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101A -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nd base station using sam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nd base station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101A
KR20230009101A KR1020210089730A KR20210089730A KR20230009101A KR 20230009101 A KR20230009101 A KR 20230009101A KR 1020210089730 A KR1020210089730 A KR 1020210089730A KR 20210089730 A KR20210089730 A KR 20210089730A KR 20230009101 A KR20230009101 A KR 20230009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ival
angle
null
jamming signal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9336B1 (en
Inventor
김선우
정현진
서형욱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08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336B1/en
Publication of KR20230009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1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3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023Monitoring or calibr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04Details
    • G01S3/10Means for reducing or compensating for quadrantal, site, or like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is performed by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device. The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estimating an error between a beam nulling direction and a jamming signal arrival angle by using Bayesian filter-based arrival angle tracking; and controlling a null width so that a null includes the jamming signal arrival angle based on the estimated error.

Description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지국{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ND BASE STATION USING SAME}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nd base station using same

본 발명은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 이 장치가 수행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 그리고 이러한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이 적용된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pparatus,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performed by the apparatus, and a base station to which the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is applied.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재밍 신호의 영향이 존재할 때 항재밍 빔포밍을 이용해 재밍 신호의 영향을 억제함으로써 통신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항재밍 빔포밍은 각 안테나에 가중치를 부여해 억제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해 널을 생성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빔을 조향함으로써 재밍 신호를 억제하는 것이다.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array antenna, when there is an effect of a jamming signal, anti-jamming beamforming is used to suppress the effect of the jamming signal to prevent communication performance degradation. Anti-jamming beamforming suppresses a jamming signal by assigning a weight to each antenna to generate a null for a direction to be suppressed and steering a beam in a desired direction.

이러한 항재밍 빔포밍의 성능은 억제하고자 하는 재밍 신호의 도래각을 정확히 알고 있을 때 가장 뛰어난 효과가 발휘된다.The performance of such anti-jamming beamforming is most effective when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to be suppressed is accurately known.

그러나 만약 사전에 탐지한 재밍 신호의 도래각에 오차가 있는 경우에는 항재밍 빔포밍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된다.However, if there is an error in the angle of arrival of the previously detected jamming signal, the performance of anti-jamming beamforming is rapidly degrad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9209호, 등록일자 2020년 01월 16일.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69209, registration date January 16, 20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 기술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에 기초해 널 폭을 결정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an error between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using a Bayesian filter-based angle of arrival tracking technique and determining a null width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 are provided. d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반영해 결정한 폭으로 널을 생성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빔을 조향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base station generating a null having a width determined by reflecting an error between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and steering the beam in a desired direction is provided.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that i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제 1 관점에 따른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가 수행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은,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오차에 기초하여 널이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도록 널 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aspect includes estimating an error between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using Bayesian filter-based angle of arrival tracking, and the estimated and controlling the null width so that the null includes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based on the error.

제 2 관점에 따른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프로세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한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하며, 상기 추정된 오차에 기초하여 널이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도록 널 폭을 제어한다.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daptive null width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a processor unit, wherein the processor unit determines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using Bayesian filter-based angle-of-arrival track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 error between the intervals is estimated, and based on the estimated error, the null width is controlled so that the null includes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제 3 관점에 따른 기지국은, 단말기와 무선망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빔의 널링 방향과 널 폭을 결정하는 프로세서부와, 상기 프로세서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빔을 조향하는 빔 조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한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하며, 상기 추정된 오차에 기초하여 널이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도록 널 폭을 결정하고, 상기 빔 조향부는, 상기 결정된 널 폭에 맞춰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빔을 조향한다.A base station according to a third aspec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th a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a processor unit that determines a nulling direction and a null width of a beam for the terminal; A beam steering unit for steering a beam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processor unit estimates an error between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using Bayesian filter-based angle of arrival track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based on the estimated error Thus, a null width is determined so that a null includes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and the beam steering unit steers a beam for th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null width.

제 4 관점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오차에 기초하여 널이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도록 널 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when the computer program is executed by a processor, estimates an error between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using Bayesian filter-based angle of arrival tracking. and controlling a null width so that the null includes an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based on the estimated error.

제 5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오차에 기초하여 널이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도록 널 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 fifth aspect, when the computer program is executed by a processor, estimates an error between a beam nulling direction and a jamming signal arrival angle using Bayesian filter-based angle of arrival tracking. and controlling a null width so that the null includes an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based on the estimated err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 기술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에 기초해 널 폭을 결정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반영해 결정한 폭으로 널을 생성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빔을 조향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rror between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is estimated using a Bayesian filter-based angle-of-arrival tracking technique, and a null width is determined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null is generated with a width determined by reflecting an error between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and the beam is steered in a desired direction.

따라서, 재밍 신호의 도래각을 정확히 추적할 수 있고, 도래각의 오차에 대해 적응적으로 대응하기 때문에, 항재밍 빔포밍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since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can be accurately tracked and an error in the angle of arrival is adaptively responded to, the performance of anti-jamming beamforming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적 및 적응형 널 폭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베이지안 필터의 예로서 파티클 필터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로서, 무작위 파티클 생성 및 가중치 결정 과정을 나타내었다.
도 4는 가상 간섭원 생성을 이용한 널 폭 확장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가상 간섭원 개수에 따른 널 폭 및 깊이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 및 기지국이 수행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파티클로 근사한 도래각 추정 오차, 실제 도래각 오차, 추정 오차를 이용해 결정한 널 폭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파티클 필터만을 이용해 재밍 신호 도래각을 추정하고 해당 방향으로 널을 생성하는 기술과 적응형 널 폭 제어를 적용한 기술의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explaining jamming signal arrival angle tracking and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ase station shown in FIG. 1;
3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particle filter as an example of a Bayesian filter, showing a process of generating random particles and determining a weight.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null width expansion using virtual interferer generation.
5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null width and dep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pparatus and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the null width determined using the estimated angle of arrival error approximated by particles, the actual angle of arrival error, and the estimation error over time.
8 is a graph comparing performance of a technique of estimating the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using only a particle filter and generating nulls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and a technique of applying adaptive null width control.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preceden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나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unit'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FPGA or ASIC, and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wealth'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elements and 'par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elements and 'part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기지국이 수행하는 항재밍 빔포밍은 억제하고자 하는 재밍 신호의 도래각을 정확히 알고 있을 때 가장 뛰어난 성능이 발휘되고, 사전에 탐지한 재밍 신호의 도래각에 오차가 있는 경우에는 항재밍 빔포밍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된다. 이러한 도래각 추정 오차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널이 재밍 신호를 포함하도록 널 폭을 확장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Anti-jamming beamforming performed by a base station including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the best performance when the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to be suppressed is accurately known, and When there is an error in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the performance of anti-jamming beamforming is rapidly degraded. In order to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the angle of arrival estimation error, a method of extending the null width so that the null includes the jamming signal may be considered.

그런데, 널 폭 확장 기술 이용 시 널 폭을 과대하게 확장할 경우 잡음에 취약해 지기 때문에, 잡음과 재밍 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확장할 널 폭을 적절히 결정해야 한다.However, when the null width extension technique is used, if the null width is excessively expanded, it becomes vulnerable to noise. Therefore, the null width to be expanded must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s of noise and jamming signals.

널 폭 확장 기법을 적용한 빔포밍을 이용하여 재밍 신호를 억제할 경우, 빔 방사패턴의 확장된 널이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지 않으면 재밍 신호의 영향력이 증가해 신호대간섭·잡음비(signal-to-interference-plus-noise-ratio, SINR) 성능이 떨어진다. 반면에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기 위해 널 폭을 과대하게 확장할 경우, 잡음에 매우 취약해 진다.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의 도래각 간의 불일치는 대부분 재밍 신호원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When jamming signals are suppressed using beamforming with a null width extension technique, if the extended null of the beam radiation pattern does not include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the influence of the jamming signal increases, increasing the signal-to-noise ratio. Interference-plus-noise-ratio (SINR) performance is poor. On the other hand, if the null width is excessively extended to include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it becomes very vulnerable to noise. A discrepancy between the nulling direction and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mostly occurs in the process of tracking the motion of the jamming signal sour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의 도래각 간 불일치가 발생할 때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적 및 널 폭을 제어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기술을 제공한다. 적응형 널 폭 제어는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 차이에 따라 널이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도록 널 폭을 조정하여 재밍 신호의 도래각이 널링 방향에서 벗어나 발생하는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technique for tracking the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and controlling the null width is provided to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when a discrepancy between the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the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occurs. .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djusts the null width so that the null includes the jamming signal arrival angl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lling direction and the jamming signal arrival angle, thereby preventing performance degradation caused by the jamming signal arrival angle deviating from the nulling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합한 널 폭 결정을 위해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 기술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한다. 예를 들어,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정 오차는 파티클들의 표준 편차로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rror between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is estimated using a Bayesian filter-based angle of arrival tracking technique to determine an appropriate null width. For example, the error in estimating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can be obtained from the standard deviation of particl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빔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 오차 추정 이후 적합한 널 폭 결정 및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널 폭 확장 방법으로는 재밍 신호 도래각 주위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다수의 가상 간섭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가정한 가상 간섭의 도래각에 대한 널을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stimating an error between a beam nulling direction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an appropriate null width may be determined and controlled. As a method of extending the null width, a method of assuming that a plurality of virtual interference exists around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at regular angular intervals and generating a null for the angle of arrival of the assumed virtual interference may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적 및 적응형 널 폭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100)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110)의 구성도이다.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 기술을 이용하는 예시이고, 직진 경로 외의 다중 경로 신호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무시하며, 널 폭 제어를 위해 가상 간섭의 개수를 조정하는 방식을 적용한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for explaining jamming signal arrival angle tracking and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se station 110 shown in FIG. 1 to be. This is an example using a Bayesian filter-based angle-of-arrival tracking technique, multipath signals other than straight paths are ignored to help the explanation, and a method of adjusting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nces is applied to control the null width.

베이지안 필터 기반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적 및 적응형 널 폭 제어는 매 타임 슬롯마다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기지국(110)과 단말기(120) 간 통신 시 파일럿 신호가 적용된다고 할 때, 타임 슬롯의 주기는 파일럿 신호 간 주기와 같다.Bayesian filter based jamming signal arrival angle tracking and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re periodically performed every time slot. When it is assumed that a pilot signal is applied dur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110 and the terminal 120, the period of time slots is the same as the period between pilot signals.

기지국(110)은 이동하는 재머(130)에 대응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재밍 신호의 도래각을 추정하기 위해 베이지안 필터로 널링 방향을 업데이트하고 채널 이득을 추정한다. 여기서, 베이지안 필터로는 칼만 필터, 확장 칼만 필터, 파티클 필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S1).The base station 110 updates a nulling direction with a Bayesian filter and estimates a channel gain in order to estimate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that changes in real time to correspond to the moving jammer 130 . Here, as the Bayesian filter, a Kalman filter, an extended Kalman filter, a particle filter, or the like can be used (S1).

그리고, 기지국(110)은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적 과정에서 발생된 각도 추정 오차가 커져 널이 잘못된 방향으로 생성(S2)되면 적응형 널 폭 제어(S3)를 통해 널 폭을 넓혀주어 각도 오차로부터 야기되는 SINR 성능 저하를 예방한다. 이후 각도 추정 오차가 줄어들 경우 기지국(110)은 적응형 널 폭 제어를 통해 다시 널 폭을 좁혀 잡음의 영향을 줄인다.In addition, when the angle estimation erro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racking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increases and the null is generated in the wrong direction (S2), the base station 110 widens the null width through adaptive null width control (S3) to cause the angle error. SINR performance degradation is prevented. Then, when the angle estimation error is reduced, the base station 110 narrows the null width again through adaptive null width control to reduce the effect of noi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응형 널 폭 제어를 수행하는 기지국(110)은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통신부(111), 프로세서부(112) 및 빔 조향부(113)를 포함한다. 물론, 도 2의 예시는 기지국(110)의 여러 구성들 중에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위해 필요한 부분만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빔 조향부(113)를 제외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로 구분하여 칭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는 통신부(111) 및 프로세서부(112)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 the base station 110 performing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1, a processor unit 112, and a beam steering unit 113. Of course, the example of FIG. 2 shows only parts necessary for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base station 110 . Here, except for the beam steering unit 113, it may be referred to as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1 and a processor unit 112, and may perform the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기지국(110)의 통신부(111)는 단말기(120)와 무선망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1 of the base station 11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th the terminal 120 through a wireless network.

프로세서부(112)는 단말기(120)에 대하여 빔의 널링 방향과 널 폭을 결정한다. 이러한 프로세서부(112)의 기능 및 처리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The processor unit 112 determines a nulling direction and a null width of a beam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120 . Functions and processing of the processor unit 112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빔 조향부(113)는 단말기(120)에 대하여 프로세서부(112)의 결정된 널 폭에 맞춰 통신부(111)를 통해 빔을 조향한다.The beam steering unit 113 steers the bea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1 according to the determined null width of the processor unit 112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120 .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기지국(110)에서, 프로세서부(112)는 통신부(111)를 통한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하며, 추정된 오차에 기초하여 널이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도록 널 폭을 결정한다.In the base station 110 including this configuration, the processor unit 112 estimates an error between the nulling direction of the beam and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using Bayesian filter-based angle of arrival track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1, and estimates the error according to the estimated error. Based on this, the null width is determined so that the null includes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여기서, 프로세서부(112)는 오차를 추정하기 이전에, 통신부(111)를 통해 수신된 파일럿 신호에 재밍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기 약속된 파일럿 신호 주기에 따라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적 및 적응형 널 폭 제어의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널 폭을 제어한 이후에, 다음 파일럿 신호에 대해 수신를 대기할 수 있다.Here, the processor unit 112 tracks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and adaptive null width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ilot signal period when a jamming signal exists in the pilo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1 before estimating the error. The cycle of control can be set. After controlling the null width, reception of the next pilot signal may be waited for.

예를 들어, 프로세서부(112)는 인접 가상 간섭원 간격

Figure pat00001
를 고정한 후 중심 널링 방향 주위에
Figure pat00002
의 간격으로 가정할 가상 간섭원의 개수
Figure pat00003
를 조정하여 널 폭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부(112)는 가상 간섭원 개수
Figure pat00004
를 고정한 후 중심 널링 방향 주위에
Figure pat00005
개의 가상 간섭원을 배치할 인접 가상 간섭원 간의 간격
Figure pat00006
을 조정하여 널 폭을 제어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unit 112 may set the adjacent virtual interferer interval
Figure pat00001
around the center knurling direction after fixing
Figure pat00002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to be assumed with an interval of
Figure pat00003
You can control the null width by adjusting Alternatively, the processor unit 112 determines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Figure pat00004
around the center knurling direction after fixing
Figure pat00005
Interval between adjacent virtual interferers to place the virtual interferers
Figure pat00006
You can also control the null width by adjusting .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100)에 포함된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 및 기지국(110)이 수행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pparatus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and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적은 타임 슬롯마다 변하는 채널 이득 및 재밍 신호의 도래각을 추정하며, 추정한 도래각에 대해 널링 방향을 결정한다. 상태 벡터는 추정하고자 하는 변수로 이루어져있으며, 이는 채널 이득과 재밍 신호 도래각에 해당한다. 추가적으로 시간에 따른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확률론적 진화 모델을 설정해야 한다.

Figure pat00007
번째 타임 슬롯에 해당하는 상태 벡터
Figure pat00008
와 확률론적 진화 모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tracking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a channel gain that changes for each time slot and an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are estimated, and a nulling direction is determined for the estimated angle of arrival. The state vector consists of variables to be estimated, which correspond to the channel gain and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Additionally, a stochastic evolutionary model representing the change of state over time must be established.
Figure pat00007
State vector corresponding to the th time slot
Figure pat00008
and the stochastic evolution model can be expressed as: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여기서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는 각각 단말기와 재머 간 채널 이득의 실수부와 허수부 및 재밍 신호의 도래각을 의미하며,
Figure pat00014
는 상태 변화 행렬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15
는 가우시안 분포를 따르는 프로세스 잡음을 나타낸다.here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Means the real and imaginary parts of the channel gai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jammer and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respectively,
Figure pat00014
denotes the state change matrix,
Figure pat00015
denotes the process noise following a Gaussian distribution.

도 3은 베이지안 필터의 예로서 파티클 필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로서, 무작위 파티클 생성 및 가중치 결정 과정을 나타내었다.3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particle filter as an example of a Bayesian filter, showing a process of generating random particles and determining a weight.

파티클 필터 기반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적은 도 3과 같이 확률론적 진화 모델을 따르는 무작위 파티클을 생성하고 각 파티클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각 파티클은

Figure pat00016
와 같이 재밍 신호의 채널 이득 및 도래각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에서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
Figure pat00019
는 각각
Figure pat00020
번째 파티클의 채널 이득 실수부와 허수부 및 재밍 신호의 도래각을 의미하며,
Figure pat00021
,
Figure pat00022
는 실제 수신 신호에서 받고자 하는 신호를 뺀 신호와
Figure pat00023
번째 파티클로 재구성한 재밍 신호 추정값이다. 여기서 받고자 하는 신호는 CSI-RS 혹은 SRS와 같은 파일럿 신호이다.
Figure pat00024
,
Figure pat00025
의 값이 비슷할수록 가능도가 높아지며, 파티클의 가능도에 비례한 가중치가 증가한다. 재밍 신호의 채널 이득 및 도래각 추정값은 가중치가 부여된 파티클들의 평균과 같다.The particle filter-based jamming signal arrival angle tracking generates random particles following a stochastic evolution model as shown in FIG. 3 and assigns a weight to each particle. each particle
Figure pat00016
It includes the channel gain and angle of arrival information of the jamming signal as in in Figure 3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
Figure pat00019
are respectively
Figure pat00020
It means the real part and the imaginary part of the channel gain of the th particle and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Figure pat00021
,
Figure pat00022
is the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ignal to be received from the actual received signal.
Figure pat00023
It is a jamming signal estimation value reconstructed with the th particle. A signal to be received here is a pilot signal such as CSI-RS or SRS.
Figure pat00024
,
Figure pat00025
The more similar the value of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is, and the weight in proportion to the probability of the particle increases. The channel gain and angle-of-arrival estimate of the jamming signal is equal to the average of the weighted particles.

실시간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적 및 널 생성 방향 결정 기술은 매 타임 슬롯마다 업데이트 되며, 해당 타임 슬롯에서 단말기(120)와 기지국(110)은 정해진 파일럿 신호를 송수신한다. 실제 수신 신호에서 예상되는 기지국과 단말기 간 수신 신호를 뺀 나머지를 이용해 추적한다. 이를 수식화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technology for tracking the angle of arrival of the real-time jamming signal and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null generation is updated every time slot, and the terminal 120 and the base station 110 transmit and receive a predetermined pilot signal in the corresponding time slot. Tracking is performed using the remainder after subtracting the expected received signa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from the actual received signal. Formulating this, it can be expressed as: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6

여기서

Figure pat00027
는 각각 파티클 필터 기반 재밍 신호 추적에 사용할 measurement이고,
Figure pat00028
는 실제 수신 신호이며,
Figure pat00029
는 기지국과 단말기 간 수신 파일럿 신호이다.here
Figure pat00027
are the measurements to be used for particle filter-based jamming signal tracking, respectively,
Figure pat00028
is the actual received signal,
Figure pat00029
Is a received pilot signa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매 타임 슬롯마다 확률론적 진화 모델을 따르는

Figure pat00030
개의 무작위 파티클을 생성하고 각 파티클에 가능도에 따른 가중치를 다음과 같이 부여한다.Following a stochastic evolutionary model at every time slot
Figure pat00030
It creates 2 random particles and assigns a weight according to the probability to each particle as follows.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1

여기서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번째 파티클이고,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번째 파티클의 가중치이며,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에 해당하는 재밍 신호의 채널 이득 및 도래각을 가정했을 때의 예상 측정(measurement)과
Figure pat00038
간 가능도를 의미한다. 모든 가중치의 합은 1이 되어야 하며,
Figure pat00039
번째 타임 슬롯에 해당하는 상태 벡터의 추정값
Figure pat00040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here
Figure pat00032
Is
Figure pat00033
is the second particle,
Figure pat00034
silver
Figure pat00035
is the weight of the th particle,
Figure pat00036
Is
Figure pat00037
Expected measurement (measurement) assuming the channel gain and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corresponding to
Figure pat00038
means the possibility of interfering. The sum of all weights must be 1,
Figure pat00039
estimate of the state vector corresponding to the th time slot
Figure pat00040
can be expressed as: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추정 후
Figure pat00043
에 포함된 재밍 신호 추정 도래각
Figure pat00044
에 대해 널 생성 방향을
Figure pat00045
로 결정한다.
Figure pat00042
after estimation
Figure pat00043
The estimated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included in
Figure pat00044
the direction of null generation for
Figure pat00045
to decide

프로세서부(112)에 의해 수행되는 적응형 널 폭 제어는 각도 추정 오차에 따라 널 폭을 넓히거나 줄이는 역할을 하며, 이는 매 타임 슬롯마다 실행된다. 파티클 필터 기반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적 기술을 사용할 때 각도 추정 오차는 파티클의 분산으로 근사된다. 널 폭은 중심 널링 방향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가상 간섭원을 가정하여 확장되며, 가상 간섭원 개수와 가상 간섭원 간격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The adaptive null width control performed by the processor unit 112 serves to widen or reduce the null width according to an angle estimation error, and is executed every time slot. When using the particle filter-based jamming signal arrival angle tracking technique, the angle estimation error is approximated by the variance of the particles. The null width is extended by assuming virtual interferers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central nulling direction, and can be expressed as a product of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and the virtual interferer spac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110)의 프로세서부(112)은 인접 가상 간섭원 간격

Figure pat00046
를 고정한 후 중심 널링 방향 주위에
Figure pat00047
의 간격으로 가정할 가상 간섭원의 개수
Figure pat00048
를 조정하여 널 폭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unit 112 of the base station 110 determines the adjacent virtual interferer interval.
Figure pat00046
around the center knurling direction after fixing
Figure pat00047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to be assumed with an interval of
Figure pat00048
You can control the null width by adjusting

또는, 기지국(110)의 프로세서부(112)는 가상 간섭원 개수

Figure pat00049
를 고정한 후 중심 널링 방향 주위에
Figure pat00050
개의 가상 간섭원을 배치할 인접 가상 간섭원 간의 간격
Figure pat00051
을 조정하여 널 폭을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rocessor unit 112 of the base station 110 determines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Figure pat00049
around the center knurling direction after fixing
Figure pat00050
Interval between adjacent virtual interferers to place the virtual interferers
Figure pat00051
You can control the null width by adjusting

도 4는 가상 간섭원 생성을 이용한 널 폭 확장을 나타낸 모식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null width expansion using virtual interferer generation.

널 폭 제어 진행 시 사용된 가상 간섭을 이용하는 널 폭 확장 기술은 도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기존 널링 방향 주위에 일정 간격 각도로 기존 널링 방향을 포함하여 기존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송신하는 가상의 간섭 신호원이 존재한다고 가정한 후 기존 방향과 가상 간섭 방향을 포함한 방향에 대해 널을 생성한다. 다수의 방향에 대해 널을 생성하는 빔포밍 벡터를 계산하기 위해 신호의 공분산 행렬

Figure pat00052
를 이용해 가상 간섭 신호를 포함한 새로운 공분산 행렬
Figure pat00053
를 생성하며 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null width extension technique using the virtual interference used when the null width control is performed can be represented as shown in FIG. 4 . After assuming that there is a virtual interference signal source that transmits the same signal as the original signal including the original nulling direction at a regular interval around the original nulling direction, nulls are generated for directions including the original and virtual interference directions. Covariance matrix of the signal to compute beamforming vectors that produce nulls for multiple directions
Figure pat00052
A new covariance matrix including the virtual interference signal using
Figure pat00053
, which can be expressed as:

Figure pat00054
Figure pat00054

여기서,

Figure pat00055
는 가상 간섭원 개수이고,
Figure pat00056
Figure pat00057
번째 가상 간섭원의 각도이며,
Figure pat00058
는 각도
Figure pat00059
에 대한 조향벡터이고,
Figure pat00060
는 행렬의 켤레전치이며,
Figure pat00061
는 인접한 두 가상 간섭원 간 간격을 의미하고,
Figure pat00062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here,
Figure pat00055
is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Figure pat00056
Is
Figure pat00057
is the angle of the th virtual interference source,
Figure pat00058
is the angle
Figure pat00059
is the steering vector for
Figure pat00060
is the conjugate transpose of the matrix,
Figure pat00061
is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virtual interferers,
Figure pat00062
can be expressed as: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3

여기서,

Figure pat00064
는 신호의 스냅샷을 의미하며,
Figure pat00065
는 배열안테나로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Figure pat00066
번째 스냅샷을 의미한다. 생성한
Figure pat00067
를 이용해 가상 간섭원 방향들에 대해 널을 생성하면서 바라보고자 하는 방향
Figure pat00068
로 빔을 조향한다. 이 경우 빔포밍 벡터
Figure pat00069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here,
Figure pat00064
denotes a snapshot of the signal,
Figure pat00065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array antenna
Figure pat00066
the second snapshot. created
Figure pat00067
The direction to look at while generating nulls for virtual interferer directions using
Figure pat00068
Steer the beam with In this case, the beamforming vector
Figure pat00069
can be expressed as:

Figure pat00070
Figure pat00070

도 5는 가상 간섭원 개수에 따른 널 폭 및 깊이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null width and dep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Figure pat00071
를 이용해 일정 간격 방향에 대해 널을 생성할 경우 도 5와 같이 널 폭 및 널 깊이가 증가한다. 널을 깊게 생성함으로써 억제하고자 하는 재밍 신호 또는 간섭 신호를 더욱 억제할 수 있으며 널 폭을 증가시킴으로써 억제할 신호가 널에서 벗어나 SINR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pat00071
When nulls are generated in the direction of a constant interval using , the null width and the null depth increase as shown in FIG. 5 . By creating deep nulls, jamming signals or interference signals to be suppressed can be further suppressed, and by increasing the null width, it is possible to prevent signals to be suppressed from deteriorating SINR performance.

최적의 널 폭은 재밍 신호의 도래각 추정 오차 발생 시 재밍 신호 방향이 널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파티클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 기술을 통해 추정한 재밍 신호의 도래각과 각도 추정 오차의 차이와 최대한 유사한 값으로 결정한다. 널 폭

Figure pat00072
는 가상 간섭원 개수
Figure pat00073
와 인접한 가상 간섭원 간 각도 간격
Figure pat00074
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파티클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 이용 시 각도 추정 오차
Figure pat00075
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optimal null width is a value that is as similar as possibl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estimated through particle filter-based angle of arrival tracking technology and the angle estimation error in order to prevent the direction of the jamming signal from deviating from the null when an error in estimation of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occurs. to decide board width
Figure pat00072
is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Figure pat00073
Angular spacing between the virtual interferers adjacent to
Figure pat00074
It can be expressed as a product of , and angle estimation error when using particle filter-based angle of arrival tracking
Figure pat00075
can be expressed using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6

여기서,

Figure pat00077
은 올림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78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도래각 추적 방식에 따라 추정 방법이 다를 수 있다.here,
Figure pat00077
means round up.
Figure pat00078
can be expressed as follows, and the estimation method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ngle of arrival tracking method.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79

여기서,

Figure pat00080
는 총 파티클 수이고,
Figure pat00081
Figure pat00082
번째 타임 슬롯에서
Figure pat00083
번째 파티클의 가중치이며,
Figure pat00084
Figure pat00085
번째 타임 슬롯에서
Figure pat00086
번째 파티클의 재밍 신호 도래각이고,
Figure pat00087
Figure pat00088
번째 타임 슬롯에서의 도래각 추정값을 의미한다.here,
Figure pat00080
is the total number of particles,
Figure pat00081
Is
Figure pat00082
in the second timeslot
Figure pat00083
is the weight of the th particle,
Figure pat00084
Is
Figure pat00085
in the second timeslot
Figure pat00086
is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of the th particle,
Figure pat00087
Is
Figure pat00088
It means the estimated value of the angle of arrival in the th time slo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 및 기지국이 수행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pparatus and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110)의 프로세서부(112)는 통신부(111)에 수신된 파일럿 신호에 재밍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610).Referring to FIG. 6 , the processor unit 112 of the base station 110 checks whether a jamming signal exists in the pilot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11 (S610).

프로세서부(112)는 재밍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기 약속된 파일럿 신호 주기에 따라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적 및 적응형 널 폭 제어의 주기를 설정한다(S620).When a jamming signal exists, the processor unit 112 sets a period for tracking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and controlling the adaptive null width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ilot signal period (S620).

이어서, 프로세서부(112)는 파티클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한다(S630, S640).Subsequently, the processor unit 112 estimates an error between the nulling direction of the beam and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using particle filter-based angle-of-arrival tracking (S630 and S640).

그리고, 프로세서부(112)는 추정된 오차에 기초하여 널이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도록 널 폭을 제어한다(S650, S660).Then, the processor unit 112 controls the null width so that the null includes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based on the estimated error (S650 and S660).

그리고, 프로세서부(112)는 널 폭을 제어하는 단계의 이후에, 다음 파일럿 신호에 대해 수신을 대기한다(S670)After the step of controlling the null width, the processor unit 112 waits for reception of the next pilot signal (S670).

한편, 프로세서부(112)는 단계 S610에서 파일럿 신호에 재밍 신호에 존재하지 않은 것이 확인이 되면, 일반적인 제어 과정과 마찬가지로 빔 조향부(113)를 제어하여 단말 방향으로 빔을 조향한다(S680).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in step S610 that the pilot signal does not exist in the jamming signal, the processor unit 112 controls the beam steering unit 113 to steer the beam toward the terminal, as in a general control process (S680).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지국(110)은 재밍 신호가 존재함을 확인한 후 재밍 신호를 추적하고 도래각 추정 오차를 추정해 널 생성 방향 및 널 폭을 결정해 제어한다. 재밍 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시 통신 방향으로 빔을 조향하여 다음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유지한다.As described above, after confirming that a jamming signal exists, the base station 110 tracks the jamming signal, estimates an angle of arrival estimation error, determines and controls a null generation direction and a null width. When there is no jamming signal, the beam is steered in the communication direction and maintained until the next pilot signal is received.

파티클 필터를 통해 근사된 도래각 오차

Figure pat00089
를 이용한 널 폭 결정 시, 널 폭
Figure pat00090
를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해 결정할 수 있다.Error in angle of arrival approximated by particle filter
Figure pat00089
When determining the board width using
Figure pat00090
can be determin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91
Figure pat00091

여기서

Figure pat00092
는 인접한 가상 간섭원 간 간격이고,
Figure pat00093
는 가상 간섭원 개수로서 정수이다.here
Figure pat00092
is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virtual interferers,
Figure pat00093
is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and is an integer.

적응형 널 폭 제어를 이용할 시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각도 추정 오차에도 재밍 신호가 널을 벗어나지 않고 충분히 억제되어 안정적인 신호 수신을 보장할 수 있다.When the adaptive null width control is used, the jamming signal does not leave the null and is sufficiently suppressed even in the case of an angle estimation error that suddenly occurs, thereby ensuring stable signal rece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적 및 적응형 널 폭 제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정된 위치의 기지국 및 단말기 간 통신에 이동성이 큰 재머 및 그 신호가 존재하는 실험 환경을 구현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racking the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and controlling the adaptive null wid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erimental environment in which a highly mobile jammer and its signal exist in communication between a stationary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t a fixed location is implemented. So, the simulation was conducted.

도 7은 파티클로 근사한 도래각 추정 오차, 실제 도래각 오차, 추정 오차를 이용해 결정한 널 폭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로서, 각 그래프 간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래각 추정 오차가 발생하면 추정 오차를

Figure pat00094
의 배수가 되도록 올림한 값만큼 널 폭이 결정이 되며 또한 가상 간섭원의 개수 조절을 통해 결정된 널 폭 값만큼 널을 확장한다. 도 7을 통해 널 폭이 실시간으로 도래각 추정 오차에 따라 제어됨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파티클로 근사한 도래각 추정 오차 값이 실제 도래각 추정 오차와 흡사한 결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7 is a graph showing a null width determined using an estimation error of an angle of arrival approximated by a particle, an error of an actual angle of arrival, and an estimation error over time, and is a simulation result for confirming correlation between each graph. If the angle of arrival estimation error occurs, the estimation error
Figure pat00094
The null width is determined by a value rounded up to be a multiple of , and the null is extended by the null width value determin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It can be confirmed through FIG. 7 that the null width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ngle of arrival estimation error in real time. Additional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ngle of arrival estimation error value approximated by particles has a result similar to the actual angle of arrival estimation error.

도 8은 파티클 필터만을 이용해 재밍 신호 도래각을 추정하고 해당 방향으로 널을 생성하는 기술과 적응형 널 폭 제어를 적용한 기술의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의 좌측은 각 기술 적용 시 타임 슬롯에 따른 도래각 추정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추정 각도의 RMSE (Root Mean Square Error) 분석 결과이다. 신호 도래각 추정 정확도는 비슷하지만 적응형 널 폭 제어 기술이 근소하게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적응형 널 폭 제어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도래각 추정 오차에 대응할 수 있다.8 is a graph comparing performance of a technique of estimating the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using only a particle filter and generating nulls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and a technique of applying adaptive null width control. The left side of FIG. 8 shows the accuracy of estimating the angle of arrival according to the time slot when each technology is applied, and is th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nalysis result of the estimated angle. Although the signal angle of arrival estimation accuracy is similar, the adaptive null width control technique has slightly better performance and can cope with the continuously occurring angle of arrival estimation error through the adaptive null width control.

도 8의 우측은 타임 슬롯에 따른 각 기술 적용 시의 신호 수신 안정성의 지표인 SINR 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적응형 널 폭 제어 기술 미적용과 적응형 널 폭 제어 기술 적용 및 널을 생성하지 않고 기지국과 단말의 도래각 방향으로 조향하는 컨벤셔널 빔포밍하였을 경우의 SINR 성능을 비교하자. 시간이 지날수록 기존 널링 방향 제어 기술은 재밍 신호의 도래각을 추적하지 않고 널을 생성하지 않는 빔포밍 기술 적용 시의 성능보다 떨어지는 반면 적응형 널 폭 제어 기술은 비교적 높은 SINR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The right side of FIG. 8 shows SINR performance, which is an index of signal reception stability when each technology is applied according to time slots. Let's compare SINR performance whe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technology is not applied and whe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technology is applied and conventional beamforming is performed in which nulls are not generated and steer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ival angle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Over time, the existing nulling direction control technology is inferior to the performance of the beamforming technology that does not track the arrival angle of the jamming signal and does not generate nulls, whereas the adaptive null width control technology can guarantee relatively high SINR performance. can know that

한편,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 및 기지국의 항재밍 빔포밍 방법에 포함된 각각의 단계는,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step included in the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and the anti-jamming beamform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a computer readable program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se steps. It can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 기술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에 기초해 널 폭을 결정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반영해 결정한 폭으로 널을 생성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빔을 조향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rror between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is estimated using a Bayesian filter-based angle of arrival tracking technique, and a null width is determined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null is generated with a width determined by reflecting an error between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and the beam is steered in a desired direction.

따라서, 재밍 신호의 도래각을 정확히 추적할 수 있고, 도래각의 오차에 대해 적응적으로 대응하기 때문에, 항재밍 빔포밍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since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can be accurately tracked and an error in the angle of arrival is adaptively responded to, the performance of anti-jamming beamforming is improved.

본 발명에 첨부된 각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each step in each flowchart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loaded into a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a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function a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create a means to do them.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stored o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dium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functions in a particular way, so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stored on the recording medium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load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generat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equipment may als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at each step in the flowchart.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possible for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function in ques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qua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통신 시스템
110: 기지국
111: 통신부
112: 프로세서부
113: 빔 조향부
120: 단말기
130: 재머
100: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10: base station
111: communication department
112: processor unit
113: beam steering unit
120: terminal
130: jammer

Claims (14)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가 수행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으로서,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오차에 기초하여 널이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도록 널 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n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pparatus,
Estimating an error between a beam nulling direction and a jamming signal arrival angle using Bayesian filter-based angle-of-arrival tracking;
Controlling a null width so that a null includes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based on the estimated error.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를 추정하는 단계의 이전에, 수신된 파일럿 신호에 재밍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기 약속된 파일럿 신호 주기에 따라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적 및 적응형 널 폭 제어의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널 폭을 제어하는 단계의 이후에, 다음 파일럿 신호에 대해 수신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Prior to the step of estimating the error, if a jamming signal exists in the received pilot signal, setting a period for tracking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and controlling the adaptive null width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of the pilot signal;
After the step of controlling the null width, further comprising waiting for reception of a next pilot signal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를 추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베이지안 필터로서 파티클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 시, 매 타임 슬롯마다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실제 수신 신호에서 기지국과 단말기 간 예상 수신 신호를 뺀 나머지를 이용하여 도래각을 추적하되,
Figure pat00095

(여기서
Figure pat00096
는 파티클 필터 기반 재밍 신호 추적에 사용할 측정대상이고,
Figure pat00097
는 실제 수신 신호이며,
Figure pat00098
는 기지국과 단말기 간 수신 파일럿 신호임.)
매 타임 슬롯마다 확률론적 진화 모델을 따르는
Figure pat00099
개의 무작위 파티클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파티클에 가능도에 따른 가중치를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부여하고,
Figure pat00100

(여기서
Figure pat00101
Figure pat00102
번째 파티클이고,
Figure pat00103
Figure pat00104
번째 파티클의 가중치이며,
Figure pat00105
Figure pat00106
에 해당하는 재밍 신호의 채널 이득 및 도래각을 가정했을 때의 예상 측정대상과
Figure pat00107
간 가능도를 의미하고, 모든 가중치의 합은 1이 되어야 함,)
Figure pat00108
번째 타임 슬롯에 해당하는 상태 벡터의 추정값
Figure pat00109
는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는
Figure pat00110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error, when tracking the angle of arrival based on the particle filter as the Bayesian filter, the angle of arrival is calculated using the remainder after subtracting the expected received signa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from the actual received signal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or each time slot track,
Figure pat00095

(here
Figure pat00096
is the measurement target to be used for particle filter-based jamming signal tracking,
Figure pat00097
is the actual received signal,
Figure pat00098
is the received pilot signa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Following a stochastic evolutionary model at every time slot
Figure pat00099
Random particles are generated, and each generated particle is given a weight according to the probability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100

(here
Figure pat00101
Is
Figure pat00102
is the second particle,
Figure pat00103
silver
Figure pat00104
is the weight of the th particle,
Figure pat00105
Is
Figure pat00106
Assuming the channel gain and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corresponding to
Figure pat00107
It means the likelihood of the interval, and the sum of all weights must be 1,)
Figure pat00108
estimate of the state vector corresponding to the th time slot
Figure pat00109
can be expressed as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110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차(
Figure pat00111
)를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Figure pat00112

(여기서,
Figure pat00113
는 총 파티클 수이고,
Figure pat00114
Figure pat00115
번째 타임 슬롯에서
Figure pat00116
번째 파티클의 가중치이며,
Figure pat00117
Figure pat00118
번째 타임 슬롯에서
Figure pat00119
번째 파티클의 재밍 신호 도래각이고,
Figure pat00120
Figure pat00121
번째 타임 슬롯에서의 도래각 추정값을 의미함.)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error, the error (
Figure pat00111
) is estim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112

(here,
Figure pat00113
is the total number of particles,
Figure pat00114
Is
Figure pat00115
in the second timeslot
Figure pat00116
is the weight of the th particle,
Figure pat00117
Is
Figure pat00118
in the second timeslot
Figure pat00119
is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of the th particle,
Figure pat00120
Is
Figure pat00121
It means the estimated value of the angle of arrival in the th time slot.)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널 폭을 제어하는 단계는,
인접 가상 간섭원 간격
Figure pat00122
를 고정한 후 중심 널링 방향 주위에
Figure pat00123
의 간격으로 가정할 가상 간섭원의 개수
Figure pat00124
를 조정하여 상기 널 폭을 제어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null width,
Adjacent Virtual Interferer Spacing
Figure pat00122
around the center knurling direction after fixing
Figure pat00123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to be assumed with an interval of
Figure pat00124
to control the knurl width by adjusting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널 폭을 제어하는 단계는,
가상 간섭원 개수
Figure pat00125
를 고정한 후 중심 널링 방향 주위에
Figure pat00126
개의 가상 간섭원을 배치할 인접 가상 간섭원 간의 간격
Figure pat00127
을 조정하여 상기 널 폭을 제어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null width,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Figure pat00125
around the center knurling direction after fixing
Figure pat00126
Interval between adjacent virtual interferers to place the virtual interferers
Figure pat00127
to control the knurl width by adjusting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널 폭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널 폭
Figure pat00128
를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Figure pat00129

(여기서,
Figure pat00130
는 파티클 필터를 통해 근사된 도래각 오차이고,
Figure pat00131
는 인접한 가상 간섭원 간 간격이고,
Figure pat00132
는 가상 간섭원 개수로서 정수임.
적응형 널 폭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null width, the null width
Figure pat00128
To determine using the equation below,
Figure pat00129

(here,
Figure pat00130
is the angle of arrival error approximated through the particle filter,
Figure pat00131
is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virtual interferers,
Figure pat00132
is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which is an integer.
Adaptive null width control method.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프로세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한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하며, 상기 추정된 오차에 기초하여 널이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도록 널 폭을 제어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cluding a processor unit,
The processor unit,
Estimating an error between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using Bayesian filter-based angle of arrival track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a null width so that the null includes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based on the estimated error
Adaptive board width contro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오차를 추정하기 이전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파일럿 신호에 재밍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기 약속된 파일럿 신호 주기에 따라 재밍 신호 도래각 추적 및 적응형 널 폭 제어의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널 폭을 제어한 이후에, 다음 파일럿 신호에 대해 수신 대기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processor unit,
Before estimating the error, if a jamming signal exists in the pilo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period for tracking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and controlling the adaptive null width is se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ilot signal period, and the null After controlling the width, waiting to receive the next pilot signal
Adaptive board width contro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인접 가상 간섭원 간격
Figure pat00133
를 고정한 후 중심 널링 방향 주위에
Figure pat00134
의 간격으로 가정할 가상 간섭원의 개수
Figure pat00135
를 조정하여 상기 널 폭을 제어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processor unit,
Adjacent Virtual Interferer Spacing
Figure pat00133
around the center knurling direction after fixing
Figure pat00134
The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to be assumed with an interval of
Figure pat00135
to control the knurl width by adjusting
Adaptive board width contro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가상 간섭원 개수
Figure pat00136
를 고정한 후 중심 널링 방향 주위에
Figure pat00137
개의 가상 간섭원을 배치할 인접 가상 간섭원 간의 간격
Figure pat00138
을 조정하여 상기 널 폭을 제어하는
적응형 널 폭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processor unit,
Number of virtual interferers
Figure pat00136
around the center knurling direction after fixing
Figure pat00137
Interval between adjacent virtual interferers to place the virtual interferers
Figure pat00138
to control the knurl width by adjusting
Adaptive board width control.
단말기와 무선망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빔의 널링 방향과 널 폭을 결정하는 프로세서부와,
상기 프로세서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빔을 조향하는 빔 조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한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하며, 상기 추정된 오차에 기초하여 널이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도록 널 폭을 결정하고,
상기 빔 조향부는,
상기 결정된 널 폭에 맞춰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빔을 조향하는
기지국.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hrough a terminal and a wireless network;
A processor unit for determining a nulling direction and a null width of a beam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A beam steering unit for steering a bea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processor unit;
The processor unit,
Estimating an error between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using Bayesian filter-based angle of arrival track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based on the estimated error, determining a null width such that the null includes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The beam steering unit,
Steering a bea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null width
base station.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오차에 기초하여 널이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도록 널 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When the computer program is executed by a processor,
Estimating an error between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using Bayesian filter-based angle of arrival tracking, and controlling a null width so that the null includes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based on the estimated error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instructions for causing the processor to perform a method.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베이지안 필터 기반 도래각 추적을 이용해 빔의 널링 방향과 재밍 신호 도래각 간의 오차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오차에 기초하여 널이 재밍 신호 도래각을 포함하도록 널 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As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hen the computer program is executed by a processor,
Estimating an error between a nulling direction of a beam and an angle of arrival of a jamming signal using Bayesian filter-based angle of arrival tracking, and controlling a null width so that the null includes the angle of arrival of the jamming signal based on the estimated error A computer program comprising instructions for causing the processor to perform a method.
KR1020210089730A 2021-07-08 2021-07-08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nd base station using same KR1024993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730A KR102499336B1 (en) 2021-07-08 2021-07-08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nd base station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730A KR102499336B1 (en) 2021-07-08 2021-07-08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nd base station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101A true KR20230009101A (en) 2023-01-17
KR102499336B1 KR102499336B1 (en) 2023-02-14

Family

ID=8511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730A KR102499336B1 (en) 2021-07-08 2021-07-08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nd base station u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33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14364A (en) * 2024-03-19 2024-04-19 艾索信息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wide null bea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7914364B (en) * 2024-03-19 2024-05-31 艾索信息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wide null bea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3436A (en) * 1999-05-03 2002-12-17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obust DOA estimation for antenna arrays
KR20110118385A (en) * 2010-04-23 2011-10-31 국방과학연구소 Phased array antenna system providing nulling in the direction of jamm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80088404A (en) * 2015-12-02 2018-08-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Systems and methods for mixed interference management
KR102069209B1 (en) 2018-02-28 2020-01-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angle-of-arrival
KR102165835B1 (en) * 2019-12-27 2020-10-14 국방과학연구소 Method for tracking beam via particle filter in mmWave communication and base st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3436A (en) * 1999-05-03 2002-12-17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obust DOA estimation for antenna arrays
KR20110118385A (en) * 2010-04-23 2011-10-31 국방과학연구소 Phased array antenna system providing nulling in the direction of jamm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80088404A (en) * 2015-12-02 2018-08-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Systems and methods for mixed interference management
KR102069209B1 (en) 2018-02-28 2020-01-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angle-of-arrival
KR102165835B1 (en) * 2019-12-27 2020-10-14 국방과학연구소 Method for tracking beam via particle filter in mmWave communication and base station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14364A (en) * 2024-03-19 2024-04-19 艾索信息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wide null bea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7914364B (en) * 2024-03-19 2024-05-31 艾索信息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wide null bea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336B1 (en)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92300T3 (en) Location of user equip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delays and path strengths
US69072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ed rank channel estima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4805591B2 (en) Radio wave arrival direction tracking method and radio wave arrival direction tracking device
EP3199970B1 (en) Method of locating a transmitting source in multipath environment and system thereof
US1158588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gle estimation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US200701392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direction estimation of radio waves
Kim et al. RIS-enabled and access-point-free simultaneous radio localization and mapping
Patra et al. A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adaptive beamforming techniques
Tabrikian et al. Cognitive antenna selection for DOA estimation in automotive radar
KR1024993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null width control, and base station using same
Amjadi et al. An iterative array signal segregation algorithm: A method for interference cancelation and multipath mitigation in complex environments
US10972198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measuring wireless signal
Tsang et al. Successive AoA estimation: Revealing the second path for 60 GHz communication system
Ren et al. Rice factor estimation from the channel phase
Sarkar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uniform concentric circular antenna array beamformer using different doa estimation technique
Lee et al. Adaptive array beamforming with robust capabilities under random sensor position errors
Prasad et al. RSS-based positioning in distributed massive MIMO under unknown transmit power and pathloss exponent
KR101007350B1 (en) Method of detecting and cancelling multipath interference signal and apparatus thereof
Zeng et al. Delay compensation for distributed MIMO radar with non-orthogonal waveforms
Bucher et al. Influence of channel parameters on noncoherent massive mimo systems
JP4119719B2 (en) Mobile station direction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JP4660562B2 (en) Mobile station direction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3746513B (en) Processing method of beam forming information and network equipment
US11876301B2 (en) Autonomous radiation pattern generation antenna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ham Statistical behavior and performance of adaptive antennas in multipath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