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514A - 포지셔닝, 스태빌라이징 및 인터페이싱 구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포지셔닝, 스태빌라이징 및 인터페이싱 구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514A
KR20230002514A KR1020227037518A KR20227037518A KR20230002514A KR 20230002514 A KR20230002514 A KR 20230002514A KR 1020227037518 A KR1020227037518 A KR 1020227037518A KR 20227037518 A KR20227037518 A KR 20227037518A KR 20230002514 A KR20230002514 A KR 2023000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ed display
head mounted
user
display system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애론 사무엘 데이비드슨
이안 앤드류 로
데이비드 제임스 브라운드
스튜어트 조셉 와그너
스튜어트 조셉 와그너
Original Assignee
레스메드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20900953A external-priority patent/AU2020900953A0/en
Priority claimed from US16/865,480 external-priority patent/US11243405B2/en
Priority claimed from PCT/AU2020/051158 external-priority patent/WO2021189096A1/en
Application filed by 레스메드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레스메드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claimed from PCT/AU2021/050277 external-priority patent/WO2021189114A1/en
Publication of KR2023000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involving arrangement aiming to get lighter or better balanced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69Supporting or connecting means other than the external wa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1Adaptation to the pilot/dri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027/0192Supplementary details
    • G02B2027/0198System for aligning or maintaining alignment of an imag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 및 사용 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자의 눈 전방에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후방에 배터리 팩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한다. 구체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로서,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는, 후방 지지부를 포함한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설정, 안정화 및 인터페이싱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1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3월 27일자로 출원된 호주 특허 출원 제2020900953호, 2020년 5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6/865,480호, 2020년 5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6/865,526호, 2020년 5월 5일자로 출원된 호주 특허 출원 제2020901432호, 2020년 5월 6일자로 출원된 호주 특허 출원 제2020901437호, 2020년 7월 20일자로 출원된 호주 특허 출원 제2020902514호, 2020년 8월 26일자로 출원된 호주 특허 출원 제2020903055호, 2020년 8월 31일자로 출원된 호주 특허 출원 제2020903112호, 2020년 9월 22일자로 출원된 호주 특허 출원 제2020903395호, 2020년 9월 29일자로 출원된 호주 특허 출원 제2020903502호, 2020년 10월 7일자로 출원된 호주 특허 출원 제2020903638호, 2020년 10월 8일자로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PCT/AU2020/051081, 2020년 10월 26일자로 출원된 호주 특허 출원 제2020903876호, 2020년 10월 28일자로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PCT/AU2020/051158, 2020년 12월 15일자로 출원된 호주 특허 출원 제2020904664호, 2020년 12월 24일자로 출원된 호주 특허 출원 제2020904849호, 2021년 3월 24일자로 출원된 호주 특허 출원 제2021900871호의 이득을 주장하고, 이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2 배경 기술
2.1 기술 분야
본 기술은 일반적으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사용자 인터페이싱 구조물,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사용하기 위한 다른 구성요소, 디스플레이 유닛 및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인터페이싱 구조물 및/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관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조립체 및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은 몰입형 현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용도에서 특정 응용을 발견하고, 본원에서는 그러한 맥락에서 설명된다. 본 기술은 보다 넓은 응용을 가질 수 있고,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및/또는 혼합 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2.2 관련 기술의 설명
임의의 종래 기술이 본원에 언급되는 경우, 이와 같은 언급은 종래 기술이 호주, 또는 임의의 다른 국가에서 당업계의 일반 상식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2.2.1 몰입형 기술
몰입형 기술은 물리적 환경을 디지털 수단이나 가상의 환경을 통해 주변의 감각적 느낌을 만들어 내어 물리적 환경을 복제하거나 증강시켜 몰입감을 주는 기술을 말한다.
특히, 몰입형 기술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몰입감을 제공하고, 가상 객체 및/또는 가상 환경을 생성한다. 몰입형 기술은 다른 오감 중 적어도 하나에 몰입감을 또한 제공할 수도 있다.
2.2.2 가상 현실
가상 현실(VR)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컴퓨터로 생성된 3차원 이미지 또는 환경이다. 즉, 환경은 완전히 가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가상 환경에서 가상 또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관찰하기 위해 전자 스크린을 관찰한다. 생성된 환경은 완전히 가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물리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차단 및/또는 방해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물리적 환경에서 물리적 객체를 듣거나 볼 수 없을 수 있음).
전자 스크린은 사용자의 시선에서 지지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됨). 전자 스크린을 관찰하는 동안 전자 스크린에서 출력되고 사용자가 관찰하는 시각적 피드백은 실제 환경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가상 환경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머리 또는 몸 전체를 피봇팅하여 주위(예를 들어, 360°)를 둘러볼 수 있고, 전자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는 가상 객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는 가상 환경이 사용자의 오감 중 적어도 하나에 자극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VR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물리적 환경의 해당 자극을 대체하는 몰입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극은 적어도 사용자의 시각과 관련되지만(즉, 전자 스크린을 보고 있기 때문에), 다른 감각도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스크린은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가상 환경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VR 장치는 시각적 피드백에 추가로 또는 이와 별도로 다른 형태의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R 장치는 청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스피커를 포함 및/또는 스피커에 연결될 수 있다. VR 장치는 또한 시각 및/또는 청각 피드백에 대응할 수 있는 촉각 피드백(예를 들어, 햅틱 응답의 형태로)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감각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자극을 받기 때문에 보다 몰입감 있는 가상 환경을 만들 수 있다.
VR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는 주변부 자극을 차단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상 환경에서 VR 장치의 자극을 더 잘 처리하기 위해 주변부 환경을 보거나 및/또는 듣는 것을 피하고 싶을 수 있다. 따라서 VR 장치는 사용자의 눈이 주변광을 받는 것을 제한 및/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것은 사용자의 안면에 밀봉을 제공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차폐부는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하게(예를 들어, 접촉하거나 밀접하게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안면에 대해 밀봉되지 않을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주변광은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광은 전자 스크린이다.
다른 예에서, VR 장치는 사용자의 귀가 주변부 소음을 듣는 것을 제한 및/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것은 사용자에게 헤드폰(예를 들어, 소음 제거 헤드폰)을 제공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VR 장치로부터 소리를 출력할 수 있고 및/또는 사용자가 그들의 물리적 환경으로부터 소음을 듣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VR 장치는 사용자가 주변부 소음을 듣는 것을 제한하기에 충분한 볼륨으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든, 사용자는 과도하게 자극되기를 원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물리적 환경과 가상 환경 모두에 의해). 따라서, 사용자를 자극하는 것으로부터 주변을 차단 및/또는 제한하는 것은 사용자가 주변으로부터 가능한 산만함 없이 가상 환경에 집중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양한 유형의 VR 장치가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VR 장치는 적어도 두 가지 다른 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R 장치는 휴대성과 디스플레이 유닛이 나머지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분류는 독립적일 수 있으므로, 한 그룹의 분류(예를 들어, 장치의 휴대성)가 다른 그룹으로의 분류를 사전 결정하지 않는다. 아래에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VR 장치를 분류하는 추가 범주가 있을 수도 있다.
2.2.2.1 휴대성
2.2.2.1.1 고정 유닛
어떤 형태에서는, VR 장치가 컴퓨터나 비디오 게임 콘솔과 같은 별도의 장치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VR 장치는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 없이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할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의 위치에 따라).
VR 장치는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과 관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VR 장치는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코드는 두 시스템을 함께 묶을 수 있다. 이는 VR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전기 코드의 길이보다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에서 더 멀리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VR 장치의 위치를 추가로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VR 장치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여전히 무선 신호의 강도에 의해 상대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에 연결하면 VR 장치에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VR 장치의 작동을 돕기 위해 컨트롤이 통신(즉, 유선 커넥터를 통해 또는 무선으로)될 수 있다. 고정 유닛 VR 장치의 예에서, 이러한 컨트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작동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으며 VR 장치는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에 연결하지 않고는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은 VR 장치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머리에 배터리를 지지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배터리 무게를 지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VR 장치를 더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을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보다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를 통하지 않고 VR 장치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VR 장치를 통해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로부터 출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게임하기). 즉, VR 장치의 디스플레이 출력은 컴퓨터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의 출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를 출력하는 데 필요한 일부 컨트롤 및/또는 센서는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서 지지해야 하는 무게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움직임 센서는 VR 장치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할 수 있고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사용자를 지향할 수 있다. 카메라(들)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의 처리는 VR 장치로 전송되기 전에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VR 장치의 무게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VR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을 더 제한할 수도 있다. 즉, VR 장치는 카메라(들)의 시선에 있어야 한다.
2.2.2.1.2 휴대용 유닛
일부 형태에서, VR 장치는 전원 및 센서를 포함하는 독립형 장치일 수 있으므로, VR 장치는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에 연결될 필요가 없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더 많은 사용과 움직임의 자유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컴퓨터나 비디오 게임 콘솔 근처에서 VR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야외에서 또는 컴퓨터나 텔레비전이 포함되지 않은 다른 환경에서 VR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VR 장치는 사용 시 컴퓨터나 비디오 게임 콘솔에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VR 장치는 필요한 모든 전자 구성요소를 지원해야 한다. 여기에는 배터리, 센서 및 프로세서가 포함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사용자가 몸으로 지지해야 하는 VR 장치에 무게를 추가한다. 이 추가된 무게가 VR 장치를 착용하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적절한 무게 분포가 필요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VR 장치의 전기 구성요소는 단일 하우징에 포함되어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 바로 앞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구성을 "브릭"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이 없는 VR 장치의 무게 중심은 사용자의 안면 바로 앞에 있다. 중력에 의해 생성되는 모멘트를 방지하기 위해, 브릭 구성에 연결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예를 들어, 헤드기어 스트랩의 장력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의 안면으로 향하는 힘을 제공해야 한다. 브릭 구성은 제조에 유리할 수 있고(예를 들어, 모든 전기 구성요소가 근접해 있기 때문에)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상호 교환성을 허용할 수 있지만(예를 들어, 전기 연결이 없기 때문에), VR 장치의 위치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힘 (예를 들어, 헤드기어의 인장력)은 사용자에게 불편할 수 있다. 특히, VR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을 파고들어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과 자국을 유발할 수 있다. 사용자의 머리가 디스플레이 하우징에서 안면에 힘을 받고 헤드기어에서 머리 뒤쪽에 힘을 받을 때 힘의 조합이 "클램핑되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VR 장치를 착용할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VR 및 기타 혼합 현실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및/또는 전신의 격렬한 움직임(예를 들어, 게임 중)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위치를 방해하는 경향이 있는 상당한 힘/모멘트가 사용자의 머리에 있을 수 있다. 큰 파괴력을 견디기 위해 단순히 사용자의 머리에 장치를 더 세게 가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하거나 짧은 시간 후에 불편해질 수 있으므로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는 전기 구성요소가 사용자의 안면 전면이 아닌 VR 장치 전체에 걸쳐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전기 구성요소(예를 들어, 배터리)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특히 후방 접촉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터리(또는 기타 전기 구성요소)의 무게는 VR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생성되는 모멘트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모멘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이 더 낮은 클램핑 힘을 적용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으며, 이는 차례로 사용자의 안면에 더 낮은 힘을 생성한다(예를 들어, 피부에 더 적은 자국). 그러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청소 및/또는 교체하는 것은 전기 연결로 인해 일부 기존 장치에서 더 어려울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전기 구성요소를 이격시키는 것은 전기 구성요소의 일부를 VR 장치의 나머지 부분과 이격되어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및/또는 프로세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만 VR 장치의 나머지 부분과 이격되어 휴대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고정 유닛"과 달리 배터리 및/또는 프로세서는 나머지 VR 장치와 함께 휴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및/또는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벨트 또는 사용자의 주머니에 휴대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무게를 줄이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대응하는 모멘트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에 의해 제공되는 인장력은 헤드에 의해 지지되는 총 중량이 적기 때문에 "브릭" 구성보다 여전히 작을 수 있다.
2.2.2.2 디스플레이 연결
2.2.2.2.1 통합 디스플레이 스크린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VR 장치의 통합 부분이며 일반적으로 VR 장치의 나머지 부분에서 분리하거나 제거할 수 없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하우징으로 완전히 덮을 수 있어 스크래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VR 장치의 나머지 부분과 통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손실되는 현상을 제거한다.
이러한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순수하게 몰입형 기술 디스플레이로 기능한다. 대부분의 "고정 유닛"에는 통합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포함된다. "휴대용 유닛"은 통합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거나 제거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아래에 설명됨)을 포함할 수 있다.
2.2.2.2.2. 제거 가능 디스플레이 스크린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VR 장치에서 제거되어 별도로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이다.
일부 형태에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휴대폰)는 VR 장치의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센서 및/또는 프로세서의 대부분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 가능한 앱을 통해 가상 환경을 생성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는 일반적으로 가볍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에 큰 힘을 가하기 위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2.2.3 증강 현실
일부 형태에서, 증강 현실(AR)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컴퓨터 생성 3차원 이미지 또는 환경이다.
VR과 유사하지만 AR은 전자 스크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성된 가상 환경이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과 조합하여 관찰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즉, AR은 가상 환경의 요소로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을 변경 및/또는 향상하기 위해 가상 객체를 생성한다. AR의 결과는 물리적 개체와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결합된 환경, 따라서 물리적 환경과 가상 환경 둘 모두 포함된 환경이다.
예를 들어, 전자 스크린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는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에 오버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AR 조합 환경의 일부만이 가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AR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예를 들어, 조합 환경의 물리적 또는 비가상적 구성요소를 계속 관찰하기 위해) 물리적 환경에서 주변부 자극을 계속 수신하기를 원할 수 있다.
AR은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과 함께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AR 장치는 컴퓨터나 비디오 게임 콘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AR 장치에는 배터리 또는 기타 전원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AR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다양한 물리적 환경을 탐색할 수 있도록 최대의 움직임 자유를 제공할 수 있다.
VR과 AR의 이러한 주요 차이점은 다양한 유형의 웨어러블 전자 스크린으로 이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VR 장치의 사용자는 주변광을 차단하기를 원할 수 있으므로, 주변광이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전자 스크린의 하우징이 불투명할 수 있다. 그러나 AR 장치의 사용자는 실제 환경과 혼합된 가상 환경을 보고 싶어할 수 있다. AR 장치의 전자 스크린은 유사하게 사용자의 눈의 전측에서 지지될 수 있지만, AR 장치의 스크린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으며, 스크린은 불투명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불투명한 재료가 사용자의 시선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가상 환경이 동시에 존재하는 주변부 자극을 계속 수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실제 세상 환경을 볼 수 있는 투명한 스크린이 없는 일부 VR 장치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하우징 상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실제 세상 환경에 대한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여 AR로 구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한다.
또한, AR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은 VR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보다 더 움직일 수 있다(예를 들어, AR 사용자는 물리적 환경을 볼 수 및/또는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에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따라서, AR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은 이동(예를 들어, 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하면서 장치를 장기간 착용하기를 원할 수 있다. AR 장치상의 배터리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AR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및/또는 목을 불편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AR 장치를 장기간 착용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2.2.4 혼합 현실
혼합 현실(MR)은 AR과 유사하지만 MR 장치가 사용자에게 AR 장치보다 가상 객체 또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더 많은 방법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몰입할 수 있다. MR의 가상 현실은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과 중첩 및/또는 혼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AR과 달리, 사용자는 VR에서 발생하는 것과 유사한 가상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즉, AR은 물리적 환경에서 컴퓨터 생성 이미지만 표시할 수 있지만, MR은 사용자에게 동일하거나 유사한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표시하지만 물리적 환경에서 이미지와의 상호작용을 허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손을 사용하여 가상으로 생성된 개체를 "잡는다"). 따라서, 가상 환경은 물리적 환경과 더 병합되어 조합된 환경이 실제 환경을 더 잘 복제할 수 있다.
2.2.5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가상 환경에 대한 몰입 경험을 가질 수 있게 하고, 통신, 교육, 의료 및 외과 실습, 엔지니어링 및 비디오 게임과 같은 분야에서 광범위한 응용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서로 다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각각 다른 수준의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완전한 몰입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완전한 몰입 경험의 한 예는 가상 현실(VR)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AR 장치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부분적 몰입을 제공할 수도 있다.
VR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 앞에서 작동 위치에 고정되도록 배열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디스플레이 주위로 연장될 수 있고 하우징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찰 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안면과 맞물릴 수 있고 사용자 편안함을 위한 쿠션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디스플레이로부터 주변광을 차단하도록 광 밀봉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배치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더 포함한다.
다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완전한 몰입 경험보다 낮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가상 환경뿐만 아니라 물리적 환경의 요소를 경험할 수 있다. 완전한 몰입 경험보다 낮은 경험의 예로는 증강 현실(AR) 및 혼합 현실(MR)이 있다.
AR 및/또는 MR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 앞에서 작동 위치에 유지되도록 배열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이 디스플레이 유닛은 전형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한다. AR 및/또는 MR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배치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한다는 점에서 VR과 유사하다. 그러나, AR 및/또는 MR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는 디스플레이에서 주변광을 완전히 밀봉하는 쿠션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데, 이것은 완전한 몰입 경험보다 적은 물리적 환경 요소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대신, 증강 및/또는 혼합형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는 가상 환경과 조합한 물리적 환경을 볼 수 있게 한다.
모든 유형의 몰입형 기술에서,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장기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려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편안해야 한다. 또한, 부분적으로든 완전히 가상이든 간에, 완전히 물리적인 환경과 유사하거나 복제하는 환경을 생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머리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변경하여 변화하는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2.2.5.1 인터페이싱 구조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안면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인터페이싱 부분의 형상 및 구성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유효성 및 편안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설계는 다수의 과제를 제시한다. 안면은 복잡한 3차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코 및 머리의 크기와 형상은 개인간에 상당히 다르다. 머리는 골, 연골 및 연조직을 포함하기 때문에, 안면의 상이한 영역은 기계적 힘에 상이하게 반응한다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하나의 유형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부 주위로 연장되고, 사용자의 안면과의 대면 맞물림 시에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힘이 적용될 때 사용자의 안면에 대해 밀봉하도록 의도된다.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폴리우레탄(PU)으로 만들어진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인터페이싱 구조물이 있으면, 인터페이싱 구조물과 안면 사이에 갭들이 있을 수 있고, 바람직한 접촉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면에 대해 디스플레이 유닛을 눌러 댈 추가적 힘이 요구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혀 맞물리지 않는 영역은 안면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이 갭을 통해 바람직하지 않은 광 공해가 디스플레이 유닛 내로 침투할 수 있다 (특히, 가상 현실을 사용할 때). 광 공해 또는 "광 누출"은 사용자에 대한 전반적인 몰입 경험의 효율성 및 향유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전 시스템은 매우 다양한 머리 크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조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유닛 및 관련 안정화 구조물은 종종 비교적 무거울 수 있고, 세정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시스템의 편안함 및 사용성을 더욱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사용자의 안면에 대해 밀봉 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부의 일부 주위에 위치설정된 얇은 재료의 플랩 밀봉을 포함한다. 이전 스타일의 인터페이싱 구조물과 마찬가지로, 안면과 인터페이싱 구조물 사이의 정합이 양호하지 않으면,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힘이 요구될 수 있거나, 사용 시에 디스플레이 유닛 내로 광이 새어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형상이 사용자의 형상과 정합되지 않으면, 인터페이싱 구조물이 사용 시에 구겨지거나 찌그러져서 바람직하지 않은 광 투과를 일으킬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이 사용 시 안면과 맞물리는 위치의 설계 의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특징지어 질 수 있다. 일부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안면 맞물림 표면의 곡률의 호 너머로 돌출하는 사용자의 안면 영역과 맞물리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에는 전형적으로 사용자의 이마와 광대골이 포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국부적인 스트레스 지점에서 사용자가 불편할 수 있다. 다른 안면 영역은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의해 전혀 결합되지 않거나 또는 클램핑 압력의 변환 거리를 증가시키기에 불충분할 수 있는 무시할 수 있는 방식으로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전형적으로 사용자의 안면 측면 또는 사용자의 코에 인접하고 주변을 둘러싸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안면 형상과 인터페이싱 구조물이 일치하지 않는 정도까지는 적절한 접촉 또는 기타 관계가 형성되도록 인터페이싱 구조물 또는 관련 구성요소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한다.
2.2.5.2 위치설정 및 안정화
디스플레이 유닛을 그 정확한 작동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머리 상에 배치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물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또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중력에 대처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과거에는, 이러한 구조물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그 작동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인장 하에서 머리에 전형적으로 적용되는 팽창 가능한 강성 구조물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안면에 클램핑 압력을 가하는 경향이 있어 국부적인 응력 지점에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전 시스템은 넓은 적용 헤드 크기를 허용하도록 조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 및 관련된 안정화 구조물은 종종 무겁고, 세척하기 어려워서 시스템의 편안함 및 유용성을 더 제한한다.
특정의 다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본 분야에 기능적으로 부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 및 시각적 심미감을 위해 설계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안면 주위에 적합한 압력을 유지하는 구조적 능력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도한 클램핑 압력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불충분한 클램핑 압력은 디스플레이를 주변광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없다.
특정의 다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본 기술에서 불편하거나 비실용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장기간 사용되는 경우에 그렇다.
이러한 과제의 결과로서, 일부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눈에 거슬리는 것, 심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 비용이 많이 드는 것, 잘 피팅되지 않는 것, 사용하기 어려운 것, 및 특히 장기간 착용하거나 사용자가 시스템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 불편한 것 중 하나 이상을 겪는다. 잘못된 크기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편안함을 감소시키고, 결국 사용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상 환경의 완전한 몰입 경험을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싱 부분은 경험 동안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힘을 받는다.
2.2.5.3 재료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조립체에 사용되는 재료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접촉 부분을 위한 고밀도 폼(foam), 하우징을 위한 강성 쉘, 및 강성 플라스틱 클램핑 구조물로 형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재료는 재료에 의해 덮인 피부가 호흡하지 못하게 하는 것, 비가요성인 것, 세정하기 어려운 것, 박테리아를 포착하기 쉬운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단점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재료로 제조된 제품은 장기간 동안에 착용하기에 불편하고, 일부 개인에게는 피부 자극을 유발하며, 제품의 적용을 제한할 수 있다.
3. 기술의 간단한 개요
본 기술은 개선된 편안함, 비용, 효율성, 사용 용이성 및 제조 가능성 중 하나 이상을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지지, 안정화, 장착, 활용 및/또는 고정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제공하는 방향일 수 있다.
본 기술의 제1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지지, 안정화, 장착, 활용 및/또는 고정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지지, 안정화, 장착, 활용 및/또는 고정에 사용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3.1 측면 스트랩 부분 및 두정 부분 및 후두 스트랩 부분을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 및
사용 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자의 눈 전방에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후방에 배터리 팩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로서,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는, 후방 지지부; 및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상위 부분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상단 스트랩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은 배터리 팩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3.1.1 두정 스트랩 부분
일 예에서: (a) 두정 스트랩 부분의 위치는 상단 스트랩 부분에 관련하여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하거나; (b) 두정 스트랩 부분과 후두 스트랩 부분 사이의 각도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고/있거나; (c) 두정 스트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 아래에 놓이고/놓이거나; (d) 상단 스트랩 부분은 두정 스트랩 부분에 연결된 버클을 통과하고, 버클은 상단 스트랩 부분의 측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e) 버클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위치한다.
3.1.2 상단 스트랩 부분
추가 예에서: (a) 상단 스트랩 부분은 후두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고/되거나; (b) 상단 스트랩 부분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과 배터리 사이에서 길이가 조정 가능하고/하거나; (c) 상단 스트랩 부분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된 아일릿을 통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되고 루프 백되어 자체 고정되고/되거나; (d)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은 아일릿을 통해 통과되고 루프 백되어 자체 고정되고/되거나, (e) 사용자 지향 층은 아일릿을 통과하지 않고/않거나; (f) 직물 사용자 지향 층, 직물 외부 층, 및 사용자 지향 층과 외부 층 사이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을 포함하고/하거나; (g)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지향 층은 아일릿을 통해 통과되고 루프 백되어 자체 고정되고/되거나; (h) 상단 스트랩 부분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하고/하거나; (i) 상단 스트랩 부분은 층진 구성을 포함하고/하거나; (j) 상단 스트랩 부분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을 포함하고/하거나; (k)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의 전단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상단 스트랩 부분의 길이를 따라 이격되고/되거나; (l) 상단 스트랩 부분은 직물 사용자 지향 층을 포함하고/하거나; (m) 상단 스트랩 부분은 직물 외부 층을 포함하고/하거나; (n) 상단 스트랩 부분은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사용 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하기 위해 배터리 팩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고/하거나; (o) 전원 케이블은 상단 스트랩 부분 내부에 있고/있거나; (p) 전원 케이블은 사용자에 의해 상단 스트랩 부분의 내부를 통해 삽입 가능하고/하거나; (q) 전원 케이블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과 직물 외부 층 사이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을 통해 삽입 가능하다.
3.1.3 상단 스트랩 부분의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
추가 예에서: (a) 상단 스트랩 부분은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후방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전방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지 않도록 구성되고/되거나; (b)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과 상단 스트랩 부분의 전방 부분 사이에 굽힘부를 갖는 형상을 포함하고/하거나; (c)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곡률을 따르고 상단 스트랩 부분의 전방 부분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곡률로부터 벗어나도록 형상화되고/되거나; (d) 상단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에 관련하여 이격된 관계로 전방 부분을 지지하도록 강성화되고/되거나; (e) 상단 스트랩 부분의 전방 부분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향해 아래로 만곡되고/되거나; (f) 상단 스트랩 부분의 전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되거나; (g) 상단 스트랩 부분의 전방 부분은 후방 부분의 전단부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에 연결되고, 후방 부분의 전단부는 사용자의 머리의 앞머리 영역 후방에 위치하고/하거나; (h)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의 전단부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전두골 후방에 위치하고/하거나; (i)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의 전단부는 사용 시 사용자의 관상면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관상면은 사용자의 각각의 상이저점과 정렬되고/되거나; (j)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의 전단부는 사용 시 관상면의 후방에 위치하고/하거나; (k)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의 전단부는 사용 시 두정 스트랩 부분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3.1.4 배터리 팩
추가 예에서: (a) 배터리 팩은 상위 위치 및 하위 위치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고/되거나; (b) 배터리 팩은 상단 스트랩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고/되거나; (c) 배터리 팩은 후크-앤드-루프 연결에 의해 상단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고/되거나; (d) 하위 위치는 후두 스트랩 부분에 근접하고/하거나; (e) 하위 위치는 상단 스트랩 부분이 하위 위치와 후두 스트랩 부분 사이에서 변형하도록 후두 스트랩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있거나; (f) 배터리 팩은 배터리 팩의 상위 측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고 배터리 팩의 하위 측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고/되거나; (g) 배터리 팩은 하위 배터리 팩 스트랩 부분에 의해 후두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고/되거나; (h) 배터리 팩은 배터리 팩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포함된 복수의 셀을 포함하고/하거나; (i) 셀은 배터리 팩 하우징의 전방 벽으로부터 배터리 팩 하우징 내에서 등거리로 이격되고/되거나; (j) 하나 이상의 셀은 다른 하나 이상의 셀보다 배터리 팩 하우징의 전방 벽으로부터 더 이격되고/되거나; (k) 복수의 셀 각각은 배터리 팩 하우징의 전방 벽으로부터 이격되고/되거나; (l) 배터리 팩 하우징은 배터리 팩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무게 균형에 기여하도록 구성된 균형추를 포함하고/하거나; (m) 배터리 팩 하우징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고/되거나; (n)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패드와 패드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배터리 팩 하우징을 포함한다.
3.1.4.1 수직 배향 배터리 팩
추가 예에서: (a)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 시 배터리 팩을 수직 배향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b) 배터리 팩은 길이, 폭 및 깊이를 가지며 길이는 폭 및 깊이보다 길고/길거나; (c)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 시 배터리 팩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는 배향으로 배터리 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며/되거나; (d) 배터리 팩의 길이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과 정렬된다.
3.1.4.2 수평 배향 배터리 팩
추가 예에서: (a) 두정 스트랩 부분은 두정골과 후두골 사이의 접합부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사용시 사용자의 머리의 영역 위에 놓이도록 구성되고/되거나; (b) 두정 스트랩 부분과 측면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공통 평면에 놓이도록 구성되고/되거나; (c)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 시 배터리 팩을 수평 배향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d) 배터리 팩은 길이, 폭 및 깊이를 가지며 길이는 폭 및 깊이보다 길고/길거나; (e)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 시 배터리 팩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되는 배향으로 배터리 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며/되거나; (f) 배터리 팩의 길이는 사용 시 두정 스트랩 부분과 평행하게 정렬되고/되거나; (g) 배터리 팩은 두정 스트랩 부분에 연결된다.
3.1.5 추가 배터리 팩의 예
추가 예에서: (a) 배터리 팩은 상단 스트랩 부분 및/또는 두정 스트랩 부분에 의해 지지되고/되거나; (b)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배터리 팩과 후두 스트랩 부분 사이에서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정렬된 개구부를 포함하고/하거나; (c)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헤어가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되거나; (d) 후두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의 각각의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두 부분으로 형성되고/되거나; (e) 후두 스트랩 부분의 두 부분은 한 쌍의 연결 지점에서 서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 지점은 후두 스트랩 부분의 두 부분 중 각각의 하나에 제공되고/되거나; (f) 후두 스트랩 부분의 두 부분이 서로 연결될 때, 각각의 연결 지점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위치하거나 그 근처에 위치하고/하거나; (g) 연결 지점은 후두 스트랩 부분의 두 부분이 서로 연결될 때 사용 시 시상면의 측면으로 이격되고/되거나; (h)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2개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며, 각각의 배터리 팩은 후두 스트랩 부분의 두 부분 중 각각의 하나에 지지되고/되거나; (i) 배터리 팩은 사용 시 후두 스트랩 부분의 두 부분이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있고/하거나; (j) 후두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의 각각의 측면에 각각 위치한 두 부분으로 형성되고, 후두 스트랩 부분의 두 부분은 사용 시 서로 연결되지 않고, 후두 스트랩 부분의 두 부분의 내측 단부는 서로 이격되고 각각은 사용 시 시상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고/되거나; (k)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두 개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며, 각각의 배터리 팩은 후두 스트랩 부분의 두 부분 중 각각의 하나에 제공되고/되거나; (l)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놓이는 위치에 배터리 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m)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에 근접한 위치 및 사용자의 머리의 수직 회전축에 또는 근접한 위치에 배터리 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3.1.6 신축식 전원 케이블
추가 예에서: (a) 전원 케이블의 일부는 배터리 팩 내에 위치하고 배터리 팩으로부터 연장되고 신축될 수 있고/있거나; (b) 상단 스트랩 부분의 하나 이상의 층은 배터리 팩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전원 케이블과 함께 배터리 팩으로부터 연장되고 신축될 수 있고/있거나; (c)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은 배터리 팩 내에 위치하고 전원 케이블과 함께 배터리 팩으로부터 연장되고 신축될 수 있고/있거나; (d) 상단 스트랩 부분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은 배터리 팩 내에 위치하고 전원 케이블과 함께 배터리 팩으로부터 연장되고 신축될 수 있고/있거나; (e)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접촉 층은 배터리 팩과 사용자의 머리 사이에 위치하고/하거나; (f) 배터리 팩 내에 위치하는 전원 케이블의 부분 및 배터리 팩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상단 스트랩 부분의 하나 이상의 층은 배터리 팩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상단 스트랩 부분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배터리 팩 내에서 연장되고 내부로 신축될 수 있는 상단 스트랩 부분의 신축식 부분을 형성하고/하거나; (g) 신축식 부분은 신축식 부분의 위치가 배터리 팩에 관련하여 고정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련하여 복수의 사전결정된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있거나; (h) 신축식 부분은 배터리 팩에 관련하여 위치 범위 내에서 연속으로 이동될 수 있다.
3.1.7 아암
추가 예에서: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고, 측면 스트랩 부분 각각은 아암의 각각 하나에 연결되고/되거나;
-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한 쌍의 아암의 각각 하나의 후단부에 연결되고/되거나;
-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각각의 아암의 후단부에서 아일릿을 통과하여 자체로 다시 체결되고/되거나;
-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아암의 전단부에 근접한 한 쌍의 아암의 각각 하나에 연결되고/되거나;
-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각각의 아암의 후단부에서 또는 후단부에 근접하여 아일릿을 통해 그리고 아암의 전단부에 근접한 구멍을 통해 통과하여 아암에 체결되고/되거나;
-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아암의 측방 지향 측에 체결되고/되거나;
-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아암 내에서 자체 노출 부분에 체결되고/되거나;
- 아암의 후단부에 또는 이에 근접한 아일릿은 스트랩이 아일릿의 안/밖으로 스트랩에 관련하여 횡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부분적으로 개방되고/되거나;
- 각각의 아암은 덮개로 커버되고,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덮개에 체결되고/되거나;
- 각각의 아암은 직물 부분에 오버몰딩된 실질적으로 강성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한 쌍의 아암의 각각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관련하여 피봇할 수 있다.
3.1.8 조정 강성화기
추가 예에서:
-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후두 스트랩 부분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부재를 포함하고 후두 스트랩 부분의 길이를 줄이도록 구성된 조정 강성화기를 추가로 포함하고/하거나;
- 후두 스트랩 부분은 3개 이상의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을 포함하고, 조정 강성화기는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의 제1 쌍 및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의 제2 쌍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고, 조정 강성화기가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의 제1 쌍에 연결될 때, 후두 스트랩 부분은 제1 효과적인 길이를 갖고 조정 강성화기가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의 제2 쌍에 연결될 때 후두 스트랩 부분은 제1 효과적인 길이보다 긴 제2 효과적인 길이를 갖고/갖거나;
- 조정 강성화기가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의 제1 쌍에 연결될 때 조정 강성화기는 후두 스트랩 부분을 제1 효과적인 길이로 구속하고/하거나;
- 조정 강성화기는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조정 강성화기 연결 지점을 포함하고/하거나;
- 후두 스트랩 부분은 4개의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을 포함하고/하거나;
-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의 제2 쌍은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의 제1 쌍의 내측에 위치하고/하거나;
- 후두 스트랩 부분은 우측 부분으로부터 분리된 좌측 부분을 포함하고, 조정 강성화기는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조정 강성화기는 내측 강성화 부분 및 내측 강성화 부분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면 강성화 부분을 포함하고, 조정 강성화기 연결 지점은 측면 강성화 부분에 위치하고/하거나;
- 하나의 조정 강성화기 연결 지점은 각각의 측면 강성화 부분에 위치하고/하거나;
- 내측 강성화 부분은 사용자의 후두골 위에 놓여 그리고 사용자의 두정골 사이의 접합부 위에 놓여 사용되게 위치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내측 강성화 부분은 사용자의 두정골 사이의 접합부 위에 놓이고 후두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는 사용자의 전두골에서 또는 이에 근접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조정 강성화기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상단 스트랩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고/하거나;
- 조정 강성화기는 상단 스트랩 부분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을 형성하고/하거나;
- 조정 강성화기 상단 스트랩 부분 내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되거나;
- 조정 강성화기는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지향 층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되거나;
- 배터리 팩은 조정 강성화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전원 케이블은 조정 강성화기와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 사이에 사용되게 위치하고/하거나;
- 전원 케이블은 조정 강성화기와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 사이에 삽입 가능하고/하거나;
- 조정 강성화기는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지향 층에서 분리 가능하고/하거나;
- 조정 강성화기는 사용자 지향 층과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 사이에 삽입 가능하고/하거나;
- 조정 강성화기는 사용자 지향 층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조정 강성화기는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지향 층에 후크-앤드-루프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후크 재료를 포함하고/하거나;
- 전원 케이블은 조정 강성화기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되거나;
- 배터리 팩은 조정 강성화기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되거나;
- 조정 강성화기는 내측 강성 부분에 대한 측면 강성 부분의 연결부에서 또는 그 근접부에서 조정 강성화기가 구부러지도록 허용하는 한 쌍의 측면 강성화 부분 사이에 하부 컷아웃을 포함하고/하거나;
- 조정 강성화기는 측면 컷아웃에 근접하여 조정 강성화기가 구부러지도록 허용하는 측면 강성화 부분에 근접한 내측 강성화 부분의 대향 측면에 측면 컷아웃을 포함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지향 층은 조정 강성화기에 대응(예를 들어, 정렬)하는 컷아웃을 포함한다.
3.1.9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부
추가 예에서:
-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하기를 포함하는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제1 스트랩 부분 및 제2 스트랩 부분을 포함한다:
제2 스트랩 부분으로부터 제1 스트랩 부분의 사전결정된 분리 양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 및
제2 스트랩 부분으로부터 제1 스트랩 부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스트랩 부분을 제2 스트랩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
-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은 길이가 조정될 수 있고/있거나;
-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연결 지점에 자성적으로 부착하도록 구성된 자성 클립을 포함하고/하거나;
-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에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부를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에 위치하고/하거나;
- 각각의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부는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 두정 스트랩 부분 및 후두 스트랩 부분 사이의 접합부에 근접하여 위치하고/하거나;
-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후두 스트랩 부분에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부를 포함한다.
3.1.10 전원 케이블 스트랩 부분
추가 예에서: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배터리 팩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고/하거나;
- 전원 케이블은 사용 시 상단 스트랩 부분 내에 위치할 수 있고/있거나;
- 전원 케이블은 사용 시 상단 스트랩 부분 옆에 위치할 수 있고/있거나;
- 전력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전원 케이블 스트랩 부분에 부착된 케이블이고/이거나;
- 전원 케이블 스트랩 부분은 길이가 연장 가능하고 전원 케이블의 구불구불한 부분은 전원 케이블 스트랩 부분 및 전원 케이블의 구불구불한 부분이 길이가 연장될 수 있게 하는 구불구불한 패턴으로 전원 케이블 스트랩 부분에 부착되고/되거나;
- 전원 케이블은 두정 스트랩 부분에 부착된다.
3.1.11 강성 두정 및/또는 후두 스트랩 부분
추가 예에서:
- 두정 스트랩 부분은 층진 구성을 포함하고/하거나;
- 두정 스트랩 부분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하고/하거나;
- 두정 스트랩 부분은 사용자 접촉 층 및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을 포함하고/하거나;
- 두정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접촉 층은 직물 재료로 형성되고/되거나;
- 두정 스트랩 부분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의 전단부는 두정 스트랩 부분과 후두 스트랩 부분 사이의 접합부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하고/하거나;
- 후두 스트랩 부분은 층진 구성을 포함하고/하거나;
- 후두 스트랩 부분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하고/하거나;
- 후두 스트랩 부분은 사용자 접촉 층 및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을 포함하고/하거나;
- 후두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접촉 층은 직물 재료로 형성되고/되거나;
- 후두 스트랩 부분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의 전단부는 두정 스트랩 부분과 후두 스트랩 부분 사이의 접합부에 위치하거나 그 부근에 위치하고/하거나;
- 두정 스트랩 부분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은 후두 스트랩 부분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에 연결된다.
3.2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부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상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제1 스트랩 부분 및 제2 스트랩 부분은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부는:
제2 스트랩 부분으로부터 제1 스트랩 부분의 사전결정된 분리 양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 및
제2 스트랩 부분으로부터 제1 스트랩 부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스트랩 부분을 제2 스트랩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을 포함한다.
예에서:
-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은 길이가 조정될 수 있고/있거나;
-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연결 지점에 자성적으로 부착하도록 구성된 자성 클립을 포함하고/하거나;
-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에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부를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에 위치하고/하거나;
- 후방 지지부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부는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 두정 스트랩 부분 및 후두 스트랩 부분 사이의 접합부에 근접하여 위치하고/하거나;
-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후두 스트랩 부분에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부를 포함하고/하거나;
- 후두 스트랩 부분은 내측 후두 스트랩 부분과 내측 후두 스트랩 부분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한 스트랩 부분을 형성하고,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은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 및 내측 후두 스트랩 부분 사이에 연결되고/되거나;
-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은 내측 후두 스트랩 부분과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과 두정 스트랩 부분 사이의 접합부 사이를 연결하고/하거나;
-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측면 스트랩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아암과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 중 하나와 두정 스트랩 부분 사이의 접합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측면 스트랩 부분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을 형성한다.
3.3 상단 스트랩 부분의 전방 및 후방 부분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상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 및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상위 부분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상단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상단 스트랩 부분은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후방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전방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예에서: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과 상단 스트랩 부분의 전방 부분 사이에 굽힘부를 갖는 형상을 포함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곡률을 따르고 상단 스트랩 부분의 전방 부분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곡률로부터 벗어나도록 형상화되고/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에 관련하여 이격된 관계로 전방 부분을 지지하도록 강성화되고/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의 전방 부분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향해 아래로 만곡되고/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의 전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의 전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의 전방 부분은 후방 부분의 전단부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에 연결되고, 후방 부분의 전단부는 사용자의 머리의 앞머리 영역 후방에 위치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의 전단부는 사용 시 사용자의 전두골 후방에 위치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의 전단부는 사용 시 사용자의 관상면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관상면은 사용자의 각각의 상이저점과 정렬되고/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의 전단부는 사용 시 관상면의 후방에 위치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의 후방 부분의 전단부는 사용 시 두정 스트랩 부분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추가 예에서:
- 상단 스트랩 부분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배터리 팩 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 상단 스트랩 부분은 길이가 조정 가능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연결된 아일릿을 통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되고 루프 백되어 자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지향 층은 아일릿을 통해 통과되고 루프 백되어 자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은 아일릿을 통과하지 않고/않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층진 구성을 포함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을 포함하고/하거나;
-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의 전단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상단 스트랩 부분의 길이를 따라 이격되고/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직물 사용자 지향 층을 포함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직물 외부 층을 포함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사용 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하기 위해 배터리 팩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고/하거나;
- 전원 케이블은 상단 스트랩 부분 내부에 있고/있거나;
- 전원 케이블은 사용자에 의해 상단 스트랩 부분의 내부를 통해 삽입 가능하고/하거나;
- 전원 케이블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과 직물 외부 층 사이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을 통해 삽입 가능하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
사용 시 작동 가능한 위치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후방에 배터리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양태 또는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한다.
3.4 전원 케이블 관리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및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로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 위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과 배터리 팩을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한다.
예에서:
- 전원 케이블은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주변부 외측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으로 진입하고;
-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은 후방 지향 측 및 후방 지향 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후방 지향 측은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주변보다 더 크고, 전원 케이블은 후방 지향 측의 개구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진입하고;
- 개구부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주변의 내부에 있고;
- 개구부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주변에 있고;
- 후방 지향 측은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둥근 형상을 포함하고, 후방 지향 측 개구부는 후방 지향 측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너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내에서 전원 케이블의 위치설정 및/또는 지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원 케이블 유지 특징부를 포함하고;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2개의 전원 케이블 유지 특징부를 포함하고;
- 전원 케이블 유지 특징부는 전원 케이블 이 통과하는 환형 형상의 강성 부분이고;
-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는 후방 지지부;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 및
배터리 팩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상위 부분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상단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전원 케이블은 배터리 팩으로부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상단 스트랩 부분을 따라 연장되고/되거나;
- 전원 케이블은 배터리 팩으로부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두정 스트랩 부분 및 측면 스트랩 부분 중 하나를 따라 연장되고/되거나;
- 전원 케이블은 자신의 측면 지향 측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되고/되거나;
- 전원 케이블은 후두 스트랩 부분 및 측면 스트랩 부분 중 하나를 따라 연장되고/되거나;
- 전원 케이블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과 배터리 팩 사이의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느슨한 부분을 포함한다.
3.5 인터페이싱 구조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 위의 작동 위치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둥근 단면을 갖는 탄성 및 가요성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은 반경 방향 외측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 방향 내측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부분으로 만곡하는 전방 부분을 포함하고, 후방 부분의 후방 대면 표면은 사용자 접촉 표면을 제공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둥근 단면을 갖는 탄성 및 가요성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은 반경 방향 외측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 방향 내측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부분으로 만곡하는 전방 부분을 포함하고, 후방 부분의 후방 대면 표면은 사용자 접촉 표면을 제공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로 구성 및 배열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둥근 단면을 갖는 탄성 및 가요성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은 반경 방향 외측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부분을 포함한다.
예에서: (a) 안면 맞물림 부분은 사용 시 후방 부분이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는 쪽으로 바이어싱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b) 안면 맞물림 부분은 폐쇄된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폐루프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c) 안면 맞물림 부분은 제1 폐루프 부분 및 제2 폐루프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d) 제1 폐루프 부분과 제2 폐루프 부분이 사용 시 사용자의 코의 양쪽에 제공되고/되거나; (e) 제1 폐루프 부분과 제2 폐루프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뺨 가까이에 제공되고/되거나; (f) 안면 맞물림 부분은 주위에서 구부러지고 자체적으로 중첩되어 적어도 하나의 폐루프 부분을 제공하고/하거나; (g) 안면 맞물림 부분은 베이스 부분과 루프 플랜지를 포함하는 루프 부분을 포함하고, 루프 플랜지는 베이스 부분과 중첩하여 폐루프 부분을 제공하고/하거나; (h) 루프 부분은 전방 위치에서 후방 위치로 연장되고/되거나; (i) 루프 부분의 단면은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에서 점점 좁아지고/지거나; (j) 루프 부분은 전방 위치와 루프 플랜지 사이에서 아치형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k) 루프 플랜지는 베이스 부분의 전방 대면 표면과 겹쳐지고/지거나; (l) 루프 플랜지가 베이스 부분에 고정되고/되거나; (m) 베이스 부분과 루프 부분은 단일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되고/되거나; (n)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안면 맞물림 부분의 뺨 부분 사이에 걸쳐 있는 차광 코 부분을 포함하고, 차광 코 부분은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사용자 코의 코 앞부분에서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 부분을 포함하고, 차광 코 부분은 비강 부분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콧등 부분 및 제2 콧등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1 콧등 부분과 제2 콧등 부분은 그 사이에 슬롯을 가지며, 슬롯은 차광 코 부분의 후방 에지로부터 비강 부분쪽으로 연장되고, 제1 콧등 부분과 제2 콧등 부분이 사용 시 사용자의 콧등 양쪽에 놓이도록 구성되고/되거나; (o)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폼 쿠션을 포함하고, 후방 부분은 폼 쿠션 위로 연장되고/되거나; (p) 안면 맞물림 부분은 안면 맞물림 부분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대면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쿠션 지지 플랜지를 포함하고/하거나; (q) 폼 쿠션은 쿠션 지지 플랜지와 후방 부분 사이에 제공되고/되거나; (r) 안면 맞물림 부분은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의 영역 각각은 각각의 단면 두께를 갖고/갖거나; (s) 안면 맞물림 부분은 이마 부분, 2개의 뺨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접형골 영역에 근접하고 이마 부분을 각각의 뺨 부분에 연결하는 2개의 측면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t) 안면 맞물림 부분의 복수의 영역은: 안면 맞물림 부분의 내주 둘레로 연장되는 제1 영역; 안면 맞물림 부분의 외주 둘레로 연장되는 제2 영역;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안면 맞물림 부분의 내주 둘레로 연장되는 제3 영역; 제1 영역 및 제3 영역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각 뺨 부분의 제4 영역을 포함하고/하거나; (u) 제1 영역은 이마 부분의 후방 이마 부분을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의 내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되거나; (v) 제3 영역은 이마 부분의 상부 이마 부분을 포함하고, 이마 부분의 중심을 넘어 전방 이마 부분으로 연장되고/되거나; (w) 제2 영역은 각각의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부 이마 부분을 향해 각각 연장되는 상부 측면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x) 제2 영역은 외주 이마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y) 제1 영역은 제4 영역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고/갖거나; (z) 제4 영역은 제3 영역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고/갖거나; (aa) 제3 영역은 제2 영역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고/갖거나; (ab) 전후 방향의 제1 영역의 폭은 뺨 부분 또는 측면 부분보다 이마 부분을 통해 더 크고/크거나; (ac) 전후 방향으로의 제2 영역의 폭은 뺨 부분에서보다 이마 부분을 통해 더 크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 위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강성 지지부 및 강성 지지부에 제공된 가요성 및 탄성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은 둥근 단면을 갖는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로 구성 및 배열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강성 지지부 및 강성 지지부에 제공된 가요성 및 탄성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은 둥근 단면을 갖는다.
예에서: (a) 안면 맞물림 부분은 지지 플랜지 및 안면 맞물림 표면을 갖는 일체형 안면 맞물림 플랜지를 포함하고/하거나; (b) 안면 맞물림 부분의 중첩 부분은 강성 지지부에 고정되고/되거나; (c) 강성 지지부는 위치지정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d) 안면 맞물림 부분은 사용자의 안면 방향으로 안면 맞물림 부분에 바이어싱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싱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e) 바이어싱 부분은 스프링을 포함하고/하거나; (f) 바이어싱 부분은 위치지정 부분 내에 수용되고/되거나; (g) 안면 맞물림 부분은 강성 지지부와 안면 맞물림 플랜지 사이에 콘서티나 섹션(concertina section)을 포함한다.
추가 예에서: (a)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탄성 및 가요성 안면 맞물림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폼 부분을 포함하고, 폼 부분은 안면 맞물림 표면을 제공하고/하거나; (b) 폼 부분은 안면 맞물림 플랜지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되거나; (c) 폼 부분은 안면 맞물림 플랜지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고/되거나; (d) 폼 쿠션은 직물-폼 복합재, 뭉친 폼(flocked foam), 또는 생 폼(raw foam) 중 하나를 포함한다.
추가 예에서: (a)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탄성 및 가요성 안면 맞물림 부분에 제공되는 직물 층을 포함하고, 직물 층은 안면 맞물림 표면을 제공하고/하거나; (b) 직물 층은 안면 맞물림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고/되거나; (c) 직물 층은 안면 맞물림 부분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 위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많은 강성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은 폼 쿠션 및 폼 쿠션 위에 탄성 커버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많은 강성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은 폼 쿠션 및 폼 쿠션 위의 탄성 커버를 포함한다.
예에서: (a) 안면 맞물림 부분은 지지 플랜지, 및 지지 플랜지로부터 연장되는 쿠션 지지 플랜지를 포함하고/하거나; (b) 폼 쿠션은 쿠션 지지 플랜지 상에 제공되고/되거나; (c) 쿠션 커버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고/되거나; (d) 쿠션 커버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쿠션 커버는 지지 플랜지 및 쿠션 지지 플랜지와 일체로 형성되고(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됨)/되거나; (e) 쿠션 커버는 쿠션 지지 플랜지에 도달할 때까지 폼 쿠션 주위로 연장되지 않고/않거나; (f) 쿠션 지지 플랜지는 강성 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쿠션 커버보다 더 강성의 재료로 만들어지고/지거나; (g) 쿠션 커버는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한 쿠션 지지 플랜지 상의 위치로부터 연장되고/되거나; (h) 안면 맞물림 부분은 강성 지지부에 고정된 중첩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i) 쿠션 커버는 폼 쿠션 및 지지 플랜지에 오버레이하고/하거나; (j) 쿠션 커버의 에지는 강성 지지부에 근접하게 위치하고/하거나; (k) 쿠션 커버는 강성 지지부에 연결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 위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안면 맞물림 표면에 원하는 레벨의 강성 및/또는 완충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가변 두께를 포함하는 단일 구성요소로 일체로 형성된 지지 구조물 및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안면 맞물림 표면에 원하는 레벨의 강성 및/또는 완충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가변 두께를 포함하는 단일 구성요소로 일체로 형성된 지지 구조물 및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한다.
예에서: (a)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이마 부분, 2개의 뺨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 접형골 영역에 근접하고 이마 부분을 각각의 뺨 부분에 연결하는 2개의 측면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b) 탭은 각각의 뺨 부분의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되고/되거나; (c)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내주부 주위로 연장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하거나; (d)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외주부 주위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하거나; (e)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설정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내주부 주위로 연장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하거나; (f)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제1 영역 및 제3 영역에 의해 한정된, 각각의 뺨 부분의 제4 영역을 포함하고/하거나; (g) 제1 영역은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내주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이마 부분에서 후방 이마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h) 제3 영역은 전방 이마 부분내로 이마 부분의 중앙 위로 연장되는, 이마 부분의 상위 이마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i) 제2 영역은 각각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위 이마 부분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위 측면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j) 제2 영역은 외주부 이마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k) 제1 영역은 제4 영역보다 더 큰 두께를 갖고/갖거나; (l) 제4 영역은 제3 영역보다 더 큰 두께를 갖고/갖거나; (m) 제3 영역은 제2 영역보다 더 큰 두께를 갖고/갖거나; (n) 제1 영역은 1.9 mm와 2.3 mm 사이의 두께를 갖고/갖거나; (o) 제1 영역은 약 2 mm의 두께를 갖고/갖거나; (p) 제4 영역은 1.4 mm와 1.8 mm 사이의 두께를 갖고/갖거나; (q) 제4 영역은 약 1.5 mm의 두께를 갖고/갖거나; (r) 제2 영역은 0.9 mm와 1.2 mm 사이의 두께를 갖고/갖거나; (s) 제2 영역은 약 1 mm의 두께를 갖고/갖거나; (t) 제3 영역은 0.4 mm와 0.8 mm 사이의 두께를 갖고/갖거나; (u) 제3 영역은 약 0.7 mm의 두께를 갖고/갖거나; (v) 제1 영역의 폭은 뺨 부분, 또는 측면 부분보다 이마 부분을 통해 더 넓고/넓거나; (w) 제2 영역의 폭은 뺨 부분에서보다 이마 부분에 걸쳐 더 크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 위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는 쪽으로 바이어싱되도록 구성된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는 쪽으로 바이어싱되도록 구성된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한다.
예에서: (a) 안면 맞물림 부분의 선택된 영역만이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는 쪽으로 바이어싱되고/되거나; (b)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하중해제(unload) 시에, 안면 맞물림 부분이 맞물리도록 의도된 사용자의 안면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각도로 안면 맞물림 부분의 영역이 사용자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상화되고/되거나; (c) 사용자의 안면의 통상적으로 리세스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인터페이스 부분은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는 쪽으로 안면 맞물림 플랜지를 바이어싱하도록 형상화되고/되거나; (d) 사용자의 안면의 통상적으로 돌출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인터페이스 부분은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는 쪽으로 안면 맞물림 플랜지를 바이어싱하지 않도록 형상화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 위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기류가 인터페이싱 구조물과 사용자 사이의 공간으로 허용하도록 구성된 섀시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기류가 인터페이싱 구조물과 사용자 사이의 공간으로 허용하도록 구성된 섀시를 포함한다.
예에서: (a) 섀시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하거나; (b) 섀시는 측면 개구부, 상위 개구부, 및 하위 개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하거나, (c) 섀시는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메인 섀시 부분, 및 일반적으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측면 섀시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d) 섀시는 메인 섀시 부분과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하거나; (e)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고, 공기 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과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사이에 제공되고/되거나; (f) 섀시는 메인 섀시 부분과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 사이에 보강부를 포함하고/하거나; (g) 섀시는 메인 섀시 부분과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 사이에 걸쳐 있는 하나 이상의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하거나; (h)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i) 안면 맞물림 부분은 섀시와 일체형이다.
3.6 전두 지지부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상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전두골 위에 놓인 위치에서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전두 지지부를 포함하고;
전두 지지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된다.
3.6.1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전두 지지부 연결
예에서:
-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전두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에 연결된 전두 커넥터를 포함하고/하거나;
- 전두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위치하고/하거나;
- 전두 커넥터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고/되거나;
- 가요성 재료는 열가소성 재료 같은 가요성 비탄성 재료를 포함하고/하거나;
- 가요성 재료는 실리콘, TPE 또는 탄성 직물 스트랩 중 하나와 같은 탄성 재료를 포함하고/하거나;
- 전두 커넥터는 열가소성 재료 같은 실질적으로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3.6.2 후방 지지부에 대한 전두 지지부 연결
추가 예에서:
-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전두 지지부와 후방 지지부 사이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측면 커넥터를 포함하고/하거나;
- 후방 지지부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측면 커넥터 각각은 후두 스트랩 부분에 근접한 후방 지지부의 각각의 측면에 연결되거나, 후두 스트랩 부분의 각각의 측면에 연결되고/되거나;
- 각각의 측면 커넥터는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하고/하거나;
- 각각의 측면 커넥터는 길이가 조정 가능하고/하거나;
- 각각의 측면 커넥터는 전두 지지부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후방 지지부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고/하거나;
- 각각의 측면 커넥터는 스냅 버튼, 클립 또는 후크-앤드-루프 연결에 의해 후방 지지부에 연결되고/되거나;
- 각각의 측면 커넥터는 전두 지지부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고 후방 지지부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고/하거나;
- 각각의 측면 커넥터는 전두 지지부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고 후방 지지부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3.6.3 아암에 대한 전두 지지부 연결
추가 예에서: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고, 측면 스트랩 부분 각각은 아암의 각각 하나에 연결되고/되거나;
-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한 쌍의 아암의 각각 하나의 후단부에 연결되고/되거나;
-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각각의 아암의 후단부에서 아일릿을 통과하여 자체로 다시 체결되고/되거나;
- 한 쌍의 아암의 각각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관련하여 피봇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전두 지지부와 한 쌍의 아암 중 각각 하나 사이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측면 커넥터를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측면 커넥터는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하고/하거나;
- 각각의 측면 커넥터는 길이가 조정 가능하고/하거나;
- 각각의 측면 커넥터는 전두 지지부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아암 중 각각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고/하거나;
- 각각의 측면 커넥터는 스냅 버튼, 클립 또는 후크-앤드-루프 연결에 의해 아암 중 각각 하나에 연결되고/하거나;
- 각각의 측면 커넥터는 전두 지지부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고 아암의 각각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고/하거나;
- 각각의 측면 커넥터는 전두 지지부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고 아암 중 각각 하나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3.7 헤어 스트랩 부분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상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
사용 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방 지지부; 및
후방 지지부에 연결된 헤어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헤어 스트랩 부분은 사용자의 머리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으로부터 내려오는 헤어 사이에 사용 시 위치설정 가능하다.
예에서:
- 하나 이상의 전방 지지부는 후방 지지부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헤어 스트랩 부분은 후방 지지부의 각각의 측면에 연결된 한 쌍의 단부를 포함하고/하거나;
- 헤어 스트랩 부분의 각각의 단부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프랑크포트 수평면(Frankfort horizontal plane)에 근접하여 위치하고/하거나;
- 헤어 스트랩 부분은 한쪽 단부 또는 양쪽 단부에서 후방 지지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고/하거나;
- 헤어 스트랩 부분은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좌측 스트랩 부분 및 우측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좌측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근접한 우측 스트랩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되거나;
- 헤어 스트랩 부분은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하고/하거나;
- 헤어 스트랩 부분은 실질적으로 연장 불가능하고/하거나;
- 후방 지지부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헤어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후두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고/되거나;
- 헤어 스트랩 부분은 후두 스트랩 부분의 단부에 근접한 후두 스트랩 부분에 연결된다.
3.8 내향으로 바이어싱된 인터페이싱 구조물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메인 섀시 부분, 및 일반적으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측면 섀시 부분을 포함하는 섀시;
섀시의 주변에 연결되고,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측면 섀시 부분의 각각은 사용자의 접형골에서 또는 그에 근접하여 사용자의 머리의 각 측면에서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도록 안면 맞물림 부분을 바이어싱하도록 사용자의 머리 쪽으로 내측으로 바이어싱된다.
예에서:
- 섀시는 측면 섀시 부분이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펼쳐진 구성으로 측방향으로 확산되게 하고 사용 시 펼쳐지지 않은 구성을 향해 내측으로 바이어싱되게 가요성이고/이거나;
- 측면 섀시 부분은 측면 섀시 부분이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펼쳐진 구성으로 측방향으로 확산되게 하고 사용 시 펼쳐지지 않은 구성을 향해 내측으로 바이어싱되게 메인 섀시 부분에 대해 구부러지거나 피봇하도록 가요성이고/이거나;
- 측면 섀시 부분은 측면 섀시 부분이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펼쳐진 구성으로 측방향으로 확산되게 하고 사용 시 펼쳐지지 않은 구성을 향해 내측으로 바이어싱되게 메인 섀시 부분에 대해 구부러지거나 피봇할 수 있고,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은 바이어싱 구성요소에 의해 내측으로 바이어싱되고/되거나;
- 바이어싱 구성요소는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을 내측으로 당기도록 구성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고/하거나;
- 바이어싱 구성요소는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을 내측으로 밀도록 구성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고/하거나;
- 안면 맞물림 부분은 안면 맞물림 플랜지를 포함하고/하거나;
- 안면 맞물림 플랜지는 섀시로부터 내향으로 만곡하고/하거나;
- 안면 맞물림 플랜지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되거나;
- 섀시는 메인 섀시 부분과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하거나;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고, 공기 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과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사이에 제공된다.
3.9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연결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싱 구조물;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상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 및
후방 지지부에 연결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을 포함한다.
3.10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섀시의 측면들을 내향으로 당긴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및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메인 섀시 부분, 및 메인 섀시 부분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일반적으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섀시 부분을 포함하는 섀시;
섀시의 주변에 연결되고,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상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
사용 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사용 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측면 섀시 부분이 측면 스트랩 부분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 쪽으로 내측으로 압박되어 안면 맞물림 부분이 사용자 접형골에 또는 이에 근접하여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에서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게 하도록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된다.
예에서:
-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측면 섀시 부분의 각각 하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을 뒤쪽으로 당겨서 측면 섀시 부분이 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피봇하도록 하여 안면 맞물림 부분이 사용자의 접형골에서 또는 이에 근접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을 내측으로 밀어서 측면 섀시 부분이 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피봇하도록 하여 안면 맞물림 부분을 압박하여 사용자의 접형골에서 또는 이에 근접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실질적으로 강성 부재를 통해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을 내측으로 밀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후방 지지부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전방 지지부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 측면에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상부 측면 스트랩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 측면에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하부 측면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상부 측면 스트랩 부분은 상위 및 후방 구성요소 둘 모두를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힘을 적용하도록 각각 구성되고/되거나;
- 하부 측면 스트랩 부분은 자성 연결을 갖는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각각 구성되고/되거나;
- 후방 지지부는 사용자 두개골의 두정골 위에 놓이는 상위 부분 및 사용자 두개골의 후두골 위에 놓이는 하위 부분을 갖는 루프 스트랩 부분을 포함한다.
3.11 2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 위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섀시 및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섀시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섀시 및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섀시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예에서: (a) 안면 맞물림 부분의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부분(들)은 섀시에 대한 개별 위치에 제공될 수 있고/있거나; (b)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부분(들)은: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이마 영역, 및/또는 하나 이상의 뺨 영역 중 하나 이상에 제공될 수 있고/있거나; (c)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부분(들)은 섀시의 전체 주변, 또는 적어도 이의 상당한 부분에 제공될 수 있고/있거나; (d)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부분(들)은: 폼 재료, 엘라스토머 재료, 직물 재료, 및 복합재 재료 중 하나 이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있거나; (e)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안면 맞물림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폼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f) 적어도 하나의 폼 부분은 엘라스토머 부분이 안면 맞물림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폼 부분을 커버하도록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고/있거나; (g) 적어도 하나의 폼 부분은 섀시, 엘라스토머 부분, 또는 섀시 및 엘라스토머 부분 둘 모두에 부착될 수 있고/있거나; (h)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안면 맞물림 부분의 일부는 섀시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있거나; (i) 안면 맞물림 부분의 영구적으로 부착된 부분의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공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부분이 섀시에 관하여 위치설정되고 부착될 수 있다.
3.12 하우징 아암 내부의 측면 아암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의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싱 구조물;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고, 각각의 아암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아암의 각각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측면 스트랩 부분의 각각 하나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은 주변부를 갖는 후방측을 갖고, 아암의 각각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후방측의 주변부 내에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이에 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예에서:
-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주변부를 갖고, 아암의 각각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후방측의 주변부와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주변부 사이에 위치하고/하거나;
- 아암의 각각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측면 스트랩 부분의 각각 하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아일릿을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아암의 아일릿은 각각의 아암의 후단부에 또는 이에 근접하게 위치하고/하거나;
- 한 쌍의 아암의 각각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관련하여 피봇할 수 있고/있거나;
- 아암의 각각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수직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아암의 각각은 적어도 9도의 각도 범위를 통해 피봇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각도 범위는 적어도 19도이이다.
추가 예에서:
- 아암의 각각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관련한 피봇 움직임에 대해 사전결정된 저항을 갖고/갖거나;
- 각각의 아암은 복수의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 사이에서 피봇하도록 구성되고, 피봇 움직임에 대해 사전결정된 저항은, 아암이 하나의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에서 다른 배향으로 피봇할 수 있기 전에 극복되도록 요구되고/되거나;
- 각각의 아암은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 사이에서 아암의 피봇팅 동안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복수의 제2 맞물림 특징부와 연속으로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아암은 단일 제1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아암은 복수의 제1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맞물림 특징부는 한번에 각각 하나의 제2 맞물림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아암의 피봇팅 동안에 제2 맞물림 특징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각각의 아암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나 이상의 제2 맞물림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2 맞물림 특징부는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 사이에서 아암의 피봇팅 동안에 제2 맞물림 특징부와 연속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제1 맞물림 특징부는 돌기이고 제2 맞물림 특징부는 리세스이고/이거나;
- 제1 맞물림 특징부는 리세스이고, 제2 맞물림 특징부는 돌기이다.
추가 예에서:
- 각각의 아암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허브 부분과 허브 부분에서 연장되는 긴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아암의 하나 이상의 제1 맞물림 특징부는 아암의 긴 부분에 제공되고/되거나;
- 각각의 아암은 하나 이상의 제1 맞물림 특징부가 아암의 피봇팅 동안 제2 맞물림 특징부 사이에서 연속으로 움직이도록 변형되게 구성되고/되거나;
- 각각의 아암은 하나 이상의 제1 맞물림 특징부가 제2 맞물림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바이어싱되도록 제2 맞물림 특징부 쪽으로 아암의 긴 부분을 바이어싱시키도록 구성된다.
추가 예에서:
- 각각의 아암의 하나 이상의 제1 맞물림 특징부는 원형 배열로 아암의 허브 부분에 제공되고 아암의 피봇 지점을 중심으로 허브 부분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각각의 아암의 제1 맞물림 특징부는 피봇 지점에서 멀어지게 반경 방향으로 향하고, 제2 맞물림 특징부는 피봇 지점 쪽으로 반경 방향으로 향하고/하거나;
- 각각의 아암의 제1 맞물림 특징부는 피봇 지점 쪽으로 반경 방향으로 향하고 제2 맞물림 특징부는 피봇 지점에서 반경 방향으로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고/하거나;
- 제1 맞물림 특징부는 허브 부분의 변형 가능한 부분에 제공되며, 변형 가능한 부분은 아암이 피봇될 때 제1 맞물림 특징부가 제2 맞물림 특징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이도록 변형되게 구성되고/되거나;
- 허브 부분은 아암에 대해 상승되고 변형 가능한 부분과 제1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는 상승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승된 부분은 각각의 변형 가능한 부분에 인접한 구멍을 포함하고, 구멍은 변형 가능한 부분 및 제1 맞물림 특징부가 구멍쪽으로 변형되도록 허용하여, 아암이 피봇될 때 제1 맞물림 특징부가 제2 맞물림 특징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하거나;
- 각각의 변형 가능한 부분은 그 위에 제1 맞물림 특징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 아암 부분을 포함하며, 캔틸레버 아암 부분은 아암이 피봇될 때 제1 맞물림 특징부가 제2 맞물림 특징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이도록 변형되게 구성되고/되거나;
- 각각의 캔틸레버 아암 부분은 그 단부에 단일 제1 맞물림 특징부를 가지고 있고/있거나;
- 각각의 캔틸레버 아암 부분은 여러 개의 제1 맞물림 특징부를 가지고 있고/있거나;
- 상승된 부분은 S자 형상이고/이거나;
- 아암의 제1 맞물림 특징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스냅-끼워맞춤 연결을 형성하여 아암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한다.
추가 예에서:
- 제1 맞물림 특징부는 아암의 허브 부분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고 아암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2 맞물림 특징부 쪽으로 향하고/하거나;
- 허브 부분은 아암이 피봇될 때 제1 맞물림 특징부가 제2 맞물림 특징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맞물림 특징부로부터 멀리 움직이게 아암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허브 부분은 스프링에 의해 제2 맞물림 특징부 쪽으로 바이어싱된다.
추가 예에서:
- 아암의 각각은, 각각의 아암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관련하여 피봇하기 위해 사전결정된 정적 토크 저항이 극복되어야 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연결되고/되거나;
- 사전결정된 정적 토크 저항은 정적 마찰에 의해 제공되고/되거나;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한 쌍의 마찰 링을 포함하고, 마찰 링 각각은 각각의 아암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관련하여 피봇하기 위해 극복하도록 요구받는 정적 마찰을 제공하기 위해 아암의 각각의 하나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내의 인접한 표면과 접촉하도록 장착되고/되거나;
- 각각의 마찰 링은 각각의 아암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된 그리고 아암이 장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된 마찰 링 공동 내에 위치하고/하거나;
- 각각의 아암은 한 쌍의 아암 장착부의 각각 하나에 부착되고/되거나;
- 아암의 각각은 한 쌍의 아암 장착부의 각각 하나에 부착되고,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대향 측면 상의 한 쌍의 측면 부분을 포함하고, 아암 장착부 각각은 측면 부분의 각각 하나의 내측 측면에 부착되고/되거나;
- 아암의 각각은 각각의 아암 장착부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각각의 측면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하거나;
- 아암의 각각은 장축 및 단축을 포함하는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아암은 단축보다 장축에서 더 크고,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아암의 길이를 따른 소정 지점에서, 장축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배향되고/되거나;
-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아암의 길이를 따른 소정 지점에서, 횡단면 형상의 장축은 사용 시 초내측-하외측 배향을 갖고/갖거나;
- 아암의 각각은 횡단면의 장축이 아암의 길이를 따라 배향을 변경하도록 형상화되고/되거나;
-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각각의 아암의 길이를 따른 소정 지점에서, 장축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추가 예에서: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한 쌍의 전자장치 볼륨을 포함하며, 각각의 전자장치 볼륨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고 아암 중 각각의 하나에 근접하며, 각각의 전자장치 볼륨은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아암은 피봇 지점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허브 부분과 허브 부분에서 연장되는 긴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긴 부분은 전자장치 볼륨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구부러져 있고/있거나;
- 각각의 아암은 측면 스트랩 부분과 연결하기 위한 아일릿을 포함하며, 긴 부분은 아일릿과 피봇 지점을 통해 축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오프셋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전자장치 볼륨은 센서, 배터리, 프로세서 또는 오디오 스피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3.13 측면 스트랩 부분에 연결된 탄성 연결 요소가 있는 아암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의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싱 구조물;
한 쌍의 아암, 여기에서 각각의 아암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아암의 각각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측면 스트랩 부분의 각각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직접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한 쌍의 탄성 커넥터를 포함하고, 각각의 탄성 커넥터는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을 각각의 아암에 연결하는 탄성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탄성 커넥터는 측면 스트랩 부분과 아암 사이의 탄성 연결을 유지하면서 측면 스트랩 부분이 아암에 직접 부착되지 않을 때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착용 및 벗는 동안 신장되도록 구성된다.
예에서:
- 각각의 아암은 허브 부분과 긴 부분을 포함하며, 탄성 커넥터는 탄성 커넥터 연결 지점에서 긴 부분에 연결되고/되거나;
- 각각의 아암은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아암의 후단부에 아일릿을 포함하고/하거나;
- 탄성 커넥터 연결 지점은 아일릿의 전방에 있고/있거나;
- 각각의 탄성 커넥터는 각각의 아암에 영구적으로 연결되고/되거나;
- 각각의 탄성 커넥터는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3.14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을 통해 피봇하도록 구성된 아암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의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싱 구조물;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고, 각각의 아암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아암의 각각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측면 스트랩 부분의 각각 하나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아암은 복수의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대하여 피봇하도록 구성되고, 피봇 움직임에 대해 사전결정된 저항은, 아암이 하나의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에서 다른 배향으로 피봇할 수 있기 전에 극복되도록 요구된다.
예에서:
-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은 주변부를 갖는 후방측을 갖고, 아암의 각각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후방측의 주변부 내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고/되거나;
- 각각의 아암은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 사이에서 아암의 피봇팅 동안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복수의 제2 맞물림 특징부와 연속으로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아암은 단일 제1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아암은 복수의 제1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맞물림 특징부는 한번에 각각 하나의 제2 맞물림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아암의 피봇팅 동안에 제2 맞물림 특징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각각의 아암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나 이상의 제2 맞물림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2 맞물림 특징부는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 사이에서 아암의 피봇팅 동안에 제2 맞물림 특징부와 연속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제1 맞물림 특징부는 돌기이고 제2 맞물림 특징부는 리세스이고/이거나;
- 제1 맞물림 특징부는 리세스이고, 제2 맞물림 특징부는 돌기이다.
추가 예에서:
- 각각의 아암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허브 부분과 허브 부분에서 연장되는 긴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아암의 하나 이상의 제1 맞물림 특징부는 아암의 긴 부분에 제공되고/되거나;
- 각각의 아암은 하나 이상의 제1 맞물림 특징부가 아암의 피봇팅 동안 제2 맞물림 특징부 사이에서 연속으로 움직이도록 변형되게 구성되고/되거나;
- 각각의 아암은 하나 이상의 제1 맞물림 특징부가 제2 맞물림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바이어싱되도록 제2 맞물림 특징부 쪽으로 아암의 긴 부분을 바이어싱시키도록 구성된다.
추가 예에서:
- 각각의 아암의 하나 이상의 제1 맞물림 특징부는 원형 배열로 아암의 허브 부분에 제공되고 아암의 피봇 지점을 중심으로 허브 부분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각각의 아암의 제1 맞물림 특징부는 피봇 지점에서 멀어지게 반경 방향으로 향하고, 제2 맞물림 특징부는 피봇 지점 쪽으로 반경 방향으로 향하고/하거나;
- 각각의 아암의 제1 맞물림 특징부는 피봇 지점 쪽으로 반경 방향으로 향하고 제2 맞물림 특징부는 피봇 지점에서 반경 방향으로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고/하거나;
- 제1 맞물림 특징부는 허브 부분의 변형 가능한 부분에 제공되며, 변형 가능한 부분은 아암이 피봇될 때 제1 맞물림 특징부가 제2 맞물림 특징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이도록 변형되게 구성되고/되거나;
- 허브 부분은 아암에 대해 상승되고 변형 가능한 부분과 제1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는 상승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승된 부분은 각각의 변형 가능한 부분에 인접한 구멍을 포함하고, 구멍은 변형 가능한 부분 및 제1 맞물림 특징부가 구멍쪽으로 변형되도록 허용하여, 아암이 피봇될 때 제1 맞물림 특징부가 제2 맞물림 특징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하거나;
- 각각의 변형 가능한 부분은 그 위에 제1 맞물림 특징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 아암 부분을 포함하며, 캔틸레버 아암 부분은 아암이 피봇될 때 제1 맞물림 특징부가 제2 맞물림 특징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이도록 변형되게 구성되고/되거나;
- 각각의 캔틸레버 아암 부분은 그 단부에 단일 제1 맞물림 특징부를 가지고 있고/있거나;
- 각각의 캔틸레버 아암 부분은 여러 개의 제1 맞물림 특징부를 가지고 있고/있거나;
- 상승된 부분은 S자 형상이고/이거나;
- 아암의 제1 맞물림 특징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스냅-끼워맞춤 연결을 형성하여 아암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한다.
추가 예에서:
- 제1 맞물림 특징부는 아암의 허브 부분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고 아암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2 맞물림 특징부 쪽으로 향하고/하거나;
- 허브 부분은 아암이 피봇될 때 제1 맞물림 특징부가 제2 맞물림 특징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맞물림 특징부로부터 멀리 움직이게 아암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허브 부분은 스프링에 의해 제2 맞물림 특징부 쪽으로 바이어싱된다.
3.15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슬라이드 및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의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싱 구조물;
한 쌍의 아암, 여기에서 각각의 아암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아암의 각각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측면 스트랩 부분의 각각 하나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아암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피봇 지점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이에 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예에서:
- 각각의 아암은 각각의 피봇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되거나;
- 각각의 아암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한 쌍의 가이드 중 각각의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각각의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드하고 각각의 피봇 지점을 중심으로 피봇하고/하거나;
- 각 가이드는 길고 구부러져 있고/있거나;
- 각각의 아암의 전단부는 각 가이드에 근접하게 위치하고/하거나;
-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은 한 쌍의 최후단 지점을 가지며, 최후단 지점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며, 각각의 가이드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최후단 지점 각각의 하나에 근접하게 위치하고/하거나;
-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은 주변부를 갖는 후방측을 갖고, 아암의 각각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후방측의 주변부 내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고/되거나;
-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주변부를 갖고, 아암의 각각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후방측의 주변부와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주변부 사이에 위치하고/하거나;
- 아암의 각각은 한 쌍의 아암 장착부의 각각 하나에 부착되고,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대향 측면 상의 한 쌍의 측면 부분을 포함하고, 아암 장착부 각각은 측면 부분의 각각 하나의 내측 측면에 부착되고/되거나;
- 아암의 각각은 각각의 아암 장착부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각각의 측면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하거나;
- 아암의 각각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수직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아암의 각각은 적어도 9도의 각도 범위를 통해 피봇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각도 범위는 적어도 19도이고/이거나;
- 아암의 각각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관련한 피봇 움직임에 대해 사전결정된 저항을 갖고/갖거나;
- 아암의 각각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측면 스트랩 부분의 각각 하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아일릿을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아암의 아일릿은 각각의 아암의 후단부에 또는 이에 근접하게 위치하고/하거나;
- 아암의 각각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관련한 피봇 움직임에 대해 사전결정된 저항을 갖고/갖거나;
- 각각의 아암은 복수의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 사이에서 피봇하도록 구성되고, 피봇 움직임에 대해 사전결정된 저항은, 아암이 하나의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에서 다른 배향으로 피봇할 수 있기 전에 극복되도록 요구되고/되거나;
-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은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에 대응하는 복수의 리세스를 포함하고, 각각의 아암은 리세스 각각에 피팅되도록 구성된 돌기를 포함하고/하거나;
- 아암의 각각은, 각각의 아암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관련하여 피봇하기 위해 사전결정된 정적 토크 저항이 극복되어야 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연결되고/되거나;
- 사전결정된 정적 토크 저항은 정적 마찰에 의해 제공된다.
3.16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통합된 헤드기어 버클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의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 및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상단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및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로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안면 맞물림 부분; 및
안면 맞물림 부분에 연결된 섀시를 포함하고, 섀시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에 추가로 연결되고;
섀시는 상단 스트랩 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이에 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예에서:
- 섀시는 상단 스트랩 부분이 루프 백되어 자체 고정될 수 있는 아일릿을 포함하고/하거나;
- 아일릿은 상단 스트랩 부분이 섀시의 일부 및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일부 둘 모두 주위에 루핑될 수 있도록 섀시 및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둘 모두에 의해 형성되고/되거나;
- 아일릿은 섀시의 상위 돌출 부분에 형성되고/되거나;
- 상위 돌출 부분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돌출한다.
3.17 해제 가능한 파스너를 사용하여 부착된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상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로서, 후방 지지부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 또는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내측 후두 부분;
두정 스트랩 부분과 내측 후두 부분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이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는, 후방 지지부;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 및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상위 부분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상단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한 쌍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 각각은 내측 후두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예에서: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고, 배터리 팩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배터리 팩은 사용 시 상단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내측 후두 부분은 후두 강성화기를 포함하고/하거나;
- 내측 후두 부분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상단 스트랩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고/하거나;
- 내측 후두 부분은 내측 후두 부분 스트랩을 포함하고/하거나;
- 내측 후두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을 형성하고/하거나;
- 내측 후두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 내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되거나;
- 내측 후두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지향 층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되거나;
-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 쌍 각각과 내측 후두 부분 사이에 해제 가능 파스너를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해제 가능 파스너는 대응하는 연결 지점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파스너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내측 후두 부분은 각각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에 제공된 대응하는 파스너 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연결 지점을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해제 가능 파스너는 자성 파스너를 포함하고/하거나;
- 각각의 자성 파스너는 연결 지점의 각각 하나에 자성적으로 부착하도록 구성된 자성 클립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의 쌍의 각각은 길이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각각의 해제 가능 파스너는 아일릿을 포함하고,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의 쌍의 각각의 일부는 아일릿의 각각의 하나를 통해 꿰어져 자체로 다시 체결된다.
3.18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세탁 가능 사용자 접촉 층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상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로서,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는, 후방 지지부;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상위 부분 위에 놓이도록 구성되고, 사용자 지향 층 및 외부 층을 포함하는 상단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지향 층, 두정 스트랩 부분, 후두 스트랩 부분 및 측면 스트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예에서:
-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지향 층, 두정 스트랩 부분, 후두 스트랩 부분 및 측면 스트랩 부분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세탁 가능 부분을 형성하고, 세탁 가능 부분은 세탁을 위해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후두 스트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고/있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피봇 가능한 연결을 통해 후두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피봇 가능한 연결은 프레스 스터드 연결을 포함하고/하거나;
- 후두 스트랩 부분은 두정 스트랩 부분과 상단 스트랩 부분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각각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하거나;
- 각각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은 자성 파스너를 통해 상단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후두 스트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에 영구적으로 연결되고/되거나;
- 후두 스트랩 부분은 후두부 연결 탭을 포함하고, 상단 스트랩 부분은 후두부 연결 탭 구멍을 포함하며, 후두부 연결 탭은 후두부 연결 탭 구멍을 통과하여 상단 스트랩 부분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후두부 연결 탭은 프레스 스터드 연결에 의해 상단 스트랩 부분에 연결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고, 배터리 팩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단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배터리 팩에 연결되고/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을 형성하는 외부 슬리브를 포함하고/하거나;
- 외부 슬리브는 배터리 팩에 연결되고/되거나;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 시 배터리 팩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고, 전원 케이블은 외부 슬리브 내에 위치하고/하거나;
- 전원 케이블은 외부 슬리브의 길이를 따라 외부 슬리브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고/있거나;
- 세탁 가능 부분은 하나 이상의 후크-앤드-루프 연결에 의해 외부 슬리브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고/되거나;
- 외부 슬리브는 복수의 후크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세탁 가능 부분은 후크 부분이 부착될 수 있는 끊어지지 않은 루프 재료로 형성된 표면을 포함하고/하거나;
- 세탁 가능 부분은 후크 부분에 대응하고 후크 부분이 부착될 수 있는 복수의 끊어지지 않은 루프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외부 층과 사용자 지향 층 사이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을 포함하고/하거나;
-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은 반강성이고/이거나;
- 배터리 팩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고/되거나;
-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 및 배터리 팩은 배터리 팩을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제1 및 제2 파스너 부분을 포함한다.
추가 예에서:
-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이 외부 슬리브 내에 위치하고/하거나
- 세탁 가능 부분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추가 예에서:
-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은 세탁 가능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사용자 지향 층을 형성하는 사용자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이 사용자 접촉 부분에 제공되고/되거나;
- 사용자 접촉 부분은 사용자 접촉 슬리브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은 사용자 접촉 슬리브 내에 위치되고/되거나;
- 사용자 접촉 슬리브는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이 제거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강성화기 개구부를 포함하고/하거나.
- 배터리 팩은 사용 시 강성화기 개구부를 덮고/덮거나;
- 사용자 접촉 슬리브는 배터리 팩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파스너 개구부를 포함하고/하거나;
-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은 파스너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고 배터리 팩의 대응하는 제2 파스너 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파스너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배터리 팩은 사용 시 파스너 개구부를 덮고/덮거나;
- 후두부 연결 탭은 사용자 접촉 슬리브의 비사용자 대면 측면에서 사용자 접촉 슬리브에 연결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후두부 연결 탭은 사용자 접촉 슬리브의 사용자 대면 측면에 있는 제1 사용자 접촉 슬리브 개구부와 사용자의 비사용자 대면 측면에 있는 제2 사용자 접촉 슬리브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후두부 연결 탭은 후크-앤드-루프 연결로 사용자 접촉 슬리브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3.18.1 배터리 팩 구성
추가 예에서:
- 배터리 팩은 배터리 팩 베이스에 연결된 배터리 팩 하우징을 포함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사용자 지향 층을 형성하는 사용자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배터리 팩 베이스는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접촉 부분에 연결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배터리 팩은 전원 케이블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가이드를 포함하고/하거나;
- 케이블 가이드는 전원 케이블이 배터리 팩 하우징 안팎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긴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긴 부분은 강성이고/이거나;
- 케이블 가이드는 배터리 팩 베이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케이블 가이드 장착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배터리 팩 베이스는 케이블 가이드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마운트를 포함하고, 케이블 가이드 마운트는 케이블 가이드 장착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케이블 가이드는 상단 스트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톱니를 포함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을 형성하는 외부 슬리브를 포함하고, 외부 슬리브는 배터리 팩에 연결되고/되거나;
- 전원 케이블은 외부 슬리브 안에 있고/있거나;
- 전원 케이블은 외부 슬리브의 길이를 따라 외부 슬리브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고/있거나;
- 케이블 가이드의 톱니는 외부 슬리브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외부 슬리브를 배터리 팩에 고정하고/하거나;
- 케이블 가이드는 복수의 톱니를 포함하고/하거나;
- 톱니는 케이블 가이드의 긴 부분에 위치하며 바깥쪽을 향하고/하거나;
- 케이블 가이드의 톱니가 배터리 팩 베이스에 대해 외부 슬리브를 클램핑하고/하거나;
- 케이블 가이드의 긴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 시 외부 슬리브 내에 위치하고/하거나;
- 케이블 가이드 마운트는 상단 스트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톱니를 포함하고/하거나;
- 케이블 가이드 마운트의 톱니는 외부 슬리브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외부 슬리브를 배터리 팩에 고정하고/하거나;
- 케이블 가이드 마운트의 톱니는 케이블 가이드에 대해 외부 슬리브를 클램핑하고/하거나;
- 배터리 팩 베이스는 후두 스트랩 부분을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접촉 부분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 연결 탭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리세스를 포함하고/하거나;
- 배터리 팩은 배터리 팩 내부의 전원 케이블에 고정된 케이블 스톱으로 구성되며, 케이블 스톱은 배터리 팩에서 전원 케이블이 확장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케이블 스톱은 환형이며 케이블 스톱의 직경이 전원 케이블과 맞물리도록 감소되도록 구성된 조정 나사를 포함하고/하거나;
- 케이블 스톱은 전원 케이블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내부 나사산으로 구성된다.
추가 예에서:
- 배터리 팩 하우징은 케이블 가이드가 배터리 팩 하우징 밖으로 확장되는 전원 케이블 개구부를 포함하고/하거나;
- 배터리 팩 하우징은 전원 케이블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원 케이블 파티션과 배터리 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셀 파티션을 포함하고/하거나;
- 배터리 팩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셀 파티션에서 전원 케이블 파티션을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파티션 벽을 포함하고/하거나;
- 전원 케이블 개구부는 전원 케이블 파티션과 정렬되고/되거나;
- 배터리 팩은 2개의 셀 파티션을 포함하고, 전원 케이블 파티션은 2개의 셀 파티션 사이에 위치하고/하거나;
- 배터리 팩은 수직으로 배향되고 사용 시 좌우 축을 따라 직렬로 정렬된 셀을 포함하고/하거나;
- 셀은 배터리 후면의 후방측에서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추가 예에서:
- 전원 케이블은 전원 케이블의 배터리 팩에서 신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팩 내부의 서비스 루프를 포함하고/하거나;
- 전원 케이블이 배터리 팩 베이스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터리 팩에 들어가고 배터리 팩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서비스 루프를 형성하고/하거나;
- 전원 케이블이 배터리 팩 베이스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배터리 팩에 들어가고 배터리 팩 베이스 쪽으로 구부러져 서비스 루프를 형성하고/하거나;
- 케이블 가이드는 패브릭 슬리브로 구성되고/되거나;
- 케이블 가이드는 전원 케이블을 패브릭 슬리브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인입 기능으로 구성되고/되거나;
- 케이블 가이드는 패브릭 슬리브 입구에서 전원 케이블에 작용하는 마찰을 줄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롤러를 포함하고/하거나;
- 패브릭 슬리브는 배터리 팩의 내부에 있고/있거나;
- 패브릭 슬리브는 배터리 팩의 외부에 있고/있거나;
- 배터리 팩은 배터리 팩 내에서 전원 케이블의 형상 및/또는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탠드오프를 포함하고/하거나;
- 서비스 루프와 전원 케이블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사이의 하나 이상의 전원 케이블 부분이 배터리 팩 내에서 제자리에 고정되고/되거나;
- 전원 케이블의 서비스 루프는 서비스 루프가 배터리 팩 하우징과 곡선 바깥쪽의 반경 방향으로 마찰 접촉을 겪지 않도록 충분히 작은 굽힘 반경을 가진 곡선 형상이다.
3.19 상단 스트랩 부분 내 후크-앤드-루프 연결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상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상위 부분 위에 놓이도록 구성되고, 사용자 접촉 부분 및 외부 층을 포함하는 상단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접촉 부분과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은 하나 이상의 후크-앤드-루프 연결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에서:
- 후방 지지부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두정 스트랩 부분, 후두 스트랩 부분 및 측면 스트랩 부분은 후크-앤드-루프 연결의 분리에 의해 사용자 접촉 부분과 함께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에서 분리 가능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접촉 부분, 두정 스트랩 부분, 후두 스트랩 부분 및 측면 스트랩 부분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세탁 가능 부분을 형성하고, 세탁 가능 부분은 세탁을 위해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후두 스트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접촉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있거나;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고, 배터리 팩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단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배터리 팩에 연결되고/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을 형성하는 외부 슬리브를 포함하고, 외부 슬리브는 배터리 팩에 연결되고/되거나;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배터리 팩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고, 전원 케이블은 외부 슬리브 내에 위치하고/하거나;
- 외부 슬리브는 복수의 후크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사용자 접촉 부분은 후크 부분이 부착될 수 있는 끊어지지 않은 루프 재료로 형성된 표면을 포함하고/하거나;
- 사용자 접촉 부분은 후크 부분에 대응하고 후크 부분이 부착될 수 있는 복수의 끊어지지 않은 루프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외부 슬리브는 복수의 루프 부분을 포함하고 사용자 접촉 부분은 루프 부분에 대응하고 루프 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후크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 상단 스트랩 부분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을 포함하고/하거나;
-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은 반강성이다.
3.20 폼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의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지지부 및 지지부에 제공된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지지부는 제1 폼 부분을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은 제2 폼 부분을 포함하고,
제1 폼 부분은 제2 폼 부분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지지부 및 지지부에 제공된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지지부는 제1 폼 부분을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은 제2 폼 부분을 포함하고, 제1 폼 부분은 제2 폼 부분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다.
추가 예에서: (a) 제1 폼 부분 및 제2 폼 부분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밀도는 다를 수 있고/있거나; (b) 제1 폼 부분은 제1 밀도를 가질 수 있고, 제2 폼 부분은 제1 밀도보다 낮은 제2 밀도를 가질 수 있고/있거나; (c) 폼 부분은 점탄성 발포체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만들어질 수 있고/있거나; (d) 안면 맞물림 부분은 생 폼, 직물-폼 복합재 또는 플록 폼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e) 지지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제1 지지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를 가질 수 있고/있거나; (f) 제1 지지부는 사용자의 안면을 가로질러 일반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반면, 제2 지지부는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일반적으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의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지지부 및 지지부에 제공된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지지부 및 안면 맞물림 부분이 단일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 및 안면 맞물림 부분이 폼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지지부 및 지지부에 제공된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지지부 및 안면 맞물림 부분이 단일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 및 안면 맞물림 부분이 폼 재료로 만들어진다.
추가 예에서: (a) 안면 맞물림 부분은 만곡될 수 있고/있거나; (b)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후크 형상의 단면을 생성하기 위해 지지부와 안면 맞물림 부분 사이의 리커브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c) 지지부와 안면 맞물림 부분의 일체형 형태는 열성형될 수 있고/있거나; (d) 폼 재료는 생 폼, 직물-폼 복합재, 또는 플록 폼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3.21 적어도 하나의 루프 부분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의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가요성 및 탄성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은 만곡된 단면을 가지며,
안면 맞물림 부분은 폐쇄된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폐루프 부분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가요성 및 탄성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은 만곡된 단면을 가지며, 안면 맞물림 부분은 폐쇄된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폐루프 부분을 포함한다.
추가 예에서: (a) 안면 맞물림 부분은 제1 폐루프 부분 및 제2 폐루프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b) 제1 폐루프 부분과 제2 폐루프 부분이 사용 시 사용자의 코의 양쪽에 제공되고/되거나; (c) 제1 폐루프 부분과 제2 폐루프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뺨 가까이에 제공되고/되거나; (d) 안면 맞물림 부분은 주위에서 구부러지고 자체적으로 중첩되어 폐루프 부분을 제공하고/하거나; (e) 안면 맞물림 부분은 베이스 부분과 루프 플랜지를 포함하는 루프 부분을 포함하고, 루프 플랜지는 베이스 부분과 중첩하여 폐루프 부분을 제공하고/하거나; (f) 루프 부분은 전방 위치에서 후방 위치로 연장되고/되거나; (g) 루프 부분의 단면은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에서 점점 좁아지고/지거나; (h) 루프 부분은 전방 위치와 루프 플랜지 사이에서 아치형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i) 루프 부분은 전방 위치와 루프 플랜지 사이에서 아치형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j) 아치형 단면이 전방 위치와 루프 플랜지 사이에서 점점 좁아지고/지거나; (k) 루프 플랜지는 베이스 부분의 전방 대면 표면과 겹쳐지고/지거나; (l) 루프 플랜지가 베이스 부분에 고정되고/되거나; (m) 베이스 부분과 루프 부분은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되며 폐루프 부분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고정되고/되거나; (n) 베이스 부분과 루프 부분은 단일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3.22 차광 코 부분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의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지지부 및 지지부에 제공된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안면 맞물림 부분의 뺨 부분 사이에 걸쳐 있는 차광 코 부분을 포함하고,
차광 코 부분은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사용자 코의 코 앞부분에서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 부분을 포함하고,
차광 코 부분은 비강 부분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콧등 부분 및 제2 콧등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1 콧등 부분과 제2 콧등 부분은 그 사이에 슬롯을 가지며, 슬롯은 차광 코 부분의 후방 에지로부터 비강 부분쪽으로 연장되고, 제1 콧등 부분과 제2 콧등 부분이 사용 시 사용자의 콧등 양쪽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지지부 및 지지부에 제공된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안면 맞물림 부분의 뺨 부분 사이에 걸쳐 있는 차광 코 부분을 포함하고,
차광 코 부분은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사용자 코의 코 앞부분에서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 부분을 포함하고,
차광 코 부분은 비강 부분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콧등 부분 및 제2 콧등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1 콧등 부분과 제2 콧등 부분은 그 사이에 슬롯을 가지며, 슬롯은 차광 코 부분의 후방 에지로부터 비강 부분쪽으로 연장되고, 제1 콧등 부분과 제2 콧등 부분이 사용 시 사용자의 콧등 양쪽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3.23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인터페이싱 구조물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의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로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안면 맞물림 부분; 및
안면 맞물림 부분에 연결된 섀시를 포함하고, 섀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섀시 장착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고;
섀시는 복수의 섀시 캐치 부분을 포함하고, 섀시 장착 부분은 복수의 장착 캐치 부분을 포함하고, 섀시 캐치 부분은 섀시 장착 부분에 섀시를 부착하기 위해 장착 캐치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예에서: (a) 섀시 캐치 부분은 캐치 돌기를 포함하고/하거나; (b) 캐치 돌기는 후방을 향하는 캐치 표면을 포함하고/하거나; (c) 후방을 향한 캐치 표면은 반경 방향 바깥쪽 전방 방향으로 각을 이루고 있고/있거나; (d) 캐치 돌기는 전방을 향하는 가이드 표면을 포함하고/하거나; (e) 전방을 향하는 가이드 표면은 후방을 향한 캐치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 전방 방향으로 각을 이루고/이루거나; (f) 섀시 캐치 부분은 캐치 돌기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하거나; (g) 플랜지는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하고/하거나; (h) 장착 캐치 부분은 전방을 향하는 캐치 표면을 포함하고/하거나; (i) 전방을 향하는 캐치 표면은 반경 방향 내측 전방 방향으로 각을 이루고/이루거나; (j) 장착 캐치 부분은 후방을 향하는 가이드 표면을 포함하고/하거나; (k) 장착 캐치 부분은 후방을 향하는 가이드 표면과 전방을 향하는 캐치 표면 사이의 전환부 표면을 포함하고/하거나; (l) 전환부 표면은 전방을 향하는 캐치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 후방 방향으로 각을 이루고/이루거나; (m) 전환부 표면과 전면을 향한 캐치 표면 사이의 각도가 예각이고/이거나; (n) 섀시가 전방 방향으로 섀시 장착 부분에 완전히 삽입될 때 후방 대향 캐치 표면과 후방-전방 방향의 전방 캐치 표면 사이에 갭이 제공되고/되거나; (o) 섀시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섀시 장착 부분은 본체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섀시 수용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p) 본체부는 U 채널 단면을 포함하고; (q) 섀시 수용 부분은 L 채널 단면을 포함한다.
3.24 구불구불한 경로를 통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환기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의 작동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로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내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구불구불한 기류 경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불구불한 기류 경로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외부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내부 사이를 통과한다.
예에서: (a)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안면 맞물림 부분에 연결된 섀시를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구불구불한 기류 경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 포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류 포트는 섀시와 안면 맞물림 부분 사이의 연결부의 전방에 제공되고/되거나; (b) 적어도 하나의 기류 포트는 섀시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섀시 포트를 포함하고/하거나; (c) 섀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섀시 장착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기류 포트는 섀시 장착 부분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섀시 장착 포트를 포함하고/하거나; (d) 적어도 하나의 기류 포트는 반경 방향으로 대면하는 벽에 제공되고/되거나; (e)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는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을 포함하고,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구불구불한 기류 경로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포함하고/하거나; (f)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포트는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전방 대향 부분에 제공되고/되거나; (g)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포트는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의 상위 부분 및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의 하위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되거나; (h)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포트는 사용 시 사용자의 접형골 영역에 근접한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부분에 제공되고/되거나; (i)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은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의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포트 위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된다.
위에서 설명된 임의의 형태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및/또는 인터페이싱 구조물, 및 그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추가로 개시된다.
다른 양태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영역과 접촉하도록 배열된 뒤쪽(또는 후방) 지지 구조물(또는 부분)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대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이다.
일부 형태에서, 후방 지지부는 사용자의 상이저점의 후방에 배치된다.
일부 형태에서, 후방 지지부는 사용자의 후두 영역과 접촉하게 바이어싱된다.
일부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후방 지지부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호연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의 대향 측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머리의 측두 영역을 따라 연장되는 대향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후방 지지부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하는 전방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은 또한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하는 관계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지지, 완충, 안정화, 위치설정 및/또는 밀봉하는 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하는 관계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지지, 완충, 안정화, 위치설정 및/또는 밀봉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하는 관계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지지, 완충, 안정화, 위치설정 및/또는 밀봉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다른 형태는 사람을 위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사용 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자의 눈 앞쪽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헬멧 장착형일 수 있고,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용으로 구성될 수 있고, 혼합 현실 디스플레이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의 다른 형태는 사람을 위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전방 지지부 및 후방 지지부를 포함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후방 부분은 사용시 사람의 머리의 후방 영역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전방 지지부는:
후방 지지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좌측 측면 부분; 및
후방 부분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우측 측면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a)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 차폐부를 더 포함하고/하거나; b) 광 차폐부는 사용 시 사람의 눈 영역에 대한 주변광의 수신을 실질적으로 방해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고/되거나; c) 광 차폐부는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d)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 시 사람의 안면의 눈 영역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하거나; e)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폼, 실리콘 및/또는 젤로 구성되고/되거나; f)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광 흡수 재료로 구성되고/되거나; g)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광 차폐부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a)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리 시스템; b) 좌측 귀 변환기; 및/또는 c) 우측 귀 변환기를 더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a)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쌍안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하거나; b)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 시 작동 위치에서 쌍안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a) 제어 시스템은 시각적 디스플레이 제어기 및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포함하고/하거나; b)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는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를 포함하고/하거나; c) 제1 배터리는 RT 클록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저전력 시스템 배터리이고/이거나; d) 제2 배터리는 주 배터리이고/이거나; e) 배터리 지지부는 배터리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f) 배터리 지지부는 밧줄을 사용하여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에 연결되고/되거나; g) 사용 시 사람의 머리의 배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배향 센서; 및/또는 h) 제어 지원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a)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람 머리의 전두골 위에 놓인 영역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전두 지지부를 포함하고/하거나; (b)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일부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 조정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다른 형태는 사람을 위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 광 차폐부; 시각적 디스플레이 제어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배터리 지지부, 배향 센서, 및 제어 지원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소리 시스템; 및 전방 부분, 전두 부분, 좌측 측면 부분, 우측 측면 부분, 후방 부분, 및 길이 조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전방 부분은 사용시 사용자의 눈 영역과 접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아이 쿠션을 포함하고; 후방 부분은 사용시 후두골과 승모근 사이의 접합부에 인접한 사람의 머리 영역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좌측 측면 부분은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우측 측면 부분은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전두 부분은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길이 조정 메커니즘은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조정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쌍안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광 차폐부는 사용시에 사람의 눈 영역에 대한 주변광의 수신을 실질적으로 방해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배향 센서는 사용 시 사람의 머리 배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소리 시스템은 좌측 귀 변환기 및 우측 귀 변환기를 포함하고; 그리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시 작동 위치에서 쌍안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및/또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의 다른 형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이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자 디스플레이 스크린;
전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결합되고 작동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전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지지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전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중량 결합에 의해 생성된 모멘트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작동 위치에 있는 동안 사용자의 눈 전방에 전자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위치를 유지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본 기술의 다른 형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전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며,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전자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중량에 의해 생성된 모멘트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시 사용자의 눈 전방에 전자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위치를 유지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관상면 후방의 사용자의 머리 영역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후면 스트랩을 포함하고, 후면 스트랩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의 머리에 정착하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의 다른 형태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의 중량에 의해 생성된 모멘트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눈 앞쪽에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하우징을 지지하는 헤드기어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다른 측면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하우징;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또는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결합된 인터페이싱 구조물로서, 사용자의 안면의 적어도 일부에 일치하도록 위치설정 및/또는 배열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싱 구조물;
사용자의 눈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또는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또는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중량에 의해 생성된 모멘트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및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의 제어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하우징;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로서, 사용자의 안면의 적어도 일부에 일치하도록 위치설정 및/또는 배열되도록 구성되고, 주변광이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 광 차폐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또는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중량에 의해 생성된 모멘트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한 쌍의 측두 커넥터로서, 한 쌍의 측두 커넥터의 각각의 측두 커넥터는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직접 결합되고, 각각의 측두 커넥터는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할 때 각각의 측두골을 오버레이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측두 커넥터, 및
각각의 측두 커넥터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 및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의 제어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일부 형태에서, 광 차폐부는 사용자의 안면을 밀봉하고 주변광이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하우징 내에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일부 형태에서, 광 차폐부는 불투명한 재료로 구성된다.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탄성 재료로 구성된다.
일부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디스플레이 하우징 및/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후방 지지부에 대해 피봇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회전 제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측두 아암은 디스플레이 하우징 및/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회전 제어는 디스플레이 하우징 및/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측두 커넥터에 대해 피봇하도록 디스플레이 하우징을 각각의 측두 커넥터에 결합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는 조정 가능한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사용자가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관찰하면서 자신의 물리적 환경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투명 및/또는 반투명 재료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하우징;
디스플레이 하우징 및/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로서, 사용자의 안면의 적어도 일부에 일치하도록 위치설정 및/또는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또는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중량에 의해 생성된 모멘트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한 쌍의 측두 커넥터로서, 한 쌍의 측두 커넥터의 각각의 측두 커넥터는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직접 결합되고, 각각의 측두 커넥터는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할 때 각각의 측두골을 오버레이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측두 커넥터를 포함하고; 및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의 제어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일부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후두부를 오버레이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측두 커넥터는 후방 지지부에 결합된다.
일부 형태에서,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또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에 결합된 전원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원은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 생성 이미지는 투명 및/또는 반투명 재료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가 투명 및/또는 반투명 재료에 표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자신의 물리적 환경을 관찰할 수 있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위에서 설명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태의 예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태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작동 위치에서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태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하우징을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하우징은 디스플레이를 지지한다.
위에서 설명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태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하우징에 결합되고 작동 위치에서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작동 위치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관찰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주변광이 작동 위치에서 관찰 개구에 도달하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 불투명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태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하우징에 결합되고 관찰 개구 내에 배치되고, 작동 위치에 있도록 디스플레이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통해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태의 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갖는다.
일부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프로세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형태에서, 프로세서는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된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위에서 설명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태의 예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태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태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하우징을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태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하우징에 결합되고 작동 위치에서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태의 예에서, 작동 위치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태의 예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된 컴퓨터 생성 이미지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물리적 환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 수 있도록 작동 위치에서 사용자의 눈과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태의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갖는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프로세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형태에서, 프로세서는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된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작동 위치에서 사용자의 좌측 눈과 정렬되도록 구성된 제1 렌즈 및 작동 위치에서 사용자의 우측 눈과 정렬되도록 구성된 제2 렌즈를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프레넬 렌즈이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으로 분할된 쌍안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제1 섹션은 제1 렌즈와 정렬되고 제2 섹션은 제2 렌즈와 정렬된다.
일부 형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선택적으로 맞물려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갖는 제어기로서, 제어기는 프로세서와 통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맞물려질 때 프로세서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된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작동 위치에서 사용자의 좌측 눈과 정렬되도록 구성된 제1 렌즈 및 작동 위치에서 사용자의 우측 눈과 정렬되도록 구성된 제2 렌즈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한 형태의 또 다른 양태는 의도된 착용자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이다.
본 기술의 한 형태의 또 다른 양태는 의도된 착용자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이다.
본 기술의 한 형태의 양태는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본 기술의 특정 형태의 양태는 예를 들어 손재주, 시력이 제한적인 사람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사용 경험이 제한적인 사람에 의해 사용하기 쉬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이다.
본 기술의 특정 형태의 양태는 예를 들어 손재주, 시력이 제한적인 사람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사용 경험이 제한적인 사람에 의해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싱 구조물이다.
설명된 방법, 시스템, 디바이스 및 장치는 전자 디스플레이 또는 컴퓨터와 같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개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설명된 방법, 시스템, 디바이스 및 장치는 가상 현실, 증강 현실 및/또는 혼합 현실의 기술 분야에서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양태의 일부는 본 기술의 하위 양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위 양태 및/또는 양태 중 다양한 것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한 본 기술의 추가적인 양태 또는 하위 양태를 구성할 수도 있다.
기술의 다른 특징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요약, 도면 및 청구범위에 포함된 정보를 고려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4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기술은 유사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 첨부 도면의 도면에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로서 예시된다:
4.1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도 1a는 다양한 이미지를 사용자(100)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안면 장착 가상 현실(VR) 헤드셋 형태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한 사용자(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한 채 서 있다.
도 1b는 플로팅 가상 현실(VR) 헤드셋 형태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고 다양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00)를 착용한 채 앉아 있다.
도 1c는 플로팅 증강 현실(AR) 헤드셋 형태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고 다양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한 채 서 있다.
4.2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안면 해부학
도 2a는 비강, 비골, 외측 비강연골, 대배각연골, 콧구멍, 윗입술, 아랫입술, 후두, 경구개, 연구개, 인두, 혀, 후두개, 성대, 식도 및 기관을 포함하는 인간의 상부 기도의 도면이다.
도 2b는 윗입술, 상부 순홍, 하부 순홍, 아랫입술, 입 폭, 안쪽눈구석점(endocanthion), 코의 콧방울, 비순구 및 구각(cheilion)을 포함하는 식별된 표면 해부학적 구조의 여러 특징부를 갖는 안면의 정면도이다.
또한 상부, 하부, 반경 방향 내측 및 반경 방향 외측 방향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2c는 미간, 코뿌리점(sellion), 코끝, 비강하부, 윗입술, 아랫입술, 상피, 코의 콧방울, 입꼬리 상승점, 상부 이 기저 및 하부 이 기저를 포함하여 식별된 표면 해부학의 여러 특징부를 가진 머리의 측면도이다.
또한 상위 & 하위 및 전방 & 후방 방향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2d는 헤드의 다른 측면도이다.
프랑크포트 수평의 근사 위치 및 비순각도의 대략적인 위치가 디스플레이된다.
관상면이 또한 디스플레이된다.
도 2e는 비순 고랑, 아랫입술, 상부 순홍, 코, 코밑, 비주, 코끝, 코의 장축 및 중시상면을 포함하여 식별된 여러 특징부를 갖는 코의 기본도를 도시한다.
도 2f는 코의 표면적 특징의 측면도이다.
도 2g는 외측 연골, 중격연골, 대배각연골, 소배선연골, 종자골연골, 코뼈, 표피, 지방조직, 상악전두돌기 및 섬유지방조직을 포함하는 코의 피하구조를 도시한다.
도 2h는 중격연골과 대배각연골의 내측 가랑을 보여주는 중시상면에서 대략 수 밀리미터 떨어진 코의 내측 절개를 도시한다.
도 2i는 전두골, 비골 및 광대뼈를 포함하는 두개골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비갑개와 상악, 하악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2j는 몇몇 근육뿐만 아니라 머리 표면의 윤곽을 갖는 두개골의 측면도이다. 하기의 뼈가 도시되어 있다: 전두골, 접형골, 비골, 관골, 상악골, 하악골, 두정골, 측두골 및 후두골. 맨탈 융기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하기의 근육이 도시되어 있다: 악이복근, 교근, 흉골 쇄골 및 승모근(trapezius).
도 2k는 코의 전외측 도면이다. 하기의 뼈가 도시되어 있다: 전두골, 안와상공골, 비골, 비중격연골, 외측 연골, 안와골 및 안와하공골.
도 2l은 두개근, 접형골, 코의 콧방울, 뺨의 바깥쪽 및 안쪽 영역, 광대골 궁(zygomatic arch), 및 날개골(alar crest)을 포함하여 식별된 표면 해부학의 여러 특징을 가진 안면의 또 다른 정면도이다.
도 2m은 두개근, 접형골, 코의 콧방울, 뺨의 바깥쪽 및 안쪽 영역, 광대골 궁, 날개골을 포함하여 확인된 표면 해부학의 여러 특징을 가진 안면의 다른 측면도이다.
5.3.6 구조물의 형상
도 3a는 소정 지점에서의 구조물을 통한 단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지점에서의 외측 법선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 지점에서의 곡률은 양의 부호를 가지며, 도 3b에 도시된 곡률의 크기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다.
도 3b는 소정 지점에서의 구조물을 통한 단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지점에서의 외측 법선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 지점에서의 곡률은 양의 부호를 가지며, 도 3a에 도시된 곡률의 크기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다.
도 3c는 소정 지점에서의 구조물을 통한 단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지점에서의 외측 법선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 지점에서의 곡률은 0의 값을 갖는다.
도 3d는 소정 지점에서의 구조물을 통한 단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지점에서의 외측 법선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 지점에서의 곡률은 음의 부호를 가지며, 도 3e에 도시된 곡률의 크기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다.
도 3e는 소정 지점에서의 구조물을 통한 단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지점에서의 외측 법선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 지점에서의 곡률은 음의 부호를 가지며, 도 3d에 도시된 곡률의 크기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다.
도 3f는 표면에 1차원 구멍이 있는 구조물의 표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평면 곡선은 1차원 구멍의 경계를 형성한다.
도 3g는 도 3f의 구조를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표면은 도 3f의 구조물의 2차원 구멍을 한정한다.
도 3h는 2차원 구멍 및 1차원 구멍을 포함하는 도 3f의 구조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f의 구조물에서 2차원 구멍을 한정하는 표면을 도시한다.
도 3i 내지 도 3j는 밀봉 형성 구조물을 도시한다. 쿠션의 외부 표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표면의 에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지점 A와 B 사이의 표면 상의 경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A와 B 사이의 직선 거리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2개의 안장 영역 및 돔 영역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3k는 왼손 법칙을 도시한다.
도 3l은 오른손 법칙을 도시한다.
도 3m은 좌측 귀 나선을 포함하는 좌측 귀를 도시한다.
도 3n는 우측 귀 나선을 포함하는 우측 귀를 도시한다.
도 3o는 오른나선을 도시한다.
4.4 헤드 마운트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
도 4a는 본 기술의 한 형태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와 함께 사용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4d는 사용 시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안면의 정면도이다.
4.5 헤드 마운트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도 5a는 본 기술의 한 형태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측면도이다.
4.6 제어
도 6은 본 기술의 일 형태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4.7 본 기술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도 7a는 사용 시,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b는 사용 시, 도 7a에 도시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7c는 도 28a에 도시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8은 사용 시,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사용 시,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추가 구현예의 측면도, 배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5f 내지 도 15k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7d 및 도 17e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8a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18b 및 도 18c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 및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18d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 및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19a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9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0a 내지 도 20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1a 내지 도 21e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2a 내지 도 22c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다.
도 23a 내지 도 23d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6a 및 도 26b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전원 코드 스트랩 부분을 도시한다.
도 27은 본 기술의 일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한다.
도 28a 내지 도 28e는 전원 코드를 갖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9a 내지 도 29d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아암을 도시한다.
도 30a 및 도 30b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아암을 도시한다.
도 31a 및 도 31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2a 내지 도 32h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3은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4a 내지 도 34i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한다.
도 34j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한다.
도 34k 내지 34m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가이드와 아암 사이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35a 및 도 35b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상단 스트랩 부분과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사이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36a 내지 도 36d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7a 및 도 37b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38a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아암 및 아암 장착부를 도시한다.
도 38b 내지 38n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아암과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사이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39a 내지 도 39c는 도 36a 내지 도 36d에 도시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개별적으로 도시한다.
도 40a 및 40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41a 및 41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42a 내지 도 42d는 도 41a 및 도 41b에 도시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43a 내지 도 43c는 도 41a 및 도 41b에 도시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슬리브를 도시한다.
도 43d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4a 내지 도 44d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45a 및 도 45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46은 본 기술의 일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분해도이다.
도 47a 및 도 47b는 도 67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내부도이다.
도 48a 및 48b는 도 67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케이블 가이드를 도시한다.
도 49a 및 49b는 도 46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장착부를 도시한다.
도 50은 도 46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케이블 스톱을 도시한다.
도 51a 내지 51d는 도 46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52a 및 도 52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배터리 팩용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53a 내지 53g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내부도이다.
도 54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사이드 아암 조인트의 단면도이다.
도 55a 내지 도 55c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부분도이다.
도 56a 및 도 56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후두 스트랩 부분과 상단 스트랩 부분 사이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56c는 본 기술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후두 스트랩 부분과 상단 스트랩 부분 사이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57은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다.
도 58a 및 도 58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부분도이다.
도 59a 내지 도 59h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부분도이다.
도 60a 내지 도 60h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섀시의 도면이다.
도 61a 내지 도 61g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부분도이다.
도 62a 내지 도 62c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3은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4a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4b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4c는 도 64b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별도로 도시한다.
도 64d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64e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4f는 도 64e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별도로 도시한다.
도 64g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65a 및 도 65b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6은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7a 및 도 67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8a 및 68b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68c 및 도 68d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69a 및 도 69b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과 배터리 팩 하우징 사이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70a 및 도 70b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과 배터리 팩 하우징 사이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71a 및 71b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과 배터리 팩 하우징 사이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72a 및 도 72b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과 배터리 팩 하우징 사이의 연결을 도시한다.
본 기술이 더 상세하게 설명되기 전에, 이 기술은 여기에서 설명된 특정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특정 예만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다음 설명은 하나 이상의 공통 특성 및/또는 특징을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예와 관련하여 제공된다. 임의의 하나의 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이 다른 예 또는 다른 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임의의 예에서 임의의 단일 특징 또는 특징의 조합이 추가 예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이 참조된다. 도면에 도시되고 청구범위에 정의된 상세한 설명에 설명된 예시적인 구현예는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다른 구현예가 활용되고 다른 변경이 제시된 주제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일반적으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양태가 매우 다양한 상이한 구성으로 배열, 대체, 결합, 분리 및 설계될 수 있고, 이들 모두가 본 개시에서 고려된다는 것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5.1 몰입형 기술
몰입형 기술은 사용자에게 가상 환경과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 또는 현실 세계의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몰입형 또는 결합된 현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오감 중 하나와 관련된 자극을 가상 자극으로 보강하거나 대체하여 사용자를 몰입시킨다. 전형적으로 이것은 가상 자극이지만 추가 4가지 감각 중 하나와 관련된 자극을 증가 또는 대체하는 추가 자극이 있을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특정 몰입형 기술은 가상 환경과 사용자 환경의 조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결과 환경의 적어도 일부는 가상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전체 결과 환경은 가상 환경일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의 환경이 시야에서 차단되거나 방해될 수 있음을 의미함). 다른 형태에서,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의 적어도 일부는 여전히 시각적으로 관찰 가능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사용자는 가상 현실(VR), 증강 현실(AR), 또는 혼합 현실(MR)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유형의 몰입형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각 유형의 몰입형 기술은 사용자에게 다른 환경 및/또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다른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각 유형의 몰입형 기술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결합 환경(즉, 가상 환경과 사용자 환경의 결합)에 가상 환경 구성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전자 스크린일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유형의 몰입형 기술(예를 들어, VR, AR, MOTOR, 등)에서, 전자 스크린의 위치를 설정하고 안정화하는 것은 각 디바이스를 작동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스크린을 눈에 쉽게 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가깝게 배치하고 불편함을 유발하지 않도록 충분히 멀리 배치하기를 원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스크린은 사용자가 안경과 같은 교정 렌즈를 동시에 착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눈에 대한 전자 스크린의 방향을 유지하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러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동안 걷거나 다른 방식으로 움직이는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어지러움 및/또는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가 튀거나 머리 위로 움직이는 것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특히 눈과 관련하여). 따라서 이러한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눈과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꼭 맞게 지지될 수 있다.
한 형태에서, 본 기술은 사용자의 눈 중 적어도 하나에 근접하고 사용자의 시선 내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디바이스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R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특정 예에서,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는 주변광을 차단, 방해 및/또는 제한하기 위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이 사용자의 두 눈 앞에서 지지된다.
VR용으로 구성된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아래에 공개된 모든 특징은 문맥상 달리 명시적으로 요구하지 않는 한 AR용으로 구성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AR용으로 구성된 장치와 관련하여 아래에 개시된 특징은 문맥상 달리 명백하게 요구하지 않는 한 VR용으로 구성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사용자가 현실 세계를 볼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가 없는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공개된 특징은 문맥상 달리 명백하게 요구하지 않는 한 그러한 투명 디스플레이가 있는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현실 세계를 볼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바이스의 문맥에서 개시된 특징은 디스플레이가 전자적이고 현실 세계가 투명한 물질을 통해 직접 볼 수 없는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5.2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일 양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다음과 같은 기능적 양태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및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 일부 형태에서, 기능적 양태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구성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물리적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기능적 양태를 제공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고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열된다.
다른 양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광학 렌즈(1240), 제어기(1270), 스피커(1272), 전원(1274), 및/또는 제어 시스템(127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들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는 반면, 다른 예에서, 이들은 모듈형일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통합될 수 있다.
5.2.1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사용자에게 관찰 가능한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사용자의 안면 앞의 작동 위치에 유지되도록(예를 들어, 수동으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등에 의해) 배열된다.
일부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 및/또는 광학 렌즈(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영구적으로 조립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 및/또는 광학 렌즈(124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포함될 수 있지만,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일부가 아닐 수 있다.
5.2.1.1 디스플레이 스크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일부 형태는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 - 도 4b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하우징(1205) 내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에게 관찰 가능한 출력을 제공하는 전기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는 광학 출력을 제공한다. 광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가상 환경 및/또는 가상 객체를 관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의 눈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컴퓨터 생성 이미지 및/또는 가상 환경을 출력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전자 디스플레이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 스크린일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조명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백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어두운 환경에서 볼 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의 눈동자 사이의 거리를 더 넓게 확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의 뺨 사이의 거리보다 더 넓을 수도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에 의해 관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전결정된 조건(예를 들어, 시간의 경과, 사용자의 움직임, 사용자의 입력 등)에 따라 변경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가 사용자의 한쪽 눈에만 보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는 사용자의 한쪽 눈(예를 들어, 우측 눈)에만 근접하고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른 쪽 눈(예를 들어, 좌측 눈)에서는 시야가 차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2개의 측면(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 측면)으로 분할될 수 있고, 한 번에 2개의 이미지(예를 들어, 양쪽에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각각의 측면에는 유사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미지가 동일할 수 있지만 다른 예에서는 이미지가 약간 다를 수 있다.
함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두 이미지는 쌍안경 디스플레이를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사실적인 VR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뇌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두 개의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함께 처리할 수 있다. 2개의(예를 들어, 동일하지 않은) 이미지를 제공하면 사용자가 주변에서 가상 객체를 볼 수 있고 가상 환경에서 시야를 확장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의 두 눈에 보이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두 눈으로 볼 수 있는 한 번에 하나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다중 이미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비해 처리를 단순화할 수 있다.
5.2.1.2 디스플레이 하우징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의 서로에 대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위한 지지 구조물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충격력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보호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또한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될 수 있고, 사용자에 대한 자극을 제한하기에 적합한 생체적합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는 연성 및/또는 가요성 재료(예를 들어, 직물, 실리콘, 등)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맞물리는(예를 들어, 손으로 움켜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적어도 일부가 연성 및/또는 가요성 재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생체적합성 및/또는 사용자 편안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기술의 다른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실리콘 고무와 같은 연성, 가요성, 및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프로파일을 갖는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상면(1230), 하면(1232), 측면 좌측안면(1234), 측면 우측안면(1236), 및 전방면(1238)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용 시 안면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면(1230)과 하면(123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형태에서, 상면(1230) 및 하면(1232)은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고 평행 평면(예를 들어, 사용 시 프랑크포트 수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측면 좌측안면(1234) 및 측면 우측안면(1236)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형태에서, 측면 좌측안면(1234) 및 측면 우측안면(1236)은 상면(1230)과 하면(1232) 사이에서 만곡 및/또는 둥글게 될 수 있다. 둥근 및/또는 만곡된 면(1234, 1236)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 및/또는 벗는 동안 사용자가 잡고 유지하기에 더 편안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전방면(1238)은 상면(1230, 1232)과 하면(1230, 123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전방면(1238)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가장 전방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전방면(1238)은 실질적으로 평면일 수 있고, 관상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는 반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다.
일 형태에서, 전방면(1238)은 전방면(123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대응하는 대향 면(예를 들어, 후방 면)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후방 부분은 사용자의 안면을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예를 들어, 전방 방향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영구적으로 통합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일부로만 사용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둘러쌀 수 있고, 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보호하고 및/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구성요소와의 사용자 간섭(예를 들어, 이동 및/또는 파손)을 제한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표면에 먼지 또는 다른 파편의 수집을 제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내에서 실질적으로 밀봉될 수 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출력되는 이미지를 보는 사용자의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밀봉을 깨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접근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제거 가능하게 통합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전체와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스마트 폰 또는 기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는 구획 내에서 제거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구획 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거 가능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외부에서 추가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거하는 것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청소 및/또는 교체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특정 형태는 구획에 대한 개구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구획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보다 쉽게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마찰 끼워맞춤을 통해 구획 내에 유지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커버는 구획을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고, 구획 내에 위치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에 추가적인 보호 및/또는 보안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구획이 상면에서 열릴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0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대략 수직 방향으로 구획에 삽입될 수 있다.
5.2.1.3 인터페이싱 구조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일부 형태는 사용자의 안면 형태에 일치하도록 위치설정 및/또는 배열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을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는 동안 헤드-헤드를 착용 및/또는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표면에 결합된다.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장될 수 있고, 관찰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관찰 개구는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눈은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에 의해 형성된 관찰 개구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본 기술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생체적합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본 기술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연성, 가요성 및/또는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본 기술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실리콘 고무 및/또는 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불편함의 위치일 수 있는 사용자의 안면의 민감한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을 형성하는 재료는 이러한 민감한 영역을 완충할 수 있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불편함을 제한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이러한 민감한 영역에는 사용자의 이마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두개근 및/또는 미간과 같이 전두골에 근접한 사용자의 머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영역은 사용자의 피부와 뼈 사이에 근육 및/또는 지방의 자연적인 완충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민감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의 콧방울 능선에도 자연스러운 쿠셔닝이 거의 또는 전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단일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대량 제조를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다양한 안면 형태 및 크기에 편안하게 맞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사용자의 안면의 상이한 영역을 오버레이하는 상이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의 상이한 부분은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상이한 영역에서 상이한 직물 및/또는 쿠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5.2.1.3.1 광 차폐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일부 형태는 불투명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주변광이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광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차폐부는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의 일부일 수 있거나 별도의 요소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20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접촉을 위한 편안한 접촉 부분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주변광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차폐함으로써 광 차폐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광 차폐부는 주변광을 차단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다수의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광 차폐부는 사용자의 접형골인 두개근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는 눈 영역에 주변광이 도달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고, 광대골 궁에서 날개골 쪽으로 볼 안쪽 영역을 가로질러, 그리고 그 사이에 사용자의 안면의 일부를 둘러싸기 위해 코뿌리점 아래에 있는 사용자의 콧방울 능선에서, 좌우측 광대골 궁에 대해 접형골 사이에서 외부 뺨 영역을 가로질러 두개근, 사용자의 접형골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광 차폐부는 전체 둘레에서 사용자의 안면에 닿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차폐부는 사용자의 콧방울 능선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 간격의 폭은 주변광의 진입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도록 실질적으로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콧방울 능선은 민감하고 쉽게 자극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콧방울 능선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는 것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광 차폐부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일부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일체로 또는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이 AR 또는 MR, 및 VR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함께 사용가능하다면, 광 차폐부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으로부터 제거가능할 수 있고 VR을 사용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만 결합될 수 있다.
5.2.1.3.1.1 밀봉 형성 구조물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밀봉 형성 구조물로서 작용하고, 타겟 밀봉 형성 영역을 제공한다. 타겟 밀봉 형성 영역은 밀봉이 발생할 수 있는 밀봉 형성 구조물 상의 영역이다. 밀봉이 실제로 발생하는 영역-실제 밀봉 표면-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이 배치된 위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주어진 세션 내에서 날마다, 사용자마다 변경될 수 있고, 여기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에서 장력, 및/또는 사용자의 안면의 형상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이 안면에 위치된.
일 형태에서 타겟 밀봉 형성 영역은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된다.
일부 형태에서, 광 차폐부는 밀봉 형성 구조물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안면을 밀봉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광 차폐부 또는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의 전체 둘레는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 밀봉될 수 있고 주변광이 눈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눈 영역은 안면 인터페이스 또는 안면 맞물림 표면은 두개근 영역, 사용자의 접형골 영역, 접형골과 좌측 또는 우측 광대골 궁 사이의 외부 뺨 영역에 걸쳐, 광대골 궁 위에, 광대골 궁으로부터 콧방울 능선을 향하는 내측 뺨 영역에 걸쳐, 그리고 코뿌리점 하부의 사용자의 콧대 영역에서 그들 사이의 사용자의 안면을 에워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봉 형성 구조물로서 작용할 때, 광 차폐부 또는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사용자의 콧방울 능선과 같은 사용자의 안면에 민감한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이 접촉은 주변광의 침입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전체 둘레 주위를 밀봉하는 것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콧방울 능선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사용자의 편안함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도록 생체적합성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본 기술의 특정 형태에서, 각각은 상이한 크기 및/또는 형상 범위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대형 헤드에는 적합하지만 소형 헤드에는 적합하지 않은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의 한 형태 및 소형 헤드에는 적합하지만 대형 헤드에는 적합하지 않은 다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제거가능하고 교체가능하여 상이한 크기의 헤드를 갖는 상이한 사용자가 동일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밀봉 형성 구조물은 사용자의 접형골인 두개근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좌측 또는 우측 광대골 궁 사이의 바깥쪽 뺨 영역을 가로질러, 광대골 궁 위로, 광대골 궁에서 날개골 쪽으로 안쪽 뺨 영역을 가로질러, 그리고 그 사이에 사용자의 안면의 일부를 둘러싸기 위해 접형골 아래의 사용자의 콧방울 능선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정의된 영역은 눈 영역일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사용자의 눈 주위를 밀봉할 수 있다. 밀봉 형성 구조물 또는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에 의해 생성된 밀봉은 주변광이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가벼운 밀봉을 생성할 수 있다.
5.2.1.3.2 재료 생체적합성
생체적합성 재료는 ISO 10993-1 표준에 따라 사용 안전성과 관련된 생물학적 반응에 대한 완전한 평가를 받는 재료로 간주된다. 평가는 사용 시 인체 조직과 예상되는 접촉의 성질과 지속기간을 고려한다.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및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활용되는 재료는 다음 생체적합성 테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겪을 수 있다: 세포독성 - 용출 테스트(MeM 추출): ANSI/AAMI/ISO 10993-5; 피부 과민성: ISO 10993-10; 자극: ISO 10993-10; 유전독성 - 세균성 변이원성 테스트: ISO 10993-3; 이식: ISO 10993-6
5.2.1.4 광학 렌즈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눈과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240)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렌즈(1240)를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이 제공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1240)는 눈의 피로를 제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1240)는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더 잘 관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렌즈(1240)는 프레넬 렌즈이다.
일부 형태에서, 렌즈(1240)는 실질적으로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렌즈(1240)의 넓은 단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렌즈(1240)의 좁은 단부는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렌즈(124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사용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에 근접하고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1240)는 또한 사용자가 이미지를 보는 것을 돕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이미지를 확대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사용자의 눈 각각의 하나에 대해 하나씩 2개의 렌즈(1240)(예를 들어, 쌍안경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눈은 각각의 동공 앞에 위치한 별도의 렌즈를 통해 볼 수 있다. 각각의 렌즈(1240)는 동일할 수 있지만, 일부 예에서 하나의 렌즈(1240)는 다른 렌즈(1240)와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상이한 배율을 가짐).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두 개의 이미지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각 눈은 두 이미지 중 하나만 볼 수 있다.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에 나란히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각각의 렌즈(1240)는 각각의 눈이 각각의 눈에 근접한 이미지만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이 두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함께 관찰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각 렌즈(1240)의 후방 둘레는 대략 사용자의 안와골의 크기일 수 있다. 후방 둘레는 사용자의 전체 눈이 각각의 렌즈(1240)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와골 크기보다 약간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렌즈(1240)의 외측 에지는 상방 방향(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썹 부근)으로 사용자의 전두골과 정렬될 수 있고, 하방 방향(예를 들어, 외측 뺨 영역 부근)으로 사용자의 상악과 정렬될 수 있다.
렌즈(1240)의 위치설정 및/또는 크기 조정은 물리적 환경을 밀접하게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상 환경에서 대략 360°의 주변부 시야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단일 렌즈(1240)(예를 들어, 단안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렌즈(1240)는 두 눈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두 눈이 렌즈(1240)를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또는 한쪽 눈의 전방에만 위치할 수 있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이미지가 한쪽 눈으로만 볼 때).
5.2.1.4.1 렌즈 장착
렌즈(124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에 근접하게(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과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 사이) 위치된 스페이서에 결합될 수 있어서, 렌즈(124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예를 들어, 렌즈(1240)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긁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예를 들어, 렌즈(1240)는 렌즈(1240)가 관찰 개구 내에 배치되도록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에 대해 리세스될 수 있다.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이 관찰 개구(예를 들어, 작동 위치) 내에 수용되는 동안 사용자의 눈 각각은 각각의 렌즈(1240)와 정렬된다.
일부 형태에서, 각각의 렌즈(1240)의 전방 둘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대략 절반을 둘러쌀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중심선을 따라 두 렌즈(1240) 사이에 실질적으로 작은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은 두 렌즈(1240)를 통해 보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모든 이미지를 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중심(예를 들어, 두 렌즈(1240) 사이의 중심선을 따라)은 이미지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쌍안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각각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에서, 각각의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상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개의 렌즈(1240)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전체를 볼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보호 층(1242)은 렌즈(1240)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 시, 보호 층(1242)은 사용자의 안면과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각각의 렌즈(1240)의 일부는 후방 방향으로 보호 층(1242)을 통해 돌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렌즈(1240)의 좁은 단부는 사용 시 보호 층(1242)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보호 층(1242)은 불투명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으로부터의 광이 통과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렌즈(1240)를 통해 보지 않고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볼 수 없을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보호 층(1242)은 비평면일 수 있고, 사용자의 안면의 윤곽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윤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층(1242)의 일부는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기 위해 전방 방향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사용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는 동안 보호 층(1242)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안면과의 추가 접촉(예를 들어, 민감한 코 상승된 부분)으로 인한 자극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5.2.1.4.2 교정 렌즈
일부 예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에 의해 출력된 이미지를 보기 위해 렌즈(1240)와 추가 렌즈 모두를 통해 볼 수 있도록 추가 렌즈가 렌즈(124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추가 렌즈는 사용 시 렌즈(1240)보다 더 후방에 있다. 따라서, 추가 렌즈는 사용자의 눈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사용자는 렌즈(1240)를 통해 보기 전에 추가 렌즈를 통해 본다.
일부 형태에서, 추가 렌즈는 렌즈(1240)와 다른 배율을 가질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추가 렌즈는 처방 강도 렌즈일 수 있다. 추가 렌즈는 사용자가 안경 없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사용하는 동안 착용하기 불편할 수 있다. 추가 렌즈는 제거될 수 있으므로 추가 렌즈가 필요하지 않은 사용자는 여전히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5.2.2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에 의해 사용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을 정확한 작동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중량으로부터 유도된 하중을 수용하기 위해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안면 자국 및/또는 통증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이상적으로 편안하다. 또한, 편안함, 사용성 및 제조 비용을 트레이드 오프(trade off)하지 않고 전반적인 피팅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 설계 기준은 낮은 손재주 임계치(dexterity threshold)를 갖는 저터치 단순 설정 솔루션에 의한 사전결정된 범위에 걸친 조정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고려사항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사용될 수 있는 동적 환경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가상 환경의 몰입 경험의 일부로서, 사용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사용하는 동안에 통신, 즉 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턱 또는 하악은 두개골의 다른 뼈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사용 기간 동안에 머리 전체가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체의 움직임, 일부 경우에는 하체, 특히 상체 및 하체에 대한 머리의 움직임.
일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대한 중력의 영향을 극복하기 위해 유지력을 제공한다.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사용자가 편안하게 착용하는 것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이 제공된다. 일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장치의 인지된 또는 실제 장치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로우 프로파일 또는 단면 두께를 갖는다. 일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스트랩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사용자가 머리를 좌우로 수월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너무 크고 부피가 크지 않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이 제공된다.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직물 사용자 접촉 층, 폼 내부 층 및 직물 외부 층의 라미네이트로 구성된 스트랩을 포함한다. 한 형태에서, 폼은 습기(예를 들어, 땀)가 스트랩을 통과할 수 있도록 다공성이다. 한 형태에서, 스트랩의 피부 접촉 층은 사용자의 안면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재료로 형성된다. 일 형태에서, 직물 외부 층은 후크 재료 부분과 맞물리는 루프 재료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특정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연장 가능한, 즉 탄력적으로 확장 가능한 스트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트랩은 사용 시 장력이 가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을 사용자의 안면의 일부를 향해, 특히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게 그리고 시야와 일직선으로 당기도록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에서 스트랩은 타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제1 타이를 포함하고, 제1 타이는 사용시에 그 하위 에지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머리의 상이저점(otobasion superior) 위로 통과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후두골을 덮지 않고 두정골의 일부를 덮는다.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제2 타이를 포함하고, 제2 타이는 사용시에 그 상위 에지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머리의 하이저점(otobasion inferior) 아래를 통과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을 덮거나 아래에 위치한다.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제1 타이와 제2 타이를 상호 연결하여 서로 멀어지는 경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3 타이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특정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구부릴 수 있고 예를 들어, 비 강성인 스트랩을 포함한다. 이 양태의 장점은 스트랩이 사용자의 머리에 더 편안하다는 것이다.
본 기술의 특정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수증기가 스트랩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통기성이 있도록 구성된 스트랩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특정 형태에서, 각각은 상이한 크기 및/또는 형상 범위에 대응하는 유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큰 크기의 머리에는 적합하지만 작은 크기의 머리에는 적합하지 않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한 형태와, 그리고 작은 머리에는 적합하지만 큰 머리에는 적합하지 않은 다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기 위한 쿠션 재료(예를 들어, 폼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 재료는 특히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이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에 추가된 착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5.2.2.1 측두 커넥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또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일부 형태는 측두 커넥터(1250)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사용 시 사용자의 측두골 각각을 오버레이할 수 있다. 사용 시 측두 커넥터(1250)의 일부는 상이저점 상측에 근접한 사용자의 머리 영역, 즉 사용자의 귀 각각의 위와 접촉하고 있다. 일부 예에서, 측두 커넥터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스트랩 부분이다. 다른 예에서, 측두 커넥터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아암이다. 일부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측두 커넥터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스트랩 부분(예를 들어, 측면 스트랩 부분(1330))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아암(1210)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두 커넥터(1250)는 각각의 측두 커넥터(1250)가 사용자의 머리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측면 부분일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시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두 커넥터(125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측두 커넥터(1250)는 측면 좌측안면(1234) 및 측면 우측안면(1236) 중 각각의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측두 커넥터(1250)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사이에 상대 회전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예를 들어, 자석, 기계적 파스너, 후크 및 루프 재료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일반적으로 머리의 프랑크포트 수평면을 따라 또는 평행하게 그리고 관골보다 위로(예를 들어, 사용자의 광대뼈 위로) 연장되도록 사용 중에 배열된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안경의 아암과 유사하게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위치될 수 있고, 각각의 귀의 반나선보다 더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일반적으로 길고 평평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측두 커넥터(1250)는 두께(종이 평면으로의 방향)보다 훨씬 더 길고 넓다(종이 평면에서 위에서 아래로 방향).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각각 3개의 축(X, Y 및 Z) 모두에서 곡률을 갖는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측두 커넥터(1250)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균일할 수 있지만, 그 높이는 길이에 걸쳐 변한다. 각각의 측두 커넥터(1250)의 형상 및 치수의 목적은 눈에 거슬리지 않게 유지하고 낮은 프로파일(예를 들어, 지나치게 부피가 커 보이지 않도록)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밀접하게 일치하는 것이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플라스틱, 하이트렐(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또는 다른 유사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는 자체 지지 및/또는 마모 없이 모양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사용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을 보다 직관적이거나 명확하게 만들 수 있으며, 완전히 연성이고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과 대조될 수 있다. 사용 전에 측두 커넥터(1250)를 사용 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사용자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착용하는 동안에 뒤틀림을 방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고,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신속하게 피팅하거나 착용할 수 있게 한다.
특정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강성화기일 수 있으며, 이는 강성화기가 사용 시 아암의 신장 또는 변형의 크기를 제한하기 때문에 측두 커넥터(1250)를 통한 장력의 보다 효과적인(예를 들어, 직접) 병진을 허용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이 '상자 밖으로' 꺼내지고 대체로 사용 시의 구성으로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상자 밖으로 꺼내지면 사용 시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예를 들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일부 또는 일부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강성화기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게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형상이 사용자의 머리의 후측 부분과 매우 유사하게 대체로 만곡되기 때문에,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배향이 사용자에게 명확해진다. 즉,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대체로 돔 형상이다.
특정 형태에서, 가요성 및/또는 탄성 재료는 측두 커넥터(1250)의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가요성 재료는 착용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안면에 부드러운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더 편안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가요성 재료는 각각의 측두 커넥터(1250)에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브릭 슬리브다.
일 형태에서, 직물은 강성화기의 적어도 한 면에 오버몰딩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강성화기는 탄성 구성요소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고, 다음에 사용자 접촉 재료(예를 들어, Breath-O-Prene?)의 덮개(sock))가 강성화기 위로 래핑(wrapping)되거나 슬라이딩될 수 있다. 대안적인 형태에서, 사용자 접촉 재료는 접착제, 초음파 용접, 재봉, 후크 앤드 루프 재료, 및/또는 스터드 커넥터에 의해 강성화기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사용자 접촉 재료는 강성화기의 양 측면에 있을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재료의 비용 및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강성화기의 사용자 접촉 측면(예를 들어, 사용자 접촉면)에만 있을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사용자의 피부에 편안할 수 있고 편안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된 층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는 가요성 재료(예를 들어, 직물)로 구성된다.
5.2.2.2 후방 지지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일부 형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또는 사용자의 눈에 근접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도 4b에 도시됨)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후방 지지부(135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지지부(135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게 적절하게 배향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을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측두 커넥터(1250)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결합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 후방 지지부(135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사용자의 머리 형태에 맞도록 3차원 윤곽 곡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지지부(1350)의 3차원 형상은 사용시 두정골 및 후두골의 일부를 오버레이하도록 채택된 일반적으로 둥근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후방 부분일 수 있다. 후방 지지부(1350)는 전방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향되는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최하부 부분이다. 예를 들어, 후방 지지부(1350)는 후두골과 승모근 사이의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후방 지지부(3008)는 후두골(예를 들어, 후두부)의 하부 에지에 걸릴 수 있다. 후방 지지부(1350)는 사용자의 후두부에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상방 및/또는 전방으로 향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전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최하부 부분이다. 예를 들어, 후방 지지부(1350)는 사용자의 목 기저부에 위치하여(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보다 낮은 후두골 및 승모근을 오버레이함) 후방 지지부(1350)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보다 낮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패딩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할 수 있다(예를 들어, 후두골과 승모근 사이의 영역을 오버레이함). 패딩 소재는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후방 지지부(1350)가 사용자의 머리를 잡아당겨 발생하는 자국을 제한할 수 있다.
5.2.2.3 이마 지지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일부 형태는 사용 시 사용자의 눈보다 위쪽에 있는 사용자의 머리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이마 지지부 또는 전두 지지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이마 지지부(1360)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도 4a에 도시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이마 지지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마 지지부(1360)는 사용자의 머리의 전두골을 오버레이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이마 지지부(1360)는 또한 접형골 및/또는 측두골보다 더 위에 있을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사용자의 눈썹보다 더 위의 위치에 이마 지지부(136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이마 지지부(1360)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전방 부분일 수 있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임의의 다른 부분보다 사용자의 머리에서 더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후방 지지부(1350)는 후방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향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이마 지지부(1360)는 사용자와 접촉할 수 있는 쿠션 재료(예를 들어, 직물, 폼, 실리콘 등)를 포함할 수 있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스트랩에 의해 야기되는 자국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마 지지부(1360)와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함께 작용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이마 지지부(136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과 다른 위치(예를 들어, 더 상방 위치)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접촉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이마 지지부(1360)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3000)이 사용자의 안면의 형상 및/또는 구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이마 지지부(1360)(예를 들어, 이마 지지부(1360)의 측면에서)에 결합될 수 있다. 측두 커넥터(1250)는 후방 지지부(1350)에 결합하기 위해 하방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측두 커넥터(1250)의 다중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측두 커넥터(1250)는 이마 지지부(1360)에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측두 커넥터(125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이마 지지부(1360)는 사용자에게 향상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마에 대체로 평행한 각도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마 지지부(1360)는 전두골을 오버레이하고 관상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향으로 사용자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마 지지부를 관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설정하면, 불균등한 제공을 초래할 수 있는 압력 상처(pressure sore)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이마 지지부(1360)는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영역(예를 들어, 후두골 및 승모근을 오버레이하는 영역)과 접촉하는 후방 지지부 또는 후방 지지부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후방 스트랩을 따른 축은 이마 지지부(1360)와 교차하지 않을 것이며, 이는 후방 스트랩을 따른 축보다 더 아래에 그리고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마 지지부(1360)와 후방 스트랩 사이의 결과적인 오프셋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중력에 반대하는 모멘트를 생성할 수 있다. 더 큰 오프셋은 더 큰 모멘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적절한 위치를 유지하는 데 더 많은 도움이 된다. 오프셋은 이마 지지부(1360)를 사용자의 눈에 더 가깝게(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를 따라 더 앞쪽 및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시키거나 더 수직이 되도록 후면 스트랩의 각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5.2.2.4 조정 가능 스트랩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선택적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부분들은 조정가능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적어도 하나의 루프 또는 아일릿(1254)을 포함할 수 있고, 측두 커넥터(125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루프를 통해 체결될 수 있고 자체적으로 다시 이중화될 수 있다. 각각의 아일릿(1254)을 통해 체결된 측두 커넥터(1250)의 길이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에 의해 제공되는 인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일릿(1254)을 통해 측두 커넥터(1250)의 더 긴 길이를 체결하는 것은 더 큰 인장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 중 적어도 하나는 조정 부분(1256) 및 수용 부분(1258)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부분(1256)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상의 아일릿(1254)을 통해 위치될 수 있고, 수용 부분(1258)에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자체적으로 이중화됨으로써). 조정 부분(1256)은 후크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수용 부분(1258)은 루프 재료를 포함할 수 있어서(또는 그 반대로), 조정 부분(1256)이 원하는 위치에 제거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후크 재료 및 루프 재료는 벨크로일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수용 부분(1258)에 대한 조정 부분(1256)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후방력을 가할 수 있고, 사용자의 머리(예를 들어, 광 차폐부가 밀봉 형성 구조물조물로 작용할 때)에 대한 광 차폐부의 밀봉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조정 부분(1256)은 가요성 및/또는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머리의 형상에 일치할 수 있고/있거나 조정 부분이 아일릿(1254)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부분(들)(1256)은 탄성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 직물로 구성될 수 있다. 측두 커넥터(1250)의 나머지 부분은 위에서 설명된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단, 측두 커넥터(1250)의 추가 섹션이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음이 고려됨).
5.2.2.4.1 헤드 스트랩
일부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3000)은 사용자의 머리의 상방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전방 부분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후방 영역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머리의 형상을 보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상면(12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후방 단부에 근접하여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결합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이마 지지부(136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상위 에지에 근접한 이마 지지부(13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는 이마 지지부(1360)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후방 지지부(135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후방 지지부(1350)의 상위 에지에 근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자의 머리의 전두골 및 두정골을 덮을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 사이에서 연장될 때 시상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중력에 대항할 수 있는 상방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향된 인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후방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향된 인장력을 인가할 수 있고, 이는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을 사용자의 안면 쪽으로 당길 수 있다(그리고 광 차폐부(3304)가 밀봉 형성 구조물로서 작용할 때 밀봉력의 일부를 공급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선택적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조정가능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또는 이마 지지부(1360)(경우에 따라)는 적어도 하나의 루프 또는 아일릿(1254)을 포함할 수 있고,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그 아일릿(1254)을 통해 체결될 수 있고, 자체적으로 다시 이중화될 수 있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에 의해 제공되는 인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아일릿(1254)을 통해 체결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길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일릿(1254)을 통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더 긴 길이를 체결하는 것은 더 큰 인장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조정 부분 및 수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부분은 아일릿(1254)을 통해 위치될 수 있고 수용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자체적으로 다시 이중화됨으로써). 조정 부분은 후크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수용 부분은 루프 재료를 포함할 수 있어서(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조정 부분은 원하는 위치에서 제거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후크 재료 및 루프 재료는 벨크로일 수 있다.
5.2.2.5 회전 제어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용자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착용한 동안 사용자의 안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여전히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를 착용하면서 물리적 환경을 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것은 가상 환경을 보기 위해 휴식을 취하고 싶지만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를 벗고 싶지 않은 사용자에게 유용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피봇 연결부(126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상부 부분과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봇 연결부(126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상면(1230)에 형성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피봇 연결부(1260)는 이마 지지부(1360)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이마 지지부(1360)의 하측 에지를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이 피봇할 수 있도록 이마 지지부(136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피봇 연결부(1260)는 래칫 연결부일 수 있고, 추가 사용자 개입 없이 상승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을 유지할 수 있다.
5.2.3 제어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일부 형태는 가상 환경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고/하거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맞물려질 수 있는 제어기(1270)를 포함한다. 제어기(127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될 수 있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가상 객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5.2.3.1 휴대용 제어기
일부 형태에서, 제어기(1270)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2개의 휴대용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제어기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각각의 휴대용 제어기는 사용자의 손 각각의 하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사용자는 가상 환경에서 가상 객체를 제어 및/또는 상호작용하기 위해 휴대용 제어기(들)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휴대용 제어기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은 휴대용 제어기를 잡은 상태에서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휴대용 제어기는 방향 제어(예를 들어, 조이스틱, 제어 패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으로 휴대용 제어기를 잡는 동안 방향 제어를 결합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제어기(127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27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블루투스, Wi-Fi 또는 임의의 유사한 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제어기(127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유선 연결로 연결될 수 있다.
5.2.3.2 고정 제어기
일부 형태에서, 제어기(127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제어기(127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일체로 형성된 제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버튼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측면 좌측 또는 우측 면(1234, 1236)에 대해 사용자의 팜 레스트를 잡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맞물릴 수 있도록 상면(1230) 및/또는 하면(1232)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다른 면에도 제어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사용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버튼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버튼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이 사용자에게 영상을 출력하고 있는지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온/오프 버튼일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제어 버튼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유선 연결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휴대용 제어기 및 제어 버튼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5.2.4 스피커
도 6을 참조하면, 일부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청각 출력을 제공하기위해 사용자의 귀의 근처에 위치할 수 있는 사운드 시스템 또는 스피커(1272)를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스피커(1272)는 사용자의 귀 주위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주변부 소음을 듣는 것을 차단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스피커(1272)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272)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블루투스, Wi-Fi 또는 임의의 유사한 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스피커(1272)는 좌측 귀 변환기 및 우측 귀 변환기를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좌측 및 우측 귀 변환기는 다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한쪽 귀(예를 들어, 좌측 귀)에서 듣는 볼륨 및/또는 소음이 다른 쪽 귀(예를 들어, 우측 귀)에서 듣는 볼륨 및/또는 소음과 다를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스피커(1272)(예를 들어, 스피커(1272)의 볼륨)는 제어기(1270)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5.2.5 전원
도 6을 참조하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일부 형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임의의 다른 전기 구성요소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원(1274)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전원(1274)은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는 유선 전기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전원(1274)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배터리는 유선 전기 연결에 비해 사용자에게 더 큰 이동성을 허용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및/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다른 전자 구성요소는 내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전원(1274)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으로부터 원격 위치에 전원(1274)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1274)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선이 먼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전원(1274)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1274)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스트랩에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274)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후방 부분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일반적으로 대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1274)의 무게, 그리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무게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전방 부분에 집중되는 대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전체에 분산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후방 부분으로 무게를 이동시키면 사용자의 안면에 생성되는 모멘트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편안함을 개선하고 사용자가 더 오랜 기간 동안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전원(1274)은 사용자의 머리에서 먼 사용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1274)은 전기 커넥터(예를 들어, 전선)를 통해서만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1274)은 사용자의 바지 주머니에, 벨트 클립에, 또는 전원(1274)의 무게를 지지하는 유사한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해야 하는 무게를 제거하고,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보다 편안하게 착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전원(127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1220)은 휴대폰, 또는 내부 전원(1274)을 포함하는 다른 유사한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5.2.6 제어 시스템
도 6을 참조하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일부 형태는 사용자에 의해 수신되는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 제어 시스템(127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시스템(1276)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으로부터의 시각적 출력 및/또는 스피커(1272)로부터의 청각적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예를 들어, 물리적 환경에서) 상이한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고 측정된 파라미터를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신한 출력은 측정된 파라미터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통합된다. 다른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과 분리되지만 연결되는(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시스템 지지부(1290)에 수용된다.
5.2.6.1 전원
일부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제어 시스템(1276)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일 수 있는 전원(1274)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1276)의 센서는 전원(1274)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전원(1274)의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는 저전력 시스템 배터리(1278) 및 메인 배터리(7008)일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저전력 시스템 배터리(1278)는 제어 시스템(1276)의 실시간(RT) 클록(128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5.2.6.1.1 통합 전원 지지부
일부 형태에서, 배터리 지지부(1288)는 저전력 시스템 배터리(1278) 및/또는 메인 배터리(7008)를 지지할 수 있다. 배터리 지지부(1288)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배터리 지지부(1288)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배터리 지지부(1288)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지지부(1288)는 후방 지지부(1350)에 결합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무게는 사용자의 머리 주위에 더 잘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배터리 지지부(1288)의 일 형태는 배터리 팩 하우징이며, 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5.2.6.1.2 원격 전원 지지부
일부 형태에서, 배터리 지지부(1288)는 저전력 시스템 배터리(1278) 및/또는 메인 배터리(7008)를 지지할 수 있다. 배터리 지지부(1288)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과 독립적으로 사용자에게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벨트 클립을 통해 결합될 수 있음). 배터리 지지부(1288)는 또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원격으로 지지될 수 있다(예를 들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밧줄은 배터리 지지부(1288)를 제어 시스템(1276) 및/또는 다른 전자장치에 결합할 수 있다. 저전력 시스템 배터리(1278) 및/또는 메인 배터리(7008)의 무게가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지지부의 위치는 사용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5.2.6.2 배향 센서
일부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사용자의 신체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배향 센서(128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배향 센서(1284)는 사용자가 몸 전체 및/또는 머리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향 센서(1284)는 사용자의 신체의 각도 위치(또는 임의의 유사한 파라미터)를 측정할 수 있다.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센서(1284)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과 통신하여 다른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외부 배향 센서는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고 있는 물리적 환경에 위치될 수 있다. 외부 위치 센서는 위에서 설명한 배향 센서(1284)와 유사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다. 외부 배향 센서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지지해야 하는 무게를 줄일 수 있다.
5.2.6.2.1 카메라
일부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을 보기 위해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배향 센서(1284)는 사용자의 머리의 배향(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졌는지)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을 관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카메라이다.
일부 형태에서, 배향 센서(1284)는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보다 완전한 뷰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머리 배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전체에 위치된 다중 카메라를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카메라(1284)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전방면(1238)에 결합된다. 카메라(1284)는 "1인칭" 뷰를 제공하기 위해 위치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카메라(1284)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즉, 1인칭 뷰)의 도움 없이 자신의 물리적 환경을 보고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제거하지 않고 그들의 물리적 환경 주위를 움직일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이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가상 객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카메라(1284)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MR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276)은 VR 장치와 MR 장치 간의 동작을 전환하기 위한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5.2.6.3 눈 센서
일부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센서는 사용자의 눈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눈 중 적어도 하나가 보고 있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2개의 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는 사용자의 눈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눈 센서는 렌즈(1240) 내에 또는 렌즈(124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눈 센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으로부터의 시각적 출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귀의 각도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5.2.6.4 처리 시스템
일부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제어 시스템(1276)의 다양한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수신할 수 있는 처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처리 시스템은 배향 센서(1284) 및/또는 눈 센서에 의해 기록된 측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된 값에 기반하여, 프로세서는 출력 중인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 및/또는 사용자의 머리가 상방 방향으로 피봇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예를 들어, 처리 시스템의 지시에 응답하여) 가상 환경의 더 상부 부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5.3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디스플레이 하우징(3200), 및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과 같은 기능적 양태를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기능적 양태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구성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물리적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기능적 양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 시, 디스플레이(3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3100)를 볼 수 있도록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고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열된다.
다른 태양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또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 제어기(1270), 스피커(1272), 전원(1274), 및/또는 제어 시스템(127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들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는 반면, 다른 예에서, 이들은 모듈형일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통합될 수 있다.
5.3.1 디스플레이 유닛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사용자에게 관찰 가능한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사용자의 안면 앞의 작동 위치에 유지되도록(예를 들어, 수동으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등에 의해) 배열된다.
일부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또는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또는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포함될 수 있지만,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일부가 아닐 수 있다.
5.3.1.1 디스플레이 스크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일부 형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용자에게 관찰 가능한 출력을 제공하는 전기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는 광 출력을 제공한다. 광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가상 환경 및/또는 가상 객체를 관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볼 수 있도록 사용자의 눈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용자의 눈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을 증강하기 위해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컴퓨터 생성 이미지는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에 존재하는 것처럼 나타날 수 있음).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전자 디스플레이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 스크린일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컴퓨터 생성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상에 투사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용자의 눈동자 사이의 거리를 더 넓게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용자의 뺨 사이의 거리보다 넓을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전결정된 조건(예를 들어, 시간의 경과, 사용자의 움직임, 사용자의 입력 등)에 따라 변경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일부는 사용자의 눈 중 하나에만 보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일부는 사용자의 한쪽 눈(예를 들어, 우측 눈)에 근접하여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른 쪽 눈(예를 들어, 좌측 눈)의 시야는 차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2개의 측면(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으로 분할될 수 있고, 한 번에 2개의 이미지(예를 들어, 양측에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각각의 측면에는 유사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미지가 동일할 수 있지만 다른 예에서는 이미지가 약간 다를 수 있다.
함께,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상의 2개의 이미지는 쌍안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에게 보다 현실적인 AR 또는 MR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뇌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두 개의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함께 처리할 수 있다. 2개의(예를 들어, 동일하지 않은) 이미지를 제공하면 사용자가 주변에서 가상 객체를 볼 수 있고 가상 환경에서 시야를 확장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용자의 두 눈에 보이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한 번에 하나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는 양 눈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다중 이미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에 비해 처리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단일 렌즈(1240)(예를 들어, 단안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렌즈(1240)는 두 눈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두 눈이 렌즈(1240)를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또는 한쪽 눈의 전방에만 위치할 수 있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이미지가 한쪽 눈으로만 볼 때). 이것은 사용자가 제한된 가상 자극을 원할 수 있고 오버레이된 가상 객체 없이 물리적 환경을 관찰하기를 원할 수 있는 AR 또는 MR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특히 AR 또는 MR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사용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계속 착용하고 물리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동안 꺼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상 자극을 받을 때와 물리적 환경만 관찰할 때를 선택적으로 고를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투명(또는 반투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유리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통해 볼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물리적 환경을 계속 볼 수 있도록 AR 또는 MR 애플리케이션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5.3.1.1.1 광학 렌즈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렌즈(12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렌즈(1240)를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이 제공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렌즈(1240)는 사용자가 렌즈(1240)를 통해 바라보면서 자신의 물리적 환경을 관찰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과 함께 투명 및/또는 반투명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에 의해 출력되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의 존재 또는 부재에 관계없이 그들의 물리적 환경을 관찰(예를 들어, 시각적 관찰)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사용자의 눈 각각의 하나에 대해 하나씩 2개의 렌즈(124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눈은 각각의 동공 앞에 위치한 별도의 렌즈를 통해 볼 수 있다. 각각의 렌즈(1240)는 동일할 수 있지만, 일부 예에서 하나의 렌즈(1240)는 다른 렌즈(1240)와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상이한 배율을 가짐). 예를 들어, 렌즈(1240)는 도수 렌즈(1240)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은 각각 다른 도수를 가질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두 개의 이미지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각 눈은 두 이미지 중 하나만 볼 수 있다.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에 나란히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각각의 렌즈(1240)는 각각의 눈이 각각의 눈에 근접한 이미지만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이 두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함께 관찰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각각의 렌즈(1240)는 상이한 이미지를 출력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컴퓨터 생성 이미지가 사용자의 눈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220) 모두가 동시에 출력되고 있는지, 하나 또는 전혀 출력되지 않는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관찰하는 눈을 전환하려는 경우 유용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단일 렌즈(1240)(예를 들어, 단안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렌즈(1240)는 두 눈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두 눈이 렌즈(1240)를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또는 한쪽 눈의 전방에만 위치할 수 있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이미지가 한쪽 눈으로만 볼 때).
5.3.1.2 디스플레이 하우징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위한 지지 구조물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충격력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205)은 또한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될 수 있고, 사용자에 대한 자극을 제한하기에 적합한 생체적합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는 연성 및/또는 가요성 재료(예를 들어, 직물, 실리콘, 등)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맞물리는(예를 들어, 손으로 움켜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적어도 일부가 연성 및/또는 가요성 재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생체적합성 및/또는 사용자 편안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기술의 다른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실리콘 고무와 같은 연성, 가요성, 및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R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과 달리 AR(또는 MR)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직접 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통해 볼 수 있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이 투명하거나 반투명인 경우).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센서 또는 다른 전자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를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자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5.3.1.3 인터페이싱 구조물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일부 형태는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이 사용자의 안면의 형태에 일치하도록 위치설정 및/또는 배열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 및/또는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표면에 결합된다.
일부 형태에서, 본 기술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생체적합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본 기술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연성, 가요성 및/또는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본 기술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실리콘 고무 및/또는 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불편함의 위치일 수 있는 사용자의 안면의 민감한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을 형성하는 재료는 이러한 민감한 영역을 완충할 수 있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불편함을 제한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이러한 민감한 영역에는 사용자의 이마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두개근 및/또는 미간과 같이 전두골에 근접한 사용자의 머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영역은 사용자의 피부와 뼈 사이에 근육 및/또는 지방의 자연적인 완충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민감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의 콧방울 능선에도 자연스러운 완충이 거의 또는 전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단일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대량 제조를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다양한 안면 모양 및 크기에 편안하게 맞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사용자의 안면의 상이한 영역을 오버레이하는 상이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의 상이한 부분은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상이한 영역에서 상이한 직물 및/또는 쿠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사용자 코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는 비강 패드(예를 들어, 안경에 사용됨)를 포함할 수 있다. 비강 패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코에 가벼운 압력을 가할 수 있지만, 상당한 불편함을 유발하는 힘은 가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비강 패드는 후방 방향 인장력을 받지 않을 수 있음).
5.3.2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에 의해 사용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을 정확한 작동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중량으로부터 유도된 하중을 수용하기 위해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안면 디스플레이 및/또는 통증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이상적으로 편안하다. 또한, 편안함, 사용성 및 제조 비용을 트레이드 오프(trade off)하지 않고 전반적인 피팅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 설계 기준은 낮은 손재주 임계치(dexterity threshold)를 갖는 저터치 단순 설정 솔루션에 의한 사전결정된 범위에 걸친 조정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고려사항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사용될 수 있는 동적 환경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가상 환경의 몰입 경험의 일부로서, 사용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사용하는 동안에 통신, 즉 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턱 또는 하악은 두개골의 다른 뼈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사용 기간 동안에 머리 전체가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체의 움직임, 일부 경우에는 하체, 특히 상체 및 하체에 대한 머리의 움직임.
일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대한 중력의 영향을 극복하기 위해 유지력을 제공한다.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사용자가 편안하게 착용하는 것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이 제공된다. 일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장치의 인지된 또는 실제 장치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로우 프로파일 또는 단면 두께를 갖는다. 일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스트랩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사용자가 머리를 좌우로 수월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너무 크고 부피가 크지 않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이 제공된다.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직물 사용자 접촉 층, 폼 내부 층 및 직물 외부 층의 라미네이트로 구성된 스트랩을 포함한다. 한 형태에서, 폼은 습기(예를 들어, 땀)가 스트랩을 통과할 수 있도록 다공성이다. 한 형태에서, 스트랩의 피부 접촉 층은 사용자의 안면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재료로 형성된다. 일 형태에서, 직물 외부 층은 후크 재료 부분과 맞물리는 루프 재료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특정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연장 가능한, 즉 탄력적으로 확장 가능한 스트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트랩은 사용 시 장력이 가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을 사용자의 안면의 일부를 향해, 특히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게 그리고 시야와 일직선으로 당기도록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에서 스트랩은 타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제1 타이를 포함하고, 제1 타이는 사용시에 그 하위 에지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머리의 상이저점 위로 통과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후두골을 덮지 않고 두정골의 일부를 덮는다.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제2 타이를 포함하고, 제2 타이는 사용시에 그 상위 에지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머리의 하이저점 아래를 통과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을 덮거나 아래에 위치한다.
본 기술의 한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제1 타이와 제2 타이를 상호 연결하여 서로 멀어지는 경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3 타이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특정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구부릴 수 있고 예를 들어, 비 강성인 스트랩을 포함한다. 이 양태의 장점은 스트랩이 사용자의 머리에 더 편안하다는 것이다.
본 기술의 특정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수증기가 스트랩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통기성이 있도록 구성된 스트랩을 포함한다.
[0626] 본 기술의 특정 형태에서, 각각은 상이한 크기 및/또는 형상 범위에 대응하는 유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큰 크기의 머리에는 적합하지만 작은 크기의 머리에는 적합하지 않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한 형태와, 그리고 작은 머리에는 적합하지만 큰 머리에는 적합하지 않은 다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기 위한 쿠션 재료(예를 들어, 폼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 재료는 특히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이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에 추가된 착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5.3.2.1 측두 커넥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일부 형태는 측두 커넥터(1250)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사용 시 사용자의 측두골 각각을 오버레이할 수 있다. 사용 시 측두 커넥터(1250)의 일부는 상이저점 상측에 근접한 사용자의 머리 영역, 즉 사용자의 귀 각각의 위와 접촉하고 있다.
측두 커넥터(1250)는 각각의 측두 커넥터(1250)가 사용자의 머리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측면 부분일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시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두 커넥터(125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일반적으로 머리의 프랑크포트 수평면을 따라 또는 평행하게 그리고 관골보다 위로(예를 들어, 사용자의 광대뼈 위로) 연장되도록 사용 중에 배열된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안경의 아암과 유사하게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위치될 수 있고, 각각의 귀의 반나선보다 더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일반적으로 길고 평평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측두 커넥터(1250)는 두께(종이 평면으로의 방향)보다 훨씬 더 길고 넓다(종이 평면에서 위에서 아래로 방향).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각각 3개의 축(X, Y 및 Z) 모두에서 곡률을 갖는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측두 커넥터(1250)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균일할 수 있지만, 그 높이는 길이에 걸쳐 변한다. 각각의 측두 커넥터(1250)의 형상 및 치수의 목적은 눈에 거슬리지 않게 유지하고 낮은 프로파일(예를 들어, 지나치게 부피가 커 보이지 않도록)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밀접하게 일치하는 것이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플라스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Hytrel), 또는 다른 유사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는 자체 지지 및/또는 마모 없이 모양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사용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을 보다 직관적이거나 명확하게 만들 수 있으며, 완전히 연성이고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과 대조될 수 있다. 사용 전에 측두 커넥터(1250)를 사용 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사용자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착용하는 동안에 뒤틀림을 방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고,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신속하게 피팅하거나 착용할 수 있게 한다.
특정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강성화기일 수 있으며, 이는 강성화기가 사용 시 아암의 신장 또는 변형의 크기를 제한하기 때문에 측두 커넥터(1250)를 통한 장력의 보다 효과적인(예를 들어, 직접) 병진을 허용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이 '상자 밖으로' 꺼내지고 대체로 사용 시의 구성으로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상자 밖으로 꺼내지면 사용 시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예를 들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일부 또는 일부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강성화기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게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형상이 사용자의 머리의 후측 부분과 매우 유사하게 대체로 만곡되기 때문에,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배향이 사용자에게 명확해진다. 즉,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대체로 돔 형상이다.
특정 형태에서, 가요성 및/또는 탄성 재료는 측두 커넥터(1250)의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가요성 재료는 착용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안면에 부드러운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더 편안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가요성 재료는 각각의 측두 커넥터(1250)에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브릭 슬리브다.
일 형태에서, 직물은 강성화기의 적어도 한 면에 오버몰딩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강성화기는 탄성 구성요소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고, 다음에 사용자 접촉 재료(예를 들어, Breath-O-Prene?)의 덮개(sock))가 강성화기 위로 래핑(wrapping)되거나 슬라이딩될 수 있다. 대안적인 형태에서, 사용자 접촉 재료는 접착제, 초음파 용접, 재봉, 후크 앤드 루프 재료, 및/또는 스터드 커넥터에 의해 강성화기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사용자 접촉 재료는 강성화기의 양 측면에 있을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재료의 비용 및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강성화기의 사용자 접촉 측면(예를 들어, 사용자 접촉면)에만 있을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사용자의 피부에 편안할 수 있고 편안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된 층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는 가요성 재료(예를 들어, 직물)로 구성된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일부 형태는 측두 커넥터(125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측두 커넥터(1250)는 측두 안경의 측두 또는 아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두 아암(3304)은 (예를 들어, 각각의 측두골을 향하여) 사용자의 머리의 측면으로 지향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5.3.2.2 후방 지지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일부 형태는 후방 지지부,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에 근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을 지지하는 것을 돕기 위한 후방 지지부(135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지지부(135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게 적절하게 배향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을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측두 커넥터(1250)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결합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 후방 지지부(135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사용자의 머리 형태에 맞도록 3차원 윤곽 곡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지지부(1350)의 3차원 형상은 사용시 두정골 및 후두골의 일부를 오버레이하도록 채택된 일반적으로 둥근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후방 부분일 수 있다. 후방 지지부(1350)는 전방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향되는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최하부 부분이다. 예를 들어, 후방 지지부(1350)는 후두골과 승모근 사이의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후방 지지부(1350)는 후두골(예를 들어, 후두부)의 하측 에지에 걸칠 수 있다. 후방 지지부(1350)는 사용자의 후두부에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상방 및/또는 전방으로 향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전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최하부 부분이다. 예를 들어, 후방 지지부(1350)는 사용자의 목 기저부에 위치하여(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보다 낮은 후두골 및 승모근을 오버레이함) 후방 지지부(1350)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보다 낮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패딩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할 수 있다(예를 들어, 후두골과 승모근 사이의 영역을 오버레이함). 패딩 소재는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후방 지지부(1350)가 사용자의 머리를 잡아당겨 발생하는 자국을 제한할 수 있다.
5.3.2.3 이마 지지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일부 형태는 사용 시 사용자의 눈보다 위쪽에 있는 사용자의 머리에 접촉할 수 있는 이마 지지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마 지지부(1360)는 사용자의 머리의 전두골을 덮을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이마 지지부(1360)는 또한 접형골 및/또는 측두골보다 더 위에 있을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사용자의 눈썹보다 더 위의 위치에 이마 지지부(136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이마 지지부(1360)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전방 부분일 수 있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임의의 다른 부분보다 사용자의 머리에서 더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후방 지지부(1350)는 후방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향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이마 지지부(1360)는 사용자와 접촉할 수 있는 쿠션 재료(예를 들어, 직물, 폼, 실리콘 등)를 포함할 수 있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스트랩에 의해 야기되는 자국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마 지지부(1360)와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함께 작용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이마 지지부(136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과 다른 위치(예를 들어, 더 상방 위치)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접촉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이마 지지부(1360)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3000)이 사용자의 안면의 형상 및/또는 구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는 이마 지지부(1360)(예를 들어, 이마 지지부(1360)의 측면에서)에 결합될 수 있다. 측두 커넥터(1250)는 후방 지지부(1350)에 결합하기 위해 하방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측두 커넥터(1250)의 다중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측두 커넥터(1250)는 이마 지지부(1360)에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측두 커넥터(125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이마 지지부(1360)는 사용자에게 향상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마에 대체로 평행한 각도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마 지지부(1360)는 전두골을 오버레이하고 관상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향으로 사용자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마 지지부를 관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설정하면, 불균등한 제공을 초래할 수 있는 압력 상처(pressure sore)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이마 지지부(1360)는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영역(예를 들어, 후두골 및 승모근을 덮는 영역)과 접촉하는 후방 지지부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후방 스트랩을 따른 축은 이마 지지부(1360)와 교차하지 않을 것이며, 이는 후방 스트랩을 따른 축보다 더 아래에 그리고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마 지지부(1360)와 후방 스트랩 사이의 결과적인 오프셋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중력에 반대하는 모멘트를 생성할 수 있다. 더 큰 오프셋은 더 큰 모멘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적절한 위치를 유지하는 데 더 많은 도움이 된다. 오프셋은 이마 지지부(1360)를 사용자의 눈에 더 가깝게(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를 따라 더 앞쪽 및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시키거나 더 수직이 되도록 후면 스트랩의 각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5.3.2.4 조정 가능 스트랩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선택적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부분은 조정가능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적어도 하나의 루프 또는 아일릿(1254)을 포함할 수 있고, 측두 커넥터(125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루프를 통해 체결될 수 있고 자체적으로 다시 이중화될 수 있다. 각각의 아일릿(1254)을 통해 체결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스트랩의 길이는 인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일릿(1254)을 통해 더 긴 길이로 체결되는 것은 더 큰 인장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측두 커넥터(1250) 중 적어도 하나는 조정 부분(1256) 및 수용 부분(1258)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부분(1256)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상의 아일릿(1254)을 통해 위치될 수 있고, 수용 부분(1258)에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자체적으로 다시 이중화됨으로써). 조정 부분(1256)은 후크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수용 부분(1258)은 루프 재료를 포함할 수 있어서(또는 그 반대로), 조정 부분(1256)이 원하는 위치에 제거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후크 재료 및 루프 재료는 벨크로일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스트랩은 가요성 및/또는 탄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머리의 형상에 일치할 수 있고/있거나 조정 부분이 아일릿(1254)을 통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부분(들)(1256)은 탄성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 직물로 구성될 수 있다. 나머지 측두 커넥터(1250)는 위에서 설명된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비록 측두 커넥터(1250)의 추가 섹션이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음이 고려되지만).
5.3.2.4.1 상단 스트랩 부분
일부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3000)은 사용자의 머리의 상방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전방 부분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후방 영역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머리의 형상을 보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상면(12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후방 단부에 근접하여 디스플레이 하우징(3528)에 결합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이마 지지부(136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상위 에지에 근접한 이마 지지부(13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는 이마 지지부(1360)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후방 지지부(135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후방 지지부(1350)의 상위 에지에 근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자의 머리의 전두골 및 두정골을 오버레이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 사이에서 연장될 때 시상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중력에 대항할 수 있는 상방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향된 인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선택적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조정가능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또는 이마 지지부(1360)는 적어도 하나의 루프 또는 아일릿(1254)을 포함할 수 있고,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그 아일릿(1254)을 통해 체결될 수 있고 그 자체로 다시 이중화될 수 있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에 의해 제공되는 인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아일릿(1254)을 통해 체결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길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일릿(1254)을 통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더 긴 길이를 체결하는 것은 더 큰 인장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조정 부분 및 수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부분은 아일릿(1254)을 통해 위치될 수 있고 수용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자체적으로 다시 이중화되므로서). 조정 부분은 후크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수용 부분은 루프 재료를 포함할 수 있어서(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조정 부분은 원하는 위치에서 제거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후크 재료 및 루프 재료는 벨크로일 수 있다.
5.3.2.5 회전 제어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용자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착용한 동안 사용자의 안면에 대해 피봇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통해 보지 않고(예를 들어,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보지 않고) 물리적 환경을 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것은 가상 환경을 보기 위해 휴식을 취하고 싶지만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를 벗고 싶지 않은 사용자에게 유용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피봇 연결부(1260)는 측두 커넥터(1250)에 결합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측두 커넥터(1250) 사이에서 연장되는 축(예를 들어, 사용시 프랑크포트 수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는 실질적 수평 축)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으로부터 멀리 연장되고(예를 들어, 캔틸레버 구성으로) 사용 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한 쌍의 아암(1210)을 포함한다.
특정 형태에서, 한 쌍의 아암(1210)은 측두 커넥터(1250)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고, 피봇 연결부(1260)에서 측두 커넥터(125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피봇 연결부(1260)는 래칫 연결부일 수 있고, 추가 사용자 개입 없이 상승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을 유지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중립 위치(예를 들어, 도 5b 참조; 사용 시 실질적으로 수평) 및 피봇된 위치(예를 들어, 사용 시 수평 축에 대해 피봇됨)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측두 커넥터(1250)에 대해 대략 0°와 대략 90° 사이에서 피봇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측두 커넥터(1250)에 대해 대략 0°와 대략 80° 사이에서 피봇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측두 커넥터(1250)에 대해 대략 0°와 대략 70° 사이에서 피봇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측두 커넥터(1250)에 대해 대략 0°와 대략 60° 사이에서 피봇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측두 커넥터(1250)에 대해 대략 0°와 대략 50° 사이에서 피봇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측두 커넥터(1250)에 대해 대략 0°와 대략 45° 사이에서 피봇할 수 있다. 적어도 최대 피봇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사용자의 눈보다 더 상위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물리적 환경을 보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을 통해 볼 필요가 없다.
5.3.3 제어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일부 형태는 가상 환경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고/하거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제어기(1270)를 포함한다. 제어기(127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될 수 있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가상 객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5.3.3.1 휴대용 제어기
일부 형태에서, 제어기(1270)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2개의 휴대용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제어기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각각의 휴대용 제어기는 사용자의 손 각각의 하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사용자는 가상 환경에서 가상 객체를 제어 및/또는 상호작용하기 위해 휴대용 제어기(들)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휴대용 제어기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은 휴대용 제어기를 잡은 상태에서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휴대용 제어기는 방향 제어(예를 들어, 조이스틱, 제어 패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으로 휴대용 제어기를 잡는 동안 방향 제어를 결합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제어기(127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27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블루투스, Wi-Fi 또는 임의의 유사한 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제어기(127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유선 연결로 연결될 수 있다.
5.3.3.2 고정 제어기
일부 형태에서, 제어기(127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제어기(127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일체로 형성된 제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버튼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측면 좌측 또는 우측 면(1234, 1236)에 대해 사용자의 팜 레스트를 잡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맞물릴 수 있도록 상면(1230) 및/또는 하면(1232)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다른 면에도 제어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사용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버튼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버튼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이 사용자에게 영상을 출력하고 있는지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온/오프 버튼일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제어 버튼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유선 연결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휴대용 제어기 및 제어 버튼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제어 버튼(들)만 갖는 것이 AR 또는 MR 장치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AR 또는 MR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는 동안, 사용자는 그들의 물리적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걷기, 도구 사용 등).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기(1270)에서 손을 자유롭게 유지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5.3.4 스피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일부 형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청각 출력을 제공하기위해 사용자의 귀의 근처에 위치할 수 있는 사운드 시스템 또는 스피커(1272)를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스피커(1272)는 사용자의 귀 주위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주변부 소음을 듣는 것을 차단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스피커(1272)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272)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블루투스, Wi-Fi 또는 임의의 유사한 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스피커(1272)는 좌측 귀 변환기 및 우측 귀 변환기를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좌측 및 우측 귀 변환기는 다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한쪽 귀(예를 들어, 좌측 귀)에서 듣는 볼륨 및/또는 소음이 다른 쪽 귀(예를 들어, 우측 귀)에서 듣는 볼륨 및/또는 소음과 다를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스피커(1272)(예를 들어, 스피커(1272)의 볼륨)는 제어기(1270)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5.3.5 전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일부 형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임의의 다른 전기 구성요소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원(1274)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전원(1274)은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는 유선 전기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전원(1274)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배터리는 유선 전기 연결에 비해 사용자에게 더 큰 이동성을 허용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및/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다른 전자 구성요소는 내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전원(1274)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으로부터 원격 위치에 전원(1274)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1274)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선이 먼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전원(1274)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1274)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스트랩에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274)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후방 부분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일반적으로 대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1274)의 무게, 그리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무게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전방 부분에 집중되는 대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전체에 분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후방 부분으로 무게를 이동하면 사용자의 안면에 생성되는 모멘트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편안함을 개선하고 사용자가 더 오랜 기간 동안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전원(1274)은 사용자의 머리에서 먼 사용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1274)은 전기 커넥터(예를 들어, 전선)를 통해서만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1274)은 사용자의 바지 주머니에, 벨트 클립에, 또는 전원(1274)의 무게를 지지하는 유사한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해야 하는 무게를 제거하고,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보다 편안하게 착용하도록 할 수 있다.
5.3.6 제어 시스템
일부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제어 시스템(1276)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원(1274)(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1276)의 센서는 전원(1274)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전원(1274)의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는 저전력 시스템 배터리(1278) 및 메인 배터리(7008)일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저전력 시스템 배터리(1278)는 제어 시스템(1276)의 실시간(RT) 클록(128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5.3.6.1.1 통합 전원 지지부
일부 형태에서, 배터리 지지부(1288)는 저전력 시스템 배터리(1278) 및/또는 메인 배터리(7008)를 지지할 수 있다. 배터리 지지부(1288)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배터리 지지부(1288)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배터리 지지부(1288)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지지부(1288)는 후방 지지부(1350)에 결합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무게는 사용자의 머리 주위에 더 잘 균형을 이룰 수 있다.
5.3.6.1.2 원격 전원 지지부
일부 형태에서, 배터리 지지부(1288)는 저전력 시스템 배터리(1278) 및/또는 메인 배터리(1280)를 지지할 수 있다. 배터리 지지부(1288)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과 독립적으로 사용자에게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벨트 클립을 통해 결합될 수 있음). 배터리 지지부(1288)는 또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원격으로 지지될 수 있다(예를 들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밧줄은 배터리 지지부(1288)를 제어 시스템(1276) 및/또는 다른 전자장치에 결합할 수 있다. 저전력 시스템 배터리(1278) 및/또는 메인 배터리(7008)의 무게가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지지부의 위치는 사용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5.3.6.2 배향 센서
일부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사용자의 신체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배향 센서(128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배향 센서(1284)는 사용자가 몸 전체 및/또는 머리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향 센서(1284)는 사용자의 신체의 각도 위치(또는 임의의 유사한 파라미터)를 측정할 수 있다.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센서(1284)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과 통신하여 다른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외부 배향 센서는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고 있는 물리적 환경에 위치될 수 있다. 외부 위치 센서는 위에서 설명한 배향 센서(1284)와 유사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다. 외부 배향 센서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지지해야 하는 무게를 줄일 수 있다.
5.3.6.2.1 카메라
일부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을 보기 위해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배향 센서(1284)는 사용자의 머리의 배향(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을 측정하고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을 관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카메라이다.
일부 형태에서, 배향 센서(1284)는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보다 완전한 뷰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머리 배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전체에 위치된 다중 카메라를 포함한다.
5.3.6.3 눈 센서
일부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센서는 사용자의 눈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눈 중 적어도 하나가 보고 있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2개의 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는 사용자의 눈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눈 센서는 렌즈(1240) 내에 또는 렌즈(124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눈 센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으로부터의 시각적 출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귀의 각도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사용자의 눈은 제어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가상 객체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눈을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커서가 사용자의 눈 위치를 따라갈 수 있다. 눈 센서는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을 추적 및 측정할 수 있고, 가상 커서를 움직이기 위해 처리 시스템(1286)(후술됨)과 통신할 수 있다.
5.3.6.4 처리 시스템
일부 형태에서, 제어 시스템(1276)은 제어 시스템(1276)의 다양한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수신할 수 있는 처리 시스템(1286)(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을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처리 시스템(1286)은 배향 센서(1284) 및/또는 눈 센서에 의해 기록된 측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된 값에 기반하여, 프로세서는 출력 중인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 및/또는 사용자의 머리가 상방 방향으로 피봇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0)은 (예를 들어, 처리 시스템(1286)으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가상 환경의 더 상부 부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5.4 별도의 배터리 팩을 포함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도 7a 내지 도 7c, 8, 9, 도 21a 내지 도 21e, 도 23a 내지 도 23d, 도 28a 내지 도 28e, 도 31a 내지 도 31b, 도 32a 내지 도 32c 및 도 33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가상 현실(VR) 헤드셋으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각각의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및 배터리 팩(1500)을 포함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VR용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팩(15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특징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과 분리된 배터리 팩(1500)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맥락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만, 맥락이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각각의 특징은 또한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유닛과 분리된 배터리 팩(1500)을 포함하지 않거나 사용자의 머리 후방이 아닌 다른 곳에 위치한 배터리 팩(1500)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적용된다.
각각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사용 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사용자의 눈 전방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포함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또한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후방에 배터리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1350)를 포함하고, 이러한 예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후방 지지부(135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배터리 팩(1500)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상부 부분 위에 놓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5.4.1 두정 스트랩 부분
도 7a 내지 도 7c, 8, 9, 도 21a 내지 도 21e, 도 23a 내지 도 23d, 도 28a 내지 도 28e, 도 31a 내지 도 31b, 도 32a 내지 도 32c 및 도 33에 도시된 예에서,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의 위치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대해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또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이동하지 않고도 자신의 머리 상의 위치 범위를 통해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을 이동할 수 있다.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을 이동시키는 능력은 유리하게 사용자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이동하지 않고 두정 스트랩 부분(1310)과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을 벌리도록 허용할 수 있다.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및 후두 스트랩 부분(3120)을 펼치는 것은 유리하게 이 두 부분에 의해 형성된 루프 내에 후프 응력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표면에 대한 안전한 피팅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두정 스트랩 부분(1310)과 후두 스트랩 부분(1320) 사이의 각도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이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 아래를 통과한다. 아래로 통과함으로써,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유리하게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능력을 제한하지 않고 사용자의 머리를 단단히(예를 들어, 충분히 단단히) 맞물릴 수 있을 수 있다.
특히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두정 스트랩 부분(1310)에 연결된 버클(1312)을 통과할 수 있다. 버클(1312)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측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는 유리하게 사용 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사용자의 머리 중심에 유지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버클(1312)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위치한다. 버클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위치한다. 이 예에서 버클(1312)은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예를 들어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버클(1312)은 대안적으로 직물 재료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대해 이동 불가능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고정 연결된다.
5.4.2 상단 스트랩 부분
특히,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이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연결된다.
이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길이가 조정 가능하다. 이는 유리하게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할 때 보다 안전하고/하거나, 안정적이고/이거나 편안한 피팅을 달성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과 배터리 팩(1500) 사이의 길이가 조정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단 스트랩 부분(132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과 후두 스트랩 부분(1320) 사이의 길이가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된 아일릿(1202)을 통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되고 루프 백되어 자체로 고정된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단부 부분은 후크-앤드-루프 파스너 연결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다른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8에 도시된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층(1341)은 아일릿(1202)을 통과하고 루프 백되어 자체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사용자 지향 층(1344)은 아일릿을 통과하지 않는다. 사용자 지향 층(1344)은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층 구조를 포함한다. 즉, 탑스트랩부(1340)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이러한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포함하며, 이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이 길이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선택적으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이 길이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과 함께). 도 7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의 전단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상단 스트랩 부분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다. 이것은 유리하게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에 간섭하지 않고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은 직물 사용자 지향 층(1344)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 지향 층(1344)은 직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직물 외부 층(134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배터리 팩(1500)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하여 사용 시 배터리 팩으로부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1510)을 포함한다. 배터리 팩(1500)은 디스플레이 및 다른 전자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전원 케이블(1510)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내부에 있다.
도 22a 내지 도 22d는 전원 케이블(1510)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내부에 있는 본 기술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전원 케이블(1510)은 사용자에 의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내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전원 케이블(1510)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과 외부 층(1341) 사이의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통해 삽입 가능하다. 도 21e는 분해된 상태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도시하고, 도 21a 및 도 21c는 조립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 21b는 내부 전원 케이블(1510)이 보이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5.4.3 상단 스트랩 부분의 전방 및 후방 부분
도 33은 본 기술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전방 부분(1345) 및 후방 부분(1346)을 포함한다. 후방 부분(1346)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전방 부분(1345)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전방 부분(1345)은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이격된다. 유리하게, 간격은 전방 부분(1345)이 사용 시 전방 부분(1345)이 놓이는 영역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사용자 헤어를 압축하거나, 충돌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방해하는 것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피한다.
사용자의 헤어를 과도하게 누르거나 간섭하면 사용 중 편안함이 부족하거나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벗을 때 당황할 수 있다.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지 않는(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를 누르지 않는) 전방 부분(1345)을 갖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이러한 문제 또는 우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전방 부분(1345)이 특정 사용자의 헤어와 접촉할 수 있는 양은 사용자의 헤어의 길이 및 스타일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전방 부분(1345)은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지 않을 수 있지만, 사용자가 충분히 긴 헤어 길이 및/또는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면, 사용자의 헤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방 부분(1345)에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전방 부분(1345)은 사용자의 머리에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헤어를 과도하게 압축하거나, 방해하거나 엉망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전방 부분(1345)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지 않음으로써(예를 들어, 사용자의 헤어가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지 않을 경우), 가압하지 않음, 및/또는 사용자의 머리에 힘을 가하는 것 및/또는 피팅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지 않을 수 있다. 후방 부분(1346)은,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므로써(예를 들어, 사용자의 헤어가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경우), 가압함, 및/또는 사용자의 머리에 힘을 가하는 것 및/또는 피팅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릴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특정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후방 부분(1346)과 전방 부분(1345) 사이에 굽힘부를 갖는 형상을 포함한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후방 부분(1346)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곡률을 따르고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전방 부분(1345)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곡률로부터 벗어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전방 부분(1345)을 지지하도록 강성화된다. 전방 부분(1345)은 사용자의 머리의 앞머리, 이마 및/또는 전두골 영역으로부터 상위로 이격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부분(1345)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향하여 하위로 만곡된다. 추가적으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전방 부분(1345)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후방 부분(1346)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상방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후방 부분(1346)의 전단부(1347)로부터 연장됨).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전방 부분(1345)은 후방 부분(1346)의 전단부(1347)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후방 부분(1346)에 연결될 수 있다.
후방 부분(1346)의 전단부(1347)는 본 기술의 다양한 예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다수의 상이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전단부(1347)는 사용자의 머리의 앞머리 영역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단부(1347)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앞머리 영역과 관상 봉합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전단부(1347)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전두골의 후방에 위치한다. 일부 예에서, 전단부(1347)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관상면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관상면은 사용자의 머리의 각 상이저점과 정렬된다. 일부 예에서, 전단부(1347)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 상이저점과 정렬된 관상면의 후방에 위치한다. 일부 예에서 후방 부분(1346)의 전단부(1347)는 사용 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3300)의 두정 스트랩 부분(1310)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굽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굽힘부는 예를 들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부분(1346)의 전단부(1347)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1500) 사이를 연결한다. 배터리 팩(1500)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후방 표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배터리 팩(1500)의 하향 중력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하향 중력에 대항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대한 상향 지지력으로 유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길이가 조정 가능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연결된 아일릿(1202)을 통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되고 루프 백되어 자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후크-앤드-루프 체결 또는 버클로). 특히,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사용자 지향 층(1344)은 아일릿(1202)을 통과하고 다시 루프 백되어 자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후크-앤드-루프 체결, 버클 등으로). 이 특정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층은 아일릿(1202)을 통과하지 않는다.
사용자 지향 층(1344)은 사용자 접촉(예를 들어, 사용자 접촉 층일 수 있음) 또는 비사용자 접촉(예를 들어, 비사용자 접촉 층일 수 있음)중 일 수 있다. 사용자 지향 층(1344)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와 접촉할 수 있다(예를 들어, 자신의 헤어/머리에 대해). 사용자 지향 층(1344)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고/있거나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에서, 사용자 지향 층(1344)의 일부(예를 들어, 전방 부분(1345))는 사용자와 접촉하지 않는다(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이격됨). 추가적으로, 도 33 예에서, 사용자 지향 층(1344)의 일부(예를 들어, 후방 부분(1346))는 사용자와 접촉한다(예를 들어, 사용자의 헤어/머리와 접촉함).
상단 스트랩 부분(1340)(예를 들어, 전방 부분(1345) 및 후방 부분(1346) 둘 모두)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할 수 있고 층진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성화한다. 일부 예(예를 들어, 도 33의 예 및 다른 예에서)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은 강성화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형상을 부여함으로써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강성화할 수 있다. 강성화된 스트랩이 여전히 구부릴 수 있지만, 자체 지지형이거나 플로피 스트랩 부분보다 더 강성이라는 의미에서 강성화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전방 부분(1345) 및 후방 부분(1346) 둘 모두를 따라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전방 부분(1345)을 지지하기 위해 전방 부분(1345)을 강성화할 수 있다. 즉, 전방 부분(1345)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에 맞물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머리에서 지지되도록 강성화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의 전단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으로부터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의 전단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에 갭이 존재한다. 일부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직물 사용자 지향 층(1344)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커버하는 직물 외부 층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지 않는 전방 부분(1345)을 포함하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배터리 팩(1500)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하여 사용 시 배터리 팩(1500)으로부터의 전력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제공하는 전원 케이블(1510)(도 33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전원 케이블(1510)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내부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케이블(1510)은 사용자에 의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내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전원 케이블(1510)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과 직물 외부 층 사이의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통해 삽입 가능하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조정 강성화기(1380)의 일부일 수 있다. 조정 강성화기(1380)가 아래에서 설명되고, 그 특징은 도 33에 도시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형성하는 조정 강성화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예를 들어,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지 않는 전방 부분(1345)을 갖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본원에 설명하는 다른 예시적인 상단 스트랩 부분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지 않는 전방 부분(1345)을 갖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본원에 설명된 다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중 임의의 것에 적용될 수 있다.
5.4.4 배터리 팩
도 7a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일부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은 상위 위치(1501) 및 하위 위치(1502)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연결된다. 다른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은 이 위치 중 단지 하나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배터리 팩(1500)(또는 다른 균형추)을 사용자의 머리의 낮은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놓이는 위치에 배터리 팩(1500)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의 일부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배터리 팩(1500)을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에 근접한 위치에 그리고 사용자의 머리의 수직 회전축에 또는 이에 근접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의 머리의 낮은 위치에서 배터리 팩(1500)을 지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면이 사용자의 척추를 향해 내측(전방 및 하방)으로 만곡되는 것을 고려할 때 배터리 팩(1500)이 사용자의 머리의 회전축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회전축은 사용자의 척추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을 수 있다. 사용자의 머리의 회전축에 가능한 한 가깝게 배터리 팩을 지지하는 것은 사용자가 예를 들어 게임 중에, 회전하거나 머리를 격렬하게 움직일 때, 배터리 팩에 가해지는 파괴력을 유리하게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a의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다. 배터리 팩(1500)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과 후크-앤드-루프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배터리 팩(1500)은 버튼, 스터드(예를 들어, 돔)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연결되는 하위 위치(1502)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근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터리 팩(1500)을 연결하는 것은 유리하게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및/또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이 배터리 팩(150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배터리 팩(1500)은 대략 사용자의 머리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내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a 내지 도 22c는 본 기술의 다양한 예에 따른 배터리 팩(1500)을 도시하고, 예를 들어 도 7a 내지 도 7c, 도 8, 도 9, 도 21a 내지 도 21e, 도 23a 내지 도 23d, 도 28a 내지 도 28e, 도 31a 내지 도 31b, 도 32a 내지 도 32c 및 33에 도시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각 배터리 팩(1500)과 그 내부의 사용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표면이 1010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500)은 배터리 팩 하우징(1505) 및 이러한 예에서 하우징(1505) 내에 포함된 복수의 셀(1502)을 포함한다. 셀(1502)은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의 전방 벽으로부터 배터리 팩 하우징(1505) 내에서 등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셀(1502)은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 이상의 셀(1502)보다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의 전방 벽으로부터 더 이격될 수 있다. 셀(1502)을 더 후방으로 이격시키는 것은 유리하게 배터리 팩(1500)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중량에 대항하기 위해 더 큰 모멘트를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셀(1502) 각각은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의 전방 벽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배터리 팩 하우징은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500)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500) 사이의 중량 균형에 기여하도록 구성된 균형추(15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c의 예에서,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표면(1010)으로부터 이격된다(이 특정 예에서, 편안함을 위해 설계될 수 있는 패드(1511)에 의해). 균형추(1512)는 영구 또는 제거 가능한 구성으로 금속, 물, 모래 또는 다른 조밀한 재료로 형성된 자량(dead-weight)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은 예를 들어 배터리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위치하는 경우 균형추 단독으로 교체될 수 있다.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은 또한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표면(1010)으로부터 오프셋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2a는 본 기술의 일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예와 같이, 그것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및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를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아일릿(1212)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아암(1210)에 연결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에 연결된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및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을 포함하는 후방 지지부(1350)를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예와 같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및 배터리 팩(1500)을 포함한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자 지향 층(1344) 및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사용자 지향 층(1344) 및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 모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된다.
또한 도 6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500)은 이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의 상위 측(예를 들어, 상위 단부)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연결되고 배터리 팩(1500)의 아래쪽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연결(또는 연결 가능)된다. 이 예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이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연결되지 않는 일 예다. 이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은 하부 배터리 팩 스트랩 부분(1515)에 의해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연결된다. 하부 배터리 팩 스트랩 부분(1515)은 후크-앤드-루프 연결, 프레스 스터드, 자기 클립 또는 다른 적절한 고정으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하부 배터리 팩 스트랩 부분(1515)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2a의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부분적으로 후방을 향하고 부분적으로 상위를 향하는 표면일 수 있는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표면, 일부 예에서, 부분적으로 후면을 향하고 부분적으로 아래쪽을 향하는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패드(1511)를 포함한다.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은 패드(1511)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패드(1511)는 실리콘 또는 폼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배터리 팩(1500)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하게 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은 그 자체가 사용자의 머리에 놓이는 패드에 놓인다. 패드(1511)는 사용자의 머리에 맞춰져, 배터리 팩(1500)이 사용자의 머리에 가하는 힘을 넓은 표면적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5.4.4.1 수직 배향 배터리 팩
도 7a 내지 도 7c, 도 8, 도 21a 내지 도 21e, 도 22a 내지 도 22c, 도 28a 내지 도 28e, 도 31a 내지 도 33, 도 36a 내지 도 36c, 도 39a 내지 도 39c, 도 42c 내지 도 42d, 도 46 내지 도 53g 및 도 62a 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와 같은 일부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시 배터리 팩(1500)을 세로 배향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 팩(1500)은 길이, 폭 및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길이, 폭 및 깊이는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배터리 팩(1500)은 그 길이를 따라 만곡될 수 있고(예를 들어, 도 6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및/또는 예를 들어 균일한 폭 또는 깊이를 갖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배터리 팩(1500)은 일반적으로 폭 또는 깊이보다 길 수 있다.
위에서 참조된 많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 시 배터리 팩(1500)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는 배향으로 배터리 팩(1500)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 팩의 길이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과 정렬될 수 있다. 배터리 팩(1500)의 무게의 많은 부분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의해 사용시 지지되기 때문에, 폭보다 길고 길이 축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배터리 팩(1500)은 배터리 팩(1500)의 더 많은 무게가 그 양쪽보다도 상단 스트랩 부분에 대한 연결부 바로 아래에 정렬되면서, 안정적인 핏을 제공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5.4.4.2 수평 방향 배터리 팩
도 62a 및 여기에 설명된 본 기술의 많은 다른 예시된 예에서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및 또한 상위 위치에서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즉,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사용 시 두정골과 전두골(예를 들어, 관상 봉합부) 사이의 접합부로부터 이격되고 두정골과 후두골 사이(예를 들어, 람다형 봉합부) 사이의 접합부로부터 역시 이격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예에서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측면 스트랩 부분(1330)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 예를 들어 45도 또는 그 정도의 각도로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에 대한 연결부로부터 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일부 예에서 관상 봉합부 및 람다형 봉합부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인 위치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과 교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2b에 도시된 예와 같은 본 기술의 다른 예에서,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두정골과 후두골 사이의 접합부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사용시 사용자의 머리 영역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람다형 봉합부 또는 그 근처에서). 예를 들어,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람다형 봉합부에 근접하고 위쪽에 놓일 수 있다. 이 예에서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도 62a의 예에서와 같이) 후상방 위치보다는 후방 위치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과 교차할 수 있다. 도 6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및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사용시 공통 평면에 놓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측면 스트랩 부분에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에 대한 연결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62b의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 시 배터리 팩(1500)을 수평 배향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은 길이, 폭 및 깊이를 가질 수 있고, 길이는 폭 및 깊이보다 길 수 있다. 도 62b의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 시 배터리 팩(1500)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되는 배향으로 배터리 팩(1500)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500)의 길이는 사용시 두정 스트랩 부분(1310)에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배터리 팩(1500)은 두정 스트랩 부분(13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팩(1500)은 두정 스트랩 부분(1310)에 의해 지지된다. 일부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배터리 팩(1500)을 지지하는 추가 스트랩(예를 들어, 배터리 팩 지지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머리 뒤쪽에 대해 이를 유지한다. 추가 스트랩은 (예를 들어) 측면 스트랩 부분(1330) 또는 두정 스트랩 부분(1310)에 연결될 수 있고 배터리 팩(1500)의 후방 표면에 대해 놓일 수 있거나 배터리 팩(1500)의 측면 또는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5.4.4.3 배터리 팩 연결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500)은 상위 위치(1501) 및 하위 위치(1502)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일부 예에서 하위 위치(1502)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후방 하단부에 또는 그 부근에 및/또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된다. 도 68a 및 도 68b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하부 단부가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연결되고 배터리 팩(1500)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연결되는 하위 위치(1502)가 후두 스트랩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는 본 기술의 대안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6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하부 부분은 헤드기어가 조여질 때 환자의 후두부 영역을 향해 안쪽으로 자유롭게 변형되어 안정적인 끼워맞춤을 제공한다. 이러한 변형은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한 후 및/또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후두 스트랩 부분(1320) 또는 다른 스트랩 부분이 조여질 때 발생할 수 있다.
도 68c 및 도 68d는 배터리 팩(1500)이 수평 축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는 피봇 연결부(1516)에서 배터리 팩(1500)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연결되는 본 기술의 추가 예를 도시한다. 배터리 팩(1500)은 상위 위치(1501) 및 하위 위치(1502)에서 상단 스트랩에 또한 연결된다. 이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은 상위 위치(1501) 및 하위 위치(1502)에서 스프링 요소에 의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연결된다. 스프링 요소는 배터리 팩(1500)을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임의의 커넥터일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강성화함으로써) 강성화되지만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스트랩이 사용자의 머리에 조여지거나 끼워질 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스트랩에 탄성 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이 사용자의 머리에 순응하는 것을 가볍게 저항할 수 있다. 배터리 팩(1500)의 형상에 구속되지 않고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능력은 유리하게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이 헤드 형태 및 크기의 범위에 맞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68c는 소형 헤드에 끼워지는 과정에서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를 도시하고, 도 68d는 중간 크기 헤드에 끼워지는 과정에서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를 도시한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작은 크기의 머리보다 큰 크기의 머리에 끼워질 때 덜 변형될 수 있다. 배터리 팩(1500)(또는 다른 균형추)은 피봇 연결부(1516)에 의해 안정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는 반면, 상위 및 하위 위치(1501 및 1502)의 스프링 요소는 배터리 팩이 회전하는 것을 정지시킨다.
5.4.5 강성화된 두정 및/또는 후두 스트랩 부분
또한 도 62a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두정 스트랩 부분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할 수 있다.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사용자의 머리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지만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을 따라 힘을 전달하기 위해 확장될 수 없을 수 있다. 도 62a의 예에서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사용자 접촉 층(1318) 및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17)을 포함한다. 사용자 접촉 층(1318)은 직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및/또는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의 사용자 접촉 층(1344)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17)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시에 경험되는 힘 하에서 길이가 연장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17)의 전방 단부는 두정 스트랩 부분(1310)과 후두 스트랩 부분(1320) 사이의 접합부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또한 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또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사용자 접촉 층(1328) 및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27)을 포함한다. 사용자 접촉 층(1328)은 직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27)의 전방 단부는 두정 스트랩 부분(1310)과 후두 스트랩 부분(1320) 사이의 접합부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17)은 예를 들어 접착제, 오버몰딩, 용접에 의해 또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두 개의 스트랩 부분(1310 및 1320)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17 및 1327)에 의해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27)에 연결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하거나 "강성화된"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및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두정 및 후두 스트랩 부분(1310, 1320)이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에 오르내릴 가능성이 적을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후방 지지부(1350)를 제공할 수 있다.
5.4.6 탄성 스트랩 부분
본 기술의 일부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하나 이상의 탄성 스트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스트랩 부분은 여기에 설명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스트랩 부분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도 62c는 도 62a에 도시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과 동일한 특징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한다. 또한, 도 62c에 도시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형성하는 탄성 스트랩 부분을 포함한다. 이 특정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피봇 지점(1213)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된 아암(1210)을 포함한다. 아암(1210) 및/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는 탄성 재료로 형성된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이 연결된다. 탄성 재료는 예를 들어 편직되거나 편조될 수 있고, 장력 하에서 길이가 연장되고 정지 길이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탄성 스트랩 부분과 비탄성 스트랩 부분 모두에 의해 형성되고, 탄성 스트랩 부분은 비탄성 스트랩 부분 위에 놓이다. 비탄성 스트랩 부분은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및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두정 탄성 스트랩 부분(1331)을 포함한다. 이 특정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은 두정 탄성 스트랩 부분(1331)과 사용자의 머리(또한 패드(1511)에 의해 분리됨) 사이에 위치된다. 두정 탄성 스트랩 부분(1331)은 배터리 팩(1500)을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하고/하거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환자의 안면에 고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두 탄성 스트랩 부분(1333)을 포함한다. 후두 스트랩 부분(1333)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 위에 놓일 수 있고 사용자의 머리 뒤쪽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를 고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귀에 근접하고 위쪽에 위치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한 쌍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는 두정 스트랩 부분(1310)과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접합부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 스트랩 부분은 사용자의 귀보다 위쪽에 탄성 스트랩 부분을 유리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가이드를 통과할 수 있다. 두정 탄성 스트랩 부분(1331)과 후두 탄성 스트랩 부분(1333) 사이의 접합부는 가이드에 또는 가이드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30)는 측면 스트랩 부분(1330)에만, 두정 탄성 스트랩 부분(1331)에만, 후두 탄성 스트랩 부분(1333)에만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탄성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5.4.7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대체 상단 스트랩 연결
도 67a 및 도 67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하는 상부 스트랩 아암(1365)을 포함한다. 이 예에는 2개의 상단 스트랩 아암(1365)이 있다. 상단 스트랩 아암(1365)은 실질적으로 강성일 수 있거나 적어도 충분히 강성이어서 사용 시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단 스트랩 아암(1365)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중량을 상단 스트랩 부분(13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자의 머리 뒤쪽에 고정되거나, 예를 들어 배터리 팩(1500)과 같이 사용자의 머리 뒤쪽에 위치한 균형추에 의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무게에 저항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아암(1365)은 피봇 지점(1213)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될 수 있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상단 스트랩 아암(1365)에 대해 피봇할 수 있다. 양쪽의 피봇 지점(1213)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되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유리하게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이 조여질 때(예를 들어, 유효 길이가 조정)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서 회전력을 유리하게 피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스트랩 아암(1365)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으로부터 전방, 측면 및 하부로 연장되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7a 및 도 6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상부 스트랩 아암(1365)에 추가하여 피봇 지점(1213)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되는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장력 하에서 탄성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하다. 추가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이 연결되는 아암(121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암(12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을 수 있다.
5.4.8. 전원 케이블 스트랩 부분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배터리 팩(1500)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15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a 내디 도 25c 및 도 26a 내지 도 26b는 이러한 예를 도시한다. 전원 케이블(1510)은 사용 시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내에 위치할 수 있거나(도 25b 및 25c) 사용 시 상단 스트랩 부분(1340)과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도 25a).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151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근접한 전원 케이블 스트랩 부분(1520)에 부착된다. 이 예에서 전원 케이블 스트랩 부분(1520)은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510)의 구불구불한 부분은 구불구불한 패턴으로 전원 케이블 스트랩 부분(1520)에 부착되어, 전원 케이블 스트랩 부분(1520) 및 전원 케이블(1510)의 구불구불한 부분이 길이로 연장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전원 케이블(1510)은 두정 스트랩 부분(1320)에 부착된다.
5.4.9 전원 케이블 관리
도 27 및 도 28a 내지 도 28e는 전원 케이블(1510)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과 배터리 팩(1500)을 연결하는 본 기술의 추가 예를 도시한다.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고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1510)은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의 주변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후방 지향 측(도 27에서 볼 수 있음) 및 후방 지향 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을 포함한다. 후방 지향 측은 전원 케이블(1510)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후방 지향 측에 있는 개구(1206)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진입하게 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의 주변보다 클 수 있다.
도 27의 예에서, 개구(1206)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주변의 내부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후방 지향 측은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은 둥근 형상을 포함한다. 후방 지향 측의 개구(1206)는 후방 지향 측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너 부근에 위치한다.
도 58a 및 도 58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200)의 일부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개구(1206)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주변에 제공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내에서 전원 케이블(1510)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원 케이블 유지 특징부(120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8a 및 도 5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2개의 전원 케이블 유지 특징부(1207)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하나,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전원 케이블 유지 특징부(1207)가 있을 수 있다. 전원 케이블 유지 특징부(1207)는 전원 케이블(1510)이 통과하는 환형의 강성 부분일 수 있다. 각각의 전원 케이블 유지 특징부(1207)는 전원 케이블(1510)이 체결되어 있는 폐쇄 링 형태일 수 있거나, 링이 전원 케이블(1510) 주위에 스냅되도록 전원 케이블(1510)이 눌려진 개방 링 형태일 수 있다. 전원 케이블 유지 특징부(1207)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내에서 전원 케이블(1510)을 제자리에 유지할 수 있고 전원 케이블(1510)에 가해질 수 있는 힘을 흡수하여 이러한 힘이 전원 케이블(1510)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200) 내에서 전자장치 사이의 연결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8a 내지 도 28e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을 포함하는 후방 지지부(1350)를 포함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예를 도시한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후방 지지부(135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배터리 팩(1500)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포함하고,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상부 부분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이들 각각의 예에서, 전원 케이블(1510)은 배터리 팩(1500)으로부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으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따라 연장된다(예를 들어, 부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정되거나 정렬됨).
전원 케이블(1510)은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및 측면 스트랩 부분(1330) 중 하나를 따라 배터리 팩(1500)으로부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까지 연장될 수 있다(도 28b 및 도 28c에 도시됨). 전원 케이블(1510)은 (도 2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지향 측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510)은 (도 2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두 스트랩 부분(1320) 및 측면 스트랩 부분(1330) 중 하나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510)은 도 28c 및 도 28e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활성 사용, 조정 또는 운송 동안)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과 배터리 팩(1500) 사이의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느슨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5.4.10 신축식 전원 케이블
도 8에 도시된 예와 같은 본 기술의 일부 예에서, 전원 케이블(1510)의 일부는 배터리 팩(1500) 내에 위치하고 배터리 팩(1500)으로부터 연장 및 신축될 수 있다. 이것은 유리하게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길이가 배터리 팩(1500) 및/또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조정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신축식 전원 케이블(1510)은 또한 본원에 설명된 다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중 임의의 것과 같은 다른 예에 포함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하나 이상의 층은 배터리 팩(1500)의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고, 전원 케이블(1510)과 함께 배터리 팩(1500)으로부터 연장 및 신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층(1341)은, 이 예에서, 배터리 팩(1500) 내에 위치하고, 전원 케이블(1510)과 함께 배터리 팩(1500)으로부터 연장 및 신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배터리 팩(1500) 내에 위치하고 전원 케이블(1510)과 함께 배터리 팩(1500)으로부터 연장 및 신축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예와 같은 다른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배터리 팩(1500)과 사용자의 머리 사이에 위치한다. 이 예에서(또한 도 7a에 도시된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사용자 접촉 층(1344)은 배터리 팩(1500)과 사용자의 머리 사이에 위치한다.
배터리 팩(1500) 내에 위치하는 전원 케이블(1510)의 부분 및 배터리 팩(1500)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하나 이상의 층은 배터리 팩(1500)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의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배터리 팩(1500)에서 연장되고 내부로 신축될 수 있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신축식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전원 케이블(1510) 및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하나 이상의 층은 사용자가 배터리 팩(1500)으로부터 연장되고 그 안으로 신축될 수 있는 신축식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신축식 부분은 예를 들어 외부 층(1341), 전원 케이블(1510), 및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지향 층(1344)은 신축식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지향 층(1344)은 배터리 팩(1500)과 사용자의 머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지향 층(1344)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하나 이상의 다른 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배터리 팩(1500)은 배터리 팩(1500)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의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길이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및/또는 사용자의 머리 상의 배터리(150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자 지향 층(1344)(및 배터리 팩(1500) 내에 위치하지 않는 임의의 다른 층) 위로 미끄러질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신축식 부분은 신축식 부분의 위치가 배터리 팩(1500)에 관하여 고정될 수 있는 배터리 팩(1500)에 대해 복수의 사전결정된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식 부분은 작은 사이즈, 중간 사이즈, 큰 사이즈에 대응하는 3개의 위치 사이에서 배터리 팩(150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이들 크기 중 선택된 하나로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자가 아일릿(1202)을 통해 상단 스트랩 부분(1340)(또는 적어도 이의 외부 층(1341)의 단부 부분)을 다소 당길 수 있다는 점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서 조정 가능하다. 사용자는 배터리 팩 내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양을 변경하여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길이를 대략 조정하고, 아일릿(1202)을 통해 당겨지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양을 변경하여 미세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대략 조정 메커니즘 및 미세 조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길이의 2개의 조정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신축식 부분은 배터리 팩(1500)에 대해 가능한 위치의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신축식 부분은 로킹 메커니즘(예를 들어, 스프링 로딩 버클 또는 다른 캐치(catch))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거나 사용 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인장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5.4.11 아암
도 7a,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1210)을 포함한다. 각각의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각각 각각의 아암(1210) 하나에 연결된다. 본원에 설명된 아암의 피처는 또한 본원에 설명된 다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중 임의의 것과 같은 다른 예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a, 도 8 및 도 9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한 쌍의 아암(1210) 중 각각의 하나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도 7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각각의 아암(1210)의 후단부에 있는 아일릿(1212)을 통과하고 자체로 다시 체결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아암(1210)의 전단부에 근접한 한 쌍의 아암(1210) 중 각각의 하나에 연결된다. 특히,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각각의 아암(1210)의 후단부에서 또는 그에 근접한 작은 아일릿(1214)을 통해 그리고 아암의 전단부에 근접한 구멍(1216)을 통해 통과하고 아암(1210)에 체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각각의 아암(1210)의 측방향 지향 측에 체결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의 단부 부분(1332)은 아암(1210)에 고정된다.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일련의 돔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또는 다른 적절한 메커니즘에 의해 후크 앤드 루프 고정 배열로 각각의 아암(1210)에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아암(1210)은 구멍(1216)을 통한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의 신축을 방지하는 스프링 로딩 버클 또는 다른 캐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각각의 예에서, 한 쌍의 각각의 아암(121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대해 피봇할 수 있다. 각각의 아암(1210)은 직물 재료로 커버될 수 있다. 각각의 아암(1210)은 관형 직물 재료로 피복될 수 있다.
도 21d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한 쌍의 아암(1210)을 도시한다. 각각의 아암(1210)은 아일릿(1214)(이 예에서 스트랩 부분이 슬라이딩될 수 있는 개방 슬롯 형태임) 및 스트랩 부분이 당겨져 그 자체 또는 부착을 위해 구성된 다른 부분에 다시 체결될 수 있는 구멍(1216)을 갖는다.
도 29a 내지 도 29d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아암(1210)을 도시한다.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도 29a, 도 29b 및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1210) 내의 그 자체의 노출된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도 29a, 도 29b 및 도 29c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의 단부 부분(1332)은 측면 스트랩 부분(1330) 상에 다시 체결된다. 도 29b 및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1210)의 후단부에 있거나 이에 근접한 아일릿(1214)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스트랩(1330)이 스트랩(1330)에 대해 횡방향으로 아일릿(1214) 안팎으로 이동하게 한다. 일부 예에서, 도 2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암(1210)은 덮개로 커버되고,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예를 들어, 그의 단부 부분(1332))은 (예를 들어, 후크 앤드 루프 유형 체결로) 덮개에 체결된다.
도 30a 및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은 직물 부분(1218)으로 오버몰딩된 실질적으로 강성 부분(1217)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또는 다른 예에서), 아암(1210)에 연결하는 스트랩은 스트랩의 관통을 방지하기 위한 피처, 예를 들어 스트랩의 넓어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5.4.12 조정 강성화기
도 21a 내지 도 21e 및 도 23a 내지 도 23e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하지만, 도 7a 내지 도 7c,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예와 피처를 공유하고, 이 모두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다음 설명은 차이점에 집중할 것이다. 도 24a, 도 24c 및 도 24d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정 강성화기(1380)를 도시한다. 도 24b는 조정 강성화기(1380)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1310), 후두 스트랩 부분(1320) 및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갖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도시한다.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조정 강성화기(1380)는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과 같은 다른 예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1e 및 도 23a 내지 도 23d에 도시된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아암(121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아암(1210) 상의 커버에 연결하고 버튼 연결 및/또는 후크-앤드-루프 체결을 통해 연결하도록 구성된 탄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a 내지 21e, 도 23a 내지 도 23d 및 도 24a 내지 도 24d에 참조하여,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부재를 포함하는 조정 강성화기(13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조정 강성화기(1380)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조정 강성화기(1380)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길이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3개 이상의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1323)을 포함할 수 있고, 조정 강성화기(1380)는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1323)의 제1 쌍 및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1323)의 제2 쌍(1323)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조정 강성화기(1380)가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1323)의 제1 쌍에 연결될 때, 후두 스트랩 부분은 제1 효과적인 길이(예를 들어, 작은 크기에 대응함)를 가질 수 있다. 조정 강성화기(1380)가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1323)의 제2 쌍에 연결될 때, 후두 스트랩 부분은 제1 효과적인 길이보다 긴 제2 효과적인 길이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큰 크기에 대응함). 상이한 연결 옵션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사용할 때 좋은 피팅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스트랩 부분의 효과적인 길이가 변경되게 한다.
일부 예에서, 조정 강성화기(1380)는 조정 강성화기(1380)가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1320)의 제1 쌍에 연결될 때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을 제1 효과적인 길이로 제한한다.
도 24a, 도 24c 및 도 2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강성화기(1380)는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1323)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조정 강성화기 연결 지점(1383)을 포함한다. 도 24b에 도시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4개의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1323)(이 예에서, 표준 크기에 대응하는 2개의 지점(1323a) 및 대형 크기에 대응하는 2개의 지점(1323b))을 포함한다.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1323b)의 제2 쌍은 후두 스트랩 연결 지점(1323a)의 제1 쌍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우측 부분으로부터 분리된 좌측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조정 강성화기(1380)는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21a 내지 도 21e, 도 23a 내지 도 23d 및 도 45a 내지 도 45d를 참조하여, 이러한 예에서 조정 강성화기(1380)는 내측 강성화 부분(1381) 및 내측 강성화 부분(1381)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향 강성화 부분(1382)을 포함하고, 조정 강성화기 연결 지점(1383)은 측면 강성화 부분(1382)에 위치한다. 하나의 조정 강성화기 연결 지점(1383)은 이러한 예에서 각 측면 강성화 부분(1382)에 위치한다.
이러한 예에서, 내측 강성화 부분(1381)은 사용 시 사용자의 후두골 위에 그리고 사용자의 두정골 사이의 접합부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측 강성화 부분(1381)은 사용자의 두정골 사이의 접합부 위에 놓이고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연결되는 사용자의 전두골에서 또는 이에 근접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조정 강성화기(1380)는 예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상단 스트랩 부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조정 강성화기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1e에 도시된 예에서, 조정 강성화기(1380)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내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특히, 조정 강성화기(1380)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사용자 지향 층(1344)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운송을 위해, 예를 들어 힌지 영역에서 접힐 수 있다.
도 21a 내지 21e 및 도 23a 내지 23d 에서 도시된 각각의 예에서, 배터리 팩은 조정 강성화기(138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전원 케이블(1510)은 사용 시 조정 강성화기(1380)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층(1341) 사이에 위치한다. 전원 케이블(1510)은 조정 강성화기(1380)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층(1341) 사이에 삽입 가능하다.
도 23a 내지 도 23d에 도시된 예에서, 조정 강성화기(1380)는 특히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사용자 지향 층(1344)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이 예에서, 조정 강성화기(1380)는 사용자 지향 층(1344)과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층(1341) 사이에 삽입 가능하다. 조정 강성화기(1380)는 사용자 지향 층(1344)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조정 강성화기(1380)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사용자 지향 층(1344)에 대한 후크-앤드-루프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후크 재료(1384)를 포함한다. 조정 강성화기(1380)는 운송을 위해 예를 들어 힌지 영역에서 접힐 수 있다.
전원 케이블(1510)은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강성화기(1380)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배터리 팩(1500)은 조정 강성화기(1380)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나사 또는 그렇지 않으면 영구적인 부착으로).
도 24c 및 도 24d에 도시된 예에서, 조정 강성화기(1380)는 한 쌍의 측면 강성화 부분(1382) 사이에 하위 컷아웃(1385)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조정 강성화기(1380)가 내측 강성화 부분(1381)에 측면 강성화 부분(1382)의 연결부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구부러지게 한다. 도 24d에 도시된 조정 강성화기(1380)는 또한 측면 컷아웃(1385)에 근접하여 조정 강성화기(1380)가 구부러지게 하는 측면 강성화 부분(1382)에 근접한 내측 강성화 부분(1381)의 대향 측면 상의 측면 컷아웃(1385)을 포함한다. 도 24b에 도시된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사용자 지향 층(1344)은 조정 강성화기(1380)의 하위 컷아웃(1385)에 대응하는(예를 들어, 이와 정렬되는) 컷아웃(1325)을 포함한다. 컷아웃(1385 및/또는1325)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또는 조정 강성화기가 연결될 수 있는 다른 스트랩)이 신장되도록 하는 굴곡 거동을 제공한다. 신장은 적응을 통해 머리 크기 변화, 또는 사용 중 동적 힘에 적응하는 것을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5.4.13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부
도 31a, 도 31b 및 도 32a 내지 도 32h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하고, 이 예에서는 로킹 가능한 확장 가능 연결 부분(1335)을 포함한다.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은 또한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 및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6)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에 의해 연결된 제1 스트랩 부분 및 제2 스트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6)은 제1 스트랩 부분의 일부이다.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제2 스트랩 부분으로부터 제1 스트랩 부분의 사전결정된 양의 분리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스트랩 부분이 분리될 수 있을 소정의 정도로 탄성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이는 사용자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착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6)은 제2 스트랩 부분으로부터 제1 스트랩 부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또는 적어도 가능한 분리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스트랩 부분을 제2 스트랩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6)이 제1 및 제2 스트랩 부분을 부착할 때,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이 허용할 수 있는 것처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이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에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고정할 수 있음).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또한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6)의 연결 전에 피팅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한 안정성으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사용자의 머리에 유리하게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6)(도 31a)에 의해 부착되지 않은 제1 및 제2 스트랩 부분으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할 수 있다.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이 사용자의 머리 위 및/또는 주위에 피팅되도록 팽창할 수 있고, 그 후에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6)으로 제1 및 제2 스트랩 부분을 서로 부착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사용하기 위해 함께 단단히 유지할 수 있다(도 31b).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6)은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도 31a, 도 31b, 도 32d 내지 도 3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6)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6)의 일부가 꿰어져 자체로 다시 체결되는(예를 들어 후크-앤드-루프 체결) 아일릿을 갖는 클립(1339)을 포함하고, 이는 다소의 스트랩이 아일릿을 통해 당겨지게 한다.
이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6)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 상의 연결 지점(1337)에 자성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 자성 클립(1339)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아암(1210)의 내부 표면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직접적으로 피봇 지점에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에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을 포함한다. 도 31a, 도 31b 및 도 3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은 측면 스트랩 부분(1330)에 제공된다. 이 예에서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은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두정 스트랩 부분(1310)과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접합부에 의해 형성된 스트랩 부분에 연결한다.
도 3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아암)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1210)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상의 연결 지점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아암(1210)이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예에서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대한 연결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다.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은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및 후두 스트랩 부분(1320) 사이의 접합부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32c, 도 32d 및 3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은 이 위치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일부를 조정 강성화기(1380)에 연결할 수 있다.
도 32d 및 32e에 도시된 예에서, 측방 후두 스트랩 부분(1321)은 자기 클립(1339)을 통해 내측 후두 스트랩 부분(1322)에 연결되는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6)을 형성한다.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외측 후두 스트랩 부분(1321)과 내측 후두 스트랩 부분(1322) 사이를 연결하여 외측 후두 스트랩 부분(1321)이 자기 클립(1339)에 의해 내측 후두 스트랩 부분(1322)에 부착되지 않을 때 외측 후두 스트랩 부분(1321)과 내측 후두 스트랩 부분(1322)의 사전결정된 양의 분리를 허용한다. 본 기술의 다른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스트랩 부분(1336)의 클립은 자성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버클과 같은 기계식 클립일 수 있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해당 지점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된 후크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6)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 상의 대응하는 러그 위에 끼워지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거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 상의 연결 지점에 후크-앤드-루프 연결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도 32d의 예에서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내측 후두 스트랩 부분(1322)과 외측 후두 스트랩 부분(1321)과 두정 스트랩 부분(1310) 사이의 접합부 사이를 연결한다.
도 32e의 예에서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1321)과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1321)의 측면 부분 사이를 연결한다.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외측 후두 스트랩 부분(1321)의 구멍을 통과하고 외측 후두 스트랩 부분(1321)의 외향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이 사용자의 머리에 덜 접촉된다는 점이다.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이 연장 및 수축될 때, 사용자의 머리에 닿지 않는 부분은 유리하게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마찰력 또는 뭉쳐짐과 같은 사용자의 머리에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잠재적으로 불편하거나 사용자의 피부에 자국을 남길 수 있다.
더욱이, 탄성적으로 연장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이 연장 및 수축함에 따라, 탄성적으로 연장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실질적으로 확장불가능 스트랩 부분(1336)의 외부 측에 위치된다면, 탄성적으로 연장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에 작용하는 임의의 마찰은 사용자의 머리와 실질적으로 확장불가능 스트랩 부분(1336) 사이에 끼워진 경우보다 낮을 것이다. 낮은 마찰은 과도한 저항 없이 연장을 유리하게 촉진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예에서 전체 탄성적으로 연장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확장 불가능 스트랩 부분의 외부(예를 들어, 비-환자 접촉) 측면 위에 위치된다.
추가적으로,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지 않을 때,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면 선택가능한 옵션이다. 유사하게,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스트랩 부분(1336) 및/또는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의 부분과 같이 머리와 접촉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부분은 확장성보다 사용자 편안함을 위해 구성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사용자 접촉 부분 및 사용자 비접촉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비접촉 부분은 사용자 접촉 부분보다 더 확장 가능하다. 사용자 접촉 부분은 편안함을 위해 구성될 수 있고 부드러울 수 있는 반면, 사용자 비접촉 부분은 확장을 위해 구성될 수 있고 덜 부드러울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이 통과하는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스트랩 부분(1336)의 구멍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스트랩 부분(1336)의 단부에 인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자기 클립(1339)에 인접할 수 있다.
도 32f의 예에서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아암(1210)과 측면 스트랩 부분(1330)과 두정 스트랩 부분(1310) 사이의 접합부 사이를 연결한다. 이 예에서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6)을 형성한다.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자기 클립(1339)을 통해 아암(1210)에 연결된다.
도 32g의 예에서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아암(1210)과 두정 스트랩 부분(1310)과 후두 스트랩 부분(1320) 사이의 접합부 사이를 연결한다. 즉,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이 예에서 아암과 후방 지지부(1350) 사이를 연결한다. 이 예에서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스트랩 부분(1336)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형성한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스트랩 부분(1336)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스트랩 부분(1336)의 후방 단부에서 자기 클립(1339)을 통해 후방 지지부(1350)에 연결된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스트랩 부분(1336)은 아일릿(1212)을 통과하고 예를 들어 후크-앤드-루프 연결을 통해 그 자체로 다시 고정됨으로써 아암(1210)의 전방 단부에서 연결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거나 벗을 때 사용자는 클립(1339)을 분리할 수 있다. 탄성적으로 연장 가능한 커넥터 스트랩 부분(1338)은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거나 벗을 때 후방 지지부(1350)로부터 아암(1210)의 사전결정된 양의 분리를 허용한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스트랩 부분(1336)과 아암(1210) 사이의 연결은 또한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스트랩 부분(1336)을 아일릿(1212)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아암(1210)과 자기 클립(1339)에서의 조정 조합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설정 및 잊어버리기 조정을 제공하는 동시에 간편한 착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두정 스트랩 부분(1310),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또는 다른 곳과 같은 다른 곳에서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을 포함할 수 있다.
5.4.14 다이얼 조정기
도 32h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한다. 이 예는 도 32g에 도시된 예의 모든 특징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로킹 가능한 연장 가능 연결 부분(1335)과 같은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되고 측면 스트랩 부분(1330)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32g와의 차이점은 도 32h에 도시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이 다이얼 조정기(1329)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다이얼 조정기(1329)는 스트랩 부분의 길이 조정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2h의 예에서, 다이얼 조정기(1329)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다이얼 조정기(1329)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되고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 조정기(1329)는 랙 및 피니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다이얼 조정기(1329)에서 연결된 두 부분(예를 들어, 절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얼 조정기(1329)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두 부분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다이얼 조정기(1329)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랙 부분, 예를 들어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두 절반 중 각각의 하나에 제공되는 두 개의 랙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랙 부분은 사용자가 회전할 수 있는 다이얼에 연결된 피니언 또는 톱니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랙 부분과 피니언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톱니, 리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을 제1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제공된 랙 부분을 함께 당길 수 있고, 두 개의 랙 부분 사이의 중첩을 증가시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유효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이얼을 제2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랙 부분을 밀어낼 수 있고, 랙 부분 사이의 중첩을 감소시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유효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다이얼 조정기(1329)는 의도하지 않은 스트랩 부분의 연장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얼 조정기(1329)가 연결된 스트랩 부분을 연장하는 데 필요한 최소 힘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정적 마찰 또는 만입과 같은 대응하는 특징에 의해 제공되는 정적 토크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랙 부분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가요성 부분에 오버몰딩된 강성 부분일 수 있다.
다이얼 조정기(1329)는 스트랩 부분의 직관적이고 쉬운 조정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좋은 착용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다이얼 조정기(1329)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임의의 스트랩 부분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이얼 조정기(1329)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의 범위에 맞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 두정 스트랩 부분(1310),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및 측면 스트랩 부분(1340) 중 하나 또는 둘 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다이얼 조정기(1329)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 두정 스트랩 부분(1310),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및 측면 스트랩 부분(134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또는 임의의 하나 이상, 또는 다른 스트랩 부분에 조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메커니즘은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갖는 다이얼 조정기(1329)일 수 있거나, 스트랩 부분의 길이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다른 메커니즘일 수 있다.
5.4.15 전두 지지부
도 19a 및 도 19b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한다. 각각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상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1350)를 포함한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또한 후방 지지부(135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포함하고, 각각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또한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전두골 위에 놓이는 위치에서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이마 지지부로 식별될 수도 있는, 전두 지지부(1360)를 포함한다. 이것은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되어 있다.
전두 지지부(1360)는 각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된다. 전두 지지부(136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5.4.15.1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전두 지지부 연결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전두 지지부(136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에 연결된 전두 커넥터(1362)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전두 커넥터(1362)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위치한다. 다른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예를 들어 시상면을 가로질러 대칭적으로 이격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전두 커넥터(136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두 커넥터(1362)는 사용 시, 특히 사용자가 머리를 움직일 때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하향 움직임을 제한(예를 들어, 제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전두 커넥터(1362)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가요성 재료는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가요성 비탄성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가요성 재료는 실리콘, TPE 또는 탄성 직물 스트랩 중 하나와 같은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전두 커넥터(1362)는 유리하게 사용자가 이동할 때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탄성 재료로 형성된 전두 커넥터(1362)는 사용자의 능동적인 움직임 동안 쇼크 흡수기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두 커넥터(1362)는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실질적으로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5.4.15.2 후방 지지부에 대한 전두 지지부 연결
전두 지지부(1360)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후방 지지부(135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전두 지지부(1360)와 후방 지지부(1350) 사이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측면 커넥터(1364)를 포함한다. 이 특정 예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을 포함한다. 측면 커넥터(1364) 각각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근접한 후방 지지부(1350)의 각각의 측면에 연결되거나, 또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개별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또한 후방 지지부(1350)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하는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측면 커넥터(1364)는 각각의 측면 지지 스트랩(1330)에 연결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커넥터(1364)는 탄성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각각의 측면 커넥터는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커넥터(1364)는 전두 지지부(1360)에 고정 연결되고 후방 지지부(135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측면 커넥터(1364)는 전두 지지부(136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고 후방 지지부(135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각각의 측면 커넥터(1364)는 전두 지지부(136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후방 지지부(1350)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커넥터(1364)는 스냅 버튼, 클립 또는 후크-앤드-루프 연결에 의해 후방 지지부(1350) 및/또는 전두 지지부(1360)에 연결될 수 있다.
전두 지지부(1360)를 후방 지지부(1350)(및 이 특정 예에서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연결하는 측면 커넥터(1364)는 전두 지지부(1360)가 전두골 위에 놓인 사용자의 머리에 단단히(예를 들어, 충분히 단단히) 유지되게 한다. 특히, 이것은 유리하게 전두 지지부(1360)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많은 양의 중량을 지지하고, 사용 시 능동적인 움직임 동안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5.4.15.3 아암
도 19a 및 도 19b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121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스트랩 부분(1330) 각각은 이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 하나에 연결된다. 특히,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한 쌍의 아암(1210) 중 각각의 하나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각각의 아암(1210)의 후단부에 있는 아일릿(1212)을 통과하고 자체에 다시 체결된다. 한 쌍의 각각의 아암(1210)은 이러한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대해 피봇할 수 있다.
5.4.15.4 아암에 대한 전두 지지부 연결
도 19b를 참조하면, 이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전두 지지부(1364)와 한 쌍의 아암(1210) 중 각각의 하나 사이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측면 커넥터(1364)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면 커넥터(1364)는 탄성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각각의 측면 커넥터는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커넥터(1364)는 전두 지지부(1360)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아암(1210)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측면 커넥터(1364)는 전두 지지부(136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고 각각의 아암(1210)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각각의 측면 커넥터(1364)는 전두 지지부(136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각각의 아암(1210) 하나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커넥터(1364)는 스냅 버튼, 클립 또는 후크-앤드-루프 연결에 의해 아암(1210) 및/또는 전두 지지부(136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전두 지지부(1360)를 아암(1210)에 연결하는 측면 커넥터(1364)는 전두 커넥터(1362)에 추가하여 선택적으로 아암을 통해 전두 지지부(1360)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중량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지하고, 사용 시 능동적인 움직임 동안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제 위치에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5.4.16 헤어 스트랩 부분
도 20a 및 도 20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사용자의 머리 상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포함한다(사용 시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됨).
이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 시 후방 지지부(135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하나 이상의 전방 지지부(이 예에서 특정 예에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 및 상단 스트랩 부분(134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1350)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생략될 수 있거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예를 들어 한 쌍의 상부 측면 스트랩 부분 및 한 쌍의 하부 측면 스트랩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후방 지지부(1350)에 연결된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을 포함한다.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와 사용자의 후방 부분에서 내려오는 헤어 사이에 위치설정 가능할 수 있다.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은 사용자가 충분히 긴 헤어를 갖는 경우, 사용자의 헤어 아래에 놓일 수 있다.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추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헤어 아래에, 예를 들어 헤어와 목 또는 헤어와 머리 사이에 정착시킬 수 있다. 도 20b는 사용자의 헤어 아래에 있는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을 도시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방 지지부는 후방 지지부(1350)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은 후방 지지부(1350)의 각각의 측면에 연결된 한 쌍의 단부(1371 및 1372)를 포함한다.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의 각 단부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프랑크포트 수평면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은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의 일 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후방 지지부(135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은 좌측 스트랩 부분 및 좌측 스트랩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우측 스트랩 부분을 포함한다. 좌측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근접하여 우측 스트랩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할 때 2개의 스트랩 부분을 분리하고 헤어 아래에 다시 연결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은 탄성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하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이 예시된 예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을 포함한다. 특히,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은 사용 시 후두 스트랩 부분에 연결된다.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단부들에 근접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연결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헤어 스트랩 부분(1370)은 본원에 기재된 후두 스트랩 부분을 갖는 임의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에 통합될 수 있다.
5.4.17 후방 부분의 해제 가능 부착
도 36a 내지 도 36d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하지만, 그 모두가 반복되지는 않을 다른 곳에서 설명된 예와 피처를 공유한다. 도 36a 및 도 36b는 두정 스트랩 부분(1310),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 및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갖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도시한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두정 스트랩 부분(1310)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1321)에 의해 형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을 더 가지며,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1321) 각각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또는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내측 후두 부분(1322)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다른 예에서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1321)은 두정 스트랩 부분(1310)으로부터 연장되지 않을 수 있고 대신에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하위 및 부분적으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내측 후두 부분(1322) 및 외측 후두 스트랩 부분(1321)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1350)를 형성할 수 있다.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3122)은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3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후방 지지부(135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후방 지지부(1350)에 직접 연결된다(예를 들어,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또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직접 연결됨). 다른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50)은 배터리 팩(1500)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후방 지지부(1350)에 연결된다. 즉, 일부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과 같은 후방 지지부(1350)의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배터리 팩(1500)에 연결함으로써 후방 지지부(1350)에 연결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150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팩(1500)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 팩(1500)은 사용 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본원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및 배터리 팩(1500)의 임의의 피처는 도 36a 내지 도 36d에 도시된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및 배터리 팩(15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내측 후두 부분(1322)은 강성화된다. 내측 후두 부분(1322)은 후두 강성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내측 후두 부분(1322)은 가요성 스트랩, 예를 들어 내측 후두 부분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내측 후두 부분(1322)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내측 후두 부분(1322)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내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 지향 층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내측 후두 부분(1322)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고정, 예를 들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사용자 지향 층(1344)에 제자리에 스티치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내측 후두 부분(1322)은 조정 강성화기(1380)를 참조하여 다른 곳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한 쌍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1321) 각각과 내측 후두 부분(1322) 사이에 해제 가능한 파스너를 포함한다. 각각의 해제 가능한 파스너는 대응하는 연결 지점(1337)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파스너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6a 내지 도 36d의 예에서, 내측 후두 부분(1322)은 각각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1321)에 제공된 대응하는 파스너 부분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연결 지점(1337)을 포함한다.
도 3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해제 가능한 부착은 자성 파스너에 의해 제공된다. 각각의 자성 파스너는 연결 지점(1337) 각각 하나에 자성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 자성 클립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 클립(1339)은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1321)에 고정되고, 자성 클립(1339)은 후방 후두 부분(1322) 상의 연결 지점(1337)에 자성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예에서,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1321) 각각의 길이는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자성 클립(1338)은 아일릿(1202)을 가질 수 있고, 한 쌍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1321)의 각각의 부분은 아일릿을 통해 꿰어지고 원하는 길이로 그 자체에 다시 체결될 수 있다.
5.4.18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세탁 가능 부분
도 39a 내지 도 39c는 위에서 설명된 도 36a 내지 도 36d에 도시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추가 예시를 도시한다. 도 40a 및 도 40b, 도 41a 및 도 41b 및 도 42a 내지 도 42d는 본 기술의 추가 예에 따른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 및 그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본 기술의 다른 예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많은 특징은 여기에서 반복되지 않지만 아래에 설명된 개념과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36a 내지 도 36d, 도 39a 내지 도 39c, 도 40a 및 도 40b, 도 41a 및 도 41b 및 도 42a 내지 도 42d에 도시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또한 도 21a 내지 도 21d 및 도 도 23a 내지 도 23d 에 도시된 예와 일부 특징을 공유한다.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이 예 각각의 특징은 대안으로서 또는 조합하여 다른 예 각각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6a 내지 도 36d, 도 39a 내지 도 39c, 도 40a 및 도 40b, 도 41a 및 도 41b, 및 42a 내지 도 42d에 도시된 각각의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1500)을 포함하고, 배터리 팩(1500)은 사용시 사용자의 머리 뒤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각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 시 배터리 팩(1500)에 연결된다.
5.4.18.1 사용자 지향 층에서 분리 가능한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
도 39a 내지 39c, 도 40a 및 도 40b, 및 도 41a 및 도 41b에 도시된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자 지향 층(1344) 및 외부 층(1341)(사용자 지향 층(1344)에 대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반대편에 있음)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두정 스트랩 부분(1310), 후두 스트랩 부분(1320) 및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의 사용자 지향 층(1344)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층(134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도 39a 내지 도 39c의 예에 대해서, 도 39b는 상단 스트랩 층(1340)의 외부 층(1341)으로부터 분리된 이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39c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분리된 외부 층(1341)을 도시한다(이 예에서 외부 층(1341)은 후술되는 슬리브(1348)에 의해 형성됨). 도 42a 내지 도 42d는 도 41a 및 도 41b 의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구성요소를 별도로 도시한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의 장점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두정 스트랩 부분(1310), 후두 스트랩 부분(1320) 및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의 사용자 지향 층(1344)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세탁 가능 부분(예를 들어, 세탁 가능 서브어셈블리)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도 39b에 별도로 도시된 세탁 가능 부분). 이러한 구성요소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사용자 접촉 부분일 수 있고 모두 세척 가능한 재료, 예를 들어, 직물 재료, 플라스틱 재료, 비전자 구성요소 (기계로 세척 가능하거나 쉽게 세척 가능한 재료)로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세탁 가능 부분은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더러워질 때 사용자에 의한 세척을 위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층(134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배터리 팩(1500)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1510)을 포함한다. 세탁 가능 부분은 사용자가 전원 케이블(1510)을 조작(예를 들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세탁 가능 부분을 제거할 때, 슬리브로부터 플러그를 뽑거나 빼고, 그렇지 않으면 전원 케이블(1510)을 고려하는 등)할 필요 없이, 전원 케이블(1510)(및 배터리 팩(1500))과 동시에 분리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층(1341)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도 39a, 도 40a 및 도 41a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층(1341)의 전방 부분은 아일렛, 러그 등과 같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미도시)의 일부를 통과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후크-앤드-루프 연결(또는 버클 또는 일련의 프레스 스터드 중 하나와 같은 다른 적절한 연결)로 루프 백되어 자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연결은 여기 다른 곳에서 설명된 것과 같을 수 있다.
도 42a 내지 도 4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버클(1312)과 유사하게, 두정 스트랩 부분(1310)에 부착된 버클(131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시 사용자 접촉 부분(1342)(예를 들어, 적어도 사용자 지향 층(1344))은 버클(1312)과 두정 스트랩 부분(13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버클(1312)은 사용자 접촉 부분(1342)의 측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 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사용자의 머리 중심에 유리하게 유지할 수 있다. 버클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위치한다. 도 42a 내지 도 42d의 예에서 버클(1312)은 두정 스트랩 부분 중심의 반대 측면에서(예를 들어,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 양쪽에서 대칭으로 대향), 두정 스트랩 부분(1310)을 따라 두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의 가요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버클(1312)은 두정 스트랩 부분(1310)에 스티칭되거나 용접될 수 있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예를 들어, 접착제, 추가 버클)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7은 버클(1312)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5.4.18.2 후두 스트랩 부분과 상단 스트랩 부분 사이의 연결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39a 내지 도 39c의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두정 스트랩 부분(1310)과 상단 스트랩 부분(134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1321)을 포함하며, 각각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1321)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1321) 각각은 길이가 조정가능하다. 이에 따라, 후두부 스트랩 부분(1320)의 길이는 조정 가능하다. 이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자기 연결을 통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연결된다. 특히, 측방 후두 스트랩 부분(1321) 각각은 자기 파스너를 통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39a 및 도 3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자기 클립(1338)을 통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연결된다.
도 40a 및 도 40b, 및 도 41a 및 도 41b의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지만,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이 길이 조정이 불가능하여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유리하게 더 직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2a 및 도 42b는 도 41a 및 도 41b에 도시된 후두 스트랩 부분(1320)과 상단 스트랩 부분(1340) 사이의 연결을 도시한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이 예에서 피봇 가능한 연결을 통해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대해(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피봇할 수 있고, 이는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2a 및 도 4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가능한 연결은 프레스 스터드 연결부를 포함한다. 프레스 스터드 연결부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과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조립 중에 함께 스냅되도록 구성된 숫형 프레스 스터드 부분(1324a) 및 암형 프레스 스터드 부분(1324b)을 포함한다. 프레스 스터드 연결부의 암수 부품은 반대로 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이러한 방식으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연결될 수 있지만 길이 조정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및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후크-앤드-루프 연결, 자기 클립 또는 다른 적절한 연결과 같은 대안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연결된다.
본 기술의 일부 다른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예를 들어 도 39a 내지 도 39c에 도시된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 단부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도 56a 내지 도 56c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과 상단 스트랩 부분(1340) 사이의 연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후두 연결 탭(1326)을 포함하고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후두 연결 탭 구멍(1351)을 포함한다. 후두 연결 탭(1326)은 후두 연결 탭 구멍(1351)을 관통하여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후두 연결 탭(1326)은 프레스 스터드 연결에 의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연결 가능하다. 일부 예에서 후두 연결 탭(1326)은 후크-앤드-루프 연결에 의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연결 가능하다.
5.4.18.3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슬리브
도 39a 내지 도 39c, 도 40a 및 도 40b, 도 41a 및 도 41b, 및 도 42a 내지 도 42d에 도시된 각각의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외부 슬리브(1348)를 포함한다. 외부 슬리브(1348)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층(1341)을 형성한다. 이러한 예에서, 외부 슬리브(1348)는 배터리 팩(1500)에 연결된다. 외부 슬리브(1348)는 배터리 팩(1500)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배터리 팩(150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지 않음). 예를 들어, 외부 슬리브(1348)는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배터리 팩(1500)에 접착되거나, 열 고정되거나, 나사로 고정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사용 시 배터리 팩(1500)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사이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15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9a내지 도 39c, 도 40a 및 도 40b, 도 41a 및 도 41b, 및 도 42a 내지 도 42d에 도시된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외부 슬리브(1348) 내에 위치한 전원 케이블(1510)을 포함한다. 전원 케이블(1510)은 외부 슬리브(1348)의 길이를 따라 외부 슬리브(1348)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전원 케이블(1510)은 배터리 팩(1500) 안으로 들어가고 배터리 팩(1500) 밖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510)이 외부 슬리브(1348) 내에서도 미끄러지는 능력은 외부 슬리브(1348) 및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길이가 전원 케이블(1510)의 느슨한 정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조정될 수 있게 한다. 배터리 팩(1500)안으로 들어가고 그리고 밖으로 연장될 수 있는 전원 케이블(1510)은 또한 전원 케이블(1510)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그로부터 연장되지 않는 전원 케이블(151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작은 크기(또는 적어도 들어가기 가능한 전원 케이블(1510)을 수용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작게 유지할 수 있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원 케이블(1510)은 외부 슬리브(1348)에 대해 고정된다. 다른 예에서 전원 케이블(1510)은 배터리 팩(1500) 안으로 들어가거나 배터리 팩(1500)으로부터 연장되지 않는다.
5.4.18.4 후크-앤드-루프 연결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세탁 가능 부분은 후크-앤드-루프 연결에 의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것은 세탁 가능 부분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떨어져서 "박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세탁 가능 부분은 하나 이상의 후크-앤드-루프 연결부(1349)에 의해 외부 슬리브(1348)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사용자 접촉 층(1344)(적어도 일부 예에서 세탁 가능 부분의 일부)은 후크-앤드-루프 연결부(1349)에 의해 외부 슬리브(1348)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0b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 접촉 층(134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앤드-루프 연결부(1349)를 통해 외부 슬리브(1348)에 연결된다.
도 41a 및 도 41b, 및 도 42a 내지 도 42d에 도시된 예와 같은 일부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40)은 사용자 접촉 부분(1342)을 포함하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 접촉 부분(1342)은 사용자 접촉 층(1344)을 포함한다. 사용자 접촉 부분(1342)은 예를 들어 후크-앤드-루프 연결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레스 스터드 연결, 밴드 또는 다른 적절한 연결로 외부 슬리브(1348)에 연결된다. 도 4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접촉 부분(1342)은 후크-앤드-루프 연결부(1349)에 의해 외부 슬리브(1348)에 연결된다.
외부 슬리브(1348)는 하나 이상의 후크 부분(1349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2c에 도시된 예에서, 외부 슬리브(1348)는 복수의 후크 부분(1349a)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두 개의 후크 부분(1349a)이 있는 반면, 다른 예에서 하나,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후크 부분(1349a)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세탁 가능 부분은 후크 부분(1349a)에 대응하고 후크 부분(1349a)이 부착될 수 있는 복수의 끊어지지 않은 루프 부분(1349b)을 포함한다. 도 4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 가능 부분의 사용자 접촉 부분(1342)은 후크-앤드-루프 연결부(1349)를 형성하는 후크 부분(1349a)에 대응하는 한 쌍의 끊어지지 않은 루프 부분(1349b)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다른 예에서 사용자 접촉 부분(1342) 또는 사용자 접촉 층(1344)일 수 있는 세탁 가능 부분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후크 부분(1349a)이 부착될 수 있는 끊어지지 않은 루프 재료로 형성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후크-앤드-루프 연결부(1349)를 형성한다. 외부 슬리브(1348) 또는 후크 부분(1349a)을 포함하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다른 부분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세탁 가능 부분의 표면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세탁 가능 부분은 후크 부분(1349a)을 포함하고 외부 슬리브(1348) 또는 세탁 불가능 부분의 다른 부분은 끊어지지 않은 루프 부분(1349b) 또는 끊어지지 않은 루프 재료로 형성된 표면을 포함한다.
5.4.18.5 다른 후크-앤드-루프 연결 예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내의 후크-앤드-루프 연결에 관한 상기 개념은 본 기술의 다른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여기 다른 곳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상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본 기술의 보다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양태를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 41a 내지 도 41b 및 도 42a 내지 도 42d를 참조하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1350), 후방 지지부(135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각각 사용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스트랩 부분(1310), 후방 지지부(135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포함하고,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상부 부분 위에 놓이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자 접촉 부분(1342) 및 외부 층(1341)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사용자 접촉 부분(1342) 및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층(1341)은 하나 이상의 후크-앤드-루프 연결부(1349)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후크-앤드-루프 연결부(1349)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사용자 접촉 부분(1342) 및 외부 층(1341)은 유리하게 사용자 접촉 부분(1342)이 외부 층(1341) 및 외부 층(1341)에 연결되거나 또는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제품과 별도로 세척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접촉 부분(1342) 또는 외부 층(1341) 중 하나는 다른 것과 별도로 교체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을 포함한다. 그러나, 사용자 접촉 부분(1342)과 외부 층(1341) 사이의 후크-앤드-루프 연결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다른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두정 스트랩 부분(1310), 후두 스트랩 부분(1320) 및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후크-앤드-루프 연결의 분리에 의해 사용자 접촉 부분(1342)과 함께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층(134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9)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층(1341)을 형성하는 외부 슬리브(1348)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슬리브(1348)는 배터리 팩(1500)(배터리 팩(1500)이 있는 예에서)에 연결될 수 있다.
후크 부분(1349a), 끊어지지 않은 루프 부분(1349b) 및/또는 끊어지지 않은 루프 재료로 형성된 표면의 임의의 예시적인 구성이 외부 슬리브(1348)와 사용자 접촉 부분(1342) 또는 더욱 일반적으로 외부 층(1341)과 사용자 접촉 부분(1342) 또는 사용자 접촉 층(1341) 사이에서 후크-앤드-루프 연결부(1349)를 생성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5.4.18.6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
이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 시 외부 층(1341)과 사용자 지향 층(1344) 사이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예를 들어, 일부 예에서, 자신의 중량 하에서 자신의 형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성인 강성화기)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이 없는 경우보다 더 강성으로 만드는 예에서 강성화기 또는 강성화 층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확장되지 않지만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강성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는 않는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이 후방 장착 배터리 팩(1500) 또는 다른 균형추의 중량의 일부 또는 전부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상의 상향 힘으로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이 더 가볍다는 것을 유리하게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및/또는 카운터웨이트/배터리 팩(1500)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무게의 일부를 차지하지 않으면 필요하게 되는 만큼의 힘으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이 사용자의 안면에 대해 당겨질 필요가 없을 수 있으므로, 다른 헤드기어 스트랩(예를 들어, 측면 스트랩 부분(1330))에 더 적은 장력이 필요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 상단 스트랩(1340) 전체 및 균형추의 존재는 각각(독립적으로 또는 경우에 따라 함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사용시 격렬한 움직임 중에도,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일부 예에서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장착 배터리 팩(1500)이 없는 예에서(예를 들어, 임의의 배터리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있는 경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후방 지지부(1350)에 정착시킴으로써 그를 지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39a 내지 도 39c, 도 40a 내지 도 40b, 도 41a 내지 도 41b 및 도 42a 내지 도 42d에 도시된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1500)을 포함하고, 배터리 팩(1500)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 시 배터리 팩(1500)과 연결된다.
배터리 팩(1500)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 및 배터리 팩(1500)은 배터리 팩(1500)을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파스너 부분(예를 들어, 대응하는 제1 및 제2 파스너 부분(1503 및 150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0a, 도 41a 및 도 4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제1 파스너 부분(1503)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1 파스너 부분(1503)은 사용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후방을 향하는 표면에 위치된다. 도 4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은 제1 파스너 부분(1503)에 대응하는 제2 파스너 부분(150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파스너 부분(1503 및 1504)은 배터리 팩(1500)을 사용 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에 연결하도록 함께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제1 및 제2 파스너 부분(1503 및 1504)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배터리 팩(1500)에 연결하여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이 사용 시 배터리 팩(1500)의 중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예를 들어 배터리 팩(1500)의 무게의 대부분을 지지한다.
제1 및 제2 파스너 부분(1503 및 1504)은 함께 스냅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은 후크-앤드-루프 연결을 통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에 연결될 수 있거나, 포켓에 끼워질 수 있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2d에 도시된 예에서, 제1 파스너 부분(1503)은 수 부분이고 제2 파스너 부분(1504)은 암 부분이다. 다른 예에서, 제1 파스너 부분(1503)은 숫형 제2 파스너 부분(150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암형 부분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부분(1343)은 평평하다(도 4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부분(1343)은 도 4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에서 만곡된다. 곡률은 예를 들어 시상면에서 사람 머리의 예상 곡률에 곡률을 일치시킴으로써 압력 지점을 피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큰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부분은 1.5mm 내지 2mm 두께, 예를 들어 1.8mm 두께와 같은 1 내지 3mm 두께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5.4.18.7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세탁 가능 부분
세탁 가능 부분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외부 층(1341)을 형성하는 슬리브(1348)를 포함한다. 도 40a 및 도 40b에 도시된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외부 슬리브(1348) 내에 위치한다. 외부 슬리브(1348)는 도 3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500)에 연결된다.
이 예에서, 세탁 가능 부분이 세척을 위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될 때, 사용자 지향 층(1344)은 외부 슬리브(1348)로부터 분리된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외부 슬리브(1348) 내에 남아 있다. 배터리 팩(1500)은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세탁 가능 부분이 이제 세척될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할 필요가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이 세탁 가능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 일부 예에서(예를 들어, 세탁 가능 부분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 배터리 팩(1500)은 사용자에 의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5.4.18.8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부분을 포함하는 세탁 가능 부분
다른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세탁 가능 부분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41a 및 도 41b, 도 42a 내지 42d 및 도 43a 내지 도 43d에 도시된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지향 층(1344)을 형성하는 사용자 접촉 부분(1342)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사용자 접촉 부분(1342)에 제공된다. 사용자 접촉 부분(1342)은 세탁 가능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고 외부 슬리브(1348)로부터 분리 가능하여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이 세탁 가능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고 외부 슬리브(1348)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이 예에서 사용자 접촉 부분(1342)은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a)를 포함한다. 도 4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a) 내에 위치된다.
도 43a 내지 도 4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는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이 삽입될 수 있는 강성화기 개구부(1343a)를 포함할 수 있다. 강성화기 개구부(1343a)는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의 재료 내의 슬릿 또는 좁은 구멍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의 단면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상화 및 크기화될 수 있다. 강성화기 개구부(1343a)는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의 제1 단부가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의 단부에 또는 그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실질적으로 캡슐화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의 제2 단부를 감쌀 수 있다.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 내로 제거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것은 필요하다면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가 교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는 배터리 팩(1500)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파스너 개구부(1503a)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배터리 팩(1500)의 대응하는 제2 파스너 부분(1504)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1 파스너 부분(1503)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될 때, 제1 파스너 부분(1503)은 제2 파스너 부분(1504)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1 파스너 개구부(1503a)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배터리 팩(1500)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팩(1500)은 사용시 강성화기 개구부(1343a) 및 파스너 개구부(1503a)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덮을 수 있다. 도 43a 및 도 43c는 배터리 팩(1500)의 형상의 개략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 강성화기 개구부(1343a) 및 파스너 개구부(1503a) 모두는 배터리 팩(1500)의 주위/주변 내에 있다.
도 56c에 도시된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후두 연결 탭(1326)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후두 연결 탭(1326)은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의 비사용자 접촉 측 상의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후두 연결 탭(1326)은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의 사용자 대면 측 상의 제1 사용자 접촉 슬리브 개구부(1352) 및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의 비사용자 접촉 측 상의 제2 사용자 접촉 슬리브 개구부(1353)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두 연결 탭(1326)은 이 예에서 후크-앤드-루프 연결로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프레스 스터드 연결 또는 다른 적절한 연결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a) 및/또는 외부 슬리브(1348)는 각각 직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직물 시트를 절단(예를 들어, 다이 절단, 초음파 절단 또는 RF 절단에 의해)하고, 이를 관 형상으로 접고 그리고 다른 에지와 함께 슬리브의 길이를 따라 솔기를 초음파 용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는 내부에 임의의 날카로운 용접 에지가 제공되고 유리하게는 사용에 불편함 또는 보기 흉한 외관을 초래할 수 있는 날카로운 에지가 외부에 없도록 뒤집힐 수 있다.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a) 및 외부 슬리브(1348)를 형성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후크-앤드-루프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후크 또는 루프 부분은 직물 재료에 용접되거나 재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직물 재료는 관 형상을 형성하도록 스티칭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은 사용자 접촉 슬리브에 의해 캡슐화되지 않을 수 있고 대신 사용자 지향 층(1344)에 고정됨으로써 사용자 접촉 부분(1342)에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후크-앤드-루프 연결, 삽입, 오버몰딩 또는 기타 연결 에 의해 접착, 고정된다).
외부 슬리브(1348) 및/또는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a)는 탄성 또는 비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와 접촉하는 경우 편안하고, 세탁 가능(예를 들어, 기계 세탁 가능)한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및/또는 사용자의 안면이나 머리에서 습기를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재료로 형성된다. 일부 예에서 슬리브(즉, 외부 슬리브(1348) 및/또는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a))는 엘라스테인, TPE 또는 나일론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슬리브는 사용자 접촉 슬리브(1342a)의 경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는 외부 슬리브(1348)의 경우 외부 슬리브(1348)의 길이 조정 동안 외부 슬리브(1348) 내에서 전원 케이블(151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저마찰 재료(또는 저마찰 내부 표면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배터리 팩(1500)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15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0b 및 41b의 예 모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은 슬리브(1348) 내에 위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도 69a 및 69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제2 파스너 부분(1504) 및 대응하는 제1 파스너 부분(1503)을 각각 갖는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갖는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제1 파스너 부분(1503)은 제2 파스너 부분의 구멍에 끼워지고 구멍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제1 파스너 부분(1503)의 포스트가 제2 파스너의 채널 내로 활주하도록 한다. 부분 1504. 제2 파스너 부분(1504)은 제1 파스너 부분(1503)의 포스트가 제2 파스너 부분(1504)의 채널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스냅 핏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0a 및 도 70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제2 파스너 부분(1504) 및 대응하는 제1 파스너 부분(1503)을 각각 갖는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갖는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제1 파스너 부분(1503)은 제2 파스너 부분(1504)의 2개의 대응하는 제2 원통형 부분들 사이에서 가압되도록 구성된 제1 원통형 부분을 포함한다. 제2 파스너 부분(1504)은 제2 파스너 부분(1504)의 제2 원통형 부분이 변형되어 제1 파스너 부분(1503)의 제1 원통형 부분을 수용하지만 변형되지 않은 위치를 향해 복귀하여 제1 파스너 부분(1503)의 제2 파스너 부분(1504)에 대한 스냅 끼워맞춤을 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의 릴리프 컷아웃을 포함한다.
도 71a 및 도 71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제2 파스너 부분(1504)을 갖는 배터리 팩 하우징(1505) 및 대응하는 제1 파스너 부분(1503)을 갖는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각각 도시한다. 이 예에서 제1 파스너 부분(1503)은 제2 파스너 부분(1504)의 암형 슬라이딩 부분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 숫형 슬라이딩 부분을 포함한다. 숫형 슬라이딩 부분과 암형 슬라이딩 부분은 모두 세장형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파스너 부분(1503 및 1504)은 분리가 발생하기 위해 배터리 팩 하우징(1505) 상의 암형 슬라이딩 부분이 숫형 슬라이딩으로부터 제거될 배터리 팩(1500)의 중량에 대해 우월하게 슬라이딩해야 할 필요가 있도록 사용 시 배향될 수 있다.
도 71a 및 도 71b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제2 파스너 부분(1504)을 갖는 배터리 팩 하우징(1505) 및 대응하는 제1 파스너 부분(1503)을 갖는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을 각각 도시한다. 이 예에서 제1 파스너 부분(1503)은 제2 파스너 부분(1504)에 의해 형성된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고 제2 파스너 부분(1504)에 의해 형성된 채널 내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숫형 슬라이딩 부분을 포함한다. 제2 파스너 부분은 채널의 개구부가 제1 파스너 부분(1503)의 대응하는 부분과 스냅 끼워맞춤 연결을 형성하도록 채널의 두 측면에 릴리프 컷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5.4.19 배터리 팩 구성
도 46 내지 도 52b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배터리 팩(1500)의 다양한 특징을 도시한다. 배터리 팩(1500)은 배터리 팩 베이스(1525)에 연결된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사용자 지향 층(1344)을 형성하는 사용자 접촉 부분(1342)을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 팩 베이스(1525)는 사용자 접촉 부분(1342)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팩(1500)은 또한 전원 케이블(1510)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가이드(1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7a 내지 도 4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가이드(1530)는 전원 케이블(1510)이 배터리 팩 하우징(1505) 안팎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긴 부분(1531)을 포함할 수 있다. 긴 부분(1531)은 강성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긴 부분(1531)은 전원 케이블(1510)이 통과하는 긴 통로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전원 케이블(1510)의 대응하는 긴 길이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이는 전원 케이블(1510)이 움직일 때 케이블 가이드(1530)의 벽으로 케이블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1530)는 배터리 팩 베이스(1525)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케이블 가이드 장착부(15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배터리 팩 베이스(1525)는 케이블 가이드(1530)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마운트(1526), 케이블 가이드 장착부(153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케이블 가이드 마운트(1526)를 포함한다.
케이블 가이드(1530)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치형부(1533), 예를 들어 복수의 치형부(15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케이블 가이드(1530)는 3개의 치형부(1533)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층을 형성하는 외부 슬리브(1348)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슬리브(1348)는 배터리 팩(150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510)은 외부 슬리브(1348)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외부 슬리브(1348)의 길이를 따라 외부 슬리브(1348)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1530)의 치형부(1533)는 외부 슬리브(1348)를 배터리 팩(1500)에 고정하기 위해 외부 슬리브(1348)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치형부(1533)는 케이블 가이드(1530)의 긴 부분(1531) 상에 위치될 수 있고, 긴 부분(1531)에 대해 외측을 향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1530)의 치형부(1533)는 배터리 팩 베이스(1525)에 대해 외부 슬리브(1348)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케이블 가이드(1530)의 긴 부분(1531)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 시 외부 슬리브(1348) 내에 위치된다. 배터리 팩 베이스(1525)의 케이블 가이드 마운트(1526)는 도 4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스트랩 부분(1340)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치형부(15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특정 예에서, 케이블 가이드 마운트(1526)의 치형부(1527)는 외부 슬리브(1348)를 배터리 팩(1500)에 고정하기 위해 외부 슬리브(1348)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특히, 케이블 가이드 마운트(1526)의 치형부(1527)는 케이블 가이드(1530)에 대해 외부 슬리브(1348)를 클램핑할 수 있다.
도 49b를 참조하면, 이 예에서 배터리 팩 베이스(1525)는 후두 스트랩 부분(1340)을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사용자 접촉 부분(1342)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 연결 탭(132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리세스(1528)를 포함한다. 후두 스트랩 부분 연결 탭(1326)은 베이스 리세스(1528)에 있을 수 있다. 베이스 리세스(1528)는 유리하게는 배터리 팩(1500)을 낮은 프로파일로 유지하면서 후두 스트랩 부분 연결 탭(1326)을 수용할 수 있다. 배터리 팩 베이스(1525)는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배터리 팩 베이스(1525)(및 그에 따른 배터리 팩(1500))를 사용자 접촉 부분(1342)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장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6 내지 도 50에 도시된 예의 배터리 팩(1500)은 배터리 팩(1500) 내부의 전원 케이블(1519)에 고정된 케이블 스톱(1540)을 포함하고, 케이블 스톱(1540)은 전원 케이블(1510)이 배터리 팩(150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케이블 스톱(1540)은 환형 형상이고(다른 예에서는 상이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음), 케이블 스톱(1540)의 직경이 전원 케이블(1510)과 맞물리도록 감소되도록 구성된 조정 나사(1542)를 포함한다. 케이블 스톱(1540)은 전원 케이블(1510)에 클램핑될 수 있고 전원 케이블(1510)에 대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스톱(1540)은 전원 케이블(1510)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내부 나사산(154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7a 내지 도 5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은 전원 케이블 개구부(1506)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원 케이블 개구부(1506)는 배터리 팩(1500)의 전원 케이블 개구부(1506)이기도 하다. 케이블 가이드(1530)는 예를 들어 전원 케이블 개구부(1506)를 통해 배터리 팩(1500)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1c 및 도 5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은 전원 케이블(151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원 케이블 파티션(1507) 및 배터리 셀(150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셀 파티션(1508)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은 하나 이상의 셀 파티션(1508)으로부터 전원 케이블 파티션(1507)을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파티션 벽(1509)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케이블 개구부(1506)는 이 예에서 전원 케이블 파티션(1507)과 정렬된다. 도시된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은 2개의 셀 파티션(1508)을 포함한다. 전원 케이블 파티션(1507)은 두 개의 셀 파티션(1508) 사이에 위치한다. 배터리 팩(1500)은 수직으로 배향되고 사용 시 좌우 축을 따라 직렬로 정렬된 셀(1502)을 포함한다. 도 52b에 도시된 예에서, 셀(1502)은 배터리 팩(1500)의 후방 측에서 안쪽으로 경사져 있다. 이 예에서 4개의 배터리 셀(1502)이 있지만 다른 예에서는 1개, 2개, 3개 또는 4개보다 많은 셀(1502)이 있을 수 있다. 셀(1502)은 또한 다른 예에서 수평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 53a 내지 도 53f를 참조하여, 전원 케이블(1510)은 배터리 팩(1500) 내부의 서비스 루프(151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루프(1513)는 전원 케이블(1510)의 배터리 팩(1500)으로부터의 연장 및 수축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팩(1500)에 대한 전원 케이블(1510)의 수축 및 연장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지만, 전원 케이블(1510)이 헤드기어 스트랩, 예를 들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내에 제공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서, 수축 가능하고 연장 가능한 전원 케이블(1510)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에 잘 맞도록)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및 전원 케이블(1510)의 길이의 용이한 조정을 위해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1510)은 배터리 팩 베이스(1525)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터리 팩(1500)에 들어갈 수 있고 배터리 팩 베이스(1525)로부터 멀어지게 만곡하여 서비스 루프(1513)를 형성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510)은 사용자의 머리의 곡률에 실질적으로 평행/접선 방향으로 배터리 팩(1500)에 들어갈 수 있다. 도 5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예에서, 전원 케이블(1510)은 배터리 팩 베이스(1525)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배터리 팩(1500)에 들어가고 서비스 루프(1513)를 형성하기 위해 배터리 팩 베이스(1525)를 향해 만곡한다.
도 53g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배터리 팩(1500)의 단면도이다. 전원 케이블(1510)은 고정 단부(1514)에서 배터리 팩(1500) 내에 고정된다. 이 예에서 전원 케이블(1510)은 고정 단부(1514)에서 배터리 팩 베이스(1525)에 고정된다. 고정 단부(1514)는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파스너로 고정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510)은 수축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고 가상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루프(1513)의 길이는 전원 케이블(1510)이 연장된 구성에 있을 때 감소된다. 이 예에서 서비스 루프(1513), 고정단(1514) 및 케이블 가이드(1530)의 구성은 유리하게는 전원 케이블(1510)의 연장/수축에 대해 낮은 저항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의 전원 케이블(1510)은 "롤링" 운동에 의해 연장 및 수축된다. 유리하게는 전원 케이블(1510)에 요구되는 탄성이 없다. 전원 케이블(1510)은 연장/수축에 따라 반경이 약간 변한다. 전원 케이블(1510)은 연장/수축 동안 상이한 양으로 구부러진다. 긴 부분(1531)은 긴 종횡비(예를 들어, 폭에 비해 긴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긴 부분의 길이는 20-40mm의 범위, 예를 들어 25-35mm, 28-32mm 또는 약 30mm 길이일 수 있다. 긴 부분의 내부 직경은 5-10mm, 예를 들어 6.5mm-8.5mm, 또는 약 7.5m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도 5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가이드(1530)의 긴 부분(1531)은 하나 이상의 둥근 단부(1539)를 포함한다. 특히, 케이블 가이드(1530)는 긴 부분(1531)의 제1 또는 내부 단부에서 둥근 단부(1539) 및 긴 부분(1531)의 제2 또는 외부 단부에서 둥근 단부(1539)을 포함하며, 이는 전원 케이블(1510)에 대한 낮은 마찰을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 긴 부분(1531)의 단부에 걸리는 전원 케이블(1510)의 낮은 위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예에서, 케이블 가이드(1530)는 긴 부분(1531)의 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둥근 단부(1539)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둥근 단부(1539)는 내부 또는 외부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서 긴 부분(1531)으로의 개구부 주위에 반경이 있는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둥근 단부(1539)는 케이블 가이드(1530)의 외측으로 나팔 모양 부분, 예를 들어 긴 부분(1531)의 외측으로 나팔 모양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케이블 가이드(1530)는 도 53c 내지 도 5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브릭 슬리브(1534)를 포함한다. 패브릭 슬리브(1534)는 패브릭 슬리브(1534)를 통한 전원 케이블(1510)의 움직임에 대해 낮은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저마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패브릭 슬리브(1534)는 신축성이 있을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1530)는 전원 케이블(1510)을 패브릭 슬리브(1534)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도입 특징부(153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1530)는 도 5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도입 특징부(1535) 또는 도 5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도입 특징부(1535), 예를 들어 전원 케이블(1535)의 각각의 측면에 하나씩 포함할 수 있다. 도입 특징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케이블 가이드(1530)는 패브릭 슬리브(1534)의 입구에서 전원 케이블(1510)에 작용하는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롤러(15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3c 및 도 5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브릭 슬리브(1534)는 일부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53d 및 도 5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브릭 슬리브(1534)는 배터리 팩(150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패브릭 슬리브(1534)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그것이 취할 수 있는 형태의 케이블 가이드(1530)는 부분적으로 배터리 팩(1500)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외부에, 배터리 팩(1500)에 대해 완전히 내부 또는 완전히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패브릭 슬리브(1534)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슬리브(1348)의 일부일 수 있다. 즉,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슬리브(1348)는 배터리 팩(1500)의 내부로 연장되어 케이블 가이드(1530)의 패브릭 슬리브(1534)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3c를 참조하면, 일부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은 배터리 팩(1500) 내에서 전원 케이블(1510)의 형상 및/또는 움직임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탠드오프(1537)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스탠드오프(standoffs)(1537)는 전원 케이블(1510)의 서비스 루프(1513)의 굽힘 반경에 하한을 둠으로써 배터리 팩(1500)으로부터 전원 케이블(1510)이 연장될 수 있는 양을 제한할 수 있다. 스탠드오프(1537)는 배터리 팩(1500) 내의 포스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 팩 하우징(1505)의 일 측에서 또는 전원 케이블 파티션(1507)의 일 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연장된다. 일부 예에서 스탠드오프(1537)는 배터리 셀(1502)을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서비스 루프(1513)와 전원 케이블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502) 사이의 전원 케이블(1510)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배터리 팩 베이스(1525), 배터리 팩 하우징(1505) 또는 배터리 팩(1500)의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된 브래킷으로 배터리 팩(1500) 내에서 제자리에 고정된다. 도 5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전원 케이블(1510)은 접착제에 의해 위치(1538)에 고정된다.
도 53d 및 도 5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1510)의 서비스 루프(1513)는 서비스 루프(1513)가 배터리 팩 하우징(1505)과 곡선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마찰 접촉을 겪지 않도록 충분히 작은 굽힘 반경을 갖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케이블(1510)의 완전히 수축된 위치(예를 들어, 도 53e에 도시됨)에서, 서비스 루프(1513)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거나 배터리 팩(1500) 내의 내부 벽(들)과 소량의 접촉만을 가질 수 있다. 서비스 루프(1513)의 굽힘 반경은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서 연장된 위치(예를 들어, 도 53d에 도시됨)로 이동할 때 서비스 루프(1513)가 배터리 팩(1500) 내의 임의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히 작아서, 서비스 루프(1513)는 배터리 팩(1500)과 마찰 접촉을 경험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이것은 사용자가 전원 케이블(1510)을 연장하거나 수축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들 수 있고 그에 따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조정할 수 있다.
도 53a, 도 53b 및 도 53f는 각각 서비스 루프(1513)의 2가지 구성을 동시에 도시하는데, 하나는 수축된 위치에 있는 서비스 루프(1513) 및 전원 케이블(1510)을 도시하고 다른 하나는 연장된 위치에 있는 서비스 루프(1513) 및 전원 케이블(1510)을 도시한다.
5.5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주변부 내부의 아암
본 기술의 일부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아암(121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외부에서 연장될 수 있지만, 본 기술의 일부 예에서 아암(121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내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34a 내지 도 3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 위 작동 위치(예를 들어, 도 34a에 도시된 위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도 34a 내지 도 34i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1350),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135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예를 들어 도 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아암(121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아암(121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각각의 아암(1210)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 각각 하나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34a 내지 도 3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주변부(예를 들어, 최외곽 주변부)를 갖는 후방측을 갖는다. 각각의 아암(121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후방측의 주변부 내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으로부터 연장된다.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주변부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아암(121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전체 폭을 감소시킬 수 있고/있거나 최적의 헤드기어 힘 벡터에 더 가깝게(예를 들어, 전-후방 축과 평행에 더 가깝게) 촉진할 수 있다.
특히, 도 34a 내지 도 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은 주변부를 갖고, 각각의 아암(121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후방측의 주변부와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의 주변부 사이에 위치한다. 각각의 아암(121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인접한 부분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아암(1210)은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의 인접한 부분의 측방으로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가장 측면 부분은 아암(1210)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해 측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가장 측면 부분은 예를 들어, 아암(1205) 중 각각의 하나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사이의 연결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아암(1210)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 각각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아일릿(1212)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아암의 아일릿(1212)은 각각의 아암(1210)의 후단부에 또는 그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5.5.1 아암의 피봇팅
한 쌍의 각각의 아암(121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대해 피봇할 수 있다. 도 34d 내지 도 34g 및 도 34i는 각 아암의 피봇 지점(1213)을 도시한다. 피봇 지점(1213)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내에서 디스플레이에 근접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면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아암(1210)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수직인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아암(1210)은 적어도 9도의 각도 범위(A)를 통해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34f 및 도 34g). 일부 예에서 각도 범위(A)는 적어도 19 도일 수 있다.
도 34d 내지 도 34g 및 도 3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은 허브 부분(1230) 및 허브 부분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긴 부분(1231)을 포함한다. 아암(1210)의 아일릿(1212)은 긴 부분(1231)의 말단(후방) 단부에 형성된다. 허브 부분(1230)은 피봇 지점(1213)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선택적으로 후술되는 아암 장착부(1215)을 통해)에 고정된다. 허브 부분(1230)은 피봇 지점(1213)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긴 부분(1231)이 허브 부분(1230)에 견고하게 연결됨에 따라(예를 들어, 허브 부분(1230)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긴 부분(1231)은 허브 부분(1230)과 함께 피봇 지점(121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기술의 다른 예에서, 도 34j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암(121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피봇 지점(121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34j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한 면만을 도시하지만, 단일 아암의 특징이 설명되는 경우, 그 특징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양 아암(1210)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 예에서 각각의 피봇 지점(1213)은 아암(1210)이 회전하는 이론상/가상의 피봇 지점이다. 이 예에서 피봇 지점(1213)은 아암(1213)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연결되는 지점이 아니라, 다른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연결되어 아암(1210)이 회전하는 공간상의 지점이다. 특히, 각각의 아암(1210)은 각각의 피봇 지점(1213)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34j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암(121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한 쌍의 가이드(1219)(파선으로 도시됨) 중 각각의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각각의 가이드(1219)를 따라 미끄러지고 각각의 피봇 지점을 중심으로 피봇한다. 각각의 가이드(1219)는 각각의 아암(1210)이 가이드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세장형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1219)는 미끄러지는 동안 아암(1210)의 피봇팅 운동을 강제하기 위해 만곡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가이드(1219)는 길고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아암(1210)은 아암(1210) 과 피봇 지점(1213)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사이의 물리적 연결 없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대해 피봇 지점(1213)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구성된다.
아암(1210)의 각각은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아일릿(1212)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의 아일릿(1212)은 도 34j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암(1212)의 후방 단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다른 예에서 아암(1210)은 클립(예를 들어, 자기 클립) 또는 스트랩 부분과 각각의 아암(1210) 사이의 후크-앤드-루프 연결과 같은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헤드기어(1300)의 스트랩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4j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일부 뒤에 숨겨진 아암(1210)의 전방 단부는 가상선으로 도시된다. 이 예에서, 아암(1210)은 아일릿(1212)을 위한 의도된 위치와 가이드(1219) 사이에 걸쳐 있기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더 길 필요가 없다. 예시된 바와 같이, 아암(1210)의 전방 단부는 가이드(1219)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한 쌍의 최후단 지점(1205p)을 갖는데, 최후단 지점(1205p)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된다. 이 예에서, 각각의 가이드(1219)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최후단 지점(1205p) 중 각각의 하나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가이드(1219) 및 아암(1210)은 아암(1210)이 가이드(1219)를 따라 미끄러지도록 허용하지만 피봇 지점(1213)를 중심으로 피봇/회전하도록 아암(1210)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임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219) 및 아암(1210)은 상보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219) 및 아암(1210)은 도 34k 및 도 34l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보적 또는 숫형-암형 관계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가이드(1219)는 각각의 아암(1210)의 숫형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암형 부분을 각각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아암(1210)은 각각의 가이드(1219)(예를 들어 도 34m에 도시됨)의 숫형 부분을 수용하는 암형 부분을 각각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가이드(1219) 및 아암(1210)은 아암(1210)과 가이드(1219)의 분리에 저항하는 연동 구성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아암(1210) 및 가이드(1219)는 도브테일 연결(도 34k에 예시로 도시됨), L-형 연결, T-형 연결 또는 둘 모두가 아암(1210)이 피봇 지점(1213)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하도록 구속하는 다른 연결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아암(1210)이 가이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대안적으로, 아암(1210)과 가이드(1219) 사이의 연결 자체가 가이드(1219)로부터 아암(1210)의 분리를 방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4l은 가이드(1219)가 아암(1210)의 돌기를 수용하여 슬롯을 따라 이동하도록 아암(1210)을 가이드하는 슬롯 형태이지만, 아암(1210)이 가이드(1219) 자체보다는 아암에 인접한 아암 장착부(1215)의 일부에 의해 가이드(1219)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가이드(1215)는 아암 장착부(1215),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일부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4m은 아암(1210)이 슬롯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돌기의 형태로 가이드(1219)를 수용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아암(1210)은 아암 장착부(1215)의 일부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내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가이드(1219)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아암(1210)에 대한 가이드(1219)의 사용은 아암(1210)이 짧아지는 것을 유리하게 허용할 수 있고, 이는 아암(1210)에 근접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허용할 수 있다.
도 34j 내지 도 34m에 도시된 본 기술의 예의 아암(1210)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또한 본 기술의 다른 예를 참조하여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후방 측의 주변부와 인터페이싱 구조(3800)의 주변부 사이에 있는 아암(1210), 아암 장착부(1215), 아암(1210)의 피봇팅 범위, 피봇팅 운동에 대한 사전결정된 저항,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 사이에의 피봇팅 및/또는 정적 토크 저항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5.5.2 피봇 움직임에 대한 아암의 저항
일부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대한 피봇 움직임에 대해 사전결정된 저항을 갖는다. 도 3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암(1210)은 복수의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 사이에서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아암(1210)은 복수의 배향에서 제자리에 스냅, 낙하 또는 피팅될 수 있음). 아암(1210)이 하나의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에서 다른 배향으로 피봇할 수 있기 전에 극복되어야 하는 피봇 움직임에 대한 사전결정된 저항이 필요하다.
일부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은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 사이에서 아암(1210)의 피봇팅 동안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아암 장착부(1215)의, 또는 다른 구성요소의) 복수의 제2 맞물림 특징부(1233)와 연속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를 포함한다. 도 34e 및 및 도 38b 내지 도 38n은 본 기술의 이러한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아암(1210)은 예를 들어, 도 34e 또는 도 38j 및 도 38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아암(1210)은 복수의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는 제2 맞물림 특징부(1233) 중 각각의 하나와 한번에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제2 맞물림 특징부(1233) 사이에서 아암(1210)의 피봇팅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은 도 38b 내지 도 38i 및 도 38l의 예에 도시되어 있다.
일부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하나 이상의 제2 맞물림 특징부(1233)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2 맞물림 특징부(1233)는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 사이에서 아암(1210)을 피봇하는 동안 제1 맞물림 특징부(1232)와 연속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는 돌기이고 제2 맞물림 특징부(1233)는 리세스이다. 다른 예에서,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는 리세스이고 제2 맞물림 특징부(1233)는 돌기이다. 제1 및 제2 맞물림 특징부는 상보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숫형 및 암형 특징부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허브 부분(1230)(예를 들어, 직접 또는 아암 장착부(1215)을 통해) 및 허브 부분(1230)으로부터 연장되는 긴 부분(1231)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도 34e, 도 38j, 도 38k 및 도 38l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암(1210)의 하나 이상의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는 아암(1210)의 긴 부분(1231)에 제공된다.
도 34e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사전결정된 증분 배향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맞물림 특징부(1233)(예를 들어, 복수의 범프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아암(1210)은 제2 맞물림 특징부(1233) 각각의 하나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를 포함한다. 각각의 아암(1210)을 하나의 제2 맞물림 특징부(1233)에서 다른 것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전결정된 힘(예를 들어, 선회 운동에 대한 사전결정된 저항)이 필요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은 도 38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1210)의 피봇팅 동안에 하나 이상의 제1 맞물림 특징부(1232)가 제2 맞물림 특징부(1233)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은 하나 이상의 제1 맞물림 특징부(1231)가 제2 맞물림 특징부(1232)와 맞물리도록 바이어스되도록 아암(1210)의 긴 부분(1231)을 제2 맞물림 특징부(1233) 쪽으로 바이어싱시키도록 구성된 스프링(1236)을 포함한다. 도 38k에서, 아암(1210)은 판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1236)을 포함한다. 스프링(1236)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또는 아암 장착부(1215)의 일부에 대해 압축될 수 있다.
도 38l에 도시된 예에서, 아암은 제2 맞물림 특징부(1233)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도 38b, 도 38c 및 도 38d, 도 38e 및 도 38f, 도 38g 및 도 38h, 도 38i, 도 38m, 및 38n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암(1210)의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는 원형 배열로 아암(1210)의 허브 부분(1230)에 제공되고 아암(1210)의 피봇 지점(1213)을 중심으로 허브 부분(123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38b, 도 38c 및 도 38d, 도 38e 및 도 38f, 도 38g 및 도 38h, 및 도 38i에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의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는 피봇 지점(1213)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고, 제2 맞물림 특징부(1233)는 피봇 지점(1213)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향한다. 다른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의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는 피봇 지점(1213)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향하고, 제2 맞물림 특징부(1233)는 피봇 지점(1213)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멀어지는 쪽으로 향한다.
일부 예에서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는 허브 부분(1230)의 변형 가능한 부분에 제공되고, 변형 가능한 부분은 아암(1210)이 피봇될 때 제1 맞물림 특징부(1232)가 제2 맞물림 특징부(1233)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8b, 도 38c 및 도 38d, 도 38e 및 도 38f, 및 도 3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부분(1230)은 아암(1210)에 대해 상승되고 변형 가능한 부분 및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를 포함하는 상승된 부분(1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승된 부분(1234)은 각각의 변형 가능한 부분에 인접한 구멍(1235)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멍(1235)은 변형 가능한 부분 및 제1 맞물림 특징부(1232)가 구멍(1235)을 향해 변형되도록 하여 아암(1210)이 피봇될 때, 제1 맞물림 특징부(1232)가 제2 맞물림 특징부(1233)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구멍(1235)에 재료가 없으면 아암(1210)이 사전결정된 증분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충분히 변형되도록 변형 가능한 부분에서 아암(1210)이 충분히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도 38c 및 도 38d, 및 도 38e 및 도 3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변형 가능한 부분은 그 위에 제1 맞물림 특징부(1232)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 아암 부분을 포함하고, 캔틸레버 아암 부분은 아암(1210)이 피봇될 때 제1 맞물림 특징부(1232)가 제2 맞물림 특징부(1233)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캔틸레버 아암 부분은 도 38c 및 도 38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에 단일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를 가질 수 있고 도 38e 및 도 3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다수의 제1 맞물림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승된 부분(1234)은 도 3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S-형상을 갖는다.
일부 예에서, 아암(1210)의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는 도 38g 및 도 38h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1210)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하기 위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대한 스냅-핏 연결을 형성한다. 이 예에서, 각각의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는 제2 맞물림 특징부(1233)에 스냅 끼워맞춤된다.
일부 예에서, 도 38m 및 도 38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는 아암(1210)의 회전축(예를 들어, 피봇 지점(1213)을 통과하는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아암(1210)의 허브 부분(1230)으로부터 멀어지고 제2 맞물림 특징부(1233)를 향한다. 제1 맞물림 특징부(1232)는 측면과 대향하면서 허브 부분(1230)의 면 상에 또는 면에 위치될 수 있다. 허브 부분(1230)은 아암(1210)이 피봇될 때, 제1 맞물림 특징부(1232)가 제2 맞물림 특징부(1233)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맞물림 특징부(1233)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도록 아암(1210)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8n에 도시된 예에서, 허브 부분(1230)은 스프링(1236)에 의해 제2 맞물림 특징부(1233)를 향해 바이어싱된다. 스프링은, 예를 들어, 아암(1210)과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을 연결하는 핀, 볼트 또는 나사 주위에 제공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5.5.2.1 정적 토크 저항
다른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대해 피봇하기 위해 각각의 아암(1210)에 대해 사전결정된 정적 토크 저항이 극복되어야 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연결된다. 일부 예에서, 사전결정된 정적 토크 저항은 정적 마찰에 의해 제공된다. 정지 마찰은 각각의 아암(1210)과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각각의 부분 또는 각각의 아암 장착부(1215)(후술됨) 사이에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한 쌍의 마찰 링(1220)(예를 들어, O-링, 와셔 등)을 포함한다. 도 38a는 아암(1210)의 피봇 지점(1213)을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4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아암(1210)의 피봇 지점(1213)을 통한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각각의 마찰 링(1220)은 아암(1210)들 각각,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내의 인접 표면(아암 장착부(1215)의 표면일 수 있음)과 접촉하여 장착될 수 있다. 마찰 링(122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대해 피봇하기 위해 각각의 아암(1210)에 대해 극복되어야 하는 정지 마찰을 제공한다.
도 3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마찰 링(1220)은 아암(1210) 내의 대응하는 형상의 리세스에 수용될 수 있다. 이는 마찰 링(1220)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내에서 과도한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마찰 링(1220)을 제자리에 유지할 수 있다.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링(1220) 각각은 부분적으로 각각의 아암(1210)에 의해 그리고 부분적으로 아암(1210)이 장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일부에 의해 정의되는 마찰 링 공동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은 한 쌍의 아암 장착부(1215) 중 각각의 하나에 부착된다.
마찰 링(1220)은 아암(1210)의 허브 부분(1230)에 부착되거나 수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볼트(1221)와 너트(1222)는 아암(1210)을 아암 장착부(1215)에 고정한다. 너트(1222)는 아암(1210)의 허브 부분(1230)에 수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볼트(1221)의 일부는 아암(1210)의 허브 부분(1230)을 통해 연장될 수 있고, 피봇 지점(1213)을 정의할 수 있다. 마찰 링(1220)은 고마찰 재료로 형성 및/또는 클램핑되어 원하는 마찰 및 사전결정된 정적 토크 저항을 초래할 수 있다.
아암(1210)은 각각의 아암(1210)의 후단부가 사용자의 귀 중 각각 하나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5.5.3 아암 장착부
특히, 도 34b, 도 34c, 도 34h 및 도 3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암(1210)은 이 특정 예에서 한 쌍의 아암 장착부(1215) 중 각각 하나에 부착된다.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한 쌍의 측면 부분(1207)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아암 장착부(1215)은 측면 부분(1207) 각각 하나의 내측 부분에 부착된다. 이 예에서, 각각의 아암은 각각의 아암 장착부(1215)과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각각의 측면 부분(1207) 사이에 위치한다. 각각의 아암(1210)은 각각의 아암 장착부(1215)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각각의 아암 장착부(1215)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또는 렌즈 플레이트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5.5.4 아암 배향
도 37a 및 3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은 장축(MA) 및 단축(MN)을 포함하는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각각의 아암(1210)은 이 예에서 단축(MN)보다 장축(MA)에서 더 크다(예를 들어, 각각의 아암(1210)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일 수 있는 평평한 형상을 가짐). 본 기술의 일부 예에서, 장축(MA)은 팔(1210)의 길이를 따라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도 37a는 수직 배향(예를 들어, 시상면과 정렬됨)을 갖는 아암(1210)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 배열의 하나의 결점은 (도 3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간섭하기 전에 아암(1210)이 얼마나 많이 피봇할 수 있는지에 있어서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기술의 일부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각 아암(1210)의 길이를 따른 지점(예를 들어,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곳)에서, 장축(MA)은 도 3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O)(수직 축(VA)을 갖는 각도(O)와 동일)로 배향된다. 아암(1210)이 피봇될 수 있는 각도 범위는 도 37a의 예와 비교하여 이 예에서 아암(1210) 및 관련된 주변 구성요소에 의해 점유되는 여분의 공간이 전혀 없거나 단지 적은 양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내부에 위치하는 각각의 아암(1210)의 길이를 따른 지점에서, 횡단면 형상의 장축(MA)은 사용 시 초내측-하외측 배향을 갖는다. 이것은 도 37b에 도시된 배향이다.
일부 예에서, 각각의 아암(1210)은 횡단면의 장축(MA)이 아암(1210)의 길이를 따라 배향을 변경하도록 형상화된다. 예를 들어, 각 아암(1210)의 형상 또는 단면 배향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내부의 하나의 배향(예를 들어, 내측-하외측 배향을 갖는 장축(MA))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외부의 다른 배향(예를 들어, 수직 배향)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외부에 위치하는 각 아암(1210)의 길이를 따른 지점에서, 장축(MA)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도 34a 내지 도 34i를 참조하여 설명된 아암(1200)을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문맥상 명백히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상단 스트랩 부분(1340)과 같은) 본원에 설명된 다른 특징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5.5.5 전자장치 볼륨
본 기술의 일부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한 쌍의 전자장치 볼륨(1203)을 포함한다. 도 55c는 전자장치 볼륨(1203)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한 측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각각의 전자장치 볼륨(1203)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고 아암(1210)의 각각의 하나에 근접할 수 있다. 각각의 전자장치 볼륨(1203)은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 볼륨(1203)은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내의 공간의 볼륨일 수 있다.
도 5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암은 피봇 지점(1213)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허브 부분(1230) 및 허브 부분(1230)으로부터 연장되는 긴 부분(1231)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긴 부분(1231)은 전자장치 볼륨(1203)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만곡된다. 긴 부분(1231)은 곡선 부분 및 직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세장형일 수 있다. 각각의 아암(1210)은 또한 도 5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스트랩 부분(1330)과의 연결을 위한 아일릿(1213)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아암(1210)의 긴 부분(1231)은 오프셋 부분(1237)을 포함할 수 있다. 오프셋 부분(1237)은 아일릿(1213)과 피봇 지점(1238)를 통해/사이를 통해 축(1238)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오프셋 부분(1237)은 전자장치 볼륨(1203)과의 간섭 없이 아암(1210)의 회전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아암(1210) 및/또는 오프셋 부분(1237)의 만곡은 유리하게는 아암(1210)이 전자장치 볼륨(1203)을 간섭하지 않고 전자장치 볼륨(1203)이 아암(1210)에 근접하게(예를 들어, 아래에) 위치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장치 볼륨(1203)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내에서 가능한 한 후방에 위치시키는 것은 전자장치 볼륨(1203)이 더 전방(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멀리)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내에서 더 유리한 중량 균형을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 볼륨(1203)을 피하기 위해 아암을 성형함으로써, 피봇 지점(1213) 및 아일릿(1212)이 최적의 위치에 유리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전자장치 볼륨(1203)은 오디오 스피커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전자장치 볼륨은 센서, 배터리 및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을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5.6 아암과 측면 스트랩 부분 사이의 탄성 연결 요소
도 55a 및 도 55b를 참조하여, 일부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후방 지지부(135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포함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포함하고, 각각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 및 한 쌍의 아암(121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5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암(1210)은 측면 스트랩 부분(1330) 각각의 하나에 해제가능하게 직접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또한 한 쌍의 탄성 커넥터(125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커넥터(1250)는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의 각각의 하나를 아암(1210)의 각각의 하나에 연결하는 탄성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커넥터(1250)는 측면 스트랩 부분(1330)과 아암(1210) 사이의 탄성 연결을 유지하면서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이 아암(1210)에 직접 부착되지 않은 경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착용 및 벗는 동안에 늘어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것은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고 벗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탄성 커넥터(1250)의 신축성 있는 성질은 착용 및 벗는 동안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에 약간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헤드기어 스트랩을 조이는 동안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사용자의 머리에 유리하게 유지할 수 있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이 미끄러지거나 떨어지거나 의도하지 않은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5a 및 55b를 참조하여, 각각의 아암(1210)은 허브 부분(1230) 및 긴 부분(1231)을 포함한다. 탄성 커넥터(1250)는 이 예에서 탄성 커넥터 연결 지점(1251)에서 긴 부분(1231)에 연결된다. 도 5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암(1210)은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아암(1210)의 후방 단부에서 아일릿(1213)을 포함한다. 탄성 커넥터 연결 지점(1251)은 아일릿(121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탄성 커넥터(1250)는 각각의 아암(1210)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예에서 탄성 커넥터(1250)는 예를 들어 후크-앤드-루프 연결 또는 프레스 스터드 연결에 의해 아암(1210)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탄성 커넥터(1250)는 예를 들어 후크-앤드-루프 연결 또는 프레스 스터드 연결에 의해 측면 스트랩 부분(133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거나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5.7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통합된 헤드기어 버클
도 35a 및 35b를 참조하면, 일부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은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될 수 있다.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안면 맞물림 부분(3810), 및 안면 맞물림 부분(3810)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더 연결되어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을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섀시(38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5a 및 도 35b는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과 정렬된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및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의 상부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5a 및 도 35b의 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의 섀시(3802)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상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상단 스트랩 부분(134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1350),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131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5)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및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특징은 본원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다.
도 35a 및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3802)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이 루프 백되어 자체에 고정될 수 있는 아일릿(38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5a의 예에서, 아일릿(3812)은 섀시(3802)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둘 모두에 의해 형성되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섀시(3802)의 일부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일부 둘 모두 주위에 루핑될 수 있다. 도 35b의 예에서, 아일릿(3812)은 섀시(3802)의 상위 돌출 부분(3814)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돌출 부분(3814)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개구를 통해 돌출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아일릿(3812)을 통과하고 루프 백되어 예를 들어 후크 앤드 루프 체결, 버클, 자성 연결 등으로 그 자체에 고정될 수 있다.
섀시(3802)는 실질적으로 강성 부분일 수 있고 열가소성 재료 또는 고경도계 엘라스토머와 같은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
5.8 인터페이싱 구조물
일부 구현예에서, 섀시, 지지 구조물 및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안면 맞물림 표면 중 둘 이상은 섀시에서 원하는 레벨의 강성 또는 안면 맞물림 표면에서 원하는 레벨의 완충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전체에 걸쳐 가변 두께 및 마감을 포함하는 단일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그러한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단일 실리콘 본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 내지 도 10c는 안면 맞물림 표면(3108)을 갖는 일체형 안면 맞물림 플랜지(3106)를 지지하는 지지 플랜지(3102) 형태의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3100)을 도시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추가 구성요소는 인터페이싱 구조물(3100)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폼 또는 엘라스토머 재료로부터 단일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더 강성 지지부(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됨)에 의해 지지되는, 가요성 및 탄성 재료(예를 들어, 실리콘 같은 엘라스토머)로 구성된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강성 지지부는 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싱 구조물(3200)은 가요성 및 탄성 안면 맞물림 부분(3204)이 제공될 수 있는 강성 지지부(3202)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맞물림 부분(3204)은 단면이 만곡될 수 있고, 지지 플랜지(3206) 및 안면 맞물림 표면(3210)을 갖는 일체형 안면 맞물림 플랜지(3208)를 가질 수 있다. 안면 맞물림 부분(3204)의 중첩 부분(3212)은 강성 지지부(3202)에 고정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도 11b를 참조하면, 강성 지지부(3202)는 위치지정 부분, 예를 들어 리세스(3214)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맞물림 부분(3204)은 리세스(3214) 내에 수용되고 사용자의 안면 방향으로 안면 맞물림 부분(3204)에 바이어싱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싱 부분, 예를 들어 스프링(3216)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도 11c를 참조하면, 안면 맞물림 부분(3204)은 강성 지지부(3202)와 안면 맞물림 플랜지(3208) 사이에 콘서티나 섹션(3218)을 포함할 수 있다. 콘서티나 섹션(3218)은 하나 이상의 접힘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순응을 돕기 위해 더 높은 정도의 가요성 또는 증가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탄성 및 가요성 안면 맞물림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폼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폼 부분은 안면 맞물림 표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2a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싱 구조물(3300)은 도 11a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구성으로, 가요성 및 탄성 안면 맞물림 부분(3304)이 제공될 수 있는 강성 지지부(3302)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맞물림 부분(3304)은 강성 지지부(3302)에 고정된 중첩 부분(3310)과 함께 지지 플랜지(3306) 및 일체형 안면 맞물림 플랜지(3308)를 가진다. 안면 맞물림 표면(3314)을 갖는 폼 쿠션(3312)은 안면 맞물림 플랜지(3308)의 사용자 지향 측에 제공된다. 예에서 폼 쿠션(3312)은 안면 맞물림 플랜지(3308)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폼 쿠션(3312)은 안면 맞물림 플랜지(3308)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12a의 예에서, 폼 쿠션(3312)은 직물-폼 복합재(예를 들어, 직물 외부 층을 갖는 폼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b의 예에서, 폼 쿠션(3312)은 뭉친 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c의 예에서, 폼 쿠션(3312)은 생 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탄성 및 가요성 안면 맞물림 부분에 제공된 직물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직물 층은 안면 맞물림 표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3a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싱 구조물(3400)은 도 11a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구성으로 가요성 및 탄성 안면 맞물림 부분(3404)이 제공될 수 있는 강성 지지부(3402)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맞물림 부분(3404)은 강성 지지부(3402)에 고정된 중첩 부분(3410)과 함께 지지 플랜지(3406) 및 일체형 안면 맞물림 플랜지(3408)를 가진다. 안면 맞물림 표면(3414)을 갖는 직물 층(3412)은 안면 맞물림 플랜지(3408)의 사용자 지향 측에 제공된다. 도 13a의 예에서, 직물 층(3412)은 유지 수단(3416)을 사용하여 안면 맞물림 부분(3404)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 예에서 유지 수단(3416)은 직물 층(3412)을 제자리에 클리핑하는 강성 요소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유지 수단(3416)은 탄성화될 수 있고, 이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안면 맞물림 부분(3404) 위에 피팅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도 13b를 참조하면, 직물 층(3412)은 안면 맞물림 플랜지(3308)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직물 층(3412)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으로 한정될 수 있기 때문에 - 즉, 안면 맞물림 부분(3404)의 외부 둘레로 멀리 연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직물 층(3412)의 표면적이 도 13a의 표면적과 비교하여 더 작을 수 있음이 예상된다. 이것은 또한 지지 플랜지(3406)의 노출된 영역의 스프링 특성에 대한 직물 층(3412)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더 강성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안면 맞물림 부분은 폼 쿠션 및 위에 폼 쿠션 및 엘라스토머 커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4a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싱 구조물(3500)은 가요성 및 탄성 안면 맞물림 부분(3504)이 제공될 수 있는 강성 지지부(3502)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맞물림 부분(3504)은 지지 플랜지(3506), 및 지지 플랜지(3506)로부터 연장되는 쿠션 지지 플랜지(3508)를 가질 수 있다. 폼 쿠션(3510)은 쿠션 지지 플랜지(3508)에 제공된다. 쿠션 커버(3512)(예를 들어, 엘라스토머로 제조됨)는 폼 쿠션(3510) 위로 연장되고 사용 시 안면 맞물림 표면(3514)을 제공한다. 이 예에서, 쿠션 커버(3512)는 예를 들어 고정 수단(3516)을 사용하여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쿠션 커버(3512)의 자유 에지는 쿠션 지지 플랜지(3508) 너머로 연장된다.
다른 예에서, 도 14b를 참조하면, 쿠션 커버(3512)는 지지 플랜지(3506) 및 쿠션 지지 플랜지(3508)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됨). 도 14b의 예에서, 쿠션 커버(3512)는 쿠션 지지 플랜지(3508)에 도달하기까지 폼 쿠션(3512) 주위로 연장되지 않는다.
도 14c는 쿠션 지지 플랜지(3508)가 강성 지지부(3502)로부터 연장되고 쿠션 커버(3012)보다 더 강성 재료로 만들어진 예를 도시한다.
도 14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예에서, 쿠션 커버(3512)는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한 쿠션 지지 플랜지(3508) 상의 위치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폼 쿠션(3510)의 노출은 도 14b의 예에서 폼 쿠션(3510)의 "내측" 지향 노출과 비교하여 "외측" 지향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14e를 참조하면, 안면 맞물림 부분(3504)은 강성 지지부(3502)에 고정된 중첩 부분(3516)을 포함한다. 쿠션 커버(3512)는 폼 쿠션(3510) 및 지지 플랜지(3506)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쿠션 커버(3512)의 에지는 강성 지지부(3502)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쿠션 커버(3512)는 강성 지지부(3502)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지지 구조물 및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안면 맞물림 부분이 안면 맞물림 표면에 원하는 레벨의 강성 및/또는 쿠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두께를 포함하는 단일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 내지 도 15e는 일반적으로 이마 부분(3602), 2개의 뺨 부분(3604),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접형골 영역에 근접하고 이마 부분(3602)을 각각의 뺨 부분(3604)에 연결하는 2개의 측면 부분(3606)을 포함하는 일체로 형성된 인터페이싱 구조물(3600)을 도시한다. 탭(3608)은 각 뺨 부분(3604)의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인터페이싱 구조물(3600)은 다양한 두께의 복수의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3610)은 인터페이싱 구조물(3600)의 내주부, 즉 사용자의 안면에 가장 가까운 인터페이싱 구조물(3600)의 에지 둘레로 연장된다. 제2 영역(3612)은 인터페이싱 구조물(3600)의 외주부로 연장된다. 제3 영역(3614)은 제1 영역(3610)과 제2 영역(3612) 사이에 위치설정 된 인터페이싱 구조물(3600)의 내주부로 연장된다. 제4 영역(3616)은 제1 영역(3610) 및 제3 영역(3614)에 의해 한정된 각 뺨 부분(3604)에 제공된다. 이 예에서, 제1 영역(3610)은 제4 영역(3616)(예를 들어, 약 1.5 mm)보다 더 큰 두께(예를 들어, 약 2 mm)를 갖는다. 제4 영역(3616)은 제3 영역(3614)(예를 들어, 약 1mm)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다. 제3 영역(3614)은 제2 영역(예를 들어, 약 0.7mm)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도 15f 내지 15k는 일체로 형성된 인터페이싱 구조물(360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제1 영역(3610)은 이마 부분(3602)의 후방 이마 부분(3630)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싱 구조물(3600)의 내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영역(3614)은 이마 부분(3602)의 상부 이마 부분(3632)을 포함하고, 이마 부분(3602)의 중심 위로 전방 이마 부분(3634)으로 연장된다. 제2 영역(3612)은 각각의 측면 부분(3606)으로부터 상위 이마 부분(3632)을 향해 각각 연장되는 상위 측면 부분(3636), 및 사용시 보다 강성의 지지부(예를 들어, 섀시)에 대해 고정되는 외주 이마 부분(3628)을 포함한다. 영역의 상대적 두께는 제공된 코드화된 척도에서 볼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e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영역(3610)의 폭은 뺨 부분(3604) 또는 측면 부분(3606)에서보다 이마 부분(3602)을 통해 더 넓다. 또한, 제2 영역(3612)의 폭은 뺨 부분(3604)에서보다 이마 부분(3602)을 통해 더 크다.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안면 맞물림 부분이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는 쪽으로 바이어싱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안면 맞물림 부분의 선택된 영역만이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는 쪽으로 바이어싱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하중해제 시에, 안면 맞물림 부분이 맞물리도록 의도된 사용자의 안면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각도로 안면 맞물림 부분의 영역이 사용자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싱 구조물(3700)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3706)과 맞물리는 일체형 안면 맞물림 플랜지(3704)를 지지하는 지지 플랜지(3702)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싱 구조물(370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사전 부하"되도록 - 즉, 맞물릴 때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바이어싱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 맞물림 플랜지(3704)의 휴지 위치(파선(3708)으로 디스플레이됨)는 안면 맞물림 플랜지(3704)가 사용자를 향해 기울어진 사용자의 안면(파선(3710)으로 디스플레이됨)과 평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안면과의 맞물림, 및 인터페이싱 구조물(3700)과 사용자 사이의 마찰을 조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선택 영역에서 이러한 "사전 부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안면의 제1 영역(3712)은 일반적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된 영역은 사용자의 안면과 인터페이싱 구조물(3700) 사이의 갭을 통해 광이 진입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페이싱 구조물(3700)의 대응하는 제1 인터페이스 영역(3714)은 제1 영역(3712)에서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는 쪽으로 안면 맞물림 플랜지(3704)를 바이어싱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의 안면의 제2 영역(3716)은 일반적으로 돌출되어 인터페이싱 구조물(3700)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불편함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인터페이싱 구조물(3700)의 대응하는 제2 인터페이스 영역(3718)은 제1 영역(3712)에서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는 쪽으로 안면 맞물림 플랜지(3704)를 바이어싱하는 것을 피하도록, 또는 적어도 제1 인터페이스 영역(3714)과 비교하여 감소된 정도로 형상화될 수 있다.
5.9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통한 기류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인터페이싱 구조물과 사용자 사이의 공간으로, 그리고 그로부터의 기류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활동에 의해 열이 발생하거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전자 구성요소에서 열이 방출될 수 있다. 이 열은 이 공간에 축적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 공간을 오가는 기류를 활성화하면 사용자에게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에서, 도 17a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메인 섀시 부분(3804), 및 일반적으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측면 섀시 부분(3806)을 포함하는 섀시(3802)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3802)는 메인 섀시 부분(3804)과 각 측면 섀시 부분(3806) 사이에 개구(3808)(즉, 섀시 기류 포트)를 포함한다. 섀시(3802)에는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이 제공된다.
도 1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3822)을 갖는 디스플레이 유닛(3820)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것으로 도시된다. 공기는 개구(3808)를 통해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3822)과 안면 맞물림 부분(3810) 사이에서 흐를 수 있다.
예에서, 메인 섀시 부분(3804)과 각 측면 섀시 부분(3806) 사이에 보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3802)는 메인 섀시 부분(3804)과 측면 섀시 부분(3806) 사이에 걸쳐 있는 하나 이상의 보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d 및 도 17e는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과 사용자 사이의 공간으로의 기류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섀시(3802)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을 갖는 디스플레이 유닛(382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섀시(3802)는 디스플레이 유닛(3820)의 장착 플레이트(3824)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장착 플레이트(3284)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구성을 갖고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측면 섀시 부분(3806)은 장착 플레이트(3824)로부터 사용자의 머리 측면을 향해 일반적으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된다.
섀시(3802)에는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이 제공된다. 일 예에서,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은 엘라스토머와 같은 가요성 및 탄성 재료로 구성되는 도 15a 내지 도 15e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단일 구조일 수 있는 반면, 섀시는 더 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에서,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은 단일 구성요소를 제공하기 위해 섀시(3802)와 통합될 수 있다. 안면 맞물림 부분(3810) 및 섀시(3802)를 포함하는 단일 구성요소는 장착 플레이트(3284)와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3820)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앤드-루프 체결 수단, 자성 체결 수단, 및 마찰, 간섭, 스냅 또는 다른 기계적 고정 배열을 허용하는 클립 또는 리테이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해제 가능한 체결 배열이 제공될 수 있다.
섀시(3802)는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3806)에 측면 개구(3808)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3820)의 하우징과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 사이의 하나 이상의 갭은 공기가 측면 개구(3808)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흐르는 것을 허용한다(도 17d 및 도 17e에서 파선 화살표로 디스플레이된 바와 같음).
예에서, 하나 이상의 상위 개구는 섀시(3802)에 제공되어 외부 환경과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 내의 공간 사이의 기류를 허용할 수 있다. 예에서, 하나 이상의 하위 개구는 섀시(3802)에 제공되어 외부 환경과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 내의 공간 사이의 기류를 허용할 수 있다. 예에서, 섀시(3802)는 측면 개구(3808), 상위 개구 및 하위 개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5.10 내향으로 바이어싱된 인터페이싱 구조물
도 18a는 본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을 도시한다.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과 유사하게,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메인 섀시 부분(3804), 및 일반적으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측면 섀시 부분(3806)을 포함하는 섀시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3806)은 메인 섀시 부분(3804)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일반적으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된다.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은 섀시(3804)의 주변에서 연결된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을 추가로 포함하고,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3806)은 사용자의 접형골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각 측면에서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도록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을 바이어싱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 쪽으로 내측으로 바이어싱된다. 즉, 측면 섀시 부분(3806)은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이 눈의 측면(예를 들어, 사용자의 접형골에서 또는 이에 근접한)의 사용자의 머리의 측면 대면 표면과 맞물리도록 내측으로 바이어싱된다.
섀시(3802)는 가요성(예를 들어, 전체로서 또는 특정 가요성 부분을 가짐)일 수 있어 측면 섀시 부분(3806)이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펼쳐지는 구성으로 측방향으로 펼쳐지고 사용 시 펼쳐지지 않은 구성을 향해 내측으로 바이어싱될 수 있다. 측면 섀시 부분(3806)은 메인 섀시 부분(3804)에 대해 구부러지거나 피봇되도록 가요성일 수 있어 측면 섀시 부분(3806)이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펼쳐진 구성으로 측방향으로 펼쳐지고 사용 시 펼쳐지지 않은 구성을 향해 내측으로 바이어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측면 섀시 부분(3806)은 메인 섀시 부분(3804)에 대해 구부리거나 피봇할 수 있어 측면 섀시 부분(3806)이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펼쳐진 구성으로 측방향으로 펼쳐지고 사용 시 펼쳐지지 않은 구성을 향해 내측으로 바이어싱될 수 있고,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3806)은 바이어싱 구성요소에 의해 내측으로 바이어싱된다.
바이어싱 구성요소는 각 측면 섀시 부분(3806)을 내측으로 당기도록 구성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바이어싱 구성요소는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3806)을 내측으로 밀도록 구성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은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부분과 관련하여 본원에 설명된 구성들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은 안면 맞물림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맞물림 플랜지는 섀시(3804)로부터 내향으로 만곡할 수 있다. 안면 맞물림 플랜지는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일부 예에서, 섀시(3802)는 메인 섀시 부분(3804)과 각 측면 섀시 부분(3806)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3808)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고, 공기 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3808)를 통해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과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사이에 제공된다.
5.11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연결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본 기술의 일부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에 연결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스트랩)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스트랩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대신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에 연결됨).
도 18b 및 도 18c는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연결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위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1350) 및 후방 지지부(1350)에 연결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스트랩 부분(1332, 1334)을 포함한다. 도 18d는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이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에 연결되는 예를 도시한다.
5.12 측면을 내향으로 당기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
도 18b 내지 도 18c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을 제외하고 도시되지 않음)을 도시한다. 각 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메인 섀시 부분(3804), 및 메인 섀시 부분(3804)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일반적으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섀시 부분(3806)을 포함하는 섀시(3802)를 포함한다.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은 섀시(3802)의 주변에 연결되고, 안면 맞물림 구조물(3810)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각각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1350), 및 사용 시 후방 지지부(135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18b 및 도 18c에 도시된 예에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한 쌍의 상부 측면 스트랩 부분(1332) 및 한 쌍의 하부 측면 스트랩 부분(1334)을 포함한다. 도 18d에 도시된 예에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사용자의 머리의 각 측면에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포함한다.
각각의 예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 시 측면 섀시 부분(3806)이 측면 스트랩 부분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 쪽으로 내측으로 압박되어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이 사용자 접형골에 또는 이에 근접하여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에서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게 하도록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측면 섀시 부분(3806) 각각 하나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각 측면 섀시 부분(3806)을 후방으로 당겨 측면 섀시 부분(3806)이 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피봇하도록 하여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이 사용자의 접형골에서 또는 이에 근접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도록 압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3806)을 내측으로 밀어서 측면 섀시 부분(3806)이 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피봇하도록 하여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이 사용자의 접형골에서 또는 근접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도록 압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실질적으로 강성 부재(예를 들어, 아암) 또는 측면 스트랩 부분과 접촉하는 측면 섀시 부분(3806)의 일부를 통해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3806)을 내측으로 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지지부(1350)는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1310) 및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후방 지지부(1350)는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는 상부 부분과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놓이는 하부 부분을 갖는 루프 스트랩 부분을 포함한다.
도 18b 및 도 18c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각각 후방 지지부(135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상부 측면 스트랩 부분(1332)(그의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만 볼 수 있음)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각각 후방 지지부(135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하부 측면 스트랩 부분(1334)(그의 인터페이싱 구조물(3800)만 보임)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상부 측면 스트랩 부분(1332)은 각각 상위 및 후방 구성요소를 모두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힘을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하부 측면 스트랩 부분(1334)은 각각 자성 연결로 각각의 측면 섀시 부분(3806)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5.13 2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섀시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지지부 및/또는 안면 맞물림 부분, 또는 그 부분 중 하나 이상은 섀시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 및/또는 안면 맞물림 부분을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능력이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세척, 이의 구성요소의 교체, 및/또는 구성요소의 특성의 선택(예를 들어, 경도 또는 부드러움의 레벨, 표면 마감 또는 재료, 형상 및/또는 크기) 중 하나 이상을 도울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일 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부분은 섀시에 대한 개별 위치에 제공될 수 있고, 즉 섀시의 전체 주변부를 따라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부분(들)은: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이마 영역, 및/또는 하나 이상의 뺨 영역 중 하나 이상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부분은 섀시의 전체 주변, 또는 적어도 이의 상당한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부분은: 폼 재료, 엘라스토머 재료, 직물 재료, 또는 복합재 재료 중 하나 이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안면 맞물림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폼 부분은 엘라스토머 부분이 안면 맞물림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폼 부분을 커버하도록 인터페이싱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폼 부분은 섀시, 엘라스토머 부분, 또는 섀시 및 엘라스토머 부분 둘 모두에 부착될 수 있다.
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지지부 및/또는 안면 맞물림 부분의 일부는 선택된 위치에서 섀시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일체형으로 성형). 제거 가능한 부분이 섀시에 대해 위치설정되고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5.14 폼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보다 강성인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안면 맞물림 부분은 제1 폼 부분을 포함하고 지지부는 제2 폼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4a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싱 구조물(6500)은 제1 폼으로 제조된 지지부(6502)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에 안면 맞물림 부분(6504)이 제공될 수 있으며, 안면 맞물림 부분(6504)은 제2 폼으로 제조된다. 제1 폼은 제2 폼보다 더 큰 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지지부(6502)은 사용자에게 편안한 접촉 지점을 제공하는 더 부드러운 안면 맞물림 부분(6504)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예에서, 제1 폼 및 제2 폼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밀도는 다를 수 있다. 예에서, 제1 폼은 제1 밀도를 가질 수 있고, 제2 폼은 제1 밀도보다 낮은 제2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에서, 폼은 점탄성 폼 또는 폴리우레탄 폼일 수 있다.
예에서 안면 맞물림 부분(6504)은 생 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4b에 의해 예시된 예에서, 안면 맞물림 부분(6504)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부드러운 접촉 지점을 제공하기 위해 직물-폼 복합재(예를 들어, 직물 외부 층(6506)를 갖는 폼 코어) 또는 뭉친 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도 4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6502)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6510), 및 제1 지지부(6510)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65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6510)은 사용자의 안면을 가로질러 일반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반면, 제2 지지부(6512)은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일반적으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단일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 및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 및 안면 맞물림 부분은 폼 재료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도 45a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싱 구조물(6600)은 만곡된 안면 맞물림 부분(6604)이 연장되는 지지부(66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지지부(6602)와 안면 맞물림 부분(6604) 사이의 리커브 전환부는 일반적으로 후크 형상의 단면을 생성한다.
예에서, 지지부(6602) 및 안면 맞물림 부분(6604)의 일체형 형태는 열성형될 수 있다.
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6600)은 생 폼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예를 들면. 도 45b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싱 구조물(6600)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부드러운 접촉 지점을 제공하기 위해 직물-폼 복합재(예를 들어, 직물 외부 층(6606)이 있는 폼 코어) 또는 뭉친 폼을 포함할 수 있다.
5.15 적어도 하나의 폐루프 부분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가요성 및 탄성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안면 맞물림 부분은 만곡된 단면을 갖고, 안면 맞물림 부분은 폐쇄된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폐루프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59a 및 도 50b를 참조하면, 안면 맞물림 부분(3810)는 사용 시 사용자의 코의 양쪽에 제공되는 뺨 부분(3840)을 포함한다. 뺨 부분(3842)은 섀시(3802)에 연결된 전방 부분(3844)을 갖는 베이스 부분(3842)을 포함하며, 섀시(3802)는 사용자 접촉 표면을 제공하는 후방 부분(3846)으로 만곡한다.
뺨 부분(3840)은 루프 부분(3850)을 더 포함한다. 이 예에서, 루프 부분(3850)은 베이스 부분(3842)의 전방 부분(3846)에 고정되는 전방 루프 부분(3852)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루프 부분(3850)은 전방 루프 부분(3852)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치형 부분(3854)을 더 포함한다. 루프 부분(3850)은 아치형 부분(3854)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루프 플랜지(3856)를 더 포함한다. 아치형 부분(3854)의 단면은 아치형 부분(3854)과 루프 플랜지(3856) 사이에서 점점 가늘어집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루프 플랜지(3856)는 베이스 부분(3842) 내로 삽입되고, 전방 부분(3846)의 전방 대향 표면(3848)에 고정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루프 플랜지(3856)는 폐쇄 루프를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 부분(3842)과 중첩된다.
예시된 예에서 베이스 부분(3842)과 루프 부분(3842)은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되고 전방 루프 부분(3852)을 통해 함께 고정된다. 대안적인 예에서 전방 루프 부분(3852)은 베이스 부분(384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즉, 루프 부분(3850)은 베이스 부분(3842)으로부터 연장될 것이다).
5.16 차광 코 부분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싱 구조물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안면 맞물림 부분은 안면 맞물림 부분의 뺨 부분 사이에 걸쳐 있는 차광 코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59a, 도 59c, 및 도 59d를 참조하면,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은 뺨 부분(3840) 사이에 걸쳐 있는 코 부분(3880)을 포함한다. 코 부분(3880)은 사용 시 사용자 코의 앞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의 앞부분(3882)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코의 앞부분(3882)은 콧방울 부분(3884)에 의해 루프 부분(3850)에 연결된다.
코 부분(3880)은 코 부분(3882)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브리지 부분(3886)을 포함한다. 중앙 슬롯(3888)은 코 부분(3880)의 후방 에지로부터 코의 앞부분(3882)을 향해 콧방울 능선 부분(3886) 사이에서 연장된다. 외부 슬롯(3890)은 콧방울 능선 부분(3886)과 루프 부분(3850) 사이에 제공되어 콧방울 부분(3884)으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콧방울 능선 부분(3886)은 플랩과 같은 역할을 하고 사용 시 사용자의 콧방울 능선 측면에 놓이다. 콧방울 능선 부분(3886)을 들어올리는 것은 사용자에게 놓일 때 콧방울 능선 부분의 중첩을 촉진하여 차광 효과를 촉진한다.
5.17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인터페이싱 구조물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안면 맞물림 부분, 및 안면 맞물림 부분에 연결된 섀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섀시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유닛의 섀시 장착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예를 들어, 도 59e 내지 도 59h를 참조하면, 섀시(8000)는 이마 부분(8002), 뺨 부분(8004), 이마 부분(8002)과 뺨 부분(8004)을 연결하는 측면 부분, 전방 방향으로 뺨 부분(8004) 사이를 걸치는 코 부분(8008)을 갖는 본체(8001)를 포함한다. 섀시(8000)의 각각의 측면 부분(8006)은 섀시 캐치 부분(8010)을 포함한다.
도 59e를 참조하면, 이 예에서 섀시 캐치 부분(8010)의 캐치 플랜지(8022)는 연결된 상-하 방향으로 이마 부분(8002)과 뺨 부분(8004) 사이의 거리를 실질적으로 연장한다. 대안적인 예에서, 도 5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 플랜지(8022)는 (슬롯(8009)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 스팬의 일부만 연장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은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체형 섀시 장착 부분(8200)을 갖는 장착 플레이트(8100)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예에서, 섀시 장착 부분(8200)은 장착 플레이트(8100)에 고정된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섀시 장착 부분(8200)은 섀시(8000)를 섀시 장착 부분(820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 섀시 캐치 부분(8010)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장착 캐치 부분(8210)을 포함한다.
도 5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8001)의 본체(8001)는 "U" 채널 단면을 갖는다. 섀시 장착 부분(8200)은 "L" 채널(8202) 형태의 섀시 수용 부분을 포함한다. 사용 시, 본체(8001)는 채널(8202)에 삽입된다.
섀시 캐치 부분(8010)은 캐치 돌기(8014)를 포함한다. 캐치 아암은 본체(8001)로부터 캐치 돌기(8014)까지 연장된다. 캐치 돌기(8014)는 후방 대향 캐치 표면(8016)을 포함한다. 후방 대향 캐치 표면(8016)은 반경 방향 외측 전방 방향(참조 번호 8018로 표시됨)으로 각을 이룬다. 캐치 돌기(8014)는 후방 대향 캐치 표면(8016)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 전방 방향으로 각을 이루는 전방 대향 가이드 표면(8020)을 더 포함한다. 캐치 플랜지(8022)는 캐치 돌기(8010)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다.
장착 캐치 부분(8210)은 반경 방향 내측 전방 방향으로 각을 이루는 전방 대향 캐치 표면(8216)을 포함한다. 장착 캐치 부분(8210)은 후방 대향 가이드 표면(8220), 및 후방 대향 가이드 표면(8220)과 전방 대향 캐치 표면(8216) 사이의 전환부 표면(8222)을 더 포함한다. 전환부 표면(8222)은 캐치 에지(8222)를 제공하는 그들 사이의 예각과 함께 전방 대향 캐치 표면(8216)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 후방 방향으로 각을 이룬다.
사용시, 섀시(8000)는 전방 방향으로 섀시 장착 부분(8200)에 삽입되며, 전방 대향 가이드 표면(8020)은 후방 대향 가이드 표면(8220)에 대해 지지되고 캐치 돌기(8014)가 전환부 표면(8222)을 통과할 때까지 캐치 돌기(8014)가 장착 캐치 부분(8210) 위로 올라간다.
섀시(8000)가 섀시 장착 부분(8200)에 완전히 삽입될 때 후방-전방 방향으로 후방 대향 캐치 표면(8016)과 전방 대향 캐치 표면(8216) 사이에 갭(8030)이 제공된다. 전방 대향 캐치 표면(8216)(보다 구체적으로 캐치 에지(8222))은 섀시(8000)의 우발적인 해제에 저항하기 위해 후방 대향 캐치 표면(8016)에 대해 작용한다.
사용자가 섀시(8000)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캐치 플랜지(8022)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힘이 가해지고 섀시(8000)가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다. 캐치 플랜지에 가해진 힘과 함께 후방 대향 캐치 표면(8016)의 각도(8018)는 캐치 돌기(8014)가 캐치 에지(8222) 위로 타고 섀시(8000)를 해제하도록 조장한다.
도 60a 내지 도 60g는 섀시를 고정하는 대안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섀시(8000)는 측면 커넥터 부분(8050) 및 이마 커넥터 부분(8070)을 포함한다. 섀시(8000)의 부분은 외부 웹(8042)이 연장되는 본체 채널(8040)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섀시(8000)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고정된다. 측면 커넥터 부분(805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에지가 수용되는 수용 슬롯(8052)을 포함하고, 스탠드오프 부재(8054)는 섀시(8000)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사이에 원하는 간격을 유지한다. 측면 커넥터 부분(8050)의 외부 플랜지(8056)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호환 가능한 특징부(미도시)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특징부(8058)를 포함한다.
이마 커넥터 부분(8070)은 탭 수용 부분(8084)을 갖는 로케이터 본체 부재(8082)를 갖는 이마 로케이터(8080)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탭 수용 부분(8084)은 수용 슬롯(8086) 및 하부 슬롯 부재(8088)를 포함한다. 이마 커넥터 부분(8070)은 탭 위치 지정 특징부(8074)를 갖는 탭(8072)을 포함한다. 사용시, 탭(8072)은 수용 슬롯(8086) 내로 삽입되고, 하부 슬롯 부재(8088)는 우발적인 철회에 저항하기 위해 탭 위치 지정 특징부(8074)에 대해 작용한다.
이 예에서, 이마 로케이터(8080)는 아일릿(3812)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은 아일릿 슬롯(8090)을 포함한다. 이마 로케이터(8080)는 아일렛 슬롯(8090)을 통한 아일렛(3812)의 삽입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대해 위치되며, 섀시(8000)는 탭(8072)을 수용 슬롯(8086)에 삽입함으로써 고정된다.
5.18 구불구불한 경로를 통한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환기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구불구불한 기류 경로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내부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구불구불한 기류 경로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외부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내부 사이를 통과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내부의 공간으로 그리고 그로부터의 기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1a 내지 도 61g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과 섀시 장착 부분(8200) 사이에 후방 대향 측면 갭(8300)(즉, 섀시 장착 포트)이 제공될 수 있다. 섀시 장착 부분(8200)은 섀시 장착 부분(8200)과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사이의 공간으로 개방된 반경 방향 대향 공기 포트(8210)를 포함한다. 이것은 측면 갭(8300)과 섀시 장착 부분(8200)의 내부 사이에 구불구불한 공기 흐름 경로, 즉, 공기는 흐를 수 있지만, 광은 직접 통과하는 것이 방지되는 순환 경로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차광 특징은 뺨 부분에서 섀시(8000)와 중첩되도록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차광 플랜지(8202) 및 하부 차광 플랜지(8204)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대안적 또는 추가적 기류 경로가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도 61e 및 도 61f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과 섀시 장착 부분(8200) 사이의 이마 영역(8304)에 이마 갭(8302)이 제공될 수 있다. 섀시 장착 부분(8200)의 이마 공기 포트(8212)는 이 경로를 따라(및/또는 측면 갭(8300)을 통한) 기류를 촉진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형태에서, 도 6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은 전방 페이싱 부분에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공기 포트(8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1g에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공기 포트(8220)는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의 상부 부분, 즉 사용 시 사용자의 이마에 근접한 부분에 제공된다. 공기는 인터페이스 공기 포트(8220) 및 이마 갭(8302)을 통해 흐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인터페이스 공기 포트(8220) 위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됨)는 광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구불구불한 경로를 생성한다.
예에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공기 포트(8220)는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의 하나 이상의 하부 부분, 즉 사용 시 사용자의 뺨에 근접한 뺨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예에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공기 포트(8220)는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의 하나 이상의 하부 부분 및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의 상부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예에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공기 포트(8220)는 안면 맞물림 부분(38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부분, 즉 사용 시 사용자의 접형골 영역에 근접한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공기 포트(8220)는 상부 부분 및/또는 하부 부분의 인터페이스 공기 포트(8220)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측면 부분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5.19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추가 예
5.19.1 배터리 팩이 없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도 63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과 동일한 특징을 많이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사용자의 머리 뒤쪽에 배터리 팩(1500)이 위치하지 않는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과 후두 스트랩 부분(1320) 사이에 연결된 상단 스트랩(1340)을 포함한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그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환자의 머리와 접촉하는 사용자 지향 층(1344), 실질적으로 비연장성 또는 강성 층(1343) 및 외부 층(1341)을 포함한다. 이들 층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이 예에서 외부 층(1341)은 사용 시 사용자의 두정골 위의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에 연결된다. 외부 층(1341)은 버클(1312)에 근접한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1343)에 연결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길이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 상의 러그 주위 또는 아일릿을 통해 외부 층(1341)의 다소간을 당겨서 조정될 수 있다.
5.19.2 긴 헤어를 견딜 수 있도록 특별히 구성될 수 있는 추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도 64a는 사용자의 머리 뒤쪽에 위치한 배터리 팩(1500)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한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두정 스트랩 부분(1310), 후두 스트랩 부분(1320), 측면 스트랩 부분(1330) 및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포함하며, 이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및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된다. 배터리 팩(1500)은 이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 및/또는 두정 스트랩 부분(1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와 비교하여 이 예의 차이점은 배터리 팩(1500)이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직접적으로 또는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일부에 의해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배터리 팩(1500)과 후두부 스트랩 부분 사이에 사용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과 교차하는 개구부가 존재한다. 일부 예에서 이 개구부는 사용자의 헤어(예를 들어, 긴 헤어)가 예를 들어 포니테일로 통과되도록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모아서 위로 묶이도록 구성(예를 들어, 모양 및 크기)될 수 있다. 이것은 유리하게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이 후두부 영역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더 잘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유리하게는 사용자의 헤어에 대한 역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의 헤어가 지저분하게 보이게 하는 것, 예를 들어, 헝클어지거나 흐트러짐 등).
도 64b 및 64c는 도 64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를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하지만,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는 두 부분(1320a 및 1320b)에 형성된다. 두 부분(1320a 및 1320b)은 한 쌍의 연결 지점(1337)에서 서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 지점(1337)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두 부분(1320a, 1320b) 중 각각의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 지점(1337)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두 부분(1320a 및 1320b)이 서로 연결될 때 사용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위치하거나 이에 근접할 수 있다. 연결 지점(1337)은 프레스 스터드, 자기 클립, 후크-앤드-루프 파스너 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버클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부분(1320a 및 1320b)에 형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긴 헤어를 가진 사용자가 후두 스트랩 부분(1320) 위에 긴 헤어 또는 포니 테일을 끼우는 대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하는 것을 유리하게 더 쉽게 만들 수 있는데, 그들은 긴 헤어 아래(예를 들어, 긴 헤어와 목 사이)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두 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도 64d는 도 64b 및 도 64c에 도시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의 변형을 도시하는데, 연결 지점(1337)이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연결 지점(1337)은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했을 때 사용 시 후두 스트랩 부분의 두 부분이 서로 연결될 때 시상면의 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제1 부분(1320a)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제2 부분(1320b)보다 길 수 있어서, 제1 부분(1320a)은 사용시 사용자의 머리의 측방 후방 위치에서 제2 부분(1320b)에 연결된다. 이러한 배열은 사용 시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벗는 동안 사용자의 헤어를 걸릴 가능성이 더 적을 수 있다.
도 64e 및 64g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이 2개의 부분(1320a 및 1320b)에 형성되는 추가 변형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제공되거나 지지된다. 특히, 두 개의 배터리 팩(1500a 및 1500b)은 후두부 스트랩 부분(1320)의 각 부분(1320a 및 1320b)에 제공되거나 지지된다. 다른 예에서 하나의 배터리 팩(1500)만이 후두 스트랩 부분(1320) 또는 그 두 부분(1320a 및 1320b) 중 하나에 제공된다. 도 64e 및 도 64g에 도시된 예에서 배터리 팩(1500a 및 1500b)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2개의 부분(1320a 및 1320b)이 사용시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있다. 전원 케이블(1510)은 각 배터리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할 수 있고 후두 스트랩 부분(1320) 의 두 부분(1320a 및 1320b)과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나의 배터리 팩(1500a)은 다른 배터리 팩(150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 다음 두 배터리 팩(1500a 및 1500b) 모두를 단일 전원 케이블(1510)에 의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연결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 팩(150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배터리 팩(들)(1500)이 후두 스트랩 부분(1320)에 제공되더라도 여전히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배터리 팩(1500)은 두정 스트랩 부분(1310), 측면 스트랩 부분(1330) 및/또는 다른 스트랩 부분에 대신(또는 추가로) 제공된다. 배터리 팩(1500) 또는 배터리 팩을 후두 스트랩 부분에 제공하는 것의 장점은 이들이 사용자의 머리의 회전축에 더 가깝게 제공된다는 점이며, 배터리 팩(1500)이 회전축에서 더 멀리 제공하는 것보다 이는 파괴력에 대응하기 위해 더 낮은 안정화 힘이 필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의 머리를 빠르게 회전할 때). 추가적으로, 2개 이상의 배터리 팩(1500)은 동일한 배터리 셀의 총 중량에 대해 단일 배터리 팩(1500)에 비해 배터리 팩의 무게를 더 넓게 분산시킬 수 있다.
도 64f는 한 쌍의 배터리 팩(1500a, 1500b)이 후두부 스트랩 부분(1320)의 각 부분(1320a 및 1320b)에 제공되는 추가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a 및 1320b)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두 부분(1320a 및 1320b)에 의해 형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사용자의 머리의 시상면에 갭을 남긴다. 이것은 예를 들어 포니 테일과 같이 사용자의 헤어를 위한 약간의 공간을 유리하게 남길 수 있다.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부분(1320a 및 1320b)의 내측 단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고 각각 시상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두 부분(1320a 및 1320b) 사이의 간격은 20mm 내지 60mm 범위 내, 예를 들어 30mm 내지 50mm 범위 또는 40mm일 수 있다. 후두 스트랩 부분(1320), 예를 들어, 그 2개의 부분(1320a 및 1320b)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 뒤에 고정하기 위해 강성화될 수 있다.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배터리 팩(150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성화될 수 있다. 측면 스트랩 부분(1330) 및/또는 두정 스트랩 부분(1310)과 같은 다른 스트랩 부분도 이 예에서 강성화될 수 있다.
5.19.3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추가 조정 가능성
도 65a는 조정될 수 있는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를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추가 예를 도시한다. 두정 스트랩 부분(1310), 후두 스트랩 부분(1320), 측면 스트랩 부분(1330) 및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유효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상단 스트랩 부분(1340) 상의 복수의 위치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상단 스트랩 부분(1340) 상의 3개의 연결 지점(1337a, 1337b 및 1337c) 중 하나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 지점(1337)을 선택하여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유효 길이를 조정하여 좋은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각각의 연결 지점(1337)은 후크-앤드-루프 재료, 프레스 스터드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부착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초과 길이는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 내로 공급될 수 있거나,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의 상부 표면 위에 놓일 수 있거나, 또는 루프 백되어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외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의 선택적인 조정은 여기에 개시된 본 기술의 임의의 다른 예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65b는 다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적어도 일부는 한 쌍의 피봇 지점(1213)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다. 피봇 지점(1213)는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고, 각각 후두 스트랩 부분(1320), 측면 스트랩 부분(1330) 및 두정 스트랩 부분(1310) 사이의 접합부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피봇 지점(1213)은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일부만이 피봇 지점(1213)에서 피봇하도록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강성화될 수 있고 피봇 지점(1213)를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피봇 가능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예를 들어 편안함과 안정성을 위해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이 최적의 위치에 놓이도록 유리하게 도울 수 있다.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선택적으로 피봇 가능(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조정 가능)할 수 있거나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착용할 때 안정적인 위치로 자연스럽게 피봇할 수 있다.
도 66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일부 조정 옵션을 요약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에 대해, 예를 들어 피봇 지점(1213)에 대해 피봇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1200)의 아암(1210)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대해 피봇할 수 있다.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의 길이는 또한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거나 장력 상태일 때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측면 스트랩 부분(1330)은 탄성일 수 있음). 일부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의 길이는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거나 탄성으로 인해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 도 66의 예에서 후두 스트랩 부분(1320)은 전두 지지부(1360)에 연결된다. 후두부 스트랩 부분(1320)와 전두 지지부(1360)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단 스트랩 부분(1340)은 길이가 선택적으로 조정가능하거나 탄성일 수 있다.
5.20 청소
일부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또는 적어도 그 일부는 단일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설계되었고, 소독 및 살균을 위한 특수 장비 없이도 사용자의 가정에서 세척, 예를 들어 비눗물로 세탁된다. 구체적으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과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둘 다 사용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청소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일부 다른 형태에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 및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의 구성요소는 단일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가 여러 사람에게 재사용되거나 의료 절차 동안 사용될 수 있는 연구실, 진료소 및 병원에서 사용된다. 각각의 연구실, 진료소 및 병원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또는 관련 구성요소는 재처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 소독, 화학 소독 및 멸균 프로세스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ISO17664에 따라 마스크의 소독 및 멸균을 위해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과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설계를 검증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재처리를 견딜 수 있는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레벨의 소독 용액에 대한 노출과 브러시를 사용한 교반을 견딜 수 있도록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에 견고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일부 구성요소는 분리 가능하고, 재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 시 연결 해제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할 수 있고 따라서 더러워질 수 있다(예를 들어, 땀으로 인해).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은 청소 및/또는 교체를 위해 제거하는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으로부터 제거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이 젖지 않게 하면서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1300)은 사용자의 머리와의 접촉으로 더러워질 수 있고, 인터페이싱 구조물(1100)와 독립적으로 청소 및/또는 교체를 위해 제거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러한 구성요소의 연결을 끊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커버(예를 들어, 직물, 실리콘 등으로 구성됨)는 인터페이싱 구조물 위에 제거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매번 사용 후에 세척 및/또는 교체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커버는 인터페이싱 구조물(3400)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1205)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허용할 수 있고, 여전히 사용 후 쉽게 청소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5.21 외부 컴퓨터
일부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예를 들어, VR, AR, 및/또는 MR)은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과 같은 별도의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별도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대한 적어도 일부 처리는 별도의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별도의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크고 및/또는 더 강력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별도의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머리로 편안하게 지지하기에 너무 무거울 수 있음).
6 용어 해설
본 기술 개시의 목적을 위해, 본 기술의 소정 형태에서, 다음 정의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본 기술의 다른 형태에서, 대안적인 정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기술의 다른 형태에서는 다른 정의가 적용될 수 있다.
6.1 총칭
주변: 본 기술의 특정 형태에서, 주변이라는 용어는 (i)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또는 사용자의 외부, 및 (ii)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또는 사용자를 바로 둘러싸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대한 주변광은 사용자를 바로 둘러싸고 있는 빛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와 같은 및/또는 인접한 방의 빛 및/또는 태양의 자연광이다.
특정 형태에서, 주변(예를 들어, 음향) 소음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생성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음이 아닌 사용자가 있는 방의 배경 소음 수준으로 간주될 수 있다. 주변 소음은 실내 외부의 소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유출: 단어 유출은 의도하지 않은 광에의 노출이라고 여겨질 것이다. 일 예에서, 유출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불완전한 밀봉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소음, 방사(음향): 본 문서에서 방사 소음은 주변 공기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소음을 의미한다. 일 형태에서, 방사 소음은 ISO 3744에 따라 해당 객체의 음력/압력 수준을 측정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사용자: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거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를 보는 사람. 예를 들어, 그 사람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착용, 쓰고 및/또는 벗고 있을 수 있다.
6.1.1 재료
실리콘 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합성 고무. 본원에서, 실리콘에 대한 언급은 액체 실리콘 고무(LSR) 또는 압축 성형 실리콘 고무(CMSR)에 대한 언급이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LSR의 하나의 형태는 Dow Corning에 의해 제조된 SILASTIC(이러한 상표로 판매되는 제품의 범위에 포함됨)이다. LSR의 다른 제조업체는 Wacker이다. 달리 반대로 명시되지 않는 한, LSR의 예시적인 형태는 ASTM D2240을 사용하여 측정된 약 35 내지 약 45 범위의 쇼어 A(또는 타입 A) 압입 경도를 갖는다.
폴리카보네이트: 비스페놀-A 카보네이트의 열가소성 폴리머. 6.1.2 기계적 성질
탄성: 탄성 변형될 때 에너지를 흡수하고 하중해제 시에 에너지를 방출하는 재료의 능력.
탄성적: 하중해제 시에 실질적으로 모든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 예를 들어, 특정 실리콘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 예를 들어, 특정 실리콘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경도: 변형에 저항하는 재료 자체의 능력(예를 들어, 표준화된 샘플 크기에서 측정된 압입 경도 스케일, 또는 영률에 의해 기술됨).
- 연질' 재료는 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손가락 압력 하에서 쉽게 변형될 수 있다.
- '경질'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강철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손가락 압력 하에서 쉽게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의 스티프니스(또는 강성): 적용된 하중에 반응하여 변형에 저항하는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의 능력. 하중은 힘 또는 모멘트, 예를 들어 압축, 인장, 굽힘 또는 열률일 수 있다.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는 상이한 방향으로 상이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강성의 반대는 유연성이다.
연성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 자신의 중량을 지지하게 될 때, 비교적 짧은 기간, 예컨대 1 초 내에 형상이 변하는, 예를 들어 구부러지는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
강성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 전형적으로 사용 시에 마주치는 하중을 받을 때 형상이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 그러한 사용의 예는 밀봉 관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I-빔은 제2 직교 방향과 비교하여 제1 방향으로의 상이한 굽힘 강도(bending stiffness)(굽힘 하중에 대한 저항)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는 제1 방향으로 연성이고 제2 방향으로 강성일 수 있다.
6.2 재료
폐쇄-셀 폼: 완전히 캡슐화된 셀, 즉 폐쇄 셀로 구성된 폼.
엘라스테인: 폴리우레탄으로 만든 폴리머.
엘라스토머: 탄성 특성을 나타내는 폴리머. 예를 들어, 실리콘 엘라스토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섬유: 폭보다 훨씬 긴 필라멘트(모노 또는 폴리), 가닥, 실, 또는 꼬기. 섬유는 양모나 실크와 같은 동물성 소재, 린넨, 면과 같은 식물성 소재, 폴리에스터, 레이온과 같은 합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는 특히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의 다른 섬유와 (예를 들어, 네트워크로) 짜이고/이거나 인터레이스될 수 있는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폼: 예를 들어, 가벼운 셀룰러 형태를 생산하기 위해 제조 동안 도입된 기포를 갖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임의의 재료.
네오프렌:클로로프렌을 중합하여 생산된 합성고무. 네오프렌은 무역 제품에 사용된다: Breath-O-Prene.
나일론: 예를 들어 직물에 사용되는 섬유/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탄성 특성을 가진 합성 폴리아미드.
개방-셀 폼: 셀을 포함하는 폼, 즉 완전히 캡슐화되지 않은 기포, 즉 개방 셀.
폴리카보네이트: 전형적으로는 비스페놀-A 카보네이트의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
폴리에틸렌: 화학물과 습기에 강한 열가소성 수지.
폴리우레탄(PU): 이소시아네이트와 다가 알코올을 공중합하여 만들어지고, 예를 들어 폼(폴리우레탄 폼) 및 고무(폴리우레탄 고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
반-개방 폼: 폐쇄 및 개방(캡슐화된) 셀의 조합으로 구성된 폼.
실리콘 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합성 고무. 본원에서, 실리콘에 대한 언급은 액체 실리콘 고무(LSR) 또는 압축 성형 실리콘 고무(CMSR)에 대한 언급이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LSR의 하나의 형태는 Dow Corning에 의해 제조된 SILASTIC(이러한 상표로 판매되는 제품의 범위에 포함됨)이다. LSR의 다른 제조업체는 Wacker이다. 달리 반대로 명시되지 않는 한, LSR의 예시적인 형태는 ASTM D2240을 사용하여 측정된 약 35 내지 약 45 범위의 쇼어 A(또는 타입 A) 압입 경도를 갖는다.
스페이서 패브릭: 모노필라멘트의 중간 층에 의해 함께 결합되고 분리된 2개의 외부 직물 기재로 구성된 복합 구조.
스판덱스: 주로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탄성 섬유 또는 패브릭. 스판덱스는 무역 제품에 사용됨: Lycra.
직물:
적어도 하나의 천연 또는 인공 섬유를 포함하는 재료. 본 명세서에서, 직물은 짜인 직물 및/또는 인터레이스 섬유의 네트워크로 형성되는 임의의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직물의 유형에는 특정 기술을 사용하여 섬유를 엮어 만든 섬유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는 직조, 뜨개질, 코바늘 뜨개질, 매듭, 태팅, 터프팅 또는 땋기가 포함된다. 천은 섬유와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가공된 섬유 조각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직물은 결합(화학, 기계적, 열 등), 펠팅 또는 기타 부직포 공정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 중 하나를 통해 생성된 직물은 섬유와 유사하며 본 출원의 목적상 섬유와 동의어로 간주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일반적으로 응력이 해제될 때 대략적인 원래 길이로 돌아갈 수 있는 능력과 함께 실온에서 신축될 수 있는 낮은 계수의 유연한 재료임. TPE를 사용하는 무역 제품은 Hytrel, Dynaflex, Medalist를 포함함.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높은 내구성과 유연성을 가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6.3 기계적 성질
탄성: 탄성 변형될 때 에너지를 흡수하고 하중해제 시에 에너지를 방출하는 재료의 능력.
탄성적: 하중해제 시에 실질적으로 모든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 예를 들어, 특정 실리콘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
경도: 변형에 저항하는 재료 자체의 능력(예를 들어, 표준화된 샘플 크기에서 측정된 압입 경도 스케일, 또는 영률에 의해 기술됨).
- '연질' 재료는 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손가락 압력 하에서 쉽게 변형될 수 있다.
- '경질'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강철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손가락 압력 하에서 쉽게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의 스티프니스(또는 강성): 적용된 하중에 반응하여 변형에 저항하는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의 능력. 하중은 힘 또는 모멘트, 예를 들어 압축, 인장, 굽힘 또는 열률일 수 있다.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는 상이한 방향으로 상이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연성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 자신의 중량을 지지하게 될 때, 비교적 짧은 기간, 예컨대 1 초 내에 형상이 변하는, 예를 들어 구부러지는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
강성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 전형적으로 사용 시에 마주치는 하중을 받을 때 형상이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
- 일 예로서, I-빔은 제2 직교 방향과 비교하여 제1 방향으로의 상이한 굽힘 강도(bending stiffness)(굽힘 하중에 대한 저항)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는 제1 방향으로 연성이고 제2 방향으로 강성일 수 있다.
6.4 해부학적 구조
다음 정의는 도 1 및 도 2에서 식별된 참조들에 대응한다.
6.4.1 안면의 해부학적 구조
콧방울: 외측 외부 벽 또는 각각의 콧구멍의 "날개"(복수형: alar)
아라레(Alare): 코의 콧방울 상의 가장 외측의 지점.
콧방울 곡률(또는 콧방울 능선) 지점: 콧방울과 뺨의 합체에 의해서 형성된 주름에서 발견되는, 각각의 콧방울의 곡선형 기준선 내의 가장 후방의 지점.
귓바퀴: 귀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전체 부분.
(코) 골격: 코의 골격은 코골, 상악골의 전두돌기, 전두골의 코 부분으로 구성된다.
콧방울 능선(코): 비융선은 코뿌리점으로부터 비첨점까지 연장되는, 코의 중심선 돌기부이다.
(코)연골 골격: 코의 연골 골격은 비중격연골, 외측 연골, 대연골 및 소연골을 포함한다.
구각: 입의 코너에 위치하는 지점.
비주: 콧구멍을 분리하고 코의 앞부분에서 윗입술까지 이어지는 피부 스트립.
비주 각도: 콧구멍의 중간점을 통해 그린 선과 비강하부를 교차하는 동안 프랑크포트 수평면에 수직으로 그린 선 사이의 각도.
안쪽눈구석점: 코뿌리점에 근접한 상부 및 하부 눈꺼풀이 만나는 지점.
두개근: 두개근, 또는 전두근은 두개골을 커버하는 구조를 지칭한다.
외후두 융기: 후두골의 외부 표면 상의 융기.
프랑크포트 수평면: 안와연(orbital margin)의 최상위점으로부터 좌측 이주점(tragion)까지 연장되는 선. 이주점은 귓바퀴의 이주(tragus)보다 상위에 있는 노치에서 가장 깊은 지점이다.
미간: 연성 조직에 위치하는, 이마의 중간 시상면 내의 가장 두드러진 지점.
동공간 거리: 눈의 동공 중심 사이의 거리.
외측 비연골: 대체로 삼각형의 연골판. 그것의 상연은 비골 및 상악의 전두 돌기에 부착되고, 그것의 하연은 큰 콧방울 연골과 연결된다.
아랫입술 (labrale inferius): 중앙 시상면에 있는 입과 상피질 사이의 안면에 있는 한 점.
윗입술(labrale superius): 중간 시상면에 놓이는 입과 코 사이의 안면 지점.
대배각연골: 외측비연골 아래에 있는 연골판. 그것은 콧구멍의 앞쪽 부분을 중심으로 구부러져 있다. 그것의 후단은 배각의 3개 또는 4개의 작은 연골을 포함하는 거친 직물질 막에 의해 상악의 정면 돌기에 연결된다.
코(콧구멍): 비강 입구를 형성하는 대략 타원형 구멍. 콧구멍의 단수형은 naris(콧구멍)이다. 콧구멍은 비중격에 의해 분리된다.
비순구 또는 비순 주름(Naso-labial) 접힘부: 뺌을 윗입술로부터 분리하는, 코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입의 코너까지 연장되는 피부 접힘부 또는 홈.
비순 각도: 비하점과 교차하는, 비주와 윗입술 사이의 각도.
하이저점: 안면의 피부에 대한 귓바퀴의 부착부의 가장 낮은 지점.
상이저점: 안면의 피부에 대한 귓바퀴의 부착부의 가장 높은 지점.
비첨점: 머리 부분의 나머지의 측면도에서 식별될 수 있는, 코의 가장 돌출된 지점 또는 선단부.
인중: 비중격의 아래쪽 경계에서 윗입술 영역의 윗입술까지 이어지는 정중선 홈.
하악점: 턱의 가장 앞쪽 중간 지점인 연조직에 위치한다.
콧방울 (코): 코의 콧방울은 코뿌리점으로부터 코의 앞부분까지 연장되는, 코의 중심선 돌기부이다.
시상면: 전방(앞쪽)으로부터 후방(뒤쪽)까지 통과하는 수직 평면. 중간 시상면은 몸을 우측과 좌측 절반으로 나누는 시상면이다.
코뿌리점: 전두비골 봉합 지역에 중첩되는 가장 오목한 지점.
비중격연골 (코): 비중격 연골은 비중격의 일부를 형성하고 비강의 앞부분을 나눈다.
버금날개판: 윗입술(상부)의 피부와 아랫입술 기저부가 연결되는 윗입술 기저부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있는 지점.
비하점: 연성 조직에 위치하는, 비주가 중간 시상면에서 윗입술과 만나는 지점.
상피질: 아랫입술의 정중선에서 아랫입술과 연조직 하악점 사이의 가장 큰 오목한 지점.
눈썹활: 눈 위의 전두골의 돌기.
측두근: 아래턱을 올리는 역할을 하는 측두와에 있는 근육.
측두하악 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측두골과 하악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관절로 하악의 개방, 폐쇄, 돌출, 신축 및 측면 운동을 허용함.
홍순(Vermillion), 상부: 입술의 적색 부분은 중층 편평 상피로 덮여 있으며 이는 치은골 홈의 구강 점막과 연결되어 있음.
6.4.2 두개골의 해부학적 구조
전두골: 전두골은 이마로 알려진 영역에 해당하는 큰 수직 부분인 전두비늘(squama frontalis)을 포함한다.
외측 연골: 비골 하위에 있고 비중격연골의 외측 연골 부분.
하악: 하악은 아래턱을 형성한다. 이융기는 턱을 형성하는 턱뼈 융기이다.
소교근(masseter minor): 아래턱을 올리는 교근의 하부 부분.
상악: 상악은 위턱을 형성하고 하악 위 및 안와 아래에 위치한다. 상악의 전두 돌기는 코의 측면에 의해 상향으로 돌출되고, 그 외측 경계의 일부를 형성한다.
비골: 비골은 2개의 작은 장방형 뼈로서, 개인마다 크기 및 형태가 다양하다: 비골은 안면의 중앙 및 상부 부분에 나란히 배치되고, 결합하여 코의 "콧방울 능선"을 형성한다.
비근점(Nasion): 전두골과 2개의 비골의 교차점으로서, 눈 사이에 바로 있고 콧방울 능선보다 상위에 있는 리세스 영역.
후두골: 후두골은 두개골의 후방 하부 부분에 위치한다. 그것은 두개강이 척추관과 연통하는 타원형 개구인 대후두공(foramen magnum)을 포함한다. 대후두공 뒤의 곡면판이 후두비늘(squama occipitalis)이다.
안와: 안구를 포함하는 두개골의 골강(bony cavity).
두정골: 두정골은 함께 결합될 때 두개골의 상벽(roof) 및 측면을 형성하는 뼈이다.
비중격연골: 비중격(nasal septum)의 연골
접형골: 두개골 바닥의 쐐기 형상 뼈.
안와상공골: 안와상 신경, 동맥 및 정맥이 통과하기 위한 안와 아래 뼈의 개구.
측두골: 측두골은 두개골의 저부 및 측면에 위치하고, 관자놀이로 알려진 안면의 해당 부분을 지지한다.
소승모근: 등 상부의 삼각형 모양의 표면 근육.
광대골: 안면은 안면의 상부 외측 부분에 위치하고 뺨의 융기를 형성하는 2개의 관골을 포함한다.
6.5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 프레임은 헤드기어 및/또는 후프와의 2개 이상의 연결 지점들 사이의 인장 하중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하우징 유닛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프레임은 빛의 유입 및/또는 유출을 제한 및/또는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을 밀봉할 수 있다.
기능적인 공란: (설명이 여기에 삽입됨)
테두리: 후프: 후프는 머리에 사용하도록 설계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예를 들어, 후프는 사용자의 안면 앞의 작동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 상의 제 위치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트럿, 타이 및 보강재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타이는 폼과 패브릭/직물의 적층된 복합재와 같은 연질의 가요성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일부 형태에서, 헤드기어라는 용어는 후프라는 용어와 동의어일 수 있다.
멤브레인: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굽힘에 대한 저항이 없지만, 신축에 대한 저항을 갖는 전형적으로 얇은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밀봉: 구조물을 지칭하는 명사 형태("밀봉"), 또는 효과를 지칭하는 동사 형태("밀봉하다")일 수 있다. 2개의 요소는 별도의 '밀봉' 요소 자체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들 사이에서 '밀봉'되거나 '밀봉'을 수행하도록 구성 및/또는 배열될 수 있다.
쉘: 쉘은 굽힘, 인장 및 압축 강도(compressive stiffness)를 갖는 곡선형의 비교적 얇은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곡선형 구조 벽은 쉘일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쉘은 패싯(facet)형일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껍질이 기밀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쉘이 기밀되지 않을 수 있다.
보강재: 보강재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다른 구성요소의 굽힘 저항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구조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스트럿: 스트럿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다른 구성요소의 압축 저항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구조 구성요소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스위블(명사): 공통 축을 중심으로, 바람직하게는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낮은 토크 하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의 서브조립체. 하나의 형태에서, 스위블은 적어도 360도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스위블은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타이(명사): 인장에 저항하도록 설계된 구조물.
6.6 구조의 형상
본 기술에 따른 제품은 하나 이상의 3차원 기계적 구조물, 예를 들어 마스크 쿠션 또는 임펠러을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구조물은 2차원 표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은 관련 표면 배향, 위치, 기능 또는 일부 다른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부호를 사용하여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물은 전방 표면, 후방 표면,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밀봉 형성 구조물은 면접촉(예를 들어, 외부) 표면, 및 별도의 비-면접촉(예를 들어, 하측 또는 내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구조물은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구조물 및 표면의 형상을 설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먼저 소정 지점 p에서 구조물의 표면을 통한 단면이 고려된다. 표면 상의 지점 p에서의 단면 및 결과적인 평면 곡선의 예를 도시하는 도 3a 내지 도 3e 참조. 도 3a 내지 도 3e는 또한 p에서의 외향 법선 벡터를 도시한다. p에서의 외향 법선 벡터는 표면으로부터 멀리 향하여 있다. 일부 예에서, 표면 상에 똑바로 서있는 가상의 작은 사람의 관점에서 표면이 설명된다.
6.1.1 1차원의 곡률
p에서의 평면 곡선의 곡률은 부호(예를 들어, 양, 음) 및 크기(예를 들어, 1/(p에서 곡선에 접하는 원의 반경))를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양의 곡률: p에서의 곡선이 외향 법선을 향하여 있으면, 해당 지점에서의 곡률은 양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가상의 작은 사람이 지점 p를 출발하면, 오르막을 걸어야 함). 도 3a(도 3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양의 곡률) 및 도 3b(도 3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곡률) 참조. 이와 같은 곡선은 종종 오목한 것으로 지칭된다.
0의 곡률: p에서의 곡선이 직선이면, 곡률은 0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가상의 작은 사람이 지점 p를 출발하면, 위로도 아래로도 아닌 수평면 상을 걸을 수 있음). 도 3c를 참조한다.
음의 곡률: p에서의 곡선이 외향 법선으로부터 멀리 향하여 있으면, 해당 지점에서의 해당 방향의 곡률은 음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가상의 작은 사람이 지점 p를 출발하면, 내리막을 걸어야 함). 도 3d(도 3e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음의 곡률) 및 도 3e(도 3f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음의 곡률) 참조. 이와 같은 곡선은 종종 볼록한 것으로 지칭된다.
6.2.2 2차원 표면의 곡률
본 기술에 따라 2차원 표면 상의 주어진 지점에서의 형상에 대한 설명은 다수의 법선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단면은 외향 법선을 포함하는 평면("법선 평면")에서 표면을 절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면은 상이한 방향으로 취해질 수 있다. 각각의 단면은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평면 곡선을 생성한다. 해당 지점에서의 상이한 곡률은 동일한 부호 또는 상이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해당 지점에서의 곡률 각각은 크기, 예를 들어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갖는다. 도 3a 내지 도 3e의 평면 곡선은 특정 지점에서의 이와 같은 다수의 단면의 예일 수 있다.
주 곡률 및 방향: 곡선의 곡률이 최대 및 최소 값을 취하는 법선 평면의 방향이 주 방향으로 불린다. 도 3a 내지 도 3e의 예에서, 최대 곡률은 도 3a에서 생기고, 최소는 도 3e에서 생기며, 따라서 도 3a 및 도 3e는 주 방향의 단면이다. p에서의 주 곡률은 주 방향의 곡률이다.
표면의 영역: 표면 상의 연결된 지점 세트. 소정 영역에서의 지점 세트는 유사한 특성, 예를 들어 곡률 또는 부호를 가질 수 있다.
안장 영역: 각 지점에서 주 곡률이 반대 부호를 갖는 영역, 즉 하나가 양이고 다른 하나가 음인 영역(가상 사람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오르막 또는 내리막을 걸을 수 있음).
돔 영역: 각 지점에서 주 곡률이 동일한 부호를 갖는 영역, 예를 들어 둘 모두 양("오목한 돔")이거나, 둘 모두 음("볼록한 돔")인 영역.
원통형 영역: 하나의 주 곡률이 0(또는, 예를 들어 제조 공차 내에서 0)이고 다른 주 곡률이 0이 아닌 영역.
평면 영역: 주 곡률 모두가 0(또는, 예를 들어 제조 공차 내에서 0)인 표면의 영역.
표면의 에지: 표면 또는 영역의 경계 또는 한계.
경로: 본 기술의 특정 형태에서, '경로'는 수학적-위상적 의미에서의 경로, 즉 표면 상의 f(0)으로부터 f(1)까지의 연속 공간 곡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본 기술의 특정 형태에서, '경로'는, 예를 들어 표면 상의 지점 세트를 포함하는 루트 또는 코스로서 설명될 수 있다. (가상 사람의 경로는 그들이 표면 상을 걷는 곳이고, 정원의 경로와 유사하다).
경로 길이: 본 기술의 특정 형태에서, '경로 길이'는 f(0)으로부터 f(1)까지의 표면을 따른 거리, 즉 표면 상의 경로를 따른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표면 상의 2개의 지점 사이에 하나 초과의 경로가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로는 상이한 경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가상 사람의 경로 길이는 그들이 경로를 따라 표면 상을 걸어야 하는 거리일 것이다).
직선 거리: 직선 거리는 표면 상의 2개의 지점 사이의 거리이지만, 표면과는 관련이 없다. 평면 영역에서는, 표면 상의 2개의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와 동일한 경로 길이를 갖는 표면 상의 경로가 있을 것이다. 비평면 표면에서는, 2개의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와 동일한 경로 길이를 갖는 경로가 없을 수 있다. (가상 사람에게는, 직선 거리는 '일직선으로(as the crow flies)'의 거리에 대응할 것이다.)
6.6.3 공간 곡선
공간 곡선: 평면 곡선과 달리, 공간 곡선은 반드시 임의의 특정 평면에 놓이는 것은 아니다. 공간 곡선은 닫혀 있을 수 있는데, 즉, 끝점이 없다. 공간 곡선은 3차원 공간의 1차원 피스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DNA 나선의 스트랜드 상을 걷는 가상의 사람은 공간 곡선을 따라 걷는다. 전형적인 인간의 좌측 귀는 왼나선인 나선을 포함한다(도 3m 참조). 전형적인 인간의 우측 귀는 오른나선인 나선을 포함한다(도 3n 참조). 도 3o는 오른나선을 도시한다. 구조물의 에지, 예를 들어 멤브레인 또는 임펠러의 에지는 공간 곡선을 따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간 곡선은 공간 곡선 상의 각 지점에서의 곡률 및 열률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열률은 곡선이 평면으로부터 얼마나 벗어나는지의 척도이다. 열률은 부호 및 크기를 갖는다. 공간 곡선 상의 소정 지점에서의 열률은 해당 지점에서의 접선, 법선 및 종법선 벡터를 참조하여 특징지어질 수 있다.
접선 단위 벡터(또는 단위 접선 벡터): 곡선 상의 각 지점에 대해, 이 지점에서의 벡터는 해당 지점으로부터의 방향뿐만 아니라, 크기를 특정한다. 접선 단위 벡터는 해당 지점에서 곡선과 동일한 방향을 가리키는 단위 벡터이다. 가상의 사람이 곡선을 따라 날아가다가 특정 지점에서 탈것에서 떨어졌다면, 접선 벡터의 방향은 이동하는 방향이다.
단위 법선 벡터: 가상의 사람이 곡선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이러한 접선 벡터 자체는 변화한다. 접선 벡터가 변화하는 것과 동일한 방향을 가리키는 단위 벡터가 단위 주 법선 벡터로 불린다. 그것은 접선 벡터에 수직이다.
종법선 단위 벡터: 종법선 단위 벡터는 접선 벡터 및 주 법선 벡터 모두에 수직이다. 이의 방향은 오른손 법칙(예를 들어, 도 3l 참조)에 의해, 또는 대안적으로 왼손 법칙(도 3k)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접촉 평면: 단위 탄젠트 벡터 및 단위 주요 법선 벡터를 함유하는 평면. 도 3k 및 도 3l을 참조.
공간 곡선의 열률: 공간 곡선의 소정 지점에서의 열률은 해당 지점에서의 종법선 단위 벡터의 변화율의 크기이다. 이는 곡선이 접촉 평면으로부터 얼마나 벗어나는지의 척도가 된다. 평면에 놓이는 공간 곡선은 0의 열률을 갖는다. 접촉 평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적은 양을 벗어나는 공간 곡선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열률(예를 들어, 완만하게 경사진 나선형 경로)을 가질 것이다. 접촉 평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벗어나는 공간 곡선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열률(예를 들어, 가파르게 경사진 나선형 경로)을 가질 것이다. 도 3o를 참조하면, T2 > T1이므로, 도 3o의 나선의 상단 코일 근처에서의 열률의 크기는 도 3o의 나선의 하단 코일의 열률의 크기보다 크다.
도 3m의 오른손 법칙을 참조하면, 우측 종법선 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공간 곡선은 우측 양의 열률(예를 들어, 도 3o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른나선)을 갖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우측 종법선 방향으로부터 멀리 회전하는 공간 곡선은 우측 음의 열률(예를 들어, 왼나선)을 갖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동등하게, 그리고 왼손 법칙(도 3k 참조)을 참조하면, 좌측 종법선 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공간 곡선은 좌측 양의 열률(예를 들어, 왼나선)을 갖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양은 우측 음과 동등하다.
6.6.4 구멍
표면은 1차원 구멍, 예를 들어 평면 곡선 또는 공간 곡선에 의해 한정된 구멍을 가질 수 있다. 구멍을 갖는 얇은 구조물(예를 들어, 멤브레인)은 1차원 구멍을 갖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평면 곡선에 의해 한정된, 예를 들어 도 3f에 도시된 구조물의 표면에 있어서의 1차원 구멍 참조.
구조물은 2차원 구멍, 예를 들어 표면에 의해 한정된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주입식 타이어는 타이어의 내부 표면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2차원 구멍을 가지고 있다. 다른 예에서, 공기 또는 젤을 위한 공동이 있는 방광은 2차원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도관은 1차원 구멍(예를 들어, 입구 또는 출구에서), 및 도관의 내부 표면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2차원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h에 디스플레이된 구조를 통해 2차원 구멍을 참조하십시오. 도와 같이 표면에 의해 경계가 지정된다.
6.7 다른 비고
이 특허 문서의 공개 부분에는 저작권 보호 대상인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저작권 소유자는 특허청 특허 파일 또는 기록에 나타나는 특허 문서 또는 특허 공개를 팩스로 복제하는 것에 반대하지 않지만, 그렇지 않으면 모든 저작권을 보유한다.
문맥상 달리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고 값의 범위가 제공되는 경우에, 하한 단위의 1/10까지, 해당 범위의 상한과 하한 사이, 그리고 그 언급된 범위의 임의의 다른 언급 또는 개재된 값인 각각의 개재 값은 본 기술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개재 범위에 독립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이들 개재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은 언급된 범위 내의 임의의 특히 배제된 한계값에 속하는 것으로 본 기술범위 내에 또한 포함된다. 언급된 범위가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한계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이들 포함된 한계값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배제한 범위가 또한 본 기술범위 내에 포함된다.
또한, 값 또는 값들이 본 기술의 일부로서 실시되는 것으로 본원에서 언급되는 경우에, 이와 같은 값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근사값일 수 있고, 이와 같은 값은 실용적인 기술 실시로 이를 허용하거나 요구할 수 있는 범위의 임의의 적합한 유효 자릿수로 사용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 중 한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원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임의의 방법 및 재료가 또한 본 기술의 실시 또는 테스트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제한된 수의 예시적인 방법 및 재료만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특정 재료가 구성요소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확인될 때, 유사한 특성을 가진 명백한 대체 재료가 대체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설명된 임의의 그리고 모든 구성요소는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며, 그 때문에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서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문맥에서 달리 명백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그들의 복수 등가물을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원에서 언급된 모든 공보는 이들 공보의 대상인 방법 및/또는 재료를 개시하고 설명하기 위해 그 전체가 원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논의된 공보는 본 출원의 출원일 이전에 그들의 개시를 위해서만 제공된다. 본 기술이 선행 발명에 의한 이와 같은 공개에 앞서 있을 자격이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공된 공보의 날짜는 실제 공개 날짜와 다를 수 있으며, 이는 독자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용어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은 언급된 요소,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존재할 수 있거나,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요소, 구성요소 또는 단계와 사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비배타적인 방식으로 요소, 구성요소 또는 단계를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에 사용된 제목은 독자의 용이한 참조용으로만 포함되며 본 개시 또는 청구범위에 걸쳐 발견된 요지를 제한하는 데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제목은 청구범위 범주 또는 청구범위 한계를 해석할 때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의 기술이 특정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 예는 단지 기술의 원리 및 용례의 예시라고 이해해야 한다. 몇몇 경우에, 용어 및 부호는 기술을 실행하는 데 요구되지 않은 특정 세부사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어 "제1" 및 "제2"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용어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임의의 순서를 나타내지 않으며 별개의 요소를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법론의 프로세스 단계가 순서대로 설명되거나 예시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순서는 요구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이와 같은 순서가 수정될 수 있고/있거나 그 양태가 동시에 또는 심지어 동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많은 수정이 예시적인 예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배열이 기술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강구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12)

  1.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
    사용 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자의 눈 전방에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후방에 배터리 팩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로서,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후방 지지부; 및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상기 후방 지지부와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상위 부분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상단 스트랩 부분을 더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정 스트랩 부분의 위치는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에 관련하여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정 스트랩 부분은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 아래에 놓이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기 두정 스트랩 부분에 연결된 버클을 통과하고, 버클은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측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된 아일릿을 통해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되고 루프 백되어 자체 고정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은 상기 아일릿을 통해 통과되고 루프 백되어 자체 고정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은 직물 사용자 지향 층, 직물 외부 층, 및 상기 사용자 지향 층과 상기 외부 층 사이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은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사용 시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팩을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 내부에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내부를 통해 삽입 가능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과 상기 직물 외부 층 사이에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을 통해 삽입 가능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은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부분은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방 부분은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와 맞물리지 않도록 구성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상기 후방 부분과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상기 전방 부분 사이에 굽힘부를 갖는 형상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상기 후방 부분에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곡률을 따르고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상기 전방 부분에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상기 곡률로부터 벗어나도록 형상화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관련하여 이격된 관계로 상기 전방 부분을 지지하도록 강성화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상기 후방 부분의 상기 전단부는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전두골 후방에 위치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9. 제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20. 제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상위 위치 및 하위 위치에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위치는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에 근접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위치는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이 상기 하위 위치와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 사이에서 변형하도록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23. 제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길이, 폭 및 깊이를 가지며 상기 길이는 상기 폭 및 상기 깊이보다 길고, 상기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 시 상기 배터리 팩의 상기 길이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는 배향으로 상기 배터리 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24. 제1항에 있어서,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상위 부분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상단 스트랩 부분을 더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 및/또는 상기 두정 스트랩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 사이에서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상기 시상면에 정렬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헤어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상기 시상면의 각각의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두 부분으로 형성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의 상기 두 부분은 한 쌍의 연결 지점에서 서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 지점은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의 상기 두 부분 중 각각의 하나에 제공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상기 시상면의 각각의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두 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2개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며, 각각의 배터리 팩은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의 상기 두 부분 중 각각의 하나에 지지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사용 시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의 상기 두 부분이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상기 시상면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상기 시상면의 각각의 측면에 각각 위치한 두 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의 상기 두 부분은 사용 시 서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의 상기 두 부분의 내측 단부는 서로 이격되고, 각각은 사용 시 시상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두 개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며, 각각의 배터리 팩은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의 상기 두 부분 중 각각의 하나에 제공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3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사용 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팩을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의 일부는 상기 배터리 팩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연장되고 신축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하나 이상의 층은 상기 배터리 팩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과 함께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연장되고 신축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외부 층은 상기 배터리 팩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과 함께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연장되고 신축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은 상기 배터리 팩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과 함께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연장되고 신축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38.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접촉 층은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사용자의 머리 사이에 위치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39.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전원 케이블의 부분 및 상기 배터리 팩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하나 이상의 층은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팩 내에서 연장되고 내부로 신축될 수 있는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신축식 부분을 형성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식 부분은 상기 신축식 부분의 위치가 상기 배터리 팩에 관련하여 고정될 수 있는, 상기 배터리 팩에 관련하여 복수의 사전결정된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식 부분은 상기 배터리 팩에 관련하여 위치 범위 내에서 연속으로 이동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상기 후두골 위에 놓이는 위치에 상기 배터리 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43.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상기 후두골에 근접한 위치 및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수직 회전축에 또는 근접한 위치에 상기 배터리 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44.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상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은:
    사용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지지부로서,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두정골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정 스트랩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골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후방 지지부; 및
    각각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상기 후방 지지부와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스트랩 부분; 및
    상기 후방 지지부와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상위 부분 위에 놓이도록 구성되고, 사용자 지향 층 및 외부 층을 포함하는 상단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사용자 지향 층, 상기 두정 스트랩 부분,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 및 측면 스트랩 부분은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상기 외부 층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상기 외부 층은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상기 사용자 지향 층, 상기 두정 스트랩 부분,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 및 측면 스트랩 부분은 상기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의 세탁 가능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세탁 가능 부분은 세탁을 위해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상기 외부 층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의 상기 외부 층을 형성하는 외부 슬리브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가능 부분은 하나 이상의 후크-앤드-루프 연결에 의해 상기 외부 슬리브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팩은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상기 배터리 팩에 연결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 시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외부 슬리브 내에 위치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슬리브는 상기 배터리 팩에 연결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52.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외부 슬리브의 길이를 따라 상기 외부 슬리브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53. 제49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상기 외부 층과 상기 사용자 지향 층 사이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은 반강성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55. 제53항 또는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 및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팩을 상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제1 및 제2 파스너 부분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57. 제53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이 상기 외부 슬리브 내에 위치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58. 제54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가능 부분은 상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59. 제53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은 상기 세탁 가능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은 상기 사용자 지향 층을 형성하는 사용자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이 상기 사용자 접촉 부분에 제공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접촉 부분은 사용자 접촉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은 상기 사용자 접촉 슬리브 내에 위치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접촉 슬리브는 상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이 제거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강성화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사용 시 강성화기 개구부를 덮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64. 제6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접촉 슬리브는 상기 배터리 팩이 상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파스너 개구부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확장 불가능 층은 상기 파스너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 팩의 대응하는 제2 파스너 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파스너 부분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사용 시 상기 파스너 개구부를 덮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67. 제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은 상단 스트랩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은 피봇 가능한 연결을 통해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69. 제1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은 상기 두정 스트랩 부분과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은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70. 제69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71. 제69항 또는 제70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 후두 스트랩 부분은 자성 파스너를 통해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72. 제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스트랩 부분은 상기 상단 스트랩 부분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73.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의 작동 위치에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로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안면 맞물림 부분; 및
    상기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내부와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구불구불한 기류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불구불한 기류 경로는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외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의 내부 사이를 통과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에 연결된 섀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구불구불한 기류 경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류 포트는 상기 섀시와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 사이의 연결부의 전방에 제공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류 포트는 상기 섀시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섀시 포트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76. 제74항 또는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의 섀시 장착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류 포트는 상기 섀시 장착 부분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섀시 장착 포트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77. 제74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류 포트는 반경 방향으로 대면하는 벽에 제공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78. 제73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는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은 하나 이상의 구불구불한 기류 경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포트는 상기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전방 대향 부분에 제공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80. 제78항 또는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포트는 상기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의 상위 부분 및 상기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의 하위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81. 제78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 구조물의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포트는 사용 시 사용자의 접형골 영역에 근접한 상기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부분에 제공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82. 제78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하우징은 상기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의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포트 위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83.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안면 위의 작동 위치에서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유지하도록 구조화 및 배열된 위치설정 및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 관계에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인터페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둥근 단면을 갖는 탄성 및 가요성 안면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은 반경 방향 외측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 방향 내측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부분으로 만곡하는 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부분의 후방 대면 표면은 사용자 접촉 표면을 제공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은 사용 시 상기 후방 부분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맞물리는 쪽으로 바이어싱되도록 구성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85. 제83항 또는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은 폐쇄된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폐루프 부분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은 제1 폐루프 부분 및 제2 폐루프 부분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루프 부분과 상기 제2 폐루프 부분이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코의 양쪽에 제공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루프 부분과 상기 제2 폐루프 부분은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뺨 가까이에 제공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89. 제85항 내지 제8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은 주위에서 구부러지고 자체적으로 중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루프 부분을 제공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90. 제85항 내지 제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은 베이스 부분과 루프 플랜지를 포함하는 루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 부분과 중첩하여 상기 폐루프 부분을 제공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91.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부분은 전방 위치에서 후방 위치로 연장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부분의 단면은 상기 전방 위치와 상기 후방 위치 사이에서 점점 좁아지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93. 제91항 또는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부분은 상기 전방 위치와 상기 루프 플랜지 사이에서 아치형 부분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94. 제90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 부분의 전방 대면 표면과 겹쳐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95. 제90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플랜지가 상기 베이스 부분에 고정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96. 제90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분과 상기 루프 부분은 단일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97. 제83항 내지 제9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의 뺨 부분 사이에 걸쳐 있는 차광 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코 부분은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사용자 코의 코 앞부분에서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코 부분은 코 부분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콧등 부분 및 제2 콧등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콧등 부분과 상기 제2 콧등 부분은 그 사이에 슬롯을 가지며, 슬롯은 상기 차광 코 부분의 후방 에지로부터 상기 비강 부분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콧등 부분과 상기 제2 콧등 부분이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콧등 양쪽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98. 제83항 내지 제9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 구조물은 폼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부분은 상기 폼 쿠션 위로 연장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99.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은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대면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쿠션 지지 플랜지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폼 쿠션은 상기 쿠션 지지 플랜지와 상기 후방 부분 사이에 제공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01. 제83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은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은 각각의 단면 두께를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02.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은 이마 부분, 2개의 뺨 부분, 및 사용 시 사용자의 접형골 영역에 근접하고 상기 이마 부분을 각각의 뺨 부분에 연결하는 2개의 측면 부분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의 복수의 영역은: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의 내주 둘레로 연장되는 제1 영역;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의 외주 둘레로 연장되는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의 상기 내주 둘레로 연장되는 제3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각 뺨 부분의 제4 영역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04.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이마 부분의 후방 이마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안면 맞물림 부분의 상기 내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05. 제103항 또는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이마 부분의 상부 이마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이마 부분의 중심을 넘어 전방 이마 부분으로 연장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06. 제103항 내지 제10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각각의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상부 이마 부분을 향해 각각 연장되는 상부 측면 부분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07. 제103항 내지 제10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외주 이마 부분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08. 제103항 내지 제10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4 영역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09. 제103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제3 영역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10. 제103항 내지 제10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11. 제103항 내지 제1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상기 제1 영역의 폭은 상기 뺨 부분 또는 상기 측면 부분보다 상기 이마 부분을 통해 더 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12. 제103항 내지 제1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영역의 폭은 상기 뺨 부분에서보다 상기 이마 부분을 통해 더 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227037518A 2020-03-27 2021-03-29 포지셔닝, 스태빌라이징 및 인터페이싱 구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KR202300025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20900953 2020-03-27
AU2020900953A AU2020900953A0 (en) 2020-03-27 Positioning and stabilising structure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16/865,480 US11243405B2 (en) 2020-03-27 2020-05-04 Positioning and stabilising structure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16/865,526 2020-05-04
US16/865,526 US11262589B2 (en) 2020-03-27 2020-05-04 Positioning and stabilising structure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16/865,480 2020-05-04
AU2020901432 2020-05-05
AU2020901432A AU2020901432A0 (en) 2020-05-05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AU2020901437A AU2020901437A0 (en) 2020-05-06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AU2020901437 2020-05-06
AU2020902514 2020-07-20
AU2020902514A AU2020902514A0 (en) 2020-07-20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AU2020903055A AU2020903055A0 (en) 2020-08-26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AU2020903055 2020-08-26
AU2020903112 2020-08-31
AU2020903112A AU2020903112A0 (en) 2020-08-31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AU2020903395A AU2020903395A0 (en) 2020-09-22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AU2020903395 2020-09-22
AU2020903502A AU2020903502A0 (en) 2020-09-29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AU2020903502 2020-09-29
AU2020903638A AU2020903638A0 (en) 2020-10-07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AU2020903638 2020-10-07
AUPCT/AU2020/051081 2020-10-08
PCT/AU2020/051081 WO2021189095A1 (en) 2020-03-27 2020-10-08 Positioning and stabilising structure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AU2020903876A AU2020903876A0 (en) 2020-10-26 Positioning and stabilising structure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AU2020903876 2020-10-26
PCT/AU2020/051158 WO2021189096A1 (en) 2020-03-27 2020-10-28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AUPCT/AU2020/051158 2020-10-28
AU2020904664A AU2020904664A0 (en) 2020-12-15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AU2020904664 2020-12-15
AU2020904849 2020-12-24
AU2020904849A AU2020904849A0 (en) 2020-12-24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AU2021900871 2021-03-24
AU2021900871A AU2021900871A0 (en) 2021-03-24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PCT/AU2021/050277 WO2021189114A1 (en) 2020-03-27 2021-03-29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514A true KR20230002514A (ko) 2023-01-05

Family

ID=8429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518A KR20230002514A (ko) 2020-03-27 2021-03-29 포지셔닝, 스태빌라이징 및 인터페이싱 구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541106B2 (ko)
KR (1) KR20230002514A (ko)
CN (1) CN115461668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0144B2 (ja) 2010-03-29 2013-03-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眼鏡型の画像表示装置
WO2013005615A1 (ja) 2011-07-06 2013-01-10 凸版印刷株式会社 香り提供装置
US10078349B1 (en) 2017-02-11 2018-09-18 Oculus Vr, Llc Strap system for attaching to head-mounted display
US10571691B1 (en) 2017-08-09 2020-02-25 Facebook Technologies, Llc Service loop for a head-mounted display
WO2020017358A1 (ja) 2018-07-20 2020-01-23 ソニー株式会社 装着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18610A (ja) 2023-05-02
JP7541106B2 (ja) 2024-08-27
CN115461668A (zh)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4685B2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20230152594A1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WO2021189114A1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11169384B2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CN218886312U (zh) 头戴式显示系统
JP2022188109A (ja) 位置決め構造、安定化構造およびインターフェーシング構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システム
JP7541106B2 (ja) 位置決め構造、安定化構造、およびインターフェーシング構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システム
TWI816175B (zh) 頭戴式顯示器系統
CN220340486U (zh) 头戴式显示系统
CN220473782U (zh) 头戴式显示系统
US20240210991A1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KR20240145056A (ko) 위치 설정, 안정화 및 인터페이스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WO2024221056A1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WO2024026539A1 (en) Head mounted display unit and interfacing structure therefor
WO2024178468A1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TW202223488A (zh) 定位、穩定和介面結構以及包含其的系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