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452A -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452A
KR20230006452A KR1020227033355A KR20227033355A KR20230006452A KR 20230006452 A KR20230006452 A KR 20230006452A KR 1020227033355 A KR1020227033355 A KR 1020227033355A KR 20227033355 A KR20227033355 A KR 20227033355A KR 20230006452 A KR20230006452 A KR 20230006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esources
communication
sidelink communication
sidelink
preemp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쉐 왕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06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1Multiple signal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75Space-tim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ing
    • H04L1/0693Partial feedback, e.g. partial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04W72/51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for low-latency requirements, e.g. URLL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전자 디바이스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며, 처리 회로는, UE로부터 제1 수신측 UE로의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될,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리소스 풀로부터 선택하고;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지시하기 위해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제1 스테이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의 제1 수신측 UE로의 전송을 제어하고; 다른 통신들을 위해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를 선점하기로 결정하고;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제2 스테이지 SCI에,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선점 지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내용은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전송 리소스들의 선점을 지시(indicate)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셀룰러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에 의존하고, 심지어 사용자 장비들(UE들) 사이의 통신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예를 들어, eNB 또는 gNB)을 거치고 이에 의해 관리될 필요가 있다. 즉, UE와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통신 및 다운링크 통신이 항상 발생한다. 그러나, 무선 통신 애플리케이션들이 점점 대중화됨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고, 데이터 트래픽이 항상 기지국을 거칠 필요가 있는 경우, 시스템의 용량 및 기지국의 처리 용량이 초과될 수 있다.
5G 뉴 라디오(NR)는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며, 이는 UE들이 어떠한 기지국들도 통하지 않고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사이드링크 통신의 특성들 중 하나는 UE가 통신을 위한 전송 리소스들을 자율적으로 선택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UE A는 UE B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리소스들을 자율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UE C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서비스를 요청한다고 가정하면, 중복 전송 리소스들의 경우에, UE A는 보통 UE B에 대한 것들로 복제되는 리소스들로 UE C를 스케줄링하지 않지만, 리소스 부족의 경우에, UE A는 UE C를 위해 UE B에 원래 할당된 리소스들(의 일부)을 이용할 수 밖에 없다. 이것은 또한 전송 리소스들의 선점으로서 알려져 있다. 분명한 결과는 UE B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완전히 그 자신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UE B의 데이터 수신 및 디코딩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리소스 선점의 문제를 다루는 몇 가지 가능한 방법들이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방법은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HARQ)에 의존하는 재전송이며, 즉, UE는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없을 때 데이터 재전송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부정적 확인응답(NACK)을 보고하지만, 이것은 전체 데이터 전송 블록의 재전송으로 이어져서, 통신 리소스들의 낭비를 초래한다. 다른 방법은 전송기가 제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후에 선점의 발생을 수신기에 통지하는 것이지만, 추가적인 제어 시그널링은 특정의 오버헤드를 야기할 것이고, 제어 시그널링이 검출되지 못하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전송 리소스 선점을 핸들링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본 개시내용은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전송 리소스들의 선점을 위한 지시 방법 및 대응하는 핸들링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이러한 필요성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를 적용함으로써 충족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에 관한 간략한 개요가 아래에 주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개요는 본 개시내용의 포괄적인 설명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것은 본 개시내용의 핵심 부분들 또는 중요한 부분들을 지정하거나,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것은 단지 본 개시내용에 관한 일부 개념들을 간략화된 형태로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나중에 주어질 더 상세한 설명의 서문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처리 회로는, UE로부터 제1 수신측 UE로의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리소스 풀로부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선택하고;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지시하기 위해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1 스테이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제1 수신측 UE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다른 통신을 위해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를 선점하기로 결정하고;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2 스테이지 SCI에 선점 지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처리 회로는,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전송측 UE에 의해 선택된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전송측 UE로부터 UE로의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1 스테이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수신하고;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 상에서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2 스테이지 SCI를 수신하고 - 제2 스테이지 SCI는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다른 통신을 위해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는 선점 지시를 포함함 -; 선점 지시에 기반하여,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며, 이 통신 방법은, UE로부터 제1 수신측 UE로의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리소스 풀로부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지시하기 위해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1 스테이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제1 수신측 UE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다른 통신을 위해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를 선점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2 스테이지 SCI에 선점 지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며, 이 통신 방법은,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전송측 UE에 의해 선택된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전송측 UE로부터 UE로의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1 스테이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수신하는 단계;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 상에서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2 스테이지 SCI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스테이지 SCI는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다른 통신을 위해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는 선점 지시를 포함함 -; 및 선점 지시에 기반하여,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실행될 때, 위의 통신 방법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더 나은 이해는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주어지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도면들 전반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데 이용된다.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그리고 본 개시내용의 이론 및 이점들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이하의 상세한 설명들과 함께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1은 5G NR에 의해 지원되는 V2X의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도 3은 NR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도를 예시한다.
도 4는 V2X 애플리케이션을 예로서 취하여 UE들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5는 전송측 UE가 eMBB 서비스를 위한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그리고 URLLC 서비스를 위한 제2 사이드링크 통신에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타이밍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4에서의 사이드링크 통신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eMBB 서비스를 위한 제1 사이드링크 통신 및 URLLC 서비스를 위한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의 리소스 할당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선점 지시의 예들을 예시한다.
도 9는 사이드링크 통신의 제1 스테이지 SCI, 제2 스테이지 SCI 및 데이터 사이의 연관을 도시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본 개시내용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을 예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을 예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예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명확함 및 단순함을 위해, 모든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개발자들의 특정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요건들에 따라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실시할 때 많은 구현 특정 설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더구나, 개발 작업은 복잡하고 지루함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상적인 작업일 것이라는 점을 알 것이다.
또한,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들에 밀접하게 관련된 프로세스 단계들 및/또는 디바이스 구조들만을 예시하여, 불필요한 상세들에 의해 본 개시내용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개시내용 및 그 응용들의 범위를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해결책들의 편리한 설명을 위해,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들이 5G NR의 맥락에서 아래에 설명될 것이고, 특히, 사이드링크 통신은 V2X(차량 대 사물)의 예시적인 응용 시나리오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내용의 응용 범위에 대한 제한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는 4G LTE/LTE-A와 같은 다양한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 또는 미래에 개발될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되는 아키텍처들, 엔티티들, 기능들, 프로세스들 등은 NR 또는 다른 통신 표준들에서 발견될 수 있다.
도 1은 5G NR에 의해 지원되는 V2X의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독립형 V2X 시나리오에서, UE로서의 차량내 디바이스는 NR 통신 시스템의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NG-RAN) 노드(예를 들어, gNB)를 통해 5G 코어 네트워크(5GC)에 접속된다. 또한, 다른 V2X 시나리오들에서, 차량내 디바이스는 또한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노드(예를 들어, eNB 또는 ng-eNB)를 통해 4G 코어 네트워크 또는 5G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이하, eNB, gNB, ng-eNB 등은 집합적으로 "기지국"이라고 지칭된다. 독립형 V2X에 더하여, 다중-라디오 액세스 기술 이중 접속(MR-DC)의 V2X 시나리오도 존재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차량내 디바이스)는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UE들 사이의 직접 통신, 즉 사이드링크 통신(때때로 직접 링크 통신이라고도 지칭됨)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과의 업링크 통신 또는 다운링크 통신과 달리, 사이드링크 통신은 UE들 사이의 통신이 기지국을 거치지 않게 하여,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키면서, 또한 더 낮은 레이턴시를 달성한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예를 들어, 각각의 UE에서 "PC5"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직접 링크를 통해 확립될 수 있다. 기지국의 제어/구성에 따라, 차량내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NR 사이드링크 통신 또는 LTE 사이드링크 통신이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설명은 주로 NR 사이드링크 통신에 초점을 맞추지만,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는 LTE 사이드링크 통신 또는 다른 유사한 UE간 직접 통신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V2X 서비스에 관여된 차량내 디바이스는 종종 본 개시내용의 명세서 및 도면들에서 UE의 예로서 취해지지만, 본 개시내용에서의 "UE"라는 용어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전화,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차량내 통신 디바이스, 드론 등의 다양한 단말기 디바이스들 또는 그 요소들을 포함하는, 그 일반적인 의미의 전체 범위를 가진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UE의 응용 예들은 다음의 챕터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NR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를 예시하며, 도 2a는 사용자 평면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하고, 도 2b는 일대일 사이드링크 통신의 제어 평면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5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계층은 물리적 계층(PHY), 매체 액세스 제어(MAC) 하위 계층, 라디오 링크 제어(RLC) 하위 계층 및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하위 계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위 계층들 사이의 관계는 PHY 계층이 최하위 계층이고 신호들에 대한 투명한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를 구현하고, PHY 계층이, 시스템 관련 정보 및 동기화 관련 정보를 운반하는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사이드링크 발견 메시지들을 운반하는 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제어 정보를 운반하는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및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운반하는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와 같은, 전송 채널들을 MAC 하위 계층에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MAC 하위 계층은 논리적 채널들을 RLC 하위 계층에 제공하고, RLC 하위 계층은 RLC 채널들을 PDCP 하위 계층에 제공하며, PDCP 하위 계층은 라디오 베어러들을 SDAP 하위 계층에 제공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평면에서, PC5 시그널링 프로토콜 스택은 PHY 계층, MAC 하위 계층, RLC 하위 계층, PDCP 하위 계층, 및 PC5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특히, MAC 하위 계층은 라디오 전송을 위한 리소스 선택, 사이드링크 통신 및 V2X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패킷 필터링, V2X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전송 캐리어 선택 등을 담당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전송 리소스들" 또는 "리소스들"은 시간-도메인 리소스들 및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들과 같은, 제어 정보 및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되는 라디오 리소스들을 지칭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전송 리소스들은 또한, 예를 들어, 공간-도메인 리소스들, 코드-도메인 리소스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5G NR에서의 시간-주파수 전송 리소스들은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NR의 다운링크 전송, 업링크 전송 및 사이드링크 전송은 프레임들로 조직화된다. 도 3은 NR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은 10ms의 길이를 가지며 동일한 크기의 2개의 절반 프레임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길이가 1ms인 동일한 크기의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추가로 분할된다. LTE 통신 시스템과 달리, NR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유연한 구조를 갖는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구성가능한 시간 슬롯들을 가지며
Figure pct00001
개의 연속적인 시간 슬롯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시간 슬롯은 또한 구성가능한 수의 심볼들을 가지며
Figure pct00002
개의 OFDM 심볼을 가질 수 있으므로,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수
Figure pct00003
의 연속적인 심볼들을 갖는다.
아래의 표 1은 정상 순환 프리픽스의 경우에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구성들 μ(μ의 값은 0, 1, 2, 3, 4일 수 있음)에 대한 슬롯당 심볼들의 수, 서브프레임당 슬롯들의 수 및 서브프레임당 심볼들의 수를 도시하고, 표 2는 확장된 순환 프리픽스의 경우에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구성들 μ(μ의 값은 2일 수 있음)에 대한 슬롯당 심볼들의 수, 서브프레임당 슬롯들의 수 및 서브프레임당 심볼들의 수를 도시한다. 각각의 시간 슬롯은 여러 개의 리소스 블록(RB)을 포함한다. 시간 슬롯은 리소스 요소들(RE들)의 그리드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시간 슬롯의 리소스 블록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12개의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정상 순환 프리픽스에 대해 시간 도메인에서 14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는 경우, 각각의 시간 슬롯에는 12×14=168개의 리소스 요소가 할당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전송 리소스들의 스케줄링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시간 슬롯에 기반하며, 시간 슬롯에서의 OFDM 심볼들은 연속적인 방식으로 이용하기 위해 UE마다 할당된다. 멀티-슬롯 스케줄링 및 크로스-슬롯 스케줄링이 또한 실현가능하다. 추가적으로, NR은 전송들이 시간 슬롯의 일부에 걸쳐 스케줄링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낮은 레이턴시에 대한 더 효율적인 스케줄링 결정을 지원하고, 즉, 전송들은 시간 슬롯의 시작 부분으로부터 시작하도록 제한되지 않을 수 있어서, 시간 슬롯에서의 임의의 OFDM 심볼로부터 또한 시작할 수 있다. 이는 시간적 분산 강건성을 희생하지 않고 가능한 최저의 레이턴시를 낳는다.
5G NR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의 리소스 할당과 관련하여, UE는 2개의 리소스 할당 모드를 채택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소스 할당 모드 1은 기지국-스케줄링된 리소스 할당이고, 즉, UE가 기지국과의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접속을 확립했을 때, UE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리소스들을 요청하고, 이어서 기지국은 UE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한다.
사이드링크 리소스 할당 모드 2는 UE-자율적 리소스 할당이다. 구체적으로, UE는 자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리소스 풀로부터 리소스들을 선택하고 전송 포맷 선택을 수행하여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리소스 풀은 사이드링크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UE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리소스들의 세트이다. UE의 관점에서, 리소스 풀은 사이드링크 대역폭 부분(BWP)에서 UE의 대역폭 내에 있으며 단일 뉴머롤로지를 갖는다. UE가 셀의 커버리지 밖에 있을 때, 하나 이상의(예를 들어, 최대 8개의) 미리 구성된 리소스 풀이 있을 수 있고, UE가 셀의 커버리지 내에 있을 때, 하나 이상의(예를 들어, 최대 8개의) 리소스 풀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제공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에서, UE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리소스 풀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리소스 풀이 선택되면, 그 선택은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 전체에 걸쳐 유효하다. 현재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이 종료된 후에, UE는 리소스 풀 선택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UE는 단일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 내에 상이한 목적지들로의 복수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된다. UE-자율적 리소스 할당 모드에서, 이용가능한 전송 리소스들이 비교적 제한되고, 불충분한 리소스들로 인한 리소스 선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 주어진다.
도 4는 예시적인 V2X 애플리케이션에서 UE가 사이드링크 통신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이하, 데이터를 전송하는 UE는 "전송측 UE"라고 지칭되고, 따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UE는 "수신측 UE"라고 지칭된다. 데이터 전송은 수신측 UE가 서비스 요청을 개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트리거링될 수 있다. 전송측 UE는 높은 대역폭을 특징으로 하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서비스, 낮은 레이턴시 및 높은 신뢰성을 특징으로 하는 URLLC(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서비스, 대규모 액세스들을 특징으로 하는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수신측 UE에 제공할 수 있다. 상이한 서비스들은 상이한 우선순위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URLLC 서비스는 레이턴시에 대한 높은 요건을 가지며, 가능한 한 짧은 처리 시간 및 전송 시간을 요구하므로,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질 수 있는 반면, eMBB 서비스는 낮은 우선순위가 주어질 수 있지만, 이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2개의 수신측 UE("제1 수신측 UE", "제2 수신측 UE")가 도 4에 도시되지만, 수신측 UE들의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전송측 UE는,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통해, 도 4에 예시된 eMBB 서비스와 같은, 제1 서비스를 제1 수신측 UE에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전송측 UE는,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을 통해, 도 4에 예시된 URLLC 서비스와 같은, 제2 서비스를 제2 수신측 UE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는 상이한 우선순위들을 가질 수 있다. 도 4가 eMBB 서비스 및 URLLC 서비스를 제1 사이드링크 통신 및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예들로서 도시하지만, 이것은 이해의 용이함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5는 전송측 UE가 제1 사이드링크 통신 및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타이밍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수신측 UE로부터의 eMBB 서비스 요청(예를 들어, 고품질 음악 서비스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eMBB 데이터 전송을 위한 리소스 선택이 시간 n에서 트리거링되고, 선택 윈도우는 (n+T1)~(n+T2)이다. 전송측 UE는, 특정 시간 슬롯에서의 몇 개의 서브채널들과 같은, 선택 윈도우 내에서 eMBB 서비스를 위한 전송 리소스들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시간 n1에서, 전송측 UE는 제2 수신측 UE로부터 URLLC 서비스 요청(예컨대, 사고 경고 서비스)을 갑자기 수신하고, URLLC 데이터 전송을 위한 리소스 선택을 트리거링하며, 선택 윈도우는 (n1+T1)~(n1+T2)이지만, 이 선택 윈도우 내의 이용가능한 리소스들은 제1 수신측 UE로 예정된 eMBB 서비스에 이미 할당되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URLLC 서비스의 우선순위는 eMBB 서비스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전송측 UE는 URLLC 서비스 요청을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하지만, 음악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은 제1 수신측 UE의 사운드 품질 및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불충분한 전송 리소스들의 경우에, 실현가능한 해결책은 동일한 전송 리소스들을 통해 고품질 오디오 데이터를 제1 수신측 UE에 전송하고 사고 경고 메시지를 제2 수신측 UE에 전송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측 UE는 제1 사이드링크 통신(eMBB)(음영으로 도시됨)에 할당된 전송 리소스들의 일부를 제2 사이드링크 통신(URLLC)에 대신 할당할 수 있고, 즉, 전송 리소스들의 선점이 발생한다.
도 4에서의 사이드링크 통신의 프로세스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먼저, 전송측 UE는 제1 수신측 UE로의 eMBB 데이터 전송을 위한 리소스들을 결정하도록 트리거링될 수 있다. UE-자율적 리소스 선택 모드에서, 전송측 UE는 감지에 의해 리소스 풀로부터 리소스들을 선택할 수 있다. 위에 소개된 바와 같이, 전송측 UE에서의 리소스 풀은 미리 구성되거나 시그널링을 통해 스케줄링될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각각의 리소스 풀은 numSubchannel개의 연속적인 서브채널로 구성되고, 각각의 서브채널은 subchannelsize개의 연속적인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으로 구성되고, numSubchannelsubchannelsize 둘 다는 상위 레벨 파라미터들이다. 감지 동안, 전송측 UE는 하나 이상의 다른 UE로부터 PSCCH 상에서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수신한다. PSCCH 상의 SCI는 "제1 스테이지 SCI"로도 지칭되며, 이는 PSSCH 및 PSSCH 상의 SCI(이 SCI는 "제2 스테이지 SCI"로 지칭됨)를 스케줄링하는데 이용된다. 제1 스테이지 SCI는 다음의 필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스케줄링된 PSSCH의 우선순위를 지시하는 우선순위;
- 스케줄링된 PSSCH의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들을 지시하는 주파수 리소스 할당;
- 스케줄링된 PSSCH의 시간-도메인 리소스들을 지시하는 시간 리소스 할당;
- 리소스 예비 기간;
- DMRS 패턴;
- 제2 스테이지 SCI의 포맷;
- β 오프셋 지시자;
- DMRS 포트들의 수;
- 변조 및 코딩 방식 등.
다른 UE들에 의해, 즉 "주파수 리소스 할당" 및 "시간 리소스 할당" 필드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제1 스테이지 SCI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디코딩함으로써, 전송측 UE는 선택된 리소스 풀 내의 어느 리소스들이 이미 이용 중인지를 알기 위해,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위해 다른 UE들에 의해 이용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에 관한 지식을 취득할 것이다. 따라서, 전송측 UE는 UE간 간섭을 피하기 위해, 리소스 풀로부터, 다른 UE들에 의해 이용되지 않았던, eMBB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 리소스들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송측 UE는 제2 수신측 UE로의 URLLC 데이터 전송을 위한 리소스들을 결정하도록 트리거링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논의되는 경우에, URLLC 리소스 선택 윈도우 내에서 이용가능한 리소스들은 제1 수신측 UE에 할당되었고, 전송측 UE는 이때 제1 수신측 UE에 할당된 전송 리소스들의 일부를 선점하기로 결정할 것이다. 도 7은 eMBB 서비스를 위한 제1 사이드링크 통신 및 URLLC 서비스를 위한 제2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리소스 할당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SCI 및 eMBB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선택된 리소스들은 하나의 시간 슬롯(OFDM 심볼들 0-13)에 4개의 서브채널(서브채널들 0-3)을 포함하고, 여기서, 보다 음영진 정사각형들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의 SCI 및 URLLC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전송 리소스들의 일부가 선점된다.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은 제1 수신측 UE가 제2 스테이지 SCI를 올바르게 수신 및 디코딩할 수 없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제2 스테이지 SCI(도 7에 도시되지 않음)에 할당된 전송 리소스들을 선점해서는 안 된다.
리소스 선택이 완료된 후, 전송측 UE는 예를 들어, PSSCH의 우선순위 정보, 시간-주파수 리소스 정보, DMRS 패턴 등을 지정하기 위해 대응하는 필드들을 채움으로써 제1 사이드링크 통신 및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의 PSSCH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1 스테이지 SCI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제1 스테이지 SCI는 또한 스케줄링된 PSSCH와 연관되는 제2 스테이지 SCI의 포맷을 지정한다. 제1 스테이지 SCI에 대해 순환 중복 검사(CRC) 추가, 채널 코딩, 레이트 매칭, 및 멀티플렉싱과 같은 처리를 수행한 후에, 전송측 UE는 PSCCH를 통해 제1 스테이지 SCI를 전송한다. 수신측에서, 전송측 UE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제1 스테이지 SCI를 수신하고 디코딩함으로써, 제1 수신측 UE 및 제2 수신측 UE는 PSS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에 관한 정보, PSSCH 상의 제2 스테이지 SCI를 디코딩하는 것에 관한 정보 등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전송측 UE는 PSSCH를 디코딩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스테이지 SCI를 생성한다. 제2 스테이지 SCI는 다음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HARQ 프로세스 ID;
-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
- 중복 버전;
- 소스 ID;
- 목적지 ID;
- CSI 요청;
- 선점 지시 등.
SCI의 제2 스테이지는 CRC 추가, 채널 코딩, 레이트 매칭 등과 같은 처리를 겪는다. "전송 블록(TB)"으로서, MAC 계층으로부터 전송될 데이터는 CRC 추가, 코드 블록 세그먼트화, 채널 코딩, HARQ 프로세스, 레이트 매칭 등과 같은 일련의 처리를 거친다. 그 후, 제2 스테이지 SCI 및 데이터는 PSSCH 상에 멀티플렉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측 UE는 제2 스테이지 SCI에 선점 지시(PI)를 설정한다. 선점 지시는 제2 스테이지 SCI와 연관된 PSSCH의 전송 리소스들이 선점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제2 스테이지 SCI에서 예비된 필드 또는 새로 추가된 필드를 이용할 수 있다.
선점 지시는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도 7에 도시된 리소스 선점을 지시하기 위한 선점 지시의 몇몇 예들이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예로서, 제2 스테이지 SCI에서의 선점 지시는 1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리소스들의 선점의 경우에, 전송측 UE는 이 비트를 미리 정의된 값(예를 들어, '1')으로 설정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이는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전송 리소스들이 선점되어, 그 제2 스테이지 SCI에서의 선점 지시가 '1'로 설정된다. 따라서, 선점자로서,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의 제2 스테이지 SCI에서의 선점 지시는 '0' 또는 널로 설정될 수 있다. 선점 지시는 (파선 박스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된 전송 리소스들의 전체 세트에 대해 기능하며, 선점의 존재 또는 부재만을 지시하지만, 어느 전송 리소스들이 선점되는지를 지시할 수 없다.
다른 예로서, 선점 지시는 (N symbol +N Subchannel )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N symbol N Subchannel 은 각각, 할당된 전송 리소스들에 의해 포함된 시간 차원에서의 심볼들의 수 및 주파수 차원에서의 서브채널들의 수를 나타낸다. 전송 리소스들의 선점의 경우에, 전송측 UE는 선점 지시를 설정할 수 있어서, 그 안의 N symbol 비트는 비트맵으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에 수반되는 심볼들을 지시하고, 그 안의 N Subchannel 비트는 비트맵으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에 수반되는 서브채널들을 지시한다. 도 8b에 도시된 예에서, 선점 지시는 (010011100110001111)로 설정될 수 있고, 여기서 처음 14 비트는 OFDM 심볼들 1, 4-6 및 9-10에 선점이 존재하는 것을 지시하고, 마지막 4 비트는 서브채널 0-3에 선점이 존재하는 것을 지시한다. 따라서, 선점자로서,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의 제2 스테이지 SCI에서의 선점 지시는 모두 0들 또는 널로 설정될 수 있다. 선점 지시는 심볼들을 나타내는 비트들이 먼저 오고 서브채널을 나타내는 비트들이 마지막으로 오는 순서로 제한되지 않고, '1'로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고 '0'으로 선점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선점 지시는, 파선 박스들로 표시된 바와 같이, 관련 OFDM 심볼들 및 서브채널들, 즉, 리소스 그리드의 전체 행 및 열에 대해 기능한다.
또 다른 예로서, 선점 지시는 (N symbol ×N Subchannel )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N symbol N Subchannel 은 각각, 할당된 전송 리소스들에 포함된 시간 차원에서의 심볼들의 수 및 주파수 차원에서의 서브채널들의 수를 나타낸다. 전송 리소스들의 선점의 경우에, 전송측 UE는 선점 지시를 설정할 수 있어서, (N symbol ×N Subchannel ) 비트는 비트맵으로 선점되는 특정 전송 리소스들을 지시한다. 도 8c에 도시된 예에서, 선점 지시는 서브채널 0에서의 OFDM 심볼들 9-10, 서브채널 1에서의 OFDM 심볼들 4-6 및 9-10, 서브채널 2에서의 OFDM 심볼들 4-6 및 서브채널 3에서의 OFDM 심볼 1이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000000000011000 00001110011000 00001110000000 0100000000000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선점 지시는 먼저 서브채널들 그리고 나중에 심볼들의 순서로 제한되지 않고, '1'로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고 그리고 '0'으로 선점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선점 지시는, 파선 박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점되는 특정 전송 리소스들, 즉 리소스 그리드에서의 특정 리소스 요소들에 대해 기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3가지 유형의 선점 지시는 지시 정밀도들을 차례로(by degrees)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라 증가된 비트들을 차례로 또한 소비한다. 실제로, 어느 유형의 선점 지시가 이용될지는 요구되는 지시 정밀도 및 비트 수의 제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유형들의 선점 명령들과 비교하여, 제3 유형의 선점 명령에 의해 소비되는 비트들의 수는 할당될 수 있는 서브채널들의 최대 수에 비례한다. 따라서, RRC 구성을 통해, 서브채널들의 수 N Subchannel <X일 때, 제3 유형의 선점 지시가 이용될 수 있고, 서브채널들의 수 N Subchannel ≥X일 때, 제1 또는 제2 유형의 선점 지시가 이용될 수 있고, 여기서 X는 2, 3, 4 등과 같은 미리 구성된 파라미터이다.
도 9는 제1 및 제2 사이드링크 통신들의 데이터, 제1 스테이지 SCI, 및 제2 스테이지 SCI 간의 연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여기서 제1 스테이지 SCI(101)는 제1 수신측 UE로 예정된 eMBB 데이터(103) 및 제2 스테이지 SCI(102)를 스케줄링하는데 이용되고, 제1 스테이지 SCI(201)는 제2 수신측 UE로 예정된 URLLC 데이터(203) 및 제2 스테이지 SCI(202)를 스케줄링하는데 이용된다. 도 9로부터, 제2 수신측 UE로의 사이드링크 통신이 제1 수신측 UE에 원래 속하는 리소스들을 선점했다는 것(제1 수신측 UE에 원래 속하는 리소스들의 일부가 비어 있다(hollowed out)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스테이지 SCI(102)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리소스들은 선점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9가 제1 스테이지 SCI를 운반하는 PSCCH를 제2 스테이지 SCI 및 데이터를 운반하는 PSSCH와 별개로 도시하지만, 이 둘은 동일한 시간 슬롯에서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렉싱 후에,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은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매립되는 것으로 보인다.
도 6의 흐름도로 돌아가면, 제1 수신측 UE 및 제2 수신측 UE는 PSCCH 상에서 제1 스테이지 SCI(101 및 201)를 수신하여, 전송측 UE에 의해 이들에게 할당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 제2 스테이지 SCI의 포맷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이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수신측 UE는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들 상에서 제2 스테이지 SCI(102) 및 eMBB 데이터(103)를 수신할 것이고, 제2 수신측 UE는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들 상에서 제2 스테이지 SCI(202) 및 URLLC 데이터(203)를 수신할 것이다.
제1 수신측 UE는, 제2 스테이지 SCI에 설정된 선점 지시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그 할당된 전송 리소스들의 적어도 일부가 선점되는 것을 알게 된다. 선점 지시의 유형에 따라, 제1 수신측 UE에 의해 알게 된 선점된 리소스들의 세분성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선점 지시가 이용될 때, 제1 수신측 UE는 선점의 존재만을 알 것이고, 어느 전송 리소스들이 선점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지 못할 것이다. 그 결과, 제1 수신측 UE는 이 수신된 데이터를 포기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버퍼링 및 디코딩을 피할 수 있다. 제2 유형의 선점 지시가 이용될 때, 제1 수신측 UE는 그 선점에 수반되는 OFDM 심볼들 및 서브채널들을 알 수 있을 것이고, 그 결과, 제1 수신측 UE는 지시된 심볼들 및 서브채널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하지 않을 수 있지만, 여전히 그 선점에 수반되지 않은 전송 리소스들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할 필요가 있다. 제3 유형의 선점 지시가 이용될 때, 제1 수신측 UE는 어느 전송 리소스들이 선점되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리소스들 상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그것에 속하지 않고 따라서 수신 및 디코딩될 필요가 없지만, 제1 수신측 UE는 선점되지 않은 리소스들 상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할 수 있다.
전송측 UE는 리소스 선점으로 인해 제1 수신측 UE에 전송되지 않았던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송측 UE는 선점에 관한 상세들을 알기 때문에, 제1 수신측 UE로부터의 피드백 없이 자체적으로 데이터 재전송을 준비할 수 있다. 전송측 UE는 (제1 유형의 선점 지시에 대한) 전체 데이터 전송 블록, (제2 또는 제3 유형의 선점 지시에 대한) 선점에 수반되는 전송 리소스들 상의 데이터의 일부와 같은 데이터를 예비된 리소스들 또는 재선택된 리소스들을 통해 제1 수신측 UE에 재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데이터 재전송은 또한 HARQ 메커니즘에 기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수신측 UE는 PSFCH를 통해 전송측 UE에 NACK를 피드백할 수 있고, 전송측 UE는 예비된 리소스들 또는 재선택된 리소스들 상에서 데이터를 제1 수신측 UE에 재전송할 수 있다.
제2 수신측 UE의 경우, 대응하는 제2 스테이지 SCI에서의 선점 지시가 선점을 지시하도록 설정되지 않기 때문에, 제2 수신측 UE는 SCI에서 운반된 정보에 기반하여 그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할 수 있고, 이는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측 UE는 PSSCH와 연관된 제2 스테이지 SCI에 선점 지시를 설정함으로써 리소스 선점에 관한 정보를 수신측 UE에 전달하고, 이에 의해 수신측 UE는 어느 데이터가 자신에게 속하지 않는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고, 따라서 부정확한 디코딩의 오버헤드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지시 방법은 제2 스테이지 SCI에 적은 수의 비트들만을 추가하고, 선점 지시에 더하여, 새로운 제어 시그널링이 또한 선점 명령의 정확한 수신을 보장하기 위해 소스 ID, 목적지 ID 등과 같은 식별 정보를 포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새로운 제어 시그널링의 이용과 비교하여 리소스 오버헤드를 절약하고, 또한 새로운 제어 시그널링의 검출 실패 및 대기 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전송측 UE는 리소스 선점을 알고 있고, UE로부터 HARQ 피드백을 수신하지 않고 데이터 재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으며, 선점된 리소스들의 데이터만을 재전송하면 될 수 있다.
제1 수신측 UE에 대해 스케줄링된 전송 리소스들이 전송측 UE로부터 제2 수신측 UE로의 사이드링크 통신에 의해 선점되는 것이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되었지만,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의 이용은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측 UE의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은 또한 비-사이드링크 통신과 같은 다른 유형들의 통신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실제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은 제1 수신측 UE와 무관하며, 임의의 다른 가능한 통신 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전송측 UE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경우들에서, 제1 수신측 UE의 전송 리소스들을 선점하는 하나보다 많은,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UE가 존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및 통신 방법이 설명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본 개시내용에 따른, UE측 상의 전자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a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전자 디바이스(1000)는 도 4에 도시된 전송측 UE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0)는 후술될 전자 디바이스(1100)와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0)는 적어도 리소스 할당 유닛(1002) 및 PI 설정 유닛(103)을 포함하는 처리 회로(1001)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1001)는 도 10b에 도시된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1001)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기능들을 수행하는 디지털 회로, 아날로그 회로, 또는 혼합 신호(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의 조합) 회로의 다양한 구현들을 지칭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예를 들어 집적 회로(IC), 주문형 집적 회로(ASIC), 개별 프로세서 코어의 일부 또는 회로, 전체 프로세서 코어, 개별 프로세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와 같은 프로그래머블 하드웨어 디바이스 및/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같은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1001)의 리소스 할당 유닛(1002)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전송 리소스 할당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리소스 할당 유닛(1002)은, 전송측 UE로부터 제1 수신측 UE로의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리소스 풀로부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선택하도록(즉, 도 10b의 단계 S1001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소스 할당 유닛(1002)은 UE 자율적 리소스 선택 모드에 따라 리소스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된 전송 리소스 세트는 하나의 시간 슬롯에 포함된 전송 리소스들일 수 있다.
리소스 할당 유닛(1002)은, 예를 들어, 제1 스테이지 SCI에 의해(즉, 도 10b의 단계 S1002를 수행하기 위해) 제1 수신측 UE로의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를 지시한다. 리소스 할당의 결과에 기반하여, 처리 회로(1001)는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제1 스테이지 SCI에 리소스 할당 정보를 운반하는 필드를 설정하고, PSCCH 상에서 제1 스테이지 SCI를 전송하도록 제어하여, 제1 수신측 UE가 제2 스테이지 SCI 및 데이터 등을 모니터링하는데 이용되는 리소스들을 알기 위해 제1 스테이지 SCI를 수신 및 디코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에 추가하여, 리소스 할당 유닛(1002)은 또한 불충분한 리소스들의 경우에 다른 통신을 위해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전송 리소스들의 일부를 선점하기로 결정하도록(즉, 도 10b의 단계 S1003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송 리소스들의 일부는 전송측 UE로부터 제2 수신측 UE로의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선점될 수 있고,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의 우선순위는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우선순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제2 스테이지 SCI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리소스들은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제2 스테이지 SCI의 디코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선점되어서는 안 된다.
처리 회로(1001)의 PI 설정 유닛(1003)은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제2 스테이지 SCI에 선점 지시를 설정하도록(즉, 도 10b의 단계 S1004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점 지시는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전송 리소스들이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는데 이용된다. 예로서, 선점 지시는 리소스 선점이 발생하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1 비트를 이용할 수 있거나, 선점에 수반되는 리소스들을 비트맵의 형태로 지시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0)는 또한, 예를 들어, 통신 유닛(1005)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1005)은 처리 회로(1001)의 제어 하에서 수신측 UE(예컨대, 이하에서 설명될 전자 디바이스(1100))와의 사이드링크 통신, 또는 다른 유형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통신 유닛(1005)은 안테나 어레이 및/또는 라디오 주파수 링크와 같은 통신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트랜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유닛(1005)은 파선으로 그려지는데, 그 이유는 통신 유닛이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0) 외부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자 디바이스(1000)는 메모리(100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06)는 다양한 데이터 및 명령어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들 및 데이터, 처리 회로(1001)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06)는 처리 회로(1001) 내에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0)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으므로 파선으로 그려진다. 메모리(1006)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06)는 RAM(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본 개시내용에 따른 UE측 상의 전자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a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전자 디바이스(1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신측 UE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100)는 전술된 전자 디바이스(1000)와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100)는 처리 회로(1101)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1101)는 적어도 수신 유닛(1102) 및 디코딩 유닛(1103)을 포함한다. 처리 회로(1101)는 도 11b에 도시된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1001)와 유사하게, 처리 회로(1101)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기능들을 수행하는 디지털 회로, 아날로그 회로, 또는 혼합 신호(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의 조합) 회로의 다양한 구현들을 지칭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예를 들어 집적 회로(IC), 주문형 집적 회로(ASIC), 개별 프로세서 코어의 일부 또는 회로, 전체 프로세서 코어, 개별 프로세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와 같은 프로그래머블 하드웨어 디바이스 및/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같은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1101)의 수신 유닛(1102)은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전송측 UE로부터 수신측 UE로의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제1 스테이지 SCI를 수신하도록(즉, 도 11b의 단계 S1101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 스테이지 SCI의 전송은 예를 들어 PSCCH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 유닛(1102)은 전송측 UE로부터 수신측 UE로의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제2 스테이지 SCI를 수신하도록(즉, 도 11b의 단계 S1102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제2 스테이지 SCI는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전송 리소스들이 다른 통신에 의해 선점되는지를 지시할 수 있는 선점 지시, 및 임의적으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선택된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전송측 UE로부터 다른 수신측 UE로의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선점될 수 있고,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은 제1 사이드링크 통신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디코딩 유닛(1103)은 제2 스테이지 SCI에서의 선점 지시에 기반하여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하도록(즉, 도 11b의 단계 S1103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선점 지시의 기능 범위에 따라, 디코딩 유닛(1103)은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 상의 전체 데이터 전송 블록 또는 데이터의 일부를 디코딩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100)는 또한, 예를 들어, 통신 유닛(1105)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1105)은 처리 회로(1101)의 제어 하에 전송측 UE(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1000))와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통신 유닛(1105)은 안테나 어레이 및/또는 라디오 주파수 링크와 같은 통신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트랜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유닛(1105)은 파선으로 그려져 있는데, 그 이유는 통신 유닛이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0) 외부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자 디바이스(1100)는 또한 메모리(1106)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6)는, 전자 디바이스(1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들 및 데이터, 처리 회로(201)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6)는 처리 회로(1101) 내에 또는 전자 디바이스(1100)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으므로 파선으로 그려진다. 메모리(1106)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06)는 RAM(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태들이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안테나 어레이, 포트들, 기준 신호들, 통신 디바이스들, 통신 방법들 등의 구조, 배열, 유형, 수 등은 설명을 위해 예시되며,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을 이러한 특정 예들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위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1000 또는 2000)의 다양한 유닛들은 이들이 구현하는 특정 기능들에 따라 분할되는 논리적 모듈들일 뿐이며, 특정 구현들을 제한하는데 이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 구현에서, 전술한 유닛들은 개별 물리적 엔티티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단일 엔티티(예를 들어, 프로세서(CPU 또는 DSP 등), 집적 회로 등)에 의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구현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본 개시내용의 개념들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구현들이 구상될 수 있다:
1).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며, 처리 회로는, UE로부터 제1 수신측 UE로의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리소스 풀로부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선택하고;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지시하기 위해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1 스테이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제1 수신측 UE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다른 통신을 위해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를 선점하기로 결정하고;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2 스테이지 SCI에 선점 지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2). 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는 UE로부터 제2 수신측 UE로의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선점된다.
3). 2)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의 우선순위는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우선순위보다 더 높다.
4). 1) 또는 2)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선점 지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선점되는 경우, 선점 지시를 미리 정의된 값으로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5). 1) 또는 2)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선점 지시는 (N symbol +N Subchannel ) 비트를 포함하고 비트맵의 형태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에 수반되는 심볼들 및 서브채널들을 지시하고, N symbol N Subchannel 은 각각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에 포함된 시간 차원에서의 심볼들의 수 및 주파수 차원에서의 서브채널들의 수를 나타낸다.
6). 1) 또는 2)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선점 지시는 (N symbol ×N Subchannel ) 비트를 포함하고 비트맵의 형태로 특정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을 지시하고, N symbol N Subchannel 은 각각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에 포함된 시간 차원에서의 심볼들의 수 및 주파수 차원에서의 서브채널들의 수를 나타낸다.
7). 1) 또는 2)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는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8). 1) 또는 2)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은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2 스테이지 SCI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전송 리소스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9). 2)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은 eMBB 통신에 대응하고,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은 URLLC 통신에 대응하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는 하나의 시간 슬롯 내에 있다.
10).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며, 처리 회로는,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전송측 UE에 의해 선택된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전송측 UE로부터 UE로의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1 스테이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수신하고;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 상에서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2 스테이지 SCI를 수신하고 - 제2 스테이지 SCI는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다른 통신을 위해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는 선점 지시를 포함함 -; 선점 지시에 기반하여,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11). 10)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는 전송측 UE로부터 제2 수신측 UE로의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선점된다.
12). 1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의 우선순위는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우선순위보다 더 높다.
13). 10) 또는 1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선점 지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선점되는 경우에 미리 정의된 값으로 설정된다.
14). 10) 또는 1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선점 지시는 (N symbol +N Subchannel ) 비트를 포함하고 비트맵의 형태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에 수반되는 심볼들 및 서브채널들을 지시하고, N symbol N Subchannel 은 각각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에 포함된 시간 차원에서의 심볼들의 수 및 주파수 차원에서의 서브채널들의 수를 나타낸다.
15). 10) 또는 1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선점 지시는 (N symbol ×N Subchannel ) 비트를 포함하고 비트맵의 형태로 특정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을 지시하고, N symbol N Subchannel 은 각각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에 포함된 시간 차원에서의 심볼들의 수 및 주파수 차원에서의 서브채널들의 수를 나타낸다.
16). 10) 또는 1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는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에 대응하고 전송측 UE에 의해 재전송되는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17). 10) 또는 1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은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2 스테이지 SCI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전송 리소스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18). 10) 또는 1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는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 상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디코딩하지 않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19). 1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은 eMBB 통신에 대응하고,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은 URLLC 통신에 대응하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는 하나의 시간 슬롯 내에 있다.
20). 통신 방법으로서, UE로부터 제1 수신측 UE로의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리소스 풀로부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지시하기 위해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1 스테이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제1 수신측 UE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다른 통신을 위해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를 선점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2 스테이지 SCI에 선점 지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1). 통신 방법으로서,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전송측 UE에 의해 선택된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전송측 UE로부터 UE로의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1 스테이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수신하는 단계;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 상에서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2 스테이지 SCI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스테이지 SCI는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다른 통신을 위해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는 선점 지시를 포함함 -; 및 선점 지시에 기반하여,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2).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실행될 때, 20) 또는 21)의 통신 방법을 수행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본 개시내용의 응용 예들]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다양한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0 및 1100)는 다양한 사용자 디바이스들로서 구현되거나 다양한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방법은 다양한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 및 동작들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로서 구현될 수 있고, 위에 언급된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은 다양한 사용자 디바이스들에서 위에서 언급된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된 기지국들은 바람직하게는 3GPP 5G NR 표준에 정의된 매크로 gNB 또는 ng-eNB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기지국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gNB는 피코 gNB, 마이크로 gNB, 및 홈(펨토) gNB와 같이, 매크로 셀보다 작은 셀을 커버하는 gNB일 수 있다. 대신에, 기지국은 NodeB, eNodeB 및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과 같은 임의의 다른 유형들의 기지국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은 무선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본체, 및 본체와 상이한 장소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원격 라디오 헤드(RRH), 무선 중계기, 드론 제어 타워, 자동화된 공장 내의 주 제어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PC, 휴대용 게임 단말기, 휴대용/동글형 모바일 라우터, 및 디지털 카메라 장치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 또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와 같은 차량내 단말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또한 M2M(machine-to-machine)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기라고도 지칭됨), 드론, 자동화된 공장에서의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 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는 위의 단말기들 각각에 장착된 (단일 다이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모듈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이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예들이 이하에서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1 응용 예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16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예에서, 스마트폰(1600)은 도 10a를 참조하여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1000) 또는 도 11a를 참조하여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110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폰(1600)은 프로세서(1601), 메모리(1602), 저장 디바이스(16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604), 카메라 디바이스(1606), 센서(1607), 마이크로폰(1608), 입력 디바이스(160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10), 스피커(16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1615), 하나 이상의 안테나(1616), 버스(1617), 배터리(1618), 및 보조 제어기(161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6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system on chip)일 수 있고, 스마트폰(1600)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및 다른 계층의 기능들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601)는 도 10a를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 회로(1001), 또는 도 11a를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 회로(1101)를 포함하거나 그로서 역할할 수 있다. 메모리(160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601)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저장 디바이스(1603)는 반도체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604)는 메모리 카드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들을 스마트폰(1600)에 접속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 디바이스(1606)는 전하 결합 디바이스(CCD) 및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생성한다. 센서(1607)는 측정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와 같은 센서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08)은 스마트폰(1600)에 입력된 사운드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디바이스(1609)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10)의 스크린 상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동작 또는 정보 입력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스크린을 포함하고, 스마트폰(1600)의 출력 이미지를 표시한다. 스피커(1611)는 스마트폰(1600)으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는 4G LTE, 5G NR 등과 같은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는,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613) 및 RF 회로(1614)를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613)는, 예를 들어,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유형들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RF 회로(1614)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616)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는 BB 프로세서(1613) 및 RF 회로(1614)가 통합되는 칩 모듈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는 복수의 BB 프로세서들(1613) 및 복수의 RF 회로들(16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가 복수의 BB 프로세서들(1613) 및 복수의 RF 회로들(1614)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는 단일 BB 프로세서(1613) 또는 단일 RF 회로(1614)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통신 방식에 추가하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장 통신 방식, 및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LAN) 방식 등의, 다른 유형들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는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BB 프로세서(1613) 및 RF 회로(1614)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들(1615)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들(예를 들어,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들을 위한 회로들) 사이에서 안테나(1616)의 접속 목적지를 스위칭한다.
안테나들(1616)은 대규모 MIMO를 위한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들과 같은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포함한다. 안테나들(1616)은, 예를 들어, 안테나 어레이 매트릭스로 배열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가 무선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스마트폰(16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600)은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안테나(16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스위치(1615)는 스마트폰(160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버스(1617)는 프로세서(1601), 메모리(1602), 저장 디바이스(16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604), 카메라 디바이스(1606), 센서(1607), 마이크로폰(1608), 입력 디바이스(160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10), 스피커(16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 및 보조 제어기(1619)를 서로 접속시킨다. 배터리(1618)는 피더를 통해 도 12에 도시된 스마트폰(1600)의 각각의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고, 피더는 도면에서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도시된다. 보조 제어기(1619)는, 예를 들어, 휴면 모드에서 스마트폰(1600)의 최소 필요 기능들을 동작시킨다.
도 12에 도시된 스마트폰(1600)에서, 처리 회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에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1601) 또는 보조 제어기(1619)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스마트폰(160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613)) 또는 전부, 및/또는 프로세서(1601) 및/또는 보조 제어기(1619)를 포함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이 모듈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은, 처리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하는 것을 허용하는 프로그램(즉,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스마트폰(1600)에 설치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613)), 프로세서(1601), 및/또는 보조 제어기(1619)가 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로서, 스마트폰(1600) 또는 모듈이 제공될 수 있고,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판독가능한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2 응용 예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는 도 10a를 참조하여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1000) 또는 도 11a를 참조하여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110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는 프로세서(1721), 메모리(1722),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모듈(1724), 센서(1725), 데이터 인터페이스(1726), 콘텐츠 플레이어(1727),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1728), 입력 디바이스(17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30), 스피커(173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1736), 하나 이상의 안테나(1737), 및 배터리(1738)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는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된 UE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일 수 있고,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의 내비게이션 기능들 및 다른 기능들을 제어한다. 메모리(17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721)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GPS 모듈(1724)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의 위치(예컨대,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측정한다. 센서(1725)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공기압 센서와 같은 센서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1726)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단말기를 통해 차량내 네트워크(1741)에 접속되고, 차량에 의해 생성되는 (차량 속도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취득한다.
콘텐츠 플레이어(1727)는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1728)에 삽입되는 CD 및 DVD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한다. 입력 디바이스(1729)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30)의 스크린 상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동작 또는 정보 입력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30)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스크린을 포함하고,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된 콘텐츠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스피커(1731)는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된 콘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는 4G LTE 또는 5G NR과 같은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는,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734) 및 RF 회로(1735)를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734)는, 예를 들어,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유형들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RF 회로(1735)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737)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는 또한 BB 프로세서(1734) 및 RF 회로(1735)가 통합되는 칩 모듈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는 복수의 BB 프로세서들(1734) 및 복수의 RF 회로들(17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가 복수의 BB 프로세서들(1734) 및 복수의 RF 회로들(1735)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는 단일 BB 프로세서(1734) 또는 단일 RF 회로(1735)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도,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장 통신 방식, 및 무선 LAN 방식 등의, 다른 유형들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는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BB 프로세서(1734) 및 RF 회로(1735)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들(1736) 각각은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들을 위한 회로들과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에 포함된 복수의 회로들 사이에서 안테나(1737)의 접속 목적지를 스위칭한다.
안테나들(1737)은 대규모 MIMO를 위한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들과 같은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포함한다. 안테나들(1737)은, 예를 들어, 안테나 어레이 매트릭스로 배열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가 무선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는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안테나(17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스위치(1736)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배터리(1738)는 피더를 통해 도 13에 도시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의 각각의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고, 피더는 도면에서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도시된다. 배터리(1738)는 차량으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축적한다.
도 13에 도시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에서, 처리 회로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에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1721)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734)) 또는 전부, 및/또는 프로세서(17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이러한 모듈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은, 처리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하는 것을 허용하는 프로그램(즉,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에 설치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734)) 및/또는 프로세서(1721)가 그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로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 또는 모듈이 제공될 수 있고,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판독가능한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또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 차량내 네트워크(1741), 및 차량 모듈(174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내 시스템(또는 차량)(1740)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모듈(1742)은 차량 속도, 엔진 속도, 및 고장 정보와 같은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차량내 네트워크(1741)에 출력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은 분명히 위의 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조들 및 수정들을 달성할 수 있고, 이들 개조들 및 수정들은 확실히 본 개시내용의 기술의 범위 내에 든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모듈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능들이 개별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의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모듈들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능들이 개별 수단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위의 기능들 중 하나가 복수의 모듈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이러한 구성들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흐름도들에서 설명된 단계들은 시간순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프로세스들뿐만 아니라, 병렬로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되지만 반드시 시간순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닌 프로세스들을 포함한다. 더욱이, 시간순으로 수행되는 단계들에서도, 말할 필요도 없이, 그 순서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 및 그 이점들이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들, 대체들 및 변환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포함한다"라는 용어 또는 임의의 다른 변형들은 비-배타적인 포함으로 의도되어, 일련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디바이스는 이러한 요소들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것들, 또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디바이스에 고유한 것들을 포함한다. 추가의 제한들의 경우에, 문장 "하나를 포함한다"에 의해 정의되는 요소는 이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디바이스에서 추가적인 동일한 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22)

  1.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UE로부터 제1 수신측 UE로의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리소스 풀로부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선택하고;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지시(indicate)하기 위해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1 스테이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상기 제1 수신측 UE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다른 통신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를 선점하기로 결정하고;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2 스테이지 SCI에 선점 지시(preemption indication)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는 상기 UE로부터 제2 수신측 UE로의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선점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우선순위보다 더 높은, 전자 디바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점 지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선점되는 경우, 상기 선점 지시를 미리 정의된 값으로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점 지시는 (N symbol +N Subchannel ) 비트들을 포함하고 비트맵의 형태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에 수반되는 심볼들 및 서브채널들을 지시하고, N symbol N Subchannel 은 각각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에 포함된 시간 차원에서의 심볼들의 수 및 주파수 차원에서의 서브채널들의 수를 나타내는, 전자 디바이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점 지시는 (N symbol ×N Subchannel ) 비트들을 포함하고 비트맵의 형태로 특정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을 지시하고, N symbol N Subchannel 은 각각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에 포함된 시간 차원에서의 심볼들의 수 및 주파수 차원에서의 서브채널들의 수를 나타내는, 전자 디바이스.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은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상기 제2 스테이지 SCI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전송 리소스들을 포함하지 않는, 전자 디바이스.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은 eMBB 통신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은 URLLC 통신에 대응하며,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는 하나의 시간 슬롯 내에 있는, 전자 디바이스.
  10.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회로는,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전송측 UE에 의해 선택된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전송측 UE로부터 상기 UE로의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1 스테이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 상에서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2 스테이지 SCI를 수신하고 - 상기 제2 스테이지 SCI는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다른 통신을 위해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는 선점 지시를 포함함 -;
    상기 선점 지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는 상기 전송측 UE로부터 제2 수신측 UE로의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선점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우선순위보다 더 높은, 전자 디바이스.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점 지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선점되는 경우에 미리 정의된 값으로 설정되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점 지시는 (N symbol +N Subchannel ) 비트들을 포함하고 비트맵의 형태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에 수반되는 심볼들 및 서브채널들을 지시하고, N symbol N Subchannel 은 각각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에 포함된 시간 차원에서의 심볼들의 수 및 주파수 차원에서의 서브채널들의 수를 나타내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점 지시는 (N symbol ×N Subchannel ) 비트들을 포함하고 비트맵의 형태로 특정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을 지시하고, N symbol N Subchannel 은 각각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에 포함된 시간 차원에서의 심볼들의 수 및 주파수 차원에서의 서브채널들의 수를 나타내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에 대응하고 상기 전송측 UE에 의해 재전송되는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7.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은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상기 제2 스테이지 SCI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전송 리소스들을 포함하지 않는, 전자 디바이스.
  18.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선점된 전송 리소스들 상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디코딩하지 않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은 eMBB 통신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사이드링크 통신은 URLLC 통신에 대응하며,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는 하나의 시간 슬롯 내에 있는, 전자 디바이스.
  20. 통신 방법으로서,
    UE로부터 제1 수신측 UE로의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리소스 풀로부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지시하기 위해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1 스테이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상기 제1 수신측 UE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다른 통신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를 선점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2 스테이지 SCI에 선점 지시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1. 통신 방법으로서,
    제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전송측 UE에 의해 선택된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전송측 UE로부터 UE로의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1 스테이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 상에서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제2 스테이지 SCI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스테이지 SCI는 상기 전송 리소스들의 세트의 일부가 다른 통신을 위해 선점되는 것을 지시하는 선점 지시를 포함함 -; 및
    상기 선점 지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2.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실행될 때, 제20항 또는 제21항의 통신 방법을 수행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27033355A 2020-04-10 2021-04-06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2300064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277480.1A CN113518436A (zh) 2020-04-10 2020-04-10 电子设备、通信方法和存储介质
CN202010277480.1 2020-04-10
PCT/CN2021/085633 WO2021204108A1 (zh) 2020-04-10 2021-04-06 电子设备、通信方法和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452A true KR20230006452A (ko) 2023-01-10

Family

ID=78022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355A KR20230006452A (ko) 2020-04-10 2021-04-06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78636A1 (ko)
EP (1) EP4132168A4 (ko)
KR (1) KR20230006452A (ko)
CN (2) CN113518436A (ko)
WO (1) WO20212041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6864B2 (en) * 2015-08-07 2020-04-07 Sharp Kabushiki Kaisha Allocating resources for wireless sidelink direct communications
CN108633023B (zh) * 2017-03-23 2021-11-0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业务抢占方法、装置及基站
US10979988B2 (en) * 2017-11-07 2021-04-13 Apple Inc. Methods of limited buffer rate-matching (LBRM), pre-emption, and sidelink synchronization in new radio (NR) systems
CN110248412B (zh) * 2018-03-07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抢占信息的传输方法、设备及系统
WO2020017012A1 (ja) * 2018-07-19 2020-01-2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EP3834321A1 (en) * 2018-08-09 2021-06-16 Convida Wireless, Llc Broadcast, multicast, and unicast on sidelink for 5g ev2x
CN111510872B (zh) * 2019-01-11 2022-01-18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车联网通信信道预占用通知方法、装置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4108A1 (zh) 2021-10-14
EP4132168A1 (en) 2023-02-08
EP4132168A4 (en) 2023-09-13
US20230078636A1 (en) 2023-03-16
CN115399031A (zh) 2022-11-25
CN113518436A (zh)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6573B2 (e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WO2017076178A1 (zh) 基站侧和用户设备侧的装置及方法、无线通信系统
EP3927040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10282188A1 (en)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342003B2 (en)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performing radio communication
JPWO2019049348A1 (ja) ユーザ装置、及び能力情報通知方法
US11510242B2 (en) Electronic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EP3941104A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O2020063525A1 (zh)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116147A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17167165A1 (zh) 电子装置、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JP2020515086A (ja) 電子機器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1093699A1 (zh) 电子设备、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447199B (zh) 电子装置和无线通信方法
US20230231660A1 (e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0521240B (zh) 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设备
CN111867118A (zh) 一种资源调度的方法及通信装置
CN112237027B (zh) 用于无线通信系统的电子设备、方法和存储介质
KR20220047971A (ko)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EP4132168A1 (e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997716B2 (en)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40155647A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2222784A1 (zh) 用于无线通信的调度电子设备和成员电子设备以及方法
EP3876452A1 (en) User device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