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161A -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 Google Patents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161A
KR20230009161A KR1020210089840A KR20210089840A KR20230009161A KR 20230009161 A KR20230009161 A KR 20230009161A KR 1020210089840 A KR1020210089840 A KR 1020210089840A KR 20210089840 A KR20210089840 A KR 20210089840A KR 20230009161 A KR20230009161 A KR 20230009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display
area
processo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8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훈
김태훈
이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9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9161A/en
Priority to US17/858,314 priority patent/US20230009427A1/en
Publication of KR2023000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1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 knob. The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the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put part that receives horizontal and vertical viewing mode setting information of a display; a memory that stores a program that controls a position of the knob according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ewing modes of the display; and a processor that executes the program, wherein the processor moves the position of the knob to a lower end area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viewing mode change of the displa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aving an effect of increasing a convenience of use.

Description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 knob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본 발명은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 knob.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입력장치(노브)를 이용하여 차량 내 기능을 실행시킨다(온도 조절, 풍량 조절 등).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vehicle functions are executed using an input device (knob) (temperature control, air volume control, etc.).

그런데, 이러한 노브는 장착된 영역에서 푸쉬 또는 회전 동작을 통해 기능 실행을 위한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지원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탈거가 불가능하고, 사용성 측면에서 조작하고자 하는 화면과 제어기 간의 공간 양립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보다 다양한 사용자 편익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By the way, these knobs support the user's command input for function execution through push or rotation operations in the mounted area, but cannot be removed from the display unit, and space compatibility between the screen and the controller to be operated is not compatible in terms of usability.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not providing more user benefit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노브의 위치에 따라 화면 변화 및 3D UI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가로/세로 모드 보기로 디스플레이가 설정됨에 따라 노브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enabling screen change and 3D UI contro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knob, and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knob as the display is set to view in landscape / portrait mod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control system with increased usability.

본 발명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의 가로, 세로 보기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디스플레이의 가로, 세로 보기 모드에 따라 노브의 위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의 보기 모드 변환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하단 영역으로 노브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A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horizontal and vertical viewing mode setting information of a display, a memory stor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knob according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ewing modes of the display, and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rogram. A processor is included, wherein the processor moves the position of the knob to a lower area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viewing mode conversion of the display.

프로세서는 가로, 세로 보기 모드의 변환에 따라 노브에 의해 선택 가능한 기능 메뉴가 표출되는 영역을 결정한다.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area where the function menu selectable by the knob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convers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ewing modes.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가 가로 보기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의 하부 영역에 상기 기능 메뉴를 표출시키고, 디스플레이가 세로 보기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 내부의 기설정 중앙 영역에 기능 메뉴를 표출시킨다. The processor displays the function menu on a lower area of the display when the display is in a horizontal viewing mode, and displays the function menu on a preset center area inside the display when the display is in a vertical viewing mode.

프로세서는 보기 모드의 변환 전 노브의 위치가 제1 기능 메뉴에 대한 선택 위치인 경우, 보기 모드의 변환 후의 노브의 이동 범위를 고려하여, 보기 모드의 변환 후, 노브의 위치를 제1 기능 메뉴를 선택하는 위치로 결정한다. When the position of the knob before the conversion of the view mode is the selection position for the first function menu, the processor considers the movement range of the knob after the conversion of the view mode, and sets the position of the knob to the first function menu after the conversion of the view mode. Decide on the location you choose.

본 발명에 따르면, 노브 위치에 따른 화면 변화 및 3D UI 제어가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knob and control the 3D UI,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of use.

또한, 디스플레이의 가로/세로 보기 모드에 따라 노브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knob according to the horizontal/vertical viewing mode of the display,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convenience of use.

노브 조작을 통해 차량 내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고, 노브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위치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display in the vehicle can be easily changed by manipulating the knob, and the display position can be customiz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knob.

사용자는 탈부착형 노브를 이용하여 차량 내 어느 위치에서든 노브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display by manipulating the knob at any position in the vehicle using the detachable knob.

노브를 이동시키며 차량 내 기능 실행이 가능하므로, 최소한의 노브 수로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며 버튼 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Since in-vehicle functions can be executed by moving the knob, various functions can be executed with the minimum number of knobs and the number of buttons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슬라이딩 및 노브 위치에 따른 기능 UI 표시 및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노브 동작 및 이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기 모드에서의 노브 및 UI 화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로보기 모드에서의 노브 및 UI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시의 노브 위치 자동 변경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및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이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를 도시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이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UI 변경을 도시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탈거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를 도시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탈거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틸팅을 도시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영역으로의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에서 터치 영역으로의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터치 영역으로의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 플레이어 제어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화면 제어를 도시한다.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 배치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공조기 제어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볼륨 제어를 도시한다.
도 2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ASCC 제어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사용자 지정 기능을 도시한다.
도 2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조작을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윈도우 전환을 도시한다.
1 shows a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unction UI display and control according to knob sliding and knob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3-axis knob operation and display control through the 3-axis knob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knob and a UI screen in a landscape view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knob and a UI screen in a portrait view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n automatic change in a knob position when a display is rot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display rotation and knob mov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display control according to knob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 display UI change according to knob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display control according to removal of a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tilting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removal of a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llustrates movement of a knob to a touch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llustrates movement of a knob to a touch area on a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llustrates movement of a knob to a touch area within a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llustrates playback player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llustrates navigation screen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shows a knob arrang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llustrates air conditioner control using a knob disposed below a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llustrates volume control using a knob disposed below a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llustrates ASCC control using a knob disposed at the bottom of a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llustrates a user designation function using a knob disposed at the bottom of a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llustrates display manipulation using a kno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llustrates window switching using a kno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The foregoing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following embodiments provide the purpose of the invention, As only provided to easily inform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Meanwhil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in which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present. or ad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1 shows a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노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110)와, 노브의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하되, 프로세서(130)는 노브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내 컨텐츠의 표출을 변경시킨다. A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knob, a memory 120 storing a display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knob, and a processor 130 executing the program. , but the processor 130 changes the presentation of the contents in the display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knob.

프로세서(130)는 크래쉬패드 또는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에 배치된 노브가 제1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에서 선택되는 기능 메뉴를 결정한다.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a function menu selected on the display as the knob disposed on the crash pad or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slides in the first axis direction.

프로세서(130)는 노브가 이동되는 축 방향으로 변경되는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내 표출되는 컨텐츠에 대한 선택 사항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내 표출되는 컨텐츠에 대한 포커싱 기능을 제공한다. The processor 130 checks a selection for content displayed in the display in consideration of positional information changed in the direction of an axis in which the knob is moved, and provides a focusing function for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display.

프로세서(130)는 제2 축 방향으로 노브가 회전됨에 따라, 선택된 기능에 대한 하위 기능을 표시한다. As the knob rotates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the processor 130 displays a sub-function for the selected function.

프로세서(130)는 제2 축 방향으로 노브가 회전됨에 따라, 선택된 기능에 대한 제어 화면을 표시한다. The processor 130 displays a control screen for the selected function as the knob is rotated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프로세서(130)는 제2 축 방향으로 노브가 회전됨에 따라, 선택된 3D 객체를 회전시키는 화면을 표시한다. The processor 130 displays a screen for rotating the selected 3D object as the knob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의 가로, 세로 보기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110)와, 디스플레이의 가로, 세로 보기 모드에 따라 노브의 위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하되,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의 보기 모드 변환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하단 영역으로 노브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A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 kno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horizontal and vertical viewing mode setting information of a display, and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knob according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ewing modes of the display. It includes the stored memory 120 and the processor 130 that executes the program, but the processor 130 moves the position of the knob to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display mode conversion.

프로세서(130)는 가로, 세로 보기 모드의 변환에 따라 노브에 의해 선택 가능한 기능 메뉴가 표출되는 영역을 결정한다.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an area in which a function menu selectable by a knob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convers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ewing modes.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가 가로 보기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의 하부 영역에 상기 기능 메뉴를 표출시키고, 디스플레이가 세로 보기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 내부의 기설정 중앙 영역에 기능 메뉴를 표출시킨다. The processor 130 displays the function menu on a lower area of the display when the display is in a horizontal viewing mode, and displays the function menu on a preset center area inside the display when the display is in a vertical viewing mode.

프로세서(130)는 보기 모드의 변환 전 노브의 위치가 제1 기능 메뉴에 대한 선택 위치인 경우, 보기 모드의 변환 후의 노브의 이동 범위를 고려하여, 보기 모드의 변환 후, 노브의 위치를 제1 기능 메뉴를 선택하는 위치로 결정한다. When the position of the knob before the conversion of the view mode is the selection position for the first function menu,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knob after the conversion of the view mode by consider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knob after the conversion of the view mode. Decide where to select the function menu.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노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110)와, 노브의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하되, 프로세서(130)는 노브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기능 제어 탭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 kno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knob, a memory 120 storing a display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knob,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 130), wherein the processor 130 changes the function control tab displayed on the display in consideration of pos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knob.

프로세서(130)는 노브가 운전석 디스플레이 하부에서 보조석 디스플레이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보조석 디스플레이 영역에 주행과 관련성이 적은 편의 기능에 대한 제어 탭을 표출시키고, 운전석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주행과 관련성이 높은 기능에 대한 제어 탭을 표출시킨다. As the knob moves from the bottom of the driver's seat display to the bottom of the passenger's seat display, the processor 130 displays a control tab for convenient functions less related to driving in the passenger seat display area, and displays a control tab for functions highly related to driving in the driver's seat display area. Display the control tab.

프로세서(130)는 노브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영역 구분을 변경시키고, 영역 구분의 변경에 따라 표출되는 콘텐츠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The processor 130 changes the area division of the display in consideration of pos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knob, and controls to change displayed conten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rea division.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내의 기설정된 기능에 대한 화면 영역은 디스플레이의 이동 상황에서도 운전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동일한 표출 영역으로 유지시킨다. The processor 130 maintains the screen area for a predetermined function in the display as the same display area based on the driver's position even when the display is moved.

프로세서(130)는 노브의 이동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위치 변경 시,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의 개수를 변경하고, 변경된 화면 영역의 개수에 따라 표출되는 콘텐츠의 종류를 변경시킨다. When the position of the displa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knob, the processor 130 changes the number of display screen areas and changes the type of content displayed according to the changed number of screen areas.

프로세서(130)는 콘솔에서 노브가 탈거되는 경우, 탈거된 노브의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이동시킨다. When the knob is removed from the console, the processor 130 moves the display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knob that has been removed.

프로세서(130)는 노브가 운전석 영역에서 보조석 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 보조석으로 이동된 디스플레이로 보조석 승객에 제공되는 개인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주행 관련 기능 화면을 운전석 전방 윈드쉴드에 표시한다. When the knob is moved from the driver's seat area to the passenger's seat area, 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display moved to the passenger's seat to display a personalized screen provided to the passenger in the passenger's seat, and displays a driving-related function screen on the windshiel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프로세서(130)는 노브가 보조석 영역에서 운전석 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 보조석 승객에 제공되는 개인화 화면을 보조석 전방 윈드쉴드에 표시하되, 운전 방해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보조석 전방 윈드쉴드 표시 기능을 비활성화 시킨다. When the knob is moved from the passenger seat area to the driver's seat area, the processor 130 displays the personalized screen provided to the passenger in the passenger seat on the front windshield of the passenger seat, but deactivates the display function of the front windshield of the passenger se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driving is disturbed.

프로세서(130)는 노브의 현재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노브의 현재 위치에서의 사용자 시선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를 틸팅시키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The processor 13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ilt the display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line of sight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knob in consideration of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knob.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110)와, 터치 입력 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하되, 프로세서(130)는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영역의 기능 제어가 가능하도록 노브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 kno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receiving a touch input signal for a display area, a memory 120 storing a display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signal, and executing the program. It includes a processor 130,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or 130 moves a knob to enable function control of an area to which a touch input signal is applied.

프로세서(130)는 제한된 노브 이동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영역의 하부로 노브가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knob to move to the lower part of the area to which the touch input signal is applied within the limited knob movement area.

프로세서(130)는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디스플레이 영역 위로 노브가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knob to move over the display area to which the touch input signal is applied.

프로세서(130)는 터치 입력을 통한 기능 제어 및 노브 조작을 통한 기능 제어의 용이성을 비교하여, 노브 조작을 통한 기능 제어의 용이성이 터치 입력을 통한 기능 제어의 용이성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디스플레이 영역 위로 노브를 이동시킨다. The processor 130 compares the ease of function control through touch input and function control through knob manipul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ase of function control through knob manipulation is greater than the ease of function control through touch input, the processor 130 generates a touch input signal. Move the knob over the applied display area.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 내 시트 배치 정보 및 각 시트의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기능을 표출시키고, 해당 기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노브를 해당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The processor 130 displays seat arrangement information in the vehicle and functions provided through the area of each seat through the display, and moves the knob to the corresponding area when a touch input for the corresponding function area is applied.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내의 좌표를 계산하여 노브를 이동시킨다. When the display is rotated, the processor 130 calculates coordinates within the display and moves the knob.

프로세서(130)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줌 인 및 줌 아웃을 노브를 통해 제어하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내비게이션 화면에서 경로 정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다음 경로 및 관련 도로 정보 표시가 노브를 통해 제어되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When a touch input to the navigation screen is applied, the processor 130 provides a function to control zoom-in and zoom-out through a knob, and when a touch input to route information is applied from the navigation screen, next route and related road information It provides a function so that the display is controlled through the knob.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의 이동 범위 내에서의 노브의 위치 정보 및 기설정된 평면 영역에서의 노브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입력부(110)와, 노브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하되, 프로세서(130)는 노브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 및 노브의 동작 정보를 고려하여 차량 내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 kno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position information of the knob within a movement range of a lower area of the display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knob in a preset flat area. ), a memory 120 storing a display control program u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knob, and a processor 130 executing the program, wherein the processor 130 considers the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knob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kno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functions in the vehicle by doing so.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에 표출되는 기능 메뉴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 범위 내에서 노브가 이동하는 경우, 노브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기능 메뉴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The processor 13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the function menu in consideration of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knob when the knob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menu displayed on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within the movement range.

프로세서(130)는 기능 메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노브에 대한 탭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해당 기능에 대한 팝업 화면을 호출한다. The processor 130 calls a pop-up screen for a corresponding function when a tap input to a knob is appli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 menu.

프로세서(130)는 음량 조절 기능 메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노브에 대한 조작이 인식되는 경우, 미디어 재생 중이면 미디어 볼륨을 제어하고, 미디어가 재생중이지 않을 경우 전체 시스템 볼륨을 제어한다. When manipulation of the knob is recogniz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olume control function menu, 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media volume when media is being reproduced, and controls the overall system volume when media is not being reproduced.

프로세서(130)는 노브의 회전, 누름, 누름 유지 시간을 고려하여 기능 메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function menu by considering rotation, pressing, and holding time of the knob.

프로세서(130)는 즐겨찾기 기능 메뉴 영역으로 노브가 이동되는 경우, 즐겨찾기에 해당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에 표출시키고, 노브 조작을 통해 선택된 기능을 주 화면에 표출시킨다. When the knob is moved to the favorite function menu area, the processor 130 displays a menu corresponding to the favorite on the display, and displays a function selected by operating the knob on the main screen.

프로세서(130)는 노브가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의 이동 범위 내에서 탈착되어 기설정된 평면 영역인 콘솔에 장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과 동일한 비례의 콘솔 영역 내에서의 노브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한다. When the knob is detached within the movement range of the lower display area and mounted on the console, which is a preset flat area, the processor 130 performs display control in consideration of knob position information in the console area of the same proportion as the display screen. .

프로세서(130)는 콘솔 영역 내에서의 노브의 이동에 따라 커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출시킨다. The processor 130 displays a cursor on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knob in the console area.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내 구획 영역에 대한 노브 조작에 따른 커서 이동 시, 윈도우 전환 기능을 제공한다. The processor 130 provides a window conversion function when a cursor is moved according to a knob manipulation of a partition area in the displa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슬라이딩 및 노브 위치에 따른 기능 UI 표시 및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unction UI display and control according to knob sliding and knob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브는 크래쉬패드 또는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에 배치되어, 좌우(x축)로 슬라이딩하는 구조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b has a structure that is disposed on a crash pad or a lower area of the display and slides left and right (x-axis).

노브가 좌우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즐겨찾기, 운전석 온도 설정, 컨텐츠 음량 설정, 조수석 온도 설정, 풍량 설정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the knob slides left and right, it is possible to control favorites, driver's seat temperature setting, content volume setting, passenger seat temperature setting, and air volume setting.

노브가 좌우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기본 모드에서의 노브 화면은 시각표시(예: 0948로 9시48분임을 표시함)로 설정되고, 특정 영역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즐겨찾기, 운전석 온도 설정, 컨텐츠 음량 설정, 조수석 온도 설정, 풍량 설정에 대한 화면이 노브에 표시되고, 노브 회전 동작에 따라 기능 설정이 가능하다. As the knob slides left and right, the knob screen in the basic mode is set to a time display (e.g., 0948 indicates 9:48), and as the knob slides to a specific area, favorites, driver's seat temperature setting, and content volume are displayed. The screen for setting, passenger seat temperature setting, and air volume setting is displayed on the knob, and functions can be se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knob.

이 때,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노브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현재 선택된 기능에 대한 포커싱 처리된 UI가 제공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손으로 노브를 슬라이딩 이동시킴에 따라 현재 노브를 이용하여 설정 가능한 차량 기능이 무엇인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I focused on the currently selected function is provided on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knob, and accordingly, the user slides the knob with one hand to determine which vehicle functions can be set using the current knob. can be checked intuitively.

이러한 예로서, 도 2에는 즐겨 찾기 항목에 대해 포커싱 처리된 예를 도시한다. As such an example, FIG. 2 shows an example in which a favorite item is focus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노브 동작 및 이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3-axis knob operation and display control through the 3-axis knob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크래쉬패드 또는 디스플레이의 하단 영역에서 노브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3축(x, y, z축)을 활용하여 화면 내 기능 UI 표시 및 제어 기능이 제공되낟.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knob on the crash pad or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on-screen function UI display and control functions are provided by utilizing 3 axes (x, y, z axes).

도 3을 참조하면, x축에 따라 노브가 좌우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기능 메뉴에 대한 좌우 선택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 , as the knob slides left and right along the x-axis, left and right selection of a plurality of function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is possible.

도 3을 참조하면, y축에 따라 노브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기능 메뉴에 대한 상하 선택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 , as the knob slides up and down along the y-axis, it is possible to select up and down a plurality of function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도 3을 참조하면, z축에 따라 노브가 회전됨에 따라 선택된(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포커싱된) 기능의 하위 기능을 표시하거나, 하위 기능으로 진입하여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 , as the knob rotates along the z-axis, it is possible to display a sub-function of a function selected (focused in the display area) or to enter a sub-function and control the corresponding function.

도 3을 참조하면, z축에 따라 노브가 회전됨에 따라 선택된(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포커싱된) 3D 객체 메뉴의 기능을 표시하거나, 3D 객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 , as the knob is rotated along the z-axis, it is possible to display a function of a selected (focused in the display area) 3D object menu or to display a 3D object.

또한, 노브를 누름에 따라, 현재 선택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Also, by pressing the knob, it is possible to execute the currently selected func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기 모드에서의 노브 및 UI 화면을 도시한다. 4 illustrates a knob and a UI screen in a landscape view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가로 또는 세로 모드로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데, 도 4를 참조하면 가로 모드의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하단에 관련 UI를 표시하여, 즐겨찾기, 운전석 공조 설정, 컨텐츠 음량 설정, 조수석 공조 설정, 풍량 설정에 대한 UI를 표시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an display content in a horizontal or vertical mode. 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in the landscape mode displays related UIs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such as favorites, driver's seat climate control settings, and content. Displays the UI for volume setting, passenger seat air conditioning setting, and air volume setting.

노브가 좌우 슬라이딩 됨에 따라, 선택되는 기능 메뉴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기설정된 방식(예: 포커싱 방식)으로 표출되고, 사용자는 노브와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기능 선택 메뉴 화면이 일체적으로 표출되도록 제어됨에 따라, 기능 메뉴 선택 및 제어 설정에 대한 직관적인 인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As the knob slides left and right, the selected function menu is displayed in a preset manner (eg, focusing method) in the display area, and the user is controlled so that the function selection menu screen on the knob and the display is integrally expressed, so that the function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intuitive perception of menu selection and control setting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로보기 모드에서의 노브 및 UI 화면을 도시한다. 5 illustrates a knob and a UI screen in a portrait view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의 보기 모드가 세로 모드로 설정된 경우, 노브 조작 메뉴 UI를 디스플레이 상단 또는 중앙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view mode of the display is set to the portrait mode, the knob manipulation menu UI is displayed on the top or center area of the display,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s gaze from escaping.

이 때, 디스플레이 및 노브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리치(Reach) 거리가 짧아지고, 콘솔에 팔꿈치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노브 조작이 가능하므로, 노브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t this time, as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and the knob are changed, the reach distance is shortened, and since the knob can be operated with the elbow resting on the console, the convenience of operating the knob is improv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시의 노브 위치 자동 변경을 도시한다. 6 illustrates an automatic change in a knob position when a display is rot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로 모드의 보기 모드인 디스플레이가 회전되어, 세로 모드의 보기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노브의 위치가 자동 변경되는 과정을 도 6에 도시한다. 6 illustrates a process of automatically changing the position of a knob when a display in a landscape mode is rotated and changed to a portrait mode.

가로 모드인 경우에서 제1 영역에 위치한 노브는, 세로 모드로 변경됨에 따라,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 중, 세로 모드의 디스플레이 하단의 영역으로 그 위치가 이동된다. In the case of the landscape mode, the knob located in the first area is mov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in the portrait mode among areas adjacent to the first area as the vertical mode is changed.

또한,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회전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내 표출되는 메뉴 영역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변경 전 보기 모드에서 제1 메뉴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던 노브는 변경 후 보기 모드에서 제1 메뉴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In addition, as it is rotated from landscape mode to portrait mode, conside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enu area displayed in the display, the knob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nu in the view mode before the change is the same as the first menu in the view mode after the change. moved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및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7 illustrates display rotation and knob mov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 하단에는 공조 온도, 주행 안전 모드, 볼륨, 내비, 공조 온도 영역이 배치된다.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the air conditioning temperature, driving safety mode, volume, navigation, and air conditioning temperature areas are arranged.

디스플레이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설정에서 세로 설정으로 회전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내 메뉴 영역을 고려하여 기존에 위치하였던 메뉴 영역의 좌표로 노브를 이동시킨다. As the display is rotated from the horizontal setting to the vertical setting as shown in FIG. 7 , the knob is moved to the coordinates of the previously located menu area considering the menu area in the display.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 이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를 도시한다. 8 illustrates display control according to knob mov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운전석 디스플레이(D1)에는 드라이브 모드, ADAS, 공조, 볼륨 메뉴가 현출되고, 보조석 디스플레이(D2)에는 별도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항목이 없는 상태에서, 노브(200)가 운전석 디스플레이(D1) 하단으로부터 보조석 디스플레이(D2) 하단으로 이동된다. In a state where the drive mode, ADAS, climate control, and volume menus are displayed on the driver's seat display D1 and there are no items separately displayed on the passenger seat display D2, the knob 200 moves from the bottom of the driver's seat display D1 to the passenger seat display ( D2) It moves to the bottom.

노브(200)를 운전석 디스플레이(D1) 하단으로부터 보조석 디스플레이(D2) 하단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조작 가능한 기능에 변화가 생기는데, 예컨대 운전석 디스플레이(D1)에서는 ADAS, 드라이브 모드 등 운전과 직접 연관되는 기능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고, 보조석 디스플레이(D2)에서는 내부 램프, 공조, 볼륨 등 주행과 직접 관련성이 비교적 떨어지는 기능에 대한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제한된다. As the knob 200 is moved from the bottom of the driver's seat display D1 to the bottom of the passenger seat display D2, the operable functions change. For example, on the driver's seat display D1, functions directly related to driving such as ADAS and drive mode. It is possible to operate, and the passenger seat display D2 is limited to functions that are relatively less directly related to driving, such as interior lamps, air conditioning, and volume.

프로세서(130)는 노브(200)의 이동 정보를 고려하여, 운전석 디스플레이(D1) 및 보조석 디스플레이(D2)에 현출되는 기능 제어 탭을 제어한다. The processor 130 controls function control tabs displayed on the driver's seat display D1 and the passenger's seat display D2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knob 200 .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브(200)가 특정 기능 제어 탭 영역의 하단 또는 특정 기능 제어 탭 영역 상부에서 회전 또는 누름 조작됨에 따라, 특정 기능에 대한 설정이 조정된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as the knob 200 is rotated or pressed at the lower end of the specific function control tap area or the upper part of the specific function control tap area, settings for the specific function are adjusted.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UI 변경을 도시한다. 9 illustrates display UI chan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대화면 디스플레이(D)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며, 운전석에서 조수석 방향으로 이동된다. The large screen display 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moves from the driver's seat to the passenger's seat.

대화면 디스플레이(D)가 이동됨에 따라 노브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노브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대화면 디스플레이(D)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As the large screen display D is moved, the position of the knob may be changed, or as the position of the knob is changed, the position of the large screen display D may be changed.

대화면 디스플레이(D)가 이동됨에 따라, 대화면 디스플레이(D)에 표출되는 정보 및 UI가 변경되는데, 예컨대 운전석에는 클러스터와 AVN이, 보조석에는 미니클러스터와 AVN 3 화면이 표출된다. As the large screen display D moves, the information and UI displayed on the large screen display D change. For example, the cluster and AVN are displayed in the driver's seat, and the mini cluster and AVN 3 screen are displayed in the passenger seat.

노브(200)의 이동은 기구적으로 제한된 영역 내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서 발생되거나, 센터페시아로부터 탈부착되는 형태로서, 프로세서(130)는 노브(200)의 공간 상에서의 이동 상태를 고려하여 대화면 디스플레이(D)의 정보 및 UI 현출을 제어한다. The movement of the knob 200 occurs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front passenger's seat within a mechanically limited area, or is detachable from the center fascia, and the processor 130 considers the movement state of the knob 200 in space and displays a large screen. (D) information and UI presentation control.

도 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 탈거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를 도시한다. 10 illustrates display control according to removal of a kno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D) 하단의 콘솔에 위치한 노브(200)가 콘솔 밖으로 탈거됨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노브(200)의 탈거 및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D)를 이동시킨다. 도 10를 참조하면, 노브(200)가 콘솔 밖으로 탈거되며, 운전석에서 보조석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운전석 및 보조석에서 모두 디스플레이(D)를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D)의 위치가 조정된다. As the knob 200 located on the console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D is removed from the console, the processor 130 moves the display D in consideration of the removal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knob 200. Referring to FIG. 10 , as the knob 200 is removed from the console and moved from the driver's seat toward the passenger's sea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D is adjusted so that both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can see the display D.

운전석에서 보조석으로 노브(200)가 이동 시, 보조석으로 이동된 디스플레이(D)에는 승객 관련 개인화 화면이 표시되고, 주행 관련 화면은 운전석 전방 윈드쉴드에서 HUD 등으로 표시된다. When the knob 200 moves from the driver's seat to the passenger's seat, a passenger-related personalized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 moved to the passenger's seat, and the driving-related screen is displayed as a HUD on the windshiel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보조석에서 운전석으로 노브(200)가 이동 시, 주행 관련 화면이 운전석으로 이동된 디스플레이(D)에 표시되고, 보조석의 승객 관련 개인화 화면은 보조석 전방 윈드쉴드에 표시된다. 이 때, 보조석 전방 윌드쉴드에 정보를 표출함으로써 운전 방해가 유발되는 경우, 보조석의 승객 관련 개인화 화면의 표출이 오프(off)된다. When the knob 200 moves from the passenger seat to the driver's seat, a driving-related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 moved to the driver's seat, and a passenger-related personalized screen of the passenger seat is displayed on the windshield in front of the passenger seat. At this time, if driving disturbance is caused by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front side shield of the passenger seat, the display of the passenger-related personalized screen in the passenger seat is turned off.

도 1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 탈거에 따른 디스플레이(D) 틸팅을 도시한다. 11 illustrates tilting of the display D according to the removal of the kno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D) 하단의 콘솔에 위치한 노브(200)가 콘솔로부터 탈거됨에 따라, 디스플레이(D)는 노브(200)의 위치를 고려하여 틸팅된다. As the knob 200 located on the console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D is removed from the console, the display D is tilt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knob 200.

후석 탑승자가 노브(200, 조작계)를 가져간 경우, 디스플레이(D)를 틸팅시켜 후석의 노브를 가지고 있는 탑승자의 자리에서 디스플레이(D)의 화면을 잘 볼 수 있도록 한다. When a rear seat occupant takes the knob 200 (control system), the display D is tilted so that the rear seat occupant holding the knob can see the screen of the display D well.

차량 내 노브의 위치와 관련하여, UWB(ultra wide band) 기술을 통해 그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Regarding the position of the knob in the vehicle, the position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ultra wide band (UWB) technology.

LBS(Local Based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해, GPS,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정밀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반면, UWB(6~8GHz, 500MHz 이상의 대역폭)는 넓은 주파수 대역, 저전력 통신, 수십 센티미터 내외의 높은 정확도로 측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order to provide LBS (Local Based Service), technologies such as GPS, Wi-Fi, and Bluetooth are being used, which have difficulties in precise measurement, while UWB (6-8 GHz, bandwidth of 500 MHz or more) has a wide frequency band and low power consumption. It has advantages such as communication and positioning with high accuracy within several tens of centimeters.

종래 기술에 따른 GPS와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 추적 기술은 각각 5 내지 50m, 50 내지 200m의 오차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GPS의 경우 도심 빌딩 숲에서는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가 도달하는데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다. GPS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based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e error ranges of 5 to 50 m and 50 to 200 m, respectively. In the case of GPS, signals from satellites may fail to reach in the forest of buildings in the city.

와이파이의 경우 저비용으로 위치 추적이 가능하지만, 사용 주파수 대역이 좁으므로 위치 추적 대상이 많아질 경우 채널 분할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동성을 가진 단말은 고정된 와이파이 AP(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In the case of Wi-Fi, location tracking is possible at low cost, but since the frequency band used is narrow, channel division may be limited when there are many location tracking targets. In addition, a mobile terminal may be disconnected from a fixed Wi-Fi access point (AP).

블루투스는 다수의 센서를 저렴한 비용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통신 레이턴시(latency)가 크기 때문에 동적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위치를 추적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Although it is possible to deploy a large number of sensors at low cost, Bluetooth is not suitable for real-time location tracking in a dynamic environment due to high communication latency.

UWB는 와이파이, 블루투스와는 다르게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낮은 전력으로 높은 전송 속도를 통해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Unlike Wi-Fi and Bluetooth, UWB uses a wide frequency band, and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t a high transmission rate with low power.

UWB 기술을 이용한 측위는 20센티미터 내외의 낮은 오차율을 보이며, 장애물에 대한 투과율이 높고, 와이파이 등의 다른 신호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Positioning using UWB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showing a low error rate of around 20 cm, high transmittance to obstacles, and not being affected by other signals such as Wi-Fi.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영역으로의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12 illustrates movement of a knob to a touch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VN/클러스터 등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에 따라, 터치가 입력된 영역으로 노브가 자동 이동되고, 노브를 이용하여 해당 영역에서 기능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isplay such as an AVN/cluster is touched, a knob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area where the touch is input, and function control is performed in the corresponding area using the knob, thereby improving usability. It increases.

도 12의 (a)를 참조하면, AVN에서 노브는 “재생 음량”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누름 동작을 통해 음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a) of FIG. 12 , in the AVN, the knob is located below “playback volume”,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volume through a rotation/press operation.

도 12의 (a)에서 사용자가 AVN에서 공조 온도를 터치함에 따라, 노브는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온도의 영역 밑으로 자동 이동된다. As the user touches the air conditioning temperature in the AVN in (a) of FIG. 12 , the knob is automatically moved below the air conditioning temperature range as shown in (b) of FIG. 12 .

사용자는 공조 온도의 영역 밑으로 이동된 노브를 조작하여, 공조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user may set the air conditioning temperature by manipulating the knob moved below the air conditioning temperature range.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 위에 노브가 있는 경우, 터치보다 노브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 터치 입력을 고려하여 노브를 이동시킨다. As shown in (c) of FIG. 12 , when there is a knob on the display area and the knob can be operated more easily than a touch, the knob is mov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touch input.

예컨대, 노브가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량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AVN의 공조 온도 설정 영역을 터치한 경우, 온도 설정은 터치보다 노브로 더욱 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복수의 버튼 누름보다 회전 동작을 통한 온도 설정이 보다 편리함),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브가 공조 온도 설정 영역 위로 이동되고, 노브 조작을 통해 설정 온도가 세팅된다. For example, when the knob performs a volume control function as shown in (c) of FIG. 12 and the user touches the air conditioning temperature setting area of the AVN, the temperature setting can be more easily manipulated with the knob than with the touch. (It is more convenient to set the temperature through a rotational operation rather than pressing a plurality of buttons). As shown in FIG.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에서 터치 영역으로의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13 illustrates movement of a knob to a touch area on a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 위에 노브가 있는 경우, 노브는 재생 음량 위에 위치하며, 노브의 조작을 통해 음량의 크고 작음이 제어된다. As shown in (a) of FIG. 13 , when there is a knob on the display area, the knob is located above the playback volume, and the volume is controlled to be high or low through manipulation of the knob.

이 때,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공조 온도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노브를 터치 영역인 공조 온도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노브는 공조 온도 영역 위에서 로터리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공조 장치를 통한 설정 온도가 세팅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 13, when a touch input for the air conditioning temperature area is received within the display screen, the processor 130 moves the knob to the air conditioning temperature area, which is the touch area, and the knob controls the air conditioning temperature. As the rotary operation is performed over the temperature region, the set temperature is set through the air conditioner.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터치 영역으로의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14 illustrates movement of a knob to a touch area within a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 화면은 차량 내 좌석 배치 이미지 및 각 좌석으로 제공되는 기능 메뉴를 표출한다. The display screen displays an image of seat arrangement in the vehicle and a function menu provided for each seat.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기능 수행이 가능한 영역에 대해 터치가 입력되면(예: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공조 장치 영역), 터치 신호가 입력된 영역으로 노브가 이동된다. When a touch is input to an area within the display screen where a function can be performed (eg, a driver's seat air conditioner area as shown in FIG. 14 ), the knob is moved to the area where the touch signal is input.

즉, 공조 영역에 대한 화면이 터치되는 경우, 해당 화면으로 노브가 이동되어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화면에서 온도 설정 영역이 터치됨에 따라, 노브가 온도 설정 영역 위로 이동하여, 노브 조작에 따라 설정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screen for the air-conditioning area is touched, the knob is moved to the corresponding screen to adjust the air volume, and as the temperature setting area is touched on the corresponding screen, the knob moves over the temperature setting area, according to the knob operation. Allows you to adjust the set temperature.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 플레이어 제어를 도시한다. 15 illustrates playback player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재생 플레이어에서 곡 화면 및 재생 바가 구분되며, 프로세서(130)는 터치 신호 입력 별로 노브의 이동을 제어하고, 각 기능에 적합한 하위 기능을 노브의 동작을 고려하여 제어한다(연속적인 제어가 필요한 기능 제어). In the playback player, the song screen and the playback bar are divided, and 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knob for each touch signal input, and controls the sub-function appropriate for each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knob (function control requiring continuous control). ).

즉, 화면 터치에 따라 노브가 이동되면, 곡 내부 이동에 대한 노브 회전에 따라 회전된 곡이 재생되고, 재생 바 피드백 화면 확인을 위해 재생 바를 터치하더라도 좌측에 노브 버튼이 배치된다. That is, when the knob is moved according to the screen touch, the rotated song is play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knob for internal movement of the song, and the knob button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even if the play bar is touched to check the playback bar feedback screen.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화면 제어를 도시한다. 16 illustrates a navigation screen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비게이션의 화면을 터치하면, 줌 인/아웃은 화면의 피드백 확인을 위해, 화면 옆에 배치된다. 이 때, 노브의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 제어에 따라 줌인 또는 줌 아웃이 실행된다. If you touch the navigation screen, zoom in/out is arranged next to the screen to check the feedback of the screen. At this time, zoom-in or zoom-out is performed according to clockwise/counterclockwise control of the knob.

도 16에서 경로 안내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로터리 버튼(노브) 이동 시, 관련 화면을 우측에 표시한다. 16, when a rotary button (knob) is moved when a route guidance area is touched, a related screen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로터리 버튼(노브)를 회전시키면, 다음 경로를 표시하고, 경로 관련 도로 정보를 표시한다. When the rotary button (knob) is rotated, the next route is displayed and road information related to the route is displayed.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 배치를 도시한다. 17 shows a knob arrang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단 디스플레이에는 온도 정보, 현재 재생 음악 정보, 현재 시각 정보가 표출되고, 하단 디스플레이에는 메뉴, 미디어, 배터리 정보 등이 표시되고, 노브는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되어, ASCC, 음량, 운전석 온도 설정, 풍량, 조수석 온도 설정 영역 내에서 이동되며, 각 영역에서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The upper display shows temperature information, currently playing music information,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while the lower display displays menu, media, and battery information. It moves within the passenger seat temperature setting area, and controls the corresponding function in each area.

이 때, 설정 영역의 메뉴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기사용 히스토리에 따라 주로 운용되는 기능에 해당하는 메뉴가 표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enu of the setting area may display a menu corresponding to a function mainly operated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or an article history.

또한, 운전자의 운전 상태 및 주변 환경 상태를 고려하여, 추천 기능에 해당하는 메뉴가 표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a menu corresponding to a recommended function may be displayed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state of the driver and the stat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공조기 제어를 도시한다. 18 illustrates air conditioner control using a knob disposed below a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온도 설정 영역 하부에 배치된 노브는 기본 화면으로서 현재 시각 정보를 노브의 외부 면을 통해 표출한다. The knob disposed below the temperature setting area is a basic screen and displays current time information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knob.

노브가 회전됨에 따라, 노브의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온도 설정 영역에 대한 기능 제어가 수행되어, 공조를 활성화시키고 노브 회전 방향에 따라 설정 온도가 조절된다. As the knob is rotated, function control for the temperature setting area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knob, activating air conditioning and adjusting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knob rotation direction.

노브가 디스플레이 하단에서 풍량 제어 영역으로 이동되고, 조수석 온도 설정으로 이동됨에 따라, 기설정된 노브 조작에 따른 기능 제어가 수행된다. As the knob is moved from the bottom of the display to the air volume control area and to the passenger seat temperature setting, function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preset knob operation.

이 때, 노브가 이동됨에 따라 각 기능 제어가 활성화되는 것이 가능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기능 제어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노브가 해당 영역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자동 이동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ctivate each function control as the knob is moved, and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move the knob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area according to a touch input for each function control area.

공조 관련 터치 버튼 탭(tap) 시 공조 팝업이 호출되며, 팝업 화면에서는 각 시트의 영역 별 현재 온도 및 설정 온도 정보가 표시된다. When an air conditioning-related touch button is tapped, an air conditioning pop-up is called, and the current temperature and set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sheet area are displayed on the pop-up screen.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하고자 하는 영역(예: 운전자 후석)에 대한 터치를 통해 영역이 선택되고, 노브 조작을 통해 선택된 영역에 대한 설정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n area to be set (eg, a driver's back seat) is selected through a touch,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et temperature of the selected area through knob manipulation.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볼륨 제어를 도시한다. 19 illustrates volume control using a knob disposed below a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운전석 온도 설정 영역 하부에 배치된 노브는 현재 시각 정보를 표출한다. The knob placed below the driver's seat temperature setting area displays current time information.

노브가 운전석 온도 설정 영역 하부로부터 볼륨 제어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미디어 재생 중이면 미디어 볼륨 정보가 표출되고, 미디어 재생 중이나 기능이 없을 경우 위젯을 표시하고, 미디어가 재생되고 있지 않을 경우 시스템 볼륨을 조절한다. When the knob is moved from the bottom of the driver's seat temperature setting area to the bottom of the volume control, media volume information is displayed when media is playing, widgets are displayed when media is playing but there is no function, and system volume is adjusted when media is not playing. do.

도 2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ASCC 제어를 도시한다. 20 illustrates ASCC control using a knob disposed at the bottom of a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운전석 온도 설정 영역 하부에 배치된 노브는 기본 화면으로 현재 시각 정보를 표출한다. The knob placed below the driver's seat temperature setting area displays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on the basic screen.

노브가 ASCC 영역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ASCC 기능 제어가 활성화되며, 노브에는 현재 ASCC 설정 속도 정보가 표시된다. As the knob is moved to the bottom of the ASCC area, the ASCC function control is activated, and the current ASCC setting spe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knob.

사용자가 노브를 회전시킴에 따라, ASCC의 설정 속도 정보가 표출된다. As the user rotates the knob, ASCC setting speed information is displayed.

노브를 누르고(press) 회전 시키는 동작(rotate) 후 기설정된 시간(예: 수 초)동안 노브 누름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ASCC 세팅이 변경된다. When a knob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eg, several seconds) after pressing and rotating the knob, the ASCC setting is changed.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사용자 지정 기능을 도시한다. 21 illustrates a user designation function using a knob disposed at the bottom of a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운전석 온도 설정 영역 하부에 배치된 노브는 기본 화면으로 현재 시각 정보를 표출한다. The knob placed below the driver's seat temperature setting area displays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on the basic screen.

노브가 즐겨찾기 영역 하부로 이동되면,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많이 재생시킨) 메뉴를 표출하고, 노브가 회전됨에 따라 메뉴 선택이 수행된다. When the knob is moved to the bottom of the favorites area, the user's preferred (played a lot) menu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menu selection is performed as the knob is rotated.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예: 뮤직)에 대해 노브 누름에 따른 선택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메뉴(예: 뮤직)은 디스플레이 메인 화면에 표출된다. When a selection is made by pressing the knob for a menu (eg, music) to be selected, the selected menu (eg, music)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of the display.

도 2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조작을 도시한다. 22 illustrates display manipulation using a kno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정 영역(예: 암 래스트)에 노브를 두는 경우, 사용자가 노브를 마우스처럼 조작함으로써, 멀티 디스플레이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진다. When a knob is placed in a specific area (eg, an arm rest), a user manipulates the knob like a mouse to operate multiple displays.

노브가 운전석 온도 설정 영역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가(기본 화면은 현재 시각 정보를 표출함), 탈착되어 콘솔에 장착되면, 화면과 동일한 비례의 마우스 패드 영역이 생성된다. The knob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river's seat temperature setting area (the basic screen displays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when detached and mounted on the console, a mouse pad area with the same proportion as the screen is created.

사용자는 노브를 마우스처럼 사용하여, 특정 기능 위에 커서가 올라가는 경우, 해당 기능에서 노브로 조작 가능한 아이콘(예: 음량)으로 커서가 변경된다. The user uses the knob like a mouse, and when the cursor is placed on a specific function, the cursor is changed to an icon (eg, volume) that can be operated with the knob in the corresponding function.

특정 기능에 위치하여 노브가 회전되는 경우, 해당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내비게이션의 경우 지도 확대/축소를, 미디어 볼륨의 경우 음량 업/다운을 제어한다. When the knob is rotated at a specific functi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erformed. For example, in case of navigation, map enlargement/reduction is controlled, and in case of media volume, volume up/down is controlled.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윈도우 전환을 도시한다. 23 illustrates window conversion using a kno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콘솔 상부에 배치된 노브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간 기능(윈도우) 전환 및 조절이 가능하다. Using the knob placed on the top of the console, it is possible to switch and adjust functions (windows) between displays.

노브는 콘솔 영역 내에서 마우스의 기능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Knobs control the display like the function of a mouse within the console area.

콘솔 위 노브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중 미디어를 내비게이션이 표출되는 영역으로 드래그 시키면, “미디어” 영역과 “내비게이션” 영역이 교체된다. 이를 통해, 윈도우 전환 기능이 수행된다. By using the knob on the console, dragging media to the area where navig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e “media” area and the “navigation” area are replaced. Through this, the window conversion function is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a) 노브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노브의 위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내 컨텐츠 표출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using a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eck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knob and (b) changing the display of content in a display according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knob.

노브는 크래쉬패드 또는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에 배치되고, (a) 단계는 노브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위치의 변화를 확인하고, (b) 단계는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출되는 기능 중 선택되는 기능을 결정한다. The knob is placed on the crash pad or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step (a) checks the change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knob, and step (b) is a function selected from among the functions displayed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change in position. decide

(b) 단계는 노브가 회전됨에 따라 선택된 기능에 대한 하위 기능 또는 제어 화면을 표시한다. Step (b) displays a sub-function or control screen for the selected function as the knob rotates.

(b) 단계는 상기 노브가 회전됨에 따라, 선택된 3D 객체를 회전시키는 화면을 표시한다. Step (b) displays a screen for rotating the selected 3D object as the knob is rota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a) 디스플레이의 가로, 세로 보기 모드 설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디스플레이의 보기 모드 변환에 따라 노브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a kno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checking horizontal and vertical view mode setting information of a display and (b) moving the position of the knob according to the display mode conversion. include

(b) 단계는 디스플레이의 보기 모드 변환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며 노브의 이동에 의해 선택되는 기능 메뉴의 표출 영역을 결정한다. Step (b) determines the display area of the function menu tha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is selected by moving the knob according to the view mode change of the display.

(b) 단계는 디스플레이가 가로 보기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의 하부 영역에 상기 기능 메뉴를 표출시키고, 디스플레이가 세로 보기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 내부의 기설정 중앙 영역에 기능 메뉴를 표출시킨다. In step (b), the function menu is displayed on a lower area of the display when the display is in a horizontal view mode, and the function menu is displayed on a preset center area inside the display when the display is in a vertical view mode.

(b) 단계는 보기 모드의 변환 전 노브의 위치가 제1 기능 메뉴에 대한 선택 위치인 경우, 보기 모드의 변환 후의 상기 노브의 이동 범위를 고려하여, 보기 모드의 변환 후, 노브의 위치를 제1 기능 메뉴를 선택하는 위치로 결정한다. In the step (b), when the position of the knob before the conversion of the view mode is the selected position for the first function menu, the position of the knob after the conversion of the view mod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range of the knob after the conversion of the view mode. 1 Decide where to select the function menu.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사용자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 버스와, 사용자 출력 장치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Meanwhile,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using a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system or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A computer system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 memory, a user input device, a data communication bus, a user output device, and a storage. Each of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communicates data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bus.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 및/또는 저장소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The comput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network interface coupled to the network. The processor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processes instructions stored in memory and/or storage.

메모리 및 저장소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는 ROM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and storage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memory may include ROM and RAM.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using a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method executable on a computer. Whe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using a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a computer devic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may execute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e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media in which data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For example, there may b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ed and executed as readable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Claims (8)

디스플레이의 가로, 세로 보기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로, 세로 보기 모드에 따라 노브의 위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보기 모드 변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단 영역으로 상기 노브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an input unit receiving horizontal and vertical viewing mode setting information of the display;
a memory stor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knob according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ewing modes of the display; and
Including a processor that executes the program,
The processor moves the position of the knob to a lower area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display mode conversion.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 knob,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가로, 세로 보기 모드의 변환에 따라 상기 노브에 의해 선택 가능한 기능 메뉴가 표출되는 영역을 결정하는 것
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determines an area in which the function menu selectable by the knob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convers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ew modes.
A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n in-knob.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로 보기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영역에 상기 기능 메뉴를 표출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세로 보기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내부의 기설정 중앙 영역에 상기 기능 메뉴를 표출시키는 것
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processor displays the function menu on a lower area of the display when the display is in a horizontal view mode, and displays the function menu on a preset central area inside the display when the display is in a vertical view mode.
A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n in-kno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보기 모드의 변환 전 상기 노브의 위치가 제1 기능 메뉴에 대한 선택 위치인 경우, 상기 보기 모드의 변환 후의 상기 노브의 이동 범위를 고려하여, 상기 보기 모드의 변환 후, 상기 노브의 위치를 상기 제1 기능 메뉴를 선택하는 위치로 결정하는 것
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osition of the knob before conversion of the view mode is a selection position for the first function menu, the processor considers the movement range of the knob after conversion of the view mode, and the position of the knob after conversion of the view mode. Determining as a position to select the first function menu
A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an in-knob.
(a) 디스플레이의 가로, 세로 보기 모드 설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디스플레이의 보기 모드 변환에 따라 상기 노브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 checking horizontal and vertical view mode setting information of the display; and
(b) moving the position of the knob according to the display mode change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a knob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보기 모드 변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며 상기 노브의 이동에 의해 선택되는 기능 메뉴의 표출 영역을 결정하는 것
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step (b) is to determine the display area of the function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selected by the movement of the knob according to the view mode conversion of the display.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an in-knob.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로 보기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영역에 상기 기능 메뉴를 표출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세로 보기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내부의 기설정 중앙 영역에 상기 기능 메뉴를 표출시키는 것
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6,
In the step (b), when the display is in a horizontal view mode, the function menu is displayed on a lower area of the display, and when the display is in a vertical view mode, the function menu is displayed on a preset central area inside the display. to express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an in-knob.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보기 모드의 변환 전 상기 노브의 위치가 제1 기능 메뉴에 대한 선택 위치인 경우, 상기 보기 모드의 변환 후의 상기 노브의 이동 범위를 고려하여, 상기 보기 모드의 변환 후, 상기 노브의 위치를 상기 제1 기능 메뉴를 선택하는 위치로 결정하는 것
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5,
In the step (b), when the position of the knob before the conversion of the view mode is a position for selecting the first function menu, the movement range of the knob after the conversion of the view mode is considered, and after the conversion of the view mode, the position of the knob is selected. Determining a position of a knob as a position for selecting the first function menu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an in-knob.
KR1020210089840A 2021-07-08 2021-07-08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KR2023000916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840A KR20230009161A (en) 2021-07-08 2021-07-08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US17/858,314 US20230009427A1 (en) 2021-07-08 2022-07-06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840A KR20230009161A (en) 2021-07-08 2021-07-08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161A true KR20230009161A (en) 2023-01-17

Family

ID=8511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840A KR20230009161A (en) 2021-07-08 2021-07-08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916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1412B2 (en)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US6539289B2 (en) On-vehicle display apparatus
US71163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faces designed for rotary input devices
US10618406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WO2009128148A1 (en) Remote control device
JP61149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gaze tracking
JP2013159273A (en) In-vehicle operation device
KR101664037B1 (en) Control panel for vehicle
JPH10214543A (en) System switch
US20180107320A1 (en) Center fasci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904467B2 (en) Display device
JP2016097928A (en) Vehicular display control unit
US20130201126A1 (en) Input device
KR20230009161A (en)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KR20230009160A (en)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US20230009427A1 (en)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s
JP2018010472A (en) In-vehicle electronic equipment operation device and in-vehicle electronic equipment operation method
US20150134200A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specific task of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620006B2 (en)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KR20220005947A (en)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EP3361367A1 (en) In-vehicle input device, in-vehicle input system, and in-vehicle input device control method
KR20220005946A (en)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JP4282055B2 (en) Centralized controller
JP5935671B2 (en) Vehicle input device
JP5998885B2 (en) Vehicle input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