 스텝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스텝부(412) 및 상기 커버둘레부(32)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링(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other side circumference of the pipe 41 is recessed inward to form a step portion 412, and the step portion 412 and the step portion 412 are formed. A sealing ring 20 disposed between the cover circumference 32 may be further included.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30)가 상기 파이프(41)의 타측에 결합되면, 상기 커버둘레부(32)는, 상기 스텝부(412)를 향해 상기 실링링(20)을 가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cover 3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pipe 41, the cover circumferential portion 32 moves toward the step portion 412 toward the sealing ring ( 20) can be pressurized.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커버(30)를 상기 파이프(41)의 타측에 고정시키는 스크류(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crew 37 fixing the cover 30 to the other side of the pipe 41.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실링홈(474)의 주변에 타측으로 개구된 포지셔닝홈(475, 476)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30)는, 상기 포지셔닝홈(475, 476)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30)의 배치를 안내하는 포지셔닝돌기(35, 36)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ositioning grooves 475 and 476 opened to the other side are formed around the sealing groove 474, and the cover 30 includes the positioning grooves 475 and 476 ) and may include positioning protrusions 35 and 36 for guiding the arrangement of the cover 30.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티션(45)은, 개구되어 상기 삽입공간(44)과 실링홈(474)을 연결하는 히터삽입구(454)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10)는, 상기 히터삽입구(454)에 압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artition 45 is opened to form a heater insertion hole 454 connecting the insertion space 44 and the sealing groove 474, and the heater 10 may be press-fitted into the heater insertion port 454.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10)의 타측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실링홈(474)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삽입구(454)를 통과하는 것이 제한되는 돌출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heater 10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disposed in the sealing groove 474, and restricted from passing through the heater insertion hole 454 ( 131) may be further included.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41)와 상기 파티션(45)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ipe 41 and the partition 45 may be integrally formed.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Certain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their respective components or functions (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For example,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a specific embodiment and/or drawing may be combined with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and/or drawing. That is, even if the coupling between components is not directly described, it means that coupling is possible except for cases where coupling is impossible (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I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6)

양측이 개구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내부를, 상기 파이프의 일측에 인접한 삽입공간과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인접한 실링홈으로 구획하는 파티션;
길게 연장되고, 상기 파티션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실링홈에 배치된 히터; 그리고,
상기 실링홈에 메워지는 필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 pipe with openings on both sides;
a partition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pipe into an insertion spac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pipe and a sealing groove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pipe;
a heater extending long and penetrating the partition and having a part disposed in the sealing groove; An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filler filled in the sealing groov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실링홈의 개구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ve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pipe and covering an opening of the sealing groov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히터의 하부를 지지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v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heat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개구되어, 상기 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와이어가 통과되는 와이어홀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v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wire hole that is open and passes a lead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e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와이어홀의 주변을 감싸도록 돌출되는 차단벽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v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blocking wall protruding to surround the wire hol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의 내주면의 폭(w4)은, 상기 실링홈의 폭(w3)보다 좁은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width (w4)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ing wall is narrower than the width (w3) of the sealing groov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상기 실링홈의 개구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barrier wall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sealing groov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및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링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aling ring disposed between the pipe and the cov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실링홈의 개구를 덮는 커버바닥부; 및
상기 커버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파이프의 타측 둘레를 둘러싸는 커버둘레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ver,
a cover bottom portion covering the opening of the sealing groove; and
and a cover circumference portion protruding from an edge of the cover bottom portion and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surrounding a circumference of the other side of the pip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타측 둘레는, 내측으로 리세스되어 스텝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텝부 및 상기 커버둘레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링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other circumference of the pipe is recessed inward to form a step por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ring disposed between the step portion and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over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결합되면, 상기 커버둘레부는, 상기 스텝부를 향해 상기 실링링을 가압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0,
When the cover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pipe,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presses the sealing ring toward the step por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고정시키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crew fixing the cover to the other side of the pip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홈의 주변에 타측으로 개구된 포지셔닝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포지셔닝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의 배치를 안내하는 포지셔닝돌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positioning groove opened to the other side is formed around the sealing groove,
the cov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position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groove to guide the arrangement of the cov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개구되어 상기 삽입공간과 실링홈을 연결하는 히터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삽입구에 압입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rtition is
A heater insertion hole is formed that is opened and connects the insertion space and the sealing groove,
the heat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is press-fitted into the heater insertion hole.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타측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실링홈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삽입구를 통과하는 것이 제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4,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heat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disposed in the sealing groove, and restricted from passing through the heater insertion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와 상기 파티션은, 일체로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ipe and the partition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0210095837A 2021-07-21 2021-07-21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KR1026570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837A KR102657025B1 (en) 2021-07-21 2021-07-21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PCT/KR2022/010611 WO2023003351A1 (en) 2021-07-21 2022-07-20 Aerosol-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837A KR102657025B1 (en) 2021-07-21 2021-07-21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465A true KR20230014465A (en) 2023-01-30
KR102657025B1 KR102657025B1 (en) 2024-04-11

Family

ID=8510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837A KR102657025B1 (en) 2021-07-21 2021-07-21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02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676A (en) *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Heat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90027306A (en) * 2016-12-16 2019-03-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KR20200106617A (en) *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00143993A (en) *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Heat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306A (en) * 2016-12-16 2019-03-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KR20180129676A (en) *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Heat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00106617A (en) *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00143993A (en) *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Heat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025B1 (en)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18622B (en) The method of the stator of stator, motor and manufacture motor
KR101984906B1 (en) Current-carrying lead and plug connector having such a current-carrying lead
US8893567B2 (en) Fluid conduit element
US9466913B2 (en) Car charging connector
CN104467246A (en) Fan motor
KR20230014465A (en)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JP6116821B2 (en) connector
JP2021073653A (en) Contact device and contact system
BR112013001532B1 (en) submersible well pump assembly with pressure mitigation dielectric debris seal for electrical connector interface
KR100517863B1 (en) Apparatus for sealing warm pipe of electric boiler system
CN107534246A (en) Connector shell component for hermetically-sealed cable
KR102412678B1 (en) Connector with airtightness ability
CN107543650A (en) The manufacture method of pressure sensor and pressure sensor
KR102630734B1 (en)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KR102573818B1 (en)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KR101711885B1 (en) Cap for protecting standpipe
KR20230014464A (en)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KR20230057154A (en)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and manufacturing method with the same
KR20230026149A (en)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KR20160073692A (en) Module Case of Optical Module
EP4243568A1 (en) Electric heating device
KR20230056553A (en)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KR102542026B1 (en)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CN218448616U (en) Charging structure of electric hot-water bag
US20220255305A1 (en) Foam Protective Shell for Refrigerator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