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967A - Clothes care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thes car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967A
KR20230006967A KR1020210087609A KR20210087609A KR20230006967A KR 20230006967 A KR20230006967 A KR 20230006967A KR 1020210087609 A KR1020210087609 A KR 1020210087609A KR 20210087609 A KR20210087609 A KR 20210087609A KR 20230006967 A KR20230006967 A KR 20230006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an
group
clothes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동기
신동우
김현주
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6967A/en
Publication of KR20230006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9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A clothes care machine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thes care machine comprises: a main body including a clothes care room with a plurality of holes; a plurality of hangers corresponding to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oles, and arranged to support clothes; a first fan and a second fan arranged to form an air current into the plurality of hangers and arranged on an upper side of the clothes care room; a motor arranged between the first fan and the second fan; a first fan housing arranged to cover the first fan and including a first outlet formed to discharge the air; a second fan housing arranged to cover the second fan and including a second outlet formed to discharge the air; a first duct connecting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plurality of hangers and the first outlet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can be transferr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hangers; and a second duct connecting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others of the plurality of hangers and the second outlet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can be transferred to the others of the plurality of hangers.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include a spray nozzle arranged to be corresponding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oles, respectively. Therefore, the performance can be maximized.

Description

의류 관리기{CLOTHES CARE APPARATUS}Clothing Care System {CLOTHES CARE APPARATUS}

본 개시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류를 이용하여 의류를 관리하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es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clothes using an air flow.

의류 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clothes care)를 수행하는 장치이다.The clothes care device is a device that performs clothes care, such as drying wet clothes, removing dust attached to clothes or odor from clothes, and reducing wrinkles of clothes.

일반적으로 의류 관리기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인 의류 관리실과, 의류 등의 구김제거, 탈취,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 또는 열풍공급장치 등이 포함되는 전장실은 그 하부에 위치된다. 의류 관리실과 전장실은 격벽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In general, a clothes care machine has a clothes care room, which is an accommodation space where clothes are accommodated, and an electrical room that includes a steam generator or hot air supply device to perform refreshing functions such as removing wrinkles from clothes, deodorizing, and removing static electricity, etc. is located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and the machine room may be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의류 관리기는 의류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의류 지지부재가 의류 관리실에 배치되고, 의류 지지부재에 기류를 제공하여 의류를 관리할 수 있다.In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a clothes support member provided to hold clothes is disposed in a clothes management room, and airflow is provided to the clothes support member to manage clothes.

의류 관리기에는 이러한 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송풍 장치가 마련되는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유동이 의류 관리실의 의류 지지부재로 제공 시 유동 손실이 발생하고, 그에 따른 소음이 문제될 수 있다.A blower is provided in the clothes care machine to provide such an airflow. When the flow discharged from the blower is provided to a clothes support member in the clothes care room, flow loss occurs, and thus noise may be a problem.

또한, 난류 또는 역류 현상이 발생될 수 있어 송풍장치의 성능 손실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urbulence or reverse flow may occur, resulting in loss of performance of the blower.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개선된 구조의 덕트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duct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의 유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덕트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duct capable of minimizing flow loss of airflow discharged from a fa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각 전용 옷걸이로의 토출 유량 분배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덕트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duct capable of uniformly distributing discharge flow to each dedicated hang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복수의 홀에 연결되도록 대응되게 마련되며,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행거; 상기 복수의 행거 내부로 기류가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의류 관리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팬과 제2팬; 상기 제1팬과 상기 제2팬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상기 제1팬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토출구를 포함하는 제1팬하우징; 상기 제2팬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토출구를 포함하는 제2팬하우징;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복수의 행거 중 일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복수의 행거 중 일부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홀과 상기 제1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제1덕트; 및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복수의 행거 중 다른 일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복수의 행거 중 다른 일부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홀과 상기 제2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제2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는 각각, 상기 복수의 홀에 대응되게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한다.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clothes management room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 plurality of hanger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holes and provided to support clothes; a first fan and a second fan provided to form an airflow into the plurality of hangers and disposed above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a mot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an and the second fan; a first fan housing provided to cover the first fan and including a first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 second fan housing provided to cover the second fan and including a second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 first duct connec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plurality of hangers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so that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is transferr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hangers; And a second duct connec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hangers and the second outlet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transferred to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hangers. And,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each include a spray nozzl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holes.

상기 복수의 홀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그룹과 제2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그룹은 상기 제1덕트가 배치되는 제1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2덕트가 배치되는 제2영역에 위치된다.The plurality of holes includes a first group and a second group dispos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the first group is located in a first area where the first duct is disposed, and the second group is located in a first area where the second duct is disposed. It is located in the second area to be disposed.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제1그룹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덕트에 마련되는 제1분사노즐와, 상기 제2그룹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덕트에 마련되는 제2분사노즐를 포함한다.The injection nozzle includes a first injection nozzle provided in the first duc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group, and a second injection nozzle provided in the second duc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group.

상기 제1분사노즐은 상기 제1덕트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한다.The first injection nozzle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first duct.

상기 제2분사노즐은 상기 제2덕트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한다.The second injection nozzle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second duct.

상기 제1덕트 및 상기 제2덕트 각각은, 상기 제1토출구 및 제2토출구를 통해 후방에서 유입된 공기가 하측에 위치된 상기 복수의 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곡면부를 더 포함한다.Each of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further includes a curved portion for guiding air introduced from the rear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to flow into the plurality of holes located at the lower side.

상기 제1덕트 및 제2덕트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팬 및 상기 제2팬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되고 상기 곡면부를 통해 하방으로 방향 전환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flows from the rear to the front by the first fan and the second fan and is converted downward through the curved portion.

상기 제1덕트 및 상기 제2덕트 각각은, 상기 제1토출구 및 제2토출구에 대응되게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유입부를 포함한다.Each of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includes an inlet portion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토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덕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유입구와, 상기 제2토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덕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유입구를 더 포함한다.The inle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nlet integrally formed in the first duc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and a second inlet integrally formed in the second duc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상기 제1분사노즐 중 하나의 노즐은 상기 제2분사노즐 중 하나의 노즐과 일체로 연결되는 공용 노즐이다.One of the first injection nozzles is a common nozzle integrally connected to one of the second injection nozzles.

상기 공용 노즐은,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에 공통으로 포함된다.The common nozzle is commonly included in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의류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행거;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의류 관리실 내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팬; 상기 제1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1팬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팬; 상기 제1팬에서 형성된 기류가 상기 복수의 행거 중 일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의류 관리실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제1그룹; 상기 제2팬에서 형성된 기류가 상기 복수의 행거 중 다른 일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의류 관리실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제2그룹; 상기 제1팬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제1토출구를 포함하는 제1팬하우징; 상기 제2팬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제2토출구를 포함하는 제2팬하우징;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그룹으로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제1덕트;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그룹으로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제2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덕트 및 상기 제2덕트 각각은, 하나의 입구와 복수의 출구를 포함한다.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clothes management room; a plurality of hangers provided to hold clothes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a first fan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ed to form an airflow into the clothes management room; a motor that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first fan; a second fan connected to the motor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fan; a first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so that the air flow formed by the first fan is transferr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hangers; a second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so that the airflow formed by the second fan is transferred to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hangers; a first fan housing provided to cover the first fan and including a first discharge port; a second fan housing provided to cover the second fan and including a second discharge port; a first duct provided to transfer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to the first group; and a second duct provided to transfer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to the second group, wherein each of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includes one inlet and a plurality of outlets.

상기 제1덕트 및 상기 제2덕트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출구는 상기 제1그룹 또는 상기 제2그룹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The plurality of outlet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group or the second group.

상기 의류 관리실은, 상기 제1덕트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덕트가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그룹은 상기 제1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2영역에 위치된다.The clothes management room includes a first area where the first duct is disposed and a second area where the second duct is disposed, the first group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group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상기 제1덕트 및 상기 제2덕트 각각은, 상기 제1토출구 및 제2토출구를 통해 후방에서 유입된 공기가 하측에 위치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그룹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곡면부를 더 포함한다.Each of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further includes a curved portion for guiding air introduced from the rear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to flow into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located at the lower side. do.

상기 제1덕트 및 제2덕트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팬 및 상기 제2팬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되고 상기 곡면부를 통해 하방으로 방향 전환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flows from the rear to the front by the first fan and the second fan and is converted downward through the curved portion.

상기 입구는, 상기 제1토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덕트에 형성되는 제1입구와, 상기 제2덕트의 상기 제2토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덕트에 형성되는 제2입구를 더 포함한다.The inle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nlet formed in the first duc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and a second inlet formed in the second duc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of the second duct.

상기 제1그룹에 연결되는 복수의 출구 중 하나는, 인접한 상기 제2그룹에 연결되는 복수의 출구 중 하나와 일체로 연결되는 공용 출구이다.One of the plurality of outlets connected to the first group is a common outlet integrally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outlets connected to the adjacent second group.

상기 공용 출구는,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에 공통으로 포함된다.The common outlet is commonly included in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 관리실은,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송풍장치;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기류가 상기 의류를 거치하기 위한 행거에 전달되도록 상기 의류 관리실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홀 측으로 기류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복수의 홀에 각각 대응되게 연결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한다.A clothes management roo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clothes management room; a blow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ed to form an airflow into the clothes management room;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so that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is delivered to a hanger for holding the clothes; and a duct provided to guide an airflow from the blower toward the plurality of holes, and the duct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oles.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개선된 구조의 덕트에 의해 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의 유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flow loss of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fan by the improved structure of the duct.

또한, 각 전용 행거로의 토출 유량 분배를 균일하게 할 수 있어, 의류 관리기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niformly distribute the discharge flow rate to each exclusive hanger, thereby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가 장착된 의류 관리기의 탑 커버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공기가 순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덕트가 장착된 탑 커버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공기가 순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shown in FIG. 1;
5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top cover of a clothes management device equipped with a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how air is circulated in a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top cover equipped with a duct of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how air is circulated in a du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numerals presented in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terms "front", "rear", "left", and "right"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location of each component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door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example.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및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may include a main body 10 forming an exterior and a door 20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

의류 관리기(1)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의류 관리실(11)과,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행거(60)와,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하거나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50)가 구비되는 기계실(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includes a clothes management room 11 provided inside a main body 10 to accommodate and manage clothes, a hanger 60 provided inside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to hold clothes, and a clothes management room ( 11) It may include a machine room 40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r 50 provided to dehumidify or heat the inside air.

본체(10)는 내부에 의류 관리실(11)이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된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의류 관리실(11)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힌지(21) 또는 링크 등을 통해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have a clothes management room 11 formed therein, and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on shape with one surface open. An opening 10a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A door 20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o open and close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may be installed. Although not shown, the door 20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hrough a hinge 21 or a link.

의류 관리실(11)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의류 관리실(11)은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상면(12a)과, 하면(12b)과, 좌측면과, 우측면과, 후면(12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전면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0)의 개구(11a)를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의류 관리실(11)의 개구도 함께 개폐될 수 있다.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forms a space where clothes are accommodated.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12a, a lower surface 12b, a left surface, a right surface, and a rear surface 12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front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is formed by opening. Therefore, the opening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can be opened and closed together by the door 20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11a of the main body 10 .

본체(10)는 외부 캐비닛(10a) 및 외부 캐비닛(10a)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캐비닛(10b)을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고) 본체(10)는 의류 관리실(11)의 내부에 마련되어 행거(60)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65)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n outer cabinet 10a and an inner cabinet 10b disposed inside the outer cabinet 10a (see FIG. 4). The main body 10 is inside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A support device 65 provided to mount the hanger 60 may be included.

지지장치(65)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장치(65)는 의류를 거치하는 행거(6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행거(60)는 의류가 끼워질 수 있도록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행거는 옷걸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행거(6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행거(6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의류에 묻은 먼지 및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The support device 65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In the support device 65, a hanger 60 for holding clothes may be detachably installed. The hanger 60 may be formed in a hanger shape so that clothes can be fitted. However, the hanger here is not limited to the hanger shape. The hanger 60 is provided so that air can flow therein. Dust and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clothes may be removed by the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anger 60 .

행거(60)에는 의류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은 행거(6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고, 에어홀을 통해 공기가 의류에 전달될 수 있다.An air hole for supplying air to clothes may be formed in the hanger 60 . An air hole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anger 60, and air may be transferred to clothes through the air hole.

의류 관리실(11)은 제1기류배출구(31a) 및 제2기류배출구(32a)와, 제1기류유입구(31b) 및 제2기류유입구(32b), 그리고 증기 배출구(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may include a first air outlet 31a and a second air outlet 32a, a first air inlet 31b and a second air inlet 32b, and a steam outlet 33. .

제1기류배출구(31a)와 제1기류유입구(31b)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2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기류배출구(31a)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2b)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류유입구(31b)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2b)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류배출구(31a)와 제1기류유입구(31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irflow outlet 31a and the first airflow inlet 31b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2b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The first air outlet 31a may be disposed behind the lower surface 12b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first airflow inlet 31b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lower surface 12b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The first air outlet 31a and the first air inlet 31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증기 배출구(33)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2e)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33)는 제1기류배출구(31a)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steam outlet 33 may be disposed below the rear surface 12e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vapor outlet 33 may be located above the first air outlet 31a.

제2기류배출구(32a)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유입구(32b)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2e)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배출구(32a)와 제2기류유입구(32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air outlet 32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second airflow inlet 32b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12e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The second air outlet 32a and the second air inlet 32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는 행거(6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기류배출구(3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행거(60)로 전달되어 행거(60)에 거치된 의류에 전달될 수 있다.The second air outlet 32a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may be connected to the hanger 60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air flow outlet 32a may be delivered to the hanger 60 and delivered to clothes mounted on the hanger 60 .

본체(10)의 하부에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수통(72) 및 급수통(71)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72)과 급수통(71)은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A drain container 72 and a water supply container 71 detachably provided from the main body 10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 The drain container 72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71 may be disposed under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배수통(72)은 열 교환장치(50)에 의한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스팀발생장치(70)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급수통(71)의 물이 스팀발생장치(70)로 공급되어 스팀을 형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drain container 72 may be provided to facilitate the treatment of condensed water by the heat exchanger 50 . The water supply container 71 may store water necessary for generating steam in the steam generating device 70 . Water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71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ing device 70 and may be used to form steam. The water bottle 71 may be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main body 10 to easily replenish water.

스팀발생장치(70)는 급수통(71)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할 수 있고, 생성된 스팀을 스팀분사부(73)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부(73)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2e)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7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71 to receive water and form steam, and may further include a steam supply pipe 74 for guiding the generated steam to the steam spraying unit 73. . The steam spraying unit 73 may be disposed below the rear surface 12e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배수통(72) 및 급수통(71)은 기계실(4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본체(10)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drain container 72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71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40 . The machine room 4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 The machine room 40 may be provided under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열 교환장치(5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필요에 따라 제습 및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잇다. 열 교환장치(50)는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열 교환장치(5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53), 응축기(54) 및 압축기(55)를 구비할 수 있고,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50 may be provided to dehumidify and heat the air inside the clothing care room 11 as needed. The heat exchanger 50 may be installed to supply hot air into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The heat exchanger 50 may include an evaporator 53, a condenser 54, and a compressor 55 in which a refrigerant circulates, and may be provided to dehumidify and heat air.

열 교환장치(50)의 증발기(53)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할 수 있다. 압축기(55)를 거쳐 응축기(54)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의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배출함으로써 주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즉, 증발기(53)와 응축기(54)가 열교환 기능을 하게 되어, 순환팬(52)에 의해 기계실(40)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53)와 응축기(54)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되게 된다.As the refrigerant evaporates in the evaporator 53 of the heat exchanger 50, it absorbs latent heat from the surrounding air, so that moisture in the air can be condensed and removed. When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condenser 54 via the compressor 55, the surrounding air can be heated by discharging latent heat toward the surrounding air. That is, the evaporator 53 and the condenser 54 perform a heat exchange function,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chine room 40 by the circulation fan 52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53 and the condenser 54 to dehumidify and heat It becomes.

기계실(40)에 설치되는 열 교환장치(50)는 증발기(53)와 응축기(54) 및 순환팬(52)을 연결하는 제1순환덕트(56)를 포함하고, 제1순환덕트(56)는 의류 관리실(11)에 연결되어 의류 관리실(11)과 제1순환덕트(56) 사이를 순환하는 제1순환유로(57)가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50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40 includes a first circulation duct 56 connecting the evaporator 53, the condenser 54, and the circulation fan 52, and the first circulation duct 56 may form a first circulation passage 57 connected to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and circulating betwee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and the first circulation duct 56 .

제1순환덕트(56)는 의류 관리실(11)의 제1기류유입구(31b)와 제1기류배출구(31a)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는 제1기류유입구(31b)를 통해 제1순환덕트(56)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기류배출구(31a)를 통해 의류 관리실(11)로 다시 배출한다.The first circulation duct 56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ir flow inlet 31b and the first air outlet 31a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air in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circulation duct 56 through the first airflow inlet 31b, and the introduced air is dehumidified and discharged back to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through the first airflow outlet 31a. do.

의류 관리실(11)의 내부에는 의류가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행거(60)가 마련될 수 있다. 행거(6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설치될 수 있다.A hanger 6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so that clothes can be placed and supported. The hanger 6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행거(60)는 의류 관리실(1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행거(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hanger 6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At least one hanger 60 may be provided.

의류 관리실(11)은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장치(9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may include a blower 90 for flowing air therein.

의류 관리실(11)은 송풍장치(90)를 통해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순환덕트(8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may include a second circulation duct 82 provided to circulate air inside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through the blower 90 .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11)과 제2순환덕트(82)를 순환하는 제2순환유로(81)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장치(90)는 제2순환유로(81)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and may form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circulating betwee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and 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 The blower 9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유입구(32b)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 상측에 마련되고, 그 내부에 필터부재(8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may be formed behind the second air flow inlet 32b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and may include a filter member 83 therein.

제2순환덕트(82)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장치(90)를 통해 의류 관리실(11)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94)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와 탑 커버(94) 사이에는 송풍장치(90)가 설치될 수 있다.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may flow through the blower 90 to the top cover 94 disposed above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A blower 9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and the top cover 94 .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유입구(32b)와 제2기류배출구(32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의 유입구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유입구(32b)와 일체화되는 구성으로 제2순환덕트(82)의 유입구와 제2기류유입구(32b)는 동일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flow inlet 32b and the second air outlet 32a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inlet of 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is configured to be integrated with the second air flow inlet 32b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and the inlet of 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and the second air flow inlet 32b have the same configuration. can

제2순환유로(81)의 일단은 제2기류유입구(32b)에 의해 형성되고 제2순환유로(81)의 타단은 제2기류배출구(32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순환유로(81)는 제2순환덕트(82)와 송풍장치(90) 및 송풍장치(90)와 제2기류배출구(32a)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100, 이하, '덕트' 라고 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may be formed by the second air flow inlet 32b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may be formed by the second air flow outlet 32a.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is a connection duct 100 connecting 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and the blower 90 and between the blower 90 and the second air outlet 32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uct'). ) can be formed by

즉, 제2순환덕트(82)의 일단은 제2기류유입구(32b)에 의해 형성되고 제2순환유로(81)의 타단은 송풍장치(90)에 공기를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at is, one end of 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may be formed by the second air flow inlet 32b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may provide air to the blower 90 .

제2기류배출구(32a)는 행거(60)와 연통되어 제2순환덕트(82)에 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행거(60)로 전달되게 된다. 행거(6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설치될 수 있다. 행거(6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설치된 지지장치(65)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air outlet 32a communicates with the hanger 60 so that a part of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is transferred to the hanger 60. The hanger 6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The hanger 6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by the support device 65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행거(60)는 상단의 에어공급구 즉, 제2기류배출구(32a)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의류의 내외측에 공급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어 공급구는 공기를 의류에 광범위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port at the top of the hanger 60, that is, the second air outlet 32a is suppli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lothes,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air supply port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and at various positions so as to widely spray air to the clothes.

제2순환덕트(82)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2기류유입구(32b)를 통해 흡입하여 제2기류배출구(32a)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The blower 90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sucks air inside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through the second air flow inlet 32b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second air outlet 32a. .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가 장착된 의류 관리기의 탑 커버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공기가 순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shown in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top cover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equipped with a du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how air is circulated in the duct according to the example.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관리기(1)의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2순환덕트(82) 및 제2순환유로(81)를 따라 순환시키도록 마련된다.4 to 6, the air blower 90 of the clothes care machine 1 circulates the air inside the clothes care room 11 along 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and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arranged to do so.

송풍장치(90)는 제2순환덕트(82)로 유입된 공기가 의류 관리실(11)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94)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장치(90)는 제2순환덕트(82)와 탑 커버(9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The blower 90 may be provided to allow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to flow toward the top cover 94 disposed above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blower 9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and the top cover 94 .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부에 마련되는 탑 커버(94)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탑 커버(94)는 의류 관리실(11) 상부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탑 커버(94)는 제2순환유로(81)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순환유로(81)는 탑 커버(94)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lower 90 may be provided inside the top cover 94 provided above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top cover 94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rear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top cover 94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top cover 94 .

탑 커버(94)의 전면은 개구(94a)되어 후술하는 덕트 브라켓(99) 및 덕트(1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순환유로(81)는 탑 커버(94)의 전방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top cover 94 has an opening 94a and may be connected to a duct bracket 99 and a duct 100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top cover 94 .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2기류유입구(32b)를 통해 흡입하여 제2기류배출구(32a)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The blower 90 is provided to suck air inside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through the second air flow inlet 32b and discharge it through the second air flow outlet 32a.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부 후방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93)와, 모터(93)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팬(91)을 포함할 수 있다. 팬(91)은 팬 하우징(92)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The blower 90 is disposed at the upper rear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and may include a motor 93 generating rotational force and at least one fan 91 rotated by the motor 93 . A fan 91 may be accommodated by a fan housing 92 .

팬 하우징(92)은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마련되는 덕트 브라켓(99)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 브라켓(99)에는 팬 하우징(92)에 형성되는 토출구(95)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99a,99b)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99a,99b)에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가 대응되게 배치되어 제2순환덕트(82)에 유입된 공기를 제2기류배출구(32a)로 이동하게 한다.The fan housing 92 may be coupled to a duct bracket 99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At least one opening 99a or 99b communicating with a discharge port 95 formed in the fan housing 92 is formed in the duct bracket 99, and the fan housing 92 is formed in the at least one opening 99a or 99b. The outlets 95 are disposed correspondingly to mov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circulation duct 82 to the second air outlet 32a.

구체적으로, 송풍장치(90)는 제1팬(91a)과 제1팬(91a)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팬(91b)과, 제1팬(91a)과 제2팬(91b)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모터(9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93)는 제1팬(91a)과 제2팬(9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lower 90 rotates the first fan 91a, the second fan 91b disposed in parallel to the first fan 91a, and the first fan 91a and the second fan 91b. It may include a motor 93 provided to do so. The motor 9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an 91a and the second fan 91b.

송풍장치(90)는 제1팬(91a)과 제2팬(91b)을 수용하기 위한 팬 하우징(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 하우징(92)은 의류 관리실(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blower 90 may further include a fan housing 92 for accommodating the first fan 91a and the second fan 91b. The fan housing 92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팬 하우징(92)은 제1팬(91a)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1팬하우징(92a)과 제2팬(91b)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2팬하우징(92b)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n housing 92 may include a first fan housing 92a provided to accommodate the first fan 91a and a second fan housing 92b provided to accommodate the second fan 91b.

제1팬하우징(92a)은 내부에 제1팬(91a)이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팬하우징(92a)은 전면에 제1토출구(95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팬하우징(92b)은 내부에 제2팬(91b)이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팬하우징(92b)은 전면에 제2토출구(95b)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an housing 92a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first fan 91a therein. A first discharge port 95a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an housing 92a. The second fan housing 92b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second fan 91b therein. A second discharge port 95b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an housing 92b.

제1팬하우징(92a)과 제2팬하우징(92b)은 의류 관리실(11) 상면(12a)에 마련되는 덕트 브라켓(99)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 브라켓(99)에는 제1토출구(95a) 및 제2토출구(95b)에 연결되는 제1개구(99a)와 제2개구(99b)가 마련될 수 있다. 덕트 브라켓(99)의 제1개구(99a)는 제1팬하우징(92a)의 제1토출구(95a)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제1토출구(95a)로 토출되어 이동하는 공기가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로 이동하게 한다. 덕트 브라켓(99)의 제2개구(99b)는 제2팬하우징(92b)의 제2토출구(95b)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제2토출구(95b)로 토출되어 이동하는 공기가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로 이동하게 한다.The first fan housing 92a and the second fan housing 92b may be coupled to a duct bracket 99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The duct bracket 99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 99a and a second opening 99b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95a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95b. The first opening 99a of the duct bracket 99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95a of the first fan housing 92a, an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95a moves to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to move to the second air outlet 32a. The second opening 99b of the duct bracket 99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outlet 95b of the second fan housing 92b, an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95b and moving moves into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to move to the second air outlet 32a.

의류 관리기(1)는 송풍장치(90)를 통과한 공기를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안내하도록 송풍장치(90)와 의류 관리실(11)의 제2개류배출구(32a)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00)는 본체(10)에 마련될 수 있다. 덕트(10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is a duct ( 100) may be included. The duct 100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 The duct 100 may be provided to guide air into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의류 관리기(1)의 본체(10)는 송풍장치(90)를 통과한 공기를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1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유로(100a)는 의류 관리실(11) 상부에 마련되는 덕트(100)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덕트(100)는 제2순환유로(81)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덕트(100)는 덕트 브라켓(99)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덕트(100)는 송풍장치(90)를 커버하는 팬 하우징(92)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assage 100a for guiding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lower 90 into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guide passage 100a may be provided by a duct 100 provided above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duct 100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 The duc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duct bracket 99 and provided. The duc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fan housing 92 covering the blower 90.

덕트(100)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유로(100a)는 제2순환유로(8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유로(100a)는 제2순환유로(81)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100a)는 덕트(100)에 의해 덕트(1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passage 100a formed by the duct 100 may form a part of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 The guide passage 100a may be formed branching from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 The guide passage 100a may be formed inside the duct 100 by the duct 100 .

송풍장치(90)를 통과한 공기는 덕트(100)에 의해 가이드 유로(100a)를 따라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wer 90 may be moved to the inside of the clothes care room 11 along the guide passage 100a by the duct 100 .

덕트(100)는 의류 관리실(11)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100)는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덕트(100)는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에 대응하는 유입부(140)와, 유입부(1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각각의 제2기류배출구(32a)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분사 노즐(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ct 100 may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The duct 100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outlet 95 of the fan housing 92 . The duct 100 is formed such that an inlet 140 corresponding to the outlet 95 of the fan housing 92 and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40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second air outlets 32a. A spray nozzle 130 may be included.

덕트(100)는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입구(이하, 유입부 140)와, 유입부(1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의류 관리실(11)로 이동하도록 토출되는 복수의 출구(이하, 분사 노즐 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ct 100 includes an inlet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port 95 of the fan housing 92 (hereinafter, an inlet 140), and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40 is discharged to move to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outlets (hereinafter, spray nozzles 130).

덕트(100)의 유입부(140)는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유입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00)의 유입부(140)는 제1팬하우징(92a)의 제1토출구(95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1유입구(141)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00)의 유입부(140)는 제2팬하우징(92b)의 제2토출구(95b)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2유입구(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let 140 of the duct 100 may include inlets 140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lets 95 of the fan housing 92, respectively. The inlet 140 of the duct 100 may include a first inlet 141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outlet 95a of the first fan housing 92a. The inlet 140 of the duct 100 may include a second inlet 142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outlet 95b of the second fan housing 92b.

덕트(100)의 분사 노즐(130)은 유입부(14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의류 관리실(11)에 마련된 각각의 행거(60)를 통해 전달되도록 각각의 행거(6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사 노즐(130)은 후술한다.The spray nozzle 130 of the duct 100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each hanger 60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40 is delivered through each hanger 60 provided in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can The injection nozzle 130 will be described later.

덕트(100)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유로(100a)는 제2순환유로(81)의 일부로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에 의해 형성되고 분사 노즐(130)이 연결된 제2기류배출구(32a)를 통해 행거(60)로 공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guide passage 100a formed by the duct 100 is part of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and is formed by the outlet 95 of the fan housing 92 and the second air outlet 32a to which the spray nozzle 130 is connected. ) It is provided so that air can be transferred to the hanger 60 through.

덕트(100)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의 내부 공기를 제2기류유입구(32b)를 통해 흡입하여 제2기류배출구(32a)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The blower 90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duct 100 is provided to suck air inside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through the second air flow inlet 32b and discharge it through the second air flow outlet 32a.

덕트(100)는 후방에 형성된 유입부(14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송풍장치(90)를 통해 전방으로 유동되어,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형성된 제2기류배출구(32a)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곡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150)는 덕트(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곡면부(150)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e duct 100,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40 formed at the rear flows forward through the blower 90, and the second air outlet 32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It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portion 150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so as to be able to change the direction so that it can be moved. The curved portion 150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uct 100 . The curved portion 150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direction of air.

덕트(100)의 곡면부(150)는 제1덕트(110)에 형성되는 제1곡면부(151)와, 제2덕트(120)에 형성되는 제2곡면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rved portion 150 of the duct 100 may include a first curved portion 151 formed on the first duct 110 and a second curved portion 152 formed on the second duct 120. .

덕트(100)의 곡면부(150)는 제1팬(91a) 및 제2팬(91b)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급격하게 꺽여 하측의 의류 관리실(11)로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유동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curved part 150 of the duct 100 is a noise and flow that may occur when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fan 91a and the second fan 91b is abruptly bent and introduced into the lower clothing management room 11 It is designed to prevent losses.

덕트(100)의 분사 노즐(130)은 제1팬(91a) 및 제2팬(91b)을 수용하는 제1팬하우징(92a)의 제1토출구(95a) 및 제2팬하우징(92b)의 제2토출구(95b)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난류 또는 역류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spray nozzle 130 of the duct 100 is provided through the first outlet 95a of the first fan housing 92a accommodating the first fan 91a and the second fan 91b and the second fan housing 92b. It is provided to prevent occurrence of turbulence or reverse flow that may occur between the second outlets 95b.

덕트(100)는 제1팬하우징(92a)의 제1토출구(95a)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1덕트(110)와, 제2팬하우징(92b)의 제2토출구(95b)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2덕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ct 100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duct 110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95a of the first fan housing 92a and to the second outlet 95b of the second fan housing 92b. It may include a second duct 120 to be.

제1덕트(110)는 제1팬하우징(92a)과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덕트(120)는 제2팬하우징(92b)과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덕트(110)와 제2덕트(120)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유입구(32b)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기류배출구(32a)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The first duct 11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fan housing 92a and the second air outlet 32a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second duct 12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second fan housing 92b and the second air outlet 32a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first duct 110 and the second duct 120 may allow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air flow inlet 32b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to move to the second air outlet 32a.

제2기류배출구(32a)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기류배출구(32a)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기류배출구(32a)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장착되는 복수의 행거(60)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기류배출구(32a)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마련된 지지장치(65)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장치(65)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장착되는 지지 브라켓(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브라켓(66)은 행거(60)가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홀(20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배출구(32a)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홀(200)과 동일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기류배출구(32a)는 지지 브라켓(66)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기류배출구 즉, 복수의 홀은 행거와 연결되도록 의류 관리실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air outlet 32a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The second airflow outlet 32a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20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The second air outlet 32a may be provided to connect a plurality of hangers 6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second air outlet 32a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device 65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The support device 65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racket 66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support bracket 66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200 through which the hanger 60 is connected. The second airflow outlet 32a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lurality of holes 2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ir outlet 32a is formed in the support bracket 66,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econd air outlet, that is, a plurality of holes. The hang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provided in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to be connected to the hanger.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200)은 6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200)에는 각각 행거(60)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홀(200)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oles 20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may be formed in six. Hangers 6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200 . The plurality of holes 200 may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복수의 홀(200)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그룹(200a)과 제2그룹(2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그룹(200a)과 제2그룹(200b)은 각각 3 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200)은 6 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oles 200 may include a first group 200a and a second group 200b dispos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Each of the first group 200a and the second group 200b may include three holes. A plurality of holes 200 may be formed of six.

제1그룹(200a)은 제1덕트(110)가 배치되는 제1영역(P1)에 위치될 수 있다. 제2그룹(200b)은 제2덕트(120)가 배치되는 제2영역(P2)에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group 200a may be located in the first area P1 where the first duct 110 is disposed. The second group 200b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P2 where the second duct 120 is disposed.

제1그룹(200a)은 제1영역(P1)에 배치되는 제1홀(201), 제2홀(202), 제3홀(2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홀(201), 제2홀(202), 제3홀(203)은 각각 행거(60)에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그룹(200b)는 제2영역(P2)에 배치되는 제4홀(204), 제5홀(205), 제6홀(2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4홀(204), 제5홀(205), 제6홀(206)은 각각 행거(60)에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first group 200a may include a first hole 201 , a second hole 202 , and a third hole 203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P1 . The first hole 201 , the second hole 202 , and the third hole 203 ar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hanger 60 , respectively. The second group 200b may include a fourth hole 204, a fifth hole 205, and a sixth hole 206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P2. The fourth hole 204, the fifth hole 205, and the sixth hole 206 ar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hanger 60, respectively.

의류 관리실(11)의 행거(60)는 제1그룹(200a)과 제2그룹(200b)의 각각의 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6 개가 마련될 수 있다.Six hangers 60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may be provided so as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respective holes of the first group 200a and the second group 200b.

제1덕트(110)는 제1팬하우징(92a)과 복수의 홀(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덕트(110)는 제1팬하우징(92a)의 제1토출구(95a)와 복수의 홀(200) 중 제1그룹(200a)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덕트(110)는 제1토출구(95a)와 제1그룹(200a)의 제1홀(201), 제2홀(202), 제3홀(203)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duct 110 may be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fan housing 92a and the plurality of holes 200 . The first duct 110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95a of the first fan housing 92a and the first group 200a of the plurality of holes 200. The first duct 11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discharge port 95a and the first hole 201 , the second hole 202 , and the third hole 203 of the first group 200a.

제1덕트(110)는 제1홀(201)과 제2홀(202), 그리고 제3홀(203)에 각각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분사 노즐(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uct 110 may include spray nozzles 130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hole 201, the second hole 202, and the third hole 203, respectively.

제1덕트(110)는 제1그룹(200a)에 각각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1분사노즐(13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덕트(120)는 제2그룹(200b)에 각각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2분사노즐(130b)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uct 110 may include first spray nozzles 130a provid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groups 200a. The second duct 120 may include second spray nozzles 130b provided to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group 200b.

제1분사노즐(130a)은 제1덕트(110)의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130a)의 노즐은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분사노즐(130a)은 제1노즐(131), 제2노즐(132), 그리고 제3노즐(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노즐(131)은 의류 관리실(11)에 형성된 복수의 홀(200) 중 제1홀(201)에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노즐(132)은 의류 관리실(11)에 형성된 복수의 홀(200) 중 제2홀(202)에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3노즐(133)은 의류 관리실(11)에 형성된 복수의 홀(200) 중 제3홀(203)에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first injection nozzle 130a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integrally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uct 110 . The number of nozzles of the first injection nozzle 130a may be formed in three. The first injection nozzle 130a may include a first nozzle 131 , a second nozzle 132 , and a third nozzle 133 . The first nozzle 131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hole 201 of the plurality of holes 200 formed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second nozzle 132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hole 202 of the plurality of holes 200 formed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third nozzle 133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hole 203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200 formed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제2분사노즐(130b)은 제2덕트(120)의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분사노즐(130b)의 노즐은 3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분사노즐(130b)은 제4노즐(134), 제5노즐(135), 그리고 제6노즐(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4노즐(134)은 의류 관리실(11)에 형성된 복수의 홀(200) 중 제4홀(204)에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5노즐(135)은 의류 관리실(11)에 형성된 복수의 홀(200) 중 제5홀(205)에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6노즐(136)은 의류 관리실(11)에 형성된 복수의 홀(200) 중 제6홀(206)에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second spray nozzle 130b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integrally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uct 120 . The second injection nozzle 130b may have three nozzles. The second injection nozzle 130b may include a fourth nozzle 134 , a fifth nozzle 135 , and a sixth nozzle 136 . The fourth nozzle 134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ourth hole 204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200 formed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fifth nozzle 135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fth hole 205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200 formed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sixth nozzle 136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sixth hole 206 of the plurality of holes 200 formed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따라서, 제1팬(91a)과 제2팬(91b)에 의해 제1팬하우징(92a)의 제1토출구(95a)와 제2팬하우징(92b)의 제2토출구(95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각각 제1덕트(110)의 제1분사노즐(130a)과 제2덕트(120)의 제2분사노즐(130b)을 통해 균등하게 분배되어 각각의 행거(60)로 전달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fan 91a and the second fan 91b discharg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95a of the first fan housing 92a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95b of the second fan housing 92b. The air may be equally distributed through the first injection nozzles 130a of the first duct 110 and the second injection nozzles 130b of the second duct 120 and delivered to the respective hangers 60 .

제1덕트(110)의 제1분사노즐(130a)과 제2덕트(120)의 제2분사노즐(130b)은 각각 의류 관리실(11)에 마련된 6 개의 행거(60)에 연결된 6 개의 홀(200) 즉, 6 개의 제2기류배출구(32a)에 연결되도록 3개씩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spray nozzle 130a of the first duct 110 and the second spray nozzle 130b of the second duct 120 have six holes connected to six hangers 60 provided in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respectively. 200), that is, although it is illustrated that three of them are provid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ix second air outlets 32a,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덕트(100)의 분사 노즐(130)은 각각의 노즐의 크기 및 형상을 다르게 설계하여 유량 분배를 최적의 효율로 조절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pray nozzle 130 of the duct 100 may be designed to have a different size and shape to adjust the flow distribution to optimum efficiency.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덕트가 장착된 탑 커버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공기가 순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top cover to which the duct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nd FIG. 8 is a view showing how air is circulated in the du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descriptions of overlapping parts with the abov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7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00A)는 제2순환유로(81)에 연결되어 제2순환유로(81)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이드 유로(100a)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duct 100A is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to form a guide passage 100a forming a part of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81 .

송풍장치(90)를 통과한 공기는 덕트(100A)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유로(100a)를 따라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wer 90 may be moved into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along the guide passage 100a formed by the duct 100A.

덕트(100A)는 의류 관리실(11)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100A)는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덕트(100A)는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에 대응하는 유입부(140A)와, 유입부(140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각각의 제2기류배출구(32a)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분사 노즐(130A)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ct 100A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The duct 100A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outlet 95 of the fan housing 92 . The duct 100A is formed such that an inlet 140A corresponding to the outlet 95 of the fan housing 92 and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40A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second air outlets 32a. It may include a spray nozzle (130A).

덕트(100A)는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유입부(140A)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00A)의 유입부(140A)는 제1팬하우징(92a)의 제1토출구(95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1유입구(141A)와, 제2팬하우징(92b)의 제2토출구(95b)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2유입구(142A)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ct 100A may include inlets 140A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lets 95 of the fan housing 92, respectively. The inlet 140A of the duct 100A includes a first inlet 141A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outlet 95a of the first fan housing 92a, and a second outlet of the second fan housing 92b ( A second inlet 142A formed to correspond to 95b) may be included.

덕트(100A)의 분사 노즐(130A)은 유입부(140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의류 관리실(11)에 마련된 각각의 행거(60)를 통해 전달되도록 각각의 행거(6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spray nozzle 130A of the duct 100A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each hanger 60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40A is delivered through each hanger 60 provided in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can

덕트(100A)의 분사 노즐(130A)은 제1팬(91a) 및 제2팬(91b)을 수용하는 제1팬하우징(92a)의 제1토출구(95a) 및 제2팬하우징(92b)의 제2토출구(95b)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난류 또는 역류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spray nozzle 130A of the duct 100A is provided through the first outlet 95a of the first fan housing 92a accommodating the first fan 91a and the second fan 91b and the second fan housing 92b. It is provided to prevent occurrence of turbulence or reverse flow that may occur between the second outlets 95b.

덕트(100A)는 제1팬하우징(92a)의 제1토출구(95a)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1덕트(110A)와, 제2팬하우징(92b)의 제2토출구(95b)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2덕트(120A)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ct 100A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duct 110A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95a of the first fan housing 92a and to the second outlet 95b of the second fan housing 92b. It may include a second duct (120A) to be.

제1덕트(110A)는 제1팬하우징(92a)과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덕트(120A)는 제2팬하우징(92b)과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duct 110A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fan housing 92a and the second air outlet 32a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second duct 120A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second fan housing 92b and the second air outlet 32a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제2기류배출구(32a)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기류배출구(32a)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20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기류배출구(32a)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홀(200A)과 동일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The second air outlet 32a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The second air outlet 32a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200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second air outlet 32a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lurality of holes 200A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200A)은 5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200A)에는 각각 행거(60)가 연결될 수 있다. 5개의 홀(200A)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oles 200A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may be formed in five. Hangers 6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200A. The five holes 200A may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복수의 홀(200A)은 제1홀(201A), 제2홀(202A), 제3홀(203A), 제4홀(204A), 제5홀(205A)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 행거(60)에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plurality of holes 200A may include a first hole 201A, a second hole 202A, a third hole 203A, a fourth hole 204A, and a fifth hole 205A. Each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hanger 60.

제1덕트(110A)는 제1팬하우징(92a)과 복수의 홀(200A)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덕트(120A)는 제2팬하우징(92b)과 복수의 홀(200A)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duct 110A may be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fan housing 92a and the plurality of holes 200A. The second duct 120A may be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second fan housing 92b and the plurality of holes 200A.

제1덕트(110A)는 제1분사노즐(130A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덕트(120A)는 제2분사노즐(130Ab)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uct 110A may include a first injection nozzle 130Aa. The second duct 120A may include a second spray nozzle 130Ab.

제1분사노즐(130Aa)은 제1덕트(110A)의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130Aa)은 제1노즐(131A), 제2노즐(132A), 그리고 제3노즐(133A)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pray nozzle 130Aa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integrally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uct 110A. The first injection nozzle 130Aa may include a first nozzle 131A, a second nozzle 132A, and a third nozzle 133A.

제2분사노즐(130Ab)은 제2덕트(120A)의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분사노즐(130Ab)은 제4노즐(134A), 제5노즐(135A), 그리고 제6노즐(136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pray nozzle 130Ab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integrally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uct 120A. The second injection nozzle 130Ab may include a fourth nozzle 134A, a fifth nozzle 135A, and a sixth nozzle 136A.

덕트(100A)는 복수의 노즐 중 하나가 인접한 다른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공용 노즐(15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110A)의 복수의 노즐 중 하나는 제2덕트(120A)의 복수의 노즐 중 다른 하나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공용 노즐(15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덕트(120A)의 복수의 노즐 중 하나는 제1덕트(110A)의 복수의 노즐 중 다른 하나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공용 노즐(150A)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ct 100A may include a common nozzle 150A i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is integrally formed with another adjacent one.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of the first duct 110A may include a common nozzle 150A integrally connected to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of the second duct 120A.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of the second duct 120A may include a common nozzle 150A integrally connected with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of the first duct 110A.

공용 노즐(150A)은 제1그룹(200a)과 제2그룹(200b)에 공통으로 포함될 수 있다. 공용 노즐(150A)은 제1그룹(200a)과 제2그룹(200b)으로부터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공용 노즐(150A)은 제1그룹(200a)과 제2그룹(200b)에 둘다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The common nozzle 150A may be commonly included in the first group 200a and the second group 200b. The common nozzle 150A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group 200a and the second group 200b. That is, the common nozzle 150A may not be included in both the first group 200a and the second group 200b.

제1분사노즐(130Aa)의 노즐 중 하나는 제2분사노즐(130Ab)의 복수의 노즐 중 하나와 일체로 연결되는 공용 노즐(15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130Aa)의 노즐 중 하나는 인접한 제2분사노즐(130Ab)의 복수의 노즐 중 하나와 일체로 연결되는 공용 노즐(150A)을 포함할 수 있다.One of the nozzles of the first injection nozzle 130Aa may include a common nozzle 150A integrally connected to one of a plurality of nozzles of the second injection nozzle 130Ab. One of the nozzles of the first injection nozzle 130Aa may include a common nozzle 150A integrally connected to one of a plurality of nozzles of the adjacent second injection nozzle 130Ab.

공용 노즐(150A)은 제1분사노즐(130Aa)의 복수의 노즐 중 하나가 제2분사노즐(130Ab)의 복수의 노즐 중 하나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공용 노즐(150A)은 제1팬(92a) 및 제2팬(92b)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균일하게 분배되어 의류 관리실(11)의 행거(6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common nozzle 150A may be provided by integrally conn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of the first injection nozzle 130Aa to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of the second injection nozzle 130Ab. The common nozzle 150A is provided so that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fan 92a and the second fan 92b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and delivered to the hanger 60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

공용 노즐(150A)은 제1덕트(110A)의 제1분사노즐(130Aa)과 제2덕트(120A)의 제2분사노즐(130Ab) 중 서로 인접한 분사노즐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공용 노즐(150A)은 제1덕트(110A)의 복수의 노즐 과 제2덕트(120A)의 복수의 노즐 중 서로 인접한 노즐이 소정 각도(θ)의 기울기를 가지며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공용 노즐(150A)은 복수의 노즐 중 인접한 노즐과 소정 각도(θ)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mmon nozzle 150A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djacent injection nozzles among the first injection nozzle 130Aa of the first duct 110A and the second injection nozzle 130Ab of the second duct 120A. The common nozzle 150A is provided so that adjacent nozzles among the plurality of nozzles of the first duct 110A and the plurality of nozzles of the second duct 120A can be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The common nozzle 150A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an adjacent nozzle among a plurality of nozzles.

구체적으로, 제1덕트(110A)의 제3노즐(133A)과 제2덕트(120A)의 제4노즐(134A)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공용 노즐(150A)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용 노즐(150A)은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형성된 복수의 홀(200A)중 대응되는 위치의 제3홀(203A)에 연결될 수 있다. 공용 노즐(150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제1팬(92a)과 제2팬(92b)으로부터 균일하게 유입되는 공기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nozzle 133A of the first duct 110A and the fourth nozzle 134A of the second duct 120A may be provided as a common nozzle 150A integrally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mmon nozzle 150A may be connected to a third hole 203A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200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clothes management room 11 .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common nozzle 150A may be air uniformly introduced from the first fan 92a and the second fan 92b.

따라서, 제1팬(91a)과 제2팬(91b)에 의해 제1팬하우징(92a)의 제1토출구(95a)와 제2팬하우징(92b)의 제2토출구(95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각각 제1덕트(110A)의 제1분사노즐(130Aa)과 제2덕트(120A)의 제2분사노즐(130Ab)을 통해 균등하게 분배되어 각각의 행거(60)로 전달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fan 91a and the second fan 91b discharg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95a of the first fan housing 92a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95b of the second fan housing 92b. The air may be equally distributed through the first injection nozzles 130Aa of the first duct 110A and the second injection nozzles 130Ab of the second duct 120A, respectively, and delivered to the respective hangers 60 .

제1덕트(110A)의 제1분사노즐(130Aa)과 제2덕트(120A)의 제2분사노즐(130Ab)은 각각 의류 관리실(11)에 마련된 5 개의 행거(60)에 연결된 5 개의 홀(200A) 즉, 5 개의 제2기류배출구(32a)에 연결되어 제1팬(92a)과 제2팬(92b)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의류 관리실(11)의 행거(60)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spray nozzle 130Aa of the first duct 110A and the second spray nozzle 130Ab of the second duct 120A have 5 holes ( 200A) That i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fan 92a and the second fan 92b connected to the five second air outlets 32a is uniformly distributed and delivered to the hanger 60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can

또한, 덕트(100A)의 분사 노즐(130A)은 공용 노즐(150A) 뿐만 아니라 각 노즐의 크기 및 형상을 다르게 설계하여 유량 분배를 최적의 효율로 조절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nozzle 130A of the duct 100A may be designed to have a different size and shape, as well as the common nozzle 150A, to adjust the flow distribution to optimum efficiency.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

1: 의류 관리기 10: 본체
20: 도어 40 : 기계실
50 : 열 교환장치 56 : 제1순환덕트
57 : 제1순환유로 81 : 제2순환유로
82 : 제2순환덕트 83 : 필터부재
90 : 송풍장치 91,91a,91b : 제1팬, 제2팬
92,92a,92b : 제1팬하우징, 제2팬하우징
93 : 모터 94 : 탑 커버
95a, 95b : 제1토출부, 제2토출부
99 : 덕트 브라켓 100 : 덕트
110, 110A : 제1덕트 120, 120A :제2덕트
130, 130A : 분사 노즐 140 : 유입부
141,142 : 제1유입구, 제2유입구 151,152 : 곡면부
200 : 복수의 홀
1: clothes care machine 10: body
20: door 40: machine room
50: heat exchanger 56: first circulation duct
57: first circulation passage 81: second circulation passage
82: second circulation duct 83: filter member
90: blower 91, 91a, 91b: first fan, second fan
92, 92a, 92b: first fan housing, second fan housing
93: motor 94: top cover
95a, 95b: first discharge unit, second discharge unit
99: duct bracket 100: duct
110, 110A: first duct 120, 120A: second duct
130, 130A: injection nozzle 140: inlet
141,142: first inlet, second inlet 151,152: curved part
200: Hall of Vengeance

Claims (20)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복수의 홀에 연결되도록 대응되게 마련되며,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행거;
상기 복수의 행거 내부로 기류가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의류 관리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팬과 제2팬;
상기 제1팬과 상기 제2팬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상기 제1팬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토출구를 포함하는 제1팬하우징;
상기 제2팬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토출구를 포함하는 제2팬하우징;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복수의 행거 중 일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복수의 행거 중 일부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홀과 상기 제1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제1덕트; 및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복수의 행거 중 다른 일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복수의 행거 중 다른 일부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홀과 상기 제2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제2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는 각각, 상기 복수의 홀에 대응되게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 main body including a clothing management room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 plurality of hanger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holes and provided to support clothes;
a first fan and a second fan provided to form an airflow into the plurality of hangers and disposed above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a mot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an and the second fan;
a first fan housing provided to cover the first fan and including a first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 second fan housing provided to cover the second fan and including a second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 first duct connec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plurality of hangers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so that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is transferr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hangers; and
And a second duct connec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hangers and the second outlet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transferred to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hangers. ,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each include a spray nozzl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그룹과 제2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그룹은 상기 제1덕트가 배치되는 제1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2덕트가 배치되는 제2영역에 위치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holes include a first group and a second group dispos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The first group is located in a first area where the first duct is disposed,
The second group is located in a second area where the second duct is dispo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제1그룹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덕트에 마련되는 제1분사노즐와,
상기 제2그룹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덕트에 마련되는 제2분사노즐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2,
The injection nozzle,
A first injection nozzle provided in the first duc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group;
and a second spray nozzle provided in the second duc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grou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노즐은 상기 제1덕트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spray nozzle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first duc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노즐은 상기 제2덕트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spray nozzle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second duc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 및 상기 제2덕트 각각은,
상기 제1토출구 및 제2토출구를 통해 후방에서 유입된 공기가 하측에 위치된 상기 복수의 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3,
Each of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further includes a curved part for guiding air introduced from the rea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to flow into the plurality of holes located at the lower si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 및 제2덕트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팬 및 상기 제2팬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되고 상기 곡면부를 통해 하방으로 방향 전환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6,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flows from the rear to the front by the first fan and the second fan and is changed downward through the curved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 및 상기 제2덕트 각각은,
상기 제1토출구 및 제2토출구에 대응되게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유입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6,
Each of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A clothes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n inlet portion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to correspond to the first outl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토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덕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유입구와,
상기 제2토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덕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8,
The inlet,
A first inlet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duc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a second inlet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duc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노즐 중 하나의 노즐은 상기 제2분사노즐 중 하나의 노즐과 일체로 연결되는 공용 노즐인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5,
One of the first injection nozzles is a common nozzle integrally connected to one of the second injection nozzl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노즐은,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0,
The common nozzle,
A clothes management device commonly included in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의류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행거;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의류 관리실 내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팬;
상기 제1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1팬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팬;
상기 제1팬에서 형성된 기류가 상기 복수의 행거 중 일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의류 관리실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제1그룹;
상기 제2팬에서 형성된 기류가 상기 복수의 행거 중 다른 일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의류 관리실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제2그룹;
상기 제1팬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제1토출구를 포함하는 제1팬하우징;
상기 제2팬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제2토출구를 포함하는 제2팬하우징;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그룹으로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제1덕트;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그룹으로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제2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덕트 및 상기 제2덕트 각각은, 하나의 입구와 복수의 출구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 main body including a clothing management room;
a plurality of hangers provided to hold clothes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a first fan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ed to form an airflow into the clothes management room;
a motor that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first fan;
a second fan connected to the motor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fan;
a first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so that the air flow formed by the first fan is transferr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hangers;
a second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so that the airflow formed by the second fan is transferred to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hangers;
a first fan housing provided to cover the first fan and including a first discharge port;
a second fan housing provided to cover the second fan and including a second discharge port;
a first duct provided to transfer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to the first group;
And a second duct provided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delivered to the second group,
Each of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includes one inlet and a plurality of outlet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 및 상기 제2덕트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출구는 상기 제1그룹 또는 상기 제2그룹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2,
The plurality of outlet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group or the second group.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관리실은,
상기 제1덕트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덕트가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그룹은 상기 제1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2영역에 위치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2,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A first region in which the first duct is disposed and a second region in which the second duct is disposed,
The first group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group is located in the second are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 및 상기 제2덕트 각각은,
상기 제1토출구 및 제2토출구를 통해 후방에서 유입된 공기가 하측에 위치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그룹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2,
Each of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and a curved part for guiding air introduced from the rea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into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located at a lower sid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 및 제2덕트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팬 및 상기 제2팬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되고 상기 곡면부를 통해 하방으로 방향 전환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5,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flows from the rear to the front by the first fan and the second fan and is changed downward through the curved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상기 제1토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덕트에 형성되는 제1입구와,
상기 제2덕트의 상기 제2토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덕트에 형성되는 제2입구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2,
the inlet,
A first inlet formed in the first duc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a second inlet formed in the second duc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of the second duc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에 연결되는 복수의 출구 중 하나는, 인접한 상기 제2그룹에 연결되는 복수의 출구 중 하나와 일체로 연결되는 공용 출구인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3,
One of the plurality of outlets connected to the first group is a common outlet integrally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outlets connected to the adjacent second group.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출구는,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8,
The common outlet is
A clothes management device commonly included in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송풍장치;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기류가 상기 의류를 거치하기 위한 행거에 전달되도록 상기 의류 관리실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홀 측으로 기류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복수의 홀에 각각 대응되게 연결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 main body including a clothing management room;
a blow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ed to form an airflow into the clothes management room;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clothes management room so that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is delivered to a hanger for holding the clothes;
A duct provided to guide airflow from the blower to the plurality of holes;
The duct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ole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KR1020210087609A 2021-07-05 2021-07-05 Clothes care apparatus KR202300069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609A KR20230006967A (en) 2021-07-05 2021-07-05 Clothes car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609A KR20230006967A (en) 2021-07-05 2021-07-05 Clothes car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967A true KR20230006967A (en) 2023-01-12

Family

ID=8492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609A KR20230006967A (en) 2021-07-05 2021-07-05 Clothes car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696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14811B (en) Clothes care device
US9764053B2 (en) Scent diffuse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473234B2 (en)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US11459697B2 (en) Clothes care apparatus
US20220313061A1 (en) Shoe care apparatus
KR102627704B1 (en) Clothes Care Device
US1154265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2665019B1 (en) Clothes Care Device
US20230151535A1 (en) Hange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00080962A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30006967A (en) Clothes care apparatus
US11441259B2 (en) Clothes care device
KR20240037101A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30166416A (en) Clothes care apparatus
US20230138890A1 (en) Hange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40067731A (en) Shoe care apparatus
KR20230123798A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40028143A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20161116A (en) Laundry treating appartus
KR20240073506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10049389A (en) Wrinkle care apparatus and clothes car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