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168A -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168A
KR20230002168A KR1020220172417A KR20220172417A KR20230002168A KR 20230002168 A KR20230002168 A KR 20230002168A KR 1020220172417 A KR1020220172417 A KR 1020220172417A KR 20220172417 A KR20220172417 A KR 20220172417A KR 20230002168 A KR20230002168 A KR 20230002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hion
curriculum
terminal
diy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903B1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ublication of KR20230002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으로 이용가능한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DIY 패션북 키트;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패션북 키트에 기록된 URL 마커의 웹 주소로 접속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에서 전송된 패션북 키트로 제작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하고, 상기 이해도의 등급에 따라 클리스의 난이도를 조절한 커리큘럼을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커리큘럼의 전 과정을 이수한 경우, 전 과정에서 제작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개인 또는 그룹별 가상 런웨이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 런웨이 공간을 지원하고,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창업에 대한 교육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상기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 내에 개인 전시공간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Fashion book kits available online and offline}
본 발명은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학습교구 키트는 색칠완구, 종이접기와 같이 사용목적의 범위 내에서만 단순화게 활용되고 있는 정도로서 고정된 관념범위에서만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패션디자인너의 꿈을 갖는 어린아이들 또는 지망생들에게 패션디자인 전문재료로 DIY 패션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게 하고, 제작된 DIY 패션아이템의 촬영이미지를 온라인 웹 사이트에서 3D 입체아이템으로 가공시켜, 가상의 아바타가 가상의 패션공간에서 DIY 패션아이템을 착용한 상태로 가상의 런웨이를 사용자가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이용가능한 패션북 키트를 개시하고자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7614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패션디자인너의 꿈을 갖는 어린아이들 또는 지망생들에게 패션디자인 전문재료로 DIY 패션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게 하고, 제작된 DIY 패션아이템의 촬영이미지를 온라인 웹 사이트에서 3D 입체아이템으로 가공시켜, 가상의 아바타가 가상의 패션공간에서 DIY 패션아이템을 착용한 상태로 가상의 런웨이를 사용자가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이용가능한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DIY 패션북 키트;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패션북 키트에 기록된 URL 마커의 웹 주소로 접속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에서 전송된 패션북 키트로 제작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하고, 상기 이해도의 등급에 따라 클리스의 난이도를 조절한 커리큘럼을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웹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커리큘럼의 전 과정을 이수한 경우, 전 과정에서 제작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개인 또는 그룹별 가상 런웨이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 런웨이 공간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창업에 대한 교육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상기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 내에 개인 전시공간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활용하면, 온라인 디지털 갤러리에 참여하여 전시할 수 있다는 점, 2/3D 애니매이션을 만들어 자신만의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는 점, 마블러스 디자이너를 이용해서 가상 현실 속에서 아바타에 옷을 입혀 다른 친구들과 패션 쇼를 할 수 있다는 점, 3D 프린팅으로 자기만의 인형을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더 나아가, 실제 착용할 수 있는 옷으로 제작할 기회 및 전국의 학교 학원 예술 계열 교사들용 교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IY 패션북 키트의 내용물을 열거한 이미지이다.
도 3은 3가지 테마별 패션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DIY 패션 제작물의 실사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다양한 패션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패션아이템의 실사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웹 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의 웹 서버의 KAART 웹 사이트의 실행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IY 패션북 키트의 내용물을 열거한 이미지이고, 도 3은 3가지 테마별 패션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DIY 패션 제작물의 실사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다양한 패션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패션아이템의 실사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웹 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의 웹 서버의 KAART 웹 사이트의 실행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IY 패션북 키트(100)는 다면체로 구성된 케이스 함(101) 및 케이스 함(101) 내에 구비된 패션 북(102), 패션재료(103)를 상기 패션 북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물이 수용되며, 내측면 또는 바닥면에 기록된 URL 마커가 기록된 자재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패션 북(101)은 패션소재용 가죽시트 및 자바라 형태로 제작된 복수 개의 베이스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함(101)은 종이 재질의 박스로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내부에 수용된 부채 형태, 자바라 형태의 패션북, 패션재료 케이스의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벽에 복수 개의 쿠션 주름막 예컨대, 완충재가 수용된 박스일 수 있다.
다음으로, 패션북(102)은 주름진 구조를 갖는 부채형태의 종이북으로서, 후술하는 자재 케이스(미도시) 내에 수용된 패션재료(103)를 붙이기 위한 대상물일 수 있다.
다음으로, 패션재료 케이스는 후술하는 패션재료 케이스에 수용된 패션재료, 원단, 주얼리, 붙임부자재, 얼굴 스티커 등의 재료를 보관하는 케이스일 수 있다.
상기 패션재료 케이스의 패션재료 등은 다양한 테마별로 서로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URL 마커는 상기 케이스함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내면에 표식된 URL 마커를 리딩하여 KAART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참고로, KAART 웹 사이트는 상술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이용가능한 DIY 패션북 키트(100)를 판매하는 판매처 사이트로서, 해당 판매처 사이트는 사용자가 패션키트를 이용하여 제작한 패션아이템의 촬영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가공하여 가상의 패션쇼 런웨이 공간을 제공하는 사이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URL 마커를 단말(200)을 통해 리딩하여 웹 서버(300)에서 지원하는 KARRT 웹 사이트에 접속한 후, 자신이 DIY 패션북 키트롤 제작한 패션 아이템 제작물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KARRT 웹 사이트로 전송하면, KARRT 웹 사이트는 사용자의 단말(200)로 제작한 패션 제작물 아이템의 3D 입체모형을 가공하여 보여준다.
이후, 사용자에게 3D 입체모형, 예컨대, 아바타의 색깔, 크기, 체형 변화 등을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수정요청할 수 있다.
최종 수정 및 변경된 아바타는 3D 패션 아이템을 착용하여 가상의 런웨이 쇼를 진행한다.
또한, KARRT 웹 사이트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함께 가상의 패션런웨이를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고, 또한, 사용자의 단말에서 제공한 사용자의 지인들의 SNS, 카카오톡, 메일 등으로 가상 런웨이 초대장을 발송할 수 있다.
한편, KARRT 웹 사이트는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패션제작정보 또는 커리큘럼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원에서 제시하는 상기 패션 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10, KAART)은 아트 클래스 UI(11), 패션클래스 UI(12) 및 창업지원 UI(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트 클래스UI(11)는 만 17세 이하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패션 커리큘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정보를 기초로 어린이들이 직접 제작한 패션 아이템을 온라인 전시 및 어린이들이 직접 착용하여 촬영된 패션쇼 영상을 소셜 서비스에 공유할 수 있는 전시/공유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아트 클래스 UI(11)는 어린아이들의 연령(8~10, 11~13, 14~17)에 따라 상이한 패션 아이템 제작 커리큘럼을 제공하며, 패션 아이템 제작 커리큘럼에 따라 제작된 제작 아이템을 커리큘럼의 제작과정 과정마다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아트 클래스 UI(11)는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제작한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션 클래스 UI(12)는 성인들의 패션 디자이너 채험 커리큘럼(일 예로, ①사고/구상, ②나만의 브랜드 꼴라주 맵 제작, ③패브릭을 이용한 텍스트타일 창작, ④칼라&패턴 플레이 제작, ⑤패션 일러스트 아트 위크, ⑥의상 디자인 체험, ⑦매장 인테리어 구성, ⑧포트폴리오 완성&공유 등)을 제공한다.
상기 패션 클래스 UI(11)는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성인들이 제작한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패션 클래스 플랫폼(12)은 사용자(회원)이 패션 디자인 체험 커리큘럼에서 소개한 정보를 기초로 제작한 제작물을 온라인 상에 등록한 후, 회원들 간에 공유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패션 클래스 UI(12)는 해당 커리큘럼과 연계 또는 기원이 되는 패션, 아트, 타 학문에 관한 지식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지식검색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커리큘럼에 따라 제작된 제작 아이템을 커리큘럼의 제작과정 과정마다 온라인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회원들이 제작한 패션 아이템을 가상 런웨이의 아바타에 적용시켜, 회원 마다의 가상의 런웨이 쇼를 론칭하여 타 회원들과 공유할 수 있는 런웨이 공유 서비스를 지원한다.
다음으로, 창업지원 UI(13)는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로 선발된 회원단말에서 활성화되는 인터페이스로서, 창업에 대한 교육 정보, 창업과정, 패션경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창업 UI(13)는 개인 온라인 전시공간을 지원하고, 회원은 개인 온라인 전시공간을 마케팅 공간, 예컨대, 개인 브랜드의 홍보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웹 서버(300)는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패션 디자인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하고, 상기 이해도의 등급에 따라 클리스의 난이도를 조절한 커리큘럼을 상기 회원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웹 서버(300)는 상기 회원단말에서 가입한 커리큘럼의 전 과정을 이수한 경우, 전 과정에서 제작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개인 또는 그룹별 가상 런웨이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 런웨이 공간을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웹 서버(300)는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창업에 대한 교육정보를 상기 회원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서버(300)는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상기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 내에 개인 전시공간을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웹 서버(300)는 구매자 관리부(310), 커리큘럼 제공부(320), 인공지능 학습부(330), 평가부(340), 가상서비스부(350) 및 창업지원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구매자 관리부(310)는 DIY 패션북 키트를 구매한 온라인 회원들의 회원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자 관리부(310)는 연령 대별로 등록한 회원들을 신규회원 및 기존회원으로 분류하고, 기존회원의 경우, 후술하는 평가부의 평가결과에 따라 난이도가 조정된 커리큘럼 등급으로 회원의 수강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수강자 관리부(310)는 회원단말(200)에서 제공한 이미지(회원이 DIY 패션북 키트로 제작한 패션 디자인 제품의 이미지 및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회원 별로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커리큘럼 프로그램 제공부(320)는 연령별 맞춤식 패션디자인 커리큘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예로, 커리큘럼 프로그램 제공부(320)는 패션 디자인에 대한 학문, 유명 브랜드의 특징교육, 패션 디자인 설계-제작, 상품런칭 및 패션쇼 과정, 개인 브랜드의 창업 등에 대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리큘럼 프로그램 제공부(320)는 후술하는 평가부(340)의 회원별 평가결과를 기초로 해당 회원에게 제공되는 표준 커리큘럼의 난이도를 조절한 맞춤식 커리큘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리큘럼 프로그램 제공부(320)는 회원이 지정한 유명 패션디자이너, 유명제품 등에 대한 패션특징을 후술하는 인고지능 학습부(330)로부터 제공받아 회원의 패션디자인 커리큘럼 내에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인공지능 학습부(330)는 상술한 커리큘럼 프로그램 제공부(320)에서 제공하는 표준 커리큘럼 프로그램을 학습한 회원의 평가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연령에 부합하는 맞춤형 표준난이도를 자가학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 학습부(330)는 딥러닝 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며, 상기 딥러닝 학습 알고리즘은 Deep Belief Network, Autoencoder,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rural Network), Deep Q-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열거한 딥러닝 학습 알고리즘은 일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앞에서 열거한 딥러닝 학습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인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적용시켜, 본원의 패션 디자인 교육 서비스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딥러닝 학습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평가부(340)는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단말에서 제공한 패션 디자인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평가부(340)는 상술한 커리큘럼 프로그램 제공부(320)에서 제공하는 커리큘럼 프로그램들 각각의 세부 챕터에서 중요시하는 평가 포인트 정보를 제공받고, 평가 포인트 정보가 포함되는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상서비스부(350)는 회원단말에서 가입한 커리큘럼의 전 과정을 이수한 경우, 전 과정에서 제작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개인 또는 그룹별 가상 런웨이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 런웨이 공간을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서비스부(350)는 회원단말에서 가입한 커리큘럼의 전 과정을 이수한 경우, 전 과정에서 제작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3차원 커스터마이징 기법을 이용하여 3D 입체화한 후, 회원이 지정한 인종, 신체, 워킹동작이 적용된 가상 아바타에 착용시켜 가상 런웨이 공간에 적용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서비스부(350)는 가상 런웨이 공간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해당 회원이 제시한 제품 이미지에 대한 평가를 표시하기 위한 감정표시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창업지원부(360)는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창업에 대한 교육정보를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창업에 대한 교육정보는 패션디자인 경영, 특성화, 선배들의 실전경험 등에 지식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창업지원부(360)는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상기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 내에 개인 전시공간을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이용가능한 패션북 키트를 이용하면, 패션디자인너의 꿈을 갖는 어린아이들 또는 지망생들에게 패션디자인 전문재료로 DIY 패션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게 하고, 제작된 DIY 패션아이템의 촬영이미지를 온라인 웹 사이트에서 3D 입체아이템으로 가공시켜, 가상의 아바타가 가상의 패션공간에서 DIY 패션아이템을 착용한 상태로 가상의 런웨이를 통해 온라인 관객들 및 전문가들의 의견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온라인 디지털 갤러리에 참여하여 전시할 수 있다는 점, 2/3D 애니매이션을 만들어 자신만의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는 점, 마블러스 디자이너를 이용해서 가상 현실 속에서 아바타에 옷을 입혀 다른 친구들과 패션 쇼를 할 수 있다는 점, 3D 프린팅으로 자기만의 인형을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더 나아가, 실제 착용할 수 있는 옷으로 제작할 기회 및 전국의 학교 학원 예술 계열 교사들용 교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00; DIY 패션북 키트
200: 단말
300: 웹 서버
210: 수강자 관리부
220: 커리큘럼 프로그램 제공부
230: 인공지능 학습부
240: 평가부
250: 가상서비스부

Claims (1)

  1. DIY 패션북 키트;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패션북 키트에 기록된 URL 마커의 웹 주소로 접속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에서 전송된 패션북 키트로 제작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하고, 상기 이해도의 등급에 따라 클리스의 난이도를 조절한 커리큘럼을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커리큘럼의 전 과정을 이수한 경우, 전 과정에서 제작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개인 또는 그룹별 가상 런웨이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 런웨이 공간을 지원하고,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창업에 대한 교육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상기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 내에 개인 전시공간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으로 이용가능한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220172417A 2021-03-15 2022-12-12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495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317 2021-03-15
KR20210033317 2021-03-15
KR1020210092433A KR102571408B1 (ko) 2021-03-15 2021-07-14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433A Division KR102571408B1 (ko) 2021-03-15 2021-07-14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168A true KR20230002168A (ko) 2023-01-05
KR102495903B1 KR102495903B1 (ko) 2023-02-06

Family

ID=834455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433A KR102571408B1 (ko) 2021-03-15 2021-07-14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220172417A KR102495903B1 (ko) 2021-03-15 2022-12-12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433A KR102571408B1 (ko) 2021-03-15 2021-07-14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14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605A (ko) * 2005-09-15 2007-03-20 박경순 아동 교육을 위한 책 만들기용 키트
JP2010517171A (ja) * 2007-01-23 2010-05-20 ジョステン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スタマイズされた出力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171568B1 (ko) * 2010-08-23 2012-08-07 한점순 종이타월을 이용한 장식소품의 제작방법 및 그 장식소품
KR101876140B1 (ko) 2017-11-03 2018-07-06 송유진 입체감을 가지는 종이모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종이모형을 만드는 방법
KR20180109775A (ko) * 2018-08-29 2018-10-08 전은주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
KR20210101146A (ko) * 2020-02-07 2021-08-18 김현수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605A (ko) * 2005-09-15 2007-03-20 박경순 아동 교육을 위한 책 만들기용 키트
JP2010517171A (ja) * 2007-01-23 2010-05-20 ジョステン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スタマイズされた出力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171568B1 (ko) * 2010-08-23 2012-08-07 한점순 종이타월을 이용한 장식소품의 제작방법 및 그 장식소품
KR101876140B1 (ko) 2017-11-03 2018-07-06 송유진 입체감을 가지는 종이모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종이모형을 만드는 방법
KR20180109775A (ko) * 2018-08-29 2018-10-08 전은주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
KR20210101146A (ko) * 2020-02-07 2021-08-18 김현수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922A (ko) 2022-09-22
KR102571408B1 (ko) 2023-08-29
KR102495903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ngli et al. The new digital natives
Kafai et al. Connected code: Why children need to learn programming
Bonacini et al. Gamification and cultural institutions in cultural heritage promotion: a successful example from Italy
Lotecki Cosplay culture: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and living art through play
Holmquist Grounded innovation: Strategies for creating digital products
Saujani Girls who code: Learn to code and change the world
Ruttkay et al. Renewal of the Museum in the Digital Epoch
Peppler et al. Script changers: digital storytelling with Scratch
Hirsh Teaching and learning in virtual environments: Archives, museums, and libraries
Morrison Head first javascript
Westecott Game sketching: Exploring approaches to research-creation for games
KR102495903B1 (ko)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Magiera Courageous edventures: Navigating obstacles to discover classroom innovation
Ruiz et al. Mobile and Locative Games in the Civic Tripod: Activism, Art and Learning
Hakopian Art histories from nowhere: on the coloniality of experiments in ar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Valentine et al. The digital Sash: A sketch-based badge system in a social network for children
Meda-Calvet Bugaboo: A Spanish case of circulation and co-production of video games
Brown The School Librarian's Technology Playbook: Innovative Strategies to Inspire Teachers and Learners
Braiterman et al. Business: designing with users in Internet time
Hoechsmann Bono for pope? A case for cultural studies in media education
Inkeroinen Enhancing learning experiences with AR and VR technology
Tsikhanchuk Creating a mobile application and a dream
Brown BoxLab: A Comparison of Brand Experiences for STEM Toys and Their Influence on Gender
Bräne User Experience Design for Children: Developing and Testing a UX Framework
Ipalakova et al. Implementation of a Virtual Museum: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Concep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