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517A - 공유 방법, 공유 장치와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공유 방법, 공유 장치와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517A
KR20230007517A KR1020227043465A KR20227043465A KR20230007517A KR 20230007517 A KR20230007517 A KR 20230007517A KR 1020227043465 A KR1020227043465 A KR 1020227043465A KR 20227043465 A KR20227043465 A KR 20227043465A KR 20230007517 A KR20230007517 A KR 20230007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haring
screen projection
target objec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젼 루오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공유 방법, 공유 장치와 전자 기기를 공개한다. 해당 공유 방법은,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의 목표 아이디와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바,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하는 단계;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유 방법, 공유 장치와 전자 기기
본 출원은 통신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특히 공유 방법, 공유 장치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출원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0년 6월 22일 국가지재권국에 제출되고 출원번호가 202010575852.9이며, 발명의 명칭이 "공유 방법, 공유 장치와 전자 기기"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출원에서는 그 모든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전자 기기 1과 전자 기기 2가 통화를 진행하는 시나리오에서, 만일 전자 기기 1의 사용자(이하 "사용자 1"로 약칭)가 전자 기기 2의 사용자(이하 "사용자 2"로 약칭)에게 파일(예를 들면 오디오 또는 비디오)을 공유하고자 하면, 사용자 1은 어떠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제3자 애플리케이션)의 파일 공유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 2에게 해당 오디오 또는 비디오를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오디오를 공유하는 것을 예로 들면, 사용자 1은 일반적으로 통화 화면에서 나오고, 전자 기기 1의 바탕화면에서 제3자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전자 기기 1이 해당 제3자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한 후, 사용자 1이 해당 제3자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해당 오디오의 아이디를 입력하여, 전자 기기 1이 해당 오디오를 전자 기기 2로 송신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전반 오디오 공유 과정이 지나치게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에, 전자 기기가 파일을 공유하는 편리성이 떨어진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가 파일을 공유하는 편리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공유 방법, 공유 장치와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하기와 같이 구현된다.
제1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전자 기기에 적용되고;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의 목표 아이디와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바,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하는 단계;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제2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전자 기기에 적용되고;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1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송신하는 단계; 제1 전자 기기가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바, 해당 제어 명령은 제어 명령은 제1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제1 전자 기기에 표시된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목표 아이디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생성한 것이고, 해당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하는 단계;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제3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공유 장치로서,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과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공유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수신 모듈은 제1 공유 장치와 제2 공유 장치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공유 장치와 제3 공유 장치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2 공유 장치가 송신하는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수신 모듈이 수신하는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목표 아이디와 디스플레이 모듈이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바,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한다. 제어 모듈은 수신 모듈이 수신하는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2 공유 장치를 제어하여 목표 객체를 제3 공유 장치로 송신한다.
제4 양태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공유 장치로서,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공유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송신 모듈은 제1 공유 장치와 제2 공유 장치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공유 장치와 제3 공유 장치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1 공유 장치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송신한다. 수신 모듈은 제1 고유 장치가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바, 제어 명령은 제어 명령은 제1 공유 장치가 사용자의 제1 공유 장치에 표시된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목표 아이디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생성한 것이고,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한다. 송신 모듈은 또한 수신 모듈이 수신하는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3 공유 장치로 송신한다.
제5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면 또는 제2 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제6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면 또는 제2 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7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세서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여 제1 면 또는 제2 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칩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제1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하는 목표 아이디(즉 목표 객체의 아이디)와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1 입력에 의하여,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한다.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목표 객체를 공유하여야 할 때, 사용자는 제1 전자 기기를 트리거시켜 스크린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직접 목표 객체와 해당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해당 목표 객체를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전자 기기에 대하여 여러 회 입력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화하고 시간 소모를 감소시켜,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방법의 모식도 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화면의 예시적 도면 1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화면의 예시적 도면 2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방법의 모식도 2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방법의 모식도 3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방법의 모식도 4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장치의 구조 모식도 1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장치의 구조 모식도 2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하드웨어 모식도이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하게 되는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 중의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특정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렇게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당한 상황 하에서 호환이 가능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또는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실시될 수 있고, 또한 "제1", "제2" 등이 구분하는 객체는 일반적으로 같은 유형이고, 객체의 수량을 한정하지 않는바, 예를 들면 제1 객체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및/또는”은 연결된 객체의 적어도 그 중의 하나를 표시하고,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아래 도면을 참조하고, 구체적인 실시예 및 그 응용 시나리오를 통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방법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방법은 여러 사람이 오디오/비디오 통화를 진행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A가 전자 기기 A를 사용하여 사용자 B의 전자 기기 B와 오디오/비디오 통화를 진행한다고 가정하면, 만일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어떤 영화(예를 들면 영화 A)를 공유하고자 하면, 사용자 A는 전자 기기 A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전자 기기 A가 오디오/비디오 통화 화면에서 나오고 바탕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하여, 사용자 A는 바탕화면에서 하나씩 제3자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앨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찾은 후, 해당 "앨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전자 기기 A가 해당 "앨범" 애플리케이션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하고, 해당 화면에는 전자 기기 A의 모든 파일(예를 들면 모든 음악 파일, 모든 영화 파일 등)의 셈네일이 포함되어, 사용자는 해당 모든 파일의 섬네일에서 영화 A의 섬네일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고, 또한 해당 화면 중의 "공유" 옵션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전자 기기 A가 해당 영화 A를 전자 기기 B로 송신하게 한다. 하지만, 사용자 A가 여러 회 입력을 진행하여야만 비로소 전자 기기 A가 전자 기기 B로 해당 영화 A를 송신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객체를 공유하는 과정에 사용자의 조작이 번거롭고 시간 소모가 비교적 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영화 A를 공유하고자 할 때, 사용자 A는 전자 기기 A와 전자 기기 C의 스크린 투영 연결을 트리거시켜, 전자 기기 C가 전자 기기 A의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게 하고, 그 후 사용자 A는 전자 기기 C가 디스플레이하는 영화 A의 아이콘과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직접 입력을 진행하여, 전자 기기 C가 전자 기기 A를 제어하여 해당 영화 A를 전자 기기 B로 송신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화하고 시간 소모를 감소시켜,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시스템은 제1 전자 기기(01), 제2 전자 기기(02)와 제3 전자 기기(0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자 기기(01)와 제2 전자 기기(02)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전자 기기(02)와 제3 전자 기기(03)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2 전자 기기(02)가 제1 전자 기기(01)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송신하고, 그 후 제1 전자 기기(01)가 제2 전자 기기(02)가 송신하는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하고 또한 해당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며, 그 후 제1 전자 기기(01)가 사용자의 목표 아이디와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바, 해당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하고,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02)를 제어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03)로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목표 객체를 공유하여야 할 때, 사용자는 제1 전자 기기를 트리거시켜 스크린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직접 목표 객체와 해당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제2 전자 기기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해당 목표 객체를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전자 기기에 대하여 여러 회 입력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화하고 시간 소모를 감소시켜,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자 기기(02)를 제어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03)로 송신 것"은 구체적으로, 제1 전자 기기(01)가 제2 전자 기기(02)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해당 제어 명령은 제2 전자 기기(02)가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03)로 송신하도록 지시하여, 제2 전자 기기(02)가 제1 전자 기기(01)가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바, 해당 제어 명령은 제어 명령은 제1 전자 기기(01)가 사용자의 제1 전자 기기(01)에 표시된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목표 아이디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생성한 것이고, 해당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하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03)로 송신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목표 객체를 공유하여야 할 때,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제2 전자 기기가 해당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전자 기기가 제3 전자 기기로 목표 객체를 송신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입력은 사용자가 목표 아이디를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을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1회 입력을 통하여 제1 전자 기기를 트리거시켜 제2 전자 기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공유 과정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어,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01)가 사용자의 목표 아이디와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제1 전자 기기(01)에 목표 객체가 저장된 경우, 제1 전자 기기(01)는 제1 입력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2 전자 기기(02)로 송신하고, 그 후 제2 전자 기기(02)는 제1 전 장치(01)가 송신하는 목표 객체를 수신한다.
이로써, 제1 전자 기기는 제2 전자 기기를 트리거시켜 제3 전자 기기로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되지 않은 객체 및/또는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된 객체를 공유할 수 있고, 단지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된 객체만 공유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01)가 제2 전자 기기(02)가 송신하는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하기 전, 제1 전자 기기(01)는 제2 전자 기기(02)가 송신된 스크린 투영 요청을 수신하며; 해당 스크린 투영 요청은 제2 전자 기기(02)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1 전자 기기(01)에 투영시켜 디스플레이할 것을 요청하며; 스크린 투영 요청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02)로 스크린 투영 응답을 송신하는바, 해당 스크린 투영 응답은 제1 전자 기기(01)로 스크린 투영 연결을 구축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을 지시하며; 여기서, 스크린 투영 내용은 제2 전자 기기(02)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지시한다.
이로써,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제2 전자 기기와 스크린 투영 연결하여,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는 목표 아이디와 해당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는 것을 통하여, 빠르게 제2 전자 기기를 트리거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기 때문에, 공유 과정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어,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01)가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제1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자 기기(02)가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03)로 송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목표 객체가 비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전자 기기(02)가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하며; 그 후, 제1 전자 기기(01)는 통화 화면에서 제1 윈도우를 플로팅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제1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하며; 또한 제1 전자 기기(01)에 목표 객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제1 전자 기기(01)는 사용자의 제1 윈도우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며; 제1 전자 기기(01)는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2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하는 바, 해당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영역이다.
이로써, 제1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제1 전자 기기에서 비디오 파일(즉 목표 객체)을 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동시에 해당 비디오 파일을 관람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자 기기(02)가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03)로 송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목표 객체가 오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전자 기기(02)가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1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합성 처리를 진행하여 목표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목표 오디오 신호를 제3 전자 기기(03)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오디오 신호는 제2 전자 기기(02)와 제3 전자 기기(03)의 통화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이고, 제2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파일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이다.
이로써, 제2 전자 기기가 제1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합성 처리를 진행할 수 있고, 합성 처리하여 획득한 목표 오디오 신호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여,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직접 해당 목표 오디오 신호를 들을 수 있고,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의 통화를 중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방법에서, 해당 공유 방법은 제1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방법은 하기 201 단계 내지 20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01 단계: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사용자는 제1 전자 기기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의 스크린 투영 연결을 트리거시켜,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은 제1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제1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며, 해당 제1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제2 전자 기기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이고, 해당 제1 오디오 데이터는 제2 전자 기기가 현재 플레이하는 오디오 데이터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통화는 음성 통화와 비디오 통화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202 단계: 제1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는 제1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의하여, 제1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로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해당 제1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는 디폴트의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일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해당 제1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는 디스플레이 사이즈, 디스플레이 위치, 디스플레이 화면 색상도와 디스플레이 밝기 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2 전자 기기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 중의 화면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는 제1 화면에서 스크린 투영 내용을 플로팅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해당 제1 화면은 제1 전자 기기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전자 기기가 컴퓨터, 제2 전자 기기가 핸드폰이고 제3 전자 기기가 핸드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컴퓨터와 제2 전자 기기(예를 들면 핸드폰 1)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핸드폰 1과 제3 전자 기기(예를 들면 핸드폰 2)가 통화를 진행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가 핸드폰 1이 송신하는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하고, 컴퓨터의 제1 화면(예를 들면 화면(10))에서 스크린 투영 내용(예를 들면 내용(11))을 디스플레이하며, 해당 스크린 투영 내용은 핸드폰 1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예를 들면 화면(12))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용 내용을 디스플레이한 후, 제1 전자 기기는 제1 전자 기기의 마이크를 통하여 해당 제1 오디오 데이터를 플레이할 수 있다.
203 단계: 제1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목표 아이디와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의 아이디와 목표 객체의 명칭 등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객체는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과 문서 파일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목표 객체는 제1 전자 기기 중의 객체 또는 제2 전자 기기 중의 객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입력은 제1 전자 기기를 트리거시켜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객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력은 하나의 입력 또는 복수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목표 객체가 제1 전자 기기의 객체인 경우, 상기 제1 화면에 목표 아이디를 포함하고, 제1 입력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목표 아이디와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입력은 사용자가 목표 아이디를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1회 입력을 통하여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제3 전자 기기로 목표 객체를 송신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객체 공유 과정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어,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10)에는 목표 아이디(예를 들면 아이디(13))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는 아이디(13)와 내용(11)에 대하여 제1 입력(예를 들면 드래그 입력)을 진행하여, 컴퓨터가 핸드폰 1을 제어하여 목표 객체를 핸드폰 2로 송신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목표 객체가 제2 전자 기기 중의 객체인 경우, 제1 입력은 구체적으로 제1 서브 입력과 제2 서브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제1 서브 입력은 제1 전자 기기를 트리거시켜 목표 아이디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서브 입력은 제1 전자 기기를 트리거시켜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객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1 전자 기기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하여 제1 서브 입력(예를 들면 클릭 입력)을 진행하여, 제1 전자 기기가 해당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하여, 제1 전자 기기가 제1 서브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로 제1 조회 요청을 송신하게 할 수 있는바, 해당 제1 조회 요청은 제2 전자 기기에 포함된 객체를 조회하는 것을 요청하며; 또한 제2 전자 기기가 해당 제1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피드백하는 제1 조회 응답을 수신하고, 해당 제1 조회 응답에는 제2 전자 기기 중의 모든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그 후, 제1 전자 기기는 해당 모든 객체의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모든 객체(즉 제2 전자 기기 중의 모든 객체)의 모든 아이디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는 해당 모든 아이디 중의 목표 아이디와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제2 서브 입력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구체적으로 파일 관리 유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일탐색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204 단계: 제1 전자 기기가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204 단계는 구체적으로 하기 204a 단계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204a 단계: 제1 전자 기기는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명령은 제2 전자 기기가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만일 제2 전자 기기의 사용자(예를 들면 사용자 1)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예를 들면 사용자 2)에게 객체(예를 들면 공유하고자 하는 객체)를 공유하여야 한다면, 사용자 1은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의 스크린 투영 연결을 트리거시켜,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하고 해당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게 하여, 사용자 1은 제1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하는 목표 아이디와 해당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게 하여, 제2 전자 기기가 해당 공유하고자 하는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여, 사용자 2에게 해당 공유하고자 하는 객체를 공유하게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목표 객체를 공유하여야 할 때,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제2 전자 기기가 해당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전자 기기가 제3 전자 기기로 목표 객체를 송신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방법에서,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제1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하는 목표 아이디(즉 목표 객체의 아이디)와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1 입력에 의하여,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한다.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목표 객체를 공유하여야 할 때, 사용자는 제1 전자 기기를 트리거시켜 스크린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직접 목표 객체와 해당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해당 목표 객체를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전자 기기에 대하여 여러 회 입력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화하고 시간 소모를 감소시켜,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은 제2 전자 기기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01 단계 전,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방법은 하기 301 단계와 302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01 단계: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요청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 투영 요청은 제2 전자 기기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1 전자 기기에 투영시켜 디스플레이할 것을 요청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은 제2 전자 기기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설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즉 제1 전자 기기 중의 설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화면 중의 "무선연결" 옵션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제1 전자 기기가 무선연결 기능을 개시하게 하여, 제1 전자 기기는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는 제2 전자 기기와 무선연결(예를 들면 블루투스 연결,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연결 또는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연결 등)을 구축하여,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투영 스크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302 단계: 제1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요청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응답을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 투영 응답은 제1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연결을 구축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요청에 응답하는 것은, 제1 화면에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스크린 투영 연결 구축에 동의할지 여부를 알리고, 사용자가 해당 알림 정보에 대하여 입력(예를 들면 해당 알림 정보 중의 "동의" 옵션에 대하여 클릭 입력)을 진행한 후, 제1 전자 기기는 제2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응답을 송신한 후, 제2 전자 기기는 실시간으로 제1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송신하여,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만일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로 객체를 공유하여야 한다면, 사용자는 제2 전자 기기를 트리거하여 제1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요청을 송신하여, 제1 전자 기기가 해당 스크린 투영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스크린 투영 요청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응답을 송신하여,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용 내용을 수신하고 해당 스크린 투용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사용자는 목표 아이디와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제1 입력을 진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제2 전자 기기와 스크린 투영 연결하여,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는 목표 아이디와 해당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는 것을 통하여, 빠르게 제2 전자 기기를 트리거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기 때문에, 공유 과정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어,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203 단계 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방법은 하기 401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01 단계: 제1 전자 기기에 목표 객체가 저장된 경우, 제1 전자 기기가 제1 입력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한다.
목표 객체가 제1 전자 기기 중의 객체(즉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되지 않은 목표 객체)인 경우, 제2 전자 기기는 해당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전자 기기는 해당 목표 객체를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여, 제2 전자 기기가 해당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에 목표 객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제1 전자 기기를 트리거시켜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목표 아이디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203 단계 후, 제1 전자 기기가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목표 객체를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할 수 있게 하여, 이로써 제2 전자 기기는 해당 목표 아이디를 수신하고, 또한 해당 목표 아이디에 의하여 목표 객체를 결정하여, 해당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는 제2 전자 기기를 트리거시켜 제3 전자 기기로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되지 않은 객체 및/또는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된 객체를 공유할 수 있고, 단지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된 객체만 공유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목표 객체가 비디오 파일인 경우, 제1 전자 기기는 제2 전자 기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한 후, 해당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02 단계는 하기 202a 단계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204 단계 후,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방법은 하기 501 단계 내지 50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02a 단계: 제1 전자 기기는 제1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은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의 통화 화면의 화면 내용을 포함한다.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은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의 통화 화면의 화면 내용인 것을 이해할 것이다.
501 단계: 제1 전자 기기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한다.
제1 전자 기기는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의 통화 화면 상에 제1 윈도우를 플로팅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는 비디오 파일(즉 목표 객체)을 열고, 제2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에 따라 통화 화면에 제1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여, 해당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는 디폴트의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일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해당 제2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는 디스플레이 사이즈, 디스플레이 위치, 디스플레이 화면 색상도와 디스플레이 밝기 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502 단계: 제1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제1 윈도우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입력은 제1 전자 기기를 트리거하여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에 목표 객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제1 윈도에 대하여 제2 입력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입력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제1 윈도우에 대한 클릭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503 단계: 제1 전자 기기가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2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영역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제1 전자 기기는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로 제1 명령을 송신할 수 있고, 해당 제1 명령은 제2 전자 비디오 파일을 제1 전자 기기로 송신하도록 지시하여, 제1 전자 기기는 제2 전자 기기가 해당 제1 명령에 응답하여 피드백하는 제1 응답을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제1 응답에는 비디오 파일이 포함되며, 이로써, 제1 전자 기기는 해당 비디오 파일에 의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2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윈도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다른 일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제1 전자 기기가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조정하여, 제2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는 제1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제2 디스플레이 사이즈로 조정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2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할 수 있는바, 해당 제1 디스플레이 사이즈는 해당 제2 디스플레이 사이즈보다 작다.
본 출원에서, 제1 전자 기기에 목표 객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만일 사용자가 제1 전자 기기에서 비디오 파일(즉 목표 객체)를 플레이하여야 한다면, 사용자는 제1 윈도우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제1 전자 기기가 제2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고, 제2 윈도우에서 해당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1 전자 기기에 목표 객체가 저장된 경우, 만일 사용자가 제1 전자 기기에서 비디오 파일(즉 목표 객체)를 플레이하여야 한다면, 사용자는 직접 제1 윈도우에서 해당 목표 아이디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제1 전자 기기가 직접 해당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제1 전자 기기에서 비디오 파일(즉 목표 객체)을 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동시에 해당 비디오 파일을 관람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방법에서, 해당 공유 방법은 제2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방법은 하기 601 단계 내지 60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601 단계: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2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제2 전자 기기를 트리거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 실행하고, 해당 제2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중의 어느 한 사용자 아이디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제2 전자 기기가 제3 전자 기기와 통화를 진행하게 하며, 해당 어느 한 사용자 아이디는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객체를 공유하여야 할 때, 사용자는 설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즉 제2 전자 기기 중의 설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화면 중의 "무선연결" 옵션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제2 전자 기기가 무선연결 기능을 개시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 아이디를 디스플레이하게 하여, 사용자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장치 아이디 중의 제1 전자 기기의 장치 아이디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제1 전자 기기는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요청을 송신하게 할 수 있고, 제2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요청에 응답하여 피드백하는 스크린 투영 응답을 수신한 경우, 제2 전자 기기와 스크린 투영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구체적으로 통화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채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스크린 투영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상기 실시예 중의 구체적인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602 단계: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가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명령은 제1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제1 전자 기기에 표시된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목표 아이디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생성한 것이고, 해당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한다.
603 단계: 제2 전자 기기가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전자 기기는 제3 전자 기기와 통화를 진행하는 음성 채널을 통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만일 제2 전자 기기의 사용자(예를 들면 사용자 1)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예를 들면 사용자 2)에게 객체(예를 들면 공유하고자 하는 객체)를 공유하여야 한다면, 사용자 1은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의 스크린 투영 연결을 트리거시켜,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송신하게 하여, 사용자 1은 제1 전자 기기를 트리거하여 제2 전자 기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게 하여, 제2 전자 기기가 해당 공유하고자 하는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여, 사용자 2에게 해당 공유하고자 하는 객체를 공유하게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방법은,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내용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의 제1 전자 기기에 표시된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목표 아이디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생성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어, 해당 제어 명령에 의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한다.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목표 객체를 공유하여야 할 때, 사용자는 제2 전자 기기를 트리거하여 제1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송신하여,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가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해당 제어 명령에 의하여 직접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해당 목표 객체를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전자 기기에 대하여 여러 회 입력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화하고 시간 소모를 감소시켜,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603 단계는 구체적으로 하기 603a 단계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603a 단계: 목표 객체가 오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전자 기기는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1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합성 처리를 진행하여 목표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목표 오디오 신호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는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의 통화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이고,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파일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의 통화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는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2 전자 기기의 마이크가 채집한 음성 신호로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전자 기기는 제1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믹싱 합성 처리를 진행하여 목표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3 전자 기기가 직접 오디오 파일을 플레이하지 않기 때문에, 제2 전자 기기는 해당 오디오 파일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와 제2 전자 기기의 마이크가 채집한 음성 신호에 대하여 합성 처리를 진행하여,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오디오 파일을 들을 수 있게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전자 기기가 제1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합성 처리를 진행할 수 있고, 합성 처리하여 획득한 목표 오디오 신호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여,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직접 해당 목표 오디오 신호를 들을 수 있고,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의 통화를 중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목표 객체가 비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비디오 파일은 제2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제3 오디오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제2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해당 비디오 파일의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이고, 해당 제3 오디오 신호는 해당 비디오 파일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이며; 제2 전자 기기는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2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할 수 있고, 제1 오디오 신호와 제3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합성 처리를 진행하여 제1 목표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해당 제1 목표 오디오 신호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3 전자 기기가 직접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하지 않기 때문에, 제2 전자 기기는 해당 비디오 파일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고, 또한 해당 비디오 파일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와 제2 전자 기기의 마이크가 채집한 음성 신호에 대하여 합성 처리를 진행하여,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비디오 파일을 볼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602 단계 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방법은 하기 701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01 단계: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가 송신하는 목표 객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전자 기기에 목표 객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제2 전자 기기는 제1 전자 기기의 목표 객체를 수신할 수 있다.
목표 객체가 제1 전자 기기 중의 객체(즉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되지 않은 목표 객체)인 경우, 제2 전자 기기는 해당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전자 기기는 해당 목표 객체를 수신하여, 해당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전자 기기는 제3 전자 기기로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되지 않은 객체 및/또는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된 객체를 공유할 수 있고, 단지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된 객체만 공유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602 단계 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방법은 하기 801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801 단계: 목표 객체가 비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전자 기기는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의 통화 화면에서 제1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전자 기기는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3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에 따라,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의 통화 화면에서 제1 윈도우를 플로팅 디스플레이하고, 제1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가 제어 명령에 의하여,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의 통화 화면(즉 제2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하는 통화 화면)에서 비디오 파일(즉 목표 객체)을 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동시에 해당 비디오 파일을 관람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방법의 실행 주체는 공유 장치이거나, 또는 해당 공유 장치 중의 공유 방법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공유 장치가 공유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장치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련된 공유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공유 장치(60)는 수신 모듈(61), 디스플레이 모듈(62)과 제어 모듈(6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모듈(61)은 제1 공유 장치와 제2 공유 장치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공유 장치와 제3 공유 장치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2 공유 장치가 송신하는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모듈(62)은 수신 모듈(61)이 수신하는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수신 모듈(61)은 또한 사용자의 목표 아이디와 디스플레이 모듈이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바,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한다. 제어 모듈(63)은 수신 모듈(61)이 수신하는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2 공유 장치를 제어하여 목표 객체를 제3 공유 장치로 송신한다.
일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장치(60)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모듈은 제2 공유 장치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해당 제어 명령은 제2 공유 장치를 제어하여 목표 객체를 제3 공유 장치로 송신한다.
일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입력은 사용자가 목표 아이디를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장치(60)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모듈은 또한 제1 공유 장치에 목표 객체가 저장된 경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2 공유 장치로 송신한다.
일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수신 모듈(61)은 또한 제2 공유 장치가 송신하는 스크린 투영 요청을 수신하는바, 해당 스크린 투영 요청은 제2 공유 장치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1 공유 장치에 투영시켜 디스플레이할 것을 요청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장치(60)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모듈은 또한 수신 모듈(61)이 수신하는 스크린 투영 요청에 응답하여, 제2 공유 장치로 스크린 투영 응답을 송신하는바, 해당 스크린 투영 응답은 제1 공유 장치로 스크린 투영 연결을 구축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은 제2 공유 장치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지시한다.
일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목표 객체는 비디오 파일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2)은 구체적으로 제1 공유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모듈(62)은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윈도우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제1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한다. 상기 수신 모듈(61)은 또한 제1 공유 장치에 목표 객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디스플레이하는 제1 윈도우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모듈(62)은 또한 수신 모듈(61)이 수신하는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2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하는 바, 해당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영역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장치는, 사용자가 제3 공유 장치의 사용자에게 목표 객체를 공유하여야 할 때, 사용자는 제1 공유 장치를 트리거시켜 스크린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직접 목표 객체와 해당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제3 공유 장치의 사용자에게 해당 목표 객체를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공유 장치에 대하여 여러 회 입력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화하고 시간 소모를 감소시켜, 공유 장치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의 제1 공유 장치가 수행하는 공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공유 장치는 장치일 수 있고, 또한 장치 중의 부품, 집적 회로 또는 칩일 수도 있다. 해당 장치는 이동 전자 기기일 수 있고, 또한 비이동 전자 기기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이동 전자 기기는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탑, 차량탑재 전자 기기, 웨어러블 장치, 울트라 모바일 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고, 비이동 전자 기기는 서버, 네트워크 부속 저장 장치(Network Attached Storage, NAS),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셀프 서비스 장치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공유 장치는 운영체제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해당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일 수 있고, iOS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또한 기타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장치는 도 1 내지 도 8의 공유 방법 실시예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련된 공유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공유 장치(70)는 송신 모듈(71)과 수신 모듈(72)을 포함한다.
여기서, 송신 모듈(71)은 제1 공유 장치와 제2 공유 장치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공유 장치와 제3 공유 장치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1 공유 장치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송신한다. 수신 모듈(72)은 제1 고유 장치가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바, 제어 명령은 제어 명령은 제1 공유 장치가 사용자의 제1 공유 장치에 표시된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목표 아이디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생성한 것이고,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한다. 송신 모듈(71)은 또한 수신 모듈(72)이 수신하는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3 공유 장치로 송신한다.
일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수신 모듈(72)은 또한 제1 공유 장치가 송신하는 목표 객체를 수신한다.
일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장치(7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목표 객체가 비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2 공유 장치와 제3 공유 장치의 통화 화면에서 제1 윈도우를 플로팅 디스플레이하고, 제1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한다.
일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송신 모듈(71)은 구체적으로 목표 객체가 오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1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합성 처리를 진행하여 목표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목표 오디오 신호를 제3 공유 장치로 송신한다. 여기서, 제1 오디오 신호는 제2 공유 장치와 제3 공유 장치의 통화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이고, 제2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파일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장치는, 사용자가 제3 공유 장치의 사용자에게 목표 객체를 공유하여야 할 때, 사용자는 제2 공유 장치를 트리거시켜 제1 공유 장치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송신하여, 제2 공유 장치가 제1 공유 장치가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제어하게 하고, 해당 제어 명령에 의하여 직접 제3 공유 장치의 사용자에게 해당 목표 객체를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공유 장치에 대하여 여러 회 입력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화하고 시간 소모를 감소시켜, 공유 장치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의 제2 공유 장치가 수행하는 공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공유 장치는 장치일 수 있고, 또한 장치 중의 부품, 집적 회로 또는 칩일 수도 있다. 해당 장치는 이동 전자 기기일 수 있고, 또한 비이동 전자 기기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이동 전자 기기는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탑, 차량탑재 전자 기기, 웨어러블 장치, 울트라 모바일 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고, 비이동 전자 기기는 서버, 네트워크 부속 저장 장치(Network Attached Storage, NAS),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셀프 서비스 장치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공유 장치는 운영체제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해당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일 수 있고, iOS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또한 기타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공유 장치는 도 1 내지 도 8의 공유 방법 실시예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 기기(80)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82), 메모리(81), 메모리(81)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82)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82)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공유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전자 기기는 상기 이동 전자 기기와 비이동 전자 기기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전자 기기를 구현하는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해당 전자 기기(100)는 무선 주파수 유닛(101), 네트워크 모듈(102), 오디오 출력 유닛(103), 입력 유닛(104), 센서(105), 디스플레이 유닛(106), 사용자 입력 유닛(107), 인터페이스 유닛(108), 메모리(109) 및 프로세서(110) 등 부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전자 기기(100)는 또한 각 부품을 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예를 들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프로세서(110)와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모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조가 전자 기기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전자 기기는 도시된 것보다 더욱 많거나 더욱 적은 부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부품 또는 서로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또한 사용자의 목표 아이디와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바,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한다.
프로세서(110)는 또한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목표 객체를 공유하여야 할 때, 사용자는 제1 전자 기기를 트리거시켜 스크린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직접 목표 객체와 해당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여,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해당 목표 객체를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전자 기기에 대하여 여러 회 입력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화하고 시간 소모를 감소시켜,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제2 전자 기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는 바, 해당 제어 명령은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목표 객체를 공유하여야 할 때,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제2 전자 기기가 해당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전자 기기가 제3 전자 기기로 목표 객체를 송신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또한 제1 전자 기기에 목표 객체가 저장된 경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한다.
이로써, 제1 전자 기기는 제2 전자 기기를 트리거시켜 제3 전자 기기로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되지 않은 객체 및/또는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된 객체를 공유할 수 있고, 단지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된 객체만 공유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또한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요청을 수신하며; 해당 스크린 투영 요청은 제2 전자 기기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1 전자 기기에 투영시켜 디스플레이할 것을 요청하며; 스크린 투영 요청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응답을 송신하는바, 해당 스크린 투영 응답은 제1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연결을 구축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을 지시한다. 여기서, 스크린 투영 내용은 제2 전자 기기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지시하다.
이로써,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제2 전자 기기와 스크린 투영 연결하여,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는 목표 아이디와 해당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입력을 진행하는 것을 통하여, 빠르게 제2 전자 기기를 트리거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기 때문에, 공유 과정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어,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객체는 비디오 파일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또한 제1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윈도우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제1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한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또한 사용자의 제1 윈도우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또한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2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하는 바, 해당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영역이다.
이로써, 제1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제1 전자 기기에서 비디오 파일(즉 목표 객체)을 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동시에 해당 비디오 파일을 관람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입력 유닛(104)은 그래픽 처리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1041)와 마이크(104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처리장치(1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가 취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디스플레이 패널(1061)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 형식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터치 패널(1071) 및 다른 입력 장치(1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71)은 또한 터치 스크린이라 칭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탐지 장치와 터치 제어기 두 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입력 장치(1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스틱 등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1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응용프로그램과 운영체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10)에는 응용 프로세서와 변조/복조 프로세서가 집적될 수 있고, 그 중에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운영체제, 유저 인터페이스와 어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또한 프로세서(110)에 집적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기기는 상술한 실시예의 상기 제1 공유 장치가 수행하는 공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전자 기기를 구현하는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해당 전자 기기(100)는 무선 주파수 유닛(101), 네트워크 모듈(102), 오디오 출력 유닛(103), 입력 유닛(104), 센서(105), 디스플레이 유닛(106), 사용자 입력 유닛(107), 인터페이스 유닛(108), 메모리(109) 및 프로세서(110) 등 부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전자 기기(100)는 또한 각 부품을 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예를 들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프로세서(110)와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모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조가 전자 기기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전자 기기는 도시된 것보다 더욱 많거나 더욱 적은 부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부품 또는 서로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제1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송신하며; 제1 전자 기기가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바, 해당 제어 명령은 제어 명령은 제1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제1 전자 기기에 표시된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목표 아이디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생성한 것이고, 해당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하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목표 객체를 공유하여야 할 때, 사용자는 제2 전자 기기를 트리거하여 제1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송신하여,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가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해당 제어 명령에 의하여 직접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해당 목표 객체를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전자 기기에 대하여 여러 회 입력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화하고 시간 소모를 감소시켜,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또한 제1 전자 기기가 송신하는 목표 객체를 수신한다.
이로써, 제2 전자 기기는 제3 전자 기기로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되지 않은 객체 및/또는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된 객체를 공유할 수 있고, 단지 제2 전자 기기에 저장된 객체만 공유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목표 객체가 비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의 통화 화면에서 제1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윈도우에서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한다.
이로써, 제1 전자 기기가 제어 명령에 의하여,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의 통화 화면(즉 제2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하는 통화 화면)에서 비디오 파일(즉 목표 객체)을 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동시에 해당 비디오 파일을 관람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목표 객체가 오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1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합성 처리를 진행하여 목표 오디오 신호를 획득한다.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또한 목표 오디오 신호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제1 오디오 신호는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의 통화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이고, 제2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파일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이다.
이로써, 제2 전자 기기가 제1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합성 처리를 진행할 수 있고, 합성 처리하여 획득한 목표 오디오 신호를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여, 제3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직접 해당 목표 오디오 신호를 들을 수 있고,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의 통화를 중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자 기기가 객체를 공유하는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입력 유닛(104)은 그래픽 처리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1041)와 마이크(104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처리장치(1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가 취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디스플레이 패널(1061)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 형식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터치 패널(1071) 및 다른 입력 장치(1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71)은 또한 터치 스크린이라 칭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탐지 장치와 터치 제어기 두 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입력 장치(1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스틱 등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1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응용프로그램과 운영체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10)에는 응용 프로세서와 변조/복조 프로세서가 집적될 수 있고, 그 중에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운영체제, 유저 인터페이스와 어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또한 프로세서(110)에 집적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기기는 상술한 실시예의 상기 제2 공유 장치가 수행하는 공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공유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 중 상기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칩을 제공하는 바,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세서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시켜, 상기 공유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의 칩 등이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문에서, 용어 “포함하다” 또는 이의 임의의 기타 변형체는 비 배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뜻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 아니라, 또한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은 기타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상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를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많은 제한이 없는 경우, “하나의... 을(를)을 포함하다”는 구절로 한정되는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또한 기타 동일한 요소가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짚고 넘어가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방식 중의 방법과 장치의 범위는 예시되거나 토론한 순서에 따라 실행된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언급된 기능에 의하여 기본상 동시적인 방식에 따라 또는 반대되는 순서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설명된 순서와 다르게 상기 설명한 방법을 실행하고, 또한 여러 가지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예시에서 기술한 특징을 참조하여 기타 예시에서 조합할 수 있다.
상기 실시방식에 대한 기재를 통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여러 경우 중에서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는 도면을 결부시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일 뿐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출원의 힌트 하에서 본 출원의 사상과 청구항이 보호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얼마든지 더욱 많은 형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5)

  1. 제1 전자 기기에 적용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의 목표 아이디와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바, 상기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목표 객체를 상기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목표 객체를 상기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는 바,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목표 객체를 상기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목표 아이디를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을 포함하는 공유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표 아이디와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전자 기기에 상기 목표 객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객체를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송신한 스크린 투영 요청을 수신하는바, 상기 스크린 투영 요청은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제1 전자 기기에 투영시켜 디스플레이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투영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응답을 송신하는바, 상기 스크린 투영 응답은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연결을 구축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을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스크린 투영 내용은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지시하는 공유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객체는 비디오 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목표 객체를 상기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한 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윈도우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윈도우에서 상기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의 상기 제1 윈도우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2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윈도우에서 상기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하는 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영역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 방법.
  7. 제2 전자 기기에 적용되고,
    제1 전자 기기와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제3 전자 기기가 통화를 진행할 때,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바,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상기 제1 전자 기기에 표시된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목표 아이디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생성한 것이고, 상기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상기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전,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송신하는 상기 목표 객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후,
    상기 목표 객체가 비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상기 제3 전자 기기의 통화 화면에서 제1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윈도우에서 상기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상기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객체가 오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1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합성 처리를 진행하여 목표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목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는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상기 제3 전자 기기의 통화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이고,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는 상기 오디오 파일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인 공유 방법.
  11. 상기 공유 장치는 제1 공유 장치이고, 상기 제1 공유 장치는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과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공유 장치와 제2 공유 장치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 공유 장치와 제3 공유 장치가 통화를 진행할 때, 상기 제2 공유 장치가 송신하는 스크린 투영 내용을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하는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목표 아이디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바, 상기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하는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공유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목표 객체를 상기 제3 공유 장치로 송신하는 공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유 장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는 바,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목표 객체를 상기 제3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공유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목표 아이디를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을 포함하는 공유 장치.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유 장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공유 장치에 상기 목표 객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객체를 상기 제2 공유 장치로 송신하는 공유 장치.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공유 장치가 송신하는 스크린 투영 요청을 수신하는바, 상기 스크린 투영 요청은 상기 제2 공유 장치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제1 공유 장치에 투영시켜 디스플레이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제1 공유 장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하는 상기 스크린 투영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공유 장치로 스크린 투영 응답을 송신하는바, 상기 스크린 투영 응답은 상기 제1 공유 장치로 스크린 투영 연결을 구축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을 지시하며;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은 상기 제2 공유 장치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지시하는 공유 장치.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객체는 비디오 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공유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윈도우 플로팅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윈도우에서 상기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제1 윈도우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하는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2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윈도우에서 상기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하는 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영역인 공유 장치.
  17. 제2 공유 장치로서,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제1 공유 장치와 상기 제2 공유 장치가 스크린 투영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 공유 장치와 제3 공유 장치가 통화를 진행할 때, 상기 제1 공유 장치로 스크린 투영 내용을 송신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고유 장치가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바,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제1 공유 장치가 사용자의 상기 제1 공유 장치에 표시된 상기 스크린 투영 내용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목표 아이디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생성한 것이고, 상기 목표 아이디는 목표 객체를 지시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하는 상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객체를 상기 제3 공유 장치로 송신하는 공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공유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목표 객체를 수신하는 공유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유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목표 객체가 비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공유 장치와 상기 제3 공유 장치의 통화 화면에서 제1 윈도우를 플로팅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윈도우에서 상기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하는 공유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객체가 오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1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합성 처리를 진행하여 목표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목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3 공유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는 상기 제2 공유 장치와 상기 제3 공유 장치의 통화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이고,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는 상기 오디오 파일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인 공유 장치.
  21.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전자 기기.
  22.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23.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세서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칩.
  24.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유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227043465A 2020-06-22 2021-06-16 공유 방법, 공유 장치와 전자 기기 KR202300075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575852.9 2020-06-22
CN202010575852.9A CN111913628B (zh) 2020-06-22 2020-06-22 分享方法、装置和电子设备
PCT/CN2021/100317 WO2021259100A1 (zh) 2020-06-22 2021-06-16 分享方法、装置和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517A true KR20230007517A (ko) 2023-01-12

Family

ID=7322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465A KR20230007517A (ko) 2020-06-22 2021-06-16 공유 방법, 공유 장치와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20442A1 (ko)
EP (1) EP4148547A4 (ko)
JP (1) JP2023529868A (ko)
KR (1) KR20230007517A (ko)
CN (1) CN111913628B (ko)
WO (1) WO2021259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2366B (zh) * 2019-08-09 2021-06-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传屏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913628B (zh) * 2020-06-22 2022-05-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分享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4125352A (zh) * 2020-08-29 2022-03-01 华为技术有限公司 屏幕共享方法、电子设备及系统
CN112306442B (zh) * 2020-11-20 2023-05-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跨设备的内容投屏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616078A (zh) * 2020-12-10 2021-04-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投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799622A (zh) * 2021-01-22 2021-05-14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应用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968165A (zh) * 2021-02-28 2022-08-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布式音频播放方法及电子设备
CN113282424B (zh) * 2021-04-08 2022-11-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引用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609414B (zh) * 2021-08-03 2024-02-02 深圳市闪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分享方法和系统
CN113986417A (zh) * 2021-10-11 2022-01-28 深圳康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投屏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4500129A (zh) * 2021-12-20 2022-05-1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4501089B (zh) * 2022-01-30 2023-05-05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投屏通话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637436A (zh) * 2022-03-21 2022-06-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分享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以及终端
CN115309309A (zh) * 2022-08-17 2022-1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内容分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16018B (zh) * 2009-03-11 2011-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可视电话及实现可视电话间卡拉ok的方法
US20120173622A1 (en) * 2011-01-04 201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cial screen casting
US9558281B2 (en) * 2012-09-28 2017-01-31 Orange System and method for screencast creation and abridging based on user web browsing
JP6097679B2 (ja) * 2013-02-28 2017-03-15 エルジー アプ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 端末間機能共有方法及びその端末
US10251032B2 (en) * 2014-01-20 2019-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99304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N103873578A (zh) * 2014-03-21 2014-06-18 深圳市东方拓宇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之间发送和共享内容的方法及对应终端
KR102219861B1 (ko) * 2014-05-23 202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01286A (ko) * 2014-06-27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
WO2016056858A2 (en) * 2014-10-10 2016-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haring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69481B1 (ko) * 2014-10-17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에 화면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CN104750450A (zh) * 2015-04-03 2015-07-01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即时通信中的文件共享方法及终端
US20160321025A1 (en) * 2015-04-30 2016-11-03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01329A (ko) * 2015-06-26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90082B1 (ko) * 2015-07-14 2022-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371683B1 (ko) * 2015-09-23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90713B1 (ko) * 2015-11-25 2022-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70237986A1 (en) * 2016-02-11 2017-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KR20170106090A (ko) * 2016-03-11 201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2476290B1 (ko) * 2016-06-03 2022-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 공유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80095399A (ko) * 2017-02-17 201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81894B1 (ko) * 2017-11-06 2022-1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CN108668027A (zh) * 2018-05-22 2018-10-16 武汉卡比特信息有限公司 手机互联时分屏投射到计算机类终端并反向控制的系统及方法
CN109525710B (zh) * 2018-10-22 2021-06-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访问应用程序的方法和装置
CN110109636B (zh) * 2019-04-28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投屏方法、电子设备以及系统
CN115793950A (zh) * 2019-08-29 2023-03-14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应用于投屏场景的控制方法以及相关设备
CN110597474B (zh) * 2019-09-12 2022-03-25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0618970A (zh) * 2019-09-12 2019-12-27 联想(北京)有限公司 文件传输方法和电子设备
CN111314768A (zh) * 2020-02-24 2020-06-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投屏方法、投屏装置、电子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501255B2 (en) * 2020-05-01 2022-11-15 Monday.com Ltd.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file-based electronic white board in collaborative work systems
CN111913628B (zh) * 2020-06-22 2022-05-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分享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1784949B2 (en) * 2020-10-06 2023-10-10 Salesforce, Inc. Limited functionality interface for communication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8547A1 (en) 2023-03-15
WO2021259100A1 (zh) 2021-12-30
EP4148547A4 (en) 2023-11-01
JP2023529868A (ja) 2023-07-12
CN111913628B (zh) 2022-05-06
US20230120442A1 (en) 2023-04-20
CN111913628A (zh)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7517A (ko) 공유 방법, 공유 장치와 전자 기기
US11861161B2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12947823B (zh) 会话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451147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ipulating miracast presentation content
US99613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multimedia file
RU266662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состоянием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US202200070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videos,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of
WO2019242274A1 (zh) 一种内容处理方法及装置
US11188203B2 (en) Method for generating multimedia material,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EP4123437A1 (en) Screen projection display method and system,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3185817A1 (zh) 多设备协作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3596555B (zh) 视频播放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2156662A1 (zh) 音频播放方式的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905089A (zh) 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11831181A (zh) 应用的切换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2089481A1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908638A (zh) 一种操作流创建方法及电子设备
US20210019030A1 (en) Display interface switching method, display interface switch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WO2024027648A1 (zh) 信息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20154825A (ko) 노트 생성 방법 및 전자기기
WO2023030292A1 (zh) 多媒体文件的播放方法和装置
WO2023072280A1 (zh) 媒体内容发送方法、装置、设备、可读存储介质及产品
CN110888854A (zh) 内容分享方法及电子设备
US201802676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virtual reality helmets
WO2022135259A1 (zh) 语音输入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