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516A - Operatio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charging station - Google Patents

Operatio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charging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516A
KR20230010516A KR1020210091161A KR20210091161A KR20230010516A KR 20230010516 A KR20230010516 A KR 20230010516A KR 1020210091161 A KR1020210091161 A KR 1020210091161A KR 20210091161 A KR20210091161 A KR 20210091161A KR 20230010516 A KR20230010516 A KR 20230010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tation
scheduling
mobile charging
charg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대현
전소이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0516A/en
Publication of KR20230010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5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for scheduling an operation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and a device therefor. The method for scheduling an operation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scheduling a routing path for moving a mobile charging station to an overloaded fixed charging station to reduce a number of electric vehicles waiting at the fixed charging station based on transportation network-related information; (b) performing charge-discharge scheduling of active and reactive power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based on distribution network-related information; and (c) deriving an optimal path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by using a routing path scheduling result and charge-discharge scheduling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a number of electric vehicles waiting at fixed charging stations and maintain normal voltage levels along distribution feeders.

Description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Operatio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charging station}Operatio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charging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형 충전소 운영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harging station operation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기존 가솔린 차량은 상당한 온실 가스 배출과 탄소 오염을 발생시키는 것을 감안할 때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 )는 환경 오염을 점진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가솔린 차량에 비해 EV는 소음 공해 및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운송 부분의 온실 가스 배출량과 탄소 공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Given that conventional gasoline vehicles generate significant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carbon pollution, electric vehicles (EVs) can gradually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In addition, compared to gasoline vehicles, EVs can reduce noise pollution and maintenance costs, as well as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carbon pollution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그러나, EV의 경우 불충분한 충전 인프라, 긴 충전 시간, 제한된 EV 주행 거리, 높은 EV 배터리 비용으로 인해 운송 및 배전 네트워크에서 EV 및 관련 서비스 배치가 느려지고 있다. However, for EVs, insufficient charging infrastructure, long charging times, limited EV range, and high EV battery costs are slowing the deployment of EVs and related services in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networks.

또한, 고정 충전소(FCS: fixed charging station)는 EV 보급을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FCS는 제한된 수의 충전 폴이 있는 고정 시설로, EV 충전을 위해 공공도로, 상업용 건물 및 EV 충전을 위해 주택가 배전 그리드에서 받은 전력을 사용한다. FCS의 이동성 부족과 제한된 방전 기능은 FCS에서 EV 대기 시간을 크게 늘리고, EV 운전자에 대한 불만족을 초래할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EV로 높은 충전 수요가 발생할 때 그리드 과부하 및 불안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 fixed charging station (FC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for the spread of EVs. FCS is a fixed facility with a limited number of charging poles, which uses power from public roads, commercial buildings, and residential distribution grids for EV charging. The lack of mobility and limited discharge capability of FCS greatly increases EV waiting time in FCS, causing dissatisfaction for EV drivers, as well as causing grid overload and instability when high charging demand occurs with a large number of EVs.

본 발명은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operation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또한, 본 발명은 배전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 조건을 유지하면서 고정 충전소(FCS)에서 대기중인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도로 라우팅과 이동형 충전소(MCS: mobile charging station)의 충전과 방전을 동시에 스케줄링 할 수 있는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schedul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MCS) and road routing for supplying power to electric vehicles on standby at a fixed charging station (FCS) while maintaining normal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istribution system. It is to provide an operatio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for a mobile charging st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충전소에서 대기중인 전기차의 수를 최소화하며, 배전 시스템의 실제 작동 조건에서 배전 피더를 따라 정상 전압 레벨을 유지할 수 있는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operation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capable of minimizing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on standby at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nd maintaining a normal voltage level along a distribution feeder under actual operating conditions of a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scheduling operation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교통망 관련 정보를 기초로 고정 충전소에서 대기중인 전기 차량의 수를 줄이기 위해 과부하 상태에 있는 고정 충전소로 이동형 충전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라우팅 경로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b) 배전망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형 충전소의 유효 및 무효 전력의 충전-방전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라우팅 경로의 스케줄링 결과와 상기 충전-방전 스케줄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 충전소의 최적 경로 스케줄링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duling a routing path for moving a mobile charging station to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in an overloaded state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waiting 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based on traffic network-related information; (b) performing charge-discharge scheduling of active and reactive power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based on distribution network related information; and (c) deriving optimal path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using the routing path scheduling result and the charge-discharge scheduling result.

상기 이동형 충전소는 에너지 저장 장치(ESS)를 구비한 주행 가능한 장치이다.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s a driving device equipped with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상기 (b) 단계는, 상기 고정 충전소에서 충전을 위해 대기중인 전기 차량의 수와 시간 t에서 배전망에 연결된 특정 버스에 대한 전압 크기의 전체 편차를 고려하여 충전-방전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step (b), charge-discharge scheduling may b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waiting for charging 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nd the total deviation of the voltage level for a specific bu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network at time t.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형 충전소의 충전 상태, 배터리 용량, 충전과 방전 효율, 이동 효율, 이동 상태, 충전과 방전 전력을 고려한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를 더 이용하여 상기 충전-방전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tep (b) further uses the state of charge (SOC) considering the state of charge, battery capacity, charge and discharge efficiency, movement efficiency, movement state, and charge and discharge power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so that the charge- Discharge scheduling can be performed.

상기 (a) 단계는, 상기 과부하 상태에 있는 고정 충전소로의 이동 시간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라우팅 경로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In the step (a), the routing path may be scheduled so that the travel time to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in the overloaded state is minimiz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schedul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는, (a) 교통망관련 정보를 기초로 고정 충전소에서 대기중인 전기 차량의 수를 줄이기 위해 과부하 상태에 있는 고정 충전소로 이동형 충전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라우팅 경로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b) 배전망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형 충전소의 유효 및 무효 전력의 충전-방전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라우팅 경로의 스케줄링 결과와 상기 충전-방전 스케줄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 충전소의 최적 경로 스케줄링을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a processor executing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wherein the instruction executed by the processor comprises: (a)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in an overloaded state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waiting 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based on traffic network-related information; Scheduling a routing path for moving the mobile charging station to; and (b) performing charge-discharge scheduling of active and reactive power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tribution network. and (c) deriving optimal path scheduling for the mobile charging station using the routing path scheduling result and the charge-discharge scheduling resul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개체를 포함하는 물리 계층부-상기 개체는 배전망에 연결된 부하, 이동형 충전소, 고정 충전소 및 전기차를 포함함; 도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송 계층부; 및 상기 물리 계층부에 포함된 개체들의 유효 및 무효 전력 흐름과 소비, 무효 전력 용량 및 전압을 고려한 충전-방전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상기 운송 계층부에 포함된 교통망정보를 기반으로 이동형 충전소의 라우팅 스케줄링을 수행하되, 상기 라우팅 경로의 스케줄링 결과와 상기 충전-방전 스케줄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 충전소의 최적 경로 스케줄링을 도출하는 사이버 계층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을 위한 프레임워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ysical laye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entity—the entity includes a load, a mobile charging station,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nd an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a transportation layer unit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a road network; and performing charge-discharge scheduling considering active and reactive power flow and consumption, reactive power capacity and voltage of entities included in the physical layer, and routing scheduling of mobile charging stations based on traffic network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ransportation layer. However, a framework device for scheduling operation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including a cyber layer unit for deriving an optimal path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using the routing path scheduling result and the charge-discharge scheduling result may be provid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배전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 조건을 유지하면서 고정 충전소(FCS)에서 대기중인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도로 라우팅과 이동형 충전소(MCS: mobile charging station)의 충전과 방전을 동시에 스케줄링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Road routing and mobile charging station for supplying power to electric vehicles on standby at a fixed charging station (FCS) while maintaining normal operating conditions of a power distribution system by providing an operation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bil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CS: mobile charging st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chedule charging and discharging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충전소에서 대기중인 전기차의 수를 최소화하며, 배전 시스템의 실제 작동 조건에서 배전 피더를 따라 정상 전압 레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on standby at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nd maintaining a normal voltage level along the distribution feeder under actual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istribu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소 제어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소의 최적 운영 스케줄링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소 운영 스케줄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소 제어 프레임워크를 위한 시스템 모델을 도식화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충전소에서 EV 대기열 역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 mobil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framework for optimal operation scheduling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cheduling operation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model for a mobile charging station control frame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EV queuing dynamics at stationary charging st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소 제어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소의 최적 운영 스케줄링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 mobil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framework for optimal operation scheduling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복수의 고정 충전소(110)와 복수의 이동형 충전소(120) 및 서버(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tationary charging stations 110, a plurality of mobile charging stations 120, and a server 130.

복수의 고정 충전소(110)는 도로상이나 특정 건물 등에 설치된 충전소로 배전 시스템과 연결되며, 배전 시스템의 작동 조건을 유지하면서 전기 차량(EV: electric vehicle, 이하에서는 EV라 칭하기로 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plurality of stationary charging stations 110 are charging stations installed on a road or in a specific building and are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system, and supply power to an electric vehicle (EV: electric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V) while maintain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istribution system. is a means to

이러한, 고정 충전소(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망에 연결되며, 고정 충전소(110)는 규모에 따라 충전 가능한 폴의 개수가 상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에 따라, 각 고정 충전소(110)에 공급되는 전력 또한 상이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110 is connected to the power distribution network, and it is natural th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110 may have a different number of chargeable pol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110 . Accordingly, the power supplied to each stationary charging station 110 may also be different.

고정 충전소(110)는 반드시 EV에만 제한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으며, 이동형 충전소(120)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해당 이동형 충전소(120)와 연동하여 EV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110 does not necessarily supply power limitedly only to EVs, and may supply power to the mobile charging station 120, or may perform EV charging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charging station 120.

복수의 이동형 충전소(120)는 운송 수단(예를 들어, 트럭 등)에 탑재되며, 이동하며 EV에 전력 공급이 가능한 수단이다. 이동형 충전소(120)는 유틸리티 규모의 에너지 저장 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이 장착된 운송 수단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mobile charging stations 120 are mounted on vehicles (eg, trucks) and are means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EVs while moving. The mobile charging station 120 may be a vehicle equipped with a utility-scale energy storage system (ESS).

복수의 이동형 충전소(120)는 배전 시스템(전력망)의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하면서 고정 충전소(110)에서 대기중인 EV의 수를 줄이기 위해 과부하된 고정 충전소(110)로 이동하며, 해당 고정 충전소(110)와 연동하여 EV를 충전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mobile charging stations 120 move to the overloaded fixed charging station 110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EVs waiting 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110 while maintaining normal operation of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power grid), and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110 In conjunction with the EV can be charged.

서버(130)는 전력망의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하면서 과부하된 고정 충전소(110)의 부하와 대기중인 EV의 수를 줄이기 위해 이동형 충전소(1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버(130)는 이동형 충전소(120)의 이동에 따른 도로 라우팅, 충전과 방전을 모두 고려하여 전력망의 허용 전압 범위 내에서 대기중인 EV의 수를 감소시키도록 이동형 충전소의 최적 운영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rver 130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120 to reduce the load of the overloaded stationary charging station 110 and the number of standby EVs while maintaining normal operation of the power grid. That is, the server 130 performs optimal operation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to reduce the number of standby EVs within the allowable voltage range of the power grid by considering road routing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120. can do.

이를 위해, 서버(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3개의 계층을 고려하여 이동형 충전소(120)의 운영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server 130 may perform operation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120 in consideration of the three layers as shown in FIG. 2 .

도 2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is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이동형 충전소의 최적 운영 스케줄링을 위한 프레임워크는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사이버 계층(cyber layer) 및 운송 계층(transportation 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A framework for optimal operation scheduling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may include a physical layer, a cyber layer, and a transportation layer.

물리 계층은 복수의 개체(entity)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개체는 배전 시스템(전력망)에 연결된 부하, 이동형 충전소, 고정 충전소, E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hysical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entities. Here, the plurality of objects may include a load connected to a power distribution system (power grid), a mobile charging station,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n EV, and the like.

사이버 계층(cyber layer)는 물리 계층에 포함된 개체들의 유효/무효 전력 흐름 및 소비, 이동형 충전소의 무효 전력 용량 및 전압을 고려하여 이동형 충전소의 도로 라우팅 및 에너지 스케줄링을 계산한다. The cyber layer calculates road routing and energy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ctive/reactive power flow and consumption of entities included in the physical layer and the reactive power capacity and voltage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운송 계층(transportation layer)는 도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The transportation layer includes information about road network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30)는 운송 계층내의 도로 라우팅 스케줄링과 물리 계층내 이동형 충전소의 에너지 충방전 스케줄링을 계산하는 사이버 계층(cyber layer)의 최적화 프레임워크에 관한 것이다. The serve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mization framework of a cyber layer that calculates road routing scheduling in a transport layer and energy charge/discharge scheduling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in a physical layer.

다시 정리하면, 서버(130)는 도로 라우팅과 이동형 충전소의 에너지 스케줄링을 고려하여 과부하 상태인 고정 충전소로 이동형 충전소를 빠르게 이동시켜 대기중인 EV의 수를 줄이고 배전 시스템의 정상 전압 레벨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server 130 can reduce the number of waiting EVs and maintain the normal voltage level of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by quickly moving the mobile charging station to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in an overloaded state in consideration of road routing and energy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there is. This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소 운영 스케줄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소 제어 프레임워크를 위한 시스템 모델을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충전소에서 EV 대기열 역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charging station operation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model for a mobile charging station control frame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EV queue dynamics at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310에서 서버(130)는 이동형 충전소 운영 스케줄링을 위한 기본 정보들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기본 정보들은 배전망(power distribution network) 관련 정보와 교통망(transportation network) 관련 정보일 수 있다. In step 310, the server 130 receives basic information for schedu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Here, the basic information may be power distribution network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portation network related information.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하에서는 배전망(전력망)에 연결된 고정 충전소에서 충전을 위해 대기중인 EV의 빠른 충전을 위해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충전소가 과부하 상태인 고정 충전소로 이동하는 상황을 고려하기로 한다. 또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형 충전소는 대규모 ESS가 장착된 트럭일 수 있다. Hereinafter, we will consider a situation in which at least one mobile charging station is moved to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in an overloaded state through a road network for fast charging of an EV waiting for charging at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connected to a distribution network (power grid). Also, as already mentioned above, a mobile charging station may be a truck equipped with a large-scale ESS.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네트워크상의 노드 집합(I)와 배전망(전력망) 내의 버스 집합(B)와 같이 두 타입의 노드가 존재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Also, as shown in FIG. 4,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two types of nodes, such as a node set (I) on a road network and a bus set (B) in a distribution network (power network).

각 노드와 버스는 도로 네트워크와 배전망에서 시작 포인트와 종료 포인트를 각각 나타낼 수 있다. Each node and bus may represent a starting point and an ending point in the road network and distribution network, respectively.

고정 충전소가 도로 네트워크와 배전망내의 노드와 버스에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I 집합과 B집합은 다음과 같은 서브 집합으로 분해될 수 있다. Depending on whether stationary charging stations are connected to nodes and buses in road networks and grids, sets I and B can be decomposed into the following sub-set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고정 충전소가 도로 네트워크와 배전망의 교차점에 위치되는 경우,

Figure pat00003
집합과
Figure pat00004
집합은 동일할 수 있다. If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road network and the distribution network,
Figure pat00003
set and
Figure pat00004
Sets can be identical.

S와 T는 이동형 충전소의 집합과 이동형 충전소 스케줄링 기간을 각각 나타낸다. 집합 A내의 엘리먼트 수는

Figure pat00005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 and T represent a set of mobile charging stations and a mobile charging station scheduling period, respectively. The number of elements in set A is
Figure pat00005
can be expressed as

또한, 이하에서는 배전 시스템 운영자(DSO: distribution system operator, 이하 DSO라 칭하기로 함)가 동일한 배터리 용량을 가진 이동형 충전소를 파견 전에 주차 및 충전시킬 수 있는 저장소를 소유하고 있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In addition,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a distribution system operator (DSO) owns a storage capable of parking and charging a mobile charging station having the same battery capacity before dispatching.

DSO는 각 이동형 충전소에 대해 최적의 운영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서버(130)를 구비하며, 정상 배전 시스템 운영을 유지하면서 대기중인 EV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서버(130)에는 이동형 충전소의 최적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이전에 스케줄링을 위해 필요한 입력 데이터들이 사전 입력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The DSO has a server 130 that performs optimal operation scheduling for each mobile charging station, and can reduce the number of standby EVs while maintaining normal distribution system operation.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input data required for scheduling are pre-input into the server 130 prior to optimal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입력 데이터는 고정 매개 변수와 예측 매개 변수로 분류될 수 있다. Input data can be classified into fixed parameters and predictive parameters.

고정 매개 변수는

Figure pat00006
내 충전 폴의 수,
Figure pat00007
내 충전 폴의 수, 버스
Figure pat00008
에서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의 충전율, 도로 네트워크와 배전망의 토폴로지 정보, 배전망 파라미터(예를 들어, 버스 h와 버스 b 사이의 분배 라인 저항
Figure pat00011
, 리액턴스
Figure pat00012
)를 포함할 수 있다. Fixed parameters are
Figure pat00006
the number of my charging poles,
Figure pat00007
Number of my charging poles, bus
Figure pat00008
at
Figure pat00009
Wow
Figure pat00010
, topological information of the road network and distribution network, distribution network parameters (e.g. distribution line resistance between bus h and bus b)
Figure pat00011
, reactance
Figure pat00012
) may be included.

예측 매개 변수는 노드 i와 노드 j 사이의 이동형 충전소의 예측된 이동 시간

Figure pat00013
, 이동형 충전소의 디스패치 전에 고정 충전소 i에 도착하는 예측된 EV의 수
Figure pat00014
, 및 버스 b 및 시간 t에서 비 EV 부하를 위한 예측된 유효 및 무효 전력 소비
Figure pat00015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diction parameter is the predicted travel time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between node i and node j
Figure pat00013
, the predicted number of EVs arriving at stationary charging station i before dispatch to the mobile charging station.
Figure pat00014
, and predicted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sumption for non-EV loads at bus b and time t
Figure pat00015
can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전 시스템과 운송 시스템에 각각 유효 및 무효 전력 소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스마트 미터와 도로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교통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the transportation system are equipped with smart meters for monitoring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sumption and traffic sensors for monitoring road traffic conditions, respectively.

스마트 미터는 첨단 계량 인프라를 통해 소비자의 실시간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를 소비자와 DSO에 제공하여 에너지 절약 및 효율적인 배전 시스템 운영을 달성하도록 할 수 있다. Smart meters can monitor consumers' real-time energy usage through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nd provide energy usage data to consumers and DSOs to achieve energy savings and efficient power distribution system operation.

스마트 교통 센서는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되며, 수집된 도로 교통 정보는 이동형 충전소(MSC)의 라우팅 예약을 위해 DSO에 제공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It is assumed that the smart traffic sensor is used to collect road traffic information, and the collected road traffic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DSO for routing reservation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MSC).

상술한 바와 같은 입력 데이터들이 서버(130)에 모두 입력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며, 이하에서는 이동형 충전소의 운송 스케줄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It is assumed that all of the input data as described above are input to the server 130, and a transportation scheduling method for a mobile charging st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단계 315에서 서버(130)는 교통망 관련 정보를 기초로 이동형 충전소의 도로 라우팅 경로를 스케줄링한다. In step 315, the server 130 schedules a road routing path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based on traffic network related information.

단계 320에서 서버(130)는 배전망 관련 정보를 기초로 이동형 충전소의 유효 및 무효 전력의 충전-방전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In step 320, the server 130 performs charge-discharge scheduling of active and reactive power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based on the distribution network related information.

본 명세서에서는 단계 320이 단계 315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되고 있으나, 단계 315와 단계 320은 병렬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Although step 320 i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after step 315 in this specification, it is natural that step 315 and step 320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parallel.

단계 325에서 서버(130)는 도로 라우팅 경로 스케줄링 결과와 충전-방전 스케줄링 결과를 이용하여 이동형 충전소에 대한 최적 경로 스케줄링을 도출한다. In step 325, the server 130 derives an optimal route scheduling for a mobile charging station using the road routing path scheduling result and the charge-discharge scheduling result.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This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서버(130)는 이동형 충전소의 최적화 운송 스케줄링을 위해 교통망에서 이동형 충전소의 도로 라우팅 스케줄링과 배전망에서 이동형 충전소의 유효 및 무효 전력 충전/방전 스케줄링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server 130 simultaneously executes road routing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n the transportation network and active and reactive power charging/discharging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n the power distribution network for optimal transportation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서버(130)는 고정 충전소에서 대기중인 EV의 수를 줄이기 위해 이동형 충전소를 과부하된 고정 충전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최적의 라우팅 스케줄링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정상적인 전압 프로파일을 보장하면서 전력망에서의 이동형 충전소의 충전과 고정 충전소와 전력망에서 대기중인 EV로 방전되는 이동형 충전소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rver 130 may calculate an optimal routing scheduling for moving a mobile charging station to an overloaded stationary charging station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EVs waiting 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In addition, the server 130 may perform charg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n the power grid and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discharged to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nd the standby EV in the power grid while ensuring a normal voltage profile.

스케줄링 기간

Figure pat00016
을 가지는 각 노드
Figure pat00017
와 버스
Figure pat00018
에 대해 이동형 충전소의 최적 라우팅 스케줄링과 충전과 방전 스케줄링 문제는 수학식 1과 같은 각기 다른 의사 결정 변수
Figure pat00019
를 갖는 두개의 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scheduling period
Figure pat00016
Each node with
Figure pat00017
and bus
Figure pat00018
For the mobile charging station, the optimal routing scheduling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scheduling problems are different decision-making variables such as Equation 1
Figure pat00019
It can be composed of two terms with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0

여기서,

Figure pat00021
는 전체 스케줄링 기간 T 동안 모든 고정 충전소에서 대기중인 EV의 전체 개수를 나타낸다. here,
Figure pat00021
represents the total number of EVs waiting at all stationary charging stations during the entire scheduling period T.

또한,

Figure pat00022
는 전압 크기 기준
Figure pat00023
에서 시간 t에서 버스 b에 대한 전압 크기
Figure pat00024
의 총 편차를 나타낸다. also,
Figure pat00022
is based on voltage magnitude
Figure pat00023
voltage magnitude across bus b at time t at
Figure pat00024
represents the total deviation of

또한,

Figure pat00025
는 배전 시스템의 전압 품질을 나타내며, 전압 품질이란 허용 전압 범위
Figure pat00026
내에서 전압 크기 기준
Figure pat00027
주변의 노드 전압 크기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also,
Figure pat00025
represents the voltage quality of the distribution system, and the voltage quality is the allowable voltage range
Figure pat00026
voltage magnitude standard within
Figure pat00027
It means maintaining the magnitude of the node voltage around it.

Figure pat00028
의 최소화는 전압 품질 관점에서 안정적인 배전 시스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공식화된 최적화 문제는 배전 시스템의 전압 품질
Figure pat00029
을 유지하면서 운송 시스템의 고정 충전소에서 대기중인 EV의 수
Figure pat00030
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Figure pat00028
Minimization of can ensure stable power distribution system operation in terms of voltage quality. The formulated optimization problem is the voltage quality of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Figure pat00029
The number of EVs waiting at stationary charging stations in the transport system while maintaining
Figure pat00030
aims to minimize

또한, 파라미터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는 각각 대기중인 EV의 감소 및 노드 전압 크기의 평탄화에 대한 페널티 가중치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33
이다. 가중치는 전압 편차에 상대적인 고정 충전소에서 대기중인 EV 수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을 결정할 수 있다. Also, the parameter
Figure pat00031
Wow
Figure pat00032
denotes the penalty weight for the reduction of waiting EV and the flattening of the node voltage magnitude, respectively,
Figure pat00033
to be. The weighting can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number of EVs waiting at stationary charging stations relative to the voltage variation.

예를 들어, 더 큰

Figure pat00034
은 더 작은
Figure pat00035
로 인해 전압 크기의 평탄화를 줄이는 대신 대기중인 EV의 수를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의 단위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가중치를 정규화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larger
Figure pat00034
is smaller
Figure pat00035
,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number of standby EVs instead of reducing the flattening of the voltage magnitude.
Figure pat00036
class
Figure pat00037
units are different. Thus, the weights can be normalized.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로 각각 정규화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42
이고,
Figure pat00043
로 정규화될 수 있다.
Figure pat00038
class
Figure pat00039
Is
Figure pat00040
class
Figure pat00041
can be normalized, respectively. here,
Figure pat00042
ego,
Figure pat00043
can be normalized to

이동형 충전소의 스케줄링 문제에 대한 제약에 대해 세가지 섹션으로 분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straints on the scheduling problem of mobile charging stations will be classified into three sections and explained.

이동형 충전소의 노드 방문, 이동(traveling), 충/방전 상태에 대해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Node visitation, traveling, and charging/discharging states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이진 결정 변수인

Figure pat00044
는 노드 i 및 스케줄링 시간 t에서의 이동형 충전소 방문에 대한 상태를 결정하는 변수이다. binary decision variable
Figure pat00044
is a variable that determines the state of visiting a mobile charging station at node i and scheduling time t.

방문 상태는 이동형 충전소의 노드 도착 및 충전/방전 유무에 따른 스테이(stay)와 같은 두가지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isit state may include two operations, such as arrival at a node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and sta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arging/discharging.

또한, 이진 결정 변수인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는 각각 노드 i 및 스케줄링 시간 t에서 이동형 충전소의 충전 및 방전 상태를 각각 결정한다. 이진 결정 변수
Figure pat00047
는 스케줄링 t에서 이동형 충전소의 이동 상태를 결정한다. Also, the binary decision variable
Figure pat00045
Wow
Figure pat00046
determine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states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at node i and scheduling time t, respectively. binary decision variable
Figure pat00047
determines the movement state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at scheduling t.

수학식 2는 이동형 충전소가 시간 t에서 최대 하나의 노드를 방문을 허용하도록 한다. Equation 2 allows the mobile charging station to visit at most one node at time t.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8

수학식 3은 충전중인 EV와 충전중인 이동형 충전소의 개수의 합이 고정 충전소에 있는 폴의 수보다 클 때, 스케줄링 시간 t에서

Figure pat00049
내의 폴을 통해 충전되고 디스패치될 수 있는 추가적인 이동형 충전소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Equation 3 shows that when the sum of the number of EVs being charged and the number of mobile charging stations being charged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poles in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t scheduling time t
Figure pat00049
It represents the absence of additional mobile charging stations that can be charged and dispatched via poles within.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0

수학식 3은 이동형 충전소가 고정 충전소에서 충전중인 EV의 충전을 방해하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다. Equation 3 can ensure that the mobile charging sta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harging of the EV being charged 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이동형 충전소는 스케줄링 시간 t에서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하지 않을 때 충전과 방전이 허용될 수 있으며, 이는 수학식 4와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mobile charging station may be allowed to charge and discharge when not moving through the road network at scheduling time t, which can be expressed as Equations 4 and 5.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2

스케줄링 시간 t에서 이동형 충전소의 충전과 방전은 상호 배타적이며, 이동형 충전소가 고정 충전소를 방문하지 않는 경우 충전과 방전이 발생하지 않음은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t the scheduling time t,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are mutually exclusive, and when the mobile charging station does not visi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charging and discharging do not occur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6.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3

이하에서는 이동형 충전소의 라우팅 스케줄링, 충전과 방전 스케줄링, 배전 시스템 동작에 대해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routing schedu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scheduling, and operation of a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will be described respectively.

(1) 이동형 충전소의 라우팅 스케줄링(1) Routing scheduling for mobile charging stations

이진 결정 변수

Figure pat00054
는 이동형 충전소가 스케줄링 시간 t에서 노드 i를 출발하여 노드 j에 도착할 때 이동형 충전소에 대한 경로 i-j의 연결 상태를 결정한다. binary decision variable
Figure pat00054
determine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ath ij to the mobile charging station when the mobile charging station departs from node i at scheduling time t and arrives at node j.

전체 스케줄링 시간에서 이동형 충전소의 최대 단일 경로는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maximum single path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n the entire scheduling time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7.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5

고정 충전소의 방문 상태

Figure pat00056
와 이동형 충전소에 대한 경로 i-j의 연결 상태
Figure pat00057
사이의 관계는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tationary charging station visit status
Figure pat00056
and the connection state of route ij to the mobile charging station
Figure pat0005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can be expressed as in Equation 8.

Figure pat00058
Figure pat00058

여기서, 집합

Figure pat00059
는 노드 i에 인접한 노드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60
는 집합
Figure pat00061
에 기초한 인디케이터 함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62
이면
Figure pat00063
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
Figure pat00064
이다. Here, set
Figure pat00059
contains nodes adjacent to node i.
Figure pat00060
is the set
Figure pat00061
represents an indicator function based on
Figure pat00062
the other side
Figure pat00063
and, if not
Figure pat00064
to be.

수학식 8은 이동형 충전소가 비-고정 충전소 노드(non-FCS node)를 통과하고 방문했을 때,

Figure pat00065
가 항상 1인 것을 보장한다(
Figure pat00066
). Equation 8 shows that when a mobile charging station passes and visits a non-fixed charging station node (non-FCS node),
Figure pat00065
is always 1 (
Figure pat00066
).

그러나 이동형 충전소가 고정 충전소 노드를 방문하면

Figure pat00067
는 두가지 케이스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However, when a mobile charging station visits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node,
Figure pat00067
may have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two cases.

제1 케이스Case 1

이동형 충전소가 고정 충전소 노드를 통과하는 경우, If a mobile charging station passes through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node,

Figure pat00068
이다.
Figure pat00068
to be.

제2 케이스Case 2

이동형 충전소가 충전/방전 모드 또는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 이동형 충전소가 고정 충전소 노드에 머무는 경우,

Figure pat00069
이다. When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s in charge/discharge mode or idle mode, the mobile charging station stays 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node,
Figure pat00069
to be.

경로가 노드 i와 노드 j 사이에 연결될 때, 이동형 충전소는 이동 시간

Figure pat00070
동안은 어떠한 노드에도 머무르지 않음은 수학식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When a path connects between node i and node j,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s the travel time
Figure pat00070
Not staying at any node for a while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9.

Figure pat00071
Figure pat00071

여기서,

Figure pat00072
는 정수값으로 정규화된 이동 시간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73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Figure pat00074
는 스케줄링 단위 시간
Figure pat00075
에 대한 예측된 이동 시간
Figure pat00076
의 비율을 올림하는 함수를 나타낸다. here,
Figure pat00072
represents the normalized travel time as an integer value,
Figure pat00073
can be expressed as also,
Figure pat00074
is the scheduling unit time
Figure pat00075
Predicted travel time for
Figure pat00076
Represents a function that rounds the ratio of .

연결된 경로 i-j에서 이동형 충전소는

Figure pat00077
시간 이후에 노드 j에 방문하며,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On the connected route ij,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s
Figure pat00077
After time, node j is visited, and this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0.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8

또한, 이동형 충전소가 고정 충전소에 체류하는 동안에는 연결된 경로 i-j가 허용되지 않으며, 이는 수학식 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n addition, while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s staying 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the connected path i-j is not allowed, which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1.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79

연결된 경로가 존재하지 않으며(

Figure pat00080
), 이동형 충전소가 노드 i에 방문한 경우(
Figure pat00081
), 이동형 충전소는 이동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82
).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 12와 같다. The associated path does not exist (
Figure pat00080
), when a mobile charging station visits node i (
Figure pat00081
), a mobile charging station means that it does not move (
Figure pat00082
). If this is expressed as an equation, it is equal to Equation 12.

Figure pat00083
Figure pat00083

(2) 이동형 충전소의 충전과 방전(2) Charging and discharging of mobile charging station

현재 스케줄링 시간 t에서 이동형 충전소를 위한 충전 상태(SOC)의 동역학은 수학식 1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dynamics of the state of charge (SOC) for the mobile charging station at the current scheduling time t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3.

Figure pat00084
Figure pat00084

수학식 13은 이전 스케줄링 시간(t-1)에서 충전 상태(SOC), 배터리 용량

Figure pat00085
, 충전과 방전 효율
Figure pat00086
, 이동 효율
Figure pat00087
, 이동 상태
Figure pat00088
, 충전과 방전 전력
Figure pat00089
을 기반으로 현재 스케줄링 시간 t에서의 이동형 충전소에 대한 충전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Equation 13 is the state of charge (SOC), battery capacity at the previous scheduling time (t-1)
Figure pat00085
, charge and discharge efficiency
Figure pat00086
, transfer efficiency
Figure pat00087
, moving state
Figure pat00088
, charging and discharging power
Figure pat00089
Based on , the charging state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at the current scheduling time t can be derived.

이동형 충전소에 대한 SOC 용량 제약은 수학식 14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The SOC capacity constraint for the mobile charging station may be defined as in Equation 14.

Figure pat00090
Figure pat00090

스케줄링 시간 t에서 모든 충전 서비스를 마친 후 이동형 충전소가 디폿(depot)으로 복귀할 수 있는 SOC 최소 제약은 수학식 15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After completing all charging services at scheduling time t, the SOC minimum constraint on which the mobile charging station can return to the depot may be defined as in Equation 15.

Figure pat00091
Figure pat00091

이동형 충전소의 충전

Figure pat00092
과 방전
Figure pat00093
전력 제약은 수학식 16 및 수학식 1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Charging at mobile charging stations
Figure pat00092
over discharge
Figure pat00093
Power constraints can be expressed as Equations 16 and 17.

Figure pat00094
Figure pat00094

Figure pat00095
Figure pat00095

이동형 충전소의 충전 동안 이동형 충전소의 충전과 방전 빈도를 줄이기 위해 이동형 충전소의 충전 지속 시간이 3개의 연속 스케줄링 시간 슬롯보다 더 길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수학식 1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the frequency of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during charg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the charging duration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may be longer than three consecutive scheduling time slots, which can be expressed as in Equation 18.

Figure pat00096
Figure pat00096

모든 고정 충전소에서의 충전과 방전 전력의 합은 수학식 1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sum of charging and discharging power at all stationary charging stations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9.

Figure pat00097
Figure pat00097

3) 고정 충전소의 EV를 위한 대기열 역학3) Queuing dynamics for EVs at stationary charging stations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에 따라 시간 t에서

Figure pat00098
에서 감소된 대기중인 EV의 수
Figure pat00099
를 나타낸다.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at time t
Figure pat00098
The number of waiting EVs reduced in
Figure pat00099
indicates

Figure pat00100
Figure pat00100

고정 충전소(

Figure pat00101
)에서 이동형 충전소의 동작에 따라 감소된 대기중인 EV의 수는 수학식 2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동형 충전소 없이 시간 (t-1)에서 예측된 대기중인 EV의 수
Figure pat00102
와 시간 (t-1)에서 대기중인 EV의 수
Figure pat00103
의 차이로 계산될 수 있다. stationary charging station (
Figure pat00101
As shown in Equation 20, the number of waiting EVs reduc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n ) is the number of waiting EVs predicted at time (t-1) without a mobile charging station.
Figure pat00102
and the number of waiting EVs at time (t-1)
Figure pat00103
can be calculated as the difference between

수학식 20에서

Figure pat00104
의 값은 시간 (t-1)에서 이동형 충전소의 직접적인 충전과 시간 (t-1) 이전의 이동형 충전소에서의 충전으로 인한 EV의 간접적인 감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in Equation 20
Figure pat00104
The value of is affected by the direct charg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at time (t-1) and the indirect reduction of EV due to charging at the mobile charging station before time (t-1).

시간 (t-1)까지 이동형 충전소에서 충전되며, 고정 충전소(

Figure pat00105
)에서 시간 t에 고정 충전소의 EV의 수는 수학식 2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t is charged at a mobile charging station until time (t-1), and is charged at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
Figure pat00105
), the number of EVs 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t time t can be expressed as in Equation 21.

Figure pat00106
Figure pat00106

충전중인 EV의 수는 고정 충전소에 위치하는 EV의 수와 고정 충전소의 폴의 개수의 최소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수학식 22와 같다. The number of EVs being charged may be determined by the minimum value of the number of EVs located 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nd the number of poles of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s shown in Equation 22.

Figure pat00107
Figure pat00107

스케줄링 시간 t에서 고정 충전소(

Figure pat00108
)로부터 전력을 충전한 후 대기중인 EV의 수는 수학식 2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t scheduling time t (
Figure pat00108
), the number of standby EVs after charging power can be expressed as in Equation 23.

Figure pat00109
Figure pat00109

시간 t에서 이동형 충전소와 고정 충전소 모두로부터 충전한 후 대기중인 EV수는 수학식 2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number of standby EVs after charging from both the mobile charging station and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t time t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24.

Figure pat00110
Figure pat00110

이동형 충전소로부터 충전하는 EV의 수가 대기중인 EV의 수보다 작거나 같음은 수학식 25와 같이 보증할 수 있다. It can be guaranteed as shown in Equation 25 that the number of EVs charged from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number of standby EVs.

Figure pat00111
Figure pat00111

이동형 충전소에서 충전하는 EV의 수는 이동형 충전소에 대한 방전 상태와 폴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며,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 2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number of EVs charged at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s limited by the discharge state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and the number of poles, which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26.

Figure pat00112
Figure pat00112

도 5는 고정 충전소에서의 EV 대기열을 예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V queue at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충전하지 않고 대기열을 떠나는 EV가 없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도 6에서 테이블은 5개의 스케줄링 시간 동안 매개 변수 및 변수 값을 나타낸다. 매개 변수와 변수값은 EV 대기열 역학의 제약 조건에 이용될 수 있다. Assume that there are no EVs leaving the queue without charging. In FIG. 6, the table shows parameter and variable values for five scheduling times. Parameters and variable values can be used to constrain EV queue dynamics.

도 6의 표에서 두번째와 네번째 행의 결과는 각각 EV 수, 충전 EV 및 대기 EV에 대한 매개 변수 값을 나타낸다. 다섯번째 행에서 열번째 행의 결과는 수학식 20 내지 26의 제약 조건을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표의 마지막 행은 충전 및 대기중인 EV의 합계인 고정 충전기의 총 EV수를 나타낸다. 상술한 EV 대기열 역학은 감소된 대기 EV의 수(

Figure pat00113
)를 계산하는 것이다. The results of the second and fourth rows in the table of FIG. 6 represent parameter values for the number of EVs, charging EVs, and standby EV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fifth to tenth rows can be obtained using the constraints of Equations 20 to 26. Also, the last row of the table shows the total number of EVs in stationary chargers, which is the sum of EVs charged and on standby. The EV queuing dynamics described above is based on the reduced number of waiting EVs (
Figure pat00113
) to calculate.

도 7은 충전 및 대기중인 EV수에 대한 감소된 대기 EV의 수(

Figure pat00114
)의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세가지 케이스로 분류될 수 있다. 세가지 케이스에 대해 세개의 EV(EV1, EV2, EV3)와 세개의 EV(EV4, EV5, EV6)가 각각 시간 (t-1)과 시간 t에서 대기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이동형 충전소의 방전으로 인해 시간 (t-1)에 세개의 EV가 제거되는 상황을 고려하기로 한다. 7 shows the number of standby EVs reduced relative to the number of charging and standby EVs (
Figure pat00114
),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ses. For the three cases, it is assumed that three EVs (EV1, EV2, EV3) and three EVs (EV4, EV5, EV6) wait at times (t-1) and times t, respectively. In addition, a situation in which three EVs are removed at time (t-1) due to discharg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will be considered.

케이스 A에서 EV2와 EV3는 시간 (t-1)에서 이미 제거되었으며, 시간 t에서 대기열의 EV2와 EV3도 제거될 수 있다. In Case A, EV2 and EV3 have already been removed at time (t-1), and at time t, EV2 and EV3 from the queue may also be removed.

케이스 B1과 케이스 B2는 시간 (t-1)에서 대기 EV가 시간 t에서 고정 충전소에서 전력을 충전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케이스 B1에서 EV1이 시간 (t-1)에서 이미 제거되었기 때문에 EV1도 시간 t에서 충전 대기열에서 제거될 수 있다. Cases B1 and B2 assume that the standby EV at time (t-1) recharges power at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t time t. In case B1, since EV1 has already been removed at time (t-1), EV1 may also be removed from the charge queue at time t.

케이스 B2의 경우 EV4는 대기열에서 충전 대기열로 이동하고 케이스 B1에서 제거된 EV1에 할당된 충전폴을 통해 시간 t에서 충전을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EV2, EV3, EV4는 케이스 A, B1, B2에서 시간 t에서 제거될 수 있다. For case B2, EV4 moves from queue to charging queue and starts charging at time t via charging pole assigned to EV1 removed from case B1. Consequently, EV2, EV3 and EV4 can be removed at time t in cases A, B1 and B2.

도 5은 도 6 및 도 7를 기반으로 언급된 세가지 케이스와 관련된 결과를 기반으로 충전 및 대기 EV 대기열 역학을 나타낸 것이다. FIG. 5 shows charging and standby EV queue dynamics based on the results related to the three cases mentioned based on FIGS. 6 and 7 .

(3) 배전 시스템 동작(3) Distribution system operation

수학식 24를 이용하여 유효 및 무효 전력 흐름을 다시 정리하면 수학식 27 및 수학식 2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f the active and reactive power flows are reorganized using Equation 24, they can be expressed as Equations 27 and 28.

Figure pat00115
Figure pat00115

Figure pat00116
Figure pat00116

수학식 27 및 수학식 28에서 첫번째 항은 각각 시간 t에서 버스 b에서 k로의 유효 전력 흐름

Figure pat00117
과 무효 전력 흐름
Figure pat00118
의 합을 나타낸 것이다. The first term in Equations 27 and 28 is the effective power flow from bus b to k at time t, respectively.
Figure pat00117
and reactive power flow
Figure pat00118
represents the sum of

버스 k는 모든 버스가 버스 b에 다운스트림으로 연결된 버스

Figure pat00119
집합에 포함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Bus k is a bus with all buses connected downstream to bus b.
Figure pat00119
Assume that it is included in the set.

도한, 두번째 텀은 버스 b와 시간 c에서 활성

Figure pat00120
및 무효
Figure pat00121
부하 소비를 나타낸다. Also, the second term is active on bus b and time c.
Figure pat00120
and invalid
Figure pat00121
Indicates load consumption.

비-EV 부하에 대한 유효 및 무효 전력 소비

Figure pat00122
항과 이동형 충전소에 대한 유효 충전 전력
Figure pat00123
과 무효 충전 전력 또는 방전 전력
Figure pat00124
의 합의 항으로 다시 정리하면 수학식 29 및 수학식 3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sumption for non-EV loads
Figure pat00122
Effective charging power for ports and mobile charging stations
Figure pat00123
Over-reactive charge power or discharge power
Figure pat00124
When reorganized into terms of the sum of , it can be expressed as Equations 29 and 30.

Figure pat00125
Figure pat00125

Figure pat00126
Figure pat00126

EV 부하에 대한 유효 전력 소비는 수학식 3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active power consumption for the EV load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31.

Figure pat00127
Figure pat00127

즉, EV 부하에 대한 유효 전력 소비는 수학식 3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고정 충전소의 극당 충전율

Figure pat00128
과 버스 b에서 충전중인 EV 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That is, the active power consumption for an EV load is the charging rate per pole of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s shown in Equation 31.
Figure pat00128
and the number of EVs being charged on bus b.

EV 부하의 무효 전력 소비는 수학식 3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reactive power consumption of the EV load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32.

Figure pat00129
Figure pat00129

즉, 수학식 3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EV 부하의 무효 전력 소비는 역률

Figure pat00130
과 유효 전력 소비
Figure pat00131
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Equation 32, the reactive power consumption of the EV load is the power factor
Figure pat00130
and active power consumption
Figure pat00131
can be calculated using

이동형 충전소의 무효 전력 용량은 수학식 33과 같이 계산되며, 이는 이동형 충전소의 최소 역률

Figure pat00132
과 충방전 전력(
Figure pat00133
Figure pat00134
)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The reactive power capacity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s calculated as in Equation 33, which is the minimum power factor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Figure pat00132
Overcharge and discharge power (
Figure pat00133
Figure pat00134
) can be expressed using

Figure pat00135
Figure pat00135

Figure pat00136
는 이동형 충전소에 의한 대기중인 EV의 부하 수요를 나타내며, 충전률
Figure pat00137
Figure pat00138
의 곱으로 계산되며, 수학식으로 정리하면 수학식 34와 같다.
Figure pat00136
represents the load demand of standby EVs by mobile charging stations, and the charging rate
Figure pat00137
class
Figure pat00138
It is calculated as a product of , and the equation 34 is the same as the equation.

Figure pat00139
Figure pat00139

또한, 버스 b에서의 이동형 충전소에 대한 충전과 방전 전력의 합은 각각 수학식 35 및 수학식 36과 같이 도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m of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ower for the mobile charging station on the bus b can be derived as Equations 35 and 36, respectively.

Figure pat00140
Figure pat00140

Figure pat00141
Figure pat00141

또한, 전압 강하 방정식과 전압 크기의 제약은 수학식 37 및 수학식 3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ltage drop equation and voltage magnitude constraints can be expressed as Equations 37 and 38.

Figure pat00142
Figure pat00142

여기서,

Figure pat00143
은 노드 1의 공칭 전압 크기
Figure pat00144
를 나타낸다. here,
Figure pat00143
is the magnitude of the nominal voltage at node 1
Figure pat00144
indicates

Figure pat00145
Figure pat00145

여기서,

Figure pat00146
Figure pat00147
Figure pat00148
Figure pat00149
로 설정될 수 있다. here,
Figure pat00146
class
Figure pat00147
Is
Figure pat00148
Wow
Figure pat00149
can be set to

수학식 1의 두번째 목적 함수에 대한 비선형 방정식과 수학식 21, 수학식 22의 EV 대기열 역학 두개의 비선형 제약은 수학식 39 내지 41과 같이 선형화로 대체될 수 있다. The nonlinear equation for the second objective function in Equation 1 and the two nonlinear constraints of the EV queue dynamics in Equations 21 and 22 can be replaced by linearization as shown in Equations 39 to 41.

Figure pat00150
Figure pat00150

Figure pat00151
Figure pat00151

Figure pat00152
Figure pat00152

수학식 40과 수학식 41에서

Figure pat00153
Figure pat00154
는 보조 이진 변수를 나타내고, M은 큰 양의 상수를 나타낸다. In Equations 40 and 41
Figure pat00153
class
Figure pat00154
denotes an auxiliary binary variable, and M denotes a large positive constan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30)는 통신부(810), 메모리(815) 및 프로세서(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8 , a serve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810 , a memory 815 and a processor 820 .

통신부(8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communication unit 810 is a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other device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메모리(8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memory 815 is a means for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scheduling method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로세서(8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3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810), 메모리(81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processor 820 is a means for controlling internal components (eg, the communication unit 810, the memory 815, etc.) of the serve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프로세서(820)는 메모리(815)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820)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각각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820 may control to execute commands stored in the memory 815, and the commands executed by the processor 820 may perform each step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 Since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Devices and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computer readable media.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mainly by its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 descrip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시스템
110: 고정 충전소
120: 이동형 충전소
130: 서버
100: system
110 Stationary charging station
120: mobile charging station
130: server

Claims (10)

(a) 교통망 관련 정보를 기초로 고정 충전소에서 대기중인 전기 차량의 수를 줄이기 위해 과부하 상태에 있는 고정 충전소로 이동형 충전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라우팅 경로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b) 배전망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형 충전소의 유효 및 무효 전력의 충전-방전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라우팅 경로의 스케줄링 결과와 상기 충전-방전 스케줄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 충전소의 최적 경로 스케줄링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 방법.
(a) scheduling a routing path for moving a mobile charging station to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in an overloaded state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waiting 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based on traffic network-related information; and
(b) performing charge-discharge scheduling of active and reactive power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based on distribution network related information; and
(c) deriving optimal route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using the routing path scheduling result and the charge-discharge scheduling resul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충전소는 에너지 저장 장치(ESS)를 구비한 주행 가능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scheduling operation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s a driving device equipped with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고정 충전소에서 충전을 위해 대기중인 전기 차량의 수와 시간 t에서 배전망에 연결된 특정 버스에 대한 전압 크기의 전체 편차를 고려하여 충전-방전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b),
Operation scheduling method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charge-discharge scheduling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waiting for charging 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nd the total deviation of the voltage magnitude for a specific bu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network at time t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형 충전소의 충전 상태, 배터리 용량, 충전과 방전 효율, 이동 효율, 이동 상태, 충전과 방전 전력을 고려한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를 더 이용하여 상기 충전-방전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3,
In step (b),
The charge-discharge scheduling is performed by further using a state of charge (SOC) considering the state of charge, battery capacity, charge and discharge efficiency, movement efficiency, movement state, and charge and discharge power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A method for schedul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과부하 상태에 있는 고정 충전소로의 이동 시간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라우팅 경로를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a),
The method of scheduling operation of a mobile charging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scheduling the routing path so that the travel time to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in the overload state is minimized.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제품.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duct recording program codes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는,
(a) 교통망관련 정보를 기초로 고정 충전소에서 대기중인 전기 차량의 수를 줄이기 위해 과부하 상태에 있는 고정 충전소로 이동형 충전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라우팅 경로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b) 배전망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형 충전소의 유효 및 무효 전력의 충전-방전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라우팅 경로의 스케줄링 결과와 상기 충전-방전 스케줄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 충전소의 최적 경로 스케줄링을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 memory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are:
(a) scheduling a routing path for moving a mobile charging station to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in an overloaded state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waiting 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based on traffic network-related information; and
(b) performing charge-discharge scheduling of active and reactive power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based on distribution network related information; and
(c) The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the step of deriving optimal path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using the routing path scheduling result and the charge-discharge scheduling resul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고정 충전소에서 충전을 위해 대기중인 전기 차량의 수와 시간 t에서 배전망에 연결된 특정 버스에 대한 전압 크기의 전체 편차를 고려하여 충전-방전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7,
In step (b),
The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charge-discharge scheduling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waiting for charging at the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nd the total deviation of the voltage size for a specific bu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network at time t.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형 충전소의 충전 상태, 배터리 용량, 충전과 방전 효율, 이동 효율, 이동 상태, 충전과 방전 전력을 고려한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를 더 이용하여 상기 충전-방전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8,
In step (b),
The charge-discharge scheduling is performed by further using a state of charge (SOC) considering the state of charge, battery capacity, charge and discharge efficiency, movement efficiency, movement state, and charge and discharge power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server with .
적어도 하나의 개체를 포함하는 물리 계층부-상기 개체는 배전망에 연결된 부하, 이동형 충전소, 고정 충전소 및 전기차를 포함함;
도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송 계층부; 및
상기 물리 계층부에 포함된 개체들의 유효 및 무효 전력 흐름과 소비, 무효 전력 용량 및 전압을 고려한 충전-방전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상기 운송 계층부에 포함된 교통망정보를 기반으로 이동형 충전소의 라우팅 스케줄링을 수행하되, 상기 라우팅 경로의 스케줄링 결과와 상기 충전-방전 스케줄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 충전소의 최적 경로 스케줄링을 도출하는 사이버 계층부를 포함하는 서버에 포함되는 이동형 충전소의 운영 스케줄링을 위한 프레임워크 장치.

a physical laye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entity, the entity including a load connected to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a mobile charging station,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nd an electric vehicle;
a transportation layer unit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a road network; and
Charge-discharge scheduling is performed considering active and reactive power flow and consumption, reactive power capacity and voltage of entities included in the physical layer, and routing scheduling of mobile charging stations is performed based on traffic network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ransportation layer. However, the mobile charging station included in the server including the cyber layer unit for deriving the optimal route scheduling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using the scheduling result of the routing path and the charge-discharge scheduling result Framework device for schedu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harging station.

KR1020210091161A 2021-07-12 2021-07-12 Operatio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charging station KR202300105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161A KR20230010516A (en) 2021-07-12 2021-07-12 Operatio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charging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161A KR20230010516A (en) 2021-07-12 2021-07-12 Operatio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charging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516A true KR20230010516A (en) 2023-01-19

Family

ID=85078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161A KR20230010516A (en) 2021-07-12 2021-07-12 Operatio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charging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051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34040A (en) * 2023-07-28 2023-10-24 天津大学 Day-ahead collaborative optimization scheduling method for mobile charging st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34040A (en) * 2023-07-28 2023-10-24 天津大学 Day-ahead collaborative optimization scheduling method for mobile charging station
CN116934040B (en) * 2023-07-28 2024-03-19 天津大学 Day-ahead collaborative optimization scheduling method for mobile charging s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Online EV charge scheduling based on time-of-use pricing and peak load minimization: Properties and efficient algorithms
Yudovina et al. Socially optimal charging strategies for electric vehicles
JP2019004696A (en) Method for performing load distribution of plural charging stations to movement load in charging station network and charging station network
EP2760696B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US2020005809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configuration for deployment of a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Galus et al. Predictive, distributed, hierarchical charging control of PHEVs in the distribution system of a large urban area incorporating a multi agent transportation simulation
El-Taweel et al. Integrated utility-transit model for optimal configuration of battery electric bus systems
Alesiani et al. Optimization of charging stops for fleet of electric vehicles: A genetic approach
CN105740556A (en) Automatic compilation method for passenger flow demand based train working diagram
Moghaddam et al. Dispatch management of portable charging stations in electric vehicle networks
Gusrialdi et al. Scheduling and cooperative control of electric vehicles' charging at highway service stations
Kabir et al. Demand-aware provisioning of electric vehicles fast charging infrastructure
Zhang et al. Electric vehicle dynamic wireless charging system: Optimal placement and vehicle-to-grid scheduling
Ji et al. A personalized fast-charging navigation strategy based on mutual effect of dynamic queuing
JP7041719B2 (en) How to load balance multiple charging stations to mobile loads within the charging station network and charging station network
Tao et al. Data-driven on-demand energy supplement planning for electric vehicles considering multi-charging/swapping services
Iliopoulou et al. Robust electric transit route network design problem (RE-TRNDP) with delay considerations: Model and application
Ding et al. Quality-of-service aware battery swapping navigation and pricing for autonomous mobility-on-demand system
Guo et al. Rebalancing and charging scheduling with price incentives for car sharing systems
Yang et al. Mobile charging station service in smart grid networks
Chen et al. Two-tier energy compensation framework based on mobile vehicular electric storage
Tan et al. Autonomous mobility and energy service management in future smart cities: An overview
KR20230010516A (en) Operatio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charging station
Saatloo et al. Hierarchical user-driven trajectory planning and charging scheduling of autonomous electric vehicles
Mirheli et al. Charging network design and service pricing for electric vehicles with user-equilibrium deci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