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20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특정 다운링크/업링크 동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특정 다운링크/업링크 동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200A
KR20230005200A KR1020227038290A KR20227038290A KR20230005200A KR 20230005200 A KR20230005200 A KR 20230005200A KR 1020227038290 A KR1020227038290 A KR 1020227038290A KR 20227038290 A KR20227038290 A KR 20227038290A KR 20230005200 A KR20230005200 A KR 20230005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slots
symbol
communication system
gn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원
아브라함 몰라반 자지
조준영
전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05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04L5/0025Spatial division following the spatial signature of the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다운링크(downlink; DL) 수신 또는 업링크(uplink; UL)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설정 정보는 빔 식별자(identifier; ID) 및 하나 이상의 빔 ID의 각각에 대한 슬롯 및 심볼 설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DL 동작 또는 UL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특정 다운링크/업링크 동작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빔 특정 DL/UL 동작에 관한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빔 링크에 대해 상이한 DL/UL 동작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NR(New Radio)의 기본 철학은 gNode B(gNB)와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빔 특정 동작을 지원하는 것이다. 5G(예를 들어, 5세대) NR 표준에는 빔 특정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동작될 수 지만 현재 빔 특정 동작을 허용하지 않는 여러 개의 구성 요소가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세대를 거듭하면서 발전한 과정을 돌아보면 음성,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 주로 인간 대상의 서비스를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물의 예로는 차량, 로봇, 드론, 가전제품, 디스플레이, 각종 인프라에 설치된 스마트 센서, 건설기계, 공장 장비 등이 있을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증강현실 안경, 가상현실 헤드셋, 홀로그램 기기 등 다양한 폼팩터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6G (6th-generation) 시대에는 수천억 개의 기기 및 사물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선된 6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6G 통신 시스템은 5G 통신 이후 (Beyond 5G)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2030년쯤 실현될 것으로 예측되는 6G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 전송 속도는 테라 (즉, 1,000기가) bps, 무선 지연시간은 100마이크로초(μsec) 이다. 즉, 5G 통신 시스템대비 6G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속도는 50배 빨라지고 무선 지연시간은 10분의 1로 줄어든다.
이러한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6G 통신 시스템은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 (예를 들어, 95기가헤르츠(95GHz)에서 3테라헤르츠(3THz)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테라헤르츠 대역에서는 5G에서 도입된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 비해 더 심각한 경로손실 및 대기흡수 현상으로 인해서 신호 도달거리, 즉 커버리지를 보장할 수 있는 기술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커버리지를 보장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서 RF(radio frequency) 소자, 안테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보다 커버리지 측면에서 더 우수한 신규 파형(waveform),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 외에도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등 새로운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6G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uplink)와 하향링크(downlink)가 동일 시간에 동일 주파수 자원을 동시에 활용하는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및 HAPS(high-altitude platform stations)등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네트워크 기술, 이동 기지국 등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운영 최적화 및 자동화 등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구조 혁신 기술, 스펙트럼 사용 예측에 기초한 충돌 회피를 통한 동적 주파수 공유 (dynamic spectrum sharing) 기술, AI (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mobile edge computing (MEC),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6G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될 새로운 프로토콜의 설계,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환경의 구현 및 데이터의 안전 활용을 위한 메커니즘 개발 및 프라이버시 유지 방법에 관한 기술 개발을 통해 디바이스 간의 연결성을 더 강화하고, 네트워크를 더 최적화하고, 네트워크 엔티티의 소프트웨어화를 촉진하며, 무선 통신의 개방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6G 통신 시스템의 연구 및 개발로 인해, 사물 간의 연결뿐만 아니라 사람과사물 간의 연결까지 모두 포함하는 6G 통신 시스템의 초연결성(hyper-connectivity)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the next hyper-connected experience)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6G 통신 시스템을 통해 초실감 확장 현실(truly immersive extended reality (XR)), 고정밀 모바일 홀로그램(high-fidelity mobile hologram), 디지털 복제(digital replica) 등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보안 및 신뢰도 증진을 통한 원격 수술(remote surgery), 산업 자동화(industrial automation) 및 비상 응답(emergency response)과 같은 서비스가 6G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됨으로써 산업, 의료, 자동차, 가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진보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풀 파워(full power) UL MIMO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가 제공된다. 상기 UE는 다중 빔 동작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UE는 송수신기를 통해 다운링크(downlink; DL) 수신 또는 업링크(uplink; UL) 송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 - 설정 정보는 빔 식별자(ID) 및 하나 이상의 빔 ID의 각각에 대한 슬롯 및 심볼 설정을 포함함 - 를 수신하고, 설정 정보에 따라 DL 동작 또는 UL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기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station; BS)이 제공된다. BS는 다중 빔 동작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BS는 송수신기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송수신기를 통해 다운링크(DL) 수신 또는 업링크(UL) 송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 - 설정 정보는 빔 식별자(ID) 및 하나 이상의 빔 ID의 각각에 대한 슬롯 및 심볼 설정을 포함함 - 를 송신하고, 설정 정보에 따라 DL 동작 또는 UL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기를 제어하도록 설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BS)과 사용자 장치(UE) 간의 빔 특정 동작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다운링크(DL) 수신 또는 업링크(UL) 송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 - 설정 정보는 빔 식별자(ID) 및 하나 이상의 빔 ID의 각각에 대한 슬롯 및 심볼 설정을 포함함 - 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설정 정보에 따라 DL 동작 또는 UL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에서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다운링크(DL) 수신 또는 업링크(UL) 송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 - 설정 정보는 빔 식별자(ID) 및 하나 이상의 빔 ID의 각각에 대한 슬롯 및 심볼 설정을 포함함 - 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설정 정보에 따라 DL 동작 또는 UL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기술적 특징은 다음의 도면, 설명 및 청구항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빔 특정 다운링크 동작 또는 빔 특정 업링크 동작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gNB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UE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송신 경로의 하이 레벨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수신 경로의 하이 레벨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안테나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빔을 통해 다수의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 대한 빔 특정 다운링크/업링크 동작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대한 빔 특정 다운링크/업링크 동작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중 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에 대한 빔 특정 동적 TDD 동작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다중 빔 동작을 포함하는 기지국에 대한 빔 특정 동적 TDD 동작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빔 특정 동적 TDD 동작을 위한 예시적인 DL/UL 설정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빔 특정 동적 TDD 동작을 위한 예시적인 DL/UL 설정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빔 특정 동적 TDD 동작에서 빔 실패 이벤트(beam failure event)를 방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착수하기 전에, 본 특허 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된 특정 단어 및 문구를 정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결합(couple)"이라는 용어 및 이의 파생어는 둘 이상의 요소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든 접촉하지 않든 둘 이상의 요소 간의 어떤 직접 또는 간접 통신을 지칭한다. "송신한다", "수신한다" 및 "통신한다"이라는 용어뿐만 아니라 이의 파생어는 직접 및 간접 통신 둘 다를 포함한다. "포함한다(include)" 및 "구성한다(comprise)"이라는 용어뿐만 아니라 이의 파생어는 제한 없이 포함(inclusion)을 의미한다.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이며, 및/또는(and/or)을 의미한다. "~와 관련된(associated with)"이라는 용어뿐만 아니라 이의 파생어는, "~를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included within)", "~와 상호 연결하고(interconnect with)", "~을 함유하고(contain)", "~내에 함유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또는,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또는, ~와 결합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력하고(cooperate with)", "~를 인터리브하고(interleave)", "~와 병치하고(juxtapose)", "~에 가까이 있고(be proximate to)", "~에 또는, ~와 묶이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 있고(have a property of)", "~에 또는, ~와 관계를 가지고(have a relationship to or with)" 등인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장치, 시스템 또는 이의 일부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및/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제어부와 관련된 기능은 로컬로든 원격으로든 중앙 집중화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라는 문구는, 항목의 리스트와 함께 사용될 때, 나열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상이한 조합이 사용될 수 있고, 리스트 내에는 하나의 항목만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다음의 조합: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및 A 및 B 및 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더욱이,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로부터 형성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에서 구현된다.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는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에서 구현을 위해 적응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software components),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절차, 기능, 객체(object), 클래스, 인스턴스(instance), 관련된 데이터 또는 이의 일부를 지칭한다. 문구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소스 코드(source code), 객체 코드(object code) 및 실행 가능 코드(executable code)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문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모리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시적 전기적 또는 다른 신호를 송신하는 유선, 무선, 광학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배제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재기록 가능 광 디스크 또는 소거 가능 메모리 장치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고 나중에 중복 기록(overwriting)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단어 및 문구에 대한 정의는 본 특허 문서 전체에 걸쳐 제공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대부분의 경우는 아니지만 이러한 정의가 이러한 정의된 단어 및 문구의 이전 및 이후의 사용에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도 1 내지 도 13, 및 본 특허 문서에서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한 실시예는 예시만을 위한 것이고, 어떤 식으로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원리가 적절히 배치된 임의의 시스템 또는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다음의 문서 및 표준 설명은 본 명세서에 충분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참조로 통합된다: 3GPP TS 36.211 v16.1.0,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3GPP TS 36.212 v16.1.0, "E-UTRA,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3GPP TS 36.213 v16.1.0, "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 3GPP TS 36.321 v16.0.0, "E-UTRA,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 36.331 v16.0.0, "E-UTRA,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 38.211 v16.1.0, "NR,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3GPP TS 38.212 v16.1.0, "NR,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3GPP TS 38.213 v16.1.0, "NR,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control;" 3GPP TS 38.214 v16.1.0, "NR,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data;" 3GPP TS 38.215 v16.1.0, "NR, Physical Layer Measurements;" 3GPP TS 38.321 v16.0.0, "NR,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specification;" and 3GPP TS 38.331 v16.0.0, "NR,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specification."
본 개시의 양태, 특징 및 이점은 본 개시를 수행하기 위해 고려되는 최상의 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특정 실시예 및 구현을 단순히 예시함으로써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하다. 본 개시는 또한 다른 및 상이한 실시예가 가능하고, 이의 몇몇 상세 사항은 모두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명백한 측면에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 및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사실상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첨부된 도면에서 제한이 아닌 예로서 예시된다.
다음에서는 간결함을 위해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와 TDD(Time Division Duplexing)가 모두 DL 및 UL 시그널링 모두에 대한 이중 방식(duplex method)으로서 간주된다.
다음의 예시적인 설명 및 실시예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을 가정하지만, 본 개시는 다른 OFDM 기반 송신 파형 또는 F-OFDM(filtered OFDM)과 같은 다중 액세스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서로 결합하거나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거나 독립형 방식으로서 동작할 수 있는 여러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4G 통신 시스템의 상용화 이후 증가된 무선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행해졌다. 따라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또한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post LTE system)"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더욱 고주파(mmWave) 대역, 즉 60 GHz 대역에서 구현되어 더 높은 데이터 속도를 달성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무선파의 전파 손실을 감소시키고, 송신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기 위해, 빔포밍, 대량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FD-MIMO(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 아날로그 빔포밍, 대규모 안테나 기술 등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논의된다.
또한, 5G 통신 시스템에서, 첨단 소형 셀, 클라우드 RAN(radio access network), 초 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D2D(device-to-device) 통신, 무선 백홀, 이동 네트워크, 협력 통신, CoMP(coordinated multi-point) 송수신, 간섭 완화 및 취소 등을 기반으로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기술로서 FSK(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및 F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 및 진보된 액세스 기술로서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가 개발되었다.
아래의 도 1 내지 도 4b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은 상이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물리적 또는 구조적 제한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상이한 실시예는 적절하게 배치된 임의의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의 실시예는 예시만을 위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100)의 다른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는 gNB(101), gNB(102) 및 gNB(103)를 포함한다. gNB(101)는 gNB(102) 및 gNB(103)와 통신한다. gNB(101)는 또한 인터넷, 독점적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또는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130)와 통신한다.
gNB(102)는 gNB(102)의 커버리지 영역(120) 내의 제1 복수의 사용자 장치(UE)에 대한 네트워크(130)에 무선 광대역 액세스(wireless broadband access)를 제공한다. 제1 복수의 UE는 소기업(small business; SB)에 위치될 수 있는 UE(111); 기업(enterprise; E)에 위치될 수 있는 UE(112); WiFi 핫 스폿(hotspot; HS)에 위치될 수 있는 UE(113); 제1 거주지(residence; R)에 위치될 수 있는 UE(114); 제2 거주지(R)에 위치될 수 있는 UE(115); 및 셀 폰(cell phone), 무선 랩톱(wireless laptop), 무선 PDA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M)일 수 있는 UE(116)를 포함한다. gNB(103)는 gNB(103)의 커버리지 영역(125) 내의 제2 복수의 UE에 대한 네트워크(130)에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제공한다. 제2 복수의 UE는 UE(115) 및 UE(11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gNB(101-103) 중 하나 이상은 서로 통신하고, 5G, LTE, LTE-A, WiMAX, WiFi 또는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UE(111-116)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타입에 따라, "기지국" 또는 "BS"라는 용어는 송신 포인트(transmit point, TP), 송수신 포인트(transmit-receive point, TRP), 강화된 기지국(enhanced base station, eNodeB 또는 eNB), 5G 기지국(gNB), 매크로셀(macrocell), 펨토셀(femtocell), WiFi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또는 다른 무선 가능한 장치(wirelessly enabled device)와 같이 네트워크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임의의 구성 요소(또는 구성 요소의 모음)를 지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예를 들어, 5G 3GPP NR(new radio interface/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고속 패킷 액세스(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Wi-Fi 802.11a/b/g/n/ac 등에 따라 무선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편의상, "BS" 및 "TRP"라는 용어는 본 특허 문서에서 원격 단말기(remote terminal)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 구성 요소(network infrastructure component)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또한, 네트워크 타입에 따라, "사용자 장치" 또는 "UE"라는 용어는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기", "무선 단말기", "수신 포인트(receive point)"또는 "사용자 장치"와 같은 임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편의상, "사용자 장치" 및 "UE"라는 용어는 본 특허 문서에서 UE가(이동 전화 또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이든 일반적으로(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또는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와 같은) 고정 장치(stationary device)로 간주되든 BS에 무선으로 액세스하는 원격 무선 장치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점선은 예시 및 설명만을 위해 거의 원형으로 도시되는 커버리지 영역(120 및 125)의 대략적인 범위를 보여준다. 커버리지 영역(120 및 125)과 같은 gNB와 관련된 커버리지 영역은 gNB의 설정 및 자연적 및 인공적 방해물(man-made obstruction)과 관련된 무선 환경의 변화에 따라 불규칙한 형상을 포함하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명확히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gNB(101), gNB(102) 및 gNB(103) 중 하나 이상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2차원(2D)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gNB(101), gNB(102) 및 gNB(103) 중 하나 이상은 송수신기를 통해 다운링크(DL) 수신 또는 업링크(UL) 송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 설정은 빔 식별자(ID) 및 하나 이상의 빔 ID의 각각에 대한 슬롯 및 심볼 설정을 포함함 - 을 송신하고, 설정 정보에 따라 DL 동작 또는 UL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코드북 설계 및 구조를 지원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UE(111-116) 중 하나 이상은 다운링크(DL) 수신 또는 업링크(UL) 송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 설정은 빔 식별자(ID) 및 하나 이상의 빔 ID의 각각에 대한 슬롯 및 심볼 설정을 포함함 - 를 획득하고, 설정 정보에 따라 DL 동작 또는 UL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 프로그래밍,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gNB(101-103)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빔이 심볼 및 슬롯 설정에 따라 설정되는 빔 특정 동작을 통해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회로, 프로그래밍,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도 1은 무선 네트워크(100)의 일 예를 도시하지만, 도 1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100)는 임의의 수의 gNB 및 임의의 수의 UE를 임의의 적절한 배치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gNB(101)는 임의의 수의 UE와 직접 통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130)에 대한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이러한 UE에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각각의 gNB(102-103)는 네트워크(130)와 직접 통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 대한 직접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UE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gNB(101, 102 및/또는 103)는 외부 전화 네트워크 또는 다른 타입의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또는 부가적인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gNB(102)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gNB(102)의 실시예는 예시만을 위한 것이며, 도 1의 gNB(101 및 103)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설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gNB는 다양한 설정을 가지며, 도 2는 본 개시의 범위를 gNB의 임의의 특정 구현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NB(102)는 다수의 안테나(205a-205n), 다수의 RF 송수신기(210a-210n), 송신(transmit, TX) 처리 회로(215) 및 수신(receive, RX) 처리 회로(220)를 포함한다. gNB(102)는 또한 제어부/프로세서(225), 메모리(230) 및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를 포함한다.
RF 송수신기(210a-210n)는 안테나(205a-205n)로부터, 네트워크(100)에서 UE에 의해 송신된 신호와 같은 들어오는(incoming) RF 신호를 수신한다. RF 송수신기(210a-210n)는 IF 또는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도록 들어오는 RF 신호를 하향 변환시킨다. IF 또는 기저 대역 신호(baseband signal)는 기저 대역 또는 IF 신호를 필터링, 디코딩 및/또는 디지털화함으로써 처리된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RX 처리 회로(220)로 송신된다. RX 처리 회로(220)는 처리된 기저 대역 신호를 추가의 처리를 위한 제어부/프로세서(225)로 송신한다.
TX 처리 회로(215)는 제어부/프로세서(225)로부터(음성 데이터(voice data), 웹 데이터, 이메일 또는 대화형 비디오 게임 데이터(interactive video game data)와 같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한다. TX 처리 회로(215)는 처리된 기저 대역 또는 IF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나가는(outgoing) 기저 대역 데이터를 인코딩, 다중화 및/또는 디지털화한다. RF 송수신기(210a-210n)는 TX 처리 회로(215)로부터 나가는 처리된 기저 대역 또는 IF 신호를 수신하고, 기저 대역 또는 IF 신호를 안테나(205a-205n)를 통해 송신되는 RF 신호로 상향 변환한다.
제어부/프로세서(225)는 gNB(102)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다른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프로세서(225)는 잘 알려진 원리에 따라 RF 송수신기(210a-210n), RX 처리 회로(220) 및 TX 처리 회로(215)에 의해 순방향 채널 신호(forward channel signal)의 수신 및 역방향 채널 신호(reverse channel signal)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프로세서(225)는 더욱 첨단 무선 통신 기능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또한 지원할 수 있다. 즉, 제어부/프로세서(225)는 BIS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같은 블라인드 간섭 센싱(blind interference sensing; BIS)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간섭 신호에 의해 감산되는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기능 중 임의의 것은 제어부/프로세서(225)에 의해 gNB(102)에서 지원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프로세서(225)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제어부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어부/프로세서(225)는 다수의 안테나(205a-205n)로부터의 나가는 신호가 원하는 방향으로 나가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조종(steering)하도록 상이하게 가중되는 빔포밍 또는 방향성 라우팅 동작(directional routing operation)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기능 중 임의의 기능은 제어부/프로세서(225)에 의해 gNB(102)에서 지원될 수 있다.
제어부/프로세서(225)는 또한 OS와 같은 메모리(230)에 상주하는 프로그램 및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프로세서(225)는 실행 프로세스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메모리(230) 내외로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프로세서(225)는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2D 안테나 어레이를 갖는 시스템에 대한 채널 품질 측정 및 보고를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프로세서(225)는 웹 RTC와 같은 엔티티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제어부/프로세서(225)는 실행 프로세스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메모리(230) 내외로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프로세서(225)는 또한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에 결합된다.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는 gNB(102)가 백홀 연결(backhaul connection)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 또는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인터페이스(235)는 임의의 적절한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NB(102)가(5G, LTE 또는 LTE-A를 지원하는 것과 같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cellular communication system)의 부분으로서 구현될 때, 인터페이스(235)는 gNB(102)가 유선 또는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해 다른 gNB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gNB(102)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구현될 때, 인터페이스(235)는 gNB(102)가 유선 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또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인터넷과 같은) 더 큰 네트워크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인터페이스(235)는 이더넷(Ethernet) 또는 RF 송수신기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한 통신을 지원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를 포함한다.
메모리(230)는 제어부/프로세서(225)에 결합된다. 메모리(230)의 부분은 RAM을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230)의 다른 부분은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다른 ROM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BIS 알고리즘과 같은 복수의 명령어는 메모리(230)에 저장된다. 복수의 명령어는 제어부/프로세서(225)가 BIS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BIS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간섭 신호를 빼낸 후에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게 하도록 설정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gNB(102)(RF 송수신기(210a-210n), TX 처리 회로(215), 및/또는 RX 처리 회로(220)를 사용하여 구현됨)의 송수신 경로는 FDD 셀 및 TDD 셀의 집성(aggregation)과의 통신을 지원한다.
도 2는 gNB(102)의 일 예를 도시하지만, 도 2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gNB(102)는 도 2에 도시된 임의의 수의 각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액세스 포인트는 다수의 인터페이스(235)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프로세서(225)는 상이한 네트워크 어드레스(network address) 사이에서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라우팅 기능(routing function)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예로서, TX 처리 회로(215)의 단일 인스턴스(instance) 및 RX 처리 회로(220)의 단일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gNB(102)는(RF 송수신기 당 하나와 같은) 각각의 다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조합되거나, 더 세분화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특정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구성 요소가 부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UE(116)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UE(116)의 실시예는 예시만을 위한 것이며, 도 1의 UE(111-115)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설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UE는 다양한 설정을 가지며, 도 3은 본 개시의 범위를 UE의 임의의 특정 구현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16)는 안테나(305),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송수신기(310), TX 처리 회로(315), 마이크로폰(320) 및 수신(RX) 처리 회로(325)를 포함한다. UE(116)는 또한 스피커(330), 프로세서(340),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interface; IF)(345), 터치스크린(touchscreen)(350)(또는 키 패드), 디스플레이(355) 및 메모리(360)를 포함한다. 메모리(360)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361) 및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362)을 포함한다.
RF 송수신기(310)는, 안테나(305)로부터, 네트워크(100)의 gNB에 의해 송신된 들어오는 RF 신호를 수신한다. RF 송수신기(310)는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또는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들어오는 RF 신호를 하향 변환한다. IF 또는 기저 대역 신호는 기저 대역 또는 IF 신호를 필터링, 디코딩 및/또는 디지털화함으로써 처리된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RX 처리 회로(325)로 송신된다. RX 처리 회로(325)는 처리된 기저 대역 신호를 (음성 데이터에 대해서와 같은) 스피커(330) 또는 (웹 브라우징 데이터(web browsing data)에 대해서와 같은) 추가의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340)로 송신한다.
TX 처리 회로(315)는 마이크로폰(320)으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340)로부터 (웹 데이터, 이메일 또는 대화형 비디오 게임 데이터와 같은) 다른 나가는 기저 대역 데이터를 수신한다. TX 처리 회로(315)는 처리된 기저 대역 또는 IF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나가는 기저 대역 데이터를 인코딩, 다중화 및/또는 디지털화한다. RF 송수신기(310)는 TX 처리 회로(315)로부터 나가는 처리된 기저 대역 또는 IF 신호를 수신하고, 기저 대역 또는 IF 신호를 안테나(305)를 통해 송신되는 RF 신호로 상향 변환한다.
프로세서(34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다른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UE(116)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360)에 저장된 OS(361)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잘 알려진 원리에 따라 RF 송수신기(310), RX 처리 회로(325) 및 TX 처리 회로(315)에 의해 순방향 채널 신호의 수신 및 역방향 채널 신호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제어부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40)는 또한 업링크 채널 상에서 UL 송신을 위한 프로세스와 같이 메모리(360)에 상주하는 다른 프로세스 및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실행 프로세스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메모리(360) 내외로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40)는 OS(361)에 기초하거나 gNB 또는 오퍼레이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362)을 실행하도록 설정된다. 프로세서(340)는 또한 랩톱 컴퓨터 및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와 같은 다른 장치에 연결하는 능력을 UE(116)에 제공하는 I/O 인터페이스(345)에 결합된다. I/O 인터페이스(345)는 이러한 액세서리(accessory)와 프로세서(340) 사이의 통신 경로(communication path)이다.
프로세서(340)는 또한 터치스크린(350) 및 디스플레이(355)에 결합된다. UE(116)의 오퍼레이터는 터치스크린(350)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UE(116)에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55)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또는 웹 사이트(web site)로부터와 같이 텍스트 및/또는 적어도 제한된 그래픽을 렌더링(rendering)할 수 있는 다른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메모리(360)는 프로세서(340)에 결합된다. 메모리(360)의 일부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360)의 다른 부분은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UE(116)의 일 예를 도시하지만, 도 3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조합되거나, 더 세분화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특정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구성 요소가 부가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프로세서(340)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및 하나 이상의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과 같은 다수의 프로세서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도 3은 이동 전화 또는 스마트 폰으로서 설정된 UE(116)를 도시하지만, UE는 다른 타입의 이동 또는 고정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a는 송신 경로 회로(transmit path circuitry)의 하이 레벨 다이어그램이다. 예를 들어, 송신 경로 회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b는 수신 경로 회로(receive path circuitry)의 하이 레벨 다이어그램이다. 예를 들어, 수신 경로 회로(450)는 OFDMA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송신 경로 회로는 기지국(gNB)(102) 또는 중계국(relay station)에서 구현될 수 있고, 수신 경로 회로는 사용자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사용자 장치(116))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업링크 통신을 위해, 수신 경로 회로(450)는 기지국(예를 들어, 도 1의 gNB(102)) 또는 중계국에서 구현될 수 있고, 송신 경로 회로는 사용자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사용자 장치(11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송신 경로 회로(400)는 채널 코딩 및 변조 블록(channel coding and modulation block)(405), 직렬 대 병렬(serial-to-parallel; S-to-P) 블록(410), 크기 N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블록(415), 병렬 대 직렬(parallel-to-serial; P-to-S) 블록(420),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블록(add cyclic prefix block)(425) 및 상향 변환기(up-converter; UC)(430)를 포함한다. 수신 경로 회로(450)는 하향 변환기(down-converter; DC)(455), 사이클릭 프리픽스 제거 블록(remove cyclic prefix block)(460), 직렬 대 병렬(S-to-P) 블록(465), 크기 N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블록(470), 병렬 대 직렬(P-to-S) 블록(475), 및 채널 디코딩 및 복조 블록(channel decoding and demodulation block)(480)을 포함한다.
도 4a 및 4b에서의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다른 구성 요소는 설정 가능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설정 가능한 하드웨어의 혼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 문서에서 설명된 FFT 블록 및 IFFT 블록은 설정 가능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크기 N의 값은 구현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또한, 본 개시는 고속 푸리에 변환 및 역 고속 푸리에 변환을 구현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지만, 이는 예시만을 위한 것이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개시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고속 푸리에 변환 함수 및 역 고속 푸리에 변환 함수는 각각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함수 및 역 이산 푸리에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함수로 쉽게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DFT 및 IDFT 함수에 대해, N 변수의 값은 임의의 정수(즉, 1, 4, 3, 4 등)일 수 있지만, FFT 및 IFFT 함수에 대해서는, N 변수의 값은 2의 거듭 제곱인 임의의 정수(즉, 1, 2, 4, 8, 16 등)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송신 경로 회로(400)에서, 채널 코딩 및 변조 블록(405)은 한 세트의 정보 비트(information bit)를 수신하고, 코딩(예를 들어, LDPC 코딩)을 적용하며, 일련의 주파수 도메인 변조 심볼(frequency-domain modulation symbol)을 생성하기 위해 입력 비트(input bit)를 변조시킨다(예를 들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또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직렬 대 병렬 블록(serial-to-parallel block)(410)은 N이 BS(102) 및 UE(116)에서 사용되는 IFFT/FFT 크기인 N개의 병렬 심볼 스트림(parallel symbol stream)을 생성하기 위해 직렬 변조된 심볼(serial modulated symbol)을 병렬 데이터(parallel data)로 변환한다(즉, 역다중화한다(de-multiplex)). 그 다음, 크기 N IFFT 블록(415)은 시간-도메인 출력 신호(time-domain output signal)를 생성하기 위해 N개의 병렬 심볼 스트림 상에서 IFFT 연산을 수행한다. 병렬 대 직렬 블록(420)은 직렬 시간-도메인 신호(serial time-domain signal)를 생성하기 위해 크기 N IFFT 블록(415)으로부터의 병렬 시간-도메인 출력 심볼(parallel time-domain output symbol)을 변환한다(즉, 다중화한다). 그 다음,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블록(425)은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를 시간-도메인 신호에 삽입한다. 최종적으로, 상향 변환기(430)는 무선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해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블록(425)의 출력을 RF 주파수로 변조시킨다(예를 들어, 상향 변환시킨다). 신호는 또한 RF 주파수로 변환하기 전에 기저 대역에서 필터링될 수 있다.
송신된 RF 신호는 무선 채널을 통과한 후에 UE(116)에 도달하고, gNB(102)에서의 동작과의 역 동작(reverse operation)이 수행된다. 하향 변환기(455)는 수신된 신호를 기저 대역 주파수로 하향 변환시키고, 사이클릭 프리픽스 제거 블록(460)은 직렬 시간-도메인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제거한다. 직렬 대 병렬 블록(465)은 시간-도메인 기저 대역 신호를 병렬 시간-도메인 신호로 변환한다. 그 다음, 크기 N FFT 블록(470)은 N개의 병렬 주파수 도메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FFT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병렬 대 직렬 블록(475)은 병렬 주파수 도메인 신호를 일련의 변조된 데이터 심볼로 변환한다. 채널 디코딩 및 복조 블록(480)은 원래의 입력 데이터 스트림을 복원하기 위해 변조된 심볼을 복조하여 디코딩한다.
gNB(101-103)의 각각은 다운링크에서 사용자 장치(111-116)로 송신하는 것과 유사한 송신 경로를 구현할 수 있고, 업링크에서 사용자 장치(111-116)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유사한 수신 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장치(111-116)의 각각은 업링크에서 gNB(101-103)로 송신하기 위한 아키텍처(architecture)에 상응하는 송신 경로를 구현할 수 있고, 다운링크에서 gNB(101-103)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아키텍처에 상응하는 수신 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5G 통신 시스템의 사용 케이스는 식별되고 설명되었다. 이러한 사용 케이스는 대략 3가지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강화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은 덜 엄격한(stringent) 대기 시간 및 신뢰성 요구 사항으로 높은 비트/초 요구 사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다른 예에서, URLL(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은 덜 엄격한 비트/초 요구 사항으로 결정된다. 또 다른 예에서, mMTC(massive machine 타입 communication)는 장치의 수가 km2 당 10 만 내지 1 백만만큼이나 많을 수 있다고 결정되지만, 신뢰성/처리량/대기 시간 요구 사항은 덜 엄격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또한 배터리 소모가 가능한 한 최소화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파워 효율 요구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S) 또는 NodeB와 같은 송신 포인트로부터 사용자 장치(UE)로 신호를 반송하는 다운링크(DL) 및 UE로부터 NodeB와 같은 수신 포인트로 신호를 반송하는 업링크(UL)를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단말기 또는 이동국으로서 지칭되는 UE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일 수 있고, 셀룰러 폰, 개인용 컴퓨터 장치 또는 자동화된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국인 eNodeB는 또한 액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동등한 용어로서 지칭될 수 있다. LTE 시스템의 경우, NodeB는 종종 eNodeB로서 지칭된다.
LTE 시스템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DL 신호는 정보 콘텐츠를 반송하는 데이터 신호, DL 제어 정보(DL control information, DCI)를 반송하는 제어 신호, 및 파일럿 신호로서도 알려진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포함할 수 있다. eNodeB는 물리적 DL 공유 채널(physical DL shared channel, PDSCH)을 통해 데이터 정보를 송신한다. eNodeB는 물리적 DL 제어 채널(physical DL control channel, PDCCH) 또는 EPDCCH(Enhanced PDCCH)를 통해 DCI를 송신한다.
eNodeB는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에서 UE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TB) 송신에 응답하여 확인 응답 정보(acknowledgement information)를 송신한다. eNodeB는 UE-공통 RS(common RS, CRS), 채널 상태 정보(CSI) 기준 신호(RS)(CSI-RS) 또는 복조 RS(demodulation RS, DMRS)를 포함하는 다수의 RS 타입 중 하나 이상을 송신한다. CRS는 DL 시스템 대역폭(BW)을 통해 송신되고,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복조하거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채널 추정치를 획득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CRS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eNodeB는 CRS보다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더 작은 밀도를 갖는 CSI-RS를 송신할 수 있다. DMRS는 각각의 PDSCH 또는 EPDCCH의 BW에서만 송신될 수 있고, UE는 PDRSCH 또는 EPDCCH에서 각각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복조하기 위해 DMRS를 사용할 수 있다. DL 채널에 대한 송신 시간 간격은 서브프레임으로서 지칭되고, 예를 들어 1 밀리초의 지속 기간을 가질 수 있다.
DL 신호는 또한 시스템 제어 정보를 반송하는 논리 채널의 송신을 포함한다. BCCH는 BCCH가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전달할 때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 BCH)로서 지칭되는 전송 채널에 매핑되거나 BCCH가 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전달할 때에는 DL 공유 채널(DL shared channel, DL-SCH)에 매핑된다. 대부분의 시스템 정보는 DL-SCH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상이한 SIB에 포함된다. 서브프레임에서의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의 존재는 특별한 시스템 정보 RNTI(SI-RNTI)로 스크램블링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갖는 코드워드를 반송하는 상응하는 PDCCH의 송신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SIB 송신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이전의 SIB에 제공될 수 있고, 제1 SIB(SIB-1)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MIB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DL 자원 할당은 서브프레임의 유닛 및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의 그룹으로 수행된다. 송신 BW는 자원 블록(RB)으로서 지칭되는 주파수 자원 유닛을 포함한다. 각각의 RB는
Figure pct00001
부반송파 또는 12개의 RE와 같은 자원 요소(RE)를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걸친 하나의 RB의 유닛은 PRB라고 한다. UE는 PDSCH 송신 BW에 대한 총
Figure pct00002
RE에 대한
Figure pct00003
RB를 할당 받을 수 있다.
UL 신호는 데이터 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 UL 제어 정보(UCI)를 전달하는 제어 신호 및 UL RS를 포함할 수 있다. UL RS는 DMRS 및 SRS(Sounding RS)를 포함한다. UE는 각각의 PUSCH 또는 PUCCH의 BW에서만 DMRS를 송신한다. eNodeB는 DMRS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 또는 UCI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UE는 eNodeB에 UL CSI를 제공하도록 SRS를 송신한다. UE는 각각의 물리적 UL 공유 채널(PUSCH) 또는 물리적 UL 제어 채널(PUCCH)을 통해 데이터 정보 또는 UCI를 송신한다. UE가 동일한 UL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정보 및 UCI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경우, UE는 둘 다를 PUSCH로 다중화할 수 있다. UCI는 PDSCH에서 데이터 TB에 대한 올바른(correct)(ACK) 또는 올바르지 않은(incorrect)(NACK) 검출 또는 PDCCH 검출(DTX)의 부재를 나타내는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정보, UE가 UE의 버퍼 내에 데이터를 갖는지를 나타내는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 랭크 지시자(rank indicator, RI), 및 eNodeB가 UE로의 PDSCH 송신을 위해 링크 적응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채널 상태 정보(CSI)를 포함한다. HARQ-ACK 정보는 또한 반영속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의 해제를 나타내는 PDCCH/EPDCCH의 검출에 응답하여 UE에 의해 송신된다.
UL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각각의 슬롯은 데이터 정보, UCI, DMRS 또는 SRS를 송신하기 위한
Figure pct00004
심볼을 포함한다. UL 시스템 BW의 주파수 자원 유닛은 RB이다. UE는 송신 BW에 대한 총
Figure pct00005
RE에 대한
Figure pct00006
RB를 할당 받는다. PUCCH의 경우,
Figure pct00007
이다. 마지막 서브프레임 심볼은 하나 이상의 UE로부터 SRS 송신을 다중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UCI/DMRS 송신에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 심볼의 수는
Figure pct00008
이며, 여기서 마지막 서브프레임 심볼이 SRS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면,
Figure pct00009
이고, 그렇지 않으면,
Figure pct00010
이다.
NR의 동작 주파수 대역이 높아짐에 따라, UE는 커버리지 향상, 빔 실패 이벤트 최소화, 빠른 빔 스위칭 등과 같은 다중 빔 동작의 양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 패널을 수용하도록 진화하고 있다. 하드웨어 아키텍처에 따라, UE(116) 상의 각각의 패널은 분리된 방식으로 다중 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UE(116)는 다중 빔 링크를 통해 DL/UL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다중 빔 링크의 각각은 gNB(102)와 독립적으로 통신하도록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채널에 상응한다. 이전의 NR 표준은 UE(116) 상의 다중 패널이 TDD 동작에서 동시 DL 수신 또는 UL 송신을 위한 단일 패널 선택을 위해서만 사용되도록 허용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안테나 블록(500)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안테나(5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범위를 안테나(500)의 임의의 특정 구현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gNB(102) 또는 UE(116) 중 하나 이상은 안테나(5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205) 및 이의 연관된 시스템 또는 안테나(305) 및 이의 연관된 시스템 중 하나 이상은 안테나(5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Rel.14 LTE 및 Rel.15 NR은 eNB가 다수의 안테나 요소(예를 들어, 64 또는 128)를 장착할 수 있는 최대 32개의 CSI-RS 안테나 포트를 지원한다. 이 경우, 복수의 안테나 요소는 하나의 CSI-RS 포트에 매핑된다. mmWave 대역의 경우, 주어진 폼 팩터에 대해 안테나 요소의 수가 더 많을 수 있지만, 디지털식으로 사전 코딩된 포트의 수에 상응할 수 있는 CSI-RS 포트의 수는 하드웨어 제약(hardware constraints)(예를 들어, mmWave 주파수에서 다수의 ADC/DAC를 설치할 가능성)으로 인해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안테나(500)는 아날로그 위상 시프터(analog phase shifter)(505), 아날로그 빔포머(beamformer; BF)(510), 하이브리드 BF(515), 디지털 BF(520),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525)를 포함한다. 이 경우, 하나의 CSI-RS 포트는 아날로그 위상 시프터(505)의 뱅크(bank)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안테나 어레이(525)의 다수의 안테나 요소 상에 매핑된다. 그 후, 하나의 CSI-RS 포트는 아날로그 BF(510)에 의한 아날로그 빔포밍을 통해 좁은 아날로그 빔을 생성하는 하나의 서브어레이(sub-array)에 상응할 수 있다. 아날로그 빔은 심볼 또는 서브프레임에 걸쳐 위상 시프터 뱅크(505)를 변화시킴으로써 더 넓은 범위의 각도에 걸쳐 스위프(530)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서브어레이의 수(RF 체인의 수와 동일함)는 CSI-RS 포트 NCSI-PORT의 수와 동일하다. 디지털 BF(515)는 NCSI-PORT 아날로그 빔에 걸쳐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을 수행하여 프리코딩 이득을 더 증가시킨다. 아날로그 빔은 광대역(따라서 주파수 선택적(frequency-selective)이 아님)인 반면, 디지털 프리코딩은 주파수 부대역 또는 자원 블록에 걸쳐 변화될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은 송수신을 위해 다수의 아날로그 빔을 활용하므로(여기서 예를 들어, 트레이닝 기간(training duration) 후에 다수의 아날로그 빔 중에서 하나 또는 적은 수의 아날로그 빔이 선택되어 수시로 수행됨), "다중 빔 동작(multi-beam operation)"이라는 용어는 전체 시스템 양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는 예시를 위해 할당된 DL 또는 UL 송신(TX) 빔("빔 인디케이션(indication)"라고도 함)을 나타내는 것, 빔 보고(각각 "빔 측정" 및 "빔 보고"라고도 함)를 계산하고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측정하는 것, 및 상응하는 수신(RX) 빔의 선택을 통해 DL 또는 UL 송신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안테나(500) 시스템은 또한 >52.6GHz과 같은 더 높은 주파수 대역에 적용할 수 있다(FR4라고도 함). 이 경우, 시스템은 아날로그 빔만을 사용할 수 있다. 60GHz 주파수 주변의 O2 흡수 손실(~10데시벨(dB) 부가적 손실 @100m 거리)로 인해, 부가적인 경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더 많은 수의 더 선명한 아날로그 빔(따라서 어레이의 더 많은 수의 라디에이터(radiator))이 필요할 것이다.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이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의 다른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로부터 유추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의 대규모 속성(large-scale properties)이 다른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경우 두 안테나 포트는 QCL(quasi co-located)이라고 한다. 대규모 속성은 지연 확산, 도플러 확산, 도플러 시프트, 평균 이득, 평균 지연 및 공간 Rx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UE에는 서빙 셀에서 PDSCH를 수신하기 위해 상위 계층 파라미터 PDSCH-Config 내의 최대 M개의 송신 설정 지시자(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State 설정의 리스트가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M은 UE 능력 maxNumberConfiguredTCIstatesPerCC에 의존한다. 각각의 TCI-State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와 PDSCH의 DMRS 포트, 상응하는 PDCCH의 DMRS 포트 또는 CSI-RS 자원의 CSI-RS 포트 간의 QCL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quasi co-location 관계는 제1 DL RS에 대한 상위 계층 파라미터 qcl-Type1 및 제2 DL RS(설정된 경우)에 대한 qcl-Type2에 의해 설정된다. 2개의 DL RS의 경우, QCL 타입은 기준이 동일한 DL RS에 대한 것인지 상이한 DL RS에 대한 것인지에 관계없이 동일하지 않아야 한다. 각각의 DL RS에 상응하는 quasi co-location 타입은 QCL-Info의 상위 계층 파라미터 qcl-Type에 의해 주어지며, 다음의 값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 'QCL-TypeA':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확산, 평균 지연, 지연 확산}
- 'QCL-TypeB':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확산}
- 'QCL-TypeC': {도플러 시프트, 평균 지연}
- 'QCL-TypeD': {공간 Rx 파라미터}
UE는 MAC-CE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여 최대 N(예를 들어, N=8)개의 TCI 상태를 DCI 필드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의 코드포인트에 매핑한다. MAC-CE 활성화 명령을 반송하는 PDSCH에 상응하는 HARQ-ACK 정보가 슬롯 n에서 송신되는 경우, TCI 상태와 DCI 필드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의 코드포인트 간의 나타내어진 매핑은 MAC-CE 적용 시간 이후에 적용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슬롯
Figure pct00011
이후의 제1 슬롯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Figure pct00012
는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 설정 μ에 대한 서브프레임당 슬롯의 수이다.
NR의 동작 주파수 대역이 더 높아짐에 따라, UE는 커버리지 향상, 빔 실패 이벤트 최소화, 빠른 빔 스위칭 등과 같은 다중 빔 동작의 양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525) 또는 패널(각각의 패널은 하나의 아날로그 빔, 예를 들어, 아날로그 BF(510)을 통해 송신할 수 있음)을 수용하도록 진화하고 있다. 다중 패널의 능력을 활용함으로써, UE(116)는 시스템이 최적화하기를 원하는 성능의 관점에서 최상의 품질을 가진 패널의 동적 선택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s)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5G NR Rel-17에서, 다수의 패널이 장착된 UE에 대한 UL 빔/패널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새로운 특징이 UE(116) 상의 MPE(maximum permissible exposure) 문제와 같은 여러 양태로부터의 UL 커버리지 손실을 완화하기 위해 통합 송신 설정 지시자(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프레임워크 하에 식별되고 지정된다.
예를 들어, 빔은 UE(116) 및/또는 gNB(102)가 사용하는 공간적 송수신 필터에 상응한다. 일 예에서, 빔은 SS/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및/또는 CSI-RS 등과 같은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UE(116)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적 수신 필터에 상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빔은 UL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등과 같은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UE(116)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적 송신 필터에 상응할 수 있다.
빔 트레이닝 및 측정 절차는, 예를 들어, gNB(102)가 보고 세팅을 위한 설정 뿐만 아니라 SSB 자원 및/또는 CSI-RS 자원과 같은 기준 신호(RS) 자원의 세트를 UE(116)에 설정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음으로써, UE가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NR(Signal to Noise Ratio),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등과 같은 빔 품질 메트릭 측정을 보고할 수 있으며, 이들의 각각은 예를 들어 L-1 측정 또는 필터링된 L-3 측정일 수 있다. 일 예에서, UE(116) 및/또는 gNB(102)는 다수의 오케이젼(occasion)에서 동일한 공간적 송신 필터를 사용하여 반복 횟수로 동기화 신호 블록(SSB) 또는 CSI-RS 또는 SRS와 같은 기준 신호(RS)를 송신할 수 있음으로써, L1/L3 RSRP 또는 SINR와 같은 품질 메트릭에 기초한 후보/최상의 빔의 빔 스위핑 및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gNB(102) 및/또는 UE(116)는 각각 상이한 공간적 수신 필터로 RS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이한 공간적 수신 필터 및/또는 품질 메트릭 및/또는 선택 절차의 선택은 UE/gNB 구현마다 있을 수 있다.
빔 인디케이션 절차는 예를 들어 gNB(102)가 (제1)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공간 필터로 업링크 채널(및/또는 제2 업링크 신호)을 송신하도록 UE(116)에 나타낼 수 있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gNB(102)는 (제1)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공간 필터로 다운링크 채널(및/또는 제2 다운링크 신호)을 수신하도록 UE(116)에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인디케이션은, 예를 들어, DCI 및/또는 MAC-CE, 및/또는 RRC 시그널링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안테나 패널 또는 간단히 패널은 안테나 어레이(525) 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RF 체인에 연결된 안테나 서브어레이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패널은 MIMO 다이버시티 방식과 같은 투명한 UE/gNB 구현에 기반하여 다수의 물리적 패널을 단일 가상 패널로 가상화할 수 있는 송수신 엔티티(transmission-reception entity; TRE)로서 지칭될 수 있다.
최대 릴리스 17(Rel-17 NR)과 같은 이전 NR 설정에서, UE 상의 다수의 패널은 주로 각각 동시 DL 수신 또는 UL 송신을 위한 단일 패널 선택에 사용되었으며, 이는 UE 상의 다수의 패널이 수행할 수 있는 일부 제한된 능력에 상응할 수 있다. 하드웨어 아키텍처에 따라, 일 예로서, UE(116) 상의 각각의 패널은 분리된 방식으로 다중 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UE(116)는 다중 빔 링크를 통해 DL 및 UL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빔 링크의 각각은 gNB(102)와 독립적으로 통신하도록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채널에 상응한다. 여기에서, 다중 빔 링크는 하나 또는 다수의 패널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빔 링크는 상이한 연관된 패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향후 표준 릴리스에서 다중 빔 UE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대규모 다수의 패널을 갖는 UE의 능력을 활용하기 위한 다중 빔 동작의 더 많은 특징이 지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중 빔 동작에 부가하여, 동적 TDD는 슬롯 또는 슬롯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스케줄러 결정의 일부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 동적으로 할당되도록 하는 NR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시간 도메인에서의 DL 및 UL 자원의 분할이 반정적으로 결정된 LTE 시스템에 비해, 동적 TDD는 하나의 슬롯 또는 다수의 슬롯의 일부에서 보다 유연하고 동적인 DL 및 UL 자원 할당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DL과 UL 자원 간의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UL 커버리지, 절전 문제 등과 같은 여러 양태를 개선할 수 있다.
NR에서, 자원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송신에 사용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UE에 제공하기 위한 동적 TDD에 대한 3가지 상이한 시그널링 메커니즘: 1) 스케줄링된 UE에 대한 동적 시그널링; 2) RRC를 사용한 반정적 시그널링; 및 3) 동적 슬롯 포맷 인디케이션이 있다. 이러한 세 가지 메커니즘의 조합이 또한 지원된다. 동적 TDD에 대한 모든 시그널링 메커니즘은 지금까지 "셀 특정(cell-specific)" 또는 "UE 특정(UE-specific)" DL/UL 자원 할당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NR 표준에서, 셀에서의 하나 또는 다수의 UE에는 DL, UL 및/또는 플렉서블(flexible) 슬롯을 포함할 수 있는 동일한 DL/UL 슬롯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플렉서블 슬롯(설정된 경우)에 대해, DL/UL 심볼 패턴은 UE 특정 방식으로 각각의 UE에 대해 상이하게 할당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DL/UL 자원은 각각의 상이한 빔 링크에 대해 상이한 DL/UL 자원이 할당될 수 있는 "빔 특정"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는 것이 지원되지 않았다. 이것은 서로 독립적이거나 부분적으로 독립적일 수 있는 상이한 DL/UL 방향을 가질 수 있는 다중 빔 링크와 관련된 자유(freedom)를 제한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빔을 통해 다수의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네트워크(6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UE(116)는 모바일 차량으로서 도시되지만, UE(114) 및 UE(115)는 모바일 장치로서 도시된다. 부가적으로, UE(116), UE(115), 및 UE(114)는 상이한 빔에 대해 상이할 수 있는 DL/UL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gNB(102)와 연관된다.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gNB(102) 및 UE(114)는 이들 사이의 DL/UL 동작을 위한 빔 쌍(beam pair)(605)을 사용한다. 여기서, "빔 쌍"이라는 용어는 DL TX/RX 빔, UL TX/RX 빔, 또는 DL TX/RX 및 UL TX/RX 빔을 지칭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다중 빔 동작 동안 gNB(102)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빔 상응(beam correspondence)이 유지되면, DL TX/RX 빔은 UL RX/TX 빔과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빔 쌍"은 DL TX/RX 빔 또는 UL RX/TX 빔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빔 상응이 유지되지 않으면, DL TX/RX 빔은 UL RX/TX 빔과 상이할 수 있으므로, "빔 쌍"은 빔 상응 케이스가 없는 경우 DL 및 UL 동작을 위한 DLTX/RX 및 UL TX/RX 빔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빔 쌍은 gNB(102)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SSB 또는 CSI-RS와 같은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각각의 UE에 의해 사용된 공간적 수신 필터를 참조할 수 있는 반면,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gNB(102)에 의해 사용된 공간적 송신 필터는 각각의 UE에 투명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빔 쌍은 gNB(102)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SRS와 같은 업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각각의 UE에 의해 사용된 공간적 송신 필터를 참조할 수 있는 반면,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gNB(102)에 의해 사용된 공간적 수신 필터는 각각의 UE에 투명할 수 있다. gNB(102)와 UE(115)는 이들 사이의 DL/UL 동작을 위해 빔 쌍(610)을 사용한다. 또한, gNB(102) 및 UE(116)는 이들 사이의 DL/UL 동작을 위해 빔 쌍(615) 및 빔 쌍(620)을 사용한다. 여기서, DL/UL 동작은 각각의 빔 쌍(605, 610, 615 및 620)과 각각 연관된 DL/UL 설정 정보에 따라 상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의 UE(116)에 대해, 각각의 빔 쌍(615 및 620)과 각각 연관된 DL/UL 설정에 따라 상이한 DL/UL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UE에 대해 설정된 빔 쌍의 최대 수는 2개이지만, 다른 시나리오에서는 2개보다 많은 빔일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UE에 대한 빔 특정 다운링크/업링크 동작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흐름도는 일련의 순차적 단계를 나타내지만,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동시에 또는 중첩 방식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수행의 특정 순서, 단계 또는 이의 일부의 수행, 또는 개입 또는 중간 단계의 발생 없이 독점적으로 나타내어진 단계의 수행에 관한 해당 시퀀스로부터 추론이 이끌어내어지지 않아야 한다. 나타내어진 예에 나타내어진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UE의 송신기 체인에 의해 구현된다. 프로세스(7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600)에서의 UE(114, 115 및 116)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동작(705)에서, UE(116)와 같은 UE에는 DL 수신 및/또는 UL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빔 ID가 설정된다. UE(116)가 본 명세서의 예에서 사용되지만, UE(111) 내지 UE(115) 중 임의의 것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빔 ID는 DL을 위한 TCI, 현재 표준에서 UL을 위한 SRI, 또는 통합 TCI 프레임워크(현재 Rel-17에서 논의/개발 중임) 또는 빔 인디케이션을 위한 임의의 다른 변형을 사용하는 DL/UL TCI와 같이 DL 빔, UL 빔 또는 둘 다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또는 요소로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TCI 프레임워크는 DL 빔, UL 빔 및/또는 패널 ID에 각각 상응하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예에서, 통합 TCI 프레임워크에서의 인덱스는 DL 빔, UL 빔 및/또는 패널 ID를 지정하는 빔 ID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빔 ID"라는 용어는 예시를 위해 사용되므로 규범적이지 않다는 것을 주목한다. 일 예에서, 빔 ID는 SSBRI(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resource ID) 또는 CSI-RS 자원 지시자(CSI-RS resource indicator; CRI), 또는 SRS 자원 지시자(SRS Resource Indictor; SRI)와 같은 DL/UL 기준 신호(RS) 자원에 상응하는 ID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빔 ID는 부가적으로 CSI-RS 자원 세트 ID 또는 SRS 자원 세트 ID와 같은 상응하는 기준 신호 자원 세트에 대한 ID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빔 ID는 부가적으로 물리적 셀 ID(physical cell ID; PCI) 및/또는 글로벌 셀 ID(global cell ID; GCI), 및/또는 송수신 포인트(TRP) ID 등과 같은 ID를 포함할 수 있다. UE(116)에는 임의의 디폴트 빔이 설정될 수 있다.
동작(710)에서, UE(116)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다중 빔 ID가 설정된 경우, 설정된 빔 ID의 각각과 연관된 DL/UL 설정 정보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UE(116)에 다중 빔 ID가 설정된 경우에 대해 UE(116)에는 다중 DL/UL 설정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동작(715)에서, UE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동작을 수행한다. UE(116)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설정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동작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gNB에 대한 빔 특정 다운링크/업링크 동작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흐름도는 일련의 순차적 단계를 나타내지만,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동시에 또는 중첩 방식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수행의 특정 순서, 단계 또는 이의 일부의 수행, 또는 개입 또는 중간 단계의 발생 없이 독점적으로 나타내어진 단계의 수행에 관한 해당 시퀀스로부터 추론이 이끌어내어지지 않아야 한다. 나타내어진 예에 나타내어진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gNB의 송신기 체인에 의해 구현된다. 빔 특정 다운링크/업링크 동작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가지 동작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스(8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600)의 gNB(102)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동작(805)에서, gNB(102)는 DL 송신 및/또는 UL 수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빔 ID를 UE(116)와 같은 UE에 설정한다. gNB(102)는 임의의 디폴트 빔을 UE에 설정할 수 있다.
동작(810)에서, gNB(102)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설정 정보를 제공한다. gNB(102)가 다수의 빔 ID를 UE(116)에 설정하는 경우, UE(116)에 대해 설정된 빔 ID의 각각과 연관된 DL/UL 설정 정보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gNB(102)가 네트워크(600)의 빔 쌍(615 및 620)을 UE(116)에 설정하는 경우와 같이, gNB(102)가 다중 빔 ID를 UE(116)에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 gNB(102)는 다중 DL/UL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815)에서, gNB(102)는 UE(116)에 대한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gNB(102)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설정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동작 또는 업링크 동작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다중 빔 동작을 포함하는 UE에 대해 제안된 빔 특정 동적 TDD 동작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흐름도는 일련의 순차적 단계를 나타내지만,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동시에 또는 중첩 방식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수행의 특정 순서, 단계 또는 이의 일부의 수행, 또는 개입 또는 중간 단계의 발생 없이 독점적으로 나타내어진 단계의 수행에 관한 해당 시퀀스로부터 추론이 이끌어내어지지 않아야 한다. 나타내어진 예에 나타내어진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UE의 송신기 체인에 의해 구현된다. 빔 특정 다운링크/업링크 동작을 위한 특정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동작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스(9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600)의 UE(114, 115 및 116)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동작(905)에서, UE(116)와 같은 UE는 다중 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다중 빔 프로세스는 빔 스위핑, 빔 측정, 빔 보고 및/또는 빔 인디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스 또는 일련의 프로세스일 수 있다. 동작(910)에서, UE에는 DL 수신 및/또는 UL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빔 ID가 설정된다. 동작(915)에서, UE(116)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DL/UL 슬롯/심볼 설정을 수신한다. 다중 빔 ID가 설정되는 경우, 설정된 빔 ID의 각각과 연관된 DL/UL 슬롯/심볼 설정은 상이할 수 있으며, 따라서 UE(116)에는 다중 빔 ID가 설정되는 경우에 UE(116)에는 다중 DL/UL 슬롯/심볼 설정이 제공될 수 있다. 동작(920)에서, UE(116)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슬롯/심볼 설정에 따라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동작을 수행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다중 빔 동작을 포함하는 gNB에 대해 제안된 빔 특정 동적 TDD 동작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흐름도는 일련의 순차적 단계를 나타내지만,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동시에 또는 중첩 방식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수행의 특정 순서, 단계 또는 이의 일부의 수행, 또는 개입 또는 중간 단계의 발생 없이 독점적으로 나타내어진 단계의 수행에 관한 해당 시퀀스로부터 추론이 이끌어내어지지 않아야 한다. 나타내어진 예에 나타내어진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gNB의 송신기 체인에 의해 구현된다. 빔 특정 다운링크/업링크 동작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동작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스(10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600)의 gNB(102)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동작(1005)에서, gNB(102)는 다중 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다중 빔 동작은 빔 트레이닝, 빔 측정, 빔 보고 및/또는 빔 인디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스 또는 일련의 프로세스일 수 있다. 동작(1010)에서, gNB(102)는 DL 송신 및/또는 UL 수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빔 ID를 UE(116)에 설정한다. 동작(1015)에서, gNB(102)는 UE(116)에 대해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슬롯/심볼 설정을 제공한다. gNB(102)가 다중 빔 ID를 UE(116)에 설정하는 경우, UE(116)에 대해 설정된 빔 ID의 각각과 연관된 DL/UL 슬롯/심볼 설정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gNB(102)는 gNB(102)가 네트워크(600)의 빔 쌍(615 및 620)을 UE(116)에 설정할 때와 같이 gNB(102)가 다중 빔 ID를 UE(116)에 설정하는 경우에 다중 DL/UL 슬롯/심볼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1020)에서, gNB(102)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슬롯/심볼 설정에 따라 UE(116)에 대한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동작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빔 특정 동적 TDD 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DL/UL 설정을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DL/UL 설정(11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UE(116)에는 도 7의 동작(710)과 도 9의 동작(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DL 또는 UL로서 구체적으로 할당되지 않은 플렉서블 슬롯 내에서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심볼 패턴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gNB(102)는 도 8의 동작(810)과 도 10의 동작(10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L 또는 UL로서 구체적으로 할당되지 않은 플렉서블 슬롯 내에서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심볼 패턴을 UE(116)에 제공한다.
도 11은 UE(116)가 DL 또는 UL로서 구체적으로 할당되지 않은 플렉서블 슬롯 내에서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심볼 패턴을 획득하거나 gNB(102)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DL/UL 슬롯/심볼 설정(1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16)에는 gNB(10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DL/UL 슬롯 패턴(1105)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L/UL 슬롯 패턴(1105)은 TS 38.213/38.331에서 TDD-UL-DL-ConfigCommon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파라미터는 셀 특정적 또는 UE 특정적 DL/UL TDD 설정을 설정하기 위한 요소이다. 슬롯은 DL, UL 및 플렉서블 슬롯으로서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은 DL 슬롯(1115), UL 슬롯(1120), 및 플렉서블 슬롯(1125)으로서 할당될 수 있다. 플렉서블 슬롯(1125)의 각각에 대해, UE(116)가 제공될 수 있거나 gNB(102)가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심볼 패턴을 UE(116)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슬롯(1130) 내에서, 심볼은 각각 DL, UL 및 플렉서블 심볼로서 할당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슬롯(1130) 내의 심볼은 DL 심볼(1135), UL 심볼(1140), 및 플렉서블 심볼(1145)로서 할당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DL/UL 심볼 패턴은 설정된 빔 ID마다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UE(116)에는 다중 빔 ID가 설정될 때 동일한 플렉서블 슬롯(1125) 내에서 다중 DL/UL 심볼 패턴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DL 슬롯/심볼, UL 슬롯/심볼 및 플렉서블 슬롯/심볼의 할당 순서는 예시만을 위한 것이며, DL 슬롯/심볼, UL 슬롯/심볼 및 플렉서블 슬롯/심볼이 할당되는 다른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심볼 패턴(1110)은 TS 38.213/38.331에서 파라미터 TDD-UL-DL-ConfigDedicated의 변형을 사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설정된 빔 ID를 갖는 DL/UL 심볼 패턴(1110)은 여러 업데이트된 정보 요소(IE)를 보여주는 아래 예에서 TDD-UL-DL-SlotConfig-TciState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아래 예에서, TDD-UL-DL-SlotConfig-TciState의 tci-StateId(아래 밑줄친 부분)는 DL/UL TX/RX 빔을 포함하는 통합 TCI 프레임워크를 가정하여 단순성을 위해 설정된 빔 ID를 나타내기 위한 일 예로서 사용되고/되거나, 패널 ID가 개발되었지만; 다른 빔 지시자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 플렉서블 슬롯(1125)과 같은 여러 슬롯에 대해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심볼 패턴은 TDD-UL-DL-ConfigDedicated-TciState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예에서, 플렉서블 슬롯(1125)과 같은 여러 슬롯에 대해 다중 설정된 빔 ID의 각각과 연관된 DL/UL 심볼 패턴은 TDD-UL-DL-ConfigDedicated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maxNrofTDD-UL-DL-ConfigDedicated-TciState를 사용하여 다중 설정된 빔 ID의 수가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알고리즘은 다음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TDD-UL-DL-ConfigDedicated ::= SEQUENCE {
slotSpecificConfigurationsToAddModList SEQUENCE (SIZE (1.. maxNrofTDD-UL-DL-ConfigDedicated-TciState)) OF TDD-UL-DL-ConfigDedicated-TciState OPTIONAL, -- Need N
slotSpecificConfigurationsToReleaseList SEQUENCE (SIZE (1.. maxNrofTDD-UL-DL-ConfigDedicated-TciState)) OF TDD-UL-DL-TciStateIndex OPTIONAL, -- Need N
...
}
maxNrofTDD-UL-DL-ConfigDedicated-TciState ::= INTEGER (1..maxNrofTCI-States)
TDD-UL-DL-TciStateIndex ::= INTEGER (0.. maxNrofTDD-UL-DL-ConfigDedicated-1)
TDD-UL-DL-ConfigDedicated-TciState ::= SEQUENCE {
slotSpecificConfigurationsTciStateToAddModList SEQUENCE (SIZE (1..maxNrofSlots)) OF TDD-UL-DL-SlotConfig-TciState OPTIONAL, -- Need N
slotSpecificConfigurationsTciStateToReleaseList SEQUENCE (SIZE (1..maxNrofSlots)) OF TDD-UL-DL-SlotIndex OPTIONAL, -- Need N
...
}
TDD-UL-DL-SlotConfig-TciState ::= SEQUENCE {
slotIndex TDD-UL-DL-SlotIndex,
symbols CHOICE {
allDownlink NULL,
allUplink NULL,
explicit SEQUENCE {
nrofDownlinkSymbols INTEGER (1..maxNrofSymbols-1) OPTIONAL, -- Need S
nrofUplinkSymbols INTEGER (1..maxNrofSymbols-1) OPTIONAL -- Need S
}
}
tci-StateId TCI-StateId
}
TDD-UL-DL-SlotIndex ::= INTEGER (0..maxNrofSlots-1)
예를 들어, maxNrofTDD-UL-DL-ConfigDedicated-TciState에는 3이 설정되는 경우, 3개의 상이한 DL/UL 심볼 패턴이 설정될 수 있고, 각각의 심볼 패턴은 상응하는 빔 ID와 연관된다. 세 가지 심볼 패턴의 예는 표 2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빔 ID (예: TCI)에 대한 플렉서블 슬롯에서의 DL/UL 심볼 패턴 할당
TCI-State 1 D D D D F F F F U U U U U U
TCI-State 2 U U U U U U U U D D D D D D
TCI-State 3 D U D U D U D U D U D U D U
UE(116) 또는 gNB(102)는 동작(715, 815, 920 또는 1020)에 상응할 수 있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설정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경우, UE(116) 또는 gNB(102)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제공된 DL/UL 슬롯/심볼 패턴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시 말하면, UE(116) 또는 gNB(102)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제공된 DL/UL 슬롯/심볼 패턴과 동기화하고 이에 따라 설정된 빔 ID에 의해 지정되는 DL RX 및/또는 UL TX 빔, 또는 DL TX 및/또는 UL RX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일 예에서, UE가 연관된 설정 정보(예를 들어, UL/DL TDD 패턴)가 없는 제1 빔/공간 필터/기준 신호(예를 들어, CSI-RS)로 동작하는 경우, 하나의 옵션에서, UE는 제1 빔/공간 필터/기준 신호와 QCL 관계 가정(relationship assumption)을 갖는 제2 빔/공간 필터/기준 신호(예를 들어, SSB)와 연관된 설정 정보(예를 들어, UL/DL TDD 패턴)에 따라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옵션에서, UE는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또는 고정 및/또는 디폴트 설정 정보(예를 들어, UL/DL TDD 패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고정/디폴트 빔과 연관된 설정 정보(예를 들어, UL/DL TDD 패턴), 또는 기준 설정 정보(예를 들어, 기준 UL/DL TDD 패턴)로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빔 특정 동적 TDD 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DL/UL 설정을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DL/UL 설정(12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UE(116)에는 동작(710, 810, 915, 또는 1015)에서 수행될 수 있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슬롯 패턴이 제공되거나, gNB(102)은 이러한 패턴을 UE(116)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슬롯 패턴을 획득하는 UE(116) 또는 이를 제공하는 gNB(102)의 예를 도시한다. DL/UL 슬롯 설정(12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에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슬롯 패턴(1205)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파라미터 TDD-UL-DL-ConfigCommon의 변형을 사용하여 gNB(10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슬롯은 각각 DL, UL 및 플렉서블 슬롯으로서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은 DL 슬롯(1210), UL 슬롯(1215), 및 플렉서블 슬롯(1220)으로서 할당될 수 있다. 플렉서블 슬롯(1220)의 각각에 대해, UE(116)에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심볼 패턴이 제공될 수 있거나, gNB(102)은 이러한 패턴을 UE(116)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DL/UL 슬롯 패턴(1205)은 설정된 빔 ID마다 상이할 수 있으므로, UE(116)에 다중 빔 ID가 설정될 때 다중 DL/UL 슬롯 패턴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DL 슬롯, UL 슬롯 및 플렉서블 슬롯의 할당 순서는 예시만을 위한 것이며, DL 슬롯, UL 슬롯 및 플렉서블 슬롯이 할당되는 다른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슬롯 패턴(1205)은 예를 들어 TS 38.213/38.331에서 파라미터 TDD-UL-DL-ConfigCommon의 변형을 사용하여 gNB(10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파라미터 TDD-UL-DL-ConfigCommon에 기초하여 주어지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셀 특정 경우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한다.
구체적으로, 아래의 예에서, 설정된 빔 ID를 갖는 DL/UL 슬롯 패턴(1205)은 TDD-UL-DL-ConfigCommon-TciState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TDD-UL-DL-ConfigCommon-TciState의 tci-StateId는 DL/UL TX/RX 빔을 포함하는 통합 TCI 프레임워크를 가정하는 설정된 빔 ID에 대한 예로서 사용되고/되거나, 패널 ID가 개발되지만, 다른 빔 지시자가 사용될 수 있다. 아래의 예에서, 다중 선택된 빔 ID의 각각과 연관된 DL/UL 슬롯 패턴(1205)은 TDD-UL-DL-ConfigCommon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다중 설정된 빔 ID의 수는 maxNrofTDD-UL-DL-ConfigCommon-TciState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알고리즘은 다음의 표 3과 같을 수 있다.
TDD-UL-DL-ConfigCommon ::= SEQUENCE {
commonConfigurationsTciToAddModList SEQUENCE (SIZE (1.. maxNrofTDD-UL-DL-ConfigCommon-TciState)) OF TDD-UL-DL-ConfigCommon-TciState OPTIONAL, -- Need N
commonConfigurationsTciToReleaseList SEQUENCE (SIZE (1.. maxNrofTDD-UL-DL-ConfigCommon-TciState)) OF TDD-UL-DL-TciStateIndex OPTIONAL, -- Need N
...
}
maxNrofTDD-UL-DL-ConfigCommon-TciState ::= INTEGER (1..maxNrofTCI-States)
TDD-UL-DL-TciStateIndex ::= INTEGER (0.. maxNrofTDD-UL-DL-ConfigConfigCommon-1)
TDD-UL-DL-ConfigCommon-TciState ::= SEQUENCE {
referenceSubcarrierSpacing SubcarrierSpacing,
pattern1 TDD-UL-DL-Pattern-TciState,
pattern2 TDD-UL-DL-Pattern-TciState OPTIONAL, -- Need R
...
}
TDD-UL-DL-Pattern-TciState ::= SEQUENCE {
dl-UL-TransmissionPeriodicity ENUMERATED {ms0p5, ms0p625, ms1, ms1p25, ms2, ms2p5, ms5, ms10},
nrofDownlinkSlots INTEGER (0..maxNrofSlots),
nrofDownlinkSymbols INTEGER (0..maxNrofSymbols-1),
nrofUplinkSlots INTEGER (0..maxNrofSlots),
nrofUplinkSymbols INTEGER (0..maxNrofSymbols-1),
tci-StateId TCI-StateId
...,
[[
dl-UL-TransmissionPeriodicity-v1530 ENUMERATED {ms3, ms4} OPTIONAL -- Need R
]]
}
-- TAG-TDD-UL-DL-CONFIGCOMMON-STOP
-- ASN1STOP
예를 들어, maxNrofTDD-UL-DL-ConfigDedicated-TciState에는 "3"이 설정되는 경우, 3개의 상이한 DL/UL 슬롯/심볼 패턴이 설정될 수 있고, 각각의 슬롯/심볼 패턴은 상응하는 빔 ID와 연관된다. 세 가지 슬롯/심볼 패턴의 예는 표 4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빔 ID (예: TCI)에 대한 DL/UL 슬롯 패턴 할당의 예
TCI-State 1 D D D F F U U U U U
TCI-State 2 D U D U D U D U D U
TCI-State 3 U U U U U U D D D D
일 예에서, 상술한 RRC 정보 요소에서 "TCI" 또는 "TCIstate"(및 상응하는 요소)는 공통(셀 특정) UL/DL TDD 패턴의 설정을 위한 SS/PBCH 블록(SSB)과 같은 셀 특정 기준 신호를 나타낼 수 있음으로써, "TCIStateID"가 예를 들어 "SSBRI"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술한 RRC 정보 요소에서 "TCI" 또는 "TCIstate"(및 상응하는 요소)는 모든 UE에 공통적으로 설정되는 공통 DL RS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공통 설정은 모든 UE에 명시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거나 gNB 구현에 의해 암시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UE(116) 또는 gNB(102)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설정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동작을 수행하며, 이는 동작(715, 815, 920 또는 10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6) 또는 gNB(102)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제공된 DL/UL 슬롯/심볼 패턴(1205)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시 말하면, UE(116) 또는 gNB(102)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제공된 DL/UL 슬롯/심볼 패턴(1205)과 동기화하고 이에 따라 설정된 빔 ID에 의해 지정되는 DL RX 및/또는 UL TX 빔, 또는 DL TX 및/또는 UL RX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일 예에서, UE(116)가 연관된 설정 정보(예를 들어, UL/DL TDD 슬롯 패턴(1205))가 없는 제1 빔/공간 필터/기준 신호(예를 들어, CSI-RS)로 동작하는 경우, 하나의 옵션에서, UE(116)는 제1 빔/공간 필터/기준 신호와 QCL 관계 가정을 갖는 제2 빔/공간 필터/기준 신호(예를 들어, SSB)와 연관된 설정 정보(예를 들어, UL/DL TDD 패턴)에 따라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동작을 수행한다. 다른 옵션에서, UE(116)는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또는 고정 및/또는 디폴트 설정 정보(예를 들어, UL/DL TDD 패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고정/디폴트 빔과 연관된 설정 정보(예를 들어, UL/DL TDD 패턴), 또는 기준 설정 정보(예를 들어, 기준 UL/DL TDD 패턴)로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동작을 수행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gNB(102)는 서빙 셀 내의 모든 UE에 적용되는 2개 이상의 셀 특정 TDD DL/UL 패턴, 예를 들어, TDD-UL-DL-ConfigCommon을 설정하며, 여기서 각각의 TDD-UL-DL-ConfigCommon은 셀에 대해 설정된 SS/PBCH 블록(SSB)과 연관된다. UE(116)가 SSB 및/또는 SSB와 QCL인 다른 기준 신호(RS)(예를 들어, QCL Type-D)로 동작할 때, UE(116)는 상응하는 TDD DL/UL 패턴, TDD-UL-DL-ConfigCommon을 적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UE(116)는 기준 셀 특정 TDD DL/UL 패턴으로서 상응하는 TDD-UL-DL-ConfigCommon을 기반으로 (상술한 RRC 예에서 나타내어진 임의의 빔 UE 특정 TDD-UL-DL-ConfigDedicated-TCIstate를 포함하는) 임의의 UE 특정 TDD DL/UL 패턴으로 동작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UE(116)는 동적으로 트리거될 수 있거나, gNB(102)는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UL 방향이 설정되도록 하위 계층 제어 시그널링(L1 또는 L2, 즉, DCI 또는 MAC CE)을 통해 예를 들어, 비주기적 또는 반영구적 방식으로 UE(116)를 동적으로 트리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NB(102)는 DCI 또는 MAC CE를 통해 현재 DL/UL 방향을 변경하도록 UE(116)를 트리거할 수 있다. 여기서, DCI 또는 MAC CE를 통해 트리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빔 ID, DL/UL 방향 변경 지시자)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DL/UL 방향 변경 지시자는 단일 비트 지시자일 수 있다. 간접 연관은 DL/UL 방향 변경에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하나 이상의 설정된 빔 ID의 세트와 연관된 DL/UL 방향을 설정하는 빔 특정 UL/DL TDD 패턴은 슬롯 포맷 인디케이션을 위한 DCI 포맷 2_0과 같은 그룹 공통 시그널링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공통 DCI 포맷 2_0은 UL/DL TDD 패턴의 그룹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그룹 내의 각각의 패턴은 빔 ID와 연관된 UL/DL TDD 패턴에 상응한다. UE가 DCI 포맷 2_0에서 이러한 인디케이션을 수신하고 디코딩하면, UE는 나타내어진 패턴의 그룹으로부터 동작 빔 ID와 연관된 UL/DL TDD 패턴을 적용한다.
빔 실패 이벤트 감소를 위한 절차.
각각이 설정된 빔 ID와 연관되는 상이한 TDD 슬롯/심볼 패턴이 설정된 UE의 경우, 빔 링크에 대한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 프로세스가 잠재적으로 발생하기 전에 빔 실패 이벤트는 UE가 다른 빔 링크를 통해 다른 빔 링크의 품질을 보고하여 gNB가 빔 링크의 상태를 미리 알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에서, UE(116)는 다른 빔 링크를 통해 빔 링크에 대한 DL RS(예를 들어, 빔 실패 검출 자원)의 RSRP, RSRQ, SINR을 보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UE(116)에는 TS.38.213의 Clause 9.2.4에서와 유사하게 정의될 수 있는 BFR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ID가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UE(116)는 BFR 검출된 빔 링크에 대한 BFR 처리를 요청하기 위해 품질이 임계값보다 작아지는 빔 실패 검출된 빔 링크 이외의 빔 링크를 사용하여 PUCCH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빔 특정 동적 TDD 동작에서 빔 실패 이벤트를 방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흐름도는 일련의 순차적 단계를 나타내지만,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동시에 또는 중첩 방식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수행의 특정 순서, 단계 또는 이의 일부의 수행, 또는 개입 또는 중간 단계의 발생 없이 독점적으로 나타내어진 단계의 수행에 관한 해당 시퀀스로부터 추론이 이끌어내어지지 않아야 한다. 나타내어진 예에 나타내어진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UE의 송신기 체인에 의해 구현된다. 빔 특정 다운링크/업링크 동작에 대한 특정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동작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스(13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600)의 UE(114, 115 및 116)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동작(1305)에서, UE(116)는 하나 이상의 빔 ID에 대한 DL RS의 RSRP를 측정하도록 설정된다. UE(116)는 하나 이상의 빔 ID가 빔 실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TS. 38.213의 Clause 6의 failureDetectionResources와 같은 DL RS의 RSRP를 측정한다.
동작(1310)에서, UE(116)는 설정된 빔 ID의 각각에 대해 측정된 RSRP가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임계값은 예를 들어 TS 38.213의 Clause 6에 설명된 바와 같이 rsrp-ThresholdSSBBFR 및/또는 powerControlOffsetSS를 사용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임계값은 디폴트 임계값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UE(116)가 RSRP가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하면, UE(116)는 동작(1305)으로 복귀하여 하나 이상의 ID에 대한 DL RS의 RSRP를 다시 측정한다. UE(116)가 RSRP가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하면, UE(116)는 동작(1315)으로 진행한다.
동작(1315)에서, UE는 빔 실패를 검사한다. 즉, UE(116)는 빔 실패가 없는 다른 이용 가능한 빔 링크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빔 실패가 없는 빔 링크(beam links that are not beam-failed)"는 빔 링크에 상응하는 측정된 RSRP가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UE(116)가 빔 실패 빔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UE(116)는 동작(1320)으로 진행한다. UE(116)가 빔 실패 빔 링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UE(116)는 동작(1325)으로 진행한다.
동작(1320)에서, UE(116)는 동작(1310)에서 식별된 임계값보다 작은 측정된 RSRP를 갖는 빔 ID에 대한 빔 실패 이벤트를 다른 이용 가능한 빔 링크를 사용하는 UL 송신을 통해 gNB(102)에 보고한다. 여기서, UE(116)는, 예를 들어, 빔 실패가 없는 이용 가능한 빔 링크를 사용하여 PUCCH 송신과 같은 스케줄링 요청을 통해 보고할 수 있다.
동작(1325)에서, UE(116)는 동작(1315)에서 이용 가능한 빔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기존 링크 복구 절차를 수행한다. 기존 링크 복구 절차는 TS.38.214의 Clause 6에 있는 절차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자기 간섭(self-interference) 측정을 위한 구성 요소
각각이 설정된 빔 ID와 연관되는 상이한 TDD 슬롯/심볼 패턴이 UE에 설정되는 경우, UL 송신 패널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DL 수신 패널에서 측정된 간섭인 UE에서의 자기 간섭을 측정하는 것은 UE에서 다중 빔 특정 DL 및 UL 슬롯/심볼 설정의 능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UE가 상이한 빔을 갖는 상이한 패널에 걸쳐 자기 간섭을 측정하기 위해, UE는 예를 들어,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서 UL 빔을 가진 패널에서 UL RS(예를 들어, SRS)를 송신하고, DL 빔을 가진 다른 패널에서 UL RS(예를 들어, 자기 간섭)를 측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또한 상응하는 간섭량을 보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서, gNB(102)는 DL 및 UL 빔을 갖는 DL 및 UL 패널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간섭량을 수집할 수 있고, 각각이 자기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이한 빔 ID와 연관되는 다수의 DL 및 UL 슬롯/심볼 설정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예에서, gNB(102)는 UL 빔((즉, 빔 ID에 상응함)을 가진 패널에서 UL RS를 송신하고 DL 빔((즉, 다른 빔 ID에 상응함)을 가진 다른 패널에서 UL RS(자기 간섭)를 측정하도록 UE(116)를, 설정하고, 후속 UL 송신에서 상응하는 자기 간섭을 보고하도록 UE(116)를 설정할 수 있다. 후속 UL 송신에 대한 간격은 설정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후속 UL 송신은 트리거 기반일 수 있으며, 즉 UL 송신은 이벤트가 충족될 때에만 수행한다.
일 예에서, gNB(102)는 일정 기간 동안 UL 빔((즉, 빔 ID에 상응함)을 가진 패널에서 UL RS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다른 패널에서 DL 빔의 전부(또는 일부)를 하나씩 스위핑함으로써 UL RS(자기 간섭)를 측정하도록 UE(116)를 설정하고, 후속 UL 송신에서 상응하는 자기 간섭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고하도록 UE(116)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하나의 대표적인 자기 간섭 값(예를 들어, 스위핑에 의한 측정 중 최대 자기 간섭 값)만이 보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후속 UL 송신에 대한 간격은 설정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후속 UL 송신은 트리거 기반일 수 있으며, 즉 UL 송신은 이벤트가 충족될 때에만 수행한다.
일 예에서, gNB(102)는 DL 빔((즉, 빔 ID에 상응함)을 가진 패널에서 DL RS를 수신하고 UL 빔((즉, 다른 빔 ID에 상응함)을 가진 다른 패널에서 UL RS를 송신하도록 UE(116)를 설정하고, DL 빔을 가진 패널에서 DL RS와 UL RS의 RSRP(또는 UL RSRP의 RSRP에 대한 DL RS의 RSRP와 같은 두 RSRP를 사용함으로써 획득된 하나 또는 다른 값 중 하나)를 모두 측정하도록 UE(116)를 설정할 수 있다. gNB(102)는 후속 UL 송신에서 상응하는 RSRP(또는 다른 값)를 보고하도록 UE(116)를 설정할 수 있다. 후속 UL 송신에 대한 간격은 설정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후속 UL 송신은 트리거 기반일 수 있으며, 즉 UL 송신은 이벤트가 충족될 때에만 수행한다.
일 예에서, gNB(102)는 DL 빔((즉, 빔 ID에 상응함)을 가진 패널에서 DL RS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각각의 주기에 대해 다른 패널에서 UL 빔의 전부(또는 일부)를 하나씩 스위핑함으로써 UL RS를 송신하도록 UE(116)를 설정하고, 각각의 주기에 대해 DL RS와 UL RS의 RSRP(또는 UL RSRP의 RSRP에 대한 DL RS의 RSRP와 같은 두 RSRP를 사용함으로써 획득된 하나 또는 다른 값 중 하나)를 모두 측정하도록 UE(116)를 설정할 수 있다. gNB(102)는 후속 UL 송신에서 상응하는 RSRP(또는 다른 값)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고하도록 UE(116)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하나의 대표적인 RSRP 값(예를 들어, 스위핑에 의한 측정 중 최대 RSRP 값)만이 보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후속 UL 송신에 대한 간격은 설정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후속 UL 송신은 트리거 기반일 수 있으며, 즉 UL 송신은 이벤트가 충족될 때에만 수행한다.
본 개시가 예시적인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하는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출원에서의 설명은 임의의 특정 요소, 단계 또는 기능이 청구 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 요소임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에 있어서,
    다중 빔 동작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다운링크(downlink; DL) 수신 또는 업링크(uplink; UL) 송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 - 상기 설정 정보는 빔 식별자(identifier; ID) 및 하나 이상의 빔 ID의 각각에 대한 슬롯 및 심볼 설정을 포함함 - 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DL 동작 또는 UL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치(UE).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및 심볼 설정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슬롯, 하나 이상의 업링크 슬롯, 및 셀 특정 기반 또는 UE 특정 기반으로 설정된 다수의 플렉서블 슬롯을 포함하는 슬롯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플렉서블 슬롯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심볼, 하나 이상의 업링크 심볼, 및 빔 특정 기반으로 설정된 다수의 플렉서블 심볼을 포함하는 심볼 패턴을 포함하고,
    다수의 설정된 빔 ID는 제1 파라미터에 제공되며,
    제1 파라미터에는 N이 설정되는 경우, N개의 상이한 DL/UL 슬롯 및 심볼 패턴이 설정되고, 상기 슬롯 및 심볼 패턴의 각각은 상응하는 빔 ID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치(UE).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L 동작 또는 상기 UL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빔, 공간 필터 또는 기준 신호와 QCL(quasi-located) 관계 가정을 각각 갖는 제2 빔, 공간 필터 또는 기준 신호와 연관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DL 동작 또는 상기 UL 동작을 수행하는 것, 또는
    사전 정의된 규칙, 고정 설정 또는 디폴트 설정 중 하나에 따라 상기 DL 동작 또는 상기 UL 동작을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치(UE).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제1 빔 ID와 연관된 제1 빔에 대한 제1 슬롯 설정 및 제2 빔 ID와 연관된 제2 빔에 대한 제2 슬롯 설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롯 설정은 상기 제2 슬롯 설정과 상이하며,
    슬롯 패턴은 제2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공되는 다수의 설정된 빔 ID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다수의 슬롯 DL 및 UL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 DL 및 UL 패턴의 각각은 각각의 빔 ID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치(UE).
  5. 제 1 항에 있어서,
    서빙 셀 내의 하나 이상의 UE에 적용되는 다수의 2개 이상의 셀 특정 DL/UL 패턴이 설정되며, 각각의 TDD-UL-DL-ConfigCommon은 상기 셀에 대해 설정된 SS/PBCH 블록(SS/PBCH block; SSB)과 연관되며,
    상기 UE는 상기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 또는 UL 방향으로 설정되도록 하위 계층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비주기적 또는 반영구적 방식으로 동적으로 트리거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슬롯 포맷 인디케이션을 위한 그룹 공통 시그널링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설정된 빔 ID의 세트와 연관된 DL 및 UL 방향을 설정하는 빔 특정 UL/DL TDD 패턴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치(UE).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station; BS)에 있어서,
    다중 빔 동작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다운링크(downlink; DL) 수신 또는 업링크(uplink; UL) 송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 - 상기 설정 정보는 빔 식별자(identifier; ID) 및 하나 이상의 빔 ID의 각각에 대한 슬롯 및 심볼 설정을 포함함 - 를 송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DL 동작 또는 UL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S).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및 심볼 설정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슬롯, 하나 이상의 업링크 슬롯, 및 셀 특정 기반 또는 UE 특정 기반으로 설정된 다수의 플렉서블 슬롯을 포함하는 슬롯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플렉서블 슬롯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심볼, 하나 이상의 업링크 심볼, 및 빔 특정 기반으로 설정된 다수의 플렉서블 심볼을 포함하는 심볼 패턴을 포함하고,
    다수의 설정된 빔 ID는 제1 파라미터에 제공되며,
    제1 파라미터에는 N이 설정되는 경우, N개의 상이한 DL/UL 슬롯 및 심볼 패턴이 설정되고, 상기 슬롯 및 심볼 패턴의 각각은 상응하는 빔 ID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S).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L 동작 또는 상기 UL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빔, 공간 필터 또는 기준 신호와 QCL(quasi-located) 관계 가정을 각각 갖는 제2 빔, 공간 필터 또는 기준 신호와 연관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DL 동작 또는 상기 UL 동작을 수행하는 것, 또는
    사전 정의된 규칙, 고정 설정 또는 디폴트 설정 중 하나에 따라 상기 DL 동작 또는 상기 UL 동작을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S).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제1 빔 ID와 연관된 제1 빔에 대한 제1 슬롯 설정 및 제2 빔 ID와 연관된 제2 빔에 대한 제2 슬롯 설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롯 설정은 상기 제2 슬롯 설정과 상이하며,
    슬롯 패턴은 제2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공되는 다수의 설정된 빔 ID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다수의 슬롯 DL 및 UL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 DL 및 UL 패턴의 각각은 각각의 빔 ID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S).
  10. 제 6 항에 있어서,
    서빙 셀 내의 하나 이상의 UE에 적용되는 다수의 2개 이상의 셀 특정 DL/UL 패턴이 설정되며, 각각의 TDD-UL-DL-ConfigCommon은 상기 셀에 대해 설정된 SS/PBCH 블록(SS/PBCH block; SSB)과 연관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 또는 UL 방향으로 설정되도록 하위 계층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비주기적 또는 반영구적 방식으로 상기 UE를 동적으로 트리거하도록 더 설정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슬롯 포맷 인디케이션을 위한 그룹 공통 시그널링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설정된 빔 ID의 세트와 연관된 DL 및 UL 방향을 설정하는 빔 특정 UL/DL TDD 패턴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S).
  11. 무선 통신에서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다운링크(downlink; DL) 수신 또는 업링크(uplink; UL) 송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 - 상기 설정 정보는 빔 식별자(identifier; ID) 및 하나 이상의 빔 ID의 각각에 대한 슬롯 및 심볼 설정을 포함함 - 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DL 동작 또는 UL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및 심볼 설정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슬롯, 하나 이상의 업링크 슬롯, 및 셀 특정 기반 또는 UE 특정 기반으로 설정된 다수의 플렉서블 슬롯을 포함하는 슬롯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플렉서블 슬롯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심볼, 하나 이상의 업링크 심볼, 및 빔 특정 기반으로 설정된 다수의 플렉서블 심볼을 포함하는 심볼 패턴을 포함하고,
    다수의 설정된 빔 ID는 제1 파라미터에 제공되며,
    제1 파라미터에는 N이 설정되는 경우, N개의 상이한 DL/UL 슬롯 및 심볼 패턴이 설정되고, 상기 슬롯 및 심볼 패턴의 각각은 상응하는 빔 ID와 연관되는,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L 동작 또는 상기 UL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1 빔, 공간 필터 또는 기준 신호와 QCL(quasi-located) 관계 가정을 각각 갖는 제2 빔, 공간 필터 또는 기준 신호와 연관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DL 동작 또는 상기 UL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사전 정의된 규칙, 고정 설정 또는 디폴트 설정 중 하나에 따라 상기 DL 동작 또는 상기 UL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제1 빔 ID와 연관된 제1 빔에 대한 제1 슬롯 설정 및 제2 빔 ID와 연관된 제2 빔에 대한 제2 슬롯 설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롯 설정은 상기 제2 슬롯 설정과 상이하며,
    슬롯 패턴은 제2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공되는 다수의 설정된 빔 ID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다수의 슬롯 DL 및 UL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 DL 및 UL 패턴의 각각은 각각의 빔 ID와 연관되는,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서빙 셀 내의 모든 UE에 적용되는 다수의 2개 이상의 셀 특정 DL/UL 패턴이 설정되며, 각각의 TDD-UL-DL-ConfigCommon은 상기 셀에 대해 설정된 SS/PBCH 블록(SS/PBCH block; SSB)과 연관되며,
    상기 UE는 상기 설정된 빔 ID와 연관된 DL 또는 UL 방향으로 설정되도록 하위 계층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비주기적 또는 반영구적 방식으로 동적으로 트리거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슬롯 포맷 인디케이션을 위한 그룹 공통 시그널링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설정된 빔 ID의 세트와 연관된 DL 및 UL 방향을 설정하는 빔 특정 UL/DL TDD 패턴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KR1020227038290A 2020-05-01 2021-04-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특정 다운링크/업링크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2300052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19131P 2020-05-01 2020-05-01
US63/019,131 2020-05-01
US202063048385P 2020-07-06 2020-07-06
US63/048,385 2020-07-06
US202063078501P 2020-09-15 2020-09-15
US63/078,501 2020-09-15
US17/151,090 2021-01-15
US17/151,090 US20210344558A1 (en) 2020-05-01 2021-01-15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specific downlink/uplink operation
PCT/KR2021/005391 WO2021221466A1 (en) 2020-05-01 2021-04-28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specific downlink/uplink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200A true KR20230005200A (ko) 2023-01-09

Family

ID=7829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8290A KR20230005200A (ko) 2020-05-01 2021-04-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특정 다운링크/업링크 동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44558A1 (ko)
EP (1) EP4108028A4 (ko)
KR (1) KR20230005200A (ko)
CN (1) CN115486174A (ko)
WO (1) WO20212214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2457B2 (en) 2020-05-14 2023-11-07 Qualcomm Incorporated Conflict resolution for self interference measurement
US11742968B2 (en) * 2020-06-02 2023-08-29 Qualcomm Incorporated Self interference measurement for clutter echo detection
US11743932B2 (en) * 2020-06-16 2023-08-2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random access channel-based self-interference measurement
US20220110068A1 (en) * 2020-10-06 2022-04-07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in full duplex systems based on pl-rs for self-interference measurement
US11622288B2 (en) * 2021-06-03 2023-04-04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ng blockage events as a cause for changes in rank information or channel quality information
US11342973B1 (en) * 2021-10-19 2022-05-24 King Faisal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link communications in millimeter wave cellular networks
KR20240044966A (ko) * 2022-09-29 2024-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 통신을 위한 안테나 모드 선택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5139B2 (en) * 2016-09-21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219036B2 (en) * 2016-11-25 2022-01-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broadcast channel for 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96914B2 (en) * 2017-01-19 2019-08-27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measurement filtering in multi-beam operation
US10659151B2 (en) * 2017-04-21 2020-05-19 Apple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a flexible slot format indicator
US20190297603A1 (en) * 2018-03-23 2019-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for multi-stream transmission
US11516680B2 (en) * 2019-11-07 2022-11-2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indicating directional inform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4136771A1 (en) * 2020-04-14 2023-02-22 IDAC Holdings, Inc. Improving coverage in a high frequency r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08028A4 (en) 2023-08-23
EP4108028A1 (en) 2022-12-28
CN115486174A (zh) 2022-12-16
US20210344558A1 (en) 2021-11-04
WO2021221466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22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w-overhead and low latency multi-beam operation
US202200533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and reporting for multi-beam operations
US202103149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reference signal-based beam management
US1177081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hysical layer beam indications
US202103445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specific downlink/uplink operation
KR20220146608A (ko) 빔 지시 채널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8246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beam downlink and uplink wireless system
US117000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selection for distributed MIMO system
US20220014956A1 (en) Uplink transmit beam selection based on downlink and uplink resource signal measurements
US119371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beam measurement and reporting
KR20220139294A (ko) 간섭 측정 방법 및 장치
US117776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t and separate beam indication
US20220109529A1 (en) Harq-ack information disabling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2202870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indication with a dl-related dci format
KR2023003429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신 빔 선택 절차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2861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si reporting in distributed mimo
US202202325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on of ul parameters in tci state
US116269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after channel setup
US202302095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of cross carrier beam indications
US20230224995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beam management and failure recovery under unified tci framework
KR20230144523A (ko) Csi 측정 및 보고 방법 및 장치
KR20230117109A (ko) 분산 mimo 송신을 위한 코드북
CN116848801A (zh) 用于分布式mimo系统的天线选择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