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552A - Line failure section indicator for reducing fault patrol section of power distribution - Google Patents

Line failure section indicator for reducing fault patrol section of power distribu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552A
KR20230008552A KR1020210089348A KR20210089348A KR20230008552A KR 20230008552 A KR20230008552 A KR 20230008552A KR 1020210089348 A KR1020210089348 A KR 1020210089348A KR 20210089348 A KR20210089348 A KR 20210089348A KR 20230008552 A KR20230008552 A KR 20230008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display
section indicator
line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주혁
유정욱
이정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89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8552A/en
Publication of KR20230008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5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01R13/0281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using electro-optic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ult section indicator for reducing a fault inspection section of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which can reduce an inspection section of a distribution line and quickly identify and restore fault si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ult section indicator for reducing a fault inspection section of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comprises: a CT core part making up CT for detecting an alternating current flowing in a target line in a noncontact manner; a display part activated by a current detected in the CT to visually display the current to the outside; and a grip part having a cut groove formed in a V-shape and two branches branching by the cut groove. A gripper capable of gripping the line while enclosing the CT core part therein is formed on ends of the branches. Male screw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including the lower end of the cut groove of the grip part. The display part includes: a Y-shaped display frame arranged on a lower area of the male screw threads; and a cover frame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the visual display of the display part passes, having a thimble shape protecting the display part, and having female screw thread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male screw threads.

Description

배전설비 고장 순시구간 축소를 위한 고장 구간 표시기{LINE FAILURE SECTION INDICATOR FOR REDUCING FAULT PATROL SECTION OF POWER DISTRIBUTION}Fault section indicator for reducing instantaneous section of power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본 발명은 고장개소 파악을 지연시키는 배전설비 고장에 관련된 넓은 순시구간에 대하여 배전설비 고장 순시구간을 축소시키고, 불량기자재의 적출을 통한 배전선로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고장 구간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ilure section indicator capable of reducing a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instantaneous section for a wide instantaneous section related to a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that delays the identification of a fault location and preventing a distribution line failure through the extraction of defective equipment.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대전력은 송전탑 등에 연결 지지된 송전선로(transmission line)를 통해 변전소로 송전된다. 그리고 변전소에서는 송전받은 송전전압을 배전전압으로 강압시킨 후 지중관로(underground wiring pipe) 또는 전주에 연결된 배전선로(distribution line)를 통해 가정이나 산업체 등에 단상 또는 3상 전력으로 공급된다. In general, large power generated in a power plant is transmitted to a substation through a transmission lin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a transmission tower or the like. In the substation, the received transmission voltage is stepped down to distribution voltage, and then supplied as single-phase or three-phase power to homes or industries through underground wiring pipes or distribution lines connected to utility poles.

실생활에서의 전기 안전 및 전력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배전선로에서 발생된 고장은 신속하게 조치되어야 한다. 배전선로 고장발생 즉시 선로순시를 시행하나, 넓은 순시구간으로 고장개소 파악에 시간이 지연되며, 넓은 구간대비 적출율이 낮아짐에 따라 복구까지 장시간 소모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electrical safety and power consumer satisfaction in real life, failures occurring in distribution lines must be promptly dealt with. A line patrol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a distribution line failure occurs, but due to the wide instantaneous section, it takes time to identify the faulty area, and as the extraction rate decreases compared to the wide section, there are cases where it takes a long time to recover.

특히, 일반인과 전력설비 안전성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고장개소 미적출시 불가피하게 시행하는 시험송전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기에 정확도와 적출율 향상을 위해서 순시구간 축소가 요구되기도 하다.In particular, in a situation where the importance of the safety of the public and power facilities is increasing, the burden of test transmission, which is inevitably carried out in case of failure to detect, is increasing, so instantaneous section reduction is required to improve accuracy and detection rat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장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배전선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tribution line for explaining a failur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한 배전선로에서 발생된 고장에 대한 복구 절차를 순서대로 기술하면, ① 선로고장 발생, ② DAS 고장정보(FI) 확인, ③ 배전선로 고장구간 순시시행, ④ 고장개소 확인 후 복구로 이루어진다.If the restoration procedure for the failure occurred in the illustrated distribution line is described in order, ① occurrence of line failure, ② confirmation of DAS failure information (FI), ③ instantaneous execution of the failure sec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④ recovery after confirmation of the failure.

이러한 순서의 종래 기술에 따른 고장 복구 과정은, 분기선로 및 수동개폐기 구간을 포함한 광범위한 순시구간으로 복구에 장시간이 소요된다.The failure recovery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this sequence takes a long time to recover in a wide range of instantaneous sections including branch lines and manual switch sections.

상술한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장발생시 자동화 개폐기의 고장정보(FI) 알람으로 배전선로 고장구간 확인 가능하나, 세부적인 고장개소 특정이 불가하며, 고가의 개폐기로 필수개소에만 설치하고 있다. 또한, 선로에 분기선로가 많아 순시하여야 할 구간이 광범위하다. 예컨대, 전구간 송전완료까지 평균 60분 정도 소요되나, 선로마다 장경간 특성에 따라 순시완료에 걸리는 시간의 편차가 크다. 이에 따라, 고장개소 파악에 장시간 소모됨으로 추가사고 발생시 초기대응능력이 낮다.Looking at the above problems in detail, it is possible to check the fault sec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with the fault information (FI) alarm of the automated switch when a fault occurs, but it is not possible to specify the faulty part in detail, and the expensive switch is installed only in the essential part. In addition, there are many branch lines in the line, so the section to be patrolled is wide. For example, it takes about 60 minutes on average to complete transmission of all sections, but the time required for instantaneous completion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long spans of each line. Accordingly, it takes a long time to identify the faulty area, and the initial response ability is low in the event of an additional accident.

또한, '20년 고압정전 6,245건 중 원인불명의 고장이 18%로, 고장원인 미해소시 추가고장 재발확률이 높음(면밀히 순시하여야 적출가능한 폴리머 기자재의 점유율이 커짐에 따라 원인불명 고장이 많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반복된 고장으로 인한 정전뿐만 아니라 건전한 기자재에도 스트레스를 주게 되어 장기적으로 해당 선로의 위험도 지수를 증가시키게 된다.In addition, 18% of 6,245 cases of high-voltage power outage in 2020 were of unexplained failures, and the probability of recurrence of additional failures is high if the cause of failure is not resolved. present) can be found. In this environment, not only power outages due to repeated failures, but also stress on sound equipment and materials increase the risk index of the line in the long term.

대한민국 공개공보 10-2017-0092855호 : 활선 표시 장치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10-2017-0092855: Live wir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순시구간을 축소하고 신속한 고장개소 파악 및 복구를 위한 배전선로 고장구간 표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instantaneous section of a distribution line and to provide a distribution line failure section indicator for quickly identifying and recovering a failure poi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전설비 고장 순시구간 축소를 위한 고장 구간 표시기는, 대상 선로로 흐르는 교류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하는 CT를 구성하는 CT 코어부와, 상기 CT에 검출되는 전류에 의해 활성화되어 외부로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표시부와, V자 형상으로 절개홈 및 상기 절개홈에 의해 분기되는 2개의 브런치가 형성된 파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브런치의 말단에는 상기 CT 코어부를 내부에 감싸면서 상기 선로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상기 절개홈의 하단을 포함하는 외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나사산의 아래쪽 영역에 배치된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 및For reducing the instantaneous section of a power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ult section indicator includes a CT core part constituting a CT that non-contactly detects alternating current flowing through a target line, a display part that is activated by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T and visually displayed to the outside, and a V-shaped cutout and A gripping part having two branches diverging from the incision groove is provided, and a gripping tool capable of gripping the line while wrapping the CT core part insid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branch, and the incision of the gripping part is formed. A male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including a lower end of the groove, and the display unit includes a Y-shaped display frame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male thread; and

상기 표시부의 시각적 표출이 통과되는 재질로 상기 표시부를 보호하는 골무 형상을 가지며, 내면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커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t is a material through which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display unit passes, and has a thimble shape for protecting the display unit, and may include a cover frame having internal threads formed with female threads that can be coupled to the male threads.

여기서, 상기 수나사산과 암나사산을 회전시켜 체결하는 방식으로, 상기 커버 프레임이 상기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에 대하여 결합되면, 상기 V자 형상으로 절개홈이 닫히면서, 상기 2개의 브런치의 말단에 형성된 파지부들이 서로 원형으로 맞물려 상기 선로를 파지할 수 있다.Here, when the cover frame is coupled to the Y-shaped display frame by rotating and fastening the male screw thread and the female screw thread, the V-shaped cutting groove is closed, and the ends of the two branches are closed. The formed holding parts may be circularly engaged with each other to hold the line.

여기서, 상기 CT 코어부는, 상기 2개의 브런치 중 하나에 형성된 파지부에 내장되는 제1 CT 코어; 및 상기 2개의 브런치 중 나머지에 형성된 파지부에 내장되는 제2 CT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T core part may include a first CT core embedded in a holding part formed in one of the two branches; and a second CT core embedded in the holding part formed in the other of the two branches.

여기서, 상기 커버 프레임이 상기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에 대하여 결합되면, 상기 제1 CT 코어 및 상기 제2 CT 코어의 말단에 일부 노출된 금속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다.Here, when the cover frame is coupled to the Y-shaped display frame, metal surfaces partially exposed at ends of the first CT core and the second CT core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CT 코어부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유도 코일; 상기 유도 코일에 유도된 전류가 소정 크기 이상이면 턴온되어, 턴온 상태를 유지하는 트리거 소자; 상기 트리거 소자의 턴온 상태에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n induction coil that spirally winds the CT core unit; a trigger element that is turned on when the current induced in the induction coil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and maintains a turn-on state; a light emitting element that emits light when the trigger element is turned on;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트리거 소자가 턴온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트리거 소자를 턴오프시키는 리셋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set circuit for turning off the trigger elemen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trigger element is turned on.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턴온 상태의 상기 트리거 소자를 턴오프시키는 리셋 조작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set operator for turning off the trigger element in a turn-on state according to an operator's manipulation.

여기서, 상기 트리거 소자는, 상기 선로로 500A 또는 250A의 전류가 흐를때 턴온될 수 있다.Here, the trigger element may be turned on when a current of 500A or 250A flows through the line.

여기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표시부의 최하단에서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의 최하단에는 상기 발광 소자가 방출된 광이 통과되는 원홀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arranged to emit light at the lowermost end of the display unit, and a circular hole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passes may be form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cover frame.

여기서, 상기 표시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의 기본 골격 또는 외면은 폴리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Here, basic skeletons or outer surfaces of the display frame and the cover frame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구간 표시기를 실시하면, 배전선로의 순시구간을 축소하고 신속한 고장개소 파악 및 복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If the distribution line failure sec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implement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stantaneous sec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can be reduced and quick identification and recovery of the failure area are possible.

본 발명의 배전선로 고장구간 표시기는, 배전계통 필요개소에 시설함으로써, 일반인 안전사고를 경감하고, 전력 판매량을 증가시키며, 고객 공급지장피해 및 민원을 줄일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distribution line failure section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safety accidents for the general public, increasing electricity sales, and reducing customer supply disruption damage and civil complaints by installing it in a necessary place in the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의 배전선로 고장구간 표시기는, 설치 및 철거가 간편하며, 순시자 및 일반인도 확인이 가능한 광학신호로 고장개소의 파악에 용이한(현재 일반인 정전신고에 의한 변압기단위·고압고장의 고장개소 파악도 종종 있음) 이점이 있다.The distribution line failure section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and it is easy to identify the failure point with an optical signal that can be confirmed by the patrol person and the general public There is also an advantage.

본 발명의 배전선로 고장구간 표시기는, 폴리머 기자재의 관통 등 증가하고 있는 원인불명 고장에 대하여 정밀순시가 가능함으로써 사전예방하여 추가고장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distribution line failure section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additional failures by preventing them in advance by enabling precise patrolling for the increasing number of failures of unknown cause, such as penetration of polymer equipm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장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배전선로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고장 구간 표시기를 구성하는 표시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고장 구간 표시기를 구성하는 커버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고장 구간 표시기가 전주에 설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b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고장 구간 표시기가 전주 등 배전선로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고장 구간 표시기의 기능 구성 요소들을 표현한 단면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tribution line for explaining a failur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play frame constituting a failure sec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ver frame constituting a failure sec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failure sec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electric pole.
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ilure sec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distribution line such as an electric pol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functional components of a failure interval indicat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e or includ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본 발명에서는 고장개소 파악을 지연시키는 배전설비 고장에 관련된 넓은 순시구간에 대한 대책으로서, 배전선로상 간선·분기선로에 적합한 상전류 검출기로서, 장경간의 간선 중간지점 및 분기선로 인입부에 간이하고도 안정적으로 설치가 가능한 배전설비 고장 순시구간 축소를 위한 분기선로 등 선로에 대한 고장 구간 표시기를 제안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untermeasure against a wide instantaneous section related to a failure of a distribution facility that delays identification of a fault location, a phase current detector suitable for trunk lines and branch lines on distribution lines is simple and stable at the midpoint of long-span trunk lines and branch line leads. We propose a failure section indicator for lines such as branch lines to reduce the instantaneous section of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that can be installed with

구현에 따라, 고장 구간 표시기로서 다수의 간선·분기선로에 설치된 각 상전류검출기는 설정 계측값(간선용 500A : 5A / 분기용 250A : 2.5A)을 초과한 상별 고장전류값을 감지할 경우 LED 점등을 통한 “광학신호”를 표출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고정된 기준값을 이용하여 제작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ach phase current detector installed on a number of main lines and branch lines as a failure section indicator turns on the LED when it detects a fault current value for each phase that exceeds the set measurement value (500A for main line: 5A / 250A for branch: 2.5A). It can be manufactured to express “optical signal” through That is,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by using a fixed reference value.

구현에 따라, 2시간 reset 기능을 통하여, 첫 신호 표출 이후 “2시간”이 경과하면 광학신호는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이는 2시간은 통상적 선로동작을 기점으로 평균 복구시간을 1시간을 가정한 현장 사정을 감안한 것이며, 이에 따라 내장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다음 번 고장을 감지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rough the 2-hour reset function, the optical signal may be automatically turned off when “2 hours” have elapsed since the first signal expression. This 2 hours is taken into account the site conditions assuming an average recovery time of 1 hour starting from normal line operation. Accordingly, the consumption of the built-in battery can be prevented, and the next failure can be restored to a state that can be detected. there is.

도 2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고장 구간 표시기를 구성하는 표시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play frame constituting a failure sec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고장 구간 표시기를 구성하는 커버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ver frame constituting a failure sec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고장 구간 표시기가 전주에 설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3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failure sec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electric pole.

도 3b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고장 구간 표시기가 전주 등 배전선로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ilure sec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distribution line such as an electric pole.

도시한 배전설비 고장 순시구간 축소를 위한 분기선로 등 선로 고장 구간 표시기는, 대상 분기선로(3)로 흐르는 교류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하는 CT를 구성하는 CT 코어부(101, 102)와, 상기 CT에 검출되는 전류에 의해 활성화되어 외부로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표시부와, V자 형상으로 절개홈 및 상기 절개홈에 의해 분기되는 2개의 브런치가 형성된 파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브런치의 말단에는 상기 CT 코어부(101, 102)를 내부에 감싸면서 상기 분기선로(3)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상기 절개홈의 하단을 포함하는 외면에는 수나사산(290)이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나사산(290)의 아래쪽 영역에 배치된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200); 및 상기 표시부의 시각적 표출이 통과되는 재질로 상기 표시부를 보호하는 골무 형상을 가지며, 내면에는 상기 수나사산(290)과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산(390)이 형성된 커버 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For reducing the instantaneous section of the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shown The line fault section indicator, such as a branch line, is activated by the CT core parts 101 and 102 constituting the CT that non-contactly detect the alternating current flowing to the target branch line 3 and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T, and visually , and a holding part formed with a V-shaped incision groove and two branches branched off by the incision groove, but at the end of the branch, while wrapping the CT core parts 101 and 102 inside, A gripper capable of gripping the branch line 3 is formed, and a male screw thread 290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including a lower end of the incision groove of the gripper, and the display unit is formed of the male screw thread 290. a Y-shaped display frame 200 disposed in a lower area; and a cover frame 300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display passes and having a thimble shape for protecting the display, and a female screw thread 390 that can be coupled to the male screw thread 290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there is.

도시한 배전설비 고장 순시구간 축소를 위한 고장 구간 표시기는, 도 2a에 도시한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200)과, 도 2b에 도시한 골무 형상의 상기 커버 프레임(300)으로 이루어진다.For reducing the instantaneous section of the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shown The failure section indicator is composed of the Y-shaped display frame 200 shown in FIG. 2A and the thimble-shaped cover frame 300 shown in FIG. 2B.

도시한 배전설비 고장 순시구간 축소를 위한 고장 구간 표시기가 분기선로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수나사산(290)과 암나사산(390)을 상호 회전시켜 체결하는 방식으로, 상기 커버 프레임(300)이 상기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200)의 하단 영역을 덮는 형태로 결합되면, 상기 V자 형상으로 절개홈이 닫히면서, 상기 2개의 브런치의 말단에 형성된 파지부들이 서로 원형으로 맞물려 상기 분기선로를 파지하게 된다.For reducing the instantaneous section of the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shown In order for the failure section indicator to be coupled to the branch line, the male screw thread 290 and the female screw thread 390 are mutually rotated and fastened so that the cover frame 300 is connected to the Y-shaped display frame 200. When combined in a form covering the lower region, the V-shaped cutting groove is closed, and the gripping parts formed at the ends of the two branches are circularly engaged with each other to grip the branch line.

도시한 배전설비 고장 순시구간 축소를 위한 고장 구간 표시기의 상기 CT 코어부는, 상기 2개의 브런치 중 하나에 형성된 파지부에 내장되는 제1 CT 코어(101); 및 상기 2개의 브런치 중 나머지에 형성된 파지부에 내장되는 제2 CT 코어(102)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2개의 브런치 중 하나에 형성된 파지부에만 CT 코어로 상기 CT 코어부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CT core part of the failure section indicator for reducing the instantaneous section of a power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shown in the drawing includes a first CT core 101 embedded in a holding part formed in one of the two branches; and a second CT core 102 embedded in a holding part formed in the other of the two branches. In another implementation, the CT core part may be formed as a CT core only in the holding part formed on one of the two branches.

구현에 따라, 상기 커버 프레임(300)이 상기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200)에 대하여 결합되면, 상기 제1 CT 코어(101) 및 상기 제2 CT 코어(102)의 말단에 일부 노출된 금속면이 서로 맞닿도록, 각 CT 코어들의 말단의 접촉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폴리머 코팅과정에서 일부 금속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는 분기선로에 설치시 원형으로 결합되는 CT 코어들의 자계/전류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Depending on implementation, when the cover frame 300 is coupled to the Y-shaped display frame 200, metal partially exposed at the ends of the first CT core 101 and the second CT core 102 In form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end of each CT core so that the surfac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part of the metal surface may be exposed during the polymer coating process. This is to smooth the magnetic field/current flow of the CT cores that are circularly coupled when installed on the branch line.

구현에 따라, 상기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200)의 내부 수밀 공간에 편향성 다이오드를 부착하여 설정 전류값 이하의 전류에는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소자, 과전류 검출과정에서 다이오드 2의 신호에 따라 선로 이상여부를 광학적으로 표출하는 LED 등 광학 소자, 리셋을 위해 배터리나 소정의 리셋장치에 신호를 주는 소자, 전원 공급 수단으로서 배터리 등을 실장하여 외부 충격, 습기, 전자기적 서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a biasing diode is attached to the watertight space inside the Y-shaped display frame 200 so that it does not operate at a current less than a set current value, and whether the line is abnormal according to the signal of diode 2 in the overcurrent detection process It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shock, moisture, and electromagnetic surge by mounting an optical element such as LED that optically expresses, an element that gives a signal to a battery or a predetermined reset device for reset, and a battery as a power supply means.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전설비 고장 순시구간 축소를 위한 고장 구간 표시기의 기능 구성 요소들을 표현한 단면도이다.4 is for reducing the instantaneous section of a failure of a distribu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expressing the functional components of the failure section indicator.

도 4에 도시한 고장 구간 표시기의 표시 프레임(200)에 구비되는 상기 표시부는, 상기 CT 코어부(101, 102)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유도 코일(220); 상기 유도 코일(200)에 유도된 전류가 소정 크기 이상이면 턴온되어, 턴온 상태를 유지하는 트리거 소자(240); 상기 트리거 소자(240)의 턴온 상태에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260); 상기 발광 소자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display frame 200 of the failure section indicator shown in FIG. 4 includes an induction coil 220 that spirally winds the CT core units 101 and 102; a trigger element 240 that turns on when the current induced in the induction coil 200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and maintains a turn-on state; a light emitting element 260 emitting light when the trigger element 240 is turned on; A battery 280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included.

구현에 따라, 상기 표시부는, 상기 트리거 소자(240)가 턴온된 후 소정 시간(예: 2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트리거 소자(240)를 턴오프시키는 리셋 회로(270); 및/또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턴온 상태의 상기 트리거 소자(240)를 턴오프시키는 리셋 조작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display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eg, 2 hours) elapses after the trigger element 240 is turned on, the reset circuit 270 for turning off the trigger element 240; and/or a reset operator for turning off the trigger element 240 in a turn-on state according to an operator's manipulation.

상기 리셋 회로(270) 및 상기 리셋 조작기에 의해, 상기 고장 구간 표시기는, 미래에 발생될 고장을 감시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하며, 상기 표시부(구체적으로는 발광 소자)의 고장 표시 신호는 꺼지게 된다.By means of the reset circuit 270 and the reset operator, the failure section indicator returns to a state capable of monitoring future failures, and the failure indication signal of the display unit (specifically,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turned off. .

예컨대, 상기 트리거 소자(240)는, 게이트 제어단자(G)로부터 음극(K)에 전류를 흘리는 것으로, 양극(A)과 음극(K) 사이를 도통(導通)시킬 수 있는 3단자의 반도체 소자인 사이리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제어단자로 상기 유도 코일(220)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배터리(280)와 발광 소자(260)의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사이리스터의 양극(A)과 음극(K)이 도통되어, 발광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rigger element 240 is a three-terminal semiconductor element that can conduct between the anode (A) and the cathode (K) by flowing a current from the gate control terminal (G) to the cathode (K). It can be implemented as a phosphorus thyristor. More specifically, when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the induction coil 220 is applied to the gate control terminal, the anode (A) and the cathode ( K) is conducted, and light emitting display can be performed.

상기 배터리(280)와 발광 소자(260)의 회로가 턴온된 후, 상기 리셋 회로(270)나 상기 리셋 조작기에 의해, 상기 사이리스터의 양극(A)을 일시적으로 순간 접지(배터리 음극으로)시키거나, 상기 배터리(280)와 발광 소자(260)의 회로를 순간적으로 off 시켰다가 on으로 복귀시키면, 상기 사이리스터는 턴 오프 상태로 리셋된다.After the circuits of the battery 280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260 are turned on, the anode (A) of the thyristor is momentarily grounded (to the battery cathode) by the reset circuit 270 or the reset operator, or , when the circuits of the battery 280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260 are momentarily turned off and then turned on, the thyristor is reset to the turned-off state.

도 4에 도시한 구조는, 상기 CT 코어부(101, 102)의 하나에 대해서만 나타내었지만, 2개의 CT 코어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다만 일부 구성들이 중복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lthough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is shown for only one of the CT core parts 101 and 102, both CT cores have the same structure, but some of the structures may have an overlapping shape.

예컨대, 상기 제1 CT 코어(101) 및 상기 제2 CT 코어(102)에 각각 상기 유도 코일(220)이 권취되고, 2개의 유도 코일(220)들의 유도 전류가 하나의 선로로 합쳐진 상태로, 상기 트리거 소자(240)에 대한 제어(트리거) 전류로서 인가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induction coil 220 is wound around the first CT core 101 and the second CT core 102, and the induced currents of the two induction coils 220 are combined into one line, It may be applied as a control (trigger) current for the trigger element 240 .

상기 CT 코어부(101, 102)는 및 상기 유도 코일(220)에 의해 구성되는 CT에 의해 상기 트리거 소자(240)가 턴온됨에 있어서, 대상 분기선로를 기준으로 간선용의 경우, 상기 분기선로에 500A가 흐르면 턴온되고, 분기용의 경우 250A가 흐르면 턴온될 수 있다. 즉, 간선용과 분기용의 분기선로 고장 구간 표시기를 다르게 제작할 수 있다.When the trigger element 240 is turned on by the CT formed by the CT core parts 101 and 102 and the induction coil 220, in the case of trunk lines based on the target branch line, the branch line It turns on when 500A flows, and in the case of branching, it can turn on when 250A flows. That i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different branch line failure section indicators for trunk lines and branch lines.

한편, 일반적으로 선로 모니터링 용도로 사용되는 CT와 유사하게 상기 CT 코어부(101, 102)는 및 상기 유도 코일(220)에 의해 구성되는 CT는, CT비 100:1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분기용/간선용 전류 기준에 따르는 경우, 간선용은 상기 CT의 출력에 5A가 흐르면 상기 트리거 소자(240)가 턴온되고, 분기용은 2.5A가 흐르면 상기 트리거 소자(240)가 턴온될 수 있다. Meanwhile, similar to CTs generally used for line monitoring, the CTs composed of the CT core parts 101 and 102 and the induction coil 220 may be set to a CT ratio of 100:1,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one branch/trunk current standard, the trigger element 240 may be turned on when 5A flows through the output of the CT for the trunk line, and the trigger element 240 may be turned on when 2.5A flows for the branch line. there is.

상술한 바와 같이, 간선용에서 고장 전류로 고려 대상이 되는 전류 레벨과, 분기용에서 고장 전류로 고려 대상이 되는 전류 레벨이 규격화되어 있으므로, 굳이 선로 점검을 위한 상기 트리거 소자(240)의 턴온시키는 CT 전류 레벨을 조정하는 복잡한 회로 구성이 불필요하다. 즉, 2가지 규격을 위한 고정된 턴온 전류 레벨을 가지는 고장 구간 표시기를 2종류만 생산하여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 고가의 턴온 전류 레벨 조정 회로를 구비한 고장 구간 표시기를 생산하여 적용하는 것보다, 경제적인 면에서 우수하며, 고장 전류에 대한 검출 능력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보다 실용적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urrent level to be considered as the fault current for the trunk line and the current level to be considered as the fault current for the branch line are standardized, it is necessary to turn on the trigger element 240 for line inspection. A complicated circuit configuration to adjust the CT current level is unnecessary. That is, producing only two types of fault section indicators with fixed turn-on current levels for two standards and applying them to the field is better than producing and applying a fault section indicator equipped with an expensive turn-on current level adjustment circuit, It is excellent in terms of economy, and it is more practical because it can sufficiently secure the ability to detect fault current.

다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전설비 고장 순시구간 축소를 위한 고장 구간 표시기의 구체적인 제작 방안을 예시한다. Next, for reducing the instantaneous section of distribution equipment fail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ilure section indicator is exemplified.

도 2a에 도시한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200)의 경우, 예컨대, 기본골격은 폴리머로 제작하고, 외부 노출면(외면)을 폴리머로 코팅할 수 있다. 이러한 재질 구성에 따르는 경우, 폴리머의 유연한 특성을 이용하여 제작시 전선 장악이 가능하도록 전선규격(58~160㎟)에 맞추어 기본 골격을 사출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이후, 기본 사출골격에 부속품을 결합하고, 부속품 결합 후 전체 외형 사출을 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Y-shaped display frame 200 shown in FIG. 2A , for example, the basic skeleton may be made of a polymer, and the externally exposed surface (external surface) may be coated with the polymer. In the case of following this material composition, it becomes easier to inject the basic skeleton according to the wire standard (58 ~ 160 mm2) so that the wire can be secured during production using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of the polymer. After that, it can be manufactured by coupling parts to the basic injection skeleton, and then extruding the entire outer shape after combining the parts.

도 2b에 도시한 커버 프레임(300)의 경우, 예컨대, 기본골격은 탄성 보다 경도가 강한 플라스틱으로 제작하고, 외부 노출면(외면)을 폴리머로 코팅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ver frame 300 shown in FIG. 2B , for example, the basic skeleton may be made of plastic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elasticity, and the externally exposed surface (external surface) may be coated with a polymer.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된 커버 프레임(300)을 상기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200)에 대하여 우측회전으로 나선형으로 유입하는 방식으로 결합하면, 폴리머 재질의 탄성에 의해 상기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200)의 상부구조물이 하부로 유입되면서 기본골격의 유입각도가 줄어들면서 분기선로의 전선에 안정적으로 부착된다.When the cover frame 300 manufactur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is coupled in a spirally flowing way in a right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Y-shaped display frame 200, the Y-shaped display is achieved by the elasticity of the polymer material. As the upper structure of the frame 200 flows into the lower part, the inflow angle of the basic skeleton decreases and is stably attached to the wires of the branch line.

커버 프레임(300)의 해체(좌측회전)시에는, 상기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200)의 상부구조물이 상부로 반출되면서 기본골격의 유입각도가 늘어나면서 상기 전선에서 용이하게 탈락될 수 있다.When the cover frame 300 is dismantled (turned left), the upper structure of the Y-shaped display frame 200 is taken out to the upper portion, increasing the inlet angle of the basic skeleton, so that it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wire.

커버 프레임(300)의 하부에는 LED에서 발광하는 빛의 외부 표출을 위해 원홀을 형성할 수 있다.A circular hole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frame 300 to externally express light emitted from the LED.

상술한 폴리머 재질의 장점으로는, 내부 자계유입 저하되고, 부착시 전선을 따라 움직임 없는 고정이 가능하며, 절연성능을 확보하며, 커버 프레임(300)의 부식을 방지하며, 커버 프레임(300)과 상기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200)의 결합후 분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Advantages of the above-mentioned polymer material are that the inflow of the internal magnetic field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fix without movement along the wire when attached, secures insulation performance, prevents corrosion of the cover frame 300, and protects the cover frame 300 and Separation after coupling of the Y-shaped display frame 200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hould understan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only d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1 : 제1 CT 코어 102 : 제2 CT 코어
200 : 표시 프레임 220 : 유도 코일
240 : 트리거 소자 260 : 발광 소자
270 : 리셋 회로 280 : 배터리
290 : 수나사산 300 : 커버 프레임
390 : 암나사산
101: first CT core 102: second CT core
200: display frame 220: induction coil
240: trigger element 260: light emitting element
270: reset circuit 280: battery
290: male thread 300: cover frame
390: female thread

Claims (10)

대상 선로로 흐르는 교류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하는 CT를 구성하는 CT 코어부와,
상기 CT에 검출되는 전류에 의해 활성화되어 외부로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표시부와,
V자 형상으로 절개홈 및 상기 절개홈에 의해 분기되는 2개의 브런치가 형성된 파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브런치의 말단에는 상기 CT 코어부를 내부에 감싸면서 상기 선로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상기 절개홈의 하단을 포함하는 외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나사산의 아래쪽 영역에 배치된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 및
상기 표시부의 시각적 표출이 통과되는 재질로 상기 표시부를 보호하는 골무 형상을 가지며, 내면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커버 프레임
을 포함하는 배전설비 고장 순시구간 축소를 위한 고장 구간 표시기.
A CT core unit constituting a CT that detects AC flowing to a target line in a non-contact manner;
A display unit activated by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T and visually displayed to the outside;
A V-shaped incision groove and a gripping portion formed with two branches branched off by the incision groove,
At the end of the brunch, a gripper capable of holding the line while wrapping the CT core inside is formed, and a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including the lower end of the cut groove of the gripper, and the display unit is a Y-shaped display frame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male thread; and
A material through which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display passes, having a thimble shape to protect the display, and a cover frame having internal threads formed with female thread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male threads.
For reducing the instantaneous section of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including fault zone indic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산과 암나사산을 회전시켜 체결하는 방식으로, 상기 커버 프레임이 상기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에 대하여 결합되면, 상기 V자 형상으로 절개홈이 닫히면서, 상기 2개의 브런치의 말단에 형성된 파지부들이 서로 원형으로 맞물려 상기 선로를 파지하는 고장 구간 표시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ver frame is coupled to the Y-shaped display frame by rotating and fastening the male thread and the female thread, the V-shaped incision is closed and the waves formed at the ends of the two branches are closed. A failure section indicator in which the branches are circularly engaged with each other to hold the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T 코어부는,
상기 2개의 브런치 중 하나에 형성된 파지부에 내장되는 제1 CT 코어; 및
상기 2개의 브런치 중 나머지에 형성된 파지부에 내장되는 제2 CT 코어
를 포함하는 고장 구간 표시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T core part,
a first CT core embedded in a holding part formed on one of the two branches; and
The second CT core embedded in the holding part formed in the other of the two branches
Failure section indicator includ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이 상기 Y자 형상의 표시 프레임에 대하여 결합되면, 상기 제1 CT 코어 및 상기 제2 CT 코어의 말단에 일부 노출된 금속면이 서로 맞닿는 고장 구간 표시기.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cover frame is coupled to the Y-shaped display frame, metal surfaces partially exposed at ends of the first CT core and the second CT cor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CT 코어부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유도 코일;
상기 유도 코일에 유도된 전류가 소정 크기 이상이면 턴온되어, 턴온 상태를 유지하는 트리거 소자;
상기 트리거 소자의 턴온 상태에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고장 구간 표시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an induction coil spirally winding the CT core;
a trigger element that is turned on when the current induced in the induction coil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and maintains a turn-on state;
a light emitting element that emits light when the trigger element is turned on;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Failure section indicator includ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트리거 소자가 턴온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트리거 소자를 턴오프시키는 리셋 회로
를 더 포함하는 고장 구간 표시기.
According to claim 5,
the display unit,
A reset circuit for turning off the trigger elemen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trigger element is turned on
A failure section indicator further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턴온 상태의 상기 트리거 소자를 턴오프시키는 리셋 조작기
를 더 포함하는 고장 구간 표시기.
According to claim 5,
the display unit,
A reset operator that turns off the trigger element in the turned-on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or's manipulation
A failure section indicator further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소자는,
상기 선로로 500A 또는 250A의 전류가 흐를때 턴온되는 고장 구간 표시기.
According to claim 5,
The trigger element,
A failure section indicator that turns on when a current of 500A or 250A flows through the lin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표시부의 최하단에서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의 최하단에는 상기 발광 소자가 방출된 광이 통과되는 원홀이 형성된 고장 구간 표시기.
According to claim 5,
The light emitting element,
It is arranged to emit light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A failure section indicator having a circle hole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passes is form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cover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의 기본 골격 또는 외면은 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고장 구간 표시기.
According to claim 1,
A basic skeleton or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frame and the cover frame is made of a polymer material.
KR1020210089348A 2021-07-07 2021-07-07 Line failure section indicator for reducing fault patrol section of power distribution KR202300085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348A KR20230008552A (en) 2021-07-07 2021-07-07 Line failure section indicator for reducing fault patrol section of power distribu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348A KR20230008552A (en) 2021-07-07 2021-07-07 Line failure section indicator for reducing fault patrol section of power distribu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552A true KR20230008552A (en) 2023-01-16

Family

ID=8511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348A KR20230008552A (en) 2021-07-07 2021-07-07 Line failure section indicator for reducing fault patrol section of power distribu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855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2855A (en) 2016-02-04 2017-08-14 투아이시스(주)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messenger wire for checking the power supply of the catena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2855A (en) 2016-02-04 2017-08-14 투아이시스(주)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messenger wire for checking the power supply of the catena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1986B2 (en) Electric power system monitoring using distributed conductor-mounted devices
US8717721B2 (en) High impedance fault isolation system
US8076923B2 (en) Dead-line phase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7969155B2 (en) Directional fault current indicator
US11422204B2 (en) Method for detecting open phase of startup/standby transformer based on optical CT
Milanovic et al. The influence of fault distribution on stochastic prediction of voltage sags
US8159362B2 (en) Method of detecting faults using graduated fault detection levels
US20050040809A1 (en) Power line property measurement devices and power line fault locatio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CN103777108B (en) A kind of method of quick lookup electrical equipment grounding trouble point
US20160202306A1 (en) Device for detecting open phase of connection line of standby transformer in nuclear power plant by using rogowski coil
KR100968588B1 (en) Uninterrupted power supply bypass device for repairing underground power lines and equipments and method thereof
US20130163132A1 (en) High speed signaling of power system conditions
KR20230008552A (en) Line failure section indicator for reducing fault patrol section of power distribution
CN101614780A (en) Directional fault current indicator
CN102507042B (en) Method for embedding optical fiber sensor in intelligent grid power cable
KR20100029809A (en) Uninterrupted power supply bypass device for repairing underground power lines and equipments and method thereof
EP2449389A2 (en) Current passage indicator
Selkirk et al. Why neutral-grounding resistors need continuous monitoring
RU2394249C1 (en) Method of determining overhead electric power line tower with single-phase earthing and earthing fault
JP6411830B2 (en) Electric power system, small output power generation unit, and power storage unit
Dimov et al. Influence of the type of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on the indices of continuity of the power supply
JP2016129458A (en) Momentary voltage drop avoidance system
Tsimtsios et al. Optimization of a medium voltage power distribution network's reliability indices
CN105277854A (en) Lightning arrester grounding indicator and lightning arrester grounding indication method
US9455564B2 (en) Current and voltage module and methods of monitoring current and voltage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