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052A -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052A
KR20230004052A KR1020210085830A KR20210085830A KR20230004052A KR 20230004052 A KR20230004052 A KR 20230004052A KR 1020210085830 A KR1020210085830 A KR 1020210085830A KR 20210085830 A KR20210085830 A KR 20210085830A KR 20230004052 A KR20230004052 A KR 20230004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eam
water
cours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다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5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4052A/en
Priority to PCT/KR2022/009432 priority patent/WO2023277615A1/en
Priority to EP22833669.9A priority patent/EP4363657A1/en
Publication of KR20230004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0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06F39/00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and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the interface. When water shortage information is generated in a steam unit,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shortage information at least one of a booting time point at which a power is supplied to a display unit, a selection time point of a course or an option which can be input to a control unit, an performance time point wherein the course or the option is performed, and a completion time point at which the course or the option end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es: a cabinet; a drum; a driving unit; a steam unit; a supplying unit; an operating unit; a controlling unit; and a displaying unit.

Description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출원은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interface and a laundry treatment device provided with the interface.

의류(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의 통칭)의 세탁, 의류의 건조, 의류의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전자기기에는 사용자가 전자기기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장치(인터페이스)가 필수적이다.An input/output device (interface) for the user to input control commands to the electronic device is essential for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clothes handling devices capable of washing clothes (a general term for objects to be washed or objects to be dried), drying clothes, and washing and drying clothes. to be.

종래 인터페이스들 중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어명령을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검색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하는 선택부,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부가 서로 분리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었다(공개번호 10-2014-0023986).Among the conventional interfaces, a display unit displaying control commands selectable by the user, a search unit allowing the user to search for control command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selection unit allowing the user to select control command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selection unit allowing the user to select control command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input unit requesting the execution of the control command is designed to be located in a space separated from each other (Publication No. 10-2014-0023986).

즉, 종래 인터페이스는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LCD, LED 패널 등), 해당 전자기기가 실행 가능한 제어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제어명령을 검색할 수 있는 노브(knob)나 버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버튼, 및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버튼 등이 서로 분리된 공간에 각각 위치하였고, 이와 같은 배치는 의류처리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의 전방면 등에 위치하는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컨트롤패널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요소였다.That is, the conventional interface is a display (LCD, LED panel, etc.) on which control commands are displayed, a knob or button that can search for control commands by displaying control commands executable by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on the display, and a display A button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for selecting a displayed control command, and a button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for requesting the execution of the selected control command, etc. are located in separate spaces, and such an arrangement is such that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laundry treatment machine It was a factor that determined the design of the interface (design of the control panel) located on the front of the .

상술한 구조의 종래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각 장치들이 전자기기의 너비방향(전자기기의 너비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거나, 전자기기의 높이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어야 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의 설치에 많은 공간이 요구되었다.In the conventional interface of the above structure, since each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had to be distribu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or distribut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 lot of space for interface installation this was requested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부를 구비할 수 있었다. 상기 스팀은 의류를 살균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고, 의류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었다.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steam unit for supplying steam to a drum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The steam has an effect of sterilizing clothes, removing wrinkles from clothes, and preventing shrinkage of clothes.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에 물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re is no method for reliably displaying this to the user when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team unit.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에 물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 이를 어떤 시점에 표시해야 되는지에 대한 기준이 없었다.Also,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en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team unit, there is no standard for displaying this at what point in time.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부에 물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 스팀을 활용하는 코스 및 옵션이 중단되어 의류를 처리하는 행정 자체가 지연될 위험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en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team unit, courses and options using steam are stopped, so that the process of treating clothes itself may be delayed.

본 발명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부에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notifying a user when water is not supplied to a steam unit supplying steam.

본 발명은 상기 스팀부에 물이 공급되지 않아도 의류를 처리하는 행정이 지연되는 것을 차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blocks delay in a process of treating laundry even when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team unit.

본 발명은 스팀부에 물 공급이 반복해서 해결되지 않을 때 사용자의 조치를 유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inducing a user's action when water supply to a steam unit is not repeatedly resolved.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연결되거나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부와, 상기 스팀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부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구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드럼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스팀부에 스팀을 생성하는 물 공급이 차단되었거나 상기 스팀부 내부에 물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스팀생성이 불가능함을 표시하는 부족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부족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clothes, a driving unit connected to or coupled to the drum and providing power for rotating the drum, the A steam unit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supply steam to the inside of the drum, a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steam unit and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unit, and operating the drive unit to rotate the drum or steam inside the drum.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command for selecting an arbitrary course or option for performing one or more of supplying the steam unit, and detecting a state in which water supply for generating steam to the steam unit is blocked or water supply is insufficient inside the steam unit. and a control unit generating shortag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steam generation is impossible, and a display unit coupled to the cabinet and provided to display the shortage information externally.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부족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표시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부팅시점, 상기 조작부가 입력될 수 있는 코스 또는 옵션의 선택시점,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는 수행시점,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종료되는 완료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s generated in the display unit, a booting tim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a selection time of a course or option to which the control unit can be input, a execution time when the course or option is performed, and the course or option ends. It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lack of information at least one of the completed points.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부족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팅시점에 상기 저장부에 상기 부족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부팅시점에서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laundry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hortage information, and if the shortage information exists in the storage unit at the time of booting,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shortage information at the time of booting.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부팅시점에서 기준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remove the display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when a reference time elapses from the booting point.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은 상기 스팀부를 필수적으로 구동하는 스팀코스 또는 스팀옵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로 상기 스팀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시점에서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arbitrary course or option further includes a steam course or steam option that essentially drives the steam unit, and when the steam course is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at the selection time.

상기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는 수행명령을 입력받는 수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부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하고, 상기 스팀코스 또는 상기 스팀옵션의 수행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xecution unit that receives an execution command to perform the selected course or option, and when the execution unit is input, the display unit may remove the display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display a performance state of the steam course or the steam option. there is.

상기 표시부에 상기 부족정보가 표시되어도 상기 스팀코스 또는 스팀옵션은 그대로 수행 완료될 수 있다. Even i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steam course or steam option may be completed as it is.

상기 표시부에 상기 부족정보가 표시되면 상기 스팀코스는 중단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가 제거되면 상기 스팀코스는 다시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steam course is stopped, and when the display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is removed, the steam course may be resumed.

상기 조작부는 상기 부족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였다는 명령을 입력받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면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unit that receives a command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confirmed the lack of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may remove the display of the lack of information when the selection unit is input.

상기 수행부 또는 상기 선택부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스팀코스는 중단될 수 있다. The steam course may be stopped until the execution unit or the selection unit is input.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은 상기 스팀부를 필수적으로 구동하는 스팀코스 또는 스팀옵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팀코스 또는 스팀옵션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부족정보를 생성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행시점에서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arbitrary course or option further includes a steam course or steam option that essentially drives the steam unit, and when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team course or steam option, the display unit performs the At this point, the lack of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완료시점에서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하고 기준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shortage information at the completion point and remove the display of the shortage information when the reference time elapses.

상기 부족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완료시점까지 상기 부족정보가 유지되면, 상기 부족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control unit may store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s maintained until the completion tim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족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뒤에 상기 표시부, 상기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ut off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drive unit after storing the shortag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상기 표시부는 상기 스팀부가 스팀을 생성 가능하거나, 상기 공급부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remove the display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when the steam unit can generate steam or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upply unit.

본 발명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부에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llowing a user to recognize when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team unit for supplying steam.

본 발명은 상기 스팀부에 물이 공급되지 않아도 의류를 처리하는 행정이 지연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 delay in a process of treating clothes even when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team unit.

본 발명은 스팀부에 물 공급이 반복해서 해결되지 않을 때 사용자의 조치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ducing a user's action when the water supply to the steam unit is not repeatedly resolved.

도 1과 도 2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세척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공급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컨트롤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인코더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상기 조작부(P7)와 상기 표시부(P8)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의 활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킬 때 컨트롤패널(p)의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상기 표시부(P8)의 활용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표시부(P8)에서 디스플레이(P84) 부분을 강조한 것이다.
도12는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정에 따른 알림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상기 부족정보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는 상기 부족정보가 표시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7는 상기 부족정보가 표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8는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 and 2 show an example of an interface and a laundry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the interface.
Fig. 3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washing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the steam supply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panel.
Fig. 7 shows the structure of an encoder.
Fig. 8 shows the structure of the operation unit P7 and the display unit P8.
9 shows an embodiment of utilization of the control panel P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n aspect of the control panel p when operat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shows the usability of the display unit P8, and the display unit P84 is highlighted in the display unit P8.
1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selecting a course or option.
13 illustrates a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operation proces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show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ack information is displayed.
Fig. 16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hortage information is displayed.
17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lack information is displayed.
18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the lack inform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interface and a laundry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the interfa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1 shows the appearanc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컨트롤패널(P)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 includes a cabinet 1 and a control panel P provided in the cabinet 1 .

본 출원서에 기재된 컨트롤패널(P)은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기타의 전자기기를 포함)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 간의 통신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과정, 및 의류처리장치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The control panel P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refers to a device or program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and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ing other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clothes treatment device).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the user inputs a control command to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a process in which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user.

상기 컨트롤패널(P)을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명령, 의류를 처리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선택명령, 상기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는 실행명령, 수행되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중단하는 중단 명령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다.Through the control panel (P), the user receives a power command for supplying or shutting off power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n arbitrary course or option for processing clothes, an execution command for executing the selected course or option, One or more of the abort commands may be entered to abort the course or option being performed.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것은 의류의 이물질을 물과 세제를 통하여 제거하는 세탁행정이나, 상기 의류에 함유된 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reatment of the clothes may include a washing operation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lothes using water and a detergent, or a drying operation for dry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clothes.

상기 컨트롤패널(P)은 사용자에게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 또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전원명령, 선택명령, 실행명령, 수행명령, 중단명령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한 문제상황을 표시하는 에러정보나, 사용자가 취해야 될 조치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panel P may display the status or inform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to the user. For example, the control panel P may display a state in which one or more of the power command, selection command, execution command, execution command, and stop command has been input.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P may display error information indicating a problem occurring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r guide information guiding actions to be taken by the user.

상기 캐비닛(1)은 전방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과, 상기 전방패널(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패널(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과 상기 상부패널(13)은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강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cabinet 1 may include a front panel 11 forming a front and an upper panel 13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11 . The front panel 11 and the upper panel 13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steel plate.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은 전방패널(11)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P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front panel 11 and provided.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전방패널(11)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패널(11)의 전면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은 단순한 금속판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전방패널(11)의 배면에 단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P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 so that a part of the control panel P is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 . The front panel 11 may be made of a simple metal plate, and the control panel P may be simply coupled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 .

이로써, 상기 전방패널(11)이 상기 캐비닛(1)의 전면 대부분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방패널(11)의 일체감이 강화되어 심미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패널(11)을 제작하는 과정이 간소화되며, 상기 전방패널(11)과 상기 컨트롤패널(P)을 조립하거나 설치하는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P)을 상기 전방패널(11)에 안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 등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Thus, the front panel 11 can form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 . As a result, a sense of unity of the front panel 11 is strengthened, and aesthetics can be maximized. In additio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ront panel 11 is simplified, and the process of assembling or installing the front panel 11 and the control panel P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a configuration such as a separate frame for seating the control panel P on the front panel 11 may be omitted.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P7)와, 상기 조작부(P7)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P8)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P)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ipulation unit (P7)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and a display unit (P8) provided inside the operation unit (P7) to display the statu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n do.

상기 조작부(P7)는 로터리 놉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표시부(P8)는 액정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P8)와 후술하는 선택부(R)가 상기 조작부(P7) 내부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P7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otary knob, and the display unit P8 may be provided as a display D including a liquid crystal or the like.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y unit P8 and the selection unit R to be described later are included in the operation unit P7.

상기 표시부(P8)은 전체가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가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entirety of the display unit P8 may be provided as a touch panel, or at least a portion thereof may be provided as a touch panel.

상기 조작부(p7)는 회전하며 상기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조작부(p7)가 회전할 때마다 대응되는 코스 또는 옵션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manipulation unit p7 may be provided to select an arbitrary course or option capable of processing the clothes while rotating, and the display unit P8 displays a corresponding course or option whenever the manipulation unit p7 rotates. It may be provided to display.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은 후술하는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일정영역에서 문자, 안내문구 등으로 표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패널(p)이 상기 전방패널(11)에서 차지하는 면적 또는 면적비율을 크게 축소할 수 있고, 상기 전방패널(11)에는 별도의 문자 등이나 안내문구가 부착되지 않아 심미감이 극대화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ontrol panel P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rbitrary course or option for rotating the dru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rom being displayed in a certain area as text or a guide phrase. Therefore, the area or area ratio occupied by the control panel p in the front panel 11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front panel 11 is not attached with separate letters or instructions, so aesthetics are maximized. It can be.

상기 표시부(P8)의 디스플레이(P84)는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영역(D1)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전원명령, 선택명령, 실행명령, 수행명령, 중단명령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된 상태 또는 에러정보나, 사용자가 취해야 될 조치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내용표시영역(D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P84 of the display unit P8 includes a state display area D1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at least one of the power command, selection command, execution command, execution command, and stop command of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It may include a content display area D2 for displaying the input status or error information or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ctions to be taken by the user.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P)는 상기 표시부(P8)에서 표시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결정하는 결정명령을 입력하는 선택부(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R)는 조작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패널(P)이 차지하는 영역을 더 축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P)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unit (R) for inputting a decision command for the user to determin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P8). The selection unit (R) is provided inside the operation unit to further reduce the area occupied by the control panel (P).

상기 선택부(R)는 상기 표시부(P8)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용표시부(D2)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R)는 사용자 신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물리버튼이나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election unit (R) may be provided inside the display unit (P8) and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content display unit (D2). The selector R may be provided as a physical button or a touch panel that senses a user's body contact.

상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P84))는 상기 선택부(R)와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선택부(R)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는 입력영역(D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P84) of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n input area (D3) for requesting an input of the selection unit (R)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unit (R).

상기 입력영역(D3)은 상기 선택부(R)가 사용자에게 명령을 입력받도록 활성화될 수 있을 때 빛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input area D3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when the selector R is activated to receive a command from the user.

한편, 상기 조작부(P7)와 표시부(P8)는 전원이 공급되어야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P7 and the display unit P8 may be operated only when power is supplied.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은 상기 조작부(P7) 및 표시부 뿐만 아니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명령을 입력하는 전원부(P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panel P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P46 for inputting a power command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addition to the control unit P7 and the display unit.

사용자는 상기 전원부(P46)를 입력하여 상기 조작부(P7)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The user can activate the control unit P7 by inputting the power supply unit P46.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전원부(P46)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원 장착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ont panel 11 may include a power mounting part 116 provided to install the power supply part P46.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거나 중단하는 수행명령이 입력되는 수행부(P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부(P47)은 상기 조작부(P7)와 상기 표시부(P8)와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확실한 수행 또는 중단의사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P7) 및 상기 표시부(p8)의 기능이 과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P may further include an execution unit P47 to which an execution command for executing or stopping the selected course or option is input. The execution unit P47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peration unit P7 and the display unit P8 to reflect the user's clear intention to perform or stop.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functions of the operation unit P7 and the display unit p8.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수행부(P47)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원 장착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ont panel 11 may include a power mounting unit 117 provided to install the carrying unit P47.

상기 전원부(P46), 수행부(P47), 상기 조작부(P7), 상기 표시부(p8)은 하나의 제어박스(P1)에 구비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P46, the execution unit P47, the operation unit P7, and the display unit p8 may be provided in one control box P1.

한편,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코스에 옵션을 부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설정부(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설정부(P2)를 통해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강도, 지속시간 등을 변경할 수 있는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front panel 11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unit P2 capable of adding or changing options to the course. The user may set options for changing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the course through the setting unit P2.

상기 설정부(P2)는 상기 케이스(P1)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전방패널(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설정부(P2)는 별도의 액정을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옵션을 기입할 수 있는 터치패널 이나 물리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setting unit P2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ase P1 and coupled to the front panel 11 . The setting unit P2 may include a separate liquid crystal, or may include a touch panel or physical buttons capable of writing the options.

한편, 상기 전방패널(11)은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도어(112) 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ront panel 11 may include a door 112 that opens and closes an inlet into which clothes are put. The control panel P is positioned above the door 112 to enhance user accessibility.

한편,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도어(112)를 상기 전방패널(11)에 고정시키는 잠금부(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드럼이 회전하는 등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면 상기 잠금부(L)는 상기 도어(112)를 상기 전방패널(11)에 잠금(lock)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L)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이 종료되면 상기 도어(112)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ront panel 11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art L fixing the door 112 to the front panel 11 . The locking part L may be provided to lock the door 112 to the front panel 11 when the laundry handling machine operates, such as when the drum of the laundry handling machine rotates. Thus,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The locking part (L) may be provided to release the lock of the door 112 when the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finished.

상기 잠금부(L)는 상기 도어(112)를 상기 캐비닛(1)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떤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도어에서 돌출된 후크를 체결하는 체결부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후크를 파지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도 구비될 수 있다. The locking part (L) may be provided in any configuration as long as it can fix the door 112 to the cabinet 1 . It may be provided as a fastening part fastening a hook protruding from the door, and may also be provided as a solenoid valve holding the hook.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척하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박스(45)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세제박스(45)가 인출되는 세제홀(1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tergent box 45 accommodating detergent for washing clothes, and the front panel 11 may include a detergent hole 17 through which the detergent box 45 is drawn out. there is.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2 shows the basic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을 포함하는데,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드럼(2)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11)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12)가 구비될 수 있다.The cabinet 1 includes a front panel 11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the front panel 11 includes an inlet 111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drum 2 and rotation in the cabinet. A door 112 that is possibly coupl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11 may be provided.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P)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P9),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P8)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명령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M2)가 설치될 수 있다. The front panel 11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P. The control panel 117 includes an input unit P9 for receiving control commands from the user and a display unit P8 for outputting information such as control commands selectable by the user. ) may be provided, and a main controller M2 may be installed to control a command for performing a drying cycl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상기 입력부(P9)는 의류처리장치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P46),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P7),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수행부(P4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P9) includes a power supply request unit (P46) for requesting power supply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 control unit (P7) for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course from among a plurality of courses, and a request for start of the course selected by the user.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the performing unit P47.

상기 표시부(P8)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P8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panel capable of outputting text and figures, and a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voice signals and sounds.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을 별도로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저수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전방패널(11)의 일측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수탱크(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72)는 후술하는 세척펌프에서 전달받은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reservoir 7 provided to separately store moist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rying the laundry. The water storage unit 7 may include a water storage tank 7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panel 11 to be drawn out. The water storage tank 72 may be provided to collect condensed water delivered from a washing pump to be described later.

사용자는 상기 저수탱크(7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하여 상기 응축수를 제거한 뒤, 다시 캐비닛(1)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하수구 등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도 얼마든지 배치될 수 있다.The user can withdraw the water storage tank 72 from the cabinet 1 to remove the condensed water, and then install the water storage tank 72 back into the cabinet 1. Accordingl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posed in any place where a sewer or the like is not installed.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저수탱크(72)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탱크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홀(115)은 상기 전방패널(11)에 구비될 수 있다. The cabinet 1 may include a tank hole 115 through which the water storage tank 72 is drawn out. The tank hole 115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anel 11 .

이로써,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탱크홀(115)을 통해 상기 전방패널(11)에서 슬라이드 되어 인출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저수탱크(72)가 부피가 크게 구비되어 더 많은 양의 응축수를 저장하더라도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저수탱크(72)를 상기 전방패널(11)에서 인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저수탱크(72)의 무게를 스스로 극복하지 않아도 상기 저수탱크(7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ater storage tank 72 can be slid from the front panel 11 through the tank hole 115 and can be drawn in and out. As a result, even if the water storage tank 72 is bulky and stores a larger amount of condensed water,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water storage tank 72 from the front panel 11 . That is, the user can withdraw the water storage tank 72 from the cabinet 1 without overcoming the weight of the water storage tank 72 by himself.

상기 탱크홀(115)은 상기 컨트롤패널(117)과 상기 저수탱크(72)가 인출입 할 때 상기 저수탱크(72)가 상기 컨트롤패널(117)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탱크홀(115)은 상기 컨트롤패널(117)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tank hole 115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water storage tank 72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ntrol panel 117 when the control panel 117 and the water storage tank 72 are drawn in and out. For example, the tank hole 115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panel 117 .

한편, 상기 탱크홀(115)은 상기 도어(1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저수탱크(72)를 상기 전방패널(11)에서 인출할 때 허리를 상대적으로 적게 굽힐 수 있다. Meanwhile, the tank hole 115 may be disposed above the door 112 . Accordingly, when the user withdraws the water storage tank 72 from the front panel 11, the user can relatively less bend the waist.

결과적으로, 상기 물탱크(430)와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water tank 430 and the water storage tank 72 may be disposed above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drum.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또는 캐비닛 내부에 스팀(steam)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응축수가 아닌 신선한 물을 공급받아 스팀(steam)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물을 가열하거나, 초음파를 이용하거나, 기화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am unit 200 capable of supplying steam to clothes or inside the cabinet. The steam unit 200 may be provided to generate steam by receiving fresh water instead of condensed water. The steam unit 200 may be provided to generate steam by heating the water, using ultrasonic waves, or vaporizing the water.

상기 스팀부(200)는 물을 일정량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일정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이때, 캐비닛의 전방패널(11)은 도어 및 컨트롤패널(117)이 설치되고, 캐비닛의 배면패널(12)은 드럼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덕트 및 급수부 등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팀부(200)는 캐비닛의 측면패널(14)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Since the steam unit 200 is provided to generate steam by receiv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it can occupy a certain volume. At this time, since a door and a control panel 117 are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11 of the cabinet, and a duc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air to and from the drum and a water supply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panel 12 of the cabinet, the steam unit 200 may advantageously be installed on the side panel 14 of the cabinet.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200)를 별도로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스팀제어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컨트롤내널(117)에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컨트롤패널(117)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생산단가를 상승시키지 않기 위해 별도의 제어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am control unit 800 provided to separately control the steam unit 200 . The steam control unit 800 may be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117, but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control panel to prevent overload of the control panel 117 and increase production cost.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스팀부(200)와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스팀부(200)가 설치되는 측면패널(14)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부(200)와 연결되는 제어선 등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The steam control unit 80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steam unit 200 . The steam control unit 800 is provided on the side panel 14 where the steam unit 200 is installed to reduce the length of a control line connected to the steam unit 200 .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의류에 접촉될 수 있는 스팀을 공급하기 때문에 신선한 물로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부(7)에 수집된 물은 의류에서 생성된 것이므로 린트 또는 이물질이 함유될 가능성이 높아,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Since the steam unit 200 supplies steam tha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clothes,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steam with fresh water. Since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reservoir 7 is generated from clothes, it is highly likely to contain lint or foreign substances, and thus may not be suitable for generating the steam.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되, 상기 저수부(7)와 별도로 구비되는 물공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300)는 신선한 물이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신선한 물을 외부에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200)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30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water storage unit 7 while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unit 200 . The water supply unit 300 may store fresh water, or may be provided to receive the fresh water from the outside and supply it to the steam unit 200 .

예를들어, 상기 물공급부(300)는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200)에 전달할 수 있는 외부공급부(500)와, 별도로 신선한 물을 저장하여 상기 스팀부(200)에 공급할 수 있는 내부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ter supply unit 300 stores fresh water separately from the external supply unit 500 that receives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delivers it to the steam unit 200 and supplies it to the steam unit 200. It may include an internal supply unit 400 that can be.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저수부(7)와 별도로 구비되어 신선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탱크(420)와, 상기 물탱크(420)의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물펌프(430)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안착시키는 탱크하우징(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nal supply unit 400 includes a water tank 42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water storage unit 7 to store fresh water, and water provided to supply water in the water tank 420 to the steam unit 200. A tank housing 410 for seating the pump 430, the water tank 420, and the water pump 430 inside the cabine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스팀부(200)는 설치 높이에 차이를 두어, 자중에 의해 상기 물탱크(420)의 물이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420 and the steam unit 200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water in the water tank 420 is supplied to the steam unit 200 by its own weight. may be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스팀부(200)의 설치높이 차이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물펌프(430)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펌프(430)를 추가 배치하는 경우 상기 캐비닛(1) 내부의 공간을 더욱 조밀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a difference in installation height between the water tank 420 and the steam unit 200 cannot be secured, it may be desirable to additionally install the water pump 430. In addition, when the water pump 430 is additionally disposed, the space inside the cabinet 1 can be used more compactly.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상기 외부급수원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직수밸브(5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supply unit 500 may include a direct water valve 520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receive water.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것을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할지를 결정하는 결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termination unit 700 that determines which of the external supply unit 500 and the internal supply unit 400 is to be used first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unit 200. can

상기 결정부(70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것을 우선적으로 사용할지를 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etermining unit 700 may be provided to determine which one of the external supply unit 500 and the internal supply unit 400 is to be used first.

한편, 상기 물탱크(420)는 신선한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20)는 신선한 물을 수시로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water tank 420 may be provided to store fresh water. The water tank 420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so that fresh water can be refilled at any time.

한편,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캐비닛(1)에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이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물탱크(420)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하여 간단하게 물을 충전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tank 420 may be provided to be drawn out of the cabinet 1 . In this way, the user can withdraw the water tank 420 from the cabinet 1 and simply fill it with water.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전방패널(11)을 통해 인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저수탱크(42)도 상기 전방패널(11)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컨트롤패널(P)이 차지하는 면적으로 인해 상기 물탱크(420)를 인출할 영역이 확보되기 어려울 수 있다. The water tank 420 may be provided by being drawn out through the front panel 11 . However, when the water storage tank 42 is also provided to be drawn out to the front panel 11, the front panel 11 cannot withdraw the water tank 420 due to the area occupied by the control panel P. Areas can be difficult to secure.

라서,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상부패널(13)로 인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패널(117)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 또한, 상기 물탱크(420)도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수부(7)도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혼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가 상기 캐비닛에서 노출되는 방향이나 위치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Therefore, the water tank 420 is provided to be drawn out to the upper panel 13, and interference with the control panel 117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water tank 420 is also provided to store water and the water reservoir 7 is also provided to store water, users may be confused. To this en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420 and the water reservoir 7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directions or positions in which they are exposed from the cabinet.

따라서,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상부패널(13)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전방패널(11)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가 모두 구비되어 있어도,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를 혼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420)는 신선한 물을 저장해야 하고, 저장된 물의 신선도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저수부(7) 보다 부피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부피 차이로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를 구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ater tank 420 may be provided to be exposed through the upper panel 13 , and the water reservoir 7 may be provided to be exposed through the front panel 11 . Accordingly, even when both the water tank 420 and the water storage part 7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user from confusing the water tank 420 with the water storage part 7 . Also, since the water tank 420 needs to store fresh water and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stored water, it may have a relatively smaller volume than the water reservoir 7 . Therefore, the user can distinguish the water tank 420 from the water reservoir 7 based on the volume difference.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저수부(7) 보다 부피가 작으므로 상부로 인출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상부패널(13)에서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의 인출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사용자의 혼동 가능성은 더욱 감소할 수 있다. Since the water tank 420 has a smaller volume than the water reservoir 7, it may be easily drawn upward. Accordingly, the water tank 420 may be provided to be drawn upward from the upper panel 13 . As a result, since the drawing directions of the water tank 420 and the water reservoir 7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ossibility of user confusion may be further reduced.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패널(13)은 상기 물탱크(42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물탱크(420)가 캐비닛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탱크인출홀 또는 인출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인출홀(131)은 상기 물탱크(420)의 단면적과 대응되거나, 상기 물탱크(420)의 면적보다 조금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panel 13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nk withdrawal hole or a withdrawal hole 131 provided so that the water tank 42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the water tank 420 can be drawn out of the cabinet. can include The tank take-out hole 131 may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ter tank 420 or may have a slightly larger area than the water tank 420 .

상기 상부패널(13)은 탱크인출홀(131)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420)가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출커버(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커버(132)는 상기 탱크인출홀(131)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패널결합부(1321)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1321)는 상기 인출커버(132)를 상기 상부패널(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인출커버(13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1321)와 상기 상부패널(13)은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panel 13 may further include a withdrawal cover 132 provided to shield the tank withdrawal hole 131 and prevent the water tank 420 from being arbitrarily drawn out. The take-out cover 132 may include one or more panel coupling parts 1321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k take-out hole 131 . The panel coupling part 1321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take-out cover 132 so as to rotatably couple the take-out cover 132 to the upper panel 13 . The panel coupling part 1321 and the upper panel 13 may be provided by being coupled in a hinge coupling method.

한편, 상기 인출커버(132)는 표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패널핸들(132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핸들(132)은 상기 인출커버(132)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구비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커버(132)는 상기 상부패널(13) 또는 상기 탱크인출홀(131)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고정부(1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고정부(1332)는 상기 상부패널(13) 또는 상기 탱크인출홀(131)과 푸쉬버튼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ull-out cover 132 may have a panel handle 1323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on a surface, and the panel handle 132 is a groove formed concave downward from the pull-out cover 132.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take-out cover 132 may further include a panel fixing part 1332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anel 13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k take-out hole 131 . The panel fixing part 133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nel 13 or the tank withdrawal hole 131 in a push button manner.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순환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필터가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필터장착홀(113)이 구비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capabl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circulated air. A filter mounting hole 113 through which the filter is drawn out or inserted may be provided in the front panel 11 .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3), 상기 순환유로(3)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뒤 상기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열교환부(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laundry handling apparatus 10 includes a cabinet 1, a drum 2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clothes, and discharged from the drum 2. A circulation passage 3 forming a passage for resupplying the air to the drum 2, a heat exchange section for dehumidifying and heat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3, and then resupplying it to the drum 2 ( 4) may be included.

상기 드럼(2)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로 구비될 경우,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드럼(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17), 및 상기 드럼(2)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19)가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drum 2 is provided as a cylindrical drum body 21 with open front and rear surfaces, a first rotatably supported front surface of the drum 2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A support part 17 and a second support part 19 rotatably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drum 2 may be provided.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171),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173),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제1개방면)에 삽입되는 제1지지바디(1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17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first fixing body 171 fixed inside the cabinet 1 and through the first fixing body to communicate the inlet 111 and the inside of the drum body 21.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drum inlet 173 and a first support body 175 provided on the first fixing body 171 and inserted into the front surface (first open surface) of the drum body 21. .

상기 제1고정바디(171)는 상기 드럼 투입구(173) 및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구비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디(175)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서 상기 드럼 바디(21)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지지바디(175)의 지름은 상기 드럼 투입구(173)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 지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 투입구(173)는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The first fixing body 171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drum inlet 173 and the first support body 175 can be provided. The first support body 175 may be provided in a pipe shape protruding from the first fixed body 171 toward the drum body 21, the diameter of the first support body 175 is the drum inlet It can be se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173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rum body 21. In this case, the drum inlet 173 will be located inside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support body 175 .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투입구(173)를 연결하는 연결바디(177)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는 상기 드럼 투입구(173)에서 상기 투입구(111)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에는 상기 순환유로(3)에 연통하는 공기 배출구(178)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art 17 may be provided to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body 177 connecting the inlet 111 and the drum inlet 173. The connection body 177 may have a pipe shape extending from the drum inlet 173 toward the inlet 111 . An air outlet 178 communicating with the circulation passage 3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on body 177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배출구(178)는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유로(3)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이며, 상기 연결바디(177)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air outlet 178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drum body 21 can move to the circulation passage 3, and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connection body 177. It may be provided as a through hole.

상기 제2지지부(19)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191), 상기 제2고정바디(19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제2개방면)에 삽입되는 제2지지바디(19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제2고정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상기 캐비닛(1)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198)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덕트(3)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 및 상기 공기 유입구(198)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19 is provided on the second fixing body 191 fixed inside the cabinet 1 and on the second fixing body 191 on the rear surface (second open surface) of the drum body 21. )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second support body 195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part 19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198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fixing body 191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drum body 21 with the inside of the cabinet 1 . In this case, the duct 3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air outlet 178 and the air inlet 198 .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는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를 통해 회전할 수 있는데, 도 3는 상기 구동부(28)가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모터(23),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25), 상기 풀리(25)의 원주면과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27)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cylindrical drum body 21 with a hollow inside can be rotated through various types of driving units. In FIG. 3 , the driving unit 28 is rotated by a motor 23 fixed inside the cabinet 1, and the motor A case in which a pulley 25 is provided to include a belt 27 connect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ey 25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body 21 is shown as an example.

한편, 상기 구동부(28)는 상기 드럼(2)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을 직접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8)의 회전축이 상기 드럼(2)에 직접 결합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drive unit 28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rum 2 to directly rotate the drum 2 .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unit 28 is directly coupled to the drum 2 to rotate the drum 2 .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구동부(28)를 상기 드럼(2)의 배면 또는 중심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 part 19 may support the driving part 28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surface or the center of the drum 2 .

한편, 상기 구동부(28)와 상기 드럼(2) 사이에는 별도의 감속기(28a)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감속기(28a)에서 나온 회전축이 상기 드럼(2)의 배면 중앙에 직접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감속기(28a)가 상기 제2지지부(19)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Meanwhile, a separate reduction gear 28a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ive unit 28 and the drum 2 . In this case, the rotation shaft from the reducer 28a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drum 2, and the reducer 28a may be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art 19.

이때에는 상기 구동부(28)가 상기 드럼(2)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28 can freely change the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um 2 .

상기 제1지지부(17)에는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179)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199)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17 is provided with a first roller 179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body 2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9 can rotat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body. A second roller 199 for supporting it may be provided.

상기 순환유로(3)는 상기 드럼(2)에 연통되어 구비되는 덕트(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3)는 상기 드럼(2)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가 열교환부(4)를 지나 상기 드럼(2)에 재유입되는 순환유로를 형성한다고 볼 수도 있다. The circulation passage 3 may include a duct 3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rum 2 . The duct 3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drum 2 and can be considered to form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4 and is re-introduced into the drum 2 .

상기 덕트(3)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에 연결된 배기덕트(31), 상기 공기 유입구(198)에 연결된 공급덕트(33), 상기 배기덕트와 공급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uct 3 includes an exhaust duct 31 connected to the air outlet 178, a supply duct 33 connected to the air inlet 198, and a connection duct 35 connecting the exhaust duct and the supply duct. may be provided to do so.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열교환부(4)는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 unit 4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devices as long as it can sequentially perform dehumidification and heating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3 . For example, the heat exchange unit 4 may be provided as a heat pump system.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덕트(3)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49),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41), 및 상기 덕트(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 unit 4 includes a fan 49 for moving air along the duct 3, a first heat exchanger (heat absorption unit 41)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3, and the A second heat exchanger (heating unit, 43) provided inside the duct 3 to he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41 may be included.

상기 흡열부(41)는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발열부(43)는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The heat absorbing part 41 may be provided as an evaporator that absorbs heat, and the heat generating part 43 may be provided as a condenser that emits heat.

상기 팬(49)은 상기 덕트(3)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491), 상기 임펠러(491)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4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4 참조) 상기 임펠러(491)는 상기 배기덕트(31), 연결덕트(35), 및 공급덕트(33) 중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임펠러(491)가 상기 공급덕트(33)에 구비된 경우(발열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fan 49 may include an impeller 491 provided inside the duct 3 and an impeller motor 493 rotating the impeller 491 . (See FIG. 4) The impeller 491 may be provided anywhere among the exhaust duct 31, the connection duct 35, and the supply duct 33, and FIG. 3 shows that the impeller 491 is the supply duct ( 33) is shown as an example (when located behind the heating unit).

상기 흡열부(41)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너비 방향(Y축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연결덕트의 너비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와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상기 배기덕트(31)에서 상기 공급덕트(33)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4 참조)The heat absorbing part 4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etal plates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connection duct 35 or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connection duct, and the heat generating part 4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etal plates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duct or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nection duct. The heat absorbing part 41 and the heat generating part 43 are sequentially disposed inside the connection duct 35 along a direction from the exhaust duct 31 toward the supply duct 33, and provide a circulation path for the refrigerant.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refrigerant pipes 48 to form. (See Figure 4)

상기 냉매는 상기 덕트(3)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45)에 의해 상기 냉매관(4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48)에는 상기 발열부(43)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7)가 구비된다.The refrigerant is moved along the refrigerant pipe 48 by the compressor 45 located outside the duct 3, and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heating part 43 is applied to the refrigerant pipe 48. A pressure regulator 47 for adjusting is provided.

상기 흡열부(41)는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압축기(45)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할 때 상기 흡열부(41)의 표면을 따라 상기 연결덕트(35)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The heat absorbing part 41 transfers the heat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exhaust duct 31 to the refrigerant, thereby cooling the air and evaporating the refrigerant. The heating unit 43 transfers the heat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mpressor 45 to the air, thereby heating the air and condensing the refrigerant. In this case, when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passes through the heat absorbing part 41 , it will be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duct 35 along the surface of the heat absorbing part 41 .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제거된 물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집수부가 구비된다. In order to collect the water removed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absorbing part 41,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part.

상기 집수부에 수집되는 물은 상기 저수부(7)에 수집되어 추후에 일괄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수탱크(72), 상기 저수탱크(7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저수탱크(72)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72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or may be collected in the water reservoir 7 so that it can be collectively discharged later. The water reservoir 7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cabinet 1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the water storage tank 72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water storage tank 72 to supply the water reservoir supply pipe 633.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n inlet 722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72.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탱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저수탱크(72)가 삽입되는 저수부 장착홀 또는 탱크홀(115)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저수탱크(72)의 전방면에는 저수패널(71)이 고정되는데, 상기 저수패널(71)은 상기 저수부 장착홀 또는 탱크홀(11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방패널(1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storage tank 72 may be provided as a drawer-type tank drawn out from the cabinet 1. In this case, the front panel 11 of the cabinet has a water storage mounting hole into which the water storage tank 72 is inserted. Alternatively, a tank hole 115 should be provided. A water storage panel 71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72, and the water storage panel 7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er reservoir mounting hole or tank hole 115 so as to secure the front panel 11. It may be provided to form a part.

상기 저수패널(71)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홈(7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수패널(71)은 상기 저수탱크(72)를 캐비닛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하는 핸들의 기능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The water storage panel 71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711 into which a user's hand is inserted. In this case, the water storage panel 71 will also function as a handle for withdrawing the water storage tank 72 from the cabinet or inserting it into the cabinet.

상기 유입구(72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 노즐(722a)에서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722a)은 상기 저장바디(72)가 캐비닛(1)에 삽입된 때 상기 유입구(7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캐비닛의 상부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The inlet 722 may be provided to receive water discharged from a nozzle 722a fixed to the cabinet 1 . The nozzle 722a may be fixed to the upper panel 13 of the cabinet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inlet 722 when the storage body 72 is inserted into the cabinet 1 .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저수부(7)는 사용자가 상기 저수탱크(7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한 뒤 상기 저수탱크 (72)를 상기 유입구(722)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뒤집거나 기울임으로써 상기 저수탱크 (72)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 (72) 내부의 물이 상기 유입구(722)를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상기 저장바디(72)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7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e water storage part 7 having the above structure, after the user withdraws the water storage tank 72 from the cabinet 1, the water storage tank 72 is turned over or tilted toward the direction where the inlet 722 is located. As a result, the water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72 can be discarded. A communication hole 721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72 may be further provided so that water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72 is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722 .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저수부(7)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내부급수부(400)와 상기 외부급수부(50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team unit 20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ter storage unit 7 . As described above, the steam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water supply unit 400 and the external water supply unit 500 to receive water and form steam.

외부급수부(500)는 상기 배면패널(13)에 인접하거나 상기 배면패널(13)에 고정되는 직수밸브(520)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전달되는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하는 직수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520)는 외부급수원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캐비닛 배면으로 연장되는 급수관과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직수밸브(520)를 통해 직접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급수부(400)가 생략되거거나, 상기 내부급수부(400)에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스팀부(200)는 필요할 때마다 상기 직수밸브(520)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520)는 스팀제어부(800)에 의해 직접 제어될 수 있다.The external water supply unit 500 includes a direct water valve 520 adjacent to or fixed to the rear panel 13 and water transmitted from the direct water valve 520 to the steam unit 200. It may include a direct water pipe 510 to supply. The direct water valve 520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with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For example, the direct water valve 520 may be coupled to a water supply pipe exte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Thus, the steam unit 200 may be provided to directly receive water through the direct water valve 520 . Therefore, even if the internal water supply unit 400 is omitted or no water is stored in the internal water supply unit 400, the steam unit 200 supplies water through the direct water valve 520 whenever necessary. can receive The direct water valve 520 may be directly controlled by the steam control unit 800.

한편,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직수밸브(520)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지만, 상기 전방패널(11)과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의 전방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 전체에 스팀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team unit 20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direct water valve 520, but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front panel 11. Accordingly, steam can be supplied to the front of the drum to evenly supply steam to the entire garment.

상기 내부급수부(400)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420)와 상기 물탱크(420)에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물펌프(430)을 안착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스팀부(200)와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The internal water supply unit 400 includes a water tank 420 that stores water, a water pump 430 that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tank 420 and supplies water to the steam unit 200, and A tank housing 410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tank 420 and the water pump 430 are seated may be included. The water pump 430 and the water tank 420 may be provid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team unit 200 .

상기 탱크인출홀(131)은 상기 상부패널(13) 중 상기 물탱크(420)가 설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탱크인출홀(131)로 상기 물펌프(430)가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The tank withdrawal hole 131 may be install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upper panel 13 where the water tank 420 is installed. Accordingly, unnecessary exposure of the water pump 430 through the tank take-out hole 131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상기 인출커버(132)는 상기 탱크인출홀(13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420)가 불필요하게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take-out cover 13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k take-out hole 131 to prevent the water tank 420 from being unnecessarily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드럼(2) 또는 상기 순환유로(3)와 연통하여 상기 드럼(2)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물공급부(300)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한 뒤 상기 스팀배출관(213)을 통해 상기 드럼(2) 또는 덕트(3)로 공급할 수 있다. The steam unit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drum 2 or the circulation passage 3 to supply steam to the inside of the drum 2 . The steam unit 200 may receive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300, generate steam, and then supply the steam to the drum 2 or the duct 3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213.

상기 스팀배출관(213)은 상기 드럼(2)과 바로 연통하여 상기 스팀을 상기 드럼(2) 내부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덕트(3) 또는 상기 제2지지부(19)에 연통하여 상기 드럼(2) 내부로 스팀을 간접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steam discharge pipe 213 communicates directly with the drum 2 to supply the steam into the drum 2, and communicates with the duct 3 or the second support 19 to supply the steam to the drum 2. ) Steam can be supplied indirectly to the inside.

상기 스팀배출관(213)이 상기 덕트(3)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급덕트(33)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부(19)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9)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송풍팬(49)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팀이 상기 드럼(2) 내부로 더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다. When the steam discharge pipe 213 is connected to the duct 3, it may be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upply duct 33, and when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19, the air inlet 19 It may be provided in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steam may be introduced more smoothly into the drum 2 by using the power of the blowing fan 49 .

상기 스팀부(200)는 건조행정 중에 스팀을 사용하는 스팀공급모드가 수행되면 스팀을 생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모드는 상기 의류를 살균하거나, 상기 의류의 건조행정 중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상기 의류의 건조행정 말미에 상기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일련의 건조코스에 해당할 수 있다. The steam unit 200 may be controlled to generate steam when a steam supply mode using steam is performed during the drying process. The steam supply mode may correspond to a series of drying courses for sterilizing the clothes, increa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rum during the drying cycle of the clothes, or removing wrinkles from the clothes at the end of the drying cycle of the clothes. .

상기 스팀부(2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내부급수부(400)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급수부(500)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상기 드럼(2) 내부 등으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The steam unit 200 may receive water through the external water supply unit 500 as well as the internal water supply unit 400 and may be controlled to supply steam to the inside of the drum 2 or the like, if necessary.

한편,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흡열부(41)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는 상기 드럼(2)을 순환하더라도 상기 흡열부(41)에서 수분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드럼(2) 내부의 의류를 지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Meanwhile, the heat exchanger 4 is provided to condense moisture in the air circulating in the heat absorbing unit 41 . Therefore, even if the air circulates through the drum 2, since moisture is removed from the heat absorbing part 41, clothes inside the drum 2 can be continuously dried.

상기 흡열부(41)에서 응축된 수분은 집수부(37)에 1차 수집된 후 상기 저수부(7)로 2차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37)는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덕트(35)와 이격된 공간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Moisture condensed in the heat absorbing part 41 may be primarily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37 and then secondarily collected in the water storage part 7 . The water collector 37 may be located inside the connection duct 35 and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a spac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duct 35 .

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은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열교환부(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 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3과 도4는 상기 집수부(37)가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상기 집수부(37)는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Based o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chine cabinet,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um 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team unit 200 and the heat exchange unit 4 . In addition, based o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the heat exchange unit 4 may be disposed below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drum 2, and the steam unit 200 may be disposed above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drum. . 3 and 4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water collector 37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duct 35, but this is only for explanation, and the water collector 37 collects condensed water. If possible, it may be provided in any structure.

도4는 상기 집수부(37)와 상기 열교환부(4), 세척부(6) 등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4 shows detailed structures of the water collector 37, the heat exchanger 4, and the washing unit 6.

상기 집수부(37)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와 연통하는 집수바디(37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와 발열부( 43)가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응축수)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집수바디(371) 내부에는 열교환기 지지부(37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372)는 상기 흡열부(41)와 발열부( 43)가 접촉하는 지지판(373), 상기 지지판(373)과 상기 집수바디(371)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375), 및 상기 지지판(37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판 관통홀(376)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ng part 37 may be provided as a water collecting body 371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ng duct 35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duct. A heat exchanger support part 372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so that the heat absorbing part 41 and the heat generating part 43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water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 The heat exchanger support part 372 includes a support plate 373 in contact with the heat absorbing part 41 and the heat generating part 43, and a space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support plate 37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375, and a support plate through hole 376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upport plate 373.

상기 지지판 관통홀(376)은 상기 지지판(373)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흡열부(41)가 지지되는 공간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흡열부가 지지되는 공간 및 상기 발열부가 지지되는 공간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발열부(43)의 하부에도 지지판 관통홀(376)이 구비되면, 상기 지지판(373)을 따라 상기 발열부(43)로 이동한 물을 상기 집수바디(371)로 배출 가능할 것이다(발열부가 물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열전달 효율의 저하를 방지).The support plate through-hole 376 may be provided only in a space where the heat absorbing part 41 is supported, among spaces provided by the support plate 373, and provided in a space where the heat absorbing part is supported and a space where the heat generating part is supported, respectively. It could be. If the supporting plate through-hole 376 is also provided under the heating unit 43, the water that has moved to the heating unit 43 along the support plate 373 can be discharged to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the heating unit 371). to prevent degradation of heat transfer efficiency that occurs when in contact with water).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배출되는 이물질(린트 등)이 상기 흡열부(41) 및 발열부(43)에 적층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여과부가 상기 연결덕트(35)에 구비된 제1여과부(5) 및 상기 배기덕트(31)에 구비된 제2여과부(8)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In order to minimize the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nt) discharged from the drum body 21 on the heat absorbing part 41 and the heating part 43,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100 further includes a filtering part for filtering air. may be provided. FIG. 3 shows a case in which the filtering unit includes the first filtering unit 5 provided in the connection duct 35 and the second filtering unit 8 provided in the exhaust duct 31 as an example.

상기 제2여과부(8)는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제2여과부(8)와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여과부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부(5)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은 상기 제2여과부(8)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The second filtering part 8 is provided as a means for filtering the air flowing from the drum body 21 to the exhaust duct 31, and the first filtering part 5 is the second filtering part 8 ) and the heat absorbing part 41 and may be provided as a means for filter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ing part. The diameter of the filtration hole provided in the first filtering part 5 may be set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ltering hole provided in the second filtering part 8 .

상기 제2여과부(8)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를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프레임(81),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제4필터, 83)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filtering unit 8 includes a frame 81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exhaust duct 31 through the air outlet 178, a filter provided in the frame to filter air (fourth filter, 83 ) may be provided.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연결덕트(3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인출되는 필터장착홀(113, 도 1참고) 및 상기 필터장착홀을 개폐하는 장착홀 도어(114)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3)에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삽입되는 덕트 관통홀(34, 도 3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여과부(5)를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한 뒤 제1여과부(5)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제거 및 제1여과부의 세척이 가능하다.The first filtering unit 5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the connection duct 35 . In this case, the front panel 11 of the cabinet is provided with a filter mounting hole 113 (refer to FIG. 1) through which the first filter unit 5 is drawn out and a mounting hole door 114 opening and closing the filter mounting hole. , The duct 3 may be provided with a duct through-hole 34 (refer to FIG. 3) into which the first filtering unit 5 is inserted. Therefore, the user can separate the first filtering unit 5 from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s needed, and then remove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first filtering unit 5 and wash the first filtering unit.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필터장착홀(113) 및 덕트 관통홀(34)에 삽입되어 상기 제2여과부(8)와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는 여과부 바디(51, 53, 57, 58), 및 상기 여과부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41) 및 집수바디(371)로 이동하는 유체(공기 및 물)를 여과하는 필터(531, 551, 57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ing part 5 is inserted into the filter mounting hole 113 and the duct penetration hole 34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filtering part 8 and the heat absorbing part 41. The filtering part body 51 , 53, 57, 58), and filters (531, 551, 571) provided in the filter body to filter fluids (air and water) moving to the heat absorbing unit 41 and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may be provided to do so.

상기 여과부 바디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단면(Y-Z 평면, 및 X-Z 평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는 상기 여과부 바디가 육면체에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filter body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Y-Z plane and X-Z plane) of the connection duct 35. FIG. 1 shows a case in which the filter body is provided in a shape similar to a hexahedron. illustrated as an example.

이 경우, 상기 여과부 바디는 상기 덕트 관통홀(34)을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된 전방면(51), 상기 전방면과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는 후방면(53), 상기 전방면과 후방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바닥면(55), 상기 여과부 바디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57) 및 제2측면(58)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ltering unit body includes a front surface 51 provided in a shape capable of closing the duct through-hole 34, a rear surface 53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heat absorbing part 41, and the front surface 51.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bottom surface 55 provided to connec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a first side surface 57 and a second side surface 58 form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ing unit body.

상기 전방면(51)에는 캐비닛에 구비된 락 체결부(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락(513, lock)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락(513)은 상기 여과부 바디의 전방면(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bar)로 구비되고, 상기 락 체결부(16)는 상기 바의 자유단이 수용되는 홈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락(513)은 상기 전방면(51)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락 체결부(16)는 상기 필터장착혹(113)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 lock 513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ck fastening part 16 provided in the cabinet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51 . 1, the lock 513 is provided as a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51 of the filter body, and the lock fastening part 16 is a groove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bar is accommodated. A case provided to form is shown as an example. Preferably, the locks 513 are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the front surface 51, and the lock fastening parts 16 are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lter mounting hump 113, respectively.

상기 여과부 바디를 상기 연결덕트(35)에 삽입하거나, 상기 연결덕트(35)에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전방면(51)에는 핸들(5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A handle 511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51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filter body into the connection duct 35 or separation from the connection duct 35 .

상기 후방면(53)과 상기 바닥면(55)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로 유입된 유체(공기 및 물)을 여과하는 제1필터(531) 및 제2필터(55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면(53)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를 상기 덕트(3) 내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후방면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후방면 관통홀에 구비된다. 상기 바닥면(55)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를 덕트(3) 내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바닥면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필터(551)는 상기 바닥면 관통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흡열부(41)로 공급되는 유체(공기 및 물)를 여과하는 수단이되고, 상기 제2필터(551)는 상기 집수바디(371)로 공급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수단이 된다.A first filter 531 and a second filter 551 for filtering fluids (air and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y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53 and the bottom surface 55, respectively. . The rear surface 53 is provided with a rear surface through-hole that communicates the inside of the filter body with the inner space of the duct 3, and the first filter 531 is provided in the rear surface through-hole. The bottom surface 55 is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through-hole that communicates the inside of the filtering unit body with the inner space of the duct 3, and the second filter 551 is provided in the bottom surface through-hole. Therefore, the first filter 531 serves as a means for filtering the fluid (air and water) supplied to the heat absorbing unit 41, and the second filter 551 serves as a means for filtering the fluid supplied to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is a means of filtering

상기 제1측면(57)과 제2측면(58)은 상기 전방면(51), 후방면(53) 및 바닥면(55)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ide surface 57 and the second side surface 58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front surface 51 , the rear surface 53 , and the bottom surface 55 .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1여과부(5)는 상기 여과부 바디의 상부면 또는 제2측면(58)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제1여과부(5)가 여과부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부면 관통홀 및 제2측면(58)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측면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에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first filtering unit 5 having the above structure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exhaust duct 31 through the upper surface or the second side surface 58 of the filtering unit body. 1 shows the exhaust duct 31 through the upper surface through-hole provided so that the first filtering part 5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ing part body and the side through-hole provided so as to penetrate the second side surface 58. A case connected to is shown as an example.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여과부 바디의 바닥면(55)을 기준으로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을 향해 90도 내지 100도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할 세척부(6)를 통해 상기 제1필터(531)에 물이 분사될 경우, 제1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상기 바닥면(55)으로 쉽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irst filter 531 may be inclin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100 degrees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absorption part 41 based on the bottom surface 55 of the filtering part body. When water is sprayed on the first filter 531 through the washing unit 6 to be described later, this is to allow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first filter to be easily moved to the bottom surface 55.

상기 제2필터(551)는 상기 전방면(51)에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해 10도 내지 20도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제2필터는 제1필터의 하단에서 필터장착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10 내지 20도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551)가 제1필터(53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면, 상기 제1여과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이 가장 낮은 지점이 될 것이므로, 제1여과부(5)의 이물질은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에 집중될 수 있다. 이물질이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에 집중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1여과부(5) 내부의 이물을 보다 쉽게 제거 가능할 것이다.The second filter 551 may be provided with a downward slope of 10 degrees to 20 degrees toward the first filter 531 from the front surface 51 (the second filter has a filter mounting hole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filter). It may be provided with an upward slope of 10 to 20 degrees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located). When the second filter 551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irst filter 531,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filter 531 and the second filter 551 is the lowest point in the space provided by the first filtering unit. Since this will be, the foreign matter of the first filtering unit 5 can be concentrat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filter 531 and the second filter 551. If the foreign matter is concentrat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filter 531 and the second filter 551, the user will be able to more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inside the first filtering part 5.

다만,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에 이물질이 집중되면, 상기 세척부(6)를 통해 분사된 물이 집수바디(371)로 배출되는데 긴 시간이 요구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57)에는 상기 제1여과부(5) 내부를 상기 집부바디(371)에 연통시키는 바이패스홀 및 상기 바이패스홀에 구비된 제3필터(57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홀 및 제3필터(571)는 상기 상기 제2필터(551)의 최상단보다 높고 상기 제1필터(531)의 최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제1여과부(5)에 잔류하는 이물질에 의해 상기 제1여과부(5)에 분사된 물이 상기 집수바디(371)로 회수되지 못하는 현상을 최소화 가능하다.However, when foreign matter is concentrat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filter 531 and the second filter 551, a long time is required for the water sprayed through the washing unit 6 to be discharged to the collecting body 371. this can happe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1, the bypass hole and the bypass through which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ing part 5 communicates with the collecting body 371 are provided on the first side surface 57. A third filter 571 provided in the hole may be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 3 , the bypass hole and the third filter 57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top of the second filter 551 and lower than the top of the first filter 531 . Therefor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n minimize a phenomenon in which water sprayed into the first filtering unit 5 is not returned to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due to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first filtering unit 5 .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1여과부(5)를 세척하는 세척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부(7)로 따로 수집될 수도 있고, 상기 세척부(6)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washing unit 6 for washing the first filtering unit 5 us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 That i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may be separately collected in the water storage part 7 or may be selectively moved to the washing part 6 .

상기 세척부(6)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여과부(5)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제1필터(531), 제2필터(551), 제3필터(571), 및 흡열부(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척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6)는 상기 덕트(3)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여과부(5)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부(65),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65)로 이동시키는 세척펌프(6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washing unit 6 spray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to the first filtering unit 5, so that the first filter 531, the second filter 551, the third filter 571, and a means for cleaning at least one of the heat absorption unit 41 . The cleaning unit 6 includes a spraying unit 65 provided in the duct 3 to supply water to the first filtering unit 5, and the spraying unit 65 to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to the spraying unit 65.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washing pump 61 for moving to.

상기 세척펌프(61)는 제1연결관(611)을 통해 상기 집수바디(371)에 연결되고, 제2연결관(613)을 통해 상기 분사부(65)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하나의 세척펌프(61)만으로 상기 분사부(65) 및 상기 저수부(7)로 상기 집수바디(371)의 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유로전환부(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전환부(63)는 상기 제2연결관(613)을 통해 상기 세척펌프(61)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부(65)는 분사부 공급관(631)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며, 상기 저수부(7)는 저수부 공급관(633)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washing pump 61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through a first connection pipe 611 and connected to the injection unit 65 through a second connection pipe 613 . I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provided to move water in the water collection body 371 to the jetting unit 65 and the water reservoir 7 using only one washing pump 61,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has a flow path. A conversion unit 63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is case, the flow path conversion part 63 is connected to the washing pump 61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613, and the injection part 65 is connected to the flow path conversion part through the injection part supply pipe 631. 63, and the water storage part 7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low path conversion part 63 through the water storage part supply pipe 633.

이 경우,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은 상기 노즐(722a)과 상기 유로전환부(6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In this case, the water reservoir supply pipe 633 should be provided to connect the nozzle 722a and the flow path conversion unit 63.

상기 유로전환부(63)에는 상기 분사부 공급관(631)의 개폐 및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유로전환부(63)에 구비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65)로 공급할 수도 있고, 상기 저수부(7)로 공급할 수도 있다.A valv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jection unit supply pipe 631 and the water storage unit supply pipe 633 is provided in the flow path conversion unit 63 . Accordingl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may suppl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to the jetting unit 65 by controlling the valve provided in the flow path switching unit 63, and the water storage unit 7 ) can also be supplied.

상기 분사부(65)는 상기 연결덕트(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 공급관(631)이 연결되는 덕트 관통홀(651), 상기 덕트 관통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1필터(531)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653), 상기 제1가이드(653)를 통해 공급되는 물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655)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가이드(655)는 물이 상기 제1필터(531)를 거쳐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에 공급되게 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상기 연결덕트(35)에 고정된 때 상기 제1가이드(653)와 상기 제2가이드(655)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655)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praying part 65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connection duct 35 and the duct through-hole 651 to which the spraying part supply pipe 631 is connected,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duct through-hole i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531. ), and a second guide 655 for guiding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guide 653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absorption unit 41. A case is shown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second guide 655 may be provided as a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absorbing part 41 via the first filter 531 . That is, the first filter 531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uide 653 and the second guide 655 when the first filtering part 5 is fixed to the connection duct 35, and , The second guide 655 may be provided 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irst filter 531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duct 35 .

상기 제1가이드(653)에는 가이드 관통홀(65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통홀(654)은 상기 제1가이드(65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홀로, 상기 덕트 관통홀(651)로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 관통홀(654)을 통해 상기 흡열부(41)의 전방영역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의 전방영역은 상기 흡열부(4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영역을 의미한다.A guide through hole 654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first guide 653 . The guide through hole 654 is a 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irst guide 653, an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duct through hole 651 passes through the guide through hole 654 to the heat absorbing part 41. It can be supplied to the front area. The area in front of the heat absorption unit refers to an area locat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filter 531 based on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heat absorption unit 41 .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바디(371)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집수부 수위감지부(91)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부 수위감지부(91)가 구비되면,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장바디(72)로 이동시키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집수바디(371)의 물이 상기 연결덕트(3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water collecting part water level detection unit 91 that measure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and transmits the measured water level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91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is provided,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may determine when to mov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to the storage body 72, and through this,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into the connection duct 35.

상기 집수부 수위감지부(91)는 상기 집수바디(371) 내부의 수위를 감지 가능한 한 어떠한 장치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전극으로 구비된(수위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극들로 구비된) 센서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water collecting unit water level detection unit 91 may be provided with any device as long as it can detect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collecting body 371. FIG. 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s having different lengths (electrical It shows a senso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s connected to as an example.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함으로써 열교환부(4)의 작동 중단 시점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건조도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는 의류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전극센서(95), 및 상기 드럼(2)에서 상기 덕트(3)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A dryness level detection unit may be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so as to determine when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 unit 4 is stopped by determining the dryness level of the clothes. The dryness sensor includes an electrode sensor 95 provided to contact clothes to measure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clothes, and a humidity sensor to measure the humidity of the air flowing from the drum 2 to the duct 3 At least one of them may be provided.

상기 전극센서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의 의류에 접촉 가능한 제1전극(951) 및 제2전극(9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므로(의류의 전기적 저항은 증가), 상기 두 전극(951, 953)이 의류를 통해 연결되었을 때 측정되는 전기적 저항을 관찰함으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 가능하다. 한편,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덕트(3)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습도를 관찰함으로써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electrode sensor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first electrode 951 and a second electrode 953 fixed to the first fixed body 171 and contactable to clothes inside the drum body 21 . As the dryness level increases,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clothes decreases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clothes increases), so by observ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d when the two electrodes 951 and 953 are connected through the clothes, 100) can determine the dryness of clothes. Meanwhile, since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duct 3 decreases as the dryness of the clothes increases,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0 measures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3 through the humidity sensor.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dryness of clothes by observing the humidity.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9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96)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필터(531)와 상기 제2필터(551)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96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3 . The temperature sensor 96 may be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duct 35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ilter 531 and the second filter 551 .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드럼(2)의 배면에는 상기 구동부(28)가 직접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8)는 상기 제2지지부(19)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2)을 직접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ive unit 28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rum 2 . The driving unit 28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 unit 19 to directly rotate the drum 2 .

상기 구동부(28)는 상기 제2지지부(19)에 지지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및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e unit 28 may include a stator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unit 19, a rotor rotated by the stator, and a rotation shaft.

상기 구동부(28)는 감속기(28A)에 따로 결합되고, 상기 감속기(28A)가 상기 드럼(2)의 배면 중앙(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ive unit 28 may be separately coupled to the reducer 28A, and the reducer 28A may be coupled to the center (center of rota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drum 2 to rotate the drum 2.

이로써, 상기 감속기(28A)는 상기 회전축의 RPM은 감소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Thus, the speed reducer 28A can increase torque while reducing the RPM of the rotation shaft.

상기 스팀부(200)는 공간활용도를 위해, 상기 전방패널(11) 또는 상기 드럼(2)을 지지하는 상기 제1지지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캐비닛(1)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steam unit 200 may be provided by being fixed to the first support part supporting the front panel 11 or the drum 2 for space utilization. Also, the steam unit 20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a corner of the cabinet 1 .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420)와, 상기 물탱크(42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물펌프(430)와, 상기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nal supply unit 400 includes a water tank 420 for storing water, a water pump 430 for providing power to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420 to the steam unit 200, and the water A tank housing 410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ump 430 and the water tank 420 are installed may be included.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물펌프(430)가 상기 캐비닛(1)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물펌프(430)가 상기 캐비닛(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의 전후방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tank housing 410 may be provid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the water pump 43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abinet 1, and the water pump 430 is installed in the cabinet 1. It may be provided extending along the front and rear of the cabinet 1 so as to be disposed at the rear.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물탱크(420)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물펌프(430)가 장착될 수 있는 펌프장착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는 리세스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420) 또는 상기 물펌프(430)에서 누수된 물이 상기 드럼(2) 등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tank housing 410 may include a tank mounting portion 411 on which the water tank 420 is detachably mounted and a pump mounting portion 412 on which the water pump 430 may be mounted. The tank mounting portion 411 and the pump mounting portion 412 are recessed to prevent water leaking from the water tank 420 or the water pump 430 from leaking to the drum 2 or the like. can

또한,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를 구획하는 격벽(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탱크하우징(410)이 상기 물탱크(420)가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격벽(413)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에 잔수나, 상기 펌프장착부(412) 상의 잔수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수집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nk housing 410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wall 413 partitioning the tank mounting portion 411 and the pump mounting portion 412 . Thus, the water tank 420 can be easily mounted and separated from the tank housing 410 . The bulkhead 413 may also play a role of collecting residual water in the tank mounting part 411 or remaining water on the pump mounting part 412 so that it does not move to another place.

상기 격벽(413)에는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물펌프(430)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장관(4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416)에는 밸브 구조가 설치될 수 있어, 상기 물탱크(420)가 상기 탱크장착부(411)에서 분리되더라도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An extension pipe 416 communicating the water tank 420 and the water pump 430 to each other may be installed in the partition wall 413 . Since a valve structure may be installed in the extension pipe 416 , even if the water tank 420 is separated from the tank mounting portion 411 , leakage of water may be prevented.

상기 연장관(416)는 상기 격벽(413)에서 상기 물펌프(430) 또는 상기 물탱크(420)를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extension pipe 416 may extend from the partition wall 413 toward the water pump 430 or the water tank 420 .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보다 상기 펌프장착부(412)가 상기 스팀부(200)와 더 가깝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물탱크(42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되는 유로가 단순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tank housing 4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pump mounting portion 412 is disposed closer to the steam unit 200 than the tank mounting portion 411 . Accordingly, a flow path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420 to the steam unit 200 can be simplified.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tank housing 4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tank mounting portion 411 and the pump mounting portion 412 are dispos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상기 물공급부(30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을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art 30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capable of fixing the tank housing 410 to at least one of the support bar 440 and one side surface of the cabinet.

한편,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회전하는 드럼(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 내부에 배치된 구성은 상기 드럼(2)과 이격되어 배치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물공급부(300)와,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드럼(2)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부(200)에서 스팀을 드럼(2)에 공급하는 스팀안내관(230) 또는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는 상기 직수관(510) 등은 상기 드럼(2)에 접촉되는 것이 차단될 필요가 있다. Meanwhile, a rotating drum 2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 Therefore, components disposed inside the cabinet 1 ne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rum 2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water supply unit 300 and the steam unit 200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drum 2 . For example, the steam guide pipe 230 for supplying steam from the steam unit 200 to the drum 2 or the direct water pipe 510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unit 200 are the drum 2 ) needs to be blocked.

한편, 물탱크(420) 및 물펌프(430) 뿐만 아니라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물의 하중까지 지지될 필요성이 있다. Meanwhile, it is necessary to support not only the water tank 420 and the water pump 430, but also the weight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420.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를 지지하여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가 상기 드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을 상기 캐비닛 내부에 지지하는 지지바(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steam unit 200 and the water supply unit 300 to prevent the steam unit 200 and the water supply unit 300 from contacting the drum, and the steam unit 200 and a support bar 440 supporting the water supply unit 300 inside the cabinet.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스팀부(20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물공급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 또는 지지할 수 도 있다.The support bar 440 may be provid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am unit 200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300 . Also, the support bar 440 may fix or support the tank housing 410 to the cabinet.

상기 지지바(440)는 양단이 상기 전방패널(11)과 상기 배면패널(12)에 결합되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방패널(11)과 상기 배면패널(12)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측면패널(14)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전방패널(11) 및 상기 배면패널(1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바(440)는 양단이 캐비닛(1)에 결합되되 그 외 부분은 상기 캐비닛(1)의 측면 상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바(440)가 상기 상부패널(13)과 이격되어 상기 상부패널(13)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상부패널(13) 사이에 상기 물공급부(300) 및 상기 스팀부(200)의 일부 구성을 지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bar 440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front panel 11 and the rear panel 12 . Thus, the support bar 440 not only supports the load of the tank housing 410 , but also can fix the front panel 11 and the rear panel 12 . The support bar 4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panel 1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upled to the front panel 11 and the rear panel 12 . On the other hand,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440 are coupled to the cabinet 1, but the other parts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1.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pport bar 440 from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nel 13 and interfering with the upper panel 13 . In addition, a space capable of supporting parts of the water supply unit 300 and the steam unit 200 may be formed between the support bar 440 and the upper panel 13 .

상기 지지바(440)로 인해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너비가 과도하게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n excessive extension of the width of the tank housing 410 due to the support bar 440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면에 상기 물탱크(420)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는 장착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센서는 무게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무게의 경중 까지 분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tank housing 410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mounting of the water tank 420 on an inner surface. The mounting sensor may be provided as a weight sensor, and may be provided to discriminate up to the severity of the weight.

상기 장착센서는 상기 컨트롤패널(P)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420)의 장착여부 및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수량에 대한 정보까지 전달할 수 있다. The mounting sensor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P to deliver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water tank 420 is mounted and the amount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420 .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상기 펌프하우징(43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배출하는 펌프배출관(43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nal supply unit 400 may include a pump discharge pipe 433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pump housing 430 to the steam unit 200 .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상기 제2지지부(19) 또는 상기 배면패널(12) 상에 안착되는 직수밸브(520)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직수관(5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supply part 500 is provided to supply water from the direct water valve 520 seat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19 or the rear panel 12 and the steam part 200 from the direct water valve 520. It may include a direct water pipe 510 to be.

상기 직수관(510)이 상기 배면패널(12)에서 상기 스팀부(200)까지 연장되고,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직수관(510)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직수관(510)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지지바(440)를 가로질러 상기 스팀발생기(21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수관(5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바(440)에 지지되어 드럼(2)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direct water pipe 510 may extend from the rear panel 12 to the steam unit 200, and the direct water valve 520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irect water pipe 510. The direct water pipe 510 may extend from the direct water valve 520 to the steam generator 210 across the support bar 440 .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direct water pipe 5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ar 440 and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drum 2 .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직수밸브(520)와 상기 물탱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bar 4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rect water valve 520 and the water tank 430 .

또한,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배면패널(12) 또는 제2지지부(19)에 안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직수관(510)이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상기 스팀부(200)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외부급수원에서 직수방식으로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rect water valve 520 is seated on the back panel 12 or the second support part 19 and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direct water pipe 510 is connected to the steam unit in the direct water valve 520 ( 200) may be provided to extend toward. Thus, the external supply unit 500 can supply water to the steam unit 200 in a direct water method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에서 물을 각각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부(200)가 각각의 관으로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면, 별도의 스팀부(200) 형상이 제조되어야 하며, 유로 및 제어방법이 복잡해질 수 있다. The steam unit 200 may be provided to receive water from the external supply unit 500 and the internal supply unit 400 respectively. However, if the steam unit 200 is provided to receive water through each pipe, a separate steam unit 200 shape must be manufactured, and the flow path and control method may become complicated.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직수관(510)과 상기 펌프배출관(433)이 합지되도록 결합시키는 합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내부공급부(400)에 저장된 물과 상기 외부공급부(500)에서 직수방식으로 공급되는 물이 모두 수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onding unit 600 for combining the direct water pipe 510 and the pump discharge pipe 433 to be combined. The lamination unit 600 may be provided to collect both the water stored in the internal supply unit 400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supply unit 500 in a direct water method.

또한,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공급된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는 3방밸브로 구비될 수 있고, 3개의 관이 결합된 합지관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laminating part 600 may be provided to transfer the supplied water to the steam part 200 . The lamination part 600 may be provided as a three-way valve, or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lamination pipe in which three pipes are coupled.

상기 합지부(600)가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수관(510)에는 상기 직수관(510)을 일방향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직수체크밸브(511)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펌프배출관(433)에는 상기 펌프배출관(433)을 일방향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배출체크밸브(434)가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lamination part 600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a check valv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external supply part 500 and the internal supply part 400 to prevent reverse flow. Specifically, a direct water check valve 511 provided to open the direct water pipe 510 in one direction may be installed in the direct water pipe 510, and the pump discharge pipe 433 may be installed in the pump discharge pipe 433 in one direction. A discharge check valve 434 provided to open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펌프배출관(433)과 상기 직수관(510)에 각각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외부체크밸브를 구비하고, 내부공급부(400)는 내부체크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check valves may be provided in the pump discharge pipe 433 and the direct water pipe 510, respectively. The external supply unit 500 may include an external check valve, and the internal supply unit 400 may include an internal check valve.

이로써, 직수관(510)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물펌프(43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펌프배출관(433)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직수밸브(51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water supplied to the direct water pipe 51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ward to the water pump 430,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pump discharge pipe 433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ward to the direct water valve 510. can

한편, 상기 합지부(600)는 밸브 또는 합지관으로 구비되면 상당한 자중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합지부(600)에 물이 통과되면 상기 합지부(600)에 상당한 무게가 가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aminated portion 600 is provided as a valve or laminated pipe, it has a significant weight. In addition, when water passes through the laminated portion 600, considerable weight may be applied to the laminated portion 600.

따라서,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지지바(440) 상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refore, the lamination part 600 may be provided by being seated on the support bar 440 .

상기 합지부(600)와 상기 지지바(400)는 별도의 고정부재로 서로 결합되어 상기 합지부(600)가 상기 지지바(40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가 상기 지지바(400)에 안착됨으로 인해, 상기 직수관(510)과 상기 펌프배출관(433)의 위치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lamination part 600 and the support bar 4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a separate fixing member so that the lamination part 6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bar 400 . Since the lamination part 600 is seated on the support bar 400, the positions of the direct water pipe 510 and the pump discharge pipe 433 may also be stably fixed.

한편,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합지부(600)에 연결되어 물공급부(300)의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는 물안내관(220)과, 상기 물안내관(220)에서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210)와, 상기 스팀발생기(2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드럼(2) 또는 덕트(3)로 안내할 수 있는 스팀안내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eam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lamination unit 600 and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guide pipe 220 provid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300 and the water guide pipe 220. It may include a steam generator 210 generating steam and a steam guide pipe 230 capable of guiding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210 to the drum 2 or the duct 3.

상기 스팀발생기(210)는 상기 드럼(2) 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물공급부(300)로부터 물을 중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생성된 스팀을 밀도 차이에 의해 상기 드럼(2)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steam generator 210 is provided below the drum 2 to stably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300 by gravity, and the generated steam is stably transferred to the drum 2 due to the difference in density. can move to

상기 스팀안내관(230)은 상기 드럼(2)의 전방에 구비되는 가스켓이나, 상기 제1지지부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안내관(230)이 상기 드럼(2)에 접촉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드럼(2)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The steam guide pipe 230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a gasket provided in front of the drum 2 or the first support. Accordingly, steam can be stably supplied into the drum 2 without the steam guide pipe 230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drum 2 .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물탱크(420)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착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장착센서는 압력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tank housing 410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sensor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water tank 420 is mounted. For example, the mounting sensor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or the like.

또한, 상기 물탱크(42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수위센서는 무게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센서 또는 상기 수위센서도 상기 제어패널(8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제어패널(82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 level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420 may be further provided. For example, the water level sensor may be provided as a weight sensor. The mounting sensor or the water level sensor may als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panel 820 and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 panel 820 .

한편,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물펌프(430)를 일시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물펌프(430)에 부가되는 부하를 감지함을 통해, 상기 물탱크(420)의 수위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panel P may indirectly grasp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420 by temporarily driving the water pump 430 and detecting a load applied to the water pump 430. .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물탱크(430) 보다 상당히 부피가 더 크게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430)와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물탱크(43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storage tank 72 has a considerably larger volume than the water tank 43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water tank 430 to prevent user confusion with the water tank 430.

상기 물탱크(430)와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타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tank 430 and the steam unit 2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bar 440 and one side of the cabinet, and the water storage tank 72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bar 440 and the cabinet. It can be placed between the other side.

상기 물탱크(430)는 상기 탱크장착부(411)에 결합되므로, 상기 탱크장착부(411)도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Since the water tank 430 is coupled to the tank mounting portion 411, it can be seen that the tank mounting portion 411 is also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bar 440 and one side of the cabinet.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저수탱크(72)와 상기 스팀발생기(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저수탱크(72)와 상기 물탱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upport bar 4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72 and the steam generator 210,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72 and the water tank 43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패널(11)은 패널 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되고,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As shown in FIG. 3 , the front panel 11 may be fixed to the cabinet body 11 through a panel support part 12 . That is, the panel support portion 12 may be fixed to the cabinet body 11 , and the front panel 11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panel support portion 12 . in this cas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지지부(12)에는 상기 드로워(243)가 관통하는 드로워 관통홀(121)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a drawer through-hole 121 through which the drawer 243 passes may be provided in the panel support part 12 .

상기 컨트롤패널(P)는 상기 패널 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12)에는 상기 컨트롤패널(P)가 고정되는 인터페이스 장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P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cabinet 1 through the panel support part 12 . An interface mounting groove to which the control panel P is fixed may be provided in the panel support part 12 .

도6은 상기 컨트롤패널(P)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6 shows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panel (P).

상기 컨트롤패널(P)는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되어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회로기판(P4, 제1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인코더(P5, encoder), 상기 전방패널(11)을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P5)에 연결된 조작부(P7), 상기 전방패널(11)을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5) 또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는 표시부(P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P) is a circuit board (P4, first circuit board) fixed to the panel support part 12 and located inside the cabinet 1, and a circuit board fixed to the circuit board and located inside the cabinet 1 An encoder (P5), an operating unit (P7) connected to the encoder (P5) through the front panel (11), and the encoder (5) or the first circuit board (P4) through the front panel (11) )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display unit (P8) fixed to.

상기 제1회로기판(P4)은 상기 구동부(23,27,25), 상기 스팀부(200), 상기 물공급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전력 제어, 작동 제어)에 필요한 제어회로가 구비된 기판으로, 케이스(P41)를 통해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circuit board P4 has a control circuit necessary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drive units 23, 27, and 25, the steam unit 200, and the water supply unit 300 (power control, operation control). As a provided board, it may be fixed to the panel support part 12 through the case P41.

상기 케이스(P41)는 상기 제1회로기판(4)을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The case P41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the first circuit board 4 can be fixed to the panel support part 12 .

상기 케이스(P41)는 일면(패널 지지부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case P41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one surface (a surface facing the panel support) open.

상기 케이스(P41)에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의 위치를 설정하는 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스는 제1보스(411) 및 제2보스(412)로 구비될 수 있다. A boss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circuit board P4 may be provided in the case P41 . The boss may include a first boss 411 and a second boss 412 .

이 경우, 상기 제1회로기판(P4)에는 상기 제1보스(411)가 관통하는 기판 관통홀(P42), 및 상기 제2보스(412)가 관통하는 보스 삽입홀(P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스(412)는 상기 제1보스(411)의 좌우공간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보스(411)의 상하공간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ircuit board P4 may include a substrate through hole P42 through which the first boss 411 passes and a boss insertion hole P43 through which the second boss 412 passes. there is. The second boss 412 may be provided to be locate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paces of the first boss 411, or may be provided to be located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paces of the first boss 411.

상기 표시부(P8)에는 와이어(822)가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표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P8)가 상기 제1회로기판(P4)을 비롯한 상기 캐비닛 내부의 장치들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A wire 822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P8. The wire 822 may be provided as a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unit P8 includes the first circuit board P4. It may be provided as a communication line enabling communication with devices inside the cabinet.

상기 제1보스(411)에는 제1보스 관통홀(413)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 지지부(12)에는 와이어 관통홀(123, 도 4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제1보스 관통홀(413) 및 상기 와이어 관통홀(1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A first boss through hole 413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boss 411 , and a wire through hole 123 (refer to FIG. 4 ) may be provided in the panel support part 12 . In this case, the wire 822 may extend into the cabinet 1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boss through-hole 413 and the wire through-hole 123 .

상기 제1회로기판(P4)에는 전원부(P46)와 수행부(P4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P46)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행부(P47)는 상기 표시부(P8)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실행을 요청하는 명령, 또는 의류처리장치(10)가 실행 중인 제어명령의 일시적 중단을 요청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ircuit board P4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P46 and a performance unit P47. The power supply unit P46 is provided as a means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requesting power supply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and the execution unit P47 requests execution of the control comm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P8. It may be provided as a means for inputting a command or a command requesting temporary suspension of a control command being executed b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 .

상기 전원부(P46)와 수행부(P47)는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함으로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P46 and the execution unit P47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by detecting static electricity of the user's body.

상기 전원부(P46)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된 제1버튼(461),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된 제1감지센서(464), 및 상기 제1버튼과 상기 제1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전도체(463, 제1터치 스프링)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행부(P47)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된 제2버튼(471),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된 제2감지센서(474), 및 상기 제2버튼과 상기 제2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전도체(미도시, 제2터치 스프링)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P46 includes a first button 46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a first detection sensor 464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P4, and the first button and the first sensor 464. 1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conductor (463, first touch spring) connecting the detection sensor. Similarly, the performing unit P47 includes the second button 47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e second sensor 474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P4, and the second button. and a conductor (not shown, second touch spring) connecting the second detection sensor.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제1버튼 장착부(136) 및 제2버튼 장착부(117)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버튼(461)은 상기 제1버튼 장착부(116)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2버튼(471)은 상기 제2버튼 장착부(117)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A first button mounting portion 136 and a second button mounting portion 117 are provided on the front panel 11, and the first button 461 is attached to the cabinet 1 through the first button mounting portion 116. Exposed to the outside, the second button 47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rough the second button mounting portion 117 .

상기 전원부(P46)와 상기 수행부(P47)는 상기 표시부(P8)의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부의 좌측공간이나 우측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P46 and the execution unit P47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 the left space and the right space of the display unit P8,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of the display unit, and may be provided separately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unit. It may be arrang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in any one of the space and the right space.

상기 제1터치 스프링(463)과 제2터치 스프링은 코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버튼(461)과 제2버튼(471)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제1버튼(461)과 제2버튼(471)이 각 버튼 장착부(116, 117)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부(46)에는 제1버튼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1스토퍼(462)가 구비되고, 상기 수행부(47)에는 제2버튼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2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touch spring 463 and the second touch spring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il, which is to provide restoring force to the first button 461 and the second button 471 . Furthermore,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button 461 and the second button 47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spective button mounting parts 116 and 117, the power unit 46 has an agent for limit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first button. 1 stopper 462 is provided, and the carrying unit 47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stopper (not shown) for limiting the motion range of the second button.

상기 인코더(P5)는 상기 조작부(P7)를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이면서, 상기 조작부(P7)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또는, 액추에이터의 회전각도에 따라 달리 설정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다.The encoder (P5) is a means for rotatably fixing the control unit (P7) to the first circuit board (P4),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control unit (P7) rotates (or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actuator). It is a means for generating a different set electrical signal).

도7은 상기 인코더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Fig. 7 shows the structure of the encoder.

상기 인코더(P5)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어 상기 표시부(P8)가 고정되는 고정부(P51), 상기 고정부(P5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P7)가 고정되는 회전부(P52), 및 상기 회전부(P52)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P5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encoder (P5) is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P4) to the fixing part (P51) to which the display part (P8) is fixed, and is rotatably provided to the fixing part (P51) to fix the control unit (P7)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rotating part P52, and a signal generating part P54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rotating part P52 rotates.

상기 고정부(P51)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는 고정바디(P512), 상기 고정바디(512)에서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P5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바디(511), 상기 고정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 관통홀(P42)에 연결(제1보스 관통홀에 연결)되는 바디 관통홀(51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P51 includes a fixing body P512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P4, a support body 511 extending from the fixing body 512 and fixing the rotating part P52 rotatably,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body through-hole 514 passing through the fixing body and the support body and connected to the substrate through-hole P42 (connected to the first boss through-hole).

상기 고정바디(512)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512)의 원주면 또는 상기 고정바디의 일면(제1회로기판을 향하는 면)에는 기판 체결부(5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로기판(P4)에는 상기 기판 체결부(513)가 삽입되는 인코더 고정홀(P44)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body 512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 board fastening part 513 may be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ody 512 or on one surface (a surface facing the first circuit board) of the fixing body. In this case, an encoder fixing hole P44 into which the board fastening part 513 is inserted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ircuit board P4 .

상기 기판 체결부(513) 및 상기 인코더 고정홀(P44)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인코더 고정홀들(P44)은 상기 기판 관통홀(P42)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ubstrate fastening part 513 and the encoder fixing hole P44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the encoder fixing holes P44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ubstrate through hole P42.

상기 바디 관통홀(514) 내부에는 상기 표시부(P8)를 상기 고정부(51)에 체결하는 체결바디 고정부(531), 및 상기 표시부(P8)가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때 상기 표시부(8)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표시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설정홈(532)이 구비될 수 있다.Inside the body through-hole 514, a fastening body fixing part 531 for fastening the display part P8 to the fixing part 51, and when the display part P8 is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hole 514 A position setting groove 532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display unit 8 from being rotat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는 상기 지지바디(511)와 고정바디(5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바디 관통홀(514)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가 지지바디(51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fastening body fixing part 531 may be provided as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through-hole 514 from at least one of the support body 511 and the fixing body 512 . The drawing shows a case in which the fastening body fixing part 531 is provided in the support body 511 as an example.

상기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바디 관통홀(514)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부(P51)의 일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바디 관통홀(5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The position setting groove 532 may be provided as a groov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P51 forming the body through hole 514 is bent concavely. In this case, the positioning groove 532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through-hole 514 .

상기 회전부(P52)는 상기 지지바디(5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바디(5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521)에는 상기 지지바디(511)가 관통하는 회전바디 관통홀이 구비되어야 한다.The rotation unit P52 may be provided as a rotation body 521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ody 511 . The rotation body 521 should be provided with a rotation body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support body 511 passes.

상기 회전바디(521)에는 상기 조작부(P7)가 체결되는 샤프트 체결부(5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체결부(522)는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을 관통하는 체결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체결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rotating body 521 may include a shaft fastening part 522 to which the control part P7 is fastened. The shaft fastening part 522 may be provided as a fastening hole penetrat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ody 521 or may be provided as a fastening groove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ody 521 is concavely bent.

상기 신호발생부(P54)는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된 자석, 상기 고정바디(512)나 지지바디(511)에 구비되어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 미치 상기 센서와 상기 제1회로기판(4)을 연결하는 단자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다수개의 영구자석이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The signal generator P54 includes a magnet fixed to the rotating body 521, a sensor provided on the fixed body 512 or the support body 511 to sense magnetic force, and the sensor and the first circuit board ( 4)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terminal connecting the terminals. The magnet may be provided by disposing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521 .

상기 인코더(P5)가 조립된 상기 제1회로기판(P4)은 절연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P4)으로 물이 공급되어 회로가 단락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절연물질이 상기 제1회로기판(P4)의 일면(프론트 패널을 향하는 면)에 코팅될 때 상기 절연물질에 의해 상기 회전바디(521)가 상기 지지바디(511)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패널(P)에는 인코더 커버(P6)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ircuit board P4 on which the encoder P5 is assembled may be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This is to minimize the possibility that the circuit is short-circuite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P4. To prevent the rotating body 521 from being fixed to the support body 511 by the insulating material when the insulating material is coated on one surface (the surface facing the front panel) of the first circuit board P4. , The control panel (P)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encoder cover (P6).

상기 인코더 커버(P7)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어 상기 인코더(P5)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코더 커버(P6)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바디(512)를 감싸는 고정바디 커버(P61), 및 상기 고정바디 커버(P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인코더(5)가 삽입되는 커버 관통홀(P6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encoder cover P7 may be provided in a pipe shape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P4 and surrounding the encoder P5.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ncoder cover (P6) is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P4) and surrounds the fixed body 512, the fixed body cover (P61), and the fixed body cover (P61)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cover through-hole P62 into which the encoder 5 is inserted.

상기 고정바디 커버(P61)에는 기판 체결부(6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P4)에는 상기 기판 체결부(611)가 고정되는 인코더 커버 고정홀(P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체결부(611) 및 상기 인코더 커버 고정홀(P45)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인코더 커버 고정홀들(P45)은 상기 기판 체결부(513)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A board fastening part 611 may be provided in the fixed body cover P61, and an encoder cover fixing hole P45 to which the board fastening part 611 is fixed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ircuit board P4. The substrate fastening part 611 and the encoder cover fixing hole P45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the encoder cover fixing holes P45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ubstrate fastening part 513 .

상기 고정바디 커버(P61) 내부로 유입된 물의 배출을 위해, 상기 고정바디 커버(P61)의 원주면에는 커버 배출구(6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배출구(612)는 상기 고정바디 커버(61)의 원주면 중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 cover outlet 612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body cover P61 to discharg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xed body cover P61. Preferably, the cover outlet 612 is locat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body cover 61 .

한편, 상술한 절연물질은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상기 인코더(P5) 및 인코더 커버(P6)가 모두 결합된 뒤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도포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P4)의 일부 영역(인코더 커버의 외부 공간)에 분사된 절연물질은 상기 커버 배출구(612)를 통해 상기 인코더 커버(P6)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절연물질이 상기 회전바디(521)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기판에서 상기 고정바디(512)의 최상단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1회로기판에서 상기 커버 배출구(612)의 최상단까지의 거리(L2)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insulat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P4 after both the encoder P5 and the encoder cover P6 are coupl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P4, and the first circuit board ( The insulating material sprayed on a partial area (external space of the encoder cover) of P4) flows into the encoder cover P6 through the cover outlet 612. In this process, the distance L1 from the first circuit boar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fixed body 512 is such that the supply of the insulating material to the rotating body 521 is blocked. It is preferable to be set to a distance (L2) or more from to the uppermost end of the cover outlet 612.

상기 인코더 커버(P6)는 상기 고정바디 커버(P61)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바디(521)를 감싸는(지지바디를 감싸는) 지지바디 커버(P63)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 커버(P63)는 상기 조작부(P7)가 상기 커버 관통홀(62)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바디 커버(63)는 상기 조작부(P7)가 상기 회전바디(52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ncoder cover P6 may be provided to further include a support body cover P63 extending from the fixed body cover P61 and surrounding the rotation body 521 (surrounding the support body). Since the support body cover P63 can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control unit P7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ver through-hole 62, the support body cover 63 allows the control unit P7 to move in the rotational body. (521) to prevent separation.

도8은 상기 조작부(P7)와 상기 표시부(P8)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 8 shows the structure of the operation unit P7 and the display unit P8.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P7)는 상기 전방패널(11)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되는 샤프트(71), 및 상기 샤프트(71)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는 핸들(7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control unit P7 passes through the front panel 11 and has a shaft 71 fixed to the rotating body 521 and fixed to the shaft 71 to control the cabinet 1 )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handle 73 located outside.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전방패널(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패널 관통홀(134, 도 3 참고)이 구비되는데, 상기 샤프트(71)는 상기 패널 관통홀(134)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abinet 1 is provided with a panel through-hole 134 (see FIG. 3)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ront panel 11, and the shaft 71 can be inserted into the panel through-hole 134. there is.

상기 샤프트(P71)는 내부에 샤프트 관통홀(711)이 구비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회전바디(521)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에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P71)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바디 체결부(712)는 상기 회전바디에 구비된 샤프트 체결부(52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P71)는 상기 회전바디 체결부(712) 및 샤프트 체결부(522)를 통해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된다.The shaft P71 may be provided as a pipe having a shaft through hole 711 therein. The rotary body 521 provided in the encoder is inserted into the shaft through-hole 711, and the rotary body fastening part 712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P71 and located inside the shaft through-hole 711 ) is coupled to the shaft fastening part 522 provided in the rotating body. Therefore, the shaft P71 is fixed to the rotation body 521 through the rotation body fastening part 712 and the shaft fastening part 522 .

상기 핸들(P73)은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샤프트(P71)에 고정되고, 사용자는 상기 핸들(P73)을 통해 상기 회전바디(521)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상기 샤프트(P71)에 공급할 수 있다.The handle P73 is fixed to the shaft P71 so as to be located outside the cabinet 1, and the user applies force required to rotate the rotating body 521 through the handle P73 to the shaft P71. ) can be supplied.

상기 핸들(P73)에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에 연통하도록 상기 핸들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731), 및 상기 핸들(P73)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731)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핸들 관통홀(73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handle P73 includes an accommodating space 731 formed inside the handle to communicate with the shaft through hole 711, and passing through one surface of the handle P73 to communicate the accommodating space 731 with the outside.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handle through hole 732 .

상기 핸들(P73)의 지름이 상기 샤프트(P71)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될 경우, 상기 샤프트(P71)에는 상기 핸들(P73)이 고정되는 베이스(7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713)는 상기 샤프트(P71)의 원주면에 고정된 디스크(disk)로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diameter of the handle P73 is set to be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haft P71, a base 713 to which the handle P73 is fixed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haft P71. The base 713 may be provided as a disk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P71.

상기 핸들(P73)과 베이스(713)는 상기 핸들(73)에 구비된 베이스 체결부(734) 및 상기 베이스(713)에 구비된 핸들 체결부(714)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handle P73 and the base 71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base fastening part 734 provided on the handle 73 and a handle fastening part 714 provided on the base 713 .

상기 베이스 체결부(734)는 상기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핸들에 고정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핸들 체결부(714)는 상기 베이스(713)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fastening part 73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fixed to the handle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731, and the handle fastening part 714 is provided on the base 713 to receive the protrusions. It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that is.

상기 핸들(P73)과 베이스(713)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핸들(P73)에는 하나의 베이스 체결부(734)와 다른 하나의 베이스 체결부(734)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 가이드(735)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713)에는 상기 체결 가이드(735)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7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715)은 상기 베이스(713)의 원주면이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coupling between the handle P73 and the base 713, the handle P73 has a fastening guide 735 positioned between one base fastening part 734 and the other base fastening part 734. ) is provided, and the base 713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715 into which the fastening guide 735 is inserted. The guide groove 715 may be provided as a groove in which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713 is bent toward the shaft through-hole 711 .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인코더의 고정바디(512)에 고정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는 하우징(P81),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정보(의류처리장치의 제어, 작동 등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P84),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P84)를 제어하는 회로가 구비된 회로기판(P82, 제2회로기판, 표시부 회로기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P8 is fixed to the housing P81 fixed to the fixed body 512 of the encoder and positioned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731 of the actuator, and fixed to the housing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a circuit board (P82, second circuit board, display circuit board) provided in the housing and equipped with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84).

상기 하우징(P81)은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바디(512)에 고정되는 체결바디(81b), 및 상기 체결바디(81b)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바디(81a)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 P81 passes through the shaft through hole 711 and is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hole 514, thereby fixing the fastening body 81b fixed to the fixing body 512 and the fastening body 81b.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n accommodating body 81a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731.

상기 수용바디(81a)는 상기 수용공간(731)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수용바디(81a)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accommodating body 81a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731, and a case in which the accommodating body 81a has a cylindrical shape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상기 수용바디(81a)의 내부에는 장착공간(81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811)은 수용바디 관통홀(812)을 통해 상기 핸들에 구비된 수용공간(731)에 연통한다(수용바디 관통홀은 핸들 관통홀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812)은 상기 수용바디(81a)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핸들 관통홀(732)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된다.A mounting space 811 is formed inside the receiving body 81a, and the mounting space 811 communicates with the receiving space 731 provided in the handle through the receiving body through-hole 812 (accommodating body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handle through hole). That is, the accommodating body through-hole 812 is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where the handle through-hole 732 is located in the space provided by the accommodating body 81a.

상기 체결바디(81b)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 및 상기 인코더의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체결바디(81b)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81b)에는 상기 장착공간(811)에 연결되는 체결바디 관통홀(815)이 구비된다.The fastening body 81b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haft through hole 711 and the body through hole 514 of the encoder. The fastening body 81b has a cylindrical shape. It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it happened. The fastening body 81b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body through hole 815 connected to the mounting space 811 .

상기 체결바디(81b)의 원주면에는 고정바디 체결부(8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체결부(816)는 상기 하우징(P81)을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체결바디 고정부(531)에 고정하는 수단이다.A fixing body fastening part 816 may b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body 81b. The fixing body fastening part 816 is a means for fixing the housing P81 to the fastening body fixing part 531 provided in the encoder.

나아가, 상기 체결바디(81b)의 원주면에는 다수의 위치설정 돌기(817)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Furthermore, a plurality of positioning protrusions 817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body 81b.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의 형상은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위치설정홈(532)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의 위치는 상기 위치설정홈(532)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구비된다.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와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체결바디(81b)가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바디 체결부(816)가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에 결합되지 못하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수단(고정바디 체결부와 체결바디 고정부의 결합을 담보하는 수단)이다.The shape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 817 is provided in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groove 532 provided in the encoder, and the position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 817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positioning groove 532. It is provided at the point where When the fastening body 81b is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hole 514, the positioning protrusion 817 and the positioning groove 532 make the fastening body fastening part 816 the fastening body fastening part 531. It is a means for minimizing the risk of not being coupled (a means for securing the coupling between the fixing body fastening part and the fastening body fixing part).

상기 제2회로기판(P82)은 상기 장착공간(811)에 삽입되고, 상기 제2회로기판(P82)에 연결된 와이어(822)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을 통해 상기 하우징(P81)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다. 상기 제2회로기판(P82)에는 다수의 램프(821)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circuit board P82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811, and the wire 822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P82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body through-hole 815 to the housing P81. can be withdrawn externally. A plurality of lamps 821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P82.

상기 제2회로기판(P82)은 상기 핸들(P73)의 회전 시 상기 신호발생부(54)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P84)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circuit board P82 may control the display P84 to display prese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signal generator 54 when the handle P73 rotates.

상기 제2회로기판(P82)과 상기 디스플레이(P8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램프(82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공간(81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P84)와 상기 제2회로기판(P82) 사이에 위치하는 장착부(P83)가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ircuit board P82 and the display P84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lamp 821, the display P84 and the second circuit are provided in the mounting space 811. A mounting part P83 positioned between the substrates P82 may be provided.

상기 장착부(P83)는 상기 수용바디(81a)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에 위치하는 장착바디(8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831)는 상기 장착공간(811)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P83 may be provided as a mounting body 831 fixed to the receiving body 81a and positioned inside the mounting space 811 . The mounting body 831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811 .

상기 장착바디(831)의 일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P84)가 고정되는 안착홈(832)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홈(832)에는 커넥터 관통홀(836)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구비된 커넥터(841, flexible PCB 등)는 상기 커넥터 관통홀(83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회로기판(P82)에 연결될 수 있다.A mounting groove 832 to which the display P84 is fixed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831 . A connector through-hole 836 may be provided in the seating groove 832, and the connector 841 (flexible PCB, etc.) provided in the display P84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through-hole 836, thereby forming the second circuit. It may be connected to the substrate P82.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램프(821)가 삽입되는 램프 관통홀(8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램프 관통홀(835)은 상기 램프(821)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램프 관통홀(835)의 위치는 상기 안착홈(832)의 상부에 위치된 장착바디의 공간, 또는 상기 안착홈(832)의 하부에 위치된 장착바디의 공간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램프(821)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램프 관통홀(835)을 통해 상기 하우징(P81)의 외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 lamp through-hole 835 into which the lamp 821 is inserted may be provided in the mounting body 831 . It is preferable that the lamp through-holes 835 ar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lamps 821, and the location of the lamp through-holes 835 is the space of the mounting body located above the seating groove 832, Alternatively, it should be set to the space of the mounting body located below the seating groove 832. This is to allow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821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P81 through the lamp through-hole 835 .

상기 장착부(P83)는 상기 수용바디(81a)에 구비된 장착바디 체결부(813) 및 상기 장착바디(831)에 구비된 수용바디 체결부(833)를 통해 하우징(P81)에 고정된다.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는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장착바디(831)의 원주면(수용바디에 접촉하는 장착바디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가 고정되는 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mounting part P83 is fixed to the housing P81 through the mounting body fastening part 813 provided in the receiving body 81a and the receiving body fastening part 833 provided in the mounting body 831. The mounting body fastening part 81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located inside the mounting space 811, and the receiving body fastening part 833 is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831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body). I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and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or the like to which the mounting body fastening part 813 is fixed.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와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의 개수는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와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의 위치는 서로 대응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The number of the mounting body fastening part 813 and the receiving body fastening part 833 should be set to be the same, and the positions of the mounting body fastening part 813 and the receiving body fastening part 833 should be set to correspond to each other. do.

상기 장착바디(831)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안착면(832)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상부 체결부, 및 상기 안착면(832)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하부 체결부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안착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of the mounting body 831, the receiving body fastening part 833 is an upper fastening part located at a higher point than the seating surface 832, and a lower position than the seating surface 832. It may be provided as a lower fastening part. Unlike shown in the drawing, the receiving body fastening part 833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ing surface, respectively.

상기 디스플레이(P84)와 제2회로기판(P82)으로 물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바디(81a)에는 커버(P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A cover P85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receiving body 81a to prevent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display P84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P82.

상기 커버(P85)는 상기 수용바디(81a)와 상기 장착바디(8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812)를 폐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P85)는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표시된 정보 및 상기 램프(821)에서 방출된 빛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정도의 투명도를 가진 재질로 구비되어야 한다.The cover P85 is preferably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receiving body 81a and the mounting body 831 to close the receiving body through hole 812 . The cover P85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transparency enough to allow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P84 and light emitted from the lamp 821 to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상기 커버(P85)가 상기 장착바디(83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커버(P85)에는 상기 장착바디(831)를 향해 돌출된 커버 고정돌기(851)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커버 고정돌기(851)가 결합하는 고정돌기 체결부(834)가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cover P85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mounting body 831, the cover P85 is provided with a cover fixing protrusion 851 protruding toward the mounting body 831, and the mounting body 831 )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fastening part 834 to which the cover fixing protrusion 851 is coupled.

상기 제2회로기판(P82) 역시 상기 장착바디(83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P83)는 상기 장착바디(831)에서 상기 제2회로기판(82)을 향해 돌출된 돌기(838)가 구비되고, 상기 제2회로기판(82)에는 상기 돌기(838)가 삽입되는 돌기 관통홀(823)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circuit board P82 may also be fixed to the mounting body 831 . That is, the mounting part P83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838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body 831 toward the second circuit board 82, and the protrusion 838 is provid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82. A protrusion through-hole 823 to be inserted may be provided.

나아가, 상기 커버(P85)에는 상기 커버의 투명도를 낮추는 커버시트(8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시트의 투명도는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가 외부에서 확인 하기 어려운 정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커버시트의 투명도가 커버의 투명도보다 낮게 설정). 상기 커버시트(853)는 상기 커버(85)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커버시트 중 상기 램프 관통홀(835)이 투영된 영역에는 문자나 기호(H)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a cover sheet 853 for lowering the transparency of the cov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cover P85. The transparency of the cover sheet is preferably set to such an extent that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inside of the mounting space 811 from the outside (the transparency of the cover sheet is set lower than the transparency of the cover). The cover sheet 853 may b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cover 85, and a letter or symbol H may be provided in a region where the lamp through-hole 835 is projected in the cover sheet.

한편, 상기 장착부(P83)에서 상기 램프관통홀(835) 중 입력영역(D3)에 대응되는 램프관통홀(835)은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영역(D3)을 가압하라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mong the lamp through-holes 835 in the mounting portion P83, the lamp through-hole 835 corresponding to the input area D3 may provide a signal to the user to press the input area D3.

상기 컨트롤패널(P)에는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선택부(R)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P) may further include a selector (R)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selecting a control command displayed on the display (84).

상기 선택부(R)는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커버(P85)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elector R may be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rol command displayed on the display p84 is selected 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user's body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P85.

즉, 상기 선택부(R)는 상기 제2회로기판(82)에 구비되어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하는 센서(R3), 및 상기 센서(R3)와 상기 커버(P85)를 연결하는 전도체 또는 물리버튼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selector R is a sensor R3 provid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82 to detect static electricity of the user's body, and a conductor or physical conductor connecting the sensor R3 and the cover P85.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button.

상기 선택부(R)는 상기 커버(85)에 결합되는 배치부(R1)와, 일단은 상기 배치부(R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센서(R3)에 연결된 전달부(R2)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전달부(R2)가 삽입되는 전도체 관통홀(837)이 구비되어야 한다.The selector R may be provided with a arranging unit R1 coupled to the cover 85 and a transmission unit R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rranging unit R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nsor R3. can In this case, the mounting body 831 should be provided with a conductor through-hole 837 into which the transmission part R2 is inserted.

상기 배치부(R1)는 사용자가 접촉 가능한 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제어명령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컨트롤패널(P)는, 상기 커버(P85)의 상부공간에 표시영역(D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P85)의 하부공간에 입력영역(D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치부(R1)의 넓이를 넓게 설정하면, 상기 입력영역(D3)의 넓이가 확장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쉽게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배치부(R1)의 넓이는 상기 커버(P85) 넓이의 1/4 내지 1/2 이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The arranging unit R1 is a means for facilitating input of a control command by expanding an area accessible to the user. In the control panel P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display area D1 is formed in the upper space of the cover P85, and the input area D3 is formed in the lower space of the cover P85. Therefore, if the width of the arrangement part R1 is set wide, the width of the input area D3 is expanded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input control commands.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the arranging part R1 is set to less than 1/4 to 1/2 of the area of the cover P85.

상기 전달부(R2)와 상기 배치부(R1)는 전도체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면 사용자의 신체 전류가 대전되거나 전달되어 상기 센서(R3)로 상기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The delivery part (R2) and the placement part (R1) may be provided as a conductor. Therefore, when the user's body is contacted, the user's body current is charged or transmitted, and the curren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R3.

또한, 상기 전달부(R2)와 상기 배치부(R1)는 물리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체가 상기 배치부(R1)을 가압하면 상기 센서(R3)로 상기 신체의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part (R2) and the arrangement part (R1) may be provided as physical buttons. Therefore, when the user's body presses the placement unit R1, the body pressure can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R3.

한편, 상기 표시부(P)는 상기 선택부(R)를 사용자가 가압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839)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P may include an induction unit 839 for inducing the user to press the selection unit R.

상기 유도부(839)는 상기 선택부(R)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사용자가 상기 선택부(R)를 입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The induction unit 839 may guide the user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ion unit R and induce the user to input the selection unit R.

상기 유도부(839)는 상기 배치부(R1)의 위치와 대응되는 램프(821)와 상기 램프 관통홀(83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부(839)는 상기 디스플레이(P84)의 하부에 배치된 램프관통홀(835)과 상기 램프관통홀(835) 내부에 설치된 램프(8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duction part 839 may include a lamp 82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rranging part R1 and the lamp through-hole 835 . Specifically, the induction part 839 may include a lamp through-hole 835 disposed below the display P84 and a lamp 821 installed inside the lamp through-hole 835 .

상기 유도부(839)를 구성하는 램프관통홀(835)와 상기 램프(821)는 상기 디스플레이(P84)의 하부에서 상기 장착부(83)를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The lamp through-hole 835 and the lamp 821 constituting the induction part 839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P84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art 83 .

이로써, 상기 유도부(839)에서 상기 램프(821)가 빛을 발산하면 상기 선택부(R) 또는 상기 선택부(R)에 인접한 영역이 밝아질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lamp 821 emits light in the induction part 839, the selection part R or an area adjacent to the selection part R may become bright.

또한, 상기 유도부(830)의 램프(821)는 LED 소자 등으로 구비되어 별도의 문자나 문구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mp 821 of the induction unit 830 may be equipped with an LED element or the like to display separate characters or phrases.

상술한 구조를 가진 컨트롤패널(P)는 제어명령의 표시, 표시된 제어명령의 검색, 및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가능하다. 다만, 상술한 구조의 컨트롤패널(P)는 상기 표시부(P8) 및 조작부(P7)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단이 필요하다.The control panel P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enables display of control commands, search for displayed control commands, and selection of displayed control commands, and minimizes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However, the control panel P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requires means to block water or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display part P8 and the manipulation part P7 or to discharge the water or foreign matter that has flowed into the outside.

상술한 구조를 가진 컨트롤패널(P)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P73)을 돌릴 때 마다(인코더가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때 마다), 기 설정된 제어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표시하게 될 것이다(제어명령의 검색 및 변경).The control panel P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display a preset control command on the display P84 whenever the user turns the handle P73 (every time the encoder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search and change of control commands).

원하는 제어명령이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상기 선택부(R)를 통해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선택부(R)를 통해 선택된 제어명령은 사용자가 상기 수행부(P47)를 통해 실행명령을 입력한 때 개시될 수 있을 것이다.When a desired control comm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84, the user can select the displayed control command through the selection unit R, and the control command selected through the selection unit R is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execution unit P47. ), it will be able to start when an execution command is entered.

한편, 상기 핸들(P73)은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결합된 반면 상기 표시부의 하우징(P81)은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므로, 상기 핸들(P73)과 하우징(P8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핸들(P73)과 하우징(P8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핸들(7P3)의 회전이 구속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since the handle P73 is coupl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P4 so as to be able to rotate, the housing P81 of the display unit is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P4, so that the handle P73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P81). This is becaus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le P73 and the housing P81 is not maintained, rotation of the handle 7P3 may be restricted.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의 활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9 shows an embodiment of utilization of the control panel P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표시부(P8)의 상태표시영역(D1)에는 상기 도어의 잠금여부, 통신모듈의 활성화 여부, 코스 또는 옵션의 동작 여부, 안내문구 발생여부 등이 아이콘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In the status display area D1 of the display unit P8, whether the door is locked, whether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whether a course or option is operated, whether a guide phrase is generated, etc.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icons.

또한, 상기 상태표시영역(D1)에는 상기 조작부(P7)를 회전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표시내용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복수의 점이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점 중 하나가 빛을 발산하면서 상기 내용표시영역(D2)에 표시된 내용의 개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display contents that can be displayed while rotating the manipulation unit P7 may be displayed in the status display area D1. For example, a plurality of do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of the plurality of dots may provide the number of contents displayed in the contents display area D2 while emitting light.

상기 내용표시영역(D2)에는 코스 및 옵션의 내용,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 상태, 사용자에게 필요한 안내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In the contents display area D2, the contents of courses and options, the execution status of the courses or options,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may be displayed.

상기 내용표시영역(D2)은 상기 상태표시영역(D1) 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The content display area D2 may be larger than the status display area D1.

상기 입력영역(D3)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요구하도록 빛을 발산할 수 있고, 어떤 내용을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지 안내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In the input area D3, light may be emitted to request a user's input, and a guide message indicating what content the user should input may be displayed.

상기 표시부(P8)의 왼쪽에는 전원부(p46)가 구비될 수 있고, 오른쪽에는 수행부(p47)이 구비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p46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unit P8, and a performance unit p47 may b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unit P8.

상기 조작부(P7)는 상기 표시부(P8)의 외주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스팀부(2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코스를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P7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play unit P8 and may be provided to rotate the drum 2 or select an arbitrary course capable of operating the steam unit 200. there is .

상기 임의의 코스는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과정(drying cycle)을 수행하는 일련의 제어방법일 수 있다.The arbitrary course may be a series of control methods for performing a drying cycle for drying clothes.

예를들어, 상기 임의의 코스는 일반적인 표준의류를 건조하는 표준코스와, 울 또는 모직과 같이 함수율이 높고 수축우려가 큰 의류를 건조하는 울 코스,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여 구김을 제거하거나 살균을 수행하는 스팀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rbitrary courses include a standard course for drying general standard clothes, a wool course for drying clothes with a high moisture content and high shrinkage risk such as wool or wool, and removing wrinkles or sterilization by spraying steam on clothes. It may include a steam course to be performed.

상기 조작부(p7)가 회전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표시부(P8)의 내용표시영역(D2)에 해당 코스의 명칭 및 간단한 옵션명칭이 표시될 수 있고, 코스 또는 옵션의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p7 is rotated, the name of the corresponding course and a brief option name may be displayed in the content display area D2 of the display unit P8 according to the set order, and a description of the course or option may be displayed. .

상기 옵션은 상기 설정부(p2)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설정부(P2)는 임의의 옵션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선택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option may be selected by the setting unit p2. The setting unit P2 may be provided to receive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one or more of the optional options.

상기 임의의 옵션은 상기 코스의 부가적인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tional option may include setting additional conditions of the course.

예를들어, 상기 코스를 수행하는 각 행정 반복 횟수,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강도,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드럼의 회전속도, 열풍의 온도, 스팀공급 등의 여부, 각 행정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제어방법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each stroke performing the course, the intensity of each strok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when performing each stroke,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whether or not steam is supplied, and the duration of each stroke It may be a set algorithm or control method that adjusts at least one or more of them.

상기 설정부(P2)는 상기 임의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의 램프 및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전도체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tting unit P2 may include a touch display capable of selecting the optional optio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mps and a plurality of conductor switches capable of sensing a user's body.

예를들어, 상기 설정부(P2)는 상기 코스에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명령을 입력받는 옵션선택부(B)와, 상기 옵션선택부(B)와 대응되는 옵션정보가 표시되는 옵션표시부(B4)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tting unit (P2) includes an option selection unit (B) that receives a setting command for setting conditions for the course, and an option display unit (B4) displaying op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tion selection unit (B). ) may be included.

예를들어, 상기 옵션선택부(B)는 상기 임의의 코스를 수행할 때 인가되는 전기에너지의 정도를 결정하는 절약건조부(B1)와, 의류의 건조행정이 종료되었을 때 의류의 함수율 정도 또는 건조율을 결정하는 건조도 선택부(B2)와, 상기 코스의 지속시간을 결정하는 시간건조부(B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tion selection unit (B) includes a saving drying unit (B1)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electric energy applied when the arbitrary course is performed,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lothes when the drying cycle of the clothes is completed or A dryness selection unit B2 for determining the drying rate and a time drying unit B3 for determining the duration of the course may be included.

상기 옵션표시부(B4)는 해당 코스의 전기에너지, 건조율, 지속시간을 수치화 또는 단위화 해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변경되는 정도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option display unit B4 may be provided to display the electric energy, drying rate, and duration of the course in numerical or unitized form, and may also be provided to display the degree of change.

한편, 상기 설정부(P2)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기능을 활용하는 활용명령을 입력받는 활용부(C)를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tting unit P2 may include a utilization unit C that receives a utilization command for utilizing the func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예를들어, 상기 활용부(C)는 상기 임의의 코스를 수행할 때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부(C3)와, 의류에 열풍과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냄새 및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스팀 리프레쉬를 수행하는 리프레쉬부(C1)와, 특정 시간에 코스를 수행하는 예약명령을 입력하는 예약부(C2)와, 다른 기기와의 패어링 등의 추가적인 부가기능을 활용하는 부가기능부(C4)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tilization unit (C) includes a steam unit (C3) for injecting steam when the course is performed, and steam refreshing for removing odors and volatile substances from clothes by supplying hot air and steam to clothes. It includes a refresh unit (C1) to perform, a reservation unit (C2) to input a reservation command to perform a course at a specific time, and an additional function unit (C4) to utilize additional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pairing with other devices. can do.

또한, 설정부(P2)는 코스의 수행이 종료되었을 때 의류의 구김을 방지하는 방지코스를 실행시키는 구김방지부(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tting unit P2 may further include an anti-wrinkle unit E that executes an anti-wrinkle course to prevent the clothing from being wrinkled when the course is finished.

상기 설정부(P2)는 현 시점에서 활용 가능한 기능이나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은 점등되고, 실행될 수 없거나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는 기능은 소등될 수 있다.In the setting unit P2, a function that can be utilized at the present time or a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may be turned on, and a function that cannot be executed or not selected by the user may be turned off.

상기 설정부(P2)는 보조디스플레이(P19)를 통해 상기 내용들을 전부 표시할 수 있다. The setting unit P2 may display all of the above contents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P19.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수행할 때 컨트롤패널(p)의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Fig. 10 shows an aspect of the control panel p when perform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a)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표시부(P8)와 상기 보조디스플레이(P19)가 소등된 상태이다.Referring to FIG. 10(a) ,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is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cut off and the display unit P8 and the auxiliary display P19 are turned off.

사용자는 상기 전원부(P46)를 입력하여, 상기 표시부(P8) 및 상기 보조디스플레이(P19)를 포함한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user may supply power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display unit P8 and the auxiliary display P19 by inputting the power supply unit P46.

도10(b)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 패널(P)은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조작부(P7)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p7)를 회전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보조디스플레이(P19)를 확인하거나 입력하여 원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b),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 panel P, and the manipulation unit P7 can be activated.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course by rotating the control unit p7, and can select a desired option by confirming or inputting the auxiliary display P19.

선택된 코스 및 옵션은 상기 표시부(P8)에 표시될 수 있으며, 선택된 추가 옵션이나 기능은 상기 보조디스플레이(P19)에 표시될 수 있다. The selected course and op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P8, and the selected additional option or function may be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lay P19.

사용자는 상기 수행부(P47)를 입력하여 상기 코스와 옵션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can perform the courses and options by inputting the execution unit P47.

도10(c)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P8)에는 상기 코스 및 옵션의 수행상태가 표시되고, 상기 보조디스플레이(P19)는 현재 옵션의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 등의 부가 기능이 사용되면 상기 스팀부(C3)가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스의 에너지 양이 중간이며, 건조도는 낮게 설정되어 건조코스가 수행되면 함수율이 높으며, 건조시간은 특별히 제한이 없다는 것이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c), the display unit P8 may display the course and option performance states, and the auxiliary display P19 may display the current option state. For example, when an additional function such as steam is used, the steam unit C3 may be turned on. In addition, if the energy amount of the course is medium and the drying degree is set to be low and the drying course is performed, it can be indicated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high and the drying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도10(d)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P8)에는 코스 및 옵션의 수행이 완료되었다는 완료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컨트롤패널(p)은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d),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urses and options have been complete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P8. Thereafter, the control panel p may be powered off.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P8)에 나타낸 정보를 바탕으로 코스 또는 옵션의 선택에서부터, 코스 또는 옵션을 결정할 수 있고,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상태와,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종료상태까지 한번에 파악할 수 있다.Based o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P8, the user can select a course or option, determine a course or option, and grasp the course or option's performance status and the end state of the course or option at once.

도11은 상기 표시부(P8)의 활용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표시부(P8)에서 디스플레이(P84) 부분을 강조한 것이다. FIG. 11 shows the usability of the display unit P8, and the display unit P84 is highlighted in the display unit P8.

도11(a)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패널(P)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P8) 또는 디스플레이(P84) 중 상기 내용표시영역(D2)에는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의 명칭과 설명이 기재되고, 상기 상태표시영역(D1)에는 변경될 수 있는 코스 또는 옵션의 개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a), when power is input to the control panel P, the name and description of the selected course or option are written in the content display area D2 of the display unit P8 or display P84.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courses or options that can be changed can be displayed in the status display area D1.

상기 내용표시영역(D2)은 상기 상태표시영역(D1)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태표시영역(D1) 보다 영역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표시영역(D2)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문자 및 아이콘 등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ntent display area D2 may be disposed below the status display area D1 and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e status display area D1. Therefore, the content display area D2 can actively convey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user by using text and icons.

상기 상태표시부(D1)는 아이콘 또는 표지 등의 상징(Symbol)을 통하여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status display unit D1 can intuitively convey information through a symbol such as an icon or sign.

상기 입력영역(D3)은 상기 내용표시영역(D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입력영역(D3)을 터치할 때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내용표시영역(D2)을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put area D3 may be disposed under the content display area D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s body from covering the content display area D2 when the user touches the input area D3.

상기 입력영역(D3)은 상기 내용표시영역(D2)에 나타난 정보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부(R)를 통해, 사용자의 확인이나 결정이 필요한 명령을 입력받을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입력영역(D3)에는 상기 선택부(R)에 대응되는 입력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The input area D3 can display information by which the user can determine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content display area D2. That is, when it is necessary to receive a command requiring confirmation or decision by the user through the selector R, the inpu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or R can be displayed in the input area D3. .

예를들어, 상기 조작부(P7)를 회전하여 선택할 수 있는 기본값으로 설정된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아니라, 생산자 등으로부터 제공된 추천 코스 또는 옵션, 최근 N회 이상 사용되었던 코스 또는 옵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설정코스 또는 옵션 등 제어부에 추가적으로 저장된 마스터카드 형태의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는 표시를 상기 입력영역(D3)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not an arbitrary course or option set as default that can be selected by rotating the control unit P7, but a recommended course or option provided by a manufacturer, a course or option that has been used more than N times recently, or a course or option previously set by the user. An indication that a course or option in the form of a master card additionally stored in the control unit, such as a setting course or option, can be selected may be displayed in the input area D3.

상기 마스터카드는 서버에서 제공받거나, 사용자가 특정 코스에 옵션값을 변경함으로써 설정된 새로운 코스 또는 옵션들로,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매하였을 때 기본적으로 설정된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과 다를 것에 해당할 수 있다. The master card may correspond to new courses or options provided by the server or set by a user changing an option value for a specific course, which is different from any course or option basically set when the clothes handling machine is purchased. .

도11(b)와 도11(c)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D84)는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입력한 명령을 확인해주는 확인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확인내용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의 명칭 또는 효과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b) and 11(c) , the display unit D84 may display confirmation contents confirming a command additionally input by the user. The confirmation may be to enlarge and display the name or effect of the command input by the user.

예를들어, 사용자가 설정부(P2)의 스팀부(C3)를 입력하였다면, 상기 보조디스플레이(P19)에서 상기 스팀부(C3)가 점등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P84)에서 스팀-켜짐 등의 문구가 크게 나타나며 스팀 기능이 활성화 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inputs the steam part C3 of the setting part P2, the steam part C3 is turned on in the auxiliary display P19 and the steam is turned on in the display P84. etc. appears in a large size to indicate to the user that the steam function has been activated.

또한, 사용자가 설정부(P2)의 스팀부(C3)를 다시 입력하면, 상기 보조디스플레이(P19)에서 상기 스팀부(C3)가 소등되는 것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P84)에서 스팀-꺼짐 등의 문구가 나타나며 스팀 기능이 비활성화 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the steam part C3 of the setting part P2 again, not only the steam part C3 is turned off in the auxiliary display P19, but also the steam is turned off in the display P84. A message appears to indicate to the user that the steam function has been deactivated.

이로써, 사용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P84)를 통해 자신이 입력한 명령이 무엇인지와, 자신의 명령이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명령의 수신여부를 별도로 표시하는 별도 표시 장치가 없어도 사용자는 상기 해당명령의 입력여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what the command he/she inputs and whether or not the user's command is properly input through one display P84. Accordingly, the user can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command has been input, even without a separate display device that separately displays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command has been received.

도11(d)를 참조하면, 일정시간 대기하거나, 상기 선택부(R)가 입력되면, 선택된 코스 및 옵션이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명령이 반영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코스의 수행이 지연됨 없이 선택한 코스 및 옵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d), when wait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when the selector R is input, the selected course and op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84. In this way, the user can confirm that his or her command has been reflected, and can execute the selected course and option without delay in course execution.

도12는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selecting a course or option.

상기 컨트롤패널(P)에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특정 코스에서 특정옵션을 지속적으로 추가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the control panel (P), any courses or options provided by default may be stored. However, the user can use it repeatedly by continuously adding a specific option in a specific course.

또한, 생산자 등에서 날씨, 설치지역, 의류처리장치의 특색 등을 연구하며 사용자에게 추천할 만한 코스 또는 옵션이 있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a manufacturer or the like may research the weather, installation area, characteristics of the clothes handling device, and the like, and may have courses or options that are recommended to the user.

그러나, 이러한 코스 또는 옵션을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설정하려면 매우 번거로울 수 있고, 사용자가 해당 코스 또는 옵션의 존재를 알지 못하여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However, if the user repeatedly sets these courses or options, it may be very cumbersome, and the user may not be aware of the existence of the courses or options and may not be able to use them.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은 기본적으로 설정된 코스 또는 옵션이 아닌 새로운 코스 또는 옵션을 바로가기 형태로 따로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 panel P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a new course or option other than the basically set course or option separately in the form of a shortcut.

예를들어, 새롭게 설정된 코스 또는 옵션이 디스플레이(P84)에 상기 조작부(P7)의 입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P84)에 순차적으로 새로운 코스 또는 옵션의 종류가 표시되므로 이를 마스터 카드라고 정의할 수 있다. For example, a newly set course or option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P84 by the input of the manipulation unit P7. Therefore, since new course or option types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P84, it can be defined as a master card.

즉, 마스터 카드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코스와 옵션과 달리 새롭게 설정된 코스 및 옵션의 하나 일수 있다. 상기 마스터 카드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순서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That is, the master card may be one of newly set courses and options, unlike the basically provided courses and options. The master car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order in which they are sequentially displayed may be set in advance.

예를들어, 사용자가 자주 쓰는 코스이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코스에 해당하는 마스터카드가 먼저 표시되고, 그 뒤에 추천할 만한 코스가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a course frequently used by the user or a master card corresponding to a course previously set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first, followed by courses that may be recommended.

도1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P84)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코스 또는 옵션 중 하나인 표준건조 코스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 a standard drying course, which is one of a basically provided course or an op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84.

이때, 사용자는 상기 입력영역(D3)에 표시된 마스터 카드를 선택부(R)로 선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 can select the master card displayed in the input area D3 with the selector R.

도12(b)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P84)에는 첫번째 마스터 카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첫번재 마스터 카드는 사용자가 최근에 자주쓰는 옵션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b), the first master car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84. The first master card may be an option that the user frequently uses recently.

사용자는 수행부를 입력하여 상기 마스터카드에 해당되는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p7)를 회전하여 다른 마스터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The user can perform the course corresponding to the master card by inputting the execution unit. However, the user can select another master card by rotating the control unit p7.

도12(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조작부(p7)를 회전하면 두번째 마스터 카드가 등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의류처리장치에 스팀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스팀이 추가되는 옵션을 권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c), when the user rotates the manipulation unit p7, a second master card may appear. For example, whe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has a steam function, an option in which steam is added may be recommended.

도12(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조작부(p7)를 다시 회전하면 세번째 마스터 카드가 등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일반적인 건조 코스보다 건조시간을 최대한 압축할 수 있는 스피드 건조코스가 등장할 수 있다. 이는 온도나 열풍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의류의 재질이 내구성이 강할 때 적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d), when the user rotates the manipulation unit p7 again, a third master card may appear. For example, a speed drying course that can compress drying time as much as possible than a general drying course may appear. This increases the temperature or the flow rate of hot air, and can be applied when the material of the clothing is strong in durability.

이렇게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p7)를 회전하여 저장된 마스터 카드를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전부 확인한 경우에는 최초의 마스터 카드가 다시 등장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can sequentially check the stored master cards by rotating the control unit p7, and when all of them are confirmed, the first master card can appear again.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별도의 코스 또는 옵션을 입력하는 입력부가 제공되지 않더라도, 상기 조작부(p7)를 통해 원하는 코스 및 옵션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laundry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ired course and option can be quickly selected through the control unit p7 even if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eparate course or option is not provided.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정에 따른 알림방식을 도시한 것이다.13 illustrates a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operation proces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코스 및 옵션을 수행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courses and options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전원부(P47)가 입력되면 컨트롤패널(P)과 상기 구동부(28)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단계(T1)가 수행된다.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supply unit P47 is input, a power supply step T1 is performed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control panel P and the drive unit 28 .

상기 컨트롤패널(P)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조작부(P7)와 상기 표시부(P8)이 활성화되고,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P7)와 설정부(P2)를 조작하여 원하는 코스 및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코스선택단계(T2)가 수행된다.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 panel (P), the operation unit (P7) and the display unit (P8) are activated, and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P7) and the setting unit (P2) to select desired courses and options. A course selection step (T2) is performed.

상기 수행부(P47)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이 실행되는 실행단계(T3)가 수행된다.When the execution unit P47 is input, an execution step T3 in which the selected course or option is executed is performed.

상기 실행단계(T3)가 수행되면, 상기 코스 및 옵션이 정한 제어방법에 따라 상기 구동부(28), 열교환부(4), 세척부(6), 스팀부(200), 물공급부(300)가 작동하며 의류의 건조가 수행되는 건조단계(T4)가 수행된다.When the execution step (T3) is performed, the driving unit 28, the heat exchange unit 4, the washing unit 6, the steam unit 200, and the water supply unit 300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determined by the courses and options. A drying step (T4) in which clothes are dried while operating is performed.

상기 건조단계(T4)가 완료되면, 상기 드럼(2)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쿨링단계(T5)가 수행된다. 상기 쿨링단계(T5)는 열교환부(4)는 구동하지 않고 송풍팬만 구동하는 단계이거나, 온도가 안전온도 이하로 낮아질 때까지 일정시간 대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안전온도는 30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When the drying step (T4) is completed, a cooling step (T5) of lowe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rum 2 is performed. The cooling step (T5) may be a step of driving only the blowing fan without driving the heat exchanging unit 4, or a step of wait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ntil the temperature drops below a safe temperature. The safe temperature may be set to 30 degrees or less.

상기 쿨링단계(T5)가 종료되면, 상기 코스 및 옵션이 완료되고 전원이 차단되는 차단단계(T6)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cooling step (T5) is finished, the course and options are completed, and a shutoff step (T6) in which power is cut off may be performed.

한편, 상기 코스 및 옵션을 수행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킬 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알림정보(A)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when operat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o perform the courses and option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provide necessary notification information A to the user.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알림정보(A)를 전원공급단계(T1)가 수행되는 부팅시점(a1)에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코스선택단계(T2)에서 코스를 선택할때 또는 상기 실행단계(T3)에서 해당 코스 및 옵션을 실행하기로 선택하는 선택시점(a2)에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aundry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 at the time of booting (a1) at which the power supply step (T1) is performed, and when a course is selected in the course selection step (T2); or In the execution step (T3), it may be provided at the selection point (a2) at which the corresponding course and option are selected to be executed.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건조단계(T4)에서 코스 및 옵션이 수행할 때 알림정보를 수행시점(a3)에서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쿨링단계(T5) 종료 및 차단단계(T6) 직전에 해당하는 완료시점(a4)에서 상기 알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undry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notification information at the execution point (a3) when the courses and options are executed in the drying step (T4), and immediately before the end of the cooling step (T5) and the blocking step (T6).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t the completion point (a4) corresponding to .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할 때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코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am course for spraying steam when drying clothes.

상기 스팀코스에서는 상기 열풍으로 건조되는 의류에 스팀부(200)에서 생성한 스팀을 분사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The steam course may correspond to spraying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unit 200 to clothes dried by the hot air.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물 공급부(300)에서 물을 공급받아 이를 끓는점 까지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한다. 상기 스팀의 온도는 세균이 사멸하는 섭씨 60도 이상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기 스팀이 의류에 분사되면 세균이 제거될 수 있다.The steam unit 200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300 and heats it up to a boiling point to generate steam.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corresponds to 60 degrees Celsius or higher at which germs are killed, germs can be removed when the steam is sprayed on clothes.

또한, 건조가 상당히 진행되어 함수율이 감소된 의류에 스팀이 분사되면, 의류에 구김이 제거될 수 있고, 의류가 고열에 의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steam is sprayed on clothes whose moisture content is reduced due to considerably progressed drying, wrinkles may be removed from the clothes, and shrinkage of the clothes due to high heat may be prevented.

또한, 상기 스팀이 의류에 부착된 이물질에 붙어 증발되기 때문에 의류가 리프레쉬(refresh)되는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eam is attached to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clothes and evaporated, the effect of refreshing the clothes can also be achieved.

스팀코스는 상기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는 모든 코스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고, 임의의 코스 및 옵션의 진행 중에 추가되어 함께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스팀코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팀부(200)에 스팀을 생성할 수 있는 물이 공급되어야 한다.The steam course may be a concept that includes all courses for spraying steam on the clothes, and may be added and progressed together during the course of arbitrary courses and options. However, in order to perform the steam course, water capable of generating steam must be supplied to the steam unit 200 .

그러나, 상기 물공급부(300)에서 외부공급부(500)가 외부급수원과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내부공급부(400)에 충분한 양의 물이 채워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However,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external supply unit 500 in the water supply unit 300 is not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or the internal supply unit 400 is not filled with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이 경우에, 스팀코스가 수행되더라도 스팀이 분사되지 않는다. 또한, 스팀코스가 선택된 중에 스팀이 분사되지 않더라도 건조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코스 및 옵션은 그대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case, even if the steam course is performed, steam is not injected. In addition, even if steam is not sprayed while the steam course is selected, the courses and options may be performed as they are to prevent drying delay.

결과적으로, 상기 스팀부(200)에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스팀코스의 진행여부 상관없이 사용자는 스팀코스의 효과를 누리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의 스팀 성능을 의심할 수 있다. As a result, if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team unit 200, the user may not enjoy the effect of the steam cours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steam course is in progress. Also, the user may doubt the steam performan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200)에 물 공급이 부족하면 이를 알림정보(A)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코스를 사용할 때 스팀이 정상적으로 분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o prevent thi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display notification information (A) when water supply to the steam unit 200 is insufficient. Accordingly, steam may be normally sprayed when using the steam course.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스팀부(200)에 물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스팀부(200) 내부에 장착된 수위센서를 통하여 물 부족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물탱크(430)의 수위 또는 상기 직수밸브(5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하여 물 부족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P) may be provided to detect a state in which water supply to the steam unit 200 is insufficient. The control panel (p) can detect water shortage through a water level sensor mounted inside the steam unit 200, and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430 or whether the direct water valve 520 is open. Thus, water shortage can be detected.

상기 물 공급이 부족하다는 것은 상기 스팀부(200)가 스팀코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적정량의 물 보다 스팀부(200)의 수위가 낮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sufficient supply of water may include that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unit 200 is lower than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the steam unit 200 to perform the steam course.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스팀부(200)에 물 공급이 부족할 경우 부족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P8)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부족정보는 스팀부(200)가 스팀생성이 불가능함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면, 문구 및 아이콘, 심볼 등 어느 것을 활용해도 무방하다.When the water supply to the steam unit 200 is insufficient, the control panel P may generate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display the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P8. As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any text, icon, or symbol may be used as long as the steam unit 200 can indicate to the user that steam generation is impossible.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부족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표시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부팅시점(a1), 상기 조작부가 입력될 수 있는 코스 또는 옵션의 선택시점(a2),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는 수행시점(a3),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종료되는 완료시점(a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lack of information is generated in the display unit, a booting point (a1)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a selection point (a2) of a course or option that can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and a performance point (a1) when the course or option is performed. It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at least one of a3) and a completion point (a3) when the course or option ends.

도1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4 show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구동부(28), 열교환부(4), 세척부(6), 스팀부(200), 물공급부(300)를 제어하며 코스 및 옵션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C) that controls the drive unit 28, the heat exchange unit 4, the washing unit 6, the steam unit 200, and the water supply unit 300 and performs courses and options. can do.

상기 메인제어부(C)는 캐비닛(1) 내부에 수용된 별도의 회로기판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패널(p)에 수용된 회로기판(P4)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패널(P)과 메인제어부(C)를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The main control unit (C) may be installed on a separate circuit board accommodated inside the cabinet (1), and may be installed on a circuit board (P4) accommodated in the control panel (p). In this case, the control panel (P) and the main control unit (C) may be regarded as functionally the same configuration.

상기 메인제어부(C)는 조작부(P7), 표시부(P8), 전원부(P46), 수행부(P47)가 설치된 케이스(P1) 또는 제1인터페이스(p1)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controller C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case P1 or the first interface p1 in which the manipulation unit P7, the display unit P8, the power unit P46, and the execution unit P47 are installed.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c)는 상기 설정부(p2) 또는 제2인터페이스(p2)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c)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setting unit (p2) or the second interface (p2).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c)는 상기 캐비닛(1)에 결합된 별도의 스피커(p3)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c) may be provided to control a separate speaker (p3) coupled to the cabinet (1).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메인제어부(C)를 작동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는 메인저장부(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저장부(H)는 후술하는 통신모듈(T)로부터 외부정보를 다운받아 저장하며, 상기 메인제어부(C)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P) may include a main storage unit (H) in which programs and algorithms capable of operating the main control unit (C) may be stored. The main storage unit (H) may download and store external information from a communication module (T) to be described later,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 unit (C).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통신모듈(T)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 외부에 배치된 전자제품과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electronic products disposed outside the cabinet 1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

상기 통신모듈(T)은 상기 전자제품과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모뎀(T1)과, 상기 통신모뎀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T2)와, 상기 통신제어부(T2)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나 통신모뎀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통신저장부(T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T)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product through a communication modem (T1),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T2)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modem, and a program or communication modem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T2). A communication storage unit T3 for storing received information may be included.

상기 메인제어부(C)는 상기 스팀부(200) 및 물 공급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스팀부(200)에 물 부족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부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부족정보는 상기 메인저장부(H)에 저장되어 향후 상기 컨트롤패널(P)에 전원이 공급될 때 상기 표시부(P8)에 알림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main controller C controls the steam unit 200 and the water supply unit 300 to detect a water shortage in the steam unit 200 and generate the shortage information. The shortag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H and provided as a notification to the display unit P8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 panel P in the future.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부족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저장부에 상기 부족정보를 저장하고, 부팅시점(a1)에 상기 저장부에 부족정보가 존재하는 것을 상기 메인제어부(C)가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부팅시점(a1)에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shortag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shortag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when the main control unit (C) detects that the shortage information exists in the storage unit at the time of booting (a1), , The display unit P8 can display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at the booting point a1.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코스 및 옵션을 선택하기 전에 상기 스팀부(200)에 물이 공급되도록 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팀코스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선택하거나, 스팀 효과를 기대하지 않고 코스 및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take action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unit 200 before selecting the course and option. Also, the user may select not to perform a steam course or select a course and option without expecting a steam effect.

상기 스팀의 제공 여부는 의류를 건조하는 데 필수적이지 않다. 따라서, 스팀이 공급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장시간 대기하게 되면, 젖은 의류는 부패할 우려가 있거나 과도한 구김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건조시간이 지연될 우려가 있을 수 있다.Whether or not the steam is provided is not essential for drying clothes. Therefore,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steam cannot be supplied, when waiting for a long time, wet clothes may deteriorate or excessive wrinkles may occur. In addition, there may be a concern that the drying time is delay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족정보는 상기 표시부(p8)에 기준시간 동안 표시되면,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하고 원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To prevent this, i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p8 for a reference time, the display unit P8 may remove the display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예를들어, 상기 부팅시점(a1)에서는 상기 표시부(p8)에 기준시간 동안 부족정보가 표시되면,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가 제거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스팀부(200) 물공급 상태가 부족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이에 구애받지 않고 임의의 코스 및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insufficien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p8 during the reference time at the booting point a1, the display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may be removed.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water supply state of the steam unit 200 is insufficient, and can select an arbitrary course and option regardless of this.

상기 기준시간은 부팅되는 시간 또는 1초 이상 10초 이내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reference time may be set to a booting time or a time between 1 second and 10 seconds.

도15는 상기 부족정보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5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ack information is displayed.

상기 부족정보는 팝업형태(I)로 상기 표시부(P8)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부(200)에 물이 부족하더라도, 코스 및 옵션의 수행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hortag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P8 in a pop-up form (I). Accordingly, even when water is insufficient in the steam unit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lay in performing courses and options.

또한, 사용자는 충분히 팝업형태(I)의 부족정보 알림을 통해 스팀부(200)에 물공급이 되지 않는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다시말해, 사용자는 상기 부족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코스 및 옵션의 선택 또는 수행상태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recognize a situation in which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team unit 200 through a notification of insufficient information in a pop-up form (I). In other words, the user can check the lack of information, but can also check the course and option selection or performance status at the same time.

예를들어, 도15(a)를 참조하면, 부팅시점이 경과되면 상기 표시부(P8)에는 선택단계(T2)가 수행되어, 선택된 코스 및 옵션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5(a), when the booting time elapses, the selection step T2 is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P8, and the selected course and option can be displayed.

상기 상태표시영역(D1)에는 선택할 수 있는 코스 및 옵션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내용표시영역(D2)에는 코스와 옵션의 명칭 및 간단한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입력영역(D3)에는 선택부(R)를 입력하였을 때 실행될 수 있는 마스터 카드 등의 제어방법이 표시될 수 있다.The number of courses and options that can be selected may be displayed in the status display area D1, and names and brief descriptions of the courses and options may be displayed in the content display area D2. In the input area D3, a control method such as a master card that can be executed when the selection unit R is input may be displayed.

도15(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수행부(P47)을 입력하며 실행단계(T3)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스팀부(200)의 물 부족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이 상기 스팀부(200)의 물부족을 감지하여 부족정보를 생성하면, 상기 표시부(P8)를 통해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5 (b), the user inputs the execution unit (P47) and the execution step (T3) can be performed. In this process, the control panel P can detect whether or not water is insufficient in the steam unit 200 . When the control panel P detects water shortage in the steam unit 200 and generates shortage information, the shortag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P8.

상기 부족정보는 상기 내부공급부(400)에 물을 충전하거나,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개방하라는 안내문구를 표함할 수 있다. The shortage information may include a guide to fill water in the internal supply unit 400 or open the external supply unit 500 .

도15(C)를 참조하면, 상기 팝업형태(I)로 표시된 상기 부족정보는 상기 선택부(R)가 입력되었을 때 사라질 수도 있고, 기준시간 경과후에 사라질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5(C),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pop-up form (I) may disappear when the selector (R) is input, or may disappear after a reference time elapses.

물론, 상기 팝업형태(I)도 선택부(R)의 입력 이나 상기 스팀부(200)에 물이 공급되는 것이 확인되면 사라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Of course, the pop-up form (I) can also be set to disappear when an input of the selector (R) or when it is confirmed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unit (200).

도16는 상기 부족정보가 표시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6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hortage information is displayed.

상기 부족정보는 상기 표시부(P8)에 전체영역 또는 단일정보(II)로 표시될 수 있다.The insufficien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r as single information (II) on the display unit P8.

다시말해, 상기 표시부(P8)에 상기 부족정보만 단일정보(II)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부족정보를 확실하게 인식시키고, 조치를 유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only the lack of information is displayed as single information II on the display unit P8 so that the user can clearly recognize the lack of information and induce action.

예를들어, 상기 선택된 코스 및 옵션이 스팀을 사용하거나, 상기 설정부(P2)로부터 스팀부(C3)가 선택되는 등 스팀코스가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스팀부(200)의 물 부족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이 상기 스팀부(200)의 물부족을 감지하여 부족정보를 생성하면, 상기 표시부(P8)를 통해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a steam course is performed, such as the selected course and option using steam or the steam unit C3 being selected from the setting unit P2, the control panel P is the steam unit ( 200) can detect water shortage. When the control panel P detects water shortage in the steam unit 200 and generates shortage information, the shortag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P8.

도16(a)를 참조하면, 스팀코스가 선택되거나 수행될 때 상기 부족정보가 표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p84)는 상기 부족정보를 단일정보(II)로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a), if the lack information is displayed when a steam course is selected or performed, the display p84 may display the lack information as single information (II).

상기 단일정보(II)도 기준시간 경과하면 제거될 수 있다.The single information (II) may also be removed when the reference time elapses.

그러나, 상기 단일정보(II)는 선택부(R)의 입력 이나 상기 스팀부(200)에 물이 공급되는 것이 확인되면 사라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However, the single information II may be set to disappear when an input of the selection unit R or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unit 200 is confirmed.

도1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부(R)를 입력하면,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하기 이전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b), when the user inputs the selector R, the display unit P8 can return to a state prior to displaying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단일정보(II)를 무시하고 상기 코스 및 옵션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ignore the single information (II) and execute the course and option.

물론, 사용자가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도록 조치한 경우에도, 상기 표시부(P8)에 표시된 부족정보는 제거될 수 있다. Of course, even when the user takes action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unit 200,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P8 can be removed.

도17는 상기 부족정보가 표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7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lack information is displayed.

상기 의류처리장치(10)의 통신모듈(T)은 공유기와 같은 AP(30)를 통해 생산자가 제공하는 서버(50)와 통신할 수 있고, 스마트폰 등과 같은 통신가능하게 구비되는 외부단말(40)과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50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through an AP 30 such as a router, and an external terminal 40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such as a smartphone. )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이로써, 상기 컨트롤패널(P)이 부족정보를 생성하면, 상기 부족정보를 서버(10)에 송부할 수 있고, 상기 외부단말(40)에 송부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ontrol panel P generates insufficient information,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 and to the external terminal 40 .

그 결과, 상기 서버(10)는 사용자에게 외부단말(40)을 통하여 부족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외부단말(40)은 부족정보를 액정 등으로 별도표시(III)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erver 10 can deliver the lack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40, and the external terminal 40 can separately display (III) the lack information in a liquid crystal or the like.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10)와 이격된 장소에 있다고 하더라도, 스팀부(200)의 물공급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고, 상기 스팀부(200)에 물공급을 하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다.Even if the user is in a place away from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water supply to the steam unit 200 and take measures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unit 200. there is.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부족정보의 생성여부와 무관하게 코스 및 옵션을 수행할 수 있다. Also, the clothes handling device may perform courses and option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lack information is generated.

도18는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8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the lack information.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컨트롤패널(P)에서 전원부(P46)의 입력을 감지하는 전원단계(S1)가 수행할 수 있다.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step (S1) of sensing the input of the power supply unit (P46) in the control panel (P) may be performed.

상기 전원단계(S1)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저장부(H)에 이전 코스 등을 수행할 때 상기 부족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이터 판단단계(s2)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power supply step (S1)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C) may perform a data determination step (s2)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s stored when performing a previous course or the like in the storage unit (H). there is.

상기 데이터 판단단계(s2)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부족정보가 최신정보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부족정보가 이전에 전원이 공급되고 차단될 때까지 존재하거나 그 과정에서 생성된 것이라면 최신정보라고 판단할 수 있다. In the data determination step (s2), the control unit (c) may check whether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s the latest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exists until power is previously supplied and then cut off, or is generated in the process, it may be determined as the latest information.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부족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표시부(P8)에 상기 부팅시점(a1)에 부족정보를 표시하는 부팅알림단계(s3)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 may perform a booting notification step (s3) of displaying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P8 at the booting point (a1) i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exists in the storage unit.

상기 표시부(P8)에는 상기 부족정보가 팝업형태(I) 또는 단일표시(II) 중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The shortag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either a pop-up form (I) or a single display (II) on the display unit P8.

상기 부팅알림단계(S3)에서 상기 표시부(P8)은 기준시간 경과후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스팀부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조치하지 않아도 코스 및 옵션을 무리없이 선택할 수 있다.In the booting notification step (S3), the display unit (P8) may be provided to remove the display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after the reference time elapses.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courses and options without difficulty even without taking measures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unit.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코스가 선택되거나 수행되는 지를 판단하는 스팀판단단계(S4)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steam determination step (S4) of determining whether the steam course supplying the steam is selected or performed.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스팀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부족정보를 상기 선택시점(a2)에 표시하는 실행전 알림단계(S5)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team course is selected, the display unit P8 may perform a pre-execution notification step (S5) of displaying the shortage information at the selection time point (a2).

상기 스팀코스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스팀부(200)의 물공급 상태를 감지하여 부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생성된 부족정보는 상기 표시부(p8)에 전달될 수 있다. When the steam course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C may detect the water supply state of the steam unit 200 and generate insufficient information. Accordingly,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generated at this time can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p8.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저장부(H)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부족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부팅시점이 아니라 상기 선택시점(a2)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코스가 선택될 때 사용자에게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H, the controller C may display it at the selection time a2 instead of the booting time. Accordingly, when the steam course is selected, the user may be induced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unit 200 .

또한, 사용자가 스팀코스 의외의 다른 코스를 선택할 때,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는 조치를 생략하도록 유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하고 상기 스팀부(200) 내부에 물이 장시간 수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 course other than the steam course, the action of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unit 200 is induced to be omitted, thereby enhancing user convenience and allowing water to be accommodated in the steam unit 200 for a long time.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상기 실행전 알림단계(S5)에서 상기 표시부(P8)에 상기 부족정보 팝업형태(I) 또는 단일표시(II) 중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In the pre-execution notification step (S5),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either a pop-up form (I) or a single display (II) on the display unit P8.

상기 실행전 알림단계(S5)가 수행되면 사용자가 부족정보를 확인하였다는 의사가 반영하는 확인단계(S5-1)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확인단계(s5-1)는 기준시간 경과 후에 스팀코스가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강행의사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When the pre-execution notification step (S5) is performed, the confirmation step (S5-1) may be performed to reflect the intention that the user has confirmed the lack of information. The confirmation step (s5-1) may be to confirm the user's compulsory intention rather than to perform the steam course after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상기 강행의사는 상기 선택부(R)의 입력이나 상기 수행부(P47)의 입력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부족정보가 표시되어도 사용자가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수행부(P47)를 입력하여 스팀코스의 수행을 강행하거나, 상기 선택부(R)를 통해 부족정보를 상기 표시부(P8)에서 제거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것은 사용자가 스팀코스를 강행하는 의사로 추정해도 되기 때문이다. The forced intention can be detected by an input of the selector R or an input of the performer P47. Even if the shortage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user does not supply water to the steam unit 200, but presses the steam course by inputting the execution unit P47 or selects the shortage information through the selection unit R. The reason for inputting the command to remove from the display unit P8 is that the user may be presumed to be an intention to enforce the steam course.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확인단계(S5-1)에서 강행의사가 감지되면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스팀코스의 수행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P8) can remove the display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display the performance status of the steam course when a compulsory intention is detected in the confirmation step (S5-1).

다시말해, 스팀코스의 수행 보다 의류의 건조가 더 우선하기 때문에, 스팀부(200)에 물이 없어도 건조행정을 우선 처리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drying of clothes is prioritized over execution of the steam course, the drying process can be prioritized even if there is no water in the steam unit 200.

또한, 사용자가 이미 스팀부(200)에 물이 없는 것을 인지한 상태에서 수행부(P47)의 입력을 강행한 것이므로, 사용자의 강행의사를 반영하여 건조행정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has already entered the execution unit P47 while recognizing that there is no water in the steam unit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ying process from being delayed by reflecting the user's forced intention. may allow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eam unit 200 at a desired point in time.

한편, 상기 강행의사를 확실히 반영하기 위해, 상기 강행의사가 입력되기 까지 상기 스팀코스의 실행 또는 수행은 중단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clearly reflect the forced intention, the execution or execution of the steam course may be stopped until the forced intention is input.

한편, 상기 제어부(C)가 상기 스팀코스 또는 스팀옵션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팀부(200)에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것을 감지하는 스팀생성 불가 감지단계(S6)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C may perform a steam generation failure detection step (S6) of detecting that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team unit 200 while the steam course or steam option is being performed.

상기 불가감지단계(S6)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C)가 부족정보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수행시점(a3)에서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하는 실행중 알림단계(S7)를 수행할 수 있다.If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team unit 200 in the non-availability detection step (S6), the control unit (C) may generate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P8) may display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at the execution point (a3). A notification step (S7) during execution of displaying may be performed.

이로써, 사용자는 스팀이 공급되는 와중에 스팀부(200)에 물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may recognize a state in which water supply to the steam unit 200 is blocked while steam is being supplied.

상기 수행시점(a3)에서는 상기 부족정보가 표시되어도 상기 스팀코스가 중단되지 않고 지속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10)가 작동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에서 멀리 이격된 장소에 있을 수 있어 상기 부족정보를 확인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At the execution point (a3), the steam course may continue without interruption even i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s displayed. This is because the user may be in a place far away from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 whe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 is operated,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user may not be able to check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따라서,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부족정보를 기준시간동안만 표시하고 다시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p8 may display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only for a reference time and then remove it again.

다만, 상기 부족정보는 상기 저장부(H)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8)를 수행할 수 있다. However, the storage step (S8) of storing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H) may be performed.

결과적으로, 상기 부족정보가 생성되지 않으면 코스가 수행될 수 있고, 부족정보가 생성되어도 코스가 수행될 수 있다. 결국, 코스 수행단계(S9)는 항상 완료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course can be performed when the lack of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and the course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lack of information is generated. As a result, the course execution step (S9) can always be completed.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코스가 완료될때까지 스팀부(200)에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완료시점(a4)에서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team unit 200 until the course is complete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at the completion point a4.

또한, 상기 완료시점(a4)에서 부족정보가 표시된 뒤에 기준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ference time elapses after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s displayed at the completion point a4, the display unit p8 may remove the display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n addition, power supply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may be cut off.

한편, 부족정보가 표시된 이후에 상기 스팀부가 스팀을 생성 가능하거나, 상기 스팀부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표시부(p8)에 표시된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H)에 저장된 부족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team unit can generate steam or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unit after the lack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control unit C can remove the display of the lack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p8, The lack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H) may be deleted.

그러나,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완료시점(A4) 까지 상기 부족정보가 삭제되지 않고 유지되면, 상기 부족정보(C)를 상기 저장부(H)에 저장한 뒤에, 상기 표시부(P8), 상기 구동부(P28) 중 하나 이상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However, i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s maintained without being deleted until the completion point A4, the control unit C stores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C in the storage unit H, and then displays the display unit P8, the Power to one or more of the driving units P28 may be cut off.

상술한 인터페이스 및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제어방법, 및 조립방법 등은 인터페이스 및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Since the structure, control method, and assembly method of the interface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escribed above are only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interface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캐비닛 바디
12: 패널 지지부 13: 프론트 패널 134: 패널 관통홀
2: 터브 21: 터브 바디 23: 급수부
24: 세제공급부 25: 배수부 3: 드럼
P: 인터페이스 4: 제1회로기판 41: 케이스
42: 기판 관통홀 44: 인코더 고정홀 45: 인코더 커버 고정홀
46: 전원부 461: 제1버튼 462: 제1스토퍼
464: 제1감지센서 47: 수행부 471: 제2버튼
5: 인코더 51: 고정부 511: 지지바디
512: 고정바디 513: 기판 체결부 514: 바디 관통홀
52: 회전부 521: 회전바디 522: 샤프트 체결부
531: 체결바디 고정부 532: 위치설정홈 54: 신호발생부
6: 인코더 커버 61: 고정바디 커버 611: 기판 체결부
612: 커버 배출구 62: 커버 관통홀 63: 지지바디 커버
7: 액추에이터 71: 샤프트 711: 샤프트 관통홀
712: 회전바디 체결부 713: 베이스 714: 핸들 체결부
715: 가이드 홈 73: 핸들 731: 수용공간
732: 핸들 관통홀 734: 베이스 체결부 735: 체결 가이드
74: 핸들 배출구 75: 실링부 751: 실링바디
752: 실링바디 관통홀 553: 제1절개면 754: 제2절개면
755: 절개홈 756: 제1접촉돌기 757: 제2접촉돌기
758: 제3접촉돌기 8: 표시부 81: 하우징
81a: 수용바디 811: 장착공간 812: 수용바디 관통홀
813: 장착바디 체결부 814: 스페이서 81b: 체결바디
815: 체결바디 관통홀 816: 고정바디 체결부 817: 위치설정 돌기
82: 제2회로기판 821: 램프 822: 와이어
823: 돌기 관통홀 83: 장착부 831: 장착바디
832: 안착홈 833: 수용바디 체결부 834: 고정돌기 체결부
835: 램프 관통홀 836: 커넥터 관통홀 837: 전도체 관통홀
84: 디스플레이 841: 커넥터 85: 커버
851: 커버 고정돌기 852: 커버 실링부 853: 커버시트
9: 선택부 91: 배치부 92: 전달부
93: 센서
100: clothes handling device 1: cabinet 11: cabinet body
12: panel support 13: front panel 134: panel through-hole
2: tub 21: tub body 23: water supply
24: detergent supply unit 25: drainage unit 3: drum
P: interface 4: first circuit board 41: case
42: substrate through hole 44: encoder fixing hole 45: encoder cover fixing hole
46: power unit 461: first button 462: first stopper
464: first detection sensor 47: performing unit 471: second button
5: encoder 51: fixing part 511: support body
512: fixed body 513: board fastening part 514: body through-hole
52: rotating part 521: rotating body 522: shaft fastening part
531: fastening body fixing part 532: position setting groove 54: signal generating part
6: encoder cover 61: fixed body cover 611: board fastening part
612: cover outlet 62: cover through hole 63: support body cover
7: actuator 71: shaft 711: shaft through-hole
712: rotation body fastening part 713: base 714: handle fastening part
715: guide groove 73: handle 731: accommodation space
732: handle through hole 734: base fastening part 735: fastening guide
74: handle outlet 75: sealing part 751: sealing body
752: sealing body through hole 553: first cut surface 754: second cut surface
755: cutting groove 756: first contact protrusion 757: second contact protrusion
758: third contact protrusion 8: display unit 81: housing
81a: receiving body 811: mounting space 812: receiving body through-hole
813: mounting body fastening part 814: spacer 81b: fastening body
815: fastening body through-hole 816: fixed body fastening part 817: positioning protrusion
82: second circuit board 821: lamp 822: wire
823: protrusion through hole 83: mounting part 831: mounting body
832: seating groove 833: receiving body fastening part 834: fixing protrusion fastening part
835: lamp through-hole 836: connector through-hole 837: conductor through-hole
84: display 841: connector 85: cover
851: cover fixing protrusion 852: cover sealing part 853: cover sheet
9: selection unit 91: placement unit 92: delivery unit
93: sensor

Claims (14)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연결되거나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부;
상기 스팀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부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구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드럼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상기 스팀부에 스팀을 생성하는 물 공급이 차단되었거나 상기 스팀부 내부에 물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감지하여 스팀생성이 불가능함을 표시하는 부족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부족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부족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표시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부팅시점, 상기 조작부가 입력될 수 있는 코스 또는 옵션의 선택시점,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는 수행시점,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종료되는 완료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cabinet;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accommodate clothes;
a driving unit connected to or coupled to the drum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drum;
a steam unit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supply steam to the inside of the drum;
a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steam unit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unit;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command for selecting an arbitrary course or option for performing one or more of rotating the drum by operating the driving unit or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drum;
a control unit detecting a state in which water supply for generating steam to the steam unit is blocked or water supply is insufficient in the steam unit and generating insufficie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steam generation is impossible;
A display unit coupled to the cabinet and provided to externally display the shortage information;
the display part
When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booting tim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the selection time of a course or option that can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the execution time when the course or option is performed, and the completion time when the course or option ends and controlling to display the shortag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족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팅시점에 상기 저장부에 상기 부족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부팅시점에서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lack information,
I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exists in the storage unit at the time of booting,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shortage information at the time of boot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부팅시점에서 기준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display unit removes the display of the shortage information when a reference time elapses from the booting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은 상기 스팀부를 필수적으로 구동하는 스팀코스 또는 스팀옵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로 상기 스팀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시점에서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onal course or option further includes a steam course or steam option that essentially drives the steam unit,
When the steam course is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shortage information at the point of sel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는 수행명령을 입력받는 수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부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하고, 상기 스팀코스 또는 상기 스팀옵션의 수행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n execution unit that receives a command to perform the selected course or option,
When the performance unit is input, the display unit removes the indication of the shortage information and displays an execution state of the steam course or the steam op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부족정보가 표시되어도 상기 스팀코스 또는 스팀옵션은 그대로 수행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4,
Even if the short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steam course or steam option is completed as it i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부족정보가 표시되면 상기 스팀코스는 중단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가 제거되면 상기 스팀코스는 다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short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steam course is stopped,
When the indication of the shortage information is removed from the display unit, the steam course is performed agai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부족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였다는 명령을 입력받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면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oper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selection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confirmed the lack of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removes the display of the shortage information when the selection unit is inpu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는 수행명령을 입력받는 수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부 또는 상기 선택부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스팀코스는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n execution unit that receives a command to perform the selected course or option,
The steam course is stopped until the execution unit or the selection unit is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은 상기 스팀부를 필수적으로 구동하는 스팀코스 또는 스팀옵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팀코스 또는 스팀옵션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부족정보를 생성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행시점에서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onal course or option further includes a steam course or steam option that essentially drives the steam unit,
When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team course or steam optio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shortage information at the time of exec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완료시점에서 상기 부족정보를 표시하고 기준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shortage information at the completion point and removes the display of the shortage information when a reference time elaps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족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완료시점까지 상기 부족정보가 유지되면, 상기 부족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lack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stores the lack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lack information is maintained until the completion poi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족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뒤에 상기 표시부, 상기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control unit cuts off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drive unit after storing the shortag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스팀부가 스팀을 생성 가능하거나, 상기 공급부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부족정보의 표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part
When the steam unit can generate steam or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upply unit,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ication of the shortage information is removed.


KR1020210085830A 2021-06-30 2021-06-30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30004052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830A KR20230004052A (en) 2021-06-30 2021-06-30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PCT/KR2022/009432 WO2023277615A1 (en) 2021-06-30 2022-06-30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2833669.9A EP4363657A1 (en) 2021-06-30 2022-06-30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830A KR20230004052A (en) 2021-06-30 2021-06-30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052A true KR20230004052A (en) 2023-01-06

Family

ID=8492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830A KR20230004052A (en) 2021-06-30 2021-06-30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405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599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CN101684603B (en) Laundry dryer having fragrance storage and supply assembly
US2021026214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U2007277518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210106768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3034669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00130347A (en) Laundry machine and laundry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230004052A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10016189A (en) Laundry machine and laundry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230004054A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30004053A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TWI638924B (en) Washing machine
KR20230004056A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30004057A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2041198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20230001288A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30001290A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30001284A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EP3296452B1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01287A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30004177A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30001285A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30001289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20230001286A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560670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