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602A - 지향성 확산 영역을 갖는 에어포일 - Google Patents

지향성 확산 영역을 갖는 에어포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602A
KR20230013602A KR1020220024660A KR20220024660A KR20230013602A KR 20230013602 A KR20230013602 A KR 20230013602A KR 1020220024660 A KR1020220024660 A KR 1020220024660A KR 20220024660 A KR20220024660 A KR 20220024660A KR 20230013602 A KR20230013602 A KR 20230013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trailing edge
extending
parallel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총 진
안드레스 하라미요
기백 김
Original Assignee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13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8Hollow blades, i.e. blades with cooling or heating channels or cavities; Heating, heat-insulating or cooling means on blades
    • F01D5/186Film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8Hollow blades, i.e. blades with cooling or heating channels or cavities; Heating, heat-insulating or cooling means on blades
    • F01D5/187Convection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8Cooling; Heating; Heat-insulation
    • F01D25/1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8Hollow blades, i.e. blades with cooling or heating channels or cavities; Heating, heat-insulating or cooling means on blades
    • F01D5/182Transpiration cooling
    • F01D5/183Blade walls being por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20Specially-shaped blade tips to seal space between tips and st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6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8Hollow blades, i.e. blades with cooling or heating channels or cavities; Heating, heat-insulating or cooling means on blades
    • F01D5/185Liqui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05D2240/304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related to the trailing edge of a rotor bl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05D2240/305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related to the pressure side of a rotor bl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05D2240/307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related to the tip of a rotor bl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20Heat transfer, e.g. cooling
    • F05D2260/202Heat transfer, e.g. cooling by film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가스 터빈 엔진용 터빈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터빈 블레이드는 내부 냉각 공동을 통해 그리고 터빈 블레이드의 트레일링 에지에 인접하게 형성된 복수의 냉각 구멍을 통해 외부로 냉각수를 라우팅하는 냉각수용 냉각 경로를 포함한다. 각각의 냉각 구멍은 냉각수가 확산 영역의 반경방향 내측벽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설계된 확산 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향성 확산 영역을 갖는 에어포일{AIRFOIL WITH DIRECTIONAL DIFFUSION REGION}
본 발명은 개괄적으로 가스 터빈 엔진용 터빈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발전 또는 추진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과 같은 가스 터빈 엔진은 적어도 압축기 섹션, 연소기 섹션 및 터빈 섹션을 포함한다. 터빈 섹션은 다수의 로터 디스크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그 둘레에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인접한 각각의 복수의 블레이드는 복수의 노즐이다. 복수의 노즐은 통상 슈라우드 조립체로부터 연장되고 그 둘레에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다.
터빈 컴포넌트는 비효율 및 부분 열화를 일으키는 기계적/열 응력을 받는다. 터빈 컴포넌트에 대한 열 응력을 감소시켜 터빈 컴포넌트가 동작 환경에 더 잘 견디게 하는 것이 진행 중인 목표이다. 터빈 컴포넌트의 열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공기와 같은 냉각제를 터빈 컴포넌트 내의 내부 냉각 공동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냉각제는 에어포일의 내부 공동을 통과하면서 대류를 통해 내부 공동 내부에 노출된 표면을 냉각시킨다. 이러한 냉각 방법은 다소 효과적이지만, 에어포일 상의 열 부하를 추가로 또는 더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에어포일에 냉각 능력을 추가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증가된 냉각 능력에 따라 터빈은 더 높은 온도에서 동작할 수 있어, 고온 가스 흐름에 의한 추가의 발전이 이루어진다.
본 요약은 본 개시 내용의 상세한 설명 섹션에서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단순화된 형태의 다양한 개념을 도입하도록 의도된다. 본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핵심 또는 필수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단독으로 도움을 주기 위한 것도 아니다.
간략하고 높은 수준에서, 본 개시 내용은 에어포일을 갖는 터빈 블레이드를 기술한다. 에어포일은 여러 양태에서 에어포일의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한 복수의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유동 디바이더를 통해 냉각수를 냉각 공동을 통해 라우팅하는 냉각수용 고유 냉각 경로를 포함한다.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유동 디바이더는 필름 냉각 범위를 증가시키고 냉각 흐름 분리를 감소시킨다. 일부 양태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유동 디바이더는 컷백(cut back) 기계가공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유동 디바이더는 주조 공정 중에 형성된다.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유동 디바이더는 기계가공 공정 및/또는 주조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확산 영역을 포함한다. 확산 영역은 냉각수가 에어포일을 빠져나가는 개구가 블레이드 팁 측으로 개방되게 경사지도록 하는 바이어스(bias)를 포함한다. 또한, 터빈의 반경 방향을 선호하는 확산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유동 디바이더로부터의 냉각수 흐름 분리가 최소화되고 그에 따라 냉각 효율이 증가된다. 냉각 용량이 증가하면 터빈이 더 높은 온도에서 작동되어 추가 발전이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압축기 컴포넌트 에어포일 설계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주제의 비한정적인 예를 예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며, 여기서: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양태에 따른 가스 터빈 엔진용 터빈 블레이드의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2a는 본 개시 내용의 양태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의 압력측 부분들의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2b는 본 개시 내용의 양태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의 압력측 부분들의 측면도를 예시하며;
도 3a은 본 개시 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터빈 블레이드의 트레일링 에지의 상세도를 예시하며;
도 3b는 본 개시 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터빈 블레이드의 트레일링 에지의 후방 상세도를 예시한다.
본 개시 내용의 주제는 법적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청구된 주제는 본 개시 내용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게 그리고 다른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과 함께, 상이한 단계, 단계의 조합, 특징 및/또는 특징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높은 수준에서, 본 개시 내용은 에어포일을 갖는 터빈 블레이드를 기술한다. 에어포일은 여러 양태에서 에어포일의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한 복수의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유동 디바이더를 통해 냉각수를 냉각 공동을 통해 라우팅하는 냉각수용 고유 냉각 경로를 포함한다.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유동 디바이더는 필름 냉각 범위를 증가시키고 냉각 흐름 분리를 감소시킨다. 일부 양태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유동 디바이더는 컷백(cut back) 기계가공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유동 디바이더는 주조 공정 중에 형성된다.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유동 디바이더는 기계가공 공정 및/또는 주조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확산 영역을 포함한다. 확산 영역은 냉각수가 에어포일을 빠져나가는 개구가 블레이드 팁 측으로 개방되게 경사지도록 하는 바이어스(bias)를 포함한다. 또한, 터빈의 반경 방향을 선호하는 확산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유동 디바이더로부터의 냉각수 흐름 분리가 최소화되고 그에 따라 냉각 효율이 증가된다. 냉각 용량이 증가하면 터빈이 더 높은 온도에서 작동되어 추가 발전이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근접한"이라는 용어는 공간에서 밀접하게 관련된 2개 이상의 물체의 위치를 지칭한다. "축방향" 및 "축방향으로"라는 용어는 회전 기계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 및 배향을 지칭한다. "반경방향" 및 "반경방향으로"라는 용어는 회전 기계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 및 배향을 지칭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터빈 블레이드(10)의 일 양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터빈 블레이드(10)는 에어포일(38), 플랫폼(42), 및 루트 부분(root portion)(44)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루트 부분(44)은 터빈(예를 들어, 축류 가스 터빈 엔진의 터빈)의 로터 디스크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루트 부분은 반경방향 근위 단부(12)(결합시 로터 디스크에 대해)로부터 플랫폼(42)까지 연장된다. 에어포일(38)은 플랫폼(46)으로부터 터빈 블레이드(10)의 원위 단부(14)(즉, 블레이드 팁)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터빈 블레이드(10)의 원위 단부(14)는 터빈 블레이드(10)의 근위 단부(12)에 대향된다. 일부 양태에서, 블레이드 팁(14)은 원위 단부(16) 아래로 오목한 팁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포일(38)은 리딩 에지(54), 트레일링 에지(62), 압력 측벽(56) 및 흡입 측벽(58)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리딩 에지(54)와 트레일링 에지(66) 사이에서 연장되고 리딩 에지(54)와 트레일링 에지(66)에서 나머지에 결합된다. 압력 측벽(56)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흡입 측벽(58)은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예시된 양태에서, 복수의 냉각 구멍(62)이 트레일링 에지(66)에 근접한 에어포일(38)을 통해 형성된다. 일부 양태에서, 냉각 구멍(62)은 압력 측벽(56)을 통해 형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냉각 구멍(62)은 흡입 측벽을 통해 형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냉각 구멍(62)은 부분적으로 압력 측벽(56)을 통해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흡입 측벽(58)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의 각 스테이지는 로터 디스크 주위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각각의 루트 부분(44)을 통해 로터 디스크에 결합될 수 있는 터빈 블레이드(10)의 환형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터빈 블레이드(10)는 각각 반경방형 내측의 고온 가스 표면(46)을 형성하도록 정렬된 플랫폼(42)을 가진다. 고온 가스 유동 경로는 각각의 터빈 블레이드(10)의 에어포일(38)과 상호작용하여 로터 디스크 및 이에 결합된 샤프트를 구동시킨다.
내부 냉각 공동(52)아 터빈 블레이드(10)에 형성될 수 있다. 냉각수가 루트 부분(44)을 통해 냉각 공동(52)으로 공급되고 터빈 블레이드(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냉각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냉각 구멍은 (예를 들어, 리딩 에지 근접한,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한, 블레이드 팁에 있는 등등의) 에어포일(38)의 다른 부분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냉각 공동(52)과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냉각 구멍 냉각 공동(52)과 연통된다.
도시된 에어포일(38)은 중공형이며, 흡입 측벽(58) 및 압력 측벽(56)은 냉각 공동(52)을 형성한다. 다른 양태에서, 냉각 공동(52)은 에어포일(38)을 통해 연장되는 사행(serpentine)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2개 이상의 냉각 공동이 압력 측벽(56)과 흡입 측벽(58) 사이에 형성된다.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한 에어포일(38)에 제공되는 냉각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의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유동 디바이더(68)가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한 냉각 공동(52) 내에 형성된다. 일부 양태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유동 디바이더(68)는 터빈 블레이드(10)가 주조될 때 형성된다. 예를 들어, 터빈 블레이드(10)는 터빈 블레이드가 주조되고 있는 몰드의 트레일링 에지 측을 향해 연장되는 핑거부(fingers)를 포함하는 세라믹 코어 주위에 주조될 수 있다. 세라믹 코어가 제거될 때(예를 들어, 알칼리 욕 등에 담금 등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유동 디바이더(68) 중 하나는 복수의 냉각 구멍의 각각의 냉각 구멍 사이에 위치된다. 다른 양태에서, 에어포일(38)은 트레일링 에지(66)에 근접하게 형성된 냉각 구멍 없이 주조된다. 이러한 양태에서, 복수의 냉각 구멍(62)은 기계가공 공정(예를 들어, ECM)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유동 디바이더(68)는 압력 벽(56)과 흡입 벽(58)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냉각 통로(72)가 인접한 유동 디바이더(68) 사이에서 이격되고 냉각수가 내부 냉각 공동(52)으로부터 트레일링 에지(62)에 근접한 에어포일(38) 외부로 흐를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냉각 통로(72)를 통해 흐르는 냉각수는 대류를 통해 트레일링 에지(62)에 근접한 에어포일(38)을 냉각시킨다. 여기서 냉각수는 일반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내부 공동(52) 내에서 흐른다. 냉각 통로(72)에 유입시 냉각수는 일반적으로 반경 방향에 수직으로 흐른다.
유동 디바이더(68)는 냉각수를 인접한 냉각 통로(72) 중 하나의 주변 및 그 내부로 전향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아치형의 리딩 에지(74)를 가질 수 있다. 유동 디바이더(68)는 일정한 두께 부분(76) 및 축방향으로 수렴하는 부분(78)을 포함한다. 일정한 두께 부분(76)은 리딩 에지(74)로부터 유동 디바이더의 수렴 시작부까지 연장된다. 수렴부(78)는 일정한 두께 부분의 끝에서부터 트레일링 에지(62)까지 연장된다.
이제 도 1에 도시된 터빈 블레이드(10)의 에어포일 부분(38)의 트레일링 에지의 상세도를 도시하는 도 3을 참조한다. 디바이더의 일정한 두께 부분(76)은 평행하고 서로 균등하게 이격된 한 쌍의 측벽(82)을 포함한다. 인접한 측벽(84) 사이의 이 공간은 일정한 폭이고, 길이(L1)를 가지며, 전체 길이(L1)를 따라 일정한 단면적을 가진다.
유동 디바이더(68)의 수렴부(78)는 하류 지점(88)으로부터 여러 양태에서 트레일링 에지(62)에 있을 수 있는 종단 지점(92)까지 연장된다. 수렴부(78)는 2개의 수렴 측벽, 평행 측벽(86), 피복되지 않은 수렴 측벽(87) 및 피복된 수렴 측벽(89)을 포함한다. 평행 측벽(86)은 일정한 두께 부분(76)을 구성하는 한 쌍의 측벽(82)과 평행하다. 한 쌍의 측벽(82) 및 평행 측벽은 반경 방향에 수직이다. 수렴 측벽(87)은 예컨대, 터빈 중심선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확산 영역을 생성하도록 위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수렴 측벽(87)은 일정한 두께 부분(76)의 측벽(82)으로부터 각도(α)로 연장된다.
인접한 디바이더의 측벽(86, 87)은 피복된 확산 영역(94) 및 피복되지 않은 확산 영역(96)을 형성한다. 피복된 확산 영역은 흡입 측벽, 압력 측벽, 평행 측벽(86) 및 수렴 측벽(87)에 의해 형성된다. 피복된 확산 영역은 길이(L2)를 가진다. 피복되지 않은 확산 영역(96)은 평행 측벽(86), 수렴 측벽(87) 및 흡입 벽에 의해 형성된다. 피복되지 않은 확산 영역은 길이(L3)를 가진다. 추가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확산 영역은 높이(H) 및 폭(W)을 가진다.
도 3a 및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확산 영역은 터빈 블레이드(10)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만 확장된다. 이에 대해, 종래 기술의 냉각 구멍은 반경방향 외측 및 반경방향 내측 양측 모두로 확장되는 확산 영역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종래 기술의 냉각 구멍은 대칭이었다. 작동 중에, 종래 기술의 터빈 블레이드는 확산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냉각수가 분리되는 문제를 겪었다. 분리가 발생한 확산 영역의 부분은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지 않아 결국 고온 가스에 노출되어 터빈 블레이드의 수명이 단축되었다. 분리는 종래 기술의 냉각 구멍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발생하였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확산 영역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한다. 상기 논의된 형상은 반경방향 내측 측벽(즉, 평행 측벽(86))으로부터의 냉각수의 분리를 제거한다. 따라서, 확산 영역의 모든 측벽의 대류 냉각이 유지되어 터빈 블레이드(10)의 냉각 효율과 수명을 증가시킨다.
실시예 1. 에어포일로서: 리딩 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흡입 측벽; 상기 리딩 에지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고 상기 리딩 에지와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서 상기 흡입 측벽에 결합되는 압력 측벽 - 상기 흡입 측벽과 상기 압력 측벽은 그 사이에 냉각 공동을 형성함 -; 상기 냉각 공동 내에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흡입 측벽으로부터 상기 압력 측벽까지 연장되는 제1 유동 디바이더 - 상기 제1 유동 디바이더는 리딩 벽, 상기 리딩 벽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제1 벽, 및 상기 리딩 벽으로부터 상기 제1 벽과 반대인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제2 벽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은 평행 부분 및 수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의 상기 평행 부분은 상기 제2 벽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벽의 상기 수렴 부분은 상기 제2 벽 측으로 수렴하고, 상기 수렴 부분은 상기 평행 부분과 상기 트레일링 에지 사이에 위치되는, 에어포일.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냉각 공동 내에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흡입 측벽으로부터 상기 압력 측벽까지 연장되는 제2 유동 디바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동 디바이더는 제2 리딩 벽, 상기 제2 리딩 벽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제3 벽, 및 상기 제2 리딩 벽으로부터 상기 제3 벽과 반대인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제4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벽은 평행 부분 및 수렴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3 벽의 상기 평행 부분은 상기 제4 벽과 평행하고, 상기 제3 벽의 수렴 부분은 상기 제4 벽 측으로 수렴하고, 상기 수렴 부분은 상기 평행 부분과 상기 트레일링 에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냉각 공동 내부로부터 상기 에어포일 외부로 냉각수를 전달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4 벽이 대향된, 에어포일.
실시예 3.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 벽의 상기 평행 부분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에어포일.
실시예 4.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단면적은 상기 평행 부분과 상기 수렴 부분 사이의 교차점에서의 최소 단면적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서의 최대 단면적까지 상기 제1 벽의 상기 수렴 부분의 길이를 따라 증가하는, 에어포일.
실시예 5.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냉각 구멍에서 종료되는, 에어포일.
실시예 6. 실시예 5에 있어서, 상기 냉각 구멍은 상기 에어포일이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에어포일.
실시예 7. 실시예 6에 있어서, 복수의 추가 냉각 구멍과 연통하는 복수의 추가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추가 유동 디바이더를 더 포함하는, 에어포일.
실시예 8. 실시예 7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 디바이더, 상기 제2 유동 디바이더, 및 상기 복수의 추가 유동 디바이더는 상기 트레일링 에지를 따라 근접하게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에어포일.
실시예 9. 터빈 블레이드로서: 리딩 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흡입 측벽; 상기 리딩 에지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고 상기 리딩 에지와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서 상기 흡입 측벽에 결합되는 압력 측벽 - 상기 흡입 측벽과 상기 압력 측벽은 그 사이에 냉각 공동을 형성함 -; 상기 냉각 공동 내에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흡입 측벽으로부터 상기 압력 측벽까지 연장되는 제1 유동 디바이더 - 상기 제1 유동 디바이더는 상기 트래일링 에지에 반대로 위치된 제1 리딩 벽을 가지며, 상기 제1 유동 디바이더는 상기 제1 리딩 벽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평행 벽을 가짐 -; 및 상기 냉각 공동 내에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흡입 측벽으로부터 상기 압력 측벽까지 연장되는 제2 유동 디바이더 - 상기 제2 유동 디바이더는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반대로 위치된 제2 리딩 벽을 가지며, 상기 제2 유동 디바이더는 상기 제2 리딩 벽으로부터 발산 벽까지 제1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제1 평행 벽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평행 벽을 가지며, 상기 발산 벽은 상기 제1 평행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평행 벽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됨 - 을 포함하는, 터빈 블레이드.
실시예 10. 실시예 9에 있어서, 루트 부분; 플랫폼; 및 블레이드 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측벽 및 상기 흡입 측벽은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블레이드 팁까지 연장되는, 터빈 블레이드.
실시예 11. 실시예 10에 있어서, 상기 루트 부분은 냉각수 공급원과 연결되고, 냉각수를 상기 냉각 공동에 전달하는 냉각 회로를 포함하는, 터빈 블레이드.
실시예 12. 실시예 9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 디바이더 및 상기 제2 유동 디바이더는 상기 냉각 공동으로부터 상기 터빈 블레이드의 외부로 냉각수를 전달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터빈 블레이드.
실시예 13.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터빈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 지향성 확산기를 포함하는, 터빈 블레이드.
실시예 14. 실시예 9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대해 소정 각도로 설정되는, 터빈 블레이드.
실시예 15. 실시예 9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수직인, 터빈 블레이드.
실시예 16. 실시예 9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딩 벽은 냉각수를 상기 제1 유동 디바이더 주위로 그리고 상기 제1 유동 디바이더의 어느 일 측의 통로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아치형 형상을 가지는, 터빈 블레이드.
실시예 17. 실시예 9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있는 상기 발산 벽은 상기 제2 평행 벽에 있는 상기 발산 벽의 반경방향 외측에 있는, 터빈 블레이드.
실시예 18. 지향성 확산 냉각 구멍을 갖는 터빈 블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터빈 블레이드의 에어포일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에어포일 부분은: 리딩 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흡입 측벽; 상기 리딩 에지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고 상기 리딩 에지와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서 상기 흡입 측벽에 결합되는 압력 측벽 - 상기 흡입 측벽과 상기 압력 측벽은 그 사이에 냉각 공동을 형성함 -; 상기 압력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하게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냉각 구멍; 상기 압력 측벽으로부터 상기 흡입 측벽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유동 디바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동 디바이더는 각각의 냉각 구멍이 인접한 유동 디바이더 사이에 형성된 통로로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냉각 구멍과 교대로 배열되게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하게 반경방향으로 정렬되고, 각각의 통로는 제1 유동 디바이더와 관련된 제1 경계 벽과 제2 유동 디바이더와 관련된 제2 경계 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경계 벽은 제1 방향으로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경계 벽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경계 벽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 부분 및 상기 평행 부분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상기 제1 경계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발산 부분을 가짐 -; 및
상기 복수의 냉각 구멍이 형성된 부분에 인접한 상기 압력 측벽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19.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벽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서 상기 압력 측벽 상에 백 컷(back cut)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20. 실시예 18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계 벽의 상기 발산 부분은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접근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방법.
실시예 21. 전술한 실시예 1-20 중 임의의 조합의 임의의 실시예.
본 개시 내용의 주제는 모든 면에서 제한적이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주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시되지 않은 요소의 사용뿐만 아니라 요소들의 상이한 조합도 또한 가능하며 고려된다.

Claims (20)

  1. 리딩 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흡입 측벽;
    상기 리딩 에지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고 상기 리딩 에지와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서 상기 흡입 측벽에 결합되는 압력 측벽 - 상기 흡입 측벽과 상기 압력 측벽은 그 사이에 냉각 공동을 형성함 -;
    상기 냉각 공동 내에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흡입 측벽으로부터 상기 압력 측벽까지 연장되는 제1 유동 디바이더 - 상기 제1 유동 디바이더는 리딩 벽, 상기 리딩 벽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제1 벽, 및 상기 리딩 벽으로부터 상기 제1 벽과 반대인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제2 벽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은 평행 부분 및 수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의 상기 평행 부분은 상기 제2 벽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벽의 상기 수렴 부분은 상기 제2 벽 측으로 수렴하고, 상기 수렴 부분은 상기 평행 부분과 상기 트레일링 에지 사이에 위치되는, 에어포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공동 내에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흡입 측벽으로부터 상기 압력 측벽까지 연장되는 제2 유동 디바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동 디바이더는 제2 리딩 벽, 상기 제2 리딩 벽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제3 벽, 및 상기 제2 리딩 벽으로부터 상기 제3 벽과 반대인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제4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벽은 평행 부분 및 수렴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3 벽의 상기 평행 부분은 상기 제4 벽과 평행하고, 상기 제3 벽의 수렴 부분은 상기 제4 벽 측으로 수렴하고, 상기 수렴 부분은 상기 평행 부분과 상기 트레일링 에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냉각 공동 내부로부터 상기 에어포일 외부로 냉각수를 전달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4 벽이 대향된, 에어포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 벽의 상기 평행 부분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에어포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단면적은 상기 평행 부분과 상기 수렴 부분 사이의 교차점에서의 최소 단면적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서의 최대 단면적까지 상기 제1 벽의 상기 수렴 부분의 길이를 따라 증가하는, 에어포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냉각 구멍에서 종료되는, 에어포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구멍은 상기 에어포일이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에어포일.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추가 냉각 구멍과 연통하는 복수의 추가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추가 유동 디바이더를 더 포함하는, 에어포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 디바이더, 상기 제2 유동 디바이더, 및 상기 복수의 추가 유동 디바이더는 상기 트레일링 에지를 따라 근접하게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에어포일.
  9. 리딩 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흡입 측벽;
    상기 리딩 에지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고 상기 리딩 에지와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서 상기 흡입 측벽에 결합되는 압력 측벽 - 상기 흡입 측벽과 상기 압력 측벽은 그 사이에 냉각 공동을 형성함 -;
    상기 냉각 공동 내에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흡입 측벽으로부터 상기 압력 측벽까지 연장되는 제1 유동 디바이더 - 상기 제1 유동 디바이더는 상기 트래일링 에지에 반대로 위치된 제1 리딩 벽을 가지며, 상기 제1 유동 디바이더는 상기 제1 리딩 벽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평행 벽을 가짐 -; 및
    상기 냉각 공동 내에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흡입 측벽으로부터 상기 압력 측벽까지 연장되는 제2 유동 디바이더 - 상기 제2 유동 디바이더는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반대로 위치된 제2 리딩 벽을 가지며, 상기 제2 유동 디바이더는 상기 제2 리딩 벽으로부터 발산 벽까지 제1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제1 평행 벽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평행 벽을 가지며, 상기 발산 벽은 상기 제1 평행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평행 벽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됨 -
    을 포함하는, 터빈 블레이드.
  10. 제9항에 있어서,
    루트 부분;
    플랫폼; 및
    블레이드 팁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측벽 및 상기 흡입 측벽은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블레이드 팁까지 연장되는, 터빈 블레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부분은 냉각수 공급원과 연결되고, 냉각수를 상기 냉각 공동에 전달하는 냉각 회로를 포함하는, 터빈 블레이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 디바이더 및 상기 제2 유동 디바이더는 상기 냉각 공동으로부터 상기 터빈 블레이드의 외부로 냉각수를 전달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터빈 블레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터빈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 지향성 확산기를 포함하는, 터빈 블레이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대해 소정 각도로 설정되는, 터빈 블레이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수직인, 터빈 블레이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딩 벽은 냉각수를 상기 제1 유동 디바이더 주위로 그리고 상기 제1 유동 디바이더의 어느 일 측의 통로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아치형 형상을 가지는, 터빈 블레이드.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있는 상기 발산 벽은 상기 제2 평행 벽에 있는 상기 발산 벽의 반경방향 외측에 있는, 터빈 블레이드.
  18. 터빈 블레이드의 에어포일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에어포일 부분은: 리딩 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흡입 측벽; 상기 리딩 에지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고 상기 리딩 에지와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서 상기 흡입 측벽에 결합되는 압력 측벽 - 상기 흡입 측벽과 상기 압력 측벽은 그 사이에 냉각 공동을 형성함 -; 상기 압력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하게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냉각 구멍; 상기 압력 측벽으로부터 상기 흡입 측벽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유동 디바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동 디바이더는 각각의 냉각 구멍이 인접한 유동 디바이더 사이에 형성된 통로로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냉각 구멍과 교대로 배열되게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근접하게 반경방향으로 정렬되고, 각각의 통로는 제1 유동 디바이더와 관련된 제1 경계 벽과 제2 유동 디바이더와 관련된 제2 경계 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경계 벽은 제1 방향으로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경계 벽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경계 벽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 부분 및 상기 평행 부분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상기 제1 경계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발산 부분을 가짐 -; 및
    상기 복수의 냉각 구멍이 형성된 부분에 인접한 상기 압력 측벽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향성 확산 냉각 구멍을 갖는 터빈 블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벽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서 상기 압력 측벽 상에 백 컷(back cut)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향성 확산 냉각 구멍을 갖는 터빈 블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계 벽의 상기 발산 부분은 상기 트레일링 에지에 접근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향성 확산 냉각 구멍을 갖는 터빈 블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20024660A 2021-07-19 2022-02-24 지향성 확산 영역을 갖는 에어포일 KR202300136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78,893 2021-07-19
US17/378,893 US11454125B1 (en) 2021-07-19 2021-07-19 Airfoil with directional diffusion reg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602A true KR20230013602A (ko) 2023-01-26

Family

ID=8336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660A KR20230013602A (ko) 2021-07-19 2022-02-24 지향성 확산 영역을 갖는 에어포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54125B1 (ko)
KR (1) KR20230013602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8441A (en) 1992-11-24 1994-11-29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Turbine airfoil including diffusing trailing edge pedestals
US6179565B1 (en) * 1999-08-09 2001-01-3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oolable airfoil structure
US7806659B1 (en) * 2007-07-10 2010-10-05 Florida Turbine Technologies, Inc. Turbine blade with trailing edge bleed slot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54125B1 (en)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21538B1 (en) Cooled turbine stator blade
US7467922B2 (en) Cooled turbine blade or vane for a gas turbine, and use of a turbine blade or vane of this type
JP5947519B2 (ja) タービンロータブレードのプラットフォーム領域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7547191B2 (en) Turbine airfoil cooling system with perimeter cooling and rim cavity purge channels
US9644485B2 (en) Gas turbine blade with cooling passages
EP1593812A2 (en) Cooled turbine airfoil
US7160084B2 (en) Blade of a turbine
JP2005307981A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ロータ組立体を組立て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120082564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oling platform regions of turbine rotor blades
CA2398502C (en) Turbine airfoil for gas turbine engine
US7192251B1 (en) Air deflector for a cooling circuit for a gas turbine blade
JP2001027102A (ja) タービン動翼の後縁冷却孔及び溝穴
JP2012102726A (ja) タービンロータブレードのプラットフォーム領域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4341231B2 (ja) ガスタービンノズルを冷却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6092661B2 (ja) ガスタービン翼
EP2917494B1 (en) Blade for a turbomachine
US11293288B2 (en) Turbine blade with tip trench
KR102486287B1 (ko) 에어포일에서 충돌 공기를 재사용하기 위한 삼중 벽 충돌 인서트, 충돌 인서트를 포함하는 에어포일, 터보머신 구성요소,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US8956116B2 (en) Cooling of a gas turbine component designed as a rotor disk or turbine blade
EP2752554A1 (en) Blade for a turbomachine
JP2017534791A5 (ko)
KR20230013602A (ko) 지향성 확산 영역을 갖는 에어포일
KR102633909B1 (ko) 터빈 날개 및 가스 터빈
CN114585802A (zh) 涡轮叶片、制造涡轮叶片的方法和整修涡轮叶片的方法
WO2023223741A1 (ja) タービン翼及びガスタービ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