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662A - Appratus for collecting dust - Google Patents

Appratus for collecting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662A
KR20230007662A KR1020210088274A KR20210088274A KR20230007662A KR 20230007662 A KR20230007662 A KR 20230007662A KR 1020210088274 A KR1020210088274 A KR 1020210088274A KR 20210088274 A KR20210088274 A KR 20210088274A KR 20230007662 A KR20230007662 A KR 20230007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rtex
guide
housing
compartment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은애
박현수
변상근
변영철
이영봉
김병기
이재윤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088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7662A/en
Publication of KR20230007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6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on device that can maximize the performance of dust removal and air curtains by increasing a flow rate when forming a descending airflow to prevent re-scattering of dust. The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mprise: a housing having an inlet on one side and an outlet on the other side; a compartment that defines a predetermined space within the housing, communicates with the inlet to allow gas to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has a plurality of spray holes formed on a lower surface to discharge the introduced gas into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bag filters installed to penetrate the compartment through the spray holes and extend upward and downward within the housing, wherein a vortex guide is installed in the spray holes.

Description

집진장치{APPRATUS FOR COLLECTING DUST} Dust collector {APPRATUS FOR COLLECTING DUST}

본 발명은, 분진의 재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하강기류를 형성할 때 유속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or capable of increasing a flow rate when forming a descending airflow to prevent re-dispersion of dust.

각종 산업시설에서는 배출되는 분진 등 입자상 오염물질을 포집하기 위해 집진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집진장치에는 백필터(bag filter)가 설치되어 입자상 오염물질을 고효율로 여과시킬 수 있다. 필터를 사용하면 입자 포착율을 높여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BACKGROUND ART Dust collectors are used in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to collect particulate pollutants such as dust emitted. A bag filter is installed in such a dust collector so that particulate contaminants can be filtered with high efficiency. The use of a filter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particle capture rate and increasing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하지만, 필터를 사용하는 집진장치에서는, 필터의 표면에 분진층이 과도하게 형성되는 경우에 압력손실이 발생하므로 주기적인 탈진이 필요하다. 또, 탈진공정을 통해 필터 표면의 먼지층을 제거할 때 또는 하부의 유입구를 통해 분진을 포함한 공기가 유입될 때 분진이 재비산되어 장치의 집진효율을 떨어뜨린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However, in a dust collector using a filter, a pressure loss occurs when a dust layer is excessive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so periodic dedusting is required. In addition, when the dust layer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is removed through the dedusting process or when air containing dust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t the bottom, dust is re-dispersed to reduc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devi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98316호에서는 하강기류를 생성시키는 밀폐된 격실을 형성하여 분진의 재비산을 방지하는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998316 proposes a solution to prevent re-dispersion of dust by forming an airtight compartment generating a downdraft.

하지만, 이 특허문헌의 기술에서는 하강기류에 의해 분진이 재비산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지만, 집진장치 내부의 복잡한 공기흐름에 의해 하강기류가 분산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유속이 저하되어 탈진성능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분산된 하강기류가 백필터에 부딪쳐 백필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However, in the technology of this patent document, re-dispersion of dust by the descending airflow can be prevented,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owndraft is dispersed by the complicated air flow inside the dust collector, which lowers the flow rate and deteriorates the dust removal performance.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problem of reducing the lifespan of the bag filter by hitting the bag filter with the dispersed downdraft has also been raised.

본 발명은, 분진의 재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하강기류를 형성할 때 유속을 증대시킴으로써 탈진 및 에어커튼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or capable of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dedusting and air curtains by increasing the flow rate when forming a downdraft to prevent re-dispersion of du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일측에 유입구와 타측에 배기구를 갖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소정의 공간을 구획하고,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하면에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되어 유입된 기체를 상기 하우징 내로 배출하는 격실; 및 상기 분사홀을 통해 상기 격실을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연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백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홀에는 와류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let on one side and an exhaust on the other side; a compartment that divides a predetermined space within the housing, communicates with the inlet so that gas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has a plurality of spray holes formed on a lower surface to discharge the introduced gas into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bag filters passing through the compartment through the spray hole and extending vertically within the housing, and a vortex guide may be installed in the spray hole.

본 발명에 의하면, 하면의 분사홀에 와류 가이드가 적용됨으로써, 백필터의 높이방향을 따라 분사되는 하강기류의 유속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탈진효과와 더불어, 백필터를 보호하는 에어커튼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vortex guide to the spray hole on the lower surface, the flow rate of the descending airflow spray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ag filter can be increased. You get the effect that can maximize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선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와류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유동해석을 통해 종래기술(a)과 본 발명(b)에 따른 분사홀에서 하강기류의 유속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by enlarging it.
FIG. 3 is a view viewed along line II′ of FIG. 2 .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ortex guide of FIG. 5;
7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the flow velocity of the downdraft in the injection ho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and the present invention (b) through flow analysis.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선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by enlarging it, and FIG. 3 is II' of FIG. This is a drawing looking along the lin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하우징(10), 격실(20), 복수의 백필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0, a compartment 20, and a plurality of bag filters 30.

하우징(10)은 내부에 중공부를 갖춘 통형상의 부재이다. 하우징은, 예를 들어 상부에 위치되는 설치부(11) 및 하부에 위치되는 호퍼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10 is a tubular member having a hollow inside. The housing may include, for example, an installation part 11 located on the upper part and a hopper part 12 located on the lower part.

설치부(11)는 하우징의 상부를 구성하며,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높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설치부 내에 후술하는 유입구(13), 배기구(16), 격실(20), 백필터(30), 탈진수단(5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The installation part 11 constitutes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may extend in a height direction. An inlet 13, an exhaust port 16, a compartment 20, a bag filter 30, an exhaustion means 50, and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호퍼부(12)는 하우징(10)의 하부를 구성하며, 대략 거꾸로 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낙하하는 분진을 모을 수 있다. 호퍼부의 하단에는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집진된 분진을 밸브(15)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이송벨트나 집진박스로 배출할 수 있다.The hopper part 12 constitutes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inverted cone shape to collect falling dust. A discharge port 14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opper unit, and the collected dust can be discharged through a valve 15 to a transfer belt or a dust collection box (not shown).

하우징(10)의 설치부(11)에는, 유입되는 외부의 오염된 기체가 하강기류를 형성하도록 일측 상부에 유입구(13)가 구비될 수 있다. 또, 하우징의 설치부에서, 타측에는 배기구(16)가 구비될 수 있는데, 배기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n inlet 13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part 11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inflowing external polluted gas forms a downdraft. In addition, an exhaust port 16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tallation part of the hous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하우징(10)의 설치부(11) 내부에는 복수의 백필터(30)가 배치되며, 백필터의 상부에 격실(20)이 형성되고, 격실의 위에 탈진수단(50)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bag filters 30 are disposed inside the installation part 11 of the housing 10, a compartment 2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bag filter, and an exhaustion means 50 is disposed on the compartment. there is.

대규모 집진장치의 내부에는 대량의 분진을 한꺼번에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백필터(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집진장치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예컨대 복수의 백필터가 묶음으로 이루어지는 필터다발이 복수개로 마련되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A large number of bag filters 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large-scale dust collector because a large amount of dust must be treated at once. For efficient operation of such a dust collector, a plurality of filter bundles, for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bag filters are bundled, may be provided and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side the housing 10 .

복수의 백필터(30)는 각각 대략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하우징(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하우징의 설치부(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백필터는 격실(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bag filters 3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exten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may be disposed on the installation part 11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these bag filters may be supported by the compartment 20 .

백필터(30)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노멕스(NOMEX), 테프론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원통형, 주름백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재질 및 형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bag filter 30 may include materials such as polyethylene (PE), NOMEX, and Teflon, for example,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shape or a pleated bag, but the material and shape may be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또한, 백필터(30)는 10m 이상의 길이를 가진 롱 백필터가 채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제 적용 환경 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길이 및 치수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bag filter 30 may be a long bag filter having a length of 10 m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it may have various lengths and dimensions according to actual application environment or needs.

격실(20)은 하우징(10)의 설치부(11)의 상부, 그리고 백필터(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격실은 하우징 내에서 중공부와 구분되는 소정의 공간을 구획하고 백필터를 둘러쌀 수 있다. 격실은 그 일측으로 유입구(13)와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유입구를 통해 오염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The compartment 20 may be disposed above the installation part 11 of the housing 10 and above the bag filter 30 . The compartment may partition a predetermined space separated from the hollow part in the housing and surround the bag filter. The compartment communicates with the inlet 13 on one side thereof, so that contaminated gas can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보다 구체적으로, 격실(20)은, 복수의 지지홀(24)이 형성된 상면(21)과, 백필터(30)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분사홀(25)이 형성된 하면(23)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mpartment 2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21 o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24 are formed and a lower surface 23 on whic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25 are formed to surround the bag filter 30. there is.

또한, 격실(20)은 상면(21)과 하면(23)을 연결함과 동시에, 격실 내에서 각각으로 백필터(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복수의 보호벽(22)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artment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ective walls 22 formed to connect the upper surface 21 and the lower surface 23 and simultaneously surround the bag filter 30 in the compartment.

유입구(13)를 통해 격실(20) 내로 유입된 기체는 백필터(30)를 둘러싸고 있는 보호벽(22)을 지나 내부로 확산된다. 압력이 센 기체의 유입시 보호벽에 의해 백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gas introduced into the compartment 20 through the inlet 13 passes through the protective wall 22 surrounding the bag filter 30 and diffuses into the in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g filter from being damaged by the protective wall when high-pressure gas is introduced.

예를 들어, 곡면을 이루는 보호벽(22)에 부딪친 기체는 일부가 보호벽의 곡면을 따라 유입구(13)의 반대쪽으로 흐르고 일부는 반사되어 보호벽의 측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격실(20) 내에 유입된 기체는 각 백필터(30)의 둘레를 따라 흘러 격실 내에서 확산된다. For example, a part of the gas that hits the protective wall 22 forming a curved surface flow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13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protective wall, and a part of the gas is reflected and moves to the side of the protective wall. As such, the gas introduced into the compartment 20 flows along the circumference of each bag filter 30 and is diffused in the compartment.

유입구(13)를 통해 격실(20) 내에 유입된 기체는 하면(23)을 거쳐 격실의 하방으로, 즉 하우징(10) 내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면에는 백필터(30)를 둘러싸도록 된 분사홀(25)이 형성되어 있다. Gas introduced into the compartment 20 through the inlet 13 may be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lower surface 23 of the compartment, that is, into the housing 10 . To this end, a spray hole 25 to surround the bag filter 3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에서는, 격실(20)의 분사홀(25)에 와류 가이드(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rtex guide 40 is installed in the spray hole 25 of the compartment 20.

와류 가이드(40)는 해당 분사홀(25)에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와류 가이드는 분사홀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면서 둘레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와류 가이드의 배치로 인해, 분사홀은 복수의 천공영역이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모양으로 배열된 비연속 슬릿 형태로 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vortex guides 40 ar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spray hole 25, and the plurality of vortex guid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connec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pray hole.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vortex guides, the spray hole may be in the form of a non-continuous slit in which a plurality of perforation areas are arrang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분사홀(25) 내에 위치한 보호벽(22)의 외주면이 분사홀의 내측면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와류 가이드(40)는 보호벽으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할 수 있다.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ective wall 22 located within the spray hole 25 may constitute an inner surface of the spray hole, in which case the vortex guide 40 may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protective wall.

와류 가이드(40)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혹은, 와류 가이드는 일직선의 형상을 갖고서, 분사홀(25)의 내측면에서 외측면까지 최단거리로 연장한 직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The vortex guide 40 may have a curv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lternatively, the vortex guide may have a straight line shape and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extending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pray hole 25 .

예를 들어, 이러한 와류 가이드(40)는 하면(23)에 분사홀(25)을 형성하기 위해 천공할 때 분사홀의 둘레방향으로 일부만 천공하고 남겨둠으로써 분사홀과 동시에 성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류 가이드는 하면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vortex guide 40 is drilled to form the spray hole 25 on the lower surface 23, only a portion of the spray hole is dri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left, so that it can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spray hole. Accordingly, the vortex guide may be integrally molded with the lower surface.

각 와류 가이드(40)의 최대 폭(W)은, 인접한 와류 가이드들 사이의 최대 거리(L)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와류 가이드의 존재로 인하여, 인접한 와류 가이드들 사이의 분사홀(25)을 통과하는 기체의 유속은 증대될 수 있으며, 분사홀 주변의 기체가 함께 유입되어 유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maximum width (W) of each vortex guide 4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maximum distance (L) between adjacent vortex guides. Due to the existence of the vortex guides, the flow rat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spray holes 25 between the adjacent vortex guides can be increased, and the gas around the spray holes can be introduced together to increase the flow rate.

만일, 와류 가이드의 최대 폭(W)이 인접한 와류 가이드들 사이의 최대 거리(L)보다 커지면, 분사홀(25)의 유입측과 유출측 사이, 다시 말해 격실(20) 안팎의 차압이 크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와류 가이드의 (최대) 폭은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 요구된다.If the maximum width (W) of the vortex guide is larger than the maximum distance (L) between adjacent vortex guides,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the spray hole 25, that i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mpartment 20 becomes large There are concern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maximum) width of the vortex guide be properly set.

유입구(13)를 통해 격실(20) 내에 유입된 기체는, 와류 가이드(40)에 의해 하면(23)의 분사홀(25)을 원활히 통과하도록 안내되면서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하향으로 유동되고, 더욱이 와류 가이드를 따라 와류 형태로 회전하면서 가속되어 백필터(30)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The gas introduced into the compartment 20 through the inlet 13 flows downward inside the housing 10 while being guided to smoothly pass through the injection hole 25 of the lower surface 23 by the vortex guide 40 , Further, while rotating in the form of a vortex along the vortex guide, it is accelerated and flows downward along the bag filter 30.

이와 같이, 하강기류의 유속이 증대됨에 따라, 백필터(30)에 쌓여 있는 분진 및 오염물질을 백필터로부터 탈락시키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 와류 형태의 하강기류가 백필터의 둘레로 형성되어 에어커튼을 생성함으로써, 보호벽(22)에 이어 백필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as the flow rate of the downdraft increases, the effect of removing dust and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bag filter 30 from the bag filter can be maximized. In addition, the downdraft in the form of a vortex is formed around the bag filter to create an air curtain, so that the bag filter can be protected following the protective wall 22 .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23)에서 필터다발의 중심부 또는 4개의 백필터(30)들 사이에는, 백필터와 보호벽 없이 단독으로 형성된 보조 분사홀(26)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an auxiliary injection hole 26 formed alone without a bag filter and a protective wall may be formed between the center of the filter bundle or the four bag filters 30 on the lower surface 23. .

보조 분사홀(26)에도 그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도록 와류 가이드(4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와류 가이드가 보조 분사홀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서 둘레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A vortex guide 40 may also be formed in the auxiliary spray hole 26 to connect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thereof. A plurality of vortex guid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auxiliary spray hole.

이러한 복수의 와류 가이드의 배치로 인해, 보조 분사홀(26)은 복수의 천공영역이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모양으로 배열된 비연속 슬릿 형태로 될 수 있다.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vortex guides, the auxiliary spray hole 26 may be in the form of a non-continuous slit in which a plurality of perforation areas are arrang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이와 같은 보조 분사홀(26)의 와류 가이드(40)는, 백필터(30)들의 사이에서 더 강한 하강기류를 형성하여 분진이 재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탈진을 위한 기류를 배출할 수 있다. The vortex guide 40 of the auxiliary spray hole 26 forms a stronger downdraft between the bag filters 30 to prevent re-dispersion of dust, as well as to discharge the airflow for exhaustion. there is.

추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백필터(30)의 위에 배치되어 백필터의 탈진을 수행하는 탈진수단(50)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ust extraction means 50 disposed on the bag filter 30 inside the housing 10 to perform dust extraction of the bag filter.

탈진수단(50)은, 백필터(30)에 각각 대응되게 장착되어 해당 백필터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51); 및 압축공기 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되며, 노즐로 압축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dusting unit 50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51 mounted to correspond to the bag filter 30 and spraying compressed air to the corresponding bag filter; and a tube 52 connected to a compressed air supply source (not shown) and form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nozzle.

여기서, 압축공기 공급원에 연결되는 튜브(52)에는 밸브(53)가 설치되어, 압축공기의 공급, 차단, 유량 제어 등을 할 수 있다. Here, a valve 53 is installed in the tube 52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source, and can supply, block, or control the flow rate of compressed air.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튜브(52)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노즐(51)을 통해 해당 백필터(30)로 분사되어, 백필터 전반에 걸쳐 쌓인 분진 및 오염물질을 골고루 떨어뜨릴 수 있게 됨으로써 균일한 탈진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source to the tube 52 is sprayed through the nozzle 51 to the corresponding bag filter 30, so that dust and contaminants accumulated throughout the bag filter can be evenly dropped, resulting in uniform dedusting. effect can be realized.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에서는,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유동방향(탈진방향)과 유입구(13)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된 기체의 유동방향이 하향으로 일치되기 때문에, 하우징(10)의 하부, 즉 호퍼부(12)에 집진된 분진의 재비산 및 백필터(30)로부터 떨어지는 분진의 재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집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w direction (dedusting direction) of the injected compressed air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contaminated gas flowing in from the inlet 13 are matched downward, the housing 10 )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dust collection efficiency 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re-dispersion of dust collect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pper part 12 and the re-attachment of dust falling from the bag filter 30.

또한, 배기구(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타측에서, 높이방향으로 유입구(13)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배기구에 연결되어, 여과 및 집진되고 깨끗해진 기체를 흡입하는 송풍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haust port 16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inlet port 13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 as described above. Optionally, it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and sucking in the filtered, dust-collected, and purified ga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하우징(10)의 일측 상부에 위치한 유입구(13)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된 기체의 초기 유동방향은 하부로 향하게 되지만, 하우징(10)의 타측 상부에 위치한 배기구(16)에서 송풍기로 강제 흡입되기 때문에 기체는 복수의 백필터(30)를 통과해 여과되면서 다시 하우징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In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itial flow direction of the polluted gas introduced from the inlet 13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is directed downward, but the housing 10 Since the exhaust port 16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is forcibly sucked into the blower, the gas is filtered through the plurality of bag filters 30 and moves to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again.

이때, 일정 크기 이상의 분진 및 오염물질은 백필터(30)를 통과하지 못하고 부착되기 때문에 배기구(16)에는 깨끗한 기체, 예컨대 클린 에어가 흐르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dust and contaminant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do not pass through the bag filter 30 and are attached, clean gas, for example, clean air, flows through the exhaust port 16 .

이러한 분진 및 오염물질이 백필터(30)에 계속 부착되면 기체가 통과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하우징(10) 내 압력이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되고, 이어서 일정 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백필터(30)의 위에 위치한 탈진수단(50)에서 고압의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백필터에 부착된 분진 및 오염물질을 털어낼 수 있게 된다.If such dust and contaminants continue to adhere to the bag filter 30, it becomes difficult for gas to pass through, so the pressure in the housing 10 naturally rises, and then when a certain pressure is reached, the pressure in the upper part of the bag filter 30 High-pressure compressed air is sprayed from the dedusting unit 50 to remove dust and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bag filter.

더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에서는, 와류 가이드(40)로 인해 하강기류의 유속이 증대됨에 따라, 탈진효과와 더불어, 백필터(30)를 보호하는 에어커튼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Moreover, in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low rate of the downdraft increases due to the eddy current guide 40, the dust removal effect and the performance of the air curtain protecting the bag filter 30 are stabilized. be able to exert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하우징(10), 격실(20), 복수의 백필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격실의 분사홀(25)에는 와류 가이드(40)가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0, a compartment 20, and a plurality of bag filters 30. A vortex guide 40 may be installed in the spray hole 25 of the compartment.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와류 가이드(40)가 높이방향으로 더 연장하여 제1 실시예의 와류 가이드보다 증대된 높이 또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점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나머지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작용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only in that the vortex guide 40 extends further in the height direction to have an increased height or thickness than the vortex guid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other components are Since it can be configured and us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will be omitted.

와류 가이드(40)는 해당 분사홀(25)에 복수로 설치되며, 복수의 와류 가이드는 분사홀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면서 둘레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와류 가이드의 배치로 인해, 분사홀은 복수의 천공영역이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모양으로 배열된 비연속 슬릿 형태로 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vortex guides 40 are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spray hole 25, and the plurality of vortex guid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connec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pray hole.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vortex guides, the spray hole may be in the form of a non-continuous slit in which a plurality of perforation areas are arrang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분사홀(25) 내에 위치한 보호벽(22)의 외주면이 분사홀의 내측면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와류 가이드(40)는 보호벽으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으로 그리고 보호벽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실시예의 와류 가이드는, 제1 실시예의 단지 평판인 와류 가이드보다 더 3차원적인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ective wall 22 located within the spray hole 25 may constitute an inner surface of the spray hole, in which case the vortex guide 40 may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protective wall an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rotective wall. Thus, the vortex guide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have a more three-dimensional shape than the vortex guide of the first embodiment, which is only a flat plate.

와류 가이드(40)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유입된 기체의 원활한 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와류 가이드는 높이방향을 따라 비틀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vortex guide 40 may have a curv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Moreover, in order to induce a smooth descent of the introduced gas, the vortex guide may have a twisted shape along the height direction.

혹은, 와류 가이드(40)는 일직선의 형상을 갖고서, 분사홀(25)의 내측면에서 외측면까지 최단거리로 연장한 직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와류 가이드는 높이방향을 따라 비틀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vortex guide 40 may have a straight line shape and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extending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pray hole 25 . Even in this case, the vortex guide may have a twisted shape along the height direc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에서, 와류 가이드(40)가 높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제1 실시예의 와류 가이드보다 증대된 높이 또는 두께를 갖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2 실시예의 와류 가이드는 하면(23)의 두께보다 증대된 높이 또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ortex guide 40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has an increased height or thickness than the vortex guid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vortex guide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ubstantially It may have a height or thicknes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23).

이러한 와류 가이드(40)의 견고한 설치를 위해, 보호벽(22)의 하부는 격실(20)의 하면(23)보다 더 아래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분사홀(25)의 외측면을 구성하는 하면의 선단은 아래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To firmly install the vortex guide 40,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ve wall 22 may extend further downward than the lower surface 23 of the compartment 20.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rface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pray hole 25 may be formed to be bent downward.

예를 들어, 와류 가이드(40)는, 하면(23)에 분사홀(25)이 천공되고 분사홀의 외측면이 절곡되게 성형된 다음, 분사홀 내에 놓인 보호벽(22)의 외주면과 분사홀의 외측면에 양측 단부가 용접 등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류 가이드는 하면의 분사홀 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vortex guide 40 is formed so that the spray hole 25 is drilled on the lower surface 2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ray hole is bent, and t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ective wall 22 placed in the spray h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ray hole Both ends may be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Accordingly, the vortex guide can be firmly installed in the spray hole on the lower surface.

각 와류 가이드(40)의 최대 폭(W)은, 인접한 와류 가이드들 사이의 최대 거리(L)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와류 가이드의 존재로 인하여, 인접한 와류 가이드들 사이의 분사홀(25)을 통과하는 기체의 유속은 증대될 수 있으며, 분사홀 주변의 기체가 함께 유입되어 유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maximum width (W) of each vortex guide 4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maximum distance (L) between adjacent vortex guides. Due to the existence of the vortex guides, the flow rat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spray holes 25 between the adjacent vortex guides can be increased, and the gas around the spray holes can be introduced together to increase the flow rate.

만일, 와류 가이드의 최대 폭(W)이 인접한 와류 가이드들 사이의 최대 거리(L)보다 커지면, 분사홀(25)의 유입측과 유출측 사이, 다시 말해 격실(20) 안팎의 차압이 크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와류 가이드의 (최대) 폭은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 요구된다.If the maximum width (W) of the vortex guide is larger than the maximum distance (L) between adjacent vortex guides,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the spray hole 25, that i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mpartment 20 becomes large There are concern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maximum) width of the vortex guide be properly set.

유입구(13)를 통해 격실(20) 내에 유입된 기체는, 와류 가이드(40)에 의해 하면(23)의 분사홀(25)을 원활히 통과하도록 안내되면서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하향으로 유동되고, 더욱이 와류 가이드를 따라 와류 형태로 회전하면서 가속되어 백필터(30)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The gas introduced into the compartment 20 through the inlet 13 flows downward inside the housing 10 while being guided to smoothly pass through the injection hole 25 of the lower surface 23 by the vortex guide 40 , Further, while rotating in the form of a vortex along the vortex guide, it is accelerated and flows downward along the bag filter 30.

이와 같이, 하강기류의 유속이 증대됨에 따라, 백필터(30)에 쌓여 있는 분진 및 오염물질을 백필터로부터 탈락시키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 와류 형태의 하강기류가 백필터의 둘레로 형성되어 에어커튼을 생성함으로써, 보호벽(22)에 이어 백필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as the flow rate of the downdraft increases, the effect of removing dust and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bag filter 30 from the bag filter can be maximized. In addition, the downdraft in the form of a vortex is formed around the bag filter to create an air curtain, so that the bag filter can be protected following the protective wall 22 .

한편, 하면(23)에 단독으로 형성된 보조 분사홀(26)에도 그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도록, 증대된 높이 또는 두께를 가진 와류 가이드(4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와류 가이드가 보조 분사홀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서 둘레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a vortex guide 40 having an increased height or thickness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spray hole 26 formed alone on the lower surface 23 so as to connect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thereof. A plurality of vortex guid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auxiliary spray hole.

다만, 이 경우에 보조 분사홀(26)과 와류 가이드(40)는 하면에서 일체로 성형되지 못하고, 보조 분사홀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절곡된 판재와 복수의 와류 가이드가 별도로 성형될 수 있다. 이어서, 절곡된 판재에 복수의 와류 가이드가 접합된 후, 보조 분사홀의 외측면에 복수의 와류 가이드가 접합될 수 있다. However, in this case, the auxiliary spray hole 26 and the vortex guide 40 are not integrally mold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bent plate constitu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spray hole and the plurality of vortex guides may be separately molded. Subsequently, after the plurality of vortex guides are bonded to the bent plate material, the plurality of vortex guides may be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spray hole.

이와 같은 보조 분사홀(26)의 와류 가이드(40)는, 백필터(30)들의 사이에서 더 강한 하강기류를 형성하여 분진이 재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탈진을 위한 기류를 배출할 수 있다. The vortex guide 40 of the auxiliary spray hole 26 forms a stronger downdraft between the bag filters 30 to prevent re-dispersion of dust, as well as to discharge the airflow for exhaustion. there is.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에서는, 와류 가이드(40)로 인해 하강기류의 유속이 증대됨에 따라, 탈진효과와 더불어, 백필터(30)를 보호하는 에어커튼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In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low rate of the downdraft increases due to the vortex guide 40, the performance of the air curtain protecting the bag filter 30 can be stably exhibited along with the dust removal effect. be able to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와류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ortex guide of FIG. 5 .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하우징(10), 격실(20), 복수의 백필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격실의 분사홀(25)에는 와류 가이드(40)가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0, a compartment 20, and a plurality of bag filters 30. A vortex guide 40 may be installed in the spray hole 25 of the compartment.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와류 가이드(40)가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하면(23)에 결합하도록 배치된 점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나머지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작용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only in that the vortex guide 40 is formed in a separate type and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23,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it can be configured and us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the example and the secon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에서, 와류 가이드(40)는, 보호벽(22)에 결합하는 내통(41), 내통을 둘러싸면서 이격되고 분사홀(25)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외통(42), 및 내통과 외통을 연결하면서 둘레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rtex guide 40 includes an inner cylinder 41 coupled to the protective wall 22, an outer cylinder spaced apart while surrounding the inner cylinder and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pray hole 25 (42), and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43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connecting the inner cylinder and the outer cylinder.

내통(41)과 외통(42), 그리고 내통과 외통 사이의 인접한 가이드부재(43)들 사이에는 관통홀(44)이 구획되고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유입구(13)를 통해 격실(20) 내에 유입된 기체는 관통홀(44)을 통과함으로써, 하면(23)의 분사홀(25)을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에는 도시의 편의상 하나의 관통홀만 은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A through hole 44 may be partitioned and formed between the inner cylinder 41 and the outer cylinder 42 and adjacent guide members 43 between the inner cylinder and the outer cylinder. Substantially, the gas introduced into the compartment 20 through the inlet 13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44 and passes through the spray hole 25 of the lower surface 23 . In FIG. 6 , only one through hole is indicated by a hidden line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이와 같이 분리형 와류 가이드(40)는 내통(41) 및 외통(42)과 일체로 형성되고, 분사홀(25)과 보호벽(22)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을 위해 외통의 상단에는, 하면(23)에 걸쳐 놓을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detachable vortex guide 4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cylinder 41 and the outer cylinder 42, and may be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spray hole 25 and the protective wall 22. At the top of the outer cylinder for coupling, a flange that can be placed across the lower surface 23 may be formed.

가이드부재(43)는 내통(41)과 외통(42)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그리고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이로써, 제3 실시예의 와류 가이드는, 제1 실시예의 단지 평판인 와류 가이드보다 더 3차원적인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guide member 43 may extend radially between the inner cylinder 41 and the outer cylinder 42 and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us, the vortex guide of the third embodiment can have a more three-dimensional shape than the vortex guide of the first embodiment, which is only a flat plate.

가이드부재(43)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유입된 기체의 원활한 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가이드부재는 높이방향을 따라 비틀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guide member 43 may have a curv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Moreover, in order to induce a smooth descent of the introduced gas, the guide member may have a twisted shape along the height direction.

혹은, 가이드부재(43)는 일직선의 형상을 갖고서, 내통(41)에서 외통(42)까지 최단거리로 연장한 직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가이드부재는 높이방향을 따라 비틀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guide member 43 may have a straight line shape and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inner cylinder 41 to the outer cylinder 42 in the shortest distance. Even in this case, the guide member may have a twisted shape along the height direction.

각 가이드부재(43)의 최대 폭은, 인접한 가이드부재들 사이의 최대 거리, 즉 관통홀(44)의 최대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의 존재로 인하여, 인접한 가이드부재들 사이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기체의 유속은 증대될 수 있으며, 관통홀 주변의 기체가 함께 유입되어 유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maximum width of each guide member 43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adjacent guide members, that is, the maximum width of the through hole 44 . Due to the existence of the guide member, the flow rat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between the adjacent guide members can be increased, and the flow rate can be increased by introducing the gas around the through hole together.

만일, 가이드부재(43)의 최대 폭이 인접한 가이드부재들 사이에 있는 관통홀(44)의 최대 폭보다 커지면, 분사홀(25)의 유입측과 유출측 사이, 다시 말해 격실(20) 안팎의 차압이 크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재의 (최대) 폭은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 요구된다.If the maximum width of the guide member 43 is larg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through hole 44 between the adjacent guide members, betwee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the spray hole 25, that i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mpartment 20 There is a risk that the foreclosure pressure will increase.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maximum) width of the guide member be properly set.

유입구(13)를 통해 격실(20) 내에 유입된 기체는, 와류 가이드(40)에 의해 하면(23)의 분사홀(25)을 원활히 통과하도록 안내되면서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하향으로 유동되고, 더욱이 와류 가이드의 가이드부재(43)를 따라 와류 형태로 회전하면서 가속되어 백필터(30)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The gas introduced into the compartment 20 through the inlet 13 flows downward inside the housing 10 while being guided to smoothly pass through the injection hole 25 of the lower surface 23 by the vortex guide 40 In addition, while rotating in the form of a vortex along the guide member 43 of the vortex guide, it is accelerated and flows downward along the bag filter 30.

이와 같이, 하강기류의 유속이 증대됨에 따라, 백필터(30)에 쌓여 있는 분진 및 오염물질을 백필터로부터 탈락시키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 와류 형태의 하강기류가 백필터의 둘레로 형성되어 에어커튼을 생성함으로써, 보호벽(22)에 이어 백필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as the flow rate of the downdraft increases, the effect of removing dust and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bag filter 30 from the bag filter can be maximized. In addition, the downdraft in the form of a vortex is formed around the bag filter to create an air curtain, so that the bag filter can be protected following the protective wall 22 .

분리형 와류 가이드(40)는 보조 분사홀(26)에도 설치될 수 있다. 내통(41) 및 외통(42)과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재(43)가 보조 분사홀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The detachable vortex guide 40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auxiliary injection hole 26 . A guide member 43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cylinder 41 and the outer cylinder 42 may be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auxiliary spray hole.

이러한 보조 분사홀(26)의 와류 가이드(40)는, 백필터(30)들의 사이에서 더 강한 하강기류를 형성하여 분진이 재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탈진을 위한 기류를 배출할 수 있다. The vortex guide 40 of the auxiliary spray hole 26 forms a stronger downdraft between the bag filters 30 to prevent re-dispersion of dust, as well as to discharge the airflow for exhaustion. .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에서는, 와류 가이드(40)로 인해 하강기류의 유속이 증대됨에 따라, 탈진효과와 더불어, 백필터(30)를 보호하는 에어커튼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In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low rate of the downdraft increases due to the vortex guide 40, the performance of the air curtain that protects the bag filter 30 can be stably exhibited along with the dust removal effect. be able to

도 7은 유동해석을 통해 종래기술(a)과 본 발명(b)에 따른 분사홀에서 하강기류의 유속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mparison of the flow velocity of the descending airflow in the injection ho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and the present invention (b) through flow analysis.

도 7의 (a)는 종래기술에 따라 와류 가이드가 없는 분사홀을 통해 분사되는 하강기류의 유속(m/s)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7 (a) shows the flow velocity (m/s) of the downdraft jetted through a jetting hole without a vortex gui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예를 들면, 1 m/s로 하강기류가 배출될 경우에, 분사홀을 통해 최대 약 10 m/s까지 유속이 도달하는 것을 유동해석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owndraft is discharged at 1 m/s, it can be confirmed through flow analysis that the flow velocity reaches a maximum of about 10 m/s through the spray hole.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입체 형상을 가진 와류 가이드(40)가 있는 분사홀을 통해 분사되는 하강기류의 유속(m/s)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7 (b) shows the flow velocity (m/s) of the descending airflow sprayed through the spray hole in which the vortex guide 40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is locat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1 m/s로 하강기류가 배출될 경우에, 와류 가이드(40)가 있는 분사홀을 통해 약 25 m/s까지 유속이 증대되는 것을 유동해석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owndraft is discharged at 1 m/s, it can be confirmed through flow analysis that the flow velocity increases to about 25 m/s through the spray hole with the vortex guide 4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와류 가이드가 적용된 분사홀에서는, 하강기류의 유속이 적어도 2.5배 정도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n the spray hole to which the vortex guid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flow rate of the descending air flow by at least 2.5 times can be obtained.

또한, 와류 가이드가 적용된 분사홀을 통과하는 하강기류는 백필터의 주위로 에어커튼의 성능을 더욱 안정적으로 그리고 더욱 풍부하게 발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downdraft passing through the injection hole to which the vortex guide is applied exhibits the performance of the air curtain more stably and more abundantly around the bag filt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하우징 11: 설치부
12: 호퍼부 13: 유입구
14: 배출구 15, 53: 밸브
16: 배기구 20: 격실
21: 상면 22: 보호벽
23: 하면 24: 지지홀
25: 분사홀 26: 보조 분사홀
30: 백필터 40: 와류 가이드
41: 내통 42: 외통
43: 가이드부재 44: 관통홀
50: 탈진수단 51: 노즐
52: 튜브
10: housing 11: installation part
12: hopper part 13: inlet
14: outlet 15, 53: valve
16: exhaust vent 20: compartment
21: top surface 22: protective wall
23: lower surface 24: support hole
25: injection hole 26: auxiliary injection hole
30: bag filter 40: vortex guide
41: inner tube 42: outer tube
43: guide member 44: through hole
50: escape means 51: nozzle
52 tube

Claims (12)

일측에 유입구와 타측에 배기구를 갖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소정의 공간을 구획하고,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하면에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되어 유입된 기체를 상기 하우징 내로 배출하는 격실; 및
상기 분사홀을 통해 상기 격실을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연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백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홀에는 와류 가이드가 설치된 집진장치.
A housing having an inlet on one side and an exhaust on the other side;
a compartment that divides a predetermined space within the housing, communicates with the inlet so that gas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has a plurality of spray holes formed on a lower surface to discharge the introduced gas into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bag filter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compartment through the injection hole and extend vertically within the housing.
including,
A dust collector in which a vortex guide is installed in the spray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상기 백필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격실은,
복수의 지지홀이 형성된 상면;
상기 백필터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상기 분사홀이 형성된 상기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면서 상기 분사홀 내에 위치하고, 상기 격실 내에서 상기 백필터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복수의 보호벽
을 포함하는 집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artment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ag filter,
The compartment is
An upper surface o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are formed;
When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re formed to surround the bag filter; and
A plurality of protective walls are located in the injection hole whil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d are formed to surround the bag filter in the compartment.
A dust collecto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가이드는 하나의 분사홀에서 복수로 설치되며,
복수의 와류 가이드는 상기 분사홀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면서 둘레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집진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vortex guide is installed in plurality in one injection hole,
A plurality of vortex guides are dispos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connec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pray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가이드는 만곡된 형상을 가진 집진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vortex guide is a dust collector having a curved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가이드는 일직선의 형상을 갖고서, 상기 분사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까지 최단거리로 연장한 직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집진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eddy current guide has a straight line shape and is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pray hole in the shortest distan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가이드는 상기 하면과 일체로 성형된 집진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vortex guide is a dust collector integrally molded with the lower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가이드는 높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하면의 두께보다 증대된 높이 또는 두께를 갖는 집진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vortex guide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has a height or thicknes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ow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가이드는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사홀에 삽입된 집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ortex guide is formed in a separate type and inserted into the spray ho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가이드는,
내통;
상기 내통을 둘러싸면서 이격된 외통; 및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을 연결하면서 둘레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의 인접한 가이드부재들 사이에 관통홀이 형성된 집진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vortex guide,
internal pain;
an outer tube spaced apart while surrounding the inner tube; and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connecting the inner cylinder and the outer cylinder.
including,
A dust collector in which through-holes are formed between adjacent guide members between the inner cylinder and the outer cylind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만곡된 형상을 가진 집진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guide member is a dust collector having a curved shap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직선의 형상을 갖고서, 상기 내통에서 상기 외통까지 최단거리로 연장한 직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집진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guide member has a straight line shape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extending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ner cylinder to the outer cylinder.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에서 복수의 백필터 사이에는 보조 분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분사홀에 와류 가이드가 배치된 집진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n auxiliary injection hol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bag filters on the lower surface,
A dust collector in which a vortex guide is disposed in the auxiliary spray hole.
KR1020210088274A 2021-07-06 2021-07-06 Appratus for collecting dust KR202300076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274A KR20230007662A (en) 2021-07-06 2021-07-06 Appratus for collecting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274A KR20230007662A (en) 2021-07-06 2021-07-06 Appratus for collecting du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662A true KR20230007662A (en) 2023-01-13

Family

ID=8490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274A KR20230007662A (en) 2021-07-06 2021-07-06 Appratus for collecting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766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6340A (en) Air cleaner apparatus
US7485163B2 (en) Nozzle and filter-type dust collector
US20150360161A1 (en) Dust collector with spark arrester
CA2655945C (en) Cleaning nozzle for dust collector
JP3729354B2 (en) Dust collector
EP2091631B1 (en) System configuration of pulsed cleaned panel-style filter elements and methods
JPH04504975A (en) Cyclone separator for removing and collecting airborne particles
US10464004B2 (en) Bag filter filtration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dust accumulation
CN111544966A (en) Dust re-scattering prevention module of filtering dust collector and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same
KR102541711B1 (en) Dust collection system
JP6912653B2 (en) Dust remover for cleaning gas
JP5768423B2 (en) Electric dust collector
SE419830B (en) SET AND DEVICE FOR EXHAUSTING POLLUTANEATED AIR
KR101309829B1 (en) cleaning apparatus of bag filter unit
KR20120119640A (en) Cleaning apparatus of bag filter unit
KR102311583B1 (en) Device having module for making air-curtain around filter bag
KR101643574B1 (en) Jet nozzle for bagfilter cleaning
KR20230007662A (en) Appratus for collecting dust
JP2023501887A (en)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filter element of filter device
WO1998034713A1 (en) Reverse pulse cleaning enhancement for cartridge filter air filtration system
KR101102453B1 (en) Nozzle for cleaning a filter bag in dust collector
KR20190117057A (en) Apparatus for reducing fine dust in multiple use facility
KR102204943B1 (en) Air cleaning apparatus
JPS5914246B2 (en) scrubber
KR101577338B1 (en) Dust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