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215A - Strap dispenser and main frame used therefor - Google Patents

Strap dispenser and main frame use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215A
KR20230007215A KR1020210141648A KR20210141648A KR20230007215A KR 20230007215 A KR20230007215 A KR 20230007215A KR 1020210141648 A KR1020210141648 A KR 1020210141648A KR 20210141648 A KR20210141648 A KR 20210141648A KR 20230007215 A KR20230007215 A KR 20230007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ide plate
main frame
dispenser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6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항
Original Assignee
박기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8808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36277B1/en
Application filed by 박기항 filed Critical 박기항
Priority to KR1020210141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7215A/en
Priority to PCT/KR2022/007680 priority patent/WO2023282468A1/en
Publication of KR2023000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2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05Dispensers, i.e. machines for unwinding only parts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 B65H23/0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web roll being unw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1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p dispenser and a main frame used therefor. The strap dispenser includes: a main frame which has a first body; a strap roll which has a hollow pipe-shaped second body accommodating the first body and a strap wou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a resistance unit which is configured to generate resistance to rotation of the second body when the strap is pulled and thus the second body rotates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The main frame further includes: a side plate which has a central hole and is disposed at a side of the strap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and a coupl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through the central hole to couple the side plate to the first body. The resistance unit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member to come in frictional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Accordingly, the resistance unit can increase productivity of the strap dispenser.

Description

스트랩 디스펜서 및 그에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STRAP DISPENSER AND MAIN FRAME USED THEREFOR}Strap dispenser and main frame used therein {STRAP DISPENSER AND MAIN FRAME USED THEREFOR}

본 발명은 스트랩 디스펜서 및 그에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p dispenser and a main frame used therefor.

일반적으로, 꽃이나 선물 상자 등은 스트랩으로 묶여져서 마감된다. 특히, 스트랩이 리본 형태로 묶여짐에 따라 장식적인 모양이 만들어져서, 꽃이나 선물은 보다 매력적인 물품으로 인식될 수 있다.In general, flowers or gift boxes are tied with straps and closed. In particular, as the strap is tied in a ribbon form, a decorative shape is created, so that flowers or gifts can be recognized as more attractive items.

이러한 스트랩은 롤에 감긴 채로 이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롤에 감겨진 스트랩은 사용자가 그를 당김에 의해 풀려진다. 당김 과정에서 회전되는 롤의 관성에 의해, 스트랩은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 이상으로 풀려지는 경우가 많다. 그에 따라, 스트랩이 어지럽게 널리게 되거나, 스트랩의 자유단이 일정한 위치에 놓여지지 못하여 다음 작업이 빠르게 진행되지 못하게 된다. It is common for such straps to be used while wound on a roll. The strap wound on the roll is released by the user pulling on it. Due to the inertia of the roll rotating during the pulling process, the strap is often released to a length longer than the user's desired length. As a result, the strap is spread widely, or the free end of the strap is not placed in a certain position, so that the next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quickly.

이에 대응하여 스트랩의 풀림을 적정 길이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서 스트랩을 아주 천천히 당겨야 한다. 나아가, 스트랩의 자유단에 핀을 꽂아서 자유단을 고정하기도 한다. 이는 상당한 시간과 정신적 집중, 핀 사용 단계의 추가를 요구하여, 꽃 등에 대한 신속한 포장 작업을 저해하고 작업자를 피곤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Correspondingly, in order to control the loosening of the strap to an appropriate length, the user must pay great attention and pull the strap very slowly. Furthermore, a pin is inserted into the free end of the strap to fix the free end. This requir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mental concentration, and an additional step of using pins, which hinders rapid packaging work for flowers and the like and becomes a factor that makes workers tir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작업자가 세심한 주의없이 스트랩을 당기더라도 스트랩의 풀림에 대한 저항이 작용하여 스트랩이 적절한 길이 범위 내에서만 풀리게 하는, 스트랩 디스펜서 및 그에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ap dispenser and a main frame used therefor, which allow the strap to be unwound only within an appropriate length range due to resistance to unwinding of the strap even if the operator pulls the strap without careful atten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스트랩의 풀림에 저항하기 위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간단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스트랩 디스펜서 및 그에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ap dispenser and a main frame used therefor, which can form a means for generating resistance to resist unraveling of the strap with a simple structur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는, 제1 바디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바디를 수용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외주면에 권선된 스트랩을 구비하는 스트랩 롤; 및 상기 스트랩이 당겨져서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상기 제2 바디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바디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일으키도록 구성되는 저항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중앙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2 바디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의 측방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홀을 통해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바디에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항 유닛은, 상기 결합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바디의 내주면과 마찰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Strap dispens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frame having a first body; a strap roll having a hollow pipe-shaped second body accommodating the first body and a strap woun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a resistance unit configured to generate resistance to rotation of the second body when the second body relatively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as the strap is pulled, wherein the main frame comprises a central hole. And a side plat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trap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is fitted to the second body; an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body through the central hole to couple the side plate to the first body, wherein the resistance unit is installed on the coupling member to for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It may be in frictional contact with.

여기서, 상기 저항 유닛은,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바디의 내주면과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resistance unit may include an elastic contact portion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and elastically contact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여기서, 상기 저항 유닛은, 상기 결합 부재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탄성 접촉부가 연결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접촉부는, 상기 베이스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Here, the resistance unit further includes a base extending from the coupling member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nd to which the elastic contact part is connected, wherein the elastic contact part extend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ase. can do.

여기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 대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압박하는 압박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upl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side plate against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여기서, 상기 제1 바디는,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중공부 내로 삽입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일 단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대면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수용 그루브 및 삽입 리브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pipe, and the coupling member includes: a cylinder portion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body; a flange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ylinder portion and facing the side plat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ny one of an accommodation groove and an insertion rib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여기서, 상기 수용 그루브 및 상기 삽입 리브 각각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 리브는, 상기 수용 그루브에 삽입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Here, each of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the insertion rib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insertion rib may have a size to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groov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용 메인 프레임은, 스트랩 롤의 제2 바디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제1 바디; 중앙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2 바디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에 권선된 스트랩의 측방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홀을 통해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바디에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 main frame for a strap dispens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fitted to a second body of a strap roll; a side plate having a central hole and disposed on a side of a strap wound around the second body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is fitted to the second body; an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body through the central hole to couple the side plate to the first body.

여기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중공부 내로 삽입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일 단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대면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upling member, the cylinder portion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a flange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ylinder portion and facing the side plate.

여기서, 상기 스트랩이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의 외주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걸림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Here, a hanging rod having a hanging portion formed to hang the strap, coupled to the side plate and disposed to fac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p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 및 그에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에 의하면, 제1 바디를 갖는 메인 프레임과 제1 바디를 수용하는 제2 바디를 갖는 스트랩 롤 간에 저항 유닛이 설치되고, 제2 바디에 권선된 스트랩이 풀리는 과정에서 저항 유닛에서 발생하는 저항에 의해, 스트랩은 종래의 디스펜서에서 풀리던 속도 보다 낮은 속도로 풀려지게 된다. 그에 의해, 작업자가 주의 없이 스트랩을 당기더라도 스트랩이 과도하게 풀리지 않게 하여, 작업자가 힘을 세심하게 조절하면서 스트랩을 당길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저항 유닛은 간단 구조로 형성되어, 스트랩 디스펜서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the strap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main frame used therein, a resistance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main frame having a first body and a strap roll having a second body accommodat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During the process of unwinding the strap wound around the body, resistance generated by the resistance unit causes the strap to be unwound at a speed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dispenser. This prevents the strap from loosening excessively even if the operator pulls the strap carelessly,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operator to pull the strap while carefully adjusting the force. In addition, the resistance unit is formed with a simple structure, making it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strap dispen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에 대한 종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2의 제1 바디(111) 및 저항 유닛(190)의 어셈블리에 대한 일 변형예에 따른 제1 바디(111) 및 저항 유닛(190')의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200)의 종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300)의 횡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트랩 디스펜서(300)의 요부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trap dispens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rap dispenser 100 of FIG. 1 .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ap dispenser 100 of FIG. 1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of the first body 111 and the resistance unit 190'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assembly of the first body 111 and the resistance unit 190 of FIG. 2 .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rap dispens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 of a strap dispens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strap dispenser 300 of FIG. 6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 및 그에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strap dispen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in frame used t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trap dispens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rap dispenser 100 of FIG. 1 .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스트랩 디스펜서(100)는, 메인 프레임(110), 스트랩 롤(150), 그리고 저항 유닛(19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rap dispenser 100 includes a main frame 110, a strap roll 150, and a resistance unit 190.

메인 프레임(110)은 제1 바디(111)를 갖는다. 제1 바디(111)는 내부에 중공부(113)가 형성된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main frame 110 has a first body 111. The first body 111 may have a pipe shape in which a hollow part 113 is formed.

메인 프레임(110)은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121)와 걸림대(125)를 더 가질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21)는 그의 중앙에 중앙홀(123)을 가지는 판재일 수 있다. 상기 판재는, 아크릴 재질이나 종이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21)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그들은 걸림대(1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21) 및 걸림대(125)는 하나의 판재를 재단하여 단일 부재로 형성되고, 단부들(129)이 열융착되거나 접착제로 부착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단부들은 후술할 결합 부재(131)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 경우, 단부들은 결합 부재(131)의 플랜지부(135)에 의해 제1 바디(111)에 압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The main frame 110 may also have a side plate 121 and a hanger 125. The side plate 121 may be a plate material having a central hole 123 at its center. The plate material may be formed of an acrylic material or a paper material. The side plates 121 are provided as a pair, and they may be connected by a hanger 125. The side plate 121 and the hanger 125 are formed as a single member by cutting one plate material, and ends 129 may be heat-sealed or attached with an adhesive to form a single body. Unlike the above, the ends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member 131 to be described later. In that case, the ends may be pressed and fixed to the first body 111 by the flange portion 135 of the coupling member 131 . For this,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 of FIG. 6 .

걸림대(125)는 스트랩(16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걸림대(125)에는 관통 슬릿(126)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 슬릿(126)은 스트랩(16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대(125) 중 관통 슬릿(126)과 인접한 부분은 스트랩(161)이 걸림에 의해 걸림부(127)라 칭해질 수 있다. 아울러, 걸림대(125)는 복수 개, 구체적으로는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 경우, 2개의 걸림대(125)는 기본적 구조는 동일하나, 각각의 관통 슬릿(126)의 간격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사용자는 스트랩(161)이 걸림부(127)에 걸리면서 발생하는 저항을 자신에 적합한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The hanger 125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p 161 . A through slit 126 may be formed in the cradle 125 . A plurality of through slits 126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rap 161 . A portion of the hanging bar 125 adjacent to the through slit 126 may be referred to as a hanging portion 127 by hanging the strap 161 thereon. In addition, the cradle 125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specifically two. In this case, the basic structure of the two hangers 125 is the same, but the spacing of the through slits 126 may be set differently. As a result, the user can select the resistance generated while the strap 161 is caught on the hanging portion 127 as suitable for the user.

사이드 플레이트(121)와 제1 바디(111) 간의 결합을 위해서는 결합 부재(131)가 추가로 구비된다. 결합 부재(131)는 실린더부(133)와 플랜지부(135)로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부(133)는 중앙홀(123)을 통해 제1 바디(111)의 중공부(113) 내에 끼움되는 부분이다. 플랜지부(135)는 실린더부(133)의 외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도넛 형태로서, 사이드 플레이트(121)와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실린더부(133)의 외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제1 바디(111)의 중공부(113)에 보다 견고하게 압입될 수 있다. For coupling between the side plate 121 and the first body 111, a coupling member 131 is additionally provided. The coupling member 131 may include a cylinder portion 133 and a flange portion 135 . The cylinder part 133 is a part fitted into the hollow part 113 of the first body 111 through the central hole 123 . The flange portion 135 has a donut shape extending from an outer end of the cylinder portion 133 and is disposed to face the side plate 121 .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er part 133, so that it can be more firmly press-fitted into the hollow part 113 of the first body 111.

스트랩 롤(150)은 제2 바디(151) 및 스트랩(161)을 가진다. 제2 바디(151)는 중공 파이프 형태를 갖는 것이다. 제2 바디(151)의 내경은 제1 바디(111)의 외경 보다 커서, 제2 바디(151)의 중공부에는 제1 바디(111)가 수용된다. 제2 바디(151)는 제1 바디(111)와 함께, 종이,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161)은 제2 바디(151)의 외주면에 권선된다. 스트랩(161)은 제2 바디(151)로부터 풀려나서 일정한 길이로 잘린 채로 꽃, 선물 상자 등을 포장하는데 사용된다. The strap roll 150 has a second body 151 and a strap 161 . The second body 151 has a hollow pipe shape.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151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111, the first body 111 is accommodated in the hollow part of the second body 151. Together with the first body 111, the second body 15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aper, plastic, or metal. The strap 161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51 . The strap 161 is released from the second body 151 and is used to wrap flowers, gift boxes, etc. while being cut to a certain length.

저항 유닛(190)은 제1 바디(111)에 대한 제2 바디(151)의 상대 회전 시에 그 회전에 대한 저항을 일으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저항 유닛(190)은 제1 바디(111)의 외주면과 제2 바디(151)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그가 제1 바디(11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The resistance unit 190 is configured to generate resistance to the rotation when the second body 151 relative to the first body 111 rotates. The resistance unit 190 may be installed on any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51, but in this embodiment, it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 is foreshadowing

저항 유닛(190)은, 구체적으로 와이어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베이스(191)와 탄성 접촉부(195)로 구분될 수 있다. 베이스(191)는 제1 바디(111)에 권선되는 부분으로서, 대체로 복수 회의 턴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 접촉부(195)는 베이스(191)에서 외팔보 형태로 연장된 부분이다. 탄성 접촉부(195)는 제2 바디(151)의 내주면과 접촉되며, 제2 바디(151)의 회전 시에 탄성 변형되며 그 내주면과 마찰을 일으키게 된다. The resistance unit 190 may be specifically a wire spring. The wire spring may be divided into a base 191 and an elastic contact portion 195. The base 191 is a portion wound around the first body 111 and may form a plurality of turns. The elastic contact portion 195 is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se 191 in a cantilever shape. The elastic contact portion 19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51 and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second body 151 rotates, causing friction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상과 달리, 저항 유닛(190)은, 그 형태적으로, 제1 바디(111)와 제2 바디(151)의 서로 대면하는 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저항 패드, 또는 저항 코팅층 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저항 패드는 고무나, 실리콘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패드 형태가 아니더라도, 상기 저항 유닛으로서 고무 밴드를 제1 바디(111)의 외면에 감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Unlike the above, the resistance unit 190 has a form of a resistance pad or a resistance coating layer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of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51 facing each other. may have The resistance pa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Furthermore, even if it is not in the form of a pad, it will be possible to wind a rubber ba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 as the resistance unit.

도 3은 도 1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에 대한 종 단면도이다.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ap dispenser 100 of FIG. 1 .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바디(151)는 제1 바디(111)의 외경에 비해 여유 있게 큰 내경을 가져서, 제1 바디(111)의 외주면은 그의 원주 방향을 따른 일부 구간에서만 제2 바디(151)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경우, 제1 바디(111)의 중심(C1)과 제2 바디(151)의 중심(C2)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관계가 된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second body 151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111,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 is the second body only in a part of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may be arranged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51). In this case, the center C 1 of the first body 111 and the center C 2 of the second body 151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그러한 배치 관계에서, 저항 유닛(190)의 탄성 접촉부(195)는 제2 바디(15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탄성 접촉부(195)는 제2 바디(151)의 회전 시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제2 바디(151)의 내주면에 대한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In such an arrangement relationship, the elastic contact portion 195 of the resistance unit 19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51 . The elastic contact portion 195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second body 151 rotates, and generates frictional force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51.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트랩(161)을 당기게 되면 그가 풀림과 함께 제2 바디(151)가 제1 바디(111)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대 회전시에, 저항 유닛(190)의 탄성 접촉부(195)는 제2 바디(151)의 내주면과 접촉 마찰로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pulls the strap 161, the second body 151 rotates relative to the first body 111 as the strap 161 is released. During this relative rotatio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195 of the resistance unit 190 generates resistance to rotation by contact friction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51 .

이러한 저항력에 의해, 제2 바디(151)[및 스트랩 롤(150)]의 과도한 회전에 따라 스트랩(161)이 필요 이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ue to this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ap 161 from unwinding more than necessary due to excessiv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151 (and the strap roll 150).

사용자가 스트랩(161)을 당기는 힘은, 상기 저항력을 매개로 하여, 메인 프레임(110)까지도 회전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른 메인 프레임(110)의 회전을 막는 것은, 걸림대(125)에서의 힘의 균형에 의해 달성된다. The force by which the user pulls the strap 161 may cause even the main frame 110 to rotate through the resistance force.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main frame 110 accordingly is achieved by balancing the forces on the cradle 125 .

구체적으로, 걸림대(125)에서도 회전력은 발생하는데, 스트랩(161)의 자유단(162)이 당겨질 때 걸림부(127)에 인접한 부분(163)이 걸림부(127)에 대해 회전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정지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회전력과 정지력이 균형을 이룸에 의해, 저항력에도 불구하고 메인 프레임(110)이 스트랩(161)의 풀림에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는 일은 없어지게 된다. 이는 걸림대(125)[나아가, 걸림부(127)에 인접하게 유지하는 자유단(162)]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Specifically, rotational force is also generated in the hanging rod 125, and when the free end 162 of the strap 161 is pulled, the portion 163 adjacent to the hanging portion 127 ha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hanging portion 127. generate stopping power. By balancing the rotational force and the stopping force, despite the resistance force, the main frame 110 is interlocked with the loosening of the strap 161 and does not rotate together. This allows the hanger 125 (and furthermore, the free end 162 held adjacent to the hanger 127) to always be positioned in the same position.

도 4은 도 2의 제1 바디(111) 및 저항 유닛(190)의 어셈블리에 대한 일 변형예에 따른 제1 바디(111) 및 저항 유닛(190')의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of the first body 111 and the resistance unit 190'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assembly of the first body 111 and the resistance unit 190 of FIG. 2 .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저항 유닛(190')은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복원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복원 플레이트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태의 판재로서, 아크릴 등과 같이 탄성 복원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resistance unit 190' may be a restoring plate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e restoring plate is a plate material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such as acryl.

상기 복원 플레이트의 중앙부는 베이스(191')가 될 수 있다. 베이스(191')는 제1 바디(111)의 외주면에 접착부(197')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탄성 접촉부(195')는 상기 복원 플레이트의 단부 영역으로서, 제1 바디(111)를 넘어서 외팔보 형태로 연장하는 부분이 된다. 이러한 탄성 접촉부(195') 역시 제2 바디(151)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제2 바디(151)에 대해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마찰력은 제1 바디(111)에 대한 제2 바디(151)의 회전에 대해 저항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A central portion of the restoring plate may be a base 191'. The base 191'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 by means of an adhesive 197'. The elastic contact portion 195' is an end area of the restoring plate and extends beyond the first body 111 in a cantilever shape. The elastic contact portion 195 ′ also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51 and is elastically deformed to generate frictio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151 . This frictional force provides resistanc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151 relative to the first body 111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200)에 대해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200)의 종 단면도이다. Hereinafter, a strap dispens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rap dispens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트랩 디스펜서(200)는, 메인 프레임(210), 스트랩 롤(250), 그리고 저항 유닛(290)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은 앞서 설명한 스트랩 디스펜서(100)의 대응하는 구성들과 대체로 유사하기에,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strap dispenser 200 includes a main frame 210, a strap roll 250, and a resistance unit 290. Since these configurations are generally similar to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of the strap dispenser 100 described above, hereinafter,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메인 프레임(210)의 제1 바디(211)와 스트랩 롤(250)의 제2 바디(251)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다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동심원 관계를 가지면서 서로 간에 마찰을 일으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바디(211)의 중심축(C1)과 제2 바디(251)의 중심축(C2)은 실질적으로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211)와 제2 바디(251)는 그들의 외주면(291)과 내주면(295)이 서로 접촉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접촉은 실질적으로 외주면(291)과 내주면(295)의 전 각도 구간에서 일어나며, 그에 의해 제2 바디(251)가 제1 바디(211)에 대해 회전시에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The first body 211 of the main frame 210 and the second body 251 of the strap roll 250 may have a different relationship than in the previous embodiment. Specifically, they may be formed to cause friction with each other while having a concentric circle relationship. Accordingly, the central axis C 1 of the first body 211 and the central axis C 2 of the second body 251 may substanti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rst body 211 and the second body 251 may have a size in whic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291 a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295 contact each other. Here, the contact occurs substantially in the entire angular s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9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95, whereby friction occurs when the second body 251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211.

제1 바디(211)와 제2 바디(251)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간에 마찰을 일으키기에 적합하다. 그들 간에 마찰이 적당한 수준으로 발생하는 것이라면, 그들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그들은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방식 외에, 각기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외주면(291)과 내주면(295)에는 마찰력의 조절을 위해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body 211 and the second body 251 are made of a paper material and are suitable for causing friction between each other. They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provided that a suitable level of friction between them occurs. Furthermore, they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way they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In addition, surface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9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95 to adjust the frictional force.

저항 유닛(290)은 앞서의 스프링 등이 아니라, 제1 바디(211)의 외주면(291)과 제2 바디(251)의 내주면(295) 자체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주면(291)과 내주면(295)은 제1 바디(211)와 제2 바디(251) 간의 배치 관계 및 사이즈에 의해, 그 자체로서 저항 유닛(290)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여기서, 외주면(291)과 내주면(295)에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경우라도, 그들은 여전히 외주면(291) 또는 내주면(295)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The resistance unit 290 may b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91 of the first body 21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95 of the second body 251 itself, instead of the spring or the like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9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95 function as the resistance unit 290 by themselves due to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and size between the first body 211 and the second body 251 . Here, even when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9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95, they may still be defined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91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95.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트랩 디스펜서(200)는 앞선 실시예들의 스트랩 디스펜서(100,200)과 같은 기능을 달성하면서도, 스프링 등을 채택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는 스트랩 디스펜서(200)를 제작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게 하여, 그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trap dispenser 200 achieves the same function as the strap dispensers 100 and 200 of the previous embodiments, but provides an advantage of not requiring a spring or the like. This makes it possible to simplif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trap dispenser 200, thereby reducing its manufacturing cost.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300)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300)의 횡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스트랩 디스펜서(300)의 요부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Finally, a strap dispens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6 is a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 of a strap dispens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strap dispenser 300 of FIG. 6 .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스트랩 디스펜서(300)는, 메인 프레임(310), 스트랩 롤(350), 그리고 저항 유닛(390)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은 앞서 설명한 스트랩 디스펜서(100,200)의 대응하는 구성들과 대체로 유사하기에,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rap dispenser 300 includes a main frame 310, a strap roll 350, and a resistance unit 390. Since these configurations are generally similar to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of the strap dispensers 100 and 200 described above, hereinafter,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메인 프레임(310)은, 제1 바디(311)와 사이드 플레이트(321)를 결합하는 결합 부재(331)를 가진다. 결합 부재(331)는 스트랩(361)의 좌우에 하나씩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 부재(331)는 대체로 동일하나, 플랜지부(335)에 수용 그루브(337)가 형성된 것과 삽입 리브(338)가 형성된 것으로 구별된다. 여기서, 삽입 리브(338)는 수용 그루브(337)에 삽입되는 사이즈를 갖는 것이다. The main frame 310 has a coupling member 331 coupling the first body 311 and the side plate 321 . Coupling members 331 are disposed one by on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rap 361, and may be provided as a pair as a whole.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331 are substantially the same, but are distinguished by having an accommodation groove 337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335 and an insertion rib 338 formed therein. Here, the insertion rib 338 has a size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37.

결합 부재(331) 중 제1 바디(311)의 중공부(313)에 삽입되는 실린더부(333)에는 가압 돌기(334)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돌기(334)는 제1 바디(311)의 내주면을 압박하여 실린더부(333)를 변형시킴에 의해, 실린더부(333)가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제1 바디(311)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게 한다. A pressing protrusion 334 may be formed in the cylinder portion 333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313 of the first body 311 among the coupling members 331 . The pressing protrusion 334 deforms the cylinder part 333 by press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311 so that the cylinder part 333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body 311 more firmly as a reaction thereto. do.

결합 부재(331) 중 플랜지부(335)에는 사이드 플레이트(321)를 압박하는 압박 돌기(336)가 형성될 수 있다. 압박 돌기(336)는 사이드 플레이트(321) 중 제1 바디(311)의 측면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압박 돌기(336)는 사이드 플레이트(321)가 제1 바디(311)와 플랜지부(335) 사이에서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사이드 플레이트(321)를 고정하게 된다. A pressing protrusion 336 pressing the side plate 321 may be formed on the flange portion 335 of the coupling member 331 . The pressing protrusion 336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side plate 321 facing the side of the first body 311 . The pressing protrusion 336 fixes the side plate 321 so that the side plate 321 is not easily separated between the first body 311 and the flange portion 335 .

저항 유닛(390)은 제1 바디(311)에 대한 제2 바디(351)의 상대 회전시에 그에 저항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임은 앞선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하다. 이러한 저항 유닛(390)은 결합 부재(331)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The resistance unit 390 is for generating resistance when the second body 351 relative to the first body 311 rotates,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resistance unit 390 may be installed on the coupling member 331 .

구체적으로, 결합 부재(331)의 플랜지부(335)에서 베이스부(39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391)는 제1 바디(3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기둥과 같은 구성이다. 베이스부(391)의 자유단에는 탄성 접촉부(395)가 연결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ase portion 391 may protrude from the flange portion 335 of the coupling member 331 . The base part 391 has a structure like a pillar extending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body 311 . An elastic contact portion 395 may be connected to a free end of the base portion 391 .

탄성 접촉부(395)가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321) 사이에 위치하기 위해서, 사이드 플레이트(321)에는 베이스부(391) 및 탄성 접촉부(395)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95 to be located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321, a through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base portion 391 and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95 can pass is formed in the side plate 321. It can be.

탄성 접촉부(395)는 외팔보 형태로서, 제2 바디(351)의 내주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탄성 접촉부(395)의 연장 방향은 제2 바디(351)의 내주면과 마찰 접촉을 위한 방향으로서, 베이스부(391)의 연장 방향과는 다른 방향이 된다. 나아가, 베이스부(391)에는 가압 돌기(393)가 형성되어, 탄성 접촉부(395)가 제2 바디(351)의 내주면을 향해 편향되게 할 수 있다. 가압 돌기(393)는 제1 바디(311)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베이스부(391)는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탄성 접촉부(395)가 제2 바디(351)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한다.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95 has a cantilever shape and elastically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351 .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95 is a direction for frictional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351, and is different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391. Further, a pressing protrusion 393 may be formed on the base portion 391 so that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95 may be bias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351 . The pressing protrusion 393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311 , and the base part 391 causes the elastic contact part 395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351 as a reaction thereto.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결합 부재(331)의 모든 구성은 제1 바디(311)와 결합되어, 제1 바디(311)와 함께 고정되는 것이다. 그에 의해, 제2 바디(351)의 회전 시에 탄성 접촉부(395)는 고정되는 제1 바디(311)에 연결되어, 제2 바디(351)에 대해 마찰을 일으키면서 그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ll components of the coupling member 331 are coupled to the first body 311 and fixed together with the first body 311 . Accordingly, when the second body 351 rotates, the elastic contact part 395 is connected to the fixed first body 311 to generate friction against the second body 351 while generating resistance to its rotation. let it

나아가, 저항 유닛(390)는 결합 부재(331)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저항 유닛(390)을 별도의 부재로 제작하고 다시 결합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조립 과정을 피할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the resistance unit 390 may be integrally injection molded with the coupling member 331 . Accordingly, cumbersome assembling processes such as manufacturing the resistance unit 390 as a separate member and combining them again can be avoided.

또한, 복수의 스트랩 디스펜서(300)를 쌓아 올리는 경우에, 수용 그루브(337)와 삽입 리브(338)는 그들이 안정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스트랩 디스펜서(300)의 삽입 리브(338)가 그의 하측에 위치한 다른 스트랩 디스펜서(300)의 수용 그루브(337)에 삽입됨에 의해, 두 개의 스트랩 디스펜서(300)의 중심은 일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에 의해, 적층된 복수의 스트랩 디스펜서(300)는 서로 간에 미끌려서 적층 상태가 어긋나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쌓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lso, in the case of stacking a plurality of strap dispensers 300, the receiving groove 337 and the insertion rib 338 enable them to be stably maintained in a stacked state. Specifically, by inserting the insertion rib 338 of one strap dispenser 300 into the receiving groove 337 of the other strap dispenser 300 located at its lower side, the centers of the two strap dispensers 300 are coincident. remain in state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strap dispensers 300 that are stacked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stacked state without slipping between each other and shifting the stacked state.

상기와 같은 스트랩 디스펜서 및 그에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trap dispens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main frame used t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100,200,300: 스트랩 디스펜서 110,210,310: 메인 프레임
111,211,311: 제1 바디 121,221,321: 사이드 플레이트 150,250,350: 스트랩 롤 151,251,351: 제2 바디
161,261,361: 스트랩 190,290,390: 저항 유닛
100,200,300: strap dispenser 110,210,310: main frame
Reference Numerals 111,211,311: first body 121,221,321: side plate 150,250,350: strap roll 151,251,351: second body
161,261,361: strap 190,290,390: resistance unit

Claims (9)

제1 바디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바디를 수용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외주면에 권선된 스트랩을 구비하는 스트랩 롤; 및
상기 스트랩이 당겨져서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상기 제2 바디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바디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일으키도록 구성되는 저항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중앙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2 바디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의 측방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홀을 통해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바디에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항 유닛은,
상기 결합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바디의 내주면과 마찰 접촉되는 것인, 스트랩 디스펜서.
A main frame having a first body;
a strap roll having a hollow pipe-shaped second body accommodating the first body and a strap woun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A resistance unit configured to generate resistance to rotation of the second body when the second body relatively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as the strap is pulled;
The main frame is
a side plate having a center hole and disposed on a side of the strap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body through the central hole and coupling the side plate to the first body;
The resistance unit,
The strap dispenser that is installed on the coupling member and comes into frictional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유닛은,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바디의 내주면과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 접촉부를 포함하는, 스트랩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im 1,
The resistance unit is
A strap dispenser comprising an elastic contact portion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and elastically contact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유닛은,
상기 결합 부재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탄성 접촉부가 연결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접촉부는,
상기 베이스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인, 스트랩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im 2,
The resistance unit is
Further comprising a base extending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body from the coupling member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contact part;
The elastic contact part,
To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ase, the strap dispen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 대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압박하는 압박 돌기를 더 포함하는, 스트랩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member,
Strap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side plate against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중공부 내로 삽입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일 단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대면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수용 그루브 및 삽입 리브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스트랩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dy,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The coupling member,
a cylinder part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of the first body;
a flange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ylinder portion and facing the side plate; and
Strap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ny one of a receiving groove and an insertion rib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그루브 및 상기 삽입 리브 각각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 리브는,
상기 수용 그루브에 삽입되는 사이즈를 갖는, 스트랩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im 5,
Each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insertion rib,
formed in a ring shape,
The insertion rib,
A strap dispenser having a size tha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스트랩 롤의 제2 바디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제1 바디;
중앙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2 바디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에 권선된 스트랩의 측방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홀을 통해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바디에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스트랩 디스펜서용 메인 프레임.
a first body fitted to the second body of the strap roll;
a side plate having a central hole and disposed on a side of a strap wound around the second body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is fitted to the second body; and
A main frame for a strap dispenser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body through the central hole and coupling the side plate to the first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중공부 내로 삽입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일 단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대면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스트랩 디스펜서용 메인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7,
The coupling member,
a cylinder part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of the first body; and
A main frame for a strap dispenser including a flange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ylinder portion and facing the side pl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이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의 외주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걸림대를 더 포함하는, 스트랩 디스펜서용 메인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7,
A main frame for a strap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 hooking unit having a hooking part formed to hook the strap and coupled to the side plate and disposed to fac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p.
KR1020210141648A 2021-07-05 2021-10-22 Strap dispenser and main frame used therefor KR2023000721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648A KR20230007215A (en) 2021-07-05 2021-10-22 Strap dispenser and main frame used therefor
PCT/KR2022/007680 WO2023282468A1 (en) 2021-07-05 2022-05-30 Inertial rotation limiting-type roll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089A KR102336277B1 (en) 2021-07-05 2021-07-05 Strap dispenser and main frame used therefor
KR1020210141648A KR20230007215A (en) 2021-07-05 2021-10-22 Strap dispenser and main frame used theref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089A Division KR102336277B1 (en) 2021-07-05 2021-07-05 Strap dispenser and main frame use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215A true KR20230007215A (en) 2023-01-12

Family

ID=8492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648A KR20230007215A (en) 2021-07-05 2021-10-22 Strap dispenser and main frame use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721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2787A (en) Cord reel and storage device
CA1290290C (en) Film roll holder with drum brake
CA1134769A (en) Ribbon cartridge and method
CA1093046A (en) Self-tensioning reel
US4872623A (en) Film roll holder with drum brake
US7552891B2 (en) Stretch film dispenser with brake device
US86514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fish tape
US8578683B2 (en) Method of distributing packaging material from a roll of material having a tubular core via a packaging tool
KR20000064311A (en) Hand-held instruments for transferring film, such as adhesives, coatings, or colored materials, attached to the back strip wound on the supply reel
KR102336277B1 (en) Strap dispenser and main frame used therefor
US20070210131A1 (en) Enclosed spool
US6321816B1 (en) Reel arrangement
AU2002325336B2 (en) A hand-held device for applying a film of adhesive, covering or coloured material onto a substrate
EP0641288B1 (en) Improved cord take-up device
JPS6365032B2 (en)
KR20230007215A (en) Strap dispenser and main frame used therefor
ES2465665T3 (en) Splic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392329B1 (en) Strap dispenser
KR102448197B1 (en) Mechanical bobbin holder applicable to bobbins of various inner diameters
KR20220123955A (en) Strap dispenser, main frame and strap roll used therefor
US3537667A (en) Reel
JP6554904B2 (en) Creel stand
JP5615723B2 (en) Long spool
JPS5919188A (en) Ribbon cassette
JP3235254U (en) Band for fishing tack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