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218A -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218A
KR20230006218A KR1020210087125A KR20210087125A KR20230006218A KR 20230006218 A KR20230006218 A KR 20230006218A KR 1020210087125 A KR1020210087125 A KR 1020210087125A KR 20210087125 A KR20210087125 A KR 20210087125A KR 20230006218 A KR20230006218 A KR 20230006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electrode
energy harvesting
thermoelectric element
harves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6107B1 (ko
Inventor
김상식
조경아
양승건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7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107B1/ko
Priority to US17/558,488 priority patent/US11699770B2/en
Priority to TW110148309A priority patent/TWI840725B/zh
Publication of KR20230006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2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 H01L31/0525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including means to utilise heat energy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Seebeck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2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 H01L35/16
    • H01L35/22
    • H01L35/3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1Energy harvesting or scaven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30Thermophotovoltaic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4Means to utilise heat energy, e.g. hybrid systems producing warm water and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2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tellurium, selenium or sulfu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containing boron, carbon, oxygen or nitroge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함께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으로, 태양전지 상면 모서리에 수평 구조의 열전소자를 위치시켜 태양전지의 전기에너지와 열전소자의 전기에너지를 동시에 생성하기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은 태양광에 기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전지; 상기 태양전지에서 상기 태양광이 입사하는 상면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열 전달층; 및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열 전달층 상에 위치하여 상기 태양전지와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구조를 가지며, 상기 태양광에 기반한 상기 태양전지의 열이 상기 열 전달층을 통해 상기 제1 전극에 전달되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온도 간의 온도 차이에 기반하여 추가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열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ENERGY HARVESTING SYSTEM USING A SOLAR CELL AND THERMO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함께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으로, 태양전지 상면 모서리에 수평 구조의 열전소자를 위치시켜 태양전지의 전기에너지와 열전소자의 전기에너지를 동시에 생성하기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전지는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점이 없어 특히 주목받고 있다.
태양전지에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열 전지와,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전지가 존재한다.
태양전지는 다이오드와 같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접합 구조를 가지고, 태양전지에 빛이 입사되면 빛과 태양전지의 반도체를 구성하는 물질과의 상호작용으로 음(-)전하를 띤 전자와 전자가 빠져나가 양(+)전하를 띤 정공이 발생하여 이들이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태양전지는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로서 주변에 존재하는 열이나 태양광과 같은 에너지원을 즉각적으로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지만 에너지원의 세기가 주변 환경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생성되는 전기에너지 양이 제한적이다.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는 열, 마찰, 압력, 태양광 등을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소자로서 열전소자, 태양전지, 압전소자 및 마찰전기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온도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를 연동한 에너지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종래 기술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에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 양이 제한적으로, 전기에너지 생산 측면에서 개선점이 존재한다.
또한, 태양광, 열, 마찰 및 압력 등을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소모량의 증가로 인하여 태양광 및 미소 열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발전, 사용이 가능한 전력원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의 실적용을 위해서 집적도가 높은 시스템의 개발과 면적당 생산 전력의 향상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153915호, "전기 광학 장치 모듈 및 전자기기"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21486호, "열전 변환 소자"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53255호, "태양 발전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73895호, "태양전지 열전 융합소자"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열전소자를 적용하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태양전지를 통한 전기에너지 생성 및 태양전지의 열을 이용하여 열전소자의 전기에너지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 상에 열전소자를 수평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태양전지의 최소 공간만을 활용하여 태양전지의 전기에너지 생산 성능을 유지하면서 전기에너지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공간 활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와 열전소자에서 동시에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발전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생성된 전기에너지가 즉시 사용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공정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된 수평 구조의 열전소자의 크기가 태양전지에 비해 작은 영역을 소모함에 따라 추가적인 공간 소모 없이 전기에너지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와 열전소자의 수평 구조에 기반하여 태양전지의 전기에너지 생산 효율성을 확보하면서, 태양전지로부터 열전소자까지 높은 열전도도를 확보하여 에너지 하베스팅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무전원 센서, 일상생활 기기 및 산업용 기기 등에 적용되어 제품 수명과 동작 시간을 연장하면서 자연계의 에너지를 활용하여 일상생활 기기 및 산업용 기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전원 공급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4차 산업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다양한 사회 및 문화적 혁신 창출이 가능함에 따라 에너지 위기 극복에 일조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은 태양광에 기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전지, 상기 태양전지에서 상기 태양광이 입사하는 상면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열 전달층 및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열 전달층 상에 위치하여 상기 태양전지와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구조를 가지며, 상기 태양광에 기반한 상기 태양전지의 열이 상기 열 전달층을 통해 상기 제1 전극에 전달되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온도 간의 온도 차이에 기반하여 추가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열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열 전달층이 상기 상면에서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경우, 사각형 구조에 기반한 상기 수평 구조를 가지고, 상기 열 전달층이 상기 상면에서 하나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경우, 띠 형태의 직선형 구조에 기반한 상기 수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사각형 구조 및 상기 직선형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전지에 상기 태양광이 입사되는 부분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는 상기 수평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는 상기 수평 구조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상기 태양전지의 열을 상기 제1 전극으로 방출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상기 태양광이 입사되어 상기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Au, Al, Pt, Ag, Ti 및 W 중 어느 하나의 금속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열전채널은 Ag2Te, Ag2Se, Cu2Se, Cu2Te, HgTe, HgSe, Bi2Te3, BiSeTe, BiSbTe, Ti3C2, Mo2C, Mo2Ti2C3, MoS2 및 WS2 중 어느 하나의 합성된 나노입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채널은 상기 합성 물질에 기반하여 p 채널과 n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p 채널 및 상기 n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이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p 채널 및 상기 n 채널 중 나머지 하나의 채널이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는 실리콘(Si) 태양전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단결정 태양전지, 다결정 태양전지 및 박막 태양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전달층은 BN(boron nitride), rGO(reduced graphene oxide), AlN(aluminum nitride), SiC(silicon carbide), BeO(beryllium oxide) 및 CB(carbon black) 중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 전달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물질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상기 제1 전극으로의 열전도가 원활하도록 열전도도를 제어하고,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상기 제1 전극으로의 전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는 기판을 더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CPI(colorless polyimid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물질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광으로부터의 열이 상기 열전소자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태양광의 세기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간의 온도 차이가 변화되고, 상기 태양광의 세기 증가 및 상기 열전소자의 채널 길이 증가를 통해 상기 온도 차이가 증가 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태양광의 세기가 300W 내지 1000W 인 경우, 상기 온도 차이가 2.4℃ 내지 5.9℃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열전소자를 적용하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태양전지를 통한 전기에너지 생성 및 태양전지의 열을 이용하여 열전소자의 전기에너지를 추가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 상에 열전소자를 수평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태양전지의 최소 공간만을 활용하여 태양전지의 전기에너지 생산 성능을 유지하면서 전기에너지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공간 활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와 열전소자에서 동시에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발전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생성된 전기에너지가 즉시 사용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도체 공정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된 수평 구조의 열전소자의 크기가 태양전지에 비해 작은 영역을 소모함에 따라 추가적인 공간 소모 없이 전기에너지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와 열전소자의 수평 구조에 기반하여 태양전지의 전기에너지 생산 효율성을 확보하면서, 태양전지로부터 열전소자까지 높은 열전도도를 확보하여 에너지 하베스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무전원 센서, 일상생활 기기 및 산업용 기기 등에 적용되어 제품 수명과 동작 시간을 연장하면서 자연계의 에너지를 활용하여 일상생활 기기 및 산업용 기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전원 공급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4차 산업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다양한 사회 및 문화적 혁신 창출이 가능함에 따라 에너지 위기 극복에 일조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다양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수평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열전소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온도 분포 측정 결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열전소자에서 태양광의 세기에 따른 온도 차이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구성 요소 및 태양전지와 열전소자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100)은 태양전지(110), 열 전달층(120) 및 열전소자(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100)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110)와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열전소자(130)를 통합한 시스템으로, 태양광 또는 주변환경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에너지로부터 전력을 생산 및 사용하도록 지원하는 에너지 시스템이다.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100)의 확대도를 참고하면,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100)은 태양전지(110), 열 전달층(120) 및 열전소자(130)를 포함하고, 열전소자(130)가 기판(131), 제1 전극(132), 제2 전극(133) 및 열전채널(134)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일례로, 태양전지(110)는 입사되는 태양광에 기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태양전지(110)는 실리콘(Si) 태양전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단결정 태양전지, 다결정 태양전지 및 박막 태양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태양전지(110)는 실리콘(Si) 태양전지, 염료감응형 , 단결정 태양전지, 다결정 태양전지 및 박막 태양전지 등 다양한 종류의 태양전지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열 전달층(120)은 태양전지(110)에서 태양광이 입사하는 상면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일례로, 열 전달층(120)은 BN(boron nitride), rGO(reduced graphene oxide), AlN(aluminum nitride), SiC(silicon carbide), BeO(beryllium oxide) 및 CB(carbon black) 중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열 전달층(120)은 태양전지(110)로부터 열전소자(130)의 제1 전극(132)으로 열을 잘 전달하기 위해 열전도도가 높고, 태양전지(110)에서 열전소자(130)의 제1 전극(132)으로의 전류 흐름을 억제하기 위해 전기전도도가 낮은 카본 나노 구조체 등의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열 전달층(120)은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물질에 기반하여 태양전지(110)로부터 제1 전극(132)으로의 열전도가 원활하도록 열전도도를 제어하고, 태양전지(110)로부터 제1 전극(132)으로의 전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열 전달층(120)은 태양전지(110)와 열전소자(130) 사이에 코팅되어 태양전지(110)에서 열전소자(130)의 제1 전극(132)으로의 열 전달을 원활하게 하고, 전류 흐름을 억제하기 위해 높은 열전도도와 낮은 전기전도도의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열전소자(130)는 제1 전극(132), 제2 전극(133) 및 제1 전극(132)과 제2 전극(133)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채널(134)을 포함한다.
열전소자(130)는 제1 전극(132)이 열 전달층(120) 상에 위치하여 태양전지(110)와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구조를 이룬다.
열전소자(130)는 태양광에 기반한 태양전지(110)의 열이 열 전달층(120)을 통해 제1 전극(132)에 전달되어 제1 전극(132)의 온도가 증가하고, 증가된 온도와 제2 전극(133)의 온도 간의 온도 차이에 기반하여 추가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태양전지와 열전소자에서 동시에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발전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생성된 전기에너지가 즉시 사용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달층(120)을 통해 태양전지(110)의 열이 전도되는 제1 전극(132)은 열(hot)전극일 수 있고, 태양전지(110)의 열이 전도되지 않는 제2 전극(133)은 냉(cold)전극일 수 있다.
여기서, 열 흐름(140)은 태양전지(110)에서 열 전달층(120)을 통해 열전소자(130)의 제1 전극(132)으로 열이 전달되는 흐름을 예시한다.
일례로,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33)은 Au, Al, Pt, Ag, Ti 및 W 중 어느 하나의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채널(134)은 Ag2Te, Ag2Se, Cu2Se, Cu2Te, HgTe, HgSe, Bi2Te3, BiSeTe, BiSbTe, Ti3C2, Mo2C, Mo2Ti2C3, MoS2 및 WS2 중 어느 하나의 합성된 나노입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열전채널(134)은 합성 물질에 기반하여 p 채널과 n 채널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p 채널 및 n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이 상기 제1 전극(132)에 연결되며, p 채널 및 n 채널 중 나머지 하나의 채널이 제2 전극(133)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열전소자(130)는 기판(131)을 포함하고, 기판(131)은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CPI(colorless polyimid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물질에 기반하여 태양광으로부터의 열이 열전소자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기판은 태양광이 입사됨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제1 전극(132), 제2 전극(133) 및 열전채널(134)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100)은 태양전지(110)의 모서리 부분에만 열전달층(120)이 형성되고, 열전달층(120) 상에 태양전지(110)와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구조로 열전소자(130)가 형성됨에 따라 태양전지(110)와 열전소자(130)가 수평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열전소자를 적용하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태양전지를 통한 전기에너지 생성 및 태양전지의 열을 이용하여 열전소자의 전기에너지를 추가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 상에 열전소자를 수평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태양전지의 최소 공간만을 활용하여 태양전지의 전기에너지 생산 성능을 유지하면서 전기에너지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공간 활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다양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에서 태양전지와 사각형 구조의 열전소자가 결합된 구조를 예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210) 상에 열 전달층(220)이 형성되고, 열 전달층(220) 상에 열전소자(230)가 형성되어 태양전지(210)의 전기에너지 생산과 열전소자(230)의 전기에너지 생산이 함께 수행되는 입체 구조의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200)을 예시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200)은 태양전지(210), 열 전달층(220) 및 열전소자(230)로 구성되고, 태양전지(210), 열 전달층(220) 및 열전소자(230)가 겹쳐지는 구조를 가진다.
일례로, 열전소자(230)는 열 전달층(220)이 태양전지(210)의 상면에서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경우, 사각형 구조에 기반한 수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열전소자(230)는 태양전지(210)에 태양광이 입사되는 부분 중 열 전달층(220)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에만 결합되는 수평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에서 태양전지와 직선형 구조의 열전소자가 결합된 구조를 예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310) 상에 열 전달층(320)이 형성되고, 열 전달층(320) 상에 열전소자(330)가 형성되어 태양전지(310)의 전기에너지 생산과 열전소자(330)의 전기에너지 생산이 함께 수행되는 입체 구조의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300)을 예시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300)은 태양전지(310), 열 전달층(320) 및 열전소자(330)로 구성되고, 태양전지(310), 열 전달층(320) 및 열전소자(330)가 겹쳐지는 구조를 가진다.
일례로, 열전소자(330)는 열 전달층(320)이 태양전지(310)의 상면에서 하나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경우, 띠 형태의 직선형 구조에 기반한 상기 수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열전소자(330)는 태양전지(310)에 태양광이 입사되는 부분 중 열 전달층(320)이 형성된 일부 모서리 부분에만 결합되는 수평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는 사각형 구조 및 직선형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에 기반하여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입사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에만 결합되는 수평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 공정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된 수평 구조의 열전소자의 크기가 태양전지에 비해 작은 영역을 소모함에 따라 추가적인 공간 소모 없이 전기에너지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와 열전소자의 수평 구조에 기반하여 태양전지의 전기에너지 생산 효율성을 확보하면서, 태양전지로부터 열전소자까지 높은 열전도도를 확보하여 에너지 하베스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수평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410)와 열전소자(430)는 열 전달층(420)의 형성 부분만큼 중복되는 영역이 존재한다.
일례로, 중복되는 영역은 0.1mm의 크기를 가지는데, 태양전지(410)의 너비(411)가 1cm라고 가정할 경우, 태양전지(410)에서 중복되는 영역의 비율은 1/100으로 볼 수 있다.
즉, 열전소자(430)는 태양전지(410)와 수평 구조로 제작되어 태양전지(410)의 최소 공간만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열 전달층(420)의 형성 부분에는 열전소자(430)의 제1 전극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태양전지(410)는 수평 구조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태양전지(410)의 열을 열전소자(430)의 제1 전극으로 방출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태양광이 입사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함에 따라 태양전지(410)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410)는 열전소자(430)와의 수평 구조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태양전지(410)의 열을 열전소자(430)의 제1 전극으로 방출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태양광이 입사되어 태양전지(410)의 하부에 열전소자가 형성되는 종래의 수직구조에 대비하여 전기에너지의 생산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일례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은 태양전지(410)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여 태양전지(410)의 효율 저하는 방지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태양전지(410)와 열전소자(430)에서 동시에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은 태양전지(410)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와 열전소자(430)에서 생성된 추가 전기에너지를 결합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은 태양전지(410) 상면 모서리에 열전달층(420)을 코팅하여 제작된 열전소자(430)를 태양전지(410)와 접합하여 융합소자로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제작을 위해 사각형 구조 및 띠 구조 등의 열전소자(430)는 태양전지(410)에 코팅된 열전달층(420)과 바로 접합하거나 필요시 열전채널을 제외한 기판 내부를 커팅 공정을 통해 제거 후 접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무전원 센서, 일상생활 기기 및 산업용 기기 등에 적용되어 제품 수명과 동작 시간을 연장하면서 자연계의 에너지를 활용하여 일상생활 기기 및 산업용 기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전원 공급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4차 산업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다양한 사회 및 문화적 혁신 창출이 가능함에 따라 에너지 위기 극복에 일조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열전소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500)는 기판(501), 제1 전극(502), 제2 전극(503) 및 열전채널(504)로 구성된다.
일례로, 열전소자(500)는 제1 전극(502)을 열전극으로 포함하고, 제2 전극(503)을 냉전극으로 포함하고, 열전채널(504)은 나노입자 박막으로 p채널과 n채널을 포함한다.
열전소자(500)는 제1 전극(502)과 제2 전극(503) 사이에서 발생하는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열전전압을 추가 전기 에너지로 생성할 수 있다.
기판(501), 제1 전극(502), 제2 전극(503) 및 열전채널(504)의 형성 물질은 도 1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열전소자(500)는 작은 면적안에 다수의 pn 어레이 형성이 가능하므로 미소 열에너지로도 전기에너지 생성이 가능하다.
또한, 열전소자(500)는 공간효율성이 뛰어나고 집적도가 높은 에너지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500)는 태양전지와 수평 구조임에 따라 수직적인 구조에서 태양전지 하부에서의 열 방출 문제에 따른 태양전지의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온도 분포 측정 결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온도 분포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600)는 태양전지에서의 열(601)이 열 전달층을 통해 제1 전극이 위치하는 지점(602)으로 전도되어 제2 전극이 위치하는 지점(603)과 온도 차이가 발생됨을 나타낸다.
이미지(600)에 따르면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은 태양전지와 열전소자 사이에 열전달층이 코팅되어, 태양전지의 효율은 유지하면서 열전소자로의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은 태양전지의 출력은 유지하면서, 태양전지의 열을 열전소자로 전달하여 추가적인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점(602)에서 측정된 온도는 90.1℃이고, 지점(603)에서 측정된 온도는 84.2℃일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은 태양전지와 열전소자 사이에 코팅된 열전달층을 통하여 추가적인 열원 없이 태양전지에서의 열을 열전소자의 제1 전극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열전소자에서 태양광의 세기에 따른 온도 차이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그래프(700)를 참고하면, 태양광 세기에 해당하는 파워 변화에 따른 제1 전극과 제2 전극 양단의 온도 차이의 변화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에 입사되는 태양광 세기에 해당하는 파워 변화에 따른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서 측정되는 온도와 측정된 온도들 간의 온도 차이는 하기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은 열전달층을 통해 태양전지로부터 열을 전달 받아서 온도가 상승하는 열(hot)전극에 해당하고, 제2 전극은 제1 전극과 열전채널을 공유하고, 태양전지로부터 열을 전달 받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cold)전극에 해당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을 참고하면, 태양광 세기가 증가할수록 제1 전극과 제2 전극 간의 온도 차이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태양전지는 태양광 세기가 증가될 수 록 전기에너지의 생산량이 증가되고, 열전소자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간의 온도 차이가 증가될 수 록 전기에너지의 생산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일례로, 열전소자는 태양광의 세기의 변화에 따라 제1 전극과 제2 전극 간의 온도 차이가 변화될 수 있다.
일례로, 열전소자는 태양광의 세기가 300W 내지 1000W 인 경우, 온도 차이가 2.4℃ 내지 5.9℃로 측정될 수 있다.
한편, 열전소자는 태양광의 세기 증가 및 열전소자의 채널 길이 증가를 통해 온도 차이가 증가될 수 있다.
즉, 열전소자는 태양광의 세기가 증가하거나 채널 길이가 증가한 경우 5.9℃보다 증가된 온도 차이가 측정될 수 있음에 따라 상술한 온도 차이의 범위에 온도 차이가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태양전지와 열전소자의 수평 구조에 기반하여 태양전지의 전기에너지 생산 효율성을 확보하면서, 태양전지로부터 열전소자까지 높은 열전도도를 확보하여 에너지 하베스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 예들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내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110: 태양전지
120: 열 전달층 130: 열전소자
131: 기판 132: 제1 전극
133: 제2 전극 134: 열전채널
140: 열 흐름

Claims (13)

  1. 태양광에 기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전지;
    상기 태양전지에서 상기 태양광이 입사하는 상면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열 전달층; 및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열 전달층 상에 위치하여 상기 태양전지와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구조를 가지며, 상기 태양광에 기반한 상기 태양전지의 열이 상기 열 전달층을 통해 상기 제1 전극에 전달되어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온도 간의 온도 차이에 기반하여 추가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열 전달층이 상기 상면에서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경우, 사각형 구조에 기반한 상기 수평 구조를 가지고, 상기 열 전달층이 상기 상면에서 하나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경우, 띠 형태의 직선형 구조에 기반한 상기 수평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사각형 구조 및 상기 직선형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전지에 상기 태양광이 입사되는 부분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는 상기 수평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상기 수평 구조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상기 태양전지의 열을 상기 제1 전극으로 방출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상기 태양광이 입사되어 상기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Au, Al, Pt, Ag, Ti 및 W 중 어느 하나의 금속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열전채널은 Ag2Te, Ag2Se, Cu2Se, Cu2Te, HgTe, HgSe, Bi2Te3, BiSeTe, BiSbTe, Ti3C2, Mo2C, Mo2Ti2C3, MoS2 및 WS2 중 어느 하나의 합성된 나노입자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채널은 상기 합성 물질에 기반하여 p 채널과 n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p 채널 및 상기 n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이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p 채널 및 상기 n 채널 중 나머지 하나의 채널이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실리콘(Si) 태양전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단결정 태양전지, 다결정 태양전지 및 박막 태양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층은 BN(boron nitride), rGO(reduced graphene oxide), AlN(aluminum nitride), SiC(silicon carbide), BeO(beryllium oxide) 및 CB(carbon black) 중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물질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상기 제1 전극으로의 열전도가 원활하도록 열전도도를 제어하고,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상기 제1 전극으로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기판을 더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CPI(colorless polyimid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물질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광으로부터의 열이 상기 열전소자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태양광의 세기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간의 온도 차이가 변화되고, 상기 태양광의 세기 증가 및 열전소자의 채널 길이 증가를 통해 상기 온도 차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태양광의 세기가 300W 내지 1000W 인 경우, 상기 온도 차이가 2.4℃ 내지 5.9℃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KR1020210087125A 2021-07-02 2021-07-02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KR10253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125A KR102536107B1 (ko) 2021-07-02 2021-07-02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US17/558,488 US11699770B2 (en) 2021-07-02 2021-12-21 Energy harvesting system using a solar cell and thermoelectric device
TW110148309A TWI840725B (zh) 2021-07-02 2021-12-23 能量系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125A KR102536107B1 (ko) 2021-07-02 2021-07-02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218A true KR20230006218A (ko) 2023-01-10
KR102536107B1 KR102536107B1 (ko) 2023-05-26

Family

ID=8478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125A KR102536107B1 (ko) 2021-07-02 2021-07-02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99770B2 (ko)
KR (1) KR1025361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1910A1 (en) 2007-03-27 2008-10-02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Devices for pathogen detec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3915A (ja) 2006-12-18 2008-07-03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20110036152A (ko) * 2009-10-01 2011-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3255A (ko) 2015-11-06 2017-05-16 신윤민 태양 발전장치
KR20180121486A (ko) 2016-03-10 2018-11-07 타츠타 전선 주식회사 열전 변환 소자
CN109104138A (zh) * 2018-06-22 2018-12-28 东华大学 一种柔性薄膜状光热电转换器件
KR20190073895A (ko) 2017-12-19 2019-06-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 열전 융합소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1947A (zh) * 2018-06-14 2018-11-16 东华大学 一种柔性光伏热电一体化复合发电器件
KR20200004660A (ko) * 2018-07-04 2020-01-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의 냉각장치
JP7438685B2 (ja) * 2019-07-30 2024-02-27 株式会社Kelk 熱電モジュール及び熱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3915A (ja) 2006-12-18 2008-07-03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20110036152A (ko) * 2009-10-01 2011-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3255A (ko) 2015-11-06 2017-05-16 신윤민 태양 발전장치
KR20180121486A (ko) 2016-03-10 2018-11-07 타츠타 전선 주식회사 열전 변환 소자
KR20190073895A (ko) 2017-12-19 2019-06-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 열전 융합소자
CN109104138A (zh) * 2018-06-22 2018-12-28 东华大学 一种柔性薄膜状光热电转换器件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ahadır Acar, investigation of Energy Generation at Test System Designed by Use of Concentrated Photo-Voltaic Panel And Thermoelectric Modules, Intn'l Jnl of RENEWABLE ENERGY RESEARCH(2018.8.17)* *
Wei Zhu et al., Thin-film solar thermoelectric generator with enhanced power output: Integrated optimization design to obtain directional heat flow, Energy 89, pp.106-117 (2015.7.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04129A (zh) 2023-01-16
US11699770B2 (en) 2023-07-11
US20230006084A1 (en) 2023-01-05
KR102536107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ktas et al. Nanowires for energy: A review
Santhanam et al. Room temperature thermo-electric pumping in mid-infrared light-emitting diodes
CN105870314B (zh) 一种柔性硅基纳米薄膜热电器件
Dhass et al. An investigation on performance analysis of different PV materials
CN107634090B (zh) 二维黑磷pn结、其制备方法及应用
Tervo et al. Solar thermoradiative-photovoltaic energy conversion
US8519253B2 (en) Method for converting therm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KR102536107B1 (ko)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Nishanth et al. Energy harvesting from a gas turbine engines exhaust heat using quantum well thermo electric materials generator (qwteg)
Mauk Survey of thermophotovoltaic (TPV) devices
Zhang et al. A comparatively experimental study on the temperature-dependent performance of thermophotovoltaic cells
Yuldoshev et al. A Study of the Parameters of a Combined Photo-Thermoelectric Installation under Field Conditions
KR101465437B1 (ko) 하이브리드 발전소자
Tobias et al. Ideal efficiency and potential of solar thermophotonic converters under optically and thermally concentrated power flux
Terasaki et al. Trials for oxide photo-thermoelectrics
TWI840725B (zh) 能量系統
Ari et al. Impact of the Peltier effect on concentrating photovoltaic cells
Olawole et al. Energy dynamics of solar thermionic power conversion with emitter of graphene
Ari et al. Impact of the Thomson effect on concentrating photovoltaic cells
KR20230062083A (ko) 태양전지, 열전소자 및 인터페이스층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Guardian et al.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photovoltaic panels by using aluminum heat sink
Natesan et al. Studies on improvement of solar PV panel performance
Yadav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evaluation of Si and Ge solar cell using PC1D modelling
Luo et al. Metal-semiconductor direct-current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on depletion mode u-GaN/AlGaN/AlN/GaN HEMT
Jena et al. Power Generation from Various Interconnecting Solar PV Networks for an Electrically Coupled Solar PV-TEG System Under Healthy and Partly Cloudy Cond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