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02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한 트래픽 흐름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한 트래픽 흐름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026A
KR20230014026A KR1020210104897A KR20210104897A KR20230014026A KR 20230014026 A KR20230014026 A KR 20230014026A KR 1020210104897 A KR1020210104897 A KR 1020210104897A KR 20210104897 A KR20210104897 A KR 20210104897A KR 20230014026 A KR20230014026 A KR 20230014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link
relay
remote terminal
base station
traffic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정
아닐 아기왈
밀로스 테사노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2846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76480A1/en
Priority to CN202280051557.0A priority patent/CN117693966A/zh
Priority to PCT/KR2022/010646 priority patent/WO2023003364A1/ko
Publication of KR2023001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트랜시버; 및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과 트래픽을 송수신하고, 상향링크 트래픽 및 하향링크 트래픽 제어를 위한 트래픽 흐름 제어 정보를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트래픽 흐름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및 사이드링크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스케줄링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상기 트랜시버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수행하는 기지국에 대해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한 트래픽 흐름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FLOW CONTROL WITH SIDELINK RELAY IN WIREL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기반으로,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기지국과 리모트 단말 간의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기존 4G 시스템 대비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들은 모바일 초광대역 통신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 band, eMBB), 초 고신뢰성/저지연 통신 서비스(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대규모 기기간 통신 서비스(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차세대 방송 서비스(evolv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eMBMS)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URLLC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URLLC 시스템, eMB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eMBB 시스템 등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와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URLLC 서비스는 기존 4G 시스템과 달리 5G 시스템에서 새롭게 고려되고 있는 서비스이며, 다른 서비스들 대비 초 고 신뢰성(예를 들면, 약 10-5이하의 에러율)과 저 지연(latency)(예를 들면, 약 0.5msec이하의 지연 시간) 조건 만족을 요구한다. 이러한 엄격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URLLC 서비스는 eMBB 서비스보다 짧은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의 적용이 필요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운용 방식들이 고려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 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5G 통신 시스템, 예컨대,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을 이용한 단말 간 직접 통신이 연구되고 있으며, 단말 간 직접 통신은 예를 들어 차량 통신(vehicle-to-everything, V2X), 안전망(public safety network)에 적용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상술한 것과 무선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특히 트래픽의 효율적 제어를 위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이용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서비스 커버리지 확장, 데이터 전송의 신뢰도 증대, 및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를 지원할 수 있는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수행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트랜시버; 및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과 트래픽을 송수신하고, 상향링크 트래픽 및 하향링크 트래픽 제어를 위한 트래픽 흐름 제어 정보를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트래픽 흐름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및 사이드링크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스케줄링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상기 트랜시버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서비스 커버리지가 확장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간-주파수 자원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포워딩을 사용하는 트래픽의 흐름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보고하는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보고하는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버퍼 상태 보고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버퍼 상태 보고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선제적으로 상향링크 자원 또는 사이드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선제적으로 상향링크 자원 또는 사이드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선제적으로 상향링크 자원 또는 사이드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자원 요청 보고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기지국이 선제적으로 상향링크 자원 또는 사이드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자원 요청 보고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기지국이 선제적으로 상향링크 자원 또는 사이드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자원 요청 보고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기지국이 선제적으로 상향링크 자원 또는 사이드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각 구성요소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및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규격 표준화 단체인 3GPP가 명세하고 있는 5G 이동통신 규격 상의 무선 접속망 New RAN (NR)과 코어 망인 패킷 코어 (5G system, 5G core network, 혹은 NG Core(next generation core))를 주된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 나지 아니 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 할 것이다.
5G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자동화 지원을 위해서, 5G 네트워크 망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능인 네트워크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함수 (network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function, NWDAF)가 정의될 수 있다. NWDAF는 5G 네트워크로부터 정보를 수집/저장/분석하여 결과를 불특정 네트워크 기능 (network function, NF)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는 각 NF에서 독립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5G, NR, LTE 또는 이와 유사한 시스템의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이 일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 사이드링크 릴레이와의 통신을 통해 기지국 및 단말 간의 상향링크 트래픽 및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이용하여 단말과 단말 간 직접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경우 또는 단말과 기지국 간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경우에서, 기지국과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간의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포워딩을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포워딩을 이용하여 기지국/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릴레이 및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위해 측정된 정보,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위해 측정된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릴레이 및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보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 동작 (예를 들어, 상향링크 자원 스케줄링에 활용, 하향링크 패킷 전송 흐름 제어, 사이드링크 자원 스케줄링에 활용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릴레이 및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보고 정보를 기반으로 선제적(pre-emptive) 상향링크 자원 스케줄링 또는 선제적(pre-emptive) 사이드링크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선제적 상향링크 자원 스케줄링 또는 선제적 사이드링크 자원 스케줄링은 실제 트래픽을 전송할 송신 단말(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전송자원 요청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또는 수신하지 않고 상기 송신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 자원 또는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해 주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탐색, 선택된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기지국 및 네트워크과의 트래픽을 송수신함으로써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고 데이터 송수신의 신뢰도를 높이며 단말의 배터리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eNode B, Node B, BS(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기지국과 단말이 이러한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단말이라는 용어는 핸드폰, NB-IoT 기기들, 센서들 뿐 만 아니라 다양한 무선 통신 기기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과 신호(signal)는 데이터 혹은 제어 신호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PDSCH는 데이터를 지칭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물리 채널을 송신한다'는 표현은 '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는 표현과 동등하게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 상위 시그널링은 기지국에서 물리 계층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로, 또는 단말에서 물리 계층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신호 전달 방법을 뜻한다. 상위 시그널링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특정 조건의 만족(satisfied) 또는, 충족(fulfilled)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과 또는 미만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이상 또는 이하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일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기지국(110), 단말(130, 140), 및 기지국과 단말 간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는 사이드링크 릴레이(relay)(120)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U2N(UE to network) 릴레이일 수 있다. 또한 도 1a는 하나의 기지국만을 도시하나, 기지국(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기지국이 더 존재할 수 있으며, 더 많은 릴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도 1a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예시이며, 도 1a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110)은 단말들(130, 140)과 릴레이(12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일 수 있다. 기지국(11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기지국(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지노드비(next generation nodeB, gNB)',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릴레이(120)은 사용자 또는 네트워크 인프라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10)에서 릴레이(120)를 향하는 링크는 하향링크(downlink, DL), 릴레이(120)에서 기지국(110)을 향하는 링크는 상향링크(uplink, UL)라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10)과 릴레이(120)은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향링크(uplink, UL)는 릴레이(120)가 기지국(110)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링크를 의미하고,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110)이 릴레이(120)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링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120)는 제1 단말(130) 및 제2 단말(14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릴레이(120)와 제1 단말(130) 간 링크 및 릴레이(120)와 제2 단말(140) 간 링크는 사이드링크(sidelink)로 지칭되며, 사이드링크는 PC5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들(130, 14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거나 릴레이(120)와 무선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제1 단말(130) 및 제2 단말(140) 각각은 릴레이(120)와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말(130) 및 제2 단말(14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관여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제1 단말(130) 및 제2 단말(14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단말(130) 및 제2 단말(140) 각각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사용자 장치(user device)',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sidelink remote terminal)'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단말들(150, 170), 및 단말과 단말 간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는 사이드링크 릴레이(160)가 포함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사이드링크 릴레이(160)는 U2U(UE to UE) 릴레이일 수 있다. 물론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도 1b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예시이며, 도 1b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릴레이(160)는 제3 단말(150) 및 제4 단말(17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릴레이(160)와 제3 단말(150) 간 링크 및 릴레이(160)와 제4 단말(170) 간 링크는 사이드링크(sidelink)라 지칭되며, 사이드링크는 PC5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단말(150) 및 제4 단말(17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무선 채널을 통해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거나 릴레이(160)와 무선 채널을 통해 상대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3 단말(150)과 제4 단말(170) 간 링크, 제3 단말(150)과 릴레이(160) 간 링크 및 제4 단말(170)과 릴레이(160) 간 링크는 사이드링크라 지칭되며, 사이드링크는 PC5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단말(150) 및 제4 단말(17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제3 단말(150) 및 제4 단말(17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도 있다. 제3 단말(150) 및 제4 단말(170) 각각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sidelink remote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및 Uu 인터페이스, 사이드링크 및 PC5는 혼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한 기지국(110), 릴레이들(120, 160), 및 단말들(130, 140, 150, 170)은 밀리미터 파(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의 향상을 위해, 기지국(110), 릴레이들(120, 160), 및 단말들(130, 140, 150, 170)은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110), 릴레이들(120, 160), 및 단말들(130, 140, 150, 170)은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에 방향성(directivity)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110), 릴레이들(120, 160), 및 단말들(130, 140, 150, 170)은 빔 탐색(beam search) 또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절차를 통해 서빙(serving) 빔들(112, 113, 121, 131, 141, 151, 161, 171)을 선택할 수 있다. 서빙 빔들(112, 113, 121, 131, 141, 151, 161, 171)이 선택된 후, 통신은 서빙 빔들(112, 113, 121, 131, 141, 151, 161, 171)을 송신한 자원과 QCL(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의 광범위한(large-scale) 특성들이 제2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로부터 추정될(inferred) 수 있다면, 제1 안테나 포트 및 제2 안테나 포트는 QCL 관계에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범위한 특성들 지연 스프레드(delay spread), 도플러 스프레드(doppler spread), 도플러 쉬프트(doppler shift), 평균 이득(average gain), 평균 지연(average delay), 또는 공간적 수신 파라미터(spatial receiver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제1 단말(130), 제2 단말(140), 제3 단말 (150), 제4 단말 (170)은 차량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차량 통신의 경우, LTE 시스템에서는 장치간 통신(device-to-device, D2D) 구조를 기초로 V2X(vehicle to everything)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3GPP 릴리즈 14(3GPP Release 14)과 릴리즈 15에서 완료되었으며, 5G NR 기초로 V2X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3GPP 릴리스 16에서 완료되었다. NR V2X에서는 단말과 단말 간 유니캐스트(unicast) 통신, 그룹캐스트(groupcast)(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통신 및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또한 NR V2X는 차량의 도로 주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안전 정보 송수신을 목적으로 하는 LTE V2X와 달리 그룹 주행(platooning), 진보된 주행(advanced driving), 확장 센서(extended sensor), 원격 주행(remote driving)등과 같이 보다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V2X 서비스는 기본 안전(basic safety) 서비스와 진보된(advanced)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 안전 서비스는 차량 알림(CAM(cooperative awareness messages) 또는 BSM(basic safety message)) 서비스부터 좌회전 알림 서비스, 앞차 추돌 경고 서비스, 긴급(emergency) 차량 접근 알림 서비스, 전방 장애물 경고 서비스, 교차로 신호 정보 서비스 등의 세부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안전 서비스에서는 브로드캐스트 내지 유니캐스트 내지 그룹캐스트 전송방식을 사용하여 V2X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다. 진보된(advanced) 서비스에서는 기본 안전 서비스보다 QoS(quality of service) 요구사항이 강화될 수 있다.
진보된 서비스에서는 특정 차량 그룹 내에서 V2X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두 대의 차량 간 V2X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브로드캐스트 외에 유니캐스트 및 그룹캐스트 전송방식을 사용하여 V2X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진보된 서비스는 군집주행 서비스, 자율주행서비스, 원격주행서비스, 확장된(extended) 센서 기반 V2X 서비스 등의 세부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R V2X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가 없는 지역에서 단말과 단말 간의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여 공공 안전망 (public safety)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사이드링크(sidelink, SL)는 단말과 단말 사이의 신호에 대한 송수신 경로 또는 단말과 릴레이 사이의 신호에 대한 송수신 경로를 칭하며, 이는 PC5 인터페이스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 기지국(base station)은 단말 및 릴레이의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 V2X 통신과 일반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기지국이거나, V2X 통신만을 지원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즉, 기지국은 NR 기지국(예: gNB), LTE 기지국(예: eNB), 또는 RSU(road site 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terminal)은 일반적인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이동국(mobile station) 뿐만 아니라 차량 간 통신 (vehicular-to-vehicular, V2V)을 지원하는 차량, 차량과 보행자 간 통신(vehicular-to-pedestrian, V2P)을 지원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핸드셋(일례로 스마트폰), 차량과 네트워크 간 통신 (vehicular-to-network, V2N)을 지원하는 차량 또는 차량과 교통 인프라(infrastructure) 간 통신 (vehicular-to-infrastructure, V2I)을 지원하는 차량 및 단말 기능을 장착한 RSU, 기지국 기능을 장착한 RSU, 또는 기지국 기능의 일부 및 단말 기능의 일부를 장착한 RSU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단말은 차량 간 통신(vehicular-to-vehicular, V2V)을 지원하는 차량, 차량과 보행자 간 통신(vehicular-to-pedestrian, V2P)을 지원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핸드셋(예: 스마트폰), 차량과 네트워크 간 통신(vehicular-to-network, V2N)을 지원하는 차량 또는 차량과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간 통신(vehicular-to-infrastructure, V2I)을 지원하는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공공안전망의 기기 간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단말은, 단말 기능을 장착한 RSU(road side unit), 기지국 기능을 장착한 RSU, 또는 기지국 기능의 일부 및 단말 기능의 일부를 장착한 RSU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릴레이는, V2X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 또는 공공안전망의 기기 간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릴레이는, 단말 기능을 장착한 장치, 또는 기지국 기능을 장착한 장치, 또는 단말 기능의 일부 및 기지국 기능의 일부를 장착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기지국(11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도 2를 참고하면, 기지국(110)은 무선통신부(210), 백홀통신부(220), 저장부(230),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기지국(110)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무선통신부(210), 백홀통신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2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21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2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2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2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210)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210)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210)는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복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transmitter)', '수신부(receiver)'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22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백홀통신부(220)는 기지국(110)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기지국(11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제어부(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기지국(11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22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저장부(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프로토콜 스택은 무선통신부(2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240)는 기지국(110)이 후술하는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단말(12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120)은 통신부(310), 저장부(320),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단말(120)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120)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부(310), 저장부(320), 및 제어부(33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31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볼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3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310)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310)는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복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3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320)는 단말(12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320)는 제어부(3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330)는 단말(12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저장부(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의 일부 및 제어부(330)는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330)는 단말(120)이 후술하는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무선통신부(210) 또는 도 3의 통신부(3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2의 무선통신부(210) 또는 도 3의 통신부(310)의 일부로서,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무선통신부(210) 또는 통신부(310)는 부호화 및 변조부(402), 디지털 빔포밍부(404),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및 아날로그 빔포밍부(408)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및 변조부(402)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 컨볼루션(convolution) 코드, 폴라(polar)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부호화 및 변조부(402)는 성상도 맵핑(cons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볼들을 생성한다.
디지털 빔포밍부(404)는 디지털 신호(예: 변조 심볼들)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404)는 변조 심볼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 '프리코더(precoder)'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부(404)는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로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볼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 기법에 따라, 변조 심볼들은 다중화되거나,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로 동일한 변조 심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각각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부, CP(cyclic prefix) 삽입부, DAC, 및 상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FBMC(filter bank multi-carrier))이 적용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스트림(stream)들에 대하여 독립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 구현 방식에 따라,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부(408)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404)는 아날로그 신호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및 안테나들 간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부(44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각각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은 적응적으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되거나, 둘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간-주파수 자원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무선 자원 영역에서 가로 축은 시간 영역을, 세로 축은 주파수 영역을 나타낸다. 시간 영역에서의 최소 전송 단위는 OFDM 심볼(OFDM symbol) 또는 DFT-S-OFDM 심볼(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FDM symbol)로서, Nsymb 개의 OFDM 심볼들 또는 DFT-S-OFDM 심볼들(530)이 하나의 슬롯(505)에 포함될 수 있다. 슬롯과 달리 NR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0ms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500)의 길이는 10ms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최소 전송 단위는 서브캐리어(subcarrier)로서,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transmission bandwidth)의 대역폭은 총 NBW 개의 서브캐리어들(525)을 포함할 수 있다. Nsymb, NBW 등의 구체적인 수치는 시스템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시간-주파수 자원 영역의 기본 단위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 (510)로서 이는 OFDM 심볼 인덱스 또는 DFT-S-OFDM 심볼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나타날 수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515)은 주파수 영역에서 NRB 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들(520)로 정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최소 전송 단위는 RB 단위이며, NR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Nsymb = 14, NRB = 12 일 수 있다.
도 5와 같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구조는 Uu 인터페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은 시간-주파수 자원 구조는 사이드링크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2c의 다양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포워딩을 통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에게 트래픽을 전송하는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지원하는 방안,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포워딩을 통해 기지국으로 트래픽을 전송하는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지원하는 방안,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에게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또는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측정 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방안,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또는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측정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방안,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에게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안,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측정 정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트래픽 정보 등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또는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방안,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 자원 또는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선제적으로 스케줄링하는 방안,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기지국이 선제적으로 상향링크 전송 자원 또는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도록 선제적 전송 자원 요청 시그널링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방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방법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방법이 조합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 내지 도 12c의 실시 예는 사이드링크 릴레이에 연결된 하나의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을 도시하고 있으나, 사이드링크 릴레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들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공하는 트래픽 흐름 제어 방안은 사이드링크 릴레이에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활용되거나, 사이드링크 릴레이을 통해 기지국과 송수신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향링크 베어러 또는 하향링크 베어러의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c의 실시 예에서 트래픽 흐름 제어의 대상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향링크 트래픽,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트래픽이 될 수 있다. 기지국, 사이드링크 릴레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상기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향링크 트래픽 및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트래픽에 해당되는 하향링크 베어러 및 상향링크 베어러, 하향링크 베어러에 상응하는 사이드링크 RLC 채널 설정, 하향링크 베어러에 대한 하향링크 RLC 및 LCH 설정, 상향링크 베어러에 상응하는 사이드링크 RLC 채널 설정, 상향링크 베어러에 대한 상향링크 RLC 및 LCH 설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을 가지고 있다. 사이드링크 RLC 채널 설정은 사이드링크 RLC 및 LCH (logical channel) 설정(configur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자신에게 연결되어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에 대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식별 정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상향링크 베어러 정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나 또는 복수의 하향링크 베어러 정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상향링크 베어러에 상응하는 사이드링크 RLC 베어러 정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나 또는 복수의 하향링크 베어러에 상응하는 사이드링크 RLC 베어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가지고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관리하는 설정은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포워딩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사이드링크 RLC 채널 설정과 사이드링크 단말의 상향링크 베어러 RLC 설정 또는 하향링크 베어러 RLC 설정의 매핑 정보를 포함한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자신의 상향링크 베어러 또는 하향링크 베어러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포워딩을 이용하는 사이드링크 RLC 베어러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 사이드링크 릴레이 및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가지고 있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베어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향링크 베어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사이드링크 베어러에 대해 트래픽 흐름 제어에 필요한 측정 정보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기지국, 사이드링크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집될 수 있고, 측정 정보가 보고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포워딩을 사용하는 트래픽의 흐름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 연결되어 있고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의 포워딩을 통해 기지국(660)과의 상향링크 트래픽 및 하향링크 트래픽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660)은 601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해당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게 전달하고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은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603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은 605단계에서 상향링크 트래픽을 해당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게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은 607단계에서 기지국(66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66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의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과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의 도움을 받을 수 있고(611 및 609단계), 기지국(66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의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609단계).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609단계의 하향링크 트래픽 제어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트래픽 제어가 필요한 링크는 기지국(66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게 트래픽을 전송하는 Uu링크와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에게 트래픽을 전송하는 사이드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66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게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요청하거나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서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에 대한 정보 보고를 트리거링할 수 있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는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서 버퍼되어 있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의 하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버퍼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 상태 정보는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서 측정 가능한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 정보가 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은 하향링크 트래픽 제어에 필요한 측정 정보를 기지국(660)에게 보고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이 하향링크 트래픽 제어에 필요한 측정 정보를 기지국(660)으로 보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상향링크 메시지는 SL-BSR(sidelink buffer status report) 메시지, UEAssistanceInformationNR와 같은 RRC 메시지,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adaptation sublayer 제어 시그널링, MAC CE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SL-BSR의 경우,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게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모드 1(mode1,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서 사용 가능한 메시지일 수 있다. 즉,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게 mode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이 기지국(660)에게 전송하는 SL-BSR (sidelink buffer status report)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의 하향링크 베어러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의 버퍼 상태를 리포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SL-BSR은 사이드링크 논리채널 그룹의 버퍼 상태 정보를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SL-BSR를 통해 보고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의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 버퍼 상태 정보는 기지국(66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650)로부터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로의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파악하는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정보를 보고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SL-BSR은 일반적인 SL-BSR과 동일한 포맷(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에 해당되는 버퍼 크기를 보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SL-BSR의 포맷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상세하게 보고하기 위해 다른 포맷(더 많은 논리채널그룹 개수를 포함하는 포맷(논리채널은 논리채널그룹에 매핑되므로 논리채널그룹 개수가 많아지면 논리채널별로 버퍼 크기를 보고하는 효과를 줄 수 있음), 논리채널그룹(LCG)가 아닌 논리채널(LCH)에 대해 버퍼 크기 보고할 수 있는 포맷,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별로 보고할 수 있는 포맷 등)으로 확장된 SL-BSR을 사용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게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모드 2 (mode2,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직접 스케줄링하는 모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SL-BSR을 전송하지 않으므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의 하향링크 베어러에 상응하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의 버퍼 상태를 리포트하기 위해 SL-BSR이 아닌 별도의 상향링크 시그널링(사이드링크 릴레이가 기지국에게 전송)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상향링크 시그널링을 통해 보고되는 버퍼 상태 정보는 기지국(66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650)로부터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로의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파악하는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 설정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모드에 따라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구분하는 실시 예는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 설정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모드에 관계 없이 사용되도록 별도의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정의할 수도 있다. 이는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609단계 및 611단계의 상향링크 트래픽 제어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트래픽 제어가 필요한 링크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게 트래픽을 전송하는 사이드링크와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이 기지국(660)에게 트래픽을 전송하는 Uu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66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Uu BSR (uplink buffer status report, 일반적인 Uu BSR은 상향링크 논리채널그룹의 버퍼 크기를 보고하는 목적으로 사용) 메시지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이드링크 릴레이(650)는 Uu BSR (uplink buffer status report)를 기지국(660)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Uu BSR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의 상향링크 베어러에 상응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에 설정된 논리채널의 버퍼 상태를 리포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에 필요한 측정 정보를 보고하는 용도로서 별도의 상향링크 시그널링(사이드링크 릴레이가 기지국에게 전송)이 사용될 수 있다. 별도의 상향링크 시그널링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의 상향링크 베어러에 상응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에 설정된 논리채널의 버퍼 상태를 리포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Uu BSR 또는 별도의 상향링크 시그널링을 통해 보고된 측정 정보는 기지국(66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650)로부터 기지국(660)으로의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에 해당되는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파악하는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이 기지국(66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에서 측정 가능한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에서 측정 가능한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에서 측정 가능한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사이드링크 릴레이(650)는 기지국(660)에게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정보를 보고할 때 사이드 링크 리모트 단말(6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측정 정보를 같이 보고하거나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서 기지국(660)으로 단순 포워딩 또는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이 전송하는 보고 메시지에 추가) 또는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의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정보에 반영(재구성)하여 기지국(660)에게 보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에서 측정 가능한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정보는 일 예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의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에게 mode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이 기지국(660)에게 전송하는 일반적인 SL-BSR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에 설정된 논리채널그룹의 버퍼 크기를 보고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SL-BSR를 통해 보고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의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 버퍼 상태 정보는 기지국(66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로부터 사이드링크 릴레이(650)로의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파악하는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정보를 보고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SL-BSR은 일반적인 SL-BSR과 동일한 포맷(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에 해당되는 버퍼 크기를 보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SL-BSR의 포맷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상세하게 보고하기 위해 다른 포맷(더 많은 논리채널그룹 개수를 포함하는 포맷(논리채널은 논리채널그룹에 매핑되므로 논리채널그룹 개수가 많아지면 논리채널별로 버퍼 크기를 보고하는 효과를 줄 수 있음), 논리채널그룹(LCG)가 아닌 논리채널(LCH)에 대해 버퍼 크기 보고할 수 있는 포맷,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별로 보고할 수 있는 포맷 등)으로 확장된 SL-BSR을 사용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에게 mode2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SL-BSR을 전송하지 않으므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의 상향링크 베어러에 상응하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의 버퍼 상태를 리포트하기 위해 SL-BSR이 아닌 별도의 시그널링(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송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에게 전송)이 사용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이 상향링크 트래픽 제어에 필요한 측정 정보를 기지국(660)으로 보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상향링크 메시지는 SL-BSR(sidelink buffer status report) 메시지, UEAssistanceInformationNR와 같은 RRC 메시지, MAC CE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이 상향링크 트래픽 제어에 필요한 측정 정보를 사이드링크 릴레이(650)에게 전송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메시지는 사이드링크 MAC CE, 사이드링크 RRC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고되는 측정 정보 (예,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이 보고하는 버퍼 크기 정보)는 기지국(66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로부터 사이드링크 릴레이(650) 간 사이드링크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파악하는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에 설정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모드에 따라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구분하는 실시 예는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에 설정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모드에 관계 없이 사용되도록 별도의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정의할 수도 있다. 이는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에서 측정 가능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정보는 기지국(66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600)로부터 사이드링크 릴레이(650)로의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파악하는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보고하는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사이드링크에서 트래픽을 송신하기 위한 전송 자원 스케줄링 모드로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모드 1 (mode1)과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모드 2(mode2)를 설정 받을 수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mode1이 설정된 경우에는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송신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고, mode2가 설정된 경우에는 송신 단말이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직접 스케줄링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에게 mode1이 설정된 경우에는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요청하기 위한 용도로서 송신단말이 SL-BSR을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요청 용도의 SL-BSR이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모드 설정에 따라 트래픽 흐름 제어에 필요한 측정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용도로서 활용되거나 활용되지 못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701단계에서 단말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단말은 703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703단계에서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의 실시 예는 [표 1]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의 조건이 만족되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송신해야 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폴링(polling)이 수신되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송신해야 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송신해야 한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705단계에서 mode 1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705단계의 판단에 따라 mode 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707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A방안(Solution A)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A방안은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정보를 보고하기 위해 SL-BSR을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것이다.
또는 705단계의 판단에 따라 mode 1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mode 2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709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B방안(Solution B)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B방안은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고하기 위해 별도의 상향링크 시그널링(RRC 또는 MAC CE 또는 relay adaption sublayer signaling 중 적어도 하나)을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별도의 상향링크 시그널링의 다른 예로서 UEAssistanceInformationNR(UAI)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UAI메시지는 SL configured grant type 1 또는 SL configured grant type 2 기반의 스케줄링을 보조하기 위해 단말의 사이드링크 트래픽 패턴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UAI 메시지가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UAI 메시지는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 또는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 크기를 보고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조건의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다.
측정 보고 트리거링의 대상 또는 측정 보고의 대상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RLC 베어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향링크 RLC 베어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RLC 베어러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RLC 베어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향링크 베어러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RLC 베어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RLC 베어러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RLC 베어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향링크 RLC 베어러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RLC 베어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상향링크 RLC 베어러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LCH 또는 사이드링크 LCH 그룹,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하향링크 RLC 베어러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LCH 또는 사이드링크 LCH 그룹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이 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베어러와 하향링크 베어러 각각에 대해 사이드링크 RLC 채널이 설정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RLC 채널 설정은 사이드링크 RLC/LCH (logical channel) configuration 을 포함할 수 있고 Uu RLC 채널 설정은 Uu RLC/LCH (logical channel) configuration 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보고 트리거링를 판단하는 데 사용하는 정보는 buffer load, CBR (channel busy ratio), latency bound/PDB (packet delay budget), number of continuous pre-empted resource selection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이 될 수 있다.
측정 보고 트리거링의 대상 또는 측정 보고의 대상에 대해 사이드링크 측정 보고 트리거링을 만족하는 조건은 다음 1 내지 4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이 될 수 있다.
1.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버퍼 레벨(Buffer load exceeding a certain level)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사이드링크 RLC 베어러에 해당되는 buffer size 또는 buffer size level을 임계치와 비교, 임계치보다 크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2.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설정된/할당된 SL 자원 풀의 CBR(Channel Busy Ratio) (CBR of configured/assigned SL resource pool exceeding a certain level)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사이드링크 RLC 베어러에 해당되는 트래픽 전송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혼잡도와 임계치를 비교, 임계치보다 크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CBR를 기반으로 트래픽 흐름 제어가 필요한 이유는 전송 자원 풀의 CBR 은 TX 자원의 congestion status 를 반영하므로 Remote UE 가 상향링크 패킷을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패킷을 전송하는데 사용할 자원 또는 Relay UE 가 하향링크 패킷을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패킷을 전송하는 데 사용할 자원을 시기 적절하게 획득할 수 없다면, Remote UE 또는 Relay UE 에서 버퍼링되는 패킷량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 즉, 실제 buffer overflow 발생 전에 CBR 증가로 buffer over flow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CBR 증가로 인해 버퍼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flow control 이 필요함을 보고할 수 있다.
3. 리모트 UE의 QoS 플로우에서의 PDB, latency bound, latency requirement가 충족되지 않은 경우(PDB(Packet Delay Budget), latency bound, latency requirement for remote UE's QoS flow is not met)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사이드링크 RLC 베어러에 해당되는 latency 요구사항이 만족되지 못한다고 판단되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PDB/latency bound/latency requirement를 기반으로 트래픽 흐름 제어가 필요한 이유는 Relay UE 의 buffer status 는 overflow 되지 않았지만, Relay UE 를 통해 포워딩되는 Remote UE의 어떤 QoS flow 의 논리채널에 대해 PDB/latency bound/latency requirement 를 만족하지 못하는 횟수가 증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해당 Remote UE 의 어떤 QoS flow 의 논리채널의 트래픽 포워딩에 대한 flow control 이 필요함을 보고할 수 있다.
4. 연속적으로 스케줄링된 자원이 선점되는 횟수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사이드링크 RLC 베어러에 해당되는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자원이 다른 트래픽 전송을 위해 연속적으로 선점 당하는 경우, 연속된 선점 횟수를 임계치와 비교, 임계치보다 크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For this scenario, Relay UE can report all the flow control information for Remote UE(s) relayed by Relay UE since the pre-empted resource may not target for certain logical channel(s).) Preemptive resource re-selection을 기반으로 트래픽 흐름 제어가 필요한 이유는 Relay UE의 buffer status 는 overflow 되지 않았지만, Relay UE 를 통해 포워딩되는 Remote UE의 어떤 QoS flow 의 논리채널에 대해 preemptive resource re-selection 이 계속 발생하여 해당 논리채널의 패킷 전송이 지체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해당 Remote UE 의 어떤 QoS flow 의 논리채널의 트래픽 포워딩에 대한 flow control 이 필요함을 보고할 수 있다.

트리거링 설정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릴레이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에 대해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고,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 어떤 condition (하나 또는 조합)을 사용할지, 어떤 threshold 값을 사용할지 사이드링크 릴레이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에게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트리거링 설정 파라미터는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에게 시그널링으로 설정 또는 미리 설정 (pre-configured)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b를 참조하여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모드 설정에 관계 없이 트래픽 흐름 제어에 필요한 측정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경우에서 SL-BSR을 활용하는 실시 예를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b의 실시 예에서도 SL-BSR 또는 별도의 시그널링을 측정 정보 보고에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751단계에서 단말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단말은 753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753단계에서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의 실시 예는 [표 1]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의 조건이 만족되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송신해야 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폴링(polling)이 수신되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송신해야 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송신해야 한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755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X방안(Solution X)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X방안은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정보를 보고하기 위해 SL-BSR 또는 별도의 상향링크 시그널링(RRC 또는 MAC CE 또는 relay adaption sublayer signaling 중 적어도 하나)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별도의 상향링크 시그널링의 다른 예로서 UEAssistanceInformationNR(UAI)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755단계에서 전송되는 SL-BSR은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에 활용되는 경우이며, mode 1에서 사용되는 SL-BSR과는 별개로 사용될 수 있다.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용도로 설정된 SL-BSR의 경우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에게 mode 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또는 mode 2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용도로 설정된 SL-BSR 메시지는 일반적인 SL-BSR메시지와 구분되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포워딩되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 또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 크기 정보만 포함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SL-BSR메시지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포워딩되거나 포워딩되지 않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에 대한 버퍼 크기 정보를 보고할 수 있으며,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용도로 설정된 SL-BSR 메시지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포워딩되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 또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 크기 정보만을 보고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8a 내지 도 8b는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측정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0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830)에 연결되어 있고 사이드링크 릴레이(830)의 포워딩을 통해 기지국(840)과의 상향링크 트래픽 및 하향링크 트래픽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840)은 801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00)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해당 사이드링크 릴레이(830)에게 전달하고 사이드링크 릴레이(830)은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00)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803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00)은 805단계에서 상향링크 트래픽을 해당 사이드링크 릴레이(830)에게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 릴레이(830)은 807단계에서 기지국(84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0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가 설정되어 있는 사이드링크 릴레이(830)는 809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가 트리거링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830)이 809단계의 판단에 사용하는 정보는 [표 1]과 같다. [표 1]의 정보에 따라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되면, 사이드링크 릴레이(830)은 811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표 2).
측정 보고 메시지는 측정보고의 대상, 측정보고 대상에 대한 측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보고의 대상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RLC 베어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향링크 RLC 베어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RLC 베어러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RLC 베어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향링크 베어러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RLC 베어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RLC 베어러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RLC 베어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향링크 RLC 베어러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RLC 베어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상향링크 RLC 베어러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LCH 또는 사이드링크 LCH 그룹,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하향링크 RLC 베어러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LCH 또는 사이드링크 LCH 그룹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이 될 수 있다.

측정 정보는 상기 측정 보고 대상에 대한 버퍼 크기(buffer size), 버퍼 크기 레벨(buffer size level)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uffer size: this field indicates the maximum traffic volume the TX UE should send.
Buffer size level: the total amount of data available according to the data volume calculation procedure (e.g., the tables used in SL BSR or Uu BSR in 3GPP TS38.321)
측정 정보는 측정보고 대상에 대해 “downstream 또는 upstream을 위한 버퍼 상태가 임계값을 넘었는지 여부(whether the buffer status for downstream or upstream is over a threshold or not)”의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830)은 813단계에서 [표 2]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지국(84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830)의 811단계 내지 813단계 동작은 도 7a의 705단계 내지 707단계 또는 도 7a의 705단계 내지 709단계 또는 도 7b의 755단계 중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기지국(840)은 815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830)으로부터 획득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00)의 트래픽 발생 상황 및 기지국(840)이 관리하고 있는 트래픽 흐름 제어 정보를 활용하여 사이드링크 릴레이(830)을 통한 트래픽 흐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래픽 흐름 제어의 일 예로 기지국(84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00)에게 전송하는 하향링크 트래픽 전송 흐름을 늦추거나 빠르게 조절하거나 사이드링크 릴레이(830)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00)로의 트래픽 전송에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스케줄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5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880)에 연결되어 있고 사이드링크 릴레이(880)의 포워딩을 통해 기지국(890)과의 상향링크 트래픽 및 하향링크 트래픽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890)은 851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50)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해당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에게 전달하고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은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50)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853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50)은 855단계에서 상향링크 트래픽을 해당 사이드링크 릴레이(880)에게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 릴레이(880)은 857단계에서 기지국(89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5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890)은 트래픽 흐름 제어에 필요한 측정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가 설정되어 있는 사이드링크 릴레이(880)에게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전송하도록 859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폴링(polling)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880)은 861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가 요청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고, 863단계에서 [표 2]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880)은 865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지국(89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880)의 863단계 내지 865단계 동작은 도 7a의 705단계 내지 707단계 또는 도 7a의 705단계 내지 709단계 또는 도 7b의 755단계 중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기지국(890)은 867단계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릴레이(880)으로부터 획득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50)의 트래픽 발생 상황 및 기지국(890)이 관리하고 있는 트래픽 흐름 제어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릴레이(880)을 통한 트래픽 흐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래픽 흐름 제어의 일 예로 기지국(89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50)에게 전송하는 하향링크 트래픽 전송 흐름을 늦추거나 빠르게 조절하거나 사이드링크 릴레이(880)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850)로의 트래픽 전송에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스케줄링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이 전송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폴링(polling)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표 3]과 같다.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에 대한 트래픽 흐름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정보를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부터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에게 측정 보고 폴링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폴링 메시지는 relay adaptation sublayer의 제어 메시지, RRC 메시지, MAC CE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간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폴링 메시지가 사용되는 경우, 사이드링크 RRC 메시지, 사이드링크 MAC CE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폴링 메시지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폴링을 지시하는 타입(type) 정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에 포함될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식별자,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에 포함될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사이드링크 RLC 베어러,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에 포함될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사이드링크 논리채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폴링 메시지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 식별자 또는 Uu 논리채널 식별자가 설정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9a 내지 도 9b는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측정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9a의 활용 예는 다음과 같다.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측정 정보를 구성,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측정 결과를 사이드링크 릴레이에게 전달,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측정 결과와 자신이 측정한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측정 결과를 취합하여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9a의 다른 활용 예는 다음과 같다.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자신이 측정한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에 활용될 수 있는 측정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고 이와 별도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측정 결과를 전달 받고 이를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0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930)에 연결되어 있고 사이드링크 릴레이(930)의 포워딩을 통해 기지국(940)과의 상향링크 트래픽 및 하향링크 트래픽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940)은 901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00)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해당 사이드링크 릴레이(930)에게 전달하고 903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930)는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00)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00)은 905단계에서 상향링크 트래픽을 해당 사이드링크 릴레이(930)에게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 릴레이(930)는 907단계에서 기지국(94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0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0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이 가능하며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정보를 사이드링크 릴레이(930) 또는 기지국(940)에게 보고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경우, 909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이드링크 릴레이(930)에게 사이드링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909단계 측정 결과의 실시 예는 [표 2]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930)은 911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가 트리거링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911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930)이 사용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트리거링 조건은 이하의 (1), (2), (3)의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에 해당될 수 있다.
(1) 사이드링크 릴레이(930)가 911단계에서 사용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트리거링 조건은 809단계에 적용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트리거링 조건들([표 1]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2) 사이드링크 릴레이(930)가 911단계에서 사용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트리거링 조건은 909단계의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보고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00)로부터 909단계의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이드링크 릴레이(930)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3) 사이드링크 릴레이(930)가 911단계에서 사용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트리거링 조건은 909단계에서 수신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측정정보가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트리거링 조건([표 1] 참조)을 만족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00)이 전송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측정 결과로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00)의 사이드링크 논리채널 버퍼 크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00)의 사이드링크 논리채널 버퍼 크기가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면 사이드링크 릴레이(93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930)은 913단계에서 [표 2]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도록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고, 915단계에서 구성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지국(940)으로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940)은 917단계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릴레이(930)으로부터 획득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00)의 트래픽 발생 상황 및 기지국(940)이 관리하고 있는 트래픽 흐름 제어 정보를 활용하여 사이드링크 릴레이(930) 포워딩을 이용하는 통신시스템의 트래픽 흐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래픽 흐름 제어의 일 예로 기지국(94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00)이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스케줄링을 제어하거나 사이드링크 릴레이(93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0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포워딩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전송 자원 스케줄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5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980)에 연결되어 있고 사이드링크 릴레이(980)의 포워딩을 통해 기지국(990)과의 상향링크 트래픽 및 하향링크 트래픽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990)은 951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50)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해당 사이드링크 릴레이(960)에게 전달하고 사이드링크 릴레이(960)은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50)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953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50)은 955단계에서 상향링크 트래픽을 해당 사이드링크 릴레이(980)에게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 릴레이(980)은 957단계에서 기지국(99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5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50)은 959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가 트리거링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959단계에서 측정 보고 트리거링 판단 조건은 [표 1]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959단계의 판단에 따라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가 트리거링되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50)은 961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메시지를 구성([표 2] 참조)할 수 있고 963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메시지를 기지국(990)에게 전송할 수 있다. 963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50)이 전송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메시지는 기지국(990)에게 직접 전송되거나 사이드링크 릴레이(980)의 포워딩을 통해 기지국(990)에게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990)은 965단계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50)으로부터 획득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50)의 트래픽 발생 상황 및 기지국(990)이 관리하고 있는 트래픽 흐름 제어 정보를 활용하여 사이드링크 릴레이(980) 포워딩을 이용하는 통신시스템의 트래픽 흐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래픽 흐름 제어의 일 예로 기지국(99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50)이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스케줄링을 제어하거나 사이드링크 릴레이(98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95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포워딩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전송 자원 스케줄링을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수행하는 다른 실시 예로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기지국 또는 사이드링크 릴레이로부터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폴링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 폴링 메시지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지국 또는 사이드링크 릴레이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도 8b의 실시예가 도 9a 또는 도 9b와 결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폴링 메시지는 [표 3]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고, 측정 보고 메시지는 [표 2]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버퍼 상태 보고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로서 도 10a 내지 도 10b에서 사이드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SL-BSR은 일반적인 SL-BSR과 동일한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10a 내지 도 10b에서 사이드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SL-BSR은 일반적인 SL-BSR의 포맷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 또는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상세하게 보고하기 위해 다른 포맷(더 많은 논리채널그룹 개수를 포함하는 포맷, 논리채널그룹이 아닌 논리채널에 대해 보고할 수 있는 포맷,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별로 보고할 수 있는 포맷 등)으로 확장된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릴레이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에 대해,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관리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상향링크 RLC채널/하향링크 RLC채널과 이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상향링크 RLC채널/하향링크 RLC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관리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상향링크 RLC채널/하향링크 RLC채널과 이에 매핑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사이드링크 RLC 채널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대해 각각 설정될 수 있음)을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관리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상향링크 RLC 채널/하향링크 RLC 채널에 해당되는 Uu 논리채널 식별자와 이에 매핑되는 Uu 논리채널그룹 식별자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관리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사이드링크 RLC 채널(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대해 각각 설정될 수 있음)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 식별자와 이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 식별자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관리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사이드링크 RLC 채널(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대해 각각 설정될 수 있음)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 그룹 식별자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상기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을 매핑하고 매핑정보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직접 통신의 경우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을 설정하고 사이드링크 송신단말이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과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을 매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에 대한 버퍼 크기를 보고하는 SL-BSR메시지를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용도로 활용하고자 할 때 보고된 논리채널그룹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 정보를 알 수 없다. 따라서 기지국, 사이드링크 릴레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SL-BSR을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기지국에게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과 사이드링크 논리채널 간 매핑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도 10a를 참조하면, 사이드링크 릴레이(1030)은 기지국(1040)으로부터 수신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00)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로 전송하기 위해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요청할 수 있는 SL-BSR을 전송할 수 있으면, 사이드링크 릴레이(1030)은 1001단계에서 기지국(1040)에게 SL-BSR을 전송할 수 있다. SL-BSR 메시지는 사이드링크 릴레이(1030)에게 mode1이 설정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SL-BSR 메시지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00)의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의 버퍼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40)은 SL-BSR에 대해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1003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10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040)은 SL-BSR에서 보고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00)의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의 버퍼 크기 정보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00)의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40)은 하향링크 트래픽 전송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조절할 수 있고, 기지국(104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030)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00)에게 하향링크 트래픽을 포워딩하는 데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할당량을 조절하거나 사이드링크 릴레이(1030)의 추가적인 SL-BSR 요청 없이 선제적으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사이드링크 릴레이(1030)에게 스케줄링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1030)은 1003단계에서 획득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통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00)에게 트래픽 전송을 지시하는 정보를 1005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고 1007단계에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00)에게 하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1030)에게 mode2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지국(104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1030)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00)의 하향링크 트래픽이 정체되어 있는지 여부나 얼마나 정체되어 있는지 등의 정보를 보고 받을 수 있는 별도의 방안이 필요하며 기지국(1040)은 도 7a 내지 도 7b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00)의 하향링크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의 버퍼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50)은 상향링크 트래픽이 발생하여 상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통해 사이드링크 릴레이(1080)에게 전송하기 위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요청할 수 있는 SL-BSR을 전송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기지국(1090)에게 1051단계에서 SL-BSR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L-BSR메시지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50)에게 mode1이 설정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SL-BSR 메시지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50)의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의 버퍼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90)은 SL-BSR에 대해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1053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090)은 SL-BSR에서 보고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50)의 사이드링크 논리채널그룹의 버퍼 크기 정보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50)의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90)은 상향링크 트래픽 전송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조절할 수 있고, 기지국(109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5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1080)에게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할당량을 조절하거나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50)의 추가적인 SL-BSR 요청 없이 선제적으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50)에게 스케줄링할 수 있다. 기지국(109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08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50)로부터의 트래픽을 포워딩하기 위해 필요한 상향링크 전송 자원 할당향을 조절하거나 사이드링크 릴레이(1080)의 Uu BSR 메시지 없이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선제적으로 사이드링크 릴레이(1080)에게 스케줄링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50)은 1053단계에서 획득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통해 사이드링크 릴레이(1080)에게 트래픽 전송을 지시하는 정보를 1055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고 1057단계에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릴레이(1080)에게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50)에게 mode2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지국(109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50)의 상향링크 트래픽이 정체되어 있는지 여부나 얼마나 정체되어 있는지 등의 정보를 보고 받을 수 있는 별도의 방안이 필요하며 기지국(1090)은 도 7a 내지 도 7b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050)의 상향링크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의 버퍼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선제적으로 상향링크 자원 또는 사이드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기지국(1120)은 1101단계에서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 상태를 판단하고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1120)은 도 6 내지 도 10b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이드링크 릴레이 및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향링크 트래픽 상태 등을 기반으로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이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방안의 일 예로서, 기지국(112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1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00)에게 하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선제적으로 사이드링크 릴레이(1110)에게 할당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이드링크 릴레이(1110)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00)에게 하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로 전송하기 위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기지국(1120)에게 할당해 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예측하여 사이드링크 릴레이(1110)에게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사이드링크 릴레이(1110)의 요청 없이 스케줄링할 수 있다.
기지국(1120)은 1103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111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00)로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사용할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사이드링크 릴레이(1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기지국(112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10)가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이 선제적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인지를 구분하지 않도록 일반적인 SL(sidelink)-RNTI 또는 SLCS(sidelink configured scheduling)-RNTI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기지국(112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10)이 상기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이 선제적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SL relay preemptively scheduled resource를 지시하는 RNTI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RNTI의 사용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10)가 선제적으로 할당된 자원을 릴레이 용도로만 사용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1110)은 기지국(1120)으로부터 스케줄링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1105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00)에게 하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기지국(1150)은 1131단계에서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 상태,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상태를 판단하고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1150)은 도 6 내지 도 10b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이드링크 릴레이 및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하향링크 트래픽 상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트래픽 상태 등을 기반으로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 상태,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이 수행하는 하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의 일 예를 들어, 기지국(115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에게 하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선제적으로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에게 할당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에게 사이드링크를 통해 하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기로 판단하고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기지국(1150)에게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도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에게 하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해 줄 수 있다.
기지국이 수행하는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의 일 예를 들어, 기지국(115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에게 상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선제적으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에게 할당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에게 mode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로 한정될 수 있다. 즉,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이 자신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기로 판단하고 사이드링크를 통해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에게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기지국(1150)에게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도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에게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해 줄 수 있다.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로서 기지국(115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기지국(1150)으로 전송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선제적으로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에게 할당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로부터 사이드링크를 통해 상향링크 트래픽을 수신하고 이를 기지국(1150)으로 포워딩하기로 판단하고 필요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기지국(1150)에게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도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해 줄 수 있다.
기지국(1150)은 1133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으로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사용할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에게 선제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기지국(115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이 상기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이 선제적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인지를 구분하지 않도록 일반적인 SL-RNTI 또는 SLCS-RNTI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기지국(115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이 상기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이 선제적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SL relay preemptively scheduled resource를 지시하는 RNTI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별도의 RNTI의 사용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가 선제적으로 할당된 자원을 릴레이 용도로만 사용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1110)은 기지국(1120)으로부터 스케줄링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에게 하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150)은 1135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사용할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기지국(115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이 상기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이 선제적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인지를 구분하지 않도록 일반적인 SL-RNTI 또는 SLCS-RNTI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기지국(115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이 상기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이 선제적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SL relay preemptively scheduled resource를 지시하는 RNTI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RNTI의 사용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가 선제적으로 할당된 자원을 릴레이 용도로만 사용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은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에게 자신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150)은 1137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사용할 상향링크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선제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기지국(115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이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이 선제적 할당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인지를 구분하지 않도록 일반적인 C-RNTI, MCS-C-RNTI 또는 CS-RNTI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기지국(115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이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이 선제적 할당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Relay preemptively scheduled resource를 지시하는 RNTI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별도의 RNTI의 사용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가 선제적으로 할당된 자원을 릴레이 용도로만 사용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1140)은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3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기지국(11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은 상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통해 사이드링크 릴레이(1170)에게 전송하기 위한 전송 자원을 요청하기 위한 SL-BSR을 기지국(1180)에게 1161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1161단계의 동작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에게 mode 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1180)은 1163단계에서 SL-BSR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스케줄링을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1180)은 1165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에게 상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통해 사이드링크 릴레이(1170)에게 전송하는 데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를 위해 1161단계에서 SL-BSR을 기지국(118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180)은 1163단계에서 SL-BSR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에게 상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통해 사이드링크 릴레이(1170)에게 전송하는 데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선제적으로 할당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이 자신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기로 판단하고 사이드링크를 통해 사이드링크 릴레이(1170)에게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기지국(1180)에게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도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1170)에게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해 줄 수 있다.
기지국(1180)은 1165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에게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기지국(118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이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이 선제적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인지를 구분하지 않도록 일반적인 SL-RNTI 또는 SLCS-RNTI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기지국(118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이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이 선제적 할당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SL relay preemptively scheduled resource를 지시하는 RNTI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RNTI의 사용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가 선제적으로 할당된 자원을 릴레이 용도로만 사용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기지국(1180)은 1163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수신한 사이드링크 릴레이(1170)가 상기 상향링크 트래픽을 포워딩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전송자원을 선제적으로 할당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이드링크 릴레이(1170)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로부터 사이드링크를 통해 상향링크 트래픽을 수신하고 이를 기지국(1180)으로 포워딩하기로 판단하고 필요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기지국(1180)에게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도 기지국(118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70)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해 줄 수 있다.
기지국(1180)은 1167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16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사이드링크 릴레이(1170)에게 선제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기지국(118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70)이 할당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이 선제적 할당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인지를 구분하지 않도록 일반적인 C-RNTI, MCS-C-RNTI 또는 CS-RNTI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기지국(118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70)이 할당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이 선제적 할당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Relay preemptively scheduled resource를 지시하는 RNTI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RNTI의 사용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170)가 선제적으로 할당된 자원을 릴레이 용도로만 사용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선제적 자원 요청 보고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기지국이 선제적으로 상향링크 자원 또는 사이드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사이드링크 릴레이(1210)은 1201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00)이 사이드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0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사이드링크 릴레이(121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0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기지국(1220)에게 포워딩하기 위해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기지국(12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사이드링크 릴레이(1210)은 기지국(1220)으로부터 이미 스케줄링된 이용가능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0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기지국(1220)에게 포워딩하고, 상기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0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이어서 사이드링크를 통해 수신될 것으로 예측되는 추가적인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선제적으로 기지국(1220)에게 요청하기로 1203단계에서 판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1210)은 1203단계의 판단에 따라 선제적 상향링크 전송 자원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1220)에게 1205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1210)이 전송하는 선제적 상향링크 전송 자원 요청 메시지의 사용은 다음 [표 4]와 같다.
Pre-emptive BSR: 기 정의된 pre-emptive BSR로서 pre-emptive BSR을 지시하는 LCID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Relay pre-emptive BSR: 사이드링크 릴레이 용도로서 정의된 preemptive BSR에 해당되고 pre-emptive BSR과 별도의 LCID 식별자 (신규 code point/index 정의)를 사용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경우 pre-emptive BSR 또는 relay pre-emptive BSR을 사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경우, pre-emptive BSR 또는 relay pre-emptive BSR을 사용할 수 있는 논리채널 또는 논리채널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논리채널 및 논리채널그룹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릴레이하는 용도로 설정되는 논리채널 및 논리채널그룹에 해당된다.
사이드링크 릴레이(1210)는 1205단계에서 pre-emptive BSR 또는 relay pre-emptive BSR을 기지국(12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22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210)으로부터 pre-emptive BSR 또는 relay pre-emptive BSR을 수신하게 되면 사이드링크 릴레이(121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0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포워딩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해 줄 수 있고,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00)이 상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통해 사이드링크 릴레이(1210)에게 전송하는 데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해 줄 수 있다. 기지국(1220)이 선제적으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00)에게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해주는 경우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00)에게 mode1이 설정된 경우에 해당된다.
도 12b를 참조하면, 사이드링크 릴레이(1240)은 선제적으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요청하기 위해 기지국(1250)에게 pre-emptive BSR 또는 relay pre-emptive BSR ([표 4] 참조)을 1231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1240)이 선제적 상향링크 전송 자원 요청이 필요함을 판단할 때 사이드링크 릴레이(124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30)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트래픽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30)이 전송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릴레이(1240)은 도 9a의 909단계와 같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30)로부터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30)의 상향링크 트래픽 버퍼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30)으로부터 사이드링크를 통해 상향링크 트래픽이 전송될 것이고 상향링크 트래픽을 기지국(1250)으로 포워딩이 필요함을 예측할 수 있다. 기지국(125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240)으로부터 pre-emptive BSR 또는 relay pre-emptive BSR을 수신하게 되면 기지국(1250)에게 수집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30)의 상향링크 트래픽 상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30)의 하향링크 트래픽 상태 등을 활용하여 사이드링크 릴레이(124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3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포워딩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해 줄 수 있고,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30)이 상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통해 사이드링크 릴레이(1240)에게 전송하는 데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해 줄 수 있다.
기지국(1250)이 선제적으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30)에게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해주는 경우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30)에게 mode1이 설정된 경우에 해당된다. 기지국(1250)은 1235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30)에게 상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를 통해 사이드링크 릴레이(1240)에게 전송하는 데 필요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250)은 1237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124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3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기지국(1250)으로 포워딩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은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의 선제적 할당을 기지국(1280)에게 요청하기 위해 pre-emptive SL BSR 메시지를 1261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전송 자원을 선제적으로 요청하기 위한 pre-emptive SL BSR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에게 mode1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mode2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서 사용될 수 있다.
Pre-emptive SL BSR은 사이드링크를 통해 사이드링크 릴레이(1270)에게 전송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 릴레이(1270)가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1280)에게 포워딩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선제적으로 기지국(128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1270)에게 할당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전송자원을 선제적으로 요청하기 위한 pre-emptive SL BSR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에게 mode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서 사용될 수 있다.
Pre-emptive SL BSR은 사이드링크를 통해 사이드링크 릴레이(1270)에게 전송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사이드링크 릴레이(1270)가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1280)에게 포워딩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선제적으로 기지국(128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1270)에게 할당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에게 mode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127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요청 메시지(SL-BSR)를 기지국(128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28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으로부터 pre-emptive SL BSR을 수신하게 되면 기지국(1280)에서 수집된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개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의 상향링크 트래픽 상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의 하향링크 트래픽 상태 등을 활용하여 사이드링크 릴레이(1270)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포워딩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해 줄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에게 mode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1280)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이 기지국(1280)에게 전송하는 SL-BSR메시지의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의 상향링크 트래픽 버퍼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기지국(128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1270)에게 상향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도움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기지국(1280)은 1265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1270)에게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1260)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기지국(1280)으로 포워딩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자원을 선제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 즉, SCI 1-A, SCI 2-A, SCI 2-B의 포맷으로 구성)와 사이드링크 MAC PDU(예를 들면, MAC PDU의 헤더)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을 기반으로 선제적 상향링크 전송 자원 요청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SCI)와 사이드링크 MAC PDU(예를 들면, MAC PDU의 헤더)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선제적 상향링크 전송 자원 요청을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사이드링크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말은, 즉 송신단말은 송신단말 식별자, 수신단말 식별자, cast type 등의 정보로 구성된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SCI)와 사이드링크 MAC PDU(MAC PDU의 헤더)를 전송하고, 수신단말은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와 사이드링크 MAC PDU(MAC PDU의 헤더)를 디코딩하여 획득된 송신단말 식별자, 수신단말 식별자, cast type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 단말에 해당되는 데이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단말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와 사이드링크 MAC PDU(MAC PDU의 헤더)에 포함된 송신단말 식별자, 수신단말 식별자, cast type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단말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을 판단하고, 수신단말에게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에게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판단하고 사이드링크 MAC PDU(MAC PDU의 헤더)에 포함된 논리채널 식별자를 기반으로 기지국으로 중계전송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임을 판단할 수 있다.
수신단말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로부터 multiple resource reservation (Resource reservation period)정보, HARQ process number (HARQ process ID)정보, time resource assignment/frequency resource assignment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수신단말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정보에 포함된 HARQ process number (HARQ process ID), multiple resource reservation, time resource assignment/frequency resource assignment, SRC ID, DST ID, cast type와 사이드링크 MAC PDU(MAC PDU의 헤더)에 포함된 SRC ID, DST ID, logical channel ID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을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여러 개의 전송 자원들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에 의해 미리 선택되어 있음을 판단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미리 선택되어 있는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릴레이 단말에게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게 중계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이 필요함을 판단할 수 있으며,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아직 수신하지 못하였으나 선제적으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기지국에게 요청하기 위한 선제적 상향링크 전송 자원 요청을 전송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와 사이드링크 MAC PDU(MAC PDU 헤더)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와 사이드링크 MAC PDU(MAC PDU 헤더)를 기반으로 전술한 판단 및 예측을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와 사이드링크 MAC PDU(MAC PDU 헤더)를 기반으로 미리 선택된 다음 전송 자원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사이드링크 MAC PDU를 예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기지국에게 선제적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buffer status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 수신된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SCI)의 time resource assignment/frequency resource assignment와 수신된 MAC PDU의 크기 등을 기반으로 미리 선택된 다음 전송 자원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사이드링크 MAC PDU의 크기를 예측, 선제적 상향링크 전송 자원 요청 메시지에 설정할 buffer size를 예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전송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에 multiple resource reservation 정보가 설정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송신단말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전송할 데이터가 1개 이상의 MAC PDU로 구성된다고 판단되면,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선택할 때 임의의 논리채널에 해당되는 여러 개의 MAC PDU를 전송할 자원들을 미리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단말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전송 자원들을 미리 선택하는 경우 전송 자원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선택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송 자원들은 일정한 간격이 아니라 소정의 기준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송신단말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여러 개의 MAC PDU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미리 선택된 전송 자원들의 정보를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에 포함할 수 있으며, 미리 선택된 전송 자원들의 정보를 multiple resource reservation 정보에 해당되는 “Resource reservation period”필드, time resource assignment/frequency resource assignment 필드에 설정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의 “Resource reservation period”을 sl-ResourceReservePeriodList 파라미터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송신단말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선택하고,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에 해당되는 HARQ process ID 매핑을 설정하고, sidelink process ID 매핑을 설정하고,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과 HARQ process ID를 이용하여 전송할 MAC PDU를 구성하고,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SCI)를 구성하는 동작과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의 구성은 다음의 표 5 및 표 6과 같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multiple sidelink resource reservation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송신단말이 사이드링크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특히 사이드링크로 전송할 데이터를 1개 이상의 MAC PDU로 구성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송신 단말에 해당하는 사이드링크 단말은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과 HARQ process index를 매핑하고, 선택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에서 전송할 데이터의 송신단말, 수신단말, cast type 정보 등을 매핑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자원을 선택하는 동작(1개 이상의 MAC PDU를 전송할 자원을 선택하는 경우, sl-ResourceReservePeriodList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전송 자원을 resource reservation interval마다 선택할 수 있다.)
1> MAC entity가 복수의 MAC PDU들의 전송과 대응하는 선택된 사이드링크 그랜트를 생성하도록 선택하고, SL 데이터가 논리 채널에서 사용 가능한 경우:(if the MAC entity has selected to create a selected sidelink grant corresponding to transmissions of multiple MAC PDUs, and SL data is available in a logical channel:)
2> TX 리소스 (재)선택이 (재)선택 체크의 결과로 트리거 되는 경우:(if the TX resource (re-)selection is triggered as the result of the TX resource (re-)selection check:)
3> sl-ResourceReservePeriodList에서 RRC에 의해 설정된 허용된 값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값으로 자원 예약 간격 P_rsvp_TX를 설정한다;(select one of the allowed values configured by RRC in sl-ResourceReservePeriodList and set the resource reservation interval, P_rsvp_TX, with the selected value;)
NOTE 3A: MAC 엔터티는 논리 채널에서 전송할 수 있는 SL 데이터의 나머지 PDB(packet delay budget)보다 큰 자원 예약 간격 값을 선택한다.(The MAC entity selects a value for the resource reservation interval which is larger than the remaining PDB of SL data available in the logical channel.)
3> 100ms 이상의 자원 예약 간격에서 간격 [5, 15] 또는 100ms 미만의 자원 예약 간격에 대해 간격 interval
Figure pat00001
에서 동일한 확률로 정수 값을 무작위로 선택하고, 선택된 값으로 SL_RESOURCE_RESELECTION_COUNTER 를 설정한다;(randomly select, with equal probability, an integer value in the interval [5, 15] for the resource reservation interval higher than or equal to 100ms or in the interval
Figure pat00002
for the resource reservation interval lower than 100ms and set SL_RESOURCE_RESELECTION_COUNTER to the selected value;)
3> sl-PSSCH-TxConfigList에 포함된 sl-MaxTxTransNumPSSCH에서 RRC에 의해 설정되는, 이는 캐리어에서 허용된 논리 채널(들)의 가장 높은 우선 순위에서 l-CBR-PriorityTxConfigList 내에서 지시되는 RRC에 의해 설정되는 sl-MaxTxTransNumPSSCH에 의해 오버랩될 수 있는 HARQ 재전송의 수, 및 CBR 측정 결과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TS 38.215의 5.1.27절에 따라 하위 계층에 의해 측정된 CBR 또는 CBR 측정 결과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RRC에 의해 설정된 대응하는 sl-defaultTxConfigIndex를 선택;(select the number of HARQ retransmissions from the allowed numbers that are configured by RRC in sl-MaxTxTransNumPSSCH included in sl-PSSCH-TxConfigList and, if configured by RRC, overlapped in sl-MaxTxTransNumPSSCH indicated in sl-CBR-PriorityTxConfigList for the highest priority of the logical channel(s) allowed on the carrier and the CBR measured by lower layers according to clause 5.1.27 of TS 38.215 if CBR measurement results are available or the corresponding sl-defaultTxConfigIndex configured by RRC if CBR measurement results are not available;)
3> sl-PSSCH-TxConfigList에 포함된 sl-MinSubChannelNumPSSCH와 sl-MaxSubchannelNumPSSCH 사이에서 이는, RRC에 의해 설정된 경우 캐리어에서 허용된 논리 채널(들)의 가장 높은 우선 순위에서 sl-CBR-PriorityTxConfigList에서 지시되는 MinSubChannelNumPSSCH 및MaxSubchannelNumPSSCH에 의해 오버랩될 수 있는 범위 내의 주파수 리소스들의 양 및 CBR 측정 결과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TS 38.215의 5.1.27절에 따라 하위 계층에 의해 측정된 CBR 또는 CBR 측정 결과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RRC에 의해 설정된 대응하는 sl-defaultTxConfigIndex를 선택(select an amount of frequency resources within the range that is configured by RRC between sl-MinSubChannelNumPSSCH and sl-MaxSubchannelNumPSSCH included in sl-PSSCH-TxConfigList and, if configured by RRC, overlapped between MinSubChannelNumPSSCH and MaxSubchannelNumPSSCH indicated in sl-CBR-PriorityTxConfigList for the highest priority of the logical channel(s) allowed on the carrier and the CBR measured by lower layers according to clause 5.1.27 of TS 38.215 if CBR measurement results are available or the corresponding sl-defaultTxConfigIndex configured by RRC if CBR measurement results are not available;)
3> 선택된 주파수 리소스의 양과 캐리어에서 허용된 논리 채널(들)에서 사용 가능한 SL 데이터의 나머지 PDB에 따라 TS 38.214의 8.1.4절에 명시된 physical layer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들로부터 하나의 전송 기회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을 무작위로 선택(randomly select the time and frequency resources for one transmission opportunity from the resources indicated by the physical layer as specified in clause 8.1.4 of TS 38.214, according to the amount of selected frequency resources and the remaining PDB of SL data available in the logical channel(s) allowed on the carrier.)
3> 선택된 사이드링크 그랜트을 이용하여 TS 38.214에 따라 PSCCH 구간 세트 및 PSSCH 구간 세트를 결정.(use the selected sidelink grant to determine the set of PSCCH durations and the set of PSSCH durations according to TS 38.214.)
3> TS 38.214에 따라 PSCCH 구간 세트 및 PSSCH 구간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리소스 예약 간격과 함께 TS 38.214에서 결정된 MAC PDU의 전송 횟수에 대해 이전에 선택된 사이드링크 그랜트를 재사용(reuse the previously selected sidelink grant for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MAC PDUs determined in TS 38.214 with the resource reservation interval to determine the set of PSCCH durations and the set of PSSCH durations according to TS 38.214.)
//선택한 전송 자원을 사용할 HARQ process index를 매핑하는 동작
2> 설정된 사이드링크 그랜트가 활성화되었고 이 PSSCH 구간이 이 사이드링크 그랜트의 sl-PeriodCG 내에서 첫 번째 PSSCH 전송 기회에 대응하는 경우:)if the configured sidelink grant has been activated and this PSSCH dura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PSSCH transmission opportunity within this sl-PeriodCG of the configured sidelink grant:)
3> HARQ 프로세스 ID를 이 PSSCH 구간과 연관된 HARQ 프로세서 ID로 설정 및 후속 PSSCH 구간이 존재라는 경우, 설정된 사이드링크 그랜트에서 이 sl-PeriodCG에서 발생하는 모든 후속 PSSCH 기간(들)과 연관된 HARQ 프로세서 ID로 설정 (set the HARQ Process ID to the HARQ Process ID associated with this PSSCH duration and, if available, all subsequent PSSCH duration(s) occuring in this sl-PeriodCG for the configured sidelink grant;)
3> 이 PSSCH 구간이 초기 전송에 사용되는지 판단(determine that this PSSCH duration is used for initial transmission;)
3> HARQ 프로세스 ID와 연괸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HARQ 버퍼를 플러시(flush the HARQ buffer of Sidelink process associated with the HARQ Process ID).
2> 사이드링크 그랜트, 선택된 MCS, 연관된 HARQ 정보가 이 PSSCH 구간의 사이드링크 HARQ 엔티티로 전달(deliver the sidelink grant, the selected MCS, and the associated HARQ information to the Sidelink HARQ Entity for this PSSCH duration.)
설정된 사이드링크 그랜트에서, SL 전송의 첫번째 슬롯과 연관된 HARQ 프로세스 ID는 아래의 식에서 유도된다(For configured sidelink grants, the HARQ Process ID associated with the first slot of a SL transmission is deriv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HARQ Process ID = [floor(CURRENT_slot / PeriodicitySL)] modulo sl-NrOfHARQ-Processes + sl-HARQ-ProcID-offset
where CURRENT_slot refers to current logical slot in the associated resource pool, and PeriodicitySL is defined in clause 5.8.3.
//송신단말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선택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에 해당되는 HARQ process ID와 sidelink process ID를 매핑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고, “Sidelink transmission information of the TB for the source and destination pair of the MAC PDU”을 구성할 수 있다.
3> 전송할 MAC PDU가 획득되면(if a MAC PDU to transmit has been obtained):
4> 사이드링크 그랜트에 대해 HARQ 프로세스 ID가 설정되면(if a HARQ Process ID has been set for the sidelink grant):
5> 사이드링크 그랜트와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 ID를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와 (재)연관((re-)associate the HARQ Process ID corresponding to the sidelink grant to the Sidelink process);
NOTE 1a: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 모드 1로 설정된 MAC 엔티티에서 HARQ 프로세스 ID와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간 일대일로 매핑(There is one-to-one mapping between a HARQ Process ID and a Sidelink process in the MAC entity configured with Sidelink resource allocation mode 1).
4> MAC PDU의 소스 및 목적지 쌍에 대한 TB의 사이드링크 전송 정보를 아래와 같이 판단(determines Sidelink transmission information of the TB for the source and destination pair of the MAC PDU as follows):
5> Source Layer-1 ID를 MAC PDU의 Source Layer-2 ID의 8 LSB를 설정(set the Source Layer-1 ID to the 8 LSB of the Source Layer-2 ID of the MAC PDU);
5> Destination Layer-1 ID로 MAC PDU의 Destination Layer-2 ID의 16 LSB를 설정(set the Destination Layer-1 ID to the 16 LSB of the Destination Layer-2 ID of the MAC PDU);
5>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및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ID를 (재)연관((re-)associate the Sidelink process to a Sidelink process ID);
NOTE 1b: (UE가 SCI에서 Sidelink 프로세스 ID를 결정하는 방법은 NR sidelink에 대한 UE 구현에 따름)How UE determine Sidelink process ID in SCI is left to UE implementation for NR sidelink.
//Sidelink transmission information은 다음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송신단말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물리 계층으로 전달되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SCI)를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SCI)는 SCI 1-A, SCI 2-A, SCI 2-B를 포함할 수 있다.
Sidelink transmission information: TS 38.212의 8.3 및 8.4절에 명시된 SL-SCH 전송을 위한 SCI에 포함된 Sidelink 전송 정보는 NDI, RV, Sidelink 프로세스 ID, HARQ 피드백 활성화/비활성화 지시자를 포함하는 Sidelink HARQ 정보, 캐스트 유형 지시자, Source Layer-1 ID 및 Destination Layer-1 ID을 포함한 Sidelink 식별 정보, 및 CSI 요청, 우선 순위, 통신 범위 요구 사항 및 Zone ID를 포함한 Sidelink 기타 정보를 포함한다(Sidelink transmiss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SCI for a SL-SCH transmission as specified in clause 8.3 and 8.4 of TS 38.212 consists of Sidelink HARQ information including NDI, RV, Sidelink process ID, HARQ feedback enabled/disabled indicator, Sidelink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cast type indicator, Source Layer-1 ID and Destination Layer-1 ID, and Sidelink other information including CSI request, a priority, a communication range requirement and Zone ID).
// 송신단말이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SCI 1-A, SCI 2-A, SCI 2-B)를 설정하는 동작 및 사이드링크 전송 제어 정보(SCI 1-A, SCI 2-A, SCI 2-B)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SCI 형식 1-A를 사용하는 PSCCH 전송의 경우, UE는 sl-TimeResourcePSCCH에 의해 슬롯에서 SL 전송들을 위해 사용 가능한 두번째 심볼부터 시작하여 리소스 풀 내의 복수의 심볼들을 제공받고, sl-FreqResourcePSCCH에 의해 연관된 PSSCH의 가장 낮은 서브-채널의 가장 낮은 PRB부터 리소스 플 내의 복수의 PRB들을 제공받음(A UE can be provided a number of symbols in a resource pool, by sl-TimeResourcePSCCH, starting from a second symbol that is available for SL transmissions in a slot, and a number of PRBs in the resource pool, by sl-FreqResourcePSCCH, starting from the lowest PRB of the lowest sub-channel of the associated PSSCH, for a PSCCH transmission with a SCI format 1-A.)
sidelink allocation mode 2[TS 38.214] 세트를 이용하여 SCI format 1-A로 PSCCH를 전송하는 UE는 SCI format 1-A를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A UE that transmits a PSCCH with SCI format 1-A using sidelink resource allocation mode 2 [TS 38.214] sets)

Figure pat00003


아래의 정보가 SCI format 1-A로 전송(The follow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means of the SCI format 1-A):

Figure pat00004



아래의 정보가 SCI format 2-A로 전송(The follow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means of the SCI format 2-A):
- HARQ process number - 4 bits.
- New data indicator - 1 bit.
- Redundancy version - 2 bits as defined in Table 7.3.1.1.1-2.
- Source ID - 8 bits as defined in clause 8.1 of [TS 38.214].
- Destination ID - 16 bits as defined in clause 8.1 of [TS 38.214].
- HARQ feedback enabled/disabled indicator - 1 bit as defined in clause 16.3 of [TS 38.213].
- Cast type indicator - 2 bits as defined in Table 8.4.1.1-1 and in clause 8.1 of [TS 38.214].
- CSI request - 1 bit as defined in clause 8.2.1 of [TS 38.214] and in clause 8.1 of [TS 38.214].

아래의 정보가 SCI format 2-B로 전송(The follow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means of the SCI format 2-B):
- HARQ process number - 4 bits.
- New data indicator - 1 bit.
- Redundancy version - 2 bits as defined in Table 7.3.1.1.1-2.
- Source ID - 8 bits as defined in clause 8.1 of [TS 38.214].
- Destination ID - 16 bits as defined in clause 8.1 of [TS 38.214].
- HARQ feedback enabled/disabled indicator - 1 bit as defined in clause 16.3 of [TS 38.213].
- Zone ID - 12 bits as defined in clause 5.8.11 of [TS 38.331].
- Communication range requirement - 4 bits determined by higher layer parameter sl-ZoneConfigMCR-Index
도 6 내지 도 12c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기지국과 직접 연결되어 있고 mode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기지국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경우 (mode1 또는 mode2 설정)에서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위한 측정보고 메시지 또는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 도움 정보로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기지국으로 직접 SL-BSR을 전송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포워딩을 통해 SL-BSR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SL-BSR를 수신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SL-BSR을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기지국에게 선제적으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요청하는 메시지 (pre-emptive BSR 또는 relay pre-emptive BSR)를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RRC 연결(RRC_CONNECTED)상태에 있고 기지국과 직접 연결되거나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SL-BSR을 전송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SL-BSR을 중계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전송한 SL-BSR을 수신하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에게 상향링크 트래픽이 버퍼링되어 있음을 판단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트래픽을 기지국에게 상향링크를 통해 포워딩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선제적으로 요청하기 위한 pre-emptive BSR 또는 relay pre-emptive BSR을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기지국으로 중계 전송 가능한 SL-BSR은 일반적인 SL-BSR (단말과 기지국 직접 송수신)과 구분하기 위해 별도의 논리채널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중계 가능한 SL-BSR을 지시하는 논리채널 식별자를 판단하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SL-BSR을 기지국으로 포워딩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중계 가능한 SL-BSR을 지시하는 논리채널 식별자를 판단하면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자원을 선제적으로 요청하는 pre-emptive BSR 또는 relay pre-emptive BSR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c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또는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과도하게 전송하는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 전송 제한 타이머(sl_relay_flow_control_report_restriction_timer)를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또는 사이드링크 릴레이에게 설정할 수 있다. 측정 보고 메시지 전송 제한 타이머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면 시작(재시작)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가 운용되는 동안 (즉, 만료되지 않은 동안)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표 1]의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측정 보고 메시지 전송 제한 타이머가 운용되고 있으면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로서 측정 보고 메시지 전송 제한 타이머가 운용되고 있는 동안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측정 보고 폴링 메시지를 수신하면 측정 보고 메시지 전송 제한 타이머를 중단하지 않고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측정 보고 메시지 전송 제한 타이머가 운용되고 있는 동안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측정 보고 폴링 메시지를 수신하면 측정 보고 메시지 전송 제한 타이머를 중단하고 사이드링크 릴레이 트래픽 흐름 제어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측정 보고 메시지 전송 제한 타이머를 (재)시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측정 보고 메시지 전송 제한 타이머가 운용되고 있는 동안 사이드링크 릴레이와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간 유니캐스트 연결을 재설정하는 경우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은 측정 보고 메시지 전송 제한 타이머를 중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복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사이드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수행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트랜시버; 및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과 트래픽을 송수신하고, 상향링크 트래픽 및 하향링크 트래픽 제어를 위한 트래픽 흐름 제어 정보를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트래픽 흐름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 리모트 단말 및 사이드링크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스케줄링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상기 트랜시버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지국.
KR1020210104897A 2021-07-20 2021-08-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한 트래픽 흐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30014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846234.7A EP4376480A1 (en) 2021-07-20 2022-07-20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ffic flow through sidelink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2280051557.0A CN117693966A (zh) 2021-07-20 2022-07-20 用于无线通信系统中通过侧链路中继控制业务流的方法和设备
PCT/KR2022/010646 WO2023003364A1 (ko) 2021-07-20 2022-07-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한 트래픽 흐름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177 2021-07-20
KR20210095177 2021-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026A true KR20230014026A (ko) 2023-01-27

Family

ID=8510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897A KR20230014026A (ko) 2021-07-20 2021-08-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한 트래픽 흐름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40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39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discovery on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104101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radio access technology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284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delink auxiliary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607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acket duplicate transmission by using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697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delink resource required for sidelink drx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595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collisions of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144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idelink capabilit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1587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arq feedback transmission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CN113632526A (zh) 在装置到装置通信系统中支持harq反馈传输的方法和设备
US202302690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delink harq retransmission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6184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를 위한 exceptional 전송 자원 풀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1009102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39918A (ko) 단말 간 무선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pdcp 계층의 비순차적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0677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모드 단말의 sidelink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01402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한 트래픽 흐름 제어 방법 및 장치
EP4319224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idelink relay search message on basis of prior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220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llocation of transmission resource for sidelink relay discovery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3764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ffic flow through sidelink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1064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l to process side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13373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의 전송 자원 할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7025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용 무선 액세스 기술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EP402494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13375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의 전송 자원 할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5281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중계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9384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를 위한 자원 풀 할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