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801A -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801A
KR20230011801A KR1020210092487A KR20210092487A KR20230011801A KR 20230011801 A KR20230011801 A KR 20230011801A KR 1020210092487 A KR1020210092487 A KR 1020210092487A KR 20210092487 A KR20210092487 A KR 20210092487A KR 20230011801 A KR20230011801 A KR 20230011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al
authentication
data
tim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806B1 (ko
Inventor
정연우
Original Assignee
정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우 filed Critical 정연우
Priority to KR1020210092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806B1/ko
Priority to PCT/KR2021/009394 priority patent/WO2023286900A1/ko
Publication of KR2023001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rein the security policies are location-dependent, e.g. entities privileges depend on current location or allowing specific operations only from locally connected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Abstract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이 개시된다.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송신하는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GPS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시간과 ID등의 데이터를 코드화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GPS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블록에 해시데이터와 인증하고, 인증된 경우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의 현재 GPS위치정보 해시데이터를 복사하여 생성된 블록에 저장하며, 블록과 생성된 블록을 연결하고 상기 GPS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해시값으로 변환하여 생성된 블록에 현재 위치정보 해시데이터로 저장하는 POL 인증 서버를 구성한다. 상술한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에 의하면, 웹서비스나 모바일 앱서비스, 서버 등 사용자 인증을 요구할 때 실시간 위치 증명에 기반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설정된 거리내에서만 접속이 가능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개인 인증을 하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 서버 등 사용자 인증이 한층 강화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가입한 웹서비스의 불법적인 외부 사용을 즉시 알 수 있기 때문에 해킹으로부터 안전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체 시스템{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TRANSFER SYSTEM USING REAL-TIME PROOF OF LOCATION BASED BLOCKCHAIN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블록체인 인증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개인들의 온라인 활동이 더더욱 많아짐에 따라 인터넷 상에서 자신의 계정이 불법적으로 도용되거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또한 CCTV나 다양한 IoT 디바이스 역시 해킹에 취약하여 사생활의 영상이 유출되거나 재산상 피해가 발생되는 예도 있다.
한편, 위변조가 어려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가상화폐는 보안성과 안정성이 장점인 반면, 거래 인증을 위한 막대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며 시스템이 비효율적인 경우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개인 정보나 IoT 데이터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안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을 여러 단점을 보완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개인 정보와 데이터 사용을 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10-2021-0022018 등록특허공보 10-0851502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이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은, GPS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송신하는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GPS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시간과 ID등의 데이터를 코드화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GPS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블록에 해시데이터와 인증하고, 인증된 경우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의 현재 GPS위치정보 해시데이터를 복사하여 생성된 블록에 저장하며, 블록과 생성된 블록을 연결하고 상기 GPS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해시값으로 변환하여 생성된 블록에 현재 위치정보 해시데이터로 저장하는 POL 인증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GPS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송신하는 IoT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OL 인증 서버는, 상기 인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을 링크하여 POL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OL 인증 서버는, 웹 서버의 ID/PW 로그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OL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실시간 위치정보와 블록에 저장된 GPS위치 정보를 계산한 이동거리와 블록에 저장된 이동거리 값과의 차이를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이체 시스템은 디지털 화폐 또는 가상 화폐의 수신인의 ID 및 이름으로 계정을 검색하거나 계정이 등록된 RFID를 이용하여 수신인을 지정하고, 지정된 수신인에게 상기 디지털 화폐 또는 가상 화폐를 송금하는 모바일 단말; GPS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블록확장 DB에 송금 정보를 저장하는 POL 인증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타입(TYPE)을 인출(WITHDRAW)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입금 수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타입(TYPE)을 인출(DEPOSIT)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OL 인증 서버는, 상기 블록타입의 설정 및 인증을 수행한 후, 블록과 블록확장 DB에 입금 정보를 확인하고, 잔액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에 의하면, 웹서비스나 모바일 앱서비스, 서버 등 사용자 인증을 요구할 때 실시간 위치 증명에 기반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시간단위로 변경되는ID키를 인증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개인 인증을 하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 서버 등 사용자 인증이 한층 강화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가입한 웹서비스의 불법적인 외부 사용을 즉시 알 수 있기 때문에 해킹으로부터 안전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 알고리즘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의 세이프 존(safe zone) 추가 알고리즘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이체 송금 알고리즘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이체 수신 알고리즘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웹사이트 사용자 인증 알고리즘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증 알고리즘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디바이스 데이터 송수신 및 접속 인증 알고리즘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 구성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 알고리즘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의 세이프 존(safe zone) 추가 알고리즘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이체 송금 알고리즘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이체 수신 알고리즘의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웹사이트 사용자 인증 알고리즘의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증 알고리즘의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디바이스 데이터 송수신 및 접속 인증 알고리즘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101), POL(proof of location) 인증 서버(10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바일 단말(101)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이 될 수 있으며, 현재의 시각 및 현재의 GPS 실시간 위치 정보를 연계하여 실시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1)은 GPS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POL 인증 서버(103)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단말(101)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마다 GPS 실시간 위치 정보 수신하여 데이터를 코드화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GPS 위치 정보와 데이터와 함께 POL 인증 서버(103)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1) 외에도 CCTV를 비롯한 다양한 IoT 디바이스(102)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POL 인증 서버(103)는 모바일 단말(101)의GPS 실시간 위치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인증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다양한 웹 서버(104)로의 로그인은 수행하는 데 이용될 수 있고 해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암호 화폐의 송금과 같은 기능에도 사용자 인증에 활용될 수 있다.
POL 인증 서버(103)는 모바일 단말(101)로부터 GPS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시간과 ID등의 데이터를 코드화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GPS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블록에 해시데이터와 인증하고, 인증된 경우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의 현재 GPS위치정보 해시데이터를 복사하여 생성된 블록에 저장하며, 블록과 생성된 블록을 연결하고 상기 GPS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해시값으로 변환하여 생성된 블록에 현재 위치정보 해시데이터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POL 인증 서버(103)는 GPS 실시간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현재 시각과 ID를 더하여 인증할 수 있다. 대략 10분 주기로 이러한 GPS 실시간 위치 정보를 등록하여 ID를 변경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101)이 정지하거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현재 시각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인증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위치가 고정된 경우에는 현재 시각의 변화가 인증에 이용될 수 있다.
POL 인증 서버(103)는 모바일 단말(101)로부터 코드화된 GPS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증이 된 경우, POL 인증 서버(103)는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이전 블록에 등록된 현재 해시위치코드를 생성된 블록에 복사하여 연결하고, 단말기의 현재 GPS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해시값으로 변환하고 생성된 블록에 저장하여 블록 헤드를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블록은 현재의 블록#1(Block#1)과 인증 후 생성된 블록#2(Block#2)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블록의 블록 헤드(Block Head)는 블록 번호(BlockNumber)와 블록 생성 시간(BlockCreateTime), 해시_ID(Hash_ID), 현재 GPS(current GPS), 블록의 타입(Type)과 거리(DISTANCE), 이전 해시 코드(PREVIOUS_POL_HASH_CODE_1)와 현재 해시 코드(CURRENT_POL_HASH_CODE_1)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블록에는 거래내용을 포함하는 블록 데이터(Block Data)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 #1의 블록#1데이터는 블록#1에 관련된 최소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별도의 대용량 저장소인 블록확장 DB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단말(101)이나 IoT 디바이스(10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지정한 시간 주기(Time interval)에 GPS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GPS 수신값과 ID, 현재 시간 등을 현재 코드 "CURRENT_POL_CODE"로 생성하고, 또한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인증 코드 "PREVIOUS_POL_CODE"와 함께 POL인증 서버(103)로 전송한다.
POL 인증 서버(103)는 POL네트워크DB 의 해시ID의 블록#1을 찾아서 블록 헤드에 저장된 현재 암호 해시 코드"CURRENT_POL_HASH_CODE_1" 값과 모바일 단말(101)의 이전 인증코드(PREVIOUS_POL_CODE)와 비교하여 매칭될 경우, 블록#2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OL 인증 서버(103)는 이전 블록#1의 현재 암호 해시 코드 "CURRENT_POL_HASH_CODE_1"는 블록#2에 "PREVIOUS_POL_HASH_CODE_2" 복사 저장이 되어 블록#1과 블록#2가 체인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1)에서 생성된 현재 "CURRENT_POL_CODE를 해시값으로 변환하여 블록#2의 현재의 CURRENT_POL_HASH_CODE_2에 저장한다.
또한, 블록#1의 블록 데이터를 블록#2에 복사 저장하거나, 필요에 따라 블록 확장DB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값을 복사 저장할 수 있으며, 값이 다를 경우 알림을 표시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101)의 실시간 GPS정보인Current_POL_GPS 값을 블록#2의 Current_GPS 값에 저장하고, 블록#1의 Current_GPS값을 계산하여 이동 거리를 블록#2의 DISTANCE 값에 저장한다. 이러한 DISTANCE 값 역시 Current_GPS에 더하여 인증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POL인증 앱(101b)이 설치가 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101)나 IoT 디바이스(102)는 지정한 시간마다 실시간GPS정보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 정보와 함께 인증 코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101).
또한 모바일 단말(101)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인증 코드를 POL 인증 서버(103)로 전송하고, 해당 해시ID의 블록#1에서 모바일 단말(101)에서 전송한 "PREVIOUS_POL_CODE"를 블록#1의 "CURRENT_POL_HASH_CODE_1" 와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값으로 인증이 되면 블록#2를 생성하고 인증에 실패하면 'false'값의 알림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102).
또한 블록#2가 생성이 되면 블록#1의 "CURRENT_POL_HASH_CODE_1" 해시값을 블록#2의 "PREVIOUS_POL_HASH_CODE2"로 복사하여 블록#1과 블록#2를 체인으로 연결한다(S103).
또한 블록#1의 블록 데이터를 블록 확장DB값과 비교하고(S104), 서로 다를 경우 'false'값을 반환하고, 동일할 경우 복사하여 블록#2의 볼록데이터에 복사 저장한다(S105).
도 4는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에서 세이프 존(SAFE ZONE)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에서는 먼저 모바일 단말(101)은 GPS 실시간 위치정보 "Current_POL_GPS" 데이터를 POL인증 서버(103)에 전송하면(S201) 블록#1에 저장된 "Current_GPS 값과 비교하여 거리값을 계산하고, 블록#1의 DISTANCE 값보다 작을 경우, 도 3의 단계(S100)들을 진행 할 수 있으며(S202), 또한 블록#2에 DISTANCE 값에 등록이 되고, DISTANCE 값이 클 경우 접속이 차단된다.
또한 이동 거리(DISANCE)에 따라 반경을 설정하여 반경내의 GPS정보 만 접속가능한 세이프 존(SAFE ZONE)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이동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과 블록의 DISTANCE값을 설정하여 수동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POL 인증 서버(103)는 사용자 단말(101)의 GPS 실시간 위치정보와 블록에 저장된 GPS위치 정보를 계산한 이동거리와 블록에 저장된 이동거리 값과의 차이를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이체 송금 알고리즘을 나타내며, 디지털 화폐 또는 가상 화폐를 송금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모바일 단말(101)에 디지털 화폐 또는 가상 화폐를 받는 자의 ID와 이름으로 계정을 찾거나 또는 계정이 등록된 RFID, 기타 ID 인식 툴(tool)을 사용하여 받는 자가 선택되면(S301), 송금 금액을 입력하고 타입(type)을 인출(withdraw)로 선택하고 송금한다(S302).
다음으로 GPS 실시간 위치 정보와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블록#1에서 코드가 유효한지 인증하는 단계(S304), 블록확장DB에 송금 정보가 저장(S306)되고 생성된 블록에 잔액정보가 저장된다(S307).
다음으로 GPS 실시간 위치 정보와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블록#1에서 코드가 유효한지 인증하는 단계(S305), 블록확장DB에 송금 정보가 저장된다(S306).
도 6은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이체 수신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송금자가 보낸 입금 정보는 모바일 단말(10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시간 문자 알림으로 표시되며, 수신자가 알림을 확인하면(S401), 타입(TYPE)에 입금(DEPOSIT)이 표시되고, 도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증 단계를 거쳐 블록확장DB에 입금 정보를 확인하고(S406), 잔액 정보가 블록#2 데이터 항목에 저장된다(S407).
도 7에서는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웹사이트 사용자 인증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7은 모바일 단말(101)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이다.
PC의 특정 웹사이트나 서비스에서 ID와 비밀번호로 로그인을 하면 본인이 실제 사용자인지 확인하기 위해 미리 등록된 POL 인증 서버(103)로 통보가 되고, POL 인증 서버(103)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101)에 설치된 POL 인증 어플(101b)로 알림을 전송한다.
도3에서 도시한 설명에 따라 블록확장DB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본인 인증이 확인되면 웹서비스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101)의 전원이 꺼져 있을 경우 모든 계정 사용이 정지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따른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증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8은 미리 설치된 POL인증 어플(101b) 또는 POL인증 기능이 설치된 어플에서 로그인 시 또는 앱을 실행시 자동으로 도 2와 도 3에서 설명한 인증 방법으로 개인 인증을 승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GPS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디바이스 데이터 송수신 및 접속 인증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모바일 단말(101)이나 IoT 디바이스(102)에서 생성된 정보는 도2와 도3에서 설명한 인증 방법으로 인증 후 발생한 데이터나 정보를 블록체인 블록에 저장 또는 블록확장DB에 저장한다.
사용자의 디바이스 접속 방법은 모바일 단말(101)의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POL인증 단계를 통해서 블록확장DB에서 IoT 디바이스(102)의 실시간 계정 정보를 가져와서 IoT 디바이스(102)에 접근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모바일 단말
102: IoT 디바이스
103: POL 인증 서버
104: 웹 서버

Claims (9)

  1. GPS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송신하는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GPS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시간과 ID등의 데이터를 코드화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GPS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블록에 해시데이터와 인증하고, 인증된 경우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의 현재 GPS위치정보 해시데이터를 복사하여 생성된 블록에 저장하며, 블록과 생성된 블록을 연결하고 상기 GPS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해시값으로 변환하여 생성된 블록에 현재 위치정보 해시데이터로 저장하는 POL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GPS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송신하는 IoT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OL 인증 서버는,
    상기 인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을 링크하여 POL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OL 인증 서버는,
    웹 서버의 ID/PW 로그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OL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실시간 위치정보와 블록에 저장된 GPS위치 정보를 계산한 이동거리와 블록에 저장된 이동거리 값과의 차이를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6. 디지털 화폐 또는 가상 화폐의 수신인의 ID 및 이름으로 계정을 검색하거나 계정이 등록된 RFID를 이용하여 수신인을 지정하고, 지정된 수신인에게 상기 디지털 화폐 또는 가상 화폐를 송금하는 모바일 단말;
    GPS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블록확장 DB에 송금 정보를 저장하는 POL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이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타입(TYPE)을 인출(WITHDRAW)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이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입금 수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타입(TYPE)을 인출(DEPOSIT)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이체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OL 인증 서버는,
    상기 타입의 설정 및 인증을 수행한 후, 블록확장 DB에 입금 정보를 확인하고, 잔액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이체 시스템.
KR1020210092487A 2021-07-14 2021-07-14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체 시스템 KR102607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487A KR102607806B1 (ko) 2021-07-14 2021-07-14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체 시스템
PCT/KR2021/009394 WO2023286900A1 (ko) 2021-07-14 2021-07-21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487A KR102607806B1 (ko) 2021-07-14 2021-07-14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801A true KR20230011801A (ko) 2023-01-25
KR102607806B1 KR102607806B1 (ko) 2023-12-01

Family

ID=84920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487A KR102607806B1 (ko) 2021-07-14 2021-07-14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7806B1 (ko)
WO (1) WO202328690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502B1 (ko) 2006-08-23 2008-08-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 적합한 사용자인증 및접근제어를 위한 상황인식 통합보안 시스템
KR20190052585A (ko) * 2018-01-02 2019-05-16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이체 사실확인 및 전화번호와 매칭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
KR20210022018A (ko) 2018-08-09 2021-03-02 주식회사 센스톤 인증용가상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47666A (ko) * 2019-10-22 2021-04-3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연속데이터 기반 무결성 부여 해쉬체인 생성장치 및 해쉬체인 생성방법
KR20210056747A (ko) * 2019-11-11 2021-05-2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복합 IoT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공유서비스 제공방법
KR102265788B1 (ko) * 2018-09-03 2021-06-16 (주)아이씨엔캐스트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단말 및 IoT 기기 간의 다중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742B1 (ko) * 2015-10-22 2017-03-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제어를 위한 인증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502B1 (ko) 2006-08-23 2008-08-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 적합한 사용자인증 및접근제어를 위한 상황인식 통합보안 시스템
KR20190052585A (ko) * 2018-01-02 2019-05-16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이체 사실확인 및 전화번호와 매칭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
KR20210022018A (ko) 2018-08-09 2021-03-02 주식회사 센스톤 인증용가상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2265788B1 (ko) * 2018-09-03 2021-06-16 (주)아이씨엔캐스트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단말 및 IoT 기기 간의 다중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7666A (ko) * 2019-10-22 2021-04-3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연속데이터 기반 무결성 부여 해쉬체인 생성장치 및 해쉬체인 생성방법
KR20210056747A (ko) * 2019-11-11 2021-05-2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복합 IoT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공유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6900A1 (ko) 2023-01-19
KR102607806B1 (ko)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8558B2 (en) Authentication and fraud prevention architecture
US8938784B2 (en) Authorization of server operations
EP1922632B1 (en) Extended one-time password method and apparatus
CN101589569A (zh) 至网络中的客户端设备的安全口令分发
CN101803272A (zh) 认证系统和方法
CN105553926A (zh) 一种认证方法、服务器以及终端
US20210234705A1 (en)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access age-verification
KR101202245B1 (ko) 이체정보로 생성되는 otp를 활용한 계좌이체시스템 및 방법
CN103024706A (zh) 基于手机短信的多因子双向动态身份认证装置和方法
CN104125230A (zh) 一种短信认证服务系统以及认证方法
CN104301288B (zh) 在线身份认证、在线交易验证、在线验证保护的方法与系统
EP2436164B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establishing secure connection o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339723B1 (ko) 휴대폰 본인인증 도용방지와 스미싱 방지를 위한 문자메시지 보안시스템 및 방법
KR100563544B1 (ko)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053993B1 (ko)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607806B1 (ko) 실시간 위치 증명 기반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체 시스템
CN114553573A (zh) 身份认证方法及装置
CN113347183A (zh) 一种区块链金融大数据处理方法
KR102086234B1 (ko) 블록체인을 가지는 가상화폐 거래시스템
KR102118620B1 (ko) 보안성이 강화된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암호화폐 전송방법
CN111275506A (zh) 一种开具票据的方法以及区块链节点设备
KR101195027B1 (ko) 서비스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57660A (ko) 계정 키 페어 기반 계정 인증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20240086905A1 (en) Mitigation of cryptographic asset attacks
KR101348217B1 (ko) 사이트 방문자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