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411A - 온라인 자원 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자원 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411A
KR20230010411A KR1020210090940A KR20210090940A KR20230010411A KR 20230010411 A KR20230010411 A KR 20230010411A KR 1020210090940 A KR1020210090940 A KR 1020210090940A KR 20210090940 A KR20210090940 A KR 20210090940A KR 20230010411 A KR20230010411 A KR 20230010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
terminal
digital
volunteer
careg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708B1 (ko
Inventor
위수복
이석원
Original Assignee
위수복
이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수복, 이석원 filed Critical 위수복
Priority to KR1020210090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708B1/ko
Publication of KR20230010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온라인 자원 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에 포함된 플랫폼 서버는, 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설치된 디지털 케어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자원봉사자 단말을 서로 매칭하여 자원 봉사 그룹을 생성하는 그룹 생성 모듈; 상기 디지털 케어 단말로부터 획득한 움직임 데이터와 주변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돌봄 노인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판단 모듈; 상기 디지털 케어 단말로부터 획득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돌봄 노인의 취향을 나타내는 취향 정보를 생성하는 관심 판단 모듈; 및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미리 등록된 상기 돌봄 노인에 대한 디지털 케어 활동 스케쥴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 봉사 그룹에 포함된 자원봉사자 단말에게 디지털 케어 활동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케어 활동에 따른 이력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케어 이력을 생성하는 봉사 지원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자원 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 시스템 및 방법{DIGITAL CARE SYSTEM FOR ONLINE VOLUNTERRIN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온라인 자원 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돌봄이 필요한 대상과 자원봉사자들을 매칭하고, 자원봉사자들이 소지한 단말들을 이용하여 돌봄 대상에 대한 자원봉사를 실시할 수 있는 디지털 케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구 절벽에 부딪히면서, 우리 사회는 고령층의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또한, 고령층의 인구 중 보호자와 떨어져 지내는 독거 노인들의 수도 따라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돌봄 노인(예: 독거 노인)의 경우, 홀로 집에서 지내면서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수 있는 확률이 높으며 정서적으로 외로움을 느끼기 쉽다.
인공 지능의 발달에 따라 적지 않은 수의 가정에서 Io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들(예: AI 스피커)을 구비하고 있다. 최근의 자원봉사는 온라인 자원봉사에 대한 봉사 점수를 인정하고 있다. 케어 대상이 되는 돌봄 노인의 거주지를 기준으로, 근방에 거주하는 자원봉사자들을 통한 온라인 자원봉사를 수행하여 돌봄 노인들을 케어한다면, 온라인 자원봉사자들이 Io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들로부터 수집되는 돌봄 노인들과 관련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위급 상황이나 거주지 방문이 필요한 상황 등에 대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6845호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지역 사회를 기본 단위로 하여 돌봄 대상의 거주지를 기준으로 근방에 거주하고 있는 온라인 자원봉사에 참여중인 자원봉사자들을 그룹으로 매칭하여, 돌봄 대상을 케어할 수 있는 디지털 케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온라인 자원 봉사를 위한 플랫폼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플랫폼 서버는, 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설치된 디지털 케어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자원봉사자 단말을 서로 매칭하여 자원 봉사 그룹을 생성하는 그룹 생성 모듈; 상기 디지털 케어 단말로부터 획득한 움직임 데이터와 주변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돌봄 노인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판단 모듈; 상기 디지털 케어 단말로부터 획득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돌봄 노인의 취향을 나타내는 취향 정보를 생성하는 관심 판단 모듈; 및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미리 등록된 상기 돌봄 노인에 대한 디지털 케어 활동 스케쥴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 봉사 그룹에 포함된 자원봉사자 단말에게 디지털 케어 활동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케어 활동에 따른 이력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케어 이력을 생성하는 봉사 지원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움직임 데이터는, 상기 거주지에 설치된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된 상기 돌봄 노인의 움직임을 지시하는 데이터이다.
상기 주변 환경 데이터는,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조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이터이다.
상기 동작 데이터는, 상기 거주지 내에 설치되고 상기 디지털 케어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지시하는 데이터이다.
상기 상태 판단 모듈은, 상기 조도가 미리 설정된 일몰부터 일출 사이의 밤 시간 구간 동안 제1 기준치 이하로 측정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 횟수 이상이고, 상기 움직임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일출부터 일몰 사이의 낮 시간 구간 동안 제2 기준치 이하로 측정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 횟수 이상이면, 돌봄 노인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자원봉사자 단말이 시청한 광고 이력이나 상품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봉사자 단말에 대한 디지털 모금 이력을 생성하는 디지털 모금 지원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디지털 케어 이력과 상기 디지털 모금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봉사자 단말에 대한 봉사 점수를 산출하는 봉사 점수 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자원봉사에 참여 중인 자원봉사자들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케어 대상에 대한 봉사를 수행함에 따라 봉사 점수를 산정함으로써 봉사 참여도를 높일 수 있으며, 디지털 모금을 병행함으로써 돌봄 대상을 위한 부수적인 도움을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자원 봉사과정에서 돌봄 대상에 대한 취향과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돌봄 대상에 대한 온라인 봉사 활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돌봄 대상의 관심과 현재 상태에 맞는 대응을 즉각적이고 정확하게 할 수 있어 자원 봉사의 실효성이 매우 높은 장점을 갖는다.
실시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설시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설시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원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봉사 그룹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 판단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모금 지원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도 2에 따른 봉사 지원 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말벗 케어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일상 케어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봄 노인은 독거 노인, 병환이 있는 노인, 또는 홀로 거동이 불편하여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포함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돌봄 노인은 용어에 의해 노인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봄이 필요한 사람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원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자원 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 시스템(이하 '시스템', 1000)은 돌봄 노인 단말(400), 디지털 케어 단말(200), 자원봉사자 단말(300), 및 플랫폼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들 및 서버들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데이터를 주거나 받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예로는 RF,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AN(Wide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또는 그 밖에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기구(3GPP)에서 정의하는 통신 표준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1000)은 돌봄 노인의 거주지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예: 거주지 근방 10km 범위) 내에 거주하는 자원봉사자들을 돌봄 노인과 매칭할 수 있다. 돌봄 노인의 거주지와 가까이 거주 중인 자원봉사자들을 그룹으로 매칭하여 자원봉사자들의 방문이 필요한 경우에는 돌봄 노인을 신속하게 케어할 수 있다. 시스템 상 운용하는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디지털 케어 및 디지털 모금은 일종의 온라인 봉사활동에 해당한다. 온라인 봉사활동은 케어 대상에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봉사활동이 수행되면 봉사 점수가 산정되는 봉사활동을 포함한다.
플랫폼 서버(100)의 운용사에서 배포되는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돌봄 노인 단말(400), 디지털 케어 단말(200), 및 자원봉사자 단말(300)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일부분은 상기 단말들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다른 일부분은 다른 장치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에 의해 또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다양한 동작들, 분석들, 및 연산들이 프로그램의 일부분들을 독립적으로 또는 협력하여 실행될 수 있으며, 돌봄 노인 단말(400), 디지털 케어 단말(200), 및 자원봉사자 단말(300)과 같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세서, 또는 다른 장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웹(web) 상에서 플랫폼 서버(100)에 액세스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독립형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가능 버전이 플랫폼 서버(10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돌봄 노인 단말(400), 디지털 케어 단말(200), 및 자원봉사자 단말(300)은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프로그램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된 후, 프로그램은 돌봄 노인 단말(400), 디지털 케어 단말(200), 및 자원봉사자 단말(300)에 실행 가능한 형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실행 가능한 형식의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플랫폼 서버(100)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한다.
시스템(1000)은, 돌봄 노인의 주변 환경을 제어하는 디지털 케어 단말(200), 돌봄 노인의 거주지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 거주하는 자원봉사자들이 소지한 자원봉사자 단말(300), 및 디지털 케어 단말(200) 및 자원 봉사자 단말(300)과 통신하여 디지털 케어와 디지털 모금을 지원하는 플랫폼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0)은, 디지털 케어의 대상이 되는 돌봄 노인이 소지하고, 디지털 케어 단말(200) 또는 플랫폼 서버(100)와 통신 가능한 돌봄 노인 단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디지털 케어 단말(200)로부터 디지털 케어 단말(200)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자원봉사자 단말(300)로부터 자원봉사자의 거주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털 케어 단말(200)의 위치 데이터와 거주지 데이터를 기초로 디지털 케어 단말(200)의 위치와 가까운 위치에 거주 중인 자원봉사자를 확인하고, 하나의 디지털 케어 단말(200)과 적어도 하나의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자 단말(300)을 매칭하여 자원 봉사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자원 봉사 그룹 단위로 돌봄 노인을 케어할 수 있다.
돌봄 노인 단말(400)은 돌봄 노인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봄 노인 단말(400)은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웨어러블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돌봄 노인 단말(400)은 디지털 케어 단말(200)과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돌봄 노인 단말(400)과 디지털 케어 단말(200) 사이의 동작을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설명하지만, 돌봄 노인 단말(400)의 기능이나 동작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디지털 케어 단말(200)에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돌봄 노인 단말(400)은, 돌봄 노인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지시하는 프로필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프로필 데이터를 플랫폼 서버(100)에 직접 제공하거나 디지털 케어 단말(200)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돌봄 노인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지시하는 프로필 데이터를 참조하여 돌봄 노인 단말(400)을 소지하는 돌봄 노인을 식별하고, 식별된 돌봄 노인을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은, 돌봄 노인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돌봄 노인이 소지한 돌봄 노인 단말(400) 또는 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설치된 디지털 케어 단말(200)에 대한 식별 기호를 플랫폼 서버(100)에 저장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 데이터는 돌봄 노인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기호(ID)일 수 있다.
디지털 케어 단말(200)은 음성 인식이 가능하고, 돌봄 노인의 거주지 내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하여 거주지 내의 환경을 제어하거나, 센서 모듈들을 제어하여 거주지 내의 환경을 감지하는 IoT(Internet Of Things)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단말은, AI스피커, IoT허브, 또는 IoT스피커 등일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에어컨, 공기 청정기, 스피커 등일 수 있다.
디지털 케어 단말(200)은, 디지털 케어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지시하는 동작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데이터는, 전자기기를 통해 재생된 음악이나 영상의 종류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케어 단말(200)은, 동작 데이터를 플랫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동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돌봄 노인의 취향을 나타내는 취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향 정보는 돌봄 노인이 관심있거나 좋아하는 음악이나 영상의 장르, 종류 등일 수 있다.
디지털 케어 단말(200)은 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설치된 센서 모듈과 통신하여 돌봄 노인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돌봄 노인의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은, 카메라, 움직임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미세먼지 센서,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센서, CO2 센서 등일 수 있다.
디지털 케어 단말(200)은 센서 모듈들과 통신하여 돌봄 노인의 움직임을 지시하는 움직임 데이터 및/또는 돌봄 노인의 주변 환경 상태를 지시하는 주변 환경 데이터를 획득(또는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케어 단말(200)은, 움직임 데이터 및 주변 환경 데이터를 플랫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주변 환경 데이터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 조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지시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움직임 데이터와 주변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돌봄 노인의 활동 상태와 돌봄 노인에 대한 주변 환경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활동 상태 및 주변 환경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동 상태는, 외출 여부, 취침 여부, 식사 여부, 응급상황 발생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환경 상태는, 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대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조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움직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돌봄 노인의 응급 상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움직임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의 움직임 데이터를 벗어난 경우, 돌봄 노인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또는 응급 상황 발생 여부를 자원봉사자 단말(300)을 통해 최종적으로 확정한 후), 플랫폼 서버(100)는, 미리 지정된 전화번호(예를 들어, 119) 또는 미리 지정된 서버(예를 들어, 응급실이나 소방서의 운영 서버)에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 또는 텍스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자원봉사자 단말(300)로 응급 상황을 알리는(notifying)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자연봉사자에게 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방문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디지털 케어 단말(200)은 돌봄 노인의 음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음성을 지시하는 음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디지털 케어 단말(200)은 획득된 음성 데이터를 플랫폼 서버(100)로 전송하거나, 획득된 음성 데이터를 STT(Speech To Text) 기법(또는 음성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플랫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디지털 케어 단말(200)로부터 음성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가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돌봄 노인과 매칭된 자원 봉사 그룹에 포함된 자원 봉사자의 자원 봉사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원 봉사자와 돌봄 노인 사이의 온라인 채팅(chatting)을 지원할 수 있다.
자원봉사자 단말(300)은 자원봉사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웨어러블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봉사자 단말(300)은 플랫폼 서버(100)와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자원 봉사자의 자원봉사자 단말(300)로부터 자원 봉사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지시하는 프로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프로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원 봉사자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자원봉사자 단말(300)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디지털 케어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케어 단말(200)은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TTS(Text to Speech) 기법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원 봉사자와 돌봄 노인 사이의 대화를 지원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디지털 케어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주변 환경 데이터를 기초로, 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설치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디지털 케어 단말(200)에 전송함으로써, 디지털 케어 단말(200)이 제어 명령을 실행하여 해당 전자기기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주변 환경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의 주변 환경 데이터를 벗어난 경우(예: 돌봄 노인의 주변 온도가 계절에 따른 정상 온도 범위인 22도 내지 27도를 벗어난 경우), 디지털 케어 단말(200)과 연동되어 있는 에어컨 또는 히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디지털 케어 단말(200)에 전송하고, 디지털 케어 단말(200)은,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자신과 연동되어 있는 에이컨이나 히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디지털 케어 단말(200)은 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센싱된 영상 데이터를 플랫폼 서버(100)로 전송하고, 플랫폼 서버(100)는,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돌봄 노인의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케어 단말(200)은 영상 데이터에서 미리 등록된 돌봄 노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참조하여 돌봄 노인의 얼굴을 식별하고, 얼굴 식별 유무에 따라 돌봄 노인이 외출했는지 여부 등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봉사 그룹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 판단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모금 지원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100)는 그룹 생성 모듈(101), 상태 판단 모듈(102), 관심 판단 모듈(103), 봉사 지원 모듈(104), 디지털 모금 지원 모듈(105), 및/또는 봉사 점수 산정 모듈(10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룹 생성 모듈(101)은, 디지털 케어 단말(예: 도 1의 디지털 케어 단말(200))과 적어도 하나의 자원봉사자 단말(300)을 매칭하여 자원 봉사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생성 모듈(101)은, 디지털 케어 단말(200)의 위치 데이터와 등록된 자원봉사자의 거주지 데이터를 기초로, 디지털 케어 단말(200)의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거주지를 갖는 자원봉사자를 디지털 케어 단말(200)이 설치된 거주지의 돌봄 노인과 매칭시켜 자원 봉사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룹 생성 모듈(101)은 디지털 케어 단말(200)과 자원봉사자 단말(300)을 1 대 다수로 매칭하여 1명의 돌봄 노인을 복수의 자원봉사자가 케어하는 1개의 자원 봉사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자원 봉사 그룹에 포함되는 다수의 자원봉사자 단말(300)은, 사회 복지사 또는 복지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자원 봉사 전담인력이 소지한 마스터(master) 단말, 자원봉사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지시하는 프로필 데이터를 기초로 자원봉사를 오프라인 상에서 수행한 이력이 있는 자원봉사자가 소지한 리더(leader) 단말, 플랫폼 서버(100)에 등록된 자원봉사자로서 디지털 케어가 가능하도록 권한이 부여된 자원봉사자가 소지한 볼런티어(volunteer) 단말, 및 플랫폼 서버(100)에 등록된 자원봉사자로서 디지털 케어가 불가능하도록 권한이 제한된 자원봉사자가 소지한 서포터(supporter)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은 자원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를 직접 수행하지 않으며 리더 단말과 볼런티어 단말의 디지털 케어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랫폼 서버(100)는, 리더 단말과 볼런티어 단말의 디지털 케어 이력(history)를 마스터 단말에 주기적으로 또는 디지털 케어 이력이 갱신될 때마다 알릴 수 있다.
자원 봉사 그룹에 포함된 자원봉사 단말(300)의 수는 20개 이하일 수 있고, 마스터 단말과 리더 단말의 수는 볼런티어 단말의 수보다 절반 이하로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단말과 리더 단말의 수는 각각 1개일 수 있으며, 볼런티어 단말의 수는 12 내지 15개일 수 있다.
서포터 단말은 볼런티어 단말로 전환되기 위하여 대기하는 자원봉사자의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그룹 생성 모듈(101)은, 볼런티어 단말의 자원봉사자에 대하여 산정된 봉사 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임계값 이하인 경우, 해당 자원봉사자의 볼런티어 단말을 서포터 단말로 전환하고, 서포터 단말들 중 하나를 볼런티어 단말로 전환함으로써 하나의 자원 봉사 그룹에서 볼런티어 단말의 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태 판단 모듈(102)은, 디지털 케어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움직임 데이터와 주변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돌봄 노인의 활동 상태와 돌봄 노인에 대한 주변 환경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활동 상태 및 주변 환경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동 상태는, 외출 여부, 취침 여부, 식사 여부, 응급상황 발생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환경 상태는, 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대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조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판단 모듈(102)은, 주변 환경 상태에 따른 조도가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예를 들어, 일몰부터 일출 사이의 밤 시간 구간) 동안 기준치 이하로 측정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횟수 이상이고, 움직임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예를 들어, 일출부터 일몰 사이의 낮 시간 구간) 동안 기준치 이하로 측정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횟수 이상이면, 돌봄 노인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상태 판단 모듈(102)은, 음성 데이터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최대 음성 크기보다 크게 측정된 경우, 돌봄 노인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태 판단 모듈(102)은,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미리 설정된 변동 범위 이상 변동되는 경우, 돌봄 노인이 식사를 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심 판단 모듈(103)은, 디지털 케어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돌봄 노인의 취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판단 모듈(103)은, 동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돌봄 노인의 취향을 나타내는 취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심 판단 모듈(103)은, 재생된 이력이 있거나 재생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음악이나 영상을 탐색하고, 탐색된 음악이나 영상의 장르나 종류 등을 외부의 공개 서버(예를 들어,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 서버)와 연동하여 결정하고, 결정된 장르와 종류 등을 기반으로 돌봄 노인이 관심있거나 좋아하는 음악이나 영상의 장르와 종류를 포함하는 취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도 4를 참조하면, 관심 판단 모듈(103)은, 돌봄 노인의 거주지 내부에서 영상 재생 장치(TV)의 영상 표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촬영하도록 배치된 카메라(CMR)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 이미지(IMG)를 디지털 케어 단말(200)을 통해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이미지(IMG)에서 돌봄 노인의 얼굴이 식별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돌봄 노인의 얼굴이 식별되는 경우, 식별되는 얼굴이 미리 설정된 관심 영역(IA) 이내에서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 식별을 바운딩 박스(boinding box, BB) 형태로 식별하는 경우, 관심 판단 모듈(103)은, 식별된 바운딩 박스(BB) 및 바운딩 박스(BB)의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갖는 버퍼 영역(BFA)을 포함하는 관심 영역(IA)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심 판단 모듈(103)은, 관심 영역(IA) 이내에서 바운딩 박스(BB)가 식별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측정된 시간 동안 영상 재생 장치를 통해 재생된 영상의 종류나 장르를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얼굴 식별이 간헐적으로 끊겨 식별되지 않는 경우에도 측정 시간이 유지될 수 있도록, 관심 판단 모듈(103)은, 바운딩 박스(BB)가 미리 설정된 최소 임계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시간 동안 식별되지 않은 경우에도, 식별되지 않는 시간을 포함하여 바운딩 박스(BB)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임계 시간은 3-5 초일 수 있다.
관심 판단 모듈(103)은, 상술한 공개 서버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영상의 종류나 장르를 돌봄 노인이 관심있거나 좋아하는 영상에 대한 취향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봉사 지원 모듈(104)은,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미리 등록된 돌봄 노인에 대한 디지털 케어 활동 스케쥴에 기초하여, 돌봄 노인의 디지털 케어 단말(200)과 매칭되어 자원 봉사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자원봉사자 단말(300)에게 디지털 케어 활동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케어 활동 스케쥴은 디지털 케어 활동 별로 알림 메시지의 전송 주기와 디지털 케어 활동의 수행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일종의 미션을 자원봉사자 단말(300)에게 부여하는 형태의 푸시(push) 메시지로서 자원 봉사 그룹에 포함된 리더 단말과 볼런티어 단말에 한하여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봉사 지원 모듈(104)은, 자원 봉사 그룹에 포함된 리더 단말과 볼런티어 단말에게 디지털 케어 활동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케어 활동은, 돌봄 노인의 디지털 케어 단말(200)과 음성 또는 텍스트 메시지를 교환하도록 요청하는 말벗 케어 활동, 돌봄 노인의 복지기관 일정을 관리하도록 요청하는 복지기관 케어 활동, 및 돌봄 노인의 일상 활동을 지원하도록 요청하는 일상 케어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말벗 케어 활동은 돌봄 노인과 일상 소통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고, 복지기관 케어 활동은 복지기관을 통한 일정관리 등을 지원할 수 있고, 일상 케어 활동은 돌봄 노인의 거주지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상황을 원격으로 지원할 수 있다.
봉사 지원 모듈(104)은, 디지털 케어 활동에 대한 이력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케어 이력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봉사 지원 모듈(104)은, 자원 봉사 그룹에 포함된 자원봉사자 단말(300)들 각각에 대응하는 디지털 케어 이력을 참조하여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순서와 빈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사 지원 모듈(104)은, 디지털 케어 이력을 참조하여 디지털 케어 활동을 수행한 시점이 최근일수록 후순위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디지털 케어 활동을 수행한 시점이 오랜시간 경과하였을수록 선순위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봉사 지원 모듈(104)은, 디지털 케어 이력을 참조하여 디지털 케어 활동을 수행한 횟수가 많을수록, 적은 빈도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디지털 케어 활동을 수행한 횟수가 적을수록, 높은 빈도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그룹 생성 모듈(101)은, 생성된 자원 봉사 그룹 내에 속하는 자원봉사자 단말(300)들을 말벗 케어 활동에 대응하는 제1 소그룹, 복지기관 케어 활동에 대응하는 제2 소그룹, 및 일상 케어 활동에 대응하는 제3 소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그룹 생성 모듈(101)은, 자원봉사자 단말(300)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프로필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3 소그룹으로 자원봉사자 단말(300)들 각각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생성 모듈(101)은, 프로필 데이터를 통해 확인되는 학생 신분의 자원봉사자의 교내 활동 이력을 참조하여 제1 내지 제3 소그룹으로 자원봉사자 단말(300)들 각각을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교내 활동 이력에서 학생회 활동 이력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자원봉사자 단말(300)을 제1 소그룹으로 분류하고, 교내 활동 이력에서 교내 수상 이력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자원봉사자 단말(300)을 제2 소그룹으로 분류하고, 그 밖의 경우에 해당하는 자원봉사자 단말(300)을 제3 소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그룹 생성 모듈(101)은, 디지털 케어 이력을 참조하여 자원 봉사 그룹 내에 속하는 자원봉사자 단말(300)들이 속하는 소그룹들을 재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그룹에 속하는 자원봉사자 단말(300)들 각각의 디지털 케어 이력을 참조하여 말벗 케어 활동을 수행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자원봉사자 단말(300)을 선정하고, 선정된 자원봉사자 단말(300)을 제2 소그룹 또는 제3 소그룹으로 재분류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제2 소그룹에 속하는 자원봉사자 단말(300)들 각각의 디지털 케어 이력을 참조하여 복지기관 케어 활동을 수행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자원봉사자 단말(300)을 선정하고, 선정된 자원봉사자 단말(300)을 제1 소그룹 또는 제3 소그룹으로 재분류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제3 소그룹에 속하는 자원봉사자 단말(300)들 각각의 디지털 케어 이력을 참조하여 일상 케어 활동을 수행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자원봉사자 단말(300)을 선정하고, 선정된 자원봉사자 단말(300)을 제1 소그룹 또는 제2 소그룹으로 재분류할 수 있다.
봉사 지원 모듈(104)은, 자원 봉사 그룹에 포함된 리더 단말과 다수의 볼런티어 단말들 중에서, 제1 소그룹에 속하는 단말에게 말벗 케어 활동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2 소그룹에 속하는 단말에게 복지기관 케어 활동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3 소그룹에 속하는 단말에게 일상 케어 활동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모금 지원 모듈(105)은, 자원봉사자 단말(300)이 시청한 광고 이력이나 상품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해당 자원봉사자 단말(300)에 대한 디지털 모금 이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자원봉사자 단말(300)에서는 미리 설정된 광고들(모금 광고 미션)과 제휴 쇼핑몰(디지털 모금몰)에 대한 링크(link), 제휴 쿠폰을 자원봉사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디지털 모금 지원 모듈(105)은, 자원봉사자 단말(300)이 지정된 광고를 시청한 횟수와 광고 별로 설정된 실적인정금액을 결합하여 광고 이력에 대응하는 제1 디지털 모금액을 산출하고, 미리 제휴된 쇼핑몰을 통한 상품 구매 또는 미리 제휴된 쿠폰 구매에 따른 실적 인정 금액을 결합하여 상품 구매 이력에 대응하는 제2 디지털 모금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제1 디지털 모금액과 제2 디지털 모금액을 포함하는 디지털 모금 이력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모금 지원 모듈(105)은, 자원봉사자 단말(300)에 대한 프로필 데이터를 참조하여 자원봉사자가 학생인지 판단하고, 자원봉사자가 학생인 경우, 학생의 자원봉사자 단말(300)과 해당 학생의 학부모의 단말(미도시)을 서로 페어링시켜 관리할 수 있다.
디지털 모금 지원 모듈(105)은, 학부모의 단말이 시청한 광고 이력이나 상품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학부모의 단말과 페어링된 학생의 자원봉사자 단말(300)에 대한 디지털 모금 이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학부모의 단말이 시청한 광고 이력이나 상품 구매 이력을 학부모의 단말과 페어링된 학생의 자원봉사자 단말(300)에 대한 디지털 모금 이력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처럼 학부모의 단말과 학생의 자원봉사자 단말(300)을 서로 페어링하여 관리하는 경우, 도 5에 따른 디지털 모금 활동에 따른 광고, 제휴 쇼핑몰, 쿠폰 등은 학생의 자원봉사자 단말(300) 대신에 페어링된 학부모의 단말로 한정하여 제공함으로써, 학생에게 과도한 모금 부담을 줄이면서 학부모와 학생이 함께 자원봉사에 동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봉사 점수 산정 모듈(106)은, 디지털 케어 이력과 디지털 모금 이력을 기초로 자원봉사자 단말(300)에 대한 봉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사 점수 산정 모듈(106)은, 알림 메시지에 따른 디지털 케어 활동이 이루어진 횟수와 디지털 모금 이력을 참조하여 제1 디지털 모금액과 제2 디지털 모금액의 합산액을 기초로 봉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봉사 점수 산정 모듈(106)은, 디지털 케어 활동이 이루어진 횟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디지털 모금 이력에 관계없이 봉사 점수를 0점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도 6는 도 2에 따른 봉사 지원 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말벗 케어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일상 케어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봉사 지원 모듈(104)은, 말벗 케어 활동을 지원하는 말벗 케어 모듈(104a), 복지기관 케어 활동을 지원하는 복지기관 케어 모듈(104b), 및 일상 케어 활동을 지원하는 일상 케어 모듈(104c)을 포함할 수 있다.
말벗 케어 모듈(104a)은, 자원봉사자 단말(300)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디지털 케어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케어 단말(200)은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TTS(Text to Speech) 기법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방식으로 자원봉사자 단말(300)의 텍스트 데이터를 돌봄 노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말벗 케어 모듈(104a)은, 디지털 케어 단말(200)로부터 돌봄 노인의 음성 데이터 또는 돌봄 노인의 음성 데이터가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돌봄 노인과 매칭된 자원 봉사 그룹에 포함된 자원 봉사자의 자원 봉사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말벗 케어 모듈(104a)은, 자원봉사자 단말(300)에게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디지털 케어 단말(200)을 통해 음성으로 돌봄 노인에게 전달하고, 디지털 케어 단말(2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자원봉사자 단말(300)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온라인 채팅을 지원한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는 텍스트 형태로 돌봄 노인과 대화를 나눌 수 있고, 돌봄 노인의 경우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텍스트 대신에 음성 형태로 자원봉사자와 대화를 나눌 수 있어 상호간 편의성이 보장된다.
또한, 말벗 케어 모듈(104a)은, 자원 봉사 그룹에 포함된 자원봉사자 단말(300)들 중 리더 단말과 디지털 케어 단말(200) 사이의 음성 채팅(예를 들어 보이스 토크)을 활성화하여, 리더 단말과 디지털 케어 단말(200) 사이에 음성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지원하고, 자원 봉사 그룹에서 리더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봉사자 단말들로부터 음성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메시지들을 리더 단말을 통해 디지털 케어 단말(200)로 전달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처럼, 리더 단말이 나머지 자원봉사자 단말들의 음성 데이터를 중계하여 디지털 케어 단말(200)에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 자원 봉사 그룹과 디지털 케어 단말 사이의 다대일 음성 채팅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말벗 케어 모듈(104a)은, 자원 봉사 그룹에 포함된 리더 단말(또는 마스터 단말)에게 대면 상담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후, 말벗 케어 모듈(104a)은 알림 메시지를 전송받은 리더 단말(또는 마스터 단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리더 단말(또는 마스터 단말)이 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말벗 케어 모듈(104a)은, 리더 단말(또는 마스터 단말)이 거주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자원 봉사 그룹에서 리더 단말(또는 마스터 단말)을 호스트로 하고, 나머지 자원봉사자 단말(300)들을 참여자로 하는 온라인 화상 채팅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말벗 케어 모듈(104a)은, 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위치하는 리더 단말(또는 마스터 단말)의 영상을 온라인 화상 채팅 인터페이스의 중앙에 표시하고, 나머지 자원봉사자 단말(300)의 영상을 온라인 화상 채팅 인터페이스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하여 온라인 화상 채팅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온라인 화상 채팅 인터페이스를 리더 단말(또는 마스터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리더 단말(또는 마스터 단말)의 자원봉사자와 함께 있는 돌봄 노인이 자원 봉사 그룹에 소속된 자원 봉사자들과 화상으로 대화할 수 있다.
말벗 케어 모듈(104a)은, 상술한 온라인 채팅, 다대일 음성 채팅, 온라인 화상 채팅이 활성화된 경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심 판단 모듈(103)에서 생성된 취향 정보를 자원 봉사 그룹 내의 자원봉사자 단말(300)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취향 정보를 통해 돌봄 노인이 자주 본 영상(드라마 A)가 있는 경우, 채팅 인터페이스에 해당 영상에 관해 이야기하도록 대화 가이드를 자원봉사자 단말(300)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원봉사자들은 돌봄 노인의 취향에 대한 대화 가이드를 제공받으면서 채팅이 가능하므로 돌봄 노인의 관심에 맞는 대화를 할 수 있고, 대화의 소재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
또한, 말벗 케어 모듈(104a)은, 상술한 온라인 채팅, 다대일 음성 채팅, 온라인 화상 채팅이 활성화된 경우 활성화된 채팅 이력을 포함하는 디지털 케어 이력을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복지기관 케어 모듈(104b)은, 돌봄 노인의 복지기관 일정을 확인하도록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자원봉사자 단말(300)에 전송하고, 자원봉사자 단말(300)로부터 복지기관 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지기관 일정에 대한 정보는, 교육 일정, 생활지원사 방문 일정, 관공서 지원물품 안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지기관 케어 모듈(104b)은, 제공받은 복지기관 일정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케어 단말(200)에 제공하고, 디지털 케어 단말(200)은 복지기관 일정에 대한 정보를 음성 형태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복지기관 케어 모듈(104b)은, 복지기관 일정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케어 단말(200)에 제공한 이력을 포함하는 디지털 케어 이력을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일상 케어 모듈(104c)은, 상태 판단 모듈(102)에서 생성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돌봄 노인에 대한 일상 케어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상 케어 모듈(104c)은, 상태 정보에 포함된 돌봄 노인의 활동 상태(외출 여부, 취침 여부, 식사 여부, 응급상황 발생 여부, 움직임 발생 여부 등)와 함께, 활동 상태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자원봉사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상 케어 모듈(104c)은,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자원봉사자 단말(300)로부터 텍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지털 케어 단말(200)로 전달함으로써, 디지털 케어 단말(200)에서 텍스트 메시지에 대한 음성으로 활동 상태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돌봄 노인에게 전달할 수 있고, 디지털 케어 단말(200)로부터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음성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자원봉사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자원봉사자는 응답 음성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해 활동 상태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체크 리스트에 표기하며, 체크 리스트에 표기된 체크 결과는 일상 케어 모듈(104c)로 전달될 수 있다.
일상 케어 모듈(104c)은, 체크 리스트에 표기된 체크 결과를 수신하면, 수신된 체크 결과를 포함하는 디지털 케어 이력을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일상 케어 모듈(104c)은, 체크 리스트에 표기된 체크 결과를 기초로 응급상황 발생이 확정된 경우, 미리 지정된 전화번호(예를 들어, 119) 또는 미리 지정된 서버(예를 들어, 응급실이나 소방서의 운영 서버)에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 또는 텍스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상 케어 모듈(104c)은, 자원봉사자 단말(300, 더욱 상세하게는 리더 단말이나 마스터 단말)로 응급 상황을 알리는(notifying)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자원봉사자에게 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방문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상 케어 모듈(104c)은, 상태 정보에 포함된 돌봄 노인의 주변 환경 상태(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대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조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를 미리 설정된 계절과 시간 별 정상 범위와 비교하고, 주변 환경 상태가 정상 범위를 넘는 경우, 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설치된 전자기기(예를 들어, 히터, 에어컨 등의 온도 제어 장치, 가습기나 제습기 등의 습도 제어 장치, 조도를 제어하는 조명 장치, 미세먼지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는 공기청정기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디지털 케어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일상 케어 모듈(104c)은 돌봄 노인의 주변 환경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항상 정상 범위에 있도록 디지털 케어 단말(200)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돌봄 노인이 항상 편안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일상 케어 모듈(104c)은, 상태 정보에 포함된 돌봄 노인의 주변 환경 상태와 함께, 주변 환경 상태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자원봉사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상 케어 모듈(104c)은,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자원봉사자 단말(300)로부터 주변 환경 상태에 대한 체크 리스트에 표기된 체크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체크 결과를 포함하는 디지털 케어 이력을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일상 케어 모듈(104c)은, 상태 정보에 포함된 주변 환경 상태(예: 온도, 습도, 미세먼지 등) 또는 상태 정보에 포함된 활동 상태(예: 움직임 발생 여부)와 함께, 주변 환경 상태 또는 활동 상태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자원봉사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상 케어 모듈(104c)은,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자원봉사자 단말(300)로부터 주변 환경 상태 또는 활동 상태에 대한 체크 리스트(예: 도면의 돌봄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했습니다 옆의 체크 박스)에 표기된 체크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체크 결과를 포함하는 디지털 케어 이력을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플랫폼 서버(100)의 기능이나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복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 하나일 수 있다.
저장 장치(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각종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등일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 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7)

  1. 온라인 자원 봉사를 위한 플랫폼 서버로서,
    돌봄 노인의 거주지에 설치된 디지털 케어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자원봉사자 단말을 서로 매칭하여 자원 봉사 그룹을 생성하는 그룹 생성 모듈;
    상기 디지털 케어 단말로부터 획득한 움직임 데이터와 주변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돌봄 노인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판단 모듈;
    상기 디지털 케어 단말로부터 획득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돌봄 노인의 취향을 나타내는 취향 정보를 생성하는 관심 판단 모듈; 및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미리 등록된 상기 돌봄 노인에 대한 디지털 케어 활동 스케쥴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 봉사 그룹에 포함된 자원봉사자 단말에게 디지털 케어 활동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케어 활동에 따른 이력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케어 이력을 생성하는 봉사 지원 모듈을 포함하는, 플랫폼 서버.
  2. 청구항 1에서,
    상기 디지털 케어 활동은,
    상기 돌봄 노인의 상기 디지털 케어 단말(200)과 음성 또는 텍스트 메시지를 교환하도록 요청하는 말벗 케어 활동, 상기 돌봄 노인의 복지기관 일정을 관리하도록 요청하는 복지기관 케어 활동, 및 상기 돌봄 노인의 일상 활동을 지원하도록 요청하는 일상 케어 활동을 포함하는, 플랫폼 서버.
  3. 청구항 2에서,
    상기 움직임 데이터는, 상기 거주지에 설치된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된 상기 돌봄 노인의 움직임을 지시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주변 환경 데이터는,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조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동작 데이터는, 상기 거주지 내에 설치되고 상기 디지털 케어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지시하는 데이터인, 플랫폼 서버.
  4. 청구항 3에서,
    상기 상태 판단 모듈은,
    상기 조도가 미리 설정된 일몰부터 일출 사이의 밤 시간 구간 동안 제1 기준치 이하로 측정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 횟수 이상이고, 상기 움직임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일출부터 일몰 사이의 낮 시간 구간 동안 제2 기준치 이하로 측정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 횟수 이상이면, 돌봄 노인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플랫폼 서버.
  5. 청구항 3에서,
    상기 자원봉사자 단말이 시청한 광고 이력이나 상품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봉사자 단말에 대한 디지털 모금 이력을 생성하는 디지털 모금 지원 모듈을 더 포함하는, 플랫폼 서버.
  6. 청구항 5에서,
    상기 디지털 케어 이력과 상기 디지털 모금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봉사자 단말에 대한 봉사 점수를 산출하는 봉사 점수 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플랫폼 서버.
  7. 청구항 2에서,
    상기 그룹 생성 모듈은,
    상기 자원봉사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프로필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자원봉사자 단말을 상기 말벗 케어 활동에 대응하는 제1 소그룹, 상기 복지기관 케어 활동에 대응하는 제2 소그룹, 및 상기 일상 케어 활동에 대응하는 제3 소그룹 중 하나로 분류하는, 플랫폼 서버.
KR1020210090940A 2021-07-12 2021-07-12 온라인 자원 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17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940A KR102517708B1 (ko) 2021-07-12 2021-07-12 온라인 자원 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940A KR102517708B1 (ko) 2021-07-12 2021-07-12 온라인 자원 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411A true KR20230010411A (ko) 2023-01-19
KR102517708B1 KR102517708B1 (ko) 2023-04-05

Family

ID=8507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940A KR102517708B1 (ko) 2021-07-12 2021-07-12 온라인 자원 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70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605A (ko) * 2004-07-13 2006-01-18 노휘식 자원봉사카드를 이용한 학생자원봉사 현황관리 및사기진작방법
KR20160041203A (ko) *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제너럴유스 온톨로지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 시스템
KR20160112736A (ko) * 2015-03-20 2016-09-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기기 소비전력 패턴과 소셜 정보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9893A (ko) * 2015-04-06 2016-10-17 이상창 지능형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지능형 홈 모니터링 방법
KR20180057368A (ko) * 2016-11-22 2018-05-30 박영주 독거노인별 생활패턴을 이용한 원격 관리시스템
KR20180064860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모자익 고독사 관리 시스템
KR20200093167A (ko) * 2019-01-28 2020-08-05 (주)라온아띠 사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돌봄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109723A (ko) * 2019-03-14 2020-09-23 이승훈 노인 가구를 위한 노인 서비스 제공자 매칭 및 관리 시스템
KR20210066453A (ko) * 2019-11-28 2021-06-07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스마트 의류 스테이션을 이용한 신체활동 취약자의 데이터 수집 및 상황인지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605A (ko) * 2004-07-13 2006-01-18 노휘식 자원봉사카드를 이용한 학생자원봉사 현황관리 및사기진작방법
KR20160041203A (ko) *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제너럴유스 온톨로지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 시스템
KR20160112736A (ko) * 2015-03-20 2016-09-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기기 소비전력 패턴과 소셜 정보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9893A (ko) * 2015-04-06 2016-10-17 이상창 지능형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지능형 홈 모니터링 방법
KR20180057368A (ko) * 2016-11-22 2018-05-30 박영주 독거노인별 생활패턴을 이용한 원격 관리시스템
KR20180064860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모자익 고독사 관리 시스템
KR20200093167A (ko) * 2019-01-28 2020-08-05 (주)라온아띠 사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돌봄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109723A (ko) * 2019-03-14 2020-09-23 이승훈 노인 가구를 위한 노인 서비스 제공자 매칭 및 관리 시스템
KR20210066453A (ko) * 2019-11-28 2021-06-07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스마트 의류 스테이션을 이용한 신체활동 취약자의 데이터 수집 및 상황인지 처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홍윤정, 삼성전자 기부 앱 모금 100만弗 돌파, 한국경제(2020.09.2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708B1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9131B2 (en) Sensor with halo light system
US10453098B2 (en) Privacy-aware personalized content for the smart home
US9924342B2 (en) Establishing a connection over a low power communication type
CN111613001B (zh) 利用声学存在验证的远程警报静音
US10079012B2 (en) Customizing speech-recognition dictionaries in a smart-home environment
US11277893B2 (en) Thermostat with area light system and occupancy sensor
JP2017010516A (ja) 人工知能に基づくヒューマンコンピュータインターアクションの方法、装置及び端末機器
US9537662B2 (en) Certificates for low-power or low-memory devices
WO2018227823A1 (zh) 一种生成用户画像的方法和终端
TW200900960A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integration
US20240137741A1 (en) Low energy network
US20160105288A1 (en) Certificates for low-power or low-memory devices
US20210398517A1 (en) Response generating apparatus, response generating method, and response generating program
WO202019582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616072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acting upon cumulative exposure of a building occupant to a hazardous substance
US20200267217A1 (en) Affinity determination and logical networking of iot devices
Spirig et al. An expert digital companion for working environments
KR102517708B1 (ko) 온라인 자원 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6358A (ko) Led 조명 시스템 기반 홈 케어 네트워크 시스템
Kim et al. Development of real-time Internet of Things motion detection platform applying non-contact sensor based on open source hardware
Yağanoğlu et al. Design and validation of IoT based smart classroom
Al Hossain et al. A wearable sensor based elderly home care system in a smart environment
WO2022145165A1 (ja) 環境制御システム及び環境制御方法
JP7433894B2 (ja) 誘導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方法
Pnevmatikakis Recognising daily functioning activities in smart ho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