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167A - 음역대를 변화시킬 수 있는 리코더 - Google Patents

음역대를 변화시킬 수 있는 리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167A
KR20230014167A KR1020210095259A KR20210095259A KR20230014167A KR 20230014167 A KR20230014167 A KR 20230014167A KR 1020210095259 A KR1020210095259 A KR 1020210095259A KR 20210095259 A KR20210095259 A KR 20210095259A KR 20230014167 A KR20230014167 A KR 20230014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er
tube
changing
ran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주
Original Assignee
고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형주 filed Critical 고형주
Priority to KR102021009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167A/ko
Publication of KR2023001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10D7/03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with a windway for leading the air to the labium, e.g. record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10Resonating bodies, e.g. tu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가지 음색을 표현 할수 있는 리코더로써 리코더에 음색을 바꿀수있는 관을 장착할시 음역대가 바뀌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역대를 변화시킬 수 있는 리코더{CHANGING VOCAL RANGE RECORDER}
본 발명은 서양식 피리형 악기인 리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코더 속을 크기가 다른 관을 이용하여 다양한 음역대를 구현할 수 있는 리코더에 관한 것이다.
보통의 리코더(recorder)는 영국식 표현으로서, 우리나라의 피리에 대응되는 오랜 전통의 서양식 관악기이다. 리코더는 음역에 따라 소프라노, 알토, 테너 또는 베이스 등으로 구분되며, 다루기에 편리하고 저렴하며 숙련도에 따라 다양한 음감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등지에서 음악교육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악기이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다른 음역대의 소리를 낼 수 있는 리코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 목적은, 기존의 리코더와 같이 사용이 편리하며 특히 유아가 사용시에도
불편함이 없는 리코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상의 관악기(목관악기, 금관악기)와 같이 리코더는 그 성질상 하나의 악기에서 하나의 음색만을 낼 수 있다. 그래서 다른 음역대의 소리를 내고 싶으면 그 음역대에 맞는 리코더를 또 사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리코더를 가지고 다른 음역대의 소리를 낼 수 있는 리코더가 제공된다. 또한 기도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써 각기 다른 음색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식상하지 않고 재미있게 리코더를 즐길 수 있게 되는 등 부가효과가 부여된다
도 1 리코더 본체와 관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 리코더 본체와 관을 연결한 정면도
도 3 리코더 본체와 관을 연결한 측면도
도 4 리코더의 실생활 이용
본 고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에는 리코더 본체와 리코더에 착용하면 음역대를 변경할 수 있는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보면 본체와 관을 연결을 고정하는 고정대가 있고 관을 삽입 시엔 관을 왼쪽으로 90도 돌린뒤 꽂고 다시 오른쪽으로 90도 돌리면 고정이 되는 형식이다
관을 꽂게 되면 기도가 얇아져 더 높은음을 낼 수 있다.
도 4를 보면 처음엔 관을 꽂지 않은채 부르다가 다음엔 관을 꽂아 더 높은 음을 내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리코더는 대부분 음역대가 정해져 있지만 본 발명은 관만 바꾸면 소프라노 소프라니오 등등 더 높은 음역대까지 부를수 있어 해당하는 음역대가 없어 리코더를 또 사야하는 불상사를 막을 수 있다
1. 리코더
2. 음역대를 변화 하는 관
3. 리코더와 관을 고정하는 장치

Claims (1)

  1. 리코더에 관을 넣으면 다른 음역대의 소리를 낼 수 있는 음역대를 변화시킬 수 있는 리코더
KR1020210095259A 2021-07-21 2021-07-21 음역대를 변화시킬 수 있는 리코더 KR20230014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259A KR20230014167A (ko) 2021-07-21 2021-07-21 음역대를 변화시킬 수 있는 리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259A KR20230014167A (ko) 2021-07-21 2021-07-21 음역대를 변화시킬 수 있는 리코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167A true KR20230014167A (ko) 2023-01-30

Family

ID=8510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259A KR20230014167A (ko) 2021-07-21 2021-07-21 음역대를 변화시킬 수 있는 리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41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Cleve Oboe unbound: contemporary techniques
Chen et al. Do trumpet players tune resonances of the vocal tract?
Rehfeldt New directions for clarinet
US3529505A (en) Dual-bell trumpet or similar-type horn
Garofalo Improving intonation in band and orchestra performance
KR20230014167A (ko) 음역대를 변화시킬 수 있는 리코더
Wilson The measured upstream impedance for clarinet performance and its role in sound production
JP3705175B2 (ja) 演奏制御装置
Wolfe et al. The acoustics of wind instruments—and of the musicians who play them
KR20120121600A (ko) 관악기
JP3705174B2 (ja) 演奏制御装置
US1327970A (en) Mouthpiece for musical instruments
Antoniu Integrating Ghosts
JP3117417U (ja) 西洋音階式八孔付き尺八風フルート、しの笛風フルート
Liu The Art of Clarinet Fingerings
Winland A Survey of Chamber Works for Trumpet and Electronics
Shinn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works for solo bass trombone and wind band
Guthrie Voices of the Earth
Visser mabalêl.
Smith Trombone technique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MacNeil The Liminal Voices
Landon Material Evidence
Swallow MIDI Electronic Wind Instrument: A Study of the Instrument and Selected Works
Preisner The Use of Serbian Folksong in the Trumpet Music of Nikola Resanovic
Dunstan Some Acoustical Properties of Wind Instru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