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986A -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986A
KR20230004986A KR1020210085349A KR20210085349A KR20230004986A KR 20230004986 A KR20230004986 A KR 20230004986A KR 1020210085349 A KR1020210085349 A KR 1020210085349A KR 20210085349 A KR20210085349 A KR 20210085349A KR 20230004986 A KR20230004986 A KR 20230004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unit
air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기우
김병섭
신대정
류인재
이종화
김흥규
Original Assignee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5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4986A/ko
Publication of KR2023000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외부개폐부(110)를 통해서 공기가 공급 및 배출되는 중공구조의 공기순환부(100); 및 상기 공기순환부(100) 내에 안착되며, 실내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실외에서 공급된 공기의 열교환이 수행되는 열교환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부(200)의 일측(200a)과 공기순환부(100)의 내면 사이에는 종방향 내부개폐부(130)가 구비되어, 공기순환부(100)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열교환부(200)의 타측(200b)과 공기순환부(100)의 내면 사이에는 횡방향 내부개폐부(140)가 구비되어, 공기순환부(100)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이다.

Description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Ventilat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element capable of internal air circulation using lateral and longitudinal opening and closing elements}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관,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산후조리원 등은 불특정다수인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 중 환경 민감 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에 해당된다. 이러한 시설의 경우, 실내공기 오염도를 관리할 필요가 제기된다.
나아가 일반 가정 등의 통상의 공간의 경우에도, 실내 공기 오염도를 관리할 필요가 제시된다.
공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가스와 떠다니는 입자상물질 등인 오염물질은 오염된 실내공기를 밖으로 내보내고 신선한 바깥공기를 실내로 끌어들여 실내공간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환기설비와 실내공간의 오염물질을 없애거나 줄여주는 공기정화설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계절 간 실내외 온도차가 큰 우리나라의 특성상 환기로 인한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열회수 환기기술을 도입할 필요도 제기된다.
그런데, 기존 환기장치의 경우, 창문에 바로 설치할 수 있어 환기에 유리하나 환기과정에서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강한 외부 바람에 의해 환기가 과하거나 어려울 수 있으며, 외부 공기가 오염되어 있을 때 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기존 열회수 환기장치의 경우, 내외부 공기를 바꿔주면서 내부의 열기가 버려지는 것을 막는 강제 흡배기장치로서, 벽부착형 열회수 환기장치 및 중앙집중식 열회수 환기장치 등이 있다. 그런데, 외부 공기가 오염되어 있을 때는 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39109호 (2019.10.25)
본 발명에 따른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열교환부 및 그에 장착된 필터를 활용하여 실내 공기의 환기, 공기순환 및 공기정화를 하고자 한다.
둘째, 공기순환부 내의 오염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면서, 공기를 정화하고자 한다.
셋째, 공기순환부에서 다양한 작동 모드를 구현하고자 한다.
넷째, 공기순환부에서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는 모드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외부개폐부를 통해서 공기가 공급 및 배출되는 중공구조의 공기순환부; 및 상기 공기순환부 내에 안착되며, 실내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실외에서 공급된 공기의 열교환이 수행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부의 일측과 공기순환부의 내면 사이에는 종방향 내부개폐부가 구비되어, 공기순환부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열교환부의 타측과 공기순환부의 내면 사이에는 횡방향 내부개폐부가 구비되어, 공기순환부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의 외부개폐부는 실외측 외기개폐부, 실외측 배기개폐부, 실내측 환기개폐부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를 포함하며, 각 외부개폐부는 각각 공기의 배출 또는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개폐부는 송풍팬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실외측 외기개폐부에서 통해 공기가 실내측 급기개폐부 쪽으로 이동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실내측 환기개폐부를 통해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가 실외측 배기개폐부 쪽으로 이동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공기순환부의 내부공기가 열교환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의 유입유출부의 적어도 한 곳에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헤파필터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환기시스템은 기본환기 모드, 내부순환 모드, 외부순환 모드 또는 바이패스 환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본환기 모드는 모든 외부개폐부가 개방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모든 종방향 내부개폐부는 폐쇄되어, 실외측 외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친후, 실내측 급기개폐부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며, 실내측 환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친후, 실외측 배기개폐부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순환 모드는 외부개폐부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는 폐쇄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는 개방되며,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모든 종방향 내부개폐부는 개방되어, 실내측 환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쳐, 실외측 배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한 후,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쪽으로 이동하며, 다시 열교환부로 유입되고 실내측 급기개폐부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순환 모드는 외부개폐부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는 개방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는 폐쇄되며,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는 개방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는 폐쇄되며, 실외측 외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쳐, 실내측 급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한 후,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쪽으로 이동하며, 다시 열교환부로 유입되고 실외측 배기개폐부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바이패스 환기 모드는 모든 외부개폐부가 개방되고, 모든 종방향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개방되어, 실외측 외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실내로 공급되며, 실내측 급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배기개폐부쪽으로 이동되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바이패스 환기 모드는 모든 외부개폐부가 개방되고, 모든 종방향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개방되어, 실외측 배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실내로 공급되며, 실내측 환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쪽으로 이동되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3 바이패스 환기 모드는 외부개폐부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는 폐쇄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는 개방되며, 종방향 내부개폐부 중에서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는 개방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개방되어, 실내측 환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배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급기개폐부로 이동하여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4 바이패스 환기 모드는 외부개폐부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는 폐쇄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는 개방되며, 종방향 내부개폐부 중에서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는 개방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개방되어, 실내측 급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배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로 이동하여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5 바이패스 환기 모드는 외부개폐부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는 개방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는 폐쇄되며, 종방향 내부개폐부 중에서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는 개방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개방되어, 실외측 외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급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배기개폐부로 이동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6 바이패스 환기 모드는 외부개폐부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는 개방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는 폐쇄되며, 종방향 내부개폐부 중에서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는 개방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개방되어, 실외측 배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급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로 이동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열교환부 및 그에 장착된 필터를 활용하여 실내 공기의 환기 및 공기정화를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공기순환부의 환기 모드, 내부순환 모드 및 외부순환 모드를 통해, 실내의 공기정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바이패스 환기 모드를 활용하여,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실내외의 환기를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환기시스템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열교환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가 구비된 환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기본환기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내부순환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외부순환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제1 바이패스 환기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제2 바이패스 환기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제3 바이패스 환기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제4 바이패스 환기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제5 바이패스 환기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제6 바이패스 환기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방향에 관한 표현, 예를 들어 전/후/좌/우의 표현, 상/하의 표현, 종방향/횡방향의 표현은 도면에 개시된 방향을 참고하여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과장되게 표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전 취지에 비추어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환기시스템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열교환부가 구비된 환기시스템은 공기순환부(100)와 공기순환부(100)의 내부에 배치된 열교환부(200)가 결합되어 있다. 공기순환부(100)는 복수의 외부개폐부 즉 실외측 외기개폐부(111), 실외측 배기개폐부(112), 실내측 환기개폐부(113)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114)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열교환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순환부(100)의 내면에 접촉결합되어 있어서, 각 외부개폐부는 상호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순환부(100) 내의 공기는 열교환부(200)로 유입 및 유출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열교환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의 OA는 외기(Outside Air)로서 실외측 외기개폐부(111)와 연통되며, EA는 배기(Exhaust Air)로서 실외측 배기개폐부(112)와 연통되며, RA는 환기(Return Air)로서 환기개폐부(113)와 연통되며, SA는 급기(Supply Air)로서 급기개폐부(114)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횡방향 개폐부(140) 및 종방향 개폐부(130)를 구비한 환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복수의 외부개폐부(110)를 통해서 공기가 공급 및 배출되는 중공구조의 공기순환부(100); 및 상기 공기순환부(100) 내에 안착되며, 실내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실외에서 공급된 공기의 열교환이 수행되는 열교환부(200)를 포함한다.
열교환부(200)의 일측(200a)과 공기순환부(100)의 내면 사이에는 종방향 내부개폐부(130)가 구비되어, 공기순환부(100)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열교환부(200)의 타측(200b)과 공기순환부(100)의 내면 사이에는 횡방향 내부개폐부(140)가 구비되어, 공기순환부(100)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개폐부(130) 및 횡방향 개폐부(140)는 개방 및 폐쇄의 조정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가능한 팬 구조로 구비되어, 개방시에는 팬을 가동하여 공기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딩 개폐, 접이식 개폐 등 다양한 구조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나아가, 종방향 개폐부(130) 및 횡방향 개폐부(140)에 필터를 구비하여, 공기의 이동시 오염공기를 필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기순환부(100)의 외부개폐부(110)는 실외측 외기개폐부(111), 실외측 배기개폐부(112), 실내측 환기개폐부(113)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114)를 포함하며, 각 외부개폐부(110)는 각각 공기의 배출 또는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실외측 외기개폐부(111)는 일반적으로 실외 공기를 공기순환부로 공급하는 방향으로 작동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에서는 작동 모드에 따라 공기순환부로 공급되는 방향 뿐 아니라, 공기순환부에서 배출되는 방향으로 작동되기도 한다. 따라서, 각 외부개폐부(110)는 각각 공기의 배출 또는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개폐부(110)는 송풍팬(12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송풍팬(120)은 외부(실내와 실외)와 공기순환부(100) 사이의 공기이동 속도와 이동량을 증감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120)의 작동이 중단될 때, 송풍팬(120)이 공기의 유입/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막으로 사용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교환부(200)는 실외측 외기개폐부(111)에서 통해 공기가 실내측 급기개폐부(114) 쪽으로 이동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실내측 환기개폐부(113)를 통해 공기순환부(100)로 공급된 공기가 실외측 배기개폐부(112) 쪽으로 이동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교환부에서는 실외측 외기개폐부(111) 쪽에서 공급된 공기가 실내측 환기개폐부(113) 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도 2 참조)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부는 전술한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반대방향 즉 실내측 환기개폐부(113) 쪽에서 공급된 공기가 실외측 외기개폐부(111) 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의 이동과정에서 열교환이 수행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부(200)는 공기순환부(100)의 내부공기가 열교환부(200)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할 바이패스 환기 모드에서는 공기가 열교환기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차단부는 슬라이딩 개폐, 접이식 개폐 등 다양한 구조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교환부(200)의 유입유출부(201)의 적어도 한 곳에는 필터(2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헤파(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를 포함하는 다양한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열교환부에 사용되는 필터는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된 오염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실외의 오염공기 정화 뿐만 아니라, 실내의 오염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순환부와 열교환부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은 기본환기 모드, 내부순환 모드, 외부순환 모드 또는 바이패스 환기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작동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종방향 개폐부(130) 및 횡방향 개폐부(140)가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기본환기 모드의 경우, 종방향 내부개폐부(130)와 횡방향 내부개폐부(140)가 폐쇄된다. 하지만, 내부순환 모드, 외부순환 모드 및 바이패스 환기 모드의 경우, 기본환기 모드와 달리 종방향 내부개폐부(130)를 개방(open) 또는 폐쇄(close)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등 다양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본환기 모드, 내부순환 모드 및 외부순환 모드는 공기가 열교환부를 통과하는 구조인 반면에, 바이패스 환기 모드는 공기가 열교환부를 통과하지 않는 구조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환기시스템에서 필터 배치 위치의 경우, 공기 이동 경로를 고려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열교환부의 일 측에 배치되거나,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열교환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나아가, 열교환부의 유입되는 각 측에 배치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먼저, 기본환기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기본환기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기본환기 모드는 실내의 오염공기를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공급하면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도 수행되는 모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모드의 경우, 모든 외부개폐부(110)가 개방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는 폐쇄되고, 모든 종방향 내부개폐부(130)은 폐쇄된다.
실외측 외기개폐부(111)에서 공기순환부(100)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200)를 거친후, 실내측 급기개폐부(114)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실내측 환기개폐부(113)에서 공기순환부(100)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200)를 거친후, 실외측 배기개폐부(11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내부순환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내부순환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내부순환 모드는 실외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 상태에서, 실내의 오염공기를 공기순환부, 열교환부 및 필터 등을 활용하여 공기 정화를 하는 모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순환 모드의 경우, 외부개폐부(110)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111)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112)는 폐쇄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113)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114)는 개방되며,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는 폐쇄되고, 모든 종방향 내부개폐부(130)는 개방된다.
실내측 환기개폐부(113)에서 공기순환부(100)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200)를 거쳐, 실외측 배기개폐부(112) 방향으로 이동한 후,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132)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111)쪽으로 이동하며, 다시 열교환부(200)로 유입되고 실내측 급기개폐부(114)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외부순환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외부순환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외부순환 모드는 실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 상태에서, 공기순환부 및 열교환부에 존재하는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모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순환 모드의 경우, 외부개폐부(110)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111)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112)는 개방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113)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114)는 폐쇄되며,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는 폐쇄되며,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131)는 개방된다.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132)는 폐쇄되며, 실외측 외기개폐부(111)에서 공기순환부(100)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200)를 거쳐, 실내측 급기개폐부(114) 방향으로 이동한 후,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131)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113)쪽으로 이동하며, 다시 열교환부(200)로 유입되고 실외측 배기개폐부(11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내부순환 모드를 수행하기 전에, 외부순환 모드를 수행하여 공기순환부 및 열교환부에 존재하는 오염공기를 정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필터가 없는 실시예의 경우, 이와 같이, 외부순환 모드를 거친 후에 내부순환 모드 또는 환기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공기순환부 내부에 공기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공기순환부 내부의 공기 오염도가 기 설정값에 도달하면, 환기시스템이 자동으로 외부순환 모드를 작동시키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나아가, 외부순환 모드에 의해 공기 오염도가 기 설정값으로 저하되면, 내부순환 모드가 작동되도록 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바이패스 환기 모드의 개요를 설명하고자 한다. 바이패스(bypass) 환기 모드는 실내외 공기를 어떤 필터나 전열교환소자를 거치지 않고, 대량의 내외부 공기를 교환가능하게 하는 모드이다. 바이패스 환기가 이루어지는 조건은 실외 공기질이 충분히 우수하고, 실내외 온도차가 적거나, 냉난방을 하지 않을 때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환기 모드에서 차단가능한 구조로 구비되나, 열교환부(전열교환소자)로의 공기 유입/유출은 아주 약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반드시 완전 차단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제1 바이패스 환기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제1 바이패스 환기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바이패스 환기 모드의 경우, 모든 외부개폐부(110)가 개방되고, 모든 종방향 내부개폐부(130)은 폐쇄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는 개방된다.
실외측 외기개폐부(111)에서 공기순환부(100)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200)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113) 방향으로 이동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실내측 급기개폐부(114)에서 공기순환부(100)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200)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를 통해 실외측 배기개폐부(112)쪽으로 이동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2 바이패스 환기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제2 바이패스 환기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바이패스 환기 모드의 경우, 모든 외부개폐부(110)가 개방되고, 모든 종방향 내부개폐부(130)은 폐쇄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는 개방된다.
실외측 배기개폐부(112)에서 공기순환부(100)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200)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113) 방향으로 이동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실내측 환기개폐부(113)에서 공기순환부(100)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200)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111)쪽으로 이동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3 바이패스 환기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제3 바이패스 환기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바이패스 환기 모드의 경우, 외부개폐부(110)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111)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112)는 폐쇄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113)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114)는 개방되며, 종방향 내부개폐부(130) 중에서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131)는 폐쇄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132)는 개방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는 개방된다.
실내측 환기개폐부(113)에서 공기순환부(100)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200)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111) 방향으로 이동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132)를 통해 실외측 배기개폐부(112) 방향으로 이동되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를 통해 실내측 급기개폐부(114)로 이동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4 바이패스 환기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제4 바이패스 환기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제4 바이패스 환기 모드의 경우, 외부개폐부(110)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111)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112)는 폐쇄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113)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114)는 개방되며, 종방향 내부개폐부(130) 중에서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131)는 폐쇄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132)는 개방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는 개방된다.
실내측 급기개폐부(114)에서 공기순환부(100)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200)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를 통해 실외측 배기개폐부(112) 방향으로 이동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132)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111) 방향으로 이동되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113)로 이동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5 바이패스 환기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제5 바이패스 환기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제5 바이패스 환기 모드의 경우, 외부개폐부(110)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111)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112)는 개방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113)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114)는 폐쇄되며, 종방향 내부개폐부(130) 중에서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131)는 개방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132)는 폐쇄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는 개방된다.
실외측 외기개폐부(111)에서 공기순환부(100)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200)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113) 방향으로 이동되고,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131)를 통해 실내측 급기개폐부(114) 방향으로 이동되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를 통해 실외측 배기개폐부(112)로 이동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6 바이패스 환기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제6 바이패스 환기 모드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제6 바이패스 환기 모드의 경우, 외부개폐부(110)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111)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112)는 개방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113)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114)는 폐쇄되며, 종방향 내부개폐부(130) 중에서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131)는 개방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132)는 폐쇄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는 개방된다.
실외측 배기개폐부(112)에서 공기순환부(100)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200)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를 통해 실내측 급기개폐부(114) 방향으로 이동되고,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131)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113) 방향으로 이동되고, 횡방향 내부개폐부(140)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111)로 이동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공기순환부 110 : 외부개폐부
111 : 실외측 외기개폐부 112 : 실외측 배기개폐부
113 : 실내측 환기개폐부 114 : 실내측 급기개폐부
120 : 송풍팬
130 : 종방향 내부개폐부 131 :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
132 :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
140 : 횡방향 내부개폐부
200 : 열교환부 200a : 열교환부의 일측
200b : 열교환부의 타측 210 : 필터

Claims (17)

  1. 복수의 외부개폐부를 통해서 공기가 공급 및 배출되는 중공구조의 공기순환부; 및 상기 공기순환부 내에 안착되며, 실내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실외에서 공급된 공기의 열교환이 수행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부의 일측과 공기순환부의 내면 사이에는 종방향 내부개폐부가 구비되어, 공기순환부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열교환부의 타측과 공기순환부의 내면 사이에는 횡방향 내부개폐부가 구비되어, 공기순환부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의 외부개폐부는 실외측 외기개폐부, 실외측 배기개폐부, 실내측 환기개폐부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를 포함하며,
    각 외부개폐부는 각각 공기의 배출 또는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개폐부는 송풍팬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실외측 외기개폐부에서 통해 공기가 실내측 급기개폐부 쪽으로 이동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실내측 환기개폐부를 통해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가 실외측 배기개폐부 쪽으로 이동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공기순환부의 내부공기가 열교환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의 유입유출부의 적어도 한 곳에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헤파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기시스템은
    기본환기 모드, 내부순환 모드, 외부순환 모드 또는 바이패스 환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본환기 모드는
    모든 외부개폐부가 개방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모든 종방향 내부개폐부는 폐쇄되어,
    실외측 외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친후, 실내측 급기개폐부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며,
    실내측 환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친후, 실외측 배기개폐부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내부순환 모드는
    외부개폐부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는 폐쇄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는 개방되며,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모든 종방향 내부개폐부는 개방되어,
    실내측 환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쳐, 실외측 배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한 후,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쪽으로 이동하며, 다시 열교환부로 유입되고 실내측 급기개폐부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외부순환 모드는
    외부개폐부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는 개방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는 폐쇄되며,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는 개방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는 폐쇄되며,
    실외측 외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쳐, 실내측 급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한 후,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쪽으로 이동하며, 다시 열교환부로 유입되고 실외측 배기개폐부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 바이패스 환기 모드는
    모든 외부개폐부가 개방되고, 모든 종방향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개방되어,
    실외측 외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실내로 공급되며,
    실내측 급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배기개폐부쪽으로 이동되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제2 바이패스 환기 모드는
    모든 외부개폐부가 개방되고, 모든 종방향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개방되어,
    실외측 배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실내로 공급되며,
    실내측 환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쪽으로 이동되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제3 바이패스 환기 모드는
    외부개폐부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는 폐쇄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는 개방되며, 종방향 내부개폐부 중에서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는 개방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개방되어,
    실내측 환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배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급기개폐부로 이동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제4 바이패스 환기 모드는
    외부개폐부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는 폐쇄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는 개방되며, 종방향 내부개폐부 중에서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는 개방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개방되어,
    실내측 급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배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로 이동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16. 청구항 8에 있어서,
    제5 바이패스 환기 모드는
    외부개폐부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는 개방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는 폐쇄되며, 종방향 내부개폐부 중에서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는 개방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개방되어,
    실외측 외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급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배기개폐부로 이동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17. 청구항 8에 있어서,
    제6 바이패스 환기 모드는
    외부개폐부 중에서 실외측 외기개폐부 및 실외측 배기개폐부는 개방되고, 실내측 환기개폐부 및 실내측 급기개폐부는 폐쇄되며, 종방향 내부개폐부 중에서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는 개방되고, 종방향 실외측 내부개폐부는 폐쇄되고, 모든 횡방향 내부개폐부는 개방되어,
    실외측 배기개폐부에서 공기순환부로 공급된 공기는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급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종방향 실내측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내측 환기개폐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횡방향 내부개폐부를 통해 실외측 외기개폐부로 이동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KR1020210085349A 2021-06-30 2021-06-30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KR20230004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49A KR20230004986A (ko) 2021-06-30 2021-06-30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49A KR20230004986A (ko) 2021-06-30 2021-06-30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986A true KR20230004986A (ko) 2023-01-09

Family

ID=8489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349A KR20230004986A (ko) 2021-06-30 2021-06-30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49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109B1 (ko) 2018-04-19 2019-11-26 오충록 필터박스가 연결된 전열교환기의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109B1 (ko) 2018-04-19 2019-11-26 오충록 필터박스가 연결된 전열교환기의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987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20180045896A (ko)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KR102039106B1 (ko) 무덕트 노출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2424786B1 (ko) 실내 스탠드형 전열교환기
CN108302685B (zh) 具有内部空气的循环、排出和吸入功能的空气循环系统
KR20180029305A (ko) 복합열교환 환기장치
KR100587315B1 (ko) 환기시스템
KR101275160B1 (ko) 환기통합형 하이브리드 세대공조기
KR102052348B1 (ko) 환기장치
KR102141919B1 (ko) 환기시스템
KR101904041B1 (ko) 주방급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가지는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2519505B1 (ko) 공기순환부 내부유입공기의 살균부가 구비된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JP2006125825A (ja) 換気装置
KR102193156B1 (ko) 기능성 공기 청정 환기시스템
KR200407836Y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20030063843A (ko) 환기장치
KR20230004986A (ko) 횡방향 개폐부 및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KR20230004985A (ko) 종방향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순환이 가능한 열교환부를 갖는 환기시스템
KR102602746B1 (ko) 스마트 공조장치
KR20190133516A (ko) 실내 환기 장치
KR102371835B1 (ko) 퍼지모드를 갖는 환기장치
KR102057687B1 (ko) 듀얼타입 열교환 환기장치
KR100587313B1 (ko) 공기청정장치 일체형 환기시스템
KR102282099B1 (ko)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20200143829A (ko)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