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534A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534A
KR20230007534A KR1020227045388A KR20227045388A KR20230007534A KR 20230007534 A KR20230007534 A KR 20230007534A KR 1020227045388 A KR1020227045388 A KR 1020227045388A KR 20227045388 A KR20227045388 A KR 20227045388A KR 20230007534 A KR20230007534 A KR 20230007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ear
holding member
ho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5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잉 젱
지앙 수
용엔 왕
하오펭 장
간 라이
총 왕
리웨이 왕
루이신 한
레이 장
준지앙 푸
Original Assignee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21/109154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022618A1/zh
Publication of KR2023000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021Behind the ear [BTE] hearing aids
    • H04R2225/0213Constructional details of earhooks, e.g. shap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이어폰을 개시한다. 상기 이어폰은 걸이형부재, 연결부재, 및 홀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는 사용자 귀의 뒤측과 사용자 머리 사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재는 귀의 앞측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걸이형부재와 상기 홀딩부재를 연결하고 머리로부터 머리 밖으로 연장하여 상기 걸이형부재와 협력하여 상기 홀딩부재에 귀의 앞측을 누르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폰{EARPHONE}
관련 출원과의 교차참조설명
[1] 본 출원은 중국 특허출원(출원번호 202010743396. 4(출원일자:2020년 7월 29일), 출원번호202011328519. 4(출원일자: 2020년 11월 24일)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국제출원(출원번호: PCT/CN2021/109154)의 계속 출원이며, 이 출원의 내용은 참고하여 모두 본 출원에 포함되어 있다.
기술분야
[2] 본 출원은 스피커장치들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1] 이어폰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널리 쓰이고 있으며, 휴대폰,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장치들과 조합하여 사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청각 향수를 제공한다. 이어폰의 작동 원리에 따라,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기전도 이어폰과 골전도 이어폰으로 분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어폰을 착용하는 방식에 따라,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헤드셋, 귀걸이 이어폰, 귀내 이어폰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어폰과 전자장치들 사이의 인터랙션 방식에 따라,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유선 이어폰과 무선 이어폰으로 분류될 수 있다.
[1] 본 개시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상기 이어폰은 걸이형부재, 연결부재, 및 홀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이 착용 상태일 때, 상기 걸이형부재는 사용자 귀의 뒤측과 사용자 머리 사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재는 귀의 앞측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걸이형부재와 상기 홀딩부재를 연결하고 머리로부터 머리 밖으로 연장하여 상기 걸이형부재와 협력하여 상기 홀딩부재에 귀의 앞측을 누르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걸이형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제1 연결점으로부터 걸이형부재의 자유단부로의 방향에서, 상기 걸이형부재는 상기 귀의 뒤측을 향해 구부러져 귀의 뒤측과의 제1 접촉점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홀딩부재는 귀의 앞측과의 제2 접촉점을 형성할 수 있다. 자연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른 상기 제1 접촉점과 상기 제2 접촉점 사이의 거리는 착용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른 상기 제1 접촉점과 상기 제2 접촉점 사이의 거리보다 작아서 상기 홀딩부재에 귀의 앞측을 누르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3]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걸이형부재는 상기 귀의 뒤측과의 제3 접촉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접촉점은 상기 제1 연결점과 상기 제1 접촉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연결점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자연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촉점과 상기 제3 접촉점의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방향에 수직이 되는 기준면에서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는 착용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촉점과 상기 제3 접촉점의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방향에 수직이 되는 기준면에서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4]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걸이형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제1 연결점으로부터 걸이형부재의 자유단부로의 방향에서, 상기 걸이형부재는 머리를 향해 구부러져 머리와의 제1 접촉점과 제2 접촉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점은 상기 제2 접촉점과 상기 제1 연결점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는 상기 제1 접촉점을 지점으로 하는 레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점에서 머리에 의해 제공되는 머리 외부를 향하는 힘은 레버 구조에 의해 상기 제1 연결점에서 머리를 향하는 힘으로 변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홀딩부재에 귀의 앞측을 누르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5]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홀딩부재는 연장되고 귀의 이갑개정에 고정될 수 있다.
[6] 일부 실시예들에서, 탄성금속선은 상기 걸이형부재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금속선은 상기 탄성금속선의 횡단면에서 서로 직교하는 장축방향과 단축방향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탄성금속선의 크기는 상기 단축방향에서의 상기 탄성금속선의 크기보다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와 상기 홀딩부재는 협력하여 상기 귀에 대해 탄성조임을 형성할 수 있다.
[7]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탄성금속선의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크기 대 상기 탄성금속선의 상기 단축방향에서의 크기의 비율은 4:1과 6:1 사이일 수 있다.
[8]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탄성금속선은 단축방향에서 호형일 수 있으며, 상기 호형의 높이 대 상기 탄성금속선의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크기의 비율은 0. 1 내지 0. 4의 범위 내일 수 있다.
[9]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홀딩부재에 배치되고, 착용 상태에서 귀의 이갑개 캐비티, 이갑개정, 삼각와, 및 주상와 중 임의의 하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걸이형부재에 배치되며, 착용 상태에서 귀의 이륜 및/또는 대이륜에 걸릴 수 있다.
[10]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재의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측은 내면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개 내면의 반대측은 외면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홀딩부재의 귀의 귓구멍을 향한 측은 하면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하면의 반대측은 상면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홀딩부재의 귀의 뒤측을 향한 측은 뒤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내면, 상기 하면, 상기 상면, 및 상기 뒤면 중 임의의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11]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홀딩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12]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장부재는 탄성 슬리브를 통해 상기 홀딜부재에 씌워질 수 있다.
[13]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홀딩부재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14]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홀딩부재는 코어를 가지고 다섹션식 구조를 가져서 상기 이어폰의 전체 구조에서 상기 코어의 관련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5]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홀딩부재는 순차로 단부와 단부가 연결된 제1 홀딩섹션, 제2 홀딩섹션, 및 제3 홀딩섹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홀딩섹션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1 홀딩섹션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딩섹션은 상기 제1 홀딩섹션에 상대적으로 뒤로 접혀지고 상기 제1 홀딩섹션과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제1 홀딩섹션과 상기 제2 홀딩섹션이 U형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코어는 상기 제3 홀딩섹션에 배치될 수 있다.
[16]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홀딩부재는 순차로 단부와 단부가 연결된 제1 홀딩섹션, 제2 홀딩섹션, 및 제3 홀딩섹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홀딩섹션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1 홀딩섹션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딩섹션은 상기 제1 홀딩섹션에 상대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제3 홀딩섹션과 상기 제1 홀딩섹션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코어는 상기 제3 홀딩섹션에 배치될 수 있다.
[17]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홀딩부재는 서로 직교되는 두께방향,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을 가진다. 상기 두께방향은 상기 홀딩부재가 착용 상태에서 귀에 가깝거나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방향은 상기 홀딩부재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에 가깝거나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연 상태에서, 상기 착용 상태에서 이어폰의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를 향한 측에서 보면, 상기 홀딩부재는 두께방향에서 상기 걸이형부재의 상기 연결부재에 가까운 섹션으로부터 적어도 간격을 둘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호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홀딩부재와 상기 걸이형부재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18] 일부 실시예들에서, 두께방향에서, 상기 걸이형부재의 상기 연결부재에 가까운 섹션과 상기 홀딩부재 사이의 최소 거리는 0보다 크고 5mm 이하일 수 있다.
[19]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걸이형부재의 상기 연결부재에 가까운 섹션의 가장자리, 상기 연결부재, 및 귀를 향한 상기 홀딩부재는 원형 호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원형 호의 우회 변곡점을 통과하고 상기 길이방향에 평행되는 기준 방향에서, 상기 우회 변곡점으로부터 3mm 떨어진 위치에서 원형 호의 두께방향을 따른 최소 폭은 1mm to 5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20]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홀딩부재의 귀를 향한 측에는 소리홀이 구성될 수 있으며, 소리홀의 중심과 두께방향에서 상기 걸이형부재의 상기 연결부재에 가까운 섹션 사이의 거리는 3mm 내지 6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21]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홀딩부재의 귀를 향한 측은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역에는 소리홀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1 구역보다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더 멀리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구역보다 귀를 향해 더 돌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홀로 하여금 착용 상태에서 귀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한다.
[22]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구역과 두께방향에서 상기 걸이형부재의 상기 연결부재에 가까운 섹션 사이의 거리는 1mm 내지 5mm로 배치될 수 있다.
[23] 일부 실시예들에서, 두께방향에서 상기 걸이형부재의 상기 연결부재에 가까운 섹션의 직교 투영은 상기 제2 구역에 부분적으로 겹쳐질 수 있다.
[24]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두께방향에서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제1 구역에 상대적인 최대 돌출 높이는 1 mm이상일 수 있다.
[25]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홀딩부재는 귀의 대이륜에 접촉될 수 있다.
[1]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기술안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실시예들의 기재에서 설명되는 도면들을 간단히 설명한다. 물론 아래의 설명에서 도면들은 본 개시의 동일한 예거나 실시예들일 수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기타 도면들은 창조적 노동이 없이 도면들로부터 얻을 수 있다.
[2]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귀의 윤곽의 구조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3]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이어폰의 구조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 도 3은 도 2에서의 이어폰의 구조의 좌측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5] 도 4는 착용상태에서의 도 2에서의 이어폰의 구조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6] 도 5는 착용상태에서의 도 2에서의 이어폰의 구조의 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7] 도 6은 착용상태에서의 도 2에서의 이어폰의 기계 모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8]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구조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9] 도 8은 도 7에서의 이어폰의 좌측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0] 도 9는 도 7에서의 이어폰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1] 도 10은 도 7에서의 이어폰의 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2] 도11은 도 7에서의 이어폰의 기계 모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3]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상면도의 개략도이다.
[14]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구조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5]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6] 도 15는 착용 상태에서의 도 14의 이어폰의 기계 모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7] 도 1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부의 피부접촉구역의 표면 구조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8] 도 17은 도 12에서의 상이한 구조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9] 도 1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0] 도 19는 도8에서의 걸이형부재의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1] 도 20은 상기 걸이형부재의 연장방향에 수직이 되는 기준 평면에서의 도19 중 탄성금속선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2] 도 2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구조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3]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회전축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4] 도 23은 조립하기 전후의 도 22에서의 회전축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5] 도 24는 본 개시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6] 도 2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24에서의 회전축조립체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7] 도 26은 도 25에서의 회전축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8] 도 27은 본 개시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도 24에서의 회전축조립체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9] 도 28은 도 27에서의 회전축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30] 도 2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XY 평면에서의 이어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31] 도 3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귀에서 멀리 향하는 측의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32] 도 31 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귀를 향하는 측의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33] 도 3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 측에서 보는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34] 도 3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35] 도 3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36] 도 3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37] 도 3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38] 도 3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귀로부터 멀리 향하는 측의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39] 도 3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 측에서 보는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0] 도 39는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1] 도 4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 보드의 측면을 향하는 코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2] 도 41 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3] 도 4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귀에서 멀리 향하는 측의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4] 도 4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 측에서 보는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5] 도 4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6] 도 4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코어의 측면을 향하는 칸막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7] 도 4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8] 도 4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9] 도 4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쌍극자의 음장 분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50] 도 4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칸막이를 구비하는 음향 쌍극자의 음장 분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51] 도 5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쌍극자를 구비하고 칸막이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의 원장 음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52] 도 5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칸막이를 구비하는 음향 쌍극자의 이론 모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53] 도 5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파라미터 α와 각도 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54] 도 5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쌍극자와 귀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55] 도 5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귀 측을 향한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56] 도5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57] 도 5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주파수 공진곡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58] 도 5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뒤캐비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59] 도 5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주파수 공진곡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60] 도 5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 상태에서의 각 이어폰들의 구조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개시는 아래에서 도면과 실시예들을 결합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아래의 예는 단지 본 개시를 설명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개시의 실시들의 일부분이며, 전부의 실시예들이 아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고 얻을 수 있는 기타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1] 본 개시에서의 "실시예"는 실시예에 결합되어 설명된 특정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들에 결합될 수 있음을 명확히 암시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귀의 윤곽의 구조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3]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귀(100)와 외이도(101)와 부근의 이갑개 캐비티(102) 외에 이갑개정(103), 삼각와(104), 등과 같은 귀(100)의 일부분은 3차원 공간에서 일정한 깊이와 체적을 가지기 때문에 이어폰들의 착용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어폰의 구조를 합리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이어폰의 착용은 외이도(101)를 제외한 사용자의 귀(100)의 배합하에서 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이도(101)는 "해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건강을 향상시키고, 교통사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상응하게, 본 개시는 주로 사용자의 귀(100)의 상부 부분(이갑개정(103), 삼각와(104), 대이륜(105), 주상와(106), 이륜(107), 등이 위치하는 구역을 포함한다)을 이용하여 상기 이어폰의 착용을 구현하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어폰의 착용 편안감과 합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의 귓불(108)과 기타 부분도 더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귀(100)의 일부 상대적으로 특수한 생리위치가 추가 확인될 수 있다. 특수한 생리위치는 이륜(107)의 앞 가장자리와 머리를 연결하는 상이근(LA), 귓불(108)에 가깝고 이갑개 캐비티(102)를 향하는 대이륜(105)의 단부의 이륜 노치(LC), 귓불(108)에 가까운 상기 이갑개 캐비티(102)의 단부의 이주간 노치(L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사이의 개인적 차이에 의해, 다윈의 결절들과 같은 생리위치는 일부 사용자의 귀에서 선명하지 않거나 전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러나 이는 다른 사용자의 귀가 상기 생리위치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4] 상기 외이도가 고막까지 연장되는 일정한 깊이를 가지고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결합하여, 본 개시에서 특별히 규정하지 않은 한, 상기 외이도는 구체적으로 고막, 즉, 귓구멍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입구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언급된 "귀의 앞측"은 "귀의 뒤측"에 상대적인 개념일 수 있다. 상기 귀의 앞측은 귀의 머리로 부터 멀리 향하하는 측일 수 있으며,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귀의 뒤측은 귀의 머리를 향하는 측일 수 있다. 귀의 앞측과 뒤측의 양자는 사용자의 귀에 상대적이다.
[5]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이어폰의 구조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이어폰의 구조의 좌측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착용상태에서의 도 2에서의 이어폰의 구조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착용상태에서의 도 2에서의 이어폰의 구조의 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에 표시하는 이어폰의 3개의 방향 X, Y, 및Z는 주로 3개의 평면 XY, XZ, 및 YZ을 표시함으로써 아래의 설명에서 상응한 설명을 용이하게 함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전부의 방향지시들(예들 들면, 위, 아래, 좌, 우, 앞, 뒤)은 주로 특정된 자세(도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하에서의 부재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부재들의 운동상태,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을 해석하는데 이용된다. 특정된 자세가 변화되면, 방향지시가 상응하게 변할 수 있다.
[6] 도 2 및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10)은 걸이형부재(11), 연결부재(12), 및 홀딩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상기 홀딩부재(13)를 연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은 이어폰(10)이 비착용 상태( 즉, 자연 상태에 있음)에 있는 경우 3차원 공간에서 구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3차원 공간에서, 상기 걸이형부재(11), 상기 연결부재(12), 및 상기 홀딩부재(13)는 같은 평면에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도 4및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주로 사용자의 귀와 머리의 뒤측 사이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홀딩부재(13)는 주로 귀의 앞측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와 상기 걸이형부재(11)가 협력하여 귀를 집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재(12)는 머리로부터 머리 밖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이형부재(11)와 협력하여 상기 홀딩부재(13)에 귀의 앞측을 누르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홀딩부재(13)는 구체적으로 상기 이갑개정, 삼각와, 상기 대이륜, 및 기타 부분이 압력하에 있는 구역을 압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은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귀의 외이도를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이어폰(10)이 상기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13)의 사용자의 귀에서의 투영은 주로 귀의 이륜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재(13)는 귀의 외이도의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에 가깝고 상기 이륜 및/또는 상기 대이륜에 접촉하는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방식을 통해, 상기 홀딩부재(13)는 외이도를 커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양귀를 해방한다. 상기 홀딩부재(13)와 귀 사이의 접촉 면적은 증가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의 착용 편안감을 개선한다.
[7] ANSI: S3. 36, S3. 25 및 IEC: 60318-7 표준에 의하면, 머리 및(좌우) 귀를 구비하는 시뮬레이터(예들 들면, GRAS 45BC KEMAR)가 만들어 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어폰을 착용" 또는 "이어폰에 착용 상태에 있다"는 묘사는 이어폰이 상술한 시뮬레이터의 귀에 착??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개시에서 상술한 "착용 상태"는 상술한 시뮬레이터의 귀에 이어폰이 착용된 후의 정상적인 착용 상태를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정상적인 착용 상태는 도 4 및 도 5에 표시하는 정상적인 착용 상태, 도 9 및 도 10에 표사하는 정상적인 착용 상태의 다른 하나의 예와 같은 귀의 앞측과 뒤측의 시각으로부터 더 설명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들의 개인적인 차이에 의해, 이어폰(10)의 실제 착용 상태는 상술한 정상적인 착용 상태와 다를 수 있다.
[8] 성인 남성 사용자에 있어서, 귀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두꺼울 수 있다(일반적으로 "두꺼운 귀"라고 부른다). 상기 연결부재(12)의 형상, 크기,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과 같은 구조적 파라미터들, 및 상기 걸이형부재(11) 및 상기 홀딩부재(13)와의 연결관계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예시적인 설명은 아래에 기재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10)이 귀에 될수록 피팅되게 확보함으로써 이어폰(10)의 착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이어폰(10)은 상이근 부근의 이륜을 지나치게 집지 않을 수 있으며, 즉, 상기 상이근은 자연적으로 우회되어 이어폰(10)의 착용 편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어린이, 미성년자, 또는 성인 여성과 같은 사용자에 있어서, 귀의 두께는 얇은 경우가 많다(일반적으로 "얇은 귀"로 알려진다). 구체적으로, 성인 남성의 귀의 두께와 비교하여, 이어폰(10)이 상기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이어폰(10)의 사용자의 귀로의 피팅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12)의 크기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홀딩부재(13)와 상기 걸이형부재(11) 사이의 호형 전환부일 수 있다.
[9] 또한, 상기 이어폰(10)은 코어(14), 메인회로판(15), 및 배터리(16)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14)는 주로 전기신호를 상기 상응한 기계적 진동(즉, "소리 생성")으로 변환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상응한 도체들을 통해 상기 메인회로판(15) 및 상기 배터리(16)에 전기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회로판(15)은 주로 상기 코어(14)의 소리 생성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16)는 주로 상기 코어(14)의 소리 생성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기재되는 상기 이어폰(10)은 마이크로폰, 또는 픽업장치와 같은 소리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장치, 또는 NFC(근거리통신)장치와 같은 통신장치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상응한 도체를 통해 상기 메인회로판(15) 및 상기 배터리(16)에 전기 연결되어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10] 예를 들면, 상기 코어(14)는 상기 홀딩부재(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코어(14)는 압력의 작용하에서 사용자의 귀를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홀딩부재(13)가 주로 사용자의 귀의 앞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14)를 고정하기 때문에, 상기 홀딩부재(13)는 사용자와 상기 이어폰(10) 사이의 인터랙션을 용이하게 하는 일부 기능버튼들(도 2에 미도시)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회로판(15)은 상기 홀딩부재(13) 내에도 배치되어 상기 코어(14)와 상기 메인회로판(15) 사이의 도선 거리, 기능 키들 사이의 도선 거리,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 및 상기 메인회로판(15)를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재(13)가 상기 코어(14), 상기 메인회로판(15), 상기 기능버튼,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을 구비하고,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귀 앞에 배치되기 때문에,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16)는 상기 걸이형부재(11) 내부에 배치되고 주로 귀의 뒤측과 사용자의 머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런 방식을 통해, 상기 배터리(16)의 용량은 커져서 상기 이어폰(10)의 내구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이어폰(10)의 무게는 균형을 잡아 상기 이어폰(10)이 착용된 기간의 안정성과 편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11] 또한, 본 개시의 발명자들은 장기간 연구를 거쳐 상기 홀딩부재(13)의 총 무게 대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상기 배터리(16)(아래에서는 "배터리부"라고 부른다)에 대응되는 부분의 총 무게의 무게 비례는 4:1 내, 바람직하게는 3:1내, 더 바람직하게는 2. 5:1내에 있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도 2 및 도 3을 결합하여,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홀딩부재(13)의 총 무게는 상기 홀딩부재(13)의 무게와 그 안의 상기 코어(14), 상기 메인회로판(15), 등과 같은 구조 부재들의 무게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의 총 무게는 상기 배터리부의 무게와 그 안의 상기 배터리(16)와 같은 구조 부재들의 무게일 수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13) 내의 구조 부재들과 상기 배터리부 내의 구조 부재들은 설계의 수요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상이한 부분들 내의 구조 부재들의 조절은 본 개시의 해결안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무게 비율은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으며, 여기에서 이에 대해 중복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이어폰(10)의 무게는 상기 이어폰(10)의 양단부에 더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귀들은 지점으로서 상기 이어폰(10)을 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는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을 때 적어도 미끌어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귀들은 상기 이어폰(10)의 대부분 무게를 감당할 수 있으며, 이는 장기간 착용할 때 쉽게 불편감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11), 상기 연결부재(12), 상기 홀딩부재(13), 및 기타 구조들은 유연한 재료들(예들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알루미늄 공중합체, 실리카 겔, 등)로 만들어져 상기 이어폰(10)의 착용 편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폰(10)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스프링 스틸, 티타늄 합금, 티타늄 니켈 합금, 크롬 몰리브덴 스틸, 알루미늄 합금, 구리 합금, 등과 같은탄성금속선들 구조 of 상기 걸이형부재(11), 상기 연결부재(12), 상기 홀딩부재(13), 또는 기타 구조들의 구조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12]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편안감과 안정성을 고려하면 아래와 같은 개량도 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13] 1) 상기 연결부재(12)와 상기 배터리부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2)와 상기 배터리부 사이의 중간부는 상술한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중심부는 "단단한 속대의 유연성 피복(soft-wrapped-hard)" 구조에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에 접촉하는 상기 걸이형부재(11)의 구역은 상술한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료들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나머지 구역은 상술한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들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이한 재료들은 2색 사출성형 기술, 스프레이 페인트 기술, 등과 같은 기술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들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알루미늄 공중합체(ABS), 폴리스티렌(PS),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HI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페놀-포름알데히드(PF), 폴리(에스테르 술폰), PES,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 또는 이 중의 적어도 2가지의 혼합물, 또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과 같은 강화제를 함유하여 형성된 혼합물을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 페인트는 구체적으로 고무촉감 페인트, 탄성촉감 페인트, 플라스틱 탄성 페인트,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일 수 있다.
[14] 2) 상기 이어폰(10)이 사용자에게 착용되었기 때문에, 상기 이어폰(10)의 일부분은 사용자의 피부(아래에서는 피부접촉구역이라고 부른다)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피부접촉구역의 재료는 일반적으로 상기 이어폰(10)이 장기간 착용되는 경우의 사용자의 편안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부접촉구역은 상술한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다른 구역은 상술한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이한 재료들은 2색 사출성형, 스프레이 페인트 기술, 등과 같은 기술들로 형성될 수 있다.
[15]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 재료들의 쇼어 경도는 45-85A, 30-60D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 재료들과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들 양자는 탄성금속선들을 커버할 수 있다.
[16] 또한, 상이한 사용자들은 나이, 성별, 및 유전자 제어 특성발현에서 큰 차이점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이한 사용자의 귀와 머리는 상이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상기 연결부재(1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또는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연결부재(1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연결부재(12)의 일부분은 상기 연결부재(12)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따라서 3차원 공간에서 상기 걸이형부재(11), 상기 연결부재(12), 및 상기 홀딩부재(13)의 상대적 위치관계는 조절되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은 상이한 사용자에게 적응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 사용자에 대한 응용성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재(12)는 유연한 강선과 같은 변형가능한 재료들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연결부재(12)를 구불여서 일부분을 다른 일부분에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3차원 공간에서 상기 걸이형부재(11), 상기 연결부재(12), 및 상기 홀딩부재(13)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며, 따라서 착용의 요구를 만족시킨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연결부재(12)는 회전축기관(121)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기관(121)을 통해 상기 사용자는3차원 공간에서 기 걸이형부재(11), 상기 연결부재(12), 및 상기 홀딩부재(13)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여 착용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회전축기관(121)의 상세한 구조는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의 이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이에 관해 아래에서는 상세하게 기재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상기 연결부재(12)가 회전축기관(121)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면,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상기 연결부재(12)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재(13)와 상기 연결부재(12)가 회전축기관(121)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면,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연결부재(12)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의 일부분은 상기 회전축기관(121)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2)의 다른 일부분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2)의 일부분은 상기 연결부재(12)의 다른 일부분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17] 도 6을 참조하면, 도 6 은 착용상태에서의 도 2에서의 이어폰의 기계 모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서YZ 평면은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평면으로 간주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6에서 ABC 섹션(section)은 상기 걸이형부재로 간주될 수 있다. 도 6에서 CD 섹션은 상기 연결부재로 간주될 수 있다. 도 6에서 DEF부분은 상기 홀딩부재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C점은 도 1에서의 귀의 상말단이 위치하는 구역에 대응될 수 있다(예들 들면, 도 1에서 사선을 충전한 상자 C에 의해 표시되는 구역).
[18] 도 4 내지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ABC 섹션은 주로 사용자의 귀의 뒤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DEF 섹션은 주로 사용자의 귀의 앞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CD 섹션은 주로 사용자의 귀의 두께에 적응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BC 섹션, 상기 CD 섹션, 및 상기 DEF 섹션은 "집게"와 유사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은 사용자의 귀를 집을 수 있으며, 따라서 기본 착용 상태를 형성한다. 아래의 기재는 장기간 착용시의 상기 이어폰(10)의 힘과 안정성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일 수 있다.
[19]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걸이형부재(11)과 상기 연결부재(12) 사이의 제1 연결점(C)으로부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예를 들면, 도 6에서 A 점이 위치하는 단부)로의 방향에서,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구부러질 수 있으며, 머리와의 제1 접촉점(B) 및 제2 접촉점(A)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접촉점(B)은 상기 제2 접촉점(A)과 상기 제1 연결점(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점(B)과 상기 제2 접촉점(A)은 기계적 모델에서 정의한 2개의 점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 착용시, 상이한 사용자의 머리와 귀◎ 생리 구조에서의 차이에 의해, 상기 이어폰(10)의 실제 착용에 대해 특정된 영향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어폰(10)이 실제 착용시 머리와 접촉하는 상기 이어폰(10)의 위치는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 또는 자유단부과 상기 제1 접촉점(B) 사이의 임의의 점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AB 섹션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사용자의 머리에 맞닿을 수도 있다. 상기 기계적 모델과 실제 착용 안정성 원리는 상술한 기술안과 같을 수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의 기술안에 근거하여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고 쉽게 배우고, 조절하고 조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이런 방식을 통해,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상기 제1 접촉점(B)을 지점으로 하는 레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는 사용자의 머리를 압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는 상기 제2 접촉점 A에서 머리 밖을 향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 연결점(C)에서 상기 레버 구조를 통해 머리를 향하는 힘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연결부재(12)를 통해 위의 앞측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20]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가 사용자의 머리를 압박할 수 있고,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제2 접촉점 A에서 머리 밖을 향하는 힘을 제공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아래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함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이어폰(10)이 비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와 상기 YZ 평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와 상기 YZ 평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이어폰(10)이 비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와 상기 YZ 평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클 수록,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는 사용자의 머리를 더 단단히 압박하며, 상응하게 상기 제2 접촉점(A)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머리 밖을 향하는 힘이 더 크게 제공될 수 있다.
[1]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가 사용자의 머리를 압박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제2 접촉점 A에서 머리 밖을 향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적어도 상기 BC 섹션이 귀의 뒤측에 대해 압력을 가하게 하고, 이는 상기 홀딩부재(13)에 의해 귀의 앞측에 대해 압력을 가하는 것과 협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귀에 대해 "앞뒤 꼬집기(front and rear pinching)" 누르기 효과를 형성하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킴에 유의해야 한다.
[2] 또한, 상기 배터리(16)는 주로 상기 걸이형부재(11)의 AB 섹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의 무게 및 상기 코어(14), 상기 메인회로판(15)와 같은 그의 구조를 극복하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의 귀 및/또는 머리에 접촉하는 상기 걸이형부재(11)의 표면은 서리가 내린 모양의 표면, 무늬가 있는 표면,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으로 설정되어,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사용자의 귀 및/또는 머리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고, 상기 홀딩부재(13)와 상기 코어(14), 상기 메인회로판(15),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과 같은 그 중의 구조들의 자체의 무게를 극복하고,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특히, 점 A가 위치하는 구역)는 변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가 사용자의 머리를 압박하고 변형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와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접촉영역은 커지고,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편안감과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걸이형부재(11)는 2색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자유단부의 탄성계수(특히 점A가 위치하는 구역)이 다른 구역보다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자유단부의 변형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는 공심구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홀들(111)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자유단부의 변형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홀들(111)은 관통홀(들) 및/또는 맹공(들)일 수 있다. 홀들(111)의 수량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홀들(111)의 축방향은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와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접촉영역에 수직될 수 있다.
[3]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편안감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아래의 개량도 진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부의 피부접촉구역의 표면 구조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 1)상기 배터리부의 피부접촉구역은 무늬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6에서 도면(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무늬 구조는 상기 걸이형부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는 복수의 스트립 형상 돌출부들(112a)를 포함할 수 있다. 도16에서 도면(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무늬 구조는 상기 걸이형부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는 복수의 점형 돌출부들(112b)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무늬 구조는 격자 형상일 수도 있다.
[5] 2) 도 16에서 도면(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부의 피부접촉구역은 상기 걸이형부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반방추체 돌기(112c)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에서(도 16에서 화살로 표시하는 방향), 반방추체 돌기(112c)의 각 부분의 상기 걸이형부재(11)에 상대적인 돌출 높이는 점차 커진 후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이런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반방추체 돌기(112c)와 상기 사용자의 피부는 될수록 작은 저항력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을 완료한 후, 상기 반방추체 돌기(112c)와 사용자의 피부는 될수록 큰 저항력을 생성하여 상기 이어폰(10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3)상기 배터리부의 피부접촉구역이 서리가 내린 모양의 표면으로 배치된 경우, 피부에 대한 친화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재료가 바람직하다.
[7] 상술한 모든 유형의 돌출부들은 상대적으로 유연한 무늬, 상대적으로 큰 댐칙계수, 및 일정한 정도의 피부 친화성을 가지는 재료에서 선택된다. 또한, 상숭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상기 배터리부의 피부접촉구역의 마찰계수는 0.1-1. 0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8] 단지 예로써, 상기 YZ 평면 위의 점(C)의 투영과 상기 YZ 평면 위의 EF 부분의 투영 사이의 직선 거리는 10-17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16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13-15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XY 평면 위의 BC 섹션의 투영과 XY 평면 위의 DE의 투영 사이의 각도는 0-25°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2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2-2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AB 섹션과 상기 XY 평면의 점 B를 통과하는 법선(법선) 사이의 각도는 0-25°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0°범위내에 있을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2-20°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XY 평면에서 점(C)의 투영과 상기 XY 평면에서 EF 부분의 투영 사이의 직선 거리는 2-4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8mm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XY 평면에서 점(C)의 투영과 상기 XY 평면에서 EF 부분의 투영 사이의 직선 거리는 1-4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5mm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12)는 귀의 상이근을 우회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의 착용 편안감을 개선한다.
[9] 상술한 구체적인 설명에 의하면,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상기 이어폰(10)의 무게는 합리적이고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귀는 지점으로써 상기 이어폰(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이어폰(10)의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상기 홀딩부재(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걸이형부재(11)와 협력하여 상기 홀딩부재(13)에 귀의 앞측을 누르는 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귀에 든든히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안정성, 및 소리 생성할 때의 상기 이어폰(10)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10] 도 7 내지 도 11를 참고하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구조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이어폰의 좌측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의 이어폰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7에서의 이어폰의 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1은 도 7에서의 이어폰의 기계 모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에서 상기 YZ 평면은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1에서 상기 ABC 섹션은 상기 걸이형부재로 간주할 수 있으며, 도 11에서 상기 CD 섹션은 상기 연결부재로 간주할 수 있으며, 도 11에서 상기 DEF 섹션은 상기 홀딩부재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 점(C)는 도 1에서 귀의 상말단이 위치하는 구역(도 1에서 사선을 충전한 상자 C에 의해 표시되는 구역)에 대응될 수 있다.
[11] 도 4 내지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ABC 섹션은 주로 사용자의 귀의 뒤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DEF 섹션은 주로 사용자의 귀의 앞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CD 섹션은 주로 사용자의 귀의 두계에 적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BC 섹션, 상기 CD 섹션, 및 상기 DEF 섹션은 "집게"와 유사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은 사용자의 귀를 집을 수 있으며, 따라서 기본 착용 상태를 형성한다. 아래의 기재는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힘과 안정성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일 수 있다.
[12] 상술한 실시예들과의 주요한 차이점은 아래와 같을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 도7 및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전체로써 상기 홀딩부재(13)에 가까울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도 9 및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2)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는 사용자의 머리를 압박하는 대신에 사용자의 귀의 뒤측에 작용할 수 있다.
[13]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걸이형부재(11)과 상기 연결부재(12) 사이의 제1 연결점(C)으로부터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예를 들면, 도 11에서 점A가 위치하는 단부)로의 방향에서, 상기 걸이형부재(11)는 귀의 뒤측을 향해 구부러져 귀의 뒤측과의 제1 접촉점(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재(13)는 귀의 앞측과의 제2 접촉점(F)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10)에 있어서, 자연 상태에서(즉, 상기 비착용 상태), 상기 연결부재(12)의 연장방향에서의 상기 제1 접촉점(B)과 상기 제2 접촉점(F) 사이의 거리는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12)의 연장방향에서의 상기 제1 접촉점(B)과 상기 제2 접촉점(F)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에 귀의 앞측을 누르는 힘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어폰(10)이 자연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12)의 연장방향에서의 상기 제1 접촉점(B)과 상기 제2 접촉점(F) 사이의 거리는 사용자의 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은 상기 착용 상태에서 "집게"처럼 사용자의 귀를 집을 수 있다.
[14] 또한, 제1 선(BC)은 상기 제1 접촉점(B)와 상기 제1 연결점(C)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선(EF)은 상기 제2 접촉점(F)와 상기 홀딩부재(13)과 상기 연결부재(12)의 제2 연결점(E)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15] 또한,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상기 연결부재(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즉,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총 길이는 확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11)는 귀의 뒤측과의 제3 접촉점(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점(B)은 상기 제1 연결점(C)과 상기 제3 접촉점(A)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점(C)에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이어폰(10)에 있어서, 자연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촉점(B)과 상기 제3 접촉점(A)의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방향에 수직이 되는 기준면(12)(예들 들면, 도 11에서 상기 YZ 평면)에서의 투영 사이의 거리는 착용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촉점(B)과 상기 제3 접촉점(A)의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방향에 수직이 되는 기준면(12)(예들 들면, 도 11에서 상기 YZ 평면)에서의 투영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배치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가 사용자의 귀의 뒤측을 압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ABC 섹션은 C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그 중 상기 제3 접촉점(A)은 귓불 부근의 귀의 구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수직 방향(도 11에서 화살 Z로 표)에서 사용자의 귀를 집어서 상기 홀딩부재(13)의 자체 무게를 감당한다. 그리고,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전체 길이가 확장된 후, 상기 걸이형부재는 상기 수직 방향에서 사용자의 귀를 집을 뿐만 아니라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사용자의 귀 사이의 접촉영역을 증가시키고, 즉,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사용자의 귀 사이의 마찰이 증가되고,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16]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편안감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아래의 개량도 진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17] 1)상기 걸이형부재(11)가 사용자들의 상이한 귀에 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상이한 귀는 상이한 크기들와 형상들을 가질 수 있으며, 작은 귀들을 가진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을 착용하는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부)는 공기속에 쉽게 현수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사용자의 귀는 상기 제1 접촉점(B)만 형성할 수 있다. 상응하게, 도 7 및 도 8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걸이형부재(11)에 있어서, 배터리부의 외경은 기타 중심부들보다 클 수 있으며, 즉, 단계적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점진적 네킹의 구조를 형성한다. 상술한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도 9 및 도 10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을 착용하는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사용자의 귀와 상기 제1 접촉점(B)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는 사용자의 귀와 상기 제3 접촉점(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부는 임의의 상황에도 사용자의 귀와 상기 제3 접촉점(A)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광범위한 사용자 그룹에 적응하기 위해, 복수의 점진적 네킹 구조들은 상기 걸이형부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분포될 수 있다.
[18] 2) 동일한 상황에서, 상기 배터리부의 길이 대 상기 배터리부의 외경의 장경의 비율은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사용자의 귀에 대한 부착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장기간의 연구를 거쳐, 도 7 및 도 8과 연계하여 살펴보는 경우, 길이 대 상기 배터리부의 외경의 장경의 비율이 6:1 내, 바람직하게는 4:1 내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때,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사용자의 귀와 상기 제1 접촉점(B)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자유단부는 사용자의 귀와 상기 제3 접촉점(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부는 사용자의 귀들에 피팅될 수 있다.
[19] 도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상면도의 개략도이다.
[20] 상술한 설명에 의하면, 도 1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사용자의 귀(100)는 일반적으로 이갑개 캐비티(102), 이갑개정(103), 삼각와(104), 주상와(106),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과 같은 움푹한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상응하게, 사용자의 귀(100)는 일반적으로 대이륜(105), 이륜(107), 이륜 지지발(helix feet)(109),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과 같은 돌출구역을 가질 수 있다. 귀(100)의 오목볼록 구조들에 의하면, 상기 이어폰(10)은 탄성 집기, 탄성 맞닿기, 걸기 및 커버, 또는 이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귀(100)의 상응한 위치들에 단단히 부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편안감과 신뢰성을 개선한다.
[1] 또한, 도 2 내지 도 5와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홀딩부재(13)의 외면들은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1) 상기 홀딩부재(13)의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측은 내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2)상기 홀딩부재(13)의 X-방향에서 내면의 반대측은 외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3) 상기 홀딩부재(13)의 상기 Z 내지 방향의 양의 방향을 향한 측은 상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4)상기 홀딩부재(13)의 상기 Z 내지 방향의 음의 방향을 향한 측은 하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5)상기 홀딩부재(13)의 Y 방향의 음의 방향을 향한 측은 뒤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재(13)가 도 2 및 도 3에 표시하는 정육면체 구조를 가지지 않고, 원기둥체, 타원 원통체,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면, 상기 상면, 상기 하면, 및 상기 뒤면은 균일하게 변두리 표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2]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들과의 주요 차이는 아래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딩부재(13)는 사용자의 귀의 앞측만을 압박하는 것이 아니고, 더 연장되어 상기 귀의 이갑개정 및/또는 삼각와 내에 유지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홀딩부재(13)는 적어도 상기 연결부재(12)의 연장방향에서 귀의 이륜에 의해 정지되고 차단되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13)가 번져지(turning out)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3] 단지 예로써, 도 1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10)는 상기 홀딩부재(13)에 연결되는 연장부재(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도 12에서 화살 X로 표시하는)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연장부재(17)및 상기 홀딩부재(13)는 틈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틈은 귀의 이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연장부재(17)는 귀의 이갑개정 및/또는 상기 삼각와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이갑개정 및/또는 삼각와가 3차원 공간에서 일정한 깊이와 체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13)는 연장부재(17)가 이갑개정 및/또는 삼각와 내로 연장되는 경우 귀의 이륜에 의해 걸려서 상기 홀딩부재(13)가 번져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동시에, 상기 홀딩부재(13)는 상술한 압력의 작용하에서 귀의 앞측을 압박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재(13)와 상기 귀의 앞측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하다.
[4] 도 17은 도 12에서의 상이한 구조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7에서의 도면(a)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을 착용한 후 상기 연장부재(17)는 주로 상기 홀딩부재(13)의 상기 내면 및/또는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갑개 캐비티(102) 내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재(17)는 탄성적으로 맞닿는 방식으로 이갑개 캐비티(102) 및 주위의 신체조직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5]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17에서의 도면(b)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를 착용한 후 상기 연장부재(17)는 주로 상기 홀딩부재(13)의 내면에 배치되고 이갑개정(103)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재(17)는 탄성 집기 및/또는 탄성 맞닿기 방식으로 이갑개정(103) 및 주위의 신체조직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6]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17에서의 도면(c)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연장부재(17)는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를 착용한 후 주로 상기 홀딩부재(13)의 상면에 배치되고 삼각와(104)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재(17)는 탄성 집기 및/또는 탄성 맞닿기 방식으로 삼각와(104 )및 주위 신체조직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7]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17에서의 도면(d) 또는 도면(e)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를 착용한 후 상기 연장부재(17)는 상기 홀딩부재(13)의 상면 및/또는 상기 뒤면에 배치되고 따라서 상기 주상와(106)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재(17)는 탄성 집기 및/또는 탄성 맞닿기 방식으로 주상와(106) 및 주위 신체조직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8]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17에서의 도면(f)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를 착용한 후 상기 연장부재(17)는 주로 상기 홀딩부재(13)의 뒤면에 배치되고 귀(100)의 앞측으로부터 귀(100)의 뒤측으로 구불고 연장되어 상기 이륜(107)에 걸릴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재(17)는 걸림 및 커버의 방식으로 상기 이륜(107) 및 주위 신체조직들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9]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17에서의 도면(g)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연장부재(17)는 주로 상기 걸이형부재(11), 예를 들면,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상기 배터리부 가까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17)는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를 착용한 후 귀(100)의 뒤측으로부터 귀(100)의 앞측으로 구불로 연장되고 대이륜(105)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재(17)는 걸림 및 커버의 방식으로 상기 대이륜(105) 및 주위 신체조직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10]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17에서의 도면(h)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연장부재(17)는 주로 상기 배터리부와 같은 상기 걸이형부재(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를 착용한 후 귀(100)의 뒤측으로부터 귀(100)의 앞측으로 구불고 연잔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륜(107)을 건다. 이 때, 상기 연장부재(17)는 걸림 및 커버의 방식으로 상기 이륜(107) 및 주위 신체조직들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11] 상기 연장부재(17)의 크기 및 형상과 같은 구조 파라미터들은 상기 연장부재(17)와 귀(100) 사이의 매치 요구에 따라 분석되고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10) 위의 상기 연장부재(17)와 상기 상응한 구조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이어폰(10) 위의 상기 연장부재(17)와 상기 상응한 구조부재는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이어폰(10) 위의 상기 연장부재(17)와 상기 상응한 구조부재는 분리가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홀딩부재(13) 또는 상기 배터리부의 상응한 위치는 장착홀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재(17)는 장착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연장부재(17)는 다른 하나의 탄성 슬리브를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연장부재(17)는 상기 탄성 슬리브를 통해 상기 홀딩부재(13) 또는 상기 걸이형부재(11) 위의 상응한 위치에 씌여질 수 있다.
[12] 또한, 도 12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Y 방향에서의 상기 홀딩부재(13)의 크기는 22-34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4-28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26mm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는 귀(100)의 앞측에 눌리울 수 있다. 이 때, 도 17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Z 방향에서의 상기 연장부재(17)의 높이는 4-8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재(17)의 XY 평면에서의 투영의 길이는 8-15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으며, 투영의 폭은 2-5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13] 도13을 참조하면,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구조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4]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들의 주요 차이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딩부재(13)는 다섹션식 구조로서 상기 코어(14)의 상기 이어폰(10)의 전체 구조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귀의 외이도는 커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코어(14)는 상기 외이도에 될수록 가까울 수 있다.
[15] 단지 예로써, 도 13에서의 도면(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홀딩부재(13)는 순차로 단부와 단부가 연결된 제1 홀딩섹션(131a), 제2 홀딩섹션(132a), 및 제3 홀딩섹션(133a)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딩섹션(131a)의 상기 제2 홀딩섹션(132a)로 멀리 떨어진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홀딩섹션(133a)는 주로 상기 코어(14), 상기 메인회로판(15),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과 같은 구조적 조립체들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홀딩섹션(132a)는 상기 제1 홀딩섹션(131a)에 상대적으로 뒤로 접혀지고 그들 사이에 거리를 유지하여 상기 제1 홀딩섹션(131a)와 상기 제2 홀딩섹션(132a)가 U형 구조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16] 단지 예로써, 도 13에서의 도면(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홀딩부재(13)는 순차로 단부와 단부가 연결된 제1 홀딩섹션(131b), 제2 홀딩섹션(132b), 및 제3 홀딩섹션(133b)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딩섹션(131b)의 상기 제2 홀딩섹션(132b)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홀딩섹션(133b)는 주로 상기 코어(14), 상기 메인회로판(15), 또는 이들과 유사한 구조적 조리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홀딩섹션(132b)는 상기 제1 홀딩섹션(131b)에 상대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3 홀딩섹션(133b)와 상기 제1 홀딩섹션(131b)는 일정한 거리를 구고 설치될 수 있다.
[17] 도14 및 도15를 참조하면,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착용 상태에서의 도 14의 이어폰의 기계 모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에서 YZ 평면은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평면로 간주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5에서 BC 섹션은 상기 걸이형부재로 간주될 수 있고, 도 15에서 CD부분은 상기 연결부재로 간주될 수 있고, 도 15에서 DEF부분은 상기 홀딩부재로 간주될 수 있고, 도 15에서 GH부분은 상기 연장부재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도 15에서 점 C는 도 1 에서 귀의 상말단이 위치하는 구역에 대응될 수 있다(예들 들면, 도 1에서 사선을 충전한 상자 C에 의해 표시되는 구역).
[18]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들의 주요 차이는 본 실시예에서,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걸이형부재(11)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고,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상기 연결부재(12) 사이의 각도는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 연장부재(17)는 상기 홀딩부재(13)에 연결되고 상기 홀딩부재(13)와의 사이에 틈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틈은 귀의 이륜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상기 연결부재(12)와 협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는 사용자의 귀의 앞측에 걸릴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재(17)는 귀의 이갑개정 및/또는 삼각와 매로 연장되어 상기 홀딩부재(13)가 번져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귀의 이갑개정 내로 연장될 수 있는 상기 연장부재(17)를 하나의 예로 설명할 수 있다.
[19]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점 B는 귀의 뒤측의 오목부에 걸릴 수 있으며, 점 C 는 지점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상기 홀딩부재(13)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가 사용자의 귀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걸이형부재(11)과 귀 사이의 마찰은 증가되어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점 H는 귀의 이륜에 걸릴 수 있으며, 점 G는 다른 하나의 지점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연장부재(17)는 상기 홀딩부재(13)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고, 이로써 기 홀딩부재(13)가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상기 연장부재(17)와 귀 사이의 마찰이 증가되어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안정성이 개선된다.
[20]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상이한 사용자들은 나이, 성별, 유전자 제어 특성표현에서 큰 차이점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이한 사용자의 귀들과 머리들은 상이한 크기들와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임의의 상술한 실시예들의 기초상에서, 이어폰(10)의 관련 구조에 대하여 아래의 개량도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은 더 광범위한 사용자 그룹의 착용 수요에 부합될 수 있으며 상이한 사용자들은 상기 이어폰(10)을 착용시 더 나은 편안감과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1] 도18을 참조하면, 도 1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들의 주요 차이는 본 실시예에서, 도 18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는 탄성구조(18)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구조(18)는 일정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유연한 재료들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을 착용하는 편안감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구조(18)는 관형일 수 있으며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에 분리 불가능하게 씌워져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탄성구조(18)는 상기 이어폰(10)의 부품으로 사용되어 사용자가 실제 사용요구에 따라 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탄성구조(18)의 사용자에 접촉하는 부분은 무늬 구조 및/또는 무광 표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3] 단지 예로써, 상기 탄성구조(18)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 제1 관부(181)와 제2 관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부(181)와 상기 제2 관부(182)는 굽혀진 형상일 수 있으며, 굽힘각은 실제 사용요구에 따라 합리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탄성구조(18)는 적어도 그의 굽힘 위치에서 일정한 기억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굽힘, 회전, 또는 이들과 유사한 방식을 통해 굽힘각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을 착용하는 것을 처리하는 기간, 상기 탄성구조(18)는 귀의 귀마개를 사용자의 귀의 뒤측으로부터 걸어서 상기 이어폰(10)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또한, 상기 제1 관부(181)와 상기 제2 관부(182)의 양자는 공심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관부(181)와 상기 제2 관부(182)는 서로 연통되거나 서로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관부(181)와 상기 제2 관부(182)의 양자는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에 씌워져 있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 관부(181)와 상기 제2 관부(182)는 설명을 위한 예로 들 수 있으며, 굽힘 위치에서의 상기 탄성구조(18)의 구조적 강도는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부(181)의 길이(L1)와 상기 제2 관부(182)의 길이(L2)는 같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 사용요구에 따라 상기 제1 관부(181)와 상기 제2 관부(182)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에 씌울 수 있음으로써,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상기 탄성구조(18)의 실제 총 길이를 조절한다. 이런 경우, 상기 탄성구조(18)는 전체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상기 배터리부를 덮을 수 있다. 도 18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이 실시예에서, 부분적으로 상기 배터리부를 커버한 상기 탄성구조(18)는 하나의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탄성구조(18)는 상기 배터리부의 절반을 커버할 수 있다.
[5] 장기간의 연구를 통해, 본 개시의 발명자들은 도 18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 관부(181)의 길이(L1)와 상기 제2 관부(182)의 길이(L2) 사이의 길이 차이가 2. 0-8. 0mm의 범위 내인 경우, 상이한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을 착용하는 경우 상기 탄성구조(18)는 상기 귀마개를 귀의 뒤측에 걸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길이 차이는 3. 5 내지 7. 0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6]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 따르면,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에 상기 탄성구조(18)를 씌운 후, 상기 배터리부의 외경은 커질 수 있다. 즉,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의 실제 외경은 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이한 사용자 그룹의 외이의 개구각, 특히 "바람귀"에 적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의 회전 및 외번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 제1 관부(181) 및/또는 상기 제2 관부(182)의 벽두께를 설계함으로써, 상기 탄성구조(18)와 상기 배터리부 사이에 차이가 형성되며, 상술한 점진적 네킹과 유사한 기술 효과를 달성한다.
[7]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도 19는 도8에서의 걸이형부재의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상기 걸이형부재의 연장방향에 수직이 되는 기준 평면에서의 도19 중 탄성금속선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에 표시하는 탄성금속선은 일반적으로 상기 걸이형부재,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에 삽입되어 있으며, 보이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탄성금속선은 외부에서 보이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탄성금속선을 커버하는 재료는 제거될 수 있다.
[8] 상기 관련 기재에 따르면, 상기 걸이형부재(11), 상기 연결부재(12), 상기 홀딩부재(13), 또는 기타 구조들은 스프링 스틸 도선, 티타늄 합금 도선, 티타늄 니켈 합금 도선, 크롬 몰리브덴 스틸 도선,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과 같은 탄성금속선(115)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어폰(10)의 구조적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탄성금속선(115)의 횡단면의 원형일 수 있다.
[9] 도 19 및 도 20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탄성금속선(115)는 평탄한 시트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탄성금속선(115)은 다양한 방향들에서 상이한 변형 성능을 가질수 있다. 상기 탄성금속선(115)의 횡단면은 도 20에서의 도면(a)에 표시한 바와 같은 둥근 모를 가지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탄성금속선(115)의 횡단면은 도 20에서의 도면(b)에 표시한 바와 같은 타원형일 수도 있다. 단지 예로써, 탄성금속선(115)의 긴 측(또는 장축, L3) 대 짧은 측(또는 단축, L4)의 비율은 4:1-6:1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1일 수 있다. 또한, 도 20에서의 도면(c)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도 20에서의 도면(a)에 표시한 바와 같은 둥근 모를 가지는 정사각형 탄성금속선(115)의 횡단면에 관하여, 상기 탄성금속선(115)은 압인, 사전 굽힘, 또는 이들과 유사한 처리를 통해 단축 방향에서 호형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탄성금속선(115)은 일정한 량의 탄성 위치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금속선(115)의 원래의 생태는 구부러진 상태이고, 그 후 교정하면, 탄성금속선(115)의 상태는 압인 처리를 통해 단축 방향에서 호형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탄성금속선(115)은 일정한 내부 응력을 축적하고 곧은 형상을 유지하여 "기억금속도선"으로 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력을 받을 때, 상기 탄성금속선(115)은 구부러진 상태로 회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사용자의 귀에 부착하여 커버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탄성금속선(115)의 호형 높이(L5) 대 장축(L3)의 비율은 0. 1 내지 0. 4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10] 상술한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평탄한 시트구조를 구비하는 상기 탄성금속선(115)의 작용하에서, 상기 걸이형부재(11)는 X 방향에서 강한 경도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상기 홀딩부재(13)를 협력시켜 사용자의 귀(100)에 대한 탄성 집기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걸이형부재(11)는 길이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므로써 강한 탄성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사용자의 귀 또는 머리를 탄성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11] 도 21을 참조하면, 도 2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구조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2]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들의 주요 차이는 본 실시예에서, 도 21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편안감과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12)와 상기 홀딩부재(13) 사이의 연결위치도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재(12)는 주로 상기 홀딩부재(13)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의 상부 절반(도 21에서 사선으로 충전된 프레임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은 상기 연결부재(12)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의 상기 귀(100)의 외측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를 보상한다.
[13] 도 22 및 도 23를 참조하면,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회전축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조립하기 전후의 도 22에서의 회전축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에 표시하는 회전축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상기 연결부재, 또는 이들과 유사한 부재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보이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회전축조립체는 외부에 보이는 것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회전축조립체를 커버하는 재료의 일부분은 제거될 수 있다.
[14] 도 2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기관(121)은 굽힘 금속탄성시트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기관(121)의 일단부는 상기 걸이형부재(11)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12)의 일부분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속탄성시트는 금속 인서트 사출금형의 가공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12)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형부재(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금속탄성시트는 외력F의 작용하에서 변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제1 사용상태(예를 들면, 도 22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음)와 제2 사용상태(예를 들면, 도 22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음) 사이에서 상기 홀딩부재(13)에 상대적으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상기 홀딩부재(13)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15] 단지 예로써, 도23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금속탄성시트는 제1 변형부(1211), 제2 변형부(1212), 및 중간 연결부재(1213) 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탄성시트를 장착하기 전에, 도 23에서의 도면(a)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 변형부(1211)와 상기 제2 변형부(1212)는 구부러지고 각각 상기 중간 연결부재(1213)의 양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탄성시트가 장착된 후, 도 23에서의 도면(b)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중간 연결부재(1213)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1 변형부(1211)의 자유단부와 상기 중간 연결부재(1213) 로부터 멀리 떨어진상기 제2 변형부(1212)의 자유단부는 직접 힌지로 연결되어 삼각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묘, 상기 걸이형부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불거나, 또는 상기 걸이형부재(11) 내에서 상기 탄성금속선에 더 연결된다. 상술한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금속탄성시트는 장착된 후 일정한 량의 탄성 위치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금속탄성시트는 외력 F의 작용하에서 변형될 수 있다.
[16] 또한, 금속탄성시트를 장착하기 전에, 도 23에서의 도면(a)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 변형부(1211)의 길이와 상기 제2 변형부(1212)의 길이는 같을 수 있으며(L6로 표시), 상기 중간 연결부재(1213)(L7)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L3과 L4 는 0. 1≤L7/L6 ≤0. 6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금속탄성시트의 두께는0. 1 내지 0. 8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17] 도 24 내지 도 28를 참조하면, 도 24는 본 개시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24에서의 회전축조립체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도 25에서의 회전축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도 24에서의 회전축조립체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8은 도 27에서의 회전축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8] 단지 예로써, 도 24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회전축기관(121)은제1 연결시트(1214), 제2 연결시트(1215), 회전축(1216), 및 탄성조립체(1217) 를 포함할 수 있. 상기 제1 연결시트(1214)는 상기 연결부재(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시트(1215)는 상기 걸이형부재(11)(또는 그 내부의 금속탄성선(11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시트(1215)는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일부분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시트(1214)와 상기 제2 연결시트(1215)는 회전축(1216)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연결시트(1214)와 상기 제2 연결시트(1215)는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걸이형부재(11)는 회전축기관(121)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12) 및 상기 홀딩부재(13)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 도25 내지 도 28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탄성조립체(1217)는 상기 제1 연결시트(1214)와 상기 제2 연결시트(1215) 사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배치되어 상기 걸이형부재(11)가 상기 홀딩부재(13)에 상대적으로 회전한 후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을 착용하는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11)는 귀(100)에 더 부착하기 쉽게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이어폰(10)의 착용시의 편안감과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19]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5 및 도 26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2 연결시트(1215)는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연결시트(1214)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회전축(1216)은 동시에 상기 제1 연결시트(1214)와 상기 제2 연결시트(1215)를 통과하여 순환적 결합을 구현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시트(1214)는 개방단부를 가지는 수용캐비티(12141)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조립체(1217)는 탄성소자(12171)와 지지홀딩부재(12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소자(12171)는 상기 수용캐비티(1214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홀딩부재(12172)의 일단부는 수용캐비티(12141) 내부에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탄성소자(12171)를 지지하고 유지할 수 있다. 지지홀딩부재(12172)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2 연결시트(1215)를 지지하고 유지할 수 있다.
[20] 탄성조립체(1217)가 상기 제1 연결시트(1214)와 상기 제2 연결시트(1215) 사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 상기 탄성소자(12171)는 회전축기관(121)를 조립한 후 압축 상태에 있을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런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을 착용하는 경우, 특히 사용자의 귀(100)가 큰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11)와 그 내부의 상기 탄성금속선(115)는 상기 홀딩부재(13)에 상대적으로 회전되거나 또는 회전하려는 경향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2 연결시트(1215)를 상기 제1 연결시트(1214)에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고, 지지홀딩부재(12172)가 탄성소자(12171)를 압축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뉴턴의 제3 법칙에 의하면, 상기 탄성소자(12171)는 지지홀딩부재(12172)에 반응하여 상기 제2 연결시트(1215)를 지지하고 유지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걸이형부재(11)로 하여금 사용자의 귀(100)에 더 밀접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1]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27 및 도 28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지지홀딩부재(12172)의 탄성소자(1217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단부는 구형 구조, 원기둥 구조, 또는 이들과 유사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시트(1215)의 탄성금속선(115)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는 복수의 홈이 상기 회전축(1216)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분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딩부재(12172)는 탄성소자(12171)의 탄력의 작용하에서 홈들 내부로 부분적으로 물려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걸이형부재(11)가 상기 홀딩부재(13)에 상대적으로 상이한 각도로 회전된 후, 상기 지지홀딩부재(12172)는 각각 상이한 홈들 내부에 잠금되며, 따라서 다단 조절을 달성할 수 있다.
[2] 도 2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XY 평면에서의 이어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3]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이어폰(10)은 기전도 이어폰일 수 있다. 상기 이어폰(10)을 기전도 이어폰로 예를 들어, 상기 홀딩부재, 상기 코어, 상기 메인 회로판, 또는 기타 구조적 부분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4] 도 29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홀딩부재(13)는 내측 하우징(131c)과 외측 하우징(132c) 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연결되어 상기 코어(14), 상기 메인회로판(15), 등과 같은 구조 부재들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을 착용하는 경우, 상기 내측 하우징(131c)은 주로 사용자의 귀(100)에 접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이한 크기들와 형상들의 대량의 전자부재들이 늘 상기 메인회로판(15)에 집적되기 때문에, 상기 홀딩부재(13)의 캐비티 내부는 매우 복잡해지며, 이는, 상기 이어폰(10)의 음향 성능에 쉽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상응하게, 이 실시예에서, 간벽(133c)이 상기 홀딩부재(13)에 배치되어 상기 코어(14) 와 상기 메인회로판(15)를 분리하여 상기 메인회로판(15)와 독립되는 캐비티(200 c)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200c)는 상대적으로 평활한 내벽을 가진다l. 상술한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캐비티(200c)가 상기 메인회로판(15) 및 그 위의 전자부재들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됨으로써, 상기 이어폰(10)의 음향 성능은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5] 단지 하나의 예로써, 상기 간벽(133c)은 직접 상기 코어(1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간벽(133c)과 상기 코어(14)는 하나로 점착되어 직접 캐비티(200c)를 형성할 수 있다. 간벽(133c)와 상기 코어(14)에 의해 형성된 상기 캐비티(200c)의 내벽은 직각, 예리한 모서리 등과 같은 예리한 구조를 될수록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벽(133c)과 상기 코어(14)의 가장자리는 탄성소자(미도시)에 의해 감싸질 수도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의 내벽과 끼움결합을 형성하여 음향 밀폐를 달성할 수 있다.
[6] 상술한 설명에 의하면,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10)은 귀에 집혀질 수 있다. 착용시의 안정성과 편안감을 증가시키지 위해, 상기 이어폰(10)은 탄성적으로 귀를 집을 수 있다.
[7] 단지 예로써, 도 30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도 3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귀에서 멀리 향하는 측의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상기 연결부재(12)에 연결된 탄성부재(112)와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자유단부에 배치된 배터리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113)는 적어도 상기 이어폰(10)의 배터리(16)를 설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6)는 원기둥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6)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부(113)는 단단한 플라스틱재료와 같은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착용 편안감을 고려하여, 적어도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상기 배터리부(113)에는 탄성 페인트로 뿜은 플라스틱 커버층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113)와 비교하여, 상기 탄성부재(112)는 일정한 탄성변형 능력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외력의 작용하에서 변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에 상대적인 변위를 생성하여 상기 걸이형부재(11)로 하여금 상기 홀딩부재(13)와 협력하여 귀를 탄성적으로 집게 한다.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먼저 작은 힘으로 상기 걸이형부재(11)로 하여금 상기 홀딩부재(13)으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귀는 상기 홀딩부재(13)와 상기 걸이형부재(11) 사이에서 늘어날 수 있다. 착용 위치가 적당하게 된 후,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10)으로 하여금 귀를 탄성으로 집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이어폰(10)의 귀에서의 착용 위치는 실제 착용 상황에 따라 더 조절될 수도 있다.
[8]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탄성부재(112)의 길 대 상기 걸이형부재(11)의 길이는 48%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12)의 횡단면에서의 임의의 방향에서의 반경크기는 5mm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mm 이하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탄성부재(112)는 가느다란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12)는 훌륭한 탄성변형 능력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이 귀를 상대적으로 잘 탄성적으로 집게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12)의 횡단면 면적은 될수록 작으므로써 근시 안경, 원시 안경, 또는AR, VR, MR, 등과 같은 스마트 안경을 위한 상응한 착용공간을 벗어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기타 착용요구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형부재(11)가 주로 사용자의 머리와 귀 사이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112)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적어도 상기 탄성부재(112)는 귀 및/또는 머리와 잘 접촉될 수 있으며, 귀와 머리 사이의 변계선에 가능한 한 접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착용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9]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배터리부(113)의 적어도 일부분의 횡단면적은 상기 탄성부재(112)의 최대 횡단면적보다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배터리부(113)는 상기 이어폰(1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상대적으로 큰 용량을 가지는 배터리(16)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배터리부(113)는 원기둥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길이 대 외경의 비율은 6 이하일 수 있다.
[10] 상기 관련 기재에 따르면, 상기 걸이형부재(1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12)와 상기 배터리부(113)가 상이한 용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112)와 상기 배터리부(113)의 횡단면적은 완전히 다를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상기 탄성부재(112)와 상기 배터리부(113) 사이에 변환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환부(114)의 횡단면적은 상기 탄성부재(112)의 횡단면적과 상기 배터리부(113)의 횡단면적 사이에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112)으로부터 상기 배터리부(113)로의 방향에서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걸이형부재(11)의 균일성이 외관상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 걸이형부재(11)가 귀 및/또는 머리와 잘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귀의 뒤측에 이갑개정에 대응되는 이갑개정 돌기 및 이갑개 캐비티에 대응되는 이갑개 캐비티와 같은 복수개의 돌기가 있고, 상기 이갑개 캐비티 돌기는 일반적으로 상기 이갑개정 돌기보다 귓불에 더 가깝기 때문에, 따라서 상기 변환부(114)는 귀를 향한 측에서 귀 후면 윤곽에 대응되는 외관 오목부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11)와 함께 귀의 뒤측과 효과적인 접촉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외관 오목부는 귀의 이갑개 캐비티 돌기와 접촉할 수 있다. 요컨대, 귀의 뒤측의 돌기들은 외관 오목부를 통해 피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귀의 뒤측의 돌기들이 상기 걸이형부재(11)를 미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이형부재(11)가 귀와 잘 접촉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변환부(11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113)의 중심축을 따라 설정된 기준 횡단면에서, 외관 오목부의 곡률반경은 변환부(114)의 귀에서 멀어지는 다른 측의 곡률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외관 오목부의 만곡도는 더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11)는 귀의 뒤측의 다양한 돌기들 및 오목부들에 적응될 수 있다. 변환부(114)의 다른 구역들은 주로 상기 탄성부재(112)와 상기 배터리부(113) 사이의 격차를 될수록 신속히 평활화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외관의 균일성을 증가시킨다.
[11] 의학, 해부학, 또는 이들과 유사한 분야에서, 각각 사람 신체의 시상면, 관상면 및 수평면을 포함하는 3개의 기본 섹션을 정의하며, 시상축, 관상축, 및 수직축을 포함하는 3개의 기본 축을 정의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여기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상기 시상면은 신체의 앞뒤방향을 따라 지면에 수직되는 섹션이고, 시상면은 사람의 신체를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으로 나눈다. 상기 관상면은 신체의 좌우방향을 따라 지면에 수직되는 섹션으로써, 관상면은 사람의 신체를 앞부분과 뒤부분으로 나눈다. 상기 수평면은 신체의 상하방향을 따라 지면에 평행되는 섹션으로써, 사람의 신체를 상부분과 하부분으로 나눈다. 상응하게, 상기 시상축은 신체의 앞뒤방향에 수직이 되는 관상면을 통과하는 축일 수 있다. 상기 관상축은 신체의 좌우방향에 수직이 되는 시상면을 통과하는 축일 수 있다. 상기 수직축은 신체의 상하방향을 따라 수평면을 통과하는 축일 수 있다.
[12] 상기 관련 기재에 따르면, 상기 이어폰(10)의 무게와 무게의 분포는 일정한 정도에서 착용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걸이형부재(11)의 무게는 주로 상기 배터리부(113)에 집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홀딩부재(13)의 총 무게 대 상기 배터리부(113)의 총 무게의 비율은 4 이하일 수 있다. 도 31 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귀를 향하는 측의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1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홀딩부재(13)의 귀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부터 관찰하는 착용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부(11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기준면(RP1로 표시)의 직접 사용자의 앞을 향하는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면은 상기 홀딩부재(13)와 귀 사이의 접촉점(CP0로 표시)를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관상면에 평행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배터리부(113)의 무게중심의 이를테면 상기 상이근에 상대적인 모멘트를 감소시키고, 상기 배터리부(113)가 상기 착용 상태에서 과도한 무게 및/또는 과도한 모멘트에 의해 번져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며, 따라서 착용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113)는 제2 기준면(RP2로 표시)와 교차될 수도 있다. 수직축을 따라 사용자의 머리에 가장 가까운 상기 탄성부재(112)의 제1 위치점(CP1로 표시)을 통과하는 상기 제2 기준면은 상기 관상면에 평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형부재(11) 또는 상기 연결부재(12)의 귀를 향한 내부 가장자리는 상기 홀딩부재(13)와 귀 사이의 접촉점에서 가장 먼 제2 위치점(CP2로 표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113)는 제3 기준면(RP3로 표시)과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제3 기준면은 상기 제2 위치점을 통과하고 상기 관상면에 평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점은 상기 연결부재(12)에 있거나,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상기 연결부재(12) 사이의 변계에 있을 수 있으며, 아래의 기재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배터리부(113)의 중력중심과 상기 홀딩부재(13)의 중력중심이 상기 제1 기준면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게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착용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13]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0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홀딩부재(13)는 서로 직교되는 두께방향,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을 가질 수 있으며, 차례로 각각 "X", "Y" 및 "Z" 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두께방향은 상기 홀딩부재(13)는 착용 상태에서 귀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은 상기 홀딩부재(13)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앞에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높이방향은 상기 홀딩부재(13)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에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높이방향은 상기 수직축에 평행될 수 있다. 상기 두께방향 과 상기 길이방향은 수평면에 평행될 수 있다.
[14] 도 3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 측에서 보는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0 내지 도 3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상기 연결부재(12) 가까이의 섹션의 두께방향에 수직이 되는 기준면(예를 들면, 상기 평면은 YZ가 위치하는 면)에서의 직교 투영과 상기 홀딩부재(13)의 상술한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은 부분적으로 중접될 수 있다.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상기 연결부재(12) 가까이의 섹션은 상기 배터리부(113)보다 훨씬 큰 탄성변형능력을 가지는 탄성부재(112)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부(113)와 상기 연결부재(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부(113)와 같은 탄성변형 능력을 가지는 강성 구조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홀딩부재(13)와 상기 걸이형부재(11)가 귀의 앞측과 귀의 뒤측으로부터 귀를 탄성적으로 집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집기힘은 주로 압박 응력으로 표현되며, 따라서 착용의 안정성과 편안감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이는 상기 배터리부(113)의 무게중심이 사용자의 얼굴에 가까워 지게 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착용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표시되는 이어폰, 또 도 9 및 도 10에 표시되는 이어폰, 상기 걸이형부재(11)의 두께방향에 수직이 되는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과 상기 홀딩부재(13)의 상술한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은 서로 간격을 둘 수 있다.
[15] 단지 예로써, 도 30 및 도 31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탄성부재(112)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과 상기 홀딩부재(13)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부(113)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과 상기 홀딩부재(13)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은 서로 간격을 둘 수 있다. 이런 경우, 이는 상기 홀딩부재(13)와 상기 걸이형부재(11)가 앞뒤방향으로부터 귀를 탄성적으로 집는 데 유리할 수 있다 .
[16] 또한, 상기 탄성부재(112)와 변환부(114)의 귀를 향하는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의 가장자리의 곡률반경은 배터리부(1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상기 연결부재(12)로부터 상기 걸이형부재(11)까지 먼저 점차적으로 커진 후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가장자리의 곡률반경에서의 점진적 증가는 상기 걸이형부재(11)가 귀의 뒤측의 윤곽형상에 피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장자리의 곡률반경에서의 점진적 증가는 상기 배터리부(113)의 단부에 가까운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완곡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배터리부(113)는 상기 홀딩부재(13)에 더 가까워질 수 있으며, 상기 걸이형부재(11)가 귀의 뒤측에 용이하게 걸리게 하여 착용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가장자리의 곡률반경은 연속적인 방식으로 점차적으로 커진 후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거나, 또는 단계적으로 변하는 방식으로 먼저 커진 후 점차적으로 작아지거나, 또는 상술한 2가지 방식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장자리는 복수의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섹션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2)으로부터 상기 배터리부(113)로의 방향에서, 복수의 섹션들의 곡률반경은 먼저 점차적으로 커진 후 점차적으로 감소될 수 없으며, 이는 단계적으로 변할 수도 있다. 착용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의 섹션들 중의 최대 곡률반경을 가지는 섹션은 상기 홀딩부재(13)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과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17] 단지 예로써, 상기 탄성부재(112) 또는 상기 변환부(114)의 귀를 향한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의 가장자리는 제1 부분(11A로 표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CP3로 표시)의 시작점은 상기 탄성부재(112)와 상기 연결부재(12) 사이의 연결점일 수 있으며, 종점(예를 들면, CP1)은 착용 상태에서의 상기 탄성부재의 높이방향에서의 최고점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의 곡률반경은 8mm 내지 10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의 시작점은 상기 제2 위치점과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위치점보다 상기 연결부재(12)로부터 훨씬 멀수 있으며, 이는 아래의 기재에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12) 또는 상기 변환부(114)의 가장자리는 제2 부분(11B로 표시)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의 시작점은 상기 제1 부분의 종점일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의 종점(CP4로 표시)과 길이방향에서의 최고점 사이의 거리는 8mm 내지 11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분의 종점과 높이방향에서의 최고점 사이의 거리는 7mm 내지 10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의 곡률반경은 9mm 내지 12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12) 또는 상기 변환부(114)의 가장자리는 제3 부분(11C로 표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의 시작점은 상기 제2 부분의 단부일 수 있다.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제3 부분의 종점(로 표시 CP5)과 최고점 사이의 거리는 9mm 내지 12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으며, 높이방향에서 상기 제3 부분의 종점과 최고점 사이의 거리는 19mm 내지 21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의 곡률반경은 29mm 내지 36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12) 또는 상기 변환부(114)의 가장자리는 제4 부분(11D로 표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부분의 시작점은 상기 제3 부분의 단부일 수 있다.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제4 부분의 종점(CP6로 표시) 과 최고점 사이의 거리는 7mm 내지 10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고, 높이방향에서 상기 제4 부분의 종점과 최고점 사이의 거리는 25mm 내지 32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4 부분의 곡률반경은 19mm 내지 25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12) 또는 상기 변환부(114)의 가장자리에는 제5 섹션(11E로 표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섹션의 시작점은 상기 제4 부분의 단부일 수 있다. 길이방향에서 제5 섹션의 종점(CP7로 표시)과 최고점 사이의 거리는 2mm 이하일 수 있으며, 높이방향에서 제5 섹션의 종점과 최고점 사이의 거리는30mm 내지 38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제5 섹션의 곡률반경은 9mm 내지 13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5 섹션은 외관 오목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외관 오목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4 부분의 곡률반경보다 작을 수도 있다.
[18] 상기 제2 부분의 종점, 즉, 상기 제3 부분의 시작점은, 상기 탄성부재(112)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과 상기 홀딩부재(13)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교차점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3 부분의 종점, 즉, 상기 제4 부분의 시작점은 상기 탄성부재(112)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과 상기 홀딩부재(13)의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다른 교차점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3 부분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은 전부 상기 홀딩부재(13)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도 4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귀에서 멀리 향하는 측의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42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탄성부재(112)와 상기 변환부(114) 사이의 변계는 상기 제4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상기 연결부재(12) 가까이의 섹션의 시작점은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상기 연결부재(12) 사이의 변계일 수 있다.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상기 연결부재(12) 가까이의 섹션의 종점은 상기 탄성부재(112)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과 상기 홀딩부재(13)의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다른 하나의 교차점일 수 있다.
[19] 도 3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3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걸이형부재(11)는 탄성금속선(115), 배터리부재(1161), 및 도선(117)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금속선(115)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부재(12)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단부는 상기 배터리부재(116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선(117)은 배터리부재(1161)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12) 및 상기 홀딩부재(13)로 탄성금속선(115)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탄성금속선(115)은 상기 걸이형부재(11)로 하여금 일정한 탄성변형 능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재(1161)는 적어도 상기 배터리(16)를 수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도선(117)은 적어도 배터리부재(1161)와 상기 홀딩부재(13) 내의전자부재들 사이의 전기연결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실리카 겔과 같은 탄성피복체(118)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피복체(118)는 적어도 탄성금속선(115)과 상기 도선(117)을 커버하여 외관 품질과 착용 편안감을 증가시킨다. 배터리부재(1161)의 횡단면적은 탄성금속선(115)와 탄성피복체(118)에 의해 형성된 상기 탄성부재(112)의 횡단면적보다 클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성금속선(115), 도선(117), 및 탄성피복체(118)의 횡단면적의 합보다 클 수 있다.
[20] 또한, 상기 걸이형부재(11) 탄성금속선(115)에 연결되는 과도부재(116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탄성금속선(115)는 상기 과도부재(1162)를 통해 상기 배터리부재(116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과도부재(1162)와 상기 탄성금속선(115)는 금속 인서트사출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재(1161)는 개방단부를 가지는 원기둥체 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16)와 같은 구조부재들의 설치가 용이하게 한다. 상기 과도부재(1162)는 상기 배터리부재(1161)의 개방단부에 버클로 잠길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과도부재(1162)와 상기 배터리부재(116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재(1161)의 상기 과도부재(1162)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는 개방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덮개판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과도부재(1162)의 횡단면적은 상기 걸이형부재(11)의 길이를 따르고 상기 연결부재(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점차적으로 커진다. 상응하게, 상기 탄성피복체(118)는 상기 과도부재(1162)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외관 오목부는 상기 과도부재(1162)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피복체(118)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과도부재(1162)는 귀를 향한 측에 귀의 뒤 윤곽 에 대응되는 상기 외관 오목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재(1161)의 중심축을 따른 기준면에서, 상기 외관 오목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과도부재(1162)의 귀에서 멀어지는 측의 곡률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외관 오목부의 완곡도는 더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변환부(114)는 상기 귀의 뒤측에서의 돌기를 피할 수 있다.
[1]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도 42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걸이형부재(1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12)는 상기 연결부재(12) 및 상기 과도부재(1162)로 노출된 상기 탄성금속선(115)의 일부분에 대응될 수 있으며, 주로 상기 탄성피복체(118), 상기 탄성금속선(115), 및 상기 탄성피복체(118)에 의해 커버된 상기 도선(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113)는 상기 배터리부재(1161)에 대응될 수 있으며, 주로 상기 배터리부재(1161) 및 그 내부의 상기 배터리(16)를 포함한다. 상기 변환부(114)는 상기 과도부재(1162)에 대응될 수 있고, 주로 상기 탄성피복체(118)와 상기 탄성피복체(118)에 의해 커버된 상기 과도부재(1162)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탄성부재(112)의 길이는 상기 탄성피복체(118)에 의해 커버된 상기 연결부재(12) 및 상기 과도부재(1162)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탄성금속선(115)의 일부분의 길이일 수 있다.
[2] 또한, 상기 이어폰(10)는 처리회로와 상기 처리회로에 결합되는 검측부재(1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측부재(1163)는 상기 걸이형부재(11)가 상기 귀와 머리의 뒤측 사이에 걸렸는지 여부를 검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처리회로는 상기 검측부재(1163)의 검측결과에 따라 상기 이어폰(10)가 상기 착용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처리회로는 상기 메인회로판(15)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검측부재(1163)는 귀를 향해 상기 걸이형부재(11)(예를 들면, 상기 과도부재(1162) 또는 상기 배터리부재(1161))에 배치된 감지소자일 수 있다. 상기 감지소자는 용량식 감지소자, 감응식 감지소자, 저항식 감지소자,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를 포함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검측부재(1163)는 용량 감지소자일 수 있으며, 상기 과도부재(1162)의 외관 오목부에 배치될 수 있다.
[3] 일부 응용장면들에서, 상기 검측부재(1163)가 상기 이어폰(10)가 상기 착용 상태에 있음을 검측한 경우, 상기 처리회로는 상기 이어폰(10)을 제어하여 재생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검측부재(1163)이 상기 이어폰(10)이 상기 착용 상태에 있음을 검측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처리회로는 상기 이어폰(10)을 제어하여 임시정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이어폰(10)의 전력이 저장될 뿐만 아니라, 상기 이어폰(10)의 인터랙티브도 증가될 수 있다.
[4] 다른 응용 장면들에서, 상기 이어폰(10)은 한쌍으로 배치되고 연통되게 연결된 제1 이어폰과 제2 이어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이어폰과 상기 제2 이어폰은 각각 사용자의 좌우 귀에 착용될 수 있으며, 각 상기 제1 이어폰과 상기 제2 이어폰은 상기 검측부재(1163)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처리회로는 상기 검측부재(1163)의 상기 제1 이어폰 및 상기 제2 이어폰에서의 검측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이어폰 및 상기 제2 이어폰 중 하나를 메인 이어폰으로 결정하고 선택하여 하나의 오디오소스장치(휴대폰, 태블릿, 스마트 시계, 등)에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2개의 이어폰들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사전에 결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이어폰들 중 하나를 메인 이어폰으로 선택하여 상기 오디오소스장치에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부가적인 이어폰으로 선택되어 상기 메인 이어폰에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2개의 이어폰들 중 하나만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중의 상기 이어폰은 상기 메인 이어폰으로 간주할 수 있다.
[5] 도 30 및 도 32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홀딩부재(13)의 귀를 향한 측은 제1 구역(13A)과 제2 구역(1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역(13B)은 상기 제1 구역(13A)보다 상기 연결부재(12)로부터 더 멀리 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구역(13B)은 상기 연결부재(12)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홀딩부재(13)의 자유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상술한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재(12)에 가까운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섹션(예들 들면, 상기 탄성부재(112))의 직교 투영은 상기 제2 구역(13B)과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역(13A)은 소리홀(1311)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역(13B)은 상기 제1 구역(13A)와 비교하여 귀를 향해 더 돌출하여 귀에 접촉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소리홀(1311)이 귀와 거리를 두도록 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홀딩부재(13)의 자유단부는 볼록한 선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14)가 상기 소리홀(1311)을 통해 귀로 전송되는 소리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볼록한 선체 구조는 귀가 상기 소리홀(1311)을 막고 상기 코어(14)에 의해 소리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출력을 약화시키거나 심지어 출력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제2 구역(13B)의 상기 두께방향에서 상기 제1 구역(13A)에 상대적인 최대 돌출 높이는 1mm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구역 사이에서 평활한 과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소리홀(1311)이 귀와 간ㄴ격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것 뿐이며, 상기 제1 구역(13A)에 비교하여 귀를 향해 돌출된 상기 제2 구역(13B)은 상기 홀딩부재(13)의 다른 하나의 구역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소리홀(1311)과 상기 연결부재(12) 사이의 구역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이갑개 캐비티와 상기 이갑개정이 일정한 깊이를 가지고 상기 귓구멍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두께방향에서 상기 귀에서의 상기 소리홀(1311)의 직교 투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이갑개 캐비티 및/또는 상기 이갑개정에 놓여질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귓구멍의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고 상기 대이륜에 접촉될 수 있다. 두께방향에 따른 상기 소리홀(1311)의 귀에서의 직교 투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이갑개정에 놓여질 수 있다.
[6] 도 4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30 및 도 47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코어(14)의 반대측에서 각각 상기 이어폰(10)의 앞캐비티(200)와 뒤캐비티(3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리홀(1311)는 상기 앞캐비티(200)와 연통되어 귀로 소리를 축력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뒤캐비티(300)에 연통되는 압력완화홀(1312)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압력완화홀(1312)은 상기 소리홀(1311)보다 귓구멍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압력완화홀(1312)은 공기로 하여금 상기 뒤캐비티(300)에 자유로 출입되도록 하고, 가능한 한 상기 뒤캐비티(300)에 의해 막히지 않는 상기 앞캐비티(200) 내의 기압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홀(1311)을 통해 귀로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소리홀(1311)과 상기 압력완화홀(1312)을 통해 상기 이어폰(10) 외부로 출력되는 소리의 위상들이 반대이기 때문에, 상기 위상들은 귀에서 멀리 떨어진 원장에서 역전되고 상쇄될 수 있으며, 즉, "음향 쌍극자"는 누설음을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완화홀(1312)의 중심과 상기 소리홀(1313)의 중심 사시의 선과 상기 두께방향 사이의 각도는 0°와 50°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는 0°와 40°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뒤캐비티(300)와 연통되는 소리조절홀(1313)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소리조절홀(1313)는 상기 뒤캐비티(300) 내의 음장의 고압 구역을 파괴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뒤캐비티(300) 내의 정상파의 파장이 짧아지며, 따라서 상기 압력완화홀(1312)을 통해 상기 이어폰(10) 외부로 출력되는 소리의 공진 주파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kHz보다 크게 향상시키고, 누설음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조절홀(1313)과 상기 압력완화홀(1312)는 각각 상기 코어(14)의 반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리조절홀(1313)와 상기 압력완화홀(1312)은 상기 높이방향에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뒤캐비티(300) 내의 상기 음장의 고압구역을 최대한도로 파괴할 수 있다. 상기 압력완화홀(1312)의 개구방향은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를 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방향과 상기 수직축 사이의 각도는 0°와 10° 사이일 수 있으며, 상기 압력완화홀(1312)이 상기 소리조절홀(1313)보다 귓구멍에 더 멀리 떨어지게 하며,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압력완화홀(1312)을 통해 상기 이어폰(10) 외부로 출력되는 소리를 쉽게 듣지 못하게 하며, 누설음을 감소시킨다. 상기 압력완화홀(1312)은 상기 길이방향에서 제1 중심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소리조절홀(1313)은 상기 길이방향에서 제2 중심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중심은 상기 길이방향에서 제1 중심보다 상기 소리홀(1311)의 중심에서 더 멀리 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조절홀(1313)과 상기 소리홀(1311) 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한 증가시키며, 따라서 상기 소리조절홀(1313)을 통해 상기 이어폰(10) 외부로 출력되는 소리와 상기 소리홀(1311)을 통해 귀로 전송되는 소리 사이의 역위상 상쇄를 약화시킨다. 다시 말하면, 상기 높이방향에서 상기 소리조절홀(1313)의 직교 투영과 상기 두께방향에서의 상기 제2 구역(13B)의 직교 투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교차되며, 따라서 상기 소리홀(1311)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떨어진다.
[7] 요약하면,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을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주로 상기 소리홀(1311)을 통해 귓구멍에 전송되는 소리를 듣는다. 상기 압력완화홀(1312) 및 상기 소리조절홀(1313)과 같은 다른 음향홀들은 주로 소리가 베이스 다이빙과 트레블 침투의 음질을 가지도록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길이방향(예를 들면, 도 32에서 L1로 표시)에서의 상기 압력완화홀(1312)의 유출단부의 크기 대 상기 길이방향(예를 들면, 도 45에서 L2로 표시)에서의 상기 압력완화홀(1312) 부근의 상기 뒤캐비티(300)의 단부의 크기의 비율은 0. 9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두께방향에서의 크기들 사이의 크기 관계는 같거나 유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뒤캐비티(300)는 될수록 큰 상기 이어폰(10)의 외부에 연결되어 상기 뒤캐비티(300)의 상기 앞캐비티(200)에 대한 막음을 최소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압력완화홀(1312)을 통해 상기 이어폰(10)의 외부로 출력되는 상기 소리의 공진 주파수는 가능한 한 고주파수로 이동할 수 있다.
[8] 코어 하우징(131)와 같은 구조부품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코어 하우징(131)에 배치된 상기 소리홀(1311), 상기 압력완화홀(1312), 상기 소리조절홀(1312)을 포함하는 홀들은 일정한 깊이를 가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코어 하우징(13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수용캐비티에 관하여,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홀은 상기 수용캐비티 가까이의 유입단보와 상기 수용캐비티로부터 멀리 떨어진 유출단부를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간벽(137)과 상기 간벽(137)에 배치된 상기 연결홀들은 상술한 바와 유사하며,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9] 도 30 내지 도 32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자연 상태에서,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10)의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를 향한 측에서 관찰하면, 예를 들면,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관찰하면, 상기 홀딩부재(13)는 적어도 두께방향에서 상기 연결부재(12)에 가까운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섹션으로부터 간격을 둘 수 있으며 , 상기 연결부재(12)는 호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홀딩부재(13)와 상기 걸이형부재(1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귀의 앞측에 배치된 상기 홀딩부재(13)와 상기 귀의 뒤측에 배치된상기 걸이형부재(11)가 적어고 두께방향에서 상기 연결부재(12)에 가까운 섹션으로부터 늘 간격을 두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10)은 상기 상이근과 주변조직을 우회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이 상기 상이근 부근의 이륜을 과도하게 집어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한다.
[10] 단지 예로써, 상기 연결부재(12) 및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홀딩부재(13)의 자유단부로부터 동시에 상기 길이방향과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홀딩부재(13)를 연결하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걸이형부재(11)를 연결하는 다른 단부로의 방향에 멀리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얼굴을 향해 돌출하며,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상기 홀딩부재(13)의 상기 높이방향에서의 높이 차이는 평온하게 과도하는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결부재(1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홀딩부재(13)의 자유단부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홀딩부재(13)을 연결하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걸이형부재(11)을 연결하는 다른 단부로의 방향에서 멀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2) 및/또는 상기 연결부재(12) 가까이의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섹션도 두께방향에서 상기 홀딩부재(13)의 자유단부로부터 멀리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와 상기 연결부재(12) 가까이의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섹션은 상기 두께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3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귀로부터 멀리 향하는 측의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 측에서 보는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7 및 도 38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재(12)는 동시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홀딩부재(13)의 자유단부 가까이로 더 연장되고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자유단부로부터 상기 홀딩부재(13)를 연결하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걸이형부재(11)를 연결하는 다른 단부로의 방향에서 멀리 연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3차원 공간에서 순환적으로 확장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 측에서 보는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42 및 도 43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재(12)는 단지 상기 홀딩부재(13)의 자유단부로부터 동시에 상기 길이방향과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홀딩부재(13)을 연결하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걸이형부재(11)를 연결하는 다른 단부로의 방향에서 멀리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순환적인 확장구조의 제1 절반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 가까이의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섹션(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112))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재(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상기 홀딩부재(13)의 자유단부 가까이로 연속적으로 확장되는 동시에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홀딩부재(13)의 자유단부로부터 멀어지게 확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순환적인 확장구조의 제2 절반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순환적인 확장구조의 제1 절반과 결합하여 상기 3차원 공간에서 순환적인 확장구조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순환적인 확장구조는 상기 제1 절반 또는 상기 제2 절반만을 가질 수 있다.
[11]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결부재(12) 가까이의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섹션(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112)), 상기 연결부재(12) 또는 귀를 향한 상기 홀딩부재(13)의 가장자리는 원형 호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원형 호의 우회 변곡점(예를 들면, CP2)을 통과하고 상기 길이방향에 평행되는 기준 방향에서, 상기 우회 변곡점으로부터 3mm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두께방향을 따른 상기 원형 호의 최소폭(W1)은 1mm 내지 5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12] 다른 실시예들에서, 두께방향에서, 상기 연결부재(12)에 가까운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섹션(예들 들면, 상기 탄성부재(112))과 상기 홀딩부재(13) 사이의 최소 거리는 0보다 크고, 5mm 이하일 수 있다.
[13] 다른 실시예들에서, 두께방향에서, 상기 소리홀(1311)의 중심(O0로 표시)과 상기 연결부재(12) 가까이의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섹션(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112)) 사이의 거리(W2)는 3mm와 6mm 사이일 수 있다.
[14] 다른 실시예들에서, 두께방향에서, 상기 제2 구역(13B)와 상기 연결부재(12) 가까이의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섹션(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112)) 사이의 거리(W3)는 1mm와 5mm 사이일 수 있다.
[15] 도 3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4 및 도 32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연결부재(12)에 연결되는 상기 코어 하우징(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14) 및 상기 메인회로판(15)와 같은 구조 부재들은 상기 코어 하우징(131)의 수용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코어 하우징(131)는 두께방향에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 제1 하우징(1314)과 제2 하우징(13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314)은 상기 제2 하우징(1315)보다 귀에 더 접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하우징(1314)와 상기 제2 하우징(1315)은 상기 코어(14)의 진동방향에서 서로 반대측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방향은 상기 두께방향에 평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14)는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상기 제2 하우징(1315)를 향한 측에 고정되어 상기 앞캐비티(2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315)는 상기 제1 하우징(1314)와 버클연결되고 상기 코어(14)를 둘러싸서 상기 뒤캐비티(3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소리홀(1311)은 상기 제1 하우징(1314)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귀를 향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완화홀(1312)과 상기 소리조절홀(1313)은 각각 상기 제2 하우징(1315)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압력완화홀(1312)과 상기 소리조절홀(1313)은 상기 높이방향에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상기 압력완화홀(1312)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유출단부의 크기 대 상기 제2 하우징(1315)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크기의 비율은 0. 55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율은 0.8과 1 사이에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뒤캐비티(300)는 가능한 한 상기 이어폰(10)의 외부와 연통되는 동시에 상기 제2 하우징(1315)의 구조적 강도를 겸해 고려할 수 있다.
[16]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4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탄성금속선(115)의 상기 배터리부재(1161)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 연결되는 제3 하우징(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하우징(122)과 상기 탄성금속선(115)의 단부는 금속 인서트사출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315) 또는 상기 제3 하우징(122)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크기는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315)의 크기는 상기 제3 하우징(122)의 크기보다 훨씬 클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315)는 상기 제1 하우징(1314)과 버클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1315)의 두께방향에서의 직교 투영은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두께방향에서의 직교 투영과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22)은 제2 하우징(1315)의 직교 투영의 둘레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일부분에 버클연결되고 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제3 하우징(122)은 상기 제2 하우징(1315)과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동일한 측에 버클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대부분은 상기 홀딩부재(13)의 하우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작은 일부분은 상기 연결부재(12)의 하우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하우징(122)의 길이방향에서의 최대 크기 대 상기 제2 하우징(1315)의 길이방향에서의 크기의 비율은 0. 4 이하일 수 있다.
[17]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도 37 및 도 38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자연 상태에서,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10)의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를 향하는 측으로부터 관찰하면, 예를 들면, 상기 높이방향에서 관찰하면, 상기 제1 하우징(1314)과 상기 탄성금속선(115)는 상기 두께방향에서 간격을 둘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22)는 호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1314) 및 상기 탄성금속선(115)에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로 하여금 상기 귀의 앞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이형부재(11)로 하여금 상기 귀의 뒤측에 배치되어 상기 두께방향에서 적어도 상기 연결부재(12) 가까이의 섹션에서 서로 간격을 두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 하우징(122)는 먼저 동시에 상기 길이방향과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314)을 연결하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탄성금속선(115)를 연결하는 다른 단부로의 방향에서 상기 제2 하우징(1315)으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그 후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315) 가까이로 연장되고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315)로부터 멀리 연장됨으로써,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상기 홀딩부재(13) 사이의 상기 높이방향에서의 높이 차이가 평온하게 과도하는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2 위치점은 상기 연결부재(12)에 있고, 상기 제1 부분의 시작점은 상기 제2 위치점보다 상기 연결부재(12)로부터 더 멀리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상기 연결부재(12)의 하우징으로써 사용되는 일부분은 상기 제3 하우징(122)과 같거나 유사한 변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3차원 공간에서 순환적인 확장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38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분리선(PL1로 표시)을 상기 제3 하우징(122)과 상기 제1 하우징(1314)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22)과 상기 제1 하우징(1314)는 각기 성형한 후 함께 버클할 수 있으며, 따라서 3차원 공간에서의 순환적인 확장구조로 인해 상기 연결부재(12)의 하우징의 성형이 어렵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생산효율을 증가시키고 생산비용을 절감시킨다.
[18] 도 41 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1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3 하우징(122)과 상기 제1 하우징(131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삽입홀도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2)는 연결플러그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러그부재(123)의 일단부는 상기 걸이형부재(11)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단부는 상기 연결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상기 연결부재(12) 사이의 연결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하우징(122)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연결삽입홀(123)의 단부는 상기 배터리부재(1161)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탄성금속선(115)의 다른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예들 들면, 금속 인서트 사출가공를 통해 성형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2)는 잠금부재(12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22) 내로 삽입되는 상기 연결플러그부재(123)의 일부분은 상기 잠금부재(124)에 의해 상기 제3 하우징(122)에 잠금될 수 있으며, 이는 조립을 편리하게 하고 조립의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잠금부재(1224)는 기둥 형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배치된 쐐기일 수 있다.
[19]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도42 및 도 43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3 하우징(122)은 동시에 상기 길이방향 및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연결플러그부재(123)의 다른 단부로의 방향에서 상기 제2 하우징(1315)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탄성금속선(115)의 상기 연결플러그부재(123)로 노출되고 상기 연결플러그부재(123) 가까이의 섹션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315)의 가까이로 더 연장되고, 동시에 상기 연결플러그부재(1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315)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제3 하우징(122)도 상기 두께방향에 상기 제2 하우징(1315)으로부터 멀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러그부재(123)로 노출되고 상기 연결플러그부재(123)에 가까운 상기 탄성금속선(115)의 섹션은 상기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315)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멀리 연장될 수 있다. . 이런 경우, 상기 제2 위치점은 상기 걸이형부재(11)와 상기 연결부재(12) 사이의 변계에 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부분의 시작점은 상기 제2 위치점과 일치할 수 있다. 기 제1 하우징(1314)의 일부분은 상기 연결부재(12)의 하우징과 상기 제3 하우징(122)에 노출되는 상기 연결플러그부재(123)의 일부분은 상기 제3 하우징(122)과 같거나 유사한 변화 추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순환적인 확장구조의 제1 절반만을 형성하고, 상기 걸이형부재(11)는 상기 순환적인 확장구조의 제2 절반을 계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결합하여 상기 3차원 공간에서 상기 순환적인 확장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도 42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분리선(PL2로 표시)을 상기 연결플러그부재(123)와 상기 제3 하우징(122)(및/또는 상기 제1 하우징(1314))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러그부재(123)와 상기 제3 하우징(122)(및/또는 상기 제1 하우징(1314))는 각기 형성한 후 삽입되어, 3차원 공간에서 상기 순환적인 확장구조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12)의 하우징이 쉽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고, 생산 비용을 감소시킨다.
[20] 상기 연결부재(12) 및 상기 홀딩부재(13)의 하우징들은 다른 분리 방식들을 통해 나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홀딩부재(13)의 하우징은 상기 두께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같은 직교 투영면적을 가지는 2개의 하우징들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의 하우징은 상기 우회 변곡점을 딸라 2개의 하우징으로 나뉘거나 또는 하나만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하우징은 상기 탄성금속선(115)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들은 상응하게 조립될 수 있다.
[1]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도34 및 도 32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귀의 앞측에 접촉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홀딩부재(13)의 자유단부는 뒤의 대이륜과 접촉점(예를 들면, CP0)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하우징(131)의 귀를 향한 측은 적어도 상기 소리홀(1311)을 커버하지 않는 연성피복구조(132)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는 상기 소리홀(1311)에 대응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의 쇼어 경도는 상기 코어 하우징(131)의 쇼어 경도보다 작을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를 통해 귀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는 상기 코어 하우징(131)와 귀 사이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착용 편안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2) 및 상기 홀딩부재(13)의 하우징들의 분리 및 조합방식에 따라, 상기 이어폰(10)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고,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는 사출성형 가공을 통해 직접 상기 제1 하우징(1314), 상기 제3 하우징(122),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는 점착 연결방식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314), 상기 제3 하우징(122), 등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걸이형부재(11)가 상기 탄성피복체(118)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피복체(118)와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는 일회의 사출성형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2회의 사출성형 가공을 통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2회의 가공의 재료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본 출원은 주로 상기 연성피복구조(132) 및 상기 탄성피복(118)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을 설명함에 유의해야 한다.
[2]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는 적어도 부부적으로 상기 홀딩부재(13)의 상기 연결부재(12)의 자유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귀를 향하는 측, 즉, 상기 제2 구역(13B)에 배치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탄성부재(112)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예를 들면, YZ가 위치하는 평면)과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은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의 두께는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구역(13B)에 대응되는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는 상대적으로 두께울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의 자유단부는 귀를 향해 돌출되고 우수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구역(13A)과 비교하여 상기 제2 구역(13B)만 귀를 향해 돌출하면,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귀를 향한 측은 상이한 두께로 설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1314)은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 상기 홀딩부재(13)의 귀를 향한 측의 상기 제1 구역(13A)와 상기 제2 구역(13B)에 대응될 수 있다.
[3]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의 상기 코어 하우징(131)를 향한 측은 서로 간격을 두는 맹공(들)(1321)로 움푹 패일 수 있다. 상기 맹공(1321)은 주로 착용 상태에서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를 위한 변형공간을 제공하는데 이용되어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로 하여금 압력하에서 더 많이 변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착용 편안감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맹공들(1321)의 수량은 복수개, 예를 들면 적어도 2개이고, 이들은 서로 간격을 두어 골격 위치를 형성하여 자체의 구조를 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탄성변형과 구조적 강도의 양자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맹공들(1321)의 수량은 하나일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맹공(1321)의 탄성계수, 두께, 크기, 및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의 기타 파라미터들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맹공(1321)은 탄성변형과 구조적 강도를 동시에 가질 수 도 있다. 상기 연성피복구조(132)가 상기 맹공(들)(1321)을 가지게 하기 위해, 상기 코어 하우징(131)(예들 들면,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상기 제2 구역(13B)에 대응되는 부분)는 각각 상기 맹공(들)(1321)에 대응되고 연통되는 관통홀(들)(13141)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들)(13141)은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의 사출성형 코어들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복수의 관통홀들(13141)은 상기 제2 구역(13B)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일부분이 벌집 또는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상기 구역에서의 구조적 강도의 균형을 잡고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외측은 상기 벌집 또는 격자 구조에 따라 상기 관통홀들(13141)을 에워싼 돌출부들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연성피복구조(132) 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는 부분적으로 상기 관통홀들(13141)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구역(13B)과 상기 제1 하우징(1314) 사이의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의 결합면적을 증가시키고 , 따라서 결합강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1314)는 성형 과정에서 상기 상응한 관통홀들(13141)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의 성형코어들은 성형이 끝난 후 상기 관통홀들(1314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성형코어들은 상기 제1 하우징(1314)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최대 돌출 높이는 상기 볼록한 선체 구조의 실제 요구에 따른다.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는 사출성형과정을 통해 직접 상기 제1 하우징(1314)에 성형될 수 있으며, 그 후 상기 성형코어들을 뺄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코어 하우징(131)에 배치된 덮개판(13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덮개판(1316)은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로부터 멀리 떨어진 내측에 고정배치되어 상기 관통홀들(13141)을 밀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1314)과 상기 덮개판(1316)로 하여금 상기 코어(14)를 둘러싸고 상기 앞캐비티(200)을 형성하게 한다. 상기 덮개판(1316)은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벌집 또는 격자 구조에 지지될 수 있다.
[4] 단지 예로써, 제1 플랜지(13142)는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내벽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랜지(13161)는 상기 덮개판(1316)의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내벽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랜지(13161)의 양단부와 상기 제1 플랜지(13142)의 양단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각각 조합되어 고리형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코어(14)는 상기 고리형 플랜지 위에 고정하여 상기 앞캐비티(2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314)은 상기 제2 구역(13B) 내의 싱크홈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판(1316)은 상기 싱크홈 내에 감입되어 상기 덮개판(1316)의 내벽면으로 하여금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내벽면과 동일면에 놓이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앞캐비티(200)의 캐비티의 내면이 가능한 한 평탄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내벽면에 점착제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홈은 상기 싱크홈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복수의 관통홀들(13141)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다. 상기 덮개판(1316)은 상기 점착제홈에서 점착제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314)에 점착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제1 플랜지(13142)와 상기 점착제홈의 양자는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전자는 상기 제1 구역(13A)에 대응되고, 후자는 주로 상기 제2 구역(13B)에 대응될 수 있다.
[5] 다른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면, 상기 연성피복구조(132)가 상기 맹공들(1321)를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연성피복구조(132)가 따로 형성된 후 상기 코어 하우징(131)에 연결되고(예들 들면, 점착제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314)은 상기 관통홀들(13141)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지 않아도 되며, 상기 상응한 덮개판(1316)은 설치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1 플랜지(13142)는 완전한 고리형 플랜지일 수 있고, 상기 앞캐비티(200)는 상기 코어(14) on 상기 고리형 플랜지에서 상기 코어(14)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6]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41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는 상기 코어 하우징(131)에 배치된 내연성체(1322)와 적어도 상기 내연성체(1322)를 덮는 외연성체(1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연성체(1322)는 상기 제2 구역(13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연성체(1323)는 상기 내연성체(1322), 상기 제1 하우징(1314), 상기 제3 하우징(122), 등을 커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는 상기 외연성체(1323)를 통해 귀에 접촉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는 2층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의 상기 제2 구역(13B)에 대응되는 부분의 두께와 유연도를 조절한다. 상응하게, 상기 탄성부재(112)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예를 들면, YZ가 위치하는 평면)과 상기 내연성체(1322)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은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소리홀(1311)은 상기 내연성체(1322)와 상기 연결부재(12) 사이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연성체(1322)는 귀를 향해 돌출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내연성체(1322)는 상기 코어 하우징(131)(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1314))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성피복구조(132)가 상기 볼록한 선체 구조를 쉽게 형성하게 할 수 있다.
[7] 단지 예로써, 상기 맹공(들)(1321)은 상기 내연성체(1322)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기능 및 형성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거나 유사함으로써,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상기 맹공(들)(1321)의 수량은 복수개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내연성체(1322)는 벌집 형상 또는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골격 위치들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골격 위치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맹공(들)(1321)은 상기 내연성체(1322)를 더 뚫고 들어가서 관통홀이 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골격 위치들, 즉, 상기 맹공들(1321) 사이의 격차는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의 변형공간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연성체(1322)와 상기 외연성체(1323)의 재료들은 0도 실리카 겔일 수 있다.
[8] 단지 예로써, 상기 내연성체(1322)의 쇼어 경도는 상기 외연성체(1323)의 쇼어 경도보다 작아서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의 상기 제2 구역(13B)에 대응되는 부분으 더 유연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외연성체(1323)의 상기 코어 하우징(131)를 향한 측은 상기 맹공(들)(1321)으로 움푹하게 패일 수 있다. 상기 내연성체(1322)는 상기 맹공(들)(1321) 내에 배치되고 상기 외연성체(1323)에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맹공(들)(1321)는 상기 외연성체(1323)에 배치되어 상기 더 유연한 내연성체(1322)를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상기 제2 구역(13B)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외연성체(1323)의 성형코어들을 삽입하기 위한 상기 관통홀들(13141)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외연성체(1323)는 사출성형과정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314)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성형코어들은 상기 외연성체(1323)를 성형한 후 빼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외연성체(1323)는 상기 상응한 맹공들(1321)을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수용구역을 형성한다. 상기 내연성체(1322)는 상기 관통홀(들)(13141)을 통해 상기 맹공(들)(132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연성체(1322)는 상기 수용구역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들)(13141)은 상기 덮개판(1316)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덮개판(1316)의 상기 내연성체(1322)를 향한 측은 부분적으로 상기 관통홀(들)(13141) 내에 감입되어 상기 수용구역의 밀폐 성능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맹공(들)(1321)의 수량은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들)(13141)의 수량은 하나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관통홀(13141)의 개구면적은 상대적으로 크며, 상기 덮개판(1316)은 연장되어 상기 제1 구역(13A)에서 상기 제1 하우징(1314)과 부분적으로 겹쳐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1314)에 의한 상기 덮개판(1316)의 지지면적을 증가시킨다. 상기 덮개판(1316)은 상기 소리홀(1311)과 상기 앞캐비티(200)를 연결시키는 연통홀(13162)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소리홀(1311)을 막는 것을 피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외연성체(1323)의 재료는 30-50 도의 실리카 겔일 수 있고, 상기 내연성체(1322)의 재료는 0도의 실리카 겔이고, 상기 외연성체(1323)와 상기 내연성체(1322)는 점착제적하 가공을 통해 상기 수용구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특정된 실시예에서, 상기 외연성체(1323)의 재료는 30-50 도의 실리카 겔일 수 있으며, 상기 내연성체(1322)의 재료는 0-10도의 실리카 겔일 수 있으며, 상기 외연성체(1323)와 상기 내연성체(1322)는 사전에 덩어리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구역 내에 충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연성체(1322)가 성형 과정에서 상기 외연성체(1323)의 영향력을 견딜 수 있는 경우, 상기 제1 하우징(1314)는 상기 관통홀(13141)을 구비하지 않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상응한 덮개판(1316)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9]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1314), 상기 외연성체(1323), 상기 내연성체(1322), 상기 덮개판(1316), 등과 같은 구조 부재들은, 하우징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즉, 상기 구조 부재들은 조립이 용이하도록 모듈화될 수 있다.
[10] 도 30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이어폰(10)은 상기 홀딩부재(13) 및/또는 상기 연결부재(12)에 배치되는 마이크로폰(125)과 마이크로폰(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마이크로폰들(125와 133)은 상기 메인회로판(15)에 전기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에서 상기 마이크로폰(125)와 상기 마이크로폰(133) 사이의 거리는 상기 높이방향에서 상기 마이크로폰(125)와 상기 마이크로폰(133)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2개의 마이크로폰들(125와 13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어폰(10)가 상대적으로 확정된 경우 가능한 크게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2개의 마이크로폰들(125와 133) 사이의 간섭을 피하고, 상기 이어폰(10)의 소리 픽업 효과 및/또는 소음 감소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125)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예를 들면, YZ가 위치하는 평면)과 상기 마이크로폰(133)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 사이의 선은 상기 코어(14)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을 통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코어(14)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이 직사각형 형상이면, 상기 2개의 마이크로폰들(125와 133)은 실제로는 상기 코어(14)의 대각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11]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마이크로폰(125)은 상기 연결부재(12)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폰(133)은 상기 홀딩부재(13)의 상기 연결부재(12)로부터 멀리 떨어진 자유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125)은 상기 마이크로폰(133)보다 사용자의 입에 더 가까울 수 있으며, 주로 사용자의 음성을 픽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이어폰(10)은 상기 처리회로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인회로판(15)에 집적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폰(125)를 메인 마이크로폰을 지정하고 상기 마이크로폰(133)을 부가 마이크로폰으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부가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집되는 소리신호는 상기 메인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집된 소리신호의 소음을 감소시키는데 이요되며, 따라서 상기 소리 픽업 효과를 향상시킨다. 상기 2개의 마이크로폰들(125와 13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어폰(10)으로부터 귀로의 소리 출력의 소음감소처리의 수행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거나 또는 하나만의 소리 픽업 또는 소음 감소를 위한 마이크로폰만 제공할 수 있다.
[12] 단지 예로써, 상기 마이크로폰(125)는 상기 제3 하우징(122)과 상기 제1 하우징(13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폰(133)는 상기 제2 하우징(1315)과 상기 제1 하우징(13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22)과 상기 제2 하우징(1315)의 상기 제1 하우징(1314)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은 각각 마이크로폰들이 소리들을 수집하기 위한 관통홀들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3]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이어폰(10)은 상기 홀딩부재(13) 또는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상기 연결부재(12)로부터 멀리 떨어진 자유단부(즉, 상기 배터리부(113))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틱 마이크로폰(13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틱 마이크로폰(134)의 자유단부는 상기 메인회로판(15)에 전기연결된 마이크로폰(1341)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125) 및 상기 마이크로폰(133)와 비교하여, 상기 스틱 마이크로폰(134)은 상기 마이크로폰(1341)이 사용자의 입에 더 가깝게 하며, 이는 상기 소리픽업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개시에서, 상기 스틱 마이크로폰(134)과 상기 홀딩부재(13)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틱 마이크로폰(134)의 메인 로드(1342)와 상기 제2 하우징(1315)는 버클, 자성 등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메인 로드(1342)와 상기 제2 하우징(1315)는 C형 플러그인의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폰(1341)과 상기 메인회로판(15) 사이의 도선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14] 또한, 상기 스틱 마이크로폰(134) 위의 상기 마이크로폰(1341) 외에, 상기 이어폰(10)은 다른 마이크로폰들, 예를 들면 상기 마이크로폰(125) 및/또는 상기 마이크로폰(133)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틱 마이크로폰(134)이 상기 홀딩부재(13)에 연결된 경우 상기 처리회로는 상기 마이크로폰(1341)를 상기 메인 마이크로폰로써 사용하고, 상기 마이크로폰(133)과 상기 마이크로폰(125)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부가 마이크로폰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부가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집되는 소리신호는 상기 메인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집되는 소리신호의 소음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리픽업 효과를 증가시킨다. 상응하게, 상기 스틱 마이크로폰(134)이 상기 홀딩부재(13)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처리회로는 상기 마이크로폰(133)과 상기 마이크로폰(125)을 사용 가능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133)와 상기 마이크로폰(125) 중의 하나는 상기 메인 마이크로폰로 이용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부가 마이크로폰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스틱 마이크로폰(134)이 상기 홀딩부재(13)에 연결된 경우 상기 처리회로는 상기 마이크로폰(133)과 상기 마이크로폰(125)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 불가능 상태로 변환시킬 수도 있으며, 따라서 소리 픽업 및/또는 소음 감소를 고려하는 동시에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15] 도 30 및 도 31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이어폰(10)은 상기 홀딩부재(13) 또는 상기 연결부재(12)에 배치되는 제1 충전전극(126)과 상기 걸이형부재(11)에 배치되는 제2 충전전극(11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충전전극(126)과 상기 제2 충전전극(1164) 중의 하나는 양의 충전전극므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음의 충전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의 목적에 의해, 상기 제1 충전전극(126)은 상기 양의 충전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2 충전전극(1164)은 상기 음의 충전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이어폰(10)은 상기 2개의 충전전극들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충전전극들 사이의 최소 거리는 점차 커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충전전극들이 땀, 물방울, 먼지 등에 의해 합선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합선 방지를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2개의 충전전극들은 상기 걸이형부재(11), 상기 연결부재(12), 및 상기 홀딩부재(13) 중의 하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충전전극들은 상기 착용 상태에서 보이지 않게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충전전극들은 상기 사용자의 피부를 향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10)의 외관 품질을 겸해 고려할 수 있다.
[16] 단지 예로써, 상기 제1 충전전극(126)은 상기 연결부재(12)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충전전극(1164)은 상기 배터리부(116)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충전전극(12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하우징(1315)의 변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제3 하우징(122)과 상기 제1 하우징(13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제2 충전전극(1164)은 상기 배터리부재(1161),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부재(1161)의 개방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충전전극(126)은 기둥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충전전극(1164)은 스트립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충전전극(1164)의 길이방향은 상기 배터리부재(116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314)과 상기 배터리부재(1161)은 각각 상기 충전전극들이 노출되게 하는 관통홀들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충전전극들은 충전함의 출력전극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기둥 형상을 가지는 충전전극과 비교하여, 상기 스트립 형상의 충전전극은 상기 출력전극과 더 긴 접촉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충전전극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7] 상기 연결부재(12)에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1 충전전극들(126)이 설치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재(12)에는 2개의 제1 충전전극들(126)이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충전전극들(126) 중 하나가 고장난 후, 다른 하나는 여전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석과 같은 자기흡착부재는 상기 2개의 충전전극들의 각 충전전극 가까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어폰(10)이 자기흡착방식을 통해 상기 충전함위의 상기 출력전극(들)과 잘 접촉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충전함에서, 상기 출력전극(들)의 위치(들)은 상기 이어폰(10)의 충전전극(들)의 변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18] 도 3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5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2 하우징(1315)이 상기 제1 하우징(1314)보가 귀에서 더 멀기 때문에, 상기 제2 하우징(1315)은 물리적 버튼, 디스플레이, 터치 회로판, 등롸 같은 인터랙션 부재들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와 상기 이어폰(10)의 인터랙션이 쉽세 할 수 있다.
[19] 단지 예로써, 상기 제2 하우징(1315)은 바닥벽(13151)과 측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벽(13151)은 상기 제1 하우징(1314)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13152)은 상기 바닥벽(13151)에 연결된다. 상기 측벽(13152)은 상기 제1 하우징(1314)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바닥벽(13151)의 상기 제1 하우징(1314)를 향한 측은 상기 메인회로판(15)에 전기연결되는 유연한 터치 회로판(135)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연한 터치 회로판(135)은 용량 유연한 터치 회로판, 저항성 유연한 터치 회로판, 압력에 민감한 유연한 터치 회로판,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 상기 이어폰(10)과의 인터랙션이 구현될 수 있고, 추가적인 관통홀을 상기 코어 하우징(131)에 배치할 필요가 없을 수 있으며, 따라서 방수, 방천 성능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연한 터치 회로판(135)는 터치조작을 수신하는 접촉부(1351)와 상기 메인회로판(15)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연결부(13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연한 터치 회로판(135)는 BTB 커넥터를 통해 상기 메인회로판(15)에 버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351)의 면적 대 상기 바닥벽(13151)의 면적의 비율은 70%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상기 측벽(13152)의 상기 제3 하우징(122) 가까이의 측은 개방되어 상기 제2 하우징(1315)과 상기 제3 하우징(122)의 조합이 용이하게 진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압력완화홀(1312)과 상기 소리조절홀(1313)은 상기 측벽(13152)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각각 상기 개구단부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20] 또한, 상기 바닥벽(13151)은 싱크홈(13153)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접촉부(1351)는 상기 싱크홈(13153)의 바닥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2 하우징(1315)은 부분적으로 얇아 지는 것과 동등함으로써 상기 유연한 터치 회로판(135)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메인회로판(15)은 상기 제2 하우징(1315)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유연한 터치 회로판(135)은 탄성패드(1353)를 통해 상기 바닥벽(13151)에 눌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1351)는 상기 바닥벽(13151)에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1351)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싱크홈(13153)의 깊이는 상기 접촉부(1351)의 두께 이상이고, 상기 접촉부(1351)와 상기 탄성패드(1353)의 두께의 합보다 작음으로써 누름 및 고정 효과를 향상시킨다.
[1]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바닥벽(13151)은 상기 싱크홈(13153)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회로판(15)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열융착기둥들(13154)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열융착기둥들의 수량은 3개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열융착기둥들(13154) 중 적어도 2개의 상기 바닥벽(13151)에서의 직교 투영 사이의 연결선은 상기 접촉부(1351)의 상기 바닥벽(13151)에서의 직교 투영을 통과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메인회로판(15)은 각 열융착기둥(13154)에 대응되는 연결홀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메인회로판(15)이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열융착기둥(13154)에 씌워지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접촉부(1351)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된 경우, 적어도 2개의 열융착기둥들(13154)은 실질상 상기 접촉부의 대각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메인회로판(15)의 힘 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열융착기둥(13154)은 나사, 버클 등으로 바꿀수 있으며, 여기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2]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폰(133)은 SMT 가공을 거쳐 직접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상기 바닥벽(1315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바닥벽(13151)은 상기 싱크홈(13153)의 둘레에 배치된 플랜지(13155)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3155)는 상기 메인회로판(15)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이어폰(10)의 외부와 연통되는 소리픽업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인회로판(15)은 상기 플랜지(13155)에 눌려서 상기 마이크로폰(133)이 상기 소리픽업홀을 통해 소리신호들을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리콘 슬리브(13156)는 상기 플랜지(13155)에 씌워져 상기 메인회로판(15)이 상기 실리콘 슬리브(13156)를 통해 상기 플랜지(13155)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마이크로폰(133)의 소리경로의 밀폐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회로판(15)에서의 힘의 분포의 균일성도 향상될 수 있다.
[3] 일부 실시예들에서, 금속안테나 패턴이 상기 제2 하우징(1315)에 배치되어 상기 이어폰(10)의 통신 안테나의 작용을 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바닥벽(13151)은 상기 싱크홈(13153)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금속안테나 패턴에 전기연결되는 안테나 접촉점(13157)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회로판(15)은 상기 안테나 접촉점(13157)에 탄성 연결되는 금속탄성시트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메인회로판(15)은 상기 금속탄성시트를 통해 상기 안테나 접촉점(13157)에 연결되어 불필요한 용접을 피하고, 따라서 조립의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코어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을 절약한다.
[4]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회로판(15)과 상기 제2 하우징(1315) 사이의 연결은 상기 메인회로판(15)의 고정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유연한 터치 회로판(135)의 누름과 유지, 상기 마이크로폰(133)의 소리경로의 밀폐, 및 상기 메인회로판(15)과 상기 금속안테나 패턴 사이의 전기연결도 구현한다. 즉, 동시에 복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5]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도 35 및 도 41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걸이형부재(11) 내에 배치된전자부재들은 상기 도선(117)을 통해 상기 메인회로판(15)에 전기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 내에 배치된 상기 전자부재들이 상기 메인회로판(15)에 상대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상기 전자부재들은 전자부재들의 리드들을 통해 직접 상기 메인회로판(15)에 전기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선(117)은 복수의 가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16)의 양의 리드와 음의 리드, 상기 검측부재(1163)의 신호선과 차폐선, 및 상기 제2 충전전극(1164)의 음의 리드를 포함할 수 있.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검측부재(1163)의 차폐선과 상기 제2 충전전극(1164)의 도선은 동일한 도선으로써 배선을 간단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회로판(15)의 크기가 한정되고 많은 전자부재들이 상기 메인회로판(15)에 집적되기 때문에, 상기 도선(117) 또는 기타 리드들은 먼저 상기 유연한 회로판(136)에 용접하고, 그 후 상기 유연한 회로판(136)을 통해 상기 메인회로판(15)에 버클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각 패드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각 패드들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키는데 유리하며, 따라서 용접의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용접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6] 단지 예로써, 상기 유연한 회로판(136)는 적어도 상기 배터리(16)에 전기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구역(1361)과 상기 메인회로판(15)에 전기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구역(1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역(1362)은 상기 메인회로판(15)의 메인 표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유연한 회로판(136)과 상기 메인회로판(15)의 버클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구역(1361)은 상기 제2 연결구역(1362)와 비교하여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측을 향해 구부러질 수 있으며, 복수의 패드들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용접은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측에서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자부재들이 상기 메인회로판(15)의 메인 표면과 간섭이 없기 때문에, 용접의 난이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얇은 두께에 의해, 상기 유연한 회로판(136)은 부분적으로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측을 향해 구부러질 수 있으며, 이 역시 상기 코어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상기 제1 연결구역(1361) 내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패드들은 각각 상기 배터리(16)의 상기 양극 리드와 상기 음극 리드를 용접하기 위한 제1 패드 및 제2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구역(1361)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드들은 각각 상기 충전전극의 상기 양극 리드와 상기 음극 리드를 용접하기 위한 제3 패드와 제4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구역(1361)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드들은 상기 검측부재(1163)의 신호선과 차폐선을 용접하기 위한 제5패드와 제6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측부재(1163)의 차폐선과 상기 제2 충전전극(1164)의 리드가 동일한 리드일 수 있기 때문에, one of 상기 제4 패드 및 상기 제6 패드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는 기타 패드들의 크기와 매 2개의 패드들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데 유리하다.
[7]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폰(125)이 상기 연결부재(12)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회로판(15) 가까이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유연한 회로판(136)은 상기 연결부재(1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연한 회로판(136은 상기 제1 연결구역(1361)에 연결되는 제3 연결구역(13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구역(1363)은 상기 제1 연결구역(1361)과 비교하여 상기 메인회로판(1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3 연결구역(1363)은 상기 제1 하우징(1314) 및/또는 상기 제3 하우징(122)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125)은 상기 SMT 가공을 통해 상기 제3 연결구역(136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구역(1361)과 상기 제3 연결구역(1363)은 각각 상기 메인회로판(15)의 메인 표면에 수직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역(1362)는 상기 메인회로판(15) 의 메인 표면에 평행될 수 있다.
[8] 상기 제1 연결구역(1361)와 달리, 상기 제2 연결구역(1362)는 상기 BTB 커넥터를 통해 상기 메인회로판(15)와 버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연한 회로판(136)은 상기 제1 연결구역(1361)과 상기 제2 연결구역(1362)을 연결시키는 과도구역(13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도구역(1364)과 상기 제2 연결구역(1362)은 상기 메인회로판(15)의 동일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도구역(1364)의 길이는 상기 제1 연결구역(1361)과 상기 제2 연결구역(1362) 사이의 최소거리보다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연결구역(1361)는 상기 메인회로판(15)과 버클연결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과도구역(1364)는 다단 굽힘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메인회로판(15)의 메인 표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9] 도 35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코어(14)는 자기회로 시스템(141)과 코일(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142)은 통전 상태에서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의 자기갭 내로 연장되고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은 영구자석, 요크, 브라켓 등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의 상세한 구조와 연결관계는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잘 알려진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코어(14)가 골전도 이어폰에 이용되면, 상기 코일(142)은 진동판을 구동하여 이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14)가 기전도 이어폰에 응용되면, 상기 코일(142)는 진동막을 구동하여 이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코일(142)는 상기 진동판과 상기 진동막을 동시에 구동하여 이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코일(142)이 상기 진동막을 구동하여 이동시키는 것은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상기 코어(14)는 상기 코일(142)과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 사이에 연결되는 진동막(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막(143)은 진동과정에서 소리를 생성하고, 그 소리는 상기 소리홀(1311)을 통해 귀에 전송될 수 있다.
[10] 또한, 상기 코어(14)는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의 둘레에 고정된 금속탄성시트(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탄성시트(144)는 상기 코일(142)에 전기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코어(14)는 상기 금속탄성시트(144)에 의해 상기 메인회로판(15)에 눌릴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코일(142)는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접촉점에 전기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탄성시트(144)로 관련 기술에서의 용접선을 대체함으로써, 불필요한 용접은 피할 수 있고, 따라서 조립의 난이도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용접공간을 예정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상기 코어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A 상기 금속탄성시트(들)(144)의 수량은 2개일 수 있고, 각각 상기 코일(142)의 양의 리드 및 음의 리드로 사용될 수 있다.
[11] 도 4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 보드의 측면을 향하는 코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단지 예로써, 도 40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금속탄성시트(144)는 고정부(1441)와 상기 고정부(1441)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탄성접촉부(14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41)는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접촉부(1442)는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으로 멀리 떨어진 상기 고정부(144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요컨대, 금속탄성시트(144)의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상기 접촉점과 전기연결되기 위한 부분은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탄성시트(144)는 상기 고정부(1441)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는 한정부(14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정부(1443)와 상기 탄성접촉부(1442)는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탄성접촉부(1442)는 더 구부러져서 상기 한정부(1443)를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접촉부(1442)의 자유단부는 상기 한정부(1443)의 한점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탄성접촉부(1442)는 사전에 탄성위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금속탄성시트(144)와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접촉점 사이의 연결의 이점을 향상시킨다. 이런 경우, 상기 고정부(1441)에 상대적인상기 탄성접촉부(1442)의 중심부의 높이는 상기 고정부(1441)에 상대적인 상기 탄성접촉부(1442)의 자유단부의 높이보다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접촉점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한다.
[12]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는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상기 제2 하우징(1315)를 향한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회로판(15)은 상기 제2 하우징(1315)의 상기 제1 하우징(1314)를 향한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315)은 상기 제1 하우징(1314)과 버클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코어(14)는 상기 금속탄성시트(144)를 상기 메인회로판(15)에 탄성적으로 누룰 수 있으며, 이는 간단하고 신뢰성이 있으며 높은 조립효율을 가진다.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의 양측의 각 측은 금속탄성시트(144)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탄성시트(144)는 상기 제2 하우징(1315), 상기 메인회로판(15) 및 상기 제1 하우징(1314)에 의해 물려지는 상기 코어(14)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상응하게, 상기 진동막(143)은 상기 제1 하우징(1314)에 의해 에워싸여 상기 앞캐비티(20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는 상술한 상기 제2 플랜지(13161)와 상기 제1 플랜지(13142)를 조합하여 형성한 상기 고리형 플랜지에 지지되고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은 상기 뒤캐비티(300)과 상기 진동막(143)의 상기 앞캐비티(200)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연결시키는 관통홀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코어(14)(구체적으로, 상기 진동막(143)) 상기 코어 하우징(13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수용캐비티를 서로 반대측의 상기 앞캐비티(200)와 상기 뒤캐비티(300)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소리홀(1311)의 상기 코어(14)의 진동방향에서의 직교 투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진동막(143)에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회로판(15)과 상기 코어(14)는 두께방향에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코어(14)는 상기 메인회로판(15)보다 귀에 더 접근하여 상기 진동막(143)의 상기 뒤캐비티(300)와 상기 앞캐비티(20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을 상기 메인회로판(15)에 연결하는 관통홀의 배치를 생략하고, 따라서 상기 구조를 간단화한다. 상기 코어(14)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예를 들면, YZ가 위치하는 평면) 와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 사이의 중첩면적 대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 면적과 상기 코어(14)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 면적 중 더 큰 하나의 비율은0. 8 내지 1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코어(14)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 면적은 기본상 상기와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 면적과 같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14)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크기와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크기 사이의 차이의 절대치 대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크기와 상기 코어(14)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크기 중 더 큰 하나의 비율은 0 내지 0. 2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코어(14)와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상기 높이방향에서의 치수 관계는 그들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치수 관계와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하우징(13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수용캐비티의 체적이 일정한 조건하에서, 상기 코어(14)는 가능한 한 클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이어폰(10)의 음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이어폰(10)의 주파수 응답범위를 넓히는데 유리할 수 있다.
[13] 도 40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코어(14)가 서로 직교되고 상기 코어(14)의 진동방향( X1로 표시)에 수직이 되는 장축 방향(Y1로 표시)과 단축 방향(Z1로 표시)을 구비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에 제공되는 이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방향, 상기 장축 방향, 및 단축 방향은 각각 상술한 상기 두께방향, 상기 장축 방향, 및 상기 높이방향에 평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a 상기 진동방향과 상기 두께방향 사이, 상기 코어(14)의 상기 장축 방향과 상술한 장축방향 사이, 또는 상기 코어(14)의 단축 방향과 상기 높이방향 사이에는 각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14)의 상기 장축 방향에서의 크기는 상기 코어(14)의 단축 방향에서의 크기 이상일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코어(14)의 상기 진동방향에 수직이 되는 상기 기준면에서의 직교 투영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장축 방향은 상기 직사각형의 긴 측 방향일 수 있고, 단축 방향은 상기 직사각형의 짧은 측 방향일 수 있다.
[14] 본 개시의 발명자들은 장기간의 연구를 통해 상기 메인회로판(15)이 상기 코어(14)의 상기 앞캐비티(200)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배치된 경우, 상이한 크기들와 형상들의 대량의 전자부재들이 상기 메인회로판(15)에 집적되면 상기 이어폰(10)의 음질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발견했다. 도 3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따라서, 도36 및 도 46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코어 하우징(131) 내에 배치된 상기 간벽(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벽(137)은 상기 코어(14)를 상기 메인회로판(15)로부터 분리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코어(14)에 의해 에워싸여 상기 뒤캐비티(300), 즉, 독립적인 소리 캐비티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벽(137)은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과 상기 메인회로판(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에 에워싸여 상기 뒤캐비티(30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메인회로판(15)은 한 층에 커버되어 상기 메인회로판(15)의 상기 코어(14)를 향한 측이 가능한 한 평탄하게 할 수 있다.
[15] 단지 예로써, 상기 간벽(137)는 상기 코어(1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즉, 상기 간벽(137)과 상기 코어(14)는 조립이 용이하게끔 모듈화될 수 있다. 도 39는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39 및 도 44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간벽(137)은 바닥벽(1371)과 상기 바닥벽(1371)에 연결되는 측벽(13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벽(1371)은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측벽(1372)은 상기 코어(14)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코어(14)(구체적으로,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간벽(137)으로 하여금 상기 코어(14)에 에워싸여 상기 뒤캐비티(300)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간벽(137)의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를 향하는 측은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에 매치되는 점착제홈(1373)과 위치결정기둥(1374)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간벽(137)와 상기 코어(14)의 정확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금속탄성시트(144)은 상기 간벽(137)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16]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상기 측벽(1372)은 상기 뒤캐비티(300)를 상기 이어폰(10)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홀들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연통홀(1375)은 상기 압력완화홀(1312)과 상기 뒤캐비티(300)를 연결시키고, 제2 연통홀(1376)은 상기 소리조절홀(1313)과 상기 뒤캐비티(300)를 연결시킨다. 상기 간벽(137)과상기 코어 하우징(131)은 상기 연통홀을 에워싸는 밀페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뒤캐비티(300)와 상기 이어폰(10)의 외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소리경로를 밀폐한다.
[17] 본 개시에서, 상기 코어 하우징(131), 상기 코어(14), 등 구조 부재들은 일반적으로 정육면체 구조 또는 원기둥체 구조로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정육면체 구조로 배치된 상기 코어(14)는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상기 간벽(137)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크기는 상기 간벽(137)의 상기 높이방향에서의 크기 이상일 수 있다. 도39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측벽(1372)는 상기 길이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두는제1 측벽(13721)와 제3 측벽(1372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측벽(13722)과 제4 측벽(13724)은 상기 높이방향에서 간격을 둔다. 또한, 상기 제2 측벽(13722)과 상기 제4 측벽(13724) 중의 하나는 상기 제1 연통홀(1375) 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ㅍ 상기 제2 연통홀(1376)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상기 제1 연통홀(1375)은 상기 제2 측벽(13722)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연통홀(1376)은 상기 제4 측벽(1372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코어의 측면을 향하는 칸막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4 및 도 45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2 측벽(13722)은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통홀(1375)은 직접 상기 바닥벽(1371), 상기 제1 측벽(13721), 및 상기 제3 측벽(13723)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으며, 이는 아래의 기재에서 예식적으로 설명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18] 또한, 상기 제3 측벽(13723)은 상기 제1 측벽(13721)보다 상기 소리홀(1311)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고, 즉, 상기 연결부재(12)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지고 상기 홀딩부재(13)의 자유단부에 가깝다. 상기 제1 연통홀(1375)의 길이방향에서의 크기는 상기 제2 연통홀(1376)의 길이방향에서의 크기보다 클 수 있고, 상기 제1 연통홀(1375)과 상기 제2 연통홀(1376)의 길이방향에서의 크기는 같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뒤캐비티(300)와 상기 이어폰(10)의 외부 사이의 상기 제1 연통홀(1375)과 상기 제2 연통홀(1376)을 통한 유효 연통구역의 실제 면적을 조절한다. , 상기 제1 측벽(13721)과 상기 제4 측벽(13724)은 제1 호형 과도벽(13725)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밀폐된 뒤캐비티(300)의 내벽에서 직각, 예리한 모서리 등과 같은 예리한 구조들을 피할 수 있고, 따라서 정상파의 제거에 유리하다. 상기 제1 호형 과도벽(13725)는 원형 호("원형 호" 형상이라고 간단히 칭한다)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원형 호의 반경은 2mm 이상일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3 측벽(13723)와 상기 제4 측벽(13724)은 제2 호형 과도벽(13726)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호형 과도벽(13725)의 적어도 일부분의 내벽면의 곡귤반경은 상기 제2 호형 과도벽(13726)의 내벽면의 상응한 부분의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밀폐된 뒤캐비티(300)의 내벽에서 직각, 예리한 모서리 등과 같은 예리한 구조들을 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호형 과도벽(13726)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4 측벽(1374)의 상기 제3 측벽(13723)의 가까이의 부분은 상기 제2 연통홀(1376)의 배치에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2 연통홀(1376)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3 측벽(13723)의 내벽면과 동일면에 놓일 수 있다.
[19] 두께방향에서, 상기 제1 연통홀(1375)의 상기 코어(14)로부터 멀리 떨어진 내벽면은 상기 바닥벽(1371)의 상기 코어(14)를 향한 내벽면과 동일한 면에 놓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제2 연통홀(1376)의 상기 코어(14)로부터 멀리 떨어진 내벽면은 상기 바닥벽(1371)의 상기 코어(14)를 향한 내벽면과 동일한 면에 놓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통홀(1375)과 상기 제2 연통홀(1376)은 상기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바닥벽(1371)의 내벽면과 동일한 면에 놓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밀폐된 뒤캐비티(300)의 내벽에서 직각, 예리한 모서리 등과 같은 예리한 구조들을 피하며, 따라서 정상파를 제거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상기 제1 측벽(13721) 및 상기 제3 측벽(13723)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면은 상기 높이방향으로부터 관찰할 때 호형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밀폐된 뒤캐비티(300)의 내벽에서 직각, 예리한 모서리 등과 같은 예리한 구조들을 피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측벽(1372)과 상기 바닥벽(1371)의 내벽면은 호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20]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9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2 측벽(13722)과 상기 제4 측벽(13724)의 바닥벽(1371)에 상대적인 높이의 양자는 상기 제1 측벽(13721)과 상기 제3 측벽(13723)의 상기 바닥벽(1371)에 상대적인 높이보다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코어(14)는 상기 제2 측벽(13722)과 상기 제4 측벽(13724) 사이에 감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13721)와 상기 제3 측벽(13723)은 각각 상기 코어(14)의 상기 바닥벽(1371)을 향한 측에 맞닿을 수 있다. 두께방향에서, 상기 제1 연통홀(1375)의 상기 바닥벽(1371)과 상기 코어(14) 사이의 거리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연통홀(1376)의 크기는 상기 바닥벽(1371)와 상기 코어(14) 사이의 거리 이상으로써, 상기 밀폐된 뒤캐비티(300)의 내벽면이 직각, 예리한 모서리 등과 같은 예리한 구조들을 피하게 하고, 따라서 정상파를 제거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간벽(137)과 상기 코어 하우징(131) 사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 밀페부재(1381)와 제2 밀페부재(13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밀페부재(1381)는 상기 제2 측벽(13722)와 상기 제2 하우징(1315) 사이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제1 연통홀(1375)를 에워쌀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제2 밀페부재(1382)는 상기 제4 측벽(13724)와 상기 제2 하우징(1315) 사이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제2 연통홀(1376) 를 에워쌀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통홀(1375)의 유출단부는 제1 음향저항망(1383)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상기 제1 음향저항망(1383)의 상기 측벽(1372)에서 멀리 떨어진 측도 보호커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연통홀(1376)의 유출단부는 제2 음향저항망(1384)에 의해 커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음향저항망(1384)의 상기 측벽(1372)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도 보호커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음향저항망은 상기 방수 및 방천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누설음도 감소시킨다. 상기 보호커버의 구조적 강도는 상기 음향저항망의 구조적 강도보다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음향저항망이 이물에 의해 찔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2 음향저항망(1384)의 공극률은 상기 제1 음향저항망(1383)의 공극률 이하일 수 있다.
[1] 단지 예로써, 상기 제1 밀페부재(1381)는 상기 제1 연장부(13811)에 연결되는 제1 연장부(13811)와 제2 연장부(138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13811)와 상기 제2 연장부(13812)는 각각 상기 측벽(1372)과 상기 바닥벽(1371)의 상기 뒤캐비티(30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에 부착되어 고정되어 상기 제1 밀페부재(1381)와 상기 간벽(137) 사이의 결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제1 연장부(13811)는 상기 제1 음향저항망(1383)의 상기 제1 연통홀(1375)에 대응되는 구역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연장부(13811)는 그 위의 상기 제1 연통홀(1375)과 상기 제1 음향저항망(1383)을 에워쌀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뒤캐비티(300)과 상기 이어폰(10)의 외부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13811)는 상기 제1 음향저항망(1383)를 상기 측벽(1372)의 상기 뒤캐비티(3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에 눌러서 고정하여 상기 제1 음향저항망(1383)이 상기 측벽(137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밀페부재(1382)의 구조 및 상기 제2 밀페부재(1382)와 상기 간벽(137) 사이의 연결관계는 상기 제1 밀페부재(1381)의 구조 및 연결관계와 같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밀페부재(1381)와 상기 제2 밀페부재(1382)는 사출성형가공을 통해 상기 간벽(137)에 형성될 수 있다.
[3] 이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14), 상기 간벽(137) 또는 상기 음향저항망, 그 위의 밀페부재, 등과 같은 구조 부재들은 스피커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즉, 상기 구조 부재들은 조립이 용이하게끔 모듈화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4]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44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2 측벽(13722)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4 측벽(13724)는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연통홀(1376)를 배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측벽(13724)의 상기 바닥벽(1371)에 상대적인 높이는 상기 제1 측벽(13721)와 상기 제3 측벽(13723)의 각각의 상기 바닥벽(1371)에 상대적인 높이와 같아서 상기 제1 측벽(13721) 및 상기 제3 측벽(13723)과 함께 상기 자기회로 시스템(141)에 맞닿을 수 있다. 상기 제1 밀페부재(1381)는 먼저 상기 제1 밀페부재(1381)의 기설정된 싱크홈 또는 상기 제2 하우징(1315)에 감입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1 밀페부재(1381)는 상기 제2 하우징(1315)에 부착되고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315)과 상기 제1 밀페부재(1381)는 함께 상기 제1 음향저항망(1383)를 잡을 수 있으며, 후속의 조립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밀페부재(1381)의 상기 제2 하우징(1315)를 향한 측은 상기 제1 음향저항망(1383)을 수용하기 위한 싱크홈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밀페부재(1382)와상기 제2 음향저항망(1384)는 상기 제2 하우징(1315)에 부착하여 고정되어 하우징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제2 밀페부재(1382), 상기 제2 음향저항망(1384), 및 상기 제2 하우징(1315)는 조립이 용이하게끔 모듈화될 수 있다.
[5]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 따르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7를 결합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상기 앞캐비티(200)는 상기 앞캐비티(200)를 상기 이어폰(10)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구멍(201)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뒤캐비티(300)는 상기 뒤캐비티(300)를 상기 이어폰(10)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 구멍(301) 및 제3 구멍(302)을 가질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제2 구멍(301)는 상기 제1 구멍(201) 및 상기 제3 구멍(302)보다 귓구멍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구멍, 상기 제2 구멍, 및 상기 제3 구멍의 각각은 상기 앞캐비티(200) 또는 상기 뒤캐비티(300)와 상기 이어폰(10)의 외부 사이의 유효 연통구역일 수 있다. 즉, 최소 횡단면적을 가지는 구역을 통해 상기 소리가 상기 앞캐비티(200) 또는 상기 뒤캐비티(300)로부터 상기 이어폰(10)의 외부로 전송된다. 예를 들면, 상기 코어(14)는 상기 제1 하우징(1314)(및 상기 덮개판(1316))과 결합하여 상기 앞캐비티(300)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1 구멍(201)은 상기 소리홀(1311)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10)이 상기 간벽(137)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실시예에서, 즉, 상기 간벽(137)이 상기 코어(14)와 결합하여 상기 뒤캐비티(300)를 형성하며, 상기 압력완화홀(1312)의 실제 면적이 상기 제2 연통홀(1376)의 실제 면적보다 크면, 상기 제2 구멍(301)은 상기 제2 연통홀(1376)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압력완화홀(1312)의 실제 면적이 상기 제2 연통홀(1376)의 실제 면적보다 작으면, 상기 제2 구멍(301)은 상기 압력완화홀(1312)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압력완화홀(1312)과 상기 제2 연통홀(1376)이 서로 엇나갔으면, 상기 제2 구멍(301)은 상기 압력완화홀(1312)과 상기 제2 연통홀(1376)이 서로 차폐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3 구멍(302)은 상기 제2 구멍(301)과 유사할 수 있으며, 상세 내용은 여기에서 중복하지 않느다. 상기 이어폰(10)이 상기 간벽(137)을 구비하지 않도록 구성된 한 실시예에서, 즉, 상기 제2 하우징(1315)는 상기 코어(14)와 결합하여 상기 뒤캐비티(300)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구멍(301)과 상기 제3 구멍(302)는 직접 각각 상기 압력완화홀(1312)과 상기 소리조절홀(1313)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이어폰(10)이 상기 앞캐비티(200) 또는 상기 뒤캐비티(300) 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지 않으면, 상기 상응한 구멍은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6]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에 기재한 유효 면적은 유효 연통구역의 실제 면적과 상기 상응한 음향저항망의 공극율의 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구멍(201)이 음향저항망에 의해 커버된 경우, 상기 제1 구멍(201)의 유효 면적은 상기 제1 구멍(201)의 실제 면적과 상기 음향저항망의 공극률 사이의 곱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멍(201)이 방음벽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구멍(201)의 유효 면적은 상기 제1 구멍(201)의 실제 면적일 수 있다. 상기 제2 구멍(301)과 상기 제3 구멍(302)은 상기 제1 구멍(201)에 유사할 수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중복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상기 제3 구멍(302)의 유효 면적은 상기 제2 구멍(301)의 유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7]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9 및 도 44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2 연통홀(1376)의 유출단부의 실제 면적은 상기 제1 연통홀(1375)의 유출단부의 실제 면적 이하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조절홀(1313)와 상기 뒤캐비티(300) 사이의 유효 연통구역의 실제 면적은 상기 압력완화홀(1312)과 상기 뒤캐비티(300) 사이의 유효 연통구역의 실제면적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압력완화홀(1312)의 유출단부의 실제 면적은 상기 제1 연통홀(1375)의 유출단부의 실제 면적 이상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소리조절홀(1313)의 유출단부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크기는 상기 압력완화홀(1312)의 유출단부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크기와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소리조절홀(1313)의 유출단부의 상기 두께방향에서의 크기는 상기 압력완화홀(1312)의 유출단부의 상기 두께방향에서의 크기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리조절홀(1313) 또는 상기 압력완화홀(1312)에서 상기 뒤캐비티(300)와 상기 이어폰(10)의 외부 사이의 유효 연통구역의 실제 면적은 상기 상응한 음향설계 요구에 맞게 상기 상응한 연통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리조절홀(1313)과 상기 압력완화홀(1312)은 외관상 약간의 차이가 있도록 설계되어 외관의 일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규격의 상기 음향저항망을 이용하여 재료들의 유형의 수량을 감소시키거나 재료 혼합을 피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소리조절홀(1313)의 크기는 상기 제2 연통홀(1376)의 변화에 따라 변화시켜서 상기 소리조절홀(1313)이 외관상 상기 압력완화홀(1312)과 다르게 하며, 따라서 외관 식별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제2 음향저항망(1384)의 공극률은 상기 제1 음향저항망(1383)의 공극률 이하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조절홀(1313)과 상기 뒤캐비티(300) 사이의 유효 연통구역의 유효 면적은 상기 압력완화홀(1312)과 상기 뒤캐비티(300) 사이의 유효 연통구역의 유효 면적 이하일 수 있다.
[8] 또한, 상기 압력완화홀(1312)와 상기 뒤캐비티(300) 사이의 상기 유효 연통구역(예를 들면, 상기 제1 연통홀(1375))은 상기 길이방향에서 제1 중심(O1로 표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소리조절홀(1313)와 상기 뒤캐비티(300) 사이의 상기 유효 연통구역(예를 들면, 상기 제2 연통홀(1376))는 상기 길이방향에서제2 중심(O2로 표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중심은 상기 길이방향에서 상기 제1 중심보다 상기 소리홀(1311)( O0로 표시)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제2 중심은 상기 제3 측벽(13723)에 더 가까울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조절홀(1313)와 상기 소리홀(1311) 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한 증가시키고, 따라서 상기 소리홀(1313)를 통한 상기 이어폰(10)의 외부로의 소리 출력과 상기 소리홀(1311)을 통한 귀로의 소리 전송 사이의 역위상 상쇄를 약화시킨다.
[9] 본 개시에서의 홀 또는 구멍의 중심은 홀 또는 구멍을 둘러싼 닫힌 곡선의 변두리까지의 거리가 같은 위치를 가리킴에 유의해야 한다. 원형, 직사각형, 등과 같은 규칙적인 형상에 있어서, 본 개시에기재된 홀 또는 구멍의 중심은 기하학적 중심일 수 있다. 기타 불규칙적 형상들에 있어서, 본 개시에 기재된 홀 또는 구멍의 중심은 물리 중심일 수 있다.
[1] 도 4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쌍극자의 음장 분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8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 구멍(201)을 통해 상기 이어폰(10)의 외부로 전달되는 소리는 단순하게 모노폴 음원 A1 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소리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멍(301)를 통해 상기 이어폰(10)의 외부로 전달되는 소리는 단순하게 모노폴 음원 A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소리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제2 소리의 위상은 상기 제1 소리의 위상과 반대일 수 있으며, 이는 원장에서 뒤집어지고 상쇄될 수 있다. 즉, "음향 쌍극자"는 누설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2개의 모노폴 음원들의 연결선은 상기 귓구멍("청각 위치" 로 표시)을 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충분히 큰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상기 청각 위치(Pear로 표시)에서의 음압은 사용자에 의해 듣기는 소의 강도를 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청각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구형 표면에서의 상기 음압들(Pfar로 표시)은 상기 원장으로 방출하는 상기 이어폰(10)의 누설음의 강도를 표시할 수 있다. Pfar을 획득하는 데 다양한 통계 방식, 예를 들면, 구형 표면의 각 점에서의 평균 음압치를 취하기, 구형 표면의 각 점에서의 음압 분포를 취하여 구역 분류를 진행하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이어폰(10)에 의해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상기 음압은 충분히 커서 듣는 효과를 증가시키고, 원장에서 상기 음압 Pfar 은 충분히 작아서 누설음 감소 효과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파라미터 α는 상기 이어폰(10)의 누설음 감소 또는 듣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써 이용될 수 있으며, 아래의 방정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1] 또한,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13)(예를 들면, 상기 홀딩부재(13)의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에 가까운 귓구멍에 배치되는 측, 상기 귀의 앞측에서 대이륜에 접촉한다)의 귀에서의 직교 투영은 상기 이륜의 범위 내에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멍(201)은 상기 대이륜과 상기 상이근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소리를 상기 귓구멍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이갑개 캐비티와 상기 이갑개정은 일정한 깊이를 가지고 상기 귓구멍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 구멍(201)의 귀에서의 직교 투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이갑개 캐비티 및/또는 상기 이갑개정에 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구멍(201)을 통해 상기 이어폰(10)의 외부로 전송되는 소리는 상기 귓구멍에 전달될 수 있다. 도 4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칸막이를 구비하는 음향 쌍극자의 음장 분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쌍극자를 구비하고 칸막이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의 원장 음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49 및 도 50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귀는 상기 청각 위치 부근에 설치한 칸막와 같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이어폰(10)의 외부로 전달되는 소리를 집중시키고 반사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음장 분포를 변화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청각 위치의 음압을 증가시키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원장에서의 음압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청각 위치는 상기 칸막이와 상기 모노폴 음원 A1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는 상기 음장 분포를 왜곡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청각 위치에서 음압을 증가시킨다. 동시에, 전체 음장은 여전히 역위상 상쇄를 위한 큰 구역을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원장에서 음압을 감소시킨다. 사용자의 머리는 상기 칸막이의 일부분으로써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2개의 모노폴 음원들 중 각각과 귀 사이의 거리가 귀의 크기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상기 귀는 음향 반사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도 5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칸막이를 구비하는 음향 쌍극자의 이론 모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발명자들은 장기간의 연구를 거쳐, 상기 음향 쌍극자와 상기 칸막이의 조정 이론모델에서, 도51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파라미터 α는 주로 상기 2개의 모노폴 음원들(A1-A2로 표시)의 연결선과 상기 칸막이의 법선 사이의 각도(θ), 상기 2개의 모노폴 음원들 사이의 거리, 상기 모노폴 음원 A1 과 상기 청각 위치 사이의 거리(D), 상기 칸막이의 길이(L), 상기 칸막이와 상기 청각 위치 사이의 거리B , 등을 포함하는 계수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기 각도(θ)와 상기 거리(d )가 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칸막이의 길이(L)가 더 크고 상기 거리(B)가 더 작을 수록, 상기 파라미터 α는 더 작을 수 있으며, 즉, 상기 누설음 감소 효과가 더 좋을 수 있다.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사용자의 귀는 상기 칸막이로 간주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길이(L )는 상대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약 50-80mm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거리(B)는 약 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청각 위치에서의 음압을 증가시켜 청각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구멍(201)은 일반적으로 가능한 한 상기 귓구멍 가까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즉, 상기 거리(D)는 일반적으로 가능한 한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구멍(201)의 중심과 상기 귓구멍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16mm 이하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홀딩부재(13)의 상기 귓구멍을 향한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걸이형부재(11)의 상기 홀딩부재(13)로부터 상기 높이방향에서 멀리 떨어진 최고점(예를 들면, CP1) 사이의 거리는 19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d)가 과도하게 작으면, 상기 청각 위치에서의 음압은 작아질 수 있으며, 이는 소리를 듣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상기 거리(d)가 과도하게 크면, 상기 원장에서의 음압은 증가될 수 있으며, 이는 누설음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홀딩부재(13)의 실제 크기도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구멍(301)의 중심과 상기 제1 구멍(201)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7mm 내지 15mm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구멍(301)의 중심과 상기 제1 구멍(201) 중심 사이의 거리는 9mm일 수 있다.
[1] 도 5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파라미터 α와 각도 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52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 칸막이가 없음" 을 참조하면, "칸막이를 구비"는 물론 상기 파라미터 α를 감소시키는데, 즉, 상기 누설음 감소 효과를 증가시키는데 유리하다. 상기 각도 θ=0°인 경우, 상기 파라미터 α 는 최소치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는 가장 높은 누설음 감소 효과를 얻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상기 각도 θ는 ±80°의 범위 내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 θ는 ±40°의 범위 내 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 θ는 ±20°의 범위 내 일 수 있다. 도47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2 구멍(301)이 일반적으로 상기 제1 구멍(201)의 상기 귓구멍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에 배치되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각도 θ는 양의 값만 취할 수 있다.
[2] 도 5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쌍극자와 귀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단지 예로써, 도53 및 도 47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3D 기준 좌표계(X'Y'Z' 로 표시)는 인체의 임의의 3개의 상기 기본 섹션들과 서로 수직이 되는 임의의 3개의 기본축에 근거하여 구축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모노폴 음원들의 연결선과 상기 칸막이의 법선 사이의 각도 θ는 A1-A2 선과 각각 상기 X'축, 상기 Y'축, 및 상기 Z'축 사이의 각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상기 2개의 모노폴 음원들 사이의 연결선 A1-A2는 상기 제2 구멍(301)의 상기 중심(예를 들면, O1)과 상기 제1 구멍(201)의 중심(예를 들면, O0) 사이의 상기 연결선(O1-O0로 표시)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선 O1-O0과 상기 시상면 사이의 각도 θ1는 10°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 θ1은 3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연결선 O1-O0과 상기 관상면 사이의 각도 θ2 는 0보다 클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 θ2는 4°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연결선 O1-O0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각도 θ3은 80° 이하일 수 있고 ,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 θ3은 6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3개의 각도 θ1, θ2, 및 θ3은 각각 34°, 5° 및 56°일 수 있다.
[3] 또한,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13)는 상기 귀의 앞측에 가까울 수 있으며, 상기 홀딩부재(13)에서의 상기 제1 구멍(201)은 귀를 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3)는 간단히 상기 제1 구멍(201)에 수직이 되는 상기 칸막이의 평균 법선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연결선 O1-O0과 상기 제1 구멍(201)의 평균 법선에 수직이 되는 상기 기준면 사이의 각도는 25°와 55° 사이일 수 있다. 상기 평균 법선은 아래의 방정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는 상기 평균 법선을 표시하고
Figure pat00004
는 표면에서의 임의의 점의 법선을 표시하고, ds는 면 유닛(face unit)을 표시한다.
[1] 상기 제1 구멍(210)이 평면인 경우, 상기 평균 법선에 수직이 되는 기준면은 상기 제1 구멍(201)의 접선면일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평균 법선은 상기 코어(14)의 진동방향 및 상기 두께방향에 평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선 O1-O0과 상기 진동방향 사이의 각도는 0°과 5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와 40° 사이일 수 있다.
[2] 또한,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귀는 간단히 상기 음향 쌍극자와 결합되는 상기 칸막이로 간주할 수 있다. 기준면은 상기 귀의 앞측의 동일선에 있지 않는 적어도 3개의 생리학적 위치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 2개의 상기 상이근, 상기 이주간 노치, 및 상기 다윈의 결절들 사이의 연결선들은 기준면(LA-LB-LD로 표시)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칸막이를 설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각도는 상기 연결선 O1-O0과 상기 기준면 사이의 각도는 23°와 53° 사이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선 O1-O0과 상기 기준면 사이의 각도는 38°일 수 있다.
[3] 또한, 상기 이어폰(1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이어폰(10)은 귀와 복수의 접촉점들을 형성하여 착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어폰(10) 상의 각각 상기 접촉점들에 대응되는 위치들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형부재(11)가 상기 탄성부재(11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실시예에서, 착용 전후의 상기 탄성부재(112)의 탄성변형은 대응 관계의 일정한 편차를 초래할 수 있으며, 상기 편차는 상기 탄성부재(112)의 변형능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편차는 용납 가능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도31 및 도 59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고정조립체(20)로부터 멀리 떨어진상기 홀딩부재(13)의 자유단부는 상기 귀의 앞측에 접촉하기 위한 제1 기준점(예를 들면, CP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조립체(20)는 상기 상이근에 접촉하기 위한 제2 기준점(예를 들면 CP3) 및 귀의 뒤측에서 귀에 접촉하기 위한 제3 기준점(예를 들면 CP6) 을 가질 수 있다. 각각 2개의 상기 제1 기준점, 상기 제2 기준점, 및 상기 제3 기준점 사이의 연결선들은 기준면(CPO-CP3-CP6로 표시)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면은 상기 칸막이를 설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선 O1-O0와 상기 기준면 사이의 각도는 15°와 45° 사이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선 O1-O0과 상기 기준면 사이의 각도는 30°일 수 있다.
[4] 상기 칸막이와 비교하여, 귀의 앞면은 평탄하고 규칙적인 구조가 아닐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파라미터 α에 관련된 상술한 파라미터들은 이론 분석과 실제 측정을 거쳐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제 측정은 상기 이어폰(10)이 시뮬레이터(예를 들면, GRAS 45BC KEMAR)에 착용된 후 실행되는 측정일 수 있다.
[5] 모두가 아는 바와 같이, 정상적인 사람들의 귀가 느낄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 범위가 20Hz 및 20kHz 사이일 수 있지만, 이는 이러한 소리를 전부 들을 수 있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사람들의 귀는 주로 4kHz 아래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따라서, 한 방면에서, 상기 제1 구멍(201)를 통해 상기 이어폰(10)의 외부로 전달되는 상기 제1 소리의 공진 주파수는 될수록 고주파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소리의 주파수 공진곡선은 중고주파수대역에서 될수록 평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청음 효과를 향상시킨다. 반면에, 상기 제2 구멍(301)을 통해 상기 이어폰(10)의 외부로 전달되는 상기 제2 소리의 공진 주파수도 가능한 한 상기 고주파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누설음에 대한 민감도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역위상 상쇄가 고주파수대역까지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청음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고 누설음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 소리의 주파수 공진곡선은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1 최저 공진피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1 최저 공진피크는 상기 제1 구멍(20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주파수 공진곡선의 중고주파수 및 그 이상의 주파수대역들에서 전체 공진피크 주파수들 중의 상기 최저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피크일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소리의 주파수 공진곡선은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2 최저 공진피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2 최저 공진피크는 상기 제2 구멍(301)에 의해 형성된 상기 주파수 공진곡선의 중고주파수들 및 그 이상의 주파수대역들에서 전체 공진피크 주파수들 중의 상기 최저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피크일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제1 소리의 주파수 공진곡선은 상기 중고주파수대역 및 상술한 주파수대역에서상기 최저 주파수를 구비하는 제1 공진피크일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소리의 주파수 공진곡선은 상기 중고주파수대역 및 상술한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최저 주파수를 구비하는 제2 공진피크일 수 있다. 상기 중고주파수의 상기 제1 최저 공진피크의 피크 공진 주파수와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2 최저 공진피크의 피크 공진 주파수는 5kHz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고주파수의 상기 제1 최저 공진피크의 피크 공진 주파수와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2 최저 공진피크의 피크 공진 주파수는 6kHz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고주파수의 상기 제1 최저 공진피크의 피크 공진 주파수와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2 최저 공진피크의 피크 공진 주파수 사이의 차이는 1kHz이하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역위상 상쇄는 상기 원장에서의 상기 제2 소리와 상기 제1 소리에서 더 잘 실행될 수 있다.
[6] 본 개시에서, 저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주파수 범위는 20Hz 내지 150Hz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중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주파수 범위은 150Hz 내지 5kHz의 범위일 수 있다. 고중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주파수 범위는 5k-20kHz의 범위일 수 있다. 중저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주파수 범위는 150Hz 내지 500H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중고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주파수 범위는500Hz 내지 5kHz의 범위일 수 있다. 본 개시에 기재된 주파수 공진곡선에 있어서, 상기 수평축은 주파수를 표시하고, 단위는 Hz일 수 있다. 상기 수직축은 밀도를 표시할 수 있고, 단위는 d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1 최저 공진피크는 캐비티 공진에 의해 생성되는 공진 피크, 및/또는 캐비티의 캐비티 표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생성되는 정상파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고주파수의 상기 제2 최저 공진피크는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1 최저 공진피크와 유사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7]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 따르면, 상기 이어폰(10)을 착용한 경우 사용자는 주로 상기 제1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중고주파수의 상기 제1 최저 공진피크의 상기 피크 공진 주파수는 청력 효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중고주파수의 상기 제1 최저 공진피크는 학습되어 청력 효과를 개선한다. 상기 중고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소리의 주파수 공진곡선의 공진 피크와 상기 주파수대역은 주로 캐비티 공진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상기 헬름홀츠 공진캐비티의 공진 주파수의 계산식을 만족시킨다.
Figure pat00005
[1] f0은 상기 캐비티 공진의 공진 주파수를 표시하고, c0은 공기속의 음속을 표시하고, S는 상기 제1 구멍(201)의 실제 면적을 표시하고, V는 상기 앞캐비티(200)의 체적을 표시하며, l는 상기 제1 구멍(201)의 길이를 표시하고, r은 상기 제1 구멍(201)의 등가 반경을 표시한다. L는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벽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1] 물론, 상기 제1 구멍(201)의 실제 면적이 크고 상기 앞캐비티(200)의 체적이 작을 수록, 캐비티 공진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가 높을 수 있으며, 즉, 상기 중고주파수의 상기 제1 최저 공진피크는 고주파수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멍(201)는 일반적으로 음향저항망으로 커버되어, 방수 및 방천 성능을 증가시키고, 상기 주파수 공진곡선을 조절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제1 구멍(201)의 유효 면적은 2mm2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멍(201)의 실제 면적은 7mm 2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구멍(201)에 커버된 상기 음향저항망의 공극률은 13%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공 크기는 18 μ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앞캐비티(200)의 체적은 90mm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앞캐비티(200)의 체적은 대략 상기 진동막(143)의 면적과 상기 코어(14)의 진동방향에서 상기 앞캐비티(200)의 깊이의 곱일 수 있다. 상기 코어(14)의 규격과 모델을 선택한 후, 상기 진동막(143)의 진동 스트로크에 부합되는 전제하에서, 상기 앞캐비티(200)의 상기 진동방향에서의 깊이는 가능한 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앞캐비티(200)의 상기 진동방향에서의 최대 깊이는 3mm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하일 수 있다.
[2] 도 5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귀 측을 향한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54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앞캐비티(200)가 정육면체 구조로 구성된 경우, 상기 앞캐비티(200)의 캐비티 표면은 적어도 한쌍의 평행되거나 거의 평행되는 반사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상파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비티 내에 반영되는 경우, 입사파와 반사파는 겹쳐져서 고정된 파복과 고정된 노드를 형성하며, 따라서 특정된 주파수에서 정상파를 촉발시킨다. 다시 말하면, 상기 중고주파수대역 및 상술한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소리의 주파수 공진곡선의 공진피크들은 정상파로부터 유래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아래의 계산식을 만족시킨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f0은 정상파 피크의 주파수를 표시하고, c0은 공기속의 음속을 표시하고, L는 상기 제1 구멍(201)의 중심과 상기 앞캐비티(200)의 캐비티 표면 사이의 거리를 표시하고, n는 양의 정수를 표시한다.
[1] 물론, 상기 거리 L가 작을 수록, 상기 정상파 피크에 대응되는 주파수가 더 높을 수 있다. 즉, 상기 중고주파수의 상기 제1 최저 공진피크는 더 쉽게 고주파수로 이동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코어(14)의 진동방향에 수직이 되는 기준면(예를 들면, Y1Z1이 위치하는 평면), 상기 제1 구멍(201)의 중심과 상기 앞캐비티(200)의 캐비티 표면 사이의 거리는 17. 15mm 이하일 수 있다.
[2]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상기 앞캐비티(200)는 상기 코어(14)의 장축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두는 제1 앞캐비티 표면(202)와 제3 앞캐비티 표면(204), 상기 코어(14)의 단축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두는 제2 앞캐비티 표면(203)와 제4 앞캐비티 표면(20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앞캐비티 표면(202)는 상기 제3 앞캐비티 표면(204)보다 상기 연결부재(12)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제4 앞캐비티 표면(205)은 상기 제2 앞캐비티 표면(203)보다 귓구멍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제1 앞캐비티 표면(202)과 상기 제3 앞캐비티 표면(204)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앞캐비티 표면(203)과 상기 제4 앞캐비티 표면(205) 사이의 거리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멍(20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앞캐비티 표면(202), 상기 제2 앞캐비티 표면(203), 상기 제3 앞캐비티 표면(204), 및 상기 제4 앞캐비티 표면(205)로의 수직 거리들은 각각 제1 거리(L1), 제2 거리(L2), 제3 거리(L3), 및 제4 거리(L4)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4개의 수직 거리들이 L1≥L2≥L3≥L4의 기본 관계를 가지고, 상기 상응한 정상파 피크들에 대응되는 주파수들이 f1≤f2≤f3≤f4의 관계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상기 중고주파수대역 및 상술한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소리의 제1 정상파 피크는 상기 4개의 수직 거리들 중의 최대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L1≤17. 15이다. 단지 예로써,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3 거리 이하일 수 있고,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2 거리 이하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구멍(201)은 상기 귓구멍에 가까울 수 있다.
[1] 상기 제1 구멍(201)은 상기 코어(14)의 진동방향에서 상기 진동막(143)과 반대측에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코어(14)의 장축방향에서 상기 제1 구멍(201)의 크기 대 상기 코어(14)의 단축방향에서 상기 제1 구멍(201)의 크기의 비율은 3 이하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구멍(201)은 원형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1 구멍(201)은 경주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2] 도 5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5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이어폰(10)은 상기 앞캐비티(200)와 연통되는 헬름홀츠 공진캐비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헬름홀츠 공진캐비티(400)는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1 최저 공진피크의 피크공진 강도를 약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앞캐비티(200) 내에서 상기 피크 공진 주파수 부근의 음에너지는 흡수되어 상기 피크공진 강도의 급격한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주파수 공진곡선은 평탄하고, 상기 음질은 더 잘 균형을 가질 수 있다. 도 5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주파수 공진곡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단지 예로써, 도56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헬름홀츠 공진캐비티(400)와 상기 앞캐비티(200)의 구멍연결이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HR_Y"로 표시)의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1 최저 공진피크의 피크공진 강도와 상기 헬름홀츠 공진캐비티(400)와 상기 앞캐비티(200)의 구멍연결이 밀폐된 상태에 있는 경우("HR_N"로 표시)의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1 최저 공진피크의 피크공진 강도 사이의 차이는 3dB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름홀츠 공진캐비티(400)와 상기 앞캐비티(200)의 구멍연결은 음향저항망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주파수 공진곡선을 더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음향저항망의 공극률은 3% 이상일 수 있다.
[3] 또한, 복수개의 헬름홀츠 공진캐비티들(400)가 설치되어 상기 앞캐비티(200)내의 상기 피크 공진 주파수 부근의 음향에너지를 더 잘 흡수할 수 있다. 복수의 헬름홀츠 공진캐비티들(400)은 상기 앞캐비티(200)에 병렬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각각 상기 앞캐비티(200)와 연통될 수 있다. 대안으로써, 복수의 헬름홀츠 공진캐비티들(400)은 상기 앞캐비티(200)와 직렬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복수의 헬름홀츠 공진캐비티들(400) 중 하나를 통해상기 앞캐비티(200)와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4]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36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헬름홀츠 공진캐비티(400)는 상기 제2 구역(13B)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연성피복구조(132)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성피복구조(132) 내의 상기 맹공(1321)은 상기 연성피복구조(132)에 변형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헬름홀츠 공진캐비티(400)로써 역할할 수도 있다. 상응하게, 상기 헬름홀츠 공진캐비티(400)와 상기 앞캐비티(200)를 연결하는 연통홀은 상기 덮개판(1316)에 배치될 수 있다.
[5]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41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헬름홀츠 공진캐비티(400)는 상기 연결부재(12) 내, 예를 들면, 상기 제3 하우징(122)와 상기 제1 하우징(13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3 하우징(122)을 향한 상기 제1 하우징(1314)의 내벽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하우징(122)은 상기 제1 플랜지에 눌리우고 유지되어 상기 헬름홀츠 공진캐비티(400)를 밀폐하고 형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1314)를 향한 상기 제3 하우징(122)의 내벽면은 상기 제2 플랜지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314)은 상기 제2 플랜지에 눌리우고 유지되어 기 헬름홀츠 공진캐비티(400)를 밀폐하고 형성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제3 하우징(122)과 상기 제1 하우징(1314)은 함께 버클연결되어 상기 헬름홀츠 공진캐비티(40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름홀츠 공진캐비티(400)는 취입성형 가공에 의해 성형될 수 있으며, 그 후 상기 연결부재(12) 내에 배치되고 고정될 수 있다.
[6]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소리의 공진 주파수를 가능한 한 상기 고주파수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뒤캐비티(300)는 상기 앞캐비티(200)와 같거나 유사한 기술안을 채택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상기 앞캐비티(200)과의 주요 차이는 정상파에 있어서, 상기 뒤캐비티(300)가 상기 뒤캐비티(300) 내의 음장의 고압구역을 파괴하여 상기 뒤캐비티(300) 내의 정상파의 파장을 줄일 수 있는 점이며, 따라서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2 최저 공진피크의 공진 주파수를 가능한 한 크게 한다. 도47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3 구멍(302)은 상기 상기 뒤캐비티(300) 내의 음장의 고압구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구멍(302)과 상기 제2 구멍(301)는 상기 코어(14)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주파수 공진곡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단지 예로써, 도58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3 구멍(302)이 개방 상태("열기"로 표시)에 있는 경우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2 최저 공진피크의 피크 공진 주파수는 상기 제3 구멍(302)가 밀폐 상태("닫기"로 표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2 최저 공진피크의 피크 공진 주파수에 비교하여 고주파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량은 1kHz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구멍(302)의 유효 면적은 상기 제2 구멍(301)의 유효 면적보다 작아서 상기 중고주파수의 제2 최저 공진피크의 피크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코어(14)의 장축방향에서 상기 제2 구멍(301)의 크기는 상기 코어(14)의 장축방향에서 상기 제1 구멍(20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7] 도 5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의 뒤캐비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술한 관련 기재에 의하면, 도57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뒤캐비티(300)는 상기 코어(14)의 장축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두는 제1 뒤캐비티 표면(303)과 제1 뒤캐비티 표면(30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구멍(302)과 상기 제3 구멍은 상기 코어(14)의 단축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둘 수 있다. 상기 제3 구멍(302) 실제 면적은 상기 제2 구멍(301)의 실제 면적보다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3 구멍(302)의 유효 면적은 상기 제2 구멍(301)의 유효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뒤캐비티 표면(303)와 상기 제1 뒤캐비티 표면(304) 중 상기 제3 구멍(302) 가까이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은 상기 코어(14)의 진동방향을 따라 호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밀폐된 뒤캐비티(300)의 내벽에서 직각, 예리한 모서리 등 예리한 구조를 피할 수 있으며, 이는 정상파들을 제거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상기 제1 캐비티 표면(303)과 상기 제3 캐비티 표면(305)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단축 방향을 따라 호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것도 정상파들을 제거하는데 유리하다.
[8] 또한, 상기 제2 구멍(301)의 개구방향은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를 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 방향과 상기 수직축 사이의 각도는 0°와 10° 사이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2 구멍(301)으로 하여금 상기 제3 구멍(302)보가 귓구멍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지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및 다른 사람들에 있어서 주위 환경에서 상기 제2 구멍(301)를 통해 상기 이어폰(10)의 외부로 출력되는 소리를 듣기가 어렵게 될 수 있으며, 따라서 누설음을 감소시킨다. 상기 제2 구멍(301)의 개구방향은 상기 평균 법선이 위치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제2 구멍(301)은 상기 코어(14)의 장축방향에서 상기 제1 중심(예를 들면 O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구멍(302)은 상기 장축 방향에서 상기 제2 중심(예를 들면O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중심은 상기 장축 방향에서 상기 제1 중심보다 상기 제1 구멍(201)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3 구멍(302)과 상기 제1 구멍(201) 사이의 거리는 가능한 한 증가되며, 따라서 상기 제3 구멍(302)를 통해 상기 이어폰(10)의 외부로 출력되는 소리와 상기 제1 구멍(201)를 통해 귀로 전달되는 소리 사이의 역위상 상쇄를 약화시킨다. 상기 제1 뒤캐비티 표면(303)는 상기 제1 뒤캐비티 표면(304)보다 상기 연결부재(12)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제1 뒤캐비티 표면(303)의 적어도 일부분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1 뒤캐비티 표면(204)의 상응한 일부분의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9] 단지 예로써, 상기 제1 뒤캐비티 표면(303)는 차례로 연결된 제1 서브뒤캐비티 표면(3031), 제2 서브뒤캐비티 표면(3032), 및 제3 서브뒤캐비티 표면(30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뒤캐비티 표면(3031)은 상기 제3 서브뒤캐비티 표면(3033)보다 상기 제2 구멍(301)에 가깝고 상기 제1 뒤캐비티 표면(304)에서 멀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뒤캐비티 표면(3032)과 상기 제3 서브뒤캐비티 표면(3033)의 적어도 상기 제2 서브뒤캐비티 표면(3032)은 호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서브뒤캐비티 표면(3032)은 호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호의 반경은 2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구멍(301)이 상기 제3 구멍(302)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2 서브뒤캐비티 표면(3032)의 접선과 상기 코어(14)의 단축 방향 사이의 각도는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으며, 상기 제3 서브뒤캐비티 표면(3033)의 접선과 단축 방향 사이의 각도는 변하지 않거나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10] 본 개시에 기재된 상기 홀딩부재(13)에 연결되는 상기 고정조립체(20)는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재(13)로 하여금 상기 귀의 앞측에 접착하게 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고정조립체(20)는 상기 걸이형부재(11) , 상기 걸이형부재(11)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재(12) 및 상기 홀딩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련 구조와 상기 연결관계는 본 개시의 임의의 실시예의 상세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도 5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 상태에서의 각 이어폰들의 구조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59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고정조립체(20)는 고리형 형상으로 귀 주위에서, 도 59에서의 도면(a)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고정조립체(20)는 귀걸이 및 배면걸이 구조로 머리 뒤측 주위에 도 59에서의 도면(b)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고정조립체(20)는 머리기둥 구조로 머리 꼭대기 주위에 도 59에서의 도면(c)와 같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안은 이어폰, 보청기, 오디오 안경, 또는 AR, VR, MR 등과 같은 기타 스마트 안경에 응용될 수 있다.
[11]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일부분이고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관련 기술분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되는 본 개시의 기재와 도면들의 해석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임의의 동등한 장치 또는 동등한 처리변환은 동일한 원리를 가지는 본 개시의 범위내에 속할 수 있다.

Claims (10)

  1. 이어폰으로서,
    상기 이어폰은 걸이형부재, 연결부재, 및 홀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이 착용 상태일 때,
    상기 걸이형부재는 사용자 귀의 뒤측과 사용자 머리 사이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홀딩부재는 귀의 앞측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걸이형부재와 상기 홀딩부재를 연결하고 머리로부터 머리 외부로 연장하여 상기 걸이형부재와 협력하여 상기 홀딩부재에 귀의 앞측을 누르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형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제1 연결점으로부터 걸이형부재의 자유단부로의 방향에서,
    상기 걸이형부재는 상기 귀의 뒤측을 향해 구부러져 귀의 뒤측과의 제1 접촉점을 형성하고,
    상기 홀딩부재는 귀의 앞측과의 제2 접촉점을 형성하며,
    자연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른 상기 제1 접촉점과 상기 제2 접촉점 사이의 거리는 착용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른 상기 제1 접촉점과 상기 제2 접촉점 사이의 거리보다 작아서 상기 홀딩부재에 귀의 앞측을 누르는 힘을 제공하는
    이어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형부재는 상기 귀의 뒤측과의 제3 접촉점을 형성하고, 상기 제3 접촉점은 상기 제1 연결점과 상기 제1 접촉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연결점에 더 가깝고,
    자연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촉점과 상기 제3 접촉점의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방향에 수직이 되는 기준면에서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는 착용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촉점과 상기 제3 접촉점의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방향에 수직이 되는 기준면에서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이어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형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제1 연결점으로부터 걸이형부재의 자유단부로의 방향에서, 상기 걸이형부재는 머리를 향해 구부러져 머리와의 제1 접촉점과 제2 접촉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접촉점은 상기 제2 접촉점과 상기 제1 연결점 사이에 위치하며, 따라서 상기 걸이형부재는 상기 제1 접촉점을 지점으로 하는 레버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접촉점에서 머리에 의해 제공되는 머리 외부를 향하는 힘은 상기 레버 구조에 의해 상기 제1 연결점에서 머리를 향하는 힘을 발생시켜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홀딩부재에 귀의 앞측을 누르는 힘을 제공하는
    이어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서로 직교되는 두께방향,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을 가지고, 상기 두께방향은 상기 홀딩부재가 착용 상태에서 귀에 가깝거나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높이방향은 상기 홀딩부재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에 가깝거나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구성되고,
    자연 상태에서, 상기 착용 상태에서 이어폰의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를 향한 측에서 보면, 상기 홀딩부재는 두께방향에서 상기 걸이형부재의 상기 연결부재에 가까운 섹션으로부터 적어도 간격을 두며,
    상기 연결부재는 호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홀딩부재와 상기 걸이형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이어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의 귀를 향한 측은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소리홀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1 구역보다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더 멀리 떨어지며, 상기 제1 구역보다 귀를 향해 더 돌출하며, 따라서 상기 소리홀로 하여금 착용 상태에서 귀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하는
    이어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역과 두께방향에서 상기 걸이형부재의 상기 연결부재에 가까운 섹션 사이의 거리는 1mm 내지 5mm로 배치되는
    이어폰.
  8. 제7항에 있어서,
    두께방향에서 상기 걸이형부재의 상기 연결부재에 가까운 섹션의 직교 투영은 상기 제2 구역에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이어폰.
  9. 제6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방향에서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제1 구역에 상대적인 최대 돌출 높이는 1 mm이상인
    이어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귀의 대이륜에 접촉되는
    이어폰.
KR1020227045388A 2020-07-29 2021-07-29 이어폰 KR202300075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743396.4 2020-07-29
CN202010743396 2020-07-29
CN202011328519 2020-11-24
CN202011328519.4 2020-11-24
PCT/CN2021/109154 WO2022022618A1 (zh) 2020-07-29 2021-07-29 一种耳机
KR1020227042942A KR102662483B1 (ko) 2020-07-29 2021-07-29 이어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942A Division KR102662483B1 (ko) 2020-07-29 2021-07-29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534A true KR20230007534A (ko) 2023-01-12

Family

ID=8492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388A KR20230007534A (ko) 2020-07-29 2021-07-29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75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483B1 (ko) 이어폰
CN217159958U (zh) 一种耳机
KR20230007534A (ko) 이어폰
RU2797031C1 (ru) Наушник
RU2805460C2 (ru) Наушник
JP2023100000A (ja) イヤ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