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211A -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전자장비,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전자장비,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211A
KR20230002211A KR1020220177568A KR20220177568A KR20230002211A KR 20230002211 A KR20230002211 A KR 20230002211A KR 1020220177568 A KR1020220177568 A KR 1020220177568A KR 20220177568 A KR20220177568 A KR 20220177568A KR 20230002211 A KR20230002211 A KR 20230002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virtual scene
data
virtual
partic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쥐치앙 슈
밍루 리
지엔 쑨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224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related to virtual st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04N5/2723Insertion of virtual advertisement; Replacing advertisements physical present in the scene by virtual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7Conference systems defining a virtual conference space and using avatars or ag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04N2005/2726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for simulating a person's appearance, e.g. hair style, glasses,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인공지능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 비전, 음성인식, 가상현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클라우드 컴퓨팅, 메타버스 및 미디어 클라우드 장면에 응용 가능하며,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전자장비,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제1 대상에 대한 가상 장면 접속 청구 명령에 응답하여, 제1 대상의 기초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기초 데이터에 따라, 가상 장면에서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구축하고, 제1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참여대상을 얻는 단계, 및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전자장비,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ND APPARATUS OF PERFORMING INFORMATION INTERACTION IN VIRTUAL SCENE,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본 개시내용은 인공지능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 비전, 음성인식, 가상현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클라우드 컴퓨팅, 메타버스 및 미디어 클라우드 장면에 응용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전자장비,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 및 인터넷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스마트 제품은 가상 환경에서 데이터 인터랙션을 진행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키고 있다.
본 개시내용은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전자장비,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한 측면에 의하면, 제1 대상에 대한 가상 장면 접속 청구 명령에 응답하여, 제1 대상의 기초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기초 데이터에 따라, 가상 장면에서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구축하고, 제1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참여대상을 얻는 단계, 및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기초 데이터 취득모듈, 목표참여대상 확정모듈 및 목표 콘텐츠 재생모듈을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를 제공한다. 기초 데이터 취득모듈은 제1 대상에 대한 가상 장면 접속 청구 명령에 응답하여, 제1 대상의 기초 데이터를 취득하고, 목표참여대상 확정모듈은 기초 데이터에 따라, 가상 장면에서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구축하고, 제1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참여대상을 얻으며, 목표 콘텐츠 재생모듈은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장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에 의하면, 하기의 기술적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얻을 수 있다.
(1) 가상 장면에서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구축하여, 제1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참여대상을 얻음으로써, 가상 캐릭터를 가상 환경에서의 제1 대상의 존재형태로 하여, 사용자의 가상 환경에 대한 참여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는 현장감 있게 가상 환경에서 데이터 인터랙션을 진행할 수 있다.
(2)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여 데이터 인터랙션을 진행하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고, 가상 장면에 기반하여 데이터 인터랙션을 진행하는 앱의 커버범위를 확장할 수 있고, 가상 장면에 기반한 사용자의 현장감 및 참여감을 향상시켜, 보다 높은 정보 인터랙션 효율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내용은 그 목적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핵심 또는 중요한 특징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또한,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특징들은 하기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도면은 본 기술방안을 보다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본 개시내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의 시스템 구조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b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의 시스템 구조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예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는 예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예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을 가상 회의 장면에 적용하였을 경우에 대응하는 시스템 구조의 예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전자장비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세부사항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대해 여러가지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개시내용을 한정하기 위한 취지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포함', '구비' 등 용어는 언급된 특징, 단계, 동작 및/또는 부품의 존재를 의미하는데,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또는 부품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모든 용어(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 포함)는 별도로 정의되지 않는 한,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본 명세서의 문맥과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사전상의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A, B 및 C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표현을 사용할 경우,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해당 표현의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A, B 및 C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시스템'에는, A만 구비한 시스템, B만 구비한 시스템, C만 구비한 시스템, A 및 B를 구비한 시스템, A 및 C를 구비한 시스템, B 및 C를 구비한 시스템, 및/또는 A, B, C를 구비한 시스템이 포함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컴퓨터 기술 및 인터넷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스마트 제품은 가상 환경에서 데이터 인터랙션을 진행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키고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가상 환경에 기반하여 데이터 인터랙션을 진행할 경우, 물리적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물리적 공간의 제한을 받고 있지만 여전히 데이터 인터랙션에 대한 수요가 있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회의 앱을 이용하여 데이터 인터랙션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일부 실시예에 의하면, 가상 회의 앱은 음성 인터랙션 및 화상 인터랙션을 지원한다.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의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1b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의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조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가 본 개시내용의 기술내용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고,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가 다른 장비, 시스템, 환경 또는 장면에 적용될 수 없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조(100A)는 클라이언트(101A, 102A, 103A), 네트워크(104A) 및 서버(105A)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04A)는 클라이언트(101A, 102A, 103A)와 서버(105A) 사이에서 통신링크의 매체를 제공한다. 네트워크(104A)는 각종 연결형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유선 통신링크, 무선 통신링크 또는 광 파이버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101A, 102A, 103A)를 사용하여 네트워크(104A)를 통해 서버(105A)와 인터랙션함으로써, 메시지 등을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1A, 102A, 103A)에는 예를 들어, 가상 환경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인터랙션하는 앱, 쇼핑 앱, 웹 브라우저 앱, 검색류 앱, 인스턴트 통신 툴, 메일 클라이언트, 소셜 미디어 소프트웨어(단지 예시 임)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클라이언트 앱이 설치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1A, 102A, 103A)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하고 사이트 열람을 지원하는 각종 전자장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테블릿 컴퓨터, 랩탑형 휴대용 컴퓨터 및 데스크 탑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클라이언트(101A, 102A, 103A)는 예를 들어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서버(105A)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클라이언트(101A, 102A, 103A)를 사용하여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를 지원하는 백 그라운드 관리 서버(단지 예시)일 수 있다. 백 그라운드 관리 서버는 수신된 사용자 청구 등 데이터에 대해 분석 등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 결과(예를 들어, 사용자의 청구에 따라 취득 또는 생성된 사이트, 정보, 또는 데이터 등)를 클라이언트로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5A)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다. 즉, 서버(105A)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서버(105A)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는 서버(105A)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서버(105A)와 다르고, 또한, 클라이언트(101A, 102A, 103A) 및/또는 서버(105A)와 통신 가능한 서버 또는 서버 클러스터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는 서버(105A)와 다르고, 또한, 클라이언트(101A, 102A, 103A) 및/또는 서버(105A)와 통신 가능한 서버 또는 서버 클러스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105A)는 네트워크(104A)를 통해 클라이언트(101A, 102A, 103A)로부터 가상 장면 접속 청구 명령,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 위치 조정 명령, 캐릭터 조정 동작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취득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조(100B)는, 클라이언트(101B, 102B, 103B), 네트워크(104B) 및 시그널링 서버(105B), 제1 미디어 서버(106B), 제2 미디어 서버(107B) 및 사용자 관리 서버(108B)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구조(100A)와 달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시스템 구조(100B)의 시그널링 서버(105B)는 각 클라이언트사이에서 통신을 조율하기 위한 것이고, 제1 미디어 서버(106B)는 각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의 미디어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고, 제2 미디어 서버(107B)는 재생용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거나 처리할 수 있고, 사용자 관리 서버(108B)는 각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및 서버의 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 수요에 따라, 임의의 수의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방안에서 언급된 사용자 개인 정보의 수집, 저장, 사용, 가공, 전송, 제공 및 공개 등 처리는 모두 관련 법률, 법규의 규정에 부합되고, 공중도덕에 위배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방안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취득하거나 수집하기 전에, 이미 사용자의 승인 또는 동의를 취득하였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1a 및 도 1b의 시스템 구조와 결합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서버(105A)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200)은 예를 들어 동작 S210 내지 동작 S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S210에서는, 제1 대상에 대한 가상 장면 접속 청구 명령에 응답하여, 제1 대상의 기초 데이터를 취득한다.
가상 장면이라는 것은, 어느 장면의 가상현실이라고 볼 수 있다. 가상현실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모의 가상 장면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장감을 가져다 줄 수 있다.
기초 데이터는 가상 장면의 접속에 필요한 데이터 및 가상 장면의 기능에 관련되는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장면의 접속에 필요한 데이터는 가상 장면의 식별 데이터 및 제1 대상의 식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장면이 가상 캐릭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할 경우, 기초 데이터는 가상 캐릭터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가상 캐릭터 데이터는 가상 환경에서 가상 캐릭터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동작 S220에서는, 기초 데이터에 따라, 가상 장면에서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구축하고, 제1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참여대상을 얻는다.
목표참여대상이라는 것은, 가상 환경에 참여하는, 가상 캐릭터로 매핑한 제1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동작 S230에서는,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한다.
가상 장면에 기반하여 데이터 인터랙션을 진행할 때, 일부 목표 콘텐츠가 연관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장면이 가상 회의 장면이고, 어느 가상 회의의 목적이 해당 가상 회의에 참석한 참여대상에게 어떤 제품을 전시하는 것이고, 구체적인 전시방식이 해당 제품의 선전 비디오를 재생하는 것일 수 있는데, 여기서, 선전 비디오가 바로 목표 콘텐츠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가상 장면에서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구축하여, 제1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참여대상을 얻음으로써, 가상 캐릭터를 가상 환경에서의 제1 대상의 존재형태로 하여, 사용자의 가상 환경에 대한 참여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는 현장감 있게 가상 환경에서 데이터 인터랙션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여 데이터 인터랙션을 진행하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고, 가상 장면에 기반하여 데이터 인터랙션을 진행하는 앱의 커버범위를 확장할 수 있고, 가상 장면에 기반한 사용자의 현장감 및 참여감을 향상시켜, 보다 높은 정보 인터랙션 효율을 보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300)의 예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300)은 동작 S310 내지 동작 S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S310에서는, 제1 대상에 대한 가상 장면 접속 청구 명령에 응답하여, 제1 대상의 기초 데이터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C3)에서 제1 대상의 가상 장면 접속 청구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S320에서는, 기초 데이터에 따라, 가상 장면에서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구축하고, 제1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참여대상을 얻는다.
동작 S330에서는,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C3)에서 제1 대상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동작 S310 내지 동작 S330의 실행 주체가 서버(S3)인 예를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이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는 예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중,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가상 장면은 가상 장면 데이터에 따라 생성한 것일 수 있고, 가상 장면 데이터는 가상 재생장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S431에서는,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C4)에서 제1 대상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목표 콘텐츠 데이터는 서버(S42)에 있을 수 있고, 서버(S42)는 예를 들어 상기의 제2 미디어 서버(107B)를 포함할 수 잇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콘텐츠를 취득하기전에, 서버(S42)에서 목표 콘텐츠 데이터를 확정할 수 있다.
동작 S432에서는, 가상 재생장비를 통해 목표 콘텐츠를 재생한다.
가상 재생장비는 가상 재생장비 데이터에 따라 생성한 것이고, 목표 콘텐츠는 목표 콘텐츠 데이터에 따라 생성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가상 재생장비는 비디오 재생장비, 음성 재생장비, 텍스트 재생장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재생장비는 가상 프로젝트 장비, 가상 표시 스크린 등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목표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고, 가상 재생장비를 이용하여 목표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실제장면에서 재생장비를 이용하여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는 상황을 모의하여,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여 데이터 인터랙션을 진행하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고, 가상 장면에 기반한 사용자의 현장감 및 참여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보 인터랙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콘텐츠는 어떤 제품의 발표회 생방송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고, 가상 회의에 접속하여, 가상 회의에서 가상 표시 스크린을 이용하여 발표회 생방송 비디오를 재생함으로써, 가상 회의의 참여대상은 집중적으로 또한 동기적으로 발표회 생방송 비디오를 볼 수 있고, 예를 들어, 발표회 생방송 비디오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회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이하의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장면은 적어도 하나의 참여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기초 데이터는 위치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에 따라, 가상 장면에서의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를 확정한다.
가상 장면 데이터 및 가상 장면에서의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에 따라,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확정한다.
참여대상으로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가상 장면에서의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를 통해,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확정할 수 있으므로, 참여대상은 가상 환경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고, 또한,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통해 다른 참여대상의 위치도 확정할 수 있어,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인터랙션 예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에는 참여대상(User_A), 참여대상(User_B), 참여대상(User_C), 참여대상(User_D), 참여대상(User_E) 및 참여대상(User_F)을 포함하는 6개의 참여대상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참여대상(User_A)의 위치 좌표는 Pos(Xa,Ya,Za)이고, 참여대상(User_B)의 위치 좌표는 Pos(Xb,Yb,Zb)이고, 참여대상(User_C)의 위치 좌표는 Pos(Xc,Yc,Zc)이고, 참여대상(User_D)의 위치 좌표는 Pos(Xd,Yd,Zd)이고, 참여대상(User_E)의 위치 좌표는 Pos(Xe,Ye,Ze)이고, 참여대상(User_F)의 위치 좌표는 Pos(Xf,Yf,Zf)이다.
도 5에서는 가상 재생장비(B), 회의 테이블(D) 및 가상 장면 지도(Ma)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5의 실시예에 의하면, 생방송 스트림 미디어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가상 재생장비(B)를 통해 생방송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고, 이때, 목표 콘텐츠는 바로 생방송 비디오이다. 생방송 스트림 미디어 서비스는 예를 들어 상기의 제2 미디어 서버(107B)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의하면, 예를 들어, 참여대상(User_F)이 목표참여대상인 경우를 예로 들면, 목표참여대상은 실시간 스트림 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음성 스트림을 발행할 수 있고, 실시간 스트림 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음성 인터랙션 대상의 음성 스트림을 구독할 수도 있다. 실시간 스트림 미디어 서비스는 예를 들어 상기의 제1 미디어 서버(106B)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 통신 시그널링 서비스를 통해 참여대상사이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실시간 통신 시그널링 서비스는 예를 들어 상기의 시그널링 서버(105B)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관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서비스는 예를 들어 상기의 사용자 관리 서버(108B)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하기의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상에 대한 위치 조정 명령에 응답하여, 제1 대상의 위치 조정 데이터에 따라, 목표참여대상의 위치 좌표를 조정하여, 목표참여대상의 조정후의 위치 좌표를 얻는다.
예시적으로, 클라이언트의 표시 스크린에 위치 조정 트리거 윈도우를 설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클릭을 통해 제1 대상에 대한 위치 조정 명령을 촉발할 수 있다.
위치 조정 데이터는 조정 방향 및 조정 방향에 기초한 조정유닛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업데이트 빈도 및 조정후의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위치 업데이트 빈도라는 것은, 사전에 설정한 위치 좌표를 업데이트하는 빈도라고 볼 수 있고, 위치 업데이트 빈도는 가상 장면의 감도에 대한 요구에 따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장면이 감도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경우, 위치 업데이트 빈도는 0.2초/회일 수 있고, 가상 장면이 감도에 대한 요구가 낮을 경우, 위치 업데이트 빈도는 1초/회일 수 있다.
조정후의 위치 좌표에 따라,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목표참여대상의 위치를 조정한 후,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 중의 목표참여대상의 위치 좌표를 조정후의 위치 좌표로 조정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목표참여대상의 위치 좌표 조정을 지원하고,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써,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로 하여금 목표참여대상의 위치 조정에 적응하도록 할 수 있다. 목표참여대상은 자신의 위치 및 다른 참여대상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참여대상은 목표참여대상 및 적어도 하나의 참고참여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하기의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인터랙션 범위 한계치 및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에 따라, 목표참여대상의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을 확정한다.
예시적으로, 목표참여대상에 대해,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가 음성 인터랙션 범위 한계치내에 있을 경우, 해당 참여대상이 목표참여대상의 하나의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임을 확정할 수 있다.
목표참여대상에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을 구독한다.
목표참여대상이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을 구독한 후, 목표참여대상은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이 보낸 음성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실제장면에서, 실제장면에 참여하는 여러 참여대상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범위 한계치 이내에 있으면, 참여대상은 서로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데이터 인터랙션 방법은, 음성 인터랙션 범위 한계치 및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에 의해, 목표참여대상의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을 확정하고, 목표참여대상에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을 구독할 수 있으며, 실제장면에서의 음성효과를 모의하여, 가상 장면에 기반한 사용자의 참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하기의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가 음성 인터랙션 범위 한계치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을 확정한다.
목표참여대상에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의 구독을 취소한다.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은 위치 좌표가 음성 인터랙션 범위 한계치내에 있는 참여대상이고, 예를 들어, 참여대상이 위치 좌표를 조정하여, 조정후의 위치 좌표가 음성 인터랙션 범위 한계치를 초과하면,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은 더 이상 목표참여대상이 그의 음성 스트림을 구독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되고, 해당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은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이 된다. 이로써, 목표참여대상에 무효 음성 인터랙션 대상의 음성 스트림의 구독을 취소할 수 있다. 목표참여대상이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의 구독을 취소한 후, 목표참여대상은 더 이상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이 보내는 음성 스트림을 수신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데이터 인터랙션 방법은, 음성 인터랙션 범위 한계치 및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를 통해, 목표참여대상의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을 동적으로 확정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의 구독을 취소할 수 있으며, 실제장면에서의 음성효과를 모의하여, 가상 장면에 기반한 사용자의 참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하기의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목표참여대상의 위치 좌표 및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에 따라, 목표참여대상에 대한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상대적 위치 데이터를 확정한다.
상대적 위치 데이터에 따라,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에 대해 믹싱 처리 및 듀얼 채널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목표 음성 스트림을 얻는다.
믹싱 처리는 복수 채널의 오디오를 하나의 채널의 오디오로 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환경은 목표참여대상 및 복수의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을 포함하고, 목표참여대상에 대해, 동일 시각에 각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을 수신하고 있다. 또한, 각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과 목표참여대상사이의 상대적 위치에 의해서도, 목표참여대상이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을 수신하는데 차이를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참여대상과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User_G)의 상대적 위치가 가깝고, 목표참여대상과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User_H)의 상대적 위치가 멀면, 목표참여대상이 수신한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User_G)의 음성 스트림의 감쇄는 비교적 작고, 목표참여대상이 수신한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User_H)의 음성 스트림의 감쇄는 비교적 크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에 대해 믹싱 처리 및 듀얼 채널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함으로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이 보다 입체적이고,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의 음성효과를 향상시켜, 가상 장면에 기반한 사용자의 참여식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제1 대상에 대한 캐릭터 조정 동작 명령에 응답하여,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릭터 조정 동작 명령은, 성별 조정 동작 명령, 의상 조정 동작 명령, 표정 조정 동작 명령 및 신체 동작 조정 동작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클라이언트의 표시 스크린에 캐릭터 조정 트리거 윈도우를 설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클릭을 통해 제1 대상에 대한 캐릭터 조정 동작 명령을 촉발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에 의하면,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조정하여, 캐릭터 조정 수요를 충족시켜, 신기하고 재미있는 사용자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에 의하면, 가상 장면 데이터는 가상 회의 장면 데이터, 가상 전시장 장면 데이터 및 가상 경기장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목표 콘텐츠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생방송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상 회의 장면 데이터에 따라 가상 회의 장면을 생성할 수 있고, 가상 회의 장면은 예를 들어 회의 테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전시장 장면 데이터에 따라 가상 전시장 장면을 생성할 수 있고, 가상 전시장 장면은 예를 들어 전시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경기장 장면 데이터에 따라 가상 경기장 장면을 생성할 수 있고, 가상 경기장 장면은 예를 들어 경기장 장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가상 장면 데이터에 의해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가상 장면을 생성함으로써, 각종 카테고리의 가상 장면을 지원할 수 있다.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목표 콘텐츠 데이터를 통해, 각종 카테고리의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고, 가상 장면에 기반한 사용자의 현장감 및 참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을 가상 회의 장면에 적용하였을 경우에 대응하는 시스템 구조의 예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시스템 구조 층면으로부터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시스템 구조는 가상 회의 장면 업무 로직 계층(L1) 및 가상 엔진 계층(L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엔진 계층(L2)은 기초 프레임(Fr), 가상 커널(Co), 실시간 음성 통신 모듈(M1) 및 미디어 재생모듈(M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커너는 가상 캐릭터 제작, 가상 장면 생성, 가상 캐릭터 표정 관리 및 가상 캐릭터 신체 동작 관리 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커너는 특효모듈, 렌더링모듈, 도형모듈, 입력 시스템, 관리 시스템 및 오디오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커너는 가상 캐릭터 제작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가상 장면에서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구축하여, 제1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참여대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상 커너는 가상 캐릭터 표정 관리기능 및 가상 캐릭터 신체 동작 관리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조정할 수 있다.
실시간 음성 통신 모듈은 다자간 음성 통화 및 공간 음성 효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음성 통신 모듈은, 대화 관리유닛, 음성 수집 유닛, 펄스 부호 변조유닛, 음성 전송유닛 및 공간 오디오 믹싱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음성 통신 모듈은 목표참여대상에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을 구독할 수 있고, 또한, 목표참여대상에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의 구독을 취소할 수도 있다.
미디어 재생모듈은 가상 장면내에서의 멀티 미디어 생방송 및 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다운 스트림 주문 재생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모듈은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기초 프레임은 가상 엔진 계층의 업무 계층 개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초 프레임 계층은 가상 커너, 실시간 음성 통신 모듈, 미디어 재생 인터페이스를 패키징하고, 가상 장면 개발을 위한 여러가지 기초 기능을 제공한다. 기초 기능은 예를 들어 자원 관리기능, 메시지 관리기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 네트워크 프레임 및 핫 업데이트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상 장면은 가상 회의 장면이고, 시스템 구조의 업무 로직 계층은 가상 엔진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구현한 가상 회의 기능에 의해 실현된다. 주로 장면 지도 기능유닛(U1), 가상 인물 캐릭터 기능유닛(U2), 가상 회의 장면 기능유닛(U3), 회의 제어 기능유닛(U4) 및 미디어 재생 기능유닛(U5)을 포함한다.
장면 지도 기능유닛은 가상 회의 장면 모델 및 참여대상 위치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참여대상은 예를 들어 장면 지도를 통해 지정된 회의 장소 또는 다른 참여대상을 검색할 수 있다.
가상 인물 캐릭터 기능유닛은 가상 엔진에 기반하여 가상 캐릭터를 구현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자체적으로 헤어 스타일, 의상, 성별, 스타일 등을 정의할 수 있다.
가상 회의 장면 기능유닛은 가상 엔진에 기반하여 가상 회의 장면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가상 회의 장면은 예를 들어 원탁회의 및 다방을 생성할 수 있고, 멀티 미디어 회의실을 생성할 수도 있다.
회의 제어 기능유닛은 회의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유닛이다. 회의 제어 유닛은 예를 들어 룸 창설, 참여대상 가입/퇴출 관리, 미디어 발행/구독, 구독 미디어 생방송/주문 재생, 룸 해산 등 정상적인 회의 통신 및 관리기능을 제공한다.
미디어 재생 기능유닛은, 멀티 미디어 현장의 생방송, 스트림 미디어 주문 재생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회의 제어 기능유닛의 콜링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700)는 예를 들어 기초 데이터 취득모듈(710), 목표참여대상 확정모듈(720) 및 목표 콘텐츠 재생모듈(730)을 포함한다.
기초 데이터 취득모듈(710)은 제1 대상에 대한 가상 장면 접속 청구 명령에 응답하여, 제1 대상의 기초 데이터를 취득한다.
목표참여대상 확정모듈(720)은 기초 데이터에 따라, 가상 장면에서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구축하고, 제1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참여대상을 얻는다.
목표 콘텐츠 재생모듈(730)은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에 의하면, 가상 장면은 가상 장면 데이터에 따라 생성한 것이고, 가상 장면 데이터는 가상 재생장비 데이터를 포함하고, 목표 콘텐츠 재생모듈은 목표 콘텐츠 취득 서브모듈 및 목표 콘텐츠 재생 서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목표 콘텐츠 취득 서브모듈은,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목표 콘텐츠 재생 서브모듈은, 가상 재생장비를 통해 목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가상 재생장비는 가상 재생장비 데이터에 따라 생성한 것이고, 목표 콘텐츠는 목표 콘텐츠 데이터에 따라 생성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상 장면은 적어도 하나의 참여대상을 포함하고, 기초 데이터는 위치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는 위치 좌표 확정모듈,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 확정모듈 및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 송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좌표 확정모듈은, 위치 데이터에 따라, 가상 장면에서의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를 확정할 수 있다.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 확정모듈은, 가상 장면 데이터 및 가상 장면에서의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에 따라,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확정할 수 있다.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 송신모듈은, 참여대상으로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는, 조정 위치 좌표 확정모듈 및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 업데이트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정 위치 좌표 확정모듈은, 제1 대상에 대한 위치 조정 명령에 응답하여, 제1 대상의 위치 조정 데이터에 따라, 목표참여대상의 위치 좌표를 조정하여, 목표참여대상의 조정후의 위치 좌표를 얻을 수 있다.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 업데이트모듈은, 위치 업데이트 빈도 및 조정후의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참여대상은 목표참여대상 및 적어도 하나의 참고참여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는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 확정모듈 및 음성 스트림 구독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 확정모듈은, 음성 인터랙션 범위 한계치 및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에 따라, 목표참여대상의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을 확정할 수 있다.
음성 스트림 구독모듈은, 목표참여대상에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을 구독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는,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 확정모듈 및 음성 스트림 구독 취소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 확정모듈은,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가 음성 인터랙션 범위 한계치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을 확정할 수 있다.
음성 스트림 구독 취소모듈은, 목표참여대상에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의 구독을 취소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는, 상대적 위치 데이터 확정모듈 및 목표 음성 스트림 확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대적 위치 데이터 확정모듈은, 목표참여대상의 위치 좌표 및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에 따라, 목표참여대상에 대한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상대적 위치 데이터를 확정할 수 있다.
목표 음성 스트림 확정모듈은, 상대적 위치 데이터에 따라,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에 대해 믹싱 처리 및 듀얼 채널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목표 음성 스트림을 얻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는, 제1 대상에 대한 캐릭터 조정 동작 명령에 응답하여,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조정하는 가상 캐릭터 조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캐릭터 조정 동작 명령은 성별 조정 동작 명령, 의상 조정 동작 명령, 표정 조정 동작 명령 및 신체 동작 조정 동작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에 의하면, 가상 장면 데이터는 가상 회의 장면 데이터, 가상 전시장 장면 데이터 및 가상 경기장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목표 콘텐츠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생방송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본 개시내용의 장치의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의 실시예에 대응하거나 유사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적 효과도 대응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 본 개시내용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개시내용은 전자장비,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는 예시적인 전자장비(8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전자장비는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 데스크 탑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서버, 블레이드 서버, 메인프레임 컴퓨터, 및 기타 적절한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비는 예를 들어,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셀룰러 전화기, 스마트 폰, 웨어러블 장비, 및 기타 유사한 계산 장비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품, 이들의 연결 및 관계, 그리고 이들의 기능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 및/또는 요구하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800)는ROM(Read Only Memory)(802)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저장수단(808)으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803)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적당한 동작 및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계산수단(801)을 포함한다. 또한, RAM(803)에는 장비(8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더 저장될 수 있다. 계산수단(801), ROM(802) 및 RAM(803)은 버스라인(804)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805)도 버스라인(804)에 연결된다.
장비(800)내의 복수의 부품은 I/O 인터페이스(805)에 연결되고, 상기 부품에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수단(806), 예를 들어 각종 유형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수단(807),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수단(808), 및 예를 들어 네트워크 카드, 모뎀, 무선 통신 송수신기 등과 같은 통신수단(809)이 포함된다. 통신수단(809)에 의해, 전자장비(800)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및/또는 각종 전자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비와 정보/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계산수단(801)은 처리 기능 및 계산 기능을 가진 각종 범용 및/또는 주문형 처리 어셈블리일 수 있다. 계산수단(801)의 일부 실예로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 그래픽 처리 장치(GPU), 각종 주문형 인공지능(AI) 컴퓨팅 칩, 각종 머신 러닝 모델 알고리즘을 운행하는 계산수단,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및 임의의 적합한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계산수단(801)은 앞에서 설명한 각 방법 및 처리를 실행하는데, 예를 들어,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예를 들어 저장수단(808)과 같은 기계 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전부는 ROM(802) 및/또는 통신수단(809)을 거쳐 장비(800)에 로딩 및/또는 설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RAM(803)에 로딩되고 계산수단(801)에 의해 실행될 경우, 앞에서 설명한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하나 또는 복수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계산수단(801)은 다른 임의의 적합한 방식(예를 들어, 펌웨어)을 통해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시스템 및 기술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디지털 전자 회로 시스템, 집적 회로 시스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SP(Application Specific Standard Product), SOC(System on Chip),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시스템에서 실행 및/또는 해석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는 주문형 또는 범용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일 수 있고,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을 수신하고, 데이터 및 명령을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프로그래밍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범용 컴퓨터, 주문형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에 제공되어, 프로그램 코드가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서 규정한 기능/동작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전부 머신에 의해 실행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머신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는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 머신에 의해 실행됨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원격 머신에 의해 실행되거나, 또는 전부 원격 머신 또는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계 판독가능 매체는 실체적인 매체일 수 있고, 상기 매체에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장비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장비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포함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기계 판독가능 매체는 기계 판독가능 신호 매체 또는 기계 판독가능 저장매체일 수 있다. 기계 판독가능 신호 매체는, 전자적, 자기적, 광학적, 전자기적, 적외선적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장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기계 판독가능 저장매체의 보다 구체적인 실예로는, 하나 또는 복수의 라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용 컴퓨터 디스크, 하드 디스크, RAM, ROM, EPROM(Erasable Programming ROM), 플래시 메모리, 광 파이버, CD-ROM, 광학적 저장 장비, 자기적 저장 장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통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시스템 및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데, 상기 컴퓨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예를 들어, CRT(음극선관) 또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사용자가 상기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트랙 볼)를 포함한다. 기타 유형의 디바이스도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은 임의의 형태의 센싱 피드백(예를 들어,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또는 촉각 피드백)일 수 있고, 임의의 형태(소리 입력, 음성 입력 또는 촉각 입력을 포함)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시스템 및 기술은, 백 그라운드 부품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 또는 미들웨어 부품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프론트 엔드 부품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GUI 또는 웹 브라우저를 갖는 사용자 컴퓨터로서, 사용자는 상기 GUI 또는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상기 시스템 및 기술의 실시형태와 인터랙션을 할 수 있음), 또는 이러한 백 그라운드 부품, 미들웨어 부품, 또는 프론트 엔드 부품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부품은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및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및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통상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랙션을 진행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는 대응하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서로 클라이언트-서버의 관계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각 단계의 순서를 조정하거나, 일부 단계를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개시된 기술방안이 원하는 결과를 구현할 수 있는 한, 본 개시에 기재된 다양한 단계는 병렬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또는 서로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보호범위는 상기 다양한 실시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설계 요구 및 기타 요소에 의해, 다양한 수정, 조합, 서브 조합 및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취지 및 원칙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등가 교체 및 개선 등은 모두 본 개시내용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21)

  1.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으로서,
    제1 대상에 대한 가상 장면 접속 청구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대상의 기초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기초 데이터에 따라, 가상 장면에서 상기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구축하고,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참여대상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장면은 가상 장면 데이터에 따라 생성한 것이고,
    상기 가상 장면 데이터는 가상 재생장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및
    가상 재생장비를 통해 상기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재생장비는 상기 가상 재생장비 데이터에 따라 생성한 것이고,
    상기 목표 콘텐츠는 상기 목표 콘텐츠 데이터에 따라 생성한 것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장면은 적어도 하나의 참여대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 데이터는 위치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상기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에서의 상기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장면 데이터 및 상기 가상 장면에서의 상기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에 따라,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대상으로 상기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위치 조정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대상의 위치 조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목표참여대상의 상기 위치 좌표를 조정하여, 상기 목표참여대상의 조정후의 위치 좌표를 얻는 단계, 및
    위치 업데이트 빈도 및 상기 조정후의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대상은 상기 목표참여대상 및 적어도 하나의 참고참여대상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음성 인터랙션 범위 한계치 및 상기 참여대상의 상기 위치 좌표에 따라, 상기 목표참여대상의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참여대상에 상기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을 구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상기 위치 좌표가 상기 음성 인터랙션 범위 한계치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참여대상에 상기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의 구독을 취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참여대상의 위치 좌표 및 상기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에 따라, 상기 목표참여대상에 대한 상기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상대적 위치 데이터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적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에 대해 믹싱 처리 및 듀얼 채널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상기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목표 음성 스트림을 얻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캐릭터 조정 동작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 조정 동작 명령은, 성별 조정 동작 명령, 의상 조정 동작 명령, 표정 조정 동작 명령 및 신체 동작 조정 동작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장면 데이터는 가상 회의 장면 데이터, 가상 전시장 장면 데이터 및 가상 경기장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콘텐츠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생방송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10.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로서,
    제1 대상에 대한 가상 장면 접속 청구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대상의 기초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초 데이터 취득모듈,
    상기 기초 데이터에 따라, 가상 장면에서 상기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구축하고,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참여대상을 얻는 목표참여대상 확정모듈, 및
    상기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가상 장면에서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는 목표 콘텐츠 재생모듈을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장면은 가상 장면 데이터에 따라 생성한 것이고,
    상기 가상 장면 데이터는 가상 재생장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콘텐츠 재생모듈은,
    상기 제1 대상으로부터의 목표 콘텐츠 재생 명령에 응답하여, 목표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목표 콘텐츠 취득 서브모듈, 및
    가상 재생장비를 통해 상기 목표 콘텐츠를 재생하는 목표 콘텐츠 재생 서브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재생장비는 상기 가상 재생장비 데이터에 따라 생성한 것이고,
    상기 목표 콘텐츠는 상기 목표 콘텐츠 데이터에 따라 생성한 것인,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장면은 적어도 하나의 참여대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 데이터는 위치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는,
    상기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에서의 상기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를 확정하는 위치 좌표 확정모듈,
    상기 가상 장면 데이터 및 상기 가상 장면에서의 상기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에 따라,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확정하는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 확정모듈, 및
    상기 참여대상으로 상기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송신하는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 송신모듈
    을 더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위치 조정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대상의 위치 조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목표참여대상의 상기 위치 좌표를 조정하여, 상기 목표참여대상의 조정후의 위치 좌표를 얻는 조정 위치 좌표 확정모듈, 및
    위치 업데이트 빈도 및 상기 조정후의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가상 장면 지도 데이터 업데이트모듈
    을 더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대상은 상기 목표참여대상 및 적어도 하나의 참고참여대상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는,
    음성 인터랙션 범위 한계치 및 상기 참여대상의 상기 위치 좌표에 따라, 상기 목표참여대상의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을 확정하는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 확정모듈, 및
    상기 목표참여대상에 상기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을 구독하는 음성 스트림 구독모듈
    을 더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상기 위치 좌표가 상기 음성 인터랙션 범위 한계치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을 확정하는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 확정모듈, 및
    상기 목표참여대상에 상기 무효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의 구독을 취소하는 음성 스트림 구독 취소모듈
    을 더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참여대상의 위치 좌표 및 상기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위치 좌표에 따라, 상기 목표참여대상에 대한 상기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상대적 위치 데이터를 확정하는 상대적 위치 데이터 확정모듈, 및
    상기 상대적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음성 스트림에 대해 믹싱 처리 및 듀얼 채널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상기 음성 인터랙션 참여대상의 목표 음성 스트림을 얻는 목표 음성 스트림 확정모듈
    을 더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캐릭터 조정 동작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대상의 가상 캐릭터를 조정하는 가상 캐릭터 조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 조정 동작 명령은, 성별 조정 동작 명령, 의상 조정 동작 명령, 표정 조정 동작 명령 및 신체 동작 조정 동작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장면 데이터는 가상 회의 장면 데이터, 가상 전시장 장면 데이터 및 가상 경기장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콘텐츠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생방송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19.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장비로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전자장비.
  20.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2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77568A 2022-03-31 2022-12-16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전자장비,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022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0352747.8 2022-03-31
CN202210352747.8A CN114697755A (zh) 2022-03-31 2022-03-31 虚拟场景信息交互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211A true KR20230002211A (ko) 2023-01-05

Family

ID=8214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568A KR20230002211A (ko) 2022-03-31 2022-12-16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전자장비,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082119A (ko)
KR (1) KR20230002211A (ko)
CN (1) CN1146977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73865A (zh) * 2022-07-26 2022-11-0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语音交互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5439195A (zh) * 2022-11-07 2022-12-06 杭州脸脸会网络技术有限公司 虚拟账户创建方法、系统、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8071970A (zh) * 2022-11-14 2024-05-24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虚拟场景的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8720A1 (zh) * 2016-11-30 2018-06-07 深圳益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虚拟现实的数据处理方法及系统
CN107103801B (zh) * 2017-04-26 2020-09-18 北京大生在线科技有限公司 远程三维场景互动教学系统及控制方法
KR20200024441A (ko) * 2018-08-28 2020-03-09 김영대 가상 및 증강 현실 강의실에서 인공지능 기능의 자동 장면 전환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원격 강의 방법 및 그 장치
CN112783320A (zh) * 2020-10-21 2021-05-11 中山大学 一种沉浸式虚拟现实的案例教学展示方法及系统
CN112870706B (zh) * 2021-03-19 2023-02-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教学内容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325954B (zh) * 2021-05-27 2022-08-2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处理虚拟对象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4071180A (zh) * 2021-11-24 2022-02-18 上海哔哩哔哩科技有限公司 直播间展示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97755A (zh) 2022-07-01
JP2023082119A (ja)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2211A (ko)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방법, 가상 장면 정보 인터랙션 장치, 전자장비,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093103B2 (en) Augmented reality computing environments-collaborative workspaces
US10838574B2 (en) Augmented reality computing environments—workspace save and load
US111517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formation
US20170084084A1 (en) Mapping of user interaction with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11080941B2 (en) Intelligent management of content related to objects displayed within communication sessions
US201001697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Presentations to Large Numbers of Users in a Virtual Environment
Campbell et al. Uses of virtual reality for communication in financial services: A case study on comparing different telepresence interfaces: Virtual reality compared to video conferencing
US202102874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n Immersive Character Interaction Experience
US201201920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hysical mapping in a virtual world
US1160968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to operate in 2D and 3D modes
US20220070241A1 (en) System and method enabling interactions in virtual environments with virtual presence
WO2019199569A1 (en) Augmented reality computing environments
US10768776B1 (en) Streaming virtual objects for incorporation in virtual environments
Pereira et al. Arena: The augmented reality edge networking architecture
KR102580110B1 (ko) 내비게이션 가능한 아바타들이 있는 웹 기반 화상 회의 가상 환경 및 그 응용들
US20220070236A1 (en) Graphical representation-bas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2200702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ly broadcasting from within a virtual environment
CN109391848A (zh) 一种互动广告系统
CN117519825A (zh) 一种数字人分身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220070240A1 (en) Ad hoc virtual communication between approaching user graphical representations
US20220070239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sion cloud computing-based virtual computing resources within a virtual environment
CN112218144A (zh) 投屏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计算机可读介质
US2023040178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nified rendering of light and sound content for a simulated 3d environment
KR102433670B1 (ko) 실물 이미지를 이용한 공간의 위치 기반 가상 환경 제공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