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256A - 환자의 기계적 환기를 위한 기관내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의 기계적 환기를 위한 기관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256A
KR20230013256A KR1020227044142A KR20227044142A KR20230013256A KR 20230013256 A KR20230013256 A KR 20230013256A KR 1020227044142 A KR1020227044142 A KR 1020227044142A KR 20227044142 A KR20227044142 A KR 20227044142A KR 20230013256 A KR20230013256 A KR 20230013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endotracheal device
ventilation
patient
endotrach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르시아 페드로 루이스 브라보
Original Assignee
가르시아 페드로 루이스 브라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르시아 페드로 루이스 브라보 filed Critical 가르시아 페드로 루이스 브라보
Publication of KR20230013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45Special cuff forms, e.g. undulated
    • A61M16/0447Bell, canopy or umbrella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18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integrated means for changing the degree of curvature, e.g. for easy intub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31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cross-sectional shape other than circ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43Special cuff-wal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54Redundant cuffs
    • A61M16/0459Redundant cuffs one cuff behind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61M16/0493Mouthpiece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tube from damage caused by the patient's teeth, e.g. bite b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61M16/201Controll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05Materials having antiseptic or antimicrobial properties, e.g. silver compounds, rubber with sterilis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3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the material being a coating or protect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radiation therapy
    • A61M2205/0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radiation therapy ultravio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radio-opaque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61M2205/584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having a color c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28Laryn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32Trach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발명은 환기관(10) 및 배리어(13)를 포함하는 환자(3)의 기계적 환기를 위한 기관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환기관(10)는 환자(3)의 기도 안으로 삽입되도록 의도된 말단 단부(11)를 갖는 말단부, 및 환기 기계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근위 단부(12)를 갖는 근위부를 포함한다. 배리어(13)는 고체 점탄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말단 영역에서 환기관(10)을 덮고, 삽입시, 배리어(13)는 그 길이를 따라 가변 단면을 갖는 이유 때문에 환자(3)의 후두(5)의 성문하 영역(14), 뿐만 아니라 성문 영역(15) 및 또한 성문상 영역(16)을 차지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환자(3)의 기계적 환기에서 더 큰 안전성과 더 낮은 합병증의 발생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환자의 기계적 환기를 위한 기관내 장치
본 발명은 수술적 사용을 위한 기구 및 장치의 분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와 환기 기계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환자의 기계적 환기에 사용되는 기관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취상태 하에(수술 또는 진단 절차에서) 또는 위급한 상황(응급 또는 집중 치료)에서 환자(3)의 기계적 환기는 환자(3)와 환기 기계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며, 이는 현재 다양한 디자인의 마스크와 기관내관(1)으로 구현되며, 이는 100년 이상 사용되어 왔고 그 디자인이 단지 약간의 변경을 거쳤지만 근본적으로 변경되지 않았다. 이것은 그 사용으로부터 유래된 위험과 합병증이 이 오랜 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최신 기술의 상기 기관내관(1) 중 하나의 사용을 예시한다. 상기 기관내관(1)은 전신 마취 동안 그리고 일단 환자(3)가 잠들었을 때 환자(3)의 입 또는 코를 통해 기관(4)에 도달할 때까지 성문하 영역에 삽입되는 덕트(2)를 포함한다. 상기 기관내관(1)은 인공호흡장치 등(상기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음)이라고도 불리는 환기 기계에 연결되며, 그 기능은 환자(3)의 호흡을 유지하는 것이다. 덕트(2)가 올바르게 위치되더라도 때때로 위 내용물의 일부가 환자(3)의 폐로 통과되어 심각한 호흡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두와 구강 또는 비강에서 외과적 개입이 이루어지면, 상부 기도(성문 위)에서 생성된 분비물이나 혈액이 하부 기도로 통과할 위험이 있다. 이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거즈 탐포네이드를 배리어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도 병변은 모든 병원에서 매일 투여되는 마취 중에 발생한다. 성대 또는 후두 병변은 수술-후 기간에 반영된다: 인후염(연하통), 음성에서 변화(성대 자극으로 인한 발성장애) 또는 음성의 상실(실성증). 성대의 특정 부분, 예를 들어 피열골에 영향을 미치는 병변은 하루 종일 음성의 피로를 야기한다.
비디오 후두경검사의 출현은 근이완제의 반전에서의 개선과 함께 삽관에 대한 적응증의 증가를 예상하여, 환자(3)에 대한 안전을 증가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환기와 마취를 유지하면서 더 큰 안전성과 더 적은 합병증을 제공하고 따라서 현재 상황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새로운 장치가 필요하다.
폐관에 기숙하는 세균으로의 전염병의 가능성은 기도가 점점 더 확보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미래에 양호한 실링을 제공하지 않는 장치의 사용을 회피함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이 장치는 환자가 보다 안전하게 환기될 수 있도록 하여, 전염병 발생 시 환기를 요하는 경우에 환자 및 관련된 의료 전문가 둘 모두에 대해 전염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기계적 환기에서 더 큰 안전성과 합병증의 더 낮은 발생률을 보장하는, 환자의 기계적 환기용 기관내 장치의 수단에 의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한다.
발명의 기관내 장치는 환기관 및 배리어를 포함하고, 여기서 환기관은 환자의 기도에 삽입되도록 의도된 말단 단부를 갖는 말단부 및 환기 기계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근위 단부를 갖는 근위부를 포함한다.
더욱이, 배리어는 고체 점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말단 영역에서 환기관을 덮고, 삽입시 환자의 성문하 영역뿐만 아니라 후두의 성문 영역 및 또한 성문상 영역을 차지하도록 구성되며, 그 이유 때문에 배리어는 그 길이를 따라 가변 단면을 갖는다. 나중에 설명될 것이지만 배리어는 3가지 상기 언급된 영역인: 성문하, 성문 및 성문상에 작용하기 때문에 삼중 효과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리어는 원통형 접합부에서 함께 오는 2개의 절두원추형 부분을 포함하여, 인접한 구조에 대한 더 나은 치료로 적응뿐만 아니라 위치의 변경, 발작 등과 같은 환자에 의한 임의의 동작을 감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기관, 성대 및 성문상 영역의 수준에서 상이한 직경을 재현한다. 전술한 것에 따르면, 배리어의 포함은 성대, 기관 및 성문상 영역에서 삼중 보호를 제공한다.
설명에 대한 보완으로서, 그리고 발명의 특징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그의 실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설명에는 제한이 아니고 예시의 방식으로 다음을 나타내는 일련의 도면이 수반된다.
도 1은 최신 기술의 기관내관의 수단에 의해 삽관된 환자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발명의 기관내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실물 크기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발명의 장치의 수단에 의해 삽관된 환자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소아 환자의 특정한 경우에 대한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삼중 효과 배리어의 도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3)의 기계적 환기를 위한 기관내 장치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서 언급된 도 1-4의 도움으로 아래에 제공된다.
발명의 기관내 장치는 후술하는 삼중-배리어 경성문 장치를 구성하고, 그것은 ETT로 약칭될 수 있다.
도 2 및 3은 기관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실제 크기 사시도를 제공한다. 기관내 장치는 말단 단부(11)가 제공되는 말단부와 근위 단부(12)가 제공되는 근위부를 갖는 환기관(10)을 포함하며, 여기서 말단부는 환자(3)의 기도로 삽입되도록 의도되는 반면 근위부는 환기 기계(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의도된다.
도 1 및 도 3은 환기관(10)이 점탄성 거동을 갖는 변형성 고체 재료로 이루어진 배리어(13)로 덮여 있고, 환기관(10)의 말단부에 배열되고, 삽입될 때, 환자(3)의 후두(5)의 성문하 영역(14), 뿐만 아니라 성문 영역(15) 및 또한 성문상 영역(16)을 차지하도록 의도됨을 도시한다. 표시된 실시예에서, 배리어(13)는 환기관(10)의 가장 원위 1/3 정도를 차지한다. 배리어(13)는 길이 및 횡단면 둘 모두에서 전술한 성문하 영역(14), 성문 영역(15) 및 성문상 영역(16)의 형태에 적응하기에 적합한 치수를 갖는다. 특히, 배리어(13)는 그 길이를 따라 가변적인 횡단면을 갖는다. 배리어(13)는 바람직하게는 배리어(13)의 횡단면이 상응하는 직경의 값에 의해 각 지점에서 정의되도록 회전 대칭성을 갖는다.
배리어(13)의 다른 단면/직경 값은 환자(3) 및/또는 사체에서 기관의 해부학적 연구에서 파생된다.
보다 원위 위치에서, 배리어(13)는 바람직하게는 직선 또는 볼록한(오목하지 않음) 세로 단면을 갖는 제1 부분(17)을 가져, 예를 들어 제1 부분(17)은 성문하 영역(14)에 적응하도록 원추형 형상을 갖도록 된다. 제1 부분(17)의 형상은 성인 환자(3)와 관련하여 소아 환자(3)에 대해 다양할 수 있다. 성인 환자의 경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1 부분(17)은 말단부(11)로부터 감소하는 횡단면(또는 직경)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전후 직경이 14 내지 18mm이고 가로 직경이 18 내지 22mm(내부 거리; 외부 거리는 더 큼)인 성문하 영역(14)의 형태에 적절하게 적응하기 위해 각각 29mm 및 19mm의 바람직하기로는 더 큰 및 더 작은 말단 직경을 갖는다. 배리어(13)의 제1 부분(17)과 환자(3)의 후두(5)의 성문하 영역(14) 사이의 직경 차이는 대기압에서 기도를 밀봉하고 보호하기에 충분한 압력이 생성되도록 설정된다. 한편, 소아 환자(3), 특히 최대 9세의 경우에, 도 4를 참조하여, 제1 부분(17)은 말단부(11)로부터 증가하는 횡단면(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더 큰 및 더 작은 단부 직경은 성인의 경우에서보다 더 좁은 치수를 갖는다. 임의의 경우에, 환기관(10) 및 또한 배리어(13), 특히 배리어(13)의 제1 부분(17)은 일반성의 손실이나 성능의 손실 없이, 소아 및 성인 둘 모두인, 상이한 환자(3)의 형태에 기반하여, 다른 치수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또한 배리어(13)는 보다 근접한 위치에서, 제1 부분(17)으로부터 증가하는 횡단면(또는 직경)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직선형 또는 볼록한(오목하지 않음) 종단면을 갖는, 제1 부분(17)과 대향하는 제2 부분(18)을 포함하여, 예를 들어 제2 부분(18)이 성문상 영역(16)에 적응하도록 원추형 형상을 갖도록 된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부분(18)은 배리어(13)의 제1 부분(17)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한 이유로 각각 19mm 및 34mm의 더 작은 단부 직경 및 더 큰 단부 직경을 갖는다.
도 2와 도 3에 따르면 성대의 수준에서 성문 영역(15)을 차지하도록 의도된 배리어(13)의 제2 부분(18)과 제1 부분(17)의 접합부(19)가 도시되고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성대의 최대 개구가 일반적으로 10 내지 15mm(휴지 상태에서, 남성의 경우 6-7mm, 여성의 경우 1-2mm)이기 때문에 19mm의 잘 알려진 직경을 갖는다. 더 일반적으로 접합부(19)는 4mm와 15mm 사이에 포함된 바람직한 길이뿐만 아니라 3mm와 24mm 사이에 포함된 바람직한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 마크(20)가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검정색이며, 환자(3)의 성대의 수준, 따라서 성문 영역(15)에서 위치되도록 의도된, 제1 부분(17)과 제2 부분(18)의 접합부(19)에 위치된다.
예로서,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배리어(13)는 총 길이가 10.5cm이고, 그 중 5.5cm는 제1 부분(17)에 해당하고 5cm는 제2 부분(18)에 해당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제1 부분(17)은 10mm 내지 65mm의 바람직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부분(18)은 10mm 내지 75mm의 바람직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일단 장치가 환자(3) 안으로 삽입된 후 기도에서 배리어(13)의 각 부분(17, 18)의 위치를 도시하며, 여기서 성문하 영역(14)은 성대 아래에 있고, 성문 영역(15)은 성대의 수준에 있고 성문상 영역(16)은 성대 위와 후두개의 기저부까지이다.
도 2와 도 3은 말단부(11)에서, 바람직하게 도 2를 참조하여, 머피 눈(6)이 없는 반면, 장치를 환자(3) 안으로 삽입하면, 기관내 장치의 말단부의 올바른 위치, 따라서 전체로서 기관내 장치의 올바른 위치를 방사선 촬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사선-불투과 특성을 가진 체크 마크(21)가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모양과 크기 둘 모두에서 장치의 형상은 환자(3)의 후두(5), 즉 후두개, 코드, 모열 등, 기관(4) 및 인두에 의해 제시된 해부학적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배리어(13)는 점탄성 거동을 갖는 변형가능한 고체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배리어(13)를 접힌 상태, 즉 배리어(13)에 음압을 가하여 스스로 압축된 상태에서 환자(3) 안으로 삽입할 수 있고, 일단 삽입되면 상기 압축을 해제하거나 심지어 양압을 가한다. 요컨대, 발명의 장치는 유체 압력 및 강하의 효과로 인해 배리어(13)를 변형시키기 위해 배리어(13)에 연결될 수 있는 압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3-방향 스톱콕 밸브(23)와 같은 스톱콕 밸브(23)에 차례로 연결된 가요성 도관(22)을 배리어(13)에 연결하고 3-방향 스톱콕 밸브(23)에서 주사기(30)에 의해 흡인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단 장치가 환자(3) 내부에 배치되고 앞서 언급된 3-방향 스톱콕 밸브(23)를 사용하면, 주변 공기가 배리어(13)을 향해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하여 대기압에서 팽창을 달성하거나, 또는 주사기(30)로 공기를 주입함에 의해 양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배리어(13)는 기관절개 캐뉼라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환기관(10)에서 강화된 영역과 강화되지 않은 영역의 배열을 예시한다. 최신 기술에서, 또한 장갑형으로 지칭되는, 강화된 기관내관(1)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튜브 내에 수용된 호기를 위한 스프링-형상의 내부 강화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임의의 연결 또는 이동으로부터의 장력이 전체 장치를 따라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튜브가 쉽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환자(3)가 마취에서 깨어났을 때 이들 강화된 관 중 하나를 물거나 기계적 환기가 여전히 필요한 경우, 강화된 관이 변형되고 크기 감소에 따른 저항의 증가로 인해 환기가 어려워질 것이다. 때때로 분쇄는 분비물이 그것을 통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강화되지 않은 튜브를 사용하면 앞서 언급한 이들 단점을 피할 수 있다. 단일 튜브에서 강화된 튜브 및 비강화된 튜브와 연관된 이점을 갖기 위해, 발명의 장치는 환기관(10)에 교번하는 강화된 세그먼트(24, 26) 및 비강화된 세그먼트(25, 27)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환기관(10)은 이미 언급한 장점과 함께 대부분 강화되고, 환자(3)가 환기관(10)을 물 수 있는 영역에서는 강화되지 않는다. 특히, 환기관(10)은 말단부에 위치된 제1 강화된 세그먼트(24)를 가지고, 이어서 환자(3)가 물 수 있는 영역에 위치된 제1 비강화된 세그먼트(25)를 가지고, 그 다음 이미 근위부에 있는 제2 강화 영역(26)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근위 단부(12)까지 연장되는 제2 비보강된 세그먼트(27)가 뒤따른다. 강화된 세그먼트(24, 26)와 비강화된 세그먼트(25, 27)의 기술된 조합은 본 발명의 관련 신규성이다.
바람직하게는, 통기관(10)은 그 말단부에서, 배리어(13)에 의해 덮힌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예를 들어 자외선(UV) 방사선, 예를 들어 200-280nm 사이의 C 유형을 방출하는 소독용 방사선 방출기(28)를 수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소독용 방사선 방출기(28)는 환기관(10)를 통해 내부로 신장되고 불투명 물질로 피복된 광섬유를 포함하고, 이는 방사선, 예를 들어 상기 영역에서 UV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배리어(13)에 상응하는 영역에서 불투명 물질이 없다. 소독용 방사선 방출기(28), 특히 광섬유는 적절한 경우 방사선-불투과 체크 마크(21)에 도달할 수 있다.
근위 단부(12)에서, 환기관(10)은 환기 기계에 대한 안전하고 빠른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환기관(10)의 직경 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기(29)를 통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시기(29)는 캡일 수 있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표시기(29), 특히 캡은 미리-설정된 색상 분류에 따라 직경 값을 나타내는 색상을 갖는다. 색상 분류를 통해 이들 장치를 더 안전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시간이 중요한 비상 상황에서 중요하다. 이 간단한 분류는 필요한 튜브가 신속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지만, 그것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6.0, 6.5, 7.0, 7.5 및 8.0mm의 직경에 대해 분홍색, 파란색, 빨간색, 녹색 및 노란색이 각각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최외층에서 배리어(13)는 방부제, 국소 마취제 등과 같은 의학적으로 활성인 물질로 함침될 부분적으로 투과성 중합체(예를 들어, 나일론 6)로 제조된다.
마찬가지로, 내부로 및/또는 외부로 환기관(10) 및 배리어(13) 둘 모두는 박테리아에 대한 보호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나노 입자(예컨대 은, Ag-Np 및 산화아연, ZnO-Np)로 함침된다.
이 방식에서, 장치의 더 단단한 부분은 환자(3)의 기도의 가장 섬세한 구조인: 후두(5) 및 기관(4)과 절대 접촉하지 않으며, 이들 귀중한 구조에 대한 손상 가능성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유사하게, 그것은 환자(3)가 마취에서 깨어나거나 기계적 환기를 중단하는 기간 동안 장치에 더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모든 것이 마취 동안 전형적인 기도 병변(인후통 또는 음성 장애, 예컨대 연하통, 발성장애, 실성증)의 출현을 방지(또는 적어도 최소화)한다.
다른 한편으로, 배리어(13)의 길이 및 확장은 장치의 외부면을 따라 환자(3)의 기도의 오염에 대한 더 큰 보호를 제공한다. 길이가 길다는 것은 오염물질이 이동하는 거리가, 부가하여, 구조의 해부학에 관여하지 않는 기존 기관내관(1)의 풍선(7)의 것보다 크고, 훨씬 더 크다는 단순한 사실에 기인하여 임의의 오염된 물질이나 분비물이 내부로 접근하기 더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방식에서 근본적인 배리어으로서 성문 및 성문상 공간의 역할을 고려함으로써, 기도의 오염을 방해하는 2가지 다른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해부학적 적응으로 더 나은 밀봉이 가능하다.
발명의 장치의 사용은 기도가 이미 성문상 영역(16)으로부터 원래 격리되었기 때문에 배경에서 언급된 인두 탐포네이드를 수행할 필요성을 피한다. 따라서, 적절한 밀봉을 달성하지 못하는 것에 부가하여 인두의 자극을 야기하는 거즈 탐포네이드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장치는 기도 협착의 발생률을 극적으로 줄이고 기관절개의 징후를 피하거나 줄임에 의해 현재의 것보다 유의하게 더 오랜 시간 동안 기계 환기를 유지할 수 있다. 최첨단 기관내관(1)을 사용한 장기 삽관의 경우에, 기관 협착증의 발생률이 높아 환자(3)의 이환율이 증가하고 경우에 따라 사망률이 증가한다. 이것은 다음의 이유에 기인한다:
- 기관(4)의 벽 상에서 기관내관(1)의 풍선(7)이 기관(4)의 매우 짧은 세그먼트 상에서 밀려진다.
- 기관(4)이 관류되는 모세관 관류 압력보다 높은 풍선(7)의 팽창 압력 값.
- 기관내관이 머물고 협착증을 야기하는 기관(4)의 부위는 욕창 부위(9)로 알려져 있으며, 도 2를 참조한다. 드물지 않게 이것은 기관(4)의 인공적이고 침습적인 개구를 설정하고 외부로부터 기관(4)을 채널링하는 것으로 구성된 수술 절차인 기관절개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절차는 기관(4)의 협착을 피하기 위해 기계 환기의 8-10일째부터 필요하다. 그러나, 기관절개술은 또한 합병증: 기관 궤양, 잘못된 경로, 출혈, 감염, 연조직 왜곡, 기도 폐쇄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20-30%로 높은 기관절개술-후 협착증의 발생률을 예방하지 못한다.
기관(4)에서 정상 기능에 필요한 모세혈관 혈압은 20 내지 30mmHg이지만 이는 매우 가변적이고 환자(3)의 내성과 병태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기관(4)의 관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발명의 장치의 배리어(13)가 효과적으로 협력하는 접촉면을 증가시킴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배리어(13)의 길이가 주어지면 정상적으로 기관(4)을 손상시킬 수 있는 양압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양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기존 기관내관(1)의 풍선(7)의 것보다 훨씬 더 큰, 적용된 압력이 배리어(13)의 표면을 따라 분포되기 때문에 더욱이 기도에 대한 실제 밀림이 매우 감소된 매우 감소되어 발현되는 매우 감소된 압력이 요구된다. 최신 기술(도 1 참조)에 따른 기관내관(1)과 발명의 장치(도 2)의 배리어(13)의 접촉면 사이의 비교를 관찰할 수 있다.
기관 협착증의 주요 원인은 기관(4)이 섬유화되지 않은 부분이기 때문에 영양이 공급되는 곳이므로 가장 취약한 부위인, 기관의 후면 벽 상에 캐뉼라 또는 튜브의 휴지이다. 이것은 욕창 부위(8)에서 기관내관(1)과 접촉됨에 의해 손상된다. 도 3과 비교하면, 배리어(13)의 사용에 기인하여 욕창 부위(8)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관찰된다.
때때로 최신 기술의 기관내관(1)을 사용하면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기관지흡인뿐만 아니라 장 역류가 유발된다. 이는 기도가 완전히 보호되거나 밀폐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성문상 영역(16)이 보호되지 않고 기관내관(1)의 풍선(7)이 짧고, 그리고 기관(4)의 벽과의 상호작용의 표면이 작기 때문에, 장 또는 구강 세균이 해당 부위를 통과하여 기도의 오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기계 환기와 연관된 감염은 현재 중환자실에서 입원 일수의 증가를 나타내며 이들 환자(3)의 사망률을 유의하게 증가시킨다. 더욱이, 이들 병원 감염은 일반적으로 박멸하기 어려운 다중-내성 세균에 의해 야기된다.
정상적으로, 장기간 삽관이 필요한 환자(3)의 경우 합병증이 없고 비용을 증가시키고 방편을 전용하는 기관절개술이라는 침습적 수술 절차가 대략 8 내지 10일차에 표시될 것이다. 부가하여, 이 예방적 기관절개술을 여러 번 수행하지만 환자(3)로부터 기계 환기를 제거한 직후, 절차(뒤에서 볼 때)를 피할 수 있도록 된다. 이 예방적 개입이 필요한 사람을 예측하는 방법을 얻으려고 노력했지만, 이들 방법은 실패하고 결국 기관 협착 병변이 발생하기 전에 (차악으로서) 기관절개술을 수행한다. 발명의 장치는 많은 현행 기관절개술을 피할 수 있는 구기관 환기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일수를 증가시킨다.
기계적 환기와 연관된 두려운 병원성 폐렴으로 이어지는 2가지 오염 경로가 있다: 기관내관(1)의 외부면 및 내부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가지 해결책을 제공한다:
- 세 영역인: 성문하(14), 성문(15) 및 성문상(16)에서 기도와 배리어(13)의 더 긴 길이 및 접촉 표면.
- 은 또는 아연 산화물 나노입자 또는 방부제 또는 기타 물질로 배리어(13)를 함침시켜 박테리아 생물막의 형성을 방지하고 장치의 외부 표면을 통한 기도의 감염성 침입에 대한 능동적 배리어를 생성하는 가능성.
- 말단부에서 단파장 자외선 방사선(UVC 200-280nm)을 방출하여, 장치의 내부면에 의한 기도의 오염에 대해 보호를 제공하는 가능성.
이들 가능성은 그것이 환자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노출된 직원도 보호하기 때문에, 공기에 의해 감염될 가능성이 높은 세균이 있는 전염병 상황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더욱이, 이들 해결책은 기도 오염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기계적 환기 요구사항이 단기(24시간 미만)인 경우, 마지막 두 해결책을 무시할 수 있고 따라서 생산 비용이 감소된다.
말단부의 형상 덕분에 장치는 선택적 폐 환기가 발생할 가능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킨다. 일단 장치가 적절하게 배치되면 성대 상에 놓여야 하는 지점과 그 가장 말단 지점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5.5cm이다. 최신 기술의 기관내관(1)에서 이 거리는 9.0cm이고; 따라서, 그것은 기관용골을 만지거나 손상시키거나 선택적인 삽관을 유발하여, 결과적으로 합병증인: 호흡기에서 압력 증가, 기관지경련, 마취 요구량 증가, 기외수축 등을 야기할 수 있다.
기관(4)은 길이가 매우 가변적이다(실제로, 항상 같은 수의 고리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7 내지 15cm의 범위이다. 부가적으로, 목을 움직이면 3-4개 고리가 수축되어 길이에서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기관용골에 대한 충돌 또는 선택적 폐 삽관을 수행하는 것이 본 발명의 장치로 방지된다. 증가된 안전성의 이유로 기관내관(1)에 존재하는 머피 눈(6)은 바람직하게는 고려되지 않는다.
발명의 장치는 기도를 취급하는 것과 연관된 병원성 폐렴 및 감염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배리어(13)를 구강 마취제에 함침시키는 가능성은 환자(3)를 마취 절차 중 및 종료 시 장치에 더 잘 적응하도록 할 수 있다. 기관내관(1)으로는 (후두 반사로 인해) 마취에서 깨어날 때 기관내관(1)이 거부되는 것은 매우 일반적이다. 마취제로의 함침은 환자(3)의 더 큰 수용과 관용으로 이어진다.
발명의 장치는 기계적 환기에 대해 그리고 장기간 환기 과정에서 기계적 환기를 떼어내는 것에 대해 환자(3)의 더 나은 내성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말단 단부에 위치되고 기관내관(1)에는 없는 체크 마크(21) 덕분에 방사선촬영을 통해 환자(3)에서 그것을 더 쉽고 명확하게 찾는다.

Claims (26)

  1. 환자(3)의 기계적 환기를 위한 기관내 장치로서, 상기 기관내 장치는
    - 환자(3)의 기도 안으로 삽입되도록 의도된 말단 단부(11)를 갖는 말단부, 및
    - 환기 기계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근위 단부(12)를 갖는 근위부를 포함하는, 환기관(10)를 포함하고;
    말단 영역에서 환기관(10)을 덮는 고체 점탄성 재질로 만들어진 배리어(13)을 추가로 포함하고, 삽입시, 배리어(13)는 그 길이를 따라 가변 단면을 갖기 때문에 환자(3)의 후두(5)의 성문하 영역(14), 뿐만 아니라 성문 영역(15) 및 또한 성문상 영역(16)을 차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배리어(13)는 환기관(10)의 최원위 1/3을 따라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리어(13)는 회전 대칭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리어(13)는 추가로 성문하 영역(14)에 적합하도록 보다 원위 위치에 제1 부분(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배리어(13)의 제1 부분(17)은 직선 또는 볼록 종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1 부분(17)은 원추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17)은 말단 단부(11)로부터 감소하는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17)은 10mm 내지 65m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9.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17)은 말단 단부(11)로부터 증가하는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리어(13)는 보다 근위 위치에서, 성문상 영역(16)에 적응하도록, 제1 부분(17)으로부터 증가하는 횡단면을 갖고, 말단 단부(11)로부터 감소하는 횡단면을 갖는, 제1 부분(17)과 대향하는 제2 부분(18)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배리어(13)의 제2 부분(18)은 직선 또는 볼록 종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 부분(18)은 원추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부분(18)은 10mm 내지 75m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17)과 제2 부분(18)은 환자(3)의 성문 영역(15)을 차지하도록 의도된 접합부(19)에서 함께 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합부(19)는 4mm 내지 15mm에 포함된 길이뿐만 아니라 3mm 내지 24mm에 포함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16. 제14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리어(13)는 접합부(19)에 위치한 불투명 특성을 갖는 배치 마크(2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리어(13)는 환자(3)의 기관내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말단 단부(11)에 방사선-불투과 특성을 갖는 체크 마크(21)를 합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압력 및 강하의 효과로 인해 배리어(13)을 변형시키기 위해 배리어(13)에 연결가능한 압력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압력 수단은 배리어(13) 및 에어 스톱콕 밸브(23)에 연결된 가요성 도관(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기관(10)은 환기관(10)의 구부러짐을 방지하고 임의의 연결 또는 환기관(10)를 따라 전달되는 이동으로부터의 장력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 강화를 포함하는 강화된 세그먼트(24, 26)를 포함하고, 여기서 환기관(10)은 환자(3)에 의해 물릴 수 있는 영역에 상응하여 비강화된 세그먼트(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기관(10)은 그 말단부에서, 배리어(13)에 의해 덮이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소독 방사선 방출기(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소독용 방사선 방출기(28)는 환기관(10)를 통해 내부로 신장하고, 배리어(13)에 상응하는 영역에는 상기 영역에서 소독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불투명 물질이 없는, 불투명 물질로 피복된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리어(13)는 의학적으로 활성인 물질로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리어(13) 및/또는 환기관(10)은 나노입자 유형의 항균제로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근위 말단(12)에서 환기관(10)은 환기 기계에 안전하고 신속한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환기관(10)의 직경 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기(29)를 합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표시기(29)는 사전-설정된 색상 분류에 따라 직경 값을 나타내는 색상을 갖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장치.
KR1020227044142A 2020-05-18 2020-05-18 환자의 기계적 환기를 위한 기관내 장치 KR202300132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S2020/070319 WO2021234183A1 (es) 2020-05-18 2020-05-18 Dispositivo endotraqueal para ventilación mecánica de un pacien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256A true KR20230013256A (ko) 2023-01-26

Family

ID=7145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142A KR20230013256A (ko) 2020-05-18 2020-05-18 환자의 기계적 환기를 위한 기관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181852A1 (ko)
EP (1) EP4154932B1 (ko)
JP (1) JP2023538170A (ko)
KR (1) KR20230013256A (ko)
CN (1) CN115867341A (ko)
BR (1) BR112022023328A2 (ko)
CA (1) CA3183918A1 (ko)
MX (1) MX2022014507A (ko)
WO (1) WO20212341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4106A1 (es) 2022-10-18 2024-04-25 Bravo Garcia Pedro Luis Conjunto de tubo endotraquea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8935C1 (de) * 1996-09-10 1998-03-26 Fred G Goebel Trachealtubus
GB0510951D0 (en) * 2005-05-27 2005-07-06 Laryngeal Mask Company The Ltd Laryngeal mask airway device
US20100051035A1 (en) * 2008-08-29 2010-03-04 Jenkins Shawn E Low-pressure airway management device with active coating and method for patient care
US20100249639A1 (en) * 2009-01-20 2010-09-30 Samir Bhatt Airway management devices, endoscopic conduits, surgical ki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821130B2 (en) * 2011-12-08 2017-11-21 Avent, Inc. Multi-diameter pediatric tracheal cuff
US10010718B2 (en) * 2016-04-01 2018-07-03 Mohamed A Basiony Device to kill micro-organisms inside the respiratory tract
US20200030560A1 (en) * 2018-07-30 2020-01-30 Thomas JENKYN Endotracheal intub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23328A2 (pt) 2022-12-20
WO2021234183A1 (es) 2021-11-25
US20230181852A1 (en) 2023-06-15
JP2023538170A (ja) 2023-09-07
CA3183918A1 (en) 2021-11-25
EP4154932B1 (en) 2024-04-24
MX2022014507A (es) 2022-12-13
CN115867341A (zh) 2023-03-28
EP4154932A1 (en)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ss et al. Tracheostomy TubesDiscussion
US8042544B2 (en) Prevention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VAP)
US10751494B2 (en) Prevention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VAP)
McCulloch et al. Complications of translaryngeal intubation
Kristensen et al. Ventilation via the 2.4 mm internal diameter Tritube® with cuff–new possibilities in airway management
KR20230013256A (ko) 환자의 기계적 환기를 위한 기관내 장치
Dunn et al. Endotracheal tubes and airway appliances
Lagambina et al. Tracheostomy care: a clinician's guide
RU2805545C1 (ru) Эндотрахе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й вентиляции легких пациента
US20220249790A1 (en) Secretion clearing endotracheal tube (scet)
Sinha et al. Supraglottic airway devices other than laryngeal mask airway and its prototypes
KR101635443B1 (ko) 기도삽관 튜브
Nawrocki et al. Tracheostomy emergencies
CN215024569U (zh) 一种气管导管咬合装置
Gray Endotracheal tubes
Wright et al. The polyurethane nasotracheal tube
CN213466415U (zh) 一种预防下呼吸道感染的气管导管
CN211724291U (zh) 一种呼吸道通气吸氧管
US20100089404A1 (en) Endotracheal and Tracheostomy Devices
Singh et al. Endotracheal Tube
Kandavar et al. Endotracheal Tubes: The Protectors of the Airway
McGrath Endotracheal tube and tracheostomy problems
Alnijoumi et al. Tracheostomy Care
Huitink Radio-opacity of throat packs
RU223868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трахеального дыхан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