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148U - Noiseless angle adjustment type lcd video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Noiseless angle adjustment type lcd video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148U
KR20230002148U KR2020220001088U KR20220001088U KR20230002148U KR 20230002148 U KR20230002148 U KR 20230002148U KR 2020220001088 U KR2020220001088 U KR 2020220001088U KR 20220001088 U KR20220001088 U KR 20220001088U KR 20230002148 U KR20230002148 U KR 202300021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loating
floating bracket
fixed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08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승혁
박희준
권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시스템즈
Priority to KR2020220001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148U/en
Publication of KR202300021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148U/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속철도 차량의 객실 내부의 출입문 좌측 및 우측 벽면에 설치되는 LCD 영상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객실의 출입문 좌측 및 우측의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벽면 프레임; 상기 벽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을 기준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유동 브래킷; 및 상기 유동 브래킷에 화면이 상기 객실 내부의 좌석에 착석한 승객과 대면하도록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임의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 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승객이 이루는 거리가 변화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 시에, 상기 고정 브래킷과 이루는 각도가 무소음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고정 브래킷과 유동 브래킷이 이루는 각도를 소음공해없이 무소음으로 보다 간편하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면서도 승객이 원하는 화면 위치에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LCD video displa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entrance door inside the cabin of a high-speed rail vehicle,
A wall frame installed vertically on the wall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entrance door of the guest room;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wall frame; a floating bracke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about a reference axis; And a display unit integrally coupled to the floating bracket so that the screen faces the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inside the cabin, and outputs an arbitrary image,
The floating bracket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passenger changes, and during the rotation, the angle formed with the fixed bracket is adjusted noiselessly,
The angle between the fixed bracket and the floating bracket can be adjusted more simply and freely without causing noise pollution. This has the effect of providing images at the screen location desired by passengers while maintaining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Description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NOISELESS ANGLE ADJUSTMENT TYPE LCD VIDEO DISPLAY DEVICE}Noise-free angle-adjustable LCD video display {NOISELESS ANGLE ADJUSTMENT TYPE LCD VIDEO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고속철도 차량의 객실과, 특히, 특실의 출입문 좌측 및 우측 벽면에 설치하는 LCD 영상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유동 브래킷이 벽면에 고정된 고정 브래킷과 무소음 토크힌지를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고정 브래킷과 유동 브래킷이 이루는 각도를 소음공해없이 무소음으로 보다 간편하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면서도 승객이 원하는 화면 위치에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CD video displa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cabin of a high-speed rail vehicle, especially the entrance door of a special room. More specifically, the floating bracket integrated with the display unit is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fixed to the wall and makes noiseless. Through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using a torque hinge, the angle formed by the fixed bracket and the floating bracket can be adjusted more easily and freely without noise pollution. As a result, the image can be viewed at the screen location desired by the passenger while maintaining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his is about a noise-free, angle-adjustable LCD video display that can be provided.

일반적으로, 고속철도 차량의 내부에는 승객의 편의를 위해 노선안내 및 행선지를 표시하거나, 뉴스, 광고 등의 콘텐츠를 상영하는 LCD 모니터 등과 같은 LCD 영상표시기가 설치된다.Generally, an LCD video display, such as an LCD monitor, is installed inside a high-speed rail vehicle to display route information and destinations or to display content such as news and advertisements for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이러한 영상표시기는 특실 객실 승객들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특실 객실 내부의 선단부, 후미부에 설치되는데, 객실 내부의 선단부와 후미부에는 출입문이 구비되므로, 객실 내부의 선단부와 후미부에 설치되는 영상표시기는 대개 출입문 좌측 및 우측 벽면에 고정 설치된다.These video displays are installed at the leading and aft parts of the special room cabin to provide images to passengers in the special room. Since the leading and aft parts of the cabin are equipped with entrance doors, they are installed at the leading and aft parts of the cabin. Video displays are usually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s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entrance door.

특히, 출입문 좌,우측 LCD 영상표시기는 승객의 좌석 위치에 따라 각도를 조절해야하는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the angle of the LCD video displa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or needs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assenger's seat position.

이때, LCD 영상표시기의 각도를 조절할 때 소음이 발생한다면 소음공해로 인한 승객들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통 이러한 소음이 발생하는 구조가 적용된 LCD 영상표시기는 기구의 내구성을 떨어뜨려 유지보수에도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At this time, if noise is generated when adjusting the angle of the LCD video display,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inconvenience to passengers due to noise pollution. LCD video displays with a structure that generates such noise usually reduce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and require maintenance. The downside is that it may also affect th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981호(발명의 명칭: 철도차량용 영상표시기 지지장치)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54981 (Title of invention: Video display support device for railway vehicles)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유동 브래킷이 벽면에 고정된 고정 브래킷과 무소음 토크힌지를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고정 브래킷과 유동 브래킷이 이루는 각도를 소음공해없이 무소음으로 보다 간편하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면서도 승객이 원하는 화면 위치에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floating bracket integrated with the display unit is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fixed to the wall using a noiseless torque hinge, so that the fixed bracket and the floating bracke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noiseless torque hing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noise-free angle-adjustable LCD video display that allows the angle of the bracket to be adjusted more simply and freely without noise pollution, and thus can provide images at the screen position desired by passengers while maintaining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here is.

다만,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desig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understandab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는, 고속철도 차량의 객실 내부의 출입문 좌측 및 우측 벽면에 설치되는 LCD 영상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객실의 출입문 좌측 및 우측의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벽면 프레임; 상기 벽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을 기준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유동 브래킷; 및 상기 유동 브래킷에 화면이 상기 객실 내부의 좌석에 착석한 승객과 대면하도록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임의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 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승객이 이루는 거리가 변화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 시에, 상기 고정 브래킷과 이루는 각도가 무소음으로 조절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noise-free angle-adjustable LCD imag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LCD image displa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door inside the cabin of a high-speed rail vehicle, and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door of the cabin. and a wall frame installed vertically on the wall on the right side;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wall frame; a floating bracke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about a reference axis; and a display unit integrally coupled to the floating bracket so that the screen faces the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inside the cabin, and outputs an arbitrary image, wherein the floating bracket is configur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passenger is It rotates in a changing direction, and during the rotation, the angle formed with the fixing bracket can be adjusted noiselessly.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 및 상기 유동 브래킷 간의 연결은, 실시간으로 임의의 토크장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유동 브래킷의 무소음 회전가능한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회전에 대한 가압이 해제될 경우, 상기 토크장력에 의한 저항으로 상기 유동 브래킷의 회전을 무소음으로 정지시켜 상기 고정 브래킷 및 상기 유동 브래킷 간 각도의 조절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토크힌지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xed bracket and the floating bracket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floating bracket can rotate without noise while generating arbitrary torque tension in real time, and when the rotation pressure is released, resistance due to the torque tension This can be achieved by a torque hinge unit that stops the rotation of the floating bracket without noise and maintains an adjusted angle between the fixed bracket and the floating bracket.

또한, 상기 유동 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방향과 수직방향의 어느 일측 말단이 원형의 곡률을 이루면서, 상기 말단의 연직방향 중앙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일측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일측이 상기 유동 브래킷의 제1 수용홈에 수용되면서, 그 일측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유동 브래킷의 말단 형상에 대응하는 제2 수용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용홈에 상기 유동 브래킷의 일측 단부를 유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토크힌지부는, 상기 제1 수용홈과 상기 상단측 제2 수용홈을 연직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관통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유동 브래킷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제1 토크힌지; 및 상기 제1 수용홈과 상기 하단측 제2 수용홈을 연직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관통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유동 브래킷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제2 토크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ating bracket may have a circular curvature at one 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creen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and a first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may be formed at the vertical center of the end.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of the movable bracket, and second receiv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end shape of the movable bracket ar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one side, respectively,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of the moving bracket. One end of the floating bracket can be movably accommodated, and the torque hinge portion is installed to penetr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on the upp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xing bracket and the a first torque hinge that integrally connects the floating bracket; and a second torque hinge installed to penetr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lower second receiving groov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fixed bracket and the moving bracket.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해 상기 유동 브래킷이 유동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별도로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의 일측 및 상기 유동 브래킷의 일측에 경첩구조로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member installed in a hinge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fixed bracket and one side of the movable bracket to separately support the state in which the movable bracket is movably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또한, 상기 유동 브래킷은, 상기 승객이 휴대한 임의의 이동단말기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속철도 차량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충전용 USB 포트단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ating bracke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USB port terminal for charging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high-speed rail vehicle to enable charging of any mobile terminal device carried by the passenger.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 또는 상기 유동 브래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압력이 감지되면, 임의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및 상기 고정 브래킷 또는 상기 유동 브래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iezoelectric element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xed bracket or the floating bracket to generate an arbitrary electrical signal when a preset pressure is sensed;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membe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xed bracket or the floating bracket to output a preset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또한, 상기 알림부재는, 발광소자(LED,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고, 상기 알림신호는, 광신호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notification member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an optical signal.

본 고안에 따른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는, 디스플레이부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유동 브래킷이 벽면에 고정된 고정 브래킷과 무소음 토크힌지를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고정 브래킷과 유동 브래킷이 이루는 각도를 소음공해없이 무소음으로 보다 간편하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면서도 승객이 원하는 화면 위치에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noise-free angle-adjustable LCD imag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floating bracket integrated with the display unit is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fixed to the wall using a noiseless torque hinge, so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fixed bracket and the floating bracket is connected. can be adjusted more simply and freely without noise pollution, and thus has the effect of providing images at the screen location desired by passengers while maintaining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다만,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LCD 영상표시기의 유동 브래킷이 유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따른 상기 유동 브래킷의 유동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noise-free angle-adjustable LCD imag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floating bracket of the LCD imag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floating bracket according to Figure 2.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In other word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thereby.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desig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em.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LCD 영상표시기의 유동 브래킷이 유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에 따른 상기 유동 브래킷의 유동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noise-free angle-adjustable LCD imag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shows the floating bracket of the LCD imag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floating bracket according to FIG. 2.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100)는 고속철도 차량의 객실 내부의 출입문 좌측 및 우측 벽면(10)에 설치되는 LCD 영상표시기에 있어서, 벽면 프레임(110), 고정 브래킷(120), 유동 브래킷(130), 디스플레이부(140), 토크힌지부(150), 체결부재(160), 압전소자(170) 및 알림부재(18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noise-free angle-adjustable LCD image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LCD image displa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walls 10 of the entrance door inside the cabin of a high-speed rail vehicle. Including a frame 110, a fixed bracket 120, a floating bracket 130, a display unit 140, a torque hinge unit 150, a fastening member 160, a piezoelectric element 170, and a notification member 180. It can be configured.

상기 벽면 프레임(110)은 상술한 객실의 출입문 좌측 및 우측의 벽면(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상기 벽면 프레임(110)의 형상은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설계될 수 있다.The wall frame 110 is preferably installed vertically on the wall 1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or of the guest room, and the shape of the wall frame 110 can be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designs may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고정 브래킷(120)은 벽면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동 브래킷(130)은 고정 브래킷(120)을 기준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ed bracket 120 is preferably fixed to the wall frame 110, and the floating bracket 130 is preferab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120 about a reference axis.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전술한 상기 유동 브래킷(130)에 화면이 상기 객실 내부의 좌석에 착석한 승객과 대면하도록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임의의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14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above-mentioned floating bracket 130 so that the screen faces the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inside the cabin,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outputting an arbitrary image.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4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or a flexible displa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술한 상기 유동 브래킷(130)은 디스플레이부(140) 및 상기 승객이 이루는 거리가 변화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 시에, 상기 고정 브래킷(120)과 이루는 각도가 무소음으로 조절될 수 있다.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ing bracket 130 described above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unit 140 and the passenger changes, and when the rotation occurs, the angle formed with the fixed bracket 120 changes. It can be adjusted noiselessly.

또한, 상기 유동 브래킷(130)은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 방향과 수직방향의 어느 일측 말단이 원형의 곡률을 이루면서, 상기 말단의 연직방향 중앙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120)의 일측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홈(1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loating bracket 130 has a circular curvature at one 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creen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140, and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120 at the vertical center of the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ceiving groove 131 is formed.

더불어, 상기 유동 브래킷(130)은 상기 승객이 휴대한 임의의 이동단말기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속철도 차량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충전용 USB 포트단자(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loating bracket 13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charging USB port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high-speed rail vehicle to enable charging of any mobile terminal device carried by the passenger.

한편, 전술한 상기 고정 브래킷(120)은 일측이 상기 유동 브래킷(130)의 제1 수용홈(131)에 수용되면서, 그 일측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유동 브래킷(130)의 말단 형상에 대응하는 제2 수용홈(12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용홈(121)에 유동 브래킷(130)의 일측 단부를 유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Meanwhile, one side of the above-mentioned fixing bracket 12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131 of the movable bracket 130,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vable bracket 130 are provided with a first receiving groove 13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nd of the movable bracket 130. Two receiving grooves 121 are formed, so that one end of the floating bracket 130 can be movab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1.

상기 토크힌지부(150)는 상술한 상기 고정 브래킷(120) 및 유동 브래킷(130)을 상호 연결시켜 실시간으로 임의의 토크장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유동 브래킷(130)의 무소음 회전가능한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회전에 대한 가압이 해제될 경우, 상기 토크장력에 의한 저항으로 상기 유동 브래킷(130)의 회전을 무소음으로 정지시켜 상기 고정 브래킷(120) 및 유동 브래킷(130) 간 각도의 조절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orque hinge unit 150 connects the fixed bracket 120 and the floating bracket 130 described above to generate arbitrary torque tension in real time and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floating bracket 130 can be rotated noiselessly, When the pressure for the rotation is released, the rotation of the floating bracket 130 is stopped noiselessly due to resistance caused by the torque tension, and the angle between the fixed bracket 120 and the floating bracket 130 is maintained in an adjusted state. It performs the function to make it possible.

이러한 상기 토크힌지부(150)는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토크힌지(151) 및 제2 토크힌지(152)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rque hinge portion 15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torque hinge 151 and a second torque hinge 152.

상기 제1 토크힌지(151)는 제1 수용홈(131)과 상기 상단측 제2 수용홈(121)을 연직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관통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 브래킷(120)과 유동 브래킷(130)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orque hinge 151 is installed to penetr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131 and the upper second receiving groove 12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xing bracket 120 and the moving bracket 130 It is desirable to connect them integrally.

상기 제2 토크힌지(152)는 제1 수용홈(131)과 상기 하단측 제2 수용홈(121)을 연직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관통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 브래킷(120)과 유동 브래킷(130)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torque hinge 152 is installed to penetr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131 and the lower second receiving groove 12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xing bracket 120 and the moving bracket 130 It is desirable to connect them integrally.

상기 체결부재(160)는 고정 브래킷(120)에 대해 상기 유동 브래킷(130)이 유동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별도로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120)의 일측 및 상기 유동 브래킷(130)의 일측에 경첩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member 160 has a hinge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fixed bracket 120 and one side of the movable bracket 130 to separately support the state in which the movable bracket 130 is movably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120. It is desirable to install it as .

상기 압전소자(170)는 고정 브래킷(120) 또는 상기 유동 브래킷(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압력이 감지되면, 임의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iezoelectric element 170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xed bracket 120 or the floating bracket 130 and functions to generate an arbitrary electrical signal when a preset pressure is sensed.

상기 알림부재(180)는 고정 브래킷(120) 또는 상기 유동 브래킷(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압전소자(17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member 18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xed bracket 120 or the floating bracket 130 and output a preset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170.

이때, 상기 알림부재(180)는 본 고안에 따르면, 발광소자(LED, 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알림신호는 광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설계가 가능하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ification member 180 is preferably a light emitting device (LED,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notification signal is preferably an optical sig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based on common knowledge in the relevant field.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고안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y combining them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ttach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reference relationship in the patent claims can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included as a new claim through amendment after filing.

10 : 벽면
100 : LCD 영상표시기
110 : 벽면 프레임
120 : 고정 브래킷
121 : 제2 수용홈
130 : 유동 브래킷
131 : 제1 수용홈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토크힌지부
151 : 제1 토크힌지
152 : 제2 토크힌지
160 : 체결부재
170 : 압전소자
180 : 알림부재
10: wall
100: LCD video display
110: wall frame
120: fixing bracket
121: Second receiving groove
130: floating bracket
131: 1st receiving groove
140: display unit
150: Torque hinge part
151: 1st torque hinge
152: 2nd torque hinge
160: fastening member
170: Piezoelectric element
180: Absence of notification

Claims (7)

고속철도 차량의 객실 내부의 출입문 좌측 및 우측 벽면에 설치되는 LCD 영상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객실의 출입문 좌측 및 우측의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벽면 프레임;
상기 벽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을 기준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유동 브래킷; 및
상기 유동 브래킷에 화면이 상기 객실 내부의 좌석에 착석한 승객과 대면하도록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임의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 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승객이 이루는 거리가 변화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 시에, 상기 고정 브래킷과 이루는 각도가 무소음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
In the LCD video displa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entrance door inside the cabin of a high-speed rail vehicle,
A wall frame installed vertically on the wall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entrance door of the guest room;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wall frame;
a floating bracke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about a reference axis; and
A display unit integrally coupled to the floating bracket so that the screen faces the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inside the cabin, and outputting an arbitrary image,
The floating bracket is,
A noise-free angle-adjustable LCD imag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passenger changes, and during the rotation, the angle formed with the fixing bracket is adjusted noiseless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 및 상기 유동 브래킷 간의 연결은,
실시간으로 임의의 토크장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유동 브래킷의 무소음 회전가능한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회전에 대한 가압이 해제될 경우, 상기 토크장력에 의한 저항으로 상기 유동 브래킷의 회전을 무소음으로 정지시켜 상기 고정 브래킷 및 상기 유동 브래킷 간 각도의 조절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토크힌지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xed bracket and the floating bracket is,
It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floating bracket can rotate without noise while generating arbitrary torque tension in real time, and when the pressure for the rotation is released, the rotation of the floating bracket is stopped noiselessly due to resistance due to the torque tension, thereby fixing the floating bracket. A noise-free angle-adjustable LCD image display, characterized by a torque hinge unit that maintains the adjusted angle between the bracket and the floating bracke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방향과 수직방향의 어느 일측 말단이 원형의 곡률을 이루면서, 상기 말단의 연직방향 중앙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일측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일측이 상기 유동 브래킷의 제1 수용홈에 수용되면서, 그 일측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유동 브래킷의 말단 형상에 대응하는 제2 수용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용홈에 상기 유동 브래킷의 일측 단부를 유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토크힌지부는,
상기 제1 수용홈과 상기 상단측 제2 수용홈을 연직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관통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유동 브래킷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제1 토크힌지; 및
상기 제1 수용홈과 상기 하단측 제2 수용홈을 연직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관통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유동 브래킷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제2 토크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
According to claim 2,
The floating bracket is,
One end of the display uni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creen direction has a circular curvature, and a first receiving groove is formed at the vertical center of the end to accommodate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The fixing bracket is,
While one side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of the moving bracket, second receiv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end shape of the moving bracket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ne side, respectively, and one end of the moving bracket is plac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It is characterized by flexibly accommodating,
The torque hinge part,
a first torque hinge installed to penetr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upper second receiving groov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fixed bracket and the moving bracket; and
Noiseless angle adjustment comprising a second torque hinge installed to penetr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lower second receiving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fixed bracket and the moving bracket. Type LCD video displa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해 상기 유동 브래킷이 유동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별도로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의 일측 및 상기 유동 브래킷의 일측에 경첩구조로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
According to claim 3,
A noise-free angle-adjustable LC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member installed in a hinge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fixed bracket and one side of the floating bracket to separately support the state in which the floating bracket is movably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Video indicat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브래킷은,
상기 승객이 휴대한 임의의 이동단말기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속철도 차량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충전용 USB 포트단자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
According to claim 3,
The floating bracket is,
A noise-free angle-adjustable LCD video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harging USB port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high-speed rail vehicle to enable charging of any mobile terminal device carried by the passeng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 또는 상기 유동 브래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압력이 감지되면, 임의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및
상기 고정 브래킷 또는 상기 유동 브래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
According to claim 3,
A piezoelectric element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xed bracket and the floating bracket to generate an arbitrary electrical signal when a preset pressure is sensed; and
A noise-free angle-adjustable LCD imag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otification membe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xed bracket or the floating bracket and outputting a preset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재는,
발광소자(LED, 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알림신호는,
광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각도 조절형 LCD 영상표시기.
According to claim 6,
The absence of notification is,
It is characterized as a light emitting device (LED, Light Emitting Diode),
The notification signal is,
A noise-free angle-adjustable LCD video display characterized by an optical signal.
KR2020220001088U 2022-05-03 2022-05-03 Noiseless angle adjustment type lcd video display device KR2023000214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088U KR20230002148U (en) 2022-05-03 2022-05-03 Noiseless angle adjustment type lcd video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088U KR20230002148U (en) 2022-05-03 2022-05-03 Noiseless angle adjustment type lcd video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148U true KR20230002148U (en) 2023-11-10

Family

ID=8874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088U KR20230002148U (en) 2022-05-03 2022-05-03 Noiseless angle adjustment type lcd video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148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81Y1 (en) 2009-05-08 2011-08-09 현대로템 주식회사 Image display device for railway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81Y1 (en) 2009-05-08 2011-08-09 현대로템 주식회사 Image display device for railway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4541B1 (en) Display system
US20200070736A1 (en) Display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
US6766617B2 (en) Power sliding rear window
US20190226264A1 (en) Window regulator
US10023027B2 (en) Window device for vehicle
US11518301B2 (en) Roof panel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projector device for use in such roof panel assembly
CN104914574B (en) Head-up display device
KR100792899B1 (en) Display unit for vehicle with rear seat entertainment system
KR20070049338A (en) Picture image display system installed in a car
KR20230002148U (en) Noiseless angle adjustment type lcd video display device
US20180031833A1 (en) Head-up display device
US20130099912A1 (en) Vehicular display unit
CN102005163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9184712A (en) Installation device for movable screen
KR20220111436A (en) Emergency door with billboard and platform screen door including the same
US10384578B2 (en) Seat assembly visor
JP2004354814A (en) Video projection device for automobile
JP5681526B2 (en) Visor for car navigation
JP4239756B2 (en) In-vehicle image projection display system and automobile equipped with the same
US11299096B2 (en) Rear-view mirror device mounted in a vehicle,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vehicle-mounted display system
KR101666210B1 (en) Roll blind mounting system for side window of bus
JP2012254721A (en) Vehicular seat
JP2016138965A (en) Display device, and fitting structure for the same
KR200234653Y1 (en) A LCD monitor for a railroad car
JP3205713U (en) Head-up reflection plate device