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195A -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 Google Patents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195A
KR20230013195A KR1020210092685A KR20210092685A KR20230013195A KR 20230013195 A KR20230013195 A KR 20230013195A KR 1020210092685 A KR1020210092685 A KR 1020210092685A KR 20210092685 A KR20210092685 A KR 20210092685A KR 20230013195 A KR20230013195 A KR 20230013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hiller
thermal management
lin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목
이상신
오만주
김재웅
양욱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3195A/ko
Priority to US17/701,461 priority patent/US20230017549A1/en
Publication of KR20230013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3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in a vehicle heat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78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392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electric vehicles having only electric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9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from air leav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e. heat reco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4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cooling an electric component, e.g. electric motors, electric circuits, fue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1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n intermediat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2Arrangements for cooling other engine or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01P7/165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characterised by systems with two or more lo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2001/00307Component temperature regulation using a liq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85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n expan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18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압축기, 실내공조장치의 내부컨덴서, 차량외부의 실외컨덴서 순으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며, 실외컨덴서에서 토출된 냉매가 통합칠러 또는 실내공조장치의 증발기를 통과한 후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매라인; 고전압배터리와 제1라디에이터의 사이 또는 고전압배터리와 통합칠러의 사이를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제1냉각라인; 전자구동부와 제2라디에이터의 사이 또는 전자구동부와 통합칠러의 사이를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제2냉각라인; 및 제1냉각라인에 마련되며, 통합칠러의 유입측과 토출측을 연결함으로써 제1냉각라인을 흐르는 냉각수가 통합칠러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포함하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CIRCUIT FOR VEHICLE}
본 발명은 배터리칠러와 전장칠러를 통합한 통합칠러가 구비되어 부품 수가 감소하고 원가가 절감되며, 배터리냉각라인 상에 마련되는 통합칠러를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차량의 열관리모드에 따라 히트펌프를 통한 난방 및 배터리 승온 등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 자동차 보급 확대 정책과 고연비 차량 선호가 맞물려 국내 친환경차 등록대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친환경 자동차인 전기 자동차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운행하는 자동차이다.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가 회전하며 자동차를 구동시키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유해물질의 배출이 없고 소음이 작으며 에너지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기존의 엔진 동력을 사용하는 자동차의 경우 엔진의 폐열을 이용하여 차내 난방 시스템을 가동하였으나, 전기 자동차는 엔진이 없으므로 전기를 사용하여 히터를 가동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는 난방 시 주행거리가 크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은 최적의 온도환경에서 사용하여야 최적의 성능과 긴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 중 발생하는 열과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최적의 온도환경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자동차의 공조 시스템과 열관리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방안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자구동부 및 배터리와 열교환되는 통합칠러를 사용하는 종래의 열관리 회로의 경우 혹한 환경에서 배터리의 승온을 위해 수가열히터를 사용하고 있었다. 다만, 수가열히터는 일반적으로 통합칠러와 같이 배터리냉각수라인상에서 배터리와 직렬로 연결되어 배터리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가열하여 배터리에 공급하기 때문에, 수가열히터를 통해 배터리를 승온하는 경우, 통합칠러를 통해 전자구동부의 폐열을 회수하여 차량의 실내난방에 활용할 수 없게되어 차량의 열관리 효율이 낮아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하나의 통합칠러를 구비하여 다양한 운전모드의 구현이 가능한 통합 열관리 회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9-0124032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배터리칠러와 전장칠러를 통합한 통합칠러가 구비되어 부품 수가 감소하고 원가가 절감되며, 배터리냉각라인 상에 마련되는 통합칠러를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차량의 열관리모드에 따라 히트펌프를 통한 난방 및 배터리 승온 등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는 압축기, 실내공조장치의 내부컨덴서, 차량외부의 실외컨덴서 순으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며, 실외컨덴서에서 토출된 냉매가 통합칠러 또는 실내공조장치의 증발기를 통과한 후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매라인; 고전압배터리와 제1라디에이터의 사이 또는 고전압배터리와 통합칠러의 사이를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제1냉각라인; 전자구동부와 제2라디에이터의 사이 또는 전자구동부와 통합칠러의 사이를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제2냉각라인; 및 제1냉각라인에 마련되며, 통합칠러의 유입측과 토출측을 연결함으로써 제1냉각라인을 흐르는 냉각수가 통합칠러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포함한다.
통합칠러 또는 증발기에서 가열된 냉매라인의 냉매는 압축기에 의해 압축되고, 내부컨덴서 및 실외컨덴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냉각될 수 있다.
제1냉각라인상에는 고전압배터리의 하류지점에 수가열히터가 마련되며, 제1냉각라인상에서 수가열히터를 통과한 냉각수는 제1라디에이터 또는 통합칠러를 거친 후 고전압배터리로 유입되거나,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제1라디에이터 또는 통합칠러를 바이패스하여 고전압배터리로 유입될 수 있다.
제1냉각라인은 배터리승온모드에서 수가열히터를 작동하며, 수가열히터를 통해 가열된 냉각수는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제1라디에이터 또는 통합칠러를 바이패스하여 고전압배터리로 유입됨으로써 고전압배터리를 승온시킬 수 있다.
제1냉각라인에는 제1라디에이터 및 통합칠러의 하류에서 고전압배터리의 상류로 합류되는 지점에 제1컨트롤밸브가 마련되며, 제1컨트롤밸브는 고전압배터리의 열관리모드에 따라 제1라디에이터측 포트 또는 통합칠러측 포트를 개폐함으로써 배터리로 유입되는 냉각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컨트롤밸브는 3-way밸브이며, 고전압배터리의 외기냉각모드시 통합칠러측 포트를 차단하고, 고전압배터리의 칠러냉각모드 또는 승온모드시 제1라디에이터측 포트를 차단할 수 있다.
제2냉각라인에는 제2라디에이터 및 통합칠러의 하류에서 전자구동부의 상류로 합류되는 지점에 제2컨트롤밸브가 마련되며, 제2컨트롤밸브는 전자구동부의 열관리모드에 따라 제2라디에이터측 포트 또는 통합칠러측 포트를 개폐함으로써 전자구동부로 유입되는 냉각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제2컨트롤밸브는 3-way밸브이며, 전자구동부의 외기냉각모드시 통합칠러측 포트를 차단하고, 전자구동부의 전장폐열회수모드시 제2라디에이터측 포트를 차단할 수 있다.
냉매라인에는 실외컨덴서의 상류지점 또는 통합칠러의 상류지점 또는 증발기의 상류지점에 팽창밸브가 마련되며, 실외컨덴서 상류지점 또는 통합칠러 상류지점 또는 증발기 상류지점의 팽창밸브를 지나는 냉매는 차량의 냉난방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제1냉각라인에서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배터리승온모드 수행 시, 제2냉각라인에서는 전자구동부의 전장폐열회수모드가 수행되고, 냉매라인은 전자구동부의 폐열을 통해 실내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칠러의 상류지점에는 팽창밸브가 마련되며, 냉매라인에서는 순환하는 냉매가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내부컨덴서에서 응축되며, 통합칠러 상류지점의 팽창밸브에서 팽창되고, 통합칠러에서 증발됨으로써 전자구동부의 폐열을 통한 실내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냉매라인에는 실외컨덴서의 유입측과 토출측을 연결함으로써, 실외컨덴서에 착상 발생 시 냉매라인을 흐르는 냉각수가 실외컨덴서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착상라인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 따르면, 배터리칠러와 전장칠러를 통합한 통합칠러가 구비되어 부품 수가 감소하고 원가가 절감되며, 배터리냉각라인 상에 마련되는 통합칠러를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차량의 열관리모드에 따라 히트펌프를 통한 난방 및 배터리 승온 등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전장폐열회수모드, 실내난방 및 배터리 승온모드가 각각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외기 및 전장폐열 회수모드, 실내난방 및 배터리 승온모드가 각각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착상라인이 추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전장폐열회수모드, 실내난방 및 배터리 승온모드가 각각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외기 및 전장폐열 회수모드, 실내난방 및 배터리 승온모드가 각각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착상라인이 추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는 압축기(10), 실내공조장치의 내부컨덴서(20), 차량외부의 실외컨덴서(30) 순으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며, 실외컨덴서(30)에서 토출된 냉매가 통합칠러(40) 또는 실내공조장치의 증발기(50)를 통과한 후 압축기(10)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매라인(100); 고전압배터리(60)와 제1라디에이터(70)의 사이 또는 고전압배터리(60)와 통합칠러(40)의 사이를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제1냉각라인(200); 전자구동부(80)와 제2라디에이터(90)의 사이 또는 전자구동부(80)와 통합칠러(40)의 사이를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제2냉각라인(300); 및 제1냉각라인(200)에 마련되며, 통합칠러(40)의 유입측과 토출측을 연결함으로써 제1냉각라인(200)을 흐르는 냉각수가 통합칠러(40)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4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통합칠러(40) 또는 증발기(50)에서 가열된 냉매라인(100)의 냉매는 압축기(10)에 의해 압축되고, 내부컨덴서(20) 및 실외컨덴서(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냉각될 수 있다.
종래의 통합칠러가 구비된 열관리 회로에서 수가열히터(65)를 통해 배터리의 승온을 실시하는 경우, 전자구동부(85)의 폐열을 이용하여 히트펌프를 통한 난방을 수행할 수 없고, 이 경우 실내난방은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PTC히터(22)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는 통합칠러(40)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고, 통합칠러(40)의 전단에 마련되는 3-way밸브(410)를 제어함으로써 수가열히터(65)를 통해 제1냉각라인(200)의 냉각수를 가열하여 통합칠러(40)를 바이패스시키며, 이를 통해 배터리를 승온하고, 동시에 통합칠러(40)에서는 제2냉각라인(300)의 냉각수와 냉매라인(100)의 냉매가 열교환함으로써 전자구동부(80)의 폐열을 이용하여 히트펌프를 통한 실내난방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전장폐열회수모드, 실내난방 및 배터리 승온모드가 각각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외기 및 전장폐열 회수모드, 실내난방 및 배터리 승온모드가 각각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의 제1냉각라인(200)상에는 고전압배터리(60)의 하류지점에 수가열히터(65)가 마련되며, 제1냉각라인(200)상에서 수가열히터(65)를 통과한 냉각수는 제1라디에이터(70) 또는 통합칠러(40)를 거친 후 고전압배터리(60)로 유입되거나, 바이패스라인(400)을 통해 제1라디에이터(70) 또는 통합칠러(40)를 바이패스하여 고전압배터리(6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제1냉각라인(200)은 배터리승온모드에서 수가열히터(65)를 작동하며, 수가열히터(65)를 통해 가열된 냉각수는 바이패스라인(400)을 통해 제1라디에이터(70) 또는 통합칠러(40)를 바이패스하여 고전압배터리(60)로 유입됨으로써 고전압배터리(60)를 승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의 제1냉각라인(200)에는 제1라디에이터(70) 및 통합칠러(40)의 하류에서 고전압배터리(60)의 상류로 합류되는 지점에 제1컨트롤밸브(210)가 마련되며, 제1컨트롤밸브(210)는 고전압배터리(60)의 열관리모드에 따라 제1라디에이터(70)측 포트 또는 통합칠러(40)측 포트를 개폐함으로써 배터리로 유입되는 냉각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제1컨트롤밸브(210)는 3-way밸브이며, 고전압배터리(60)의 외기냉각모드시 통합칠러(40)측 포트를 차단하고, 고전압배터리(60)의 칠러냉각모드 또는 승온모드시 제1라디에이터(70)측 포트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제2냉각라인(300)에는 제2라디에이터(90) 및 통합칠러(40)의 하류에서 전자구동부(80)의 상류로 합류되는 지점에 제2컨트롤밸브(310)가 마련되며, 제2컨트롤밸브(310)는 전자구동부(80)의 열관리모드에 따라 제2라디에이터(90)측 포트 또는 통합칠러(40)측 포트를 개폐함으로써 전자구동부(80)로 유입되는 냉각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제2컨트롤밸브(310)는 3-way밸브이며, 전자구동부(80)의 외기냉각모드시 통합칠러(40)측 포트를 차단하고, 전자구동부(80)의 전장폐열회수모드시 제2라디에이터(90)측 포트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의 냉매라인(100)에는 실외컨덴서(30)의 상류지점 또는 통합칠러(40)의 상류지점 또는 증발기(50)의 상류지점에 팽창밸브가 마련되며, 실외컨덴서(30) 상류지점 또는 통합칠러(40) 상류지점 또는 증발기(50) 상류지점의 팽창밸브를 지나는 냉매는 차량의 냉난방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의 제1냉각라인(200)에서 바이패스라인(400)을 통해 배터리승온모드 수행 시, 제2냉각라인(300)에서는 전자구동부(80)의 전장폐열회수모드가 수행되고, 냉매라인(100)은 전자구동부(80)의 폐열을 통해 실내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통합칠러(40)의 상류지점에는 팽창밸브가 마련되며, 냉매라인(100)에서는 순환하는 냉매가 압축기(10)에서 압축되고, 내부컨덴서(20)에서 응축되며, 통합칠러(40) 상류지점의 팽창밸브에서 팽창되고, 통합칠러(40)에서 증발됨으로써 전자구동부(80)의 폐열을 통한 실내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단일의 통합칠러(40)의 하류에 마련되는 제1컨트롤밸브(210)와 제2컨트롤밸브(110)의 제어를 통해 배터리승온모드 및 히트펌프를 통한 실내난방 외에도 전장외기냉각, 전장폐열회수, 배터리 외기 냉각, 배터리 칠러냉각, 제습 등의 다양한 운전모드를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차량의 열관리 효율 또한 높힐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에서 착상라인이 추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의 냉매라인(100)에는 실외컨덴서(30)의 유입측과 토출측을 연결함으로써, 실외컨덴서(30)에 착상 발생 시 냉매라인(100)을 흐르는 냉각수가 실외컨덴서(30)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착상라인(500)이 마련될 수 있다. 실외컨덴서(30)에 착상 발생 시에는 냉매가 착상라인(500)으로 유동되어 실외컨덴서(30)에는 냉매가 유입되지 않으며, 냉매는 필요에 따라 냉매라인(100)상에서 실외컨덴서(30)의 전단(110) 및 통합칠러(40)의 전단(120)에 각각 마련되는 팽창밸브 중 어느 하나에서 팽창될 수 있고, 실외컨덴서(30)에 착상이 발생하여도 문제없이 다양한 열관리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압축기 20 : 내부컨덴서
22 : PTC히터 30 : 실외컨덴서
40 : 통합칠러 50 : 증발기
60 : 고전압배터리 65 : 수가열히터
70 : 제1라디에이터 80 : 전자구동부
90 : 제2라디에이터 95 : 리저버
100 : 냉매라인 200 : 제1냉각라인
300 : 제2냉각라인 400 : 바이패스라인
500 : 착상라인

Claims (12)

  1. 압축기, 실내공조장치의 내부컨덴서, 차량외부의 실외컨덴서 순으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며, 실외컨덴서에서 토출된 냉매가 통합칠러 또는 실내공조장치의 증발기를 통과한 후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매라인;
    고전압배터리와 제1라디에이터의 사이 또는 고전압배터리와 통합칠러의 사이를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제1냉각라인;
    전자구동부와 제2라디에이터의 사이 또는 전자구동부와 통합칠러의 사이를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제2냉각라인; 및
    제1냉각라인에 마련되며, 통합칠러의 유입측과 토출측을 연결함으로써 제1냉각라인을 흐르는 냉각수가 통합칠러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포함하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통합칠러 또는 증발기에서 가열된 냉매라인의 냉매는 압축기에 의해 압축되고, 내부컨덴서 및 실외컨덴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냉각라인상에는 고전압배터리의 하류지점에 수가열히터가 마련되며, 제1냉각라인상에서 수가열히터를 통과한 냉각수는 제1라디에이터 또는 통합칠러를 거친 후 고전압배터리로 유입되거나,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제1라디에이터 또는 통합칠러를 바이패스하여 고전압배터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냉각라인은 배터리승온모드에서 수가열히터를 작동하며, 수가열히터를 통해 가열된 냉각수는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제1라디에이터 또는 통합칠러를 바이패스하여 고전압배터리로 유입됨으로써 고전압배터리를 승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냉각라인에는 제1라디에이터 및 통합칠러의 하류에서 고전압배터리의 상류로 합류되는 지점에 제1컨트롤밸브가 마련되며, 제1컨트롤밸브는 고전압배터리의 열관리모드에 따라 제1라디에이터측 포트 또는 통합칠러측 포트를 개폐함으로써 배터리로 유입되는 냉각수 유동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컨트롤밸브는 3-way밸브이며, 고전압배터리의 외기냉각모드시 통합칠러측 포트를 차단하고, 고전압배터리의 칠러냉각모드 또는 승온모드시 제1라디에이터측 포트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냉각라인에는 제2라디에이터 및 통합칠러의 하류에서 전자구동부의 상류로 합류되는 지점에 제2컨트롤밸브가 마련되며, 제2컨트롤밸브는 전자구동부의 열관리모드에 따라 제2라디에이터측 포트 또는 통합칠러측 포트를 개폐함으로써 전자구동부로 유입되는 냉각수 유동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2컨트롤밸브는 3-way밸브이며, 전자구동부의 외기냉각모드시 통합칠러측 포트를 차단하고, 전자구동부의 전장폐열회수모드시 제2라디에이터측 포트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9. 청구항 1에 있어서,
    냉매라인에는 실외컨덴서의 상류지점 또는 통합칠러의 상류지점 또는 증발기의 상류지점에 팽창밸브가 마련되며, 실외컨덴서 상류지점 또는 통합칠러 상류지점 또는 증발기 상류지점의 팽창밸브를 지나는 냉매는 차량의 냉난방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냉각라인에서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배터리승온모드 수행 시, 제2냉각라인에서는 전자구동부의 전장폐열회수모드가 수행되고, 냉매라인은 전자구동부의 폐열을 통해 실내난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통합칠러의 상류지점에는 팽창밸브가 마련되며, 냉매라인에서는 순환하는 냉매가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내부컨덴서에서 응축되며, 통합칠러 상류지점의 팽창밸브에서 팽창되고, 통합칠러에서 증발됨으로써 전자구동부의 폐열을 통한 실내난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냉매라인에는 실외컨덴서의 유입측과 토출측을 연결함으로써, 실외컨덴서에 착상 발생 시 냉매라인을 흐르는 냉각수가 실외컨덴서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착상라인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KR1020210092685A 2021-07-15 2021-07-15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KR20230013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685A KR20230013195A (ko) 2021-07-15 2021-07-15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US17/701,461 US20230017549A1 (en) 2021-07-15 2022-03-22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circuit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685A KR20230013195A (ko) 2021-07-15 2021-07-15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195A true KR20230013195A (ko) 2023-01-26

Family

ID=8489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685A KR20230013195A (ko) 2021-07-15 2021-07-15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17549A1 (ko)
KR (1) KR2023001319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032A (ko) 2018-04-25 2019-11-04 한국전력공사 전기차용 이동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7494B1 (fr) * 2016-10-13 2019-07-26 Hutchinson Installation de conditionnement thermique d'un habitacle et/ou d'au moins un organe d'un vehicule automobile
CN113710518A (zh) * 2019-04-05 2021-11-26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车辆热管理系统
CN112109518A (zh) * 2019-06-21 2020-12-22 天津艾康尼克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热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电动汽车
KR102625967B1 (ko) * 2019-07-22 2024-01-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열관리 장치 및 차량용 열관리 방법
WO2021170213A1 (en) * 2020-02-24 2021-09-02 Volvo Truck Corporatio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fuel cell vehicle
CN112543709B (zh) * 2020-09-22 2022-10-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热管理系统及电动汽车
KR20220073037A (ko) * 2020-11-26 2022-06-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032A (ko) 2018-04-25 2019-11-04 한국전력공사 전기차용 이동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17549A1 (en)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908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846911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836272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JP7185469B2 (ja) 車両の熱管理システム
KR101241223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50408B1 (ko) 차량의 공조시스템
JP2020055344A (ja) 車両の熱管理システム
KR20180131653A (ko) 차량의 공조시스템
KR102474341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80113164A (ko)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의 수가열식 ptc 히터 제어 방법
US10562367B2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CN112585020A (zh) 热管理系统
US20210387506A1 (en) In-vehicle temperature control system
KR20170139204A (ko) 차량용 배터리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94015A (ko) 차량용 배터리의 열관리 시스템
CA2636877C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112041180A (zh) 热管理系统
WO2014136446A1 (ja) 車両用空調装置
CN114953899A (zh) 用于电动车辆的热管理系统
KR20220036260A (ko) 차량용 열관리시스템의 제습방법
KR101927153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30015764A (ko)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KR20230013195A (ko)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CN116330927A (zh) 车辆的集成热管理系统
KR101735115B1 (ko)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