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145A - 자극 배열 및 환자 활성화 방법 - Google Patents

자극 배열 및 환자 활성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145A
KR20230005145A KR1020227035271A KR20227035271A KR20230005145A KR 20230005145 A KR20230005145 A KR 20230005145A KR 1020227035271 A KR1020227035271 A KR 1020227035271A KR 20227035271 A KR20227035271 A KR 20227035271A KR 20230005145 A KR20230005145 A KR 20230005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train
intensity
maximum
pul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론야 뮐러-부룬
Original Assignee
스티미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미트 아게 filed Critical 스티미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05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6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magnetic stimulation of nerve tissue

Abstract

자극 장치(1)는 표적 형상을 갖는 공간 필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필드 생성기(21)를 갖는 유도 장치(2), 및 유도 장치(2)와 통신하고 공간 필드를 생성하기 위해 유도 장치(2)를 제어한다. 유도 장치(2)의 필드 생성기(21)는 환자(5)를 활성화하기 위해 표적 조직이 유도 장치(2)에 의해 생성된 공간 장에 의해 자극될 수 있도록 사람 또는 동물 환자(5)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코일 디자인. 제어 유닛(3)은 자기장 생성기(21)가 전자기장의 복수 펄스의 연속적인 열을 생성하도록 유도 장치(2)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트레인은 중단된다.

Description

자극 배열 및 환자 활성화 방법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1의 전문에 따른 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자극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환자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환자의 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의학에서, 상이한 치료적 치료를 위해 환자를 활성화시키는 것, 즉 환자의 근육 또는 유사한 구조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종 전자기장에 의해 표적 조직을 자극하여 환자를 활성화시키려는 의도가 있다. 예를 들어, 외과적 개입 후 무릎의 치료적 적용에서 전자기장을 통한 직접적인 근육 자극에 의해 무릎 주위의 근육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활성화를 위해, 환자에게 위치할 수 있고 전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특정 자극 장치가 알려져 있다.
다른 예시적인 분야, 특히 병원의 중환자실에서, 횡격막의 사용하지 않는 단점을 방지하기 위해 인공 호흡 환자의 횡격막을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횡격막 근섬유의 불사용 위축은 기계적 호흡의 첫 18-69시간에 이미 발생하고 이 시간에 근섬유 단면적이 5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횡격막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인공 또는 기계적 호흡을 환자에게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동안 횡격막을 반복적으로 활성화시키거나 적어도 이유 기간 동안 횡격막을 활성화하여 독립적인 호흡 기능의 효과적인 회복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환자의 체내 조직 활성화를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조직을 자극하거나 신경계의 특정 부위를 자극하여 간접적으로 조직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근육 조직인 조직은 전기 펄스를 조직 또는 조직과 관련된 신경에 직접 제공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횡격막은 예를 들어 환자의 목에서 횡격막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자에 대한 상기와 같은 활성화는 알려져 있지만, 종종 환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갑작스러운 전자기 자극의 제공은 환자의 신체가 갑작스러운 경련 등의 반응성 반응을 유도하여 치료 효과를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 자극은 종종 환자의 편안함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 소음 발생을 수반하다.
따라서, 전자기장을 통한 자극에 의해 환자를 비교적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배치, 시스템 또는 절차가 필요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의 호흡 절차에서 횡격막의 효율적인 활성화를 허용하는 장치, 시스템 또는 절차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요구는 독립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자극 배열에 의해, 독립 청구항 19의 특징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자극 배열을 제조하는 프로세스에 의해, 활성화하는 방법으로 해결된다. 독립 청구항 20의 특징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인간 또는 동물 환자 및 독립 청구항 40의 특징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정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주제이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유도 장치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자극 장치이다. 유도 장치는 목표 형상을 갖는 공간 필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필드 생성기를 갖는다. 제어 유닛은 유도 장치와 통신하고 공간 필드를 생성하도록 유도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유도 장치의 전기필드 생성기는 환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전기필드 생성기에 의해 발생된 공간 필드에 의해 표적 조직이 자극될 수 있도록 인간 또는 동물 환자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은 또한, 필드 생성기가 공간 필드의 복수 펄스의 연속적인 트레인의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유도 장치를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트레인은 중단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환자의 활성화는 근육 조직 등과 같은 환자 신체의 임의의 특정 조직의 활성화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이 조직 자체를 자극하여 조직을 직접 활성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활성화될 조직과 표적 조직은 동일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조직은 특히 환자의 신경계의 일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자극 배열은 환자의 횡격막 신경을 표적 조직으로 자극하여 환자의 횡격막을 간접적으로 활성화하는데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된 본 발명의 측면과 관련하여 용어 "공간 필드"는 환자의 표적 조직의 자극을 허용하는 임의의 필드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특히 전기장,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야는 근육 구조를 직접 자극하거나 신경계 또는 다른 근육 구조를 통해 근육 구조를 간접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공간 필드의 목표 형태는 공간 필드가 국부적으로 제한되는, 예를 들어 피크를 갖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것은 예를 들어 공간 필드(초점 영역)의 피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공간 필드(예: 활성화되어야 하는 횡격 신경)와 함께 활성화되어야 하는 신경 영역 또는 조직 영역인 대상 영역에서 활성화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표적 형상은 일반적으로 주변, 위 또는 인접 조직 또는 신경의 다른 원치 않는 공동 자극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하나 이상의 표적 신경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공간 필드 또는 시간 종속 필드 구성요소의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피크 형상은 초점 영역에서 효과를 최대화하고 이 영역 외부에서 효과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그러한 예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펄스"라는 용어는 공간 필드의 비교적 짧은 제공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단일 펄스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걸쳐 공간 필드의 생성과 관련되며 두 개의 후속 펄스 사이에 비교적 긴 중단이 있다. 일반적으로, 단일 펄스는 예를 들어 5Hz 이하와 같이 10Hz보다 낮은 주파수에서 제공되거나 단일 펄스는 사용자 또는 의사에 의해 시작된다. 단일 펄스는 약 10마이크로초(μs) 내지 약 300μs의 시간적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펄스는 신경과 근육 구조 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환자 또는 센서로 식별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단일 펄스는 근육 또는 근육 구조의 단일 경련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단일 펄스가 아닌 트레인으로 생성되는 경우 공간 필드는 연속적으로 생성되거나 비교적 빠르게 서로 뒤따르는 펄스의 시퀀스로 생성된다. 이러한 펄스는 약 15Hz와 약 30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에서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인의 복수의 펄스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언급된 바와 같이 비교적 짧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펄스 시간 폭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펄스 시간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160마이크로초 내지 약 220마이크로초 범위이다.
특히, 트레인은 파상풍 수축 또는 활성화가 유도되도록 신경이나 근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레인은 목표 강도 및 주파수에 도달할 때까지 강도(필드 강도) 및/또는 주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제공된다(램프 프로토콜). 이렇게 하면 갑작스러운 경련이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개변수는 공간 필드의 "시간적 특성" 또는 "시간적 매개변수"라는 용어로 요약된다. 이러한 시간적 매개변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동으로 조정하거나 조정 메커니즘 또는 제어 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공간 필드를 생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전압 또는 전류 파형과 같은 매개변수는 펄스 형상, 진폭, 폭, 극성 및 반복 주파수; 버스트 또는 펄스 트레인 사이의 지속 시간 및 간격; 총 펄스 수; 및 자극 세션 사이의 간격을 포함하여 공간 필드의 시간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총 세션 수는 무엇보다도 필드 강도에 영향을 미치고 목표 영역 또는 목표 조직이 활성화될 수 있진 여부 또는 강도 또는 "투여량"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트레인"은 관련된 복수 펄스의 시퀀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트레인 중 하나의 단일 트레인은 일반적으로 펄스 그룹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각각의 트레인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거나 적어도 유사한 수의 펄스를 포함한다. 즉, 각 단일 트레인에 포함된 펄스 그룹은 동일한 수의 펄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트레인은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트레인 시간 폭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레인 시간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0.5초 내지 약 1.5초 범위이다. 이러한 펄스 트레인은 환자가 효율적으로 활성화되도록 표적 조직을 자극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도 장치의 필드 생성기는 전극을 포함하고 필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는 전기장이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도 장치의 필드 생성기는 코일 디자인을 포함하고 필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는 전자기장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코일 디자인"은 적어도 2개의 코일 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추형 또는 달리 만곡되거나 불룩한 코일, 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또는 그렇지 않으면 평평하지 않은 코일,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작은 코일, 즉, 직경 3cm 이하의 코일과 같이 날카로운 전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작은 코일을 포함하거나 포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전자기장의 표적 형상은 공간 전자기장에 의해 형성된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장 생성기는 전자기장 생성기라고도 하다.
전자기장 생성기의 코일 설계를 통해 인공 호흡 장치의 의도된 적용에 따라 전자기장을 형성하거나 맞춤화할 수 있다. 특히, 목표 형상은 비교적 가늘게 생성될 수 있다. 이것은 신경계 또는 그 특정 부분을 구체적으로 자극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횡격막 신경과 같은 신경을 특이적으로 자극할 수 있고, 표적 신경을 둘러싸거나 머리 위를 지나가는 다른 조직이나 신경의 자극을 낮추거나 방지할 수 있다. 목에서 양쪽 횡격막 신경을 자극하기 위해 초점 전자장 영역을 생성하는 이중 코일, 포물선 코일 또는 작은 원형 코일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디자인이 제공될 수 있다.
유도 장치의 전기필드 생성기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에 위치" 또는 "유지"라는 용어는 환자의 신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환자의 신체에 가까운 거리에 있는 전기필드 생성기와 관련될 수 있다. 필드 생성기 또는 그 구성요소의 위치 및 방향은 이에 따라 표적 조직을 자극하기에 적절하도록 미리 정의되거나 구별될 수 있다. 적절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기 위해 해당 위치에 맞게 필드 생성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적절한 장착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다른 구성 요소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의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신호를 다른 구성 요소로 전송하여 작동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센서 신호와 같은 신호는 제어 유닛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센서 신호는 예를 들어 추가 평가를 위해 감지된 치수 또는 물리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유도 장치를 제어하고 궁극적으로 데이터 평가와 같은 다른 목적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적합한 임의의 컴퓨팅 개체일 수 있다. 그것은 랩톱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서버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라는 용어는 단일 장치와 결합된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예를 들어 클라우드 솔루션과 같은 분산 시스템이 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작업을 수행하다.
일반적으로 제어 유닛 또는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중앙 처리 장치(CPU),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기록 매체를 갖는 영구 데이터 저장소, RAM(Random Access Memory), 읽기 전용 메모리(ROM), USB(Universal Serial Bus) 어댑터와 같은 통신 어댑터, LAN(Local Area Network) 어댑터, WLAN(무선 LAN) 어댑터, Bluetooth 어댑터 등과 같은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스크린, 마이크,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 또는 컴퓨터는 다양한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별도의 구성 요소로 구현되거나 다른 장치 또는 구성 요소에 통합된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 또는 그 일부는 환자를 호흡시키는 데 사용되는 인공 호흡 기계 및/또는 유도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유도 장치의 작동은 특히 유도 장치가 공간 필드를 적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환자의 횡격막 신경 또는 양쪽 횡격막 신경과 같은 표적 조직을 자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유도 장치를 작동하여 환자의 횡격막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연속적인 간헐적 트레인의 시퀀스가 생성되도록 유도 장치를 작동함으로써 자극은 특정 치료에서 주어진 필요와 요구 사항에 따라 정교하게 조정되고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은 기존의 호흡 응용 분야에서 횡격막 활성화 자극을 통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극 배열을 통해 호흡를 편리하게 지원할 수 있으며 순수 기계 호흡의 단점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극 장치는 환자의 비교적 편리하고 효율적인 활성화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트레인의 복수의 펄스는 제 1 강도를 갖는 제 1 펄스 및 최대 강도를 갖는 최대 펄스를 포함하고, 최대 강도는 제 1 강도보다 높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펄스는 각 펄스 트레인의 제 1 펄스이다. 최대 펄스는 각 트레인의 마지막 펄스이거나 트레인의 제 1 펄스 이후의 임의의 펄스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단일 트레인에 최대 강도를 갖는 복수의 펄스가 있을 수 있다.
펄스 중 하나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어 "강도"는 각 펄스에서 생성되는 공간 필드의 필드 강도와 관련된다. 필드 강도는 일반적으로 전기장의 경우 미터당 볼트로, 자기장의 경우 미터당 암페어로 측정할 수 있는 벡터 값 필드의 크기를 의미한다. 공간 필드로서 전자기장을 제공하면 전기장 강도와 자기장 강도가 모두 발생한다. 그러나 전자기장에서 전기장 강도 또는 자기장 강도 중 하나는 무시할 수 있다.
제 1 펄스와 최대 펄스 사이의 중간 펄스의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펄스에서 최대 펄스로 상승한다. 이러한 트레인의 구성은 환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킨다. 특히, 처음에 더 낮은 강도를 가짐으로써 각 트레인은 비교적 부드러운 시작으로 환자를 조절하도록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드러운 시작은 활성화될 조직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필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갑작스러운 경련과 불편함을 예방할 수 있고 활성화의 효능을 높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트레인의 복수의 펄스는 바람직하게는 마지막 강도를 갖는 마지막 펄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마지막 강도는 최대 강도보다 낮다. 제 1 및 마지막 강도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펄스와 마지막 펄스 사이의 중간 펄스의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펄스에서 마지막 펄스까지 갈수록 더 낮아진다. 트레인의 끝으로 갈수록 각 트레인의 강도를 줄임으로써, 환자의 조직, 예를 들어, 횡격막이 보다 자연스럽게 활성화되어 편안함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펄스의 각각의 단일 펄스는 일반적으로 펄스 시간 폭을 가지며, 여기서 펄스 시간 폭은 모든 펄스에 대해 본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펄스 시간 폭은 강도가 증가하는 증가 부분 및/또는 강도가 감소하는 감소 부분을 포함한다. 공간 필드가 전자기장인 경우, 펄스 동안 전자기장 생성기의 코일 권선 사이에 비교적 큰 전자기력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힘은 코일에 미치는 영향에 필적하는 영향을 미친다. 배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은 환자와 주변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단일 펄스에 증가 부분 및/또는 감소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최종 강도가 점점 더 설정되고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 펄스에 의해 유발되는 노이즈는 본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환자가 활성화되는 동안 편안함을 증가시킨다.
하나의 단일 펄스의 증가 부분 및 감소 부분은 다양한 강도의 복수의 서브 펄스를 제공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펄스는 특히 고주파 서브펄스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단일 펄스의 증가 부분은 증가하는 강도를 갖는 복수의 서브 펄스에 의해 확립될 수 있다. 그 반대로, 하나의 단일 펄스의 감소 부분은 감소하는 강도를 갖는 복수의 하위 펄스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만족스러운 정도로 노이즈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증가 부분 및 특히 감소 부분은 함께 펄스 시간 폭의 적어도 60% 또는 펄스 시간 폭의 적어도 8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각 단일 펄스의 강도는 시계 형상을 설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트레인은 그 펄스의 세기를 요약함으로써 계산된 축적 세기를 포함하고, 트레인의 축적 세기는 다르다. 누적 강도가 동일한 트레인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적어도 2개 또는 유리하게는 더 많은 트레인의 누적 강도가 다양하다.
따라서, 트레인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누적 강도를 갖는 제 1 트레인 및 최대 누적 강도를 갖는 최대 트레인을 포함하고, 최대 누적 강도는 제 1 누적 강도보다 높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레인은 누적 강도가 제 1 누적 강도에서 최대 누적 강도로 증가하는 복수의 증가 트레인을 가질 수 있다. 제 1 누적 강도에서 최대 누적 강도까지 누적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유리하게는 한 트레인에서 다음 트레인까지 누적 강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불편함을 유발하지 않고 비교적 높은 누적 강도가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오히려 환자는 최대 누적 강도로 조절될 수 있다. 이것은 본질적인 불편함이나 갑작스러운 경련과 같은 반대 반응 없이 비교적 높은 강도를 포함하는 효율적인 활성화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트레인은 동일한 수의 펄스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트레인은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트레인 시간 폭을 포함한다. 따라서, 트레인 시간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0.5초 내지 약 1.5초 범위이다. 이러한 구성은 갑작스러운 경련과 같은 반대 반응을 유발하는 환자의 불편함이나 놀라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꾸준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인은 분당 약 10개 내지 약 20개의 트레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트레인의 주파수는 표적 조직의 효율적인 자극 및 따라서 편안한 방식으로 환자의 효율적인 활성화를 제공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트레인의 복수의 펄스는 바람직하게는 약 15Hz 내지 약 25Hz 범위의 주파수를 포함한다. 이러한 주파수에서 펄스를 제공하면 효율적인 자극을 달성할 수 있다. 위의 트레인 주파수와 이 펄스 주파수의 조합은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자극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제조 공정은 (i) 표적 형상을 갖는 공간 필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필드 생성기를 갖는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ii) 코일 설계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에 의해 환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표적 조직이 자극될 수 있도록 유도 장치가 인간 또는 동물 환자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단계, (iii) 유도 장치와 통신하도록 적응된 제어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 (iv) 공간 필드를 생성하여 유도 장치를 제어하도록 제어 유닛을 구성하는 단계, 및 (v) 필드 생성기가 공간 필드의 복수 펄스의 연속적인 트레인의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유도 장치를 작동하도록 제어 유닛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트레인은 중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자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자극 배열과 관련하여 전술한 효과 및 이점이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자극 장치의 바람직한 특징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효과 및 이점은 제조 공정의 다음 추가 단계 및 특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강도를 갖는 제 1 펄스 및 최대 강도를 갖는 최대 펄스를 갖는 각 트레인의 복수 펄스를 필드 생성기가 생성하도록 유도 장치를 작동하도록 제어 유닛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최대 강도는 더 높음 제 1 강도보다 이에 의해, 제 1 펄스와 최대 펄스 사이의 중간 펄스의 강도가 제 1 펄스에서 최대 펄스까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트레인의 복수의 펄스는 마지막 강도를 갖는 마지막 펄스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마지막 강도는 최대 강도보다 낮고, 최대 펄스와 마지막 펄스 사이의 중간 펄스의 강도는 최대 펄스에서 마지막 맥박.
바람직한 단계: 제어 유닛이 유도 장치를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필드 생성기가 그 펄스의 강도를 합산하여 계산된 누적 강도로 각 트레인을 생성하도록 구성하되, 트레인의 누적 강도는 상이하다. 이에 의해, 트레인은 제 1 누적 강도를 갖는 제 1 트레인 및 최대 누적 강도를 갖는 최대 트레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최대 누적 강도는 제 1 누적 강도보다 높다.
바람직하게는: 필드 생성기가 동일한 수의 펄스로 각 트레인을 생성하도록 유도 장치를 작동하도록 제어 유닛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필드 생성기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트레인 시간 폭을 갖는 각각의 트레인을 생성하도록 유도 장치를 작동하도록 제어 유닛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트레인 시간 폭은 약 0.5초 내지 약 1.5초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드 생성기가 분당 약 10 내지 약 20개의 트레인로 트레인을 생성하도록 유도 장치를 작동하도록 제어 유닛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필드 생성기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펄스 시간 폭을 갖는 복수의 트레인 펄스 각각을 생성하도록 유도 장치를 작동하도록 제어 유닛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펄스 시간 폭은 약 160마이크로초 내지 약 220마이크로초 범위일 수 있다. 또한, 펄스 시간 폭은 강도가 증가하는 증가 부분 및/또는 강도가 감소하는 감소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증가 부분과 감소 부분은 함께 펄스 시간 폭의 적어도 60%를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필드 생성기가 약 15Hz 내지 약 25Hz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트레인 펄스를 생성하도록 유도 장치를 작동하도록 제어 유닛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유도 장치의 필드 생성기는 전극을 포함하고 필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는 전기장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유도 장치의 필드 생성기는 코일 디자인을 포함하고 필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는 전자기장이다.
추가의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의 표적 조직을 자극함으로써 인간 또는 동물 환자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활성화 방법은 (a) 표적 형상을 갖는 공간 필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필드 생성기 및 유도 장치와 통신하고 공간 필드를 생성하기 위해 유도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갖는 유도 장치를 얻는 단계, (b) 코일 설계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에 의해 표적 조직이 자극될 수 있도록 환자에게 유도 장치의 필드 생성기를 위치시키는 단계, (c) 필드 생성기가 공간 필드의 복수 펄스의 연속적인 트레인의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유도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트레인은 중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방법은 자극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효과 및 이점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이러한 자극 장치는 활성화 방법 또는 이의 적어도 일부를 적용하는 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표적 조직은 환자의 횡격막 신경이고 환자를 활성화하는 것은 환자의 횡격막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환자의 인공 호흡 또는 호흡을 보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적용예에서 본 발명은 특히 유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활성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도관 인터페이스를 환자의 호흡 시스템에 연결하는 단계, 도관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의 호흡 시스템으로 공기를 전달하는 단계, 호흡 계획에 따라 환자의 횡격막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활성화 방법의 이러한 구현은 기계적 호흡의 효율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 또는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 또는 인공호흡기 유발 폐 손상(VILI) 발병과 같은 부작용의 위험을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다..
활성화 방법의 다음 추가 단계 및 특징에 의해 자극 장치의 바람직한 특징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효과 및 이점은 활성화 방법의 다음 추가 단계 및 특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도 장치의 자기장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각 트레인의 복수의 펄스는 제 1 강도를 갖는 제 1 펄스 및 최대 강도를 갖는 최대 펄스를 포함하고, 최대 강도는 제 1 강도보다 높다. 이에 의해, 제 1 펄스와 최대 펄스 사이의 중간 펄스의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펄스에서 최대 펄스까지 상승한다. 또한, 각각의 트레인의 복수의 펄스는 바람직하게는 마지막 강도를 갖는 마지막 펄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마지막 강도는 최대 강도보다 낮고, 최대 펄스와 마지막 펄스 사이의 중간 펄스의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펄스에서 마지막 펄스까지 갈수록 더 낮아진다.
바람직하게는, 각 트레인은 펄스의 세기를 합산하여 계산된 누적 세기를 포함하고, 열의 누적 세기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각각의 트레인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누적 강도를 갖는 제 1 트레인 및 최대 누적 강도를 갖는 최대 트레인을 포함하고, 최대 누적 강도는 제 1 누적 강도보다 높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트레인은 동일한 수의 펄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트레인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트레인 시간 폭을 포함한다. 따라서, 트레인 시간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0.5초 내지 약 1.5초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인은 분당 약 10개 내지 약 20개의 트레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인의 복수의 펄스 각각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펄스 시간 폭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펄스 시간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160 마이크로초 내지 약 220 마이크로초 범위이다. 또한, 펄스 시간 폭은 바람직하게는 강도가 증가하는 증가 부분 및/또는 강도가 감소하는 감소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증가 부분과 감소 부분은 함께 바람직하게는 펄스 시간 폭의 적어도 60%를 커버한다. .
바람직하게는, 트레인의 복수의 펄스는 약 15Hz 내지 약 25Hz 범위의 주파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에 사용된 유도 장치의 전기필드 생성기는 전극을 포함하고 전기필드 생성기에 의해 발생된 공간 필드는 전기장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에 사용된 유도 장치의 필드 생성기는 코일 디자인을 포함하고 필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는 전자기장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제어 유닛에 의해 실행될 때 제어 유닛이 인간 또는 동물 환자에 위치된 유도 장치의 필드 생성기를 작동시켜 환자의 표적 조직은 유도 장치의 자기장 생성기의 코일 설계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에 의해 자극될 수 있으므로, 자기장 생성기는 공간 필드의 복수 펄스의 연속적인 트레인 시퀀스를 생성하고, 트레인은 중단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어 유닛 상에서 실행될 때 위에서 또는 아래에 설명된 단계 및/또는 특징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일 수 있다. 또한, 컴퓨터 또는 제어 유닛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또는 제어 유닛이 위에서 또는 아래에 설명된 단계 및/또는 특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매체는 저장매체일 수 있으며, 편리한 배포를 위해 모바일 또는 휴대용 저장매체일 수 있다.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한 전송을 허용하기 위해,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이전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운반하는 데이터 캐리어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소프트웨어로 언급되거나 소프트웨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자극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효과 및 이점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이러한 자극 장치 또는 그 제어 유닛과 같은 그 적어도 일부 부분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포함된다.
하기하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유리한 실시예는 자극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효과 및 이점을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트레인의 복수의 펄스는 제 1 강도를 갖는 제 1 펄스 및 최대 강도를 갖는 최대 펄스를 포함하고, 최대 강도는 제 1 강도보다 높다. 이에 의해, 제 1 펄스와 최대 펄스 사이의 중간 펄스의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펄스에서 최대 펄스까지 상승한다. 또한, 각각의 트레인의 복수의 펄스는 바람직하게는 마지막 강도를 갖는 마지막 펄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마지막 강도는 최대 강도보다 낮고, 최대 펄스와 마지막 펄스 사이의 중간 펄스의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펄스에서 마지막 펄스까지 갈수록 더 낮아진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트레인은 그 펄스의 세기를 요약함으로써 계산된 축적 세기를 포함하고, 열의 축적 세기는 다르다. 따라서, 각각의 트레인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누적 강도를 갖는 제 1 트레인 및 최대 누적 강도를 갖는 최대 트레인을 포함하고, 최대 누적 강도는 제 1 누적 강도보다 높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트레인은 동일한 수의 펄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트레인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트레인 시간 폭을 포함한다. 따라서, 트레인 시간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0.5초 내지 약 1.5초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인은 분당 약 10개 내지 약 20개의 트레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인의 복수의 펄스 각각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펄스 시간 폭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펄스 시간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160 마이크로초 내지 약 220 마이크로초 범위이다. 또한, 펄스 시간 폭은 바람직하게는 강도가 증가하는 증가 부분 및 강도가 감소하는 감소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증가 부분과 감소 부분은 함께 바람직하게는 펄스 시간 폭의 적어도 60%를 커버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인의 복수의 펄스는 약 15Hz 내지 약 25Hz 범위의 주파수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도 장치의 필드 생성기는 전극을 포함하고 필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는 전기장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도 장치의 필드 생성기는 코일 디자인을 포함하고 필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는 전자기장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극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자극 장치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환자 활성화 방법 및 환자의 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본 발명에 따라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를 구현하고,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인공 호릅 장치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자극 장치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장 트레인 제공의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장 트레인 제공의 제 2 실시예; 및
도 4는 전자기장 트레인 제공의 제 3 실시예의 단일 펄스.
다음 설명에서 특정 용어는 편의상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좌", "우", "위", "아래", "하부" 및 "상부"라는 용어는 도면의 방향을 나타낸다. 용어는 명시적으로 언급된 용어와 유사한 의미의 파생어 및 용어로 구성된다. 또한 "밑", "아래", "하부", "위", "상부", "근위", "원위" 등과 같은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른 요소 또는 특징에 대한 한 요소 또는 특징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위치 및 방향에 추가하여 사용 또는 작동 중인 장치의 다른 위치 및 방향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장치가 뒤집힌 경우 다른 요소 또는 특징 "아래" 또는 "하부"으로 설명된 요소는 다른 요소 또는 특징 "위" 또는 "상부"가 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 "아래"는 상하부 위치 및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그렇지 않으면 배향(90도 회전되거나 다른 방향으로)될 수 있고, 여기에 사용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설명자는 그에 따라 해석된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축을 따라 그리고 주위로의 움직임에 대한 설명에는 다양한 특수 장치 위치 및 방향이 포함된다.
다양한 양태 및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 및 설명에서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많은 특징이 많은 양태 및 실시예에 공통적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설명이나 도면에서 양태의 생략은 그 양태를 통합하는 실시예에서 그 양태가 누락되었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대신, 명확성을 위해 그리고 서문에 대한 설명을 피하기 위해 해당 측면이 생략되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은 상기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 적용된다. 도면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설명의 직접 관련된 부분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 부호를 그림에 포함하는 경우 이전 또는 다음 설명 섹션을 참조한다. 또한, 명확성을 위해 도면에서 부품의 모든 특징에 참조 부호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 동일한 부품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을 참조한다. 둘 이상의 그림에서 같은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호흡 장치로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자극 장치(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자극 장치(1)는 인공호흡기(6), 유도 장치인 전자기 유도 장치(2)(이하 EMI 장치라고도 함), 제어 유닛(3) 및 센서(4)를 포함한다. EMI 장치(2)는 전자기장을 포함한다. 코일 설계로서 2개의 코일(211)을 갖는 필드 생성기로서 발전기(21). 코일(211)은 하나의 공통 평면에 위치되고 공간 자기장으로서 공간 전자기장(212)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작동될 때, 2개의 코일(211)은 환자(5)의 목(52)을 향해 전자기장을 생성한다. 전자기장은 전자기장이 목(52)으로 최대로 연장되는 초점 영역을 갖는 중심 표적 형상을 갖는다. 또한, EMI 장치(2)는 환자(5)의 목(52)에 배열되고 환자(5)가 누워 있는 침대(51)에 고정된 목 호(221)를 갖는 장착 장치(22)를 갖는다. 목 아크(221) 에는 EMI 장치(2)의 전자기장 조정 메커니즘의 재배치 구조로서 조인트(222)가 장착되어 있다. 조인트(222)는 환자(5)의 목(52)에서 코일(211)을 유지한다.
인공 호흡기(6)는 호흡 튜브(63)가 연장되는 기류 생성기로서의 호ㅎ흡기(61) 및 도관 인터페이스로서의 마우스피스(62)를 포함한다. 마우스피스(62)는 환자의 입을 통해 환자(5)의 호흡 시스템으로 제공되는 튜브이다.
제어 유닛(3)은 환자(5)의 호흡을 감독하거나 설정하는 의사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1)를 갖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31)는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3)은 와이어(33)에 의해 인공 호흡기(6), EMI 장치(2) 및 센서(4)의 인터페이스 유닛에 결합되도록 배열된 장치 인터페이스(3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어 유닛(3)은 인공 호흡기(6), EMI 장치(2) 및 센서(4)와 통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3)은 인공호흡기(6)로부터 환자(5)의 호흡에 관한 호흡 데이터를 수신하고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평가된 호흡 데이터에 따라 공간 전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EMI 장치(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 유닛(3)은 코일(211)에 의해 생성된 공간 전자기장(212)의 초점 영역(213)의 위치를 자동으로 변경하고 공간 전자기장(212)의 필드 강도를 변경하도록 조인트(222)를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공간 전자기장(212)의 필드 강도 및 위치를 변경하는 목적은 환자의 횡격막 신경을 구체적으로 자극하도록 공간 전자기장(212)을 조정하는 것이다. 횡격막 신경(53)이 자극되면 환자(5)의 횡경막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기류 또는 호흡이 유도된다.
인공호흡기(6)는 공기를 마우스피스(62)를 통해 환자(5)의 호흡 시스템으로 전진시켜 환자(5)를 기계적으로 호흡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공호흡기(61)는 마우스피스(62)를 통해 공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3)은 제어 유닛(3)에 정의된 호흡 방식에 따라 공기를 전달하도록 인공호흡기(61)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 유닛(3)은 횡격막 신경을 통한 횡격막의 활성화가 환자(5)의 호흡과 조화되도록 호흡 방식과 협력하여 횡격막의 활성화를 조절한다.
호흡하는 동안 다양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 유닛(3)은 자극 지속 시간과 반복 비율의 조합을 정의하고 정의된 자극 지속 시간 및 결정된 반복 비율에 따라 EMI 장치(2)를 작동하도록 제어 유닛(3)을 구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를 가진다. 이에 의해, 제어 유닛(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1)를 통해 치료의 선택을 의사에게 제공한다. 의사는 적절한 치료를 선택하고 관련된 매개변수를 설정한다.
횡격막 근육 손실 방지 및/또는 VIDD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 1 동작 모드는 제어 유닛(3)에서 약 3분 내지 약 20분의 범위로 자극 지속 시간을 정의하고 반복 비율은 1일 1회 내지 1일 약 3회의 범위로 정의함으로써 설정된다.
ARDS 발병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제 2 동작 모드는 반복비율을 시간당 약 2회 내지 약 2시간의 범위로 정의하고 자극 지속 시간을 약 0.5분 내지 약 3분의 범위로 정의함으로써 제어 유닛(3)에서 설정된다.
대안적으로 ARDS 발병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 3 동작 모드는 자극 지속 시간을 약 1 호흡 주기 내지 약 5 호흡 주기의 범위로 정의하고 반복 비율을 약 1분 내지 약 30분 사이의 범위로 정의함으로써 제어 유닛(3)에서 설정된다.
호흡 주기를 유도하거나 심호흡을 자극하기 위해 제 4 동작 모드가 제어 유닛(3)에 설정된다. 상기 제 4 동작 모드에서, 제어 유닛(3)은 센서(4)에 의해 측정된 환자(5)의 혈액 내 산소 레벨 또는 이산화탄소 레벨을 평가하고 이를 미리 정의된 임계값과 비교하다. 그 다음, 제어 유닛(3)은 측정된 산소 레벨 또는 이산화탄소 레벨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우회할 때 EMI 장치(2)를 작동한다. 특히, 측정된 산소 레벨이 임계값 미만이거나 측정된 이산화탄소 레벨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EMI 장치(2)를 작동시킨다.
더욱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 유닛(3)은 전자기장 생성기(21)가 공간 전자기장의 복수 펄스의 연속적인 열의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EMI 장치(2)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트레인은 중단된다.
제 1 실시예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3)은 전자기장 생성기(21)가 일련의 트레인(7)을 생성하도록 EMI 장치(2)를 작동시키며, 여기서 각 트레인(7)은 160 마이크로초(μs)의 펄스 시간 폭(84)을 갖는 4개의 전자기장 펄스(8)의 그룹을 포함한다. 트레인(7)은 0.5초(s)의 균일한 트레인 시간 폭(74)을 갖는다. 트레인(7)은 2초와 5초 사이의 균일한 휴식 시간에 의해 중단된다.
각 트레인(7)의 단일 펄스(8)는 동일한 강도(I)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트레인(71)은 제 1 강도(I1) 를 갖는 4개의 제 1 펄스(81)를 포함하고, 제 2 트레인(72)은 제 2 강도(I2) 및 제 3 최대 트레인(73)은 제 3 최대 강도(I3)를 갖는 4개의 펄스(83)를 포함한다. 각각의 트레인(7)은 펄스(7)의 강도를 합산하여 계산된 누적 강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 1 트레인(71)의 제 1 누적 강도는 제 1 펄스(81)의 4개의 제 1 강도(I1)를 합산하여 계산된다. 제 2 트레인(72)의 제 2 누적 강도는 제 2 펄스(82)의 4개의 제 2 강도(I2)를 합산하여 계산되고 최대 트레인(73)의 최대 누적 강도는 최대 펄스(83)의 4개의 최대 강도(I3)를 합산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트레인(7)의 누적 강도는 제 1 트레인(71)의 제 1 누적 강도가 제 2 트레인(72)의 제 2 누적 강도보다 낮고 최대 트레인(73)의 최대 누적 강도보다 낮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하나의 트레인(7)에서 다음 트레인으로 누적 강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환자(5)는 최대 누적 강도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수용도를 높일 수 있고 환자(5)의 반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3)은 전자기장 생성기(21)가 트레인(70)을 생성하도록 EMI 장치(2)를 작동시키며, 여기서 각 트레인(701)은 20개의 전자기장 펄스의 그룹을 포함한다. 특히, 트레인(70)은 제 1 강도를 갖는 제 1 펄스(801)에 이어 제 1 강도보다 더 높은 제 2 강도를 갖는 제 2 펄스(802), 이어서 제 2 강도 보다 더 높은 제 3 강도를 갖는 제 3 펄스(803)를 포함하며, 제 3 강도보다 더 높은 최대 강도를 갖는 14개의 최대 펄스(804)가 뒤따르고, 다른 제 3 펄스(803)가 뒤따르고, 또 다른 제 2 펄스(802), 이어서 또 다른 제 1 펄스(801)가 후속된다. 트레인(701)은 1초의 트레인 시간 폭을 가진다.
제 1 펄스(801)로부터 제 2 펄스(802) 및 제 3 펄스(803)를 통해 최대 펄스(804)까지 각각의 단일 트레인(701) 내의 강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환자(5)는 최대 강도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각 트레인(701)의 수용도를 높일 수 있고, 환자(5)의 돌발성 경련 등의 반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3)은 전자기장 생성기(21)가 고주파 서브-펄스를 포함하는 단일 펄스(800)를 생성하도록 EMI 장치(2)를 동작시킨다. 각각의 펄스(800)는 5개의 전자기장 서브펄스의 그룹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펄스는 제 1 강도를 갖는 제 1 서브 펄스(811)에 이어 제 1 강도보다 더 높은 제 2 강도를 갖는 제 2 서브 펄스(812), 이어서 제 3 강도를 갖는 서브-제 3 펄스(813)를 포함하고, 제 2 강도보다 높은 최대 강도를 갖는 최대 서브펄스(814), 제 3 강도보다 높은 다른 제 3 서브펄스(813), 이어서 다른 제 2 서브펄스(812), 다른 제 1 서브펄스(801)가 후속된다. 상기 서브-펄스들은 펄스의 강도(810)와 같은 종 형상을 생성한다. 각각의 펄스는 160μs의 펄스 시간 폭(840)을 갖는다. 펄스(800)의 시작에서 제 1, 제 2 및 최대 서브 펄스(811, 812, 813)는 펄스(800)의 증가 부분을 형성한다. 펄스(800)의 마지막에서 제 2, 제 2 및 제 1 서브 펄스(813, 812, 822)는 펄스(800)의 감소 부분을 형성한다.
제 1 서브 펄스(811)로부터 제 2 서브 펄스(812) 및 제 3 서브 펄스(813)를 통해 최대 서브 펄스(814)로 증가하는 부분에서 각각의 단일 펄스(800) 내의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환자(5)는 각 단일 펄스의 강도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더 높은 펄스 강도가 제공될 수 있도록 각 펄스(800)의 수용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 3 서브 펄스(813) 및 제 2 서브 펄스(812)에 걸쳐 최대 서브 펄스(814)로부터 제 1 서브 펄스(811)로 감소하는 부분에서 각각의 단일 펄스(800) 내의 강도를 추가로 낮춤으로써, 노이즈의 발생은 본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극 요법의 수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 및 실시예를 예시하는 상기 설명 및 첨부 도면은 보호되는 발명을 정의하는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이 도면 및 전술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예시 및 설명은 도시적이거나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제한적이지 않아야 한다. 다양한 기계적, 구성적, 구조적, 전기적 및 작동적 변경이 이 설명 및 청구범위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잘 알려진 회로, 구조 및 기술은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하게 표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위 및 사상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및 하기에 설명된 상이한 실시예들로부터의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을 갖는 추가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작동할 수 있다.
- 도 3에 도시된 단일 트레인 내의 펄스 제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인의 축적된 강도의 적응과 결합되고, 및/또는
- 도 4와 같이 클록 또는 유사한 모양의 펄스 강도를 갖는 펄스 제공은 도 3과 같이 단일 트레인 내의 펄스 제공 및/또는 도 2와 같이 누적된 트레인 강도의 적응과 결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모든 추가 특징을 포함한다. 개별적으로는 상기 또는 하기 설명에서 설명되지 않았을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설명에 기술된 실시예의 단일 대안 및 그 특징의 단일 대안은 본 발명의 주제 또는 개시된 주제로부터 부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정의된 특징으로 구성된 주제뿐만 아니라 상기 특징을 포함하는 주제를 포함한다.
또한,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부정관사 "a" 또는 "an"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일 유닛 또는 단계는 청구범위에 인용된 여러 기능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조치가 서로 다른 종속항에 인용되어 있다는 단순한 사실이 이러한 조치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속성 또는 값과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약", "대략" 등의 용어는 특히 속성 또는 값을 각각 정확히 정의하기도 하다. 주어진 수치 값 또는 범위와 관련하여 용어 "약"은 주어진 값 또는 범위의 예를 들어, 20% 이내, 10% 이내, 5% 이내, 또는 2% 이내인 값 또는 범위를 지칭한다. 연결되거나 연결된 것으로 설명된 구성 요소는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하나 이상의 중간 구성 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청구범위의 참조 번호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다른 하드웨어와 함께 제공되거나 다른 하드웨어의 일부로 제공되는 광학 저장 매체 또는 고체 상태 매체와 같은 적절한 매체에 저장/배포될 수 있지만 인터넷 또는 기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서와 같은 다른 형태로도 배포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일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같은 특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되도록 구성된 컴퓨터 실행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같은 특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 제품 또는 신호일 수 있다.

Claims (57)

  1. 목표 형상을 갖는 공간 필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필드 생성기(21)를 갖는 유도 장치(2), 및 상기 유도 장치(2)와 통신하고 공간 필드를 생성하도록 유도 장치(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3)를 포함하고, 환자(5)를 활성화하기 위해 표적 조직이 필드 생성기(21)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에 의해 자극될 수 있도록 유도 장치(2)의 필드 생성기(21)는 인간 또는 동물 환자(5)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자극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3)이 유도 장치(2)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필드 생성기(21)가 공간 필드의 복수의 펄스(8, 80, 800)의 연속적인 트레인(7, 70)의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레인(7; 70)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각 트레인(7, 70)의 복수의 펄스(8, 80, 800)는 제 1 강도를 갖는 제 1 펄스(801) 및 최대 강도를 갖는 최대 펄스(804)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강도는 제 1 강도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제 1 펄스(801)와 최대 펄스(804) 사이의 중간 펄스(802, 803)의 강도는 제 1 펄스(801)에서 최대 펄스(804)까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의 복수의 펄스(8; 80; 800)는 마지막 강도를 갖는 마지막 펄스(801)를 포함하고, 상기 마지막 강도는 최대 강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최대 펄스(804)와 마지막 펄스(801) 사이의 중간 펄스(803, 802)의 강도는 최대 펄스(804)에서 마지막 펄스(801)까지 갈수록 더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은 그 펄스(81, 82, 83; 80; 800)의 강도를 요약함으로써 계산된 누적 강도를 포함하고, 트레인(7, 70)의 누적 강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트레인(7, 70)은 제 1 누적 강도를 갖는 제 1 트레인(81) 및 최대 누적 강도를 갖는 최대 트레인(83)을 포함하고, 최대 누적 강도가 제 1 누적 강도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은 동일한 수의 펄스(8; 80; 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트레인 시간 폭(74; 7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트레인 시간 폭(74; 704)은 약 0.5초 내지 약 1.5초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인(7; 70)은 분당 약 10 내지 약 20개의 트레인(7; 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열(7; 70)의 복수의 펄스(8; 80; 800) 각각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펄스 시간 폭(84; 8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펄스 시간 폭(84; 840)은 약 160 마이크로초 내지 약 220 마이크로초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펄스 시간 폭(84; 840)은 강도가 증가하는 증가 부분 및/또는 강도가 감소하는 감소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증가 부분과 감소 부분은 함께 펄스 시간 폭(84; 840)의 적어도 60퍼센트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트레인(7; 70)의 복수의 펄스(8; 80; 800)는 약 15Hz 내지 약 25Hz 범위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1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 장치의 전기필드 생성기는 전극을 포함하고, 전기필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는 전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 장치의 필드 생성기는 코일 디자인을 포함하고 필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는 전자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19. 자극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목표 형상을 갖는 공간 필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필드 생성기(21)를 갖는 유도 장치(2)를 제공하는 단계,
    환자(5)를 활성화하기 위해 표적 조직이 전기필드 생성기(21)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에 의해 자극될 수 있도록 유도 장치(2)가 인간 또는 동물 환자(5)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단계,
    유도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3)을 제공하는 단계,
    공간 필드를 생성하기 위해 유도 장치(2)를 제어하도록 제어 유닛(3)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필드 생성기(21)가 상기 공간 필드의 복수 펄스(8; 80; 800)의 연속적인 열(7; 70)의 시퀀스를 생성하고 트레인(7, 70)이 중단되도록 상기 제어 유닛(3)이 상기 유도 장치(2)를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환자(5)의 표적 조직을 자극하여 인간 또는 동물 환자(5)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목표 형상을 갖는 공간 필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코일 디자인(211)을 갖는 필드 생성기(21) 및 유도 장치(2)와 통신하고 공간 필드를 생성하기 위해 유도 장치(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3)을 갖는 유도 장치(2)를 얻는 단계,
    표적 조직이 필드 생성기(21)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에 의해 자극될 수 있도록 유도 장치(2)의 필드 생성기(21)를 환자(5)에 위치시키는 단계,
    필드 생성기(21)가 공간 필드의 복수 펄스(8; 80; 800)의 연속적인 열(7, 70)의 시퀀스를 생성하고 트레인(7, 70)이 중단되도록 유도 장치(2)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조직은 상기 환자(5)의 횡격막 신경이고 상기 환자(5)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횡격막을 활성화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도관 인터페이스를 환자(5)의 호흡 시스템에 연결하는 단계,
    도관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5)의 호흡 시스템으로 공기를 전달하는 단계,
    호흡 계획에 따라 환자(5)의 호흡 시스템으로의 공기 전달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호흡 계획에 따라 환자(5)의 횡경막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 장치(2)의 필드 생성기(21)에 의해 생성된 각 트레인(7; 70)의 복수의 펄스(8; 80; 800)는 제 1 제 1 강도를 갖는 펄스 및 최대 강도를 갖는 최대 펄스를 포함하며, 최대 강도는 제 1 강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와 상기 최대 펄스 사이의 중간 펄스의 세기는 상기 제 1 펄스에서 상기 최대 펄스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3항 또는 제 24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의 복수의 펄스(8; 80; 800)는 마지막 강도를 갖는 마지막 펄스를 포함하고, 마지막 강도는 최대 강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펄스와 상기 마지막 펄스 사이의 중간 펄스의 세기는 상기 최대 펄스에서 상기 마지막 펄스로 갈수록 더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0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는 그 펄스의 강도를 합산하여 계산된 누적 강도를 포함하고, 트레인(7; 70)의 누적 강도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는 제 1 누적 강도를 갖는 제 1 트레인 및 최대 누적 강도를 갖는 최대 트레인을 포함하고, 최대 누적 강도는 제 1 누적 강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0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은 동일한 수의 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0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트레인 시간 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트레인 시간적 폭은 약 0.5초 내지 약 1.5초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20항 내지 제 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인(7; 70)는 분당 약 10 내지 약 20개의 트레인(7; 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20항 내지 제 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레인(7; 70)의 복수의 펄스(8; 80; 800) 각각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펄스 시간 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시간 폭은 약 160 마이크로초 내지 약 220 마이크로초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 33항 또는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시간 폭은 세기가 증가하는 증가 부분 및 /또는 세기가 감소하는 감소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 부분 및 감소 부분은 함께 펄스 시간 폭의 적어도 60퍼센트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 20항 내지 제 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레인(7; 70)의 복수의 펄스(8; 80; 800)는 약 15Hz 내지 약 25Hz 범위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 20항 내지 제 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 장치의 전기필드 생성기는 전극을 포함하고, 전기필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는 전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 20항 내지 제 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 장치의 필드 생성기는 코일 디자인을 포함하고 필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는 전자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어 유닛에 의해 실행될 때 제어 유닛(3) 이 인간 또는 동물 환자(5)에 위치한 유도 장치(2)의 필드 생성기(21)를 작동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필드 생성기(21)가 공간 필드의 복수의 펄스(8; 80; 800)의 연속적인 트레인(7; 70)의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트레인이 중단되도록 환자(5)의 표적 조직이 유도 장치(2)의 필드 생성기(21)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에 의해 자극될 수 있도록 제어 유닛(3)이 인간 또는 동물 환자(5)에 위치한 유도 장치(2)의 필드 생성기(21)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1. 제 40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의 복수의 펄스(8; 80; 800)는 제 1 강도를 갖는 제 1 펄스 및 최대 강도를 갖는 최대 펄스를 포함하고, 최대 강도는 제 1 강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2. 제 41항에 있어서, 제 1 펄스와 최대 펄스 사이의 중간 펄스의 강도는 제 1 펄스에서 최대 펄스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3. 제 41항 또는 제 42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의 복수의 펄스(8; 80; 800)는 마지막 강도를 갖는 마지막 펄스를 포함하고, 마지막 강도는 최대 강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4. 제 43항에 있어서, 최대 펄스와 마지막 펄스 사이의 중간 펄스의 강도는 최대 펄스에서 마지막 펄스까지 갈수록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5. 제 40항 내지 제 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는 그 펄스의 강도를 합산함으로써 계산된 누적 강도를 포함하고, 트레인(7; 70)의 누적 강도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6. 제 45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은 제 1 누적 세기를 갖는 제 1 트레인 및 최대 누적 세기를 갖는 최대 트레인을 포함하고, 최대 누적 세기는 제 1 누적 세기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7. 제 40항 내지 제 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은 동일한 수의 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8. 제 40항 내지 제 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인(7; 70)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트레인 시간 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9. 제 48항에 있어서, 트레인 시간 폭은 약 0.5초 내지 약 1.5초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0. 제 40항 내지 제 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인(7; 70)는 분당 약 10 내지 약 20개의 트레인(7; 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1. 제 40항 내지 제 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레인(7; 70)의 복수의 펄스(8; 80; 800) 각각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펄스 시간 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시간 폭은 약 160마이크로초 내지 약 220마이크로초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3. 51항 또는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시간 폭은 세기가 증가하는 증가 부분 및/또는 세기가 감소하는 감소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4.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 부분 및 감소 부분은 함께 펄스 시간 폭의 적어도 60퍼센트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5. 제 40항 내지 제 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인(7; 70)의 복수의 펄스(8; 80; 800)는 약 15Hz 내지 약 25Hz 범위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6. 제 40항 내지 제 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 장치의 전기필드 생성기는 전극을 포함하고, 전기필드 생성기에 의해 발생된 공간 필드는 전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7. 제 40항 내지 제 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 장치의 필드 생성기는 코일 디자인을 포함하고 필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공간 필드는 전자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7035271A 2020-04-09 2021-04-09 자극 배열 및 환자 활성화 방법 KR202300051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4332020 2020-04-09
CH00433/20 2020-04-09
PCT/EP2021/059259 WO2021204981A1 (en) 2020-04-09 2021-04-09 Stimulation arrangement and method of activating a pati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145A true KR20230005145A (ko) 2023-01-09

Family

ID=7152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5271A KR20230005145A (ko) 2020-04-09 2021-04-09 자극 배열 및 환자 활성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73290A1 (ko)
EP (1) EP4132644A1 (ko)
JP (1) JP2023520718A (ko)
KR (1) KR20230005145A (ko)
CN (1) CN115697478A (ko)
CA (1) CA3174471A1 (ko)
WO (1) WO202120498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06918C (en) * 1997-10-17 2008-04-15 Respironics, Inc. Muscle stimulating device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treating a breathing disorder
US9248286B2 (en) * 2009-03-20 2016-02-02 ElectroCore, LLC Medical self-treatment using non-invasive vagus nerve stimulation
CN104684614B (zh) * 2012-06-21 2017-10-17 西蒙·弗雷泽大学 经血管的膈膜起搏系统及使用方法
DE202019100003U1 (de) * 2018-01-02 2019-02-13 Medical Technologies Cz A.S. Magnetfeld erzeugende 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s Patienten
AU2019217570A1 (en) * 2018-02-06 2020-09-03 Stimit Ag Electro-magnetic induction device and method of activating a target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73290A1 (en) 2023-06-08
EP4132644A1 (en) 2023-02-15
WO2021204981A1 (en) 2021-10-14
JP2023520718A (ja) 2023-05-18
CN115697478A (zh) 2023-02-03
CA3174471A1 (en)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1939A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device and method of activating a target tissue
US94030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synchronous neural responses to treat pain and/or other patient conditions
JP5815540B2 (ja) 動揺病を緩和する方法
US7856274B2 (en) Vestibular stimulation system and method
US8843209B2 (en) Ramping parameter values for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US201001981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ural stimulation
US8755889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therapy during stimulation of vagus nerve
EP4076640A1 (en) Ventilation arrangement and treatment method
JP5485326B2 (ja) 機器療法の疼痛を軽減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230005145A (ko) 자극 배열 및 환자 활성화 방법
JP7384932B2 (ja) 電気神経刺激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23094415A1 (en) Stimulation arrangement and method of identifying a position of a field generator
US20230149122A1 (en) Stimulation arrangement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stimulation arrangement
CN116194175A (zh) 呼吸促进装置及其使用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