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155A - Sunshade apparatus for vehicle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Sunshade apparatus for vehicle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155A
KR20230009155A KR1020210089834A KR20210089834A KR20230009155A KR 20230009155 A KR20230009155 A KR 20230009155A KR 1020210089834 A KR1020210089834 A KR 1020210089834A KR 20210089834 A KR20210089834 A KR 20210089834A KR 20230009155 A KR20230009155 A KR 20230009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 door
visor
controlling
sh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8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두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9155A/en
Publication of KR20230009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1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9Remote starting of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unshade apparatus for a vehicle door. The sunshade apparatus for a vehicle do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n prevent a rise in inner temperature of a vehicle. The sunshade apparatus for a vehicle door includes: an outdoor temperature sensor measuring outdoor temperature by being mounted on the vehicle; at least a photo sensor sensing direct light; an awning member shading window of each vehicle doo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awning member based on a sensing result of the direct light and the outdoor temperature. The awning member includes: a first awning unit formed of a light reflection member and shading the window of each vehicle door; and a second awning unit discharged through the same outlet as that of the first awning unit and comprising a curtain screen formed of a mesh materia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wning unit and the second awning unit based on whether the vehicle is in a parking mode or a driving mode.

Description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SUNSHADE APPARATUS FOR VEHICLE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Sunshade device for vehicle door and its control method {SUNSHADE APPARATUS FOR VEHICLE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양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nshade film according to the prior art.

차량의 도어에는 기본적으로 탑승자의 측면 시야를 제공하는 창문이 제공된다. 하지만, 햇빛이 강하고 무더운 여름철과 같이 햇빛이 창문을 통해 탑승자에게 바로 내리쬐는 경우 차량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햇빛으로 인한 시야 확보가 불가능하다. The vehicle's doors are basically provided with windows that provide a side view of the occupants. However, when the sunlight directly hits the occupants through the window, such as in the hot summer with strong sunlight,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rises and it is impossible to secure the view due to the sunlight.

이를 위해 기존에는 창문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차양막을 흡착 소재를 통해 창문에 부착하여 햇빛을 가림으로써 어느 정도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은 일일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차양막을 창문에 탈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또는 운전석 전면 유리의 경우 별도의 차양막이 구비되지 않아 덮개 등을 통해 전면 유리를 직접 덮어 햇빛을 차단하기도 하였다.To this end, in the past, it was possible to prevent direct sunlight from falling to some extent by attaching a sunshad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ndow to the window through an adsorption material to block sunlight. 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was a hassle in that the driver or occupant had to attach and detach the sunshade to the window one by one.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the front glass of the driver's seat, a separate sunshade is not provided, so the windshield is directly covered with a cover or the like to block sunlight.

일부 차량에는 출고시부터 후방 윈도우나 측면 윈도우에 차양막 커튼을 구비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이 경우에도 차양막을 상황에 따라 제어하는 로직은 부재한 실정이다.Some vehicles have been provided with sunshade curtains on rear windows or side windows from the time of shipment, but even in this case, there is no logic for controlling the sunshade according to the situation.

공개특허공보 제20-2008-0002253호 (2008.07.01)Publication No. 20-2008-0002253 (2008.07.0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주차모드 및 운전모드 여부를 확인하여, 빛 반사 소재로 구성된 차양부재와 망사소재로 구성된 차양부재를 각각 자동 제어하여 차량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by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parking mode and a driving mode,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wning member composed of a light reflective material and the awning member composed of a mesh material, respectively. A shading device for a do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다른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problem, and other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어 외기온을 측정하는 외기온 센서, 직사광선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토 센서, 각 차량 도어의 유리창을 가리는 차양부재 및 상기 외기온과 직사광선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양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양부재는 각 차량 도어의 유리창을 가리며 빛 반사 소재로 구성된 제1 차양부와, 상기 제1 차양부와 동일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며 메쉬 소재의 커튼 가림막으로 구성된 제2 차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 및 운전 모드 중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차양부를 제어한다.A sunshade device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n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mounted on a vehicle to measure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t least one photo sensor for detecting direct sunlight, and a sunshade for covering the windows of each vehicle doo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shading member based on a result of detecting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direct sunlight. At this time, the shading member includes a first shading portion made of a light reflective material covering the glass windows of each vehicle door, and a second shading portion made of a curtain screen made of a mesh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same discharge port as the first shading portion,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shading units based on whether the vehicle corresponds to a parking mode or a driving mod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 상태 및 기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외기온 센서 및 포토 센서에 의해 각 감지된 외기온 및 포토 센서 감도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차양부가 상기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perates in the parking mode based on the starting state and gear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photo sensor sensitivity results detected by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and the photo sensor are set to a preset threshold value. If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first visor portion may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 모드로 동작 중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하차 여부 및 차량 도어의 잠금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운전자가 하차한 후 차량의 도어를 잠금 제어하는 상태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차양부가 상기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cts whether the driver of the vehicle gets off and whether the vehicle door is locked while operating in the parking mode, and locks and controls the vehicle door after the driver gets out of the vehicle. Whe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satisfied, the first visor portion may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차양부의 토출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스마트키 또는 차량 도어에 구비된 열림 제어 버튼을 수신하거나, 차량에 구비된 제1 차양부에 상응하는 제어 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토출된 제1 차양부를 토출구로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an open control button provided on a smart key or a vehicle door of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of the first visor is completed, or corresponds to the first visor provided on the vehicle. When an input of the control button is received, the discharged first visor portion may be controlled to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 모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를 통한 원격 시동 제어 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운전자에 의해 차량의 도어가 열림 제어되기 전까지 상기 제1 차양부의 상태를 유지 제어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when receiving an input of a remote start control button through the smart key in the parking mode state, controls the state of the first visor until the door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by the driver to open. maintenance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 상태 및 기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외기온 센서 및 포토 센서에 의해 각 감지된 외기온 및 포토 센서 감도 결과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차양부가 상기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차양부는 토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perates in the driving mode based on the starting state and the gear state of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and the photo sensor sensitivity result detected by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and the photo sensor is determined in advance. When a set threshold or higher is satisfied, the second shading portion may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but the first shading portion may be controlled not to be discharged.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각 차량 도어에는 상기 제2 차양부의 토출 여부를 개별 제어하는 제어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차양부의 각 제어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수신한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위치에서의 제2 차양부의 토출 또는 삽입을 제어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vehicle door is provided with a control button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second shading unit is discharged, and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n input of at least one of the control buttons of the second awning uni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charge or insertion of the second vis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button.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온 및 포토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 차량 도어에 상응하는 제1 차양부 또는 제2 차양부의 토출 또는 삽입을 각각 상이하도록 부분 제어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partially control discharge or insertion of the first or second awning unit corresponding to each vehicle door differently based o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hoto sensor.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에 장착된 외기온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포토 센서를 통해 외기온 및 직사광선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 및 운전 모드 중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외기온과 직사광선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모드 또는 운전 모드에 각각 상응하도록 각 차량 도어의 유리창을 가리는 차양부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양부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 경우 각 차량 도어의 유리창을 가리며 빛 반사 소재로 구성된 제1 차양부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운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차양부와 동일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며 메쉬 소재의 커튼 가림막으로 구성된 제2 차양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door aw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nsing outside temperature and direct sunlight through an outside temperature sensor and at least one photo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corresponds to a parking mode or a driving mode; and controlling a shading member covering a window of each vehicle door to correspond to the parking mode or the driving mode, respectively,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direct sunlight. In this case, the controlling of the awning member may include: controlling a first shading portion made of a light reflecting material while covering a window of each vehicle door when the vehicle is in a parking mode; and controlling a second shading portion discharged through the same discharge port as the shading portion and composed of a curtain shield made of a mesh material.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기온 센서 및 포토 센서에 의해 각 감지된 외기온 및 포토 센서 감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외기온 및 감도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차양부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ing of the first shading part may include receiving a sensitivity result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the photo sensor sensed by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and the photo sensor;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outdoor temperature and sensitivity results satisfy a preset threshold value or more; and controlling the first visor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when a threshold value or more is satisfi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모드로 동작 중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하차 여부 및 차량 도어의 잠금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단 결과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차양부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하차한 후 차량의 도어를 잠금 제어하는 상태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차양부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irst shading unit further includes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of the vehicle gets out of the vehicle and whether or not the vehicle door is locked while operating in the parking mode, wherei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critical.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irst visor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when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satisfied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door is locked and controlled after the driver gets off the vehicle. The visor can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양부의 토출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스마트키의 차량 도어 열림 제어 버튼을 수신하거나, 차량에 구비된 제1 차양부에 상응하는 제어 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토출된 제1 차양부를 토출구로 삽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irst awning unit may include receiving a vehicle door open control button of a smart key of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of the first awning unit is completed, or a first awning provided in the vehic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he discharged first visor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when an input of a control butt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s received.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양부를 토출구로 삽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모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를 통한 원격 시동 제어 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운전자에 의해 차량의 도어가 열림 제어되기 전까지 상기 제1 차양부의 상태를 유지 제어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irst visor to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may include, when receiving an input of a remote start control button through the smart key in the parking mode state, the driver opens the door of the vehicle. Until opening is controlled, the state of the first shading part may be maintained and controlled.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차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기온 센서 및 포토 센서에 의해 각 감지된 외기온 및 포토 센서 감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외기온 및 감도 결과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차양부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차양부는 토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ing of the second shading part may include receiving a sensitivity result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the photo sensor sensed by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and the photo sensor;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received outdoor temperature and sensitivity results satisfies a preset threshold or higher; and controlling the second shading portion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but controlling the first shading portion not to be discharged when a threshold value or more is satisfi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차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각 차량 도어에 구비된 제2 차양부의 토출 여부를 개별 제어하는 제어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버튼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응하는 위치에서의 제2 차양부의 토출 또는 삽입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ing of the second shading unit may include receiving an input of at least one of control buttons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whether or not to discharge the second shading unit provided on each vehicle door; and controlling ejection or insertion of the second visor at a corresponding position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ontrol button inpu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다.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combined with a computer that is hardware to execute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door awning device, and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직사광선이 차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때 직사광선을 가려줌으로써 차량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내 제품들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direct sunlight directly affects the vehicl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vehicle can be lowered by shading the direct sunlight,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indoor products.

또한, 주차 상태에서 자동으로 실내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운전자 및 탑승자들이 차량에 탑승할 때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door temperature from automatically rising in a parked stat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iscomfort of the driver and passengers when getting into the vehicle can be elimina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양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주차 모드에서의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운전 모드에서의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nshade film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of a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ad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in a parking mode.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door shading device in a driving mod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vehicle door sha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부재(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hading device 100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ding membe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100)는 외기온 센서(110), 포토 센서(120), 차양부 재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The shading device 100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side temperature sensor 110, a photosensor 120, a shading member, and a control unit 140.

외기온 센서(110)는 차량에 장착되어 외기온을 측정한다.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110 is mounted on the vehicle to measure the outside air temperature.

포토 센서(120)는 차량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 직사광선을 감지하고 그 결과를 포토 센서(120) 감도로 제공한다.At least one photo sensor 120 is provided in the vehicle to detect direct sunlight and provide the result as sensitivity of the photo sensor 120 .

차양부재(130)는 각 차량 도어의 유리창을 가리는 것으로, 제1 차양부(131)와 제2 차양부(132)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차양부재(130)가 각 차량 도어의 유리창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차양부재(130)는 각 차량의 도어에 구비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면 및 후면 유리에도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운전 모드 상태일 경우 전면 유리에는 차양부재(130)가 토출되지 않아야 한다.The shading member 130 covers the glass windows of each vehicle door and is composed of a first shading portion 131 and a second shading portion 132 . At this tim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hading member 130 is provided on the glass window of each vehicle doo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the visor member 130 may be provided not only on the door of each vehicle, but also on the front and rear windows. However, in the driving mode state, the shading member 130 should not be discharged to the windshield.

구체적으로 제1 차양부(131)는 각 차량 도어의 유리창을 가리며 빛 반사 소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차양부(132)는 제1 차양부(131)와 동일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며 메쉬 소재의 커튼 가림막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차양부(131, 1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토출구를 통해 토출 및 삽입되며, 서로 연결 구조로 구성되어 기본적으로 주차 모드 및 운전 모드에 따라 어느 하나만이 토출된다.Specifically, the first visor 131 covers the glass windows of each vehicle door and is made of a light reflecting material. And the second visor 132 is discharged through the same discharge port as the first visor 131 and is composed of a curtain shield made of a mesh material. As shown 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visor portions 131 and 132 are discharged and inserted through the same discharge port, and are configured in a interconnection structure, so that only one is discharged according to the parking mode and the driving mode. .

한편, 차양부재(130)의 설치 위치는 차량의 상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각 차량 도어의 창문의 상단, 하단, 측면 등 그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창문이 개폐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갖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wning member 130 may be various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That is, the location of the window of each vehicle door, such as the top, bottom, side, et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installed to have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ow is opened and closed.

제어부(140)는 공조 제어기 또는 센서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제어기일 수 있으며, 외기온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외기온과 포토 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직사광선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차양부재(130)를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모드가 주차 모드인지 아니면 운전 모드인지에 따라 제어부(140)가 제1 차양부(131)와 제2 차양부(132)를 각각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140 may be an air conditioning controller or a controller capable of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and the shading member is detected based on the outsid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outside temperature sensor 110 and the direct sunlight measured by the photo sensor 120. Control (130). At this tim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140 automatically controls the first shading portion 131 and the second shading portion 132, respectively, depending on whether the vehicle mode is the parking mode or the driving mode. do.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및 제2 차양부(131, 132)를 제어하는 제어 버튼이 차량에 구비될 수 있으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제어 버튼의 입력이 있을 경우 제어부(140)의 제어에 우선하여 제어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button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visor portions 131 and 132 may be provided in a vehicle, and when a driver or passenger inputs a control button, the controller 140 Control can be prioritized over control.

일 실시예로, 제어부(140)는 외기온 및 포토 센서(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 차량 도어에 상응하는 제1 차양부(131) 또는 제2 차양부(132)의 토출 또는 삽입을 각각 상이하도록 부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1 차량 도어에 위치하는 차양부재(130)는 토출되도록 제어하고, 제2 차량 도어에 위치하는 차양부재(130)는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차량 도어는 차양부재(130)가 토출되는 차량 도어를 의미하고, 제2 차량 도어는 차양부재(130)가 토출되지 않은 차량 도어를 의미한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40 discharges or inserts the first shading part 131 or the second shading part 132 corresponding to each vehicle door based o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hoto sensor 120 . It is also possible to partially control to be different. That is, the shading member 130 positioned at the first vehicle door may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and the shading member 130 positioned at the second vehicle door may be controlled to be inserted. Here, the first vehicle door means a vehicle door from which the awning member 130 is discharged, and the second vehicle door means a vehicle door from which the awning member 130 is not discharged.

일 예로, 제어부(140)는 차량의 주행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주행 방향에 대응하는 포토 센서(120)의 감지 결과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포토 센서(120)의 감지 결과를 통해 차량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직사광선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직사광선 방향에 상응하는 제1 차량 도어에 구비된 제2 차양부(132)가 토출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제2 차량 도어에 구비된 제2 차양부(132)는 토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obtains driv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obtains a detection result of the photo sensor 120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may determine the direction of direct sunlight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hotosensor 120 . Accordingly,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second visor 132 provided on the first vehicle doo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direct sunlight to be discharged, and the second visor 132 provided on the remaining second vehicle door is discharged. You can control it not to happen.

한편, 위 실시예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양부재(130)가 자동 제어될 경우 제2 차양부(132)는 빈번하게 토출 또는 삽입 제어될 수 있어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차량 주행 중 제2 차양부(132)가 토출되고 나면 차량의 주행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소정의 시간 동안에는 토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may be changed at any time, and accordingly, when the awning member 13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he second shading portion 132 may be frequently discharged or inserted and controlled, which is inconvenient for passengers. can cause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discharge state to be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if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changed after the second visor 132 is discharged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또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을 통해 경로 설정이 된 경우, 제어부(140)는 해당 경로 정보를 미리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경로 정보를 통해 차량 주행 방향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으며, 주행 방향 정보와 포토 센서(120)의 감지 결과를 통해 차량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직사광선의 방향을 결정하고, 직사광선 방향에 상응하는 제1 차량 도어에 구비된 제2 차양부(132)가 토출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제2 차량 도어에 구비된 제2 차양부(132)는 토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oute is set through a smart phone or a navigation system provided in a vehicle, the controller 140 may receive corresponding route information in advanc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obtain vehicle driving direction information in advance through route information, determine the direction of direct sunlight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driv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hoto sensor 120, The second visor 132 provided on the first vehicle doo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direct sunlight may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and the second visor 132 provided on the remaining second vehicle doors may be controlled not to be discharged.

위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경로 정보에서 곡선 구간은 고려하지 않을 수 있으며, 직선 구간에서만 차량 주행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곡률 미만을 갖는 곡선 구간도 직선 구간과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직선 구간의 경우라 하더라도 소정의 거리 이상의 직선 구간에 대해서면 차량 주행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troller 140 may not consider a curved section in route information, and may obtain vehicle driving direction information only in a straight section. At this time, a curved section having less than a predetermined curvature may be treated in the same way as a straight section.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straight section, vehicle driving direc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or a straight section equal to or long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위 실시예에 더하여, 제어부(140)는 전체 경로 정보 중에서의 직선 구간으로 판단된 구간 정보를 획득하고, 직선 구간에 대한 각 차량 주행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임계 거리 이상을 갖는 직선 구간에 대해서만 차량 주행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포토 센서(120)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제2 차양부(132)를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embodiment, the controller 140 may obtain section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a straight section among all route information and obtain driving direction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on the straight section. In addition, vehicle driving direction information may be acquired only for a straight s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critical distance or more, and the second visor 132 may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using a detection result of the photo sensor 120 .

이하에서는 차량의 각 모드에 따른 제어부(140)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each mode of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먼저, 제어부(140)는 차량의 시동 상태 및 기어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의 모드를 주차 모드로 동작한다. 이때, 주차 모드는 기본적으로 시동이 OFF 상태임이 감지된 후, 기어가 P단일 경우 주차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차량의 속도 조건을 더 이용할 수 있으며, 차량의 속도가 0일 경우 주차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First, the controller 140 operates the vehicle mode as the parking mode based on the starting state and the gear state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parking mode is basically entered into the parking mode when the gear is in the P range after it is detected that the ignition is OFF. At this time, the vehicle speed condition may be further used, and when the vehicle speed is 0, the parking mode is entered.

이후, 제어부(140)는 외기온 센서(110) 및 포토 센서(120)에 의해 각 감지된 외기온 및 포토 센서(120) 감도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빛 반사 소재인 제1 차양부(131)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first shading part, which is a light reflecting material,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110 and the photo sensor 120 and the sensitivity result of the photo sensor 120 satisfy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or more. 131 is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일 예로, 제어부(140)는 감지된 외기온이 25도 이상이고 포토 센서(120)의 감도 결과가 2.5V 이상인 경우 제1 차양부(131)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임계값은 차량 출고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희망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재설정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first shading part 131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when the detected outside air temperature is 25 degrees or higher and the sensitivity result of the photosensor 120 is 2.5V or higher. These threshold values may be preset when the vehicle is shipped, and may be re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conditions desir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위 주차 모드로 동작 중 차량의 운전자의 하차 여부 및 차량 도어의 잠금 여부를 추가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가 하차한 후 차량의 도어를 잠금 제어하는 상태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차양부(131)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additionally detect whether the driver gets out of the vehicle and whether the vehicle door is locked during operation in the above parking mode. In addition, when the preset threshold is satisfied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door is locked and controlled after the driver gets off, the first visor 131 may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주차 모드로 진입한 후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차양부(131)가 토출되도록 제어되며, 운전자가 최종적으로 차량에서 하차한 후 차량 도어가 잠금 제어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부재한 상태에서도 임계값 조건 만족시 제1 차양부(131)가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isor 131 is basically controlled to be discharged whe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or more is satisfied after entering the parking mode, and the vehicle door after the driver finally gets off the vehicle. By detecting the case where is controlled to be lock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first visor 131 when the threshold condition is satisfied even in the absence of the driver.

이와 같은 빛 반사 소재의 제1 차양부(131)가 토출됨에 따라, 차량의 모든 유리를 가리어 실내에 빛을 차단하여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As the first visor 131 of the light reflective material is dischar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temperature rise by covering all windows of the vehicle to block light in the interio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키나 차량에 구비된 제어 버튼을 통해 제1 차양부(131)를 제어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isor 131 may be controlled through a smart key or a control button provided in the vehicle.

일 실시예로, 제어부(140)는 제1 차양부(131)의 토출이 완료된 상태에서 차량의 스마트키 또는 차량 도어에 구비된 열림 제어 버튼을 수신하거나, 차량에 구비된 제1 차양부(131)에 상응하는 제어 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토출된 제1 차양부(131)를 토출구로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a smart key of the vehicle or an open control button provided on the vehicle door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of the first shading portion 131 is completed, or the first shading portion 131 provided in the vehicle ), the discharged first visor 131 may be controlled to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이는 주차 모드에서 제1 차양부(131)가 토출 완료된 경우,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고자 스마트키를 통해 차량 도어 열림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스마트키가 아닌 직접 차량 도어의 열림 버튼을 누르는 경우, 이후 운전 모드로 전환될 것이기 때문에 토출 상태인 제1 차양부(131)는 토출구로 다시 삽입되도록 제어된다.This is when the first shading part 131 is discharged in the parking mode, when the driver presses the vehicle door open button through the smart key to get into the vehicle, or directly presses the vehicle door open button instead of the smart key. Since it will be switched to the operation mode, the first visor 131 in the discharge state is controlled to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again.

이때, 주차 모드 상태에서 스마트키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시동을 거는 경우에는 운전자에 의해 즉, 스마트키 또는 차량 도어의 열림 버튼을 통해 차량 도어가 오픈되기 전까지는 제1 차양부(131)는 토출 상태를 유지하며, 도어가 실제 오픈되는 경우 제1 차양부(131)는 원복되도록 제어된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starting the vehicle remotely using a smart key or smartphone in the parking mode state, the first shading part 131 is not opened until the vehicle door is opened by the driver, that is, through the smart key or the vehicle door open button. The discharge state is maintained, and when the door is actually opened, the first visor 131 is controlled to return.

다음으로, 운전 모드에서 차양부재(130)를 제어하는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contents of controlling the awning member 130 in the driving mode will be described.

먼저, 제어부(140)는 차량의 시동 상태 및 기어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의 모드를 운전 모드로 동작한다. 이때, 운전 모드는 기본적으로 시동이 ON 상태임이 감지된 후, 기어가 P단이 아님이 확인되는 경우 운전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기어가 P단뿐만 아니라 R단인 경우에는 운전 모드로 진입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속도 조건을 더 이용할 수 있으며, 차량의 속도가 0이 아닐 경우 운전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First, the control unit 140 operates the vehicle mode as a driving mode based on the starting state and the gear state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driving mode is basically entered into the driving mod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ignition is in the ON stat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gear is not in the P stage. If necessary, it may be controlled not to enter the driving mode when the gear is not in the P-range but also in the R-range. At this tim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use the vehicle speed condition, and when the vehicle speed is not 0, the driving mode is entered.

이후, 제어부(140)는 외기온 센서(110) 및 포토 센서(120)에 의해 각 감지된 외기온 및 포토 센서(120) 감도 결과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메쉬 소재인 제2 차양부(132)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은 운전 모드 상태에서는 제1 차양부(131)가 토출되지 않도록 잠금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second mesh material when at least one of the outdoor ai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110 and the photo sensor 120 and the sensitivity result of the photo sensor 120 satisfy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or more. The visor 132 is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locking control so that the first visor 131 is not discharged in the driving mode state.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감지된 외기온이 25도 이상이고 포토 센서(120)의 감도 결과가 2.5V 이상인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차양부(132)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임계값은 차량 출고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희망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재설정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may configure the second shading unit 132 to set the second shading unit 132 to each vehicle when any one of the conditions that the detected outside air temperature is 25 degrees or more and the sensitivity result of the photo sensor 120 is 2.5V or more is satisfied.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it is discharged from the door. These threshold values may be preset when the vehicle is shipped, and may be re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conditions desired by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차량 도어에는 제2 차양부(132)의 토출 여부를 개별 제어하는 제어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제2 차양부(132)의 각 제어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수신한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위치에서의 제2 차양부(132)의 토출 또는 삽입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button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second visor 132 is discharged may be provided at each vehicle door. Accordingly, when receiving at least one input from among the control buttons of the second visor 132, the control unit 140 discharges or inserts the second visor 13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button. can control.

이때, 개별 탑승자에 상응하는 차량 도어에 위치하는 제어 버튼의 경우 차량 도어의 해당 창문이 전부 닫힘 상태에서, 제어 버튼 입력이 수신될 경우 제2 차양부(132)는 토출되도록 제어된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control button located on a vehicle door corresponding to an individual occupant, the second visor 132 is controlled to be discharged when a control button input is received while the corresponding window of the vehicle door is fully closed.

한편, 제2 차양부(132)의 제어 버튼은 차량 도어뿐만 아니라 운전석으로부터 조작 가능한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기어봉, 공조기, 센터페시아, 핸들 등)에 구비되어 각 차량 도어의 제2 차양부(132)를 제어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 button of the second shading part 132 is provided not only on the vehicle door but also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perable from the driver's seat (eg, gear rod, air conditioner, center fascia, handle, etc.), and is provided on the second shading part of each vehicle door. (132) can also be controlled.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door sha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4는 주차 모드에서의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shading device 100 for a vehicle door in a parking mode.

먼저, 차량에 장착된 외기온 센서(110) 및 적어도 하나의 포토 센서(120)를 통해 외기온 및 직사광선을 감지한다(S110).First, the outside temperature and direct sunlight are sensed through the outside temperature sensor 110 and at least one photo sensor 120 mounted on the vehicle (S110).

다음으로, 차량이 주차 모드 및 운전 모드 중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이때, 차량의 시동 상태가 OFF 상태이고 기어가 P단일 경우 주차 모드로 감지할 수 있다.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corresponds to a parking mode or a driving mode (S120). At this time, when the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is OFF and the gear is in the P range, parking mode may be detected.

다음으로, 외기온 센서(110) 및 포토 센서(120)에 의해 각 감지된 외기온 및 포토 센서(120) 감도 결과를 수신하고(S130), 수신한 외기온 및 감도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Next, the external ai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110 and the photo sensor 120 and the sensitivity result of the photo sensor 120 are received (S130), and whether the received external temperature and sensitivity result satisfies a preset threshold value or mor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S140).

다음으로, 판단 결과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차양부(131)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한다(S150).Next, if the determination result satisfies the threshold value or more, the first visor 131 is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S150).

도 5는 운전 모드에서의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shading device 100 for a vehicle door in a driving mode.

먼저, 차량에 장착된 외기온 센서(110) 및 적어도 하나의 포토 센서(120)를 통해 외기온 및 직사광선을 감지한다(S210).First, the outside temperature and direct sunlight are sensed through the outside temperature sensor 110 and at least one photo sensor 120 installed in the vehicle (S210).

다음으로, 차량이 주차 모드 및 운전 모드 중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이때, 차량의 시동 상태가 ON 상태이고 기어가 P단이 아닐 경우 운전 모드로 감지할 수 있다.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corresponds to a parking mode or a driving mode (S220). At this time, when the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is ON and the gear is not in the P range, the driving mode may be detected.

다음으로, 외기온 센서(110) 및 포토 센서(120)에 의해 각 감지된 외기온 및 포토 센서(120) 감도 결과를 수신하고(S230), 수신한 외기온 및 감도 결과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Next, the outside ai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outside temperature sensor 110 and the photo sensor 120 and the sensitivity result of the photo sensor 120 are received (S230), and at least one of the received outside temperature and the sensitivity resul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satisfies (S240).

다음으로, 판단 결과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제2 차양부(132)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하고, 제1 차양부(131)는 토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S250).Nex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threshold value or more is satisfied, the second shading part 132 is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and the first shading part 131 is controlled not to be discharged (S250).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2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의 내용은 도 4 및 도 5의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100)의 제어 방법의 내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110 to S25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changed. In addition, even if other contents are omitted, the contents of FIGS. 1 to 3 may be applied to the contents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shading device 100 for a vehicle door of FIGS. 4 and 5 .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차량 도어용 차량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device 100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and stored in a medium.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Ruby,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program is C, C++, JAVA, Ruby, C, C++, JAVA, Ruby, which the processor (CPU) of the computer can read through the device interface of the computer so that the computer reads the program and executes the methods implemented as a program. It may include a code coded in a computer language such as machine language. These codes may include functional codes related to functions defining necessary functions for executing the methods, and include control codes related to execution procedures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can do. In addition, these codes may further include memory reference related codes for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of the computer's internal or external memory should be referenced for additional information or media required for the computer's processo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re is. 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remote computer or server in orde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uses the computer's communication module to determine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remote computer or server. It may further include communication-related codes for whether to communicate, what kind of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receive during communication, and the like.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or memory,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is readable by a devic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torage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accessible by the computer or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user's computer.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codes may be stored in a distributed manne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110: 외기온 센서
120: 포토 센서
130: 차양부재
131: 제1 차양부
132: 제2 차양부
140: 제어부
100: awning device for vehicle door
110: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120: photo sensor
130: awning member
131: first shade portion
132: second visor
140: control unit

Claims (15)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되어 외기온을 측정하는 외기온 센서,
직사광선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토 센서,
각 차량 도어의 유리창을 가리는 차양부재 및
상기 외기온과 직사광선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양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양부재는 각 차량 도어의 유리창을 가리며 빛 반사 소재로 구성된 제1 차양부와, 상기 제1 차양부와 동일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며 메쉬 소재의 커튼 가림막으로 구성된 제2 차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 및 운전 모드 중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차양부를 제어하는 것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In the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An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mounted on a vehicle to measure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t least one photo sensor for detecting direct sunlight;
A shading member that covers the windows of each vehicle door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hading member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direct sunlight,
The shading member includes a first shading portion made of a light reflective material covering the glass windows of each vehicle door, and a second shading portion discharged through the same discharge port as the first shading portion and composed of a curtain screen made of a mesh material,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shading units based on whether the vehicle corresponds to a parking mode or a driving mode;
Sunshade device for vehicle do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 상태 및 기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외기온 센서 및 포토 센서에 의해 각 감지된 외기온 및 포토 센서 감도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차양부가 상기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operates in the parking mode based on the starting state and gear state of the vehicle,
Controlling the first visor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photo sensor sensitivity results detected by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and the photo sensor satisfy a preset threshold value or more,
Sunshade device for vehicle doo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 모드로 동작 중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하차 여부 및 차량 도어의 잠금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운전자가 하차한 후 차량의 도어를 잠금 제어하는 상태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차양부가 상기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whether the driver gets out of the vehicle and whether or not the vehicle door is locked while operating in the parking mode, and satisfies the preset threshold in a state in which the driver gets out and controls the locking of the vehicle door Controlling the first visor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Sunshade device for vehicle doo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차양부의 토출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스마트키 또는 차량 도어에 구비된 열림 제어 버튼을 수신하거나, 차량에 구비된 제1 차양부에 상응하는 제어 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토출된 제1 차양부를 토출구로 삽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n open control button provided on the vehicle door or a smart key of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of the first visor is completed, or receives an input of a control butt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sor provided in the vehicle , Controlling the discharged first rim to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Sunshade device for vehicle doo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 모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를 통한 원격 시동 제어 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운전자에 의해 차량의 도어가 열림 제어되기 전까지 상기 제1 차양부의 상태를 유지 제어하는 것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maintains and controls the state of the first visor until the door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to be opened by a driver when receiving an input of a remote start control button through the smart key in the parking mode state.
Sunshade device for vehicle do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 상태 및 기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외기온 센서 및 포토 센서에 의해 각 감지된 외기온 및 포토 센서 감도 결과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차양부가 상기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차양부는 토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operates in the driving mode based on the starting state and gear state of the vehicle,
When at least one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and the photo sensor and the photo sensor sensitivity result satisfy a preset threshold value or more, the second shading part is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and the first shading part is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To control not to be discharged,
Sunshade device for vehicle doors.
제6항에 있어서,
각 차량 도어에는 상기 제2 차양부의 토출 여부를 개별 제어하는 제어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차양부의 각 제어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수신한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위치에서의 제2 차양부의 토출 또는 삽입을 제어하는 것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According to claim 6,
Each vehicle door is provided with a control button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whether or not to discharge the second visor,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charge or insertion of the second vis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button when receiving an input of at least one of the control buttons of the second visor,
Sunshade device for vehicle do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온 및 포토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 차량 도어에 상응하는 제1 차양부 또는 제2 차양부의 토출 또는 삽입을 각각 상이하도록 부분 제어하는 것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partially controls the discharge or insertion of the first or second aw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vehicle door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the photo sensor.
Sunshade device for vehicle doors.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된 외기온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포토 센서를 통해 외기온 및 직사광선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 및 운전 모드 중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외기온과 직사광선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모드 또는 운전 모드에 각각 상응하도록 각 차량 도어의 유리창을 가리는 차양부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양부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 경우 각 차량 도어의 유리창을 가리며 빛 반사 소재로 구성된 제1 차양부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운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차양부와 동일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며 메쉬 소재의 커튼 가림막으로 구성된 제2 차양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sensing outside temperature and direct sunlight through an outside temperature sensor and at least one photo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corresponds to a parking mode or a driving mode; and
Controlling a shading member covering a window of each vehicle door to correspond to the parking mode or the driving mode, respectively,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direct sunlight;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hading member,
controlling a first visor made of a light reflective material while covering a window of each vehicle door when the vehicle is in a parking mode;
Controlling a second shading portion discharged through the same discharge port as the first shading portion and composed of a curtain shield of a mesh material when the vehicle is in a driving mode,
A control method of a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기온 센서 및 포토 센서에 의해 각 감지된 외기온 및 포토 센서 감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외기온 및 감도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차양부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irst visor,
Receiving a sensitivity result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and the photo sensor and the photo sensor;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outdoor temperature and sensitivity results satisfy a preset threshold value or more; and
Controlling the first visor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when a threshold value or more is satisfi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control method of a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모드로 동작 중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하차 여부 및 차량 도어의 잠금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단 결과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차양부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하차한 후 차량의 도어를 잠금 제어하는 상태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차양부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irst visor,
Further comprising detecting whether the driver of the vehicle gets out and whether the vehicle door is locked while operating in the parking mode,
In the case of satisfying the threshold value or mor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irst visor portion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Controlling the first visor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when the preset threshold or more is satisfied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door is locked and controlled after the driver gets off,
A control method of a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양부의 토출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스마트키의 차량 도어 열림 제어 버튼을 수신하거나, 차량에 구비된 제1 차양부에 상응하는 제어 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토출된 제1 차양부를 토출구로 삽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irst visor,
When a vehicle door open control button of the smart key of the vehicle is received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of the first visor is completed, or an input of a control butt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sor provided in the vehicle is received, the discharged firs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hielding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A control method of a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부를 토출구로 삽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모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를 통한 원격 시동 제어 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운전자에 의해 차량의 도어가 열림 제어되기 전까지 상기 제1 차양부의 상태를 유지 제어하는 것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irst visor to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When receiving an input of a remote start control button through the smart key in the parking mode state, maintaining and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first visor until the door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to be opened by the driver,
A control method of a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기온 센서 및 포토 센서에 의해 각 감지된 외기온 및 포토 센서 감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외기온 및 감도 결과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차양부가 각 차량 도어에서 토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차양부는 토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econd visor,
Receiving a sensitivity result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and the photo sensor and the photo sensor;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received outdoor temperature and sensitivity results satisfies a preset threshold or higher; and
Controlling the second shading portion to be discharged from each vehicle door when a threshold value or more is satisfi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ut controlling the first shading portion not to be discharged,
A control method of a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각 차량 도어에 구비된 제2 차양부의 토출 여부를 개별 제어하는 제어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버튼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응하는 위치에서의 제2 차양부의 토출 또는 삽입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4,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econd visor,
Receiving an input of at least one of control buttons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whether or not to discharge a second visor provided in each vehicle door;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ischarge or insertion of the second visor at a corresponding position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ontrol button input.
A control method of a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KR1020210089834A 2021-07-08 2021-07-08 Sunshade apparatus for vehicle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300091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834A KR20230009155A (en) 2021-07-08 2021-07-08 Sunshade apparatus for vehicle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834A KR20230009155A (en) 2021-07-08 2021-07-08 Sunshade apparatus for vehicle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155A true KR20230009155A (en) 2023-01-17

Family

ID=8511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834A KR20230009155A (en) 2021-07-08 2021-07-08 Sunshade apparatus for vehicle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915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253U (en) 2006-12-26 2008-07-01 윤선화 Sunscreen-mosquito net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253U (en) 2006-12-26 2008-07-01 윤선화 Sunscreen-mosquito net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2918B2 (en) Low humidit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612872B1 (en) Windshield defogging device of automotive vehicles and windshield defogging method using the same
US78661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efogging condition calculation and control
US8701427B2 (en) Fog detection error protection for window fog control
US20010026215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a vehicle and vehicle accessory operation system that utilizes the communication system
US20060155445A1 (en) Sensor based anticipatory lighting of controls
CN102582433A (en)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a motor vehicle,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river assistance system
US200600044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efogging condition calculation and control
CA2888178A1 (en) Camera with privacy cover
CN111186277A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ir quality in vehicle
CN112160668B (en) Vehicle window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unmanned vehicle
JP2006525901A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US11701962B2 (en) Vehicle active air flap system and active air flap control method
KR20230009155A (en) Sunshade apparatus for vehicle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69715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fogging on the windows of a motor vehicle
JP2008222045A (en) Light adjusting system for automobile glass
CN104508595B (en) The multistage vehicle imaging systems indicated quasi-stability are provided
US202003986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window power sunshades deployment according to sun position
KR20180073100A (en) Method of blow moter control using smart ke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427231B1 (en) Defogging device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61584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5857536A (en) Sun sens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arranging a sun sensor in a motor vehicle
KR200601111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ing window of vehicle
KR10261939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202400175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Interior of a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